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04)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2008-05-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서 용어 및 기능

1. 안내문과 같이 전체적인 내용은 동일하지만 수신자 이름이나 직업등과 같이 문서의 일부분만이 다른 여러 개의 문서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문서공유
  2. 복사하기(Copy), 붙이기(Paste)
  3. 바꾸기(Replace)
  4. 메일 머지(Mail Merge)
(정답률: 75%)
  • 메일 머지는 여러 개의 문서를 만들 때, 일부분만 다른 내용으로 채워야 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수신자 이름이나 직업 등이 다른 여러 개의 초대장을 만들어야 할 때, 메일 머지를 사용하면 일일이 문서를 작성하지 않고, 하나의 문서 템플릿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여러 개의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일괄적인 형식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일 머지가 가장 효율적인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버퍼(Buffer)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잘라내기(오려두기)
  2. 붙이기(붙여넣기)
  3. 영역지정
  4. 복사하기
(정답률: 74%)
  • 버퍼(Buffer)는 임시 저장 공간을 의미하며, 잘라내기, 붙이기, 복사하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영역지정은 버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영역지정은 작업을 수행할 범위를 지정하는 것으로, 버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키보드의 자판에 없는 문자는 어느 것인가?

  1. ÷
  2. %
  3. @
  4. &
(정답률: 96%)
  • 정답은 "÷"이다. 키보드의 자판에는 일반적으로 사칙연산 기호 중 덧셈(+), 뺄셈(-), 곱셈(×)만 있고, 나눗셈(÷)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편집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복사 및 삭제
  2. 영역 이동
  3. 문장 정렬
  4. 하드 카피(Hard Copy)
(정답률: 77%)
  • 하드 카피(Hard Copy)는 워드프로세서의 편집기능이 아닙니다. 하드 카피는 출력물을 의미하며,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종이나 기타 매체에 출력된 문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하드 카피(Hard Cop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기본적인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입력장치(Input Unit)
  2. 표시장치(Display Unit)
  3. 통신장치(Network Unit)
  4. 출력장치(Output Unit)
(정답률: 80%)
  • 워드프로세서는 텍스트를 입력하고 편집하며, 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장치, 출력장치, 표시장치는 워드프로세서의 기본적인 장치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통신장치는 다른 컴퓨터나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워드프로세서의 기본적인 장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문서작성 시 이미지나 그래픽을 삽입할 경우 기존에 만들어진 이미지나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파일로 제작된 이미지나 그래픽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클립아트(Clip Art)
  2.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3. 포매터(Formatter)
  4. 레이어(Layer)
(정답률: 88%)
  • 클립아트는 이미지나 그래픽의 미리 제작된 집합으로, 문서작성 시 쉽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작성된 문서의 파손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파일을 따로 보관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링크(Link)
  2. 백업(Backup)
  3. 옵션(Option)
  4. 머지(Merge)
(정답률: 83%)
  • 백업은 원본 데이터의 손상, 분실, 삭제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따로 보관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작성된 문서의 파손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파일을 따로 보관하는 작업은 백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보기의 문장에 사용된 정렬 방식은?

  1. 왼쪽정렬
  2. 양쪽 정렬
  3. 가운데 정렬
  4. 오른쪽 정렬
(정답률: 68%)
  • 이 문장에서는 양쪽 정렬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문장의 양쪽 끝에 공백을 채워서 문장 전체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문서작성 시 입력한 내용을 지울 때 사용하는 키가 아닌 것은?

  1. [Shift]
  2. [Back Space]
  3. [Delete]
  4. [Space Bar]
(정답률: 73%)
  • 정답: [Space Bar]

    이유: [Shift] 키는 대문자로 변환하거나 특수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며, [Back Space] 키는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한 글자씩 삭제할 때 사용되며, [Delete] 키는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한 글자씩 삭제할 때 사용된다. 하지만 [Space Bar]는 단어와 단어 사이를 띄울 때 사용되며, 입력한 내용을 삭제하는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보기에서 사용된 글자속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글꼴지정
  2. 장평
  3. 역상
  4. 밑줄
(정답률: 77%)
  • 보기에서 사용된 글자속성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밑줄"입니다.

