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19)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계획
(2014-04-19 기출문제)

목록

1. 사무소의 코어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어는 계단, 엘리베이터 등의 사람 및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직 교통시설과 파이프샤프트, 덕트 등 건물 내의 설비시설을 집중 배치시킨 곳을 말한다.
  2. 코어는 파이프샤프트, 엘리베이터 등을 내력벽으로 집중 설치하여 지진이나 풍압 등에 대비한 내력 구조체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엘리베이터는 가급적 많은 수를 직선 배치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4. 코어 내 공간과 임대사무실 사이의 동선은 가급적 간단하고 명료하게 하는 것이 이용자의 편의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정답률: 93%)
  • "엘리베이터는 가급적 많은 수를 직선 배치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엘리베이터가 직선으로 배치되면 사용자가 이동하는 시간이 줄어들어 더욱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서관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정 규모의 개실을 개인연구용으로 시간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개인열람실을 캐럴(carrel)이라 한다.
  2. 서고의 크기는 세계 각국 공통으로 150 ~250권/m2이며 평균 200권/m2로 한다.
  3. 출납시스템 중 안전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자료를 찾고 서가에서 책을 꺼내고 넣을 수 있으며, 관원의 허가와 대출 기록 없이 자유롭게 열람하는 방식이다.
  4. 서고의 적층식 구조는 특수구조를 사용하여 도서관 한쪽을 하층에서 상층까지 서고로 계획하는 유형이다.
(정답률: 87%)
  • 서고의 크기는 세계 각국 공통으로 150 ~250권/m2이며 평균 200권/m2로 한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출납시스템 중 안전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자료를 찾고 서가에서 책을 꺼내고 넣을 수 있으며, 관원의 허가와 대출 기록 없이 자유롭게 열람하는 방식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의 요소가 아닌 것은?

  1. 수증기분압
  2. 엔탈피
  3. 절대습도
  4. 유효온도
(정답률: 54%)
  • 습공기선도에서 유효온도는 존재하지 않는 요소입니다. 유효온도는 공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고려하여 인체가 느끼는 체감온도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습공기선도에서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차장법 시행규칙 상 노외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차구획선의 긴 변과 짧은 변 중 한 변 이상이 차로에 접하여야한다.
  2. 주차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에는 출구와 입구를 분리하거나 너비 5.5m 이상의 출입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노외주차장의 출구와 입구에서 자동차의 회전을 쉽게 하기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차로와 도로가 접하는 부분을 곡선형으로 하여야 한다.
  4.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 높이는 주차바닥면 으로부터 2.0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82%)
  •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 높이는 주차바닥면 으로부터 2.0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은 노외주차장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 높이는 규정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건축의 형태 구성 원리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

