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16)

산림기사
(2006-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환원법에 의한 발아력 검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활력이 있는 종자는 착색반응을 일으킨다.
  2. 휴면종자의 검사에도 사용할 수 있다.
  3. 온도가 낮을수록 반응이 빨리 일어난다.
  4. 테트라졸륨이나 테쿨루산칼륨 0.1 ~ 1.0% 수용액을 사용한다.
(정답률: 65%)
  • "온도가 낮을수록 반응이 빨리 일어난다." 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온도가 낮을수록 발아력이 느려지고, 따라서 반응 속도도 느려집니다. 이는 환원법 검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발아력 검정에서는 일정한 온도와 시간에 노출시키고, 이후에 착색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때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이 빨리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지존작업의 약제처리법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염소산나트륨(NaClO3)
  2. 2.4 - D
  3. 에토펜프록스
  4. 근사미(글라신액제)
(정답률: 25%)
  • 에토펜프록스는 지존작업의 약제처리법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주피(珠皮)가 발달하여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종피
  2. 배유(배젖)
  3. 배강
(정답률: 73%)
  • 주피는 식물의 껍질을 이루는 외부층으로, 종피와 배유(배젖)로 구성됩니다. 종피는 주로 식물의 외부 보호층 역할을 하며, 주피의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피의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종피"입니다. 배유(배젖)는 종자의 영양 공급을 위한 역할을 하며, 배강은 식물 내부의 공간을 차지합니다. 배는 식물의 열매로, 종자를 감싸고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벌구의 임목 전부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대부분을 일시에 벌채하는 방법은?

  1. 간벌
  2. 개벌
  3. 산벌
  4. 택벌
(정답률: 81%)
  • 개벌은 새로운 임목을 심기 위해 기존의 숲을 일시적으로 벌채하는 방법으로, 임목 전부 혹은 대부분을 일시에 벌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수목의 내음성과 가장 관련이 적은 인자는?

  1. 온도
  2. 고도
  3. 수령
  4. 내병성
(정답률: 79%)
  • 정답: "내병성"

    설명: 수목의 내음성은 주로 나무의 휘발성 오일이나 페놀류 등의 화합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내음성은 온도, 고도, 수령 등의 환경적 요인과는 관련이 있지만, 내병성과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내병성은 나무가 질병에 감염되어 생기는 내부적인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이는 나무의 생리적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내병성은 수목의 내음성과 가장 관련이 적은 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은행나무나 호도나무와 같은 대립종자의 파종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점파(點播)
  2. 산파(散播)
  3. 조파(條播)
  4. 군파(群播)
(정답률: 83%)
  • 점파(點播)는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땅에 묻는 방법으로, 대립종자의 파종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씨앗의 발아율을 높이고, 자라는 과정에서 서로 경쟁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은행나무나 호도나무와 같은 대립종자의 파종에는 점파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온대에 분포하는 수종의 광합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산성 침엽수는 겨울에도 광합성 작용이 가능하다.
  2. 응엽은 양엽보다 낮은 광도에서 광포화가 일어난다.
  3. 잎은 기공을 닫고 난후 방에 CO2 고정을 한다.
  4. 잎에는 광합성에 관계하는 RuBP 효소가 가장 많다.
(정답률: 67%)
  • "잎은 기공을 닫고 난후 방에 CO2 고정을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식물에서 광합성 작용은 기공을 통해 이루어지며, 기공이 닫혀있을 때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고산성 침엽수는 겨울에도 광합성 작용이 가능한 이유는 눈 위에 덮인 눈덮개로 인해 눈 위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무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응엽은 양엽보다 낮은 광도에서 광포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응엽이 양엽보다 더 얇고, 광을 더 잘 투과시키기 때문입니다. 잎에는 광합성에 관계하는 RuBP 효소가 가장 많은데, 이는 RuBP가 탄소 고정의 첫 단계에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왜림작업으로 알맞은 것은?

  1. 참나무류, 아카시아나무 등의 땔감 생산
  2. 삼나무의 목재 생산
  3. 밤나무의 열매 생산
  4. 소나무의 송이버섯 생산
(정답률: 78%)
  • 왜림작업은 주로 나무를 심고 관리하여 나무를 자연적으로 성장시켜서 나무를 적절한 시기에 수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참나무류, 아카시아나무 등의 땔감 생산"이 왜림작업으로 알맞은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삼나무, 밤나무, 소나무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이지만, 왜림작업과는 조금 다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목의 광보상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호흡에 의한 CO2 방출량과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량이 동일하다.
  2. 호흡에 의한 CO2 방출이 최대이다.
  3.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다 최대이다.
  4. 수목은 20,000~80,000lux에서 이루어진다.
(정답률: 79%)
  • 수목은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동시에 호흡을 통해 산소를 소비하여 이산화탄소를 방출합니다. 이 때, 광합성과 호흡의 속도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 호흡에 의한 CO2 방출량과 광합성에 의한 CO2 흡수량이 동일해진다는 것이 수목의 광보상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치환성염기중 토양콜로이드에 치환∙흡착하는 힘이 가장 큰 것은?

  1. Ca++
  2. Mg++
  3. K+
  4. Na+
(정답률: 67%)
  • 치환성염기 중에서는 이온 반지름이 큰 것일수록 토양콜로이드에 흡착하는 힘이 강하다. 따라서 "Ca++"가 가장 큰 이온 반지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토양콜로이드에 치환∙흡착하는 힘이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에 제시된 수종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파종 1년 후에 판갈이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좋은 수종으로만 짝을 지은 것은?

  1. 소나무, 낙엽송
  2. 소나무, 잣나무
  3. 전나무, 독일가문비나무
  4. 삼나무, 주옥
(정답률: 48%)
  • 일반적으로 파종 1년 후에 판갈이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좋은 수종은 소나무와 낙엽송입니다. 이는 이 두 수종이 빠른 성장속도와 함께 뿌리가 깊게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판갈이 작업을 통해 뿌리를 깊게 자라게 하여 나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른 수종들은 보다 느린 성장속도와 얕은 뿌리로 인해 판갈이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지치기 작업의 영향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높이자람이 억제된다.
  2. 연륜폭이 조절되어 줄기의 완만도를 높인다.
  3. 하옥의 수광량을 높녀 그 자람을 촉진시킨다.
  4. 줄기에 부정아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정답률: 73%)
  • "높이자람이 억제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가지치기 작업은 오히려 나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가지치기를 통해 나무의 에너지가 줄어들어 더 많은 에너지가 줄기와 가지의 성장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이자람이 억제된다."라는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천연갱신에 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1. 실행이 용이하고 숲이 빠르게 성립
  2. 조림지 토양생태계 변화로 환경의 퇴화
  3. 노동력과 비용의 집중 및 대규모 소요
  4. 임옥이 환경에 적응되어 숲 조성의 실패 가능성 희박
(정답률: 75%)
  • 천연갱신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새로운 숲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실행이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숲이 빠르게 성립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림지에서의 천연갱신은 토양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환경의 퇴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대규모 소요되는 노동력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임옥이 환경에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숲 조성의 실패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활엽수인 경우 잡목 솎아베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적합한 작업시기는?

