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산림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토양 부식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양분의 유실을 방지한다.
  2.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한다.
  3. 중금속의 유해작용을 증가시킨다.
  4. 지온의 급격한 저하 혹은 상승을 촉진한다.
(정답률: 60%)
  • 토양 부식은 토양의 양분을 빼앗아가는 과정이며, 이는 작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토양 부식의 기능 중 "양분의 유실을 방지한다."는 작물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자의 발아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포장에서 시험한 발아종자 알 수의 비율
  2. 종자를 잘라서 본 내부의 싱싱하고 건전한 종자 알수의 비율
  3. 실험실의 발아상에서 직접 발아한 종자 알 수의 비율
  4. 발아시험에서 일정기간 내에 발아하는 종자 알수의 비율
(정답률: 81%)
  • 발아시험은 일정 기간 동안 종자를 적절한 온도와 습도 등의 조건에서 보관하고, 그 기간 내에 발아하는 종자의 비율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따라서 "발아시험에서 일정기간 내에 발아하는 종자 알수의 비율"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묘포의 적지로 가장 적합한 곳은?

  1. 평탄한 점질토양
  2. 배수가 좋은 사양토
  3. 한랭한 지역의 북향
  4. 남쪽지방에서의 남향
(정답률: 80%)
  • 묘포는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기 때문에 배수가 좋은 사양토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비가 내리면 물이 잘 빠져나가서 뿌리가 썩지 않고 건강하게 자라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평탄한 점질토양은 물이 잘 고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고, 한랭한 지역의 북향과 남쪽지방에서의 남향은 묘포의 기후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판갈이 (상체) 밀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묘목이 클수록 밀식한다.
  2. 양수는 음수보다 밀식한다.
  3. 땅이 비옥할수록 소식한다.
  4. 잎과 가지가 확장하는 것은 밀식한다.
(정답률: 86%)
  • "땅이 비옥할수록 소식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비옥한 토양에서는 뿌리가 더욱 잘 자라고,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체인 판갈이도 더욱 빠르게 자라게 되어 밀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음수(陰樹)로만 묶인 것은?

  1. 향나무, 주목
  2. 비자나무, 전나무
  3. 버드나무, 삼나무
  4. 느티나무, 낙엽송
(정답률: 71%)
  • 정답은 "비자나무, 전나무"입니다. 이유는 비자나무와 전나무는 모두 속성이 음수(陰樹)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양수(陽樹)와 음수(陰樹)가 섞여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임지가 비옥하거나 식재목이 광선을 많이 요구할 때 실시하며, 소나무나 낙엽송 등의 조림지에 적합한 밑깎기 방법은?

  1. 전면깎기
  2. 줄깎기
  3. 둘레깎기
  4. 솎아깎기
(정답률: 63%)
  • 전면깎기는 식재목이 광선을 많이 받아야 하는 조건에서 적합한 밑깎기 방법이다. 이 방법은 나무의 전면을 모두 깎아내는 것으로, 나무의 뿌리가 더 깊게 자라도록 하여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이 방법은 소나무나 낙엽송 등의 조림지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음이온의 형태로 수목의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것은?

  1. NH4
  2. PO4
  3. Ca
  4. Na
(정답률: 52%)
  • PO4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주요 영양소 중 하나인 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음이온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뿌리로부터 흡수됩니다. NH4은 양이온 형태로 존재하며, Ca와 Na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PO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목본식물의 피자식물에서는 계화를 억제하나, 나자식물의 경우는 개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1. IAA
  2. IBA
  3. GA3
  4. NAA
(정답률: 66%)
  • GA3은 나자식물에서 개화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목본식물의 피자식물에서는 계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나자식물에 대한 호르몬 작용에 대한 내용을 묻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개화를 촉진시키는 GA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물 생리 활성물질 중에서 노화 촉진효과가 있는 것은?

  1. IAA
  2. Abscisic acid
  3. Cytokinin
  4. Gibberellin
(정답률: 66%)
  • Abscisic acid는 식물에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생산되며, 노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노화 촉진효과가 있는 것은 Abscisic acid입니다. IAA, Cytokinin, Gibberellin은 각각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활성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위지수는 임령에 대한 무엇의 표시인가?

  1. 흉고직경
  2. 수관폭
  3. 지하고
  4. 수고
(정답률: 66%)
  • 지위지수는 나무의 임령에 대한 수고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고"가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나무의 크기나 형태와 관련된 지표이지만, 수고는 나무가 자라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노력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과 같은 임분 구조를 갖는 것은?

  1. 보안림
  2. 교림
  3. 동령림
  4. 국유림
(정답률: 86%)
  • 이 그림은 임분 구조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동-림"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 구조에서 "동"은 지배적인 역할을 하며, "림"은 그에 종속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령림"이 정답입니다. "보안림"은 "보안"이 "림"을 지배하는 구조이므로, "동-림" 구조가 아닙니다. "교림"과 "국유림"도 마찬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잎수가 다섯 개인 것은?

  1. 섬잣나무
  2. 리기다소나무
  3. 소나무
  4. 방크스소나무
(정답률: 73%)
  • 정답은 "섬잣나무"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인데 반해, 섬잣나무는 잎이 다섯 개인 나무 중 하나입니다. 섬잣나무는 잎이 다섯 개인 것 외에도, 열매가 작고 달달하며, 주로 해안 지역에서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환원법에 의하여 종자의 발아력 시험을 할 때 테룰루산칼륨(K2TeO4)의 주용 사용 농도는?

  1. 1%
  2. 10%
  3. 20%
  4. 30%
(정답률: 44%)
  • 환원법에 의한 종자의 발아력 시험에서 테룰루산칼륨(K2TeO4)은 산화제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1% 농도로 사용됩니다. 이는 농도가 높을수록 시료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 농도가 가장 적절한 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종자결실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내적인자는?

  1. 광선
  2. 임목의 밀도
  3. 수분
  4. 유전성
(정답률: 75%)
  • 내적인자는 종자 자체의 특성으로서, 종자의 유전성이 그 중 하나입니다. 종자의 유전성은 부모 식물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종자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결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종자결실에 영향을 주는 내적인자 중 하나로 유전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택벌림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택벌림의 구조는 규칙적이고 지속적이다.
  2. 택벌림은 산림생육계와 관련하여 향상성과 자기조절 능력을 가진다.
  3. 택벌림의 수관은 잘 발달하여 안정상태를 이룬다.
  4. 택벌은 대경재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40%)
  • 정답: "택벌림은 산림생육계와 관련하여 향상성과 자기조절 능력을 가진다."

    택벌림은 산림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산림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택벌림의 구조는 규칙적이고 지속적이며, 수관이 잘 발달하여 안정상태를 이룹니다. 또한, 택벌은 대경재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시비 후에 알칼리성 반응을 보이는 비료는?

