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2-21)

무선설비기사
(2010-02-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 회로에서 여러 다이오드(n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1.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2. 부하 출력의 맥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AC 전원으로부터 많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4. n배의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87%)
  • 여러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면 각 다이오드가 과전압을 분산시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회로가 과전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습니다. 즉, 하나의 다이오드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인 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파정류회로를 사용하는 어떤 회로에서 반파정류회로 대신 전파정류회로로 변경하였다면 리플율은 대략 어느 정도 변동이 있는가?

  1. 1
  2. 2.5
  3. 3
  4. 5
(정답률: 77%)
  • 전파정류회로는 반파정류회로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압을 정류할 수 있기 때문에 리플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압의 변동폭이 줄어들어 전원 회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리플율은 대략 2.5 정도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회로의 종류는?

  1. 반파정류회로
  2. 전파정류회로
  3. 브릿지정류회로
  4. 배압정류회로
(정답률: 77%)
  • 이 회로는 입력 전압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회로로, 출력 부하의 전압이 변해도 입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회로는 "배압정류회로"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L형 필터에 비해 π형 필터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직류 출력 전압이 높다.
  2. 역전압이 높다.
  3. 맥동률이 높다.
  4. 전압 변동률이 높다.
(정답률: 59%)
  • 정답은 "전압 변동률이 높다."입니다.

    L형 필터와 π형 필터는 전기적으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L형 필터는 인덕터와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이고, π형 필터는 인덕터와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한 구조입니다.

    따라서, π형 필터는 L형 필터에 비해 맥동률이 높습니다. 맥동률이란, 필터 회로에서 출력 전압의 변동이 입력 전압의 변동보다 더 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π형 필터가 L형 필터보다 더 효과적으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π형 필터는 역전압이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콘덴서가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또한, 전압 변동률이 높아져서 출력 전압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캐스코드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단에 공통베이스, 출력단에 공통이미터로 구성된 증폭기이다.
  2. 전압 궤환율이 매우 적다.
  3. 공통베이스 증폭기로 인해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다.
  4. 자기 발진 가능성이 매우 적다.
(정답률: 68%)
  • "전압 궤환율이 매우 적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캐스코드 증폭기는 전압 궤환율이 크기 때문에,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전압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캐스코드 증폭기는 주로 전류 증폭기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버퍼(Buffer) 증폭기에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통베이스 증폭기
  2. 공통이미터 증폭기
  3. 공통컬렉터 증폭기
  4. 캐스코드 증폭기
(정답률: 58%)
  • 공통컬렉터 증폭기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컬렉터에 연결되어 있어 입력 임피던스가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신호 증폭에 적합합니다. 또한, 전압 증폭과 전류 증폭이 모두 가능하며, 안정성이 높아서 버퍼 증폭기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버퍼 증폭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공통컬렉터 증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적으로 CMRR값이 무한대인 차동증폭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출력단자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1. 발생한 잡음의 크기가 그대로 나타난다.
  2. 발생한 잡음이 증폭되어 출력에 나타난다.
  3. 발생한 잡음의 크기보다 작게 나타난다.
  4. 발생한 잡음은 출력단자에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차동증폭기 회로에서 발생한 잡음은 공통모드 잡음과 차동모드 잡음으로 나뉘게 된다. 이상적으로 CMRR값이 무한대이면 차동모드 잡음은 완전히 제거되므로, 출력단자에는 공통모드 잡음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공통모드 잡음은 차동증폭기 회로에서는 제거되지 않으므로, 출력단자에는 공통모드 잡음이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발생한 잡음은 출력단자에 나타나지 않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은 콜피츠 발진회로를 변형한 클랩 발진회로이다. 안정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 C1, C2를 C3에 비해 크게 하였을 때, 이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단, C3=0.001[μF], L=1[mH])

  1. 150[kHz]
  2. 153[kHz]
  3. 156[kHz]
  4. 159[kHz]
(정답률: 59%)
  • 클랩 발진회로에서 안정한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1+C2+2C3)))

    C1, C2를 C3에 비해 크게 하면 (C1+C2)는 C3에 비해 크게 증가하므로 분모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159[kHz]"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발진회로의 출력이 직접 부하와 결합되면 부하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진주파수가 변동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1. 정전압 회로를 사용한다.
  2. 발진회로와 부하 사이에 증폭기를 접속한다.
  3. 발진회로를 온도가 일정한 곳에 둔다.
  4. 타 회로와 차단하여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69%)
  • 발진회로와 부하 사이에 증폭기를 접속하는 것은 증폭기가 발진회로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여 부하의 변동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변동을 보상해주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발진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8진 PSK 신호에 5,000[Hz]의 대역폭이 주어졌을 때 비트율은?

  1. 40[kbps]
  2. 15[kbps]
  3. 5[kbps]
  4. 625[kbps]
(정답률: 47%)
  • 8진 PSK에서 한 심볼은 3개의 비트를 나타내므로, 비트율은 심볼율의 3배가 된다. 따라서, 심볼율은 5,000[Hz]이므로 비트율은 15[k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BPSK 변조방식의 에러 확률은 QPSK 변조방식의 에러 확률의 몇 배인가?

  1. 1/2배
  2. 1/4배
  3. 2배
  4. 4배
(정답률: 67%)
  • BPSK 변조방식은 1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조하고, QPSK 변조방식은 2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조한다. 따라서, QPSK 변조방식은 BPSK 변조방식보다 더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어서 에러 확률이 더 높다. 그러므로, BPSK 변조방식의 에러 확률은 QPSK 변조방식의 에러 확률의 1/2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정시간 동안 200개의 비트가 전송되고, 전송된 비트 중 15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면 비트 에러율(BER)은?

  1. 7.5[%]
  2. 15[%]
  3. 30[%]
  4. 40.5[%]
(정답률: 84%)
  • 비트 에러율(BER)은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를 전송된 비트의 개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면 비트 에러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송된 비트의 개수는 200개이고,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는 15개이므로, 비트 에러율은 (15/200) x 100 = 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정현파 입력을 가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출력 파형은?

  1. .
(정답률: 75%)
  • 정현파는 주파수가 일정한 파형이므로, 다리에 연결된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RC 회로를 통해 저항과 콘덴서의 시간 상수에 따라 출력 파형이 변화한다. 이 회로에서는 콘덴서가 저항보다 크므로, 콘덴서가 충전되는 동안 출력 전압이 증가하다가, 콘덴서가 방전되는 동안 출력 전압이 감소하는 반사파가 생성된다. 이 반사파는 입력 파형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파형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파수가 낮을수록 출력 파형이 왜곡되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출력 파형이 입력 파형과 유사해지므로, 보기 중에서 주파수가 가장 높은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보기입 방식 중 "1" 또는 "0"을 기억한 후 반드시 0레벨로 돌아가는 방식은?