  1. 3 ~ 5월
  2. 6 ~ 8월
  3. 9 ~ 10월
  4. 12 ~ 2월
(정답률: 50%)
  • 활엽수는 봄에 싹이 돋고 가을에 잎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잡목 솎아베기를 하는 시기는 잎이 자라기 시작한 봄이나 가을이 아닌 여름인 6월부터 8월 사이가 적합합니다. 이때 나무가 가장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잡목을 제거하면서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잡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복층림 조성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임목의 수확 기간이 길어져서 대경목 생산이 가능하다.
  2. 생장이 균일하여 연륜폭이 균일하고 치밀한 목재를 생산할 수 있다.
  3. 임내의 토양유실, 침식 등의 작용은 증가한다.
  4. 풍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74%)
  • 복층림 조성은 임목의 수확 기간이 길어져서 대경목 생산이 가능하고, 생장이 균일하여 연륜폭이 균일하고 치밀한 목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풍치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임내의 토양유실, 침식 등의 작용은 증가하게 되어 자연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규칙적인 식재에서 ha 당 묘목의 본수는 묘목1본당 면적과 식재면적을 통하여 산출한다. 묘간거리가 가로 1m, 세로 2m 의 장방형 식재시 1ha에 식재되는 묘목의 본수는?

  1. 5,000본
  2. 3,333본
  3. 3,000본
  4. 2,500본
(정답률: 61%)
  • 1ha는 10,000m²이다. 묘간거리가 가로 1m, 세로 2m이므로, 1m²에는 0.5본의 묘목이 식재될 수 있다. 따라서 1ha에는 10,000m² x 0.5본/m² = 5,000본의 묘목이 식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000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림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결정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토양입자
  2. 토성
  3. 토양산도
  4. 토양공극
(정답률: 78%)
  • 토양산도는 산림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결정하는 인자가 아닙니다. 토양입자는 토양의 입자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며, 토성은 토양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결정합니다. 토양공극은 토양 내부의 공간 구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토양산도는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토양의 pH, 토양의 토양성분 함량 등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토양산도는 물리적 성질이 아닌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윤벌기가 완료되기 전에 갱신이 완료되는 전갱작업(前更作業)에 해당되는 것은?

  1. 모수작업
  2. 개벌작업
  3. 산벌작업
  4. 택벌작업
(정답률: 50%)
  • 윤벌기는 산림에서 나무를 베어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산림을 개발하는 과정 중 하나이며, 이전에는 산림을 개발하기 위해 각종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산림에서 나무를 베어내기 전에는 산림을 정리하고, 나무를 베어내기 쉽게 만들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을 산벌작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윤벌기가 완료되기 전에 갱신이 완료되는 전갱작업에 해당되는 것은 산벌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자웅이주가 아닌 수종은?

  1. 은행나무
  2. 호랑가시나무
  3. 가죽나무
  4. 삼나무
(정답률: 37%)
  • 정답은 "삼나무"입니다. 이유는 다른 나무들은 모두 가시가 있거나 가죽같은 특징이 있지만, 삼나무는 그런 특징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삽목 발근이 어려운 수종은?

  1. 밤나무
  2. 모과나무
  3. 삼나무
  4. 무궁화
(정답률: 30%)
  • 밤나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있어서 삽목 발근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보통 세균의 그램 염색시 그램 양성균의 색깔은?

  1. 녹색
  2. 보라
  3. 흰색
  4. 노랑
(정답률: 62%)
  • 그램 양성균은 세포벽이 펩티드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어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같은 보라색 염료로 염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연해(煙害)의 방제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연해의 염려가 있는 곳은 숲을 교림()으로 한다.
  2. 토양관리에 힘쓰며 특히 석회질비료를 주어야 한다.
  3. 공해업소의 굴뚝 높이는 10m 이상이면 된다.
  4. 질소를 사용하여 연해 물질을 흡수 중화시킨다.
(정답률: 53%)
  • 연해는 대기 중에 있는 유해 물질이나 먼지 등이 일정 수준 이상 쌓여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현상입니다. 따라서 연해 방제법으로는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공장이나 차량 등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토양관리도 중요합니다. 토양관리를 통해 식물이 더 건강하게 자라고,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흡수하여 대기오염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석회질비료를 주는 것은 토양의 산성화를 막아주고, 식물이 영양분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토양관리에 힘쓰며 특히 석회질비료를 주어야 한다."가 가장 옳은 연해 방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나무종은 유충과 성충이 모두 소나무에 피해를 가하는데, 주로 신성충이 피해를 주는 장소는?

  1. 소나무 잎
  2. 소나무 뿌리
  3. 수간 밑부분
  4. 소나무 신초 속
(정답률: 64%)
  • 소나무종의 신성충은 소나무 신초 속에서 알을 낳고 유충이 발생하여 소나무를 내부에서 파괴합니다. 따라서 소나무 신초 속이 주로 피해를 받는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해충의 발생과 피해의 평가시에 단시간 내에 넓은 면적을 조사할 수 있어 피해의 조기발견 및 비용의 절약이 가능한 조사 방법은?

  1. 축차조사
  2. 항공조사
  3. 공간조사
  4. 수관부조사
(정답률: 81%)
  • 항공조사는 항공기나 드론 등을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넓은 면적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해충의 발생과 피해의 평가시에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조기발견과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공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전염성병의 원인은?

  1. 부적당한 토양 조건
  2. 마이코플라스마
  3. 대기오염
  4. 부적당한 기상 조건
(정답률: 50%)
  • 마이코플라스마는 세균과 비슷한 생물체로, 호흡기나 성기 등을 통해 전염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마이코플라스마가 전염성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부적당한 토양 조건, 대기오염, 부적당한 기상 조건은 전염성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은 아니며,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해(煙害)의 감정 중 육안적 감정법이 아닌 것은?

  1. 묵은 잎부터 순차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2. 연해를 받은 나무는 반드시 나무의 끝부분부터 피해를 받아 피해가 수관의 하부로 내려온다.
  3. 수종과 시기에 따라서, 대개 회록색의 연반으로 시작하여 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4. 엽록체가 회색 또는 회백색으로 표백된다.
(정답률: 40%)
  • 엽록체가 회색 또는 회백색으로 표백된다는 것은 연해로 인해 나무의 잎이 피해를 받아 엽록소가 파괴되어 색소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감정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볕데기(sun-scorch)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경우는?

  1. 수피가 평활하고 코르크층이 발달되지 않은 수종
  2. 서남향이나 서향에 있는 수목
  3. 삼림울폐가 갑자기 깨어졌을 때
  4. 정자나무 같이 수간 하부까지 지엽이 번성한 고립목
(정답률: 78%)
  • 정자나무 같이 수간 하부까지 지엽이 번성한 고립목은 잎이 많아서 그늘이 많이 생기고, 또한 수간 하부까지 잎이 번성하기 때문에 햇빛이 직접 들어오지 않아서 볕데기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염풍(salt wind)에 가장 약한 수종은?

