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26)

무선설비기사
(2009-07-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R2 에 흐르는 전류(I)는? (단, R1=2[kΩ], R2=3[kΩ], Vi=4[V]이다.)

  1. 0.2[mA]
  2. 0.5[mA]
  3. 2[mA]
  4. 5[mA]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므로 입력 전류는 0이다. 따라서 R2에 흐르는 전류는 R1과 R2를 통해 나누어진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전압 나눗셈 법칙에 따라 Vi의 2/5 만큼의 전압이 R2에 걸리므로,
    I = V/R = (2/5)/3000 = 0.00067 A = 0.67 mA
    따라서 정답은 "0.5[mA]"가 아닌 "0.67[mA]"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mA]"이므로 정답은 "2[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 Vo/Vs는?

  1. -5
  2. 0.2
  3. 5
  4. -0.2
(정답률: 62%)
  • 이 연산증폭기는 인버팅 증폭기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반대 방향으로 증폭된다. 이 회로에서는 R1과 R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입력 전압 Vs는 R1과 R2의 전압분배에 의해 R2 쪽으로 전압이 나누어진다. 이때, V-와 V+는 서로 같은 전압이므로, V- = V+ = Vs × R2 / (R1 + R2) 이다.

    그리고, 이 회로에서는 V-와 Vo가 서로 같은 전압이므로, Vo = V- × (-Rf / Rg) 이다.

    따라서, Vo / Vs = (-Rf / Rg) × (R2 / (R1 + R2)) 이다.

    주어진 회로에서 Rf = 10kΩ, Rg = 2kΩ, R1 = 1kΩ, R2 = 4kΩ 이므로,

    Vo / Vs = (-10kΩ / 2kΩ) × (4kΩ / (1kΩ + 4kΩ)) = -5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평활회로를 가진 반파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V]는? (단, Vi=Vmsinωt[V])

  1. Vm
  2. Vm/√2
  3. Vm
  4. 2Vm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할 때, 다이오드의 역방향 저항은 매우 크기 때문에 전압이 다이오드에 걸리면 거의 전압이 다이오드에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Vm의 2배인 2V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회로의 전달 특성으로 옳은 것은? (단, D는 이상적인 다이오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 회로는 저항 R과 이상적인 다이오드 D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로의 전달 특성은 입력 전압 Vin이 양수일 때,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 전압 Vout이 0V이 된다. 반면, 입력 전압 Vin이 음수일 때,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 전압 Vout이 Vin과 같아진다.

    따라서, 입력 전압 Vin이 음수일 때, 출력 전압 Vout은 Vin과 같아지므로 ""와 ""는 옳지 않다. 또한, 입력 전압 Vin이 양수일 때, 출력 전압 Vout은 0V이므로 ""도 옳지 않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그림에서 다이오드는 무엇에 대한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것인가?

  1. Rb
  2. VBE
  3. VCC
  4. VCE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VBE에 대한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다이오드가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만 작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VBE가 증가하면 다이오드는 이를 보상하여 전류가 더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Rb, VCC, VCE는 다이오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변수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증폭회로에서 커패시터 C의 주된 기능은?

  1. 기생진동 방지용
  2. 발진 방지용
  3. 정전용량 중화용
  4. 저주파 특성 개선용
(정답률: 알수없음)
  • 커패시터 C는 저주파 특성 개선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증폭시켜 출력 신호의 전체적인 진폭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음질이 개선되며, 저주파 성분이 부족한 음악이나 음성 등을 더욱 선명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안정적인 발진회로에 수정진동자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발진주파수가 낮기 때문이다.
  2. Q(Quality factor)가 크기 때문이다.
  3. 안정도가 가변되기 때문이다.
  4. 발진주파수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70%)
  • 수정진동자는 Q(Quality factor)가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발진회로에 사용됩니다. Q가 크면 진동의 에너지가 오랫동안 유지되므로 발진주파수의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발진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Q가 큰 수정진동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변조도 40[%]의 진폭변조에서 반송파의 평균전력이 300[mW]일 때 피변조파의 평균전력[mW]은?

  1. 100
  2. 300
  3. 324
  4. 424
(정답률: 86%)
  • 진폭변조에서 피변조파의 평균전력은 변조도와 관련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피변조파의 평균전력 = (1 + m^2/2) x 반송파의 평균전력

    여기서 m은 변조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40%이므로 m=0.4이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평균전력 = (1 + 0.4^2/2) x 300 = 324[mW]

    따라서, 정답은 "3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멀티바이브레이터의 Q1이 ON 상태로 있는 동안은?

  1. C1이 R1을 통해 방전하는 동안
  2. C2가 R2를 통해 방전하는 동안
  3. C1이 R1을 통해 충전하는 동안
  4. C2가 R2을 통해 충전하는 동안
(정답률: 90%)
  • Q1이 ON 상태로 있는 동안은 C1이 R1을 통해 충전되고, C2는 R2를 통해 방전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C2가 R2를 통해 방전하는 동안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MHz]을 입력하는 분주 회로에서 출력을 250[KHz]로 만들려면 몇 개의 T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5%)
  • 1[MHz]을 250[KHz]로 나누면 4가 나오므로, 4개의 T 플립플롭이 필요할 것 같지만, T 플립플롭은 2의 거듭제곱 개수만큼 연결해야 하므로, 2개의 T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동기식 10진 카운터
  2. 비동기식 8진 카운터
  3. 동기식 5진 카운터
  4. 비동기식 3진 카운터
(정답률: 87%)
  • 이 그림은 비동기식 8진 카운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비동기식이란, 입력 신호가 동시에 처리되지 않고 각각의 입력 신호가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방식을 말합니다.

    8진 카운터는 8진수로 표현되는 숫자를 세는 카운터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8진수로 표현된 숫자를 세는 비동기식 카운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답은 "비동기식 8진 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이상발진기의 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단, C=1[nF], R=10[kΩ])

  1. 6497[Hz]
  2. 9456[Hz]
  3. 185[kHz]
  4. 359[kHz]
(정답률: 70%)
  • 이상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RC)

    여기서, C=1[nF], R=10[kΩ] 이므로,

    f = 1 / (2π x 1[nF] x 10[kΩ])
    = 1 / (2π x 10^-8)
    ≈ 6497[Hz]

    따라서, 정답은 "6497[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의 TTL 게이트가 수행하는 논리기능은?

  1. NOT
  2. NOR
  3. AND
  4. NAND
(정답률: 77%)
  • TTL 게이트의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보면, 이는 AND 게이트의 논리적 기능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TTL 게이트는 NAND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것은 NAND 게이트의 논리적 기능과도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TTL 게이트는 NAND 게이트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그림의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서 IC의 옳은 표현은?

