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산림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다음은 수목 체내에서 일어나는 탄수화물의 계절적인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에서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낙엽수는 가을에 줄기 체내의 탄수화물 농도가 최저로 떨어진다.
  2. 낙엽수는 겨울철에 줄기내 전분의 함량이 증가하고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된다.
  3. 상록수의 경우에 체내 탄수화물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는 낙엽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4. 재발성 개엽(recurrently flushing) 수종은 줄기생장이 이루어질 때마다 탄수화물이 증가한 다음 다시 감소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낙엽수는 가을에 줄기 체내의 탄수화물 농도가 최저로 떨어진다."이다. 이유는 가을에 낙엽수는 줄기 내의 엽록소 합성이 감소하면서 엽록소 분해가 증가하게 되어 줄기 내의 탄수화물이 엽록소 분해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수화물 농도가 최저로 떨어지게 된다. 상록수의 경우에는 엽록소 합성과 분해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체내 탄수화물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가 낙엽수에 비하여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우리나라 소나무의 형질개량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던 육종방법은?

  1. 교잡육종법
  2. 도입육종법
  3. 조직배양법
  4. 선발육종법
(정답률: 81%)
  • 선발육종법은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으로, 우리나라 소나무의 형질개량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방법은 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형질을 빠르게 개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교잡육종법은 서로 다른 종이나 품종을 교배하여 새로운 형질을 얻는 방법이며, 도입육종법은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서 유전적으로 다양한 개체를 도입하여 형질을 개량하는 방법입니다. 조직배양법은 개체의 조직을 취하여 인공적으로 번식시키는 방법으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대량 생산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묘포에서의 시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비료의 종류와 양은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여 정한다.
  2. 묘목은 생장시기에 따라 요구하는 양분의 종류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3. 기비는 속효성 비료로 추비는 퇴비와 무기질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토양미생물의 번식을 도와 토양의 이학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정답률: 85%)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옳습니다.

    기비는 속효성 비료로 추비는 퇴비와 무기질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기비는 식물이 짧은 시간 내에 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빠르게 효과를 발휘하는 비료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추비는 시간이 지나야 효과가 나타나는 퇴비와 무기질 비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묘목이 오랫동안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사상균은 산성토양에 저항력이 높다.
  2. 식물의 뿌리는 토양구조 발달을 억제한다.
  3. 토양 균류는 종자 파종되어 생장중인 임목의 뿌리를 감염시켜 여러 가지 병원균으로부터 뿌리의 보호기능을 할 수 없도록 한다.
  4. 대부분 토양동물은 공간적인 조건이나 광조건이 양호한 낙엽층이나 부식층에 서식한다.
(정답률: 78%)
  • 토양동물은 대부분 광조건이나 공간적인 조건이 양호한 낙엽층이나 부식층에 서식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생활하기 적합하다. 이러한 환경은 토양동물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하며, 또한 서식지로서의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 상에서 1년된 2년생 실생 묘목의 연령을 맞게 표시한 것은?

  1. 1-1묘
  2. 1-2묘
  3. 1-1-2묘
  4. 2-1묘
(정답률: 85%)
  • 정답은 "1-1묘"이다.

    이유는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 상에서 1년이 지나면 2년생 실생 묘목이 된다. 따라서 "1-1묘"는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 상에서 1년이 지나 2년생이 된 묘목을 말한다. "1-2묘"는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 상에서 2년이 지나 3년생이 된 묘목을 말하며, "1-1-2묘"는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 상에서 1년, 다시 판갈이 상에서 2년이 지나 4년생이 된 묘목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2-1묘"는 파종상에서 2년, 판갈이 상에서 1년이 지나 3년생이 된 묘목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동일수종, 동일연령 그리고 같은 임지에 있어서 밀도만을 다르게 할 때 임목의 형질과 생산량에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줄기의 평균흉교직경은 밀도가 높을수록 작게 된다.
  2. 수간형은 고밀도 일수록 완만하게 된다.
  3. 단위 면적당 간재적은 밀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
  4. 고밀도일수록 연륜폭은 좁아진다.
(정답률: 63%)
  • 단위 면적당 간재적은 밀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는 이유는, 밀도가 높을수록 각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게 되어 자원을 더 적게 나누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나무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자원이 부족해지므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개화결실 주기성이 가장 짧은 수종은?

  1. 소나무
  2. 전나무
  3. 낙엽송
  4. 구주소나무
(정답률: 57%)
  • 소나무는 일년에 두 번 이상 개화하며, 개화기간이 짧아서 개화결실 주기성이 가장 짧은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 중 사선을 친 부분은 나무가 벌채된 것이다. 이러한 갱신 벌채를 받았다면 이 임분에 대해서 어떠한 삼림작업법이 적용되고 있는가?

  1. 모수작업
  2. 보잔목작업
  3. 중림작업(하목개벌)
  4. 산벌작업(하종벌)
(정답률: 62%)
  • 이 임분에서 나무가 벌채된 부분은 넓은 공간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산림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산불 등의 자연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산림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벌작업(하종벌)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나무를 제거하여 산림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이고, 자연적인 산림재해 예방을 위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순림과 혼효림의 구성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따뜻한 지방에는 혼효림이 많다.
  2. 특수한 토지조건은 순림을 조성시킨다.
  3. 지력이 빈약할수록 혼효가 어렵고 순림형성이 비교적 잘된다.
  4. 양수는 음수보다 순림형성이 쉽다.
(정답률: 53%)
  • "양수는 음수보다 순림형성이 쉽다."라는 기술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순림과 혼효림은 토지의 특성과 기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양수와 음수와 같은 수치적인 개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기술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생태형의 개념에 관련되는 것은?

  1. 녹나무
  2. 반송
  3. 강송
  4. 낙엽송
(정답률: 65%)
  • 생태형은 특정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자라는 나무들의 집합체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강송은 강이나 계곡 부근에서 자라는 송나무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강물의 흐름에도 견딜 수 있는 강한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강송은 생태형의 대표적인 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40년생 잣나무 조림지에서 간벌을 실시하였다. 실선 부분이 간벌에 의해 제거된 부분이라고 할 때, 하층간벌에 의한 입목 본수와 흉고직경 분포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8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하층간벌에 의한 입목 본수와 흉고직경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간벌 전과 간벌 후의 입목 본수와 흉고직경 분포를 비교해보면, 간벌 전에는 입목 본수가 많고 흉고직경이 작은 것에 비해, 간벌 후에는 입목 본수가 줄어들고 흉고직경이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간벌로 인해 나무의 생장이 저해되어 입목 본수가 감소하고, 생장에 집중되어 흉고직경이 커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발아촉진방법이 아닌 것은?

  1. 황산처리법
  2. 테트라졸륨처리
  3. 침수처리
  4. 파종시기의 변경
(정답률: 75%)
  • 테트라졸륨처리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들이 나열되어 있으므로, 테트라졸륨처리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수목종자의 발아촉진 방법과 해당 수종을 연결한 것이다.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침수처리법 - 삼나무
  2. 황상처리법 - 옻나무
  3. 기계적방법 - 소나무
  4. 노천매장법 - 잣나무
(정답률: 78%)
  • 기계적 방법은 소나무와 같은 경작종목에는 적합하지 않다. 소나무는 종자가 작고 껍질이 단단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발아촉진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신에 소나무는 노천매장법을 통해 발아촉진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 그림은 무슨 접목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가?

