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14)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2007-04-14 기출문제)

목록

1. 초고층 구조형식 중 건물의 일부 층에 강성이 큰 벽체나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을 띠같이 설치하는 방식으로 횡력에 저항하는 것은?

  1. 골조-아웃리거 시스템
  2. 튜브구조
  3. 가새튜브구조
  4. 묶음튜브구조
(정답률: 79%)
  • "골조-아웃리거 시스템"은 건물의 일부 층에 강성이 큰 벽체나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을 띠같이 설치하여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 형식입니다. 이는 건물의 중앙에 있는 "골조"와 외부에 있는 "아웃리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웃리거는 골조와 연결되어 건물 전체를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로 유지시킵니다. 따라서 횡력에 강한 안정적인 건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건축물의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지붕의 적설하중은 기본 지붕적설하중계수, 노출계수, 온도계수, 중요도계수와 지역별 지상적설하중을 곱하여 구한다.
  2. 풍하중 산정 시 설계풍압은 설계속도압, 가스트영향계수, 풍력계수 또는 풍압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3. 등가정적 해석법에 의한 지진하중의 밑면 전단력은 지진응답 계수와 고정하중 및 유효 건물중량을 곱하여 구한다.
  4. 풍하중 산정 시 풍속의 고도분포계수는 행정지역별로 구분하여 동일하게 적용한다.
(정답률: 59%)
  • "풍하중 산정 시 풍속의 고도분포계수는 행정지역별로 구분하여 동일하게 적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풍속의 고도분포계수는 건물의 위치와 높이, 지형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풍하중을 산정할 때에는 해당 건물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고도분포계수를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철근의 이음 및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요 부재의 이음 위치는 응력이 작은 부분에 두어야 한다.
  2. 철근의 이음에는 겹침이음과 맞댐이음이 있다.
  3. 철근의 지름이나 항복강도가 작을수록 정착길이는 길어진다.
  4. 콘크리트 강도가 클수록 정착길이는 짧아진다.
(정답률: 65%)
  • "철근의 지름이나 항복강도가 작을수록 정착길이는 길어진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철근의 지름이나 항복강도가 작을수록 철근의 인장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와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따라서 정착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슬래브에 대하여 서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방향 슬래브는 단위 폭의 직사각형보로 간주하여 설계하며, 작용하는 모든 하중은 단변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 한다.
  2.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 mm이상으로 하며, 최대 휨 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의 철근 간격은 300 mm이하로 한다.
  3. 보가 지지하는 직사각형 슬래브의 변장비가 1.5 이하일 때를 2방향 슬래브라 한다.
  4. 워플 슬래브는 장선 슬래브의 장선을 직교시켜 구성한 우물 반자 형태로 된 2방향 슬래브 구조를 말하며, 격자형의 작은 리브(rib)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62%)
  • "보가 지지하는 직사각형 슬래브의 변장비가 1.5 이하일 때를 2방향 슬래브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맞는 설명이다. 변장비란 슬래브의 긴 변의 길이를 짧은 변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1.5 이하일 때 2방향 슬래브로 분류한다. 이유는 변장비가 1.5 이하일 때는 슬래브가 양방향으로 균일하게 하중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H-형강보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한하는 항목은?

