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6-03)

바리스타 2급
(2006-06-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커피학 개론

1. 커피 생두의 신선도와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보관 창고의 적절한 환경은?

  1. 생두의 햇볕 노출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원한 곳이 좋다
  2. 생두가 건조하지 않도록 충분한 습기를 보유한 곳이 좋다
  3. 가능한 한 다습한 곳을 피하고, 상온을 유지한 곳이 좋다
  4. 생두가 곰팡이와 각종 세균의 번식에 노출되지 않도록 직사광선이 많은 곳이 좋다
(정답률: 86%)
  • 생두는 습기와 온도가 적절한 환경에서 보관되어야 합니다. 가능한 한 다습한 곳을 피하고, 상온을 유지한 곳이 좋은 이유는 생두가 과도한 습기나 고온에 노출되면 상처가 생기고,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에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두의 신선도와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는 보관 창고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나라는 작지만 세계 9위의 커피 재배국으로서 커피재배의 최적의 조건인 화산암이 잘 발달되어 있다. 대개 습식법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신맛, 감칠 맛, 향기가 풍부한 와인 맛의 커피가 생산되며, 고급으로 평가되는 커피 원두로는 산마르코스 드 타라수(San Marcos Tarrazu)를 꼽을 수 있다. 특히 로부스타 품종의 재배가 법적으로 금지된 곳이기도 한 나라 이름은?

  1. 코스타리카
  2. 멕시코
  3. 칠레
  4. 자바
(정답률: 78%)
  • 코스타리카는 화산암이 잘 발달되어 커피재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습식법을 사용하여 신맛, 감칠 맛, 향기가 풍부한 와인 맛의 커피를 생산한다. 또한 로부스타 품종의 재배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어서 고급으로 평가되는 커피 원두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코스타리카가 세계 9위의 커피 재배국으로 평가받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량의 커피 섭취시, 커피의 폴리페놀 성분은 어떤 무기질의 체내 섭취에 영향을 미치나?

  1. 셀레늄
  2. 철분
  3. 마그네슘
(정답률: 73%)
  • 다량의 커피 섭취시 폴리페놀 성분은 철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철분의 체내 섭취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유를 약간 데워주면서 교반시키면 거품이 일어난다. 이와 관련된 현상 중에서 맞게 설명한 것은?

  1. 우유를 데워주면 우유의 표면 장력이 높아진다.
  2. 탈지유는 전유보다 거품이 더 잘 일어난다.
  3. 우유 단백질의 일종인 카제인은 거품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4. 우유는 순수한 물보다 표면장력이 높다..
(정답률: 62%)
  • 우유 단백질의 일종인 카제인은 거품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카제인이 수면활성제와 같은 역할을 하여 우유 내부의 기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거품이 일어나기 쉽게 만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라인더에 적절한 굵기의 커피를 분쇄하여 배출레버의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커피가 배출 되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Grinding
  2. Cupping
  3. Packaging
  4. Dosing
(정답률: 59%)
  • 그라인더에서 분쇄한 커피를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행위를 "Dosing"이라고 한다. 이는 커피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일관된 맛과 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SCAA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두 등급 분류 기준이 아닌 것은?

  1. Cup Quality
  2. 결점생두의 수
  3. 생두의 크기
  4. 생두의 무게
(정답률: 61%)
  • 생두의 무게는 SCAA에서 사용하는 생두 등급 분류 기준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생두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SCAA에서는 Cup Quality, 결점생두의 수, 생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생두를 등급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커피 산패에 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1. 커피가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여 맛과 향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2. 산패를 막기 위해 원두를 냉장고에 보관하고, 분쇄 후 즉시 추출하는 것이 좋다
  3. 강배전된 원두는 약배전된 원두보다 서서히 산화된다
  4. 멜라노이딘이 형성되면서 진행되는 과정이다
(정답률: 84%)
  • 정답은 "커피가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여 맛과 향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이다. 이는 커피의 산패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공기 중의 산소와 원두 내부의 화학물질이 반응하여 맛과 향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막기 위해 원두를 냉장고에 보관하고, 분쇄 후 즉시 추출하는 것이 좋다. 강배전된 원두는 약배전된 원두보다 더 빠르게 산화되며, 멜라노이딘이 형성되면서 진행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Filter Holder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크레마를 많이 만들기 위해
  2. 쓴 맛을 제거하기 위해
  3.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4. 파손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66%)
  • Filter Holder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이유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두꺼운 Filter Holder는 열을 덜 전달하기 때문에 커피가 추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패가 가장 빨리 일어나는 지방산은 어느 것인가?