  1. 요소
  2. 용성인비
  3. 유민
  4. 염화칼륨
(정답률: 33%)
  • 용성인비는 시비 후에 알칼리성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그 구성 성분 중에 탄산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탄산염은 물과 반응하여 탄산 이온을 생성하고, 이는 수소 이온을 받아들여 알칼리성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시비 후에 용성인비를 사용하면 토양의 pH를 높여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우량묘목의 조건에 적합한 것은?

  1. 근원경이 큰 것
  2. T/R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
  3. 후기 생장이 왕성한 것
  4. 파종상에서 계속 생육시킨 것
(정답률: 32%)
  • 정답은 "근원경이 큰 것"입니다.

    근원경이 큰 나무는 뿌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이는 나무가 토양으로부터 충분한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우량묘목으로서 조건에 적합합니다.

    T/R율은 나무의 줄기와 뿌리의 두께 비율을 나타내는데, 상대적으로 큰 것은 나무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지만, 우량묘목의 조건으로는 근원경보다는 중요도가 낮습니다.

    후기 생장이 왕성한 것과 파종상에서 계속 생육시킨 것은 나무의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량묘목으로서 조건에는 적합하지만, 근원경보다는 중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모수작업에서 종자를 공급할 목적으로 남겨놓은 모수의 임목은 벌채전 전체적의 보통 몇 %인가?

  1. 5 ~ 10%
  2. 30 ~ 40%
  3. 60 ~ 70%
  4. 80 ~ 90%
(정답률: 61%)
  • 모수작업에서 종자를 공급할 목적으로 남겨놓은 모수의 임목은 보통 5 ~ 10% 정도이다. 이는 벌채 전체적으로 모수를 너무 많이 남겨놓으면 임목간의 경쟁이 심해져 성장이 늦어지거나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수를 너무 적게 남겨놓으면 종자를 공급할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이식을 하지 않고도 간단한 방법으로 이식의 효과를 부분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은?

  1. 단근
  2. 철선감기
  3. 심경
  4. 관수
(정답률: 79%)
  • 단근은 뿌리가 깊게 파인다는 특징 때문에 물과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어서, 이식을 하지 않고도 뿌리를 깊게 파서 물과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어서 이식의 효과를 부분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가지치기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무절(無節)의 완만재의 생산
  2. 하목(下木)의 보호 및 생장촉진
  3. 상림의 위해를 예방
  4. 부정아 발생 억제
(정답률: 68%)
  • "무절(無節)의 완만재의 생산", "하목(下木)의 보호 및 생장촉진", "상림의 위해를 예방"은 모두 가지치기를 통해 나무의 생장을 조절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부정아 발생 억제"는 가지치기를 통해 나무의 가지가 너무 많이 자라나는 것을 방지하여 나무의 생장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아 발생 억제"는 가지치기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지치기의 중요한 효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다음 중 물에 타서 사용하는 약제가 아닌 것은?

  1. 액체
  2. 분체
  3. 유제(乳劑)
  4. 수화제
(정답률: 65%)
  • 분체는 물에 타지 않고 고체나 가스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이기 때문에 물에 타서 사용하는 약제가 아니다. 액체, 유제, 수화제는 모두 물에 타서 사용하는 약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주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질병이 아닌 것은?

  1. 벚나무 빗자루병
  2. 오동나무 빗자루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뽕나무 오갈병
(정답률: 73%)
  • 정답은 "뽕나무 오갈병"입니다. 파이토플라스마는 식물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벚나무 빗자루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모두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질병입니다. 하지만 "뽕나무 오갈병"은 곰팡이에 의한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로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줄노랑들명나방
  2. 복숭아명나방
  3. 밤바구미
  4. 솔알락명나방
(정답률: 64%)
  • 해당 보기에서 "줄노랑들명나방"은 주로 나무를 먹는 해충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과일이나 채소 등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이기 때문에 "줄노랑들명나방"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약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농약에 저항성인 개체가 출현한다.
  2. 넓은 의미로는 농약 사용 후에 수목이나 인축에 생기는 생리적 장해현상을 말한다.
  3. 식물이 약해를 받으면 줄기, 잎, 열매 등의 변색, 낙엽, 낙과 등이 유발되고 심하면 고사한다.
  4. 약해는 한달시, 강풍 직후 또는 비가 온 후에 일어나기 쉽다.
(정답률: 43%)
  • "넓은 의미로는 농약 사용 후에 수목이나 인축에 생기는 생리적 장해현상을 말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농약에 저항성인 개체가 출현하는 이유는 농약을 사용하여 일부 개체가 살아남고 번식하여 그 유전자가 다음 세대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선택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농약을 계속해서 사용하면 농약에 저항성을 가진 개체가 계속해서 출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목의 흰가루병에서 가을에 나타나는 표징은?

  1. 균사
  2. 자낭각
  3. 분생자병
  4. 분생포자
(정답률: 43%)
  • 수목의 흰가루병에서 가을에 나타나는 표징은 자낭각입니다. 이는 병원균이 생산하는 자낭에서 나오는 각형태의 구조물로, 자낭각이 나타나면 병원균이 확산되고 병의 진행이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낭각은 흰가루병의 진단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균사, 분생자병, 분생포자는 흰가루병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병원균이나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뿌리에 기생하는 것은?

  1. 새삼
  2. 오리나무더부살이
  3. 동백나무겨우살이
  4. 꼬리겨우살이
(정답률: 45%)
  • 오리나무더부살이는 오리나무의 뿌리에 기생하는 식물로, 다른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붙어서 영양분을 빼앗아 자라는 파라사이트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오리나무더부살이가 뿌리에 기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유리나방과(科), 명나방과(科), 솔나방과(科)를 포함하는 목(目)은?

  1. Blattaria
  2. Heniptera
  3. Lepidoptera
  4. Plecuplate
(정답률: 64%)
  • 유리나방과, 명나방과, 솔나방과는 모두 나방목에 속하는 나방과이다. 따라서 이들을 포함하는 목은 나방목인데, 이 중에서 정답은 Lepidoptera이다. Lepidoptera는 나방목의 공식 학명으로, "비늘날개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나방과의 날개에 비늘이 덮여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산림화재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계절은?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60%)
  • 봄은 기온이 올라가면서 대기가 건조해지고, 바람도 강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산림화재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계절입니다. 또한 봄에는 산불 예방을 위한 산불감시단체들이 활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산림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포플러 줄기마름병에 대한 내병성이 가장 큰 품종은?

