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7)

무선설비기사
(2013-03-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전파 중간탭 정류기를 이용한 전파정류회로에서 맥동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에 비례한다.
  2. 부하저항에 반비례한다.
  3. 콘덴서 C의 정전용량에 반비례한다.
  4. 부하저항과 정전용량의 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2%)
  • "주파수에 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맥동률은 부하저항과 정전용량의 곱에 반비례하므로, 주파수가 증가하면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감소하므로 맥동률은 증가한다. 따라서 주파수에 반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에서 제너다이오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단, Vs는 제너다이오드의 동작을 위한 정격전압보다 크다.)

  1. 일정한 신호를 증폭시킨다.
  2. 사용하기 적당한 교류전압으로 변환한다.
  3. 리플 성분을 제거시킨다.
  4.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한다.
(정답률: 72%)
  • 제너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 흐름을 막는 반도체 소자로, 양극과 음극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제너다이오드가 양극쪽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고, 음극쪽으로 흐르는 전류만을 통과시킵니다. 이렇게 음극쪽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무부하시의 직류 출력 전압이 300[V]이고, 전부하시 직류 출력 전압이 250[V]였다면 전압 변동률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87%)
  • 전압 변동률은 ((전부하시 전압 - 무부하시 전압) / 무부하시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50[V] - 300[V]) / 300[V]) x 100 = -50[V] / 300[V] x 100 = -16.67[%]

    하지만, 문제에서는 양수의 전압 변동률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16.67[%]의 절댓값을 취해야 한다.

    따라서, 전압 변동률은 약 20[%]이 된다.

    즉, 전압이 300[V]에서 250[V]로 50[V]만큼 감소하였으므로, 이것이 전체 전압 중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전압 변동률이다. 이 경우, 전압 변동률은 20[%]이므로 전압이 20[%] 감소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입력에 계단 전압(step voltage)을 인가할 때 출력에는 어떤 파형의 전압이 나타나겠는가? (단, A는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이다.)

(정답률: 81%)
  • 입력에 계단 전압이 인가되면, 이전까지는 0V이었던 입력이 A에 의해 즉시 증폭되어 출력으로 전달된다. 이후에는 R1과 R2에 의해 점차적으로 출력 전압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R1과 R2가 일종의 RC 필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에는 ""와 같은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전압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래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답을 앞에서부터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 ㉯ ㉰
  2. ㉯ ㉰ ㉮
  3. ㉰ ㉮ ㉯
  4. ㉰ ㉯ ㉮
(정답률: 89%)
  • 주어진 그림에서는 각 도형이 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첫 번째 도형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두 번째 도형, 다시 90도 회전한 세 번째 도형, 마지막으로 90도 회전한 네 번째 도형이 순서대로 나열된다. 따라서, 정답은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교류(AC)를 직류(DC)로 바꾸는 여러 과정 가운데맥류를 완전한 직류로 바꾸어 준다.
  2. 입력의 신호변화가 출력단에 확대되어 나타난다.
  3. 교류성분을 직류성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회로이다.
  4.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 전압원의 (+) 또는 (-)의 반 사이클을 정류하고, 부하에 직류 전압을 흘리도록 한다.
(정답률: 86%)
  • 입력 신호를 출력단에서 확대시켜 주는 것이 증폭기의 역할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으로, 이를 위해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적인 A급 증폭기의 최대효율은?

  1. 18[%]
  2. 35[%]
  3. 50[%]
  4. 100[%]
(정답률: 82%)
  • 이유는 A급 증폭기의 최대효율은 50%이기 때문입니다. A급 증폭기는 입력 전력의 절반을 출력으로 내보내는데, 이는 최대 효율이 50%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A급 증폭기의 최대효율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정발진기는 임피던스가 어떤 조건일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는가?

  1. 저항성
  2. 용량성
  3. 유도성
  4. 유도성과 용량성 결합
(정답률: 75%)
  • 수정발진기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주기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진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도성 임피던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은 수정진동자의 등가회로를 나타내었다. 수정진동자의 직렬공진주파수는?

(정답률: 70%)
  • 수정진동자는 콘덴서와 인덕터로 이루어진 공진회로이다. 이 회로의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인덕터의 인덕턴스, C는 콘덴서의 캐패시턴스이다. 주어진 회로에서 L과 C의 값은 각각 1mH와 0.1μF이다. 따라서,

    f = 1 / (2π√(1mH × 0.1μF))

    = 1 / (2π√(10^-3 × 10^-7))

    = 1 / (2π√10^-10)

    ≈ 1591.55 Hz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간접 FM 변조방식(Armstrong 방식)에서의 필수 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산기(adder)
  2.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ion)
  3. 위상천이기(90° phase shifter)
  4. 진폭제한기(limiter)
(정답률: 83%)
  • 간접 FM 변조방식에서 가산기(adder)는 필수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주파수 변조 신호와 위상 변조 신호를 합치는 역할을 하는데, Armstrong 방식에서는 이를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ion)가 대신 수행합니다. 따라서 가산기는 필수 요소가 아닙니다. 다른 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평형 변조기는 주파수 변조 신호와 위상 변조 신호를 합쳐서 FM 신호를 생성합니다. 위상천이기는 위상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며, 진폭제한기는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여 FM 신호의 왜곡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정시간 동안 200개의 비트가 전송되고, 전송된 비트 중 15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면 비트 에러율(BER)은?