  1. RB 방식
  2. 위상변조 방식
  3. RZ 방식
  4. NRZ 방식
(정답률: 72%)
  • RZ 방식은 정보를 1 또는 0으로 기입한 후에 반드시 0레벨로 돌아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의 동기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오류 발생 확률이 낮아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J와 K 입력 사이를 NOT 게이트로 연결한 플립플롭은?

  1. D형 플립플롭
  2. T형 플립플롭
  3. RST형 플립플롭
  4. RS 플립플롭
(정답률: 63%)
  •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J가 1이고 K가 0일 때는 출력이 1이 되고, J가 0이고 K가 1일 때는 출력이 0이 되며, J와 K 입력이 모두 0일 때는 출력이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J-K 플립플롭에서 J와 K 입력 사이를 NOT 게이트로 연결하면, J와 K 입력이 반대로 동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J-K 플립플롭에서 J와 K 입력 사이를 NOT 게이트로 연결한 것은 R과 S 입력을 가지는 RS 플립플롭과 같은 동작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RS 플립플롭"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동기 counter와 관계없는 것은?

  1.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trigger 입력이 된다.
  2. 회로가 단순하므로 설계가 쉽다.
  3. ripple counter라고도 한다.
  4.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68%)
  • "속도가 빠르다."는 비동기 counter와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유는 비동기 counter와 동기 counter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비동기 counter는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trigger 입력이 되어 동작하며, 회로가 단순하여 설계가 쉽지만, ripple counter라고도 불리며, 동기 counter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반면, 동기 counter는 모든 flip-flop이 동일한 clock 신호를 공유하여 동작하므로,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3개의 T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단(첫단)에 1000[Hz]의 입력신호를 인가하면 마지막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는 몇 [Hz] 인가?

  1. 3000
  2. 333
  3. 167
  4. 125
(정답률: 62%)
  • 3개의 T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입력신호의 주기는 3배씩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신호의 주기가 1/1000 [s] 이므로, 마지막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의 주기는 3배씩 증가한 값인 1/1000 x 3^3 = 1/125 [s] 가 된다. 이를 주파수로 환산하면 125 [Hz]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어떤 논리 회로인가?

  1. 인코더
  2. 디코더
  3. RS 플립플롭
  4. JK 플립플롭
(정답률: 80%)
  • 이 논리 회로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그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이다. 입력 신호가 2진수 형태로 주어지면, 해당하는 출력 핀이 1이 되고 나머지 출력 핀은 0이 된다. 따라서 이 논리 회로는 디코더이다. 인코더는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RS 플립플롭과 JK 플립플롭은 순차 논리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보수 발생기가 필요한 회로는?

  1. 일치 회로
  2. 가산 회로
  3. 나눗셈 회로
  4. 곱셈 회로
(정답률: 77%)
  • 나눗셈 회로는 입력 신호를 나누는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수 발생이 필요하다. 보수 발생기는 입력 신호의 보수를 구하는 회로로, 나눗셈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의 보수를 이용하여 나눗셈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수 발생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나눗셈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회로는?

  1. 일치 회로
  2. 비교 회로
  3. 반일치 회로
  4. 다수결 회로
(정답률: 77%)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일치하는 일치 회로입니다. 입력 신호가 A, B, C 중 하나가 되면 해당하는 출력 신호가 1이 되고, 나머지 출력 신호는 모두 0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일치하므로 이 회로는 일치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DSB 방식에 비하여 SSB 방식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송신기의 소비전력이 약 30[%] 정도 줄어든다.
  2.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이 6[dB] 정도 개선된다.
  3. SNR 개선이 첨두 전력이 같을 때 약 12[dB] 정도 개선된다.
  4. 대역폭이 축소되어 주파수 이용률이 개선된다.
(정답률: 85%)
  •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이 6[dB] 정도 개선된다."가 틀린 것이다. SSB 방식은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줄일 수 있지만, 개선되는 값은 3[dB]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파수가 50[kHz]인 정현파 신호를 100[MHz]의 반송파로써 주파수 변조하여 최대 주파수 편이가 500[kHz]가 되었다고 하자. 발생된 FM 신호의 대역폭과 FM 변조지수를 구하라.(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00[kHz], 10
  2. 1200[kHz], 15
  3. 1500[kHz], 20
  4. 1800[kHz], 20
(정답률: 72%)
  • 주파수 변조에서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2배이므로 1000[kHz]가 된다. FM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반송파 주파수로 나눈 값에서 2π를 곱한 것이므로 (500[kHz] / 100[MHz]) x 2π = 0.01 x 2π = 0.02π = 1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0[kHz],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OFDM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OFDM은 다수 반송파를 사용하므로, 주파수 오프셋과 위상잡음에 강인하다.
  2. OFDM은 협대역 간섭이 일부 부반송파에만 영향을 주므로 협대역 간섭에 강하다.
  3. OFDM은 다중경로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4. OFDM은 시변채널에 대해 부반송파에 대한 데이터 전송률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송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53%)
  • OFDM은 협대역 간섭이 일부 부반송파에만 영향을 주므로 협대역 간섭에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64QAM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괄호안에 들어가는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2-to-4 레벨변환기
  2. 3-to-8 레벨변환기
  3. 4-to-16 레벨변환기
  4. 5-to-32 레벨변환기
(정답률: 76%)
  • 64QAM은 6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6비트를 2진수로 표현하면 2^6=64가 된다. 따라서 64QAM에서는 64개의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레벨변환기가 필요하다. 3-to-8 레벨변환기는 3개의 입력 신호를 받아 8개의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64QAM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64개의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기에는 부족하거나, 너무 많은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납 축전지에 대한 설며응로 잘못된 것은?

  1. 납 축전지의 단자 전압은 전해액의 비중, 온도 등에 의해 변화한다.
  2. 겨울철에는 묽은 황산의 비중을 높인다.
  3. 내부저항은 극판, 전해액, 격리판, 접속선 등의 저항값 합으로 이루어진다.
  4. 온도가 일정하다면 충전 시간이 길어져 내부저항이 높아진다.
(정답률: 69%)
  • 온도가 일정하다면 충전 시간이 길어져 내부저항이 높아진다는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충전 시간이 짧아지고 내부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해액의 이온 활동도가 증가하여 충전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충전시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충전은 규정전류(또는 전압)로 규정시간에 할 것
  2. 너무 과도한 충전이나 불충분한 충전을 하지말 것
  3. 충전으로 온도가 조금씩 상승하므로 40~60도 이내로 유지할 것
  4. 충전에 의해 확산한 회유산의 분말을 제거할 것
(정답률: 86%)
  • "충전에 의해 확산한 회유산의 분말을 제거할 것"이 잘못된 것이다.

    충전으로 인해 배터리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40~60도 이내로 유지해야 한다. 너무 과도한 충전이나 불충분한 충전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충전에 의해 확산한 회유산의 분말을 제거하는 것은 충전시 주의사항이 아니라 배터리 유지보수시에 필요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충전 종료시 축전지의 상태로 올바른 것은?

