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공유압기능사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금속에 오랜 시간 외력을 가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변형이나 변형률이 증가되는 현상은?

  1. 피로
  2. 크리프
  3. 허용응력
  4. 안전율
(정답률: 65%)
  • 고온에서 금속은 분자간 결합력이 약화되어 물질의 구조가 불안정해지고, 이에 따라 외력에 노출된 금속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나 변형률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크리프(creep)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코일 전체의 평균지름을 D[mm], 소선의 지름을 d[mm]라할 때, 스프링지수(C)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C=d×D
(정답률: 69%)
  • 정답은 ""입니다.

    스프링지수(C)는 소선의 지름(d)의 제곱을 코일 전체의 평균지름(D)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식으로 나타내면 C = d^2/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이볼트(Eye Bolt)fh 52[kN]의 물체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려고 한다. 이 아이 볼트 나사부의 바깥지름은 약 몇 [mm]인가? (단, 볼트재료는 연강으로 하고 허용 인장응력은 60[N/mm2]이다.)

  1. 21
  2. 33
  3. 42
  4. 59
(정답률: 47%)
  • 아이볼트의 허용 인장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허용 인장하중 = 허용 인장응력 × 단면적

    물체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아이볼트에는 인장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아이볼트의 허용 인장하중은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와 같다.

    물체의 무게 = 52[kN] = 52,000[N]

    허용 인장응력 = 60[N/mm2]

    따라서, 아이볼트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물체의 무게 ÷ 허용 인장응력

    = 52,000[N] ÷ 60[N/mm2]

    = 866.67[mm2]

    아이볼트의 단면적은 원형이므로, 다음과 같이 반지름을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π × 반지름2

    반지름2 = 단면적 ÷ π

    = 866.67[mm2] ÷ 3.14

    = 275.44[mm2]

    따라서, 아이볼트의 바깥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바깥지름 = 2 × 반지름

    = 2 × √(275.44[mm2])

    ≈ 2 × 16.6[mm]

    ≈ 33.2[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V벨트의 단면 형태를 표시한 것 중 단면적이 가장 큰 것은?

  1. A형
  2. B형
  3. C형
  4. M형
(정답률: 73%)
  • 정답은 "C형"입니다.

    V벨트의 단면적은 벨트의 내부 곡률 반경과 벨트의 두께에 따라 결정됩니다. C형은 A형과 B형보다 내부 곡률 반경이 크고 벨트의 두께가 더 두껍기 때문에 단면적이 가장 큽니다. 따라서 C형이 가장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브레이크 블록의 구비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마찰 계수가 작을 것
  2. 내마멸성이 클 것
  3. 내열성이 클 것
  4. 제동 효과가 양호할 것
(정답률: 75%)
  • 마찰 계수가 작을수록 두 개체 간의 마찰이 작아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블록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게 되어 제동 효과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블록의 구비 조건으로는 마찰 계수가 큰 것이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원통 커플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머프 커플링
  2. 마찰원통 커플링
  3. 셀러 커플링
  4. 유니버설 커플링
(정답률: 65%)
  • 유니버설 커플링은 원통 형태가 아니라, 두 축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의 커플링입니다. 따라서 원통 커플링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플라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동차, 공작기계, 항공기, 발전용 증기터빈 등에 널리 쓰인다.
  2. 단속 키보다 훨씬 작은 토크를 전달시킨다.
  3. 축의 둘레에 여러 개의 일정 간격의 키가 있다.
  4. 축과 보스와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정답률: 62%)
  • 스플라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스플라인은 축의 둘레에 여러 개의 일정 간격의 키가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기계 요소입니다. 스플라인은 단속 키보다 훨씬 작은 토크를 전달시키는데, 이는 스플라인의 키가 여러 개이기 때문에 키 하나당 전달되는 토크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플라인은 작은 토크를 전달해야 하는 기계 요소에 적합합니다. 스플라인은 자동차, 공작기계, 항공기, 발전용 증기터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스플라인은 축과 보스와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서, 정확한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마찰 클러치 설계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원활히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2. 소형이며 가벼워야 한다.
  3. 열을 충분히 제거하고, 고착되지 않아야 한다.
  4. 접촉면의 마찰계수가 작아야 한다.
(정답률: 73%)
  • 접촉면의 마찰계수가 작아야 하는 이유는, 마찰계수가 크면 클러치가 작동할 때 에너지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촉면의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클러치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OR 논리를 만족시키는 밸브는?