  1. Populus alba
  2. Populus euramericana 1-214
  3. Populus euramericana 1-476
  4. Populus alba × P . glandulosa
(정답률: 50%)
  • 포플러 줄기마름병은 포플러나무의 심한 내병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Populus euramericana 1-214는 다른 품종에 비해 더욱 강한 내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큰 내병성을 가진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나무재선충의 수목간 이동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스스로의 힘으로
  2. 매개충에 의하여
  3. 토양전염에 의하여
  4. 바람에 의하여
(정답률: 70%)
  • 소나무재선충은 매개충인 소나무재선충매미에 의해 이동합니다. 소나무재선충매미는 소나무 잎사귀에 알을 낳고, 그 알에서 부화한 소나무재선충매미는 소나무 잎사귀를 먹으며 자라다가 어른이 되면 소나무 잎사귀에 구멍을 내고 나와서 다른 나무로 이동합니다. 이때 소나무재선충이 소나무 잎사귀에 붙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소나무재선충매미가 나무를 이동하면서 소나무재선충이 함께 이동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개충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으로만 묶인 것은?

  1. 독나방, 솔나방
  2. 소나무좀, 루비깍지벌레
  3. 박쥐나방, 가루나무좀
  4. 어스랭이나방, 밤바구미
(정답률: 69%)
  • "소나무좀, 루비깍지벌레"는 둘 다 소나무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으로만 묶인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나무나 동물에서도 월동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솔잎혹파리 구제(驅除) 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약제 수간주입
  2. 포살
  3. 자연약제 살포
  4. 기생벌 이용
(정답률: 45%)
  • 정답은 "포살"입니다. 포살은 식물성 기름으로 만들어진 살충제로, 솔잎혹파리를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산림화재의 예방법으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은?

  1. 방화선 설치
  2. 간벌 및 가지치기 실시
  3. 통제화입(統制火入)
  4. 일제 동령림 조성
(정답률: 70%)
  • 일제 동령림 조성은 산림을 인위적으로 심어서 만든 것으로, 자연적인 생태계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산림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산림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은 예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연해의 방제법 중 임업적 방제법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수종의 선택
  2. 작업법의 선택
  3. 연해 밤바람의 조성
  4. 석회를 사용하여 연해물질의 중화
(정답률: 60%)
  • 석회를 사용하여 연해물질의 중화는 농업적 방제법에 해당하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임업적 방제법에 해당한다. 이유는 임업적 방제법은 주로 산림에서 발생하는 해충, 병해충 등을 방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농업적 방제법은 농작물에서 발생하는 해충, 병해충 등을 방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석회를 사용하여 연해물질의 중화는 농작물에서 발생하는 연해를 방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화성(univoltine ) 곤충이란?

  1. 알에서 성충까지 1년에 1회 발생하는 곤충을 말한다.
  2. 알에서 성충까지 1년에 2회 발생하는 곤충을 말한다.
  3. 알에서 성충까지 1년에 3회 발생하는 곤충을 말한다.
  4. 알에서 성충까지 1년에 4회 이상 발생하는 곤충을 말한다.
(정답률: 79%)
  • 일화성 곤충은 한 해 동안 알에서 성충까지 한 번만 발생하는 곤충을 말한다. 즉, 한 해 동안 한 번만 번식하고 죽는 곤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솔나방의 겨울철 생리습성을 이용한 방제법은?

  1. 수관에 약제를 살포한다.
  2. 수간에 짚이나 가마니를 감아놓아 유인 포살한다.
  3. 유아등을 가설하여 유인 포살한다.
  4. 솜풍치에 석유를 칠하여 유충을 포살한다.
(정답률: 62%)
  • 솔나방은 겨울철에 수관에서 생활하며, 수간에 짚이나 가마니를 감아놓으면 그 안에서 따뜻하게 지내려고 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짚이나 가마니 안에 유인을 놓아 솔나방을 포살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동나무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로 뿌리에 발생하여 뿌리를 썩게 한다.
  2. 주로 묘목의 줄기와 잎에 발생한다.
  3. 주로 열매에 많이 발생한다.
  4. 담자균이 균사상태로 줄기에 월동한다.
(정답률: 55%)
  • 오동나무 탄저병은 주로 묘목의 줄기와 잎에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흡수성 해충(吸收性 害蟲)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은?

  1. 솔나방
  2. 박쥐나방
  3. 소나무깍지벌레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57%)
  • 정답은 "소나무깍지벌레"입니다. 이는 소나무의 내부를 침범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해충으로, 흡수성 해충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나무를 침범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소나무를 해치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밤나무 뿌리혹병균의 주요 침입 부위는?

  1. 상처
  2. 기공
  3. 피목
(정답률: 70%)
  • 밤나무 뿌리혹병균은 상처를 통해 나무 내부로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 상처는 나무가 부딪히거나 벌레에게 먹히거나 가지가 꺾이는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처는 밤나무 뿌리혹병균의 주요 침입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기주교대를 하지 않는 병원균은?

  1. 소나무 잎떨림병균
  2.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
  3. 잣나무 털녹병균
  4. 소나무 혹병균
(정답률: 39%)
  • 소나무 잎떨림병균은 기주교대를 하지 않는 이유는, 이 균주가 감염한 나무에서만 생존하며, 다른 나무로 전염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균주가 감염한 소나무를 제거하거나 예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표적 마케팅(target market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대다수 구매자를 대상으로 대량생산, 대량유통, 대량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시장 전략이다.
  2. 여러 속성 집단별로 세분하여 각 속성 그룹에 맞는 상품을 개발, 유통 판매하는 시장 전략이다.
  3. 다양한 상품의 디자인, 품질, 크기로 구매자의 선택폭을 넓게 하는 시장 전략이다.
  4. 경영 목표에 따라 상품, 생산 보다는 판매에 치중하는 시장 전략이다.
(정답률: 73%)
  • 표적 마케팅은 여러 속성 집단별로 세분하여 각 속성 그룹에 맞는 상품을 개발, 유통 판매하는 시장 전략이다. 즉, 특정 그룹의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과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떤 임업용 건물의 취득원가는 1500만원이고 폐기할 때의 잔존가치는 300만원으로 예상되며, 그 내용연수가 50년이라고 할 경우 이 건물의 연간 감가상각비를 정액법으로 계산하면?

  1. 21만원
  2. 22만원
  3. 23만원
  4. 24만원
(정답률: 59%)
  • 정액법으로 연간 감가상각비를 계산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연간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내용연수

    여기서 취득원가는 1500만원, 잔존가치는 300만원, 내용연수는 50년이므로,

    연간 감가상각비 = (1500 - 300) / 50 = 24 (만원)

    따라서, 이 건물의 연간 감가상각비는 24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투자비용의 현재가에 대하여 투자의 결과로 기대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비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투자효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1. 수익ㆍ 비용율법
  2. 순 현재가치법
  3. 투자 이익률법
  4. 회수기간법
(정답률: 48%)
  • 수익ㆍ비용율법은 투자비용과 투자의 결과로 예상되는 현금유입을 비교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투자비용과 예상되는 현금유입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비교하므로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투자의 효율성을 판단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연휴양림 지침과 관련되 법적조치로 옳은 것은?