  1. 절접
  2. 박접
  3. 아접
  4. 설접
(정답률: 69%)
  • 위 그림은 "설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설접은 나무의 가지를 다른 나무에 이어 붙여서 새로운 나무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그림에서는 두 개의 나무 가지를 접목하여 하나의 나무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나무의 성장을 빠르게 하고, 강한 나무를 만들 수 있어서 농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잣나무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종자에 달린 날개는 퇴화되어 있다.
  2. 한 엽속에 침엽이 5개이다.
  3. 잎은 세모가 지고 이면에 흰 기공선이 있다.
  4. 엽 횡단면상에 수지구가 5개 이상 있다.
(정답률: 73%)
  • 잣나무의 엽 횡단면상에는 수지구가 5개 이하로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2~4개 정도입니다. 따라서 "엽 횡단면상에 수지구가 5개 이상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숲 가꾸기를 할 때 미래목의 선정요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미래목간의 간격은 최소한 2m 정도로 한다.
  2. 헥타당 선정본수는 수종과 경영목표에 따라서 다르지만 최고 400 본 정도로 한다.
  3. 임연부 임목은 가급적 미래목에서 제외한다.
  4. 맹아갱신(움갈이) 임분에서의 미래목은 가급적 실생묘로 한다.
(정답률: 53%)
  • 정답: "미래목간의 간격은 최소한 2m 정도로 한다."

    미래목간의 간격을 최소한 2m로 유지하는 것은 미래목이 성장하면서 서로 경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래목들이 서로 경쟁하면 생장속도가 느려지고, 질병과 해충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미래목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각 나무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균근의 특징이나 기능 등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1.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기능을 지닌다.
  2. 인산 등을 포함하여 무기양료의 흡수를 촉진한다.
  3. 송이버섯은 소나무와 관계가 있는 대표적인 내생균근이다.
  4. 소나무나 전나무에 잘 기생하는 내생균근은 균사망(hartig net)을 잘 형성한다.
(정답률: 65%)
  • 균근은 식물의 뿌리와 균사가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구조물로,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인산 등을 포함하여 무기양료의 흡수를 촉진하여 식물의 영양분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균근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수목의 광합성과 관련한 설명으로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1. 우리나라에 자라는 대부분의 활엽수는 C-4식물군에 속한다.
  2. 엽록체 내에서 광에너지를 이용한 광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스트로마(stroma)이다.
  3. 수목 한 개체 내에서는 양엽이나 음엽에 상관없이 광보상점이나 광포화점이 동일하다.
  4. 수목은 동일 개체에서도 내음성이 수령이나 생육조건 등에 따라서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정답률: 69%)
  • "수목은 동일 개체에서도 내음성이 수령이나 생육조건 등에 따라서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이 설명이 바르다. 이는 수목의 광합성과 관련하여, 같은 종의 나무라 하더라도 자라는 환경에 따라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같은 종의 나무라 하더라도 자라는 위치나 생육조건에 따라서 일조량, 온도, 습도 등이 달라져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같은 종의 나무라 하더라도 내음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향토 품종의 우월한 점은 무엇인가?

  1. 생육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다.
  2. 외래품종보다 생장이 우량하다.
  3. 생장이 빠르다.
  4. 병충해의 저항이 작다.
(정답률: 83%)
  • 향토 품종은 지역적인 기후와 토양 조건에 맞게 자연적으로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생육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림 벌채 후 임지에 남기는 대형 벌채 잔여물에 대해서는 존치와 제거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대형 벌채 잔존물을 남겼을 때 기대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장기적인 토양 양분 공급
  2. 계류의 영양 농도 조절
  3. 내화수림대 역할
  4. 야생동물의 서식처 제공
(정답률: 71%)
  • 대형 벌채 잔존물을 남겼을 때 기대되는 효과 중에서 "내화수림대 역할"은 산림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대형 벌채 잔존물이 녹아내리면서 토양의 수분 보존과 토양 구조 개선에 기여하며, 또한 산림생태계의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 벌채 잔존물을 제거하면 산림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다음 중 염풍(鹽風)에 강한 수종이 아닌 것은?

  1. 자귀나무
  2. 배나무
  3. 향나무
  4. 돈나무
(정답률: 71%)
  • 배나무는 염풍에 강한 수종이 아닙니다. 이는 배나무가 염분에 민감하며 염풍 지역에서는 생장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자귀나무, 향나무, 돈나무는 염풍에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 산림에 피해를 주는 산림병해충 중 외래 침입병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아까시잎혹파리,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병
  2. 버즘나무방패벌레, 솔나방, 솔껍질깍지벌레
  3. 잣나무넓적잎벌, 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4. 미국흰불나방, 버즘나무방패벌레, 밤나무혹벌
(정답률: 47%)
  • 정답인 "아까시잎혹파리,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병"은 모두 외래 침입병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이들은 모두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으로, 우리나라의 산림 생태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들에는 국내 발생하는 해충도 있지만, 이들은 모두 국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외래 침입병 해충과 함께 나열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도토리거위벌레
  2. 버즘나무방패벌레
  3. 솔껍질깍지벌레
  4. 느티나무벼룩바구미
(정답률: 58%)
  • 도토리거위벌레는 식물의 열매인 도토리를 먹는 것이 아니라 나무의 껍질을 먹는 나무벌레이기 때문에 흡즙성 해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주의 방제방법을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천연적 지피물을 보존한다.
  2. 가을철 파종시에는 복토를 다소 얇게 한다.
  3. 피해가 예상되는 곳에서는 파종조림을 피하고 식재 조림을 한다.
  4. 피해가 예상되는 곳에서는 토양에 탄분이나 모래를 혼입한다.
(정답률: 76%)
  • "가을철 파종시에는 복토를 다소 얇게 한다."는 옳은 방법이 아니다. 가을철에는 오히려 복토를 두껍게 해서 겨울철에도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유는 가을철에 파종하는 작물들은 겨울철에 성장하면서 영양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복토를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삼나무 붉은마름병(浾枯炳)의 월동 상태로 옳은 것은?

  1. 땅속에서 포자상태로 월동한다.
  2. 병환부의 조직 내부에서 균사덩이 형태로 월동한다.
  3. 가지 또는 잎에서 포자상태로 월동한다.
  4. 초본류에서 포자상태로 월동한다.
(정답률: 58%)
  • 삼나무 붉은마름병은 병원균인 Phytophthora cinnamomi가 월동하는데, 이 균은 병환부의 조직 내부에서 균사덩이 형태로 월동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병환부의 조직 내부에서 균사덩이 형태로 월동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병원체의 전반방법 중 토양에 의해 전반되는 병원체는?

  1. 밤나무의 줄기마름병균
  2. 향나무의 적성병균
  3. 오동나무의 빗자루병 병원체
  4. 묘목의 모잘록병
(정답률: 86%)
  • 묘목의 모잘록병은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병원체입니다. 이 병은 묘목의 잎과 줄기를 감염시켜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심한 경우에는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묘목을 심을 때는 토양의 위생을 유지하고, 감염된 묘목은 즉시 제거하여 전파를 막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솔잎혹파리의 기생성 천적이 아닌 것은?

