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4-09)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2016-04-09 기출문제)

목록

1. 연소범위 및 연소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소하한계가 동일할 경우 연소범위가 넓은 물질이 위험성이 크다.
  2. 연소할 수 있는 농도의 최저치인 하한계 폭발농도만 존재한다.
  3. 대기 중으로 누출 시 연소하한계가 높은 물질이 위험성이 크다.
  4. 연소범위는 불연성가스가 공기 또는 산소와 혼합 시 발화 연소하는 데 필요한 가스의 농도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연소하한계가 동일할 경우 연소범위가 넓은 물질이 위험성이 크다."입니다. 연소범위는 불연성 가스가 공기 또는 산소와 혼합 시 발화 연소하는 데 필요한 가스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연소하한계는 물질이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소하한계가 동일한 물질이라면, 연소범위가 넓은 물질은 더 많은 양의 가스가 불에 타기 시작할 수 있으므로 더 큰 위험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령상 시설물의 보수ㆍ보강 시 관련 설계도서의 보존의무가 있는 구조상 주요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교량의 난간
  2. 댐의 여수로
  3. 터널의 복공부위
  4. 상수도 관로이음부
(정답률: 60%)
  • 교량의 난간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령상 시설물의 보수ㆍ보강 시 관련 설계도서의 보존의무가 있는 구조상 주요부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교량의 난간이 시설물의 안전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설물의 안전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주요부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위험예지훈련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터치앤콜(Touch and Call)
  2.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3. 사상수 분석법(Event Tree Analysis)
  4. 툴박스미팅(Tool Box Meeting)
(정답률: 64%)
  • 사상수 분석법은 위험예지훈련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니라 위험분석 기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세 가지는 실제로 위험예지훈련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방사선 안전관리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상 방사성 물질의 안전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액체상의 방사성폐기물은 소각시설에서 소각할 수 없다.
  2. 방사성 물질은 운반책임자를 지정하여 운송하여야 하고, 우편으로 운송하여서는 아니된다.
  3. 연구ㆍ시험용 핵연료물질은 기술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법적기준을 적용하기 곤란할 경우에 국민안전처장관의 승인을 받아 취급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핵원료물질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핵원료물질의 종류 및 양을 명시하는 표시를 용기에 부착하여야 하나, 핵원료물질사용시설의 내부에서 운반하는 경우에는 부착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률: 46%)
  • 핵원료물질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핵원료물질의 종류 및 양을 명시하는 표시를 용기에 부착하여야 하나, 핵원료물질사용시설의 내부에서 운반하는 경우에는 부착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이유: 핵원료물질을 운반하는 경우 외부에서 운반하기 때문에 용기에 명시하여 안전하게 운반해야 하지만, 핵원료물질사용시설의 내부에서는 이미 해당 시설에서 사용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흙막이 굴착공사의 안전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막이 공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유형은 무너짐과 떨어짐 재해이다.
  2. 히빙(Heaving)현상은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작업 시 흙막이 벽체 내ㆍ외부 흙의 중량차로 굴착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다.
  3. 어스앵커(Earth Anchor)를 사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지지할 경우 어스앵커의 정착은 흙막이 벽체 배면 지반의 활동 예상영역 밖에 위치하여야 한다.
  4. 시공 중 계측을 통해 굴착공사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예측거동과 실제거동의 차이가 관리 한계를 벗어날 경우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히빙(Heaving)현상은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작업 시 흙막이 벽체 내ㆍ외부 흙의 중량차로 굴착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화성고체로서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질산염류, 과망간산염류 등이 있다.
  2. 가연성 물질과 접촉ㆍ혼합하거나 가열ㆍ충격ㆍ마찰 등으로 인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3. 알카리금속의 과산화물 및 이를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물과의 접촉을 피하여야 한다.
  4. 대부분 산화되면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과망간산염류가 염소산염류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크다.
(정답률: 46%)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대부분 산화되면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과망간산염류가 염소산염류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크다."라는 설명은 제1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염류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입니다. 과망간산염류는 산화성 고체 중 하나로, 대부분 산화되면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염소산염류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큽니다. 이는 과망간산염류가 산화성이 강하고, 산화되면 많은 양의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로판 75vol%, 부탄 16vol%, 에탄 9vol%로 구성된 가스의 폭발하한계(vol%)는? (단, 프로판, 부탄, 에탄의 폭발하한계는 각각 2.5vol%, 1.6vol%, 3.0vol%이고, 르샤틀리에(Le Chatelier)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한 후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1.43
  2. 1.98
  3. 2.33
  4. 3.43
(정답률: 84%)
  • 폭발하한계는 가스 혼합물에서 가장 적은 폭발하한계를 가진 성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프로판의 폭발하한계가 가장 작으므로, 프로판의 비율이 폭발하한계를 결정한다.

    프로판의 폭발하한계는 2.5vol%이므로, 프로판이 2.5vol% 이하일 때 폭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판의 비율이 75vol%일 때, 가스 혼합물은 폭발한다.

