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4-17)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2021-04-17 기출문제)

목록

1. 옥수수의 복교잡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잡방법은 (A×B)×C이다.
  2. 채종량이 적다.
  3. 종자의 균일성이 높다.
  4. 채종작업이 복잡하다.
(정답률: 53%)
  • 옥수수의 복교잡종은 세 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의 옥수수를 교배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러한 교잡 방법은 (A×B)×C로, 즉 두 종류의 옥수수를 교배한 후 그 결과물을 다른 종류의 옥수수와 교배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옥수수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종작업이 복잡해집니다. 즉, 적절한 조건에서 적절한 종류의 옥수수를 선택하고 교배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호밀의 결곡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밀에 나타나는 불임현상을 말한다.
  2. 직접적인 원인은 양수분의 부족이다.
  3. 결곡성은 유전된다.
  4. 염색체의 이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정답률: 70%)
  • "결곡성은 유전된다."는 호밀의 결곡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호밀의 결곡성은 양수분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호밀은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수분이 제공되지 않으면 결곡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호밀의 생식기관인 수술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원인은 양수분의 부족입니다.

    결곡성은 유전적인 요인도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또한 염색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관속초세포가 매우 발달하여 광합성 효율이 높으며 광호흡이 낮은 작물은?

  1. 옥수수
  2. 감자
(정답률: 81%)
  • 옥수수는 C4 광합성 작물로, 유관속초세포가 매우 발달하여 광합성 효율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광호흡이 낮아서 산소를 많이 소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광호흡이 낮은 작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작물과 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과 ㉡에 해당하는 작물은?

(정답률: 78%)
  • ①은 옥수수, ②는 대파, ③은 양파, ④은 마늘이다. 그림에서는 대파의 뿌리 부분이 보이고, 대파는 뿌리 부분이 두껍고, 줄기 부분이 얇아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리의 까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길수록 광합성량이 많아져 건물생산에 유리하다.
  2. 제거하면 천립중이 증가한다.
  3. 삼차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4. 흔적만 있는 무망종도 있다.
(정답률: 73%)
  • "제거하면 천립중이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보리의 까락은 식물의 산소생산과 이산화탄소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까락이 제거되면 광합성이 감소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천립중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까락을 제거하면 식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작물을 용도에 따라 분류할 때 협채류(莢菜類)에 해당하는 것은?

  1. 귀리
  2. 완두
  3. 고구마
(정답률: 75%)
  • 협채류는 열매가 꼬리모양의 협채를 이루는 작물을 말합니다. 완두는 열매가 협채를 이루기 때문에 협채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밭작물의 생리ㆍ생태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콩은 자엽에서 일장감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2. 보리는 고온에서 등숙기간이 길어진다.
  3. 호밀은 내동성(耐凍性)이 약한 작물이다.
  4. 옥수수는 장일조건에서 출수가 촉진된다.
(정답률: 58%)
  • 콩은 자엽에서 일장감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콩이 뿌리를 깊게 내리기 때문에 지하수를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표면에서의 건조한 기후에도 적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완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완두의 학명은 Vigna unguiculata이다.
  2.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강산성토양에 약하다.
  3. 기지현상이 적어 널리 재배되고 있다.
  4. 주성분은 당질이고, 단백질과 지질도 풍부하다.
(정답률: 67%)
  • 완두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강산성토양에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재배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율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꽃은 암ㆍ수로 구분되며, 대부분 타가수분을 한다.
  2. 자양강장제, 건위제 등의 약용으로 이용된다.
  3. 출수는 줄기 윗부분의 이삭으로부터 시작한다.
  4. 보통 이랑은 30cm, 포기사이는 10~30cm로 심는다.
(정답률: 46%)
  • 율무는 보통 이랑은 30cm, 포기사이는 10~30cm로 심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율무는 보통 이랑은 10~20cm, 포기사이는 5~10cm로 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벼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아하려면 건물중의 60% 이상의 수분을 흡수해야 한다.
  2. 산소의 농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발아하지 못한다.
  3. 암흑상태에서 중배축의 신장은 온대자포니카형이 인디카형보다 대체로 짧다.
  4. 발아온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최적온도는 20~25°C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암흑상태에서 중배축의 신장은 온대자포니카형이 인디카형보다 대체로 짧다."입니다. 이유는 온대자포니카형은 높은 습도와 온도가 필요한 반면, 인디카형은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더욱 높은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암흑상태에서는 온대자포니카형이 더 발아하기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조건에서 10a당 콩의 개체 수는?