  1. 솔잎혹파리먹좀벌
  2. 혹파리원뿔먹좀벌
  3. 혹파리살이먹좀벌
  4. 혹파리등뿔먹좀벌
(정답률: 80%)
  • 정답은 "혹파리원뿔먹좀벌"입니다. 이는 혹파리의 기생성 천적이 아닌 것으로, 혹파리를 먹이로 삼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혹파리의 기생성 천적으로, 혹파리를 먹이로 삼아 생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호두나무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년 2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2. 년 2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3.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4. 년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정답률: 73%)
  • 호두나무잎벌레는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하기 때문에 다음해 봄에 다시 번식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유충으로 월동하거나 알로 월동하는 경우에는 번식을 위해 봄이 되어야 다시 활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성충과 유충(幼蟲)이 동시에 잎을 가해하는 것은?

  1. 솔잎혹파리
  2. 복숭아명나방
  3. 박쥐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75%)
  •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가 나무의 잎을 먹어서 성충과 유충이 함께 잎을 가해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성충과 유충이 각각 다른 시기에 잎을 가해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잣나무 털녹병 방제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간기주의 박멸
  2. 보르도액 살포
  3. 혼효림 조성
  4. 저항성 품종 육성
(정답률: 55%)
  • 잣나무 털녹병은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혼효림 조성은 이 질병 방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혼효림은 산림생태계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특정 나무 종류를 함께 심어 자연적인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털녹병 방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밤나무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1. 복숭아명나방
  2. 복숭아심식나방
  3. 솔알락명나방
  4. 백송애기잎말이나방
(정답률: 90%)
  • 밤나무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복숭아명나방"입니다. 이는 복숭아나무와 밤나무가 서로 근접해 있어서 복숭아명나방이 밤나무로 이동하여 밤나무 종실을 먹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나무나 작물을 해충으로 가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겨울철에 제설을 위하여 사용되는 해빙염(deicing salt)에 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이 주로 사용된다.
  2. 흔히 수목의 잎에는 괴사성 반점(점무늬)이 나타난다.
  3. 장기적으로는 수목의 쇠락(decline)으로 이어진다.
  4. 일반적으로 상록수가 낙엽수보다 더 큰 피해를 입는다.
(정답률: 60%)
  • "흔히 수목의 잎에는 괴사성 반점(점무늬)이 나타난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해빙염은 수목의 잎에 괴사성 반점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지표면의 얼음과 눈을 녹이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그러나 해빙염은 지하수나 토양에 스며들어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장기적으로는 수목의 쇠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록수가 낙엽수보다 더 큰 피해를 입는다.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이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천적 등 방제대상이 아닌 곤충류에 가장 피해를 주기 쉬운 농약은?

  1. 지속성 접촉제
  2. 훈증제
  3. 전착제
  4. 침투성 살충제
(정답률: 63%)
  • 정답은 "지속성 접촉제"입니다. 이유는 지속성 접촉제는 살충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작용하는 곳에 닿으면 즉시 살충작용을 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작용하기 때문에, 농작물을 먹는 곤충들이 농약에 노출되어도 즉시 죽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먹이를 먹을 수 있어서 더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식물 중 잣나무 털녹병의 겨울포자(冬胞子)를 형성하는 식물은?

  1. 잣나무
  2. 참취
  3. 황벽나무
  4. 송이풀
(정답률: 85%)
  • 송이풀은 겨울에 잎이 떨어지면서 지상부가 사라지지만, 뿌리는 지하에 남아 있습니다. 이 지하부에서 겨울포자를 형성하여 다음 봄에 발아하여 새로운 송이풀을 낳습니다. 따라서 송이풀은 잣나무 털녹병의 겨울포자를 형성하는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수목병 중에서 세균에 의한 것은?

  1. 소나무 혹병
  2. 낙엽송 끝마름병
  3. 잣나무 털녹병
  4. 밤나무 뿌리혹병
(정답률: 72%)
  • 정답은 "밤나무 뿌리혹병"입니다. 이 병은 밤나무의 뿌리에 있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뿌리에 혹이 생기고 부피가 커져서 뿌리가 부풀어 오르고 굳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세균이 뿌리를 침입하여 생기는 것으로, 다른 수목병들은 곰팡이나 바이러스 등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서로 다른 환경유형이 인접한 공간으로 인접한 양쪽 환경유형을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동물들에게 중요한 미세 서식지로 제공되는 공간은?

  1. 임연부
  2. 피난처
  3. 세력권
  4. 행동권
(정답률: 81%)
  • 임연부는 서로 다른 환경유형이 인접한 공간에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동물들에게 중요한 미세 서식지로 제공되는 공간입니다. 이는 인접한 두 환경유형의 특성을 조합하여 다양한 자원과 서식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동물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연부는 생태계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포유류 중 현재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이 아닌 것은?

  1. 수달
  2. 산양
  3. 하늘다람쥐
  4. 호랑이
(정답률: 80%)
  • 호랑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이 아닙니다. 이는 호랑이가 이미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수달, 산양, 하늘다람쥐는 모두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잣송이를 가해하여 수확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해충이며, 구과속의 가해부위에 벌레똥을 채워놓고 외부로도 똥을 배출하여 구과표면에 붙여 놓으며 신초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은?

  1. 소나무좀
  2. 솔악락명나방
  3. 솔박각시나방
  4. 솔수염하늘소
(정답률: 77%)
  • 해충의 특징과 피해 위치를 보면 솔악락명나방이 가장 적합하다. 솔악락명나방은 구과속의 가해부위에 벌레똥을 채워놓고 외부로도 똥을 배출하여 구과표면에 붙여 놓으며, 신초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따라서, "솔악락명나방"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세균이 식물에 침입할 수 있는 자연개구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공
  2. 피목
  3. 밀선
  4. 체관
(정답률: 61%)
  • 체관은 물과 무기질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세균의 침입을 막는 역할은 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개구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기공, 피목, 밀선은 세포벽의 구조적 특성으로 세균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연개구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의 전염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접목전염
  2. 즙액전염
  3. 매개충전염
  4. 새삼전엽
(정답률: 53%)
  •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의 전염방법 중 즙액전염은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파이토플라스마가 감염된 나무의 즙액이 직접 다른 나무로 전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전염방법으로는 접목전염, 매개충전염, 새삼전엽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임반 ㆍ 소반의 구획선 및 면적을 명백히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위측량
  2. 시설측량
  3. 산림구획측량
  4. 산림고저측량
(정답률: 59%)
  • 산림구획측량은 산림지역에서의 구획선 및 면적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실시하는 측량으로, 임반과 소반의 구획선 및 면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산림구획측량이 가장 적합한 측량 방법입니다. 주위측량은 건축물 주위의 경계선을 파악하기 위한 측량, 시설측량은 도로, 다리, 터널 등의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한 측량, 산림고저측량은 산림지역에서의 고저도를 파악하기 위한 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재적 측정이 가능하고 목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임목은 시장역산가식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 아래 식은 시장역산가를 나타내는 관계식이다. 여기서 b는 무엇인가? (단, x는 임목단가, f 는 이용율(조재율), a는 생산원목의 최기시장에서의 판매단가, ℓr은 자본회수기간을 나타낸다.)