  1. 항복강도
  2. 판폭두께비
  3. 탄성계수
  4. 좌굴길이
(정답률: 82%)
  • H-형강보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판폭두께비를 제한해야 합니다. 이는 H-형강보의 횡단면에서 판의 너비와 두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판폭두께비가 너무 크면 강철의 국부좌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해야 합니다. 항복강도와 탄성계수는 강철의 물성과 관련된 것이며, 좌굴길이는 강철의 길이 방향에서의 변형에 대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목재의 이음 및 맞춤 시 주의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음 및 맞춤의 공작은 모양에 치중하지 말고 응력에 견디도록 한다.
  2. 보 또는 도리의 맞춤은 응력이 작은 중앙부에서 한다.
  3. 목재는 가능한 한 적게 깎아 내어 약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국부적으로 큰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한다.
  4. 목재 이음의 위치는 엇갈림으로 배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2%)
  • "보 또는 도리의 맞춤은 응력이 작은 중앙부에서 한다." 이 문장이 옳지 않습니다. 보 또는 도리의 맞춤은 응력이 큰 끝부분에서 한다는 것이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보 또는 도리의 맞춤은 끝부분에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목조건축물의 방부공법설계 시 주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부제처리법을 우선으로 하고, 필요시 부분적으로 구조법을 적용한다.
  2. 지붕 모양을 복잡하게 하지 않는다.
  3. 외벽에는 포수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4. 지붕 처마와 채양은 채광 및 구조상 지장이 없는 한 길게 한다.
(정답률: 60%)
  • "지붕 모양을 복잡하게 하지 않는다.", "외벽에는 포수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지붕 처마와 채양은 채광 및 구조상 지장이 없는 한 길게 한다."는 모두 옳은 주의사항이지만, "방부제처리법을 우선으로 하고, 필요시 부분적으로 구조법을 적용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목조건축물의 방부공법설계 시에는 구조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구조법을 우선으로 적용해야 하며, 방부제처리법은 그 이후에 추가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목조건축물의 내화성능기준에 의한 소요내화시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력벽 : 1시간
  2. 바닥 및 보 : 1시간
  3. 칸막이벽 : 30분
  4. 지붕 : 30분
(정답률: 30%)
  • 목조건축물의 내화성능기준에 따라 소요내화시간은 내력벽과 바닥 및 보는 1시간, 지붕은 30분이지만 칸막이벽은 30분이 아닌 1시간입니다. 이유는 칸막이벽은 내력벽과 마찬가지로 화재로부터 건물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화성능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벽돌 벽면에 균열이 생기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장막벽 상부와 보 사이의 모르타르를 과다 채움으로 생긴다.
  2. 기초의 부동침하로 생긴다.
  3. 개구부 크기의 불균형 및 불합리한 배치로 생긴다.
  4. 온도 변화로 인한 벽돌, 모르타르의 신축에 대한 미비로 생긴다.
(정답률: 84%)
  • 벽돌 벽면에 균열이 생기는 원인 중 "장막벽 상부와 보 사이의 모르타르를 과다 채움으로 생긴다."는 원인은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모르타르가 과다 채워지면 오히려 벽체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벽돌 벽면에 균열이 생기는 원인은 "기초의 부동침하로 생긴다.", "개구부 크기의 불균형 및 불합리한 배치로 생긴다.", "온도 변화로 인한 벽돌, 모르타르의 신축에 대한 미비로 생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초구조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판재하시험의 최대 재하하중은 지반의 극한지지력 또는 예상되는 장기 설계하중의 1.5배로 한다.
  2. 기초판의 저면적은 허용지내력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3.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심 간격은 말뚝머리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750 mm 이상으로 한다.
  4.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및 강재말뚝의 단기 허용압축응력도는 장기 허용압축응력도의 1.5배로 한다.
(정답률: 47%)
  •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및 강재말뚝의 단기 허용압축응력도는 장기 허용압축응력도의 1.5배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단기 허용압축응력은 장기 허용압축응력보다 더 높게 설정됩니다. 이는 단기간에는 장기간에 비해 더 큰 하중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블록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강블록조 내력벽이 횡력을 받았을 때에는 전단력과 함께 휨모멘트가 발생되므로, 벽체 양쪽 단부에 인장철근을 넣어 보강하여야 한다.
  2. 내력벽이 횡력을 받았을 때 발생된 전단력이 블록강도의 1/2을 초과하면 벽면에 계단 모양의 균열이 나타나므로, 세로근에 가로근을 결속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3. 테두리보의 춤은 벽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하되, 단층 건물에서는 250mm 이상, 2, 3층 건물에서는 300mm이상으로 한다.
  4. 벽량이란 건물 평면도에서 내력벽 길이를 보 방향과 도리 방향별로 합산하여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서 120mm/m2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40%)
  • "벽량이란 건물 평면도에서 내력벽 길이를 보 방향과 도리 방향별로 합산하여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서 120mm/m2이상으로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 아닙니다. 벽량은 건축물의 내력벽 면적을 나타내는 지표로,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벽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건축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점성토 지반에 시공한 마찰말뚝기초에서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지 않은 것은?

