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4-08)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2017-04-08 기출문제)

목록

1. 식물의 진화와 작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리적으로 떨어져 상호간 유전적 교섭이 방지되는 것을 생리적 격리라고 한다.
  2. 식물은 자연교잡과 돌연변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유전적 변이가 발생한다.
  3. 식물종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종으로 끊임없이 변화되어 간다.
  4. 작물의 개화기는 일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정답률: 94%)
  • "작물의 개화기는 일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작물의 개화기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시기로 발달합니다.

    "지리적으로 떨어져 상호간 유전적 교섭이 방지되는 것을 생리적 격리라고 한다."는 서로 다른 지역에 서식하는 동일한 종의 개체들이 서로 교배하지 못하도록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서로 만날 기회가 적거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집단육종과 계통육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육종에서는 자연선택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집단육종에서는 초기세대에 유용유전자를 상실할 염려가 크다.
  3. 계통육종에서는 육종재료의 관리와 선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
  4. 계통육종에서는 잡종 초기세대부터 계통단위로 선발하므로 육종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정답률: 97%)
  • "집단육종에서는 초기세대에 유용유전자를 상실할 염려가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집단육종에서는 초기세대에서는 유전적 다양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유용한 유전자가 상실될 염려가 적습니다. 그러나 계속해서 집단육종을 이어나가면서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면서 유용한 유전자가 상실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벼의 장해형 냉해에 해당되는 것은?

  1. 유수형성기에 냉온을 만나면 출수가 지연된다.
  2. 저온조건에서 규산흡수가 적어지고, 도열병 병균침입이 용이 하게 된다.
  3. 질소동화가 저해되어 암모니아의 축적이 많아진다.
  4. 융단조직(tapete)이 비대하고 화분이 불충실하여 불임이 발생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융단조직(tapete)이 비대하고 화분이 불충실하여 불임이 발생한다."입니다. 이유는 벼의 장해형 냉해는 주로 저온으로 인한 영양분 흡수의 감소와 질소동화의 저해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융단조직(tapete)이 비대하고 화분이 불충실해져서 적절한 수분과 영양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임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CE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EC가 커지면 토양의 완충능이 커지게 된다.
  2. CEC가 커지면 비료성분의 용탈이 적어 비효가 늦게까지 지속된다.
  3. 토양 중 점토와 부식이 늘어나면 CEC도 커진다.
  4. 토양 중 교질입자가 많으면 치환성 양이온을 흡착하는 힘이 약해진다.
(정답률: 100%)
  • "토양 중 교질입자가 많으면 치환성 양이온을 흡착하는 힘이 약해진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토양 중 교질입자가 많을수록 치환성 양이온을 흡착하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교질입자는 토양 내부에서 양이온을 교환하며, 이 과정에서 CEC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광처리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겨울철 잎들깨 재배 시 적색광 야간조파는 개화를 억제한다.
  2. 양상추 발아 시 근적외광 조사는 발아를 촉진한다.
  3. 플러그묘 생산 시 자외선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신장을 억제한다.
  4. 굴광현상에는 400~500 nm, 특히 440~480 nm의 광이 가장 유효하다.
(정답률: 94%)
  • "양상추 발아 시 근적외광 조사는 발아를 촉진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근적외선은 파장이 길어서 광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적외광은 광에너지를 이용한 광화학적 반응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근적외광은 발아를 촉진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잡종강세를 설명하는 이론이 아닌 것은?

  1. 복대립유전자설
  2. 초우성설
  3. 초월분리설
  4. 우성유전자연관설
(정답률: 70%)
  • 초월분리설은 잡종강세를 설명하는 이론이 아닙니다. 초월분리설은 종의 형성과 진화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종이 하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되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분화가 일어날 때, 새로운 종은 이전 종보다 더 적극적으로 번식하고 생존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것이 초월분리설의 핵심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3쌍의 독립된 대립유전자에 대하여 F1의 유전자형이 AaBbCc일 때 F2에서 유전자형의 개수는? (단, 돌연변이는 없음)

  1. 9개
  2. 18개
  3. 27개
  4. 36개
(정답률: 97%)
  • 3쌍의 독립된 대립유전자에 대하여 F1의 유전자형이 AaBbCc일 때, F2에서 각 대립유전자 쌍은 독립적으로 분리하므로 각 대립유전자 쌍마다 가능한 모든 유전자형을 곱해주면 된다.

    각 대립유전자 쌍에서 가능한 유전자형의 개수는 2개씩이므로, 3쌍의 대립유전자에서 가능한 유전자형의 개수는 23 = 8개이다.

    따라서, F2에서 가능한 유전자형의 개수는 83 = 512개이다.

