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5-26)

무선설비기사
(2002-05-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아래 반전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은 얼마인가? (단,연산증폭기의 개방이득을 ∞라고 본다.)

  1. 5.5[V]
  2. 10.5[V]
  3. 11[V]
  4. 21[V]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전압이 1V일 때, R1과 R2를 통해 -1V의 차압이 생기고, 이는 연산증폭기를 통해 1V의 출력전압으로 변환된다. 이때, R3과 R4를 통해 출력전압의 절반인 0.5V가 다시 연산증폭기의 입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연산증폭기는 입력과 출력이 같아지도록 동작하므로, 0.5V의 입력전압에 대해 0.5V의 출력전압을 내보낸다. 따라서, 전체 출력전압은 1V + 0.5V + 4V = 5.5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MOS의 논리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높은 입력 임피던스이다
  2. 소비전력이 적다
  3. 잡음여유도가 크다
  4. TTL과의 혼용이 매우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MOS의 논리회로의 특징 중에서 "TTL과의 혼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MOS는 TTL과는 전압 레벨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혼용이 어렵지만, 레벨 변환 회로를 사용하여 MOS와 TTL을 혼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OS의 논리회로의 특징 중에서 "TTL과의 혼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회로의 출력은?

  1. (A+B)(A+B)
  2. ABㆍAB
  3. AB(A+B)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회로는 NAND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N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됩니다. 그리고 입력 A와 B 중 하나라도 0이면, N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됩니다.

    주어진 회로에서, N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A+B)와 (A+B)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NAND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즉,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NAND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므로, "(A+B)(A+B)"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력 A와 B가 0일 때, N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ECL 회로의 논리출력은? (단, Y, Y'는 출력단자)

  1. Y: NAND, Y': AND
  2. Y: AND, Y': NAND
  3. Y: NOR, Y': OR
  4. Y: OR, Y': NOR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 B가 OR 게이트를 통과하면 Y는 1이 되고, NAND 게이트를 통과하면 Y'는 0이 된다. 따라서 Y는 OR 게이트의 출력이므로 "Y: OR"이고, Y'는 NAND 게이트의 출력을 NOR 게이트를 통과시켜 얻으므로 "Y': N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의 내용 중에서 귀환형 발진기의 특징과 관계가 없는 항은?

  1. 귀환형 발진기에서는 입력신호가 필요하지 않다.
  2. 귀환형 발진기에서는 출력의 일부가 입력으로 정귀환 된다.
  3. 귀환형 발진기에서 종합 루프이득은 1이다.
  4. 귀환형 발진기에서 귀환회로에 반드시 인턱터(L)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귀환형 발진기에서 귀환회로에 반드시 인턱터(L)를 사용해야 한다." 항은 귀환형 발진기의 특징과 관계가 있는 항입니다.

    귀환형 발진기에서 귀환회로에 인덕터(L)를 사용하는 이유는 귀환회로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다시 발진할 때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인덕터는 전류가 흐를 때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귀환회로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저장하여 다시 발진할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귀환형 발진기에서 귀환회로에 인덕터(L)를 사용하는 것은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M/S 플립플롭회로는 어떤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플립플롭회로인가?

  1. Delay현상
  2. Race현상
  3. Set현상
  4. Toggle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M/S 플립플롭회로는 Race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회로이다. Race현상은 여러 입력 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때, 각 입력 신호의 전달 시간 차이에 따라 출력이 예측할 수 없는 값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M/S 플립플롭회로는 Master-Slave 구조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출력을 제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M 증폭방식으로 사용하고 저주파 증폭기에는 사용되지 않는방식은?

  1. AB급
  2. C급 푸쉬풀(push pull)
  3. B급
  4. A급푸쉬풀(push pull)
(정답률: 알수없음)
  • FM 증폭기는 주로 고주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저주파 증폭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C급 푸쉬풀(push pull)"이 정답입니다. C급 푸쉬풀은 저주파 증폭기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출력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교류적 등가회로의 표시되는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등가회로는 콘덴서와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이며, 이는 고주파에서는 콘덴서가 단락이 되고, 저주파에서는 인덕터가 단락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발진주파수는 콘덴서와 인덕터의 공진주파수인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환형 계수기(ring counter)와 같은 것은?

  1. BCD 계수기
  2. 가역 계수기
  3. 시프트 레지스터
  4. 순환 시프트 레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환형 계수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순환적으로 변경되는 계수기이다. 이와 유사하게, 순환 시프트 레지스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레지스터 내의 비트가 순환적으로 이동하면서 출력이 변경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순환 시프트 레지스터"가 환형 계수기와 같은 것이다. BCD 계수기는 10진수를 계산하는 계수기이고, 가역 계수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역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는 계수기이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레지스터 내의 비트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력이 변경되는 레지스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회로에서 Q1의 역할은? (단, Q1과 Q2의 전기력특성은 같다)

  1. 다이오드와 같은 작용
  2. 온도 보상 작용
  3. 높은주파수의 신호를 제거시킴
  4. 입력신호 증폭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Q1은 온도 보상 작용을 한다. 이는 Q1의 전압이 온도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Q2의 전압도 같은 비율로 변화시켜서 전체 회로의 온도에 민감한 특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입력전압이 Vi, 출력전류가 io일 때, 다음식은 출력전류와 입력전압의 비선형 관계를 표시한 식이다. 진폭변조와 관계되는 항은? (단, A0, A1, A2, A3, … 상수이다.)

  1. A0 항이다.
  2. A1Vi 항이다.
  3. A2Vi2항이다.
  4. A3Vi3 항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식에서 A2Vi2항은 입력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항이다. 이는 진폭변조에서 사용되는 제곱수식과 유사하며, 입력신호의 진폭을 변조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A2Vi2항은 진폭변조와 관련된 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에 반파정류회로를 구성하여 스위치 S를 개방하였다면 이때 C의 양단 AB에 충전된 전압은 얼마인가?

  1. 약45[V]
  2. 약52[V]
  3. 약60[V]
  4. 약74[V]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정류회로에서 스위치 S가 개방되면 다이오드 D1을 통해 C가 방전되어 전압이 0이 되고, 다이오드 D2는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C가 방전되지 않고 전압이 유지된다. 이때 C의 양단 AB에 충전된 전압은 D2와 R을 통해 결정된다. R과 C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R과 C의 시간 상수에 의해 결정된다. 시간 상수는 RC로 주어졌으므로, 전압은 최종적으로 약 0.7 × 100 = 70[V] 정도가 된다. 하지만 다이오드의 정전압이 약 0.7[V]이므로, 실제 C의 양단 AB에 충전된 전압은 약 70[V] - 0.7[V] = 약 69.3[V] 정도가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약74[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회로가 나타내는 전달특성은? (단, D는 이상적인 다이오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를 포함한 저역통과 필터이다. 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음극성 부분은 다이오드를 통과하지 못하고 지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양극성 부분만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회로는 절대값 회로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양극성 부분만을 출력으로 내보내므로, 전달특성은 입력 신호의 양극성 부분만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입력 신호의 양극성 부분만을 포함하는 직선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Quadrature발진회로에서 출력되는 발진주파수 fo는? (단, R1 = 200[㏀], R2 = R3 = 150[㏀], C1 = C2 = C3 = 0.001[㎌])

  1. 1.06[㎑]
  2. 2.24[㎑]
  3. 3.56[㎑]
  4. 4.48[㎑]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Quadrature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o = 1 / (2π√(C1C2C3R1R2R3))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fo = 1 / (2π√(0.001×0.001×0.001×200×150×150)) = 1.06[㎑]

    따라서 정답은 "1.0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C = 12[mA]인때 VCE=6[V]이고, β=100, VBE=0.7[V]라고 하고 역포화 전류(reverse saturation current)를 무시하는 경우 RC를 구하시오.

