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07)

9급 국가직 공무원 임업경영
(2018-04-07 기출문제)

목록

1. 임목 평가방법 중 비교방식으로 산출하는 방법은?

  1. 기망가법
  2. 비용가법
  3. 수익환원법
  4. 시장가역산법
(정답률: 67%)
  • 시장가역산법은 임목의 가치를 결정할 때, 해당 임목이 시장에서 판매될 때의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장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진 임목들의 가격을 비교하여 해당 임목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비교방식으로 산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장가역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택벌림과 같이 연년수입이 있는 경우의 임지를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1. 수익환원법
  2. 원가법
  3. 임지기망가법
  4. 임지비용가법
(정답률: 69%)
  • 택벌림과 같이 연년수입이 있는 경우에는 수익환원법을 사용하여 임지를 평가합니다. 이는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률을 계산하여, 해당 임지의 예상 수익을 현재 가치로 환원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률이 높을수록 해당 임지의 가치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산림경영계획에서 국유림의 특수용도기준벌기령이 가장 긴 수종은?

  1. 편백
  2. 삼나무
  3. 잣나무
  4. 리기다소나무
(정답률: 74%)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국유림의 특수용도기준벌기령은 산림경영계획에서 국유림의 특수용도에 따라 벌목이 가능한 최대 수종을 규정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긴 수종은 잣나무입니다. 이는 잣나무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종 중 하나이며, 그 크기와 가치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잣나무는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나무 중 하나이기 때문에 벌목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우리나라는 산림자원의 효율적 조성과 육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산림의 기능을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원함양림
  2. 산림휴양림
  3. 생활환경보전림
  4. 유전자원보전림
(정답률: 100%)
  • "유전자원보전림"은 산림의 기능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산림의 기능 6가지는 생산기능, 보호기능, 수질개선기능, 기후조절기능, 풍경개선기능, 생태계보전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임목 측정에 이용하는 형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수는 실제 임목의 재적과 일정 부위의 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원기둥 체적과의 비를 의미한다.
  2. 일반적으로 지위가 양호할수록 흉고형수가 크다.
  3. 절대형수는 직경의 지표부위와 접촉하는 입목의 최하단을 이용한다.
  4. 직경의 측정위치에 따라 형수는 일반적으로 흉고형수, 정형수, 절대형수로 구분한다.
(정답률: 91%)
  • 일반적으로 지위가 양호할수록 흉고형수가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지위가 양호하다는 것은 나무가 성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나무의 생장이 좋아져서 흉고의 크기가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위가 양호할수록 흉고형수가 커진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정답: 일반적으로 지위가 양호할수록 흉고형수가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법정상태의 잣나무림이 1~20년생까지 각각 100ha씩 있다. 20년 동안 매년 간벌수확 30m3/ha와 주벌수확 90m3/ha를 얻을 수 있다면, 이 잣나무림의 1ha당 평균연년생장량[m3]은?

  1. 4
  2. 5
  3. 6
  4. 7
(정답률: 70%)
  • 1~20년생까지 각각 100ha씩 있으므로 총 면적은 2000ha이다. 매년 간벌수확 30m3/ha와 주벌수확 90m3/ha를 합산하면 120m3/ha이다. 따라서, 이 잣나무림에서 1년에 총 생산되는 잣나무의 양은 120m3/ha × 2000ha = 240,000m3이다. 이를 20년으로 나누면 1년에 평균적으로 12,000m3의 잣나무가 생산된다. 따라서, 1ha당 평균연년생장량은 12,000m3/20년 = 600m3/년 = 6m3/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벌기 60년에 도달한 편백림을 구입하고 벌채해서 1,000,000원의 수입을 얻었다. 이후부터는 벌기마다 같은 금액의 수입을 얻는다고 가정하면 전가합계[원]는? (단, 이율=3%이고 1.0360=6을 적용한다)

  1. 200,000
  2. 1,000,000
  3. 1,200,000
  4. 2,000,000
(정답률: 60%)
  • 60년 후에 벌채한 수입 1,000,000원은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1,000,000 / 1.0360 = 200,000원이 된다. 그리고 이후부터는 매년 같은 금액의 수입을 얻는다고 했으므로, 이 수입들의 현재가치를 모두 더한 것이 전가합계가 된다. 이 때, 같은 금액의 수입을 얻는 기간이 무한히 이어진다면, 이는 연금의 개념과 같다. 따라서 연금의 현재가치 공식을 적용하면 전가합계는 다음과 같다.