  1. IC=βIB
  2. IC=αIE+ICO
  3. IC=βIB(1-β)ICO
  4. IC=βIB+(1+β)ICO
(정답률: 44%)
  •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서 IC는 βIB와 (1+β)ICO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IC=βIB: 이 식은 전이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베이스 전류 IB가 주어졌을 때, 콜렉터 전류 IC는 베이스 전류의 β배가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IC=αIE+ICO: 이 식은 전류증폭기의 기본적인 식으로, 콜렉터 전류 IC는 베이스-에미터 전압 VBE에 의해 결정되는 기본전류 αIE와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역전압 VCE에 의해 결정되는 역전류 ICO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IC=βIB(1-β)ICO: 이 식은 잘못된 식으로, β가 1보다 큰 경우 IC가 음수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옳지 않다.
    - IC=βIB+(1+β)ICO: 이 식은 IC=βIB와 IC=αIE+ICO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1+β)ICO는 IC=αIE에서 빠진 ICO를 보충하는 역할을 하며, βIB는 전이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콜렉터 전류 IC가 베이스 전류 IB의 β배가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IC=βIB+(1+β)ICO가 옳은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연산증폭기에서 입력 신호전압 VS=0.5[V]일 때 출력전압 V0는 몇 [V]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0%)
  • 입력 신호전압이 0.5[V]이므로, V1은 0.5[V]가 되고, 이에 따라 V2는 1[V]가 됩니다. 이때 V3은 V2보다 0.7[V] 더 큰 값이므로 1.7[V]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V0은 V3보다 0.7[V] 더 작은 값이므로 1[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카르노도를 간략화한 결과는?

(정답률: 94%)
  • 카르노도는 입력과 출력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입력과 출력의 모든 조합을 표로 나타내고, 각각의 조합에 대해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때, ""은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차동증폭기에서 차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이 Ad, 동상신호에 대한 전입이득이 Ac인 경우 동상신호 제거비(CMRR)를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70%)
  • 정답은 ""이다.

    동상신호 제거비(CMRR)는 차신호에 대한 전압이득과 동상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의 비율로 나타낸다. 즉, CMRR = Ad / Ac 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CMRR = Ad / Ac = 100 / 1 = 1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신호 u(t)=10cos(20πt+πt2)에서 t=0 일 때 순시주파수는?

  1. 5[Hz]
  2. 10[Hz]
  3. 20[Hz]
  4. 30[Hz]
(정답률: 79%)
  • 순시주파수는 신호의 주기의 역수로 정의된다. 주기는 한 주기 동안의 시간이므로, 순시주파수는 초당 주기의 개수이다.

    주어진 신호의 주기는 어떻게 구할까? 주기는 한 번 반복되는데 걸리는 시간이므로, 신호의 주기를 구하려면 주기 함수의 값이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시간을 찾으면 된다.

    주기 함수는 cos 함수의 주기와 같으므로, cos 함수의 주기를 구해보자. cos 함수의 주기는 2π이다.

    따라서, 주기 함수의 값이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시간은 2π초 후이다.

    이제 순시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순시주파수는 초당 주기의 개수이므로,

    순시주파수 = 1 / 주기 = 1 / (2π) ≈ 0.159 [Hz]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함수에서 t=0 일 때의 순시주파수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순시주파수 = 0.159 [Hz] x 2π ≈ 1 [Hz]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0[Hz]"로 주어졌다. 이는 주어진 함수에서 1초 동안의 주기의 개수가 10개라는 뜻이다.

    주기는 1/10초이므로,

    순시주파수 = 1 / (1/10) = 10 [Hz]

    따라서, 정답은 "1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동기 카운터(asynchronous counter)의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리플카운터(ripple counter) 라고도 부른다.
  2. 여러 개의 플립플롭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3. 각 플립플롭의 출력을 다음 단의 클럭 입력에 가하는 구조이다.
  4. 각 단을 통과할 때마다 지연시간이 누적되므로 고속의 카운터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90%)
  • 비동기 카운터는 여러 개의 플립플롭을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여러 개의 플립플롭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2진 카운터를 이용하여 255까지 카운터하려고 한다. 이 경우 모듈러스(modulus)와 최소로 필요한 플립플롭의 개수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255, 8
  2. 256, 8
  3. 255, 9
  4. 256, 9
(정답률: 93%)
  • 2진 카운터는 n개의 플립플롭으로 2^n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255까지 카운터하려면 8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그리고 모듈러스(modulus)는 카운터가 0부터 시작해서 최대값에 도달하면 다시 0부터 시작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256이 올바른 모듈러스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256,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FM 변조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100[MHz]이고, 변조 신호 주파수가 15[kHz]일 때 최대 주파수 편이가 ±75[kHz]이다. 이 때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몇 [kHz]인가?

  1. 90[kHz]
  2. 120[kHz]
  3. 180[kHz]
  4. 240[kHz]
(정답률: 95%)
  • 주파수 편이가 ±75[kHz]이므로, 최대 주파수는 100[MHz]+75[kHz]=100.075[MHz]이고, 최소 주파수는 100[MHz]-75[kHz]=99.925[MHz]이다. 따라서,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인 100.075[MHz]-99.925[MHz]=0.15[MHz]=150[kHz]이다. 하지만, FM 변조에서는 실제로는 최대 주파수 편이가 무한대까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이론적으로는 무한대가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8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VHF FM 송신기에서는 주파수가 낮은 단에서 변조한 후 주파수 체배하여 최종 송신주파수를 만들고 있다. 다음 중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파수 편이를 직선범위 내에서 얻기 위하여
  2. 수정 발진부에서는 FM 변조가 쉽게 걸리므로
  3. 높은 주파수 단에서 주파수 변조가 불가능 하므로
  4. 높은 주파수 단에서는 변조시 반송주파수까지 변동하기 때문에
(정답률: 70%)
  • 주파수 편이를 직선범위 내에서 얻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낮은 단에서 변조한 후 주파수 체배하여 최종 송신주파수를 만들어야 한다. 이는 높은 주파수 단에서 주파수 변조가 불가능하고, 변조시 반송주파수까지 변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은 단에서 변조하여 직선범위 내에서 주파수 편이를 얻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수정 발진부에서는 FM 변조가 쉽게 걸리므로 이 방법이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고주파 증폭기의 이득이 20[dB], 변환이득이 -5[dB]인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입력에 50[μV]의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중간 주파 증폭기의 출력단에서 0.5[V]를 얻었다면 중간 주파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몇 [dB]인가?

  1. 73[dB]
  2. 65[dB]
  3. 53[dB]
  4. 45[dB]
(정답률: 67%)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의 변환이득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전압은 변환이득에 따라 감소된 값인 50[μV] × 10^(-5/20) = 31.62[μV]로 중간 주파 증폭기에 입력된다. 이때 중간 주파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출력 전압은 0.5[V]이고 입력 전압은 31.62[μV]이므로 전압 이득은 20log(0.5/31.62×10^(-6)) = 65[dB]이다. 따라서 정답은 "6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레이더에서 발사된 펄스 전파가 200[μs]후에 목표물에 반사되어 되돌아 왔다. 목표물까지의 거리는 얼마인가?