  1. 라우르산
  2. 리놀레산
  3. 스테아르산
  4. 올레산
(정답률: 71%)
  • 리놀레산은 다른 지방산들보다 더 많은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 산화작용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산패가 가장 빨리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커피콩을 배전하면 당의 갈변화(caramelization)가 일어나 향기 성분이 생성된다. 다음 향기 중에서 배전도가 가장 높은 단계에서 생성되는 향기는?

  1. 볶은 곡류 향기(malty)
  2. 물엿 향기(syrup-type)
  3. 캔디 향(candy-type)
  4. 초콜릿 향기(chocolate-type)
(정답률: 71%)
  • 커피콩을 배전하면 당의 갈변화가 일어나면서 많은 향기 성분이 생성되지만, 초콜릿 향기는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배전도를 보인다. 이는 당의 갈변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합물 중에서 티로신과 페닐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메일라드 반응(maillard reaction)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 반응은 고온에서 일어나며, 초콜릿과 같은 달콤하고 부드러운 향기를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new grown up」 커피콩에 대한 설명 중에 옳은 것은?

  1. 성장이 빠르고 병충해에 강한 커피콩을 말한다
  2. 잘 건조되어 생두 색이 엷으며, 안정적 맛을 가진다
  3. 당해에 수확한 생두로서 수분이 많고, 짙은 녹색을 띈다
  4. 낮은 지대에서 생산되며, 맛과 향미가 떨어지는 원두이다
(정답률: 68%)
  • "당해에 수확한 생두로서 수분이 많고, 짙은 녹색을 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커피콩이 수확 후 적절한 건조 과정을 거치지 않아 수분이 많은 상태로 유지되어 짙은 녹색을 띄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태의 커피콩은 일반적으로 산미와 과일향이 강하며, 특유의 신맛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우유를 거품 내는데 사용하는 시판 우유의 포장 용기에 세균수 기준 ‘1급 A'우유의 품질 기준(세균수/ml)에 적합한 것은?

  1. 3만 미만
  2. 3만-10만 미만
  3. 10만-25만 미만
  4. 25만-50만 미만
(정답률: 59%)
  • 세균수 기준 ‘1급 A'우유의 품질 기준은 1ml당 3만 미만의 세균이어야 한다. 따라서, 우유를 거품 내는데 사용하는 시판 우유의 포장 용기에는 세균수가 3만 미만인 것이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3만 이상의 세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커피 체리에서 생두를 분리하는 방법(natural, washed) 중에서 washed법에서만 사용되는 공정은?

  1. 발효
  2. 선별
  3. 탈곡
  4. 건조
(정답률: 72%)
  • 정답: 발효

    설명: Washed법에서는 생두를 물로 씻어서 커피 체리를 제거한 후, 발효 과정을 거쳐 생두를 분리합니다. 발효는 커피 체리에서 분리된 생두를 물에 담가 미생물이 작용하도록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생두의 맛과 향을 개선시키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발효는 washed법에서만 사용되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과업무 시작 전에 Coffee 전문점에서 판매 가능한 양만큼 준비해 두는 각종재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offee Stock
  2. Par Stock
  3. Pre Product
  4. Ordering Product
(정답률: 56%)
  • Par Stock은 일정 기간 동안 판매 가능한 양만큼의 재료를 미리 준비해두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ar Stock"이 정답이다. "Coffee Stock"은 커피 전문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커피 종류나 양을 말하는 것이고, "Pre Product"는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재료를 말한다. "Ordering Product"는 필요한 재료를 주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결점두 중에서 아래의 원인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은?

  1. White Beans
  2. Immature Beans
  3. Parchment Beans
  4. Malformed Beans
(정답률: 39%)
  • 이 결점은 "Immature Beans"와 "Parchment Beans"과 같이 생장이 불완전하거나 건조하지 않은 것과는 다르게, "White Beans"는 너무 많은 습기로 인해 생기는 결점입니다. 습기가 많으면 커피 콩이 부풀어 오르고, 표면에 흰색 무늬가 생기며 맛과 향이 손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커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한다.
  2. 위를 자극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3. 이뇨제의 역할을 하여 소변의 양을 증가시킨다.
  4.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켜 진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정답률: 81%)
  • 커피는 카페인이라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하고, 위를 자극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이뇨제의 역할을 하여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지만,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켜 진정의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카페인은 심장 박동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에스프레소 커피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메뉴이다. 이때 데미타세잔에 제공될 수 없는 커피메뉴는 무엇인가?