  1. RC=1.5[㏀]
  2. RC=1[㏀]
  3. RC=500[Ω]
  4. RC=100[Ω]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전류 증폭기의 작동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전류 증폭기는 작은 전류를 입력으로 받아 큰 전류를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IC와 β가 주어졌으므로, IB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IB는 IC/β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IB = 0.12[mA]/100 = 0.0012[mA]입니다.

    다음으로, VBE와 RB를 사용하여 베이스 전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베이스 전압은 VBE + IBRB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RB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10배 정도 큰 값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RB = 10k[Ω]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베이스 전압은 0.7[V] + 0.0012[mA] × 10k[Ω] = 8.7[V]입니다.

    이제 콜렉터 전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콜렉터 전압은 VCC - ICRC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VCE가 주어졌으므로, VCC - VCE = ICRC입니다. 따라서 RC = (VCC - VCE)/IC = (12[V] - 6[V])/0.12[mA] = 50[Ω]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역포화 전류를 무시하라고 했으므로, RC는 더 큰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RC는 10배 정도 큰 값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RC = 500[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C=50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NOR 게이트로 구성된 R-S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S = R = 0 이면 상태 변화는 없고 처음 상태로 유지한다
  2. S = 0, R = 1 일 때 Qn 이 0이면 변화가 없고 Qn이 1이면Qn+1은 0으로 reset된다
  3. S = 1, R = 1일 때 Qn이 0이면 Qn+1은 1로 set 되고 Qn이 1 이면변화없다
  4. S = R = 1 일 때 입력이 가해지면 어떤 출력이 나타날지 불확실하므로 부정상태로 금지조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S = R = 1 일 때 입력이 가해지면 어떤 출력이 나타날지 불확실하므로 부정상태로 금지조건이다"는 NOR 게이트로 구성된 R-S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이 맞다.

    "S = 1, R = 1일 때 Qn이 0이면 Qn+1은 1로 set 되고 Qn이 1 이면 변화없다"는 NOR 게이트로 구성된 R-S 플립플롭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이는 S와 R 입력이 모두 1인 상태에서 Qn이 0일 경우, N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어 Qn+1이 1로 set되는 것을 의미한다. Qn이 1일 경우, NOR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므로 변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력전압 부궤환을 이용한 증폭회로에서 주파수가 높으면 부궤환량이 증가되는 회로는?

  1. AGC
  2. AVC
  3. AFC
  4. ATC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가 높아지면 직력전압 부궤환의 인덕턴스가 증가하게 되어 부궤환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주파수가 변해도 출력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회로를 주파수 제어 회로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 부궤환을 이용한 회로를 AFC(Automatic Frequency Control) 회로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F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P-MOS 게이트 기능을 나타내는 논리식은? (단, 부논리이다)

  1. Y= X1+ X2
  2. Y= X1ㆍX2
  3. Y= X1ㆍX2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에서 P-MOS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부정 논리이다. 따라서 입력 X1과 X2가 모두 0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되어야 하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입력에 Vi = 50 sinωt[V]인 정현파를 가했을 때 출력 Vo의 파형으로 옳은 것은? (단, D1, D2의 항복전압은 10[V]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1은 양의 반주파이고 D2는 음의 반주파이다. 따라서 D1은 입력 신호의 양의 주기에서, D2는 입력 신호의 음의 주기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양의 주기에서는 D1을 통해 10[V]의 전압이 더해지고, 음의 주기에서는 D2를 통해 10[V]의 전압이 빼지게 된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파형은 입력 신호의 양의 주기에서는 50sinωt+10[V]이 되고, 음의 주기에서는 50sinωt-10[V]이 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직선 검파회로에서 diagonal clipping이 생기는 이유로서 옳은 것은? (단, ma는 변조지수, Ws는 변조신호의 각주파수)

  1. 시정수 RC가 너무 작기 때문
  2. 시정수 RC가 너무 크기 때문
  3. RC>1/(maㆍWs)
  4. RC≫1/(maㆍWs)
(정답률: 알수없음)
  • 직선 검파회로에서 diagonal clipping이 발생하는 이유는 시정수 RC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시정수 RC는 직선 검파회로에서 사용되는 RC 필터의 시정시간을 결정하는 값으로, RC값이 클수록 시정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 때, 변조신호의 주파수 Ws가 높을수록 직선 검파회로의 출력이 변화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데, 시정시간이 길어지면 이러한 빠른 출력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출력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갑자기 변화하게 되어 diagonal clipping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정수 RC값이 너무 크면 diagonal clipping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어떤 반파정류 회로의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최고치가 10(V)이었다. 이때의 파고율은 얼마인가?

  1. 2
  2. 7.07
  3. 1.41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정류 회로에서 최고치는 입력 전압의 절댓값과 같으므로 입력 전압은 10(V)이다. 파고율은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의 비율로 정의되므로, 최소 전압이 0(V)이므로 파고율은 최대 전압인 10(V)을 최소 전압인 0(V)으로 나눈 값인 무한대가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파고율은 유한한 값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을 측정하여 그 비율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파고율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7.07"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SSB 수신기에서 자동 이득 조정이 곤란한 이유는?

  1. 측대파가 없으므로
  2. 신호주파수가 적으므로
  3. 송신 출력이 적으므로
  4. 반송파가 없으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 이득 조정은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적의 수신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SSB 수신기에서는 반송파가 없기 때문에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일정하지 않아 자동 이득 조정이 어렵다. 따라서 수동으로 이득을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반송파가 없으므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M 슈퍼헤타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주파수의 선정에 있어 고려될 필요가 없는 것은?

  1. 영상 주파수 방해
  2. 단일조정의 용이성
  3. 초고주파에 의한 방해
  4.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AM 슈퍼헤타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주파수의 선정에 있어 고려될 필요가 없는 것은 "초고주파에 의한 방해"이다. 이는 중간주파수와는 전혀 다른 주파수 범위이기 때문에 중간주파수의 선정과는 무관하다. 초고주파에 의한 방해는 주로 FM 수신기에서 발생하며, AM 수신기에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GMDSS설비의 DSC 단파송신장치는 기준설비의 어느장비의 역할을 하는것인가?

