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산림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학

1. 다음 중 암수가 딴 그루인 수종은?

  1. Cryptomeria japonica
  2. Alnus japonica
  3. Pinus densiflora
  4. llex cornuta
(정답률: 62%)
  • llex cornuta는 "cornuta"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뿔 모양의 열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암수가 딴 그루인 수종으로, 즉 수종 내에서 수종이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한 식물의 성분이 환경공간에 들어가서 다른 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은?

  1. 이래(migration)
  2. 경쟁(competition)
  3. 천이(succession)
  4. 타감작용(allelopathy)
(정답률: 73%)
  • 타감작용은 한 식물이 분비하는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다른 식물의 씨앗 발아, 생장, 꽃 피는 등의 과정을 방해하거나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감작용은 생물간의 경쟁과도 관련이 있지만, 다른 세균, 곰팡이, 곤충 등의 생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경쟁보다는 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의 치환성염기 중 토양콜로이드에 치환 ·흡착하는 힘이 가장 큰 것은?

  1. Ca++
  2. Mg++
  3. KP+
  4. Na+
(정답률: 65%)
  • 토양콜로이드는 음이온을 흡착하는 능력이 강하기 때문에 양이온 중에서는 크기가 크고 전하가 큰 이온일수록 흡착력이 강합니다. 따라서 "Ca++"가 가장 큰 흡착력을 가지는 이유는 전하가 2+이며 크기가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의 무기양료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수종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낙우송 > 잣나무 > 소나무
  2. 낙우송 > 소나무 > 잣나무
  3. 잣나무 > 낙우송 > 소나무
  4. 잣나무 > 소나무 > 낙우송
(정답률: 72%)
  • 낙우송은 높은 생장력과 큰 크기의 잎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양의 무기양료가 필요합니다. 잣나무는 낙우송보다는 작은 크기의 잎을 가지고 있지만, 소나무보다는 더 많은 양의 무기양료가 필요합니다. 소나무는 작은 크기의 잎을 가지고 있고, 높은 생장력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두 수종에 비해 덜 무기양료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낙우송 > 잣나무 > 소나무"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순림에 관한 특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지(立地)를 완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경제적으로 가칭있는 나무를 대량생산할 수 있다.
  3. 숲의 구성이 단조로워서 병충해, 풍해의 저항력이 강하다
  4. 침엽수로만 형성된 순림에서는 임지의 약화가 초래되는 일이 없다.
(정답률: 87%)
  • 순림은 입지를 완전하게 이용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가치있는 소나무 등을 대량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산림조림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순림에서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며 자라기 때문에, 강한 나무들이 생존하고 대량생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벌작업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후계림은 동령림이 된다.
  2. 예비벌의 벌채 대상목은 주로 중용목과 피압목이다.
  3. 하종벌은 2~3회 나누어 실시한다.
  4. 윤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정답률: 58%)
  • "하종벌은 2~3회 나누어 실시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하종벌은 1회 실시한다. 하종벌은 산림의 생장을 조절하고, 산림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벌채 방법 중 하나이다. 윤벌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하종벌을 2~3회로 나누어 실시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리나라 천연소나무림의 생태적 지역형으로 줄기가 곧고 수관이 가늘며 지하고가 높은 소나무형은?

  1. 중남부평지형
  2. 금강형
  3. 위봉형
  4. 안강형
(정답률: 91%)
  • 금강형은 줄기가 곧고 수관이 가늘며 지하고가 높은 소나무형으로, 주로 중부 지방에서 발견됩니다. 이 지형은 금강산맥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며, 천연소나무림의 생태적 지역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임분에서 성숙한 임목만을 국소적으로 추출, 벌채 하고 그 곳의 갱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갱신법으로, 다양한 영급과 경급의 수목이 임분에서 혼생하도록 하는 작업방법은?

  1. 군상개벌
  2. 보잔모수법
  3. 산벌
  4. 택벌
(정답률: 80%)
  • 택벌은 성숙한 임목만을 추출하여 벌채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나무를 심어 갱신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영급과 경급의 수목이 함께 자라며,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택벌은 자연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삽목 발근에 관여하는 인자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삽수 안에 탄수화물의 양이 적고 질소의 양이 많을 때 발근이 잘된다.
  2. 연령이 어린 가지가 발근이 잘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3. 모든 수목은 발근이 거의 잘되므로 발근 촉진제는 사실 필요가 없다.
  4. 비가 온 후에 삽목상에 물이 고인 상태에서 즉시 삽목을 하면 토양수분이 충분하므로 좋다.
(정답률: 79%)
  • 정답은 "연령이 어린 가지가 발근이 잘되는 경향을 보여준다."입니다. 이유는 어린 가지는 더 많은 세포 분열과 세포분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발근이 더 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체적으로 우리나라 온대 남부지역의 적합한 식재시기는?

  1. 2월 하순부터
  2. 3월 하순부터
  3. 4월 중순부터
  4. 5월 상순부터
(정답률: 52%)
  • 우리나라 온대 남부지역은 겨울철에는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식물이 충분한 휴면기를 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이 지나고 봄이 시작되는 2월 하순부터 식물이 깨어나 성장하기 시작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 시기에는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며, 봄비가 많아 식물이 생장하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생가지치기를 할 경우 절단부위가 썩을 위험성이 큰 수종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소나무, 버드나무
  2. 편백, 자작나무
  3. 낙엽송, 벚나무
  4.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정답률: 77%)
  • 단풍나무와 물푸레나무는 절단 부위가 썩을 위험이 큰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이들 나무들이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절단 부위가 썩을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가지치기를 할 경우 이들 나무들은 특히 조심해서 다루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 발아를 위해 후숙이 필요한 수종은?

  1. 버드나무
  2. 느릅나무
  3. 졸참나무
  4. 주목
(정답률: 64%)
  • 정답은 "주목"입니다. 주목은 종자 발아를 위해 후숙이 필요한 수종으로, 종자가 지상으로 떨어지기 전에 지상에서 발아하여 뿌리를 내리고 물과 영양분을 흡수한 후에 지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목은 자연재생력이 높은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솎아베기의 목적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생육공간의 조절
  2. 임분 수직구조의 단일화
  3. 임분형질 개선
  4. 임분구성의 조절
(정답률: 85%)
  • 솎아베기의 목적은 생육환경을 개선하여 나무의 성장을 촉진하고 수확량을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육공간의 조절", "임분형질 개선", "임분구성의 조절"은 바르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임분 수직구조의 단일화"는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고 생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솎아베기를 할 때에는 임분 수직구조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가지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복층림 조성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임목의 수확 기간이 길어져서 대경목 생산이 가능하다.
  2. 생장이 균일하여 연륜폭이 균등하고 치밀한 목재를 생산할 수 있다.
  3. 개벌사업으로 벌채시 많은 설비비와 반출경비가 절약된다.
  4. 풍치 유지상 유리하다.
(정답률: 70%)
  • 복층림 조성과 개벌사업은 관련이 없으므로, "개벌사업으로 벌채시 많은 설비비와 반출경비가 절약된다."는 복층림 조성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에서 난대수족으로만 짝지어진 것으로 맞는 것은?

