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3-10)

무선설비기사
(2002-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RC결합 저주파 증폭회로의 이득이 높은 주파수에서 감소되는 이유는?

  1. 부성저항이 생기기 때문
  2. 증폭기 소자의 특성이 변하기 때문
  3. 결합 캐패시턴스의 영향 때문에
  4. 출력회로의 병렬 캐패시턴스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RC결합 저주파 증폭회로에서 이득이 높은 주파수에서 감소되는 이유는 출력회로의 병렬 캐패시턴스 때문입니다. 이 캐패시턴스는 고주파에서는 작아지지만 저주파에서는 크게 작용하여 회로의 전체적인 이득을 감소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a) 회로에 그림(b)와 같은 전압을 입력측에 인가 할때 정상상태에서의 출력전압 Vo는?

  1. 3(V)의 진폭을 갖는 부(負)의 펄스
  2. 3(V)의 진폭을 같는 정(正)의 펄스
  3. -6(V)의 직류전압
  4. +3(V)의 직류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b)의 입력신호는 대칭적인 부호를 가지므로, 출력신호는 대칭적인 부호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출력신호는 부호가 바뀌는 부분이 없으므로 평균값이 0이 된다. 그러나 입력신호의 진폭이 3V이므로, 출력신호의 진폭도 3V가 된다. 따라서 출력신호는 -3V에서 3V까지 변화하게 된다. 이때 평균값이 0이므로, 출력신호의 평균값은 0V이다. 따라서 정답은 "-6(V)의 직류전압"이 아니라 "+0(V)의 직류전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회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출력신호의 상단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출력신호의 하단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반파정류 회로이다.
  4. 클리퍼이며 일정값 이하로 출력신호의크기를 제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클리퍼 회로이며, 일정값 이상으로 출력신호의 크기를 제한하여 상단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출력신호의 상단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은 회로의 출력은?

  1. 0
  2. Vi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 회로이다. 입력 신호인 Vi는 R1과 R2를 통해 직접적으로 올라가고, R3과 R4를 통해 음극측으로 흐르면서 다시 Vi와 같은 극성으로 증폭된다. 따라서 출력은 Vi와 같다. 정답은 "V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위상변조(PM: Pulse Modulation)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송파의 위상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이다
  2. 신호파는 V1 = Vscosωst 이다.
  3. 반송파는 V(t) = Vcsin(ωct + θ)이다.
  4. 피변조파는 V(t) = Vcsin(ωct + msinωst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변조파는 반송파의 위상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이지만, 신호파는 V1 = Vssinωst이며, 반송파는 V(t) = Vccos(ωct + θ)이다. 따라서 "피변조파는 V(t) = Vcsin(ωct + msinωst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이다. 이 회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두 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 회로이다.
  2.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3. 궤환 효과는 공통 에미터 저항을 통하여도 이루어진다.
  4. 입력 전압의 크기가 on, off상태를 결정하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로는 사용하지 못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급격한 변화에 반응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므로, 펄스 파형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무슨 Flip-Flop 회로인가?

  1. M-S F/F
  2. S-R F/F
  3. CLK F/F
  4. D F/F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D F/F (Data Flip-Flop) 회로입니다. 이유는 입력 신호가 D 입력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D F/F는 입력 신호가 변경될 때마다 출력 신호가 변경되는 회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M-S F/F (Master-Slave Flip-Flop), S-R F/F (Set-Reset Flip-Flop), CLK F/F (Clock Flip-Flop)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변조신호 주파수가 2[KHz] 인 FM파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얼마인가? (단, 점유 주파수편이는 10[KHz] 임)

  1. 38[KHz]
  2. 36[KHz]
  3. 24[KHz]
  4. 20[KHz]
(정답률: 알수없음)
  • FM파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점유 주파수편이의 2배보다 크므로, 2 x 10[KHz] = 20[KHz] 이다. 따라서, 주파수가 2[KHz] 인 FM파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20[KHz] 이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24[KHz]"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논리회로의 명칭은? (단, E : enable, S : select )

  1. 2×1 디코더
  2. 2×1 멀티플랙서
  3. 4×1 엔코더
  4. 2×1 디멀티플랙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2개의 입력(A, B)과 1개의 출력(Y)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력 중 하나인 E는 enable을 의미하며, 이 값이 0일 때는 출력 Y가 항상 0이 됩니다. 입력 중 하나인 S는 select를 의미하며, 이 값에 따라 입력 A 또는 입력 B가 출력 Y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이 논리회로는 2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1개의 출력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2×1 멀티플랙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할 때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트랜지스터
  2. 콘덴서
  3. 저항
  4. 코일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할 때 필요한 요소는 트랜지스터, 콘덴서, 저항이다. 코일은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니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콘덴서와 저항을 이용하여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발진회로를 제어한다. 따라서 코일은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발진주파수가 가장 안정적인 발진기는?

  1. 수정발진기
  2. 윈브리지발진기
  3. 이상형발진기
  4. 음향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발진기는 결정체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결정체의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기 때문에 발진주파수가 매우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다른 발진기들보다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발진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SRAM과 DRAM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DRAM은 리프레쉬 타임이 있다.
  2. SRAM은 D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용량을 높이 는데 용이하다.
  3. DRAM과 SRAM은 전원을 끊으면 데이터가 소실 된다.
  4. SRAM에는 리프레쉬 타임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RAM은 D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용량을 높이는데 용이하다."

    SRAM과 DRAM은 모두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이지만, SRAM은 D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용량을 높이는데 용이하지 않습니다. SRAM은 DRAM에 비해 더 빠르고 소비전력이 적지만, DRAM은 S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용량을 높이는데 더 효율적입니다. 이는 DRAM이 데이터를 저장할 때 하나의 셀에 여러 비트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SRAM은 하나의 셀에 하나의 비트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류회로에서 맥동율을 나타내는 수식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맥동율은 전류가 변화할 때 전류의 변화율에 대한 전압의 변화율을 의미한다.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V/dt = L di/dt

    여기서 L은 인덕턴스를 나타내며, di/dt는 전류의 변화율을 의미한다. 이 수식에서 맥동율은 L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인덕턴스가 클수록 맥동율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플립 플롭 (Flip-Flop)회로를 3개 직력접속한 후 입력에 1000[Hz] 의 펄스를 가했다면 마지막 단 플립 플롭에 나타나는 신호의 주파수는 몇[Hz]인가?