  1. 2압 밸브
  2. 급속 배기 밸브
  3. 셔틀 밸브
  4. 압력 시퀀스 밸브
(정답률: 79%)
  • OR 논리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참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입니다. 따라서 OR 논리를 만족시키는 밸브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통과시킬 수 있는 밸브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 셔틀 밸브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OR 논리를 만족시키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과 같이 1개의 입력포트와 1개의 출력포트를 가지고 입력포트에 입력이 되지 않은 경우에만 출력포트에 출력이 나타나는 회로는?

  1. NOR 회로
  2. AND 회로
  3. NOT 회로
  4. OR 회로
(정답률: 76%)
  • 입력이 없는 경우에만 출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입력 신호를 반대로 출력하는 NOT 회로입니다. 다른 회로들은 입력이 있어도 출력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변위단계 선도에서 실린더 동작순서가 옳은 것은? (단, + : 실린더의 전진, - : 실린더의 후진)

  1. 1.0+ 2.0+ 2.0- 1.0-
  2. 1.0- 2.0- 2.0+ 1.0+
  3. 2.0+ 1.0+ 1.0- 2.0-
  4. 2.0- 1.0- 1.0+ 2.0+
(정답률: 87%)
  • 1번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0+ : 1번 실린더가 전진합니다.

    2.0+ : 2번 실린더가 전진합니다.

    2.0- : 2번 실린더가 후진합니다.

    1.0- : 1번 실린더가 후진합니다.

    따라서, 1번 -> 2번 -> 2번 후진 -> 1번 후진 순서로 실린더가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압력조절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밸브시트에 릴리프 구멍이 있는 것이 논 브리드식이다.
  2. 감압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3. 생산된 압력을 증압하여 공급하다.
  4. 압력 릴리프 밸브라고도 한다.
(정답률: 61%)
  • 압력조절 밸브는 생산된 압력을 감압하여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위해 밸브시트에 릴리프 구멍이 있는 논 브리드식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감압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압력 제어밸브에서 급격한 압력 변동에 따른 밸브 시트를 두드리는 미세한 진동이 생기는 현상은?

  1. 노킹
  2. 채터링
  3. 해머링
  4. 캐비테이션
(정답률: 55%)
  • 압력 제어밸브에서 급격한 압력 변동에 따라 밸브 시트가 떨리면서 미세한 진동이 생기는 현상을 채터링이라고 합니다. 이는 밸브 시트가 빠르게 열리고 닫히면서 압력이 변동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밸브 시트와 밸브 바디 사이의 간극이 계속해서 변화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진동은 밸브와 관련된 부속품이나 시스템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압에서 이용되는 속도 제어의 3가지 기본 회로는?

  1. 미터 인 회로, 미터 아웃 회로, 록킹 회로
  2. 블리드 오프 회로, 록킹 회로, 미터 아웃 회로
  3. 미터 아웃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 록킹 회로
  4. 미터 인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 미터 아웃 회로
(정답률: 81%)
  • 유압에서 이용되는 속도 제어의 3가지 기본 회로는 "미터 인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 미터 아웃 회로" 입니다.

    - 미터 인 회로: 유압 유량을 제한하여 유압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입니다. 유압 유량을 제한하는 미터 인 밸브를 사용하여 유압 유량을 조절합니다.

    - 블리드 오프 회로: 유압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유압 유량을 회로에서 배출하는 회로입니다. 유압 유량을 배출하는 블리드 오프 밸브를 사용하여 유압 유량을 조절합니다.

    - 미터 아웃 회로: 유압 실린더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유압 유량을 실린더에 공급하는 회로입니다. 유압 유량을 제어하는 미터 아웃 밸브를 사용하여 유압 유량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압펌프의 동력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압력×수압면적
  2. 압력×유량
  3. 질량×가속도
  4. 힘×거리
(정답률: 79%)
  • 유압펌프는 유체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과 유량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유압펌프의 동력은 압력과 유량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압력이 유체를 이동시키는 힘을 나타내고, 유량은 유체가 이동하는 거리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과 유량을 곱하여 유압펌프의 동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이상적인 유압 시스템의 최적 온도는?