  1. 해송, 전나무, 상수리나무, 후박나무
  2. 밤나무, 느티나무, 잣나무, 아왜나무
  3. 녹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감탕나무
  4. 녹나무, 대나무, 감탕나무, 자작나무
(정답률: 73%)
  • "녹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감탕나무"는 모두 난대수족 식물로, 잎이 홀수로 나뉘어져 있고 줄기에 가시가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끼리 짝지어진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난대수족이 아닌 나무들이 섞여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삽목상의 환경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삽목한 다음 해가림을 하여 건조를 막는다.
  2. 무균상태이고 보수력이 높으며 토익성이 좋은 삽목상이 필요하다.
  3. 대부분의 수종에서 삽목상의 적합한 온도는 10~15℃이다.
  4. 잎의 증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분무번식을 할 수 있다.
(정답률: 71%)
  • "대부분의 수종에서 삽목상의 적합한 온도는 10~15℃이다."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온도는 각각의 수종마다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20~25℃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목생장에서 측아(側芽)의 발달을 억제하는 정아우세 현상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1. 옥신(auxin)
  2. 지베렐린(GA)
  3. 사이토키닌(cytokinin)
  4. 아브시스산(ABA)
(정답률: 81%)
  • 옥신은 수목생장에서 측아의 발달을 억제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옥신이 측아의 세포분열을 억제하고, 측아의 세포크기를 줄이며, 측아의 세포분화를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옥신은 수목생장에서 측아의 발달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를 파종하기 한 달쯤 전에 노천매장을 하여 발아를 촉진시키는 수종은?

  1. 소나무
  2. 들메나무
  3. 팽나무
  4. 백합나무
(정답률: 79%)
  • 소나무는 겨울철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낮은 온도와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천매장을 하여 발아를 촉진시키는 수종으로 적합합니다. 또한 소나무는 발아 후 생장속도가 빠르며, 생육력이 강하고 병충해에도 강한 특징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경작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수종 중 낙엽침엽수인 것은?

  1. 해송
  2. 낙우송
  3. 버즘나무
  4. 삼나무
(정답률: 87%)
  • 낙엽침엽수는 겨울철에 잎을 떨어뜨리는 나무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낙우송은 소나무과에 속하면서도 잎이 바늘형태로 침엽수와 같이 생겼기 때문에 낙엽침엽수에 해당합니다. 해송과 삼나무는 모두 침엽수이며, 버즘나무는 상록침엽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자가 발아를 시작하는 첫 과정은?

  1. 수분의 흡수
  2. 활발한 호흡작용
  3. 저장물질의 분해
  4. 유근(幼根)의 생장
(정답률: 71%)
  • 종자가 발아를 시작하면 물을 흡수하여 수분을 얻게 되는데, 이는 새로운 생명체가 성장하고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분의 흡수"가 종자가 발아를 시작하는 첫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학

21. 수목의 그을음병(sooty mold)에 관하여 잘 못 설명한 것은?

  1. 그을음병균은 수목의 잎에 기생하여 양분을 탈취한다.
  2. 진딧물이나 깍지벌레가 번성하면 그을음병이 발생한다.
  3. 그을음병은 대부분 잎의 앞면에 발생한다.
  4. 물을 자주 뿌려주면 그을음병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정답률: 44%)
  • "그을음병균은 수목의 잎에 기생하여 양분을 탈취한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그을음병균은 수목의 잎에 기생하지만, 양분을 탈취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그을음병균은 진딧물이나 깍지벌레와 같은 해충이 분비하는 분비물인 꿀로부터 영양을 얻습니다. 이로 인해 잎에 검은 색의 그을음병이 생기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해충 중 날개를 편 길이가 가장 큰 것은?

  1. 미국흰불나방
  2. 솔나방
  3. 매미나방
  4. 텐트나방
(정답률: 51%)
  • 솔나방은 날개를 편 길이가 가장 큰 해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솔나방이 비행 시에 높은 고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긴 날개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에서 표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포자
  2. 썩음
  3. 균사체
  4. 버섯
(정답률: 66%)
  • "썩음"은 생물체나 생물체의 일부가 부패하거나 분해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표징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곰팡이나 균류에 대한 표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이종기생성 녹병균의 수목병 중 기주식물 과 중간기주식물과의 관계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소나무 혹병 : 소나무 -졸참나무
  2. 잣나무 털녹병 : 잣나무 - 송이풀
  3. 소나무 잎녹병 : 소나무 - 황벽나무
  4. 소나무 줄기녹병 : 소나무 - 참취
(정답률: 73%)
  • 정답은 "소나무 줄기녹병 : 소나무 - 참취"입니다. 이는 기주식물과 중간기주식물이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소나무 줄기녹병은 기주식물인 소나무와 중간기주식물인 소나무가 맞게 짝지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소나무 줄기녹병의 중간기주식물은 참취가 아니라 다른 식물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소나무 줄기녹병 : 소나무 - 참취"가 잘못 짝지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유해가스 중 배출량의 증가에 따른 온실효과의 주요인으로 작용하여 임목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1. 아황산가스
  2. 염화수소
  3. 불화수소
  4. 과린산가스
(정답률: 86%)
  • 아황산가스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가스로, 화석 연료의 연소 및 산업 공정에서 발생합니다. 이 가스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와 반응하여 황산으로 변화하면서 대기 중의 입자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대기 중의 빛이 흡수되어 지구 온도 상승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온실효과로 인해 임목에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천적관계로 서로 맞지 않는 것은?

  1. 버들재주나방- 산누에살이납작맵시벌
  2. 미국흰불나방-나방살이납작맵시벌
  3. 천막벌레나방-독나방살이고치벌
  4. 솔잎혹파리-아세리아깍지벌레
(정답률: 84%)
  • 솔잎혹파리와 아세리아깍지벌레는 서로 다른 식물에서 생활하며, 서로 영양원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천적관계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솔잎혹파리-아세리아깍지벌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hizoctonioa solani에 의해 발생하는 모잘록병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습한 곳과 건조한 곳 모두에서 발생한다.
  2. 균사가 뿌리에 직접 침입한다.
  3. 지제부 줄기가 감염된 후 아래의 뿌리로 병이 진전한다.
  4. 토양 중에서는 유성세대가 쉽게 발생한다.
(정답률: 42%)
  • "토양 중에서는 유성세대가 쉽게 발생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Rhizoctonia solani는 토양에서 생존하며, 유성세대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이 균은 균사를 통해 번식하며, 뿌리에 직접 침입하여 모잘록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토양 중에서는 유성세대가 쉽게 발생한다."라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살충제 중 기피제에 속하는 것은?

  1. 나프탈렌
  2. 알킬화제
  3. 벤젠
  4. 포스팜액제
(정답률: 81%)
  • 기피제란, 해충이나 벌레 등이 특정한 냄새나 맛 등을 싫어해서 그곳을 피하게 만드는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나프탈렌은 강한 특유의 냄새가 있어서 해충이나 벌레 등이 그곳을 피하게 만들어 기피제로 사용됩니다. 알킬화제, 벤젠, 포스팜액제는 기피제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열사(熱死)의 피해를 가장 적게 받는 수종은?