  1. 해송, 돈나무
  2. 팽나무, 후박나무
  3. 자귀나무, 사철나무
  4. 삼나무, 벚나무
(정답률: 58%)
  • 삼나무와 벚나무는 염분에 대한 내성이 낮기 때문에 염풍에 가장 약합니다. 다른 나무들은 염분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염풍에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솔잎혹파리의 발생 횟수는?

  1. 년 1회
  2. 년 2회
  3. 년 3회
  4. 년 4회
(정답률: 58%)
  • 솔잎혹파리는 일반적으로 년 1회 발생하며, 그 이유는 솔나무가 겨울철에 잎을 잃고 봄에 새로운 잎을 돋게 되는데, 이때 솔잎혹파리의 애벌레가 새로운 잎에 붙어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솔잎혹파리의 발생 횟수는 년 1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해충 중 알로 월동하지 않는 것은?

  1. 박쥐나방
  2. 매미나방
  3. 어스렝이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67%)
  • 미국흰불나방은 따뜻한 지역에서 서식하며, 겨울철에도 활동을 유지하기 때문에 알로 월동하지 않습니다. 반면, 다른 해충들은 추운 계절에는 알로 월동하거나, 죽거나, 번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은 쇠약목에 유인되므로 벌목한 통나무 등을 이용하는 기계적 구제방법은?

  1. 식이유살법
  2. 잠복소유살법
  3. 번식처유살법
  4. 등화유살법
(정답률: 60%)
  •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은 쇠약목에 유인되므로 기계적 구제방법은 통나무 등을 이용하여 쇠약목에 올려놓고 그 위에 불을 지어 연기를 일으켜 쇠약목에 붙어있는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을 쫓아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번식처유살법으로 분류된다. 이유는 쇠약목에 붙어있는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은 번식처에서 번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쫓아내면 번식처를 파괴하여 번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삼림화재 시 내화력(耐火力)이 가장 약한 수종으로 묶인 것은?

  1. 소나무, 녹나무
  2. 화백, 아왜나무
  3. 사철나무, 희양목
  4. 은행나무, 대왕송
(정답률: 72%)
  • 소나무와 녹나무는 잎이 바늘형이고 수분을 많이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삼림화재 시 빠르게 타서 내화력이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목의 자연개구부(기공)감염을 하는 병원균은?

  1. 소나무잎떨림병균
  2. 밤나무줄기마름병균
  3. 근두암종병균
  4. 낙엽송끝마름병균
(정답률: 60%)
  • 소나무잎떨림병균은 수목의 자연개구부(기공)를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입니다. 이 병균은 소나무를 주로 감염시키며, 잎이 떨리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병균은 소나무 잎이나 가지에 감염되어 나무의 생장을 저해시키고, 심한 경우 나무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밤나무혹벌의 월동 형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알로 월동
  2. 유충으로 월동
  3. 성충으로 월동
  4. 번데기로 월동
(정답률: 74%)
  • 밤나무혹벌은 유충으로 월동합니다. 이는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며, 알로 월동하는 것은 생존율이 낮기 때문입니다. 또한 번데기로 월동하는 것은 밤나무혹벌의 생명주기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충과 성충이 모두 나무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오리나무잎벌레
  2. 솔잎혹파리
  3. 밤나무혹벌
  4. 독나방
(정답률: 67%)
  • 오리나무잎벌레는 유충과 성충 모두 나무의 잎을 먹어서 나무를 손상시키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유충과 성충 모두가 나무를 피해 다니며, 나무의 잎을 먹어서 나무를 죽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감수성(感受性)인 식물을 이용하여 병을 진단하는 방법은?

  1. 육안 및 현미경 진단법
  2. 이화학적 진단법
  3. 혈청학적 진단법
  4. 생물학적 진단법
(정답률: 69%)
  • 감수성인 식물은 특정한 병원체에 감염되면 그 변화를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어떤 병원체에 감염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생물학적 진단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감수성인 식물을 이용하여 병을 진단하는 방법은 생물학적 진단법입니다. 육안 및 현미경 진단법은 병원체를 직접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이고, 이화학적 진단법은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이며, 혈청학적 진단법은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선충의 동물 분류학상의 위치는?

  1. 편형동물문
  2. 강장동물문
  3. 선형동물문
  4. 윤형동물문
(정답률: 71%)
  • 선충은 선형동물문에 속합니다. 이는 선충의 몸이 일직선으로 늘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선형동물문은 선형적인 몸 구조를 가진 동물들을 포함하며, 대표적인 종류로는 벌레류와 지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르도액을 조제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금속제 용기(容器)를 사용한다.
  2. 생석회액(석회유)에 황산동액을 섞는다.
  3. 양쪽 용액을 혼합할 때 강하게 휘저어 준다.
  4. 보르도액은 사용하기 직전에 만들어 사용한다.
(정답률: 50%)
  • "금속제 용기(容器)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입니다. 이유는 보르도액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일어나는 반응이 금속 용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속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나무 잎떨림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1. 땅 위에 떨어진 병든 잎
  2. 소나무 뿌리
  3. 소나무 줄기
  4. 중간기주
(정답률: 60%)
  • 소나무 잎떨림병균은 땅 위에 떨어진 병든 잎에서 월동합니다. 이는 병균이 잎에서 떨어져 땅 위에 떨어진 후, 건조하고 추운 겨울철에도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병든 잎은 봄에 새로운 잎이 나오면서 병균이 다시 번식할 수 있는 장소가 됩니다. 따라서 소나무 잎떨림병균은 땅 위에 떨어진 병든 잎에서 월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잣나무 털녹병에 걸린 잣나무의 병환부에 4 ~ 5월경에 나타나는 노랑(오렌지색)가루는?

  1. 녹포자
  2. 여름포자
  3. 겨울포자
  4. 소생지
(정답률: 41%)
  • 잣나무 털녹병에 걸린 나무의 병환부에 나타나는 노랑(오렌지색)가루는 녹포자입니다. 녹포자는 잣나무 털녹병의 원인균인 Phytophthora cinnamomi의 생식구조물로, 여름포자와 겨울포자는 이 생식구조물의 다른 형태입니다. 소생지는 다른 나무병의 원인균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말구직경 20cm, 원구직경 42cm, 재장 8m인 통나무의 재적을 스마리안(Smalian)식으로 계산한 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π=3.141)

  1. 약 0.5793m3
  2. 약 0.6796m3
  3. 약 0.7792m3
  4. 약 0.4796m3
(정답률: 60%)
  • 스마리안(Smalian)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A + 4B + C) / 6

    여기서 A는 말구의 단면적, B는 원구의 단면적, C는 재장에 따른 부피입니다.

    말구의 단면적은 반지름이 10cm인 원의 넓이입니다.

    A = πr^2 = 3.141 x 0.1^2 = 0.0314m^2

    원구의 단면적은 반지름이 21cm인 원의 넓이입니다.