    하지만, AaBbCc 유전자형은 중복되므로 이 중복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중복을 제거하면 27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형이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27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작물별 수량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곡류의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수수, 1수 영화수, 등숙률, 1립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과실의 수량구성요소는 나무당 과실수, 과실의 무게(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3. 뿌리작물의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식물체수, 식물체당 덩이뿌리(덩이줄기)수, 덩이뿌리(덩이줄기)의 무게로 구성되어 있다.
  4. 성분을 채취하는 작물의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식물체수, 성분 채취부위의 무게, 성분 채취부위의 수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75%)
  • 옳지 않은 설명은 "화곡류의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수수, 1수 영화수, 등숙률, 1립중으로 구성되어 있다."입니다. 화곡류의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수수, 1수 영화수, 등숙률, 1립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1립중 대신 1촉중이 구성요소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물체 내 수분퍼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트릭퍼텐셜은 식물체 내 수분퍼텐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세포의 수분퍼텐셜이 0이면 원형질분리가 일어난다.
  3. 삼투퍼텐셜은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
  4. 세포의 부피와 압력퍼텐셜이 변화함에 따라 삼투퍼텐셜과 수분퍼텐셜이 변화한다.
(정답률: 88%)
  • 세포의 수분퍼텐셜이 0이면 원형질분리가 일어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세포의 수분퍼텐셜이 음수가 되면 원형질분리가 일어납니다. 이는 수분이 세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되어 세포가 수축하게 되는 것입니다.

    세포의 수분퍼텐셜이 0이 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외부의 수분퍼텐셜이 더 높은 경우입니다. 이 경우 수분이 세포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세포가 팽창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춘화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흡을 저해하는 조건은 춘화처리도 저해한다.
  2. 최아종자 고온 춘화처리 시 광의 유무가 춘화처리에 관계하지 않는다.
  3. 밀에서 생장점 이외의 기관에 저온처리하면 춘화처리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4. 밀은 한번 춘화되면 새로이 발생하는 분얼도 직접 저온을 만나지 않아도 춘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정답률: 87%)
  • 최아종자 고온 춘화처리 시 광의 유무가 춘화처리에 관계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광의 유무는 춘화처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광이 있는 상태에서 춘화처리를 하면 광에 의해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미생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이 있는 상태에서 춘화처리를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 포장내에서 위치에 따라 종자, 비료, 농약 등을 달리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최대로 하려는 농업은?

  1. 생태농업
  2. 정밀농업
  3. 자연농업
  4. 유기농업
(정답률: 100%)
  • 정밀농업은 한 포장내에서 위치에 따라 종자, 비료, 농약 등을 달리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최대로 하는 농업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밀농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같은 해에 여러 작물을 동일 포장에서 조합ㆍ배열하여 함께 재배하는 작부체계가 아닌 것은?