    전가합계 = (매년 수입 / 이율) x (1 - 1 / (1 + 이율)의 기간) = (1,000,000 / 0.03) x (1 - 1 / 1.0360) = 1,200,000

    따라서 정답은 "1,2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잔존 노령임분에 해당하는 임분 A를 윤벌기 이상의 임분으로 가정할 경우 임목의 재적은 30,000m3, 미성숙 임분의 평균연년생장량은 2,500m3, 미래임분에 적용한 윤벌기는 60년이다. 이때 Hanzlik 공식에 따른 표준연벌채량[m3]은?

  1. 2,000
  2. 2,500
  3. 3,000
  4. 3,500
(정답률: 62%)
  • Hanzlik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준연벌채량 = (임분 A의 재적 / 미성숙 임분의 평균연년생장량) x (윤벌기 / 1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표준연벌채량 = (30,000 / 2,500) x (60 / 10) = 3,000

    따라서 정답은 "3,000"입니다. 이유는 잔존 노령임분의 재적과 미성숙 임분의 평균연년생장량, 그리고 윤벌기를 이용하여 Hanzlik 공식을 적용하면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참나무류 맹아림이 10ha가 있다. 기준벌기령은 20년, 벌기수입은 ha당 200만 원일 경우 중령림인 12년생 전체 임분의 임목가[원]는? (단, 조림비는 고려하지 않는다)

  1. 720,000
  2. 1,200,000
  3. 4,200,000
  4. 7,200,000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국유림경영계획에서 사용하는 도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맞춤형 조림지도와 현 임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임지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하는 도면을 적지적수도라고 한다.
  2. 국유림을 경영, 관리하기 위한 기본정보를 표현한 도면을 위치도라고 한다.
  3. 산림의 6개 기능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유도하여 국유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면을 산림기능도라고 한다.
  4. 조림, 숲가꾸기, 임목 생산, 시설, 소득사업 등의 정보가 담긴 도면을 경영계획도라고 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산림의 6개 기능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유도하여 국유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면을 산림기능도라고 한다."입니다. 국유림경영계획에서 사용하는 도면 중 산림기능도는 국유림에서 산림의 6개 기능(생산, 보호, 경관, 생태, 문화, 레크리에이션)을 최대한 발휘시키기 위한 계획을 담은 도면입니다. 적지적수도는 해당 임지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하는 도면, 위치도는 국유림을 경영, 관리하기 위한 기본정보를 표현한 도면, 경영계획도는 조림, 숲가꾸기, 임목 생산, 시설, 소득사업 등의 정보가 담긴 도면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림의 수확조정기법 중 법정축적법이 아닌 것은?

  1. Hufnagl법
  2. Karl법
  3. Kameraltaxe법
  4. Breymann법
(정답률: 70%)
  • Hufnagl법은 산림의 수확조정기법 중에는 없습니다. Hufnagl은 산림학자가 아니며, 산림의 수확조정기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Hufnagl법은 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임분밀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아닌 것은?

  1. 입목도
  2. 수관경쟁인자
  3. 지위지수
  4. 상대공간지수
(정답률: 81%)
  • 임분밀도는 특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인구나 가구 수 등의 밀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하지만 지위지수는 개인이나 가구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지역의 밀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지위지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림공간정보서비스로부터 제공받은 임도망도를 이용하여 임도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공간을 확인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지리정보체계(GIS) 분석기능은?