    B = πr^2 = 3.141 x 0.21^2 = 0.138m^2

    재장에 따른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C = (πr^2) x l = 3.141 x 0.21^2 x 8 = 1.117m^3

    따라서, 재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 = (A + 4B + C) / 6 = (0.0314 + 4 x 0.138 + 1.117) / 6 = 0.6796m^3

    따라서, 정답은 "약 0.6796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정기생장량
  2. 총평균생장량
  3. 연년생장량
  4. 정기평균생장량
(정답률: 72%)
  •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은 나무가 가장 빠르게 자라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 때, 나무의 성장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총평균생장량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총평균생장량이 높을수록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다른 보기들은 재적수확과는 관련이 있지만, 총평균생장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나무 원목의 1m3당 시장 가격이 300,000dnjs 1m3당 생산비용이 100,000원, 조재율70%, 투하 자본의 회수기간이 5개월, 자본의 월이율이 4%, 기업 이익률이 30% 라고 할 때, 1m3당 임목가는? (단, 시장가역산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시오.)

  1. 55,000원
  2. 70,000원
  3. 95,000
  4. 125,400원
(정답률: 75%)
  • 시장가역산법에 따라 임목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임목가 = 시장가 - (생산비용 + 조재비용 + 이윤)

    조재비용 = 시장가 * 조재율
    이윤 = 생산비용 * (1 + 이율)^회수기간 * 이익률

    조재비용 = 300,000 * 0.7 = 210,000원
    이윤 = 100,000 * (1 + 0.04)^5 * 0.3 = 51,794원

    임목가 = 300,000 - (100,000 + 210,000 + 51,794) = 70,206원

    따라서, 1m3당 임목가는 약 7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면적당 임목의 현존량 측정시 가장 먼저 할 일은?

  1. 조사구 설정
  2. 조사목 선정
  3. 조사목의 중량측정
  4. 임분의 현존량 추정
(정답률: 67%)
  • 면적당 임목의 현존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사구를 설정해야 합니다. 조사구를 설정함으로써 측정할 면적을 정확하게 결정하고, 해당 면적 내의 모든 임목을 포함하도록 조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사구 설정은 면적당 임목의 현존량 측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임목기망가를 응용할 수 없는 경우는?

  1. 토지매각시 토지에 대한 투자비용을 찾을 때
  2. 임목의 성숙기를 결정할 때
  3. 미숙한 임목을 임지와 함께 매도할 때
  4. 임목의 벌채 또는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결정시
(정답률: 31%)
  • 임목기망가는 임목의 성장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토지매각시 토지에 대한 투자비용을 찾을 때는 임목의 성장과정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임목기망가를 응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토지매각시 토지에 대한 투자비용을 찾을 때"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산림경리 업무의 후업(後業)에 속하는 것은?

  1. 시업체계의 조직
  2. 시업관계 사항 조사
  3. 시업상 필요한 시설계획
  4. 시업의 조사(調査), 검정
(정답률: 75%)
  • 산림경리 업무의 후업에는 시업의 조사(調査), 검정이 포함됩니다. 이는 산림자원의 상태나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시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작업으로,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림경리 업무에서 시업의 조사와 검정은 필수적인 작업으로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육림비의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재료비
  2. 노동비
  3. 자본이자
  4. 단위재적량의 채취비
(정답률: 43%)
  • 육림비는 나무를 재배하고 수확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위재적량의 채취비"는 육림비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단유재는 이미 수확된 나무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재료이기 때문에 육림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반 설정의 조건 중 틀린 것은?

  1. 지종 구분이 상이할 때
  2. 입목지 및 미입목지
  3. 천연계 즉 하천, 도로, 방화선
  4. 임령 및 지위의 차이가 현저할 때
(정답률: 53%)
  • "천연계 즉 하천, 도로, 방화선"은 올바른 조건이 아닙니다. 소반 설정에서는 지종 구분이 상이할 때, 입목지 및 미입목지, 임령 및 지위의 차이가 현저할 때에 따라 설정됩니다. 하지만 천연계는 소반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확조정 방법에 있어 조사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접 연년생장량을 측정하여 다음 경리기간의 수확량으로 한다.
  2. 현실적으로 거의 개벌작업에 적용하고 있다.
  3. 경영자의 경험에 의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적 숙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4. 자연법칙을 존중하면서 임업의 경제성을 높이고 다량의 목재생산을 지속하려는 방법이다.
(정답률: 53%)
  • "현실적으로 거의 개벌작업에 적용하고 있다."가 틀린 것이다. 수확조정 방법은 개별적인 나무나 작은 면적에서는 적용 가능하지만, 대규모 개벌작업에서는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개별적인 나무나 작은 면적에서만 적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복합임업경영의 주된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임업 주수입의 증대
  2. 임업 조수입의 증대
  3. 임업수입의 조기화와 다양화
  4. 임업경영지의 대단지화
(정답률: 71%)
  • 복합임업경영의 주된 목적은 임업수입의 조기화와 다양화입니다. 이는 다양한 임업분야에 참여하여 수입을 다각화하고, 임업사업의 생산성을 높여 조기에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임업경영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휴양의 특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노동과 관련이 없어야 한다.
  2. 자유로운 선택이어야 한다.
  3. 학습의 효과가 있어야만 한다.
  4. 즐거우며 재충전의 편익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0%)
  • "노동과 관련이 없어야 한다."는 휴양의 특질 중 하나이지만, 학습의 효과가 없어도 휴양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유로운 선택이어야 한다."가 될 수 있다.

    학습의 효과가 있어야만 한다는 이유는 휴양을 통해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거나,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등 학습적인 요소가 있어야 휴양의 효과가 더욱 깊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거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법정축적법의 kamaraltaxe법에 의하여 수확조정을 하고자 할 때 표준연벌채량 계산인자가 아닌 것은?

  1. 현실축적
  2. 갱정기
  3. 경리기외 편입기간
  4. 법정축적
(정답률: 58%)
  • 법정축적법의 kamaraltaxe법에 의하여 수확조정을 할 때, 표준연벌채량 계산인자는 법정축적법에서 정한 채량 방법에 따라 계산된 값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리기외 편입기간"은 법정축적법에서 정한 채량 방법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므로, 수확조정을 할 때 표준연벌채량 계산인자가 아닙니다. "경리기외 편입기간"은 채취기간 중에 법정축적법에 따라 채취하지 않은 기간을 말하며, 이 기간 동안의 채취량은 따로 계산하여 수확조정에 반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현실성장량이 아닌 것은?

  1. 연년성장량
  2. 정기성장량
  3. 벌기성장량
  4. 벌기평균성장량
(정답률: 58%)
  • "벌기평균성장량"은 현실적인 성장량이 아닙니다. 이는 단기간 동안의 성장량을 평균화한 값으로, 장기적인 성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은 4가지 형태의 산림의 구조 중 여러 계층의 임목이 골고루 이상적인 구성을 하고 있어서 보속생산이 가능한 산림구조는?

