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큐멘(cumene)법으로 페놀을 제조할 때 원료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2. 석유 유분 내 싸이올(thiol) 제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정제공정은?
3. 불포화 유지를 수소화 공정(hydrogenation)으로 처리한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4. 옥탄가(octane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5. 분자 1개당 수소 원자가 많은 것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6. 무정형(amorphous) 고분자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7. 산화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계면활성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비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다음 수화 반응이 Markovnikov 규칙을 따를 때, 주 생성물은?




11. 아미노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2. 나프탈렌의 설폰화반응(sulfonation)을 40~50°C에서 단시간 진행할 때, 주 생성물은?




13. 아스피린(aspirin)의 구조식은?




14. 다음 구조식을 갖는 고분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구리(Cu)와 아연(Zn)으로 구성된 다니엘 전지의 산화전극(anode)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16. 황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알킬화(alkylation)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그림과 같이 고분자 (가), (나), (다)가 응력(stress)-변형(strain) 곡선을 따르며, 초기 탄성 구간에서는 훅의 법칙(Hooke's law)을 따른다. 인장 탄성률(elastic modulus)과 항복응력(yield stress)이 가장 큰 고분자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A, B, C는 각 고분자의 파괴점이다.)
19. 착물의 중심 금속에서 전자 배치가 결정장 이론(crystal field theory)을 따르고 바닥 상태일 때, 홀전자 수가 가장 큰 것은? (단, Co와 Ni의 원자번호는 각각 27과 28이다.)
20. 높은 에너지를 갖는 이온의 충돌을 통해 표적(target)에서 떨어져 나온 원자들을 응축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