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서 용어 및 기능

1. 다음의 워드프로세서 장치 중에서 마우스나 스캐너 등은 어느 장치에 속하는가?

  1. 입력장치
  2. 표시장치
  3. 저장장치
  4. 인쇄장치
(정답률: 91%)
  • 마우스나 스캐너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므로 "입력장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기억장치 중에서 처리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1. 하드디스크
  2. CD-RW
  3. 플로피 디스크
  4. RAM
(정답률: 55%)
  • 플로피 디스크는 회전 속도가 느리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서 처리속도가 가장 느린 기억장치입니다. 또한 저장 용량도 작아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에서 보조기억장치인 광디스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ZIP DISK
  2. WORM
  3. DVD
  4. CD-ROM
(정답률: 55%)
  • ZIP DISK은 광학적인 기술이 아닌 자기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에서 문서의 특정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선택)한 다음에 할 수 있는 작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복사하기
  2. 잘라내기
  3. 불러오기
  4. 옮기기
(정답률: 70%)
  • 문서의 특정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한 후에는 해당 블록을 복사하거나 잘라내서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러오기는 다른 파일에서 해당 블록을 불러와서 현재 문서에 삽입하는 작업이므로, 문서의 특정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한 후에는 불러오기는 적절하지 않은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에서 문서의 특정 부분에 존재하는 많은 내용을 지우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1. 지울 부분의 맨 앞에서 [Delete] 키를 계속 눌러서 지운다.
  2. 지울 부분의 맨 뒤에서 [Back Space] 키를 계속 눌러서 지운다.
  3. 지울 부분을 영역으로 선택하여 지운다.
  4. 수정 상태에서 [Space] 키를 계속 눌러서 지운다.
(정답률: 79%)
  • 지울 부분을 영역으로 선택하여 지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선택한 영역만 지우면 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맨 앞이나 맨 뒤에서 키를 계속 누르는 방법은 지울 부분이 많을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정 상태에서 [Space] 키를 계속 누르는 방법은 지우려는 부분이 많을수록 새로운 공백이 계속 추가되어 문서가 더러워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에서 조판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머리말
  2. 꼬리말
  3. 각주
  4. 치환
(정답률: 80%)
  • "치환"은 조판기능이 아니라 편집기능에 해당한다. 치환은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대체하는 작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Hello World"라는 문자열에서 "World"를 "Python"으로 바꾸는 것이 치환 작업이다. 조판기능은 문서를 레이아웃에 맞게 배치하는 것으로, 머리말, 꼬리말, 각주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에서 확장자(Extension)의 형태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림파일 : BMP
  2. 백업파일 : BAK
  3. 문서파일 : TXT
  4. 압축파일 : DOC
(정답률: 60%)
  • 압축파일의 확장자는 일반적으로 ".zip"이나 ".rar"과 같은 형태이지만, "DOC"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 파일의 확장자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버퍼(Buffer)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잘라내기(오려두기)
  2. 붙이기(붙여넣기)
  3. 영역지정
  4. 복사하기
(정답률: 71%)
  • 버퍼(Buffer)는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 저장소이며, 주로 복사하기나 잘라내기 작업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영역지정은 버퍼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작업으로, 다른 작업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영역지정은 주로 선택한 영역에 대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표시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문서의 내용을 보조기억장치에 보관하는 기능
  2. 문서의 내용 중 특정부분을 수정, 삽입, 삭제하는 기능
  3. 문서의 내용을 화면상에 나타내주는 기능
  4. 문서의 내용을 컴퓨터 내부에 전달하는 기능
(정답률: 59%)
  • 표시기능은 문서의 내용을 화면상에 나타내주는 기능입니다. 즉,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여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문서작성 중에 입력한 내용을 지울 때 사용하는 키로 옳지 않은 것은?

  1. [Shift] 키
  2. [Back Space] 키
  3. [Delete] 키
  4. [Space Bar] 키
(정답률: 70%)
  • 옳지 않은 것은 [Space Bar] 키입니다. [Space Bar] 키는 공백을 입력하는 키이기 때문입니다. [Shift] 키는 대문자로 변환하는 키이며, [Back Space] 키는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한 글자씩 삭제하는 키입니다. [Delete] 키는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한 글자씩 삭제하는 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에서 다른 키와 조합하여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옳지 않은 것은?

  1. [Insert] 키
  2. [Alt] 키
  3. [Shift] 키
  4. [Ctrl] 키
(정답률: 75%)
  • 옳지 않은 것은 "[Insert] 키"이다.

    다른 키와 조합하여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들 중에서 "[Insert] 키"는 다른 키와 조합하여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일반적인 키이기 때문이다. "[Insert] 키"는 주로 편집기에서 사용되며, 현재 커서 위치에 문자를 덮어쓰거나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보기와 같이 글자의 모양을 변경시키려면 어떤 값을 조정해야 하는가?