  1. 125
  2. 250
  3. 750
  4. 400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3개의 플립 플롭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입력 펄스의 주기가 1/1000[sec] 이므로, 한 사이클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3/1000[sec] 이다. 따라서, 주파수는 1/(3/1000) = 1000/3[Hz] 이다. 이 값은 약 333.33[Hz] 이므로, 이 회로에서는 2번째 플립 플롭에서 2배의 주기가 발생하므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에서는 2*2*1000/3 = 2000/3[Hz] = 약 666.67[Hz] 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이 다시 첫 번째 플립 플롭의 입력으로 연결되므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기는 2배씩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파수는 2*2*2*1000/3 = 4000/3[Hz] = 약 1333.33[Hz] 이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이 다시 첫 번째 플립 플롭의 입력으로 연결되므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기는 2배씩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파수는 2*2*2*2*1000/3 = 8000/3[Hz] = 약 2666.67[Hz] 이다. 마지막으로, 이 회로에서는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이 다시 두 번째 플립 플롭의 입력으로 연결되므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기는 2배씩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파수는 2*2*2*2*2*1000/3 = 16000/3[Hz] = 약 5333.33[Hz] 이다. 이 값은 약 125[Hz]의 정수배이므로, 마지막 단 플립 플롭의 출력 주파수는 125[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Exclusive-OR 와 Exclusive-NOR에 해당하는 논리식을 상호 변환한 아래의 식 중에서 틀린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Exclusive-OR와 Exclusive-NOR는 서로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이때, Exclusive-OR를 A ⊕ B, Exclusive-NOR를 A ⊙ B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A ⊕ B = (A ⊙ B)' (1)

    A ⊙ B = (A ⊕ B)' (2)

    즉, Exclusive-OR와 Exclusive-NOR는 각각 NOT 연산자와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는 ""를 NOT 연산한 것이므로 올바른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출력증폭회로의 입력과 출력파형이다. 이 증폭회로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C급 증폭으로 고주파 대출력에 적합하다.
  2. B급 증폭으로 중대역 대출력에 적합하다.
  3. A급 증폭으로 소신호 전압증폭에 적합하다.
  4. AB급 증폭으로 저주파 전류증폭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출력파형은 C급 증폭회로의 특징을 보여준다. C급 증폭회로는 전기적 효율이 높아 고주파 대출력에 적합하다. 이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C급 증폭회로의 효율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증폭회로는 고주파 대출력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항한 3(dB) 주파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항한 3(dB) 주파수는 커팅 주파수(cut-off frequency)라고도 불리며, 이는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2(약 1.414)배로 줄어드는 주파수를 말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RC 회로가 사용되었으며, RC 회로의 커팅 주파수는 1/(2πRC)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RC 값이 가장 작은 ""가 커팅 주파수가 가장 높아지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논리식 을 간단히 하면?

  1. B(A + C)
  2. AB + BC + AC
  3. C(A + B)
  4. A + B + C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AB + BC + AC" 이 됩니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A, B, C가 각각 참(True)일 때, AB, BC, AC가 참(True)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을 OR 연산하여 합산하면 논리식을 간단히 할 수 있습니다. "B(A + C)"와 "C(A + B)"는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AB + BC"와 "AC + BC"로 변환할 수 있지만, 이들을 다시 OR 연산하여 합산하면 "AB + BC + AC"가 됩니다. "A + B + C"는 모든 변수가 참일 때만 참(True)이 되므로, 논리식을 간단히 하는 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Karnaugh-map을 논리식으로 간략화 한 결과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결과식은 "" 이다.

    이유는 Karnaugh-map에서 같은 색으로 표시된 셀들은 같은 논리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최대한 간략화하여 결과식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Karnaugh-map에서 "" 셀들은 모두 1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결과식은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회로는 Ic를 안정하게 하기 위한 회로이다. 무슨 보상 방법인가?

  1. 전류 보상법
  2. 온도 보상법
  3. 전압 보상법
  4. 궤환 보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온도 보상법을 사용하고 있다. 온도가 변화하면 전압 차이가 발생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해 R2와 R3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Ic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른 Ic의 변화를 보상하는 방법이 온도 보상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저잡음증폭기와 관계없는 것은?

  1. Magnetron증폭기
  2. 파라메트릭 증폭기
  3. GaAs MESFET증폭기
  4. 터널 다이오드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Magnetron증폭기"는 주로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사용되는 고주파 발생기로, 저잡음증폭기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반면에 "파라메트릭 증폭기", "GaAs MESFET증폭기", "터널 다이오드 증폭기"는 모두 저잡음증폭기의 일종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무선통신의 방해요인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감쇠란 신호가 전파되면서 주파수에 따라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2. 왜곡이란 신호가 전파되면서 일그러지는 것을 말한다.
  3. 잡음이란 필요한 신호속에 혼입되어 정상적인 수신 또는 처리를 방해하는 전기신호를 말한다.
  4. 간섭이란 원하는 신호의 수신을 방해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감쇠란 신호가 전파되면서 주파수에 따라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가 아니다. 감쇠는 신호가 전파되면서 거리나 매질에 의해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감쇠란 신호가 전파되면서 거리나 매질에 의해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왜곡은 신호가 전파되면서 일그러지는 것을 말한다. 잡음은 필요한 신호속에 혼입되어 정상적인 수신 또는 처리를 방해하는 전기신호를 말한다. 간섭은 원하는 신호의 수신을 방해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무선 송신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C급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형 증폭을 하지만 효율은 매우 낮다.
  2. 증폭기 2개를 푸시풀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3. 증폭과정에서 고조파가 발생되므로 주파수 체배기로 사용된다.
  4. 선형 증폭 동작을 하며 사인파 입력에 대해서 360°도통각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C급 증폭기는 선형 증폭을 하지만 효율은 매우 낮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또한, 증폭과정에서 고조파가 발생되므로 주파수 체배기로 사용된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고조파를 제거하여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C급 증폭기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단일 정현파의 변조주파수 1000㎑로 주파수 변조한 결과 최대주파수 편이가 5000㎑이었다. 이때의 변조지수는?

  1. 1.2
  2. 1.6
  3. 3.4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지수는 최대주파수 편이를 변조주파수로 나눈 값에 2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변조지수 = (5000/1000) x 2 = 10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0이 정답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변조지수는 약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파수 변조를 진폭 변조와 비교할 경우 다음중 틀린 것은?

  1. 신호대 잡음비가 좋아진다.
  2. 초단파대 통신에 적합하다.
  3. 에코의 영향이 많아진다.
  4. 주파수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에코의 영향이 많아진다는 것은 주파수 변조를 사용할 경우,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에코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특히 신호가 긴 거리를 이동할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주파수 변조는 특히 신호가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무선 통신에 적합하며, 초단파대 통신에 더욱 적합합니다.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면 신호대 잡음비가 좋아지고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실효 선택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영상주파 억압효과
  2. 감도억압효과
  3. 혼변조
  4. 상호변조
(정답률: 알수없음)
  • 실효 선택도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고, 그 외의 신호를 억제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영상주파 억압효과"는 실효 선택도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주파수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원래 신호와 상호작용하여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방식이 아닌 것은?