  1. 카페 리스트레또(Caffe Ristretto)
  2. 카페 라떼(caffe Latte)
  3. 카페 콘 파나(caffe con Panna)
  4. 카페 마키야토(caffe Macchiato)
(정답률: 65%)
  • 카페 라떼는 에스프레소와 스팀밀크를 섞어 만든 메뉴이기 때문에 데미타세잔에 제공될 수 있지만, 카페 리스트레또는 에스프레소를 더 짧게 추출하여 만든 메뉴이고, 카페 콘 파나는 에스프레소 위에 휘핑크림을 올린 메뉴이며, 카페 마키야토는 에스프레소 위에 약간의 우유 거품을 올린 메뉴이기 때문에 데미타세잔에 제공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에스프레소와 가장 비슷한 추출 기구는?

  1. 사이폰
  2. 모카포트
  3. 프렌치 프레스
  4. 융 드립
(정답률: 49%)
  • 에스프레소와 모카포트는 모두 강한 압력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모카포트는 물을 가열하여 상단에 있는 커피 분말을 압력으로 밀어내어 추출하는 방식으로, 에스프레소 머신과 유사한 원리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모카포트가 에스프레소와 가장 비슷한 추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크림의 우모현상(feathering of cream)이란 뜨거운 커피에 커피크림을 첨가하면 커피의 표면에 작은 형태의 털 조각이 떠다니는 같은 응고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 현상을 일으키는 우유 중의 성분은?

  1. 지질
  2. 유청 단백질
  3. 무기질
  4. 유당
(정답률: 38%)
  • 크림의 우모현상은 무기질 성분인 칼슘과 인이 커피의 산성도와 상호작용하여 일어납니다. 칼슘과 인은 우유에서 중요한 무기질 성분으로, 이들이 커피와 상호작용하면서 작은 형태의 털 조각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기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커피에 관한 내용 중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커피나무는 꼭두서닛과(rubiaceae)과에 속하는 상록수로, 남아메리카 브라질이 원산지이다.
  2. 커피 열매는 길이 15~18mm의 되는 타원형으로 파치먼트라고 불린다.
  3. 아라비카종은 평균 3%, 로부스타종은 약 1%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4. 아라비카종의 경우 연평균 강우량 1,500~2,000mm의 규칙적인 비와 충분한 햇볕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73%)
  • 아라비카종의 경우 연평균 강우량 1,500~2,000mm의 규칙적인 비와 충분한 햇볕을 받아야 한다. 이유는 커피나무가 상록수이기 때문에 충분한 강우량과 햇볕이 필요하며, 아라비카종은 특히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재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Parchment coffee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1. 커피 과실에서 외피와 과육을 제거한 상태를 말한다.
  2. 커피 생콩에 점질물 성분이 남아있는 상태를 말한다.
  3. 건조까지 마치고 탈곡기에서 마쇄(磨碎)하여 얻어진 생콩의 상태를 말한다.
  4. 발효 종료 후, 수세(水洗)하여 내과피(內果皮)가 남아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47%)
  • Parchment coffee는 발효 종료 후, 수세하여 내과피가 남아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커피 과실에서 외피와 과육을 제거한 것이 아니라 내과피만 제거한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커피와 관련하여 ‘핸드 피크(hand pick)'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손을 이용하여 생두의 크기를 측정하는 작업
  2. 생두에 포함된 결점두를 제거하는 작업
  3. 생두의 센터 컷의 상태를 조사하는 작업
  4. 생두에서 나타나는 이상취를 제거하는 작업
(정답률: 64%)
  • 핸드 피크(hand pick)는 생두에 포함된 결점두를 제거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손으로 생두를 하나씩 살펴보면서 결점두를 찾아내고 제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결점두는 커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핸드 피크 작업은 커피의 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바리스타는 커피와 같은 식음료의 품질관리 차원에서 HACCP제도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져야 한다, 이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해한 미생물이 손, 기구, 용기 등에 전이되는 정도를 분석하는 제도
  2. 식품과 음료를 대상으로 대장균이 증식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제도
  3. 소비자들에게 공중보건상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인들을 공지하는 제도
  4. 식품의 위해요소를 미리 확인․예방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성을 관리하는 위생제도
(정답률: 78%)
  • 식품의 위해요소를 미리 확인․예방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성을 관리하는 위생제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커피콩의 표피를 감싸고 있는 얇은 껍질은?

  1. 내과피(Parchment)
  2. 외피(Outer skin)
  3. 과육(Pulp)
  4. 은피(Silver skin)
(정답률: 68%)
  • 커피콩의 구조는 내과피, 외피, 과육, 은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은피는 커피콩을 감싸고 있는 가장 바깥쪽의 얇은 껍질로, 커피생두를 볼 때 가장 먼저 보이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커피콩의 표피를 감싸고 있는 얇은 껍질은 은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레스토랑에서 커피를 서비스할 때 서비스담당자는 고객의 어느쪽에 서서 서비스해야 하나?

