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09)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계획
(2011-04-09 기출문제)

목록

1. 병원 건축의 형식 중 분관식(pavilion type)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행거리는 길어지나 설비비는 감소한다.
  2. 상대적으로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3. 외래진료부, 중앙진료실, 병동부 등을 각각 별동으로 하여 분산시키고 복도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4. 각 동들은 저층 건물 위주로 계획한다.
(정답률: 95%)
  • "보행거리는 길어지나 설비비는 감소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분관식 계획은 건물을 각각 별도의 독립된 건물(별동)로 분리하여 설계하는 방식으로, 각 건물을 복도로 연결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건물의 규모가 커질수록 복도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보행거리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각 건물이 독립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설비비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환기방식과 그에 적절한 실의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도체공장의 클린룸-2종 환기방식:외부의 오염된 먼지 유입을 줄일 수 있다.
  2. 화장실-1종 환기방식:급기와 배기량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악취를 빨리 배출할 수 있다.
  3. 자동차 공장의 도장공장-3종 환기방식:실내를 항상 정압으로 유지한다.
  4. 주방-1종 환기방식:급기와 배기를 충분히 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2%)
  • 정답은 "반도체공장의 클린룸-2종 환기방식:외부의 오염된 먼지 유입을 줄일 수 있다."입니다.