    따라서, 이 가스 혼합물의 폭발하한계는 2.5vol%이다. 이 값을 르샤틀리에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한 후,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2.3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상 생태계 또는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정한 1시간 평균치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존(O3) : 0.20ppm 이하
  2. 일산화탄소(CO) : 25ppm 이하
  3. 이산화질소(NO2) : 0.10ppm 이하
  4. 아황산가스(SO2) : 0.15ppm 이하
(정답률: 28%)
  • 오존은 대기 중에서 자외선과 태양광선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대기오염물질로, 높은 농도에서는 인체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식물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서는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오존 농도를 0.20ppm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누출 시 독성보다는 가연성 및 폭발성을 더 고려해서 대응하여야 하는 물질은?

  1. Cl2
  2. F2
  3. NO2
  4. C3H6
(정답률: 50%)
  • 누출 시 독성보다는 가연성 및 폭발성을 더 고려해야 하는 물질은 C3H6입니다. 이는 프로페인이라는 가연성 가스로, 공기 중에서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출 시에는 환기를 시켜 가스의 농도를 낮추거나,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는 불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반면, Cl2, F2, NO2는 독성이 높은 가스이므로 누출 시에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독성을 우선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상 건설공사 수급인이 건설공사 중에 붕괴 등 재해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어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도급인에게 설계변경을 요청할 경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를 반영하여야 하는 구조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높이 20미터 이상인 비계(飛階)
  2. 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가설구조물
  3. 터널의 지보공(支保工) 또는 높이 2미터 이상인 흙막이 지보공
  4.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또는 높이 6미터 이상인 거푸집 동바리
(정답률: 54%)
  • 정답은 "높이 20미터 이상인 비계(飛階)"입니다. 이유는 건설공사 중에 붕괴 등 재해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어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도급인에게 설계변경을 요청할 경우, 이를 반영하여야 하는 구조물에 해당하는데, 높이 20미터 이상인 비계는 이미 안전성 검사를 받은 제품으로서 추가적인 설계변경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소와 관련된 온도 중 외부 점화원에 의해 점화된 후 그 점화원을 제거하여도 지속적으로 연소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저온도는?

  1. 인화점
  2. 발화점
  3. 착화점
  4. 연소점
(정답률: 47%)
  • 정답은 "연소점"입니다. 연소점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외부 점화원에 의해 점화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나타내는 것이 연소점입니다. 인화점은 물질이 불꽃에 의해 불타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하며, 발화점은 물질이 증기나 기체 상태에서 불꽃 없이도 자연적으로 불타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착화점은 물질이 불꽃에 의해 불타기 시작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불꽃에 노출되면 불이 붙을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교통안전법」상 교통 관련 당사자들의 안전 확보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 교육, 문화 관련 정책 수립 시 교통안전에 관한 사항 배려
  2. 교통수단운영자 : 그가 운영하는 교통수단의 구조ㆍ설비ㆍ장치 안전성 및 효율 향상
  3. 교통시설설치ㆍ관리자 : 당해 교통안전시설의 확충 및 정비
  4. 차량운전자 : 당해 차량이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지를 점검
(정답률: 43%)
  • 옳지 않은 것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 교육, 문화 관련 정책 수립 시 교통안전에 관한 사항 배려"입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교통안전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시설 확충 등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지만, 교육 및 문화 관련 정책 수립 시 교통안전에 대한 사항을 배려하는 것은 아닙니다.

    교통수단운영자는 그가 운영하는 교통수단의 구조, 설비, 장치 안전성 및 효율 향상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승객 및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인리히(Heinrich)가 주장한 재해예방 기본원리 5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현상파악 → 원인분석 → 안전조직 → 대책수립 → 대책실시
  2. 현상파악 → 안전조직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대책실시
  3. 안전조직 → 현상파악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대책실시
  4. 안전조직 → 원인분석 → 현상파악 → 대책수립 → 대책실시
(정답률: 65%)
  • 정답은 "안전조직 → 현상파악 → 원인분석 → 대책수립 → 대책실시"입니다.

    Heinrich가 주장한 재해예방 기본원리 5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조직 구축
    2. 현상파악
    3. 원인분석
    4. 대책수립
    5. 대책실시