  1. 축(Axis)
  2. 위계(Hierarchy)
  3. 기준(Base)
  4. 비례(Proportion)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심포식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예산 수덕사 대웅전
  2. 창녕 관룡사 약사전
  3.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4. 경산 환성사 대웅전
(정답률: 44%)
  • 주심포식 건축물은 대표적으로 불교 사찰의 대웅전이 있습니다. 따라서 "경산 환성사 대웅전"이 아닌 나머지 보기는 모두 주심포식 건축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축가에 대한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웹(Philip S. Webb)-Red House-Arts and Crafts Movement
  2. 번햄(Daniel H. Burnham)-Home Insurance Building-Chicago School
  3. 베렌스(Peter Behrens)-A. E. G. Turbine Factory-Deutscher Werkbund
  4. 산텔리아(Antonio Sant'Elia)-Citta Nuova-Futurism
(정답률: 49%)
  • 번햄(Daniel H. Burnham)은 시카고 학파(Chicago School)의 대표적인 건축가 중 한 명이지만, 홈 인슈어런스 빌딩(Home Insurance Building)은 유리와 철강을 사용한 첫 번째 고층 건물로서, 모던 건축의 선구자들과는 다른 시대적 배경과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번햄과 홈 인슈어런스 빌딩은 모던 건축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목성(誘目性)은 사람의 시선을 끄는 성질을 말한다.
  2. 시인성(視認性)은 배경색과 무관한 색 자체의 특징을 말한다.
  3. 면적효과는 색칠한 면적이 커질수록 채도가 높게 보이는 것이다.
  4. 동시대비란 시야에 2색 이상이 동시에 들어왔을 때 일어나는 대비현상이다.
(정답률: 78%)
  • 시인성은 배경색과 무관한 색 자체의 특징을 말하는 것이 맞으므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프라이버시의 네 가지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독거(Solitude)는 단절의 개념이 가장 강한 형태로 다른 사람들과의 시각적 접촉이나 관찰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고 혼자인 상태이다.
  2. 익명(Anonymity)은 소집단(가족, 친구 등) 별로 외부세계로 부터 분리되는 자유로운 상태이다.
  3. 유보(Reserve)는 공적인 장소(공원, 거리 등)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주위를 의식하지 않고 혼자라는 느낌을 갖는 상태이다.
  4. 친밀(Intimacy)은 원하지 않는 접촉을 심리적으로 무시해버리는 형태로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함께 있으면서도 다른 생각에 혼자 빠져드는 상태이다.
(정답률: 72%)
  • 정답은 "독거(Solitude)는 단절의 개념이 가장 강한 형태로 다른 사람들과의 시각적 접촉이나 관찰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고 혼자인 상태이다." 이다. 이유는 독거는 다른 사람들과의 시각적 접촉이나 관찰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고 혼자인 상태이기 때문이다. 다른 유형들은 소집단에서 분리되는 자유로운 상태(익명),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주위를 의식하지 않고 혼자라는 느낌을 갖는 상태(유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서도 다른 생각에 혼자 빠져드는 상태(친밀)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일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보일러 마력은 1시간에 100 °C의 물 15.65 kg을 전부 증기로 증발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2. 주철제 보일러는 반입이 용이하지 않지만, 내식성이 강하여 수명이 길다.
  3. 수관보일러는 예열시간이 짧고 효율이 좋아서 병원이나 호텔 등의 대형건물 또는 지역난방에 사용된다.
  4. 보일러의 설치 위치는 보일러 동체 최상부로부터 천장, 배관또는 구조물까지 1.2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주철제 보일러는 반입이 용이하지 않지만, 내식성이 강하여 수명이 길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주철제 보일러는 내식성이 강하지 않고, 부식에 취약하다. 따라서 주기적인 청소와 윤활이 필요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부식방지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백화점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승강설비의 보조용이며, 동시에 피난계단의 역할을 한다.
  2. 부지의 형태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이 이상적이다.
  3. 고객의 편리를 위하여 엘리베이터를 주 출입구에 가깝게 설치한다.
  4. 판매장의 직각배치는 매장면적을 최대한 이용하는 배치방법이다.
(정답률: 92%)
  • 고객의 편리를 위하여 엘리베이터를 주 출입구에 가깝게 설치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백화점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지만, 이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부지의 형태나 건물 구조 등에 따라 엘리베이터 위치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위치는 가능한한 고객의 편의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지만, 이것이 항상 주 출입구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독주택의 평면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을 서로 분리하여 간섭이 없게 한다.
  2. 거주면적은 통상 주택 연면적의 약 80% 정도이다.
  3. 노인 침실은 가족들에게 소외감을 받지 않도록 주택의 중앙에 둔다.
  4. 부엌은 음식이 상하기 쉬우므로 남향을 피해야 한다.
(정답률: 79%)
  •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을 서로 분리하여 간섭이 없게 한다."는 주택 내부에서 사람들이 이동하는 경로를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개인적인 공간과 공용 공간, 그리고 가사노동 공간을 분리하여 효율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적인 공간인 침실과 공용 공간인 거실, 그리고 가사노동 공간인 부엌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여 각각의 공간에서 필요한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7원칙이 아닌 것은?

  1. 사용상의 융통성(Flexibility in Use)
  2. 혼합적이며 주관적 이용(Mixed and Subjective Use)
  3. 오류에 대한 포용력(Tolerance for Error)
  4.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정답률: 77%)
  • 혼합적이며 주관적 이용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7원칙이 아닙니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품이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휠체어 이용자가 계단 대신 슬로프를 이용하여 건물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혼합적이며 주관적 이용은 사용자들이 제품이나 공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칙 중 하나가 아니며, 오히려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태도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연장 평면형식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

