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무선설비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시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의 특징으로 틀린것은?

  1.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일종이다.
  2. 출력은 구형파 형태이다.
  3. 입력전압 크기로서 회로의 On, Off를 결정한다.
  4. 전압 비교회로 및 A/D 변환 회로에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미트 트리거 회로의 특징 중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일종이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는 다른 회로입니다.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신호의 잡음이나 왜곡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출력신호를 만들어내는 회로입니다. 입력신호가 일정한 임계값을 넘어가면 출력신호가 전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전압 크기로서 회로의 On, Off를 결정한다."는 맞는 내용입니다.

    또한, "전압 비교회로 및 A/D 변환 회로에 사용한다."는 시미트 트리거 회로의 활용 분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출력은 구형파 형태이다."는 일반적으로 시미트 트리거 회로의 출력신호가 구형파 형태인 것은 아닙니다. 출력신호의 형태는 회로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Vo는 몇 [V] 인가?

  1. 3[V]
  2. 4[V]
  3. 5[V]
  4. 6[V]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의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1과 R2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전체 전압인 10V와 같습니다. 따라서, R1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전압의 3/5, 즉 6V이고, R2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전압의 2/5, 즉 4V입니다. Vo는 R2에 연결된 점의 전압이므로, Vo는 4V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V]"가 아닌 "5[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의 회로에서 RL=100[Ω], ab에서 본 부하저항 Rab는 10[kΩ]이다. 이상적인 변압기에서 권선비 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0
  2. 10
  3. 0.1
  4. 0.01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불 대수식 를 간단히 할 경우 옳은 것은?

  1. 1
  2. A
  3. B
  4. C
(정답률: 77%)
  • 정답은 "1"입니다.

    불 대수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는 논리 연산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 불 대수식은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OR 연산자를 적용해보겠습니다. OR 연산자는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전체 식이 참이 됩니다. 따라서, OR 연산자로 묶인 항목 중 하나라도 참이면 전체 식이 참이 됩니다. 따라서, OR 연산자로 묶인 항목 중 하나라도 참이면 전체 식이 참이 됩니다.

    그 다음으로, AND 연산자를 적용해보겠습니다. AND 연산자는 둘 다 참이어야 전체 식이 참이 됩니다. 따라서, AND 연산자로 묶인 항목 중 하나라도 거짓이면 전체 식이 거짓이 됩니다.

    따라서, 불 대수식을 간단히 하면 (A OR B) AND (NOT 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의 형태는?

  1. 콜피츠(Colpitts) 발진회로
  2. 하틀레이(Hartley) 발진회로
  3. 동조형 발진회로
  4. 이상형(phase shift) 발진회로
(정답률: 100%)
  • 이 발진회로는 인덕터와 콘덴서를 이용하여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로, 인덕터와 콘덴서의 위치가 콜피츠 발진회로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하틀레이 발진회로는 콜피츠 발진회로와 구조적으로 다르며, 주파수 조절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발진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미분회로에 삼각파를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출력파형은?

  1. 정현파
  2. 톱니파
  3. 삼각파
  4. 구형파
(정답률: 알수없음)
  • 미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회로이므로, 입력 신호가 삼각파일 경우 출력은 입력 신호의 기울기가 가파른 부분에서 큰 양수값을 가지고, 기울기가 완만한 부분에서는 작은 음수값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출력 신호는 구형파와 유사한 모양을 가지게 되므로, 정답은 "구형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차동증폭기의 설계 조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드리프트를 줄여야 한다.
  2. 차동 이득을 크게 해야 한다.
  3. 동상 이득을 크게 해야 한다.
  4. CMRR를 크게 해야 한다.
(정답률: 50%)
  • 정답: "동상 이득을 크게 해야 한다."

    이유: 차동증폭기는 차동 신호를 증폭하고, 동상 신호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동상 이득을 크게 하는 것은 차동증폭기의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오히려 동상 이득을 작게 하고, 차동 이득을 크게하여 차동 신호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드리프트를 줄이고, 공통모드 잡음 억제비(CMRR)를 크게 하는 것도 중요한 설계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회로의 출력(Vo) 파형으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양극성을 가지고 있을 때, 출력 신호도 양극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입력 신호가 양극성을 가지고 있을 때, 출력 신호도 양극성을 가지는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논리식 을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A"입니다.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A AND B) OR (NOT A AND NOT B)

    = (A NAND B) NAND (A NAND B)

    = A XNOR B

    논리식을 XNOR으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4변수에 대한 카르노 맵(Karnaugh map)이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경우 이를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1. A⊕B⊕C⊕D
  2. (A+B)⊕(C+D)
  3. (A⊕B)+(C⊕D)
  4. AB⊕CD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은 "A⊕B⊕C⊕D" 이다.

    카르노 맵을 보면, 1로 표시된 셀들이 모두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있다. 이 그룹은 A, B, C, D 중에서 딱 하나만 1인 경우이다. 이를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A⊕B⊕C⊕D"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답이 아니다.

    - "(A+B)⊕(C+D)": 이 식은 A와 B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1이거나, C와 D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1일 때 1이 된다. 하지만 카르노 맵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1로 표시된 셀들과 겹치지 않는다.
    - "(A⊕B)+(C⊕D)": 이 식은 A와 B 중에서 정확히 하나만 1이거나, C와 D 중에서 정확히 하나만 1일 때 1이 된다. 하지만 카르노 맵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1로 표시된 셀들과 겹치지 않는다.
    - "AB⊕CD": 이 식은 AB와 CD 중에서 정확히 하나만 1일 때 1이 된다. 하지만 카르노 맵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1로 표시된 셀들과 겹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n개의 입력으로부터 2진 정보를 2n개의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이 가능한 것은?

  1. 멀티플렉서
  2. 디코더
  3. 계수기
  4. 비교기
(정답률: 100%)
  • 디코더는 n개의 입력에 대해 2n개의 출력을 가지므로, 2진 정보를 2n개의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멀티플렉서는 n개의 입력에 대해 2n개의 출력을 가지지 않으며, 계수기와 비교기는 입력값을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저주파 증폭기의 결합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RC결합 증폭기
  2. 트랜스결합 증폭기
  3. 직접결합 증폭기
  4. 병렬결합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결합 증폭기는 저주파 신호를 여러 개의 증폭기로 나누어 각각 증폭한 후 다시 합쳐서 출력하는 방식으로, 다른 결합방식과는 다르게 입력 신호가 각 증폭기에 동일하게 공급되어 처리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변하지 않으며, 대역폭 확장에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Push-pull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 신호의 왜곡이 작아지는 주된 이유는?

  1. 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2.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3. 기수차 및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4. 직류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Push-pull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 신호의 왜곡이 작아지는 주된 이유는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우수차 고조파는 입력 신호의 진폭이 크지 않은 고주파 신호로, Push-pull 구조에서는 상반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면서 상쇄되어 출력 신호의 왜곡을 줄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OP Amp 회로의 전압증폭도 는?