    "역상"은 글자색과 배경색을 반전시키는 속성으로, 글자를 더욱 강조하고 눈에 띄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가장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fs(femto second
  2. ms(milli second)
  3. ns(nano second)
  4. ps(pico second)
(정답률: 59%)
  • 정답: fs(femto second)

    설명:
    - fs(femto second): 10^-15초, 1조분의 1초
    - ps(pico second): 10^-12초, 1조분의 1,000초
    - ns(nano second): 10^-9초, 1억분의 1초
    - ms(milli second): 10^-3초, 1/1000초

    따라서, fs는 다른 단위들보다 1000배 더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내므로 가장 빠른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화면을 위, 아래나 오른쪽, 왼쪽으로 이동시켜 보이지 않는 문서의 내용을 보이게 하는 기능을 가진 것은?

  1. 상황표시줄(Status Line)
  2. 이동막대(Scroll Bar)
  3. 메뉴표시줄(Menu Bar)
  4. 눈금자(Ruler)
(정답률: 78%)
  • 이동막대(Scroll Bar)는 화면을 위, 아래나 오른쪽, 왼쪽으로 이동시켜 보이지 않는 문서의 내용을 보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동막대는 문서의 크기와 현재 보이는 화면의 크기를 비교하여 문서의 일부분만 보이는 경우에도 이동하여 전체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조판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머리말
  2. 꼬리말
  3. 각주
  4. 치환
(정답률: 80%)
  • "치환"은 조판기능이 아니라 편집기능에 해당한다. 치환은 특정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대체하는 작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Hello World"라는 문자열에서 "World"를 "Python"으로 바꾸는 작업은 치환 작업이다. 조판기능은 문서를 레이아웃에 맞게 배치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말한다. 머리말, 꼬리말, 각주는 문서의 레이아웃을 꾸미는 조판기능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문서의 특정 문자나 단어를 찾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상메모리
  2. 각주
  3. 라인피드
  4. 검색
(정답률: 88%)
  • 문서에서 특정 문자나 단어를 찾는 기능을 검색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문서 내용을 빠르게 찾아내기 위한 기능으로, 대부분의 텍스트 편집기나 문서 프로그램에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강제 개행(Carriage Return)과 관련이 있는 키는?

  1. [End]
  2. [Back Space]
  3. [Enter]
  4. [Caps Lock]
(정답률: 78%)
  • 정답: [Enter]

    이유: 강제 개행(Carriage Return)은 줄 바꿈을 의미하는 것으로, [Enter] 키를 누르면 커서가 다음 줄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줄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Enter] 키는 강제 개행과 관련이 있다. [End] 키는 문서나 페이지의 끝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하며, [Back Space] 키는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이전에 입력한 문자를 삭제하는 기능을 한다. [Caps Lock] 키는 대소문자를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2. 하드디스크(Hard Disk)
  3. 레지스터(Register)
  4. 자기테이프(Magnetic Tape)
(정답률: 60%)
  • 레지스터(Register)는 주기억장치에 속하는 기억장치로, CPU 내부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문서에 포함되는 그림이나 표에 붙여지는 제목을 의미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캡션(Caption)
  2. 두문(Header)
  3. 미문(Footer)
  4. 마진(Margin)
(정답률: 76%)
  • 캡션은 문서에 포함되는 그림이나 표에 붙여지는 제목을 의미합니다. 즉, 해당 그림이나 표를 설명하는 간단한 제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문서작성 시에 글자가 한 행에 꽉차서 오른쪽 끝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다음 줄의 처음 위치로 옮겨가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영문균등(Justification)
  2. 레그드(Ragged)
  3. 폼 피드(Form Feed)
  4. 자동 개행(Software Return)
(정답률: 80%)
  • 정답: 자동 개행(Software Return)

    자동 개행은 글자가 한 행에 꽉차서 오른쪽 끝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다음 줄의 처음 위치로 옮겨가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Software Return"이라고도 불립니다. 영문균등은 텍스트를 왼쪽과 오른쪽 끝이 맞게 정렬하는 것을 말하며, 레그드는 텍스트를 왼쪽은 맞추고 오른쪽은 자유롭게 정렬하는 것을 말합니다. 폼 피드는 프린터에서 페이지를 나누는 기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에서 교정부호를 사용한 결과가 옳은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교정부호를 사용하여 오류를 수정한 결과가 옳은 문장이기 때문입니다. 교정부호는 오류가 있는 부분을 표시하고, 그 옆에 수정된 내용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교정부호를 사용한 결과가 옳은 문장이 되도록 수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문서편집 시 필요 없는 부분을 삭제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교정부호는?