  1. 8,000
  2. 9,000
  3. 80,000
  4. 90,000
(정답률: 77%)
  • 주어진 그림에서 1a당 콩의 개체 수는 200개이므로, 10a당 콩의 개체 수는 200 x 10 = 2,000개입니다. 그러나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1a당 콩의 개체 수가 4배로 증가한 경우이므로, 10a당 콩의 개체 수도 4배로 증가하여 2,000 x 4 = 8,000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벼 재배 시 애멸구가 매개하는 병해로만 묶은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74%)
  • 애멸구는 벼에서 발생하는 병해충 중에서도 주로 벼노린재와 벼좀벌레를 매개한다. 그리고 벼노린재와 벼좀벌레는 각각 "ㄱ"과 "ㄹ"로 시작하는 글자로 표기된다. 따라서 애멸구가 매개하는 병해충으로 "ㄱ,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논토양은 담수 후 상층부의 산화층과 하층부의 환원층으로 토층분화가 일어난다.
  2. 미숙논은 투수력이 낮고 치밀한 조직을 가진 토양으로 양분 함량이 낮다.
  3. 염해논에 석고ㆍ석회를 시용하면 제염 효과가 떨어진다.
  4. 논토양의 지력증진 방법에는 유기물 시용, 객토, 심경, 규산 시비 등이 있다.
(정답률: 83%)
  • "염해논에 석고ㆍ석회를 시용하면 제염 효과가 떨어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석고와 석회는 염해성을 줄이고 pH를 높여줌으로써 논토양의 토양환경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염해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콩의 발육시기 약호와 발육 상태의 설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정답률: 47%)
  • 콩의 발육시기 약호와 발육 상태를 바르게 연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 씨앗 발아 전
    ② - 씨앗 발아 후, 뿌리 발달
    ③ - 씨앗 발아 후, 줄기 발달
    ④ - 씨앗 발아 후, 잎 발달

    이 중에서 콩의 발육 상태를 보면, 이미 뿌리가 발달한 상태이므로 ②는 제외됩니다. 또한, 씨앗 발아 후에는 줄기가 먼저 발달하고 그 후에 잎이 발달하므로 ④도 제외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답은 ③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감자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괴경에서 발아할 때는 땅속줄기에서 섬유상의 측근이 발생하지 않는다.
  2. 괴경에는 많은 눈이 있는데, 특히 정단부보다 기부에서 많다.
  3. 꽃송이는 줄기의 중간에 달리고 꽃은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되어 있다.
  4. 과실은 장과이며 종자는 토마토의 종자와 모양이 비슷하다.
(정답률: 54%)
  • 감자는 괴경에서 발아할 때 땅속줄기에서 섬유상의 측근이 발생하지 않으며, 괴경에는 많은 눈이 있는데, 특히 정단부보다 기부에서 많습니다. 또한 꽃송이는 줄기의 중간에 달리고 꽃은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감자의 과실은 장과이며 종자는 토마토의 종자와 모양이 비슷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성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강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귀리>밀>보리
  2. 밀>보리>귀리
  3. 보리>귀리>밀
  4. 밀>귀리>보리
(정답률: 69%)
  • 산성토양은 pH가 낮아서 식물이 영양분을 흡수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응성이 강한 식물일수록 산성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귀리는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는 대표적인 식물입니다. 귀리는 산성토양에서도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밀은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하지만 귀리보다는 적응성이 약간 떨어집니다.

    보리는 산성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습니다. 따라서 적응성이 가장 약합니다.

    따라서 "귀리>밀>보리"가 올바른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도정 과정에서 벼의 제현율[%]은?

  1. 10
  2. 17
  3. 80
  4. 90
(정답률: 80%)
  • 도정 전에는 100kg의 벼가 있고, 도정 후에는 80kg의 벼가 남았습니다. 따라서 제현된 벼의 양은 20kg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제현율을 계산하면 (20/100) x 100 = 2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제현율이 아니라 제현된 벼의 비율을 묻고 있으므로, 20%를 제외한 나머지 비율인 80%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여교배 육종으로 개발된 품종은?

  1. 화성벼
  2. 통일찰벼
  3. 새추청벼
  4. 백진주벼
(정답률: 77%)
  • 통일찰벼는 북한과 남한의 육종 프로그램인 여교배를 통해 개발된 벼 품종입니다. 이는 북한의 찰보리와 남한의 일반 벼를 교배하여 개발되었으며, 찰보리의 당도와 일반 벼의 수확량을 모두 갖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통일찰벼는 북한과 남한의 육종 기술이 결합된 결과물로서, 통일을 상징하는 중요한 농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초제로 사용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인 2,4-D, MCPA 등의 주요 활성 호르몬은?

  1. Auxin
  2. Gibberellin
  3. Cytokinin
  4. ABA
(정답률: 76%)
  • 2,4-D와 MCPA는 식물의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을 촉진시키는 성장호르몬인 Auxin의 합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uxin이 주요 활성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벼의 화기 구성요소 중 발생학적으로 꽃잎에 해당하는 것은?

  1. 호영(護穎)
  2. 주심(珠心)
  3. 내영(內穎)
  4. 인피(鱗被)
(정답률: 79%)
  • 인피(鱗被)는 벼의 화기 구성요소 중에서 꽃잎에 해당합니다. 이는 벼의 꽃을 둘러싸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인피는 벼의 화기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꽃잎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피는 벼의 꽃을 보호하고, 꽃잎과 같이 꽃의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