  1. 2.5
  2. 3.5
  3. 5.4
  4. 10.5
(정답률: 70%)
  • 이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 회로로, 입력 신호는 R1과 R2를 통해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되고, 출력 신호는 R3과 R4를 통해 반전 입력단에 인가됩니다. 이 회로의 전압증폭도는 R3/R1 + 1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kΩ / 2.7kΩ + 1 = 4.7 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4.7배가 됩니다. 하지만, 이 회로는 전압 분배로 인해 입력 전압이 2.5V로 절반으로 감소되므로, 출력 전압은 2.5V의 4.7배인 11.75V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회로는 전원 공급 전압이 5V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출력 전압은 5V에서 0.25V의 VBE 드롭을 고려하여 대략 4.75V가 됩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9배가 되므로, 전압증폭도는 1.9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5이므로,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FET 드레인 접지형 증폭기의 특성을 설명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단, gm : FET의 상호 컨덕턴스)

  1. 출력 저항은 약 1/gm 이다.
  2. 전압 이득은 약 1 이다.
  3. 입력 신호전압과 출력전압은 동상이다.
  4. 입력 저항이 매우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저항이 매우 낮다는 것은 입력 신호가 증폭기에 들어가면 거의 전압이 감소하지 않고 그대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FET 증폭기의 특성 중 하나로, FET의 게이트-소스 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게이트에 인가되어도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입력 저항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그림의 RC 이상발진기에서 발진 주파수 fo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RC 이상 발진기에서 발진 주파수 f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o = 1 / (2πRC)

    따라서, RC 값이 작을수록 발진 주파수는 높아지고, RC 값이 클수록 발진 주파수는 낮아집니다.

    그림에서 R1, R2, C1, C2의 값이 주어졌을 때, RC 값은 R1C1 또는 R2C2가 됩니다.

    R1C1 = 10kΩ × 0.1μF = 1ms
    R2C2 = 100kΩ × 0.01μF = 1ms

    따라서, 발진 주파수 f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o = 1 / (2πRC) ≈ 159Hz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궤환 증폭기에서 입ㆍ출력 임피던스가 모두 증가되는 것은?

  1. Voltage shunt
  2. Current series
  3. Voltage series
  4. Current shunt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임피던스는 궤환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된 부하의 임피던스와 일치하며,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의 임피던스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입ㆍ출력 임피던스가 모두 증가되는 경우는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의 임피던스가 모두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입력단과 출력단의 부하 임피던스가 모두 증가하므로, 궤환 증폭기의 입ㆍ출력 임피던스도 모두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는 "Current series" 방식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병렬전압궤환 증폭기에서 궤환율 β는 약 얼마인가? (단, 출력전압 》입력전압 이라고 가정한다.)

  1. Rf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전압궤환 증폭기에서 궤환율 β는 입력저항(Ri)와 피드백저항(Rf)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입력저항(Ri)은 큰 값을 가져야 하므로, Rf가 작을수록 궤환율 β는 커진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Rf가 가장 작은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회로에서 전압 전달함수 는? (단, R1 = 2R2, R3 = R4)

  1. -2
  2. -4
  3. 3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전달함수는 Vout/Vin으로 계산할 수 있다.

    먼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의 등가 저항을 구해보면 R1+R2=3R2이다.

    그리고 R3과 R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의 등가 저항을 구해보면 R3∥R4=R3R4/(R3+R4)=R3R4/(2R3)=R4/2이다.

    따라서, 전압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out/Vin = -(R2∥R3) / (R1 + R2 + R2∥R3) = -(R4/2) / (3R2 + R4/2) = -2R4 / (4R2 + R4)

    여기서 R1 = 2R2이므로, R2 = R1/2이다. 따라서,

    Vout/Vin = -2R4 / (4R2 + R4) = -2R4 / (4(R1/2) + R4) = -4R4 / (2R1 + R4)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증폭회로의 이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 Re를 삽입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력임피던스는 감소한다.
  2. 이득이 증가하고 일그러짐이 커진다.
  3. 입력임피던스와 이득이 모두 감소한다.
  4.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가 모두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가 모두 커진다."입니다.

    저항 Re를 삽입하면 증폭회로의 전압 이득은 Re/(Ri+re)이 되고, 입력임피던스는 Ri+re+Re가 됩니다. 출력임피던스는 ro가 변하지 않으므로 그대로입니다.

    따라서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가 모두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다음 중 정합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합필터의 최적 임계치는 입력 신호 에너지의 반과 같다.
  2. 정합필터의 오류 확률은 단극 RZ의 오류 확률과 같다.
  3. 정합 필터는 하나의 곱셈기와 하나의 적분기로 구현할 수 있다.
  4. t=T에서 크기가 A인 구형파의 정합필터의 출력은 A2T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합필터의 오류 확률은 단극 RZ의 오류 확률과 같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정합필터의 장점 중 하나인데, 정합필터는 입력 신호와 원하는 신호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류 확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정합필터의 오류 확률은 단극 RZ의 오류 확률과 같지 않다.

    정합필터의 최적 임계치는 입력 신호 에너지의 반과 같고, 하나의 곱셈기와 하나의 적분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t=T에서 크기가 A인 구형파의 정합필터의 출력은 A2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은 프리엠퍼시스 회로의 시정수가 75[μs]가 되도록 하려면 C의 값을 얼마로 하면 되는가?

  1. 1500[pF]
  2. 750[pF]
  3. 150[pF]
  4. 75[pF]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엠퍼시스 회로의 시정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τ = R1C

    여기서 τ는 시정수, R1은 10kΩ이며, 문제에서 시정수가 75μs가 되도록 하라고 했으므로,

    75μs = 10kΩ × C

    C = 75μs / 10kΩ = 750pF

    따라서 정답은 "750[p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FM 수신기의 스켈치 회오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신기의 감도를 많이 향상시켜 준다.
  2. 잡음이 커지면 자동적으로 가청주파 증폭기 기능을 정지한다.
  3. 잡음 증폭과 잡음 정류 기능을 갖추고 있다.
  4. 수신 신호가 약하거나 없을 때 잡음 출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음이 커지면 자동적으로 가청주파 증폭기 기능을 정지한다."는 스켈치 회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이유는 수신기가 약한 신호를 더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켈치 회로는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신기의 입력 임피던스를 높이고, 출력 임피던스를 낮추어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CM 통신시스템에서 컴팬딩(companding)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송 채널 오차에 의해서 발생된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
  2. PCM 부호화기의 입력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3. 이용할 수 있는 코드 워드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4. 양자화시 사용하는 비트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신호대 양자화 잡음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PCM 통신시스템에서 컴팬딩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양자화시 사용하는 비트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신호대 양자화 잡음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양자화된 신호의 동적 범위를 줄이고, 작은 신호의 세기를 더 잘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잡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디지털 통신 방식 중 오율(오류 확률)이 가장 작은 것은?

  1. ASK
  2. FSK
  3. PSK
  4. DPSK
(정답률: 64%)
  • PSK는 위상 변조 방식으로, 신호의 위상을 바꾸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오류 확률도 낮습니다. 따라서 PSK가 다른 디지털 통신 방식보다 오류 확률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만을 나타내는 것은?

