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4-11)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2009-04-11 기출문제)

목록

1. ‘총엽면적 × 수광능률 × 평균동화능력’으로 표시되는 것은?

  1. 개엽동화능력
  2. 진정광합성량
  3. 포장동화능력
  4. 단위동화능력
(정답률: 94%)
  • 이 식에서 총엽면적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모든 잎의 면적을 의미하고, 수광능률은 광합성에 참여하는 잎의 면적 중에서 실제로 광합성이 일어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평균동화능력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잎 하나의 평균적인 광합성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식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전체 잎의 면적과 그 중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는 비율, 그리고 각 잎의 평균적인 광합성 능력을 곱한 것입니다. 이를 포장동화능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값이 높을수록 식물이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잎의 포장력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포장동화능력이 높을수록 잎이 더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위수정생식(僞受精生殖)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배낭을 만들지 않고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하는 것
  2. 배낭을 만들지만 배낭의 조직세포가 배를 형성하는 것
  3. 배낭모세포가 비정상적인 분열을 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
  4. 수분(受粉)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
(정답률: 91%)
  • 위수정생식은 수분(受粉)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입니다. 즉, 수컷 생식세포와 암컷 생식세포가 합체하여 수분이 되면, 그 자극을 받은 암컷 생식세포가 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암컷 생식세포가 이미 가지고 있는 난세포가 발달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분(受粉)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배로 발달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토양수분의 형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결합수는 점토광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수분이다.
  2. 흡습수는 토양입자표면에 피막상으로 흡착된 수분이다.
  3. 모관수는 중력에 의하여 비모관공극으로 흘러내리는 수분이다.
  4. 중력수는 토양공극내에서 중력에 저항하여 유지되는 수분이다.
(정답률: 96%)
  • 정답은 "흡습수는 토양입자표면에 피막상으로 흡착된 수분이다."입니다. 이유는 흡습수는 토양입자표면에 붙어있는 수분으로, 입자표면과 붙어있는 물 분자들이 서로 인력으로 서로 붙어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흡착은 입자표면과 물 분자 간의 화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흡습수는 입자표면에 피막상으로 붙어있는 수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벼와 옥수수의 생리 생태적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유관속초세포는 벼가 옥수수보다 더 발달되어 있다.
  2. CO2보상점은 벼가 옥수수보다 더 낮다.
  3. 광합성 적정온도는 벼가 옥수수보다 더 높다.
  4. 광호흡량은 벼가 옥수수보다 더 높다.
(정답률: 91%)
  • 정답은 "광호흡량은 벼가 옥수수보다 더 높다."입니다.

    벼와 옥수수는 모두 C4식물로서 광합성 방식이 유사합니다. 그러나 벼는 옥수수보다 광호흡량이 더 높습니다. 이는 벼의 광합성 적정온도가 높아서 더 많은 탄소를 고정하고, 이를 이용해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벼의 유관속초세포가 옥수수보다 더 발달되어 있어서 광합성 효율이 더 높습니다. CO2 보상점은 벼가 옥수수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북방형 목초의 하고 원인이 아닌 것은?

  1. 고온
  2. 건조
  3. 단일
  4. 병충해
(정답률: 87%)
  • 북방형 목초는 단일 원인이 아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단일" 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답안인 "단일"이 아닌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솔라리제이션(solarization)이 발생되는 주된 원인은?

  1. 엽록소의 광산화
  2. 카로티노이드의 산화
  3. 카로티노이드의 생성촉진
  4. 슈퍼옥시드의 감소
(정답률: 95%)
  • 솔라리제이션은 엽록소의 광산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엽록소는 빛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이 활성산소가 다시 엽록소와 반응하여 솔라리제이션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반전되어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마토나 배에서 과일의 착색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생장 조절제는?

