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7-11)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2020-07-11 기출문제)

목록

1. 식물학적 기준에 따라 작물을 분류하였을 때,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십자화과 식물-무, 배추, 고추, 겨자
  2. 화본과 식물-벼, 옥수수, 수수, 호밀
  3. 콩과 식물-동부, 팥, 땅콩, 자운영
  4. 가지과 식물-감자, 담배, 토마토, 가지
(정답률: 87%)
  • 십자화과 식물은 무, 배추, 고추, 겨자와 같은 식물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십자화과에 속합니다. 따라서, "십자화과 식물-무, 배추, 고추, 겨자"는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식물의 염색체에 일어나는 수적 변이에서 염색체 수가 게놈의 기본 수와 같거나 정의 배수 관계가 아닌 것은?

  1. 이수체
  2. 반수체
  3. 동질배수체
  4. 이질배수체
(정답률: 87%)
  • 이수체는 염색체 수가 게놈의 기본 수와 같은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수체는 염색체 수가 배수 관계가 아니며, 다른 수적 변이들과 달리 염색체 수가 변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반수체는 염색체 수가 게놈의 절반인 상태를 말하며, 동질배수체와 이질배수체는 염색체 수가 게놈의 배수 관계에 따라 변하는 수적 변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작물 수량 삼각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전성, 재배환경 및 재배기술을 세 변으로 한다.
  2. 작물의 최대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좋은 환경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여 적절한 재배기술을 적용한다.
  3. 3요소 중 어느 한 요소가 가장 클 때 최대수량을 얻을 수 있다.
  4. 삼각형의 면적은 생산량을 표시한다.
(정답률: 100%)
  • 3요소 중 어느 한 요소가 가장 클 때 최대수량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작물의 최대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유전성, 재배환경 및 재배기술 모두가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즉, 좋은 환경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여 적절한 재배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모든 요소가 최적화되면 최대수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삼각형은 작물 수량 삼각형이라는 개념에서는 사용되지만, 생산량을 표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장처리에 따른 개화 여부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장일식물
  2. 장일식물
  3. 단일식물
  4. 단일식물
(정답률: 88%)
  • 일장처리는 하나의 꽃이 여러 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꽃에서 하나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꽃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장일식물"은 여러 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꽃이 남아있기 때문에 개화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단일식물"은 하나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꽃이기 때문에 개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일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원소는?

  1. 나트륨(Na)
  2. 코발트(Co)
  3. 염소(Cl)
  4. 몰리브덴(Mo)
(정답률: 94%)
  • 이 글에서 설명하는 원소는 나트륨(Na)입니다. 그림에서는 Na라는 원소 기호와 함께 원자번호 11이 적혀 있습니다. 이는 나트륨이 11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양전하를 가진 이온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그림에서는 나트륨의 원자 구조도 나타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내건성이 큰 작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할 때 호흡이 낮아지는 정도가 크고, 광합성이 감퇴하는 정도가 낮다.
  2. 건조할 때 단백질 및 당분의 소실이 늦다.
  3. 뿌리 조직이 목화된 작물이 일반적으로 내건성이 강하다.
  4. 세포의 크기가 작은 작물이 일반적으로 내건성이 강하다.
(정답률: 74%)
  • "세포의 크기가 작은 작물이 일반적으로 내건성이 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뿌리 조직이 목화된 작물이 일반적으로 내건성이 강한 이유는, 목화된 뿌리 조직이 물을 흡수하고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건조한 환경에서도 물을 충분히 보유할 수 있어서, 호흡과 광합성이 감퇴하는 정도가 낮고, 단백질 및 당분의 소실이 늦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는 무 종자 100립을 치상하여 5일 동안 발아시킨 결과이다. 발아율(發芽率), 발아세(發芽勢) 및 발아전(發芽揃) 일수(日數)는? (단, 발아세 중간조사일은 4일이다)(순서대로 발아율(%), 발아세(%), 발아전 일수)

  1. 92, 82, 치상 후 4일
  2. 92, 82, 치상 후 3일
  3. 82, 92, 치상 후 4일
  4. 82, 92, 치상 후 3일
(정답률: 82%)
  • 발아율은 발아한 종자의 수를 전체 종자 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발아한 종자의 수는 92개이고, 전체 종자 수는 100개이므로 발아율은 92%이다.

    발아세는 발아한 종자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중간조사일인 4일 때 발아한 종자의 성장 정도가 82%이므로, 발아세는 82%이다.

    발아전 일수는 발아 시작일부터 모든 종자가 발아하는데 걸린 일수이다. 따라서, 모든 종자가 발아한 날짜를 찾으면 된다. 표에서 모든 종자가 발아한 날짜는 치상 후 4일이다. 따라서, 발아전 일수는 치상 후 4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92, 82, 치상 후 4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귀리의 외영색이 흑색인 것(AABB)과 백색인 것(aabb)을 교배한 F1의 외영은 흑색(AaBb)이고 자식세대인 F2에서는 흑색(A_B_, A_bb)과 회색(aaB_) 및 백색(aabb)이 12 : 3 : 1로 분리한다. 이러한 유전자 상호작용은?