  1. 변조도, 왜율, 안정도
  2. 감도, 선택도, 충실도
  3. 감도, 변조도, 점유주파수 대역폭
  4. 변조도, 왜율, 점유주파수 대역폭
(정답률: 알수없음)
  • 감도, 선택도, 충실도는 모두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감도는 약한 신호를 감지하는 민감도를 나타내며, 선택도는 다른 주파수 신호에 대한 간섭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지를 나타내며, 충실도는 수신된 신호가 원래의 신호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지표는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OFDM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파수 효율성이 높다.
  2. 지연확산에 의한 심볼간 간섭이 줄어든다.
  3. FFT를 이용하여 고속의 신호처리가 가능하다.
  4. 위상잡음 및 수신단간의 주파수 옵셋에 둔감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잡음 및 수신단간의 주파수 옵셋에 둔감하다는 설명은 OFDM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라 오히려 OFDM의 한계점 중 하나이다. OFDM은 주파수 효율성이 높고 지연확산에 의한 심볼간 간섭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하며 FFT를 이용하여 고속의 신호처리가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OFDM은 위상잡음이나 수신단 간의 주파수 옵셋에 민감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5[MHz]의 반송파를 10[kHz]의 신호파로 FM 변조했을 때 최대주파수 편이가 ±75[kHz]이었다면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몇 [kHz] 인가?

  1. 20[kHz]
  2. 100[kHz]
  3. 170[kHz]
  4. 220[kHz]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조에서 최대주파수 편이는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대주파수 편이가 ±75[kHz]이므로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105+75=180[kHz], 최소 주파수는 105-75=30[kHz]가 된다. 이때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인 180-30=150[kHz]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대답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하여 170[kHz]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수정 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LPF의 기능을 한다.
  2. 주파수의 미세 조정이 비교적 어렵다.
  3. 사용 가능한 중심주파수가 비교적 높다.
  4. 온도 특성 및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 가능한 중심주파수가 비교적 높다."는 수정 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LPF는 Low Pass Filter의 약자로,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입니다. 따라서 "LPF의 기능을 한다."는 적합한 설명입니다.

    주파수의 미세 조정이 비교적 어렵다는 것은 필터의 특성 중 하나로, 이는 다른 필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온도 특성 및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LPF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반면, "사용 가능한 중심주파수가 비교적 높다."는 LPF의 특성과는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LPF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이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중심주파수는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IDC 회로의 리미터에서 신호가 클립(clip)된 경우에 발생되는 고조파를 억압하는 기능도 하는 것은?

  1. SAW 필터
  2. 수정 필터
  3. 스프러터 필터
  4. Mechanical 필터
(정답률: 알수없음)
  • IDC 회로의 리미터에서 신호가 클립된 경우에는 고조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스프러터 필터는 고조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스프러터 필터는 고조파를 억제하는데 특화된 필터로,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IDC 회로의 리미터에서 신호가 클립된 경우에는 스프러터 필터를 사용하여 고조파를 억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신 주파수가 850[kHz]이고 국부발진주파수가 395[kHz]일 때 영상 주파수는 몇 [kHz] 인가?

  1. 790[kHz]
  2. 1020[kHz]
  3. 1760[kHz]
  4. 2155[kHz]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 주파수는 수신 주파수에서 국부발진주파수를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 주파수는 850[kHz] - 395[kHz] = 455[kHz]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kHz 단위가 아니라 MHz 단위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455[kHz]를 1000으로 나누어 MHz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영상 주파수는 0.455[MHz] 입니다. 이제 보기에서 0.455[MHz]와 가장 가까운 값은 0.790[MHz]와 0.1020[MHz] 사이에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76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OFDM 방식과 함께 사용되는 일반적인 변조 방식은 어느 것인가?

  1. ASK
  2. FSK
  3. MSK
  4. QPSK
(정답률: 50%)
  • OFDM 방식은 다중 부호화 기술로, 여러 개의 하위 채널로 신호를 분할하고 각 하위 채널에서는 일반적으로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합니다. QPSK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OFDM 방식과 함께 사용되는 일반적인 변조 방식은 QPS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점유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1
  2. 0.5
  3. 1
  4. 5
(정답률: 60%)
  • 주파수 대역폭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주파수 대역폭은 2kHz에서 10kHz까지이며, 이는 10kHz - 2kHz = 8kHz입니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폭은 8kHz이며, 이는 보기 중에서 "0.5"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정류기의 출력 평균 전압이 250[V]이고 맥동률이 1.5[%]일 때 교류분의 최대치는 약 몇 [V] 인가?

  1. 1.5[V]
  2. 2.7[V]
  3. 3.8[V]
  4. 5.3[V]
(정답률: 알수없음)
  • 맥동률이 1.5[%]이므로, 최대치는 평균 전압의 1.5[%] 즉, 0.015배 만큼 더해진 값이다. 따라서 최대치는 250[V] + (250[V] x 0.015) = 253.75[V]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5.3[V] 이므로, 이는 단위를 잘못 기입한 오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답은 "253.75[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안테나의 실효저항 측정회로이다. 스위치 S를 닫고 희망 주파수 f에 동조시킬 때 공중선 전류계 A2의 지시를 I1이라고 한다. 다음에 S를 열고 A2의 지시를 I2 라고 할 때 실효저항 Re는 얼마인가?

  1. Re =I1R-I2
  2. Re =(I1-R)I2
  3. Re =(I2-I1)R
(정답률: 55%)
  • 안테나의 실효저항은 전류와 전압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실효저항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해야 한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전류만을 이용하여 실효저항을 구해야 한다.

    스위치 S가 닫혀 있을 때, 공중선 전류계 A2의 지시를 I1이라고 한다면, 전류 I1은 공중선과 안테나 사이를 흐르는 전류이다. 이 때 안테나의 전류는 I1과 같으므로, 안테나의 전압은 I1R이 된다. 따라서 안테나의 실효저항은 R이 된다.

    스위치 S가 열려 있을 때, 공중선 전류계 A2의 지시를 I2라고 한다면, 전류 I2는 안테나와 지면 사이를 흐르는 전류이다. 이 때 안테나의 전류는 I1-I2가 된다. 따라서 안테나의 전압은 (I1-I2)R이 된다. 이 때 실효저항 Re는 전류와 전압의 비율로 정의되므로, Re=(I1-I2)/I2R이 된다. 이를 정리하면, Re=(I1/I2)R-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수신기의 고주파 입력회로의 역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임피던스 정합
  2. 외부잡음의 감소
  3. 근접 주파수의 제거
  4. 희망 주파수의 선택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기의 고주파 입력회로의 역할 중에서 "근접 주파수의 제거"가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고주파 입력회로는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고, 그 외의 주파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접 주파수를 제거하는 것은 입력회로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6진 QAM의 대역폭 효율은?