  1. 이용율
  2. 임목시가
  3. 단위 생산비
  4. 임목가격
(정답률: 74%)
  • 단위 생산비는 생산에 필요한 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값으로, 생산성과 경제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임목의 시장역산가를 평가하는 식에서 단위 생산비가 포함되는 이유는 생산원가와 생산량의 관계를 고려하여 임목의 이용가치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연휴양림의 입지선정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수원이 풍부한 곳
  2. 경관이 수려하고 임상이 울창한 곳
  3. 생물의 종이 풍부하고 개발이 제한되어 있는 곳
  4. 개발이 가능하고 각종 여건이 용이하며 접근성이 좋은 곳
(정답률: 82%)
  • 생물의 종이 풍부하고 개발이 제한되어 있는 곳이 자연휴양림의 입지선정 조건으로 적합한 이유는, 자연휴양림은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 사람들이 휴식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하고 개발이 제한되어 있는 곳은 자연환경을 보존하기에 적합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이 자연을 느끼며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개발이 가능하고 각종 여건이 용이하며 접근성이 좋은 곳은 인프라가 발달되어 있어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연휴양림의 입지선정 조건으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편의 총중량이 4t, 그 중에서 무게가 20kg인 표본을 선정하여 측용기로 측정한 결과 재적이 30ℓ 이었다. 이 목편의 총재적은 얼마인가?(단, 수온이 4℃일 때 물 1kg은 1ℓ 이며, 1ℓ = 1/1000 m3 이다.)

  1. 6m3
  2. 200m3
  3. 600m3
  4. 6000m3
(정답률: 36%)
  • 먼저, 표본의 무게가 20kg이고 재적이 30ℓ이므로, 이 목편의 밀도는 20kg/30ℓ = 0.67kg/ℓ 이다.

    물의 밀도는 1kg/ℓ 이므로, 이 목편의 부피는 0.67m3 이다.

    따라서, 목편의 총중량이 4t 이므로, 부피당 중량은 4000kg/0.67m3 = 5970.15kg/m3 이다.

    물의 밀도가 1000kg/m3 이므로, 이 목편의 총재적은 5970.15kg/m3 ÷ 1000kg/m3 = 5.97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6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손익분기점분석에 따른 총비용을 E=f+bX로 계산 할 때 이식에서 X가 뜻하는 것은?(단, 식에서 E는 총비용, f는 고정비, b는 단위당 변동비이다.)

  1. 판매량
  2. 변동비
  3. 고정비
  4. 총수익
(정답률: 74%)
  • X는 판매량을 뜻한다. 이는 손익분기점분석에서 어느 정도의 판매량을 달성해야 총수익과 총비용이 같아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X가 판매량을 뜻하는 것은 매출액과 관련된 변수이기 때문에 "판매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중앙 직경이 10cm, 재장이 10m인 통나무의 재적을 Huber식으로 계산하면?

  1. 0.0785m3
  2. 0.0975m3
  3. 0.1050m3
  4. 0.1230m3
(정답률: 79%)
  • Huber식은 다음과 같다.

    V = (π/4) × (D² - d²) × L

    여기서, V는 재적(volume), D는 중앙 직경, d는 재장, L은 길이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 = (π/4) × (10² - 10²) × 10

    V = (π/4) × 0 × 10

    V = 0

    따라서, 재적은 0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0785m³"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우리나라에서 임지의 생산력을 수치로 나타낸 지위지수(site index)는 무엇을 기준으로 작성하는가?

  1. 우세목의 수고
  2. 우세목의 흉고직경
  3. 우세목의 재적
  4. 우세목의 수관폭
(정답률: 75%)
  • 우리나라에서 임지의 생산력을 수치로 나타낸 지위지수는 "우세목의 수고"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토양 등 지리적 조건에 맞게 자라는 나무의 성장력을 평가하여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세목의 수고가 높을수록 지위지수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법정연간벌채량을 NAC, 법정생장량을 ln, 벌기평균생장량을 MAI, 윤벌기를 R, 벌기임분의 재적을 Vr로 표시할 때 이 4가지 사항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NAC = ln = MAI ÷ R = Vr
  2. NAC = ln = MAI + R = Vr
  3. NAC = ln = MAI × R = Vr
  4. NAC = ln = MAI - R = Vr
(정답률: 72%)
  • 정답은 "NAC = ln = MAI × R = Vr"이다.

    - NAC(법정연간벌채량)은 단위 면적당 연간 벌채 가능한 나무의 양을 나타낸다.
    - ln(법정생장량)은 단위 면적당 연간 생장 가능한 나무의 양을 나타낸다.
    - MAI(벌기평균생장량)은 단위 면적당 연간 평균 생장 가능한 나무의 양을 나타낸다.
    - R(윤벌기)은 윤기(벌채) 주기를 나타내며, 연간 벌채 횟수를 의미한다.
    - Vr(벌기임분의 재적)은 재적(벌채 가능한 나무의 양)과 벌기횟수(R)의 곱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NAC, ln, MAI, Vr은 모두 면적당 연간 나무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MAI와 R을 곱한 것이 Vr이 되므로 "NAC = ln = MAI × R = V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연휴양림의 공익적 효용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할 때 간접효과에 해당되는 것은?

  1. 대기정화기능
  2. 건강증진효과
  3. 정서함양효과
  4. 레크레이션효과
(정답률: 83%)
  • 자연휴양림의 대기정화기능은 간접효과에 해당됩니다. 이는 자연휴양림 내에서 식물들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함으로써 대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한 현대사회에서는 중요한 환경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임상조사에서 입목지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1. 활엽수가 50% 이상인 산림
  2. 활엽수가 60% 이상인 산림
  3. 활엽수가 70% 이상인 산림
  4. 활엽수가 75% 이상인 산림
(정답률: 80%)
  • 활엽수림은 넓은 의미로 넓은 잎을 가진 나무들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상수리나무, 참나무, 까마귀상수리 등이 있다. 이러한 나무들은 빠른 생장과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입목지 분류에서는 활엽수림의 비중이 높을수록 경제적 가치가 높은 산림으로 분류하고자 하기 때문에, 활엽수가 75% 이상인 산림을 활엽수림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산림청장 또는 시 ㆍ 도지사가 산림문화 휴양 기본 계획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거나 이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실시해야하는 기초조사 내용은?

  1. 산림문화 ㆍ 휴양정보망의 구축 ㆍ 운영실태
  2. 산림문화 ㆍ 휴양자원의 보전 ㆍ 이용 ㆍ 관리 및 확충 방안
  3. 산림문화 ㆍ 휴양자원의 현황과 주변지역의 토지이용실태
  4. 산림문화 ㆍ 휴양을 위한 시설 및 안전관리에 관한사항
(정답률: 68%)
  • 산림문화와 휴양을 위한 기본 계획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산림문화 및 휴양자원의 현황과 주변지역의 토지이용실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산림문화 및 휴양자원의 확충 가능성과 보전 방안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산림문화 및 휴양자원의 활용과 보전을 위한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연간 임산품생산과 관련된 고정비가 2000000원이고, 변동비가 5000원이다. 임산품의 판매단가가 6000원일 경우에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임산품의 생산량을 계산하면?

  1. 400개
  2. 500개
  3. 1000개
  4. 2000개
(정답률: 59%)
  • 손익분기점은 총 수입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임산품의 판매단가가 6000원이고, 변동비가 5000원이므로 임산품 한 개를 생산하는데 드는 가변비용은 5000원입니다. 따라서 임산품 한 개를 생산하는데 드는 총 비용은 2000000원(고정비) + 5000원(가변비용) = 2005000원입니다.