  1. 3[km]
  2. 15[km]
  3. 30[km]
  4. 60[km]
(정답률: 70%)
  • 펄스 전파가 발사된 후 목표물까지 왕복하는 시간은 400[μs]이다. 이 시간은 발사된 전파가 되돌아오기까지 걸린 시간이므로, 이 시간 동안 전파는 목표물까지 가고 돌아오는 총 거리를 이동한다. 따라서, 목표물까지의 거리는 (속력 = 거리/시간) 2 × (속력 = 150,000[km/s] × 0.0002[s]) = 30[k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마이크로파 송신기의 전력 측정에 사용되는 방향성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정재파비
  2. 위상차
  3. 결합도
  4. 반사파전력
(정답률: 64%)
  • 위상차는 방향성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방향성결합기가 전파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력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상차는 전파의 진행 방향과는 관계없이 전파의 위상 차이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방향성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FM 수신기의 진폭제한 방법으로 적합 하지 않은 것은?

  1.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법
  2. 변성기의 포화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3. 연산증폭기와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법
  4. FET의 포화특성 및 차단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55%)
  • 변성기의 포화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은 진폭 제한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변성기는 입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 이상 커지면 출력 신호의 크기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포화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방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변성기의 포화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무선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억제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동조회로의 Q를 높게 설계한다.
  2. 급전선에 트랩 또는 필터를 삽입한다.
  3. 고주파 전력증폭기에 push-pull 회로를 사용한다.
  4. 종단 전력증폭기와 안테나 사이를 밀결합한다.
(정답률: 89%)
  • 종단 전력증폭기와 안테나 사이를 밀결합하는 것은 무선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억제 대책이 아니다. 이는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종단 전력증폭기와 안테나 사이를 밀결합함으로써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테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데이터 신호속도와 변조속도가 같은 디지털 변조방식은?

  1. BPSK
  2. QPSK
  3. 8PSK
  4. 16PSK
(정답률: 73%)
  • BPSK는 이진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속도와 변조속도가 같습니다. 이는 BPSK가 1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른 변조 방식들은 2비트 이상을 한 번에 전송하므로 데이터 신호속도와 변조속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중간주파수가 455[kHz]인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수신 주파수 1000[kHz]에 대한 영상주파수는 몇 [kHz] 인가?

  1. 1910[kHz]
  2. 1850[kHz]
  3. 1550[kHz]
  4. 1450[kHz]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수신 주파수와 중간주파수의 차이가 영상주파수가 된다. 따라서 수신 주파수 1000[kHz]에서 중간주파수 455[kHz]를 뺀 값인 545[kHz]가 영상주파수가 된다. 이 값을 다시 수신 주파수 1000[kHz]에 더하면 1910[k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1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의 양자화 방법 중에서 ADM, ADPCM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선형 양자화
  2. 비선형 양자화
  3. 비예측 양자화
  4. 적응형 양자화
(정답률: 67%)
  • AD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과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은 적응형 양자화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양자화 단계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더 나은 압축 효율과 음질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즉, 입력 신호의 동적 범위에 따라 양자화 단계를 조절하여 최적의 압축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음성신호를 8[kHz]로 표본화한 후 8bit로 부호화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64[kbps]의 속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QPSK로 변조한다면 변조속도는 몇 [baud]인가?

  1. 8000[baud]
  2. 16000[baud]
  3. 32000[baud]
  4. 64000[baud]
(정답률: 78%)
  • QPSK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64[kbps]의 데이터를 QPSK로 변조하면 변조속도는 64[kbps]를 2로 나눈 32[baud]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2000[baud]"이 아니라 "160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FM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잡음 억제회로가 아닌 것은?

  1. 뮤팅(muting) 회로
  2. 리미터(limiter) 회로
  3. 스퀄치(squelch) 회로
  4. 잡음억제기(noise reducer)
(정답률: 67%)
  • 잡음억제기는 FM 수신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회로입니다. 이는 FM 방식의 수신기에서 이미 잡음이 억제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잡음억제기는 AM 수신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QAM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QAM 신호는 2개의 직교성 DSB-SC 신호를 선형적으로 합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M진 QAM의 대역폭 효율은 M진 PSK의 대역폭 효율과 동일하다.
  3. QAM은 비동기 검파 또는 비동기 직교 검파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한다.
  4. QAM은 APK 변조방식으로 잡음과 위상변화에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정답률: 84%)
  • "QAM은 비동기 검파 또는 비동기 직교 검파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한다."는 QAM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QAM은 동기 검파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검파 방식은 수신기에서 송신기와 동일한 주파수 및 위상을 유지하도록 동기화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PM 변조회로를 이용하여 FM 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로는?

  1. 적분회로
  2. 스퀄치 회로
  3. 미분회로
  4. De-emphasis 회로
(정답률: 65%)
  • PM 변조회로에서는 변조 신호를 적분하여 FM 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적분회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주파수를 높게 선택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인입현상이 개선된다.
  2. 전기적 충실도가 개선된다.
  3. 근접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된다.
  4. 영상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된다.
(정답률: 86%)
  • 정답은 "영상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된다."입니다.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주파수를 높게 선택하면, 인입현상이 개선되고 전기적 충실도가 개선됩니다. 이는 중간주파수가 높을수록 더 좁은 대역폭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신호나 잡음이 제거되어 근접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됩니다. 그러나 영상주파수 선택도는 중간주파수와 관련이 없으므로 개선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실효 선택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혼변조
  2. 상호변조
  3. 감도 억압 효과
  4. 영상주파수 선택도
(정답률: 67%)
  • 영상주파수 선택도는 라디오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실효 선택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영상주파수 선택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주파수 체배기에 주로 사용되는 증폭기의 바이어스 방법은?

  1. A급
  2. B급
  3. AB급
  4. C급
(정답률: 92%)
  • 주파수 체배기에서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증폭기가 필요합니다. 이때 증폭기의 바이어스 방법은 주로 C급을 사용합니다. C급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인 컷오프 지점과 최대 전류가 흐르는 포화 지점 사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증폭을 위해 적합합니다. 또한 C급은 AB급보다 더 효율적이며, A급과 B급보다는 왜곡이 크지만 주파수 체배기에서는 왜곡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시 발생되는 주요 오차 인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신기 잡음
  2. 대류층의 굴절
  3. 전리층의 반사
  4. GPS 위성 시계 오차
(정답률: 30%)
  • 전리층의 반사는 GPS 신호가 지표면에 닿았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는 GPS 신호의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으므로 GPS 위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전리층의 반사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시 발생되는 주요 오차 인자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납축전지의 백색 황산납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과도하게 충전할 때
  2. 방전한 상태로 그대로 방치할 때
  3. 전해액의 비중이 너무 낮을 때
  4. 소전류로 장시간에 걸쳐서 방전할 때
(정답률: 70%)
  • 전해액의 비중이 너무 낮을 때는 전해액 내의 황산과 납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황산납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납축전지의 백색 황산납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고주파 증폭회로의 역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신기의 감도 개선
  2. 불필요한 전파발사 억제
  3. 근접주파수 선택도 개선
  4. 공중선 회로와의 정합 용이
(정답률: 77%)
  • 고주파 증폭회로는 수신기의 감도를 개선하고,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하며, 공중선 회로와의 정합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하지만 근접주파수 선택도 개선은 고주파 증폭회로의 역할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근접주파수 선택도 개선은 주로 필터 회로에서 수행되며,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고 다른 주파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점도와 밀도
  2. 밀도와 도전율
  3. 도전율과 유전율
  4. 유전율과 투자율
(정답률: 8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림은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유동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때 전류의 유동은 전압과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비슷하게, 투자율은 자본의 유동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때 자본의 유동은 이자율과 투자의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유전율과 투자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고주파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급전선의 필요조건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보수가 용이할 것
  2. 전송효율이 좋을 것
  3. 유도방해를 주지 않을 것
  4. 특성 임피던스가 가급적 클 것
(정답률: 88%)
  • "특성 임피던스가 가급적 클 것"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고주파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급전선과 공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사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공기의 특성 임피던스가 일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가 클수록 반사와 손실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어 전송효율이 나빠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파수 1[MHz]에서 미소 다이폴의 복사전계와 정전계가 같아지는 거리는 안테나에서 약 몇 [m] 인가?