    반도체공장의 클린룸은 매우 깨끗한 환경이 필요한 공간으로, 외부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린룸에서는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2종 환기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실내로 유입하는 방식으로 외부의 오염된 먼지 유입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대별 건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집트건축은 석기시대의 목조건축에서 비롯되었으며 석조건축이 기본이 된다.
  2. 로마시대에서는 벽돌과 돌을 사용한 아치구조와 볼트구조가 발전하였으나 콘크리트는 사용되지 않았다.
  3. 고딕양식에서는 플라잉 버트레스, 첨두아치, 리브볼트 등을 사용하여 높이를 높이고 횡력에 대한 보강을 하였다.
  4. 르네상스 건축의 돔 구조법은 비잔틴양식에서 이어진 것이며, 돔 하부의 드럼을 높게 하여 이 부분에 창을 두어 채광효과를 주었다.
(정답률: 84%)
  • 로마시대에서는 벽돌과 돌을 사용한 아치구조와 볼트구조가 발전하였으나 콘크리트는 사용되지 않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로마시대에서는 콘크리트를 널리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 기술의 발전이 로마 건축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봉수의 파괴원인과 그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세관 현상:정기적으로 이물질 제거
  2. 자기사이펀 작용:트랩의 유출부분 단면적이 유입부분 단면적보다 큰 것을 사용
  3. 역사이펀 작용:수직관의 낮은 부분에 통기관을 설치
  4. 유도사이펀 작용:수직관 하부에 통기관을 설치하고 수직배수 관경을 충분히 크게 선정
(정답률: 48%)
  • 정답인 "유도사이펀 작용:수직관 하부에 통기관을 설치하고 수직배수 관경을 충분히 크게 선정"은 옳은 대책입니다. 이유는 봉수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는 수직관에서 유속이 빨라지면서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여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직관 하부에 통기관을 설치하고 수직배수 관경을 충분히 크게 선정하여 유속을 조절하고 압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봉수 예방을 위한 대책이지만, 그 중에서도 유도사이펀 작용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등 및 중학교 건축계획에서 학생들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블록플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등학교에서 저학년교실군은 출입구 근처의 1층이나 저층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저학년과 고학년 교실군은 근접배치하거나 동일한 층에 배치한다.
  3. 특별교실군은 교과내용에 대한 융통성과 학생 이동에 따른 소음방지에 유의한다.
  4. 블록플랜은 학년단위로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며, 일반교실과 특별교실은 분리시킨다.
(정답률: 100%)
  • "블록플랜은 학년단위로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며, 일반교실과 특별교실은 분리시킨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저학년교실군은 출입구 근처의 1층이나 저층에 두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학생들이 쉽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으며, 비상시 대피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학년 학생들은 이동이 많고 활동적이기 때문에 교실과 교실 사이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학년과 고학년 교실군은 근접배치하거나 동일한 층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극장의 무대부분 용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이클로라마(cyclorama)는 무대의 뒷 배경을 비추는 조명장치를 말한다.
  2. 그리드아이언(gridiron)은 무대의 천장밑에 배열된 철골로서 배경, 조명, 반사판 등이 매달릴 수 있게 장치된다.
  3. 플라이로프트(fly loft)는 무대의 상부 공간으로, 이상적인 높이는 프로세니엄 높이의 4배 이상이다.
  4. 프로세니엄 아치(proscenium arch)는 무대와 관람석 사이의 개구부이자 무대와 무대배경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관객의 시선으로부터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80%)
  • 정답: "사이클로라마(cyclorama)는 무대의 뒷 배경을 비추는 조명장치를 말한다." 이유: 사이클로라마는 조명장치가 아니라, 무대 뒷 배경에 있는 큰 벽면으로, 조명이 비추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립주택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는 대지의 경사도가 30°가 되면 윗집과 아랫집이 절반정도 겹치게 되어 평지보다 2배의 밀도로 건축이 가능하다.
  2. 파티오 하우스 (patio house)는 1가구의 단층형 주택으로, 주거공간이 마당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에워싸고 있다.
  3.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는 상향식이든 하향식이든 경사지에서는 스플릿 레벨(split level) 구성이 가능하다.
  4. 타운 하우스(town house)는 인접주호와의 경계벽 설치를 연장하고 있으며, 대개 4~5층 이상으로 건립한다.
(정답률: 78%)
  • "타운 하우스(town house)는 인접주호와의 경계벽 설치를 연장하고 있으며, 대개 4~5층 이상으로 건립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영역성(territori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물건 또는 장소를 개인화, 상징화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사람을 구분하는 심리적 경계를 말한다.
  2. 영역성의 개념은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다.
  3. 영역성이란 익명성과 유사한 의미이며 인간행동을 결정 짓는다.
  4. 방어적 공간은 영역성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각종 범죄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정답률: 85%)
  • "영역성이란 익명성과 유사한 의미이며 인간행동을 결정 짓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영역성은 개인화, 상징화를 통해 자신과 다른 사람을 구분하는 심리적 경계를 말하며,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영역성은 인간행동을 결정 짓는 요인 중 하나이지만, 익명성과 유사한 의미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무소건축에 있어서 코어(core)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무소의 유효면적률(rentable ratio)을 높이기 위해 각층의 서비스부분을 사무공간에서 분리하여 집중시킨 부분이다.
  2. 코어부분의 규모는 가능한 크게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도록 한다.
  3. 샤프트나 공조실은 계단, 엘리베이터 및 설비실(utility closet)들 사이에 갇혀있지 않도록 한다.
  4. 계단, 엘리베이터, 화장실 등은 근접배치하고 피난용 특별계단은 법적거리 한도 내에서 가능한 멀리 이격시킨다.
(정답률: 67%)
  • "코어부분의 규모는 가능한 크게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무소건축에서 코어(core)계획은 사무공간에서 서비스부분을 분리하여 집중시키는 것으로, 유효면적률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코어부분의 규모는 가능한 작게하여 유효면적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페리(C. Perry)가 1929년에 정립한 근린주구단위 개념에 따른 근린주구의 계획원리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를 가져야 하고, 그 물리적 크기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2. ‘근린점포’의 경우, 주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1~2개소 이상의 상업지구가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3. 단지경계와 일치한 서비스구역을 갖는 학교 및 ‘공공건축용지’는 중심 위치에 적절히 통합한다.
  4. ‘경계’의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구획한다.
(정답률: 94%)
  • 정답: "‘근린점포’의 경우, 주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1~2개소 이상의 상업지구가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해설: 페리의 근린주구단위 개념에서는 인구밀도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며, 학교와 공공건축용지는 중심 위치에 통합되어야 한다. 또한 경계의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구획된다. 하지만 근린점포의 경우, 1~2개소 이상의 상업지구가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은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반적인 온수온돌 복사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실내의 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다.
  2.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동일 방열량에 대해 손실열량이 크다.
  3. 구조체를 덥히게 되므로 예열시간이 길어져 일시적으로 쓰는 방에는 부적당하다.
  4. 하자 발견 및 보수가 어렵다.
(정답률: 83%)
  •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동일 방열량에 대해 손실열량이 크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온수온돌 방식에서 전체적인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같은 양의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열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열의 손실이 더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호텔의 설비계획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체에 적합한 온도는 15~20°C, 습도는 40~60%이다.
  2. 실내온도 설정은 객실은 20°C, 주방은 15°C, 연회장은 21°C 전후로 유지하도록 한다.
  3. 객실이나 퍼블릭 스페이스는 온수난방이 좋다.
  4. 대형호텔의 급수방식은 압력수조방식보다 고가수조방식이 유리하다.
(정답률: 58%)
  • "객실이나 퍼블릭 스페이스는 온수난방이 좋다."는 옳은 내용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인체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는 건강과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객실이나 퍼블릭 스페이스에서는 온수난방이 좋은 이유는 이러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수난방은 건강에도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호텔의 설비계획에서는 온수난방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위생 및 소화, 가스설비에서 배관 색채기호와 대상의 조합이 옳지 않은 것은?