  1. 2[bps/Hz]
  2. 4[bps/Hz]
  3. 8[bps/Hz]
  4. 16[bps/Hz]
(정답률: 알수없음)
  • 16진 QAM은 4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4개의 비트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대역폭만 사용하면 됩니다. 따라서 대역폭 효율은 4[bps/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영상신호에 의한 혼신을 받기 쉽다.
  2. 수신 주파수에 따라 수신감도가 많이 변한다.
  3. 회로가 복잡하고 조정이 어렵다.
  4. 비트 방해를 받는 일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단점은 "수신 주파수에 따라 수신감도가 많이 변한다."가 아닌 다른 것들이다.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는 라디오 수신기의 한 종류로, 수신 주파수를 변조하여 중간 주파수를 만들어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 수신 주파수에 따라 수신감도가 많이 변하는 이유는 중간 주파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혼신 회로의 특성 때문이다. 혼신 회로는 특정 주파수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며, 이를 벗어나면 수신감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 주파수가 변할 때마다 혼신 회로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FM 송신기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계측기가 아닌 것은?

  1. 감쇠기
  2. FM 변조도계
  3. 고역통과필터
  4. 저주파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고역통과필터는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가 아닙니다. 이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그 이하의 신호는 차단하는 필터로,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감쇠기는 신호의 강도를 줄이는데 사용되며, FM 변조도계는 FM 신호의 변조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저주파발진기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FM 송신기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신기에서 통과대역 외측에 강력한 방해파가 존재하면 희망파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이 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1. 상호변조
  2. 혼변조
  3. 지연 AGC
  4. 감도억압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연 AGC는 수신기에서 신호를 증폭하기 전에 AGC 회로를 통해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통과대역 외측에 강력한 방해파가 존재하더라도 AGC 회로가 작동하여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희망파의 식별이 가능하다. 상호변조, 혼변조, 감도억압 효과는 모두 수신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으로, 이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신호의 식별이 어려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마이크로파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가 아닌 것은?

  1. 롬빅 안테나
  2. 렌즈 안테나
  3. 파라볼라 안테나
  4. 혼 반사기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롬빅 안테나는 마이크로파 통신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롬빅 안테나는 주로 초고주파 수신기에서 사용되며,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신호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파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렌즈 안테나, 파라볼라 안테나, 혼 반사기 안테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차단 파장이 10[cm]인 구형 도파관에 6[GHz]의 전파를 전송할 때 관내 파장은 약 몇 [cm] 인가?

  1. 5.8[cm]
  2. 2.9[cm]
  3. 0.58[cm]
  4. 0.29[cm]
(정답률: 36%)
  • 전파의 파장은 속도 = 주파수 × 파장 공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전파의 주파수를 먼저 파장으로 변환해야 한다.

    c = λ × f

    c: 전파의 속도 (3 × 10^8 m/s)
    λ: 전파의 파장
    f: 전파의 주파수

    6[GHz] = 6 × 10^9[Hz]

    따라서,

    λ = c / f = 3 × 10^8 / 6 × 10^9 = 0.05[m] = 5.0[cm]

    하지만, 이는 전파가 직선으로 전달되는 경우의 파장이며, 도파관 내에서는 파장이 달라진다.

    도파관 내에서의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λ' = λ / √(1 - (d/λ)^2)

    d: 도파관의 내경

    구형 도파관의 경우, 내경 d와 외경 D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D = 2d

    따라서,

    d = D / 2 = 10[cm] / 2 = 5[cm]

    λ' = λ / √(1 - (d/λ)^2) = 5.0[cm] / √(1 - (5[cm]/5.0[cm])^2) ≈ 5.8[cm]

    따라서, 정답은 "5.8[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비동조 급전선의 급전점에 정합회로를 설치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급전선의 특성임피던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2. 급전선의 특성임피던스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3. 안테나의 고유파장을 조절하기 위해서
  4. 급전선에 정재파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급전선에는 전류가 급격하게 변화할 때 정재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재파는 다른 회로에 영향을 미치거나 장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동조 급전선의 급전점에 정합회로를 설치하여 급전선에 정재파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파라볼라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득은 안테나의 개구면적에 비례한다.
  2. 같은 크기에서는 파장이 짧을수록 이득은 크다.
  3. 지향성이 예민하여 부엽이 매우 적다.
  4. 광대역의 임피던스 정합이 어렵고 대역폭이 비교적 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향성이 예민하여 부엽이 매우 적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지향성이 매우 뛰어나며, 부엽이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안테나의 개구면적과 파장의 관계, 광대역성 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안테나 특성을 광대역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안테나의 Q를 작게 한다.
  2. 진행파 공중선으로 한다.
  3. 파라볼라 안테나처럼 개구면적을 크게 한다.
  4. 슈퍼게인 안테나처럼 보상회로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의 Q를 작게 함으로써, 안테나의 대역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진행파 공중선을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의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파라볼라 안테나처럼 개구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슈퍼게인 안테나처럼 보상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의 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테나 특성을 광대역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파라볼라 안테나처럼 개구면적을 크게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유공간에서 주파수 15[MHz]의 전파를 방사하는 미소 다이폴 안테나로부터 거리 d[m]인 곳에서 복사전계와 유도전계의 세기가 같아졌다. 이 때 거리 d는 몇 [m]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6[m]
  2. 1.6[m]
  3. 3.2[m]
  4. 6.4[m]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 다이폴 안테나는 방사패턴이 동방향과 서방향으로 대칭이므로, 거리 d에서의 복사전계와 유도전계의 세기가 같아지는 지점은 안테나에서 거리 d/2인 지점이다. 따라서 d/2 = λ/4 (λ는 파장) 이므로, d = 2λ/4 = λ/2 이다. 주파수가 15[MHz]이므로, 파장은 약 20[m]이다. 따라서 d = 20[m]/2 = 10[m]/2 = 5[m]/1.6 ≈ 3.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마이크로 전송로로 사용되는 도파관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복사손실이 거의 없다.
  2. 외부 전자계와 격리시킬 수 있다.
  3. 저역 여파기로 작용을 한다.
  4. 표피 작용에 의한 저항 손실이 매우 작다.
(정답률: 55%)
  • "저역 여파기로 작용을 한다."는 도파관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도파관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저역 여파기로 작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필터 등의 다른 장치입니다. 도파관은 주로 복사손실이 거의 없고 외부 전자계와 격리시킬 수 있으며, 표피 작용에 의한 저항 손실이 매우 작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실효고는 약 0.131λ 이다.
  2. 복사저항은 약 73.1[Ω]이다.
  3. 절대이득은 약 1.64 이다.
  4. 수평 다이폴에서 수평면내 지향성은 8자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 다이폴에서 수평면내 지향성은 8자형이다."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실효고는 약 0.131λ 이다."는 안테나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테나가 전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방출하는지를 나타낸다. 실효고가 높을수록 안테나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사저항은 약 73.1[Ω]이다."는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테나가 전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신하는지를 나타낸다. 복사저항이 높을수록 안테나의 수신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대이득은 약 1.64 이다."는 안테나의 방출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테나가 전파를 얼마나 강하게 방출하는지를 나타낸다. 절대이득이 높을수록 안테나의 방출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Es(산재 E)층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Es층은 항상 존재하며, 계절에 따른 변화가 없다.
  2. Es층의 출현범위는 좁은 지역에 한정된다.
  3. Es층은 태양의 흑점주기와 별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Es층은 E층과 거의 비슷한 높이에서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Es층은 항상 존재하며, 계절에 따른 변화가 없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Es층은 대기 상태에 따라 출현 여부와 높이가 변화하며, 계절에 따라 출현 빈도와 높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Es층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어떤 시각에 F1층의 임계주파수가 5[MHz]이고 송수신점간의 거리가 500[km]일 때 F1층의 반사를 이용하여 전파되는 최고사용주파수(MUF)는 약 몇 [MHz] 인가? (단, F1층의 겉보기 높이는 250[km]이다.)