  1. -35~0[℃]
  2. 10~30[℃]
  3. 45~55[℃]
  4. 65~85[℃]
(정답률: 64%)
  • 이상적인 유압 시스템의 최적 온도는 45~55℃이다.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유압 유체의 점도가 적당하게 유지되며, 동시에 유압 시스템의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온도 범위에서는 유압 유체의 노효력이 최소화되어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35~0℃에서는 유압 유체의 점도가 높아져 유동성이 떨어지고, 10~30℃에서는 점도가 낮아져 유체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65~85℃에서는 유압 시스템 부품들의 내구성이 감소하고, 유압 유체의 노효력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량비례 분류 밸브의 분류 비율은 어떤 범위에서 사용하는가?

  1. 1 : 1~9 : 1
  2. 1 : 1~12 : 1
  3. 1 : 1~15 : 1
  4. 1 : 1~10 : 1
(정답률: 82%)
  • 유량비례 분류 밸브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분류 비율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밸브이다. 따라서 유량비례 분류 밸브의 분류 비율은 유체의 유량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는 "1 : 1~9 : 1"이다. 이는 유량이 적을 때는 분류 비율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유량이 많아질수록 분류 비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유량비례 분류 밸브를 사용하면,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분류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과부하에 대한 안전대책이 용이하다.
  2. 작동속도가 빠르다.
  3. 외부 누설(감전, 인화)의 영향이 없다.
  4. 출력유지가 용이하다.
(정답률: 82%)
  • 전기신호는 전자의 이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하면 작동속도가 빠르게 되어 시스템의 반응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관속을 흐르는 유체에서 “A1V1 = A2V2 = 일정" 하다는 유체 운동의 이론은 (A1, A2 : 단면적, V1, V2 : 유체속도)

  1. 파스칼의 원리
  2. 연속의 법칙
  3. 베르누이의 정리
  4. 오일러 방정식
(정답률: 52%)
  • 연속의 법칙은 유체가 흐르는 관의 단면적이 변하더라도 유체의 질량 유지가 되어야 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는 단면적이 작아지면 속도가 증가하고, 단면적이 커지면 속도가 감소하여 일정한 유량을 유지합니다. 이는 유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이며, 유체 역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액추에이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밸브는?

  1. 감압 밸브
  2. 유량제어 밸브
  3. 방향제어 밸브
  4. 압력제어 밸브
(정답률: 82%)
  • 액추에이터의 속도는 유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액추에이터의 속도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유량제어 밸브가 액추에이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어큐뮬레이터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에너지 축적
  2. 서지압 방지
  3. 자동 릴레이 작동
  4. 펌프맥동 흡수
(정답률: 60%)
  • 어큐뮬레이터는 에너지 축적, 서지압 방지, 펌프맥동 흡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자동 릴레이 작동은 어큐뮬레이터의 용도가 아닙니다. 자동 릴레이 작동은 전기 회로에서 전류나 전압 등의 조건이 충족될 때 자동으로 작동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압축공기 조정 유닛(Unit)의 조합기구가 아닌 것은?

  1. 압축 공기 필터
  2. 압축 공기 조절기
  3. 압축 공기 윤활기
  4. 소음기
(정답률: 83%)
  • 압축공기 필터, 압축공기 조절기, 압축공기 윤활기는 모두 압축공기를 다루는 유닛으로, 압축공기의 필터링, 압력 조절, 윤활 등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소음기는 압축공기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압축공기를 다루는 유닛이 아닙니다. 따라서 소음기는 압축공기 조정 유닛(Unit)의 조합기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저압의 피스톤 패킹에 사용되고 피스톤에 볼트로 장착 될 수 있으며 저항이 다른 것에 비해 적은 것은?

  1. V형 패킹
  2. U형 패킹
  3. 컵형 패킹
  4. 플런저 패킹
(정답률: 49%)
  • 컵형 패킹은 피스톤과 실린더 벽면 사이에 끼워져 압력을 막아주는 패킹으로, 컵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피스톤에 적합하게 장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압에서 사용되며 저항이 적어서 피스톤의 움직임에 영향을 덜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컵형 패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공압과 유압의 조합기기에 해당되는 것은?

