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09)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2011-04-09 기출문제)

목록

1. 벼의 분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식재배가 보통기재배에 비하여 분얼수가 많다.
  2. 분얼이 왕성하게 발생하기 위해서는 활동엽의 질소 함유율이 대략 3.0~3.5% 정도 되어야 한다.
  3. 벼의 분얼은 주간의 경우 제1엽절 이후 신장경 마디부위에서 출현한다.
  4.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개체당 분얼수는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식재배가 보통기재배에 비하여 분얼수가 많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조식재배는 일반적으로 분얼이 적게 발생합니다.

    벼의 분얼은 주간의 경우 제1엽절 이후 신장경 마디부위에서 출현하는 이유는, 이 시기에 활동엽이 발달하여 질소 함유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얼 발생에 필요한 영양분이 충분해지고, 분얼이 발생하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벼의 배우자 형성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화분모세포 1개가 감수분열을 하여 2개의 화분을 형성한다.
  2. 배낭에는 1개의 난핵, 2개의 조세포, 2개의 반족세포, 3개의 극핵으로 이루어진다.
  3. 배낭모세포는 감수분열을 거쳐 4개의 배낭세포로 되는데, 그 중 3개는 소멸하고 1개만 배낭으로 성숙한다.
  4. 정세포는 암술의 배낭 내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벼의 배우자 형성과정은 꽃받침 내부에 있는 화분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통해 2개의 화분세포로 분화하고, 각각의 화분세포가 각각의 배낭모세포와 결합하여 배낭을 형성합니다. 이때, 배낭모세포는 감수분열을 거쳐 4개의 배낭세포로 되는데, 그 중 3개는 소멸하고 1개만 배낭으로 성숙합니다. 따라서, "배낭모세포는 감수분열을 거쳐 4개의 배낭세포로 되는데, 그 중 3개는 소멸하고 1개만 배낭으로 성숙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콩의 용도별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콩 : 씨껍질색은 황색 또는녹색인 것이 좋으며, 소립으로서 백립중이 9~15g이하인 것이 알맞다.
  2. 나물콩 : 소출이 많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야 하며, 종실이 굵고 유색이며 광택이 있다.
  3. 기름콩 : 우리나라 콩의 주체를 이루고 있으며, 황금콩, 다원콩이 대표적인 품종이다.
  4. 밥밑콩 : 종실이 굵고 취반 시 잘 물러야 하고, 환원당 함량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밥밑콩은 취반 시 잘 물러야 하고, 환원당 함량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취반 시 쉽게 물러지기 때문에 취반 작업이 용이하며, 환원당 함량이 높으면 취반 후 콩의 맛과 향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벼의 등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미의 발달초기에는 배유 세포수가 증대하고, 후기에는 분화된 세포에 저장물질이 축적된다.
  2. 현미의 수분함량은 수정 후 25일까지 증가하고 그 후 계속 감소한다.
  3. 쌀알은 너비, 길이, 두께의 순서로 발달한다.
  4. 현미의 생체중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출수 후 35일경에 최대에 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미의 발달초기에는 배유 세포수가 증대하고, 후기에는 분화된 세포에 저장물질이 축적된다. - 이유: 배유 세포는 쌀알의 초기에 형성되며, 이후에는 분화된 세포로 발달하여 저장물질이 축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벼의 생육과정 중 양분의 흡수ㆍ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의 무기양분 중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질소는 생육초기보다 생육후기에 많이 흡수된다.
  2. 양분 흡수는 뿌리 끝 2~3cm 부위에서 이루어진다.
  3. 벼의 생식생장기에는 건물중이 증가하며, 세포벽 물질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 등이 많이 만들어진다.
  4. 벼에서 양분의 체내 이동률은 인, 황, 마그네슘, 칼슘 순으로 저하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벼에서 양분의 체내 이동률은 인, 황, 마그네슘, 칼슘 순으로 저하된다."

    해설: 벼의 무기양분 중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질소는 생육초기보다 생육후기에 많이 흡수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벼가 생육 초기에는 뿌리가 작아서 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약하지만, 생육 후기에는 뿌리가 커져서 더 많은 양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양분 흡수는 뿌리 끝 2~3cm 부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뿌리 끝 부위에는 뿌리모세포가 집중되어 있어서 양분을 흡수하기에 적합한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벼의 생식생장기에는 건물중이 증가하며, 세포벽 물질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 등이 많이 만들어진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생식생장기에서는 새로운 세포가 많이 생성되고, 이를 구성하는 물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벼에서 양분의 체내 이동률은 인, 황, 마그네슘, 칼슘 순으로 저하된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벼에서 양분의 체내 이동률은 인, 칼슘, 마그네슘, 황 순으로 저하된다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리의 식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품종의 종실 특성을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1. 단백질 함량이 높아야 한다.
  2. 백도가 높은 것이 좋다.
  3. 호화온도가 높아야 한다.
  4.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백도가 높은 것이 좋다."입니다.