  1. 지침을 변경할 수 없다.
  2. 지침을 해제할 수 없다.
  3. 필요시 변경도 해제도 할 수 있다.
  4. 필요시 변경할 수 있으나 해제는 할 수 없다.
(정답률: 60%)
  • 자연휴양림 지침은 법적인 규제이기 때문에 필요시 변경도 해제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변경이나 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법적 절차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필요시 변경도 해제도 할 수 있다."가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5년 전의 임분재적이 80m3/ha이고, 현재의 임분재적이 100m3/ha일 경우 Pressler식에 의한 임분재적 성장률은?

  1. 3.3%
  2. 4.4%
  3. 5.5%
  4. 6.6%
(정답률: 62%)
  • Pressler식은 다음과 같다.

    임분재적 성장률 = (ln 현재 임분재적 - ln 초기 임분재적) / 시간

    여기서 초기 임분재적은 80m3/ha이고, 현재 임분재적은 100m3/ha이므로,

    임분재적 성장률 = (ln 100 - ln 80) / 시간

    = ln (100/80) / 시간

    = ln 1.25 / 시간

    = 0.223 / 시간

    따라서, 시간당 임분재적 성장률은 0.223이다.

    이를 연간 성장률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연간 임분재적 성장률 = (1 + 시간당 임분재적 성장률)365 - 1

    = (1 + 0.223)365 - 1

    = 1.044 - 1

    = 0.044

    따라서, 연간 임분재적 성장률은 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협업경영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공동이용
  2. 공동출자
  3. 공동충익
  4. 균등분배
(정답률: 36%)
  • 협업경영의 원칙 중 "공동이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협업경영에서는 자원과 능력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공동이용"은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일 뿐이며, 다른 세 가지 원칙과는 구분됩니다. "공동출자"는 자본력을 합쳐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공동충익"은 이익을 공동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균등분배"는 자원과 능력을 공동으로 사용하면서도 각자의 역할과 기여도에 따라 이익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측고기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위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나무의 정단과 밑이 잘 보이는 지점을 선정한다.
  2. 측정위치가 가까울수록 오차가 적어지므로 가급적 가까운 곳을 측정위치로 선정한다.
  3. 경사진 곳에서 측정할 때는 오차가 생기기 쉬우므로 여러 방향에서 측정하여 평균한다.
  4. 수고를 목측하여 나무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71%)
  • "수고를 목측하여 나무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측정위치는 나무의 높이와 관련이 없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이 잘 보이는 곳이면 어디든지 가능합니다. 측정위치가 가까울수록 오차가 적어지는 이유는, 측정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측정 오차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환경보전을 위한 경영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원함양림의 지정
  2. 수종 구성이 다양한 천연림 육성
  3. 산지의 골프장화
  4. 산림 토양의 보호
(정답률: 66%)
  • 정답은 "산지의 골프장화"입니다. 이는 환경보전과는 거리가 먼 경영방법으로, 골프장을 운영하면서 산림을 파괴하거나 오염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수원함양림의 지정", "수종 구성이 다양한 천연림 육성", "산림 토양의 보호"는 모두 산림을 보전하고 육성하는데 초점을 맞춘 경영방법으로, 환경보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자연휴양림 조성의 목표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민의 보건휴양 ㆍ 정서함양 기회제공
  2. 자연학습 기회의 제공
  3. 산림소유자의 소득증대
  4. 국가의 수려한 경관지 보호
(정답률: 40%)
  • 정답은 "국가의 수려한 경관지 보호"이다. 이는 자연휴양림 조성의 목표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이유는 국가의 수려한 경관지를 보호하여 지속 가능한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국민들이 즐길 수 있는 자연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함이다. 다른 목표들은 국민의 휴양과 교육, 산림소유자의 소득증대 등으로, 이들은 자연휴양림 조성의 목표 중에서도 보다 구체적인 목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사회적 수용력(Social Carrying Capacity)의 영향인자를 파악할 수 있는 요소는?

  1. 다른 이용객과 만나는 횟수
  2. 화장실 이용객수
  3. 주차장 이용객수
  4. 특징 동식물의 관찰 개체수
(정답률: 61%)
  • 다른 이용객과 만나는 횟수는 사회적 수용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대중교통이나 관광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용객 수가 많을수록 다른 이용객과 만나는 횟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 간섭하거나 충돌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사회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어서 사회적 수용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이령림에서 평균령(average age)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표본목을 선정한 다음 그 연령을 측정하여 평균한 임령
  2. 이령임분이 가지는 재적과 같은 재적을 가지는 동령림의 임령
  3. 각 연령별 임목본수를 조사한 다음 이의 산술평균에 의해 산출된 임령
  4. 각 연령별 단면적을 조사한 다음 이의 산술평균에 의해 산출된 임령
(정답률: 38%)
  • 정답은 "이령임분이 가지는 재적과 같은 재적을 가지는 동령림의 임령"입니다. 이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령림에서는 특정 연령대의 나무들만을 조사하기 때문에, 이령임분이 가지는 재적과 같은 재적을 가지는 동령림에서 해당 연령대의 나무들을 조사하여 그 평균 임령을 구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표본을 선정하거나 연령별 임목본수나 단면적을 조사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지만, 이는 이령림 전체의 평균 임령을 구하는 것이므로 이령림에서 평균령을 구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손익분기점의 전제 및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이익도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 생산수준이다.
  2. 생산의 효율성이 다양한 것을 전제로 한다.
  3. 모든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4. 고정비율은 생산 수준에 관계없이 100% 생산능력까지 발생해야 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생산의 효율성이 다양한 것을 전제로 한다." 이다. 손익분기점은 생산 수준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수익을 비교하여 이익과 손실이 발생하는 지점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따라서 생산의 효율성이 다양하다는 전제는 올바르지 않다. 손익분기점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모든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고정비율은 생산 수준에 관계없이 100% 생산능력까지 발생해야 한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자연휴양림의 간접효과는?