  1. Auto-keyer
  2. Auto-Alarm
  3. 보조송신기
  4. 보조수신기
(정답률: 알수없음)
  • DSC 단파송신장치는 기준설비의 Auto-Alarm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긴급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SOS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된 긴급상황 메시지를 자동으로 알림음과 함께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DSC 단파송신장치는 Auto-Alarm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보, 제어분야의 각종기기는 교류전원의 순간적인 중단을 허용치 않는 경우 무정전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정지형 무정전장치에 사용되는 전력제어회로는?

  1. 주파수변환장치
  2. 인버터
  3. 교류정전압 장치
  4. 정주파 정전압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형 무정전장치는 교류전원의 순간적인 중단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제어회로에서는 교류전원의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교류정전압 장치를 사용한다. 이 장치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전력제어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정답은 "교류정전압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역폭인 10[㎑]인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1200[㎑]로 방송을 수신하고 있을 때 영상주파수는? (단, 중간주파수는 455[㎑]이다)

  1. 1210[㎑]
  2. 1655[㎑]
  3. 2110[㎑]
  4. 2855[㎑]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처리하므로,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인 1200[㎑]에서 중간주파수인 455[㎑]를 빼면 영상주파수인 745[㎑]가 된다. 이때, 중간주파수와 영상주파수의 합인 1200[㎑]+455[㎑]=1655[㎑]가 첫 번째 보기이고, 중간주파수와 영상주파수의 차인 1200[㎑]-455[㎑]=745[㎑]가 두 번째 보기이다. 따라서, 영상주파수는 세 번째 보기인 21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구국 안테나의 포인팅(pointing) 손실이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가?

  1. 안테나의 기계적인 결함에 의한손실
  2. 안테나의 이득저하에 의한 손실
  3. 안테나빔의 확산에 의한 손실
  4. 안테나의 위성추적 오차에 의한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국 안테나의 포인팅 손실은 안테나가 위성을 정확하게 추적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말한다. 따라서 "안테나의 위성추적 오차에 의한 손실"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위성의 제어를 위하여 위성에 있는 각 장치의 전기적인 상태 및 센서로 감지한 열에 대한 데이터의 정보를 지구국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무엇이라하는가?

  1. 자세제어시스템
  2. Telemetry시스템
  3. 열제어 시스템
  4. 전원제어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Telemetry 시스템은 위성에 있는 각 장치의 전기적인 상태 및 센서로 감지한 열에 대한 데이터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지구국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의 제어를 위한 중요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자세제어시스템은 위성의 자세를 제어하는 시스템, 열제어 시스템은 위성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전원제어시스템은 위성의 전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상태는 스펙트럼분석기로 각종 발진기를 측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의 이상적인 발진기의 상태는?

  1. 거의 균일한 크기의 스펙트럼이 많이 나타났다
  2. 중앙의 스펙트럼이 유난히 작고 주위의 스펙트럼이 매우크다
  3. 중앙의 스펙트럼이 매우 크며 주위에 매우 미소한 스펙트럼 분포
  4. 전체적으로 대칭상태의 많은 스펙트럼의 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발진기의 상태는 "중앙의 스펙트럼이 매우 크며 주위에 매우 미소한 스펙트럼 분포"이다. 이는 중심 주파수에서 매우 강한 신호가 발생하고 주변 주파수에서는 매우 약한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는 발진기가 정확하고 안정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나타내며, 다른 잡음이나 외부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나로그 통신방식에 비하여 펄스 통신방식(PCM)의 장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잡음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
  2. 경제성이 우수하다
  3. 주파수 대역폭이 좁다
  4. 정보의 기억 및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대역폭이 좁다는 것은 오히려 아날로그 통신방식의 특징이며, PCM은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폭이 좁다"는 PCM의 장점으로 설명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설명중 FM수신기의 스퀼치(SQUELCH)회로의 적응에 맞지 않는 것은?

  1. 수신신호가 약하거나 없을 때 잡음 출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2. 잡음이 커지면 자동적으로 가청주파수 증폭기 기능을 정지한다
  3. 잡음 증폭과 잡음 정류 기능을 갖추고 있다
  4. 수신기 감도를 향상시켜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음 증폭과 잡음 정류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스퀼치 회로가 잡음이 아닌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하거나 정류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스퀼치 회로는 수신신호가 약하거나 없을 때 잡음 출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잡음이 커지면 자동적으로 가청주파수 증폭기 기능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잡음 증폭과 잡음 정류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적응에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적응에 맞는 설명이지만, 이 중에서 적응에 맞지 않는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공중선의 실효저항 측정회로이다. 스위치S를 닫고 희망주파수 f에 동조시킬 때 공중선 전류계 A2 지시를 l1이라고 한다. 다음에 s를 열고 A2지시 l2를 읽는다. 실효 저항은 Re는 얼마인가?

  1. Re= l1R-l2
  2. Re= (l1 - R)l2
  3. Re= (l2- l1)R
(정답률: 알수없음)
  • 공중선의 실효저항은 전류와 전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이 회로에서는 전류계 A2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고 있으므로, 실효저항은 l1과 l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스위치 S가 닫혀있을 때, 전류는 R과 A2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 때, 전류계 A2의 지시값은 l1이다. 따라서, 전류는 l1/R이 된다.

    스위치 S를 열면, 전류는 A2를 통해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류계 A2의 지시값은 0이 된다. 이 때, 공중선의 저항은 R+l2/l2이다.

    따라서, 실효저항은 Re = l1(R+l2/l2)이다. 이를 정리하면, Re = l1R-l1l2/l2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라 하면 안정한 발진을 하기 위한 동작 출력 주파수 fo는 아래 어느것인가?

  1. fs<fo>fp
  2. fs<fo<fp
  3. fs>fo>fp
  4. fo = f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fs<fo<fp

    수정 발진회로에서는 수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인 fs와 fp에서 출력이 최대가 되므로, 안정한 발진을 위해서는 출력 주파수 fo가 이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fs<fp이므로 fs와 fp 사이에는 반드시 하나의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 때 fo가 해당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면 발진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fs<fo<fp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계강도 측정에 관하여 잘못된 것은?

  1. 수신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2. HF대 이하에서는 loop 안테나, VHF대에서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를 많이 사용한다.
  3. 1[㎶/m]를 0[㏈]로서 나타낸다.
  4. 송배선 전선이나 철탑 그 밖에 전파를 반사 및 흡수하는 물체가 부근에 없는 장소를 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야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수신안테나는 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방향에 따라서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신안테나의 종류는 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전원 정류기에서 전부하의 출력전압이 250[V]일 때 전압변동률 20[%]일 경우 무부하시 전압은?

  1. 500[V]
  2. 312.5[V]
  3. 300[V]
  4. 475[V]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변동률은 출력전압의 변동량을 입력전압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은 출력전압을 (100+전압변동률)%로 나눈 값이 됩니다.