  1. A형 산림구조
  2. B형 산림구조
  3. C형 산림구조
  4. D형 산림구조
(정답률: 44%)
  • D형 산림구조는 여러 계층의 임목이 골고루 분포하여 보속생산이 가능한 구조이다. A형 산림구조는 단일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속생산이 어렵고, B형 산림구조는 상위 계층의 임목이 지배적이어서 하위 계층의 생육이 어렵다. C형 산림구조는 상위 계층의 임목이 지배적이지만, 하위 계층의 생육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 보속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D형 산림구조가 여러 계층의 임목이 골고루 분포하여 보속생산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영림계획의 운용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영림계획 - 조사업무 - 연차계획 - 사업예정 - 사업실행
  2. 연림계획 - 연차계획 - 조사업무 - 사업예정 - 사업실행
  3. 영림계획 - 연차계획 - 사업예정 - 조사업무 - 사업실행
  4. 영림계획 - 연차계획 - 사업예정 - 사업실행 - 조사업무
(정답률: 28%)
  • 정답은 "영림계획 - 연차계획 - 사업예정 - 사업실행 - 조사업무"입니다.

    영림계획은 기업의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획입니다. 이후에는 연차계획을 수립하여, 영림계획에서 제시한 전략과 방향성을 실제로 구체적인 사업으로 전환합니다. 이때, 사업예정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사업의 목표와 일정, 예산 등을 수립하고, 사업실행 단계에서는 이를 실제로 실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사업무 단계에서는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산은 기업에 머무는 기간의 길이 또는 유동성에 따라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으로 나누어진다. 다음 중 고정자산이 아닌 것은?

  1. 임도
  2. 산림관리 사무실
  3. 숯가마
  4. 매각용 묘목
(정답률: 87%)
  • 고정자산은 기업이 장기적으로 보유하며 생산활동에 이용되는 자산으로, 매각용 묘목은 기업이 단기적으로 매각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이므로 고정자산이 아니다. 매각용 묘목은 기업이 수확할 때까지 육성해둔 나무로, 수확 후에는 매각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목적으로 보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수렵허가를 받을 수 있는 자는?

  1. 미성년자
  2. 심신상실자 및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정신장애인
  3. 수렵면허가 취소된 날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4. 이 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 6개월이 경과된 자
(정답률: 72%)
  • 수렵허가를 받을 수 있는 자는 "이 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 6개월이 경과된 자"입니다. 이는 수렵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이 법을 위반하여 실형을 선고받은 경우, 그 집행이 면제된 후 2년 6개월이 지나야 수렵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임지는 육림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목축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임지를 육림용으로 사용하려면 목축용으로 사용하므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을 포기해야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원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매몰원가(sunk costs)
  2. 한계원가(marginal coast)
  3. 증분원가(incremental costs)
  4. 기회원가(opportunity costs)
(정답률: 80%)
  • 기회원가는 어떤 선택을 하면서 포기하는 대안의 수익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임지를 육림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목축용으로 사용하는 대안을 포기하게 되므로, 목축용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기회원가가 된다. 즉, 육림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포기한 목축용의 수익이 기회원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림 측정 단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1cu.ft = 1 foot x 1 foot x 1 foot
  2. 1평(坪) = 6척(尺) x 6척(尺)
  3. 1재(才) = 3cm x 3cm x 3cm
  4. 1m3 = 299 4재(才)
(정답률: 42%)
  • "1재(才) = 3cm x 3cm x 3cm"이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1재(才) = 10cm x 10cm x 10cm"입니다. 이는 산림에서 나무의 굵기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단위로, 나무의 단면적을 제곱센티미터(cm2)로 나타낸 후, 이를 100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1재는 1000cm3의 부피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임업소득 계산으로 옳은 것은?

  1. (임업조수익 - 임목생장액)
  2. (임업조수익 - 임업경영비)
  3. (임업조수익 - 임업생산 가계소비액)
  4. (임업조수익 - 감가상각비)
(정답률: 69%)
  • 임업소득 계산에서 옳은 것은 "(임업조수익 - 임업경영비)"이다. 이는 임업조수익에서 임업경영비를 뺀 값으로, 임업조수익은 임업에서 얻은 수입을 의미하고, 임업경영비는 임업을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업소득은 임업조수익에서 임업경영비를 뺀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임도 노선 설치시 단곡선에서 교각 [I.A]이 30° 31‘00“이고 곡선반지름(R)이 150m 일 때 접선길이 (T.L)는?

  1. 약 15m
  2. 약 21m
  3. 약 35m
  4. 약 41m
(정답률: 28%)
  • 임도 노선에서 곡선의 중심각은 1도당 약 17.45m 이므로, 30° 31‘00“은 약 30.52도이며, 이에 따른 중심각의 길이는 약 533.5m 이다. 이때 곡선의 반지름이 150m 이므로, 곡선의 길이는 약 2π × 150m × (30.52/360) ≈ 약 256.5m 이다. 따라서, 단곡선에서의 접선길이는 교각과 곡선의 길이를 합한 값에서 150m의 원호를 빼면 된다. 즉, T.L = 256.5m + 30.52m - 150m ≈ 약 137.02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접선길이가 약 41m 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임도의 중단선형을 구성하는 요소는?

  1. 종단곡선
  2. 직선
  3. 단곡선
  4. 완화곡선
(정답률: 45%)
  • 임도의 중단선형은 직선과 종단곡선으로 구성됩니다. 직선은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며, 종단곡선은 두 직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곡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종단곡선은 임도의 중단선형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단곡선과 완화곡선은 중단선형과는 관련이 있지만, 중단선형을 직접 구성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산림법령상 임도시설기준의 합성기울기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지형여건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

  1. 원칙적으로 12% 이하로 한다.
  2. 지선임도는 13% 이하로 한다.
  3. 간선임도는 15% 이하로 한다.
  4. 원칙적으로 14% 이하로 한다.
(정답률: 78%)
  • 산림법령상 임도시설기준에서는 합성기울기가 높을수록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임도시설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합성기울기를 낮추기 위해 원칙적으로 12% 이하로 한다는 것입니다. 지선임도와 간선임도는 합성기울기보다는 경사가 낮아야 하기 때문에, 각각 13% 이하와 15% 이하로 한다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 14% 이하로 한다는 것은 산림법령상 임도시설기준에서 정한 기준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장마기가 지난 후 옆도랑과 빗물받이의 토사를 제거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작업 기계는?

