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1-26)

바리스타 2급
(2005-1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커피학 개론

1. 커피의 과실을 형태학적으로 분류하면 무엇인가?

  1. 장과(漿果)
  2. 핵과(核果)
  3. 견과(堅果)
  4. 건과(乾果)
(정답률: 80%)
  • 커피의 과실은 핵과(核果)에 해당한다. 핵과는 과육과 종자가 함께 있는 열매로, 커피의 경우 열매 안에 씨앗과 함께 과육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른 선택지인 장과는 열매 안에 씨앗만 있고 과육이 없는 열매를 말하며, 견과는 열매가 딱딱하고 단단한 것을 말하고, 건과는 열매가 건조하고 단단한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커피 종류 중 종자가 다른 것은?

  1. 타이피카(typica)
  2. 버본(Bourbon)
  3. 카투라(Caturra)
  4. 코닐론(Conillon)
(정답률: 68%)
  • 코닐론은 로부스타(Robusta) 종자이고, 나머지는 아라비카(Arabica) 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피베리(Peaberry)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스페인어로 카라콜리로(Caracolillo)라고 하며 달팽이 모양의 콩이라는 뜻이다.
  2. 아라비카종의 열매 안에는 대체로 두 개의 콩이 자리잡고 있으나, 간혹 한 개의 콩만 들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생두를 지칭한다.
  3. 주로 가지 끝에 열린 체리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모양이 아주 둥글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4. 커피 열매에 콩이 하나만 들어있어 저급커피로 인식되며, 유통되고 있지 않다.
(정답률: 75%)
  • "커피 열매에 콩이 하나만 들어있어 저급커피로 인식되며, 유통되고 있지 않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피베리는 아라비카종의 생두 중에서도 특별한 형태로, 한 개의 작은 콩만 들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특별한 생두를 지칭한다. 피베리는 일반 아라비카종보다 더욱 진한 향과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며, 고급 커피로 인식되어 유통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산국에 따른 유명한 커피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코스타리카 - 블루마운틴
  2. 과테말라 - 코나커피
  3. 브라질 - 안티구아
  4. 인도 -monsooned Bean
(정답률: 71%)
  • 인도에서는 몬순(Monsoon) 기간 동안 커피 원두가 습기를 많이 흡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원두의 색깔과 맛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커피 원두를 "몬순드 빈(Monsooned Bean)"이라고 부르며, 인도에서 유명한 커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생두를 얻기 위해 커피 과육에서 껍질을 벗겨내는 가공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건조법
  2. 세척법(워시드)
  3. 세미워시드
  4. 자연가공법
(정답률: 52%)
  • 자연가공법은 생두를 가열하거나 화학처리하지 않고, 자연적인 과정으로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가공 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생두의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로부스타종 커피식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아프리카 가봉에서 처음 발견되어 카네포라의 한 변이종이 되었다.
  2. 나무의 높이가 10m 이상으로 아라비카종과 리베리카종의 중간성질을 가지고있다.
  3. 세계 각지에 70여종의 많은 재배 변이종이 분포되어 있다.
  4. 곰팡이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인도네시아 등에 넓게 재배되고 있다.
(정답률: 42%)
  • 정답은 "나무의 높이가 10m 이상으로 아라비카종과 리베리카종의 중간성질을 가지고있다." 이다. 로부스타종은 나무의 높이가 10m 이하로 작은 나무나 큰 관목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세계 각지에 70여종의 많은 재배 변이종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아프리카 가봉에서 처음 발견되어 카네포라의 한 변이종이 되었으며, 곰팡이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인도네시아 등에 넓게 재배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리나라에서 처음 커피를 마신 사람은 고종(高宗)이다. 고종은 덕수궁 내에 우리나라 최초의 로마네스크풍의 건물을 지어 이곳에서 커피와 다과를 즐겼다고한다. 이곳은?

  1. 밀다원
  2. 카페 세실
  3. 정관헌
  4. 난다랑
(정답률: 82%)
  • 고종이 처음 커피를 마신 곳은 덕수궁 내에 있는 건물이었는데, 이 건물은 로마네스크풍의 건축양식을 따랐고 정관헌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답은 "정관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커피에 쓴맛을 부여하는 알칼로이드 물질은?