  1. 곰솔, 측백나무
  2. 소나무, 화백
  3. 편백, 전나무
  4. 가문비나무, 솔송나무
(정답률: 42%)
  • 곰솔과 측백나무는 열사에 강한 수종으로, 둘 다 두꺼운 껍질과 넓은 잎을 가지고 있어 수분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두 수종은 높은 고도에서 자라는 경향이 있어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가 적어 열사 피해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임분구성을 통해 풍부한 야생동물군집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순림 조성
  2. 다층림 조성
  3. 천연림 조성
  4. 장령, 노령림 조성
(정답률: 86%)
  • 순림 조성은 단일 종의 나무를 일정 간격으로 심는 방법으로,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형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층림 조성, 천연림 조성, 장령, 노령림 조성은 서로 다른 종의 나무를 혼합하여 심는 방법으로, 서식지의 다양성을 높여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형성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농약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을 일컫는 용어는?

  1. 훈증제
  2. 보조제
  3. 유인제
  4. 기피제
(정답률: 93%)
  • 농약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농약이 작용할 대상에 충분히 접촉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상에 농약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농약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농약에 첨가하는 물질을 보조제라고 합니다. 보조제는 농약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농약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조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겨울포자퇴로부터 소생자가 날아가 발병되는 질병은?

  1. 밤나무 잎마름병
  2.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3. 사과나무 탄저병
  4. 배롱나무 흰가루병
(정답률: 68%)
  • 겨울포자퇴로 인해 소생자가 발생하면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이 발병합니다. 이 질병은 배의 잎이 붉은색으로 변하고, 별모양의 검은색 반점이 생기며, 결국 잎이 말라 죽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국내 산림병해충 중 2000년대(2000~2009)에 걸쳐 피해 면적이 가장 많은 해충은?

  1. 솔껍질깍지벌레
  2. 미국흰불나방
  3. 소나무재선충병
  4. 솔잎혹파리
(정답률: 52%)
  • 2000년대에는 솔잎혹파리가 가장 많은 피해 면적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솔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종의 나무에서 발생하는 해충으로, 솔잎을 먹고 성장하며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솔잎혹파리가 분비하는 분비물로 인해 나무의 잎이 검게 변하고 썩어내리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솔잎혹파리는 국내 산림을 위협하는 중요한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소나무 잎떨림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1. 땅위에 떨어진 병든 잎
  2. 중간기주의 잎
  3. 소나무 뿌리와 줄기
  4. 주변의 잡초
(정답률: 76%)
  • 소나무 잎떨림병균은 땅위에 떨어진 병든 잎에서 월동합니다. 이는 병균이 잎에서 떨어져 땅에 떨어진 후, 거기서 월동하다가 다음해 봄에 새로운 잎에 감염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땅위에 떨어진 병든 잎은 소나무 잎떨림병균의 월동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1. 대벌레
  2. 소나무순나방
  3. 미국흰불나방
  4. 참나무재주나방
(정답률: 57%)
  • 소나무순나방은 소나무를 대상으로 하는 해충이 아니라, 소나무숲에서 주로 서식하는 나방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식물을 직접 피해를 입히는 식엽성 해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병균이 종자의 표면에 부착해서 전반(傳搬)되는 것은?

  1. 오리나무 갈색무늬병균
  2. 잣나무 털녹병균
  3.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4. 근두암종병균(뿌리혹병균)
(정답률: 67%)
  • 병균이 종자의 표면에 부착해서 전반되는 것을 종자감염이라고 합니다. 이 중 "오리나무 갈색무늬병균"은 오리나무의 잎과 열매에 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종자감염을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오리나무 갈색무늬병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인 조건에서 밤나무혹벌의 년 중 발생 세대수는?

  1. 년 1회 발생
  2. 년 2회 발생
  3. 년 3회 발생
  4. 년 4회 발생
(정답률: 79%)
  • 밤나무혹벌은 일반적으로 년 1회 발생합니다. 이는 밤나무혹벌이 겨울철에 굴에서 깨어나 봄에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봄에 한 번 발생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발생하지 않으며, 겨울에는 굴에서 잠자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소나무좀은 유충과 성충이 모두 소나무에 피해를 가하는데, 신성충이 주로 가해하는 곳은?

  1. 소나무 잎
  2. 소나무 뿌리
  3. 수간 밑부분
  4. 소나무 새가지
(정답률: 73%)
  • 신성충은 소나무 새가지에 알을 낳고 유충이 발생하면 새가지 내부를 먹어 치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나무 새가지가 주로 피해를 입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동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물개
  2. 사향노루
  3. 반달가슴곰
  4. 표범
(정답률: 50%)
  • 물개는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동물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물개가 현재 멸종위기에 직면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사향노루, 반달가슴곰, 표범은 모두 멸종위기 동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포플러 잎녹병의 잠복기간은?

  1. 4일~6일
  2. 4주~6주
  3. 4개월~6개월
  4. 4년~6년
(정답률: 62%)
  • 포플러 잎녹병의 원인균인 Xanthomonas campestris pv. populi는 잎의 상처나 절단면을 통해 식물체 내부로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 이후 잠복기간 동안 균은 식물체 내부에서 번식하며 병증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포플러 잎녹병의 잠복기간은 보통 4일에서 6일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경영학

41. 전체 산림면적이 500ha이고, 표준지 면적이 0.04ha이다. 변이계수 60%, 허용오차 15%를 적용할 경우 임분재적을 추정하기 위한 표본점의 수를 계산하면?

  1. 13개
  2. 22개
  3. 64개
  4. 88개
(정답률: 49%)
  • 임분재적 추정을 위한 표본점의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표준오차 = 변이계수 × 평균값의 제곱근
    표본점의 수 = (Z값 × 표준오차 ÷ 허용오차)의 제곱

    여기서 Z값은 신뢰수준에 따른 값으로, 일반적으로 95% 신뢰수준에서는 1.96을 사용한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평균값 = 전체 산림면적 ÷ 표준지 면적 = 500 ÷ 0.04 = 12,500
    표준오차 = 0.6 × √12,500 = 150
    Z값 = 1.96
    표본점의 수 = (1.96 × 150 ÷ 0.15)의 제곱 = 64

    따라서, 표본점의 수는 6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임분연령의 측정에서 이령림의 평균령(average age)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표본목을 선정한 다음 그 연령을 측정하여 평균한 임령
  2. 이령임분이 가지는 재적(材積)과 같은 재적을 가지는 동령림의 임령
  3. 각 연령별 임목본수를 조사한 다음 이의 산술평균에 의해 산출된 임령
  4. 각 연령별 단면적을 조사한 다음 이의 산술평균에 의해 산출된 임령
(정답률: 54%)
  • 이유: 이령임분이 가지는 재적(材積)과 같은 재적을 가지는 동령림의 임령이 가장 잘 설명하는 이유는 이렇게 측정된 임령은 해당 지역의 특정한 조건에서 자라는 나무들의 평균적인 임령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다른 보기들은 표본목을 선정하거나 각 연령별 임목본수나 단면적을 조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측정된 임령은 해당 지역의 모든 나무들의 평균적인 임령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연휴양림 안에 시설을 설치할 때 그 기준에 틀린 내용은?