  1. 아레나(Arena)형
  2. 프로시니엄(Proscenium)형
  3. 오픈스테이지(Open Stage)형
  4. 가변형무대(Adaptable Stage)형
(정답률: 9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대별 건축 특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리스시대 건축-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 오더-파르테논 신전
  2. 로마시대 건축-아치, 볼트-아고라
  3. 비잔틴시대 건축-펜던티브 돔-하기야 소피아 성당
  4. 고딕시대 건축-첨두아치, 플라잉버트레스, 리브볼트-파리노틀담 성당
(정답률: 78%)
  • 로마시대 건축에서 아고라는 아치나 볼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아고라는 로마시대의 공공시설이나 시장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로마시대 건축-아치, 볼트-아고라"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식소화법은 불연성 포말 혹은 액체로 연소물을 덮어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2. 희석소화법은 가연물 가스의 산소 농도와 가연물의 조성을 연소 한계점보다 묽게 하는 방법이다.
  3. 냉각소화법은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어 연소가 중지되도록하는 소화방법이다.
  4. 촉매소화법은 증발잠열이 크고 비열이 큰 부촉매를 사용하여 가연물의 연소를 억제하는 소화방법이다.
(정답률: 87%)
  • 촉매소화법은 증발잠열이 크고 비열이 큰 부촉매를 사용하여 가연물의 연소를 억제하는 소화방법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노인의료복지시설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실 창은 침실바닥면적의 10/1 이상으로 하고, 직접 바깥 공기에 접하도록 하며 개폐가 가능하여야 한다.
  2. 목욕실의 급탕을 자동 온도조절장치로 하는 경우에는 물의 최고온도가 40 °C 이상 되지 않도록 한다.
  3. 침실의 면적은 입소자 1인당 6.6 m2 이상이어야 하며, 합숙용 침실의 정원은 4인 이하여야 한다.
  4. 화장실에 욕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욕조에 노인의 전신이 잠기지 않는 깊이로 한다.
(정답률: 54%)
  • "침실 창은 침실바닥면적의 10/1 이상으로 하고, 직접 바깥 공기에 접하도록 하며 개폐가 가능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침실 창은 충분한 환기와 자연광을 활용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와 위치, 개폐 가능성 등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육시설의 교실 및 놀이공간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사의 자료, 책상, 청소용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은 교실 및 놀이공간 이외의 별도 관리공간에 계획한다.
  2. 놀이공간은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단조로움을 피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3. 실내에서 장시간 생활하게 되므로 세면장, 화장실을 인접시켜 설치한다.
  4. 실내의 색채계획은 가능한 적은 색으로 조합하여 통일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5%)
  • "교사의 자료, 책상, 청소용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은 교실 및 놀이공간 이외의 별도 관리공간에 계획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교사의 자료, 책상, 청소용구 등은 교실 내에서 보관 및 사용되어야 하므로 교실 내에 적절한 보관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건축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TED는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요소를 제거ㆍ개조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2. CIC는 자동화와 통합을 위해 정보기술(IT)을 사용함으로써 시설물의 수명연한 동안 품질, 비용효과, 적시성,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3. BIM은 건물 설계, 분석, 시공 및 관리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설계의 건설요소별 객체정보를 담아낸 3차원의 모델링 기법으로 엔지니어링과 시공 프로세스의 관련정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4. POE는 건축물 설계 후에 설계도면을 평가하여 설계에 피드백하는 기법이다.
(정답률: 79%)
  • 정답: CIC는 자동화와 통합을 위해 정보기술(IT)을 사용함으로써 시설물의 수명연한 동안 품질, 비용효과, 적시성,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해설: CIC는 건축 관련 용어가 아니라, 시설물 관리와 관련된 용어이다. POE는 건축물 설계 후에 설계도면을 평가하여 설계에 피드백하는 기법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급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도직결방식은 저수량이 적어 중규모 이하의 건축물 또는 체육관, 경기장과 같이 사용빈도가 낮고 물탱크의 설치가 어려운 건축물에 사용된다.
  2. 압력수조방식은 건물의 필요개소에 직접 급수하는 방식으로 탱크나 펌프가 필요하지 않아 설비비가 적게 든다.
  3. 고가수조방식은 급수압력이 일정하고 대규모 급수수요에 대응하지만,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고 초기투자비가 비싸며 건축외관을 손상시킨다.
  4. 부스터방식은 기계기구의 점유면적이 크고 운전비가 많이 들지만, 초기투자비가 적어서 대규모 건축물에 사용된다.
(정답률: 71%)
  • 고가수조방식은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하며 급수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고 초기투자비가 비싸며 건축외관을 손상시킨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