  1. 자간
  2. 장평
  3. 글꼴
  4. 크기
(정답률: 77%)
  • 글자의 모양을 변경시키려면 "장평" 값을 조정해야 한다. "장평"은 글자의 가로폭을 의미하며, 값이 작을수록 글자가 좁아지고 값이 클수록 글자가 넓어진다. 따라서 "장평" 값을 조정하면 글자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자간"은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 "글꼴"은 글자의 디자인, "크기"는 글자의 크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trl] + V : 붙여넣기
  2. [Ctrl] + C : 복사하기
  3. [Ctrl] + X : 이동하기
  4. [Ctrl] + Z : 실행 취소
(정답률: 73%)
  • "[Ctrl] + X : 이동하기"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trl] + X는 선택한 항목을 잘라내기(cut)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동하기(move) 기능은 잘라낸 항목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자주 사용되는 어휘나 도형을 간단한 약어로 등록시켜 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하는 기능은?

  1. 클립보드
  2. 버퍼
  3. 상용구
  4. 매크로
(정답률: 74%)
  • 상용구는 자주 사용되는 어휘나 도형을 간단한 약어로 등록시켜 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클립보드는 복사한 내용을 저장하는 임시 저장소, 버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 매크로는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중에서 상용구는 자주 사용되는 단어나 구문을 간단하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성된 문서의 파손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파일을 따로 복사해 두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링크(Link)
  2. 백업(Backup)
  3. 옵션(Option)
  4. 압축
(정답률: 84%)
  • 백업은 원본 데이터의 손상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따로 보관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복구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의 파손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파일을 따로 복사해 두는 작업을 백업(Backup)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출력하는 기능은?

  1. 하드 카피(Hard Copy)
  2. 소프트 카피(Soft Copy)
  3. 레이아웃(Layout)
  4. 블록(Block)
(정답률: 56%)
  • 하드 카피는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출력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즉, 인쇄물로 출력된 실물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소프트 카피는 디지털 형태로 저장된 문서나 내용을 말하며, 인터넷,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 소프트 카피입니다. 레이아웃은 문서나 페이지의 디자인을 의미하며, 블록은 프로그래밍에서 코드의 일부분을 묶어서 관리하는 단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은?

  1. 스크롤(Scroll)
  2. 셋업(Setup)
  3. 메뉴(Menu)
  4. 디폴트(Default)
(정답률: 62%)
  • 디폴트(Default) 값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 사용자가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적용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스크롤(Scroll)", "셋업(Setup)", "메뉴(Menu)"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는 값이지만, "디폴트(Default)" 값은 이미 시스템에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각 페이지마다 문서의 위쪽에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머리말(Header)
  2. 꼬리말(Footer)
  3. 각주(Footnote)
  4. 미주(Endnote)
(정답률: 73%)
  • 머리말은 각 페이지마다 문서의 위쪽에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글로, 문서의 제목이나 작성자, 페이지 번호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머리말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실제적으로 내용의 변경을 가져오지 않는 교정기호는?

(정답률: 88%)
  • 정답은 ""이다. 이 교정기호는 문장의 구조나 의미를 변경하지 않고, 단지 문장 내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위의 교정기호는 "그는 항상 일찍 일어나서 일을 시작한다"라는 문장에서 "항상"이 강조되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문단의 줄을 바꾸는 기호는?

(정답률: 75%)
  • 문단의 줄을 바꾸는 기호는 엔터키(Enter key)이다. ""이 정답인 이유는 해당 이미지가 엔터키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98을 종료하려고 할 때 나타나는 [Windows 종료] 대화상자의 선택 항목이 아닌 것은?

  1. 시스템 종료(S)
  2. 시스템 다시 시작(R)
  3. 인터넷 사용을 위한 다시 시작(I)
  4. MS-DOS 모드에서 시스템 다시 시작(M)
(정답률: 55%)
  • 정답: 인터넷 사용을 위한 다시 시작(I)

    설명: Windows 98에서는 인터넷 연결을 위해 Dial-Up Networking이라는 기능을 사용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다시 시작해야 했는데, 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인터넷 사용을 위한 다시 시작(I)"이라는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이 항목을 선택하면 시스템이 다시 시작되면서 Dial-Up Networking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글 Windows 98에서 활성화된 폴더 창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제목 표시줄
  2. 메뉴 바
  3. 상태 표시줄
  4. 시계
(정답률: 74%)
  • 시계는 폴더 창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작업 표시줄에 위치한 시스템 트레이에 속하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폴더 창의 상단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글 Windows 98에서 활성화된 창의 화면을 캡쳐하여 클립보드에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윈도우의 바로 가기 키는?