  1. 임업체험시설은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 설치하여 야 하며 체험활동에 필요한 기본 장비 등을 갖춘다.
  2. 야영장은 산사태 등의 위험이 없고,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 설치하되, 바깥의 조망이 가능하도록 한다.
  3. 식수는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게 한다.
  4. 자연관찰원은 다양한 수종을 관찰할 수 있도록한다.
(정답률: 61%)
  • 정답: "임업체험시설은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 설치하여 야 하며 체험활동에 필요한 기본 장비 등을 갖춘다."

    이유: 임업체험시설은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산림체험활동에 적합한 지형적 조건을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체험활동에 필요한 기본 장비 등을 갖추는 것은 맞지만, 설치 위치는 경사도 완만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림환경자원으로서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1. 10ha 당의 마리수(봄철)
  2. 10ha 당의 마리수(여름철)
  3. 100ha 당의 마리수(봄철)
  4. 100ha 당의 마리수(여름철)
(정답률: 79%)
  •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는 일정한 면적(예: 1ha, 10ha, 100ha 등)당 서식하는 동물의 수로 표시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에서 얼마나 많은 동물이 서식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를 표시할 때는 면적 당 동물의 수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도 보통 100ha 당의 마리수(여름철)를 사용합니다. 이는 넓은 면적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서식밀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임가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업외 소득도 임가소득에 포함된다.
  2. 임업소득도 임가소득에 포함된다.
  3. 임업소득과 기타소득의 합에서 농업소득을 빼면 임가소득이 된다.
  4. 임가소득지표는 생산자원의 소유형태가 서로 다른 임가사이의 임업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60%)
  • 정답은 "임가소득지표는 생산자원의 소유형태가 서로 다른 임가사이의 임업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할 수 없다."이다.

    임업소득과 기타소득의 합에서 농업소득을 빼면 임가소득이 된다는 것은 맞다. 또한, 임업외 소득도 임가소득에 포함된다는 것도 맞다. 하지만 임가소득지표는 생산자원의 소유형태가 서로 다른 임가사이의 임업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은 임가소득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임가소득지표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연휴양림에 산책로·탐방로·등산로 등의 체험· 교육시설을 설치할 때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한 숲길의 폭 기준은?

  1. 1미터 이하
  2. 1미터 50센티미터 이하
  3. 2미터 이하
  4. 2미터 50센티미터 이하
(정답률: 67%)
  • 자연휴양림의 목적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휴식과 체험이다. 따라서, 숲길의 폭은 최소한의 인간의 개입으로 자연을 보존하면서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숲길의 폭은 1미터 50센티미터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보기]의 숲길 중 '트레킹길' 종류에 속하는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ㄹ
(정답률: 79%)
  • 정답은 "ㄴ, ㄷ"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길이 고도가 변화하는 등 일정한 난이도와 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산악 등반과 같은 어려운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트레킹길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우리나라 산림조합은 어떤 기업의 형태인가?

  1. 단독사기업
  2. 집단사기업
  3. 공기업
  4. 공사협동기업
(정답률: 62%)
  • 우리나라 산림조합은 "집단사기업"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는 산림조합이 회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회원들이 함께 경영하고 이익을 나누는 형태의 사기업이기 때문입니다. 즉, 산림조합은 회원들의 공동체적인 노력과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사기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이령림의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윤벌기
  2. 임분구조
  3. 잔존임목축적수준
  4. 지속가능성 과정
(정답률: 58%)
  • "윤벌기"는 이령림의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윤벌기는 일종의 나무 재배 기술로서, 이령림의 경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임분구조", "잔존임목축적수준", "지속가능성 과정"은 이령림의 경영에서 중요한 결정인자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입목의 직경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직경테이프(diameter tape)
  2. 아브네이레블(Abney hand level)
  3. 빌티모아스티크(biltimore Stick)
  4. 윤척(caliper)
(정답률: 69%)
  • 아브네이레블은 입목의 직경을 측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기구로, 대신 지형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입목의 직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투자에 의해 장래에 예상되는 현금유입과 유출의 현재가를 동일하게 하는 할인율로서 투자효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1. 수익·비용비법
  2. 회수기간법
  3. 순현재가치법
  4. 내부수익률법
(정답률: 50%)
  • 내부수익률법은 투자에 의해 예상되는 현금유입과 유출의 현재가를 동일하게 하는 할인율을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로, 투자의 내부수익률이 기업의 기대수익률보다 높을 경우 투자를 추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내부수익률법은 투자의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황조사 항목 중 토양의 점토함유량이 20%인 경우 토양형은?

  1. 사토(사)
  2. 식양토(사양)
  3. 양토(양)
  4. 식양토(식양)
(정답률: 59%)
  • 토양의 점토함유량이 20%인 경우, 토양형은 식양토(사양)입니다. 이는 토양 분류 기준 중 하나인 토양의 입도 분포를 기준으로 판단한 결과입니다. 점토 입도는 0.002mm 이하이며, 20%의 점토함유량은 입도 분포에서 중간 정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식양토(사양)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휴양림 방문자의 이용밀도를 조절하고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는 관리기법 중 직접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활동제한
  2. 지역규제
  3. 차등요금 부과
  4. 사용규제
(정답률: 80%)
  • 차등요금 부과는 직접적으로 방문자의 이용밀도를 조절하거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방문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늘리는 방법으로서 이용밀도를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직접기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산림문화 · 휴양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자연휴양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자연휴양림을 조성하려는 경우 10헥타르 이상의 산림이어야 한다.
  2. 산림문화·휴양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 · 검토 하여야 한다.
  3. "자연휴양림"이라 함은 국민의 정서함양 · 보건 휴양 및 산림교육과 동시에 경제림 조성을 위하여 조성한 산림을 말한다.
  4. 광역시장 도지사는 지역산림문화 휴양계획을 10년마다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정답률: 69%)
  • "광역시장 도지사는 지역산림문화 휴양계획을 10년마다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이유는 산림문화 · 휴양에 관한 법률에서 광역시장 도지사에게 지역산림문화 휴양계획 수립과 시행을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산림기계의 취득원가가 5,000,000원, 잔존 가치가 500,000원이고, 그 내용연수가 50년이라 고 할 때, 이 기계의 연간 감가상각비를 정액법 으로 구하면?