  1. 암반까지 지반의 깊이
  2. 말뚝 주위 지반의 특성
  3. 말뚝의 길이
  4. 무리말뚝의 영향
(정답률: 50%)
  • 점성토 지반에서 시공한 마찰말뚝기초는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입니다. 이때 말뚝의 지지력은 말뚝 주위 지반의 특성, 말뚝의 길이, 그리고 무리말뚝의 영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암반까지 지반의 깊이"는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말뚝이 지반에 고정되는 깊이가 암반까지 깊이가 아니라도 충분히 안정적인 지반이라면 말뚝의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반까지 지반의 깊이는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지 않은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철근의 배근간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띠철근의 간격은 주근 지름의 16배, 띠철근 지름의 48배, 기둥단면의 최소치수 중 작은 값 이하로 한다.
  2. 보에서 2단으로 배근된 경우 상, 하단 철근의 순간격은 25mm이상으로 한다.
  3. 보 주근의 순간격은 20mm 이상 또한 철근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벽체에서 수직 및 수평 철근의 간격은 벽체 두께의 3배 이하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27%)
  • "보 주근의 순간격은 20mm 이상 또한 철근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철근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면 보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 주근의 순간격을 최소 20mm 이상으로 하되, 철근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적조 구조물의 백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ㄷ, ㄹ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ㄴ, ㄷ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강구조 용접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형상에 따라 용접부 주변에 용접 잔류 응력이 존재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강재의 탄소당량이 높으면 용접성이 좋아진다.
  3. 강재의 용접 열영향부는 일반적으로 모재보다 경화된다.
  4. 강재의 종류에 따라 용접 전에 예열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91%)
  • 일반적으로 강재의 탄소당량이 높으면 용접성이 좋아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강재의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용접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용접 후 발생하는 경화작용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 함량이 높은 강재를 용접할 때는 적절한 예열과 후열 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조적식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적조 구조물은 허용응력설계법, 강도설계법, 경험적설계법 중 한가지 방법으로 설계할 수 있다.
  2. 조적조 구조물의 경험적 설계법에서 횡력에 저항하는 조적벽의 전체 높이는 21m이하로 한다.
  3. 조적조 구조물의 경험적 설계법에서 파라펫벽의 두께는 200mm 이상이어야 하며, 높이는 두께의 3배를 넘을 수 없다.
  4. 벽돌조적조 3층 건물의 경우 충전 모르타르의 배합은 시멘트:세골재의 용적비를 1 : 2.5 로 한다.
(정답률: 73%)
  • "조적조 구조물의 경험적 설계법에서 횡력에 저항하는 조적벽의 전체 높이는 21m이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경험적 설계법에서는 벽의 높이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벽의 높이는 벽의 두께와 재료의 강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법규상의 제한이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벽의 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철근콘크리트 내력벽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집중하중에 대한 벽체의 유효수평길이는 하중 사이의 중심거리, 또한 하중지지폭에 벽두께의 4배를 더한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두께 250 mm 이상의 벽체에 대해서는 수직 및 수평철근을 벽면에 평행하게 양면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3. 벽체의 최소두께는 수직 또는 수평지점간 거리 중 작은 값의 1/25 이상 또한 100 mm이상으로 한다.
  4. 계수하중의 합력이 벽두께의 중앙 1/6이내에 작용할 경우 실용설계법의 적용이 가능하고, 벽체 설계축하중의 강도감소 계수는 0.75를 사용한다.
(정답률: 50%)
  • 모든 보기가 옳은 설명이지만, 이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을 찾으라는 문제이므로, 정답은 "없음"이다. 모든 보기가 옳은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목조 지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붕물매에서 100 mm 물매를 된물매라고 한다.
  2. 모임지붕을 팔작지붕이라고도 한다.
  3. 지붕 물흐름 잡기에서 수평골이 생기도록 한다.
  4. 지붕 가구는 중도리의 배치수에 따라 세마루, 오량, 칠량 등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34%)
  • 지붕 가구는 중도리의 배치수에 따라 세마루, 오량, 칠량 등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지붕의 형태가 중도리(중앙의 높이)를 기준으로 어떻게 배치되느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지붕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마루는 중도리가 하나인 지붕, 오량은 중도리가 두 개인 지붕, 칠량은 중도리가 세 개인 지붕 등이 있다. 이러한 구분은 지붕의 형태와 기능을 결정하며, 건축물의 디자인과 기후에 따른 적절한 지붕 선택에도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계상태설계법에 의한 철골 보의 공칭휨강도(Mn)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전소성강도
  2. 횡좌굴강도
  3. 국부좌굴강도
  4. 인장강도
(정답률: 39%)
  • 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구조물이 파괴되는 직전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하므로, 공칭휨강도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구조물의 내구성과 관련된 성질들입니다. 따라서 전소성강도, 횡좌굴강도, 국부좌굴강도는 공칭휨강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만, 인장강도는 공칭휨강도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는 철골 보의 공칭휨강도가 보의 단면적과 재료의 인장강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긴장재를 인장하고 그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을 포스트텐셔닝이라 한다.
  2. 아치의 유효경간을 단면의 최대 회전반경으로 나눈 값을 아치의 세장비라 한다.
  3. 전단경간이 유효깊이보다 크지 않은 내민보를 브래킷이라 한다.
  4.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는 보의 순경간이 유효깊이의 5배 미만일 경우 적용된다.
(정답률: 47%)
  •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는 보의 순경간이 유효깊이의 5배 미만일 경우 적용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아치의 유효경간을 단면의 최대 회전반경으로 나눈 값을 아치의 세장비라고 하는 이유는, 아치의 세장비는 아치의 형태와 회전반경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치의 유효경간과 단면의 최대 회전반경을 이용하여 아치의 형태와 회전반경에 따른 세장비 값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