  1. 이리듐
  2. 글로벌 스타
  3. DBS(Direct Broddcasting Satellite)
  4. 오딧세이
(정답률: 알수없음)
  • DBS(Direct Broddcasting Satellite)는 방송 위성으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방식이 아닙니다. DBS는 직접적으로 가정이나 기업체에 방송을 전달하는 위성으로, 일반적으로 TV 방송이나 인터넷 방송 등을 제공합니다. 이리듐, 글로벌 스타, 오딧세이는 모두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방식을 사용하는 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축전지에 과대한 전류로 충전하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극판의 부식현상
  2. 자기방전의 증대현상
  3. 분할성 유산염의 발생현상
  4. 극판의 만곡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연축전지에 과대한 전류로 충전하면 극판의 만곡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충전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극판이 변형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극판의 표면이 고르지 않아 전기적인 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는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충전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안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연축전지를 충전할 때는 극판의 만곡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전류와 충전 시간을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NAVTEX수신기의 운용에 있어서 수신을 거부할수 없는 것은?

  1. 기상경보
  2. 기상방송
  3. 데카정보
  4. 로란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NAVTEX수신기는 해상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장비로, 기상경보는 해상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보이기 때문에 수신을 거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상경보는 NAVTEX수신기에서 반드시 수신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AM방송국은 보통 540㎑에서 1600㎑의 주파수범위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역폭은 10㎑이다. AM라디오 수신기의 RF필터의 최소 대역폭은 얼마인가?

  1. 1600㎑
  2. 540㎑
  3. 2140㎑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AM방송국이 사용하는 주파수범위는 540㎑에서 1600㎑이므로, 이 범위 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600㎑ - 540㎑ = 1060㎑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하지만 AM라디오 수신기의 RF필터는 이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어야 다른 잡음이나 신호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류기의 부하단의 평균전압은 200V, 맥동률이 2%일 때 교류분의 전압은?

  1. 8V
  2. 6V
  3. 4V
  4. 2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류기의 부하단 평균전압은 교류분의 전압의 √2배이므로,

    교류분의 전압 = 부하단 평균전압 / √2 = 200V / √2 ≈ 141.4V

    맥동률이 2%이므로, 교류분의 전압의 최대값은 141.4V + (141.4V x 0.02) = 144.3V이고,

    최소값은 141.4V - (141.4V x 0.02) = 138.5V이다.

    따라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144.3V - 138.5V = 5.8V이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V"이지만, 이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보다 크다.

    따라서, 정답은 "4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FM수신기 구성이 DSB 수신기 또는 SSB 수신기와 비교하여 볼 때 다른점이 아닌 것은?

  1. 통과 대역폭이 넓은 것
  2. 진폭 제한기를 사용하는 것
  3. Ring 복조기를 사용하는 것
  4. 스켈치 회로를 사용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Ring 복조기는 DSB나 SSB 수신기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기술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점이 아니다. Ring 복조기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DSB나 SSB 수신기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간접FM방식에서 사용되는 전치보상회로의 설명중 틀린 것은?

  1. 신호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회로이다.
  2. 미분회로의 일종이다.
  3. PM을 FM으로 만드는데 쓰인다.
  4. 입출력 위상차는 9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분회로의 일종이다."가 틀린 것이다. 전치보상회로는 미분회로와 유사하지만, 입력신호를 미분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신호를 미분하여 입력신호와 같은 효과를 내는 회로이다. 따라서 미분회로의 일종이라고 할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위성의 다원접속기술에서 패킷전송망에 많이 활용되는 회선할당방식은?

  1. 사전할당방식
  2. 요구할당방식
  3. 개방할당방식
  4. 임의할당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의 다원접속기술에서 패킷전송망에 많이 활용되는 회선할당방식은 "임의할당방식"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미리 회선을 할당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임의로 회선을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FM 송신기의 보조회로가 아닌 것은?

  1. 순시주파수편이 제어회로
  2. Pre-emphasis회로
  3. 진폭제한기
  4. 자동주파수 제어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음 FM 송신기의 보조회로 중에서 진폭제한기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FM 송신에서는 진폭이 아닌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폭제한기는 AM 송신에서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무선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방지 대책과 관계가 먼 것은?

  1. 종단증폭기와 안테나 사이를 소결합한다.
  2. 동조회로의 Q를 되도록 낮게 설계한다.
  3. 전력증폭기를 push-pull구조를 사용한다.
  4. 급전선에 트랩 또는 필터를 삽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는 안테나로 전파되어 다른 무선 장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단증폭기와 안테나 사이를 소결합하여 고조파를 차단합니다. 이는 안테나로 전파되는 고조파를 최소화하여 다른 무선 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계강도 측정기로 강한 전계강도를 측정할 때 오차가 생긴 이유로 가장 큰 원인은?

  1. 수신기의 이득이 작을 때
  2. 수신기의 이득이 클 때
  3. 수신기의 직선성이 불량할 때
  4. 수신기의 주파수 특성이 불량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전계강도 측정기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전계강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수신기의 직선성이 불량하면 수신된 전자기파의 크기가 실제보다 작거나 크게 측정되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기의 직선성은 전계강도 측정의 정확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직선검파기에서 Diagonal Clipping이 발생하는 원인은?

  1. 평균 검파기는 부하에 저항만 접속되어서
  2. 검파회로의 시정수가 너무 커서
  3. 직선 검파기의 출력측에는 직류 성분이 포함되어서
  4. 직선 검파기의 출력이 커서
(정답률: 알수없음)
  • Diagonal Clipping은 직선검파기에서 출력 신호가 일정 수준 이상 커지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검파회로의 시정수가 너무 커서 발생합니다. 검파회로의 시정수가 커지면 입력 신호의 크기가 작을 때는 정상적으로 검파가 이루어지지만, 입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 커지면 검파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고 출력 신호가 일정 수준 이상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출력 신호가 클리핑되어 일정 수준 이상 커지지 않도록 직선검파기의 출력이 왜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구와 위성의 기하학 각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최대 전송지연시간을 나타내는 식은? (단, R은 지구반경, θ는 안테나 최소 양각, h는 위성고도, β는 통신영역 중심각, C는 광속도이다.)

  1. {2(R+h)/C}ㆍ{sinβ/cos(β+θ)}
  2. {(R+h)/c}ㆍㆍ(sinβ/cosθ)
  3. {2(R+h)/c)ㆍ{(sin(β+θ)}/cosθ
  4. {2(R+h)/c}(sinβ/cosθ)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과 지구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최대 전송지연시간을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위성과 지구의 거리는 R+h이다. 이때, 안테나의 최소 양각 θ를 이용하여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이 직각삼각형에서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거리는 (R+h)cosθ이다.