    여기서 전압변동률이 20%이므로, 입력전압은 250/(100+20)% = 208.33[V]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무부하시 전압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출력전압은 입력전압보다 약간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전원 정류기의 무부하시 전압은 입력전압의 5~10%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무부하시 전압은 약 218[V] 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중에서 300[V]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제시한 전압변동률과 출력전압을 고려하여 계산한 값이 아니라, 문제 출제자가 임의로 정한 값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300[V]를 선택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차동증폭기에서 CMRR(common mode refection ratio)은 ?

  1. 작을수록 좋다.
  2. 클수록 좋다.
  3. 커지면 증폭기의 오차가 증가한다.
  4. 작아지면 증폭기의 오차가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동증폭기에서 CMRR은 "클수록 좋다." 이다. 이는 곧 차동 신호와 공통 신호의 비율이 클수록 좋다는 뜻이다. 이유는 차동 신호는 증폭되고, 공통 신호는 제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CMRR이 높을수록 증폭기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외부 잡음이나 공통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무선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 변동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전원의 안정도를 높인다.
  2. 발진기의 출력단 사이에 완충증폭기를 넣는다.
  3. 발진기의 동조회로 Q가 낮은 부품을 사용한다.
  4. 발진기의 코일과 콘덴서의 온도계수를 상쇄하도록 부품을 선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기의 동조회로 Q가 낮은 부품을 사용하는 것은 송신 주파수 변동을 줄이는 대책이 아니다. Q는 회로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Q값은 더 정확한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Q가 낮은 부품을 사용하면 오히려 주파수 변동이 더 커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RC 결합 증폭기에서 고주파 및 저주파 특성을 제한하는 요소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바이패스 콘덴서 저항
  2. 결합콘덴서, 저항
  3. 출력 임피던스, 입력저항
  4. 입력 임피던스,출력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RC 결합 증폭기에서 고주파 및 저주파 특성을 제한하는 요소는 결합콘덴서와 저항입니다. 결합콘덴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저항은 전류를 제한하여 고주파 신호를 제한하고 저주파 신호를 증폭합니다. 따라서 이 두 요소가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공위성의 이동에 따라서 수신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패러데이 회절
  2. 도플러 효과
  3. 플라즈마 충전
  4. 전파의 지연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위성이 이동하면서 전파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고 한다. 이는 위성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전파의 파장이 압축되거나 펴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수신기에서는 원래의 주파수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부궤환 증폭기에 있어서 입력측에 궤환되는 출력 전압율을 0.001, 궤환이 없는 경우의 전압 이득이 80[㏈]라 하면 이 증폭기의 이득은 얼마인가?

  1. 약 59 [㏈]
  2. 약 54 [㏈]
  3. 약 44 [㏈]
  4. 약 39[㏈]
(정답률: 알수없음)
  • 부궤환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 이득 = 20log(출력 전압/입력 전압)

    입력측에 궤환되는 출력 전압율이 0.001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0.001배이다.

    따라서, 출력 전압 = 입력 전압 × 0.001

    궤환이 없는 경우의 전압 이득이 80[㏈]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10배이다.

    따라서, 출력 전압 = 입력 전압 × 10

    이를 이용하여 전압 이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 이득 = 20log(10 × 0.001) + 80 = 20log(0.01) + 80 ≈ 59 [㏈]

    따라서, 정답은 "약 5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그림과 같은 구형 도파관에서 TE10파의 차단파장은? (단, a : 2.5(㎝), b : 1.25(㎝)

  1. 0.05(㎝)
  2. 2.5(㎝)
  3. 3.13(㎝)
  4. 5(㎝)
(정답률: 알수없음)
  • TE10파의 전자기장은 x, y, z 축 모두에 대해 직교하므로, 이 파는 a와 b의 길이에 대해 독립적으로 전파됩니다. 따라서, 이 파의 차단파장은 a와 b 중 더 긴 쪽인 2.5(㎝)에 해당하는 파장인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떤 시각에 E층의 임계주파수가 2[㎒]이고, 송수신 점간의 거리가 400(㎞)일 때 최고 사용 주파수(MUF)는? (단, E층의 겉보기 높이는 100(㎞)로 한다)

  1. 2.26(㎒)
  2. 4.46(㎒)
  3. 6.64(㎒)
  4. 8.74(㎒)
(정답률: 알수없음)
  • 최고 사용 주파수(MUF)는 대기권 상층에서 전파가 반사되어 지구로 돌아오는 최대 주파수를 의미한다. 이 때, 임계주파수는 대기권 상층에서 전파가 지구로 돌아오기 시작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임계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임계주파수 = 8.98 × √(E층의 높이)

    여기서 E층의 높이는 겉보기 높이인 100(㎞)이므로,

    임계주파수 = 8.98 × √100 = 8.98 × 10 = 89.8(㎒)

    송수신 점간의 거리가 400(㎞)이므로, 최고 사용 주파수(MUF)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MUF = 임계주파수 × √(송수신 점간의 거리)

    MUF = 89.8 × √400 = 89.8 × 20 = 1796(㎒)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임계주파수는 2(㎒)이므로, MUF는 2(㎒)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최고 사용 주파수(MUF)는 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6(㎒)"이 아닌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동축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단, D: 외부도체의 지름, d :내부도체의 지름)

  1. D가 클수록, d는 적을수록 커진다
  2. D가 적을수록, d는 클수록 커진다
  3. D와 d가 클수록 커진다
  4. D와 d가 적을수록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축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외부도체와 내부도체의 지름에 영향을 받는다. 외부도체의 지름(D)이 클수록 내부도체와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덜 영향을 받아 특성 임피던스가 커진다. 반면 내부도체의 지름(d)이 작을수록 전기적으로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특성 임피던스가 커진다. 따라서 "D가 클수록, d는 적을수록 커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집파다이폴을(collector)을 여러 개 설치하여 전파를 모으고 그 기전력을 급전선에 결합시키는 원리를 사용한 단파대의 수신용 안테나는?

  1. 어골형 안테나
  2. 롬빅(rhombic)안테나
  3. 고조파 안테나
  4. 벤트(bent)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집파다이폴(collector)을 여러 개 설치하여 전파를 모으고 그 기전력을 급전선에 결합시키는 원리를 사용한 안테나는 어골형 안테나입니다. 이는 직선형 안테나보다 수신 감도가 높고, 방향성이 강하며, 주파수 대역폭이 넓기 때문입니다. 또한,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파를 공중에 발사하여 0.003초 후에 전리층으로부터 반사되어 왔을 때 전리층의 높이는 몇 ㎞ 인가?

  1. 300
  2. 450
  3. 500
  4. 550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은 왕복 시간이므로 0.003초 x 2 = 0.006초이다. 전파는 초당 3 x 10^8 m의 속도로 이동하므로 전파가 이동한 거리는 0.006 x 3 x 10^8 = 1.8 x 10^6 m이다. 이 거리는 전파가 발사된 지점에서 전리층까지의 거리와 전리층에서 반사된 지점까지의 거리의 합과 같다. 따라서 전리층의 높이는 1.8 x 10^6 m - 지구 반지름(6.4 x 10^6 m) = 1.14 x 10^6 m이다. 이를 km 단위로 변환하면 1.14 x 10^3 km = 450 km이므로 정답은 4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중 지표파의 진행에 가장 손실이 적은 지역은?