  1. 90,000원
  2. 100,000원
  3. 500,000원
  4. 1,100,000원
(정답률: 80%)
  • 정액법으로 연간 감가상각비를 구할 때는 취득원가에서 잔존 가치를 뺀 금액을 내용연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5,000,000원 - 500,000원) ÷ 50년 = 90,000원이 됩니다. 즉, 매년 90,000원씩 감가상각비를 계상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보기 중 임업경영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임업소득-가족임금추정액
  2. 임업현금지출+감가상각액+미처분 임산물재고 감소액+임업생산 자재재고감소액+주임 목감소액
  3. 임업현금수입+임산물가계소비액+미처분임산물 증감액+임업생산 자재재고증감액+ 임목성장액
  4. 임업소득 - (자본이자+가족노임추정액)
(정답률: 76%)
  • 정답은 "임업현금지출+감가상각액+미처분 임산물재고 감소액+임업생산 자재재고감소액+주임 목감소액" 입니다. 이는 임업경영비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임업 생산과 관련된 비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임업현금지출: 임업 생산과 관련된 현금 지출
    - 감가상각액: 임업 생산에 사용되는 장비나 시설물 등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비용
    - 미처분 임산물재고 감소액: 생산한 임산물 중 아직 판매하지 못한 재고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비용
    - 임업생산 자재재고감소액: 생산에 사용되는 자재 중 아직 사용하지 못한 재고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비용
    - 주임 목감소액: 임업 생산에 사용되는 나무가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 비용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임지기망가가 최대치에 도달하는 시기는 구성인 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데,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율이 낮을수록 빨리 나타난다.
  2. 간벌수확이 적을수록 빨리 나타난다.
  3. 채취비가 많을수록 빨리 나타난다.
  4. 주벌수확의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빨리나타난다.
(정답률: 62%)
  • 주벌수확의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임지기망가가 빨리 나타납니다. 이유는 주벌수확의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구성인 자의 먹이가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구성인 자가 먹이를 찾기 위해 더 많은 지역을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임지기망가가 더 빨리 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나무 원목의 1m3 당 시장 가격이 300,000원, 1m3 당 생산비용이 100,000원, 조재율 70%, 투 하 자본의 회수기간이 5개월, 자본의 월이율이 4%, 기업 이익률이 30% 라고 할 때, 1m3당 임 목가는? (단, 시장가역산법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1. 55,000원
  2. 70,000원
  3. 95,000원
  4. 125,400원
(정답률: 52%)
  • 임목의 생산비용은 100,000원이고, 조재율이 70%이므로 1m3의 임목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소나무 원목의 양은 1/0.7 ≈ 1.43m3이다. 따라서, 1m3의 소나무 원목을 구매하는 비용은 300,000원 × 1.43 ≈ 429,000원이다.

    투하 자본의 회수기간이 5개월이므로, 1m3의 임목을 생산하는 데 투자한 자본은 100,000원 × 5 = 500,000원이다. 이 자본을 4%의 월이율로 할인하면, 현재가치는 500,000원 ÷ (1 + 0.04)5 ≈ 402,000원이 된다.

    기업 이익률이 30%이므로, 1m3의 임목을 생산하여 시장에 판매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은 (300,000원 - 100,000원 - 429,000원 - 402,000원) × 30% ≈ 12,900원이다. 따라서, 1m3의 임목가격은 100,000원 + 429,000원 + 402,000원 + 12,900원 ≈ 944,900원이다.

    시장가역산법에 따라, 1m3의 임목가격은 944,900원 ÷ (1 + 0.04)5 ≈ 770,000원이다. 따라서, 1m3당 임목가는 770,000원 ÷ 1.43 ≈ 538,461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70,000원"이 아니라 "55,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손익분기점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손익분기점은 한계수익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매출액수준이다.
  2. 원가, 조업도, 이익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3.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는 생산량에 따라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분석한다.
  4. 제품의 생산능률은 변함이 없다는 가정 하에 분석한다.
(정답률: 77%)
  •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는 생산량에 따라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분석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나 인력 등의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산림평가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산림피해의 손실액과 보상액 산정
  2. 산림을 구성하는 임지 · 임목 ·부산물 등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
  3. 산림을 분할 또는 병합할 때의 가격산정
  4. 재산목록 또는 대차대조표를 작성할 때의 재산가치 결정
(정답률: 85%)
  • 산림평가는 산림을 구성하는 임지, 임목, 부산물 등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산림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파악하고 산림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산림평가는 산림피해의 손실액과 보상액 산정, 산림을 분할 또는 병합할 때의 가격산정, 재산목록 또는 대차대조표를 작성할 때의 재산가치 결정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도공학

61. 쇄석의 틈사이에 석분을 물로 침투시켜 롤러로 다져진 도로는?

  1. 교통체머캐덤도
  2. 수체머캐덤도
  3. 역청머캐덤도
  4. 시멘트머캐덤도
(정답률: 85%)
  • 쇄석의 틈사이에 석분을 물로 침투시켜 다져진 도로는 수체머캐덤도이다. 이는 쇄석된 도로 표면에 물이 스며들어 도로 표면과 물 사이에 생기는 접착력으로 인해 도로 표면이 미끄러지지 않고 차량의 브레이크와 타이어의 마찰력을 높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체머캐덤도는 교통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임도의 종단선형을 구성하는 요소는?

  1. 종단곡선
  2. 배향곡선
  3. 단곡선
  4. 완화곡선
(정답률: 69%)
  • 임도의 종단선형을 구성하는 요소는 주로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종단곡선은 두 직선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곡선으로, 도로의 끝부분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단곡선은 임도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법률 시행규 칙」에서 정한 임도시설이 불가능한 지역이 아닌 곳은?

  1. 산지관리법에서 정한 산지전용 제한 지역
  2. 도로 또는 농로로 지정 · 고시된 노선과 중복되는 지역
  3. 임도 예정노선 20% 이상이 화강암질풍화토인 지역
  4. 임도 예정노선 10% 이상이 암반인 지역
(정답률: 56%)
  • 임도시설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도로나 산길 등을 말하는데, 이 중 암반 지형은 도로 건설이 어렵기 때문에 임도시설이 불가능한 지역이다. 따라서, 임도 예정노선 10% 이상이 암반인 지역은 임도시설이 불가능한 지역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트래버스측량의 면적계산 시에 횡거란 무엇인가?

  1. 측선의 한쪽 끝에서 남북 자오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
  2. 측선의 중점에서 남북 자오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
  3. 측선의 한쪽 끝에서 동서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
  4. 측선의 중점에서 동서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
(정답률: 48%)
  • 횡거란은 측선의 중점에서 남북 자오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측량에서 면적을 계산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측량선의 중점에서 수직선을 내려 면적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의 조합 순서로 적합한 것은?

  1. 임도밀도계획-기설임도-임도밀도계획-지형인자
  2. 기설임도-임도밀도계획-기설임도-지형인자
  3. 임도계획-기설임도-임도계획-지형인자
  4. 기설임도-임도계획-기설임도-지형인자
(정답률: 6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림은 생산공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공정에서는 먼저 "임도밀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설임도"를 실시합니다. 그리고 다시 "임도밀도계획"을 수립하고, 마지막으로 "지형인자"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임도밀도계획-기설임도-임도밀도계획-지형인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벌목 및 조재용 기계가 아닌 것은?