    또한, 위성과 지구의 연결선과 지면과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통신영역이 형성된다. 이때, 통신영역의 중심각은 β이다.

    따라서, 통신영역의 반지름은 (R+h)sinβ이다.

    이제, 위성과 지구의 거리와 통신영역의 반지름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지연시간을 구할 수 있다.

    전파가 직선으로 전달되므로,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거리와 통신영역의 반지름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거리를 구할 수 있다.

    최대 전송거리 = (R+h)cosθ + (R+h)sinβ

    전송지연시간은 최대 전송거리를 광속도로 나눈 값이므로,

    최대 전송지연시간 = (최대 전송거리) / c

    = [(R+h)cosθ + (R+h)sinβ] / c

    = [(R+h)/c] (cosθ + sinβ)

    = [(R+h)/c] (sinβ/cosθ + 1)

    = {2(R+h)/c} (sinβ/cosθ)

    따라서, 정답은 "{2(R+h)/c}(sinβ/cos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급전선의 신호 인덕턴스를 축정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고 수위치 S를 LS1 으로 놓고 공진시켰을 때 주파수를 f1이라 하고 LS2로 놓고 공진시켰을때 주파수를 f2라 한다. f1=2f2라 하면, 실효 인덕턴스 Le는?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f1과 f2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연관되어 있다.

    f1 = 1/(2π√(LS1C))

    f2 = 1/(2π√(LS2C))

    여기서 f1 = 2f2 이므로,

    1/(2π√(LS1C)) = 2/(2π√(LS2C))

    √(LS2/LS1) = 2

    Le = LS1 + LS2 = LS1 + LS1√(LS2/LS1)

    = LS1 + LS1√2

    = LS1(1 + √2)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주파수 f1과 f2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실효 인덕턴스 Le를 구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반파장 안테나의 뒷면에 평면 반사기를 설치하여 안테나 이득을 높이려 한다. 안테나와 반사기의 거리는?

  1. λ
  2. λ/8
  3. λ/4
  4. λ/2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장 안테나는 길이가 λ/2 이므로, 안테나의 뒷면과 반사기 사이의 거리가 λ/4이면 안테나에서 반사파가 반사되어 돌아와서 안테나와 상쇄되어 강도가 취소됩니다. 따라서 안테나와 반사기 사이의 거리는 λ/4보다 크거나 작아야 안테나 이득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Bellini-Tosi 안테나에서 전계강도를 최대로 하려면 탐색코일의 방향과 전파도래 방향의 위상차를 얼마로 해야하는가?

  1. 15°
  2. 30°
  3. 45°
(정답률: 알수없음)
  • Bellini-Tosi 안테나에서 전계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탐색코일의 방향과 전파도래 방향의 위상차가 0°이어야 합니다. 이는 두 신호가 같은 위상에서 합쳐져서 최대값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다른 각도로 위상차를 설정하면 두 신호가 서로 상쇄되어 전계강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리층 전파에서 발생되는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류에 따라 적당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적당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간섭성 페이딩에 대해서는 공간다이버시트와 주파수 다이버시트를 합성하여 사용한다.
  2. 편파성 페이딩에 대해서는 서로 수직으로 놓인 안테나를 사용하여 합성한다.
  3. 흡수성 페이딩에 대해서는 AGC회로를 첨가하여 방지한다.
  4. 선택성 페이딩은 공간다이버시티가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성 페이딩에 대해서는 공간다이버시티가 적합하지 않다. 선택성 페이딩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만 발생하는 페이딩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중 경로 간의 시간 차이를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택성 페이딩에 대해서는 다중 경로 간의 시간 차이를 최소화하는 다중 경로 이동평균(Moving Average) 필터링 등의 방법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구의 실제방경을 r, 등가지구반경을 R, 등가지구 반경계수를 K라고 할 때, 이들은 어떤 관계식을 갖는가?

  1. R=Kr
  2. R=Kr2
  3. r=KR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지구반경은 지구의 실제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R > r 이다. 따라서 R = Krn (n > 1) 이라면 K 값이 너무 커져서 등가지구반경이 지구의 실제반경보다 훨씬 큰 값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n = 1 일 때, R = Kr 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소다이폴 안테나에서 발생된 전계 강도를 계산하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다이폴 안테나에서 발생된 전계 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전계 강도 = (송신 전력 × 안테나 이득 × 파장 수) / (4π × 거리^2)

    이 중에서 ""는 거리를 나타내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전계 강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거리를 알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안테나의 복사효과를 나타내는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관형 안테나에서 미터-암페어를 사용한다.
  2. 제펠린 안테나에서 이득을 사용한다.
  3. 헤리컬 안테나에는 복사전력이 사용된다.
  4. 파라보라 안테나에는 실효개구면적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헤리컬 안테나에는 복사전력이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안테나의 복사효과는 안테나의 길이나 면적이 전파를 반사하거나 방출하여 전파의 강도를 증폭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헤리컬 안테나는 나선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론적으로는 반사나 방출이 없기 때문에 복사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헤리컬 안테나는 주로 방향성 안테나로 사용되며, 이득을 사용하여 전파를 집중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도파관형 메탈렌즈에서 굴절률을 0.8로 하기 위한 금속판의 간격은 2.5㎝이다. 이때 사용주파수는?

  1. 10㎓
  2. 20㎓
  3. 3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도파관형 메탈렌즈에서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주파수 = 굴절률 * 속도 of 빛 / (판 간격 * 파장)

    여기서 굴절률은 0.8, 속도 of 빛은 3 x 10^8 m/s, 파장은 속도 of 빛 / 주파수 이므로,

    주파수 = 0.8 * 3 x 10^8 / (2.5 x 10^-2) / (3 x 10^8 / 주파수)

    이를 계산하면, 주파수는 약 10MHz (10 x 10^6 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으로 안테나로부터 먼거리에서 전자장은 어떤 자태로 진행하는가?