  1. 에어 서비스 유닛
  2. 스틱 앤 슬립 유닛
  3. 하이드롤릭 체크 유닛
  4. 벤투리 포지션 유닛
(정답률: 69%)
  • 공압과 유압의 조합기기는 하이드롤릭 체크 유닛입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공압과 유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기호에 해당되는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는?

  1. 실린더 유량의 제어
  2. 실린더 방향의 제어
  3. 실린더 압력의 제어
  4. 실린더 힘의 제어
(정답률: 70%)
  • 위의 기호는 4/2 방식의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실린더 방향의 제어에 사용됩니다. 이는 밸브의 상태에 따라 실린더의 동작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밸브가 열리면 실린더가 한 방향으로 작동하고, 닫히면 반대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이 밸브는 실린더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실린더 중 양방향의 운동에서 모두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1. 단동 실린더(피스톤식)
  2. 랩형 실린더
  3. 다이어프램 실린더(비피스톤식)
  4. 복동 실린더(피스톤식)
(정답률: 76%)
  • 복동 실린더(피스톤식)은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양방향으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즉, 피스톤이 한쪽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일을 하고, 반대쪽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방향의 운동에서 모두 일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실린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도면 기호의 명칭은 무엇인가?

  1. 유압 펌프
  2. 압축기
  3. 유압 모터
  4. 공기압 모터
(정답률: 69%)
  • 도면 기호는 유압 펌프를 나타냅니다. 이는 기호의 모양이 유압 펌프의 외형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압 펌프는 유체를 이용하여 압력을 전달하고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장치이며, 이 기호도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유압 펌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증압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압을 공압으로 변환한다.
  2.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소형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고압으로 변환한다.
  3. 대형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저압으로 변환한다.
  4. 높은 유압 압력을 낮은 공기 압력으로 변환한다.
(정답률: 86%)
  • 증압기는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소형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고압으로 변환하는 기계입니다. 이를 통해 작은 유압 실린더에서도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소형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고압으로 변환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기 현상을 이용한 스위치로 빠른 전환 사이클이 요구될 때 적당한 스위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기 리밋 스위치
  2. 압력 스위치
  3. 전기 리드 스위치
  4. 광전 스위치
(정답률: 63%)
  • 자기 현상을 이용한 스위치는 전기 리드 스위치라고 합니다. 이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는데, 자기장이 감지되면 스위치가 열리고 감지되지 않으면 스위치가 닫히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러한 작동 방식으로 인해 빠른 전환 사이클이 요구될 때 적합한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공압 실린더가 운동할 때 낼 수 있는 힘(F)을 식으로 맞게 표현한 것은? (단, P :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A : 피스톤 단면적, v : 피스톤 속도)

  1. F=P∙A
  2. F=A∙v
  3. F=P/A
  4. F=A/v
(정답률: 74%)
  • 정답: F=P∙A

    공압 실린더가 운동할 때 낼 수 있는 힘은 압력과 피스톤 단면적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압력은 공기가 실린더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이 압력이 피스톤 단면적과 곱해지면 힘을 나타내는 단위인 뉴턴(N)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F=P∙A가 공압 실린더가 운동할 때 낼 수 있는 힘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송풍기가 발생시키는 압축 공기의 범위는?

  1. 10[kPa] 미만
  2. 10[kPa] 이상 ~ 100[kPa] 미만
  3. 100[kPa] 이상 ~ 500[kPa] 미만
  4. 500[kPa] 이상 ~ 1[MPa] 미만
(정답률: 57%)
  • 송풍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이동시키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송풍기의 압력은 10[kPa] 이상 100[kPa] 미만입니다. 이 범위는 송풍기가 발생시키는 압축 공기의 범위로, 이 범위를 넘어가면 공기의 압력이 너무 높아져서 시설물이나 장비에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송풍기는 이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기호의 명칭은?