    임산품 한 개를 판매할 때마다 얻을 수 있는 수입은 6000원입니다. 따라서 임산품을 x개 생산하여 판매할 경우, 총 수입은 6000x원이 되고, 총 비용은 2005000원 + 5000x원이 됩니다.

    손익분기점에서는 총 수입과 총 비용이 같아지므로, 다음 식이 성립합니다.

    6000x = 2005000 + 5000x

    1000x = 2005000

    x = 2000

    따라서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임산품의 생산량은 2000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Nicklisch의 임업자산 계산 등식으로 맞는 것은? (단, 총재산(자산)을 A, 타인자본(부채)을 P, 자기자본(자본)을 K라 한다.)

  1. K = A - P
  2. K = P - A
  3. K = A + P
  4. K = A ÷ P
(정답률: 55%)
  • 정답: "K = A - P"

    이유: Nicklisch의 임업자산 계산 등식에서 자기자본(K)은 총재산(A)에서 타인자본(P)을 뺀 값이다. 이는 자기자본이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실제 소유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K = A - P"가 맞는 등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자연휴양림의 수림 공간 형성 특성 중 레크레이션 활동 공간으로써 부적합하나 교육적ㆍ학습적 활동이 가능한 수림형은?

  1. 열 개림형
  2. 소생림형
  3. 산개림형
  4. 밀생림형
(정답률: 51%)
  • 밀생림형은 수목이 서로 밀접하게 자라서 수직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지면부터 높이까지 교목층이 발달하여 레크레이션 활동에는 부적합하지만, 교육적ㆍ학습적 활동에는 적합한 수림형입니다. 이는 수목들이 서로 밀접하게 자라서 자연스러운 숲의 모습을 보여주며,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활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밀생림형은 자연생태체험, 생태교육 등 교육적ㆍ학습적인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임목의 평가방법에 대한 분류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가방식 - 비용가법
  2. 수익방식 - 기망가법
  3. 원가수익절충방식 - 임지기망가법응용법
  4. 비교방식 - Glaser법
(정답률: 76%)
  • Glaser법은 임목의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비교방식 중 하나이지만, 이 방식은 옳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임지기망가(Bu)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위가 양호한 임지일수록 Bu가 최대가 되는 시기가 늦어진다.
  2. 조림비가 클수록 bu가 최대가 되는 시기가 늦어진다.
  3. 이율이 낮을수록 최대가 되는 시기가 늦어진다.
  4. 간벌 수익이 클수록 bu의 최대값이 빨리 온다.
(정답률: 68%)
  • "이율이 낮을수록 최대가 되는 시기가 늦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이율이 높을수록 Bu가 최대가 되는 시기가 늦어집니다. 이율이 높을수록 임지의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임지를 간벌하지 않고 보유하는 것이 이율이 높은 경우에 더 이익이 됩니다. 따라서 Bu가 최대가 되는 시기가 늦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임업소득에 작용하는 생산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보속성
  2. 임지
  3. 자본
  4. 노동
(정답률: 81%)
  • 보속성은 임업소득에 작용하는 생산요소가 아닙니다. 보속성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자원이나 환경적인 조건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는 있지만 생산요소로는 간주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임지, 자본, 노동은 생산요소로 간주되며, 임업소득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유림의 경영에 있어 공동산림사업(협업경영)을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영형태는?

  1. 농가 임업
  2. 부업적 임업
  3. 겸업적 임업
  4. 주업적 임업
(정답률: 46%)
  • 사유림의 경영에 있어 공동산림사업(협업경영)을 권장하는 이유는 농가 임업이기 때문입니다. 농가 임업은 농업과 함께 운영되는 임업으로, 농가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농가 임업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유림의 경영에 있어 공동산림사업(협업경영)을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영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임업경영의 생산요소 중 생산수단에 속하는 것은?

  1. 노동, 자본재
  2. 노동, 임지
  3. 임지, 자본재
  4. 노동, 임도
(정답률: 49%)
  • 임업경영에서 생산수단은 임지와 자본재입니다. 이는 임업경영에서 생산에 필요한 자원으로, 임지는 나무를 심고 기르는 데 필요한 토지이며, 자본재는 나무를 생산하고 가공하는 데 필요한 장비, 도구, 기계 등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는 임업경영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준목법 중에서 전임목의 몇 개의 계급(grade)으로 나누고 각 계급의 흉고단면적을 동일하게 하여 임분의 재적을 추정하는 방법은?

  1. 단급법
  2. Draudt법
  3. Urich법
  4. Hartig법
(정답률: 50%)
  • Hartig법은 전임목을 몇 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의 흉고단면적을 동일하게 하여 임분의 재적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임도의 곡선반경이 13m 이상~14m 미만인 경우 곡선부에 증가시켜야하는 폭의 너비(확대기준)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m
  2. 2.0m
  3. 3.0m
  4. 4.0m
(정답률: 54%)
  • 임도의 곡선반경이 13m 이상~14m 미만인 경우, 곡선부에 증가시켜야하는 폭의 너비는 2.0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도로 안전규정에서 정해진 최소한의 값이기 때문이다.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차량의 운전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곡선부에 증가시켜야하는 폭의 너비를 늘려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임도 노면의 유지ㆍ보수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은?

  1. 노면보다 높은 길어깨는 깍아내어 노면과 같이 평탄하게 처리한다.
  2. 노면고르기는 노면이 건조한 상태보다 어느 정도 습윤한 상태에서 실시한다.
  3.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될 때 자갈이나 쇄석 등을 깐다.
  4.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었을 경우 기층 및 표층의 재료를 고체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81%)
  •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었을 경우 기층 및 표층의 재료를 고체해서는 안된다."가 틀린 내용이다. 노체의 지지력이 약화되면 기층 및 표층의 재료를 고체하여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임도의 설계속도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노폭
  2. 차폭
  3. 물매
  4. 곡선반지름
(정답률: 51%)
  • 정답은 "차폭"이다. 임도의 설계속도는 도로의 곡률, 노폭, 물매, 곡선반지름 등과 관련이 있지만, 차폭은 도로의 설계속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차폭은 차량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도로의 설계속도와는 별개의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평판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 측량지역에 장애물이 적고 넓게 시준할 경우에 가장 능률적인 방법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도선법
  4. 교회법
(정답률: 73%)
  • 방사법은 측량지점에서 여러 방향으로 측량선을 뻗어나가는 방법으로, 장애물이 적고 넓은 지역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량선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판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 방사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법률상 규정한 우리나라의 간선임도 ㆍ 지선임도의 유효너비는 몇 m를 기준으로 하는가?

  1. 2.5
  2. 3
  3. 3.5
  4. 4
(정답률: 75%)
  • 우리나라의 간선과 지선의 유효너비는 모두 3m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2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형도 상에서 임도 노선을 측설하고자 한다. 지형도의 등고선 간격이 5m 이고, 두 등고선과 교차하는 지점의 임도 종단 물매를 10%로 할 때 수평거리는 얼마나 되겠는가?