  1. 인간 생활의 복지와 건간을 증진시키는 효과
  2. 색소침착 작용으로 생체에 영향을 주는 효과
  3. 기상 환경 완화로서의 효과
  4.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효과
(정답률: 55%)
  • 자연휴양림은 식물의 산소생산과 이산화탄소 흡수 등의 기상 환경 완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대기오염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상 환경 완화로서의 간접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수확표에 기입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평균수고
  2. 재적
  3. 지위등급
  4. 지리등급
(정답률: 62%)
  • 정답: "재적"

    설명: 수확표에는 작물의 생산량, 평균수고, 지위등급, 지리등급 등이 기입됩니다. 하지만 "재적"은 수확표에 기입하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지리등급"은 작물이 재배되는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등급으로,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임업자산의 유형과 그 구성요소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고정자산 - 묘목
  2. 유동자산 - 현금
  3. 임목자산 - 삼림축척
  4. 유동자산 - 비료
(정답률: 63%)
  • 고정자산은 장기적으로 보유되는 자산으로서, 묘목은 단기적으로 생산되어 판매되는 임업 생산물이므로 연결이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정자산 - 묘목"입니다. 유동자산은 단기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서, 현금과 비료가 해당됩니다. 임목자산은 임업 생산물로서, 삼림축적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임업경영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정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업생산(forestry production)의 조직과 활동
  2. 임업생산을 하기 위한 계획과 사무업무
  3. 임지를 대상으로 하여 노동과 자본재를 사용, 목재 등을 생산하는 것.
  4. 국가나 단체에서 임업생산을 하기 위한 수단
(정답률: 49%)
  • 임업경영은 정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업생산(forestry production)의 조직과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임지를 대상으로 하여 노동과 자본재를 사용하여 목재 등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임업경영은 임업생산을 하기 위한 계획과 사무업무를 포함하며, 국가나 단체에서 임업생산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농업이나 축산 또는 기타 사업을 하면서 여력을 이용하여 임업을 경영하는 형태는?

  1. 농가임업
  2. 겸업적 임업
  3. 부업적 임업
  4. 주업적 임업
(정답률: 58%)
  • 부업적 임업은 농업이나 축산 등 다른 사업을 하면서 여력을 이용하여 임업을 경영하는 형태이다. 즉, 부업으로서 임업을 경영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원함양림 조성 및 관리방법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단층림보다는 복층림으로 유도한다.
  2. 침엽수림보다는 활엽수림으로 유도한다.
  3. 간벌을 실시하여 임내에 광선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4. 일반적으로 가지치기는 수원함양과 큰 관계가 없다.
(정답률: 56%)
  • "일반적으로 가지치기는 수원함양과 큰 관계가 없다."는 적절치 못한 설명이다. 이유는 수원함양은 나무의 성장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지치기는 수원함양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지치기는 수원함양 조성 및 관리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임업경영개념의 발전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생태적 경영 → 보속경영 → 보속생산 다목적이용
  2. 보속경영 → 보속생산 다목적이용 → 생태적 경영
  3. 보속생산 다목적이용 → 생태적 경영 → 보속경영
  4. 보속경영 → 생태적 경영 → 보속생산 다목적이용
(정답률: 37%)
  • 임업경영개념의 발전과정은 보속경영 → 보속생산 다목적이용 → 생태적 경영 순서로 나열된다. 이는 보속경영에서는 자원의 보존과 지속적인 이용을 중요시하며, 보속생산 다목적이용에서는 다양한 생산목적을 고려하여 자원을 활용하고, 생태적 경영에서는 자연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원의 보존과 이용, 다양한 생산목적 고려, 자연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경영을 순차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임업경영개념의 발전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산림구획에 있어서 소반을 나누는 기준이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종구분이 상이할 때
  2. 임령 및 지위의 차이가 현저할 때
  3. 수종 및 작업종이 상이할 때
  4. 토양 구분이 상이할 때
(정답률: 50%)
  • 산림구획을 나누는 기준은 해당 지역의 지종, 임령, 지위, 수종, 작업종 등이 상이할 때이다. 그러나 토양 구분이 상이할 때는 산림생태계의 특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소반을 나누는 기준이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다음 중 컴퍼스측량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국지면력의 영향 때문에 철제구조물과 전류가 많은 시가지 측량에는 적합하지 않다.
  2. 농지,임야지 등은 물론 장소에 관계없이 높은 청도(淸道)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많이 이용된다.
  3. 컴퍼스의 눈금판은 일반적으로 N과 S점에서 양측으로 0°- 90°가지 나누어져 있다.
  4. 시준선이 어떤 방향으로 향할 때 자침이 가르키는 값은 남북방향을 기준으로 한 각이 된다.
(정답률: 38%)
  • "농지,임야지 등은 물론 장소에 관계없이 높은 청도(淸道)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많이 이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컴퍼스측량은 지구 자전과 지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농지나 임야지와 같이 지형이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구조물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결합골재는?

  1. 비중이 2.50이하인 골재
  2. 비중이 2.55 ~ 3.65정도의 골재
  3. 화강암 등으로 만들어진 골재
  4. 대리석 등으로 만들어진 골재
(정답률: 55%)
  • 정답은 "비중이 2.50이하인 골재"이다. 이유는 자중이 낮을수록 구조물의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중이 낮은 골재를 사용하면 구조물의 자중을 줄일 수 있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비중이 높은 골재는 자중이 높아서 구조물의 무게를 더해주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시공 후 개수나 보수에 의한 구조변경이 어려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시설은?

  1. 측구
  2. 노폭
  3. 종단물매
  4. 곡선반지름
(정답률: 40%)
  • 종단물매는 도로나 철도 등의 종단 부분에 위치하는 시설물로, 시공 후 개수나 보수에 의한 구조변경이 어려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는 종단물매가 도로나 철도 등의 교통시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종단물매는 교통안전과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시공 전에 종단물매의 설치 위치와 구조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50000 지형도상에서 면적을 구하였더니 20cm2 이었다. 실제 면적은?

  1. 1km2
  2. 5km2
  3. 50km2
  4. 100km2
(정답률: 27%)
  • 1/50000 지형도는 1cm2가 실제 세계에서 50000cm2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0cm2의 면적을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면 20 x 50000cm2 = 1000000cm2 = 1km2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km2"입니다. "5km2", "50km2", "100km2"은 모두 1km2보다 큰 값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돌쌓기방법에 어긋나는 것으로 돌의 접촉부가 맞지 않거나 힘을 받지 못하는 불안정한 돌은?