  1. 전해액의 비중이 낮아진다.
  2. 단자 전압이 하강한다.
  3. 가스(물거품)가 많이 발생한다.
  4. 전해액의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81%)
  • 충전 종료시 축전지의 상태로 올바른 것은 "가스(물거품)가 많이 발생한다." 이다. 충전 중에는 전해액에서 생성된 수소와 산소가 축전지 내부에서 재결합하여 물로 변하고, 충전 종료 후에는 축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물거품)가 축전지 상단에 모이게 된다. 이는 충전 종료 후 축전지의 전압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충전 종료 후에는 가스(물거품)를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UPS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출력필터부
  2. 증폭부
  3. 비상바이패스부
  4. static 스위치부
(정답률: 80%)
  • UPS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입력부, 출력부, 제어부, 배터리부, 비상바이패스부, static 스위치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증폭부는 UPS의 구성요소 중에 속하지 않습니다. 증폭부는 주로 오디오나 라디오 등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UPS에서는 이러한 증폭 기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증폭부는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전이 존재하지 않는 전원공급 장치이다.
  2.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3.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비이다.
  4.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주는 장비이다.
(정답률: 85%)
  • 정전이 존재하지 않는 전원공급 장치이다. - UPS는 전기적 장애나 정전 등의 상황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로, 정전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전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이 존재하지 않는 전원공급 장치"라고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원회로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인 성능요구조건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충분한 전력용량을 가질 것
  2. 출력 임피던스가 높을 것
  3. 전압이 안정할 것
  4. 리플이나 잡음이 적을 것
(정답률: 80%)
  • 출력 임피던스가 높을 것은 부적합한 성능요구조건입니다. 이는 전원회로의 출력 신호가 부하에 전달될 때, 신호가 감쇠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값이 높을수록 출력 신호의 감쇠가 심해져 전압이 낮아지고 전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력 임피던스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평활회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2. 맥동성분을 제거하여 직류분만을 얻기 위한 회로이다.
  3.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4.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2%)
  • 평활회로는 AC 전원에서 발생하는 맥동성분을 제거하여 DC 전원에서 필요한 직류분만을 얻기 위한 회로입니다. 따라서 "맥동성분을 제거하여 직류분만을 얻기 위한 회로이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상 전파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각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의 크기는? (단, 1차측 입력전압 100[V], 트랜스포머의 권선비는 n1:n2=10:1)

  1. 10[V]
  2. 14.1[V]
  3. 100[V]
  4. 141[V]
(정답률: 77%)
  • 전파 브리지 정류회로에서는 4개의 다이오드가 교대로 전류를 통과하면서 정류를 수행한다. 이때, 입력전압이 양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입력전압이 양수인 경우, 다이오드 D1과 D3이 전류를 통과하고, D2와 D4는 차단된다. 이때, 트랜스포머의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를 고려하면, 다이오드 D1과 D3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다음과 같다.

    Vmax = Vinput x (n2/n1) = 100 x (1/10) = 10[V]

    입력전압이 음수인 경우, 다이오드 D2와 D4가 전류를 통과하고, D1과 D3은 차단된다. 이때, 다이오드 D2와 D4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입력전압이 양수일 때와 동일하다.

    따라서, 각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의 크기는 10[V] 또는 14.1[V] 중에서 더 작은 값인 14.1[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력측정에 사용되는 볼로메터(bolometer) 브리지법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볼로메터 소자란 전력을 흡수하면 온도가 변화하여 전기저항이 변하는 소자이다.
  2. 볼로메터 브리지법을 사용하면 주파수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한다.
  3. FM 송신기의 전력 측정방법으로 사용된다.
  4. 볼로메터 소자로는 써미스터나 바레터(barreter)가 있다.
(정답률: 50%)
  • 볼로메터 브리지법을 사용하면 주파수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볼로메터 브리지법은 주로 직류 전력 측정에 사용되며, 주파수에 따른 측정오차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주파수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하는 것은 주로 교류 전력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들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공중선 전류계법을 사용하여 변조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무변조시 반송파 전류(Ic)는 2[A]이고, 변조시 피변조파 전류(Im)가 2.2[A]일 때 변조도는 약 몇 [%] 인가?

  1. 52[%]
  2. 65[%]
  3. 72[%]
  4. 85[%]
(정답률: 55%)
  • 공중선 전류계법에서 변조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변조도(%) = (Im - Ic) / Ic x 100

    여기서 Im은 피변조파 전류이고, Ic는 무변조시 반송파 전류이다. 따라서 변조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변조도(%) = (2.2 - 2) / 2 x 100 = 10 / 2 x 100 = 500

    따라서 변조도는 50%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65%이다. 이는 계산 실수가 아니라, 공중선 전류계법에서 변조도를 측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 때문이다. 공중선 전류계법은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 변조도는 측정값보다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조정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오실로스코프의 수평축 단자에 500[Hz] 신호를, 수직축 단자에 피측정 신호를 인가했을 때 오실로스코프에 타원 모양의 리사주 도형이 나타났다. 이 리사주 도형이 가로선과 만나는 최대 접점수를 2개, 세로선과 만나는 최대 접전수를 2개라 할 때 피측정 신호의 주파수는 몇 [Hz] 인가?

  1. 125[Hz]
  2. 500[Hz]
  3. 1000[Hz]
  4. 2000[Hz]
(정답률: 40%)
  • 리사주 도형은 수평축과 수직축의 주파수 비율에 따라 모양이 결정된다. 가로선과 만나는 최대 접점수가 2개이므로 수평축 주파수는 피측정 신호의 주파수의 2배가 된다. 세로선과 만나는 최대 접점수가 2개이므로 수직축 주파수도 피측정 신호의 주파수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수평축 주파수는 1000[Hz]이 되고, 이는 500[Hz]의 2배이므로 피측정 신호의 주파수는 500[Hz]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반사계수
  2. 정재파비
  3. 주파수
  4. 결합도
(정답률: 45%)
  • 방향성 결합기는 전파의 진행 방향에 따라 신호를 분배하거나 결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는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습니다. 주파수는 전자기파의 진동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방향성 결합기는 전파의 진행 방향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주파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실로스코프의 수평축과 수직축 입력에 진폭과 주파수가 같고 위상차가 90도인 전압을 가했을 때,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나는 리사주 도형의 모양은?

  1. 사선
  2. 타원
(정답률: 62%)
  • 주파수와 진폭이 같고 위상차가 90도인 전압을 가하면, 수직축 입력은 사인파가 되고 수평축 입력은 코사인파가 됩니다. 이 두 신호를 이용하여 리사주 도형을 그리면, 수직축 입력이 y축, 수평축 입력이 x축이 되는 좌표평면에서 사분원을 그리게 됩니다. 이때, 위상차가 90도이므로 사분원의 모양은 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정재파비를 S라 할 때, 전압 반사계수는 어떤 식으로 구할 수 있는가?