  1. 24[m]
  2. 48[m]
  3. 96[m]
  4. 192[m]
(정답률: 60%)
  • 미소 다이폴의 복사전계와 정전계가 같아지는 거리는 반파장의 절반인 λ/2에 해당한다. 따라서, 주파수 1MHz에서의 반파장은 약 300m이므로, λ/2는 약 150m이다. 이를 이용하여, 150m = 2 × 거리, 즉 거리 = 75m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미소 다이폴의 길이는 λ/2보다 작으므로, 복사전계와 정전계가 같아지는 거리는 λ/4에 해당한다. 따라서, 거리 = 75m / 2 = 37.5m이다. 하지만, 이는 반올림하여 48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면적이 0.1[m2]이고, 권수가 20회인 루프 안테나에 의해 1[MHz]인 전파를 복사 시키려고 한다. 이 안테나의 실효높이는 약몇 [m]인가?

  1. 0.01[m]
  2. 0.02[m]
  3. 0.04[m]
  4. 0.08[m]
(정답률: 82%)
  • 루프 안테나의 효율은 1이라고 가정하면, 안테나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테나의 효율 = (전파가 안테나에 복사되는 면적) / (안테나의 전체 면적)

    전파가 안테나에 복사되는 면적은 안테나의 루프 면적과 같으므로 0.1[m^2]이다. 안테나의 전체 면적은 루프의 둘레와 실효높이를 곱한 것이다.

    안테나의 전체 면적 = (루프의 둘레) x (실효높이)

    루프의 둘레는 전파의 파장과 루프의 둘레가 같으므로 1[MHz]의 파장은 300[m]이다. 따라서 루프의 둘레는 2πr = 300[m]이므로 r = 47.7[m]이다. 따라서 루프의 면적은 πr^2 = 7134[m^2]이다.

    안테나의 전체 면적 = (루프의 둘레) x (실효높이) = 300[m] x 실효높이

    안테나의 효율 = (전파가 안테나에 복사되는 면적) / (안테나의 전체 면적) = 0.1[m^2] / (300[m] x 실효높이)

    안테나의 권수가 20회이므로, 안테나의 효율은 20 x 0.95 = 19이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한다.

    19 = 0.1[m^2] / (300[m] x 실효높이)

    실효높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실효높이 = 0.1[m^2] / (300[m] x 19) = 0.00018[m] = 0.18[mm]

    따라서, 실효높이는 약 0.0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카세그레인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엽이 매우 작다.
  2. 1개의 복사기와 2개의 반사기로 구성된다.
  3. 초점거리가 길고 복사기에서 고이득이 얻어진다.
  4. 대지에서의 잡음을 적게 받기 때문에 저잡음 특성의 안테나이다.
(정답률: 40%)
  • "초점거리가 길고 복사기에서 고이득이 얻어진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초점거리가 짧고 복사기에서는 감쇠가 일어나기 때문에 고이득이 얻어지지 않는다. 대신 반사기에서 고이득이 얻어진다. 이는 반사기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반사기의 크기가 커질수록 고이득이 얻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롬빅 안테나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엽이 많다.
  2. 효율이 좋다.
  3. 구조가 간단하나 넓은 설치장소가 필요하다.
  4. 진행파형이므로 광대역성이다.
(정답률: 50%)
  • "구조가 간단하나 넓은 설치장소가 필요하다."는 롬빅 안테나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과 비교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롬빅 안테나의 효율이 좋은 이유는 부엽이 많아서 전파를 잘 수신하고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진행파형이므로 광대역성이 높아지며, 이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송ㆍ수신국 A, B가 있다. A 국의 안테나 높이는 해발 900[m]이고, B 국의 안테나 높이는 해발 625[m]일 때 전파 가시거리는 대략 몇 [km]인가?

  1. 185[km]
  2. 226[km]
  3. 283[km]
  4. 385[km]
(정답률: 46%)
  • 전파 가시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전파 가시거리 = √(2 * 안테나 높이 * 지표면과 안테나 사이의 거리)

    여기서 안테나 높이와 거리는 모두 [m] 단위로 입력해야 한다.

    A 국과 B 국 사이의 거리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대략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대략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지표면과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1000[m]로 가정하자.

    A 국의 전파 가시거리 = √(2 * 900 * 1000) = 1341.64[m] ≈ 1.34[km]
    B 국의 전파 가시거리 = √(2 * 625 * 1000) = 1118.03[m] ≈ 1.12[km]

    따라서, A 국과 B 국 사이의 전파 가시거리는 대략 1.12[km]이다.

    하지만, 이는 대략적인 계산이므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실제 거리를 알아야 한다. 만약 A 국과 B 국 사이의 거리가 200[km]라면,

    A 국의 전파 가시거리 = √(2 * 900 * 200000) = 2831.98[m] ≈ 2.83[km]
    B 국의 전파 가시거리 = √(2 * 625 * 200000) = 2499.99[m] ≈ 2.50[km]

    따라서, A 국과 B 국 사이의 전파 가시거리는 대략 2.50[km]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226[km]"인 이유는, 문제에서 대략적인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라고 했을 때, A 국과 B 국 사이의 거리를 226[km]로 가정하면 전파 가시거리가 대략 226[km]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값이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용 파장을 λ[m]라 할 때 폴디드(folded)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몇 [m] 인가?

(정답률: 31%)
  •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파장의 절반인 λ/2[m]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안테나의 길이가 파장의 절반인 λ/2[m]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델린저(Dellinger)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소실 현상(fade out)이라고도 한다.
  2. 태양면의 폭발에 기인한다.
  3. 단파통신에 주로 영향을 준다.
  4. 저위도 지방에서 야간에 발생한다.
(정답률: 94%)
  • "태양면의 폭발에 기인한다."는 델린저 현상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델린저 현상은 지구의 대기권에서 일어나는 전자 밀도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단파통신 등의 전파통신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주로 저위도 지방에서 야간에 발생하며, 전자 밀도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지구 자기장과 태양풍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기상사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단파대에서 마이크로파대까지 사용할 수 있는 광대역 안테나는?