  1. 물(W) :청색
  2. 가스(G) :진한 회색
  3. 기름(O) :진한 황적색
  4. 증기(S) :진한 적색
(정답률: 69%)
  • 가스(G)는 보통 파란색을 사용하지만, 진한 회색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색상 표준화 기구에서 정한 색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G)와 진한 회색은 올바른 조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서양의 근대건축 운동은?

  1. 아르누보(Art Nouveau)
  2. 데 스틸(De Stijl)
  3. 세제션(Sezession)
  4. 입체파(Cubism)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전통목조건축 중 건립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은?

  1. 고산사 대웅전
  2. 수덕사 대웅전
  3. 부석사 무량수전
  4. 봉정사 극락전
(정답률: 83%)
  • 봉정사 극락전은 1376년에 건립되어, 다른 보기들보다 가장 오래된 건축물입니다. 이는 고려 후기 시기에 건립된 목조건축물로, 조선 초기에도 보존되어 왔습니다. 극락전은 높은 지붕과 세련된 장식으로 유명하며, 불교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축설계를 위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래밍은 관련 정보의 분석이 종료된 후, 구체적인 건축 형태를 만드는 단계이다.
  2. 프로그래밍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으로는 일반적으로 건축주, 프로그래머, 건축가 등이 포함된다.
  3. 현대에 와서 대규모 복합적 건물의 건립이 늘어나면서 직업적인 전문프로그래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4. 현대에 와서 디지털미디어와 컴퓨터의 활용은 프로그래밍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정답률: 85%)
  • 정답: "프로그래밍은 관련 정보의 분석이 종료된 후, 구체적인 건축 형태를 만드는 단계이다."

    설명: 프로그래밍은 건축설계의 일부로, 건축설계의 초기 단계 중 하나이며, 관련 정보의 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기능, 구조, 디자인 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밍은 관련 정보의 분석이 종료된 후, 구체적인 건축 형태를 만드는 단계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건축가와 작품, 그리고 건축가의 특성에 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르 꼬르뷔제(Le Corbusier)-롱샹의 노트르담 듀오 성당-콘크리트의 가소성을 표현한 벽과 지붕의 건축
  2. 에리히 멘델존(Erich Mendelsohn)-아인슈타인 타워-부정형의 표현주의적 건축
  3. 루이스 칸(Louis I. Kahn)-비트라 디자인 박물관-해체주의적 조형성을 도입한 건축
  4.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시그램 빌딩-절제된 단순미를 보여주는 국제주의 양식의 건축
(정답률: 45%)
  • "루이스 칸(Louis I. Kahn)-비트라 디자인 박물관-해체주의적 조형성을 도입한 건축"은 옳은 연결이 아닙니다. 루이스 칸은 해체주의적 조형성을 도입한 것이 아니라, 그의 작품은 오히려 기하학적인 형태와 질서를 강조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미술관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라이트의 구겐하임미술관은 전시실 순회형식에서 볼 때 중앙홀 형식의 변형이다.
  2.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각 실에 직접 출입이 유리하며, 필요 시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3. 디오라마(diorama)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전경으로 펼쳐지도록 연출하는 특수전시기법이다.
  4. 천연광(자연채광)은 색온도가 높고 자외선 포함률이 높다.
(정답률: 80%)
  • "디오라마(diorama)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전경으로 펼쳐지도록 연출하는 특수전시기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디오라마(diorama)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전경으로 펼쳐지도록 연출하는 것이 맞지만, 이는 특수전시기법이 아니라 일반적인 전시기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노상주차장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간선도로에는 설치가 불가하나, 분리대나 그 밖에 도로의 부분으로서 도로교통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는 부분은 예외로 한다.
  2. 주차대수 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1면 이상 설치해야 한다.
  3. 너비 8m 미만의 도로에 설치해서는 안된다.
  4. 종단경사도가 6%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도로에는 설치가능하다.
(정답률: 54%)
  • "너비 8m 미만의 도로에 설치해서는 안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설치가 불가능한 조건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음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장 뒤에 숨어 있어도 음이 들리는 것은 음이 담장을 돌아나오기 때문이고, 이를 회절현상이라 하며 주파수가 높은 음일수록 회절현상을 일으키기 쉽다.
  2. 사람이 음을 지각할 수 있는 것은 음의 크기, 높이, 음색의 미묘한 조합의 차이를 판단하기 때문이고, 이 3가지 조건을 음의 3요소라 한다.
  3. 진동수가 같다면 음의 크기는 진폭이 클수록 큰 음으로 지각된다.
  4. 이상적인 선음원일 경우는 거리가 2배가 되면 음의 세기는 1/2배가 되고, 음압레벨은 3 dB 감소한다.
(정답률: 69%)
  • 음악에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절현상이 일어나기 쉽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짧은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회절현상이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주파수가 낮을수록 회절현상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