  1. 우성상위(피복유전자)
  2. 열성상위(조건유전자)
  3. 억제유전자
  4. 이중열성상위(보족유전자)
(정답률: 81%)
  • 이러한 유전현상은 우성상위(피복유전자)에 의한 것입니다. 귀리의 외영색이 흑색인 것과 백색인 것은 각각 AABB와 aabb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을 교배하면 F1세대에서는 AaBb 유전자형이 나타나는데, 이는 흑색을 나타내는 유전자가 우성상위(피복유전자)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1세대에서는 흑색이 나타나게 됩니다. F2세대에서는 A_B_, A_bb, aaB_, aabb 유전자형이 나타나는데, 이들이 나타나는 비율이 12 : 3 : 1입니다. 이는 우성상위(피복유전자)에 의한 유전현상으로, A_B_와 A_bb 유전자형은 모두 흑색을 나타내는데, A_B_ 유전자형은 B 유전자가 우성상위(피복유전자)에 해당하고, A_bb 유전자형은 b 유전자가 우성상위(피복유전자)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현상은 우성상위(피복유전자)에 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선택성 제초제인 2,4-D를 처리했을 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잡초는?

  1. 돌피
  2. 바랭이
  3. 나도겨풀
  4. 개비름
(정답률: 53%)
  • 2,4-D는 주로 넓은 잔디밭에서 사용되는 선택성 제초제이며, 잡초 중에서는 넓은 잔디밭에서 자주 발생하는 잡초인 개비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개비름은 잔디와 비슷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2,4-D와 같은 선택성 제초제에 잘 반응하며, 뿌리가 얕아서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돌피, 바랭이, 나도겨풀은 뿌리가 깊고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2,4-D와 같은 선택성 제초제로는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필수원소인 황(S)의 결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백질의 생성이 억제된다.
  2. 콩과 작물의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한 질소고정이 감소한다.
  3. 체내 이동성이 높아 황백화는 오래된 조직에서 먼저 나타난다.
  4. 세포분열이 억제되기도 한다.
(정답률: 91%)
  • 체내 이동성이 높아 황백화는 오래된 조직에서 먼저 나타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황백화는 오히려 신규 조직에서 먼저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 수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알팔파와 수박 등은 단명종자이고, 메밀과 양파 등은 장명종자로 분류된다.
  2. 종자의 원형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응고는 저장종자 발아력 상실의 원인 중 하나이다.
  3. 수분 함량이 높은 종자를 밀폐 저장하면 수명이 연장된다.
  4. 종자 저장 중 산소가 충분하면 유기호흡이 조장되어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명이 연장된다.
(정답률: 85%)
  • 종자의 원형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응고하면 저장종자 발아력이 상실되는 이유는, 응고된 단백질이 수분과 산소 등을 흡수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발아력이 상실되고, 종자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옳은 것은 "종자의 원형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응고는 저장종자 발아력 상실의 원인 중 하나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밀농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물양분종합관리와 병해충종합관리를 기반으로 화학비료와 농약 사용량을 크게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농업이다.
  2. 궁극적인 목표는 비료, 농약, 종자의 투입량을 동일하게 표준화하여 과학적으로 작물을 관리하는 것이다.
  3. 농산물의 안전성을 추구하는 농업으로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해 시행하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이다.
  4. 작물의 생육상태를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농자재를 필요한 양만큼 투입하는 농업이다.
(정답률: 82%)
  • 정밀농업은 작물의 생육상태를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농자재를 필요한 양만큼 투입하는 농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생태종(生態種)과 생태형(生態型)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ㄷ, ㄹ
(정답률: 84%)
  • - 생태종(生態種)은 서로 교배가 가능하고, 유전적으로 유사한 개체들의 집합으로, 생물학적 종의 개념과 유사하다. 따라서, 한 종 내에서는 서로 다른 생태형이 존재할 수 있다. (ㄱ)
    - 생태형(生態型)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는 생물군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생태형은 서로 다른 생태적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한 생태종 내에서도 서로 다른 생태형이 존재할 수 있다. (ㄴ)
    - 생태적 역할은 생물군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원을 이용하고,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여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태적 역할이 다른 생물군은 서로 다른 생태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ㄷ)
    - 생태지리적 분포는 생물군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는 생물군은 서로 다른 생태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ㄹ)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토(砂土)부터 식토(埴土) 사이의 토성을 갖는 모든 토양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ㄷ
  2. ㄱ, ㄴ, ㅂ
  3. ㄷ, ㄹ, ㅁ
  4. ㄹ, ㅁ, ㅂ
(정답률: 77%)
  • 사토(砂土)는 모래로 이루어져 있어 수분 보유력이 낮고, 공기 순환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뿌리가 깊게 자라지 않는 작물이 적합합니다. 반면에 식토(埴土)는 모래, 진흙, 흙 등이 혼합되어 있어 수분 보유력과 공기 순환성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작물이 재배 가능합니다. 따라서 "ㄱ, ㄴ, ㅂ"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장효과와 춘화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춘화처리는 광주기와 피토크롬(phytochrome)에 의해 결정된다.
  2. 일장효과는 생장점에서 감응하고 춘화처리는 잎에서 감응한다.
  3. 대부분의 단일식물은 개화를 위해 저온춘화가 요구된다.
  4. 지베렐린은 저온과 장일을 대체하여 화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81%)
  • 정답은 "지베렐린은 저온과 장일을 대체하여 화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입니다.