  1. 브레이크 밸브
  2. 카운터 밸런스 밸브
  3. 무부하 릴리프 밸브
  4. 시퀀스 밸브
(정답률: 61%)
  • 위의 기호는 "무부하 릴리프 밸브"를 나타냅니다. 이는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로,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에서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가 열리면서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내의 과압을 방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밸브"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밸브로,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밸브로, 시스템 내의 압력 차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합니다. "시퀀스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밸브로, 여러 개의 밸브를 연결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의 밸브 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1. 감압 밸브(Reducing Valve)
  2.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3.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
  4. 무부하 밸브(Unloading Valve)
(정답률: 72%)
  • 이 밸브 기호는 감압 밸브(Reducing Valve)를 나타냅니다. 감압 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입력 압력을 감압하여 출력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 밸브는 입력 압력이 높은 상황에서 출력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공기압 장치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에너지를 쉽게 구할 수 있다.
  2. 힘의 중폭이 용이하고 속도조절이 간단하다.
  3. 동력의 전달이 간단하며 먼 거리 이송이 쉽다.
  4. 압축성 에너지이므로 위치 제어성이 좋다.
(정답률: 65%)
  • 압축성 에너지는 위치 제어성이 좋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압축성 에너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위치 제어성은 유압액의 유동성과 유압압력의 변화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위치 제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압액의 유동성과 유압압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압펌프 무부하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펌프의 토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2. 펌프의 송출량을 어큐뮬레이터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3. 부하에 의한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회로이다.
  4. 간단한 방법으로 탠덤 센터형 밸브의 중립위치를 이용한다.
(정답률: 30%)
  • 유압펌프 무부하 회로는 부하에 의한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간단한 방법으로 탠덤 센터형 밸브의 중립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됩니다. 이는 밸브의 중립위치에서 유체가 양쪽 방향으로 자유롭게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는 펌프의 토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펌프 무부하 회로는 펌프의 송출량을 어큐뮬레이터로 공급하는 회로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회로의 압력이 설정압을 초과하면 격막이 파열되어 회로의 최고 압력을 제한하는 것은?

  1. 압력 스위치
  2. 유체 스위치
  3. 유체 퓨즈
  4. 감압 스위치
(정답률: 82%)
  • 유체 퓨즈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내부의 격막이 파열되어 유체가 흐르게 되어 회로의 최고 압력을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회로의 과압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압력 스위치나 유체 스위치는 회로를 끄거나 켜는 역할을 하지만, 유체 퓨즈는 회로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압 스위치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회로를 끄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포핏 방식의 방향 전환 밸브가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누설이 거의 없다.
  2. 밸브 이동 거리가 짧다.
  3. 조작에 힘이 적게 든다.
  4. 먼지, 이물질의 영향이 적다.
(정답률: 56%)
  • 포핏 방식의 방향 전환 밸브는 작은 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에 힘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유체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는?

  1. 유압 탱크
  2. 액추에이터
  3. 유압 펌프
  4. 공기압축기
(정답률: 72%)
  • 액추에이터는 유체 에너지를 받아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에서 사용되며, 유체 에너지를 받아 피스톤이나 밸브 등을 움직여 기계적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유체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60[Hz]이고 극수가 4극인 동기 전동기의 회전수는?

  1. 180[rpm]
  2. 1,800[rpm]
  3. 240[rpm]
  4. 2,400[rpm]
(정답률: 51%)
  • 동기 전동기의 회전수는 주파수와 극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파수가 60[Hz]이고 극수가 4극이므로,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회전수 = (주파수 x 60) / 극수
    = (60 x 60) / 4
    = 900

    하지만, 이 값은 1초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분당 회전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1분 = 60초 이므로, 분당 회전수 = 900 x 60 = 54,000

    따라서, 정답은 54,000을 1,000으로 나눈 값인 1,800[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원이 교류가 아닌 직류로 주어져 있을 때에 어떤 직류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크기가 다른 직류를 얻기 위한 회로는?

  1. 인버터 회로
  2. 초퍼 회로
  3. 사이리스터 회로
  4. 다이오드 정류 회로
(정답률: 63%)
  • 직류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크기가 다른 직류를 얻기 위해서는 전압을 변환하는 회로가 필요합니다. 이때, 초퍼 회로는 입력 전압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 후 다시 저주파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입력된 직류 전압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저주파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크기가 다른 직류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전류의 유무나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 쓰는 실험용 계기로 보통 1[mA] 이하의 미소전류를 측정할 때 쓰는 계기는?