  1. 테오브로민
  2. 나린진
  3. 휴물론
  4. 카페인
(정답률: 81%)
  • 커피에 쓴맛을 부여하는 알칼로이드 물질은 카페인입니다. 카페인은 커피나 차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쓴맛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각성 효과를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SCAA 분류법 중 Specialty Grade의 등급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1. 300g 안에 10개 이내의 Full-Defects가 있으나 Primary -Defects는 허용하지 않는다.
  2. 생두의 크기는 50% 이상이 15 스크린 이상이어야 한다.
  3. 생두의 허용 함수율은 9~13% 이내 이다.
  4. Body, Flavor, Aroma, Acidity 등의 4가지의 특징 중 4가지를 다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생두의 허용 함수율은 9~13% 이내 이다." 이다. Specialty Grade의 등급기준 중에서는 Full-Defects는 10개 이내이며 Primary-Defects는 허용하지 않으며, 크기는 15 스크린 이상이어야 하며, Body, Flavor, Aroma, Acidity 등의 4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생두의 허용 함수율은 9~13% 이내인 것이 Specialty Grade의 등급기준 중 하나이다. 이는 커피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 중 하나로, 함수율이 높을수록 커피의 향과 맛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유의 영양적 가치를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1.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2. 비타민 D가 풍부하다
  3. 철분이 풍부하다.
  4. 유당이 적게 함유되어 있다.
(정답률: 72%)
  • 정답: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우유는 칼슘이 풍부하여 뼈 건강에 도움을 주며, 칼슘은 또한 근육 기능과 신경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커피의 맛과 향을 표현한 용어에 대한 설명 중에 틀린 것은?

  1. Spicy : 강하고 자극적인 맛과 향
  2. Nutty : 견과류에서 나는 고소한 냄새
  3. Rich : 풍부하고 진한 맛과 향
  4. Grassy : 달콤한 꽃잎 향기
(정답률: 63%)
  • "Grassy : 달콤한 꽃잎 향기"가 틀린 것은, 그 이유는 풀이나 잔디와 관련된 풍미를 나타내는 것이 맞는 정답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커피콩의 구입시 포장에 명시된 상품명인 〔Brazil Santos NO,2 ? screen 19?strictly soft〕에서 screen 19의 의미는?

  1. 결점두의 혼입량
  2. 커피콩의 크기에 의한 분류
  3. 투명도의 정도에 의한 분류
  4. 커피콩의 형태에 의한 분류
(정답률: 70%)
  • screen 19은 커피콩의 크기에 의한 분류를 나타냅니다. 커피콩은 크기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분류되며, screen은 이 등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screen 19는 크기가 큰 등급을 나타내며, screen이 작아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Brazil Santos NO,2 - screen 19 - strictly soft는 크기가 크고 부드러운 브라질 산토스 원두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커피의 향미를 평가하는 순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향기, 맛, 촉감
  2. 색깔, 촉감, 맛
  3. 촉감, 맛, 향기
  4. 맛, 향기, 촉감
(정답률: 78%)
  • 커피의 향기는 먼저 느껴지는 요소이며, 커피의 맛은 향기와 함께 느껴지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향기가 먼저 평가되어야 하며, 그 다음으로 맛이 평가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촉감은 커피의 입안에서 느껴지는 느낌으로, 맛과 함께 평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향기, 맛, 촉감"이 가장 적당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갓 볶은 신선한 원두
  2. 커피를 뽑는 사람의 기술
  3. 볶음도에 알맞은 추출기구
  4. 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경수
(정답률: 76%)
  • "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경수"는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이다. 이는 커피의 맛과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들이다. "갓 볶은 신선한 원두"는 커피의 향과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커피를 뽑는 사람의 기술"은 원두의 특성에 맞게 추출을 조절하여 맛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볶음도에 알맞은 추출기구"는 원두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추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커피의 등급에 관한 단어들 중, 커피의 품질 정보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품종
  2. 향미
  3. 결점도
  4. 색도
(정답률: 47%)
  • 정답은 "품종"입니다. 품종은 커피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커피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향미, 결점도, 색도는 모두 커피의 맛과 향, 외관 등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카푸치노에 첨가하는 거품우유(Steaming milk)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할 내용과거리가 먼 것은?

  1. 우유에 스팀노즐을 넣을 때 우유에 담기는 노즐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2. 거품 만들기에 사용하는 우유는 신선하고 차가운 것을 준비한다.
  3. 피쳐(Pitcher)는 도자기,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만든 것이 좋다.
  4. 거품을 만들 때 스팀노즐을 우유 표면인 위쪽에 두면 거품생성이 잘 되지 않는다.
(정답률: 59%)
  • 카푸치노에 첨가하는 거품우유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할 내용은 우유에 스팀노즐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하고, 거품 만들기에 사용하는 우유는 신선하고 차가운 것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거리가 먼 것은 "피쳐(Pitcher)는 도자기,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만든 것이 좋다." 인 이유를 설명해줘야 합니다. 이는 피쳐가 열팽창이 적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서 스팀노즐과 우유를 빠르게 냉각시키고, 거품을 만들기에 적합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피쳐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면 거품의 양과 질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래 보기의 조건으로 만들어진 커피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1. 맥심(Maxim)커피
  2. 인스턴트(Instant)커피
  3. 헤이즐넛(Hazel Nut)향커피
  4. 디카페인(Decaffeinated)커피
(정답률: 69%)
  • 위 그림은 디카페인(Decaffeinated)커피를 나타내며, 디카페인 커피는 카페인이 제거된 커피를 말합니다. 따라서 카페인이 들어있지 않은 커피를 원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커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유 단백질에 속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1. 카제인
  2. 베타-락토글로불린
  3. 오브알부민
  4. 락토페린
(정답률: 58%)
  • 우유 단백질에는 카제인, 베타-락토글로불린, 락토페린이 속하지만, 오브알부민은 우유 단백질에 속하지 않습니다. 오브알부민은 달걀의 단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커피 발전과정에 관한 내용들이다. 이 중 사실과 다른 것은?