  1. 트리펠러
  2. 프로세서
  3. 하베스터
  4. 포워더
(정답률: 58%)
  • 포워더는 벌목 및 조재용 기계가 아닌 것입니다. 포워더는 벌목 후 나무를 운반하는 운반차량으로, 벌목 및 조재용 기계는 나무를 벨 때 사용되는 기계들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AB의 두 점간의 거리는 100m이며 경사(물매)는 10%이다 이 때, AB 두 점간의 표고차는?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78%)
  • AB 두 점간의 표고차는 AB의 길이와 경사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B 두 점간의 표고차는 100m × 10% = 1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우리나라 간선임도의 설계속도 기준은?

  1. 50~40 km/시간
  2. 40~20 km/시간
  3. 30~20 km/시간
  4. 20~10 km/시간
(정답률: 78%)
  • 정답은 "40~20 km/시간" 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간선도로의 설계속도 기준으로, 이 속도 범위 내에서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도로를 설계하도록 국토교통부에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속도 범위를 넘어서는 고속도로나 도로는 고속도로나 고속도로급 도로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임도 총연장이 2km이고 산림면적이 100ha이며 산림이 평지라고 가정한다면 임도간격은?

  1. 500m
  2. 400m
  3. 300m
  4. 250m
(정답률: 75%)
  • 산림면적이 100ha이므로, 이를 km로 환산하면 1km²당 100ha = 1km²당 100,000m²이 된다. 따라서, 100ha의 산림면적은 100,000m² × 100 = 10,000,000m²이다.

    산림이 평지이므로, 임도의 너비는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임도의 너비를 x라고 하면, 임도의 면적은 2km × x = 2,000m × x가 된다.

    임도의 면적은 산림면적과 같아야 하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2,000m × x = 10,000,000m²

    x = 10,000,000m² ÷ 2,000m

    x = 5,000m

    따라서, 임도간격은 5,000m의 절반인 2,500m 또는 500m가 된다. 하지만, 임도간격은 임도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이므로, 실제 임도간격은 500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임도 설계시 현장에서 측정한 야장을 토대로 횡 단면도를 작성하고자 한다. 임도시설규정에서는 KSF1001 토목제도 통칙에 따라 작성하고 있는 데, 이 때 횡단면도상에 표기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지장목 제거
  2. 사면보호공, 측구터파기 단면적
  3. 지반고, 계획고, 절토고, 성토고
  4. 곡선제원, 교각점
(정답률: 63%)
  • 횡단면도는 현장에서 측정한 야장을 기반으로 작성되는데, 이 때 곡선제원과 교각점은 이미 설계서나 기타 문서에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항목은 횡단면도상에 표기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 중에서 등고선의 주요한 성질이 아닌 것은?

  1. 지표면의 경사가 일정하면 등고선 간격은 같고 평행하다
  2. 등고선은 분기하거나 또는 다른 등고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3. 등고선은 도중에 소실되지 않으며 폐합된다.
  4. 등고선은 최대 경사선에 직각이고 분수선과 직각으로 만난다.
(정답률: 62%)
  • 등고선은 최대 경사선에 직각이고 분수선과 직각으로 만난다는 것이 주요한 성질이 아닙니다.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지형의 경사가 일정하면 등고선 간격은 같고 평행하며, 등고선은 분기하거나 또는 다른 등고선과 교차하지 않습니다. 또한 등고선은 도중에 소실되지 않으며 폐합됩니다. 이러한 성질들은 지형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임도 시공장비의 기계경비 산출시 기계손료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1. 상각비
  2. 정비비
  3. 유류비
  4. 관리비
(정답률: 74%)
  • 기계손료는 기계를 가동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으로, 상각비, 정비비, 관리비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유류비는 기계를 가동하기 위해 필요한 연료비용으로, 기계손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류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장마기가 지난 후 옆도랑과 빗물받이의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작업기계는?

  1. 진동 로울러
  2. 모터 그레이더
  3. 소형 불도저
  4. 소형 백호우
(정답률: 67%)
  • 장마기가 지나면서 쌓인 토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지형을 평탄화하고 토사를 뒤집어서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힘과 진동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가진 작업기계는 "진동 로울러"와 "소형 백호우"입니다. 그러나 "진동 로울러"는 대형 작업지에 적합하며, "소형 백호우"는 작은 작업지에 적합하므로, 이 경우에는 "소형 백호우"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임도의 곡선설정법에 이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사출법
  2. 진출법
  3. 교각법
  4. 편각법
(정답률: 61%)
  • 임도의 곡선설정법은 기계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곡선을 그리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 "사출법"은 임도의 곡선설정법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이다. 사출법은 주로 금형 제작에서 사용되며, 금형 내부에 액체나 가스를 주입하여 금형 내부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임도의 곡선설정법과는 전혀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우리나라 임도관련 규정상 내각이 몇 도(°) 이상인 곳에서는 곡선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가?

  1. 45° 이상
  2. 90° 이상
  3. 125° 이상
  4. 155° 이상
(정답률: 78%)
  • 우리나라 임도관련 규정에서는 내각이 155° 이상인 곳에서는 곡선설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내각이 작을수록 곡선설치가 필요한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내각이 작을수록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곡선설치를 통해 물의 흐름을 완만하게 만들어 안전한 수도관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각이 155° 이상인 경우에는 물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완만하기 때문에 곡선설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임도노선의 측량방법에서 노면의 시공면과 산지의 경사면이 만나는 점을 연결한 노선의 종축은?