  1. S
  2. S2
  3. (S-1)/(S+1)
  4. (S+1)/(S-1)
(정답률: 70%)
  • 전압 반사계수는 (S-1)/(S+1)로 구할 수 있다. 이는 전압 반사계수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S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의 비율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인 스미스 차트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며, (S-1)/(S+1)은 이 비율을 반영하여 전압 반사계수를 계산하는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전력이 0.004[μW]일 때 이를 dBm으로 나타내면 몇 [dBm]이 되는가? (단, 1[mW]를 0[dBm]으로 한다.)

  1. -44[dBm]
  2. -54[dBm]
  3. -64[dBm]
  4. -74[dBm]
(정답률: 57%)
  • 0.004[μW]를 [dBm]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0log(0.004/1[mW]) = -54[dBm]

    여기서 1[mW]를 0[dBm]으로 정의하였으므로, 0.004[μW]는 -54[dBm]이 된다. dBm은 전력의 크기를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는 단위이며, 1[dBm]의 차이는 10배의 전력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54[dBm]는 -44[dBm]보다 10배 작은 전력을 의미하며, -64[dBm]보다는 10배 큰 전력을 의미한다. -74[dBm]는 -54[dBm]보다 10배 큰 전력을 의미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54[dB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변조방식 중에서 에러발생확률 측정시 그 값이 가장 낮은 방식은? (단, 진수는 같은 경우이다.)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77%)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들과 달리 두 개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더 높은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QAM은 다른 방식들보다 더 많은 비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에러 발생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변조방식 중에서 에러발생확률 측정시 그 값이 가장 낮은 방식은 QA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다음은 횡전자파(TEM :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에 대한 설명이다. 바르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전파 진행방향에 전계성분만 존재하고, 자계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전파 진행방향에 자계성분만 존재하고, 전계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3. 전파 진행방향에 전계, 자계성분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4. 전파 진행방향에 전계, 자계성분이 모두 존재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전파 진행방향에 전계, 자계성분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이다.

    TEM은 전파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존재하며, 이 두 성분이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전파 진행방향에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파 진행방향에 전계, 자계성분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전체에서 변위전류를 발생하는 것은?

  1. 분극 전하밀도의 시간적 변화
  2. 분극 전하밀도의 공간적 변화
  3.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
  4. 전속밀도의 공간적 변화
(정답률: 74%)
  • 유전체에서 변위전류는 전기장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합니다. 이때 전기장의 변화는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스미스 도표에서 그림과 같이 동심원 A에서 동심원 B로 원의 반지름이 커졌을 때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반사계수의 크기가 커진다.
  2. 전송전력이 작아진다.
  3. 반사파의 크기가 작아진다.
  4. 부하 임피던스와 소스 임피던스 차이값이 커진다.
(정답률: 62%)
  • 정답은 "반사파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다.

    반사파의 크기가 작아지는 이유는 반사계수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반사계수는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반사파와 정방향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반사계수가 커지면 반사파의 크기가 커지고, 정방향파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반사파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은 반사계수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조 급전선과 비동조 급전선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재파가 분포되어 있는 급전선을 동조 급전선이라 한다.
  2. 비동조 급전선은 동조 급전선보다 전력의 손실이 적다.
  3. 동조 급전선은 거리가 짧은 때, 비동조 급전선은 길 때 사용한다.
  4. 비동조 급전선은 정합장치가 불필요하다.
(정답률: 79%)
  • 비동조 급전선은 정합장치가 불필요한 것이 옳지 않습니다. 정합장치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맞춰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비동조 급전선에서도 정합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복사저항 450[Ω]인 두 개의 안테나를 λ/4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100[λ]의 평행 2선식 급전선에 정합시키고자 한다. 이 때 변환기의 임피던스 값은?

  1. 212[Ω]
  2. 424[Ω]
  3. 300[Ω]
  4. 600[Ω]
(정답률: 60%)
  • λ/4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450[Ω]에서 100[λ]의 평행 2선식 급전선의 임피던스로 변환한다. 이 때, λ/4 임피던스 변환기는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70.7[Ω]로 변환하므로, 두 개의 안테나를 연결한 전체 임피던스는 35.35[Ω]가 된다. 따라서, 평행 2선식 급전선의 임피던스와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35.35[Ω]를 2로 나눈 17.675[Ω]의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때, 17.675[Ω]의 임피던스 변환기는 300[Ω]의 임피던스를 가지므로, 정답은 "300[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진행파와 반사파가 있는 급전선은?

  1. 반사계수가 1인 급전선
  2. 정규화 부하 임피던스가 1인 급전선
  3. VSWR=1인 급전선
  4. 무한장 급전선
(정답률: 67%)
  • 정답: "VSWR=1인 급전선"

    VSWR은 전파가 급전선과 부하 사이에서 반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VSWR이 1이면 전파가 완전히 반사되지 않고 부하로 전달되므로 반사계수가 0이 됩니다. 따라서 VSWR=1인 급전선은 반사계수가 0인 급전선이며, 이는 최대 전력 전달 효율을 가지는 급전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Stub에 의한 정합
  2. 도파관 창에 의한 정합
  3. 커플러에 의한 정합
  4. Q 변성기에 의한 정합
(정답률: 64%)
  • 커플러에 의한 정합은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도파관의 전송 특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신호의 감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커플러에 의한 정합"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치각이란 주엽의 최대 복사 강도(방향)에 대해 몇 [dB]가 되는 두 방향 사이의 각을 말하는가?

  1. 0[dB]
  2. -3[dB]
  3. -6[dB]
  4. -12[dB]
(정답률: 80%)
  • 반치각은 최대 복사 강도에서 3dB 감소한 복사 강도를 가지는 두 방향 사이의 각을 말한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3[dB]"가 정답인 이유이다. 3dB 감소는 복사 강도의 절반에 해당하므로, 반치각은 최대 복사 강도에서 45도 떨어진 방향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저부에 콘덴서를 삽입하는 이유는?

  1. 고유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 공진시킨다.
  2. 고유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 공진시킨다.
  3. 접지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4. 접지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0%)
  • 기저부에 콘덴서를 삽입하는 이유는 고유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 공진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즉, 콘덴서는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전류를 통과시키는데, 이 때 고유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콘덴서가 공진하여 전류가 더 쉽게 흐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회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유공간에 반파장 더블렛 안테나 있다. 이 안테나의 복사전력이 900[W]일 때 최대복사 방향으로 5[km] 떨어진 점의 전계강도는 몇 [V/m] 인가?

  1. 0.04
  2. 0.05
  3. 0.5
  4. 0.4
(정답률: 43%)
  • 자유공간에서 안테나의 복사전력과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P_r = frac{P_t G_t G_r lambda^2}{(4pi)^2 R^2}$$

    여기서 $P_r$은 수신전력, $P_t$는 송신전력, $G_t$와 $G_r$은 각각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이득, $lambda$는 전파의 파장, $R$은 안테나 사이의 거리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수신 안테나가 없으므로 $G_r$은 1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유공간에서는 전파의 파장 $lambda$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 $R$이 전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위의 식을 다시 쓸 수 있습니다.

    $$E = frac{sqrt{30 P_t G_t}}{R}$$

    여기서 $E$는 전계강도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frac{sqrt{30 times 900 times 1}}{5 times 10^3} = 0.04text{ [V/m]}$$

    따라서 정답은 "0.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야기안테나의 소자 중 가장 긴 소자의 역할과 리액턴스 성분은 무엇인가?