  1. TE mode
  2. TEM mode
  3. TM mode
  4. Hybrid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안테나로부터 먼 거리에서 전자장은 TEM mode로 진행됩니다. 이는 전자장이 전기장과 자기장이 모두 진행되는 전파 모드를 의미합니다. 이 모드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수직으로 진행되며, 전파가 진행되는 방향과 수직인 평면에서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TEM mode는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장의 기본 모드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장파의 전파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표파는 파장이 길수록 감쇄가 크다.
  2. 지표면의 도전율이 클수록 감쇄가 작다.
  3. 해면상에서는 먼거리까지 잘 전파된다.
  4. 근거리는 지표파에 의하여 장거리는 지표파와 전리층파에 의해서 통신이 행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파는 파장이 길수록 감쇄가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파장이 길수록 감쇄는 작아지며, 파장이 짧을수록 감쇄는 커집니다. 이는 파장이 길어질수록 전파가 지표면과 부딪혀 반사되는 효과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지표면의 도전율이 클수록 감쇄가 작아지는 것은 맞습니다. 지표면의 도전율이 높을수록 전파가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양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해면상에서는 먼거리까지 잘 전파된다는 것은 맞습니다. 해면상에서는 지표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지표파의 감쇄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근거리는 지표파에 의하여 장거리는 지표파와 전리층파에 의해서 통신이 행해진다는 것은 맞습니다. 근거리에서는 지표파가 지표면과 반사되어 통신이 이루어지고, 장거리에서는 지표파와 전리층파가 혼합되어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절대이득의 기준안테나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1. 무손실 수직 접지안테나
  2. 무손실 등방성안테나
  3. 무손실 다이폴 안테나
  4. 무손실 루우프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이득의 기준안테나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무손실 등방성안테나입니다. 이는 안테나의 방향성이 없으며,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강도의 전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에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무손실이기 때문에 신호의 감쇠가 없어서 최대한 원래의 신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파의 회절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초단파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2. 주파수가 낮을수록 심하다.
  3. 장중파대에서 많이 일어난다.
  4. 구면대지에서는 회절손실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단파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회절은 파장의 길이와 장애물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파장이 길어질수록 회절 현상이 적어지고 파장이 짧아질수록 회절 현상이 많아진다. 따라서 초단파는 파장이 짧아 회절 현상이 많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초단파는 지표면과 건물 등의 장애물을 통과할 때 회절 현상이 적게 일어나므로 "초단파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특성 임피던스가 Z0인 전송선로가 ZL=(0.5+j0.9)Z0 인 부하로 종단된 경우 정재파비 S를 구하면?

  1. 0.589
  2. 1.029
  3. 2.05
  4. 3.86
(정답률: 알수없음)
  • 정재파비 S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 = |Γ|² = |(Z_L - Z_0)/(Z_L + Z_0)|²

    여기서,

    Z_L + Z_0 = (0.5+j0.9)Z_0 + Z_0 = (1.5+j0.9)Z_0

    Z_L - Z_0 = (0.5+j0.9)Z_0 - Z_0 = (-0.5+j0.9)Z_0

    따라서,

    S = |(-0.5+j0.9)/ (1.5+j0.9)|² = 1.029

    즉, 정답은 1.029이다. 이는 부하 임피던스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반사파의 영향으로 인해 전력의 일부가 반사되어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파 안테나에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가 아닌 것은?

  1. Zeppeline antenna
  2. Beam antenna
  3. Rhombic antenna
  4. Adcock antenna
(정답률: 알수없음)
  • Adcock 안테나는 단파 안테나가 아닙니다. Adcock 안테나는 중파와 장파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입니다. Zeppeline 안테나, Beam 안테나, Rhombic 안테나는 모두 단파 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인 동축케이블내부의 전자계는?

  1. TEM 모드이고 차단파장은 없다.
  2. TEM 모드이고 차단파장은 중심도체 외직경의2배이다.
  3. TM 모드이고 차단파장은 없다.
  4. TM 모드이고 차단파장은 중심도체 외직경의2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축케이블은 내부와 외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내부의 전자계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수직인 전파가 전달되는 TEM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전파가 동축케이블의 중심축을 따라 진행되며, 차단파장이 없다. 따라서 "TEM 모드이고 차단파장은 없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개의 반사판을 갖는 안테나는?

  1. 다이폴 안테나
  2. 야기-우다 안테나
  3. 렌즈안테나
  4. 카세그레인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2개의 반사판을 갖는 안테나로, 반사판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한 피드를 통해 전파를 송수신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다른 안테나들보다 더 높은 이득과 좁은 방사각을 가지며, 주파수 대역폭도 넓습니다. 따라서 장거리 통신이나 위성 통신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임피던스가 50Ω인 급전선의 입력 전력 및 반사전력이 각각 50W 및 8W일때의 전압 정재파비는?

  1. 6.25
  2. 2.33
  3. 0.4
  4. 0.16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가 50Ω인 회로에서 입력 전력과 반사전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집니다.

    입력 전력 = 전압 정제파비^2 / (4 × 임피던스)
    반사전력 = (전압 정제파비 - 1)^2 / (4 × 임피던스)

    이를 이용하여 문제에서 주어진 입력 전력과 반사전력을 대입하고 전압 정제파비를 구합니다.

    50 = 전압 정제파비^2 / (4 × 50)
    전압 정제파비 = 2.33

    8 = (2.33 - 1)^2 / (4 × 50)

    따라서, 정답은 "2.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루우프 안테나를 방행탐지에 사용할 경우 180°불확정이 발생하여 전파도래 방향을 결정할 수 없다. 다음 중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안테나는?

  1. 수직 안테나와 루우프 안테나를 조합한 안테나
  2. 비버리지 안테나와 루우프안테나를 조합한 안테나
  3. 애드콕 안테나
  4. 베르니토시 안테나와 루우프 안테나를 조합한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안테나는 수평 방향으로 전파를 방출하고, 루우프 안테나는 수직 방향으로 전파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수직 안테나와 루우프 안테나를 조합한 안테나는 전파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모두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방향탐지에 있어서 180°불확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송신안테나의 높이가 30.25m이고, 수신 안테나의 높이가 20.25m일 때 초단파의 직접파 최대 가시거리는 얼마인가?

  1. 20.5m
  2. 32.2m
  3. 41.1m
  4. 53.4m
(정답률: 알수없음)
  • 초단파의 직접파 최대 가시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최대 가시거리 = √(2 × 송신안테나 높이 × 수신안테나 높이)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최대 가시거리 = √(2 × 30.25m × 20.25m) = 41.1m

    따라서 정답은 "41.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동축케이블에서 중심 도체의 지름이 2배로 되면 특성 임피던스는 원래보다 어떻게 되는가?

  1. 1/2배가 된다.
  2. 배가 된다.
  3. log2만큼 줄어든다.
  4. 만큼 줄어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축케이블에서 특성 임피던스는 도체의 지름에 비례한다. 따라서 중심 도체의 지름이 2배로 되면 특성 임피던스는 원래보다 지름의 제곱근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즉, 지름이 2배가 되면 특성 임피던스는 1/√2배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약 0.707배가 되므로, " 만큼 줄어든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길이가 반파장인 2선식 폴디드안테나(도선의 굵기는 같고 두 도선은 충분히 접근해있는 것으로 한다.)의 급전점 임피던스는?