  1. 앞쪽
  2. 오른쪽
  3. 왼쪽
  4. 어느 쪽이든 상관없음
(정답률: 64%)
  • 서비스담당자는 오른쪽에 서서 서비스해야 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서빙 방식으로, 오른쪽에 서면 왼손으로 식기를 받고 오른손으로 음료를 서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객이 오른쪽에 앉아 있을 때는 왼쪽으로 서면 고객과의 간격이 좁아져 불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른쪽에 서서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커피의 어원이 된 아랍어는?

  1. qahwah
  2. kisher
  3. cova
  4. chaube
(정답률: 75%)
  • 커피의 어원이 된 아랍어 "qahwah"는 "커피"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원래 "와인"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는 커피가 처음에는 와인과 같이 취급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커피는 자신만의 고유한 식물로 인식되게 되었고, "qahwah"는 이제 커피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Screen#18에 해당하는 커피 생두의 크기는?

  1. 5.56mm
  2. 5.95mm
  3. 7.14mm
  4. 7.95mm
(정답률: 68%)
  • Screen#18은 7.14mm 크기의 커피 생두를 걸러내는 화면이기 때문에 정답은 7.14mm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Screen#18에서 걸러내지 않는 크기의 생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커피생콩에 함유된 trigonelline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Caffeine의 약 25%의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2. 아라비카종에서는 로부스타종 및 리베리아종에 비하여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3. 커피 생콩의 배전(焙煎)과정에서도 거의 열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다.
  4. 커피뿐만 아니라 어패류 및 홍조류 등에서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정답률: 42%)
  • "커피 생콩의 배전(焙煎)과정에서도 거의 열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닌 옳은 설명이다. Trigonelline은 커피 생콩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커피 생콩의 배전 과정에서도 거의 열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커피의 향기 성분 중에서는 커피 콩이 성장하는 동안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갓 볶은 커피에서 자주 느낄 수 있는 향기가 있다. 아래 향기중에서 효소에 의하여 생성된 향기가 아닌 것은?

  1. 꽃 향기(floral)
  2. 고소한 향기(nutty)
  3. 허브 향기(herby)
  4. 감귤 향기(citrus-like)
(정답률: 51%)
  • 고소한 향기(nutty)는 효소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커피 콩 자체에 내재된 오일이나 지방산 등의 성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향기이다. 따라서 정답은 "고소한 향기(nut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커피생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생두(Green bean)는 고지대에서 재배될수록 신맛과 향이 뛰어나다
  2. 저지대 재배지역은 대량으로 기계적 수확이 가능하다.
  3. 일반적으로 아라비카종자는 저지대, 로부스타종은 고지대에서 재배된다.
  4. 화산지역의 토양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커피나무 성장에 도움을 준다.
(정답률: 67%)
  • "일반적으로 아라비카종자는 저지대, 로부스타종은 고지대에서 재배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라비카종자와 로부스타종 모두 고지대와 저지대에서 재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라비카종자는 고지대에서 재배되며, 로부스타종은 저지대에서 재배됩니다. 이는 각각의 종자가 선호하는 기후와 생장환경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로스팅과 향미 평가(커피 배전)

31. 생두 배전시 맛 성분의 변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생두의 당분, 유기산, 카페인, 무기질 등이 화학반응 하여 신맛, 단맛, 쓴맛, 떫은 맛 등을 생성한다.
  2. 맛 성분은 주로 가용성으로 끓는 물에서 약 18~22% 추출된다.
  3. 아라비카종은 유기산이 많아 신맛이 강하다.
  4. 아라비카종이 로부스타종보다 쓴맛이 강하다.
(정답률: 65%)
  • "아라비카종이 로부스타종보다 쓴맛이 강하다." 인 이유는 옳은 설명이다. 아라비카종은 로부스타종보다 더 많은 카페인과 산을 함유하고 있어 쓴맛이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로스터는?