  1. 네덜란드인이 커피나무를 쟈바와 서인도 섬에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12세기 말경 이다.
  2. 한국의 최초 커피하우스는 손탁호텔이었다.
  3. 17세기 말경 미국은 영국 홍차 대신 커피 마시기를 독립운동으로 권장하였다.
  4. 커피 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된 17세기부터 19세기에는 프랑스의 계몽 운동과 이탈리아 르네상스 운동이 싹튼 시기로서, 커피 하우스는 사회 여론을 모으고 여과하는 장소로서 적합했다.
(정답률: 55%)
  • 사실과 다른 것은 "네덜란드인이 커피나무를 쟈바와 서인도 섬에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12세기 말경 이다." 이다. 실제로는 네덜란드인이 아닌 아랍인들이 15세기에 이미 쟈바와 서인도 섬에서 커피를 재배하고 있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도네시아에서 커피를 경작하여 대규모 커피경작의 역사를 연 나라는?

  1. 포르투갈
  2. 네덜란드
  3. 프랑스
  4. 영국
(정답률: 70%)
  • 네덜란드는 17세기에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로 지배하면서 대규모 커피 경작을 시작했고,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커피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세계의 커피 재배 적지라고 불리어지는 “커피벨트(coffee belt)"는 어느 지역인가?

  1. 북위 25도 와 남위 25도 사이를 말한다.
  2. 북위 20도 와 남위 20도 사이를 말한다.
  3. 북위 25도 와 남위 20도 사이를 말한다.
  4. 북위 20도 와 남위 25도 사이를 말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북위 25도 와 남위 25도 사이를 말한다." 이다. 이는 커피나무가 재배하기에 적합한 기후 조건인 온도와 습도가 해당 지역에서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커피벨트는 대략적으로 아프리카, 중남미, 아시아 등의 지역을 포함하며, 이 지역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라비카(Arabica)와 로부스타(Robusta) 등의 커피가 재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커피 생콩에 함유된 caffeine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커피 생콩의 purine 염기류에 속하며, 품종 및 재배지에 따라서 함량 차이가 크다.
  2. Caffeine함량이 아라비카종은 로부스타종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
  3. Caffeine 이외의 theobromine 등은 로부스타종 미숙과에서만 함유되어 있다.
  4. 커피나무의 종자뿐만 아니라 잎에서도 소량 함유되어 있다.
(정답률: 55%)
  • "Caffeine 이외의 theobromine 등은 로부스타종 미숙과에서만 함유되어 있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Theobromine은 커피뿐만 아니라 초콜릿 등에서도 발견되는 알칼로이드로, 로부스타종과 아라비카종 모두에서 발견됩니다.

    "Caffeine함량이 아라비카종은 로부스타종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아라비카종은 로부스타종에 비해 더 많은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라비카종이 더 높은 고도에서 재배되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터키 사람들이 커피를 끓여 마시는 기구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 ibrik
  2. Melior
  3. Kopel
  4. Percolator
(정답률: 62%)
  • 터키 사람들이 커피를 끓여 마시는 기구를 "ibrik"이라고 부른다. 이는 터키어로 "작은 냄비"를 의미하는 "cezv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단어가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 "ibrik"으로 바뀌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Cappuccino Con Panna의 재료로서 적당한 것은?

  1. 에스프레소 1½ shot, 거품낸 우유 4.5 oz, 휘핑크림
  2. 에스프레소 1 shot, 거품낸 우유 4.5 oz, 레몬슬라이스
  3. 에스프레소 1 shot, 우유거품 1oz
  4. 에스프레소 1 shot, 휘핑크림
(정답률: 51%)
  • Cappuccino Con Panna는 에스프레소와 거품낸 우유, 그리고 휘핑크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에스프레소 1½ shot, 거품낸 우유 4.5 oz, 휘핑크림"이 적당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의 원산지로 알려진 나라는?