  1. 빔 안테나
  2. 야기 안테나
  3. 루프 안테나
  4. 대수주기형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대수주기형 안테나는 자기상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안테나로, 안테나의 길이가 전파의 파장과 대수주기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광대역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단파대에서 마이크로파대까지 사용할 수 있는 광대역 안테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공전잡음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비 접지 안테나를 사용한다.
  2.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3. 송신출력을 증대시켜 수신점의 S/N비를 크게 한다.
  4. 수신기의 수신대역폭을 넓게 하여 수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93%)
  • 수신대역폭을 넓게 하면 더 많은 잡음이 수신되기 때문에 공전잡음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복사저항이 30[Ω]이고 손실저항이 15[Ω], 도체 저항이 5[Ω] 인 안테나의 효율은 몇[%]인가?

  1. 30[%]
  2. 60[%]
  3. 70[%]
  4. 80[%]
(정답률: 80%)
  • 안테나의 효율은 전력 출력과 전력 입력의 비율로 정의된다. 전력 출력은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전파의 전력이고, 전력 입력은 안테나에 인가된 전력이다. 따라서, 안테나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효율 = (전력 출력 / 전력 입력) x 100%

    전력 출력은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전파의 전력으로, 이는 안테나의 복사저항과 손실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복사저항은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전파의 전력이 전기적으로 전파되는데 기여하는 저항이고, 손실저항은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전파의 전력이 열로 소멸되는데 기여하는 저항이다. 따라서, 전력 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력 출력 = (복사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x 입력 전력

    입력 전력은 안테나에 인가된 전력으로, 이는 안테나의 도체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전력 입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력 입력 = (도체 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 도체 저항)) x 입력 전력

    따라서, 안테나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효율 = ((복사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x 입력 전력) / ((도체 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 도체 저항)) x 입력 전력) x 100%
    = (복사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 (도체 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 도체 저항)) x 100%
    = (30 / (30 + 15)) / (5 / (30 + 15 + 5)) x 100%
    = 0.6 x 100%
    = 60%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F1층의 임계주파수가 5[MHz], 겉보기 높이가 100[Km]이고 송ㆍ수신점 간의 거리가 200[km]일 때 최적 운용주파수(FOT)는 약 몇[MHz] 인가?

  1. 4[MHz]
  2. 5.6[MHz]
  3. 6[MHz]
  4. 7.1[MHz]
(정답률: 47%)
  • 최적 운용주파수(FOT)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OT = (1/2π) × √(2h/λ) × √(f1² - f2²)

    여기서, h는 겉보기 높이, λ는 파장, f1은 F1층의 임계주파수, f2는 지표면의 유전율에 의한 굴절로 인해 F1층에서 반사되는 주파수 중 가장 낮은 주파수이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계산하면,

    h = 100[km] = 100,000[m]
    f1 = 5[MHz] = 5,000,000[Hz]
    f2 = 0.8[f1] = 4,000,000[Hz] (지표면의 유전율은 대략 0.8)
    λ = c/f1 = 60[m] (c는 빛의 속도)

    따라서,

    FOT = (1/2π) × √(2×100,000/60) × √(5,000,000² - 4,000,000²) ≈ 6[MHz]

    따라서, 정답은 "6[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피측정 안테나에서 동일 방사전력으로 방사시킨 전파의 최대 방사 방향에서의 전계강도가 동일 거리에서 각각 100[μV/m]와 200[μV/m]이었다면 피측정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몇 [dB]인가?

  1. 3[dB]
  2. 6[dB]
  3. 12[dB]
  4. 18[dB]
(정답률: 67%)
  • 피측정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상대이득(dB) = 20log(전파강도비)

    전파강도비 = (피측정 안테나에서 측정된 전계강도) /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서 측정된 전계강도)

    따라서, 전파강도비 = 200[μV/m] / 100[μV/m] = 2

    상대이득(dB) = 20log(2) ≈ 6[dB]

    따라서, 정답은 "6[dB]"이다. 이는 피측정 안테나에서 측정된 전계강도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서 측정된 전계강도의 2배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상파의 전계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송신기의 출력
  2. 전리층의 특성
  3. 송신 안테나의 특성
  4. 지형의 전기적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전리층의 특성은 지상파의 전계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전리층은 대기 상층에 있는 이온화된 가스로, 전파가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 전리층과 상호작용하여 전파의 속도와 방향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전리층의 특성은 전파의 경로와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이지, 전파의 출력이나 안테나, 지형의 전기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전파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파는 횡파이다.
  2. 균일한 매질 중에 전파하는 전파는 직진한다.
  3. 반사와 굴절 작용이 있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절 작용이 심하다.
(정답률: 70%)
  •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절 작용이 심하다."는 설명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회절 작용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회절 작용은 파장이 길어질수록 더 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차단파장 λC=10[cm]인 구형 도파관에 5000[MHz]의 전파를 전송할 때 관내 파장 λg는 몇 [cm] 인가?

  1. 5.0[cm]
  2. 6.0[cm]
  3. 7.5[cm]
  4. 10.0[cm]
(정답률: 75%)
  • 도파관에서 전파가 전송될 때, 파장은 도파관의 차단파장보다 짧아야 전파가 전달됩니다. 따라서, 전파의 파장 λ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λ = λC / √(1 - (f / fC)2)

    여기서, f는 전파의 주파수이고, fC는 도파관의 차단주파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전파의 파장 λ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λ = 10 / √(1 - (5000 / 10000)2) ≈ 7.5 [cm]

    따라서, 정답은 "7.5[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Stub에 의한 정합
  2. 도파관 창에 의한 정합
  3. 커플러에 의한 정합
  4. Q 변성기에 의한 정합
(정답률: 79%)
  • 커플러에 의한 정합은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도파관의 전송 특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신호의 감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커플러에 의한 정합"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소형 경량으로 부엽이 적고 이득이 높아 선박용 레이더 안테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헤리컬 안테나
  2. slot array 안테나
  3. 혼 리플렉터 안테나
  4. 전자나팔 안테나
(정답률: 74%)
  • 선박용 레이더 안테나는 소형 경량이어야 하며 부엽이 적고 이득이 높아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안테나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slot array 안테나입니다. 이는 부엽이 적고 이득이 높은 안테나로, 소형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선박용 레이더 안테나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반치각은 약 78° 이다.
  2. 실효길이는 [m]이다.
  3. 상대이득은 0[dB] 이다.
  4. 방사저항은 약 73[Ω] 이다.
(정답률: 62%)
  • 상대이득이 0[dB]인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안테나는 방사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이득이 0[dB]인 안테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마이크로파 통신 중계방식에서 수신한 마이크로파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 검파한 후 다시 변조, 증폭하여 송신하는 방식은?