  1. 진동 로울러
  2. 모터 그레이더
  3. 소형 불도저
  4. 소형 백호우
(정답률: 80%)
  • 장마기가 지나면서 쌓인 토사를 제거하려면 지형을 평탄화하고 토사를 뒤집어서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힘과 작업 공간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소형 백호우가 가장 적합합니다. 진동 로울러는 지형을 평탄화하는 데 적합하지만 토사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모터 그레이더는 지형을 조정하는 데 적합하지만 토사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소형 불도저는 토사를 제거하는 데 적합하지만 작업 공간의 제한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소형 백호우가 가장 적합한 작업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임도에서 반향곡선(反向曲線)을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임도의 거리를 단축한다.
  2. 임도 경사를 완화한다.
  3. 교통의 안전을 확보한다.
  4. 목재 운반의 위험도를 줄인다.
(정답률: 71%)
  • 반향곡선은 고속도로나 기타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차량의 속도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임도의 거리를 단축한다."는 반향곡선 설치의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도를 통과시켜야 하라 A점과 B점간의 표고 차이가 400m이고, 도상(1/25000)거리가 20cm 이었을 경우 종단경사를 몇 %로 한 예정선을 삽입시킬 수 있는가?

  1. 4%
  2. 8%
  3. 12%
  4. 16%
(정답률: 56%)
  • 임도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A점과 B점 사이의 표고 차이를 극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예정선을 삽입하여 종단경사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도상 거리가 20cm 이므로 1cm 당 표고 차이는 400m / (20cm * 25000) = 0.08m = 8cm 입니다.

    따라서, 종단경사를 1cm 당 8cm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8%의 경사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본 바닥의 토질이 모래인 지역에 임도를 개설할 경우 흙깎기 비탈면의 울매는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0.3 ~ 0.8%
  2. 0.5 ~ 1.0%
  3. 0.8 ~ 1.2%
  4. 1.5% 이상
(정답률: 18%)
  • 모래 토양은 수분이 쉽게 증발하고, 비탈면에서는 땅이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임도를 개설할 때 흙깎기 비탈면의 울매는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 때, 울매가 너무 낮으면 비가 내리면 물이 흐르지 않고 땅이 미끄러져서 임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울매가 너무 높으면 물이 흐르지 않고 땅이 마르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모래 토양에서는 울매를 1.5% 이상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차도너비(width of carriage way)란?

  1. 유효너비와 길어깨너비의 합
  2. 차량이 지나가는데 쓰이는 부분의 너비
  3. 길어깨너비와 옆도랑 너비의 합
  4. 유효너비와 비탈면의 합
(정답률: 32%)
  • 차도너비는 차량이 지나가는데 쓰이는 부분의 너비를 의미합니다. 즉,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폭 중에서 실제로 차량이 이용하는 부분의 너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임도건설이 끼칠 수 있는 악영향으로 관련이 적은 것은?

  1. 야생동식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단절된다.
  2. 야생동물과 희귀식물의 서식처가 파괴된다.
  3. 단위 면적 당 임목 생장량이 급감한다.
  4. 성토부 흙이 참식되어 계곡수가 오염된다.
(정답률: 72%)
  • 단위 면적 당 임목 생장량이 급감하는 것은 임도건설이 산림을 파괴하고 나무를 베어내어 산림 생태계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나무는 산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무가 없어지면 생태계가 불안정해지고 생태계의 다른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임도건설은 산림 생태계를 파괴하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악영향을 끼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임도밀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임도밀도란 임도 간격을 산림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2. 임도밀도가 높으면 공사비가 높아 산림개발도가 낮아진다.
  3. 임도밀도가 높으면 산림개발도가 높다.
  4. 국유림 임도밀도는 대체로 민유림보다 높다.
(정답률: 65%)
  • 정답은 "임도밀도가 높으면 산림개발도가 높다." 이다. 이유는 임도밀도가 높을수록 산림면적 당 임도가 많아지기 때문에 산림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산림의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림개발도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성토사면에 있어서 소단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성토의 안정성을 높인다.
  2. 소단의 폭은 3 ~ 4m가 좋다.
  3. 유지보수작업을 할 때 작업원의 발판으로 이용한다.
  4. 사면에서 흘러내리는 사면침식의 진행을 방지한다.
(정답률: 85%)
  • "소단의 폭은 3 ~ 4m가 좋다." 인 이유는 "성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입니다. 소단은 성토를 지탱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적절한 폭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소단은 유지보수 작업 시 작업원의 발판으로 이용되며, 사면에서 흘러내리는 사면침식의 진행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산림법령상 임도에 있어서 지선임도의 설계속도는?

  1. 90 ~ 80km/시간
  2. 70 ~ 60km/시간
  3. 50 ~ 40km/시간
  4. 30 ~ 20km/시간
(정답률: 67%)
  • 산림법령상 임도는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선임도의 설계속도는 너무 빠르면 산림자원을 파괴할 우려가 있고, 너무 느리면 작업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산림법령에서는 지선임도의 설계속도를 30 ~ 20km/시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산림자원을 보호하면서도 작업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속도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Matthews의 적정 임도밀도 이론으로 옳은 것은?

  1. (임도 개설비 + 유지관리비 + 집재 비용)의 합계가 최소가 되는 점의 임도밀도
  2. (임도 개설비 + 유지관리비 + 집재 비용)의 합계가 최대가 되는 점의 임도밀도
  3. (임도 개설비 + 유지관리비 + 운재 비용)의 합계가 최소가 되는 점의 임도밀도
  4. (임도 개설비 + 유지관리비 + 운재 비용)의 합계가 최대가 되는 점의 임도밀도
(정답률: 53%)
  • Matthews의 적정 임도밀도 이론에서 옳은 것은 "(임도 개설비 + 유지관리비 + 집재 비용)의 합계가 최소가 되는 점의 임도밀도"이다. 이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임도밀도를 찾기 위해, 임도 개설비, 유지관리비, 집재 비용 등의 총 비용을 최소화하는 임도밀도를 찾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론에서는 이러한 최소비용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정 임도밀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산림법령상 설계속도가 40km/시간인 일반지형에서의 임도 적정 종단기울기는?

  1. 5% 이하
  2. 7% 이하
  3. 9% 이하
  4. 12% 이하
(정답률: 56%)
  • 산림법령상 일반지형에서의 임도 적정 종단기울기는 7% 이하이다. 이는 산림자원관리법 시행규칙 제10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유는 임도의 기능 중 하나인 토양유실 방지와 수질보호를 위해서이다.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비가 내리면서 토양이 침식되고 수질이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정 기울기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적정 기울기를 유지하면 임도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이나 기계의 안전성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배수로 공사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의 입자가 연속하여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수류라 한다.
  2. 물의 흐름을 직각으로 자른 횡단면적을 유적이라 한다.
  3. 배수로의 횡단면에서 물과 접촉하는 배수로 주변 길이를 윤변이라 한다.
  4. 유적을 윤변으로 나눈 것을 경변이라 한다.
(정답률: 35%)
  • "유적을 윤변으로 나눈 것을 경변이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적은 물이 흐르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유적이라고 합니다. 이때 유적을 자른 선을 경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유적을 윤변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유적을 경변으로 나눈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임도설계시 예정공정표에 작성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의 난이도
  2. 작업인원의 동원 가능 상태
  3. 계절적인 조건
  4. 인부단가비
(정답률: 48%)
  • 임도설계시 예정공정표에 작성할 사항은 작업의 난이도, 작업인원의 동원 가능 상태, 계절적인 조건 등과 같은 작업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인부단가비는 공정의 예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비용 요소이기 때문에 예정공정표에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인부단가비는 인력을 고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예산 및 비용산정과 관련된 문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산림토목 공사용 기계 중 토사 굴착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트리 도우저(tree dozer)
  2. 불도우저(buudozer)
  3. 트랙터 셔블(tractor shovel)
  4. 백호우(backhoe)
(정답률: 53%)
  • 트리 도우저는 주로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이기 때문에 토사 굴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임도계획선에 인접된 작은 계곡에서 이른바 구곡침식(gully erosion)이 심할 때, 이것을 안정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계간 공작물은?