  1. 우간다
  2. 케냐
  3. 에티오피아
  4. 콩고
(정답률: 73%)
  • 아라비카 커피는 원래 에티오피아에서 유래되었고, 현재도 에티오피아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세식 공정 순서가 바른 것은?

  1. 수확→선별→세척(이물질 분리)→과육제거→파치먼트 선별→발효조→수세→건조 →창고
  2. 수확→선별→과육제거→수조→파치먼트 선별→발효조→수세→건조 →창고
  3. 수확→선별→과육제거→수조→발효조→파치먼트 선별→수세→건조 →창고
  4. 수확→선별→세척(이물질 분리)→과육제거→발효조→수세→건조→파치먼트 선별→창고
(정답률: 44%)
  • 수세식 공정 순서가 바른 것은 "수확→선별→세척(이물질 분리)→과육제거→발효조→수세→건조→파치먼트 선별→창고" 입니다. 이유는 수확 후 선별과 이물질 분리를 거쳐 과육제거를 하고, 발효조에서 수세를 하고 건조를 진행한 후 파치먼트 선별을 하고 창고에 보관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순서가 일부 잘못되거나, 수조가 빠져있는 등 공정 순서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커피생두의 질(Q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틀린 것은?

  1. 자연환경
  2. 재배가공의 선/후진성
  3. 기술, 장비부족
  4. 정치적 요인
(정답률: 71%)
  • 정치적 요인은 커피생두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닙니다. 자연환경, 재배가공의 선/후진성, 기술, 장비부족 등은 커피생두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입니다. 하지만 정치적 요인은 생산자들의 생산 환경이나 경제적인 상황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커피생두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커피 전문점 관리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1. 연령, 소득 등에 따라 목표고객을 분석한다.
  2. 가장 바쁜 시간의 영업량을 미리 예측한다.
  3. 동일 상권에 있어 경쟁업체를 수시로 파악한다.
  4. 업장의 형태와 크기는 가능한 최대로 확보한다.
(정답률: 73%)
  • 업장의 형태와 크기를 가능한 최대로 확보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매우 부담스러울 뿐만 아니라, 고객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어렵고,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와 형태를 고려하여 업장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바람직한 바리스타(Barista) 상이 아닌 것은?

  1. 영업장 내에 필요한 물품재고를 항상 파악한다.
  2. 일일 판매할 재료가 적당한지 확인한다.
  3. 영업장의 환기 및 기물 등의 청결을 깨끗이 유지관리 한다.
  4. 커피 제조시 계량법을 지키지 않는다.
(정답률: 82%)
  • 커피 제조시 계량법을 지키지 않으면 일정한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없고, 고객들의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리스타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커피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커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때는 맛과 향기가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2. 커피를 서브할 때 한잔의 양은 100ml 정도가 적당하다.
  3. 커피를 서브할 때에는 커피 컵은 뜨겁게 보관되어져 있어야 하며, 크림은 너무 차갑게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4. 커피의 적정온도는 120℃ 이상이 적당하다.
(정답률: 70%)
  • "커피의 적정온도는 120℃ 이상이 적당하다." → 커피의 적정온도는 80℃~85℃ 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높은 온도로 끓이면 커피가 쓰고 씁쓸해지고, 너무 낮은 온도로 추출하면 맛과 향이 부족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로스팅과 향미 평가(커피 배전)

31. 커피 배전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으로 옳지 않은 곳은?

  1. 온도의 상승으로 원두와 실버스킨이 분리됨
  2. 수분이 증발하고 내부 조직이 팽창되면서 1차 크랙 발생
  3. 1차 크랙 발생 후 2차 크랙 발생
  4. 원두의 크기에 변화가 없다
(정답률: 73%)
  • "원두의 크기에 변화가 없다"는 옳지 않은 보기이다. 이유는 커피 배전 시 원두가 공기 중에서 수분을 잃어가며 건조해지고, 내부 조직이 팽창되면서 크기가 약간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두의 크기는 배전 전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배전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배전도는 배전과정의 가열온도와 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2. 배전도는 기계적으로 측정한 L값(명도)으로 나타낸다.
  3. 배전이 강해질수록 배전도를 나타내는 L값은 증가한다.
  4. 배전콩의 갈색정도를 표준품과 비교해서 배전도를 경험으로 정하기도 한다.
(정답률: 62%)
  • "배전이 강해질수록 배전도를 나타내는 L값은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배전이 강해질수록 배전도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합니다. 이는 배전이 강해질수록 색이 짙어지고 명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배전도는 배전과정에서 생성된 색소의 양과 색의 짙음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기계적으로 측정한 L값(명도)으로 나타내기도 하지만, 배전콩의 갈색정도를 경험적으로 비교하여 정하기도 합니다. 배전도는 배전과정의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배전과정 중 커피생콩에 함유된 caffeine의 변화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열에 안정하고, 130℃이상에서는 일부 승화하여 소실되지만, 생콩에 함유된caffeine의 대부분은 배전콩에 남는다.
  2. 열에 안정하지만, 130℃이상에서는 일부 승화하여 소실된다.
  3. 열에 안정하고, 130℃이상에서는 일부분만이 승화하여 소실되지만, 최종 배전콩에 함유된 caffeine의 함량은 오히려 증가된다.
  4.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유리아미노산에 의하여 caffeine이 생합성 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열에 안정하고, 130℃이상에서는 일부 승화하여 소실되지만, 생콩에 함유된 caffeine의 대부분은 배전콩에 남는다."이다. 이유는 caffeine은 열에 안정하며, 일부는 130℃ 이상에서 승화하여 소실되지만, 대부분은 배전콩에 남아서 최종 배전콩에 함유된 caffeine의 함량은 오히려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문장 중 배전과 맛의 변화를 적절히 설명한 것은?