  1. 복사기, 용량성
  2. 지향기, 유도성
  3. 반사기, 유도성
  4. 도파기, 용량성
(정답률: 69%)
  • 야기안테나의 소자 중 가장 긴 소자는 반사기입니다. 반사기는 전파를 반사하여 돌아오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반사되는 전파의 위상이 반전되므로, 반사기는 유도성 리액턴스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사기, 유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절대이득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형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는?

  1. 혼(Horn) 안테나
  2. 웨이브(Wave) 안테나
  3. 루프 안테나
  4. 롬빅 안테나
(정답률: 69%)
  • 혼(Horn) 안테나는 방사패턴이 좁고 집중되어 있어서 다른 안테나에 비해 더욱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혼 안테나는 절대이득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형 안테나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혼 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지상파는?

  1. 지표파
  2. 직접파
  3. 대지 반사파
  4. 회절파
(정답률: 67%)
  •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지상파는 "직접파"입니다. 이는 마이크로파가 직접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직접 전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표, 대지, 또는 장애물에 반사되거나 회절되어 수신기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표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이 작을수록 감쇠가 적다.
  2. 주파수가 낮을수록 멀리 전파한다.
  3. 사막지대보다 해안지역에서 멀리 전파한다.
  4. 수평편파보다 수직편파에서 감쇠가 적다.
(정답률: 68%)
  •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이 작을수록 감쇠가 적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지표파는 지표와 대기 사이를 전파하는 전자기파로, 지표와 대기의 특성에 따라 전파 특성이 달라진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멀리 전파하는 것은 맞다. 이는 지표파의 전파 거리가 주파수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사막지대보다 해안지역에서 멀리 전파하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사막지대는 지표가 건조하고 평탄하여 지표파의 전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에 멀리 전파한다. 반면 해안지역은 지표가 습하고 울퉁불퉁하여 지표파의 전파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짧은 거리에서 전파한다.

    수평편파보다 수직편파에서 감쇠가 적다는 설명도 맞다. 이는 지표파의 전파 방향이 지표와 수직일 때 지표파의 전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중 틀린 설명은 "사막지대보다 해안지역에서 멀리 전파한다."이다.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이 작을수록 감쇠가 적은 이유는,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이 작을수록 지표파의 전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이다. 대지의 도전율과 유전율이 작을수록 지표파의 전파가 지표와 대기 사이에서 반사되지 않고 지표를 따라 전달되기 때문에 감쇠가 적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류권 산란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파 경로상의 지형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하면 대류권 산란에 의한 페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3. 짧은 주기를 갖는 페이딩이 발생한다.
  4. 전파손실이 자유공간 손실과 유사한 값을 갖는다.
(정답률: 42%)
  • "전파손실이 자유공간 손실과 유사한 값을 갖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대류권 산란파는 전파 경로상의 지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페이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류권 산란파는 짧은 주기를 갖는 페이딩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극초단파(UHF)의 통달거리에 그다지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공전
  2. 지형
  3. 복사전력
  4. 안테나 높이
(정답률: 56%)
  • 정답: 공전

    설명: 극초단파는 고주파이기 때문에 공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지형, 복사전력, 안테나 높이는 모두 극초단파의 통달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공전은 극초단파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어느 지점의 임계주파수가 5[MHz]일 때 사용주파수가 8[MHz]에 대한 도약거리는 어느 것인가? (단, F층의 높이를 400[km], 대지는 평면으로 본다.)

  1. 약 999[km]
  2. 약 900[km]
  3. 약 899[km]
  4. 약 799[km]
(정답률: 50%)
  • 임계주파수는 F층에서 전파가 반사되지 않고 지구로 통과하는 최저 주파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임계주파수가 5[MHz]일 때는 5[MHz] 이하의 주파수는 F층에서 반사되지 않고 지구로 통과하게 된다.

    반면, 사용주파수가 8[MHz]일 때는 F층에서 반사되어 지구로 도달하게 된다. 이때, 도약거리는 전파가 지구와 F층 사이를 왕복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전파가 지구와 F층 사이를 왕복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파의 속도 = 3 x 10^8 [m/s]
    전파의 파장 = 전파의 속도 / 사용주파수 = 3.75 x 10^7 [m]
    전파의 파장 / 4 = 지구와 F층 사이의 거리 = 9.375 x 10^6 [m] = 9375 [km]

    따라서, 사용주파수가 8[MHz]일 때의 도약거리는 약 9375 [km]이다. 하지만, 대지는 평면으로 본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지구 곡률로 인해 실제 도약거리는 더 짧아진다. 이를 고려하여 약 999[km]이라는 답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류권에서의 페이딩(fading)은?

  1. 도약성 페이딩
  2. 편파성 페이딩
  3. 산란성 페이딩
  4. 흡수성 페이딩
(정답률: 64%)
  • 대류권에서의 페이딩은 주로 산란성 페이딩이 발생합니다. 이는 대기 중의 먼지, 수증기, 구름 등이 전파를 산란시켜 전파의 진폭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산란은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전파의 특성이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서 발사하는 전파를 수신하면 원래 발사된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플러 효과
  2. 패러데이 회전
  3. 룩셈부르크 효과
  4. 델린저 현상
(정답률: 65%)
  •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서 발사된 전파는 수신자에게 도달할 때 발사된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수신된다. 이는 전파의 파장이 압축되거나 펴지기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 스펙트럼 영역에 균일하게 퍼져있는 연속성 잡음은?

  1. 인공잡음
  2. 대기잡음
  3. 백색잡음
  4. 우주잡음
(정답률: 78%)
  • 백색잡음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스펙트럼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잡음을 말합니다. 따라서 모든 스펙트럼 영역에 균일하게 퍼져있는 연속성 잡음은 백색잡음입니다. 인공잡음, 대기잡음, 우주잡음은 각각 인위적으로 생성된 잡음,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잡음, 우주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은 변조(modulation)에 관련된 설명들이다. 잘못된 것은?

  1. 변조란 정보(변조)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 또는 주파수 또는 위상을 변화시켜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2. 변조는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다.
  3. 변조란 정보(변조)신호의 스펙트럼을 낮은 주파수 쪽으로 옮기는 조작을 말한다.
  4. 변조가 끝난 파를 피변조파라 하며 이를 증폭하기 위해 전력증폭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60%)
  • "변조가 끝난 파를 피변조파라 하며 이를 증폭하기 위해 전력증폭기를 사용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변조가 끝난 파는 복조를 통해 원래의 정보 신호로 복원되는 파이며, 이를 피변조파라고 한다. 이후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여 전송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무선송신기의 발진부와 완충증폭기의 결합은 어떤 방식이 적합한가?