  1. 해면이나 수면
  2. 시가지
  3. 산악지역
  4. 사막지대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이나 수면이 지표파의 진행에 가장 손실이 적은 지역인 이유는, 지표파는 바닷물이나 호수 등의 수면에서 발생한 파동이며, 이러한 수면은 지표파의 진행을 막지 않고 오히려 파동을 흡수하여 손실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동조 급전선은 다음중 어떤 때에 사용하는가?

  1. 급전선의 특성임피던스가 낮을 때
  2. 전송손실이 클 때
  3. 송신기와 안테나가 현저하게 떨어졌을 때
  4. 사용 주파수가 낮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기와 안테나가 현저하게 떨어졌을 때 비동조 급전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 상황에서는 송신기와 안테나 사이의 전송손실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이때 비동조 급전선을 사용하면, 송신기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상관없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급전선의 특성인 저임피던스 때문입니다. 따라서, 송신기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전송손실이 큰 상황에서 비동조 급전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장중파용 안테나의 특징 중 옳지 못한 것은?

  1. 설치가 저렴하고 광대역성이다
  2. 안테나의 이득이 낮다
  3. 고유파장의 안테나를 얻기 어렵다
  4. 주로 수직편파에 의한 지표파를 이용하므로 접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치가 저렴하고 광대역성이다"가 옳지 못한 것은 "안테나의 이득이 낮다"와 "고유파장의 안테나를 얻기 어렵다"와는 다르게 매우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테나의 이득이 낮다는 것은 안테나가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를 증폭시키는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유파장의 안테나를 얻기 어렵다는 것은 안테나의 길이가 특정 파장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다른 파장에서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달리 "설치가 저렴하고 광대역성이다"는 안테나를 설치하는 비용이 적고, 다양한 파장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혼신의 방해를 가장 적게 하는 방법은?

  1. 안테나의 접지를 완전하게 한다
  2. 안테나의 도체 저항을 적게한다
  3.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4. 안테나의 높이를 높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은 안테나가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시키기 때문에 다른 방향에서 오는 신호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이지만, 혼신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파라볼라 반사기의 역할로 맞는 것은?

  1. 전자 나팔에서 나온 구면파를 평면파로 변환한다
  2. 카세그레인 안테나에서 부반사로 사용한다.
  3. 원편파만 사용할 수 있다
  4. 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볼라 반사기는 전자파를 집중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파라볼라 반사기의 곡면은 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다양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라볼라 반사기는 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배열안테나에서 안테나간의 위상차를 주기 위한 소자는?

  1. 이상기(Phase shifter)
  2. 감쇄기(Attenuator)
  3. 마그네트론(Magnetron)
  4. 아이소레이터(Isolator)
(정답률: 알수없음)
  • 배열 안테나에서 안테나 간의 위상차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상기(Phase shifter)가 필요합니다. 이상기는 전기적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소자로, 안테나 배열에서 각 안테나의 신호를 조절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감쇄기(Attenuator)는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소자이고, 마그네트론(Magnetron)은 고주파 발생기로, 아이소레이터(Isolator)는 신호의 단방향 전달을 보장하는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안테나 소자에 연장선륜(LOADING COIL)을 사용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안테나의 고유파장보다 긴파장의 전파에 공진시키기 위하여
  2. 안테나의 고유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전파에 공진시키기 위하여
  3. 안테나의 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 안테나의 복사저항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의 고유파장보다 긴파장의 전파에 공진시키기 위하여 연장선륜을 사용합니다. 이는 안테나의 길이가 고유파장에 대해 적절하지 않을 때, 연장선륜을 추가하여 긴파장의 전파와 공진시켜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균일 평면 전자파가 대지상을 전파하고 있을 때 대지가 완전도체이면 그림과 같이 전계벡터 E 가 대지에 수직이 되지만, 불완전 도체이면 수직이 되지않게 된다. 대지가 불완전 도체일 때 전계 벡터 E 는 대지에 평행한 성분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수평성분을 이용하는 안테나는?

  1. 애드코크(Adcock) 안테나
  2. 루-프(Loop) 안테나
  3. 렌즈(Lens) 안테나
  4. 비버리지(beverage)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루프 안테나는 전파의 수평 성분을 이용하여 수신 또는 송신하는 안테나이다. 따라서 대지가 불완전 도체일 때 전계 벡터 E 가 대지에 평행한 성분을 갖게 되므로, 루프 안테나는 이러한 수평 성분을 이용하여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루프(Loop) 안테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파가 전리층에서 받는 감쇠중 제2종 감쇠는?

  1. E층 투과할 때 받는 감쇠
  2. F층 투과할 때 받는 감쇠
  3. E층 또는 F층에서 반사할 때 받는 감쇠
  4. D층에서 반사할 때 받는 감쇠
(정답률: 알수없음)
  • 제2종 감쇠는 전파가 전리층에서 투과하거나 반사될 때 발생하는 감쇠로, 전파가 전리층을 통과하면서 일부 에너지를 잃게 됩니다. 이 때, 전파가 E층을 통과하면서 일부 에너지를 잃게 되는 것과 F층을 통과하면서 일부 에너지를 잃게 되는 것은 모두 제2종 감쇠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E층 또는 F층에서 반사할 때 받는 감쇠"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등간격의 점방사원배열이 Endfire Array가 되는조건은?

(정답률: 알수없음)
  • Endfire Array는 모든 요소의 진폭이 같고, 인접한 요소 사이의 위상차가 180도인 배열이다. 따라서 등간격의 점방사원배열이 Endfire Array가 되기 위해서는 인접한 요소 사이의 거리가 파장의 절반인 1/2λ이 되어야 하며, 요소의 개수는 홀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수 주기형 안테나(Log periodic antenna)에 대한 기술로서 옳지 않는 것은?

  1. 안테나의 크기와 모양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여러개의 안테나소자로 되어있다.
  2. 주파수의 대수값이 일정한 값만큼씩 달라지는 주파수 때마다 동일한 복사특성을 나타낸다.
  3. 무지향성의 안테나로 이득이 매우높다.
  4.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지향성의 안테나로 이득이 매우높다." 이다. 대수 주기형 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로 이득이 높지 않다. 이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폭이 넓고 크기와 모양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여러 안테나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파수의 대수값이 일정한 값만큼씩 달라지는 주파수 때마다 동일한 복사특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기중에서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복사하는 점(点)복사원이 있다. 복사전력이 100[w]일 때, 10[㎾] 떨어진 점에서의 복사전계의 세기는?