  1. 전위차계
  2. 분류기
  3. 배율기
  4. 검류계
(정답률: 62%)
  • 미소전류를 측정할 때는 전류의 유무나 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검류계를 사용합니다. 검류계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데, 전류가 흐르면 검류계 내부의 자석이 작용하여 바늘이 움직입니다. 이때 바늘의 움직임으로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류계는 1[mA] 이하의 미소전류를 측정할 때 적합한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에서 2[Ω], 3[Ω], 4[Ω]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고 전압 ET=9[V]를 인가할 때 4[Ω]에 의한 전압 강하[V]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63%)
  •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였으므로 전압은 각 저항에 비례하여 분배됩니다. 따라서 4[Ω]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체 전압인 9[V]의 4[Ω]에 대한 비율인 4/(2+3+4) = 4/9 만큼이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4.0[V]가 되므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은?

  1. 저항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2. 전류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3. 전류 세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전류 세기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2%)
  •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은 전류의 세기와 시간, 그리고 도선의 저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류 세기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열량도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전류의 세기가 2배가 되면 발생하는 열량도 2배가 되기 때문에, 전류 세기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류 세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3상 유도전동기에서 기동 시에는 Y결선으로 운전하여 기동 전류를 감소시키고, 전동기의 속도가 점차로 증가하여 정격 속도에 이르면 △결선으로 정상 운전하는 기동법은?

  1. 전전압 기동법
  2. Y-△ 기동법
  3. 기동 보상기법
  4. △-Y 기동법
(정답률: 71%)
  • 3상 유도전동기에서 Y-△ 기동법은 기동 시에 Y결선으로 운전하여 기동 전류를 감소시키고, 전동기의 속도가 점차로 증가하여 정격 속도에 이르면 △결선으로 정상 운전하는 기동법입니다. 이는 전압을 감소시켜 전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전동기의 부하를 줄여서 기동 시의 출발 토크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Y-△ 기동법이 가장 효율적인 기동법 중 하나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검출 스위치가 아닌 것은?

  1. 리밋 스위치
  2. 광전 스위치
  3. 버튼 스위치
  4. 근접 스위치
(정답률: 68%)
  • 검출 스위치는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이지만, 버튼 스위치는 사람이 직접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이기 때문에 검출 스위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동기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교차자화작용
  2. 감자작용
  3. 증자작용
  4. 회절작용
(정답률: 55%)
  • 정답은 "회절작용"입니다.

    동기기의 전기자 반작용은 교차자화작용, 감자작용, 증자작용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동기기의 전하와 인접한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자력에 의해 작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회절작용은 동기기의 전하와 인접한 전하가 아닌, 먼 거리에 있는 전하와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절작용은 동기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적인 가정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 전원 방식은?

  1. 단상 직류 220[V]
  2. 단상 교류 220[V]
  3. 3상 직류 220[V]
  4. 3상 교류 220[V]
(정답률: 64%)
  •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단상 교류 220[V]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가정용 전기 제품들이 대부분 단상 교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정용 전기 회로는 단상 교류 전원을 사용하면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퀀스 회로에서 전동기를 표시하는 것은?

  1. M
  2. PL
  3. MCL
  4. MC2
(정답률: 73%)
  • 시퀀스 회로에서 "M"은 모터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PL"은 푸시 버튼, "MCL"은 모터 컨트롤 라인, "MC2"는 두 번째 모터 컨트롤 라인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의 기능에 대한 용어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여자 : 릴레이 전자접촉기 등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서 전자석이 되는 것
  2. 소자 : 릴레이 전자접촉기 등의 코일에 흐르고 있는 전류를 차단하여 자력을 잃게 하는 것
  3. 인칭 : 기계의 동작을 느리게 하기 위해 동작을 반복 하여 행하는 것
  4. 인터록 : 복수의 동작을 관여시키는 것으로 어떤 조건을 갖추기까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
(정답률: 65%)
  • 정답은 "인칭 : 기계의 동작을 느리게 하기 위해 동작을 반복 하여 행하는 것"입니다.

    인칭(Interlock)은 복수의 동작을 관여시키는 것으로, 어떤 조건을 갖추기까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계의 동작을 느리게 하기 위해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것은 인칭이 아니라,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의 기능 중 하나인 반복 동작(Repeat Oper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회로 시험기 사용에서 저항 측정 시 전환 스위치를 R×100에 놓았을 때 계기의 바늘이 50[Ω]을 가리켰다면 측정된 저항값은?