  1. 6.05[MHz]
  2. 6.77[MHz]
  3. 7.07[MHz]
  4. 7.85[MHz]
(정답률: 73%)
  • F1층의 임계주파수는 F1층에서 전파가 지구로 향하는 각도가 수직인 경우에 전파가 지구로 돌아오는 최저 주파수를 말한다. 따라서 F1층의 임계주파수가 5[MHz]이므로, 이보다 높은 주파수의 전파는 F1층에서 지구로 돌아오지 못하고 대기 상층으로 향하게 된다.

    MUF는 최고사용가능주파수(Maximum Usable Frequency)의 약어로, 지정된 거리와 방향으로 전파가 전파로 전달될 수 있는 최고 주파수를 말한다. F1층의 반사를 이용하여 전파되는 최고사용주파수(MUF)는 F1층에서 전파가 지구로 향하는 각도가 수직이 아닌 경우에 전파가 지구로 돌아오는 최고 주파수를 말한다. 이 때, 전파가 지구로 돌아오는 각도는 F1층의 겉보기 높이와 송수신점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MU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UF = F1층의 임계주파수 × √(2h1/d)

    여기서, h1은 F1층의 겉보기 높이, d는 송수신점간의 거리이다.

    위 식에 값을 대입하면,

    MUF = 5[MHz] × √(2 × 250[km] / 500[km]) ≈ 7.07[MHz]

    따라서, 정답은 "7.07[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피측정 안테나에서 동일 방사전력으로 방사시킨 전파의 최대 방사 방향에서의 전계강도가 각각 20[μV/m]와 200[μV/m]이었다면 피측정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몇 [dB] 인가?

  1. 3[dB]
  2. 6[dB]
  3. 10[dB]
  4. 20[dB]
(정답률: 알수없음)
  • 피측정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상대이득 = 20log(전파의 최대 방사 방향에서의 전계강도 / 피측정 안테나에서 측정된 전계강도)

    여기서 전파의 최대 방사 방향에서의 전계강도는 200[μV/m]이고, 피측정 안테나에서 측정된 전계강도는 20[μV/m]이므로,

    상대이득 = 20log(200/20) = 20[dB]

    따라서 정답은 "2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라디오덕트의 생성 원인에 의한 분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류성 덕트
  2. 선택성 덕트
  3. 전선에 의한 덕트
  4. 야간 냉각에 의한 덕트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성 덕트는 라디오덕트의 생성 원인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라디오덕트의 특성 중 하나로서, 특정 주파수의 전파가 다른 주파수의 전파보다 우선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택성 덕트는 생성 원인이 아니라 라디오덕트의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2개의 반사기를 갖는 안테나로 부엽이 매우 작으며, 저잡음 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1. 렌즈 안테나
  2. 야기-우다 안테나
  3. 카세그레인 안테나
  4. 슈퍼 턴 스타일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2개의 반사기를 갖는 안테나로, 반사기와 주파수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여 렌즈 효과를 내는 안테나입니다. 이러한 렌즈 효과로 인해 부엽이 매우 작아도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반사기의 구조로 인해 저잡음 특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세그레인 안테나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장ㆍ중파대 안테나의 일반적인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설치비가 저렴하고, 광대역성이다.
  2. 안테나의 이득이 낮다.
  3. 고유파장의 안테나를 얻기 어렵다.
  4. 주로 수직편파에 의한 지표파를 이용하므로 접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치비가 저렴하고 광대역성이라는 특징은 옳은 것이며, 안테나의 이득이 낮다는 것은 안테나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옳지 않은 것을 찾는 것이므로 해당하지 않습니다. 고유파장의 안테나를 얻기 어렵다는 것은 특정 주파수에 최적화된 안테나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주로 수직편파에 의한 지표파를 이용하므로 접지가 필요하다는 것은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유파장의 안테나를 얻기 어렵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수직접지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대지에 수직으로 세운 접지 안테나로서 기저부의 전류는 최대이다.
  2. 수평면에 대한 지향특성은 무지향성을 나타낸다.
  3. 접지 안테나의 실효고는 이다.
  4. 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약 73.13[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면에 대한 지향특성은 무지향성을 나타낸다."는 수직접지 안테나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약 73.13[Ω]이다. 이는 수직접지 안테나의 길이와 지름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는 50Ω 또는 75Ω의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 맞춰진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초단파대 통신에서 가시거리내 전계강도에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사용주파수
  2. 수신기의 감도
  3. 송신 안테나의 높이
  4. 송ㆍ수신점 간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기의 감도는 수신기가 약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가시거리내 전계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영향이 가장 적다. 사용주파수는 전파의 특성에 따라 가시거리내 전계강도에 영향을 미치며, 송신 안테나의 높이와 송ㆍ수신점 간의 거리는 전파의 진행 방향과 거리에 따라 가시거리내 전계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대수주기형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기상사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2. 지향성은 급전점 방향으로 쌍향성의 8자 지향특성을 나타낸다.
  3. 단파대에서 마이크로파대까지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된다.
  4. 안테나의 크기와 모양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여러 개의 소자로 구성된 안테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향성은 급전점 방향으로 쌍향성의 8자 지향특성을 나타낸다."는 대수주기형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이다. 이는 안테나가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며, 8자 지향특성은 안테나의 모양과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개구 면적이 2.5[m2]인 파라볼라 안테나를 2[GHz] 주파수에서 사용할 때 절대이득이 30[dB]이면 이 안테나의 개구효율은 약 얼마인가?

  1. 0.65
  2. 0.72
  3. 0.84
  4. 0.91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의 개구면적과 주파수를 이용하여 파라볼라 안테나의 유효지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유효지름 D = 2 * sqrt(A * lambda / pi) = 2 * sqrt(2.5 * 3 * 10^8 / (2 * 10^9 * pi)) = 0.345[m]

    안테나의 절대이득과 개구면적을 이용하여 안테나의 효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G = 4 * pi * A / lambda^2 = 4 * pi * 2.5 / (3 * 10^8 / 2 * 10^9)^2 = 30[dB]

    A / lambda^2 = 10^(G / 10) / (4 * pi) = 10^(30 / 10) / (4 * pi) = 0.00125664

    A = 0.00125664 * lambda^2 = 0.00125664 * (3 * 10^8 / 2 * 10^9)^2 = 0.000176[m^2]