  1. 영선
  2. 중심선
  3. 지반선
  4. 지형선
(정답률: 83%)
  • 임도노선의 측량방법에서 노면의 시공면과 산지의 경사면이 만나는 점을 연결한 노선의 종축은 영선이다. 이는 노면의 시공면과 산지의 경사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수직인 선을 그어 그것을 노면의 중심선과 교차시키면 영선이 된다. 따라서 영선은 노면의 중심선과는 다르게 지형적인 요소를 고려한 노선으로, 도로의 경사와 곡률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임도의 평면선형과 형 중단선형을 각각 나타낸 그림이다. 아래 그림에서 시거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A, C
  2. A, D
  3. B, C
  4. B, D
(정답률: 54%)
  • 임도의 평면선형은 y = 2x + 1 이므로 기울기는 2이고 y절편은 1이다. 따라서 A와 C는 올바르게 표현된 것이다. 형 중단선형은 y = -2x + 5 이므로 기울기는 -2이고 y절편은 5이다. 따라서 B는 잘못 표현된 것이고, D는 y절편이 0으로 잘못 표현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A,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임도의 비탈 녹화방법의 종류와 시공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떼단쌓기(段積立芝工) - 떼단높이 27~30㎝를 바탈면 계단위에 연속적으로(5단 이하) 쌓아 퇴적토사의 비탈면을 피복시킨다.
  2. 평떼붙이기 - 비탈면 다듬기(1:1)를 한 후 평떼 (30×30㎝)의 온 떼를 붙이기한 후 떼의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떼꽂이막대(25㎝)를 꽂아두는 공법이다.
  3. 띠떼심기 - 비탈면 다듬기(1:0.7)를 한 후 수평 으로 깊이 6㎝의 골을 30㎝ 간격 으로 파고 난 후 떼를 골속에 삽입하고 다지기하는 방법이다.
  4. 새심기 - 직접 수목의 유묘 또는 성묘나 대묘 등을 식재하여 비탈면의 녹화를 도모하는 공법이다.
(정답률: 56%)
  • 잘못된 설명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올바르게 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콘크리트에 대한 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거푸집 내면의 막음널에 이탈제로서 광유를 바르거나 비눗물을 바르기도 한다. 동결할 우려가 없을 때에는 물로 충분히 적신다.
  2. 운반한 콘크리트는 즉시 쳐야 한다. 특별한 경우라도 온난 건조할 시는 1시간, 적온 습윤할 시는 2시간이내에 치기를 끝내야 한다.
  3. 일반적으로 1.5m 이상의 높이에서 콘크리트를 떨어뜨려서는 안 된다.
  4. 기둥, 교각, 벽 등에는 콘크리트를 쳐 올라감에 따라 뜬 물이 생기므로 묽은 반죽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5%)
  • "기둥, 교각, 벽 등에는 콘크리트를 쳐 올라감에 따라 뜬 물이 생기므로 묽은 반죽으로 하는 것이 좋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콘크리트를 묽은 반죽으로 하면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더 많은 물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물의 양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를 혼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임도의 시공 후 개수나 보수에 의한 구조변경이 어려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1. 측구
  2. 노폭
  3. 종단물매
  4. 곡선반지름
(정답률: 67%)
  • 임도의 시공 후 개수나 보수에 의한 구조변경이 어려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종단물매"이다. 이는 도로의 끝부분이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도로의 종단부분에 경사를 부여하여 차량이 부딪혔을 때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단물매는 도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사방공학

81. 지하로 침투하지 못한 빗물이 지표유출수를 형성하여 흐르면서 토사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직응력
  2. 소류력
  3. 유송력
  4. 운반력
(정답률: 68%)
  • 지하로 침투하지 못한 빗물이 지표유출수를 형성하면서 흐르면, 그 물의 흐름에 의해 토사가 움직이게 됩니다. 이때 토사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소류력이라고 합니다. 소류력은 물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힘으로, 토사를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산복비탈면에서 비탈다듬기공사를 설계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1. 산복비탈면의 수정기울기는 종단면도를 작성하여 결정한다.
  2. 수정기울기는 지질ㆍ면적ㆍ공법 등에 따라 차이를 두되 대체로 45° 전후로 한다.
  3. 퇴적층 두께가 3m 이상일 때에는 땅속흙막이 공작물을 설계한다.
  4. 기울기가 급한 장소에서는 산비탈돌쌓기로 조정한다.
(정답률: 38%)
  • 산복비탈면에서 비탈다듬기공사를 설계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지질, 면적, 공법 등에 따라 수정기울기가 차이를 둘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45° 전후로 결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비탈다듬기공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흙댐을 시공하려고 할 때 흙댐의 높이를 2~5m 정도로 계획하려고 한다. 이 때 반수면 및 대수면 기울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반수면 1:2.0, 대수면 1:1~2.0
  2. 반수면 1:1.5, 대수면 1:1~1.5
  3. 반수면 1:1.0, 대수면 0.8~1.5
  4. 반수면 1:0.5, 대수면 0.5~1.2
(정답률: 30%)
  • 흙댐의 높이가 2~5m 정도이므로, 반수면과 대수면의 기울기는 너무 가파르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반수면은 1:2.0, 대수면은 1:1~2.0이 가장 적합하다. 이유는, 반수면의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댐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대수면의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댐의 안정성과 물의 흐름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당한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모두 고려한 결과가 "반수면 1:2.0, 대수면 1: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황폐계류의 유역을 구분할 때, 상류로부터 하류까지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토사생산구역 → 토사퇴적구역 → 토사유과구역
  2. 토사퇴적구역 → 토사생산구역 → 토사유과구역
  3. 토사유과구역 → 토사생산구역 → 토사퇴적구역
  4. 토사생산구역 → 토사유과구역 → 토사퇴적구역
(정답률: 79%)
  • 황폐계류의 유역을 구분할 때는 상류에서 하류로 향할 때, 물이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구분한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토사생산구역 → 토사유과구역 → 토사퇴적구역"이다. 이유는 토사생산구역에서는 흙이 생산되어 흐르는 물에 의해 이동되어 토사유과구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토사유과구역에서는 이동한 흙이 쌓여 토사퇴적구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로 구분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산지사방공사의 정지공사에서 비탈다듬기공사를 실시하기 전에 시공해야하는 공사는 무엇인가?

  1. 속도랑공사 및 단끊기공사
  2. 속도랑공사 및 땅속흙막이공사
  3. 속도랑 공사 및 수로내기공사
  4. 땅속흙막이공사 및 단끊기공사
(정답률: 55%)
  • 비탈다듬기공사를 실시하기 전에는 땅속에 있는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속도랑공사와 땅속흙막이공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속도랑공사는 비가 내리면 땅에서 물이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땅속흙막이공사는 지하수가 지하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공사는 비탈다듬기공사를 실시하기 전에 시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사방댐에서 대수면이란?

  1. 댐의 천단부분
  2. 댐의 하류측 사면
  3. 댐의 상류측 사면
  4. 방수로 부분
(정답률: 78%)
  • 사방댐에서 대수면은 댐의 상류측 사면을 말합니다. 이는 댐의 상류측에서 물이 쌓여서 만들어지는 물면을 의미합니다. 댐의 하류측 사면은 물이 흐르는 방향이므로 대수면이 될 수 없습니다. 또한 댐의 천단부분은 댐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나누는 경계선이므로 대수면이 될 수 없습니다. 방수로 부분은 물이 흐르지 않는 부분이므로 대수면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비탈면에 경관식재를 추진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인공재료에 의한 시공보다 비탈면기울기를 급하게 한다.
  2. 관목으로 비탈면 식재를 추진할 경우 사면경사는 1:1보다 완만해야 한다.
  3. 비탈면에 전면 떼붙이기 후 잔디깎기기계를 사용해 관리하려면 사면경사는 1:2보다 완만해야 한다.
  4. 경관식재에서는 안전을 위해 비탈면에 교목식재나 대묘 이식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60%)
  • 경관식재에서는 안전을 위해 비탈면에 교목식재나 대묘 이식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비탈면에서는 식재가 제대로 자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탈면에서의 작업이 위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탈면에 경관식재를 추진할 때에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산비탈 수로 해당 유역의 유거계수(K)가 1.0이고 최대시우량이 100mm/h, 유역면적이 3.6ha이었다면, 수로가 통과시켜야 할 유량(m3/s)은?