  1. 편책 기슭막이
  2. 돌망태 골막이
  3. 떼 누구막이
  4. 콘크리트 옹벽
(정답률: 69%)
  • 구곡침식은 지표면의 물이 작은 계곡을 따라 흐르면서 침식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를 막기 위해서는 지표면의 물이 계곡으로 흐르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표면의 물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작물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돌망태 골막이가 가장 적합합니다. 돌망태 골막이는 돌을 쌓아서 만든 공작물로, 지표면의 물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돌망태 골막이는 자연재료를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구곡침식을 막기 위해서는 돌망태 골막이가 가장 적합한 계간 공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1차선임도에 있어서 대피소(待避所)의 주 설치 목적은?

  1. 차량이 쉬었다 가기 위해서
  2. 공중 공습을 피하기 위해서
  3. 차량이 서로 비켜 가기 위해서
  4. 차량이 짐을 싣고 내리기 위해서
(정답률: 73%)
  • 대피소는 차량이 서로 비켜 가기 위해서 설치됩니다. 이는 1차선 도로에서 차량이 서로 만나게 되면 한 쪽 차량이 대피소에 멈추어 다른 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일반적인 콘크리트 양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1. 콘크리트를 친 후 가마니를 적셔서 덮어 놓는다.
  2. 겨울에는 콘크리트 구조물 주위에 불을 피워 놓는다.
  3. 콘크리트 양생중에 로라로 자주 다져준다.
  4. 때때로 물을 뿌려준다.
(정답률: 48%)
  • 콘크리트 양생에 로라로 자주 다져주는 것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양생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로라는 콘크리트 양생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입니다. 따라서 로라로 자주 다져주는 것이 콘크리트 양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비탈면 녹화공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경관미의 조속한 회목
  2. 조림을 위한 지존작업
  3. 도로 외부로부터의 교통장애요인의 저지
  4. 인위적으로 훼손된 비탈면을 빠르고 안전하게 피복하여 침식 및 붕괴현상의 방지
(정답률: 66%)
  • 비탈면 녹화공법은 인위적으로 훼손된 비탈면을 빠르고 안전하게 피복하여 침식 및 붕괴현상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조림을 위한 지존작업"은 비탈면 녹화공법의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사방공사에서 찰쌓기 공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석재는?

  1. 야면석
  2. 잡석
  3. 견치돌
  4. 막깬돌
(정답률: 42%)
  • 찰쌓기 공법은 석재를 겹쳐서 쌓는 방법으로, 각각의 석재가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구조물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때 막깬돌은 다른 석재에 비해 견고하고 단단하여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막깬돌은 규모가 큰 구조물을 만들 때도 사용되며, 노출되는 부분에서도 오랜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량이 적고 물매가 비교적 급한 산비탈에 막깬돌, 잡석등을 붙여 축설하는 수로는?

  1. 찰붙임수로
  2. 매붙임수로
  3. 속도랑배수구
  4. 바자수로
(정답률: 48%)
  • 유량이 적고 물매가 비교적 급한 산비탈에는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찰붙임수로나 바자수로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매붙임수로를 사용하여 막깬돌이나 잡석 등을 붙여 축설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매붙임수로는 매를 이용하여 돌이나 돌멩이를 붙여 수로를 만드는 방법으로, 물이 빠르게 흐르는 지형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사면 붕괴와 산사태 발생 원인 중 자연적 요인에 속하는 것은?

  1. 강수에 의한 지표수 유출
  2. 임도 공사시 성토면 붕괴
  3. 채석장 법면의 사면 절취
  4. 모두베기 작업에 의한 산지 침식
(정답률: 86%)
  • 강수가 지면에 내리면서 지표수가 포화되면, 추가적인 강수는 지표수로 흐르게 되어 지표수 유출이 발생합니다. 이는 지면의 안정성을 약화시켜 사면 붕괴와 산사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우량계가 유역에 불균등하게 분포되었을 경우 평균 강우량 측정 방법은?

  1. Thiessen법
  2. 산술평균법
  3. 등우선법
  4. 침투형법
(정답률: 66%)
  • 우량계가 유역에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 Thiessen법은 각 우량계 위치를 중심으로 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우량계들의 영역을 나누어 각 영역의 강우량을 해당 우량계의 강우량으로 가정하여 평균 강우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우량계의 위치에 따라 강우량 측정값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다 정확한 평균 강우량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불균등한 분포를 가진 우량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계류의 유속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둑이나 계안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하는 사방공작물은?

  1. 구곡막이
  2. 바닥막이
  3. 기슭막이
  4. 수제
(정답률: 64%)
  • 사방공작물은 물류조절시설 중 하나로, 계류의 유속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수제"는 인공적으로 만든 둑이나 계류로부터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구곡막이", "바닥막이", "기슭막이"는 모두 수제가 아닌 다른 유형의 물류조절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돌을 쌓아 올릴 때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쌓는 방법은?

  1. 찰쌓기
  2. 메쌓기
  3. 보쌓기
  4. 잡쌓기
(정답률: 74%)
  • 돌을 쌓아 올릴 때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쌓는 방법은 "메쌓기" 입니다. 이는 돌을 서로 겹치게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아래층 돌의 모양과 크기에 맞게 윗층 돌을 쌓아 올리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세골재(모래)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냇모래
  2. 강모래
  3. 산악천모래
  4. 바다모래
(정답률: 58%)
  • 바다모래는 염분이 많아 철근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공법 중 형식이 다른 하나는?

  1. 선떼붙이기 공법
  2. 새심기공법
  3. 편떼심기공법
  4. 점파공법
(정답률: 67%)
  • 정답은 "점파공법"입니다.

    - 선떼붙이기 공법: 선을 그리고 그 위에 떼를 붙여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
    - 새심기공법: 색을 채우는 방법으로, 색을 여러 겹 칠해가며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
    - 편떼심기공법: 종이를 자르거나 떼어내어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
    - 점파공법: 점을 찍어가며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이지만, 다른 공법과 달리 형식이 다릅니다. 점을 찍어가며 그림을 완성하는 것은 비슷하지만, 점을 찍는 위치와 크기, 간격 등이 정해져 있어서 다른 공법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사반댐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직선중력댐
  2. 아치댐
  3. 삼차원댐
  4. 수평식댐
(정답률: 20%)
  • 수평식댐은 댐의 몸체가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댐의 높이보다는 폭이 넓은 형태를 말합니다. 이에 비해 직선중력댐, 아치댐, 삼차원댐은 댐의 몸체가 곡선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식댐"이 아닌 것은 "직선중력댐", "아치댐", "삼차원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사방댐의 위치와 방향이 옳은 것은?