  1. 5m
  2. 10m
  3. 50m
  4. 100m
(정답률: 80%)
  • 임도 노선을 측설할 때, 임도 종단 물매를 10%로 설정하면 등고선 간격의 1/10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두 등고선 사이의 수직거리는 5m의 1/10인 0.5m 이내여야 한다. 수평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수평거리의 제곱은 두 등고선 사이의 수평거리의 제곱과 수직거리의 제곱의 합과 같다. 따라서, 수평거리의 제곱은 5m의 제곱에서 0.5m의 제곱을 뺀 값인 24.75m^2 이다. 이를 제곱근으로 구하면 약 4.97m 이므로, 반올림하여 5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m"이 아니라 "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적인 토사로 구성된 절개지 비탈면에 비탈격자틀 붙이기 공법을 채용하고자 한다. 경관을 우선적으로 고려했을 때 격자를 내부에 적용할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자갈채우기
  2. 콘크리트채우기
  3. 떼채우기
  4. 객토채우기
(정답률: 68%)
  • 일반적인 토사로 구성된 절개지 비탈면에 비탈격자틀을 붙이기 위해서는 격자 내부에 충분한 지지력을 가진 재료가 필요하다. 이때, 경관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격자 내부에 자갈이나 콘크리트를 채우는 것은 경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격자 내부에 떼채우기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떼채우기 방법은 작은 돌이나 돌조각 등을 적당한 크기로 채워서 격자 내부를 지지하는 방법으로,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객토채우기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땅밀림지대 또는 지반이 연약한 곳에 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비탈흙막이공법은?

  1. 비탈콘크리트블록흙막이공법
  2. 비탈콘크리트의목흙막이공법
  3. 비탈돌망태흙막이공법
  4. 비탈통나무쌓기흙막이공법
(정답률: 56%)
  • 땅밀림지대나 지반이 연약한 곳에 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비탈흙막이공법은 "비탈돌망태흙막이공법"입니다. 이유는 비탈돌망태흙막이공법은 돌을 이용하여 지형을 고정시키고, 그 위에 망태(매듭)를 이용하여 흙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지형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반의 변동에도 강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자연환경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어 인기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트래버스 측량성과 계산과정에서 합위거, 합경거를 구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오차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2. 제도를 정확히 하기 위함이다.
  3. 폐차를 정확히 구하기 위함이다.
  4. 폐비를 정확히 구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41%)
  • 합위거와 합경거를 구하는 것은 제도를 정확히 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향후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건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합위거와 합경거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집재가선을 설치할 때, 본줄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에서 집재기 쪽의 지주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머리기둥
  2. 꼬리기둥
  3. 안내기둥
  4. 받침기둥
(정답률: 80%)
  • 집재가선을 설치할 때, 본줄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에서 집재기 쪽의 지주를 "머리기둥"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본줄을 당기는 방향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집재가선을 당기는 방향에서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지주는 "꼬리기둥"이라고 부릅니다. "안내기둥"은 집재가선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받침기둥"은 집재가선을 받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임도 개설시 흙깎기(땅깎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현장의 함수비를 저하시킬 때에는 트랜치(trench)를 파서 지하수위를 내리는 방법이 유효하다.
  2. 흙쌓기와 흙쌓기공사를 시공할 때는 현장에 적당한 간격으로 흙일겨냥틀(leading frame)을 설치해야 한다.
  3. 일반적으로 임도에서 흙깎기비탈의 물매는 보통토사는 0.3, 암석은 0.8을 표준으로 한다.
  4. 흙깎기토량이 많은 임도개설공사의 경우에는 사토(捨土)할 장소에 대해서도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66%)
  • "일반적으로 임도에서 흙깎기비탈의 물매는 보통토사는 0.3, 암석은 0.8을 표준으로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임도의 지형과 지반 상황에 따라 흙깎기비탈의 물매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 조사와 분석을 통해 적절한 물매를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임도망 배치의 효율성 정도를 나타내는 개발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발지수의 산출식은 (평균집재거리×임도밀도)/2500 이다.
  2. 균일하게 임도가 배치되었을 때 개발지수는 1.0 이다.
  3. 개발지수가 1보다 크면 클수록 임도배치 효율이 크다.
  4. 노선이 중첩되면 될수록 임도배치 효율성은 낮아진다.
(정답률: 68%)
  • "균일하게 임도가 배치되었을 때 개발지수는 1.0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개발지수는 임도배치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개발지수가 1보다 크면 클수록 임도배치 효율이 높다는 것은 평균집재거리와 임도밀도가 높아지면서 더 많은 집재물을 수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균일하게 임도가 배치되었을 때 개발지수는 1.0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임도의 공사원가 산출시 순공사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일반관리비
  2. 재료비
  3. 노무비
  4. 경비
(정답률: 60%)
  • 일반관리비는 공사 진행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이 아니라, 공사 현장의 일반적인 관리와 관련된 비용으로서, 예를 들어 공사 현장의 청소, 안전관리, 보험료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순공사비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성토사면에 있어서 소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성토의 안정성을 높인다.
  2. 소단의 폭은 3~4m 가 좋다.
  3. 유지보수작업을 할 때 작업원의 발판으로 이용한다.
  4. 사면에서 흘러내리는 사면침식을 줄인다.
(정답률: 74%)
  • "소단의 폭은 3~4m 가 좋다."에 대한 설명이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유지보수작업을 할 때 작업원의 발판으로 이용한다."입니다. 이유는 소단의 폭이 작아도 유지보수 작업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소단의 폭이 3~4m가 좋은 이유는 성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소단은 성토를 지탱하고 지면의 수압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사면에서 흘러내리는 사면침식을 줄이기 위해서도 소단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소단의 폭이 작더라도 유지보수 작업은 가능하지만, 안정성과 사면침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폭의 소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임도 시설시 곡선부 안쪽에 절토부가 있을 경우 시야가 가려지므로 층따기를 하여야 한다. 곡선의 내각이 50°, 곡선반지름이 45m 일 때 안쪽 층따기의 거리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cos 25° = 0.906, cos50° = 0.642 이다.)

  1. 3.4m
  2. 4.2m
  3. 4.6m
  4. 5.1m
(정답률: 53%)
  • 먼저, 곡선의 중심각은 100°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cos 50° = adjacent / 45m
    adjacent = 45m x cos 50°
    adjacent = 29.1m

    따라서, 안쪽 층따기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cos 25° = adjacent / x
    x = adjacent / cos 25°
    x = 29.1m / 0.906
    x = 32.1m

    하지만, 이는 곡선부의 바깥쪽 층따기의 거리이므로, 안쪽 층따기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안쪽 층따기의 거리 = 32.1m - 45m
    안쪽 층따기의 거리 = -12.9m

    하지만, 거리는 항상 양수이므로, 이 값을 절댓값으로 취해준다.

    안쪽 층따기의 거리 = 12.9m

    따라서, 정답은 "4.2m"이 아닌 "12.9m"이다. 이유는 문제에서 제시한 보기 중에 "12.9m"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종단물매의 산출에 따른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내용은?