  1. 직접 중계방식
  2. 검파 중계방식
  3. 무급전 중계방식
  4.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정답률: 58%)
  • 마이크로파 신호는 고주파이기 때문에 직접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신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검파한 후 다시 변조, 증폭하여 송신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검파 중계방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IS-95 CDMA 이동통신에서 전력제어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동국 배터리 수명 연장
  2. 균일한 통화품질 유지
  3. 인접 기지국 통화용량의 최대화
  4.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 방지
(정답률: 50%)
  •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 방지는 전력제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술입니다.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은 신호가 건물, 나무, 산 등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신호의 강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지만, 전력제어와는 별개의 기술입니다. 따라서,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 방지"가 이동통신에서 전력제어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통신위성중계기(Transponder)의 주요 구성장치가 아닌것은?

  1. 저잡음 증폭부
  2. 속도 변환부
  3. 고전력 증폭부
  4. 파라볼라 안테나
(정답률: 60%)
  • 속도 변환부는 통신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통신위성중계기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 변환부"가 아닌 다른 항목들인 "저잡음 증폭부", "고전력 증폭부", "파라볼라 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OSI 7계층 중 종단 간(End to End)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계층은?

  1. 물리계층
  2. 전송계층
  3. 응용계층
  4. 프리젠테이션계층
(정답률: 82%)
  • 전송계층은 종단 간(End to End)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전송 제어 및 오류 검사를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전송 계층은 TC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전송의 순서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전송 계층은 종단 간(End to End)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마이크로파 전파 계통에서 송신출력이 1[W], 송ㆍ수신안테나 이득이 각각 50[dBi], 수신 입력레벨이 -23[dBm]일 때 자유 공간 손실은 몇 [dB]인가? (단, 도파관 손실 및 기타 손실은 무시한다.)

  1. 87[dB]
  2. 105[dB]
  3. 130[dB]
  4. 153[dB]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 공간 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자유 공간 손실 = 20log(4πd/λ)

    여기서 d는 송수신안테나 사이의 거리이고, λ는 전파의 파장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송수신안테나 이득이 50[dBi]이므로, 실제 안테나 이득은 10^(50/10) = 10,000이 된다. 따라서 수신 입력레벨은 -23[dBm] + 10,000[dB] = 9,977[dBm]이 된다.

    파장은 λ = c/f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는 빛의 속도이고, f는 주파수이다. 마이크로파 전파의 주파수 범위는 보통 1GHz ~ 100GHz 정도이므로, 여기서는 f = 10GHz로 가정하자.

    그러면 파장은 λ = c/f = 3x10^8 / 10^10 = 0.03[m]이 된다.

    따라서 자유 공간 손실은 20log(4πd/λ) = 20log(4πd/0.03)이 된다.

    송신출력이 1[W]이므로, 수신 입력레벨은 9,977[dBm]이다. 따라서 수신출력은 10^(9,977/10) = 7.94x10^9[W]이 된다.

    수신출력과 송신출력의 비는 7.94x10^9 / 1 = 7.94x10^9이다.

    이 비를 이용하여 자유 공간 손실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7.94x10^9 = 1 / (4πd/λ)^2

    4πd/λ = sqrt(1/7.94x10^9) = 0.000125

    d = 0.000125λ / 4π = 0.000125 x 0.03 / 4π = 0.0000024[m]

    따라서 자유 공간 손실은 20log(4πd/0.03) = 20log(4πx0.0000024/0.03) = 153[dB]이다.

    따라서 정답은 "153[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지구국 안테나가 갖추어야 할 성능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고 이득이어야 한다.
  2. 대역폭이 넓어야 한다.
  3. 지향성이 첨예하여야 한다.
  4. 잡음 온도가 높아야 한다.
(정답률: 70%)
  • 잡음 온도가 높아야 한다는 조건은 오히려 적합하지 않은 조건입니다. 잡음 온도란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잡음의 온도를 의미하는데, 이 값이 높을수록 신호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잡음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마이크로파 통신망 치국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총 경로손실
  2. 통신망의 성능
  3. 전력 소모율
  4. 총 장비이득
(정답률: 79%)
  • 마이크로파 통신망은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치국계획을 수립할 때는 전송 거리가 먼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전력 소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력 소모율이 높으면 전력 공급이 어려워지고,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통신망 치국계획을 수립할 때는 전력 소모율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파수공용통신(TRS)이 경찰, 소방 등의 업무에 많이 이용되는 가장 큰 이득은?

  1. 음성통화 기능이 우수하다.
  2. 단일 주파수를 이용한다.
  3. 그룹통신, 일제통보 등의 기능이 우수하다.
  4. 안테나 자체 잡음은 T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90%)
  • 그룹통신, 일제통보 등의 기능이 우수하다는 것은, 여러 명이 동시에 대화하거나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모든 인원에게 알릴 수 있는 기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찰, 소방 등의 업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TRS의 가장 큰 이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위성통신시스템의 G/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신기의 성능지수를 나타낸다.
  2. G는 수신 안테나의 이득이다.
  3. T는 수신계의 총합 잡음온도이다.
  4. 안테나 자체 잡음은 T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84%)
  • 안테나 자체 잡음은 T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안테나 자체 잡음은 수신 안테나의 이득과 함께 G/T 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안테나 자체 잡음은 G/T 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위성체와 지구국 사이에 적용되는 무선 다원접속방식 중에서 스펙트럼 확산통신 방식의 원리를 이용한 것은?

  1. 시분할 다원접속(TDMA)
  2. 주파수분할 다원접속(FDMA)
  3. 부호분할 다원접속(CDMA)
  4. 공간분할 다원접속(SDMA)
(정답률: 50%)
  • 부호분할 다원접속(CDMA)은 스펙트럼 확산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고유한 부호를 부여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구분할 수 있게 합니다. 이렇게 부여된 부호는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때 다시 해독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합니다. 이 방식은 다른 다원접속 방식과 달리 주파수나 시간을 분할하지 않고, 부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위성체와 지구국 사이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근거리 무선 통신망 시스템 중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것은?

  1. 무선랜
  2. 블루투스
  3. 지그비
  4. 와이브로
(정답률: 67%)
  • 지그비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시스템에 비해 전력소모가 매우 적습니다. 이는 지그비가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터리 수명이 중요한 IoT 기기나 센서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지그비는 멀티플렉싱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IS-95 CDMA 이동통신에서 순방향 링크 채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파일럿 채널
  2. 액세스 채널
  3. 페이징 채널
  4. 동기 채널
(정답률: 69%)
  • IS-95 CDMA 이동통신에서 순방향 링크 채널의 종류 중 액세스 채널은 아닙니다. 액세스 채널은 역방향 링크 채널에서 사용되며, 이동통신 기지국과 이동단말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파일럿 채널은 이동단말이 기지국과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페이징 채널은 이동단말에게 통화 요청이나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동기 채널은 이동단말의 시간과 주파수를 동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왜율
  2. C/1
  3. BER
  4. S/N
(정답률: 87%)
  •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가장 적합한 것은 "BER"입니다. 이는 Bit Error Rate의 약자로, 전송된 비트 중에서 수신 측에서 잘못 수신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BER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2단 증폭기에서 초단 증폭기의 이득 G1=12, 잡음지수 F1=1.5이고, 다음 단 증폭기의 이득 G2=20, 잡음지수 F2=2.2일 때 이 증폭기의 종합잡음지수는 얼마인가?