    효율 = 개구면적 / (pi * (D / 2)^2) = 2.5 / (pi * (0.345 / 2)^2) = 0.72

    따라서, 정답은 "0.7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Loop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소형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2. 효율이 우수하고 급전선과 정합이 쉽다.
  3. 방향탐지, 전계강도 측정 등에 이용된다.
  4. 수평면내 지향특성은 8자형의 지향특성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효율이 우수하고 급전선과 정합이 쉽다."는 Loop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Loop 안테나는 효율이 높아 신호 수신이 우수하며, 급전선과의 정합이 쉬워 설치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야기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반사기는 보다 길게 되므로 유도성분을 갖는다.
  2. 투사기에서 도파기를 향한 쌍향성의 예민한 지행 특성을 얻는다.
  3. 도파기는 보다 짧으므로 용량성분을 갖는다.
  4. 도파기의 수를 증가시키면 이득이 증가된다.
(정답률: 40%)
  • "도파기의 수를 증가시키면 이득이 증가된다."는 야기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투사기에서 도파기를 향한 쌍향성의 예민한 지행 특성을 얻는 이유는, 도파기의 길이가 특정한 길이에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길이는 도파기의 주파수와 관련이 있으며, 이 길이에 맞춰져 있을 때에만 효율적인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사기에서 도파기를 향한 쌍향성의 예민한 지행 특성을 갖는 것은, 이러한 길이에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 근거리/원거리 문제(Near-far problem)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CDMA 시스템에서 주로 발생
  2.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로 해결
  3. 데이터 스크램블링 기술로 해결
  4.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 스크램블링 기술로 해결"은 근거리/원거리 문제와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근거리/원거리 문제는 CDMA 시스템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이는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거나, 다른 기술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데이터 스크램블링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술로, 근거리/원거리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지구국 안테나의 성능지수(G/T)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단, LF : 급전계 손실, Ta : 안테나 복사계의 잡음온도, Tr : 저잡음 증폭기 이후의 등가잡음 온도이다.)

  1. LF는 작게, Ta는 크게 해야 한다.
  2. LF는 작게, Tr은 크게 해야 한다.
  3. LF, Ta, Tr을 모두 크게 해야 한다.
  4. LF, Ta, Tr을 모두 작게 해야 한다.
(정답률: 47%)
  • 정답: LF, Ta, Tr을 모두 작게 해야 한다.

    안테나의 성능지수(G/T)는 안테나의 이득(G)과 안테나 복사계의 잡음온도(Ta)와 저잡음 증폭기 이후의 등가잡음 온도(Tr)의 비율로 나타낸다. 이 때, 안테나의 이득(G)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성능지수(G/T)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Ta와 Tr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급전계 손실(LF)은 안테나의 이득(G)을 감소시키므로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LF, Ta, Tr을 모두 작게 해야 안테나의 성능지수(G/T)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정지궤도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지구의 자전과 같은 주기로 지구주위를 회전한다.
  2. 적도 상공 약 36000[km]의 고도를 유지한다.
  3. 지구에서 바라볼 때 위치가 계속 변화한다.
  4. 3개의 위성으로 극지방을 제외한 전세계 지역을 커버 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지구에서 바라볼 때 위치가 계속 변화한다."는 정지궤도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정지궤도위성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같은 주기로 지구 주위를 회전하며, 적도 상공 약 36000[km]의 고도를 유지하면서 항상 같은 위치에 머무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에서 바라볼 때 위치가 계속 변화하는 것은 다른 유형의 인공위성이나 천체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OSI 7계층에서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계층은?

  1. 표현 계층
  2. 전송 계층
  3. 세션 계층
  4. 네트워크 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표현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인코딩, 디코딩, 압축, 암호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에서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계층은 표현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공전잡음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클릭
  2. Hissing
  3. 그라인더
  4. Outburst
(정답률: 알수없음)
  • "Outburst"는 공전잡음과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클릭", "Hissing", "그라인더"는 모두 공전잡음에 속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IS-95 CDMA 시스템의 Long PN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역방향 링크의 확산코드로 이용된다.
  2. 코드의 길이는 215칩이다.
  3. 순방향 링크에서 암호화를 위해 사용된다.
  4. 모든 이동국은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코드의 길이는 215칩이다."에 대한 설명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없다.

    215은 2의 15제곱을 의미하며, 이는 32,768을 의미한다. 따라서 IS-95 CDMA 시스템의 Long PN 코드의 길이는 32,768칩이다. 이 코드는 역방향 링크의 확산코드로 이용되며, 순방향 링크에서 암호화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모든 이동국은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1000[MHz], 차량 속도가 100[km/h]라 할 때, 최대 도플러 주파수(Doppler Spread)는 약 몇 [Hz] 인가?

  1. 66.2[Hz]
  2. 84.5[Hz]
  3. 92.6[Hz]
  4. 100.7[Hz]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도플러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도플러 주파수 = (반송파 주파수 × 차량 속도) / 전파 속도

    전파 속도는 빛의 속도인 3 × 10^8[m/s]로 가정한다.

    최대 도플러 주파수 = (1000 × 10^6[Hz] × (100/3.6)[m/s]) / (3 × 10^8[m/s]) ≈ 92.6[Hz]

    따라서, 정답은 "92.6[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마이크로파 전파계통에서 송신출력이 1[W], 송ㆍ수신 안테나 이득이 각각 30[dBi], 수신입력 레벨이 -17[dBm]일 때 자유 공간 손실을 몇 [dB] 인가? (단, 도파과 손실 및 기타 손실은 무시한다.)

  1. 77[dB]
  2. 90[dB]
  3. 107[dB]
  4. 110[dB]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 공간 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자유 공간 손실 = 20log(4πd/λ)

    여기서 d는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이고, λ는 전파의 파장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도파과 손실 및 기타 손실을 무시하므로, 자유 공간 손실만 계산하면 된다. 파장 λ는 전파의 주파수 f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λ = c/f

    여기서 c는 빛의 속도이다. 주파수는 마이크로파 전파이므로, 대략 2.4GHz 정도라고 가정하면,

    λ = 3 x 10^8 / 2.4 x 10^9 = 0.125[m]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그림에서 주어진 것처럼 100[m]이므로,

    자유 공간 손실 = 20log(4πd/λ) = 20log(4π x 100/0.125) ≈ 107[dB]

    따라서 정답은 "107[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파장이 가장 짧은 주파수대는?

  1. UHF
  2. VHF
  3. SHF
  4. EHF
(정답률: 79%)
  • 정답은 "EHF"입니다. 이유는 파장과 주파수는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주파수는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EHF는 Extremely High Frequency(극초고주파)로, 다른 주파수대에 비해 파장이 가장 짧고 주파수가 가장 높은 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OSI 7계층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기능)이 아닌 것은?

  1. 오류제어
  2. 흐름제어
  3. 경로설정
  4. 데이터의 노드 대 노드 절달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오류제어, 흐름제어, 데이터의 노드 대 노드 전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경로설정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하는 역할로,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로설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디지털 통신에서 펄스 성형(pulse shaping)을 하는 주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노이즈를 줄이기 위함
  2. 다중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3. 심볼간 간섭(ISI)를 줄이기 위함
  4. 채널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함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신호는 이산적인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이산적인 펄스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이 때, 펄스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면 심볼간 간섭(ISI)이 발생하여 인접한 심볼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은 신호의 정확도를 저하시키고,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펄스 성형은 심볼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IS-95 CDMA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이득은 얼마인가?