  1. [Alt] + [Print Screen]
  2. [Alt] + [F10]
  3. [Ctrl] + [Esc]
  4. [Ctrl] + [Back Space]
(정답률: 55%)
  • "[Alt] + [Print Screen]"은 현재 활성화된 창의 화면만 캡쳐하여 클립보드에 저장하는 기능을 합니다.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Print Screen] 키를 누르면 현재 창의 화면만 캡쳐되며, [Ctrl] 키를 함께 누르면 전체 화면을 캡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에서 한글 Windows 98의 제목 표시줄에 있는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은 해당 윈도우의 작업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2. 은 해당 윈도우의 크기를 전체 화면으로 확대시키는 기능이다.
  3. 은 타이틀 바의 오른쪽 끝에 있으며, 해당 윈도우를 종료한다.
  4. 은 전체화면 표시 이전의 창의 크기로 회복한다.
(정답률: 79%)
  • "은 해당 윈도우의 크기를 전체 화면으로 확대시키는 기능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은 해당 윈도우의 작업을 저장하고 종료한다."는 해당 윈도우에서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윈도우를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은 해당 윈도우의 크기를 전체 화면으로 확대시키는 기능이다."는 윈도우를 전체화면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은 타이틀 바의 오른쪽 끝에 있으며, 해당 윈도우를 종료한다."는 해당 윈도우를 닫는 기능을 수행한다.

    "은 전체화면 표시 이전의 창의 크기로 회복한다."는 윈도우를 전체화면으로 보여주기 전의 크기로 돌아가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한글 Windows 98에서 [탐색기] 창의 [보기] 메뉴 중에 [자세히]를 선택하였을 때 [탐색기] 창에 제공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이름
  2. 종류
  3. 크기
  4. 작성자
(정답률: 73%)
  • 정답은 "작성자"입니다.

    이유는 Windows 98에서는 파일의 작성자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세히]를 선택하더라도 "작성자" 항목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른 항목들인 "이름", "종류", "크기"는 파일의 기본 정보이기 때문에 모든 파일에 대해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한글 Windows 98에서 [탐색기] 창의 왼쪽에 있는 폴더 목록 표시 창에 표시된 일부 폴더에 "+" 표시가 의미하는 것은?

  1. 현재 폴더의 상위폴더가 있음을 나타낸다.
  2. 폴더 내에 다수의 파일이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 폴더 내에 하위폴더가 있음을 나타낸다.
  4. 현재 폴더에 하위폴더를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51%)
  • "+" 표시는 해당 폴더 내에 하위폴더가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98에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제거하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해당 프로그램이 있는 폴더를 모두 삭제한다.
  2. 해당 프로그램이 있는 드라이브를 포맷한다.
  3. 해당 프로그램의 백업파일을 삭제한다.
  4. Uninstall을 하거나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하여 삭제한다.
(정답률: 69%)
  • Uninstall을 하거나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은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된 파일과 레지스트리 항목을 모두 삭제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해당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하지 못하고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한글 Windows 98의 [제어판]에 있는 [마우스] 프로그램으로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마우스 포인터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2. 두 번 클릭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3. 바탕 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 선택 시 나타나는 바로 가기 메뉴의 항목에 관한 편집이 가능하다.
  4. 왼손잡이를 위한 마우스 설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56%)
  • 정답은 "바탕 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 선택 시 나타나는 바로 가기 메뉴의 항목에 관한 편집이 가능하다."입니다. 이는 Windows 98의 [제어판]에 있는 [폴더 옵션]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입니다. [마우스] 프로그램에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속도 조절, 두 번 클릭의 속도 조절, 왼손잡이를 위한 마우스 설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Windows 98에서 활성화된 창 화면의 글꼴이나 해상도 등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항목은?

  1. 시스템
  2. 글꼴
  3. 내게 필요한 옵션
  4. 디스플레이
(정답률: 49%)
  • 정답은 "디스플레이"입니다. 이는 화면 해상도, 색상, 화면 보호기, 배경화면 등을 변경할 수 있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시스템"은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항목, "글꼴"은 글꼴 설정과 관련된 항목, "내게 필요한 옵션"은 사용자 지정 설정과 관련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한글 Windows 98의 [제어판]에 있는 [키보드]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키 재입력 시간 조절
  2. 고정키 설정
  3. 키 반복 속도 조절
  4. 커서 깜박임 속도 조절
(정답률: 50%)
  • "고정키 설정"은 한글 Windows 98의 [제어판]에 있는 [키보드]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키보드에서 특정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해당 키가 계속 눌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하는 기능으로, 한글 Windows 98에서는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98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파일의 등록정보 창에 나타나는 파일의 속성이 아닌 것은?