  1. 괴임돌
  2. 뒷채움돌
  3. 금기돌
  4. 갓돌
(정답률: 60%)
  • 금기돌은 돌쌓기에서 사용하면 안 되는 돌로, 돌의 접촉부가 맞지 않거나 힘을 받지 못하는 불안정한 돌을 말합니다. 이는 돌쌓기의 안전성을 해치고, 구조물의 무너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의 발달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우격침식 → 면상침식 → 누구침식 → 구곡침식
  2. 우격침식 → 누구침식 → 면상침식 → 구곡침식
  3. 우격침식 → 구곡침식 → 누구침식 → 면상침식
  4. 우격침식 → 누구침식 → 구곡침식 → 면상침식
(정답률: 66%)
  • 우격침식은 비가 내리면 지표면의 토양이 물에 적시고, 그 물이 지하수층으로 침투하면서 지하수층의 토양이 침식되는 과정이다. 면상침식은 지하수층의 토양이 침식되면서 지하수층 아래에 있는 암석이 노출되고, 그 암석 표면의 토양이 침식되는 과정이다. 누구침식은 암석 표면의 토양이 침식되면서 암석 내부로 침식이 진행되는 과정이다. 구곡침식은 누구침식이 진행되면서 암석 내부에서 물이 흐르면서 구곡형태의 동굴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의 발달과정은 "우격침식 → 면상침식 → 누구침식 → 구곡침식"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따라서 설계속도별로 규정된 종단기울기(순기울기)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km/hr : 인반지형 9%이하, 특수지형 12%이하
  2. 30km/hr : 인반지형 8%이하, 특수지형 14%이하
  3. 40km/hr : 인반지형 9%이하, 특수지형 14%이하
  4. 40km/hr : 인반지형 7%이하, 특수지형 10%이하
(정답률: 55%)
  • 산림관리기반시설은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산림자원의 특성상 경사지형이 많기 때문에 설계 시 종단기울기(순기울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종단기울기란 지면의 경사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 거리(예를 들어 100m)를 기준으로 상승한 높이를 나타냅니다.

    설계속도별로 규정된 종단기울기(순기울기)의 기준은 설계속도가 높을수록 기울기가 낮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설계속도가 높을수록 차량의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울기가 높으면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0km/hr의 경우 인반지형(일반적인 산 지형)에서는 7% 이하의 종단기울기를, 특수지형(저수지, 댐 등 특수한 지형)에서는 10% 이하의 종단기울기를 규정하게 됩니다. 이는 20km/hr, 30km/hr의 경우보다 기울기가 낮은 이유는 40km/hr의 경우 차량의 안전성을 보다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각 불도저의 명칭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버킷도저 ④레이크도저
  2. ①버킷도저 ②앵글도저 ③스트레이트도저 ④레이크도저
  3. ①스트레이트도저 ②버킷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4.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정답률: 48%)
  • 이미지를 보면서 각 도저의 모양을 비교해보면, ①은 직선 모양의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어 "스트레이트" 도저라고 부르고, ②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어 "앵글" 도저라고 부르며, ③은 블레이드 대신 나무를 뽑아내는 장치를 가지고 있어 "트리" 도저라고 부르고, ④는 물을 빼내는 작업을 하는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어 "레이크" 도저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실제의 토적보다 약간 많은 값이 나오지만 일반적으로 도로와 철도의 토적계산에 널리 이용되는 계산식은?

  1. 양단면적평균법
  2. 중앙단면적법
  3. 주상체공식
  4. 등고선법
(정답률: 58%)
  • 양단면적평균법은 도로나 철도의 토적을 계산할 때, 도로나 철도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단면적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전체 구간의 토적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실제 토적과 비교적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측량의 3요소는?

  1. 고저차, 양각, 편각
  2. 양각, 편각, 부각
  3. 경사각, 거리, 수평각
  4. 거리, 각, 고저차
(정답률: 39%)
  • 측량에서 거리는 측정 대상의 두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의미하며, 각은 두 직선이나 평면의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루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고저차는 측정 대상 지점과 기준면(보통 해발고도 0m인 해수면) 사이의 높이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거리, 각, 고저차"가 측량의 3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옹벽의 안전성 검토 요소가 아닌 것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활동에 대한 안정
  3. 침하에 대한 안정
  4. 외부압력에 대한 안정
(정답률: 38%)
  • 외부압력에 대한 안정은 옹벽의 안전성을 검토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옹벽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옹벽의 안전성을 평가할 때는 전도, 활동, 침하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반지름 100m의 원곡선에서 시단현 10m에 대한 편각은?

  1. 2°86°
  2. 2°52°
  3. 5°66°
  4. 5°5°
(정답률: 46%)
  • 원주는 2πr이므로, 반지름이 100m인 원의 원주는 200πm이다.
    시단현 10m가 원주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200π ≈ 0.0159이다.
    이 비율에 360°를 곱하면 시단현이 차지하는 각도를 구할 수 있다.
    360° × 0.0159 ≈ 2°52° 이므로, 정답은 "2°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산림토목 시공용 기계 중 주로 도로노면 고르기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는?

  1. 탬핑롤러
  2. 모터그레이더
  3. 스크레이퍼
  4. 파워셔블
(정답률: 56%)
  • 주로 도로노면 고르기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는 모터그레이더입니다. 이는 노면을 고르게 만들어주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노면을 굴러가며 고르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모터그레이더는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규상 임도에서 곡선반경을 14m 이상 ~ 15m 미만이 되게 설치할 때, 곡선부너비는 얼마 기준 이상으로 확대해야 하는가?

  1. 1.0m
  2. 1.25m
  3. 1.50m
  4. 1.75m
(정답률: 29%)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규에서 곡선반경이 14m 이상 15m 미만인 경우, 곡선부너비는 1.75m 이상으로 확대해야 합니다. 이는 곡선반경이 작아질수록 차량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곡선부너비를 넓혀서 차량의 안전 운행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1.75m 이상으로 확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임도 설계업무의 진행 순서로 옳은 것은?

  1. 예측 → 예비조사 → 실측 → 설계도작성
  2. 실측 → 지형도분석 → 예측 → 답사 → 설계도작성
  3. 실측 → 지형도분석 → 구조물조사 → 설계도작성
  4. 예비조사 → 답사 → 예측 → 실측 → 설계도작성
(정답률: 62%)
  • 예비조사는 임도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이며, 답사는 현장을 방문하여 지형과 구조물 등을 조사하는 단계입니다. 이후 예측 단계에서는 지형과 구조물 등을 바탕으로 임도의 안정성과 경사 등을 예측합니다. 그리고 실측 단계에서는 예측한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에서 실제로 측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설계도 작성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수집한 자료와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도의 구체적인 설계도를 작성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진행 순서는 "예비조사 → 답사 → 예측 → 실측 → 설계도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임도의 종단물매가 10%이고, 곡선 반지름이 30m일 때 물매곡율비는?

  1. 30
  2. 3
  3. 1
  4. 0.33
(정답률: 53%)
  • 물매곡율비는 종단물매와 곡선반지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물매곡율비는 10%를 30m로 나눈 값인 0.1/30 = 0.00333... 이다. 이 값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0.0033이 되는데,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33"과 가장 가깝다. 그러나 문제에서 정답을 구할 때는 반올림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은 "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고려한 임도개설방식은?