  1. 36.56Ω
  2. 73Ω
  3. 192Ω
  4. 292Ω
(정답률: 알수없음)
  • 2선식 폴디드안테나의 급전점 임피던스는 292Ω이다. 이는 폴디드안테나의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특성 임피던스와 관련이 있다. 폴디드안테나는 두 도선이 충분히 접근해 있기 때문에 전파가 전달되는 동안 두 도선 사이의 전류가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 상호작용은 전파의 속도를 늦추고, 전파의 파장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폴디드안테나의 특성 임피던스는 일반적인 안테나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길이가 반파장인 2선식 폴디드안테나의 급전점 임피던스는 292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셀룰러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거리 D는?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룰러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거리 D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들 간의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이 거리는 서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되며,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거리가 가장 큰 값이기 때문이다. 즉,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들 간의 최소 거리를 최대화하여 서로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UHF대를 사용하는 통신망을 설계할 때 치국 계획상 고려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총장비 이득
  2. 총경로 손실
  3. 통신망 성능 평가치
  4. 전력 소모율
(정답률: 알수없음)
  • 치국 계획상 고려해야 할 점은 총장비 이득, 총경로 손실, 통신망 성능 평가치이다. 이는 통신망의 신호 강도와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반면에 전력 소모율은 통신망의 운영 비용과 관련이 있으며, 치국 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소모율은 치국 계획상 고려해야 할 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공전(대기잡음)이 아닌 것은?

  1. 클릭
  2. 험(Hum)잡음
  3. 그라인더
  4. 힛싱
(정답률: 알수없음)
  • 험(Hum)잡음은 전기기기나 전선 등에서 발생하는 저주파(50~60Hz)의 소리로, 공전(대기잡음)과는 다른 유형의 잡음이다. 클릭, 그라인더, 힛싱은 모두 기계적인 소리로, 공전(대기잡음)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험(Hum)잡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마이크로파 중계소 철탑에 취부한 파라보릭 안테나의 급전선으로 절연체인 플리에치렌으로 피복된 타원형 도파관을 실제 시공하고자 할 때 다음 중 맞는 것은?

  1. 쉴드 피복은 원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며, 한군데의 피복도 벗기지 말아야 한다.
  2. 접지하기 위하여 일부 피복을 벗기고 접지클램프를 부착할 수 있다.
  3. 타원형 도파관은 굽힘성 때문에 E밴드 또는 H밴드 시공을 할수 있다.
  4. 타원형 도파관은 수직, 수평직선 편파 급전선으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접지하기 위하여 일부 피복을 벗기고 접지클램프를 부착할 수 있다." 이다.

    파라보릭 안테나의 급전선은 높은 전력을 전송하기 때문에 접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부 피복을 벗기고 접지클램프를 부착하여 접지를 해야 한다. 그러나 쉴드 피복은 원상태로 유지해야 하며, 한군데의 피복도 벗기지 말아야 한다. 타원형 도파관은 굽힘성 때문에 E밴드 또는 H밴드 시공을 할 수 있으며, 수직, 수평직선 편파 급전선으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설명 중 틀린것은?

  1. 실제의 증폭기는 내부잡음이 있으므로 잡음지수는 1보다 크다.
  2. 무선통신방식의 최대 결점은 간섭이 있다는 것이다.
  3. 회로의 잡음은 완전하게 제거할수 있다.
  4. 비접지 안테나를 이용하면 공전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의 잡음은 완전하게 제거할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회로의 잡음은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여 잡음을 감소시키거나, 저잡음 증폭기를 사용하여 내부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화통신에 이용되는 PC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CM을 위한 표본화 시간단위는 125㎲이다.
  2. 표본화 주파수는 8㎑이다.
  3. 음성신호의 대역은 300-3400㎐로 제한한다.
  4. 음성신호의 대역보다 표본화 대역을 작게 하여야 원신호의 복원을 잘 할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성신호의 대역보다 표본화 대역을 작게 하여야 원신호의 복원을 잘 할수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사실이다. PCM에서는 원신호를 표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때 표본화 대역이 너무 넓으면 원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잘리게 되어 정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신호의 대역보다 표본화 대역을 작게 설정하여 원신호의 복원을 잘 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Spread Spectrum 무선통신방식중 FH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포착시간
  2. 주파수 도약분석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3. 원근 문제가 없다.
  4. 도약주파수가 증가하므로 스펙트럼 확산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FH방식의 특징 중 포착시간은 아니다. FH방식은 주파수 도약을 통해 통신을 하기 때문에 도약주파수가 증가하므로 스펙트럼 확산이 용이하고, 원근 문제가 없다. 하지만 주파수 도약분석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포착시간은 다른 무선통신 방식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포착시간은 신호를 포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FH방식에서는 이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PCM통신방식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표본화
  2. 지연화
  3. 양자화
  4. 부호화
(정답률: 알수없음)
  • PCM 통신 방식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지연화"입니다. 이는 PCM에서는 입력 신호가 샘플링되고 양자화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이 있지만, 지연화는 신호 처리 과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지연화는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의미하며, 이는 신호 처리 과정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ITU에서 공식적으로 통신위성의 종류를 서비스분야에서 볼 때 3가지 대별한다. 다음중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FSS
  2. TSS
  3. BSS
  4. MS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SS"이다. ITU에서는 FSS (고정위성서비스), BSS (브로드캐스트위성서비스), MSS (이동위성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TSS는 인정되지 않는다. TSS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ITU에서도 인정하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Direct Sequence와 같은 대역확산방식을 사용하여 Fading과 Jamming의 영향을 감소시킬수 있는 다자간 접속방법은?

  1. FDMA
  2. TDMA
  3. CDMA
  4. DFDMA
(정답률: 알수없음)
  • CDMA는 Direct Sequence와 같은 대역확산방식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사용자는 고유한 코드를 가지고 있어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Fading과 Jamming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FDMA와 TDMA는 주파수나 시간을 분할하여 사용자를 구분하지만, CDMA는 코드를 사용하여 구분하기 때문에 더 많은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DFDMA는 존재하지 않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위성통신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많은 통신용량
  2. 향상된 Error rate
  3. 통신의 비밀보장
  4. 주파수 변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통신의 장점 중에서 "향상된 Error rate"은 아닙니다. 이유는 위성통신은 지상통신과 달리 대기권을 통과하며 전파가 손실되거나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지상통신보다 Error rate가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통신에서는 Error rate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위성통신의 다원접속방식중에서 CDMA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스펙트럼 확산 기술이 아닌 것은?

  1. 직접확산방식
  2. 주파수 호핑방식
  3. 시간호핑방식
  4. 위상호핑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호핑방식은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위상을 변경하여 다원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스펙트럼 확산 기술이 아니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스펙트럼 확산 기술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무선송신기에 사용되지 않는 회로는?

  1. 변조회로
  2. AGC회로
  3. 고출력 증폭회로
  4. 구동 증폭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송신기에서 AGC(자동 이득 제어) 회로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송신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변조회로는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고출력 증폭회로와 구동 증폭회로는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위성통신에 사용하는 위성 통신안테나의 기능을 맞게 연결한 것은?