    지베렐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생장점에서 감응하는 일장효과와는 다르게 잎에서 감응하는 춘화처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단일식물은 개화를 위해 저온춘화가 요구되지만, 이는 춘화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현상입니다. 따라서 "춘화처리는 광주기와 피토크롬에 의해 결정된다."와 "일장효과는 생장점에서 감응하고 춘화처리는 잎에서 감응한다."는 옳지만, 이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양반응과 작물생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곰팡이는 넓은 범위의 토양반응에 적응하고 특히 알칼리성 토양에서 가장 번식이 좋다.
  2. 토양이 강알칼리성이 되면 질소(N), 철(Fe), 망간(Mn) 등의 용해도가 감소해 작물생육에 불리하다.
  3. 몰리브덴(Mo)은 pH 8.5 이상에서 용해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4. 근대, 완두, 상추와 같은 작물은 산성 토양에 대해서 강한 적응성을 보인다.
(정답률: 75%)
  • 토양이 강알칼리성이 되면 질소(N), 철(Fe), 망간(Mn) 등의 용해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원소들이 작물에 흡수되지 못하고 결국 작물생육에 불리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특성을 갖는 토양에서 재배 적응성이 낮은 작물은?

  1. 토란, 당근
  2. 시금치, 부추
  3. 감자, 호박
  4. 토마토, 수박
(정답률: 82%)
  • 이 토양은 염분 함량이 높고 pH 값이 낮은 염토 토양입니다. 따라서 염분에 민감한 작물인 시금치와 부추는 이 토양에서 재배 적응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가)와 (나)에 해당하는 박과(Cucurbitaceae) 채소의 접목 방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순서대로 (가), (나))

  1. 삽접, 합접
  2. 호접, 합접
  3. 삽접, 핀접
  4. 호접, 핀접
(정답률: 64%)
  • (가)는 호접, (나)는 합접입니다.

    호접은 두 개의 식물을 절단하여 한 쪽 식물의 줄기에 다른 쪽 식물의 뿌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뿌리를 삽입한 식물의 뿌리가 호접한 식물의 줄기를 따라 성장합니다.

    합접은 두 개의 식물을 절단하여 한 쪽 식물의 줄기와 다른 쪽 식물의 줄기를 서로 이어 붙이는 방법으로, 두 식물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식물처럼 성장합니다.

    따라서, 박과 채소의 접목 방법은 호접과 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피해에 대한 대책은?

  1. 뿌림골을 낮게 관리한다.
  2. 봄철 답압을 실시한다.
  3. 모래를 객토한다.
  4. 황과 철 비료를 시용한다.
(정답률: 68%)
  • 해당 글에서 설명하는 피해는 뿌림골의 토양침식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래를 객토하여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뿌림골을 낮게 관리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것이 대책입니다. 봄철 답압을 실시하거나 황과 철 비료를 시용하는 것은 해당 글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결실을 직접적으로 조절ㆍ조장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화 및 적과는 과실의 품질 향상과 해거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2. 상품성 높은 씨 없는 과실을 만들기 위해 수박은 배수성 육종을 이용하고, 포도는 지베렐린 처리로 단위결과를 유도한다.
  3. 과수의 적화제(摘花劑)로는 주로 꽃봉오리나 꽃의 화기에 장해를 주는 약제로 카르바릴과 NAA가 이용된다.
  4. 옥신계통의 식물생장조절제를 살포하면 이층의 형성을 억제하여 후기낙과를 방지하는 효과가 크다.
(정답률: 76%)
  • "과수의 적화제(摘花劑)로는 주로 꽃봉오리나 꽃의 화기에 장해를 주는 약제로 카르바릴과 NAA가 이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적화제는 꽃을 제거하여 결실을 강화하고 결실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보기에서는 꽃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꽃에 장해를 주는 약제로 설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