  1. 읽기 전용(R)
  2. 숨김(D)
  3. 기록(C)
  4. 사용자(U)
(정답률: 56%)
  • 정답: 사용자(U)

    설명: "사용자(U)"는 일반적인 파일의 등록정보 창에 나타나는 속성이 아닙니다. "읽기 전용(R)", "숨김(D)", "기록(C)"는 파일의 속성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속성이며, "사용자(U)"는 파일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속성입니다. 하지만 Windows 98에서는 파일의 소유자를 지정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U)" 속성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글 Windows 98의 [탐색기]에서 파일을 선택한 후에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눌러 다른 폴더에 끌어다 놓으면 어떤 명령이 수행되는가?

  1. 파일의 복사
  2. 파일의 이동
  3. 파일의 단축 아이콘 만들기
  4. 파일의 삭제
(정답률: 62%)
  • 정답: "파일의 복사"

    설명: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파일이 복사되어 다른 폴더에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이는 파일을 이동시키지 않고 복사하여 다른 위치에 두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글 Windows 98에서 휴지통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는?

  1. [Ctrl] + [Del]
  2. [Shift] + [Del]
  3. [Alt] + [Del]
  4. [Ctrl] + [Alt] + [Del]
(정답률: 63%)
  • "[Shift] + [Del]"은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는 단축키이며,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반면 "[Ctrl] + [Del]"은 선택한 파일을 휴지통으로 보내는 단축키입니다. "[Alt] + [Del]"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하는 단축키이며, "[Ctrl] + [Alt] + [Del]"은 작업 관리자를 열어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시스템 상태를 확인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한글 Windows 98의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의 정렬 방법이 아닌 것은?

  1. 모양(S)
  2. 크기(Z)
  3. 종류(T)
  4. 이름(N)
(정답률: 58%)
  • 정답은 "모양(S)"입니다. 이유는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을 모양(S)으로 정렬하는 기능은 Windows XP 이후 버전에서 추가되었기 때문입니다. Windows 98에서는 크기(Z), 종류(T), 이름(N)으로만 정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글 Windows 98에서 새로운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설치하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Automatic Play
  2. Plug & Play
  3. Auto & Play
  4. Auto & Plug
(정답률: 80%)
  • 정답은 "Plug & Play"이다.

    Plug & Play는 새로운 하드웨어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이 기능은 Windows 98 이후의 운영체제에서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98에서 사용 가능한 파일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확장자를 3문자로 제한한다.
  2. 파일 이름을 255Byte까지 사용할 수 있다.
  3. / ₩ < > * : ? 등의 문자는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없다.
  4. 여러 개의 “.?? 문자를 사용할 경우 맨 마지막 점 오른쪽의 단어를 확장자로 사용한다.
(정답률: 52%)
  • "파일의 확장자를 3문자로 제한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한글 Windows 98에서 파일 시스템이 FAT32를 사용하기 때문인데, FAT32는 파일 시스템의 제한으로 인해 파일 이름의 확장자를 3자로 제한하고 있다. 이는 파일 시스템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운영체제에서 정한 규칙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글 Windows 98의 시작 메뉴 중에서 [설정]의 하위 메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시스템(S)
  2. 제어판(C)
  3. 프린터(P)
  4.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T)
(정답률: 35%)
  • 정답은 "시스템(S)"입니다. 이는 Windows 98에서 "시스템"이라는 하위 메뉴가 없기 때문입니다. "제어판(C)"은 시스템 설정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도구이며, "프린터(P)"는 프린터 관련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T)"는 작업 표시줄과 시작 메뉴의 모양과 동작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글 Windows 98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작] 단추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눌렀을 때 나타나는 메뉴 항목이 아닌 것은?

  1. 열기(O)
  2. 실행(R)
  3. 탐색(E)
  4. 찾기(F)
(정답률: 48%)
  • 정답은 "찾기(F)"입니다.

    "실행(R)"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항목으로,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의 경로나 파일 이름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열기(O)"는 파일이나 폴더를 열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하고, "탐색(E)"은 파일 탐색기를 실행시키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 두 항목은 "실행(R)"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찾기(F)"가 정답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글 Windows 98의 [제어판]에 있는 [내게 필요한 옵션]의 등록정보 창에서 포함하고 있지 않은 탭(Tab) 항목은?

  1. 키보드
  2. 사운드
  3. 네트워크
  4. 마우스
(정답률: 59%)
  • 한글 Windows 98은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내게 필요한 옵션]의 등록정보 창에서는 네트워크 탭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98에서 사용하는 기본 프린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자는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 프린터만 사용이 가능하다.
  2. 동시에 여러 대의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있다.
  3. 두 대 이상의 프린터를 사용할 때는 자주 사용하는 프린터 한 대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한다.
  4. 기본 프린터만이 네트워크 프린터로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사용자는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 프린터만 사용이 가능하다."이다.

    두 대 이상의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없는 이유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할 때 어떤 프린터를 선택해야 할지 혼란스러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프린터 한 대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