  1. 경사지에서는 가급적 노선연장이 짧게 되도록 비치 한다.
  2. 노선은 지반이 비교적 안정된 암석지대를 통과하도록 한다.
  3. 토량이 많이 발생되는 지대를 통과할 때는 교량이나 터널을 계획한다.
  4. 흙쌓기를 할 경우는 주변의 입목을 전부 제거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토량이 많이 발생되는 지대를 통과할 때는 교량이나 터널을 계획한다."이다. 이는 산림의 공익적 기능 중 하나인 수자원 보호와 관련이 있다. 토량이 많이 발생하는 지대를 통과할 때는 지표면 침식 등으로 인해 수질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교량이나 터널을 통해 지표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임도의 노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임도의 노체는 노상, 노면, 기층 및 표층의 각 층으로 구성된다.
  2. 각 층의 강도는 노면에 가까울수록 큰 응력에 견디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3. 노상은 공법에 따라 토사도, 사리도, 쇄석도 등으로 구분한다.
  4. 통나무 길 및 섶길은 저습지대에 있어서 노면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42%)
  • "노상은 공법에 따라 토사도, 사리도, 쇄석도 등으로 구분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노상은 지형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으로 조성되며, 그에 따라 토사도, 사리도, 쇄석도 등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개발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도밀도를 10000으로 나눈 값을 평균집재거리에 곱하여 구한다.
  2. 임도 개설의 주타효과를 판정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이다.
  3. 임도가 이상적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개발지수가 1에 근접한다.
  4. 미국의 Malthus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유도된 임도 평가지수이다.
(정답률: 67%)
  • 임도가 이상적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개발지수가 1에 근접한다는 것은, 임도밀도와 평균집재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을 때, 개발지수가 최대치인 1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역의 개발 가능성과 잠재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계곡을 따라 설치된 계곡임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임도(간선임도)로 건설하는 경우가 많다.
  2. 비탈면 아래에 있기 때문에 위쪽으로부터 중력을 이용한 집재작업이 가능하다.
  3. 시각경관의 질을 제일 많이 저하시킨다.
  4. 계곡과 접하는 경우가 많아서 홍수의 피해가 우려 된다.
(정답률: 38%)
  • "시각경관의 질을 제일 많이 저하시킨다."는 이유는 주로 계곡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자연경관을 파괴하고 시각적으로도 조망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다음 중 정사울세우기 공법의 시공요령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사울타리의 높이는 보통 1.0 ~ 1.2M 정도로 한다.
  2. 정사울타리의 한 변은 주풍방향에 대하여 30-60 °를 유지해야 한다.
  3. 정사울타리가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단부를 약 10cm정도 모래 속에 묻어야 한다.
  4. 정사울타리의 간격은 보통 20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47%)
  • 정사울세우기 공법에서 정사울타리의 높이는 보통 1.0 ~ 1.2M 정도로 한다. 이는 정사울타리가 풍압에 견딜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높이가 너무 낮으면 풍압에 쉽게 굴복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높고, 높이가 너무 높으면 안정성이 떨어져 흔들림이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구곡막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축설 목적은 사방댐과 같다.
  2. 대수면과 반수면을 모두 축설한다.
  3. 돌구곡막이의 경우 방수로는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4. 흙구곡막이의 경우 상벽없이 축설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62%)
  • "대수면과 반수면을 모두 축설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구곡막이는 대수면과 반수면 중 하나만 축설하면 됩니다. 대수면을 축설하면 높이가 높아지고, 반수면을 축설하면 너비가 넓어집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축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중력사방댐의 안정조건 중 전도에 대한 안정을 위해서는 장력작용선이 최저의 중압 얼마 이내를 통과해야 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64%)
  • 중력사방댐의 안정조건 중 전도에 대한 안정을 위해서는 장력작용선이 최저의 중압 1/3 이내를 통과해야 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물체가 떠 있는 상태에서는 중력과 역학적인 평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때, 물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압력이 다르게 작용하게 된다. 이 압력 차이가 크면 물체가 불안정해지고, 장력작용선이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력작용선이 최저의 중압 1/3 이내를 통과하도록 설계해야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물체의 상부와 하부 압력 차이를 최소화하고, 장력작용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연산지비탈면의 붕괴현상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산지는 평균경사도가 급한 59도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2. 지질 및 토질적으로 화강암계통에서 풍화된 사질토와 역질토에서 많이 발생한다.
  3. 풍화토층에 점토가 결핍되면 응집력이 약화되어 많이 발생한다.
  4. 풍화토층과 하부기반의 경계가 명확할수록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47%)
  • "일반적으로 산지는 평균경사도가 급한 59도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자연산지비탈면의 붕괴현상은 지질 및 토질적 요인, 지형적 요인, 기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산지는 평균경사도가 급한 59도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라는 설명은 산지의 붕괴현상이 발생하는 경사도 범위를 과장한 것이다. 산지의 붕괴현상은 경사도가 30도 이상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경사도가 급한 경우에는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사방댐의 대수면이란?

  1. 댐의 전단부분
  2. 댐의 하류측 사면
  3. 댐의 상류측 사면
  4. 방수로 부분
(정답률: 63%)
  • 사방댐의 대수면은 댐의 상류측 사면을 의미합니다. 이는 댐이 지역의 강이나 하천을 막아 물을 쌓아 만든 인공 호수의 상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댐의 상류측 사면이 대수면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견고성을 요하고 정형적인 사방공작물에 사용되는 석재는?

  1. 견치석
  2. 깬돌
  3. 야면석
  4. 호박돌
(정답률: 66%)
  • 견치석은 고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정형적인 사방공작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석재이다. 또한 견치석은 균일한 구조와 적당한 경도를 가지고 있어 가공이 용이하다. 따라서 견치석은 건축물의 구조물이나 바닥재, 벽돌 등에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중 비탈면 안정공법이 아닌 것은?

  1. 힘줄박기 공법
  2. 새심시 공법
  3. 겨자틀 붙이기 공법
  4. 돌망태 쌓기 공법
(정답률: 59%)
  • 비탈면 안정공법은 경사진 지형에서 건축물을 지을 때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다. "힘줄박기 공법", "겨자틀 붙이기 공법", "돌망태 쌓기 공법"은 모두 비탈면 안정공법에 해당한다. 하지만 "새심시 공법"은 비탈면 안정공법이 아니다. "새심시 공법"은 건축물의 지반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로, 지반에 새심시(새김질)를 하여 지반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사방사업의 직접적인 효과가 아닌 것은?

  1. 산지침식 및 토사유출 방지
  2. 산복붕괴 및 계안 결과 방지
  3. 비사의 고정
  4. 정책상의 효과
(정답률: 67%)
  • 정책상의 효과는 직접적인 사방사업의 결과가 아니라, 해당 정책이나 법률이 시행됨으로써 발생하는 간접적인 영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책상의 효과"는 직접적인 토지관리나 환경보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침식이 심하고 경사가 급하여 심수가 있는 산비탈면에 적합한 수로는?