  1. 종단물매는 시공 후 임도의 개 ㆍ 보수를 통하여 손 쉽게 변경할 수 있다.
  2. 종단물매는 완만한 것이 좋기 때문에 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3. 종단물매를 높게 하면 임도우회율을 낮출 수 있다.
  4. 종단물매의 계획은 설계차량의 규격과 관계가 없다.
(정답률: 78%)
  • 종단물매를 높게 하면 임도우회율을 낮출 수 있다. 이는 종단물매가 높을수록 도로의 경사가 커지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가 느려지고 연료소모량이 증가하게 되어 임도우회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지형의 표시방법 중 자연적 도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영선법
  2. 단채법
  3. 점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56%)
  • 영선법은 자연적 도법에 해당한다. 이는 해안선과 같은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해상에서의 항해나 해안 지형의 탐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트래버스 측량을 실시한 바 폐합된 지역의 측량시 장애물로 인하여 측선 CD의 방위각 및 거리를 측정하지 못하였다. 측량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경우 빈칸 측선 CD의 에 적당한 값을 산출하면? (단, 위 경거 오차는 없는 것으로 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36.2°, 7.94m, 3.6m, 5.2m
  2. 216.2°, 6.94m, 5.6m, 4.1m
  3. 245.2°, 10.94m, 7.0m, 5.3m
  4. 301.2°, 11.94m, 5.6m, 5.4m
(정답률: 57%)
  • 측선 AB와 BC의 거리와 방위각은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내각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높이를 구할 수 있고, 이 높이를 이용하여 측선 CD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ACD의 내각을 이용하여 측선 CD의 방위각을 구할 수 있다.

    - 삼각형 ABC의 내각
    내각 A = 180 - (외각 B + 외각 C) = 180 - (36.2 + 245.2) = 98.6°
    내각 B = 180 - (외각 A + 외각 C) = 180 - (36.2 + 114.6) = 29.2°
    내각 C = 180 - (외각 A + 외각 B) = 180 - (245.2 + 114.6) = 20.2°

    - 삼각형 ABC의 높이
    삼각형 ABC의 밑변 AB와 BC의 길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넓이 = (AB × BC × sinA) / 2 = (7.94 × 3.6 × sin98.6°) / 2 = 13.9m²
    높이 = (2 × 넓이) / AB = (2 × 13.9) / 7.94 = 3.5m

    - 측선 CD의 거리
    삼각형 ACD에서 측선 CD의 높이는 삼각형 ABC의 높이와 같다.
    따라서, 측선 CD의 거리는 AC - AD = 6.94 - 3.5 = 3.44m

    - 측선 CD의 방위각
    삼각형 ACD에서 내각 D = 180 - (내각 A + 내각 C) = 180 - (98.6 + 20.2) = 61.2°
    따라서, 측선 CD의 방위각은 21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간선임도 ㆍ 지선임도의 시설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성토한 경사면의 기울기 범위는?

  1. 1:1.2~2.0
  2. 1:0.3~0.8
  3. 1:2.0~2.5
  4. 1:0.5~1.0
(정답률: 58%)
  • 간선임도와 지선임도는 도로의 경사면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기준이다. 이 중 성토한 경사면의 기울기 범위는 1:1.2~2.0이다. 이는 도로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기울기가 너무 낮으면 비가 내리면 물이 빠지지 않아 도로 통행이 어렵고, 기울기가 너무 높으면 차량이 오르내리기 어렵고 위험하다. 따라서 적절한 기울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기계톱의 구조 중에서 동력전달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크랭크축
  2. 원심클러치
  3. 안내판
  4. 스프라킷
(정답률: 24%)
  • 크랭크축은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크랭크축은 엔진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을 움직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원심클러치, 안내판, 스프라킷은 모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증발산 중에서 식생으로 피복된 지면으로부터의 증발량과 증산량만을 특히 무엇이라 하는가?

  1. 증산률
  2. 소비수량
  3. 증발산률
  4. 증발기회
(정답률: 64%)
  • 증발산 중에서 식생으로 피복된 지면으로부터의 증발량과 증산량만을 소비수량이라고 한다. 이는 지면에서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고 증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량과 증산량이 지면에서 소비되는 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수량은 지면에서 식물이 생장하고 생태계가 유지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흙댐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흙댐의 포화수선은 댐 밑 외부에 있어야 댐이 안정하고, 심벽은 포화수선을 위로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2. 유역면적이 비교적 좁고 유량과 유송토사가 적지만 계폭이 비교적 넓은 경우에 건설한다.
  3. 댐의 안전을 위해 심벽을 넣는데 심벽 재료로서 사질토나 점질토를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흙댐 마루의 나비는 2~5m 정도로 한다.
(정답률: 59%)
  • 흙댐의 포화수선은 댐 밑 외부에 있어야 댐이 안정하고, 심벽은 포화수선을 위로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돌을 쌓아 올릴 때 뒷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돌쌓기는 무엇인가?

  1. 메쌓기
  2. 찰쌓기
  3. 막쌓기
  4. 잡석쌓기
(정답률: 75%)
  • 찰쌓기는 돌을 쌓아 올릴 때 뒷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돌을 견고하게 쌓아 올리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법으로 돌을 쌓아 올리는 방법이므로 정답은 찰쌓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의 사방공종 중에서 지하수 처리공법에 속하는 것은?

  1. 집수정 공법
  2. 돌림수로 내기
  3. 침투수 방지공법
  4. 주입공사
(정답률: 68%)
  • 집수정 공법은 지하수를 수집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정화하여 다시 지하수층에 반환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지하수 처리공법에 속한다. 돌림수로 내기는 지하수를 유입하는 방법이며, 침투수 방지공법은 지하수가 흡수되는 것을 막는 방법이고, 주입공사는 지하수에 화학물질을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특수 비탈면 안정공법 중에서 앵커박기공법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1. 비탈 보호나 완만한 경사로 성토를 할 곳
  2. 급경사의 대규모 암반비탈에 암석이 노출되어 녹화 공사가 불가능한 곳
  3. 비탈의 암질이 복잡하고 마사토로 구성되어 취급이 곤란하고 지하수가 용출하는 곳
  4. 비탈 경사가 현저하게 급한 곳에서 토압이 큰 곳이나 비탈 틀공법 혹은 흙막이공사 등을 계획하는 곳
(정답률: 57%)
  • 앵커박기공법은 비탈 경사가 현저하게 급한 곳에서 토압이 큰 곳이나 비탈 틀공법 혹은 흙막이공사 등을 계획하는 곳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앵커를 이용하여 비탈면을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비탈 보호나 완만한 경사로 성토를 할 곳이나 지하수가 용출하는 곳 등 다른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산지계류의 곡선부에 설치하는 사방댐의 제체 방향은 유심선과 어느 각도를 이루도록 계획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가?

  1. 45도
  2. 60도
  3. 90도
  4. 180도
(정답률: 76%)
  • 사방댐은 산지계류의 곡선부에 설치되는데, 이는 물의 흐름을 막아 댐 위쪽에 물이 쌓이게 하여 댐 아래쪽의 수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제체 방향이 유심선과 90도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는 물의 힘이 제체에 수직으로 작용하여 안정적으로 댐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다른 각도로 설치하면 물의 힘이 제체에 대각선 방향으로 작용하여 댐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방댐을 설치할 때는 유심선과 90도를 이루도록 계획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해안사구 중에서 해안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조성되어 있는 사구는?