  1. 유동층 로스터
  2. 고밀도 로스터
  3. 드럼 로스터
  4. ‘프리시전(Precision)'
(정답률: 40%)
  • 이 로스터는 원두를 고온에서 회전시켜 로스팅하는 유동층 로스터입니다. 이 로스터는 공기를 이용하여 원두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고밀도 로스터보다는 작은 용량으로도 많은 양의 원두를 로스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두가 직접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로스팅이 빠르고 균일하게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배전 중의 맛 성분의 변화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로부스타종은 유기산이 많아서 신맛이 강하다.
  2. 단맛은 아라비카종이 로부스타종보다 강하다.
  3. 신맛은 카페인, 트리고넬린, 퀴닉산 등의 유기산에 기인하다.
  4. 쓴 맛은 라이트~시나몬일 때 가장 강하다.
(정답률: 49%)
  • 단맛은 아라비카종이 로부스타종보다 강하다. 이유는 아라비카종에는 당도가 높은 설탕과 같은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커피생콩에 함유된 탄수화물은 유리당류와 다당류로 나누어진다. 이들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커피생콩의 유리당류는 배전커피의 갈색이나 향기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2. 커피생콩의 유리당류에 속하는 주성분은 glucose 이다.
  3. 커피생콩의 유리당류의 함량은 로부스타종에서 아라비카종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다.
  4. 커피생콩의 유리당류의 함량은 배전 후에도 거의 감소되지 않는다.
(정답률: 39%)
  • 커피생콩의 탄수화물은 유리당류와 다당류로 나누어진다. 유리당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배전커피의 갈색이나 향기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다당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커피의 맛과 향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커피생콩의 유리당류는 커피의 향과 색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라비카종 커피의 생콩에 비하여 배전콩의 성분함량의 감소가 매우 큰 성분들만으로 짝지은 성분은?

  1. 조섬유, 자당, 순수단백질, chlorogenic acid류
  2. 자당, 순수단백질, chlorogenic acid, trigonelline
  3. 자당, 조단백질, caffeine, trigonelline,
  4. 환원당, 조단백질, chlorogenic acid, caffeine
(정답률: 57%)
  • 배전콩은 아라비카종 커피의 생콩에 비해 로스팅 과정에서 성분 함량의 감소가 매우 큽니다. 따라서 배전콩에서는 로스팅 이전에 많이 함유되어 있던 성분들이 적게 남아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당, 순수단백질, chlorogenic acid, trigonelline은 배전콩에서도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로스팅 과정에서도 크게 감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네 가지 성분은 아라비카종 커피의 생콩에 비해 배전콩에서도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분으로 남아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배전과정 중 생콩의 수분함량에 따라 배전과정 중 배전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어하여야 할 중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배전온도(열풍온도)와 시간
  2. 열풍온도와 콩의 표면온도
  3. 열원의 종류와 가열방법
  4. 열의 조사 및 전열방법
(정답률: 32%)
  • 열원의 종류와 가열방법은 생콩의 수분함량에 따라 배전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생콩의 수분함량에 따라 배전온도와 시간, 열풍온도와 콩의 표면온도, 열의 조사 및 전열방법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배전조건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커피의 산미(酸味)를 나타내는 배전콩의 非phenolic carbonic acid를 대표하는 5종의 성분을 바르게 정리한 것은?

  1.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pyruvic acid, acetic acid
  2. male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pyruvic acid, acetic acid
  3. citr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 pyruvic acid, acetic acid
  4.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glutaric acid, fumaric acid
(정답률: 44%)
  • 커피의 산미는 주로 배전콩에 함유된 유기산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pyruvic acid, acetic acid는 커피의 산미를 대표하는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itric acid는 신선하고 과일 향이 강한 산미를, malic acid는 사과와 같은 과일의 산미를, lactic acid는 우유와 같은 부드러운 산미를, pyruvic acid는 신선하고 과일 향이 강한 산미를, acetic acid는 신선하고 과일 향이 강한 산미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5종의 성분이 커피의 산미를 대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커피 콩은 로스팅 시간과 난이도에 따라 조직이 부드럽고 수분이 적어 로스팅이 잘되는 A그룹, 커피 콩이 일반적으로 두껍고 성숙도와 수분함량이 균일하지않아 로스팅에 주의해야 하는 B그룹, 대부분 고산지대에서 재배하여 크고 조직이 단단하여 로스팅 시간이 길고, 향미가 풍부한 C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그룹별 분류에 따라 커피 콩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A그룹-예멘 마타리 NO 9, 케냐 AA
  2. C그룹-하와이 코나 NO 1, 콜롬비아 Supremo
  3. B그룹-코스타리카 SHB, 멕시코 알도라
  4. A그룹-브라질 산투스 NO 1, 탄자니아 AA
(정답률: 52%)
  • 커피 콩의 로스팅 시간과 난이도에 따라 조직과 수분함량이 달라지는데, C그룹은 대부분 고산지대에서 재배되어 크고 단단한 조직을 가지며 로스팅 시간이 길고 향미가 풍부하다. 하와이 코나 NO 1과 콜롬비아 Supremo는 모두 고산지대에서 재배되어 크고 단단한 조직을 가지며 로스팅 시간이 길고 향미가 풍부하기 때문에 C그룹에 해당한다. 따라서 C그룹-하와이 코나 NO 1, 콜롬비아 Supremo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로스팅에 대한 설명중 틀린것은?