  1. 지베렐린수용액(gibberellic acid)
  2. 인돌비액제(IAA + 6-benzyl aminopurine)
  3. 에세폰액제(ethephon)
  4. 비나인수화제(daminozide)
(정답률: 85%)
  • 에세폰액제는 에틸렌을 방출시켜 과일의 착색을 촉진시키는 생장 조절제입니다. 따라서 토마토나 배와 같은 과일의 착색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엽면시비에서 흡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회를 가용하면 흡수가 촉진된다.
  2. 살포액의 pH는 미산성인 것이 흡수가 잘 된다.
  3. 줄기의 정부로부터 가까운 잎에서 흡수율이 높다.
  4. 잎의 표면보다 이면에서 더 잘 흡수된다.
(정답률: 58%)
  • 석회를 가용하면 흡수가 촉진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석회가 토양의 pH를 상승시켜서 식물이 흡수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곡물의 저장 중에 나타나는 변화가 아닌 것은?

  1. 전분이 분해되어 환원당 함량이 감소한다.
  2. 호흡소모와 수분증발 등으로 중량감소가 일어난다.
  3. 품질이나 발아율의 저하가 일어난다.
  4. 지방의 자동산화에 의해 유리지방산이 증가한다.
(정답률: 79%)
  • 전분은 탄수화물 중 하나로, 곡물의 주요 영양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저장 중에 전분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전분이 분해되면서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분이 분해되어 환원당 함량이 감소한다."가 변화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과수의 결과습성 중 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ㄱ, ㄹ, ㅁ
  2. ㄴ, ㄹ, ㅂ
  3. ㄱ, ㅁ, ㅂ
  4. ㄴ, ㄷ, ㅁ
(정답률: 85%)
  • 정답은 "ㄱ, ㄹ, ㅁ" 입니다. 이유는 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로만 짝지어졌기 때문입니다. "ㄴ, ㄹ, ㅂ"과 "ㄱ, ㅁ, ㅂ"은 모두 2년생 가지에도 결실하는 과수가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ㄴ, ㄷ, ㅁ"은 모두 1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과수가 있지만, "ㄷ"는 그림에 없는 과수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재배작물의 염색체수(2n)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 - 24
  2. 옥수수 - 20
  3. 대두 - 40
  4. 감자 - 24
(정답률: 71%)
  • 감자의 염색체수는 48입니다. 감자는 4x12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염색체는 2개의 선형 염색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4x12x2=48이 됩니다. 따라서 "감자 - 24"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형의 DNA로 항생제나 제초제저항성 유전자를 가지며, 유전자 운반체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Marker
  2. Transposon
  3. Probe
  4. Plasmid
(정답률: 74%)
  • Plasmid는 원형의 DNA로 항생제나 제초제저항성 유전자를 가지며, 유전자 운반체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Plasmid가 외부적인 약물이나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lasmid는 쉽게 복제되고 전이될 수 있어 유전자 조작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상인으로 연관된 A, B 두 유전자의 재조합빈도가 20%이면, AABB × aabb 교배시 F1에서 형성되는 배우자 AB: Ab : aB: ab의 비율은?

  1. 1 : 2 : 2 : 1
  2. 2 : 1 : 1 : 2
  3. 4 : 1 : 1 : 4
  4. 1 : 4 : 4 : 1
(정답률: 76%)
  • 재조합 빈도가 20%이므로, AB와 ab 유전자는 각각 20%의 확률로 재조합되어 형성됩니다. 따라서 F1에서 AB와 ab 유전자가 각각 50%의 확률로 형성됩니다.

    또한, Aa와 Bb 유전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므로, 각각 50%의 확률로 형성됩니다.

    따라서, AB, Ab, aB, ab의 비율은 각각 0.5 × 0.5 = 0.25, 0.5 × 0.5 = 0.25, 0.5 × 0.5 = 0.25, 0.5 × 0.5 = 0.25 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나타내면 4 : 1 : 1 : 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시설 내에서 이산화탄소시비 시기로 가장 적합한 시간은?

  1. 일출 2시간 전부터 일출 때까지
  2. 일출 30분 후부터 2~3시간
  3. 오후 4시부터 2~3시간
  4. 일몰 후 2~3시간
(정답률: 90%)
  • 일출 30분 후부터 2~3시간은 실외 활동 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낮은 시기입니다. 이는 일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환경에서 발생하는 광합성 작용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아직 낮이 높지 않아서 일조량이 적어서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시설 내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이 시간대를 활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안티센스 RNA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형질전환식물은?