    먼저, 안전조직을 구축하는 것은 모든 조직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안전에 대한 인식과 의식을 높이고, 안전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현상파악입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원인분석은 현상파악을 통해 파악한 문제점에 대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나 위험요소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대책수립은 원인분석을 통해 파악한 문제점에 대해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나 위험요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책실시는 수립한 대책을 실제로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고, 안전사고나 위험요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소특성에 따른 화재 분류 시 항목별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급 화재 : 다량의 물이나 수용액으로 화재를 소화할 때 부촉매효과가 가장 큰 소화역할을 하고,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화재이다.
  2. B급 화재 :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이고, 일반화재보다는 화재의 위험성이 크고, 연소성이 좋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3. D급 화재 :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의 화재로서 단락, 과전류, 누전, 절연불량, 전기스파크 등에 의해 발생한다.
  4. K급 화재 : 식용유 화재로 화재발생 시 유온이 발화점 이상이기 때문에 물을 뿌려 냉각소화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정답률: 62%)
  • B급 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이며, 일반화재보다 위험성이 크고 연소성이 좋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이는 B급 화재가 가연성 물질에 의한 화재로서 불이 붙은 장소에서 빠르게 번지며, 소화가 어렵고 확산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B급 화재 발생 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통사고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54%)
  • - "ㄱ" : 교통안전 규칙을 지키지 않아서 발생한 사고로, 이는 운전자의 부주의나 불법적인 운전 행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ㄴ" : 도로 환경이나 기상 조건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로, 이는 도로 상황에 맞게 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 "ㄷ" : 차량의 기술적 결함이나 정비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로, 이는 차량의 안전 점검과 유지보수가 중요하다.
    - "ㄱ, ㄴ, ㄷ" : 모든 원인이 교통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교통안전 규칙을 지키고, 도로 상황에 맞게 운전하며, 차량의 안전 점검과 유지보수를 철저히 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옳지 않은 것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통계적 재해원인 분석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레토도(Pareto Diagram) : 사고의 유형, 기인물 등 분류 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한 것
  2. 특성 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 : 특성과 요인관계를 도표로 하여 어골상(Fishbone)으로 세분화한 것
  3. 크로스도(Cross Diagram) : 하나의 원인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집계하고 표로 표시하여 결과 내역을 교차시켜 작성한 것
  4. 관리도(Control Chart) : 재해 발생 건수 등의 추이를 파악하여 목표 관리를 행하는 데 필요한 상ㆍ하한 관리선을 설정하고, 이를 그래프화하여 관리하는 방법
(정답률: 64%)
  • 크로스도는 하나의 원인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를 교차시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크로스도 : 하나의 원인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집계하고 표로 표시하여 결과 내역을 교차시켜 작성한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재해발생 시 긴급조치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ㄷ → ㄹ → ㄴ → ㅁ → ㄱ
  2. ㅁ → ㄴ → ㄹ → ㄷ → ㄱ
  3. ㅁ → ㄷ → ㄹ → ㄱ → ㄴ
  4. ㄷ → ㅁ → ㄹ → ㄱ → ㄴ
(정답률: 73%)
  • 재해 발생 시 긴급조치의 순서는 "ㄷ → ㄹ → ㄴ → ㅁ → ㄱ" 입니다.

    ㄷ은 "대피"를 의미하며, 재해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입니다.

    ㄹ은 "신고"를 의미하며, 대피 후에는 즉시 관련 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ㄴ은 "구조"를 의미하며, 대피 후에는 구조가 필요한 사람들을 구조해야 합니다.

    ㅁ은 "의료"를 의미하며, 구조된 사람들 중에는 의료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의료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ㄱ은 "확인"을 의미하며, 모든 대피, 신고, 구조, 의료조치가 끝난 후에는 상황을 확인하고 대처 방안을 검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돌발적인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그것에 의식이 집중되어 다른 위험사항을 인식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로 인하여 중대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인간의 심리는?

  1. 장면행동(場面行動)
  2. 주연동작(周緣動作)
  3. 위험감각(危險感覺)
  4. 생략행위(省略行爲)
(정답률: 46%)
  • 돌발적인 위기상황에서는 인간의 심리가 장면에 집중되어 다른 위험사항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즉각적인 행동을 취하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을 "장면행동(場面行動)"이라고 합니다. 이는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위해 인간이 자연스럽게 하는 행동으로, 생존에 필수적인 행동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돌발적인 위기상황에서 인간의 심리와 관련된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장면행동(場面行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성인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적절한 가슴압박 속도는?

  1. 분당 60~80회
  2. 분당 80~100회
  3. 분당 100~120회
  4. 분당 120~140회
(정답률: 67%)
  • 적절한 가슴압박 속도는 분당 100~120회입니다. 이는 심장을 충분히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속도로, 이 속도를 유지하면 심폐소생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속도는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에서도 권장되는 속도입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는 분당 100~120회의 가슴압박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국가대테러활동지침」상 대테러특공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러사건에 대한 무력진압작전의 수행을 위하여 국방부ㆍ국민안전처ㆍ경찰청에 대테러특공대를 둔다.
  2. 테러사건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대테러특공대의 출동 여부는 테러대책상임위원회에서 결정한다.
  3. 대테러특공대는 테러진압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수전술능력을 보유하여야 하며, 항상 즉각적인 출동 태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4. 국방부장관ㆍ국민안전처장관ㆍ경찰청장은 대테러특공대의 구성 및 외부 교육훈련ㆍ이동 등 운용사항을 대통령경호안전대책위원회의 위원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25%)
  • "테러사건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대테러특공대의 출동 여부는 테러대책상임위원회에서 결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대테러특공대의 출동 여부는 국방부장관ㆍ국민안전처장관ㆍ경찰청장이 결정하며, 이들은 대통령경호안전대책위원회의 위원으로서 대테러특공대의 구성 및 운용사항을 협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