  1. 로스팅을 하기전 로스팅머신은 강한 화력으로 빨리 예열시켜야 한다.
  2. 로스팅전 생두의 수분함량,조밀도,수확년수,가공방법등을 점검한다.
  3. 로스팅머신의 특징에 맞게 투입하는 생두량을 조절한다.
  4. 로스팅하기 전 Roasting Point를 결정한다.
(정답률: 62%)
  • 정답: "로스팅을 하기전 로스팅머신은 강한 화력으로 빨리 예열시켜야 한다."

    로스팅머신은 로스팅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예열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예열 과정에서 강한 화력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로스팅머신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스팅머신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예열 방법과 시간을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인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중강볶음의 커피를 대상으로 설정하는 물의 온도가 92℃라면, 다음 예문에서 추출물 온도의 적절한 조절 원칙은?

  1. 중강볶음보다 약하게 볶아진 커피라면 일반적으로는 온도를 약간 높게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2. 중강볶음보다 약하게 볶아진 커피라면 일반적으로는 온도도 약간 낮게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3. 중강볶음보다 강하게 볶아진 커피라면 일반적으로는 온도도 약간 높게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4. 에스프레소 추출은 볶음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온도로 설정해야 된다.
(정답률: 50%)
  • 중강볶음보다 약하게 볶아진 커피라면 일반적으로는 온도를 약간 높게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이유는 중강볶음보다 약하게 볶아진 커피는 덜 산성적이고 더 부드러운 맛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면 더욱 더 깊은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면 쓴 맛이 강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댐퍼의 역할과 관계없는 것은?

  1. 은피를 배출하는 역할
  2. 드럼내부의 열량을 조절 하는 역할
  3. 드럼내부의 공기 흐름을 조절 하는 역할
  4. 흡열과 발열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
(정답률: 61%)
  • 흡열과 발열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은 댐퍼가 들어있는 장비나 시스템에서 열의 발생과 흡수를 조절하여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와는 달리, 은피를 배출하는 역할, 드럼내부의 열량을 조절하는 역할, 드럼내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은 모두 댐퍼의 주요 역할 중 하나로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커피의 쓴 맛(고미)성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내용은?

  1. 생두를 배전하면 새로운 고미성분이 생성된다.
  2. 카페인은 커피 쓴 맛의 1/10을 넘지 않는다.
  3. 디카페인 커피는 쓴 맛을 나타내지 않는다.
  4. 카페인은 커피에 쓴 맛을 부여한다.
(정답률: 75%)
  • 디카페인 커피는 쓴 맛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내용이다. 디카페인 커피에도 커피의 쓴 맛을 나타내는 다른 성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카페인 커피도 쓴 맛을 느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볶은 커피콩에서 느낄 수 있는 향기는 생콩에 있던 향기와, 주로 중약볶음의 커피에서 만나게 되는 당의 갈변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 강볶음으로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건열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향기들 가운데 생콩에는 없던 향기는?

  1. 캐러멜 향
  2. 꽃향기
  3. 베리향기
  4. 허브향기
(정답률: 68%)
  • 캐러멜 향은 주로 중약볶음 또는 강볶음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향기이지만, 생콩에는 존재하지 않는 향기이다. 따라서 정답은 "캐러멜 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볶은 콩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의 주성분은?

  1. 탄산가스
  2. 질소가스
  3. 산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73%)
  • 볶은 콩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의 주성분은 "탄산가스"이다. 이는 콩에 포함된 탄산화물이 열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콩을 볶을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탄산화물이 분해되어 탄산가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볶은 콩을 먹으면 탄산가스가 소화기관에서 발생하여 가스가 차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에스프레소 추출을 위한 로스팅 단계는?

  1. 시나몬 로스팅
  2. 미디엄 로스팅
  3. 이탈리안 로스팅
  4. 하이 로스팅
(정답률: 58%)
  • 에스프레소 추출을 위한 로스팅 단계는 "이탈리안 로스팅"이다. 이는 에스프레소의 특징인 진한 맛과 풍부한 크리마를 만들기 위해 커피를 높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로스팅하는 방법이다. 이탈리안 로스팅은 다른 로스팅 단계보다 더욱 진한 맛과 풍부한 크리마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에스프레소 추출 시 필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커피 추출

46. 에스프레소 추출 시 물 양을 감지해 주는 부분은 어느 것인가?