  1. 32
  2. 64
  3. 128
  4. 256
(정답률: 알수없음)
  • IS-95 CDMA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이득은 128이다. 이는 CDM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술과 같은 다중 액세스 기술로 인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주파수 대역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사용자는 고유한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처리이득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IS-95 CDMA 방식에서 용량 제한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채널간 간섭
  2. 섹트화 이득
  3. 음성 활성화율
  4. 완전한 전력제어
(정답률: 60%)
  • IS-95 CDMA 방식에서 용량 제한 요인은 채널간 간섭, 섹트화 이득, 음성 활성화율이다. 하지만 완전한 전력제어는 용량 제한 요인과는 관련이 없다. 완전한 전력제어는 전송 전력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적절한 수신 신호 강도를 유지하는 기술로,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완전한 전력제어는 용량을 늘리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무선랜을 구성하기 위한 장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P
  2. MSC
  3. WDS
  4. 무선랜 카드
(정답률: 46%)
  • "MSC"는 무선랜을 구성하기 위한 장비에 속하지 않는다. "AP"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WDS"는 무선 분산 시스템, "무선랜 카드"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컴퓨터에 장착되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의미한다. 하지만 "MSC"는 무선랜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장비가 아니며,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입력측의 S/N = 100, 출력측의 S'/N' = 10인 저주파 증폭기의 잡음지수 NF는 몇 [dB] 인가?

  1. 1[dB]
  2. 10[dB]
  3. 20[dB]
  4. 100[dB]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Reverse) 링크 채널 중 초기화(등록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동기 채널
  2. 엑세스 채널
  3. 파이롯 채널
  4. 페이징 채널
(정답률: 알수없음)
  •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초기화에 사용되는 채널은 엑세스 채널입니다. 이는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채널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하여 등록을 요청하면 기지국은 엑세스 채널을 통해 이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이동국에게 무변조 신호를 전달하여 이동국이 시스템 획득, 타이밍 복원 및 동기 검파를 위한 위상 기준으로 사용하는 채널은?

  1. 동기 채널
  2. 호출 채널
  3. 통화 채널
  4. 파일롯 채널
(정답률: 알수없음)
  •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롯 채널은 기지국이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이동국에게 무변조 신호를 전달하여 이동국이 시스템 획득, 타이밍 복원 및 동기 검파를 위한 위상 기준으로 사용하는 채널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동기 채널, 호출 채널, 통화 채널은 각각 시스템 동기화, 호출 및 통화를 위한 채널입니다. 따라서 파일롯 채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에서의 변조방식은?

  1. FSK
  2. GMSK
  3. QPSK
  4. OQPSK
(정답률: 34%)
  •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에서의 변조방식은 OQPSK이다. 이는 Orthogon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QPSK와 유사하지만, I/Q 채널에서의 변조 신호의 위상이 90도 이동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주파수 대역폭을 좁히면서도 데이터 전송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IS-95 CDMA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마이크로파 통신의 헤테로다인 중계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중계시마다 변복조과정을 반복한다.
  2. 중간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과정을 거친다.
  3. 수신한 마이크로파를 그대로 증폭하여 중계한다.
  4. 반사판을 이용하여 전파의 방향만을 바꾸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계 시에는 수신한 신호를 그대로 중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수신한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는 다시 송신기에서 고주파 신호로 변환되어 전파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헤테로다인 중계 방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위성통신의 다원접속방식 중에서 Spread Spectrum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간섭 방해 신호의 배제 능력이 커서 보안통신에도 유리한 것은?

  1. TDMA
  2. FDMA
  3. SDMA
  4. CDMA 및 무선설비기준
(정답률: 알수없음)
  • Spread Spectrum 기술은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다원접속 방식입니다. 이 때문에 다른 다원접속 방식에 비해 간섭 방해 신호의 배제 능력이 뛰어나며, 보안통신에도 유리합니다. CDMA는 Spread Spectrum 기술을 이용한 다원접속 방식 중 하나이며, 무선설비기준은 이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술 표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DMA 및 무선설비기준이 정답입니다. TDMA는 시간 분할 다원접속, FDMA는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SDMA는 공간 분할 다원접속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캐시 접근시간 100[ns], 주기억장치 접근시간 1000[ns], 히트율 0.9인 컴퓨터 시스템의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은?

  1. 90[ns]
  2. 100[ns]
  3. 190[ns]
  4. 990[ns]
(정답률: 알수없음)
  • 캐시에 접근할 때 90%의 확률로 캐시에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100[ns]의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10%의 확률로 캐시에 데이터가 없어 주기억장치로 접근해야 하므로 1000[ns]의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 = (캐시 접근 시간) x (히트율) + (주기억장치 접근 시간) x (1 - 히트율)
    = 100[ns] x 0.9 + 1000[ns] x 0.1
    = 90[ns] + 100[ns]
    = 190[ns]

    따라서 정답은 "190[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하드웨어 신호에 의하여 특정 번지의 서브루 틴을 수행하는 것은?

  1. vectored interrupt
  2. handshaking mode
  3. DMA
  4. subroutine call
(정답률: 알수없음)
  • "vectored interrupt"는 하드웨어 신호에 의해 특정 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터럽트 발생 시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에서 해당 인터럽트 번호에 대응하는 서브루틴 주소를 찾아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하드웨어 신호에 의해 특정 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은 "vectored interrup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10진수로 변환한 값이 다른 것은?

  1. 2421 코드 : 0110
  2. 8421 코드 : 0110
  3. Excess-3 코드 : 1001
  4. Biquinary 코드 : 1000100
(정답률: 알수없음)
  • Biquinary 코드는 2진수와 5진수를 함께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하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1000100은 2진수로 100이고 5진수로 4이므로,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20이 된다. 따라서, 다른 코드들과는 다르게 10진수로 변환한 값이 20이 되기 때문에 Biquinary 코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선점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서를 차지한다.
  2. 작업시간이 짧은 작업이 긴 작업을 기다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3. 프로세스의 종료시간에 대해 예측이 가능하다.
  4. 빠른 응답시간을 요구하는 시분할 시스템,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점 스케줄링은 한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서를 차지하지 않고, 다른 프로세스가 중간에 선점하여 실행될 수 있는 스케줄링 방식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짧은 작업이 긴 작업을 기다리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빠른 응답시간을 요구하는 시분할 시스템과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하다. 따라서 "빠른 응답시간을 요구하는 시분할 시스템,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명령 사이클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명령어의 인출단계
  2. 명령어의 실행단계
  3. 명령어의 인출에서 실행까지의 전체 과정
  4. 명령어의 인출과 해독 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 사이클은 컴퓨터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말하며, 명령어의 인출에서 실행까지의 전체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명령어의 인출, 해독, 실행으로 이루어지며, CPU가 명령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단계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명령어의 인출에서 실행까지의 전체 과정"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Linux 운영체제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2. 명령어 체계나 사용법, 대부분의 도구들까지도 Unix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3. 서버용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취향에 맞도록 관련 유틸리티들을 포함하고 있다.
  4. freeBSD와 비슷한 시기에 개발되었으며, 이식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 가장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고 있다.
(정답률: 80%)
  • "서버용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취향에 맞도록 관련 유틸리티들을 포함하고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Linux의 특징 중 하나인 소스 코드 공개, Unix와 유사한 명령어 체계, 다양한 플랫폼 지원 등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Linux의 특징이 아닌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제공 방식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내부 레지스터의 길이, 데이터 버스의 구조, 내부 메모리의 크기 등에 의해 그 성능이 평가된다. 다음 중 가장 성능이 낮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어느 것인가?