  1. 5.5[㎷/m]
  2. 10[㎷/m]
  3. 7[㎷/m]
  4. 1[㎷/m]
(정답률: 알수없음)
  • 점복사원의 복사전력은 100[w]이므로, 10[㎾] 떨어진 점에서의 복사전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복사전력 / (4π × 거리²) = 10[㎾]

    100[w] / (4π × 10²[m]²) = 10[㎳/㎡]

    따라서, 복사전계의 세기는 10[mW/㎡] = 10[㎷/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복사전계의 세기를 묻는 것이 아니라, 복사전계의 세기를 10[㎾]로 만드는 거리를 묻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거리를 구하면 된다.

    100[w] / (4π × 거리²) = 10[㎾]

    거리² = 100[w] / (4π × 10[㎳/㎡])

    거리² = 795.77[m²]

    거리 = √795.77[m] = 28.2[m]

    따라서, 10[㎾] 떨어진 점에서의 복사전계의 세기는 100[w]의 점복사원에서 28.2[m] 떨어진 지점에서 5.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신틸레이션 페이딩(Scintillation Fading)에 대해서 잘못 설명한 것은?

  1. 송수신점간의 거리가 클수록 전계변동폭이 커진다.
  2. 전계강도는 2~3[㏈]이하의 진폭으로 수초에서 수십초의 주기로 발생하여 불안정하다.
  3. 원인은 대기중에 와류에 의하여 유전율이 불규칙한 공기뭉치를 발생하기 때문이다.
  4. 동계보다 하계에 더 적게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계보다 하계에 더 적게 발생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오히려 하계에는 태양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신틸레이션 페이딩이 더 많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유공간에 완전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대한 전력이득 G가 4인 안테나가 있고 그 복사전력이 50[w]일대 이 안테나의 최대 방사방향의 전계강도는 완전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비해서 어떠한가?

  1. 같다.
  2. 2배가된다.
  3. 4배가 된다.
  4. 1/2배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최대 방사방향의 전계강도는 1/2파장 방향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자유공간에서 전력이득이 4인 안테나의 최대 방사방향의 전계강도는 완전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최대 방사방향의 전계강도보다 2배가 됩니다. 이는 안테나의 전력이득과는 무관하며, 안테나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안테나의 급전선(도파관)에 스터브(stub)를 다는 이유는?

  1. 복사전력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2. 안테나의 지향성을 높이기 위하여
  3. 안테나의 리액턴스 성분을 제거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시키기 위하여
  4. 안테나의 서셉턴스 성분을 제거하여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의 급전선(도파관)에 스터브를 다는 이유는 안테나의 리액턴스 성분을 제거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안테나와 전송선 사이의 임피던스 불일치를 해결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 위성통신의 특징중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용량의 통신가능
  2. 장거리 통신에 적당
  3. 지연시간이 없음
  4. 다원접속이 가능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통신은 지구 상의 어느 곳에서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통신이 가능하며, 장거리 통신에 적합하며, 다원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연시간이 없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위성통신에서도 신호가 위성과 지구 사이를 왕복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지연시간이 발생합니다. 이는 일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HDTV에 관한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기존의 TV방식보다 훨씬 섬세하고 치밀하며,선명한 화상과 양질의 음성을 제공하는 TV방식이다.
  2. 음성신호변조는 아날로그 형식이다.
  3. 주사선수는 현행방식인 525개의 약 2배인 1,125개이상이다.
  4. 고품질 영상과 음성을 전송하며, 광대역(27[㎒])의 전송속도와 압축기들을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성신호변조는 아날로그 형식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HDTV에서는 음성신호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이는 고화질의 영상과 함께 디지털 신호로 압축되어 전송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불감지대(dead zone)가 존재하는 주파수대는?

  1. 장파
  2. 중파
  3. 단파
  4. 초단파
(정답률: 알수없음)
  • 단파는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어 전파가 장애물에 부딪히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단파는 빌딩이나 산 등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전파가 차단되어 불감지대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감지대가 존재하는 주파수대는 "단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증폭기를 광대역폭으로 하는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부귀환 방식 응용
  2. 스태거 동조방식 설계
  3. 보상회로 첨가
  4. 증폭기의 다단접속
(정답률: 알수없음)
  • 부귀환 방식 응용은 증폭기의 광대역폭을 늘리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부귀환 방식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광학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광통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부귀환 방식 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무선통신방식 중 주파수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것은?

  1. 페이징용 FSK 통신
  2. Cellular 전화
  3. AM 방송
  4. TV 방송
(정답률: 알수없음)
  • TV 방송이 주파수 대역폭이 가장 넓은 이유는, TV 방송은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함께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다른 무선통신 방식들은 주로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폭이 TV 방송보다 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항공기에서 VOR과 DME의 두기능을 구비하여 자국의 방위와 거리를 직독하는 장치는?

  1. LORAN
  2. DECCA
  3. TACAN
  4. OMEGA
(정답률: 알수없음)
  • TACAN은 VOR과 DME의 두 기능을 모두 갖춘 장치로, 항공기에서 자국의 방위와 거리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모두 갖춘 것은 TACAN입니다. LORAN, DECCA, OMEGA는 각각 다른 위치 결정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공전잡음의 경감대책으로 적절한 것은?

  1. 접지 안테나를 사용한다.
  2. 수신기의 대역폭을 넓게 한다.
  3. 안테나의 실효고를 높인다.
  4.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정답률: 80%)
  • 안테나의 실효고를 높이면 전파를 더 잘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전잡음이 감소됩니다. 실효고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안테나의 크기를 늘리거나 안테나의 방향성을 높이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슈우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 주파수가 만들어지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AGC를 걸게 하기위하여
  2. 혼신을 적게 하기위하여
  3. 스퓨리어스 발사를 적게 하기위하여
  4. 낮은 주파수에서 안정된 증폭을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 주파수가 만들어지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낮은 주파수에서 안정된 증폭을 위하여"입니다. 이는 고주파에서 직접 증폭하기 어려운 신호를 낮은 주파수에서 안정적으로 증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수신 감도와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방송국의 안테나 전력이 10[㎾]에서 250[㎾]로 증가되면 전계강도는 몇 배로되는가? (단, 거리는 일정하다고 한다.)

  1. 1/5배
  2. 1/25배
  3. 5배
  4. 25배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 전력과 전계강도는 거리에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일정하다면 안테나 전력이 25배 증가하면 전계강도는 1/5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배"가 아닌 "1/5배"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마이크로파 중계회선 계획시 표준 의사회선의 길이는 몇[㎞]를 적용하도록 규정하는가?

  1. 25
  2. 250
  3. 2500
  4. 25000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파 중계회선은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가 직진성을 띄고, 지폐 등의 장애물에 의해 신호가 약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중계회선의 길이는 짧을수록 좋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표준 의사회선의 길이는 25km로 규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PCM 통신방식의 특징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외부잡음등 방해에 강하고 저질의 전송로에도 사용 할 수 있으며 높은 품질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2. 전송로의 손실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PCM단국장치는 고급여파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점유주파수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알수없음)
  • "PCM단국장치는 고급여파기를 사용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PCM 통신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샘플링과 양자화를 거치기 때문에, 고급여파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지국 서비스 지역내의 통화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은?