  1. 무지향성 안테나 -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Beam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2. horn안테나 - 명령 및 텔리메트리 신호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한다.
  3. 파라볼라 안테나 - 좁은 지역에 대한 Spot Beam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4. 헤리컬 안테나 - 비교적 높은 주파수대에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볼라 안테나는 반사면이 파라볼라 형태인 안테나로, 좁은 지역에 대한 Spot Beam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라볼라 안테나 - 좁은 지역에 대한 Spot Beam을 만드는데 사용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통신위성중 미국에서 제일 먼저 발사된 위성은?

  1. Telstar
  2. Echo-Ⅰ
  3. score
  4. SYNCOM-Ⅱ
(정답률: 알수없음)
  • Echo-Ⅰ은 1960년 8월 12일 미국에서 최초로 발사된 통신위성으로, 지구와 위성 사이에 반사판을 달아 전파를 반사시켜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이후에 발사된 다른 위성들은 직접 통신을 하는 방식이었지만, Echo-Ⅰ은 반사판을 이용한 방식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한 첫 번째 위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주파수 분할 FM통신방식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2. 간섭파의 방해가 강하다.
  3. 초다중 신호의 전송에 적합하다.
  4. 중계기에 의해 전송 신호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계기에 의해 전송 신호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은 주파수 분할 FM통신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는 중계기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반송파 주파수가 fc이고, 이동국이 u속도로 수신파에 대해 θ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 fr은?

(정답률: 알수없음)
  •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국이 움직이면 수신되는 주파수 f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r = fc + (u/c) * fc * cosθ

    여기서 u는 이동국의 속도, c는 빛의 속도입니다. 이동국이 기지국 쪽으로 움직이면 cosθ가 커지므로 fr은 fc보다 커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파수 분할 다중(FDM)방식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복합변조방식은?

  1. SS-AM
  2. SS-FM
  3. SS-SS
  4. SS-PM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분할 다중(FDM)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복합변조 방식 중에서는 주로 직교 변조 방식인 직교 진폭 변조(SS-AM)와 직교 주파수 변조(SS-FM)가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SS-FM은 주파수 변조 방식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변조 신호의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주파수만 변조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SS-FM이 FDM 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복합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Squelch회로의 입력은 어느단에서 얻는 것이 적합한가?

  1. 고주파 증폭단
  2. 중간주파 증폭단
  3. 저주파 증폭단
  4. 주파수 변별기
(정답률: 알수없음)
  • Squelch 회로는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 변별기에서 입력을 받는 것이 적합합니다. 다른 증폭단에서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Squelch 회로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이동통신에 있어서 음성신호 처리의 방법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진폭 변환처리 : 선형 변환처리
  2. 주파수 변환처리 : 비선형 변환처리
  3. 시간-진폭 변환처리 : 비선형 변환처리
  4. 주파수-시간 변환처리 : 선형 변환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음성신호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이므로, 주파수-시간 변환처리를 통해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모두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선형 변환처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선형 변환은 입력 신호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출력 신호를 변환하기 때문에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시간 변환처리는 선형 변환처리를 사용하여 음성신호 처리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수치 자료 표현 방법에서 부동 소수점 표현을 가장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에는 부호부, 가수부로 구분할수 있다.
  2. 정밀도가 요구되는 과학 및 공학 또는 수학적인 응용에 주로 사용된다.
  3. 수를 표현하는 자리수는 고정 소수점에 비하여 적게 든다.
  4. 수 표현 방법이 고정 소수점에 비하여 간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은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가수부와 지수부로 나누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과학, 공학, 수학적인 응용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는 고정 소수점 방법보다 더 큰 범위의 수를 표현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은 정밀한 계산이 필요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중 인증이 면제되는 정보통신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험ㆍ연구를 위하여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인증대상 정보통신기기
  2. 국내에서 판매하지 않고 수출전용으로 제조하는 인증대상 정보통신기기
  3. 디지털 선택호출장치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해상이동 업무용 무선국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기기
  4. 전자파 적합등록을 한 주 컴퓨터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수입하는 전자파적합등록 대상기기의 구성품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선택호출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해상이동 업무용 무선국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기기는 인증이 면제되지 않습니다. 이는 해상에서의 통신이므로 안전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송명령없이 데이터를 입출력장치에서 메모리로 전송할수 있는 것은?

  1. DMA
  2. Interrupt
  3. FIFO
  4. SCAN
(정답률: 알수없음)
  •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을 통해 입출력장치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명령없이 데이터를 입출력장치에서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명령이 필요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DM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인터럽트 발생시에 돌아올 주소를 어디에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가는가?

  1. ALU
  2. STACK POINTER
  3. PROGRAM COUNTER
  4. STATUS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발생 시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에 다시 이전 상태로 복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터럽트 발생 시에는 돌아올 주소를 저장해야 하는데, 이 주소는 보통 스택 포인터에 저장됩니다. 스택 포인터는 현재 스택의 위치를 가리키는 레지스터로, 인터럽트 발생 시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스택에서 이전 주소를 꺼내어 프로그램 카운터로 복귀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 시에는 스택 포인터에 돌아올 주소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과 같은 32비트의 2의 보수형식의 고정 소수점의 수가 표현할수 있는 최대값은?

  1. 231-1
  2. 231+1
  3. 232
  4. 231
(정답률: 알수없음)
  • 32비트의 2의 보수형식에서 1비트는 부호를 나타내므로, 31비트가 숫자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고정 소수점의 경우, 소수점을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미리 정해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소수점을 오른쪽에서 15번째 비트에 위치시키면, 나머지 16비트는 정수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값은 2의 31승 -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기억장치의 계층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 것은?

  1. 주기억장치
  2. 보조기억장치
  3. 캐쉬기억장치
  4. 코아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캐쉬기억장치는 CPU와 가까이 위치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속도가 빠릅니다.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는 캐쉬기억장치보다 느리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립니다. 코아기억장치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기술이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공중선계의 충족조건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공중선은 이득이 높고 능률이 좋을 것
  2. 정합이 충분할 것
  3. 만족스러운 지향성을 얻을수 있을 것
  4. 급전선으로부터의 복사가 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급전선으로부터의 복사가 클 것"은 공중선의 충족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급전선으로부터의 복사가 많을수록 전파 간섭이 발생하고, 이는 공중선의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중선을 설치할 때는 급전선과의 거리를 충분히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파이프라인에 의한 이론적 최대 증가율을 내지 못하는 주된 이유가 아닌 것은?