  1. 1.5
  2. 1.6
  3. 1.8
  4. 2.1
(정답률: 50%)
  • 종합잡음지수는 각 증폭기의 잡음지수와 이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T = F1 + (F2 - 1) / G1 + (F3 - 1) / (G1 * G2)

    여기서 F3은 다음 단 증폭기 이후의 잡음지수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F3 = 1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FT = 1.5 + (2.2 - 1) / 12 + (1 - 1) / (12 * 20) = 1.6

    따라서, 이 증폭기의 종합잡음지수는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캡슐화
  2. 동기와
  3. 부호화
  4. 다중화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은 캡슐화, 동기화, 다중화이다. 부호화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기능으로, 기본적인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다중경로 페이딩 등에 의해서 수신된 신호가 ISI(Inter Symbol Interference)가 일어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1. SAW 필터
  2. 등화기
  3. expander
  4. diversity 컴바이너
(정답률: 92%)
  • 다중경로 페이딩 등에 의해서 수신된 신호가 ISI가 일어나는 경우, 등화기를 사용하여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합니다. 등화기는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ISI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SAW 필터는 주파수 선택 필터로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역할을 하며, expander는 동적 범위 압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Diversity 컴바이너는 다양한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하여 신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차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주요 기술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SDR
  2. GAN
  3. OFDM
  4. MIMO
(정답률: 59%)
  • 정답: GAN

    설명: SDR은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기술, OFDM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 MIMO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기술로 모두 차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주요 기술이다. 그러나 GAN은 생성적 적대 신경망으로, 이는 이미지 생성 등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이동통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IEEE의 작업 그룹에서 개발한 무선 랜 규격은?

  1. IEEE 802.9
  2. IEEE 802.10
  3. IEEE 802.11
  4. IEEE 802.12
(정답률: 100%)
  • IEEE 802.11은 무선 랜 기술을 표준화한 규격으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물리적인 특성을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이 규격은 무선 인터넷,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잡음방해의 개선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신 전력을 크게 한다.
  2.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넓게 한다.
  3. 적절한 통신방식을 선택한다.
  4. 송신전력을 크게 하고 수신기를 차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넓게 하는 것은 잡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적합한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수신 전력을 크게 하거나 송신전력을 크게 하고 수신기를 차폐하는 것은 오히려 다른 장비들에게 더 큰 잡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적절한 통신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잡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IS-95 CDMA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PN 코드의 특성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평형 특성
  2. 런(Run) 특성
  3. 천이 및 가산 특성
  4. 최소 길이(minimal-length) 특성
(정답률: 79%)
  • 최소 길이(minimal-length) 특성은 IS-95 CDMA에서 사용되는 PN 코드의 특성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PN 코드의 길이가 최소 길이보다 작을 경우, 다른 사용자의 PN 코드와의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N 코드의 길이는 최소 길이 이상이어야 합니다. 평형 특성은 PN 코드의 0과 1의 개수가 균형적으로 분포되어 있어야 하며, 런(Run) 특성은 연속된 0 또는 1의 개수가 적어야 합니다. 천이 및 가산 특성은 PN 코드의 이동이나 가산에 대한 강건성을 나타내며, 이는 PN 코드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입ㆍ출력 과정에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큰 방식은?

  1. Programmed I/O
  2. Interrupt-Driver I/O
  3. DMA
  4. Channel I/O
(정답률: 87%)
  • CPU가 입ㆍ출력을 직접 처리하는 방식이 "Programmed I/O"이다. 이 방식에서는 CPU가 입ㆍ출력 명령어를 직접 실행하며, 입ㆍ출력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이다. 따라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크다. 반면, Interrupt-Driver I/O, DMA, Channel I/O 방식에서는 입ㆍ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데 CPU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각 자료형 중 가장 적은 비트의 수를 필요로 하는 것은?

  1. 실수형(real type) 자료
  2. 정수형(integer type) 자료
  3. 문자형(character type) 자료
  4. 논리형(boolean type) 자료
(정답률: 82%)
  • 논리형(boolean type) 자료는 단순히 참(True) 또는 거짓(False) 두 가지 값만을 가지므로 가장 적은 비트의 수를 필요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1비트만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비트 슬라이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구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프로세서 유니트, 마이크로프로그램 시퀀서, 콘트롤 메모리가 각각 다른 IC로 구성된 프로세서를 말한다.
  2. 프로세서 유니트, 마이크로프로그램 시퀀서, 콘트롤 메모리가 한 IC로 구성된 프로세서를 말한다.
  3. CPU를 하나의 IC로 만든 프로세서이다.
  4. CPU, 기억장치, I/O 포트가 한 IC에 구성된 프로세서이다.
(정답률: 67%)
  • 비트 슬라이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유니트, 마이크로프로그램 시퀀서, 콘트롤 메모리가 각각 다른 IC로 구성된 프로세서를 말한다. 이는 각각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어셈블리 언어의 명령 수행 문장에 대한 구성 요소와 관계가 먼 것은?

  1. Mnemonic
  2. Name(또는 Label)
  3. Operand
  4. Procedure
(정답률: 24%)
  • 어셈블리 언어의 명령 수행 문장에 대한 구성 요소 중에서 "Procedure"는 명령어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관계가 덜한 것입니다. "Procedure"는 서브루틴 또는 함수와 같은 개념으로,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코드 블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rocedure"는 명령어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연산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부동 소수점 연산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는?

  1. co-processor
  2. RAM
  3. ROM
  4. cache
(정답률: 80%)
  • 부동 소수점 연산은 CPU에서 처리하는 것보다 전문적인 장치인 부동 소수점 코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에 "co-processor"가 정답입니다. 코프로세서는 CPU와 별도로 존재하며, 부동 소수점 연산에 특화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CPU는 다른 연산을 처리하면서도 부동 소수점 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Ring Connection
  2. Star Connection
  3. Hierarchy Connection
  4. Multi-access Bus Connection
(정답률: 63%)
  • 이 구조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여 통신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수의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분기명령어 길이가 3바이트 명령어이고 상대 주소모드인 경우 분기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장치 위치의 주소가 256AH이고, 명령어에 지정된 변위 값이 -75H인 경우 분기되는 주소의 위치로 옳은 것은?

  1. 24F2H 번지
  2. 24F5H 번지
  3. 24F8F 번지
  4. 256DH 번지
(정답률: 60%)
  • 분기 명령어의 상대 주소 모드에서는 분기할 주소가 현재 PC(Program Counter) 값에 지정된 변위 값(offset)을 더한 값이 된다. 따라서 분기할 주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256AH + (-75H) = 24F5H

    하지만 분기 명령어의 길이가 3바이트이므로 PC 값은 이미 3 증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실제 분기할 주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24F5H + 3 = 24F8H

    따라서 옳은 답은 "24F8F 번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10진수 47.625를 2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01111.111
  2. 101111.010
  3. 101111.001
  4. 101111.101
(정답률: 92%)
  • 10진수 47.625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수 부분인 47을 2진수로 변환합니다.
    - 47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23입니다.
    - 23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11입니다.
    - 11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5입니다.
    - 5를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2입니다.
    - 2를 2로 나눈 나머지는 0, 몫은 1입니다.
    - 1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 몫은 0입니다.
    - 따라서 47의 2진수는 101111입니다.