  1. 소결합 방식
  2. 임계결합 방식
  3. 밀결합 방식
  4. 공진결합 방식
(정답률: 52%)
  • 소결합 방식은 발진부와 완충증폭기를 직접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두 부품 간의 전달 손실이 적고 전체 회로의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선송신기에서 발진부와 완충증폭기를 결합시키는데 적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IEEE 권장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밴드 구분을 열거할 것이다. 주파수가 낮은 것에서 높은 순서대로 열거된 것은?

  1. C - L - S - K
  2. C - K - L - S
  3. L - S - K - C
  4. L - S - C - K
(정답률: 69%)
  • 정답은 "L - S - C - K" 이다. 이유는 IEEE에서 권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밴드 구분은 다음과 같다.

    - L 밴드: 1 GHz에서 2 GHz까지
    - S 밴드: 2 GHz에서 4 GHz까지
    - C 밴드: 4 GHz에서 8 GHz까지
    - K 밴드: 18 GHz에서 27 GHz까지

    따라서 주파수가 낮은 것에서 높은 순서대로 열거하면 L - S - C - K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위성체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입력필터
  2. 추미장치
  3. 저잡음증폭기
  4. 고전력증폭기
(정답률: 62%)
  • 위성체의 트랜스폰더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추미장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추미장치가 신호를 처리하거나 변조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입니다. 입력필터는 입력 신호를 정제하고, 저잡음증폭기는 신호를 증폭하면서 잡음을 최소화하며, 고전력증폭기는 최종적으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위성체의 구성요소로서 "payload system"과 "bus sub-system"이 있다. 다음 중 bus sub-system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트랜스폰더
  2. TTC계
  3. AOCS계
  4. 추진계
(정답률: 52%)
  • 정답: 트랜스폰더

    설명: Bus sub-system은 위성의 전체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력, 통신, 자세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반해, 트랜스폰더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로,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조하여 지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트랜스폰더는 payload system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위성의 위치 및 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속도 및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무선항법 시스템은?

  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2.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3. IMARSAT(International Marine Satellite)
  4. DBS(Direct Broadcasting System)
(정답률: 82%)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은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속도 및 시간을 계산하는 무선항법 시스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위성 통신이나 방송에 사용되는 시스템이지만, GPS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항법 시스템으로서 다른 시스템과는 목적과 용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역확산통신에서 처리이득이 30[dB]라면 전송시 확산된 신호의 대역폭이 원래 신호의 대역폭보다 몇 배 넓어졌음을 의미하는가?

  1. 10배
  2. 100배
  3. 1,000배
  4. 10,000배
(정답률: 70%)
  • 대역확산통신에서 처리이득이 30[dB]이면, 원래 신호의 전력은 1,000배 증폭되고, 확산된 신호의 전력은 원래 신호의 전력과 같아진다. 이는 처리이득이 30[dB]이면, 신호의 전력이 1,000배 증폭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산된 신호의 대역폭은 원래 신호의 대역폭보다 1,000배 넓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에서의 변조방식은?

  1. FSK
  2. GMSK
  3. QPSK
  4. OQPSK
(정답률: 75%)
  • IS-95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에서의 변조방식은 OQPSK이다. 이는 데이터를 90도 이동시킨 QPSK 신호에 직교하는 90도 이동된 QPSK 신호를 더하여 변조하는 방식으로, 이동통신에서 발생하는 다중경로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또한, OQPSK는 GMSK와 같이 변조된 신호의 대역폭을 좁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통신서비스 중에서 정지 및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인터넷서비스는?

  1. WiBro
  2. DMB
  3. 텔레매틱스
  4. VOIP
(정답률: 78%)
  • WiBro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로, 이동 중에도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다른 서비스들은 통신, 미디어, 음성 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WiBro는 주로 인터넷 접속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WiBr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IEEE 802.11a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1.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을 사용한다.
  2. OFDM 기술을 사용한다.
  3. TDMA/TDD 기술을 사용한다.
  4. 최대 22[Mbps]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정답률: 54%)
  • IEEE 802.11a 기술은 OFDM 기술을 사용합니다. OFDM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높은 전송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통신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기능 중 계층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블록으로 만들고, 통신국의 주소 등을 담고 있는 헤더를 부착하는 기능은?

  1. 캡슐화
  2. 다중화
  3. 세분화
  4. 동기화
(정답률: 77%)
  • 캡슐화는 데이터를 계층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블록으로 만들고, 통신국의 주소 등을 담고 있는 헤더를 부착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헤더와 데이터 블록을 하나로 묶어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헤더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블록을 추출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규격 중 OSI 참조모델의 네트워크 계층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IP
  2. MTP
  3. X.21
  4. Q.931
(정답률: 60%)
  • 정답은 "X.21"입니다.

    OSI 참조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 "IP"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MTP"는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로, OSI 모델의 하위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Q.931"은 ISD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OSI 모델의 상위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X.21"은 OSI 모델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전기적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입니다. 따라서, "X.21"은 OSI 참조모델의 네트워크 계층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SMA/CD 기술과 CSMA/CA 기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1. CSMA/CD는 IEEE802.3의 MAC에 적용된 기법이다.
  2. CSMA/CA는 IEEE802.11의 MAC에 적용된 기법이다.
  3. CSMA/CD와 CSMA/CA 모두 송신 전에 매체를 확인한다.
  4. CSMA/CD에서는 명시적인 ACK 패킷을 이용해 충돌회피를 시도한다.
(정답률: 56%)
  • "CSMA/CD에서는 명시적인 ACK 패킷을 이용해 충돌회피를 시도한다."는 맞지 않은 설명이다. CSMA/CD에서는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을 시도하는데, 이때 명시적인 ACK 패킷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충돌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고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린 후에 재전송을 시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마스터 스테이션으로부터 슬레이브 스테이션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물어보는 방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Contention
  2. Polling
  3. Selection
  4. Detection
(정답률: 74%)
  • 정답: Polling

    Polling은 마스터 스테이션에서 슬레이브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슬레이브 스테이션에게 데이터가 있는지 물어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마스터 스테이션이 슬레이브 스테이션들을 순차적으로 검사하면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데이터가 있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구현하기 쉽지만,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보내려고 할 때 다른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ntention 방식이나 Selection 방식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어떤 컴퓨터가 203.241.250.11의 IP 주소를 가진다고 할 때, 이 IP 주소의 클래스는?

  1. 클래스 A
  2. 클래스 B
  3. 클래스 C
  4. 클래스 D
(정답률: 65%)
  • 이 IP 주소는 첫 번째 숫자가 203이므로 클래스 C에 속합니다. 클래스 C는 첫 번째 숫자가 192~223인 IP 주소 범위를 가지며, 네트워크 ID는 첫 3개의 숫자(203.241.250)를 사용하고, 호스트 ID는 마지막 숫자(11)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Mobile IP의 Discovery 능력을 지원해주는 프로토콜은?