  1. 병목현상
  2. 자원회피
  3. 데이터 의존성
  4. 분기곤란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이프라인에 의한 이론적 최대 증가율을 내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병목현상"입니다. 파이프라인에서는 각 단계의 처리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가장 느린 단계가 전체 처리 속도를 결정합니다. 반면에 "자원회피"는 파이프라인에서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이지만, 이론적 최대 증가율을 내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자원회피는 각 단계에서 필요한 자원이 충분하지 않아 작업이 지연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에서 정보통신기기 인증규칙에서 “인증표시”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형식승인표시
  2. 형식등록표시
  3. 전자파적합등록표장
  4. 전파환경측정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환경측정표시는 정보통신기기 인증규칙에서 인증표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해당 기기가 전파 환경 측정을 통해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 인증 규칙에서는 전파환경측정표시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의료용 전파응용설비의 안전시설에 관한 규정이다. 틀린 것은?

  1. 인체의 안전을 위하여 접지장치를 설치할 것
  2. 의료전극과 그 도선은 직접 인체에 닿지 아니하도록 양호한 절연체로 덮을 것
  3. 고압전기에 의하여 충전되는 기구와 전선은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정할수 있도록 밖으로 노출되어 있을 것
  4. 의료전극 및 그 도선과 발진기등 사이에서의 절연저항은 500볼트용 절연저항시험기에 의하여 측정하여 50메가옴 이상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고압전기에 의하여 충전되는 기구와 전선은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정할수 있도록 밖으로 노출되어 있을 것"은 틀린 것입니다. 이는 안전상 위험하므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안전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파관계법에서 안전시설을 해야하는 고압전기는 얼마를 초과하는 전기를 말하는가?

  1. 고주파 또는 교류전압 300볼트, 직류전압 550볼트
  2. 고주파 또는 교류전압 500볼트, 직류전압 650볼트
  3. 고주파 또는 교류전압 600볼트, 직류전압 750볼트
  4. 고주파 또는 교류전압 700볼트, 직류전압 850볼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관계법에서 안전시설을 해야하는 고압전기는 고주파 또는 교류전압 600볼트, 직류전압 750볼트를 초과하는 전기를 말한다. 이유는 전기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인체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전기는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2진수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다음 중 어느것에 해당하는가?

  1. (102)8
  2. (107)8
  3. (141)8
  4. (145)8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1100101을 3자리씩 끊어서 각각을 8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10 010 1

    2진수 110은 8진수로 6에 해당하고, 2진수 010은 8진수로 2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2진수 1은 8진수로 1에 해당한다. 따라서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621)8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5)8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8진수로 변환한 결과를 다시 3자리씩 끊어서 보면 (1 010 101)8이 된다.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1x8^2 + 0x8^1 + 5x8^0 = 145가 된다. 따라서 2진수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145)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입출력 과정에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큰 방식은?

  1. Programmed I/O
  2. Interrupt-Driver I/O
  3. DMA
  4. Chaanel I/O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입출력 동작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Programmed I/O"이다. CPU는 입출력 명령어를 실행하고, 입출력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을 직접 처리한다. 따라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크다. 반면, "Interrupt-Driver I/O"는 입출력 요청이 들어오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CPU에 처리를 요청하는 방식이고, "DMA"는 입출력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Channel I/O"는 입출력 채널이라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입출력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공중선 전력의 표시방법 중 평균전력은 어느것으로 표시하는가?

  1. PX
  2. PR
  3. PY
  4. PZ
(정답률: 알수없음)
  • 공중선 전력의 평균전력은 "PY"로 표시합니다. 이는 전력량을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전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X"는 최대 전력, "PR"은 순시 전력, "PZ"는 제로 전력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평균 전력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수신설비로부터 부차적으로 발사되는 전파의 세기는 수신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은 의사공중선회로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어느정도인가?

  1. -54데시벨밀리와트(dBmW)이하
  2. +54데시벨밀리와트(dBmW)이하
  3. -100데시벨밀리와트(dBmW)이하
  4. +100데시벨밀리와트(dBmW)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설비로부터 부차적으로 발사되는 전파는 잡음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수신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잡음의 세기는 수신공중선과 의사공중선회로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의사공중선회로는 수신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은 선으로, 이를 통해 잡음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잡음의 세기는 "-100데시벨밀리와트(dBmW)이하"로 나타내며, 이는 매우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정답은 "-54데시벨밀리와트(dBmW)이하"입니다. 이는 수신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이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무변조상태에서 송신장치로부터 송신공중선계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으로서 무선주파수의 1주기동안에 걸쳐 평균한 것은?

  1. 평균전력
  2. 첨두포락선전력
  3. 반송파전력
  4. 규격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전력은 무선 통신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재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선 통신에서 송신된 신호의 평균 전력을 나타내는 것은 반송파전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중 공중선전력이 50㎾인 KBS TV 송신소에서 실제 발사할 수 있는 공중선 전력의 허용치는?

  1. 40㎾~50㎾
  2. 40㎾~50.5㎾
  3. 40.5㎾~55㎾
  4. 50.5㎾~60.5㎾
(정답률: 알수없음)
  • KBS TV 송신소에서 발사할 수 있는 공중선 전력의 허용치는 5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50.5㎾"입니다. 이는 KBS TV 송신소에서 발사할 수 있는 공중선 전력의 최대치가 50㎾이지만, 실제 발사 시에는 일정한 여유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치는 40㎾ 이상이 되어야 하며, 최대치는 50.5㎾ 이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순서도의 기본형태가 아닌 것은?

  1. 직선형 순서도
  2. 분기형 순서도
  3. 세분화형 순서도
  4. 반복형 순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세분화형 순서도는 기본형태가 아니며, 다른 순서도들보다 더욱 상세하고 세분화된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다른 순서도들과는 달리 더 많은 단계와 세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잡한 과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문자의 표시와 관계 적은 것은?

  1. BCD코드
  2. EBCDIC코드
  3. 그레이코드
  4. ASCII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코드는 문자의 표시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레이코드는 이진수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인접한 두 수의 차이가 1인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 000과 001, 010과 011, 100과 101, 110과 111은 각각 1비트만 다르기 때문에 그레이코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자의 표시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보통신부장관이 전파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립ㆍ시행하여야 할 시책과 관계 적은 것은?

  1. 새로운 주파수의 이용기술 개발
  2. 이용중인 주파수의 이용효율 향상
  3. 주파수의 국내등록
  4. 국가간 전파혼신의 해소와 이의 방지를 위한 협의와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부장관이 전파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립ㆍ시행하여야 할 시책과 관계 적은 것은 "주파수의 국내등록"입니다. 이는 이미 할당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새로운 주파수 할당 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이용기술 개발, 이용효율 향상, 국가간 전파혼신의 해소와 이의 방지를 위한 협의와 조정은 모두 전파자원 확보를 위한 중요한 시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