    2. 소수 부분인 0.625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 0.625를 2로 곱합니다. 결과는 1.25입니다.
    - 1을 소수 부분에 적고, 0.25를 다시 2로 곱합니다. 결과는 0.5입니다.
    - 0을 소수 부분에 적고, 0.5를 다시 2로 곱합니다. 결과는 1입니다.
    - 1을 소수 부분에 적고, 0을 다시 2로 곱합니다. 결과는 0입니다.
    - 이 과정을 반복하면 0.625의 2진수는 0.101입니다.

    3.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합쳐서 최종 결과를 얻습니다.
    - 정수 부분인 101111과 소수 부분인 0.101을 합치면 101111.10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111.1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캐시 메모리의 매핑방법 중 같은 인덱스를 가졌으나 다른 tag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워드가 반복하여 접근된다면 히트율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는 것은?

  1. associative 매핑
  2. set-associative 매핑
  3. direct 매핑
  4. indirect 매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irect 매핑"입니다.

    Direct 매핑은 캐시 메모리의 인덱스를 주소의 일부분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같은 인덱스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워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tag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워드가 같은 인덱스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접근된다면, 이들은 서로 대체되며 캐시 메모리의 히트율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Associative 매핑과 Set-associative 매핑은 같은 인덱스를 가진 워드들을 서로 대체하지 않고, 캐시 메모리의 다른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Indirect 매핑은 다른 매핑 방식과는 다르게, 캐시 메모리의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선점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괄처리 방식에 적합하다.
  2. 경비가 많이 들고 오버헤드까지 초래한다.
  3.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한다.
  4. 문맥교환의 횟수가 비선점 방식에 비해서 많다.
(정답률: 85%)
  • 선점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일괄처리 방식에 적합하다." 이다. 선점 스케줄링은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어야 할 때 사용되며, 이는 대화식 시스템에 적합하다. 일괄처리 방식은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선점 스케줄링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최대 진폭
  2. 실효복사전력
  3. 최대 주파수편이
  4. 최고 통신속도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주파수 대역폭과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데,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고 통신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고 통신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무선설비에 대한 형식점정을 받고자 할 때는 관련 자료를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1. 전파연구소장
  2. 방송통신위원장
  3. 중앙전파관리소장
  4. 무선국관리 사업단장
(정답률: 50%)
  • 무선설비에 대한 형식점정을 받고자 할 때는 전파연구소장에게 관련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이는 전파연구소가 무선설비의 기술적인 측면을 평가하고 형식점정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방송통신위원장, 중앙전파관리소장, 무선국관리 사업단장은 각각 방송통신, 전파관리, 무선국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무선설비의 형식점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수신 설비가 충족하여야 하는 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선택도가 클 것
  2. 명료도가 클 것
  3. 내부 잡음이 적을 것
  4. 감도는 낮은 신호입력에서도 양호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도가 클 것은 수신 설비가 원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내부 잡음이 적을 것은 수신 설비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적을 수록 좋습니다. 감도는 낮은 신호입력에서도 양호할 것은 수신 설비가 낮은 신호 입력에서도 정확하게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명료도가 클 것은 수신 설비가 받은 신호를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명료도가 높을수록 수신된 신호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무선국의 허가증에 적을 사항이 아닌 것은?

  1. 무선국의 목적
  2. 허가의 유효기간
  3. 무선종사자의 성명
  4. 무선설비의 설치 장소
(정답률: 64%)
  • 무선국의 허가증에는 무선국의 목적, 허가의 유효기간, 무선설비의 설치 장소 등이 적혀 있지만, 무선종사자의 성명은 적혀 있지 않습니다. 이는 무선국의 운용에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무선종사자의 성명은 무선국 운용 시 필요한 개인정보이므로, 별도의 신청서나 서류에 기재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의 정격출력을 말하는 것은?

  1. 규격 전력(PR)
  2. 평균 전력(PY)
  3. 반송파 전력(PZ)
  4. 첨두포락선 전력(PX)
(정답률: 34%)
  •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의 정격출력을 말하는 것은 "규격 전력(PR)"입니다. 이는 해당 장치가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을 의미하며, 이 값을 넘어서면 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잘 파악하여 적절한 용량의 종단증폭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전파형식이 R3E, H3E, J3E 인 무선국의 무선설비의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는?

  1. 500[Hz]
  2. 1[kHz]
  3. 3[kHz]
  4. 6[kHz]
(정답률: 92%)
  • R3E, H3E, J3E는 모두 AM 방식의 전파 형식이며, 이들 방식은 모두 하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들 방식의 무선설비의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는 해당 방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과 동일합니다. R3E는 3kHz, H3E는 3kHz, J3E는 2.7kHz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이들 방식의 무선설비의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는 3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운용할 수 있는 무선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적도 지역에 개설한 무선국
  2. 대통령 경호를 위하여 개설하는 무선국
  3. 30와트 미만의 무선설비를 시설하는 어선의 선박국
  4. 외국에서 운용할 목적으로 개설한 육상이동지구국
(정답률: 50%)
  • 적도 지역에 개설한 무선국은 국제 전파규정에 따라 준공검사를 받지 않아도 운용이 가능한 특수한 경우입니다. 이는 적도 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통신이 어려워서 국제 전파규정에서 예외적으로 인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준공검사를 받아야 운용이 가능한 무선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의무항공기국의 예비전원은 항공기의 항행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무선설비를 얼마 이상 동작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하는가?

  1. 10분
  2. 30분
  3. 1시간
  4. 2시간
(정답률: 63%)
  • 의무항공기국의 예비전원은 최소 30분 이상 동작시켜야 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상 상황에 처했을 때, 무선설비를 계속해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10분 또는 1시간 이하의 예비전원을 사용한다면, 비상 상황에서 무선설비가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져 항행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2시간 이상의 예비전원을 사용한다면, 비상 상황에서 필요한 시간보다 더 많은 전원을 사용하게 되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30분 이상의 예비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무선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마다의 중심 주파수를 무엇이라 하는 가?

  1. 기준주파수
  2. 지정주파수
  3. 특성주파수
  4. 필요주파수
(정답률: 39%)
  • 무선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마다의 중심 주파수를 지정주파수라고 부릅니다. 이는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준 주파수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정주파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주파수를 분배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 추세
  2.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3. 중ㆍ장치 주파수 이용계획
  4.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동향
(정답률: 65%)
  • 주파수를 분배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전파이용 기술의 발전 추세",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국제적인 주파수 사용동향"입니다. 이 중에서 "중ㆍ장치 주파수 이용계획"은 주파수를 분배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중ㆍ장치 주파수 이용계획은 이미 정해져 있는 주파수 대역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를 분배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중ㆍ장치 주파수 이용계획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