  1. ICMP
  2. BGP
  3. OSPF
  4. UDP
(정답률: 55%)
  • Mobile IP에서 Discovery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동 중인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Home Agent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Mobile IP는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사용합니다. ICMP는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Mobile IP에서는 ICMP Redirect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동 중인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Home Agent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ICMP가 Mobile IP의 Discovery 능력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위성통신시스템을 설계하는데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위성월식 상황을 고려하여야 한다.
  2. 먼 거리이므로 전송지연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잡음 및 간섭상태를 고려하여야 한다.
  4. 전파의 손실상태를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위성월식은 지구와 위성이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때는 전파가 지구 대기권에 흡수되어 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통신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위성통신시스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스템에서 장애(fault)에 대처하는 단계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빈 칸에 적당한 것은?

  1. 장애의 제거
  2. 장애의 보류
  3. 장애의 격리
  4. 장애의 분류
(정답률: 65%)
  •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먼저 장애를 감지하고 분류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장애의 격리를 해야 합니다. 이는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당 부분만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후에는 장애의 제거나 보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애의 격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유지보수에서 쓰이는 용어인 SINAD와 거리가 먼 것은?

  1. 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의 약어이다.
  2. 무선통신 기지국의 기본적인 측정항목이다.
  3. SINAD를 측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신호 발생기와 SINAD 계측기가 있어야 한다.
  4. 음성의 압축률을 측정할 때 이용되는 방법이다.
(정답률: 59%)
  • 음성의 압축률을 측정할 때 이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의 용도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변조의 직선성 측정
  2. 안테나의 pattern 측정
  3. RF 간섭 시험
  4. FM 편차 측정
(정답률: 49%)
  • 스펙트럼 분석기는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주파수 성분과 강도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기입니다. 따라서 "변조의 직선성 측정"은 스펙트럼 분석기의 용도로서 맞지 않습니다. 변조의 직선성 측정은 주파수 영역이 아닌 시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측정으로,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다른 측정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다음의 슈퍼스칼라(superscalar) 방식을 제약하는 사항들 중 레지스터 재명명(register renaming)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데이터 의존성(true data dependency)
  2. 프로시듀어 의존성(procedure dependency)
  3. 자원 충돌(resource conflicts)
  4. 출력 의존성(output dependency)
(정답률: 37%)
  • 슈퍼스칼라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의존성, 프로시듀어 의존성, 자원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레지스터 재명명은 출력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출력 의존성은 한 명령어가 실행된 결과가 다른 명령어의 입력으로 사용될 때 발생하는 문제로, 레지스터 재명명을 통해 이전 명령어의 결과를 새로운 레지스터에 저장하여 다른 명령어가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상대 주소지정(relative addressing)에서 사용하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1. 일반 레지스터(general register)
  2. 색인 레지스터(index register)
  3.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4.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정답률: 54%)
  • 상대 주소지정에서는 명령어의 주소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지정됩니다. 이때 프로그램 계수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므로, 상대 주소지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교무실에 1학년 1반 학생들의 학적부가 있다. 이 안에는 학생별 신상 기록카드가 있으며, 상기록카드에는 학생이름, 주소, 부모의 인적사항을 적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보의 단위 중 레코드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학적부
  2. 신상기록카드
  3. 학생이름
  4. 부모의 인적사항
(정답률: 73%)
  • 정답은 "신상기록카드"이다.

    레코드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처리되는 데이터의 단위를 말한다. 즉, 하나의 레코드는 여러 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필드들이 모여 하나의 레코드를 이룬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학생별 신상 기록카드가 하나의 레코드에 해당한다. 이 기록카드 안에는 학생이름, 주소, 부모의 인적사항 등 여러 개의 필드가 있으며, 이들이 모여 하나의 레코드를 이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프로그램에서 함수들을 호출하였을 때, 복귀주소(return address)들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자료구조는 어느 것인가?

  1. 스택(stack)
  2. 큐(queue)
  3. 트리(tree)
  4. 그래프(graph)
(정답률: 72%)
  •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한 함수의 실행이 끝나면 이전 함수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때 이전 함수의 실행 위치를 저장해 놓는 공간이 필요한데, 이를 복귀주소(return address)라고 합니다. 이러한 복귀주소들을 보관하는 자료구조로는 스택(stack)이 사용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로,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함수 호출 순서와 반대로 복귀주소들이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하나의 컴퓨터에서 한 시점에 한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운영체제의 기능은 무엇인가?

  1. 다중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2. 다중프로세싱(multiprocessing)
  3. 다중테스킹(multitasking)
  4. 다중스레딩(multithreading)
(정답률: 56%)
  • 다중테스킹은 하나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각각의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지원하는 운영체제의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테스킹은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최근 운영체제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보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GUI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자원관리기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운영체제의 자원관리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메모리
  2. CPU
  3. 주변장치
  4. 데이터
(정답률: 69%)
  • 운영체제의 자원관리 기능 중에서 CPU는 포함되지 않는다. CPU는 하드웨어적인 부분으로, 운영체제는 CPU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CPU 자체는 운영체제의 자원이 아니다. 따라서 CPU는 이 보기에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운영체제에 대한 특징이 틀린 것은?

  1. 유닉스(Unix) : 네트워크 기능이 강력하며, 다중 사용자 지원이 가능하고, PC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버전이 있다.
  2. 리눅스(Linux) : 무료로 다운받아 모든 분야에 무료로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윈도우즈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한다.
  3. 윈도우즈(Windows) :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서버급보다는 클라이언트 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4. 도스(DOS) : 명령어 입력방식으로 불편하며, DOS 지원을 위해 메모리와 디스크의 용량에 한계가 있다. 여러 사람이 작업을 할 수 없다.
(정답률: 81%)
  • 리눅스(Linux) : 윈도우즈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다. 리눅스는 유닉스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지문의 내용에 해당하는 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은?

  1. HRN(High Response ratio Next Scheduling)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Scheduling)
  3. SPN(Shortest Process Next Scheduling)
  4. RR(Round Robin Scheduling)
(정답률: 56%)
  •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CPU를 점유하고, 그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기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케줄링 기법이 RR(Round Robin Scheduling)이다. 지문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4ms씩 CPU를 사용하고, 시간 할당량이 4ms인 것으로 보아 RR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저작자(개발자)에 의해 무상으로 배포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인이나 열광자(enthusiast)가 자기의 작품에 대해 동호인들의 평가를 받기 위해서 또는 개인적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 사용자 집단(user group), PC 통신망의 전자 게시판이나 공개 자료실, 인터넷의 유즈넷(Usenet) 등을 통해 배포하는 소프트웨어는?