(정답률: 90%)
  • 교정부호 중 삭제선을 나타내는 교정부호는 ""이다.

    ""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삭제선이 그어져 있어서 필요 없는 부분을 삭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탐색기] 창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제목표시줄
  2. 메뉴 바
  3. 상태표시줄
  4. 시계
(정답률: 72%)
  • 시계는 Windows 탐색기 창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작업 표시줄에 위치한 시스템 트레이에 속하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글 Windows XP에서 클립보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립보드는 이동이나 복사를 원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는 임시 저장 공간이다.
  2. 클립보드는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 간에 데이터를 쉽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3.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은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지만, 가장 최근에 저장된 것 하나만 기억한다.
  4. 시스템을 재시작해도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5%)
  • "시스템을 재시작해도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클립보드가 임시 저장 공간이기 때문에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도 함께 삭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 설치된 프린터의 [속성]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기본 프린터 설정
  2. 시간 제한 설정
  3. 용지 설정
  4. 스풀 기능의 사용 및 해제
(정답률: 38%)
  • "기본 프린터 설정"은 해당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는 것으로, 다른 설정들은 모두 해당 프린터의 기능과 관련된 설정이므로 모두 설정할 수 있지만, 기본 프린터 설정은 다른 프린터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당 프린터의 속성 창에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프린터의 속성 창에서는 설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한글 Windows XP의 [시스템 등록정보] 창에 있는 [하드웨어]탭에서 특정 하드웨어의 드라이버를 확인하거나 변경하려고 할 경우에 선택하는 항목은?

  1. [드라이버 서명]
  2. [장치 관리자]
  3. [하드웨어 프로필]
  4. [Windows Update]
(정답률: 65%)
  • [장치 관리자]를 선택해야 한다. 이는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드라이버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Windows XP의 기본적인 도구이다. 다른 항목들은 드라이버 서명을 확인하거나 업데이트를 받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하드웨어의 드라이버를 직접 변경할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한글 Windows XP에서 [탐색기]를 이용하여 할 수 없는 작업은?

  1.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
  2.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3. 사용자 전환을 할 수 있다.
  4. 폴더를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65%)
  • 한글 Windows XP에서 [탐색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환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사용자 계정 관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작업들은 모두 [탐색기]에서 가능한 기능들이며, 파일 복사,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 폴더 삭제 등은 [탐색기]에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abc.c
  2. ad*.zip
  3. adcdefghijklmn.d
  4. 폴더
(정답률: 72%)
  • 정답은 "ad*.zip"입니다.

    이유는 Windows에서는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없는 문자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 (별표)입니다. *는 와일드카드 문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ad*.zip"는 파일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글 Windows XP에서 [탐색기]창의 도구 단추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바로 가기 키는?

  1. [Back Space]
  2. [F5]
  3. [Esc]
  4. [Alt]
(정답률: 68%)
  • [Back Space] 키는 탐색기 창에서 이전 폴더로 이동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탐색기 창에서 현재 위치한 폴더에서 이전 폴더로 이동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입니다. 따라서 도구 단추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화면 해상도의 설정
  2. 화면 보호기의 선택
  3. 윈도 부팅시 초기 로고 화면의 선택
  4. 화면 배색의 설정
(정답률: 69%)
  • 윈도 부팅시 초기 로고 화면의 선택은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초기 로고 화면이 운영체제가 로드되기 전에 표시되는데, 이는 시스템 BIOS에서 설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Windows XP의 폴더 창에서 [보기] 메뉴의 아이콘 표시 형식이 아닌 것은?

  1. 큰 아이콘
  2. 작은 아이콘
  3. 자세히
  4. 간단히
(정답률: 60%)
  • 한글 Windows XP의 폴더 창에서 [보기] 메뉴의 아이콘 표시 형식 중 "작은 아이콘"은 다른 세 가지 옵션과 달리 아이콘 크기가 작은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큰 아이콘"은 아이콘 크기가 큰 형태로, "자세히"는 파일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형태로, "간단히"는 파일명과 아이콘만 표시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에서 [보기]-[자세히] 메뉴를 선택했을 때 오른쪽 작업 창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 크기
  2. 파일 종류
  3. 수정한 날짜
  4. 파일 내용
(정답률: 62%)
  • 정답: "파일 내용"

    설명: "파일 내용"은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는 항목이 아니라,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편집기를 실행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오른쪽 작업 창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다른 항목들은 파일의 크기, 종류, 수정한 날짜 등 파일의 속성을 보여주는 항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대화 상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은?