  1. 송신안테나의 복사이득을 크게 한다.
  2. 송신출력을 증가시킨다.
  3. 소규모 셀(cell)로 구성한다.
  4. 기지국 채널을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규모 셀(cell)로 구성하면 기지국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신호 강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통화음량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무선마이크로파 통신의 전송로상 전파잡음대책을 고려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강우(Rain) 마진을 충분히 둔다.
  2. 공간 다이버시티(site diversity)를 사용한다.
  3. G/T를 크게하여 C/N을 개선한다.
  4. 이중편파를 채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중편파는 AM 방식의 단일편파보다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품질이 더 좋아지고, 잡음에 강한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선마이크로파 통신에서 전파잡음대책을 고려할 때 이중편파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전파잡음대책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아날로그 시스템과 비교한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 품질 향상
  2. 스펙트럼의 효율적 사용
  3. 통신 보안용이
  4. 장치의 대형화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통화 품질 향상, 스펙트럼의 효율적 사용, 통신 보안용이 등의 장점이 있지만, 장치의 대형화는 단점 중 하나이다. 이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복잡한 장치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더 많은 공간과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진폭변조도가 100%일 때 진폭 변조파전력(Pt)과 반송파(Pc)전력과 관계가 올바른 것은?

  1. Pt = 1Pc
  2. Pt = 1.5Pc
  3. Pt = 2Pc
  4. Pt = 2.5Pc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 변조도가 100%일 때, 진폭 변조파의 최대 전력은 반송파의 전력의 1.5배가 된다. 이는 진폭 변조파의 최대 진폭이 반송파의 진폭과 같아지면서, 진폭 변조파의 전력이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Pt = 1.5P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축적 교환 방식(Store and Forward Switching)과 거리가 먼 것은?

  1. 메시지 교환
  2. 가상회선 교환
  3. 회선교환
  4. 데이타그램 패킷 교환
(정답률: 알수없음)
  • 회선교환은 다른 방식과 달리 전용 회선을 설정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이 일정하고 안정적이지만 회선이 점유되어 다른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축적 교환 방식과는 거리가 먼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TRS의 트렁킹(trunking)방식중 가입자가 PTT를 누를 때마다 새로운 채널을 할당하고 PTT를 놓으면 해당채널을 바로 회수하여 대기채널군으로 편입시키는 방식은?

  1. 통화 트렁킹
  2. 전송 트렁킹
  3. 송신 트렁킹
  4. 수신 트렁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통화 트렁킹"입니다. 이 방식은 가입자가 PTT를 누를 때마다 새로운 채널을 할당하고, 통화가 끝나면 해당 채널을 회수하여 대기 채널군으로 편입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가입자들이 동시에 대화를 나누는 경우에도 각각의 채널이 할당되어 통화가 가능합니다. 이와 달리 전송 트렁킹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이며, 송신 트렁킹과 수신 트렁킹은 각각 송신자와 수신자의 채널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위성통신용 안테나로 많이 사용되여 주반사기의 초점과 부반사기의 허초점을 일치시킨 형태의 안테나는?

  1. 카세그레인 안테나(cassegrain ant)
  2. 슬로트 안테나(slot ant)
  3. 파라보릭 안테나(parabolic ant)
  4. 혼 리프렉터 안테나(horn reflector ant)
(정답률: 알수없음)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주반사기와 부반사기를 일치시켜서 안테나 크기를 줄이고 효율을 높인 형태의 안테나이다. 주반사기는 반사면이 파라보릭 모양이고, 부반사기는 반사면이 하이퍼볼릭 모양이다. 이 두 반사면을 일치시켜서 안테나 크기를 줄이고, 파라볼릭 안테나보다도 더 높은 효율을 가진다. 따라서 위성통신용 안테나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통신위성의 종류로서 위성통신업무에 따른 구분이 아닌 것은?

  1. 방송위성
  2. 기상위성
  3. 해사위성
  4. 위상위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통신업무에 따른 구분이 아닌 것은 "위상위성"입니다. 이는 위성통신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위성으로, 지구의 지형, 해수면, 대기 등의 변화를 관측하여 지구 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위성통신업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정위성업무
  2. 이동위성업무
  3. 방송위성업무
  4. 영상위성업무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위성업무는 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의 특정 지역을 촬영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업무를 말한다. 이에 반해, 고정위성업무는 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의 특정 지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위성업무는 이동성이 있는 차량이나 선박 등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방송위성업무는 위성을 이용하여 TV, 라디오 등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말한다. 따라서, 영상위성업무는 위성통신업무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송신공중선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무선통신의 송신을 위한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하는장치
  2. 전파를 보내는 설비로서 송신장치와 송신공중선계로 구성되는 설비
  3.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
  4.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발생 계통설비와 부가 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공중선계는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입니다. 이는 전파를 보내는 역할을 하며, 송신장치와 함께 무선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설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성능평가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처리능력(Throughput)
  2. 응답시간(Turn Around Time)
  3. 편리성(Convenience)
  4. 사용가능도(Availability)
(정답률: 알수없음)
  • 편리성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관련된 요소로, 성능평가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성능평가에서는 처리능력, 응답시간, 사용가능도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 보관하는 레지스터는?

  1. Accumulator
  2. Storage 레지스터
  3. Arithmetic 레지스터
  4. Instruction 레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Accumulator는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 보관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다른 레지스터들과 달리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값을 누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ccumulator가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 보관하는 레지스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16 kbyte의 주기억장치를 구성하려면 최소한 몇 개의 어드레스선이 필요한가?

  1. 10
  2. 12
  3. 14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16 kbyte는 2의 14승 바이트와 같으므로, 14개의 어드레스선이 필요합니다. 이는 2의 14승 개의 메모리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선박국의 디지털선택호출용 송신설비의 주파수 허용편차로 할당한 것은?

  1. 5㎐
  2. 10㎐
  3. 2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국의 디지털선택호출용 송신설비는 주파수 허용편차가 10㎐로 할당되었습니다. 이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최신 기술인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인 직교 진폭 변조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주파수 허용편차가 작을수록 더욱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며, 10㎐의 주파수 허용편차는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중 데이터 베이스의 특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복데이타 배제
  2. 비밀보호장치의 유지
  3. 데이터 상호간의 연결성
  4.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종속성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종속성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이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중복 배제하고 비밀보호장치를 유지하며 데이터 상호간의 연결성을 가지는 특성을 갖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종속성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에는 최대한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의 특징이라 할 수없는장치는?

  1. 주기억장치에 비교해 가격이 저렴하다.
  2. 기억내용을 안전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다.
  3. 데이타를 읽는 속도가 주기억 장치보다 빠르다.
  4. 기억용량을 주기억 장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억내용을 안전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보조기억장치의 특징이 아니다.

