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로기준법」상 근로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 규정의 적용 예외로 명시된 것이 아닌 것은?
3.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과 휴식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순서대로 ㉠, ㉡, ㉢)
4.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지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근로기준법」상 임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근로기준법」 제59조에 따르면, 「통계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산업에 관한 표준의 중분류 또는 소분류 중 보건업에 대하여 사용자가 주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차상 필요한 것은?
7.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8. 「근로기준법」상 여성의 보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근로기준법」상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의 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11. 「근로기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쟁의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노동쟁의의 조정(調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근로기준법령상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되는 규정으로 옳은 것은?
15.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노동조합 설립신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공정대표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17.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단체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18.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19. 「최저임금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최저임금법」상 최저임금의 결정기준으로 명시된 것이 아닌 것은?
이유는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을 예정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도 근로계약의 당사자가 될 수 있고, 친권자나 후견인은 미성년자의 근로계약을 대리할 수 없으며, 사용자는 근로자 명부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계약에 관한 중요한 서류를 1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