  1. 계상 및 양안에 암반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2. 일반적으로 상류부는 좁고, 댐의 위치는 넓어야 한다.
  3. 붕괴지 및 다량의 계상퇴적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상부에 한다.
  4. 두 곳의 지유가 만나는 합류지역의 하류부에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두 곳의 지유가 만나는 합류지역의 하류부에 한다." 이다. 이유는 두 개의 지류가 합류하여 더 큰 강이 되는 지점인 합류지역의 하류부에 댐을 건설하면, 댐을 통해 수원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더 넓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류부가 좁으면 댐을 건설하기 어렵고, 붕괴지나 계상퇴적물이 많은 지역에는 댐을 건설하면 안 되기 때문에 이 보기들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평균 유속 산정에 이용되는 Bazin 구공식 에서, 황폐류나 야계사방에 주로 이용되는 조도계수 α, β의 값은 얼마인가?

  1. α = 0.0004, β = 0.0007
  2. α = 0.004, β = 0.007
  3. α = 0.04, β = 0.07
  4. α = 0.4, β = 0.7
(정답률: 43%)
  • 황폐류나 야계사방은 지형이 복잡하고 지형의 경사도가 크기 때문에 유속이 빠르게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Bazin 구공식에서는 조도계수를 적용하여 보정해줍니다. 이때, 조도계수는 지형의 경사도와 관련이 있으며, 황폐류나 야계사방에서는 보통 α = 0.0004, β = 0.0007의 값을 사용합니다. 이 값은 지형의 경사도가 크지 않은 일반적인 지역에서 사용되는 값인 α = 0.004, β = 0.007보다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α = 0.0004, β = 0.00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녹화파종공법을 시행할 때 파종량의 산출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파종량의 결정은 발생기대본수와 비례관계에 있다.
  2. 파종량의 결정은 평균입수와 비례관계에 있다.
  3. 파종량의 결정은 순량율은 비례관계에 있다.
  4. 파종량의 결정은 발아율과 비례관계에 있다.
(정답률: 75%)
  • 녹화파종공법에서 파종량은 발생기대본수와 비례관계에 있습니다. 즉, 더 많은 발생기대본수가 있을수록 더 많은 파종량이 필요합니다. 발생기대본수는 원하는 작물의 생육환경과 작물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파종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수제(水制)의 높이를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수의저항
  2. 유수의 전석(轉石)
  3. 하상(河床)의 변화
  4. 하상의 크기
(정답률: 39%)
  • 수제의 높이를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하상의 크기"입니다. 이는 수제의 높이는 하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하상이 작으면 수위가 높아져 수막이 깨질 위험이 있고, 하상이 크면 수위가 낮아져 수막이 깨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상의 크기는 수제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산사태(landslide)와 산붕(landsli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붕은 산사태와 같은 기구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산사태보다 규모가 작고 산정부에서 많이 발생한다.
  2. 산사태는 주로 호우의 원인에 의하여 산정에서 가까운 산복부에서 발생한다.
  3. 산사태는 지괴(地塊)가 융해, 팽창되너 일시에 계곡, 계류를 향햐여 연속적으로 길게 붕괴하는 것이다.
  4. 산사태는 비교적 산지 경사가 급하고 토층 바닥에 양받이 깔린 곳에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40%)
  • "산붕은 산사태와 같은 기구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산사태보다 규모가 작고 산정부에서 많이 발생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산붕은 산사태와 같은 기구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산사태보다 규모가 작고 산정부에서 많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계속되는 강우로 인하여 토층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산지 전면에 걸쳐 얇은 층으로 토양이 이동하는 침식은?

  1. 우격침식
  2. 면상침식
  3. 누구침식
  4. 구곡침식
(정답률: 74%)
  • 이 질문은 지질학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강우로 인해 토층이 포화되면 지표면에 물이 쌓이게 됩니다. 이때 지표면에 물이 쌓이면서 지표면의 경사도에 따라 물이 흐르게 되는데, 이때 토양이 이동하는 것을 침식이라고 합니다.

    면상침식은 지표면에서 일어나는 침식으로, 지표면에 물이 쌓이면서 지표면의 경사도에 따라 물이 흐르면서 토양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지표면의 경사도가 가파른 지역에서 더욱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면상침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산복사방의 목표와 거리가 먼 것은?

  1. 표토 침식의 방지
  2. 붕괴의 확대 방지
  3. 종횡침식의 방지
  4. 산사태 위험지 예방
(정답률: 50%)
  • 산복사방의 목표는 산사태 위험지 예방이지만, 거리가 먼 것은 종횡침식의 방지입니다. 산복사방은 주로 산사태 위험지에서 발생하는 표토 침식과 붕괴를 예방하기 위한 구조물입니다. 하지만 종횡침식은 산복사방으로는 완전히 예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종횡침식은 지형의 경사와 지하수의 흐름 등에 의해 발생하는 토사의 이동 현상으로, 산복사방으로는 일부 방지할 수 있지만 완전한 예방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산복사방의 목표는 종횡침식의 방지보다는 주로 산사태 위험지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침식지형의 정지공사시 단끊기에 대하여 맞는 것은?

  1. 계단 나비는 일반적으로 30cm로 한정 한다.
  2. 비탈 다듬기를 한 후 1 ~ 2회 비를 맞은 다음에 한다.
  3. 하부에서 상부로 단을 끊어 간다.
  4. 산비탈 방향으로 온전히 수평으로 만들 필요가 없다.
(정답률: 29%)
  • 침식지형의 정지공사시 단끊기는 지형의 경사를 완만하게 만들어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때 비탈 다듬기를 한 후 1~2회 비를 맞은 다음에 단끊기를 하는 이유는, 비를 맞으면 흙이 축축해져서 단을 끊을 때 더욱 쉽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계단 나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탈 다듬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비탈 다듬기를 한 후 1~2회 비를 맞은 다음에 단끊기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황폐계천의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게상 물매가 급하다.
  2. 유로의 길이가 길다.
  3. 강우나 융설 등에 의해 유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4. 호우시에는 다량의 유수와 사력이 단시간에 내려온다.
(정답률: 72%)
  • "유로의 길이가 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황폐계천은 유로의 길이가 짧아서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게상 물매가 급하게 일어나는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유량이 400m3/sec 이고, 평균유속이 5m/sec 이며, 수로횡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일정할 때 수로횡단면적은?

  1. 5m2
  2. 6m2
  3. 7m2
  4. 8m2
(정답률: 66%)
  • 유량 = 평균유속 x 수로횡단면적
    수로횡단면적 = 유량 ÷ 평균유속
    수로횡단면적 = 400 ÷ 5
    수로횡단면적 = 80
    따라서, 수로횡단면적은 8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