  1. 강배전일수록 신 맛이 강하다.
  2. 강배전일수록 쓴 맛이 강하다.
  3. 약배전일수록 단 맛이 강하다.
  4. 약배전일수록 탄 맛이 강하다.
(정답률: 65%)
  • "강배전일수록 쓴 맛이 강하다."는 배전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의 맛이 더 쓰다는 것을 설명한다. 즉, 강한 배전은 커피를 더 쓰게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커피의 배전(Roasting)은 온도와 시간에 따라 저온-장시간 배전과 고온-단시간 배전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음 중 이 두 가지 배전의 비교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온-장시간 배전은 팽창이 크고 밀도가 작은 반면, 고온-단시간 배전은 팽창이 적어 밀도가 크다.
  2. 저온-장시간 배전은 고온-단시간 배전보다 수용성 성분이 적어진다.
  3. 고온-단시간 배전의 볶는 온도는 200℃가 좋다.
  4. 저온-장시간 배전 시 1잔당 커피사용량은 10-20% 덜 쓰게 되서 경제적이다.
(정답률: 46%)
  • 정답은 "저온-장시간 배전은 고온-단시간 배전보다 수용성 성분이 적어진다." 이다. 이유는 저온-장시간 배전에서는 커피안의 수용성 성분이 덜 파괴되기 때문이다. 고온-단시간 배전에서는 높은 온도로 인해 수용성 성분이 파괴되고, 그 결과로 쓴 맛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생두를 볶는 과정에서 부피가 가장 커지는 단계는?

  1. 프렌치
  2. 하이
  3. 풀씨티
  4. 시나몬
(정답률: 53%)
  • 생두를 볶는 과정에서 부피가 가장 커지는 단계는 "하이"입니다. 이는 생두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생두가 팽창하기 때문입니다. "프렌치"는 볶는 시간이 짧아 부피가 크게 변하지 않으며, "풀씨티"와 "시나몬"은 추가적인 재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생두 자체의 부피 변화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지의 자동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올바르게 설명하지 않은 것은?

  1. 자외선은 유지의 산화속도를 촉진한다.
  2. 온도가 낮을수록 촉진된다.
  3. 금속 이온은 유지의 자동산화의 연쇄반응을 증대시킨다.
  4. 산소의 농도가 낮은 조건에서 산화속도는 산소의 양에 비례한다.
(정답률: 50%)
  • 온도가 낮을수록 유지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낮아져서, 분자간 충돌이 줄어들어 산화반응이 더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수록 유지의 자동산화가 촉진된다는 설명은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로스팅에 관한 내용이다.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생두가 열을 계속 흡수하면 조직이 수축하고 색상은 푸른색으로 변한다.
  2. 생두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유기산 등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커피의 맛과향기 성분으로 변화된다.
  3. 프렌치 로스팅은 원두가 계피색을 띄며 신맛이 뛰어나다.
  4. 일반적으로 맛에 힘을 주는 강한 커피를 원하면 약하게 로스팅을 하고, 맛의미묘한 변화와 감미로운 향미의 조합을 원한다면 강하게 로스팅한다.
(정답률: 59%)
  • 생두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유기산 등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커피의 맛과 향기 성분으로 변화된다. 이는 로스팅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생두가 열을 계속 흡수하면 조직이 수축하고 색상은 갈색으로 변한다. 로스팅의 강도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기가 달라지며, 강한 커피를 원하면 약하게 로스팅을 하고, 감미로운 향미의 조합을 원한다면 강하게 로스팅한다. 프렌치 로스팅은 원두가 매우 어두운 갈색을 띄며 신맛이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향기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준다.
  2. 커피의 추출을 방해한다.
  3. 커피 추출액에 거품이 생긴다.
  4. 커피 저장 중에 탄산가스가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것이 좋다.
(정답률: 37%)
  •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가스"는 틀린 설명입니다. 커피에는 탄산가스가 함유되어 있지 않습니다.

