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정보보안 3대 요소 중 서비스 거부(Denial of Service) 공격의 침해 대상은?
2. 네트워크에서 서버의 작동과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3. 응용계층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4. IEEE 802.11 무선 랜에서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5. 한 번의 시스템 인증을 통하여 여러 정보 시스템에 재인증 절차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통합 로그인 기술은?
6. 스니핑(sniffing) 공격에 대한 보안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블록체인에서 보유한 자산에 대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주는 합의 알고리즘은?
8. 다음 랜(LAN)에서 '공격시스템'이 ARP 스푸핑(spoofing) 공격을 위해 (가), (나)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ㄱ~ㄹ에서 찾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MAC 주소는 24비트로 가정한다)
9. Land 공격을 위한 IPv4 데이터그램 헤더에서 같은 값을 저장하는 필드로만 묶인 것은?
10. 다음에서 설명하는 취약점을 이용하는 서비스 거부 공격은?
11. 다음 Go-Back-N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사용하는 송신기기와 수신기기 사이에 주고받은 통신 패킷 중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윈도 크기는 3이다)
12. SSL/TLS 프로토콜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3. 암호학적 해시 함수(cryptographic hash function)의 성질 또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격을 막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다음 SSH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작업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6.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8. VPN(Virtual Private Networ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터널 모드로 동작하는 IPSec의 ESP(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다음 패킷의 구조 (가)~(다)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패킷의 버전은 IPv4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