  1. 앞모래언덕
  2. 주사구
  3. 자연사구
  4. 후사구
(정답률: 45%)
  • 자연사구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사구로, 해안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반면에 앞모래언덕, 주사구, 후사구는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형성된 인공적인 사구입니다. 따라서 자연사구가 해안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사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등산로 이용자의 편의도모 및 환경훼손적인 이용 형태를 규제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경사도에 따라 다양한 바닥시설을 한다.
  2. 통행량에 따라 등산로 폭을 다양하게 조정한다.
  3. 이용규제를 위하여 다양한 경계울타리를 설치한다.
  4. 자연발생적 등산로는 먼저 식생을 복원하고 지형을 복구한다.
(정답률: 75%)
  • 자연발생적 등산로는 이미 자연에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인 바닥시설이나 폭 조정, 경계울타리 등을 설치하는 것은 환경훼손적인 이용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등산로를 이용할 때는 먼저 식생을 복원하고 지형을 복구하여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비탈 돌쌓기공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탈 물매가 1:1보다 완만한 경우는 돌붙이기라 한다.
  2. 찰쌓기공법에는 2~3m2 마다 물빼기 구멍을 설치한다.
  3. 돌쌓기의 물매는 일반적으로 메쌓기의 경우 1:0.3 이다.
  4. 돌쌓기는 일곱에움 이상 아홉에움 이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80%)
  • "돌쌓기는 일곱에움 이상 아홉에움 이하가 되도록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비탈 돌쌓기에서는 경사각이 너무 가파르면 돌이 미끄러져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경사각이 너무 완만하면 돌이 미끄러져서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곱에움 이상 아홉에움 이하로 경사각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일반적으로 환경보전림의 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대기, 수질, 악취를 저감하는 환경정화기능
  2. 소음, 진동의 완충, 방재 등 안정성 유지기능
  3. 시 ㆍ 도지역 조수의 보호, 번식 등 야생동물보호기능
  4. 도시개발에 따른 도시확산 및 연담(conurbation)현상 완화기능
(정답률: 30%)
  • 시ㆍ도지역 조수의 보호, 번식 등 야생동물보호기능은 환경보전림의 기능이 아니라 생태계 보전의 기능에 해당합니다. 환경보전림은 대기, 수질, 악취 등을 정화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며 도시개발에 따른 도시확산 및 연담 현상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춘 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댐의 방수로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최대홍수량 산정방법 중 합리식(Ramser's rational formula)의 공식은? (단, 식에서 Q:유역출구에서의 최대홍수유량, C:배수 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유출계수, V: 유속, I: 강우강도, A: 유역면적을 나타낸다.)

(정답률: 79%)
  • 합리식은 Q=CIA로 표현되며, 유역면적, 강우강도, 유출계수를 고려하여 유역출구에서의 최대홍수유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바닥막이공작물의 위치선정 지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분지합류지점(分支合流地点)의 하류
  2. 종 ㆍ 횡침식의 하류
  3. 계상 굴곡부의 하류
  4. 계상이 안정된 지점
(정답률: 70%)
  • 바닥막이공작물은 지하수를 막기 위해 지하에 설치되는데, 이때 바닥막이공작물의 위치선정은 지하수의 유동성, 지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계상이 안정된 지점이 가장 적합한 위치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분지합류지점의 하류나 종ㆍ횡침식의 하류는 지하수 유동성이 높아 바닥막이공작물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계상 굴곡부의 하류는 지반의 안정성이 떨어져 바닥막이공작물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중력침식의 한 형태인 붕락(slumping)에 대하여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붕락은 일반적으로 붕괴되어 온 토괴의 대부분이 그 비탈면의 끝이나 산각부에 남아 있다.
  2. 붕락은 그 발생부위에 반드시 유수가 관계하고 있다.
  3. 붕락은 비탈면 끝을 흐르는 계천의 가로침식으로 무너지는 현상이다.
  4. 붕락은 누구침식이 더욱 발달하여 규모가 깊고 넓게 확대된 침식형태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붕락은 일반적으로 붕괴되어 온 토괴의 대부분이 그 비탈면의 끝이나 산각부에 남아 있다." 이다.

    붕락은 비탈면이나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중력침식의 한 형태로, 토양이나 암석 등이 미끄러져 내려가는 현상이다. 이때 붕락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대부분 토괴가 발생하며, 이 토괴의 대부분은 비탈면의 끝이나 산각부에 남아 있다. 이는 붕락이 발생한 지점에서는 중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토양이나 암석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붕락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막깬돌, 잡석, 호박돌 등을 붙여 축설하며 유량이 적고 기울기가 비교적 급한 산복에 이용되는 수로는 무엇인가?

  1. 찰붙임 돌수로
  2. 메붙임 돌수로
  3. 콘크리트 수로
  4. 떼붙임 수로
(정답률: 53%)
  • 메붙임 돌수로는 막깬돌, 잡석, 호박돌 등을 붙여 축설하여 만든 수로로, 유량이 적고 기울기가 급한 산복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메붙임 돌수로가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어서 물이나 토양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형에서는 콘크리트 수로나 떼붙임 수로보다는 메붙임 돌수로가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구곡막이에 대한 설명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수로를 별도로 축설하지 않고, 중앙부를 낮게 한다.
  2. 반수면은 토사를 채우고, 대수면은 떼를 입힌다.
  3. 계상이 낮아질 위험성이 있는 곳에 설치한다.
  4. 사방댐보다 규모가 작다.
(정답률: 66%)
  • "반수면은 토사를 채우고, 대수면은 떼를 입힌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구곡막이란 수로를 별도로 축설하지 않고, 중앙부를 낮게 한 둥근 모양의 댐으로, 반수면은 떼를 입히고 대수면은 토사를 채운다. 이는 물의 압력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반수면은 토사를 채우고, 대수면은 떼를 입힌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비탈면 안정공법이 아닌 것은?

  1. 힘줄박기 공법
  2. 새심기 공법
  3. 격자틀붙이기 공법
  4. 돌쌓기 공법
(정답률: 73%)
  • 비탈면 안정공법은 경사진 지형에서 지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힘줄박기 공법, 격자틀붙이기 공법, 돌쌓기 공법은 모두 비탈면 안정공법에 해당한다. 하지만 새심기 공법은 비탈면 안정공법이 아니다. 새심기 공법은 경사진 지형에서 물이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땅을 파내어 구덩이를 만들고 그 안에 새심을 심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새심기 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높이 10m 에 1:0.3 물매일 대 수평거리는?

  1. 30cm
  2. 3.0m
  3. 103cm
  4. 3.3m
(정답률: 66%)
  • 1:0.3은 높이와 대 수평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높이 10m에 대한 대 수평거리는 10m x 0.3 = 3.0m이다. 따라서 정답은 "3.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불량한 돌쌓기 공사시에 나타나는 금기들이 아닌 것은?

  1. 뜬돌
  2. 거울돌
  3. 포갠돌
  4. 굄돌
(정답률: 80%)
  • "굄돌"은 돌쌓기 공사에서 사용하는 돌 중 하나로, 다른 돌과 함께 사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굄돌"이 불량한 돌쌓기 공사시에 나타나는 금기들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토양침식형태를 물침식과 중력침식으로 분류할 때 중력침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붕괴형침식
  2. 지활형침식
  3. 유동형침식
  4. 지중침식
(정답률: 71%)
  • 중력침식은 지형의 경사와 중력에 의해 토양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중침식은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침식 현상으로, 중력침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지중침식은 지하수의 유동에 의해 토양이 운반되거나 용암이 침식되는 등의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해안사방지의 조림용 수종이 구비해야 할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
  2.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가 많을 것
  3.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도 잘 견디어 낼 것
  4. 조풍(潮風)의 피해에도 잘 견디어 낼 것
(정답률: 84%)
  • 해안사방지의 조림용 수종은 바람, 조풍, 온도 등의 자연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 잘 적응하고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가 많은 이유는 해안 지역의 토양이 염분이 많아서 물과 양분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수종이 선택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