    커피 저장 중에 탄산가스가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것이 좋은 이유는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면 커피의 향기 성분이 산화되어 변질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기 중의 습기와 접촉하면 커피가 습기를 흡수하여 맛과 향이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커피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올바른 Aging(숙성)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갓 볶은 커피는 CO2가 많이 나와 맛이 떨어지므로 숙성이 필요하다.
  2. 커피생두(Green Bean) 상태에서 숙성은 독특한 맛을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커피생두(Green Bean)의 숙성기간은 대개 5-10년 정도로 잘 숙성된 생두(Bean)는 맵고 쓴 냄새가 강하게 날수록 좋다.
  4. 커피생두(Green Bean)상태에서의 숙성은 단지 타이피카(Typica)종만 가능하다.
(정답률: 58%)
  • "커피생두(Green Bean)상태에서의 숙성은 단지 타이피카(Typica)종만 가능하다."는 올바른 Aging(숙성)의 목적이 아니다.

    커피생두(Green Bean)의 숙성은 갓 볶은 커피의 CO2를 제거하고 더욱 깊고 부드러운 맛과 향을 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숙성된 생두는 맵고 쓴 냄새가 강하게 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커피생두(Green Bean) 상태에서 숙성은 독특한 맛을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는 올바른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커피생콩의 배전에 따라 다량으로 함유된 유리당류인 자당(sucrose)의 변화를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배전콩의 갈색색소, 비phenolic carbonic acid류 및 향기성분으로 변화된다.
  2. 배전과정에 glucose, fructose의 단당류로 분해되어 배전콩에 함유되어 있다.
  3. 배전과정 중 다시 다당류의 탄수화물로 생합성 된다.
  4. 배전콩에도 그대로 남아서 sucrose로 함유되어 있다.
(정답률: 45%)
  • 커피생콩이 배전되면, 내부의 자당(sucrose)은 분해되어 glucose와 fructose의 단당류로 변화합니다. 이후, 이러한 단당류는 다시 다당류의 탄수화물로 생합성되어 배전콩 내부에 존재합니다. 이 과정에서, 배전콩 내부의 갈색색소, 비phenolic carbonic acid류 및 향기성분으로 변화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전콩의 갈색색소, 비phenolic carbonic acid류 및 향기성분으로 변화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배전에 의한 커피콩의 물리적 변화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비중은 감소된다.
  2.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용적은 증가된다.
  3.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경도(압축강도)는 증가된다.
  4.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세포내 성분은 gel상으로 유동화 된다.
(정답률: 40%)
  •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용적은 증가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배전은 커피콩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밀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비중은 증가하고, 용적은 감소합니다. 또한,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경도(압축강도)는 증가됩니다. 이는 커피콩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어 더 밀집해지기 때문입니다. 세포내 성분은 gel상으로 유동화되는 것은 커피콩의 로스팅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로스팅 단계 중 강배전(Dark Roas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커피의 볶음정도를 강하게 할수록 커피원두의 무게는 줄어든다.
  2. 카페인 양은 증가한다.
  3. 이산화 탄소는 중가하며 옅은 풋냄새향은 감소한다.
  4. 오일(커피 지방성분)의 양은 일정량이 늘어난 후 줄어든다.
(정답률: 45%)
  • "카페인 양은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로스팅 단계가 진행될수록 커피원두 내의 카페인 양은 감소합니다. 이는 고온에서 카페인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배전 단계에서는 카페인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볶은 커피의 다음 성분들 가운데, 마시기 전 커피의 향기를 느끼게 하는 성분은?

  1. 케톤이나 알데하이드 계통의 휘발성 성분
  2. 비휘발성 액체 상태의 유기 성분
  3. 지방질 같은 비 용해성 액체와 수용성 고체 물질
  4. 커피 추출 후에도 분쇄 커피의 모양을 유지하는 성분인 불용성 경질부
(정답률: 47%)
  • 케톤이나 알데하이드 계통의 휘발성 성분은 커피의 향기를 느끼게 하는 성분입니다. 이들 성분은 높은 증발성을 가지고 있어, 커피를 마시기 전에 향기를 느끼게 합니다. 비휘발성 액체 상태의 유기 성분, 지방질 같은 비 용해성 액체와 수용성 고체 물질, 커피 추출 후에도 분쇄 커피의 모양을 유지하는 성분인 불용성 경질부는 커피의 맛과 질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볶은 커피콩에서 느낄 수 있는 향기는 생콩에 있던 향기와, 주로 중약볶음의 커피에서 만나게 되는 당의 갈변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 강볶음으로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건열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향기들 가운데 생콩에는 없던 향기는?