    백도는 보리의 수분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백도가 높을수록 수분 함량이 적어지므로, 보리의 맛과 향이 진하고 담백해집니다. 따라서 보리의 식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도가 높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맥류의 수확과 탈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확적기는 종실의 무게면에서는 건물중의 약 80%가 될 때이다.
  2. 종실의 길이가 완성되는 시기가 수확적기이다.
  3. 보리는 수분함량이 2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탈곡한다.
  4. 수확적기는 종실의 수분함량이 16% 이하로 떨어질 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리는 수분함량이 2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탈곡하는 이유는 보리가 수분함량이 높은 상태에서 탈곡하면 보리알이 부서지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분함량이 적절하게 조절된 후에 탈곡하여 보리알의 손상을 최소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맥류 깜부기병 중 종자로만 전염하는 병해는?

  1. 비린깜부기병
  2. 줄기깜부기병
  3. 겉깜부기병
  4. 속깜부기병
(정답률: 64%)
  • 겉깜부기병은 맥류 깜부기병 중에서 종자로만 전염하는 병해입니다. 이는 병원균이 종자의 겉부분에 감염되어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자를 구입할 때는 병원균이 전파되지 않은 건강한 종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알란토인(allantoin)질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콩 저장단백의 구성물질에 이용된다.
  2. 콩은 V2 시기에는 질소질 비료보다 알란토인 질소에 의존한다.
  3. 콩은 알란토인 질소의 농도가 높으면 결협과 결실이 조장된다.
  4. 콩의 알란토인 질소 형성은 뿌리혹박테리아가 관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콩은 V2 시기에는 질소질 비료보다 알란토인 질소에 의존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콩은 V2 시기에는 질소질 비료에 의존하여 생장하며, 알란토인은 콩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성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알란토인 질소만으로는 콩의 성장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구마의 전분함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분함량이 높아진다.
  2. 열대지역에서 생산한 고구마는 재배 극지대의 서늘한 지역에서 생산한 고구마보다 전분함량이 낮고 당분함량이 높다.
  3. 조식재배가 만식재배에 비하여, 만기수확이 조기수확에 비하여 전분가가 낮다.
  4. 질소 다비 시 전분함량이 높아지고, 인산ㆍ칼리 및 퇴비 시용은 전분함량을 낮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대지역에서 생산한 고구마는 재배 극지대의 서늘한 지역에서 생산한 고구마보다 전분함량이 낮고 당분함량이 높다. 이는 고구마가 생장하는 환경에 따라서 전분과 당분의 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열대지역에서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고구마가 자라기 때문에 당분이 많이 축적되고, 전분은 상대적으로 적게 축적된다. 반면 극지대에서는 추운 환경에서 고구마가 자라기 때문에 전분이 많이 축적되고, 당분은 적게 축적된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분함량이 높아진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땅콩의 종자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휴면기간은 대체로 대립종이 소립종보다 더 길다.
  2. 발아적온은 대립종이 소립종보다 낮다.
  3. 장명종자로서 수명이 4~5년이다.
  4. 꼬투리째 파종하는 것이 종실만 파종한 것보다 발아소요일수가 짧다.
(정답률: 70%)
  • 휴면기간은 대립종이 소립종보다 더 길다는 이유는 대립종이 땅속에서 오랫동안 휴면 상태를 유지하며 발아하기 위해 보다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광합성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C4 작물이 C3 작물보다 낮은 것만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C4 작물은 C3 작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아서 더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로 더 많은 양의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합성 특성을 비교할 때 C4 작물은 C3 작물보다 높은 것을 고르면 됩니다. 따라서 "ㄴ, ㄷ, 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작물의 포장광합성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빛의 세기가 약해지면 최적엽면적지수도 낮아져 광합성량이 감소한다.
  2. 엽면적지수가 커질수록 광합성량은 어느 한계까지는 증가하나 호흡량은 계속 증가한다.
  3. 벼 개체군의 광합성 능력이 최고가 되는 시기는 출수기 이후 이다.
  4. 초형이 직립인 개체군의 광합성량은 늘어진 초형의 개체군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벼 개체군의 광합성 능력이 최고가 되는 시기는 출수기 이후 이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벼 개체군의 광합성 능력이 최고가 되는 시기는 출수기 이전인 수경기에 해당합니다. 출수기 이후에는 벼 개체군의 광합성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출수기 이후에는 더 이상 새로운 잎이 생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벼의 수확 및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묵은 쌀은 지방의 환원에 의해 식미가 낮아진다.
  2. 벼의 수확적기가 지나면 쌀겨층이 두꺼워지고 동할립이 많이 생긴다.
  3. 수확적기는 적산등숙온도가 800~1,100°C 정도 일 때이다.
  4. 상온저장 시 식미는 현미저장이 백미저장보다 양호하다.
(정답률: 50%)
  • "수확적기는 적산등숙온도가 800~1,100°C 정도 일 때이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적산등숙온도는 20~30°C 정도이며, 수확적기는 벼의 종류와 재배지역, 기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9월부터 10월 사이입니다.