  1. 압력 스위치
  2. 온도 센서
  3. 플로우 메타
  4. 전자 밸브
(정답률: 59%)
  • 에스프레소 추출 시 물 양을 감지해 주는 부분은 "플로우 메타"이다. 이는 물이 커피 그라인드를 통과할 때 흐르는 양을 감지하여 추출 시간과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스위치는 추출 압력을 감지하고, 온도 센서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며, 전자 밸브는 물의 유입과 차단을 조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커피가루의 팽창이 원활하여 뜸 들이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추출 시간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드립 방법 중에 바디감이 좋아 중량감 있는 커피를 추출 할 수 있는 드립 방식은?

  1. 메리타
  2. 카리타
  3. 고노
(정답률: 54%)
  • 융은 물과 커피가루를 섞어주는 과정에서 물이 커피가루를 완전히 덮치면서 팽창이 원활하게 일어나고, 농도와 추출 시간을 조절하기 쉬워 중량감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드립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에스프레소 필터 바스켓의 깊이와 추출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필터 바스켓의 깊이는 맛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필터 바스켓은 깊이가 깊을수록 정확한 작업이 쉽고, 사용하는 커피의 양에 적절한 좋은 맛을 내기도 쉽다.
  3. 필터 바스켓은 깊이가 깊을수록 정확한 작업은 쉽지만, 사용하는 커피의 양과 비례하여 좋은 맛을 내기는 어렵다.
  4. 필터 바스켓의 깊이가 깊으면 정확한 작업이 어려우며, 사용하는 커피의 양과 비례하여 좋은 맛을 내기도 어렵다.
(정답률: 45%)
  • 필터 바스켓은 깊이가 깊을수록 정확한 작업은 쉽지만, 사용하는 커피의 양과 비례하여 좋은 맛을 내기는 어렵다. 이유는 깊이가 깊을수록 커피가 밀집되어 추출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깊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커피를 4시간~12시간에 걸쳐 장시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향기를 커피에 그대로 담아 둘 수 있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며, 다른 추출법에 비해 물의 맛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추출방식은?

  1. 모카포트
  2. 프렌치 프레스
  3. 이브릭
  4. 워터드립
(정답률: 65%)
  • 워터드립은 커피를 천천히 추출하는 방식으로, 물의 맛이 커피 맛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물의 질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장시간 추출하는 방식으로 향기를 그대로 담아둘 수 있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다른 추출방식에 비해 물의 맛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추출방식이 워터드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에스프레소 추출시 너무 진한 크레마(Dark Crema)가 추출되었다. 다음 중 원인 될 수 없는 것은?

  1. 물의 온도가 95℃보다 높은 경우
  2. 펌프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3. 포터필터의 구멍이 너무 큰 경우
  4. 물 공급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
(정답률: 44%)
  • 포터필터의 구멍이 너무 큰 경우는 커피 가루가 너무 빨리 추출되어 크레마가 진하게 나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의 온도가 95℃보다 높은 경우, 펌프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물 공급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는 모두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에서 크레마의 질을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드립식 커피추출에서 커피에 수분과 열을 줌으로써 커피조직의 팽창을 유도하여 커피에 함유된 성분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나?

  1. 엑기스 추출
  2. 뜸 들이기
  3. 스프링 주입
  4. 추출
(정답률: 65%)
  • 뜸 들이기는 드립식 커피추출에서 커피에 수분과 열을 주어 커피조직을 팽창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커피에 함유된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업으로, 추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뜸 들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에스프레소 추출시 펌프모터에서 심한 소음이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1. 커피 투입량이 많을 때
  2. 물 공급이 되지 않을 때
  3. 온도가 낮을 때
  4. 추출 시간이 길 때
(정답률: 74%)
  • 에스프레소 추출 시 펌프모터에서 심한 소음이 일어나는 원인은 물 공급이 되지 않을 때입니다. 이는 펌프모터가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공기만을 펌핑하게 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청소나 필터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추출한 커피에 대한 커핑(Cupping)을 할 때 알아두어야 할 용어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Taste - 혀로 느낄 수 있는 커피의 단맛, 신맛 및 쓴 맛
  2. Aroma - 후각으로 느낄 수 있는 커피에서 증발되는 냄새
  3. Flavor - 입안에 커피를 머금었을 때 후각과 입속에 느껴지는 맛과 향
  4. Aftertaste - 커피가 입안에 있을 때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커피의 감도는 맛
(정답률: 57%)
  • "Aftertaste - 커피가 입안에 있을 때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커피의 감도는 맛"이 틀린 설명입니다. Aftertaste는 커피를 마신 후 입안에 남는 맛과 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커피가 입안에 있을 때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커피의 감도는 맛"이 아니라 "커피를 마신 후 입안에 남는 맛과 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여러 가지 추출방법 중 단점을 설명한 것이다. 어떤 추출방식의 단점을 말하는 것인가?