  1. 캐러멜 향
  2. 꽃향기
  3. 베리향기
  4. 허브향기
(정답률: 59%)
  • 캐러멜 향은 주로 중약볶음이나 강볶음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건열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향기이다. 따라서 생콩에는 없는 향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커피 추출

46. 다음은 추출 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추출 기구의 명칭은 무엇인가?

  1. 모카포트
  2. 사이펀
  3. 게츠베
  4. 프렌치프레스
(정답률: 66%)
  • 이 그림은 모카포트라는 추출 기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모카포트는 커피를 추출하는 기구 중 하나로,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물을 가열하여 상단에 있는 커피 가루와 접촉시켜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추출 방식 중 투과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융드립
  2. 페이퍼드립
  3. 에스프레소
  4. 사이폰
(정답률: 45%)
  • 사이폰은 투과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융드립, 페이퍼드립, 에스프레소는 모두 필터를 통해 물과 커피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방식이므로 투과법에 해당한다. 하지만 사이폰은 직접 물과 커피가 섞이는 방식으로 추출되기 때문에 투과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선한 커피를 핸드 드립으로 추출하면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추출액 표면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는 커피에 함유된 어떤 성분에 의한 것일까?

  1. 탄산가스
  2. 유기산
  3. 아미노산
(정답률: 57%)
  • 탄산가스는 물과 반응하여 거품을 만들어내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핸드 드립으로 추출한 신선한 커피에서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추출액 표면에 거품이 생기는 것은 커피에 함유된 탄산가스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드립퍼 중 다른 드립퍼보다 물이 떨어지는 속도가 늦기 때문에 드립퍼의 경사면이 큰 것이 특징이고, 1907년 독일에서 발명된 드립퍼는?

  1. 사이폰
  2. 카리타
  3. 더치커피
  4. 메리타
(정답률: 43%)
  • 메리타는 드립퍼의 경사면이 크고 물이 느리게 떨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깊은 맛과 향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터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커피 추출이 가능하며, 디자인적으로도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배전한 커피콩을 구입하여 핸드 드립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때 커피콩의 신선도여부는 육안으로 어떻게 알 수 있나?

  1. 신선한 커피콩은 물을 부으면 부풀어 오르지 않고 쉽게 통과한다.
  2. 신선한 커피콩은 물을 부으면 커피입자에 작은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3. 신선한 커피콩은 물을 부으면 커피가루의 표면이 둥글게 부풀어 오른다.
  4. 신선한 커피콩은 물을 부으면 커피입자에 큰 기포들이 형성된다.
(정답률: 59%)
  • 신선한 커피콩은 내부에 가스가 존재하고, 물을 부으면 이 가스가 커피콩 내부에서 팽창하여 커피가루의 표면이 둥글게 부풀어 오릅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커피콩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에스프레소 추출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분쇄된 원두의 입자크기
  2. 탬핑의 강도
  3. 분쇄된 원두의 양
  4. 물의 양
(정답률: 59%)
  • 에스프레소 추출속도는 분쇄된 원두의 입자크기, 탬핑의 강도, 분쇄된 원두의 양에 영향을 받지만, 물의 양은 추출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물의 양은 에스프레소의 양을 결정하며, 추출속도와는 간접적인 관련이 있을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추출시간을 짧게 잡아서 만든 농축된 커피로서 커피가 가장 농후하게 나오는 피크시점 직후에서 추출을 끊어 만든 이태리식 커피는?

  1. 룽고
  2. 에스프레소
  3. 리스트레또
  4. 도피오
(정답률: 49%)
  • 리스트레또는 추출시간을 짧게 잡아서 만든 농축된 커피로서 커피가 가장 농후하게 나오는 피크시점 직후에서 추출을 끊어 만든 이태리식 커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커피를 뽑아서 잔에 담아 낼 때, 잔의 세척이 불완전하여 세제가 남아 있을 때나타날 수 있는 향미의 결함은?