  1. Buffer
  2. Intersect
  3. Clip
  4. Union
(정답률: 63%)
  • Buffer 기능은 지정한 거리 내에 있는 공간을 확인하는 기능으로, 임도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공간을 확인하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Intersect는 두 개 이상의 레이어가 교차하는 지점을 찾는 기능이며, Clip은 지정한 영역 내에 있는 공간만 추출하는 기능입니다. Union은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합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벌기령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순수익 최대의 벌기령은 조림비와 관리비에 대한 이자를 계산하지 않는다.
  2. 토지순수익 최대의 벌기령은 관리자본이 많을수록 벌기령이 짧아진다.
  3. 공예적 벌기령은 용도에 따라 형상이나 규격에 알맞은 때를 기준으로 하여 정한다.
  4. 화폐수익 최대의 벌기령은 이자를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토지순수익 최대의 벌기령은 관리자본이 많을수록 벌기령이 짧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관리자본이 많을수록 토지의 관리나 개선 등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이 많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벌기령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리자본과 벌기령은 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상관관계가 없거나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사유림 산림경영계획에서 수확을 위한 벌채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두베기의 1개 벌채구역의 면적은 최대 50만 제곱미터 이내로 한다.
  2. 모수작업 1개 벌채구역은 10만 제곱미터 이내로 한다.
  3. 골라베기 비율은 재적 기준으로 30% 이내이나, 표고재배용 나무는 50% 이내로 할 수 있다.
  4. 모두베기의 경우 벌채구역과 다른 벌채구역 사이에는 폭 20m 이상의 수림대를 남겨 두어야 한다.
(정답률: 65%)
  • "모수작업 1개 벌채구역은 10만 제곱미터 이내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벌채 구역의 면적은 벌채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모수작업은 일부 나무만 벌채하는 방법으로, 면적이 작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벌채 구역의 면적은 벌채 방법에 따라 다르며, 이를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림 분야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활동 중 취약성 평가 규준이 아닌 것은?

  1. 적응성
  2. 노출
  3. 민감성
  4. 투명성
(정답률: 89%)
  • 투명성은 기후변화 적응 활동의 취약성 평가 규준이 아닙니다. 취약성 평가 규준은 적응성, 노출, 민감성 등이 있으며, 이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투명성은 취약성 평가 규준이 아니며, 기후변화 적응 활동의 투명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기후변화 적응 활동의 계획, 구현, 모니터링 및 평가 과정에서 정보의 투명성과 공개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위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위지수는 어떤 임령에 대한 우세목의 수고를 나타낸다.
  2. 지위지수는 임지의 생산 능력을 수치로 나타낸 값이다.
  3. 서로 다른 수종들이 지위지수가 비슷하다는 것은 지위생산력이 비슷함을 뜻한다.
  4. 지위지수 산출을 위한 기준임령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다.
(정답률: 69%)
  • "서로 다른 수종들이 지위지수가 비슷하다는 것은 지위생산력이 비슷함을 뜻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서로 다른 수종들이 지위지수가 비슷하다는 것은 해당 지역에서 그 수종들이 비슷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위생산력이 비슷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림과 관련된 여러 법령에서 규정하는 산림 분야의 각종 계획수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림 등의 조성ㆍ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2. 산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산림교육종합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3. 산림복지 진흥을 위한 산림복지진흥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4.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산림유전자원의 보호와 관리를 위해 필요한 계획을 주기적으로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이행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산림 분야에서 중요한 계획 수립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산림기술 등을 개발ㆍ보급하여 공ㆍ사유림의 효율적 경영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유림을 시범림으로 조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시범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숲가꾸기 시범림
  2. 탄소흡수원 시범림
  3. 임업기계화 시범림
  4. 산림인증 시범림
(정답률: 73%)
  • 탄소흡수원 시범림은 법률 시행규칙에서 언급되지 않은 종류의 시범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낙엽송림 우세목의 수고가 20m이고 간벌 후 ha당 잔존본수가 400본일 경우, 임분의 상대공간지수(relative spacing index)는?

  1. 25%
  2. 35%
  3. 45%
  4. 55%
(정답률: 72%)
  • 상대공간지수는 간격과 나무 크기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지수로, 나무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대공간지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상대공간지수 = (실측본수 / 이상본수) * 100

    여기서, 실측본수는 간벌 후 남은 나무의 수이고, 이상본수는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나무의 수입니다. 이상본수는 나무 크기와 간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간벌 후 ha당 잔존본수가 400본이므로, 이상본수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이상본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이상본수 = (면적 / 수목공간) * 10000

    여기서, 면적은 ha 단위이므로 1로 가정하고, 수목공간은 나무의 크기와 간격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낙엽송림 우세목의 수고가 20m이므로, 수목공간은 20m * 20m = 400㎡입니다.

    따라서, 이상본수 = (1 / 400) * 10000 = 2500본입니다.

    실측본수는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상대공간지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상대공간지수 = (실측본수 / 이상본수) * 100 = (400 / 2500) * 100 = 16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상대공간지수를 보기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16을 보기에서 주어진 값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25%는 1/4이므로, 상대공간지수가 16일 때, 보기에서 주어진 값의 1/4인 25%가 정답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