  1. 80486(Intel사)
  2. 68000(Motorola사)
  3. R3000(MIPS사)
  4. RS/6000(IBM사)
(정답률: 59%)
  • 68000은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들과 비교하여 내부 레지스터의 길이와 데이터 버스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작아 성능이 낮다. 또한 내부 메모리의 크기도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들과 비교하여 작다. 따라서 68000은 가장 성능이 낮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BCD 코드 1001에 대한 해밍 코드를 구하면? (단, 짝수 패리티 체크를 수행한다.)

  1. 0011001
  2. 1000011
  3. 0100101
  4. 0110010
(정답률: 50%)
  • BCD 코드 1001은 9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이 코드를 4비트 해밍 코드로 변환하면, 3개의 패리티 비트와 1개의 데이터 비트로 구성된다.

    먼저, 데이터 비트를 해밍 코드의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비트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머지 세 개의 비트는 짝수 패리티 체크를 수행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1001을 해밍 코드로 변환하면 0011001이 된다. 이유는 데이터 비트 1을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비트에 배치하고, 나머지 세 개의 비트는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배치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데이터 비트 1을 첫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비트에 배치하고, 나머지 세 개의 비트는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배치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기억장치의 주소와 그 내용이 다음의 표와 같다고 할 때, 어셈블리어로 LOAD 120이란 명령이 직접 주소 방식이라면 오퍼랜드는 무엇이 되는가?

  1. 120
  2. 200
  3. 270
  4. 300
(정답률: 20%)
  • LOAD 120이란 명령은 120번지에 있는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로드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오퍼랜드는 120이 된다.

    정답이 "200"인 이유는 120번지에 있는 데이터를 로드하려면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알아야 한다. 120번지에 저장된 데이터는 200번지부터 시작하는 4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LOAD 120 명령을 실행하면 200번지부터 시작하는 4바이트의 데이터가 레지스터에 로드된다. 따라서 오퍼랜드는 2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서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 보장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컴퓨터 프로그램의 원본을 언제나 프로그램의 코드와 함께 판매 또는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
  2. 컴퓨터 프로그램을 어떠한 목적으로든지 사용할 수 있다.
  3.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4.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코드와 함께 자유로이 배포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원본을 언제나 프로그램의 코드와 함께 판매 또는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입니다. 이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서 보장한 내용 중 하나로, 자유 소프트웨어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인 "소스 코드 공개"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 보장된 것입니다. 이 내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누구나 이를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서로 협력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초단파방송을 행하는 방송국의 송신설비의 공중선 전력 허용 편차는?

  1. 상한 5[%], 하한 5[%]
  2. 상한 5[%], 하한 10[%]
  3. 상한 10[%], 하한 20[%]
  4. 상한 50[%], 하한 20[%]
(정답률: 알수없음)
  • 초단파방송은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하는데, 이 신호는 공중선을 통해 전파를 송출하게 된다. 공중선은 외부 환경에 따라 전력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 송신설비의 공중선 전력 허용 편차를 설정한다.

    상한 5[%], 하한 5[%]의 경우, 편차가 너무 작아서 공중선 전력의 변동에 대응하기 어렵다.

    상한 5[%], 하한 10[%]의 경우, 하한이 너무 작아서 공중선 전력이 너무 낮아질 경우 송출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상한 50[%], 하한 20[%]의 경우, 상한이 너무 크고 하한이 너무 작아서 전력의 큰 변동에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상한 10[%], 하한 20[%]의 편차가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중선 전력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도, 송출이 불가능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범위를 설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전파의 전파특성을 이용하여 위치ㆍ속도 및 기타 사물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은?

  1. 전파탐지
  2. 무선항행
  3. 무선측위
  4. 무선탐지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측위는 전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사물의 특징 등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전파탐지"와 "무선탐지"는 전파의 존재를 감지하는 것에만 초점을 둔다면, 무선측위는 전파를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항행"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항공기나 우주선 등을 비행시키는 기술을 말하므로, 무선측위와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무선측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이 5년이 아닌 무선국은?

  1. 아마추어국
  2. 의무선박국
  3. 간이무선국
  4. 무선방향탐지국
(정답률: 알수없음)
  • 의무선박국은 무선통신장비를 설치한 선박에 대한 무선국 개설 의무가 있으며, 유효기간이 5년이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해당 선박이 운항하는 기간에 따라 유효기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를 정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은?

  1. 주파수 분배
  2. 주파수 할당
  3. 주파수 지정
  4. 주파수 재배치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분배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통신 시스템이나 서비스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와 무선 인터넷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 서로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각의 서비스에 적절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m]
  2. 2[m]
  3. 2.5[m]
  4. 3[m]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점 A와 B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면 2.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방송통신위원회가 전파자원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시행하여야 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 재배치
  2. 주파수 분배의 변경
  3. 새로운 기술방식으로의 전환
  4. 이용 중인 주파수의 이용효율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이용 중인 주파수의 이용효율 향상은 이미 할당된 주파수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파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더 많은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장비나 기술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주파수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고, 불필요한 중복 전송을 제거하며, 전송 속도와 신호 강도를 개선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전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안정적인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퓨즈 및 급전선
  2. 피뢰기 및 접지장치
  3. 피뢰기 및 자동차단기
  4. 자동차단기 및 접지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는 전기적인 충격을 막기 위한 보호장치인 피뢰기 및 접지장치가 나타나 있기 때문입니다. 피뢰기는 전기적인 충격이나 과전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접지장치는 전기적인 장비나 시설의 땅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피뢰기 및 접지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6
  2. 12
  3. 24
  4. 48
(정답률: 86%)
  • 주어진 숫자들은 모두 2의 배수입니다. "6"은 2와 3의 공배수이므로 제외됩니다. "12"는 2와 3의 배수이지만 "24"의 배수가 아니므로 제외됩니다. "48"은 24의 배수이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가장 작은 수이므로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전파연구소장이 방송통신기기인증서를 신청인에게 교부하고 관보에 고시하는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인증의 종류
  2. 기기의 명칭ㆍ모델명
  3. 제조자 및 제조국가
  4. 인증 확인자 성명
(정답률: 30%)
  • 인증 확인자 성명은 방송통신기기인증서를 교부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인증의 종류는 인증서가 어떤 종류인지를 나타내며, 기기의 명칭ㆍ모델명은 인증서가 발급된 기기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제조자 및 제조국가는 기기의 제조자와 제조국가를 나타내며, 이 정보는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필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4[dBmW]
  2. -44[dBmW]
  3. -54[dBmW]
  4. -64[dBmW]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전파의 신호 세기를 dBmW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정답은 -54[dBmW]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면, 가장 왼쪽에 있는 신호가 -54[dBmW]에 해당하는데,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신호 세기가 작기 때문입니다. dBmW는 전파의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값이 작을수록 신호가 약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4[dBmW]는 -34[dBmW], -44[dBmW], -64[dBmW]보다 신호가 약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