  1. 윤작
  2. 혼작
  3. 간작
  4. 교호작
(정답률: 97%)
  • 윤작은 같은 포장에서 여러 작물을 조합하여 함께 재배하는 작부체계가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한 작물만을 재배하고 그 이후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작법입니다. 따라서 윤작은 같은 포장에서 여러 작물을 조합하여 함께 재배하는 작부체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벼 조식재배에 의해 수량이 높아지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단위면적당 수수의 증가
  2. 단위면적당 영화수의 증가
  3. 등숙률의 증가
  4. 병해충의 감소
(정답률: 71%)
  • 벼 조식재배는 벼를 더욱 빠르게 성장시키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가 증가하고, 또한 벼가 더욱 건강하게 자라기 때문에 등숙률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벼 조식재배는 병해충의 감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맥류와 가지에서는 최아하여 파종한다.
  2. 감자, 양파에서는 MH(Maleic Hydrazide)를 처리한다.
  3. 파종 전에 수분을 가하여 종자가 발아에 필요한 생리적인 준비를 갖추게 하는 프라이밍 처리를 한다.
  4. 파종 전 종자에 흡수ㆍ건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처리한다.
(정답률: 92%)
  • 감자와 양파에서 MH(Maleic Hydrazide)는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해 처리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자, 양파에서는 MH(Maleic Hydrazide)를 처리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토양반응과 작물의 생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유기물을 분해하거나 공기질소를 고정하는 활성박테리아는 중성 부근의 토양반응을 좋아한다.
  2. 토양 중 작물 양분의 가급도는 토양 pH에 따라 크게 다르며, 중성~약산성에서 가장 높다.
  3. 강산성이 되면 P, Ca, Mg, B, Mo 등의 가급도가 감소되어 생육이 감소한다.
  4. 벼, 양파, 시금치는 산성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정답률: 85%)
  • "벼, 양파, 시금치는 산성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벼, 양파, 시금치는 중성부근의 토양반응을 선호하며,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료성분의 배합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과인산석회+질산태질소비료
  2. 암모니아태질소비료+석회
  3. 유기질 비료+질산태질소비료
  4. 과인산석회+용성인비
(정답률: 88%)
  • 과인산석회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칼슘과 인을 함께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주며, 용성인비는 질산태질소와 암모니아태질소를 함유하고 있어 질산태질소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암모니아태질소는 식물의 잎의 녹색염색소인 엽록소의 생성에 필요한 질소원으로 작용하여 식물의 생장과 엽록소 생성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과인산석회와 용성인비를 함께 사용하면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칼슘, 인, 질산태질소, 암모니아태질소를 모두 공급하여 효과적인 비료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작물의 재배 환경 중 광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군락 최적엽면적지수는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을 때 커진다.
  2. 식물의 건물생산은 진정광합성량과 호흡량의 차이, 즉 외견상 광합성량이 결정한다.
  3. 군락의 형성도가 높을수록 군락의 광포화점이 낮아진다.
  4. 보상점이 낮은 식물은 그늘에 견딜 수 있어 내음성이 강하다.
(정답률: 97%)
  • "식물의 건물생산은 진정광합성량과 호흡량의 차이, 즉 외견상 광합성량이 결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군락의 형성도가 높을수록 군락의 광포화점이 낮아진다는 이유는, 광포화점이란 광합성과 호흡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을 말하는데, 광합성이 높아질수록 광포화점은 높아지고, 호흡이 높아질수록 광포화점은 낮아집니다. 따라서 군락의 형성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이 높아지므로 광포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전자지도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관된 유전자간 재조합빈도(RF)를 이용하여 유전자들의 상대적 위치를 표현한 것이 유전자지도이다.
  2. F1 배우자(gamete) 유전자형의 분리비를 이용하여 RF 값을 구할 수 있다.
  3. 유전자 A와 C 사이에 B가 위치하고, A-C 사이에 이중교차가 일어나는 경우, A-B 간 RF=r, B-C 간 RF=s, A-C 간 RF=t 일 때 r+s < t 이다.
  4. 유전자지도는 교배 결과를 예측하여 잡종 후대에서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분리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새로 발견된 유전자의 연관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정답률: 97%)
  • 유전자 A와 C 사이에 B가 위치하고, A-C 사이에 이중교차가 일어나는 경우, A-B 간 RF=r, B-C 간 RF=s, A-C 간 RF=t 일 때 r+s < t 이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유전자 A와 C 사이에 B가 위치하고, A-C 사이에 이중교차가 일어나는 경우, A-B-C 유전자의 모든 유형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 A-B 간 RF=r, B-C 간 RF=s, A-C 간 RF=t 이므로 r+s+t=1이다. 이때 r+s < t 이므로, B가 A와 C 사이에서 중간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대립유전자 상호작용 및 비대립유전자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복유전자에서는 같은 형질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이 누적효과를 나타낸다.
  2. 보족유전자에서는 여러 유전자들이 함께 작용하여 한 가지 표현형을 나타낸다.
  3. 억제유전자는 다른 유전자 작용을 억제하기만 한다.
  4. 불완전우성, 공우성은 대립유전자 상호작용이다.
(정답률: 64%)
  • 정답: "불완전우성, 공우성은 대립유전자 상호작용이다."

    해설: 중복유전자에서는 같은 형질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이 누적효과를 나타내며, 보족유전자에서는 여러 유전자들이 함께 작용하여 한 가지 표현형을 나타냅니다. 억제유전자는 다른 유전자 작용을 억제하기만 하며, 대립유전자 상호작용은 서로 다른 형질을 나타내는 두 유전자가 동일한 염색체에 위치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불완전우성과 공우성은 대립유전자 상호작용 중 하나입니다. 불완전우성은 두 대립유전자가 모두 표현되어 중간 형질을 나타내는 경우이고, 공우성은 두 대립유전자가 모두 표현되어 둘 중 어느 하나의 형질만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물의 수확 및 수확 후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벼의 열풍건조 온도를 55°C로 하면 45°C로 했을 때보다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동할미와 싸라기 비율이 감소된다.
  2. 비호흡급등형 과실은 수확 후 부적절한 저장 조건에서도 에틸렌의 생성이 급증하지 않는다.
  3. 수분함량이 높은 감자의 수확작업 중에 발생한 상처는 고온ㆍ건조한 조건에서 유상조직이 형성되어 치유가 촉진된다.
  4. 현미에서는 지방산도가 20mg KOH/100 g 이하를 안전저장 상태로 간주하고 있다.
(정답률: 64%)
  • 현미에서는 지방산도가 20mg KOH/100 g 이하를 안전저장 상태로 간주하고 있다. - 현미는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저장 시 지방산이 산화되어 불쾌한 냄새와 맛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저장을 위해서는 지방산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