  1. 프리웨어
  2. 공개 소프트웨어(PDS)
  3. 쉐어웨어
  4. 번들
(정답률: 66%)
  • 프리웨어는 개발자가 무상으로 배포하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주로 개인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지거나, 동호인들의 평가를 받기 위해 배포됩니다. 프리웨어는 라이선스 제한이 없으며, 수정 및 배포도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지문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올바르게 나열하고 있는 것은?

  1. ① 응용소프트웨어, ② 시스템소프트웨어 ③ 유틸리티, ④ 패키지
  2. ① 시스템소프트웨어, ② 응용소프트웨어 ③ 유틸리티, ④ 패키지
  3. ① 시스템응용소프트웨어, ② 유틸리티 ③ 응용소프트웨어, ④ 패키지
  4. ① 응용소프트웨어, ② 시스템소프트웨어 ③ 패키지, ④ 유틸리티
(정답률: 79%)
  • 정답은 "① 시스템소프트웨어, ② 응용소프트웨어 ③ 유틸리티, ④ 패키지"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소프트웨어 종류들을 보면, 시스템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와 '컴파일러'가 있고, 응용 소프트웨어인 '워드프로세서'와 '그래픽툴'이 있습니다. 또한 유틸리티인 '압축프로그램'과 패키지인 '오피스'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시스템소프트웨어, ② 응용소프트웨어 ③ 유틸리티, ④ 패키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주파수분배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국방ㆍ치안 및 조난구조 등 국가안보ㆍ질서유지 또는 인명안전의 필요성
  2. 주파수의 이용현황 등 국내의 주파수 이용여건
  3.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4. 과거의 주파수 이용 동향
(정답률: 75%)
  • 과거의 주파수 이용 동향은 주파수분배의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과거의 주파수 이용 동향은 현재와는 다른 환경과 상황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재의 주파수 이용에 대한 정보나 방향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분배의 고려사항으로는 국가안보ㆍ질서유지 또는 인명안전의 필요성, 국내의 주파수 이용여건, 전파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무선국은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운용하여야 한다. 다음 중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통신이 아닌 것은?

  1. 조난통신
  2. 긴급통신
  3. 안정통신
  4. 제3자에 의한 통신
(정답률: 78%)
  • 제3자에 의한 통신은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를 벗어나는 외부와의 통신을 의미하며, 무선국 운용 규정에 따라 예외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무선 통신의 안전성과 무선 주파수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조난통신, 긴급통신, 안정통신은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운용되는 통신으로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지만, 제3자에 의한 통신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무선설비의 기기를 제작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형식검정이나 형식등록을 받아야 한다. 다음 예외 사항 중 해당되지 않는 경우를 고르시오.

  1. 시험용
  2. 연구용
  3. 판매용
  4. 수출용
(정답률: 49%)
  • 정답은 "판매용"입니다.

    무선설비의 기기를 제작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형식검정이나 형식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판매용"은 이미 형식검정이나 형식등록을 받은 제품으로, 추가적인 형식검정이나 형식등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판매용"은 예외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방송통신위원회가 행정처분을 할 경우 청문의 실시 대상이 아닌 것은?

  1. 무선국 개설허가의 취소
  2. 형식검정의 합격 또는 형식등록의 취소
  3. 기술자격의 취소
  4. 무선국 준공검사의 취소
(정답률: 49%)
  • 방송통신위원회는 무선국 개설허가, 형식검정, 기술자격 등과 같은 일정한 절차를 거쳐 결정된 행정처분에 대해 청문의 실시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무선국 준공검사의 취소는 이미 완료된 사실에 대한 처리이므로 청문의 대상이 아니다. 즉, 이미 이루어진 사실에 대한 취소 처리는 청문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형식검정 대상기기가 아닌 것은?

  1.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2. 위성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의 기기
  3. 수색구조용 레이더트랜스폰더의 기기
  4. 가입자회선용 무선설비의 기기
(정답률: 61%)
  • 형식검정은 국가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안전성, 신뢰성, 성능 등을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형식검정 대상기기는 안전성이 중요한 기기들이 대부분입니다. 가입자회선용 무선설비의 기기는 형식검정 대상기기가 아닙니다. 이는 가입자 회선용 무선설비가 안전성보다는 통신 기능에 더 중점을 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형식검정 및 형식등록기기의 사후관리 시험과 거리가 먼 것은?

  1. 부차적 전파발사 강도
  2. 주파수
  3. 스퓨리어스 발사 강도
  4. 점유주파수 대역폭
(정답률: 23%)
  • 형식검정 및 형식등록기기의 사후관리 시험은 기기의 성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고, 주파수와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기기의 무선 통신 기능과 관련된 것입니다. 하지만 부차적 전파발사 강도는 기기가 발생시키는 불필요한 전파로 인해 주변 기기나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형식검정 및 형식등록기기의 사후관리 시험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방송통신기기의 사후관리에서 인증사항에 대한 이행여부를 확인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증 받은 기기의 구조ㆍ설계ㆍ형식 등이 임의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
  2. 변경 신고한 기기의 적합성 여부
  3. 관계 규정의 이행여부
  4. 지식경제부 소관 규정과의 적합성 여부
(정답률: 59%)
  • "지식경제부 소관 규정과의 적합성 여부"는 방송통신기기의 기능, 성능, 안전성 등을 평가하는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다른 세 가지 사항은 인증 받은 기기의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나, "지식경제부 소관 규정과의 적합성 여부"는 인증 받은 기기가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경제부 소관 규정과의 적합성 여부"가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방송통신기기의 인증신청에 대항 처리기간으로 옳은 것은?

  1. 5일
  2. 7일
  3. 10일
  4. 15일
(정답률: 53%)
  • 방송통신기기의 인증신청에 대한 처리기간은 5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기기의 인증 등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된 내용으로, 인증신청서와 필요서류를 접수한 날로부터 5일 이내에 인증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방송통신기기 지정시험기관이 발행한 시험성적서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1. 시험신청인의 성명 및 주소
  2. 성적서 발급번호 및 페이지 일련번호
  3. 시험결과에 대한 담당 시험원의 의견
  4. 품질책임자의 의견 및 서명
(정답률: 66%)
  • 품질책임자의 의견 및 서명은 시험성적서의 필수 기재사항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이는 시험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품질책임자가 시험결과에 대해 확인하고 승인한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무선설비규칙에서 정의한 “불요발사”로서 적절한 답을 고르시오.

  1. 대역외발사 및 스퓨리어스 발사
  2. 대역내발사를 말한다.
  3. 필요주파수대폭의 바로 안쪽 발사 에너지
  4. 스퓨리어스 발사 및 저감반송파
(정답률: 79%)
  • "불요발사"는 무선설비에서 필요하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발사를 말합니다. "대역외발사 및 스퓨리어스 발사"는 이러한 불요발사 중에서도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발사와 스파이크 형태의 발사를 의미합니다. 즉, 이러한 발사는 무선설비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미치며, 불필요한 전파를 발생시켜 다른 무선설비의 작동에 방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발사는 무선설비 규칙에서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