  1. 사이폰
  2. 이브릭
  3. 융드립
  4. 워터드립
(정답률: 4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추출방식은 워터드립 방식이다. 워터드립 방식의 단점은 추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 과정에서 온도와 물의 양 등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추출한 커피의 품질은 추출하는 사람의 기술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커피생콩의 무기질 성분 중 추출과정에서 99%가 추출되어 인스턴트커피에 이행되기 때문에 추출률의 판정에 이용되는 무기질 성분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Mg
  2. Ca
  3. Na
  4. K
(정답률: 60%)
  • 정답은 "K"입니다. 인스턴트커피 제조과정에서 99%가 추출되는 무기질 성분은 칼륨(K)입니다. 따라서 추출률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동 중인 기계의 Filter Holder 보관 방법 중 적당한 것은?

  1. 그룹에 장착한 상태로 보관 한다.
  2. 기계위에 올려놓는다.
  3. 컵 받침대에 그냥 둔다.
  4. 깨끗한 테이블 위에 올려놓는다.
(정답률: 72%)
  • Filter Holder는 기계와 함께 사용되는 부품으로, 그룹에 장착한 상태로 보관하면 기계와 함께 사용할 때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계와 함께 보관하면 분실이나 손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맛좋은 레귤러커피를 마시기 위한 적절한 요령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한 번에 매입하는 양은 되도록 적게 한다.
  2. 즉시 사용하지 않는 커피는 냉장고에 보관한다.
  3. 커피를 뽑기 직전에 분쇄한다.
  4. 뽑은 커피는 약한 불에 데워 따뜻하게 유지한다.
(정답률: 60%)
  • 뽑은 커피를 약한 불에 데워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은 맛과 향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뜨거운 물로 추출된 커피는 시간이 지나면 맛과 향이 저하되기 때문에, 따뜻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뜨거운 불에 두면 커피가 끓어버리고 맛과 향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약한 불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카페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이스 커피를 만들 때 뜨거운 커피에 얼음을 넣어 냉각시키면 백탁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저온에서 잘 녹지않은 카페인과 클로로겐산의 복합체가 응집,석출하기 때문이다.
  2. 커피의 백탁현상을 방지하고 카페인과 클로로겐산의 복합체의 응집을 피하기 위하여 얼음에 뜨거운 커피를 넣어 냉각시킨다.
  3. 카페인은 융점이 섭씨 238도이며, 물에 잘 녹는다.
  4. 카페인은 낮은 온도에서 잘 녹으며 커피의 쓴맛을 나타낸다.
(정답률: 50%)
  • "카페인은 낮은 온도에서 잘 녹으며 커피의 쓴맛을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카페인은 온도가 높을수록 잘 녹으며, 커피의 쓴맛은 카페인 뿐만 아니라 다른 화학물질들도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에스프레소 평가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적절한 커피의 양, 크레마의 두께와 지속성, 크레마의 색깔, 향기의 질과 강약, 맛의 균형감
  2. 적절한 커피의 양, 전체의 1/3 이상의 크레마, 크레마의 색깔, 향기의 질과 강약, 맛의 강렬함
  3. 적절한 커피의 양, 전체의 1/3 이상의 크레마, 크레마의 색깔, 톡 쏘는 강한 향기, 맛의 균형감
  4. 적절한 커피의 양, 크레마의 두께와 지속성, 크레마의 색깔, 향기의 질과 강약, 맛의 강렬함
(정답률: 65%)
  • 정답은 "적절한 커피의 양, 크레마의 두께와 지속성, 크레마의 색깔, 향기의 질과 강약, 맛의 균형감"입니다. 이유는 에스프레소의 평가 기준으로는 적절한 커피의 양, 크레마의 두께와 지속성, 크레마의 색깔, 향기의 질과 강약, 맛의 균형감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크레마의 양이나 강렬한 맛은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에스프레소의 질을 평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의 사진은 에스프레소 기계의 “플로우 센서 (Flow Sensor)”이다. 이 부품에 불량이 발생되어 내부 회전체(Turbine wheel)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1. 그룹헤드에 찬물이 배출되게 된다.
  2. 커피기계의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다.
  3. 커피 추출압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4. 커피추출 물량의 조절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49%)
  • 정답은 "커피추출 물량의 조절이 되지 않는다." 이다. 플로우 센서는 커피 추출 시 물의 유량을 감지하여 커피추출 물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로우 센서에 불량이 발생하면 커피추출 물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일정한 양의 물이 계속해서 배출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