  1.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2. 응용 프로그램 파일의 백업
  3. 설치 프로그램의 이동 및 복사
  4. 시동 디스크의 작성
(정답률: 47%)
  • 정답: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설명: [프로그램 추가/제거] 대화 상자는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이 대화 상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중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 작업은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대화 상자에서 수행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폴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폴더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2. 폴더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어야 한다.
  3. 폴더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4. 하나의 폴더는 다른 드라이브나 폴더로 이동, 복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69%)
  • 정답은 "폴더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어야 한다." 이다. 폴더는 파일 탐색기에서 새 폴더를 만들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새 폴더를 만들 수 있다.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글 Windows XP에서 웹 페이지를 바탕화면에 표시하려고 할 경우에 Active Desktip 파일로 사용할 그림 또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XT
  2. BMP
  3. HTML
  4. GIF
(정답률: 64%)
  • 정답은 "TXT"입니다. Active Desktop은 웹 페이지를 바탕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기능으로, 그림이나 문서 파일을 확장자명이 "BMP", "HTML", "GIF"인 파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XT"는 텍스트 파일의 확장자명으로, 그림이나 문서 파일이 아니므로 Active Desktop 파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한글 Window XP에서 실행형 파일(.exe)의 등록정보 창에 표시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파일 형식
  2. 위치
  3. 연결 프로그램
  4. 크기
(정답률: 62%)
  • 정답인 "연결 프로그램"은 실행형 파일(.exe)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들이지만, 연결 프로그램은 파일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글 Windows XP에서 바탕화면 위에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는?

  1. [Alt]+[Tab]
  2. [Alt]+[Shift]
  3. [Shift]+[Space]
  4. [Ctrl]+[Esc]
(정답률: 64%)
  • "[Alt]+[Tab]"은 Windows XP에서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입니다. 이는 현재 활성화된 창을 순서대로 전환하며,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Tab] 키를 반복해서 누르면 창이 전환됩니다. 이는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로 창을 클릭하는 것보다 더 빠르고 편리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탐색기] 창의 왼쪽에 있는 탐색창의 일부 폴더에 표시된 표시가 의미하는 것은?

  1. 해당 폴더의 상위 폴더가 있음을 의미한다.
  2. 해당 폴더 내에 다수의 파일이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해당 폴더 내에 하위 폴더가 있음을 의미한다.
  4. 해당 폴더에 하부 폴더를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56%)
  • 탐색창의 폴더에 표시된 화살표는 해당 폴더 내에 하위 폴더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폴더가 다른 폴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클릭하면 하위 폴더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검색할 수 없는 것은?

  1. 사용자 계정
  2. 음악 파일
  3. 폴더
  4. 문서 파일
(정답률: 75%)
  • "사용자 계정"은 검색 결과 창에서 검색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 계정이 시스템 파일에 속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설치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utomatic Play
  2. Plug & Play
  3. Auto & Play
  4. Auto & Plug
(정답률: 85%)
  • 정답은 "Plug & Play"이다.

    Plug & Play는 새로운 하드웨어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필요 없이 새로운 하드웨어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Plug & Play는 사용자 친화적이며 편리한 기능으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해당 프린터의 설치 과정에서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 로컬 프린터
  2. 네트워크 프린터
  3. 가상 프린터
  4. 서버 프린터
(정답률: 79%)
  •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프린터의 드라이버를 설치할 때 "네트워크 프린터"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로컬에 직접 연결된 프린터가 아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다른 옵션들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글 Windows XP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활성화된 창을 닫으려 할 때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는?

  1. [Alt]+[F1]
  2. [Ctrl]+[F1]
  3. [Ctrl]+[F4]
  4. [Alt]+[F4]
(정답률: 81%)
  • 바탕화면에 있는 활성화된 창을 닫으려면 해당 창을 먼저 클릭한 후에 "[Alt]+[F4]"를 누르면 된다. 이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모든 창을 닫는 기본적인 단축키이다. "[Alt]+[F1]"은 현재 창을 최소화하는 단축키이고, "[Ctrl]+[F1]"은 현재 창을 숨기는 단축키이다. "[Ctrl]+[F4]"는 현재 창을 닫는 단축키이지만, 바탕화면에 있는 창을 닫을 때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