  1. 바자수로
  2. 떼붙임수로
  3. 돌붙임수로
  4. 편책수로
(정답률: 60%)
  • 산비탈면은 침식이 심하고 경사가 급하여 물이 빠르게 흐르는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에서는 수로의 안정성과 내구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돌붙임수로가 적합합니다. 돌붙임수로는 돌을 이용하여 수로의 바닥과 벽면을 보강하고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이 빠르게 흐르는 지형에서는 물이 바위를 부딪치는 소리가 크게 들리기 때문에, 돌붙임수로는 물 소리를 줄여서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폐탄광지 복구공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기초옹벽식 돌쌓기
  2. 편책공법
  3. 파종공법
  4. 모래덮기
(정답률: 55%)
  • 폐탄광지는 지하수 오염 등으로 인해 토양이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덮기는 오염된 토양을 제거하거나 정화하지 않고 단순히 모래로 덮는 방법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모래덮기"이다. 대신에 기초옹벽식 돌쌓기, 편책공법, 파종공법 등은 오염된 토양을 제거하거나 정화하고, 새로운 식물을 심어서 지속적인 복구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3급 선떼붙이기 시공시 1m2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적정떼 사용 매수는? (단, 떼크기는 길이 40cm, 너비 25cm)

  1. 1매
  2. 5매
  3. 10매
  4. 20매
(정답률: 69%)
  • 적정떼 사용 매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m2 = 100cm x 100cm = 4000cm2

    적정떼 크기 = 40cm x 25cm = 1000cm2

    따라서, 1m2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4000 / 1000 = 4개의 적정떼가 필요하다.

    보기에서 정답이 "10매" 인 이유는 4개의 적정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10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10매 x 4 = 40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사방대 중 흙댐의 경우 댐높이가 5m일 때 댐마루 너비는?

  1. 1m
  2. 1.5m
  3. 2m
  4. 2.5m
(정답률: 55%)
  • 흙댐의 경우 댐마루 너비는 댐높이의 절반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댐높이가 5m일 때 댐마루 너비는 2.5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그림은 선떼붙이기 공작물의 시공구조 중 몇 급에 해당하는가?

  1. 6급
  2. 5급
  3. 4급
  4. 3급
(정답률: 36%)
  • 이 그림은 4급에 해당한다. 4급은 선떼붙이기 공작물의 시공구조 중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로, 단순한 직선 형태의 선을 이어붙인 형태이다. 이 그림에서도 두 개의 직선을 이어붙인 형태이므로 4급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역면적 1ha, 최대시우량 100mm/h일 때 시우량법에 의한 계획지점에서의 최대홍수유량은? (단, 유거계수 K = 0.7로 한다.)

  1. 0.166m3/sec
  2. 0.194m3/sec
  3. 1.17m3/sec
  4. 1.94m3/sec
(정답률: 49%)
  • 시우량법에 의한 최대홍수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홍수유량 = 유역면적 x 최대시우량 x 유거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최대홍수유량 = 1ha x 100mm/h x 0.7
    = 0.01 km2 x 0.1 m/h x 0.7
    = 0.007 m3/s
    = 0.194 m3/sec (단위 변환)

    따라서, 정답은 "0.194m3/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수류(水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류는 시간과 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정류(定流)와 부정류(否定流)로 나뉜다.
  2. 정류는 다시 동류(等類)와 부등류(不等類)로 나뉜다.
  3. 홍수시의 하천은 정류에 속한다.
  4. 자연하천은 엄일한 의미에서는 등류 구간이 없다.
(정답률: 46%)
  • "홍수시의 하천은 정류에 속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홍수시에는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서 수류의 흐름이 불규칙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정류에 속합니다.

    정류는 일정한 흐름을 유지하는 수류를 말하며, 다시 동류와 부등류로 나뉩니다. 동류는 흐름이 일정한 수류를 말하며, 부등류는 흐름이 불규칙한 수류를 말합니다.

    자연하천은 등류 구간이 없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등류 구간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하천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자연하천은 인공적인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등류 구간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새집공법으로 안정녹화를 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는?

  1. 절개 암반지
  2. 성토사면
  3. 사질 절토사면
  4. 점질 점토사면
(정답률: 63%)
  • 절개 암반지는 안정성이 높은 지형으로, 새집공법에서 안정녹화를 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입니다. 이는 암반의 강도와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성토사면, 사질 절토사면, 점질 점토사면은 모두 지반 안정성이 낮아 안정녹화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가장 유리한 사다리꼴 회단면 수로의 요건은 수로의 밑너비 b, 깊이 l, 측사각 ∮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성립되어야 하는가?

(정답률: 59%)
  • 가장 유리한 사다리꼴 회단면 수로의 요건은 측사각 ∮가 90도인 경우이다. 이는 "" 보기와 일치한다. 이유는 측사각이 90도인 경우에는 수로의 깊이 l이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물의 유속이 가장 빠르게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로의 밑너비 b와 깊이 l, 측사각 ∮의 관계는 측사각이 90도인 경우에 가장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돌망태댐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경우는?

  1. 높은 사방댐을 만들 때
  2. 지반이 불아정할 때
  3. 공사기간이 충분할 때
  4. 공사 경비가 충분할 때
(정답률: 64%)
  • 돌망태댐은 지반이 불안정한 지역에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지반이 불안정한 경우 일반적인 사방댐은 지반의 움직임에 따라 파손될 위험이 있지만, 돌망태댐은 지반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반이 불아정할 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시멘트를 절약하고 큰크리트 시공 중에 강도 보충을 위해서 섞어 넣는 물질로서 사용량이 비교적 많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영향을 주는 것은?

  1. 방수제
  2. 모르타르
  3. 혼화재
(정답률: 70%)
  • 혼화재는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는 콘크리트 혼합재료 중 하나로, 시멘트를 대체하거나 일부 대체하여 시멘트를 절약하고 강도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혼화재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또한 혼화재는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수화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해안의 모래언덕 발달순서로 옳은 것은?

  1. 치올린 모래언덕 → 설상사구 → 반월사구
  2. 반월사구 → 설상사구 → 치올린 모래언덕
  3. 설상사구 → 반월사구 → 치올린 모래언덕
  4. 반월사구 → 치올린 모래언덕 → 설상사구
(정답률: 59%)
  • 해안의 모래언덕 발달순서는 치올린 모래언덕 → 설상사구 → 반월사구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해안에서 파도와 바람에 의해 모래가 이동하면서 모래언덕이 형성되고, 이어서 설상사구와 반월사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치올린 모래언덕 → 설상사구 → 반월사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