  1. Bollgard - 면화
  2. TMV저항성 - 담배
  3. Roundup Ready - 콩
  4. Flavr Savr - 토마토
(정답률: 76%)
  • 안티센스 RNA 기술은 특정 유전자를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술입니다. Flavr Savr 토마토는 이 기술을 이용하여 토마토의 성숙도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억제하여 수확 후 오랫동안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작물의 엽록소형성, 굴광현상, 일장효과 및 야간조파에 가장 효과적인 광으로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엽록소형성, 굴광현상, 일장효과, 야간조파)

  1. 자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2. 적색광, 청색광, 적색광, 적색광
  3. 황색광, 청색광, 황색광, 청색광
  4. 적색광, 적색광, 자색광, 적색광
(정답률: 77%)
  • - 엽록소형성: 적색광이 가장 효과적이다. 엽록소는 적색광을 가장 잘 흡수하기 때문이다.
    - 굴광현상: 청색광이 가장 효과적이다. 굴광현상은 광의 파장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청색광이 가장 강한 굴광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 일장효과: 적색광이 가장 효과적이다. 일장효과는 광의 강도에 따라 식물의 성장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적색광이 가장 강한 일장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 야간조파: 적색광이 가장 효과적이다. 야간조파는 광의 파장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적색광이 가장 강한 야간조파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우리나라 논에 주로 발생하는 다년생 광엽잡초로만 짝지어진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ㄷ, ㄹ, ㅁ
  4. ㄹ, ㅁ, ㅂ
(정답률: 58%)
  • 정답은 "ㄴ, ㄷ, ㄹ"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잡초들이 모두 다년생 광엽잡초이며, 이 중에서도 주로 발생하는 것이 "노루풀(ㄴ)", "들깨풀(ㄷ)", "마타리(ㄹ)" 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계통육종과 집단육종의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통육종은 육종효과가 빨리 나타나며, 시간과 노력이 절약된다.
  2. 계통육종은 육안관찰이나 특성검정이 용이한 질적형질의 개량에 효율적이다.
  3. 집단육종은 양적형질의 개량에 유리하며, 유용유전자를 상실할 염려가 적다.
  4. 집단육종은 출현빈도가 낮은 우량유전자형을 선발할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65%)
  • "계통육종은 육종효과가 빨리 나타나며, 시간과 노력이 절약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계통육종은 육종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논토양에서 일어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수된 논토양의 심토는 유기물이 극히 적어서 산화층을 형성한다.
  2. 토양의 상층부는 산화제1철에 의해 표층이 적갈색을 띤 산화층이 된다.
  3. 암모니아태질소를 산화층에 주면 질화균의 작용에 의해 질산으로 된다.
  4. 암모니아태질소를 심부 환원층에 주면 토양에 잘 흡착되므로 비효가 오래 지속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암모니아태질소를 심부 환원층에 주면 토양에 잘 흡착되므로 비효가 오래 지속된다."입니다.

    논토양에서 일어나는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암모니아태질소를 심부 환원층에 주면 토양에 잘 흡착되므로 비효가 오래 지속된다."입니다. 실제로는 암모니아태질소는 토양의 산화층에서 질산으로 변환되며, 이는 질소의 비효율적인 소실을 가져옵니다.

    그리고 "토양의 상층부는 산화제1철에 의해 표층이 적갈색을 띤 산화층이 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토양의 산화환원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적갈색 산화층은 토양의 생산성과 건강한 식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산화탄소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2. 잎이 무성한 공기층은 여름철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고, 가을철에 높아진다.
  3. 식생이 무성하면 지면에 가까운 공기층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아진다.
  4. 미숙퇴비, 녹비를 시용하면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높아진다.
(정답률: 45%)
  • "미숙퇴비, 녹비를 시용하면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높아진다."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 중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식생이 무성하면 지면에 가까운 공기층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아지는 이유는 식물들이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생이 무성한 지역일수록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