  1. 비린내
  2. 흙냄새
  3. 누린내
  4. 곰팡내
(정답률: 55%)
  • 세제가 남아있을 경우 커피의 맛과 향을 간섭하여 비린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에스프레소에 관한 내용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에스프레소는 원두에 뜨거운 물을 통과시켜서 만든 진한 원액으로, 강한 압력을 이용해서 힘 있게 커피가루를 눌러주는 원리를 이용한다.
  2. 섭씨 93~96도의 온도와 중력의 8~10배의 높은 압력을 가진 증기가 약20~30초 동안 통과하여 추출된다.
  3. 그라인더에서 분쇄된 커피를 필터홀더에 담게 되면 커피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수평이 되도록 태핑한다.
  4. 에스프레소 커피 분쇄 원리는 고(高)농도의 향미 성분을 빠르게 추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다른 추출법보다 분쇄입도를 굵게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7%)
  • 에스프레소 커피 분쇄 원리는 고(高)농도의 향미 성분을 빠르게 추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다른 추출법보다 분쇄입도를 굵게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올바르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이다.) 에스프레소는 원두에 뜨거운 물을 통과시켜서 만든 진한 원액으로, 강한 압력을 이용해서 힘 있게 커피가루를 눌러주는 원리를 이용한다. 섭씨 93~96도의 온도와 중력의 8~10배의 높은 압력을 가진 증기가 약20~30초 동안 통과하여 추출된다. 그라인더에서 분쇄된 커피를 필터홀더에 담게 되면 커피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수평이 되도록 태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에스프레소 메뉴에 관련된 용어들이다.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도피오(Doppio): 한 입에 들이킬 정도로 '작은 잔의 커피'라는 의미의 프랑스용어이다.
  2. 데미타쎄(Demitasse): 더블 에스프레소를 지칭하는 이태리어이다.
  3. 리스트레또(Ristrotto): 시간을 길게 주어서 추출하여 쓴맛을 더 강조한 에스프레소이다.
  4. 프로스(Froth): 스팀을 이용해 낸 촘촘하면서도 두터운 우유 거품을 말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프로스(Froth): 스팀을 이용해 낸 촘촘하면서도 두터운 우유 거품을 말한다." 이다. 이 용어는 에스프레소 메뉴 중 우유 거품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는 조건 중 틀린 것은?

  1. 추출하는 물의 온도: 90℃-95℃
  2. 카푸치노의 온도 : 60℃-65℃
  3. 서브되는 에스프레소의 온도 : 70℃-75℃
  4. 보일러 스팀의 온도 : 115℃-120℃
(정답률: 43%)
  • 서브되는 에스프레소의 온도가 70℃-75℃인 것은, 더 높은 온도로 추출하면 쓴 맛이 강해지고, 낮은 온도로 추출하면 부드러운 맛이 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여 최적의 맛을 내기 위해 서브되는 에스프레소의 온도를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에스프레소용 커피입자 크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흐린 날은 기준보다 조금 굵게 맑은 날은 기준보다 조금 가늘게 갈아 준다.
  2. 밀가루보다 굵게 설탕보다 가늘게 분쇄하는 것이 일반적 기준이다.
  3. 분쇄커피의 굵기는 추출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일반적으로 그라인더의 숫자는 높을수록 가늘다.
(정답률: 45%)
  • 정답: "일반적으로 그라인더의 숫자는 높을수록 가늘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이유: 그라인더의 숫자는 분쇄된 커피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일반적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작은 크기의 입자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가늘다고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커피의 추출방법과 이에 관련되는 보기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가압추출법 - 에스프레소 커피
  2. 여과법 - 핸드 드립
  3. 우려내기 - 프렌치 프레스
  4. 달임법 - 프렌치 커피
(정답률: 54%)
  • 달임법은 커피를 끓인 물에 바로 우려내는 것이 아니라, 끓인 물을 조금 식힌 후에 커피를 우려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프렌치 프레스에서 주로 사용되며, 커피의 풍미와 향을 더욱 강하게 살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임법 - 프렌치 커피"가 적절하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커피장비의 관리 지침이다. 매일 해야 하는 일은?

  1. 보일러의 압력, 추출압력, 물의온도 체크
  2. 그라인더 칼날의 마모 상태
  3. 연수기의 필터 교환
  4. 그룹헤드의 개스킷 교환
(정답률: 67%)
  • 커피장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커피 추출 과정에서의 안전성과 맛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일러의 압력, 추출압력, 물의 온도를 체크하여 안정적인 추출을 할 수 있도록 유지해야 한다. 보일러의 압력이 낮으면 추출압력이 떨어지고, 물의 온도가 낮으면 추출 시간이 길어져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일 보일러의 압력, 추출압력, 물의 온도를 체크하여 안정적인 추출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에스프레소 추출에 따른 물과 비교한 물리화학적 변화이다. 틀린 것은?

  1. 굴절률이 증가한다
  2. 표면장력이 증가한다
  3.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
  4. pH가 낮아진다
(정답률: 43%)
  • 정답은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이다.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에서는 높은 압력과 온도로 물이 커피 가루를 통과하면서 커피 추출물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굴절률이 증가하고 pH가 낮아지는 것은 커피 추출물의 성분 변화로 인한 것이다. 또한, 표면장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커피 가루와 상호작용하면서 분자 간 결합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물방울이 더 작아지고 표면적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어 표면장력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