    "묵은 쌀은 지방의 환원에 의해 식미가 낮아진다."는 묵은 쌀이 오래되어 지방이 산화되어 식미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방이 산화되면 쌀의 맛과 향이 떨어지며, 영양소도 일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쌀은 가능한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벼 잎의 생장과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에서 유수분화기 전에는 잎이 약 4~5일에 1 매씩 나온다.
  2.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길고 상위엽일수록 짧다.
  3. 광합성 활력이 높은 활동중심엽은 상위로부터 제3엽과 제4엽이다.
  4. 쌀알의 등숙은 주로 상위엽에 의존하고 뿌리의 생육은 하위엽에 의존한다.
(정답률: 70%)
  •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길고 상위엽일수록 짧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짧고 상위엽일수록 길다. 이는 하위엽이 더 늦게 생기고 더 오래 살아있기 때문이다. 상위엽은 더 일찍 생기고 더 빨리 죽기 때문에 활동기간이 짧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벼의 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쌀의 수분함량이 16% 정도일 때 도정 효율이 높다.
  2. 벼의 도정률은 (제현율×현백률)/100으로 나타낸다.
  3.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현백률은 제현율 보다 높다.
  4. 현미 중량의 93%가 남도록 깍아낸 것을 7분도미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현미 중량의 93%가 남도록 깍아낸 것을 7분도미라고 한다."가 아닌 다른 것입니다.

    정답 설명: "현미 중량의 93%가 남도록 깍아낸 것을 7분도미라고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벼를 도정할 때, 외피와 일부 견과를 제거하여 현미 중량의 93%를 남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깍아낸 7분도미는 현미보다 손상이 적고 보관이 용이하여, 쌀로 가공되기 전에는 대부분 7분도미로 유통됩니다.

    하지만 "쌀의 수분함량이 16% 정도일 때 도정 효율이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쌀의 수분함량이 높으면 도정 시 쌀이 부서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도정 효율이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쌀의 수분함량은 12~14% 정도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잡곡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수는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하지만 자연교잡률이 2~10% 정도 또는 그 이상인 경우도 있다.
  2. 옥수수 생육에 알맞은 토양은 대체로 pH 5.5~8.0이며, 산성과 알칼리성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3. 기장은 고온 버어널라이제이션에 의해 출수가 촉진된다.
  4. 메밀 종실의 루틴함량은 가을메밀 품종이 여름메밀 품종에 비하여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메밀 종실의 루틴함량은 가을메밀 품종이 여름메밀 품종에 비하여 높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메밀 종실의 루틴함량은 메밀 품종에 따라 다르며, 가을메밀 품종은 여름메밀 품종에 비해 루틴함량이 높습니다. 이는 가을메밀 품종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자라기 때문에 루틴이 축적되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콩의 발육시기에 따른 약호 표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자엽, 제1복엽, 개화시 ,착협시, 입비대시)

  1. VE, V1, R2, R3, R5
  2. VE, V1, R1, R4, R6
  3. CV, V2, R1, R3, R5
  4. CV, V2, R2, R4, R6
(정답률: 알수없음)
  • 콩의 발육시기에 따른 약호 표시는 VE (초기 단계), CV (자엽기), V1 (제1복엽기), V2 (개화시기), R1 (착과기), R3 (입비대기) 순서로 나열됩니다. 따라서 "CV, V2, R1, R3, R5"이 정답이 되는데, 이는 콩이 자엽기에서 벗어나 개화시기에 들어가고, 착과기와 입비대기를 거쳐 성장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구마의 개화를 유도하고 촉진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8~10시간 단일처리하면 개화가 조장된다.
  2. 나팔꽃 대목에 고구마 순을 접목하여 개화를 유도한다.
  3. 덩굴 기부에 절상ㆍ환상박피하면 개화가 조장된다.
  4. 고구마는 C/N율이 감소하면 개화가 촉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구마는 C/N율이 감소하면 개화가 촉진된다. 이는 고구마가 짧은 낮과 긴 밤의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밤에는 광합성이 어렵고, 이때 탄수화물을 저장하기 위해 질소를 이용하여 당을 합성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C/N율이 높아지면 개화가 억제되고, C/N율이 낮아지면 개화가 촉진됩니다. 따라서 고구마를 재배할 때는 적정한 비율의 질소와 탄소를 공급하여 C/N율을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물의 수확 후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 저장 시 온도는 15°C, 습도는 약 70%로 유지시켜주면 좋다.
  2. 가공용 감자는 저장 적온이 0~3°C이며, 이보다 저온에서는 당함량이 증가하여 품질이 낮아진다.
  3. 큐어링한 고구마의 저장은 온도 12~15°C, 상대습도 85~90%가 적당하다.
  4. 쌀은 저장 중 전분이 분해되어 환원당함량이 증가하고, 비타민 B1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용 감자는 저장 적온이 0~3°C이며, 이보다 저온에서는 당함량이 증가하여 품질이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감자는 저온에서 저장할수록 당분이 더 많이 생성되어 가공용 감자의 경우에는 4~7°C에서 보관하는 것이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