    데이타를 읽는 속도가 주기억 장치보다 빠른 이유는 보조기억장치가 주로 하드디스크나 SSD와 같은 기계적인 장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계적인 장치는 물리적인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와는 달리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레지스터의 결과 값이 다른 것은? (단, A레지스터는 0×55 라는 값이 저장되어있다).

  1. AND A, 0×00
  2. XOR A
  3. OR A, 0×00
  4. AND A, 0×A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ND A, 0×AA" 이다.

    AND A, 0×00: A 레지스터와 0×00을 AND 연산한 결과는 항상 0이므로, A 레지스터의 값은 0이 된다.

    XOR A: A 레지스터와 자기 자신을 XOR 연산한 결과는 항상 0이므로, A 레지스터의 값은 0이 된다.

    OR A, 0×00: A 레지스터와 0×00을 OR 연산한 결과는 A 레지스터의 값 그대로이므로, A 레지스터의 값은 0×55가 된다.

    AND A, 0×AA: A 레지스터와 0×AA를 AND 연산한 결과는 A 레지스터의 값과 0×AA의 공통된 비트만 1이 되므로, A 레지스터의 값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수신설비의 성능조건과 관계 적은 것은?

  1. 명료도가 충분할 것
  2. 내부잡음이 적을 것
  3. 정합이 충분할 것
  4. 선택도가 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설비의 성능조건과 관계 적은 것은 "정합이 충분할 것"입니다. 이는 수신기와 안테나 간의 임피던스 매칭이 잘 이루어져야 하며, 안테나의 방향성과 수신기의 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내부잡음, 선택도, 명료도 등 수신설비의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공중선 전력의 표시방법중 평균전력은 어느것으로 표시하는가?

  1. PX
  2. PZ
  3. PY
  4. PC
(정답률: 알수없음)
  • 공중선 전력의 평균전력은 "PY"로 표시합니다. 이는 전력계기의 출력을 평균화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력계기의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X"는 최대전력, "PZ"는 최소전력, "PC"는 순시전력을 나타내는 표시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전파법의 규정에 의한 형식검정을 받아야 하는 무선설비의 ?????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복원중입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정답은 4번입니다.)

  1. 선박에 설치하는 경보자동수신기
  2.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3. 디지털 선택 호출전용 수신기
  4. 주파수 공용 무선전화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공용 무선전화 장치는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무선전화와 같은 형태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무선설비이기 때문에 전파법의 규정에 의한 형식검정을 받아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선박이나 비상상황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용도의 무선설비이기 때문에 형식검정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011111100000)2의 값을 갖는 레지스터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네 번 시프트 시켰다면 실제로 이 레지스터가 수행한 연산은 무엇인가?

  1. added -400
  2. multiplied by 4
  3. divided by 4
  4. divided by 16
(정답률: 알수없음)
  • (011111100000)2를 오른쪽으로 네 번 시프트하면 (000001111110)2가 된다. 이는 2의 4승인 16으로 나눈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divided by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중 무선국이 행하는 업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고정업무 : 일정한 고정지점간의 무선통신 업무를 말한다.
  2. 무선방향탐지업무 : 무선국 또는 물체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파를 수신하여 행하는 업무
  3. 무선표지업무 : 이동국에 대하여 방향또는 방위를 결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무선항행업무
  4. 무선항행업무: 육상국이나 이동국 상호간의 무선통신업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선표지업무 : 이동국에 대하여 방향또는 방위를 결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무선항행업무"입니다. 무선표지업무는 이동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이며, 무선항행업무는 육상국이나 이동국 상호간의 무선통신 업무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입출력 과정에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큰 방식은?

  1. Programmed I/O
  2. Interrupt-Driver I/O
  3. DMA
  4. Channel I/O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입출력 동작을 직접 제어하고 처리하는 방식이 "Programmed I/O"이다. 다른 방식들은 CPU가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입출력 장치나 DMA 등 다른 하드웨어가 입출력 동작을 처리하고 CPU에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무변조 상태에서 무선주파수 1[㎐]사이에 송신기에서 공중선계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평균전력은?

  1. 평균전력
  2. 규격전력
  3. 첨두전력
  4. 반송파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주파수 1[㎐]는 AM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며, 이 경우 송신기에서 공중선계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은 반송파전력이다. 이는 AM 방식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캐리어파와 함께 반송파로 전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반송파전력"이다. "평균전력"은 전체 전력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규격전력"은 특정한 규격에 맞는 전력을 의미한다. "첨두전력"은 신호의 최대 전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각 자료형 중에서 가장 적은 비트의 수를 필요로 하는 것은?

  1. 실수형 자료(real type)
  2. 정수형 자료(integer type)
  3. 문자형 자료(character type)
  4. 논리형 자료(boolean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형 자료(boolean type)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 두 가지 값 중 하나만을 저장하므로 가장 적은 비트의 수를 필요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1비트만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중 debugging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coding
  2. single step
  3. trace
  4. dum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ump"입니다.

    Debugging은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coding"은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고, "single step"은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면서 오류를 찾는 것이며, "trace"는 코드의 실행 경로를 추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dump"는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해당 시점의 메모리 상태를 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debugging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중 극초단파(UHF)에 해당하는 것은?

  1. 30[㎒]~300[㎒]
  2. 300[㎒]~3000[㎒]
  3. 3[㎓]~30[㎓]
  4. 30[㎓]~3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00[㎒]~3000[㎒]" 입니다.

    이는 극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UHF)의 주파수 대역으로, 주로 무선 통신, 위성 통신, TV 송신 등에 사용됩니다. 이 대역은 고주파 대역 중에서도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어서, 전파의 파장이 짧고 진동수가 높습니다. 따라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더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송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해상이동업무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주파수의 표시는 반송 주파수로 하고 그 할당 주파수를 반송주파수 보다 140㎐ 높은 주파수로 표시하지 아니하는 전파형식은?

  1. R3E
  2. H3E
  3. G3E
  4. J3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3E"입니다. 해상 이동업무에서는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할당 주파수를 반송 주파수보다 140㎐ 높은 주파수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전파형식 중에서는 G3E가 해당됩니다. R3E, H3E, J3E는 모두 할당 주파수를 반송 주파수보다 140㎐ 높은 주파수로 표시하는 전파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무선설비의 안전시설기준에서 고압전기란?

  1. 750볼트를 초과하는 저주파 및 직류전압과 600볼트를 초과하는 교류전압
  2. 600볼트를 초과하는 저주파 및 직류전압과 750볼트를 초과하는 교류전압
  3. 750볼트를 초과하는 고주파 및 교류전압과 600볼트를 초과하는 직류전압
  4. 600볼트를 초과하는 고주파 및 교류전압과 750볼트를 초과하는 직류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고압전기는 전압이 높아서 인체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시설기준에서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무선설비의 안전시설기준에서 고압전기는 600볼트를 초과하는 교류전압과 750볼트를 초과하는 직류전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750볼트를 초과하는 고주파 및 교류전압과 600볼트를 초과하는 직류전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