  1. 50[Ω]
  2. 100[Ω]
  3. 500[Ω]
  4. 5,000[Ω]
(정답률: 78%)
  • 전환 스위치를 R×100에 놓았으므로, 측정된 저항값은 실제 저항값의 100배가 됩니다. 따라서, 측정된 저항값은 50[Ω] × 100 = 5,000[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R-C직렬회로에서 임피던스가 10[Ω], 저항이 8[Ω]일 때 용량리액턴스[Ω]는?

  1. 4
  2. 5
  3. 6
  4. 7
(정답률: 58%)
  • 용량리액턴스는 Xc = 1/(2πfC)로 계산됩니다. 이 때, R-C직렬회로에서 전체 임피던스는 Z = √(R^2 + Xc^2)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Z = 10[Ω], R = 8[Ω]이 주어졌으므로 Xc를 구할 수 있습니다.

    10^2 = 8^2 + Xc^2
    Xc^2 = 100 - 64
    Xc = √36
    Xc = 6[Ω]

    따라서, 용량리액턴스는 6[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저항 R[Ω]과 유도리액턴스가 XL[Ω]이 직렬로 접속된 회로의 임피던스 Z[Ω]의 값은?

(정답률: 76%)
  • 임피던스는 저항과 유도리액턴스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임피던스 Z[Ω]의 값은 R[Ω]과 XL[Ω]의 합과 같습니다. 즉, Z[Ω] = R[Ω] + XL[Ω] 이므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회로 시험기를 사용할 때 극성에 주의해서 측정해야 하는 것은?

  1. 저항
  2. 교류전압
  3. 직류전압
  4. 주파수
(정답률: 60%)
  • 회로 시험기는 전기적인 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극성에 주의해서 측정해야 하는 것은 직류전압입니다. 이는 교류전압은 주기적으로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극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극성에 주의해서 측정해야 하는 것은 직류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ISO 규격에 있는 관용 테이퍼 수나사의 기호는?

  1. R
  2. S
  3. Tr
  4. TM
(정답률: 61%)
  • ISO 규격에서 "R"은 "관용 테이퍼 수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S"는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Tr"은 삼각형 프로필을 가진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TM"은 트랩레즈 프로필을 가진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계제도에 사용하는 선의 분류에서 가는 실선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치수선
  2. 치수 보조선
  3. 지시선
  4. 외형선
(정답률: 80%)
  • 기계제도에서 가는 실선은 일반적으로 부품의 외형을 표현하는 외형선, 부품의 치수를 표현하는 치수선, 치수선을 보조하는 치수 보조선, 그리고 가공 및 조립을 위한 지시선으로 분류됩니다. 그 중에서 외형선은 부품의 외형을 표현하는 것으로, 부품의 형상, 윤곽, 경계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는 실선의 용도 중에서 외형선은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 : B로 척도를 표시할 때 A : B의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 (순서대로 A, B)

  1. 도면에서의 길이 : 대상물의 실제 길이
  2. 도면에서의 치수 : 대상물의 실제 치수
  3. 대상물의 실제 길이 : 도면에서의 길이
  4. 대상물의 크기 : 도면의 크기
(정답률: 62%)
  • 정답은 "도면에서의 길이 : 대상물의 실제 길이"입니다. 이는 도면상의 길이와 대상물의 실제 길이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상의 길이와 실제 길이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상물의 크기나 치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척도를 표시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배관의 간략 도시방법에서 파이프의 영구 결합부(용접 또는 다른 공법에 의한다)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3%)
  • 파이프의 영구 결합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 입니다. 이는 용접을 통해 파이프가 영구적으로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며, 다른 보기들은 파이프 연결 부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도로 했을 때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1%)
  • 정면도에서 보면 화살표가 왼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평면도에서는 화살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의 ㉠ 부분과 같이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하는 투상도는?

  1. 국부 투상도
  2. 전개 투상도
  3. 회전 투상도
  4. 보조 투상도
(정답률: 62%)
  • 그림의 ㉠ 부분과 같이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는 보통 전개 투상도를 사용하여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만약 전개 투상도로는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보조 투상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조 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배관 도시 기호 중 체크 밸브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60%)
  • 체크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만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화살표가 한쪽 방향으로만 표시되어 있는 ""가 체크 밸브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