  1. 1.0m3/s
  2. 5.0m3/s
  3. 10.0m3/s
  4. 15.0m3/s
(정답률: 58%)
  • 유역면적은 3.6ha이므로 36,000m2이다. 최대시우량이 100mm/h 이므로 1시간에 100mm 또는 0.1m의 강우가 내리면 유출되는 유량은 1.0이다. 따라서 1시간에 유출되는 유량은 1.0m3/h이고, 1초에 유출되는 유량은 1/3600m3/s이다. 따라서, 유역의 유거계수가 1.0이므로 수로가 통과시켜야 할 유량은 1.0 x 1/3600 x 36,000 = 1.0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주성분이 석영(30%), 장석(65%), 운모 또는 각섬석 등을 갖는 산성 심성암으로서, 좋은 축석용 석재인 사방공사용 마름돌, 견치돌을 생산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암석은?

  1. 석회암
  2. 현무암
  3. 결정암
  4. 화강암
(정답률: 89%)
  • 주성분이 석영, 장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축석용 석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암석은 화강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산지 침식의 분류에서 물에 의한 침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우수침식
  2. 하천침식
  3. 동상침식
  4. 지중침식
(정답률: 56%)
  • 산지 침식의 분류에서 물에 의한 침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동상침식"입니다. 이는 지표면의 풀이나 나무 등이 바람이나 눈, 비 등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표면이 침식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물에 의한 침식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한 침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일반적으로 비탈 돌쌓기 공종 중 메쌓기의 표준물매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 1:0.1
  2. 1:0.2
  3. 1:0.3
  4. 1:0.4
(정답률: 76%)
  • 메쌓기의 표준물매는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1:0.3의 비율을 사용합니다. 이는 시멘트 1부에 모래 0.3부를 섞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비탈 돌쌓기 공종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비율 중 하나이며, 이유는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대체적으로 견치돌(四角石)의 크기에서 뒷길이는 앞면 길이의 얼마로 하는가?

  1. 1.5배 이상
  2. 1/5이상
  3. 1/3 정도
  4. 1/10정도
(정답률: 54%)
  • 견치돌은 대체로 뒷면이 앞면보다 더 길기 때문에, 뒷면 길이를 앞면 길이로 나누면 1보다 큰 값이 나옵니다. 이 비율은 대체로 1.5배 이상입니다. 즉, 뒷면 길이는 앞면 길이의 1.5배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훼손지 복원공법에서 생태계 복원공법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2~3년간의 현지조사 및 자료수집(기상, 토양, 식물, 이용형태 등)
  2. 이용자 편의 및 규제와 함께 수립
  3. 국지적 환경 요인별로 5~10년간 현지 복원실험 실시
  4. 초기에는 작은 규모, 후기에는 큰 규모로 단계적 시행
(정답률: 41%)
  • 생태계 복원공법은 자연적인 생태계의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훼손지 복원공법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훼손된 지역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생태계 복원공법은 자연적인 과정을 따르는 것에 비해, 훼손지 복원공법은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지적 환경 요인별로 5~10년간 현지 복원실험을 실시하는 이유는, 훼손된 지역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특성과 환경 요인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3년간의 현지조사 및 자료수집을 통해 지역의 기상, 토양, 식물, 이용형태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지적인 환경 요인별로 복원실험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복원 방법을 찾아내고, 지속적인 관리와 보전을 통해 지역의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비탈파종공법에서 한 종류의 발생기대본수는 총 발생기대본수의 몇 %이하가 되지 않도록 파종량을 산정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9%)
  • 비탈파종공법에서는 파종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발생기대본수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이유는 발생기대본수가 너무 낮으면 작물의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종류의 발생기대본수가 총 발생기대본수의 1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파종량을 산정합니다. 이는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발생기대본수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폐탄광지역 사방공사의 주요사항이 아닌 것은?

  1. 차폐식재를 하여 좋은 경관을 만든다.
  2. 사면붕괴 방지를 위해 사면 안정각을 유지한다.
  3. 광미 및 폐석탄을 제거하고 복토를 하여 식재한다.
  4. 경제림을 단기적으로 조성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경제림을 단기적으로 조성한다."입니다. 이유는 폐탄광지역의 복원은 장기적인 과정이 필요하며,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제림을 단기적으로 조성하는 것은 폐탄광지역의 복원 목적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비탈붕괴 ㆍ 산사태 발생의 인위적인 요인은?

  1. 동결융해
  2. 지진
  3. 강우, 적설
  4. 수목의 벌채
(정답률: 81%)
  • 수목의 벌채는 산림을 제거하여 토양의 안정성을 약화시키고, 비탈면에서의 토양이 물에 노출되어 지표면 유실과 함께 산사태와 비탈붕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서 산복사방공사의 시공방침이 아닌 것은?

  1. 표토 침식 방지
  2. 양안 침식 방지
  3. 부괴 확대 방지
  4. 산사태 위험 방지
(정답률: 47%)
  • 정답은 "표토 침식 방지"입니다.

    산복사방공사의 시공방침은 주로 지형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고 환경보호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집니다.

    "양안 침식 방지"는 산사태나 지하수 유출 등으로 인한 지형적인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시공 중 지형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부괴 확대 방지"는 건설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식, 파손 등으로 인한 부괴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산사태 위험 방지"는 산사태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는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표토 침식 방지"는 산복사방공사의 시공방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비탈면녹화공법 주 형식이 다른 하나는?

  1. 선떼붙이기 공법
  2. 새심기 공법
  3. 평떼심기공법
  4. 점파공법
(정답률: 55%)
  • 정답은 "점파공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공법은 모두 형식적으로 비슷한 방식으로 녹화를 진행하며, 녹화할 부분을 일정한 패턴으로 분할하여 녹화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점파공법"은 다른 공법과는 달리, 녹화할 부분을 점으로 표시하고, 그 점들을 연결하여 녹화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녹화할 부분이 복잡하거나 세밀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비탈면안정공법으로 비교적 붕괴위험이 많은 비 탈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치기를 하여 비탈안정을 위한틀(뼈대)을 만들어 그 안에 작은 돌이나 흙으로 채우고 녹화를 꾀하는 공법은?

  1. 비탈 격자틀 붙이기
  2. 비탈 힘줄박기
  3. 비탈 블록 붙이기
  4. 비탈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정답률: 72%)
  • 비탈 힘줄박기는 비탈면에 철근을 묶어 힘줄을 만들고 그 힘줄을 이용하여 비탈면을 강화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은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비탈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효과적이다. 따라서 비탈 힘줄박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사울세우기 공법의 시공요령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울타리의 방향은 주풍방향에 직각이 되게 한다.
  2. 울타리의 높이는 보통 1.0~1.2m 정도로 한다.
  3. 울타리의 간격은 보통 7~15m로 한다.
  4. 울타리가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단부를 약 10cm정도 모래 속에 묻어야 한다.
(정답률: 58%)
  • "울타리의 간격은 보통 7~15m로 한다."는 정사울세우기 공법의 시공요령으로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간격은 울타리를 설치하는 지형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울타리가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단부를 약 10cm정도 모래 속에 묻어야 한다."는 울타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모래에 묻어서 지지력을 높이는 것으로, 풍력이 강한 지역에서는 필수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