  1. 7.5[%]
  2. 15[%]
  3. 30[%]
  4. 40.5[%]
(정답률: 88%)
  • 비트 에러율(BER)은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를 전송된 비트의 개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면 비트 에러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송된 비트의 개수는 200개이고,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는 15개이므로, 비트 에러율은 (15/200) x 100 = 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병렬 클리핑 회로에서 클리핑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항 R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Rd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이다.)

  1. R = Rd
  2. R = 1/Rd
  3. R < Rd
  4. R ≫ Rd
(정답률: 82%)
  • 정답: R ≫ Rd

    이유: 병렬 클리핑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클리핑을 수행하므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Rd보다 큰 저항 R을 사용하여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해야 한다. 만약 Rd와 R의 값이 비슷하다면,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매우 커져서 다이오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클리핑 특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R ≫ Rd인 경우에는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져서 클리핑 특성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슬라이서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전압이 어느 기준 레벨 이하일 때 출력을 증강시키는 회로
  2. 입력이 어느 레벨 이상이 될 때 깎아내어 레벨을 낮추는 회로
  3. 입력 파형을 일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회로
  4.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클리퍼를 연속 연결한 회로
(정답률: 64%)
  •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클리퍼를 연속 연결한 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수와 음수 부분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클리핑하여 출력을 형성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므로 "입력이 어느 레벨 이상이 될 때 깎아내어 레벨을 낮추는 회로"와는 다르다. "입력전압이 어느 기준 레벨 이하일 때 출력을 증강시키는 회로"와 "입력 파형을 일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회로"도 슬라이서 회로와는 다른 회로이다. 따라서 정답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클리퍼를 연속 연결한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JK Flip-Flop에서 현재 상태의 출력 Qn을 1로 하고, J입력과 K입력이 1일 때 클럭펄스 CP에 신호가 인가되면 다음 상태의 출력 Qn+1은? (단, 플립플롭의 setup time과 holding time은 만족한다고 가정함)

  1. 부정
  2. 1
  3. 0
  4. Qn
(정답률: 73%)
  • JK 플립플롭에서 J와 K가 모두 1인 경우, 이전 상태의 출력 Qn은 반전되어야 합니다. 즉, Qn이 1이었다면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 상태의 출력 Qn+1은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논리 회로는?

  1. XOR
  2. XNOR
  3. AND
  4. OR
(정답률: 87%)
  • 이 그림의 논리 회로는 XOR 게이트입니다. XOR 게이트는 두 입력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을 출력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A와 B가 XOR 게이트의 입력으로 사용되고, XOR 게이트의 출력이 C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A와 B 중 하나만 참일 때 C가 참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XNOR, AND, OR 게이트는 이와 다른 논리 연산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틀린 것은?

  1. A+B = B+A
  2. AㆍB = BㆍA
  3. A+0 = 0
  4. Aㆍ1 = A
(정답률: 85%)
  • 틀린 것은 없습니다.

    "A+0 = 0"은 덧셈의 항등원(identity element)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수 A와 0을 더하면 A가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A+0은 A와 같습니다. 따라서 "A+0 = 0"이 아니라 "A+0 = A"가 맞는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진리표에 해당하는 논리회로도는?

(정답률: 87%)
  • 이 논리회로도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NOT 게이트는 입력이 1이면 출력이 0이 되고, 입력이 0이면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이 0이 됩니다. 그러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 전체 회로의 출력은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의 회로 명칭은?

  1. 가산기
  2. 감산기
  3. 반감산기
  4. 비교기
(정답률: 83%)
  • 이 회로는 입력된 두 비트의 합과 자리올림 값을 출력하는 반가산기입니다. 이유는 이 회로가 입력된 두 비트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반가산기는 두 비트를 더하되 자리올림 값을 출력하지 않고, 합만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산기"와 "감산기"는 입력된 두 비트를 더하고 자리올림 값을 출력하는 회로이며, "비교기"는 입력된 두 비트를 비교하여 크기를 판단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0진 BCD 코드를 LED 출력으로 표시하려면 어떤 디코더 드라이브가 필요한가?

  1. BCD-10세그먼트
  2. Octal-10세그먼트
  3. BCD-7세그먼트
  4. Octal-7세그먼트
(정답률: 89%)
  • BCD 코드는 0부터 9까지의 10진수를 나타내는 코드이므로, 10진수를 7개의 세그먼트로 표시하는 BCD-7세그먼트 디코더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8진수를 표시하는 Octal-10세그먼트와 Octal-7세그먼트, 그리고 10진수를 10개의 세그먼트로 표시하는 BCD-10세그먼트이므로, BCD 코드를 표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꾸는 연산은?

  1. XOR 연산
  2. 선택적-세트(selective-set) 연산
  3. 선택적-보수(selective-complement) 연산
  4. 마스크(mask) 연산
(정답률: 87%)
  • 마스크(mask) 연산은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꾸는 연산이다. 이는 비트 단위로 논리곱(AND) 연산을 수행하여 해당 비트를 0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때, 마스크(mask)는 해당 비트를 0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 패턴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스크(mask) 연산은 특정 비트를 0으로 바꾸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FM 신호의 포락선에는 정보가 실어있지 않으므로 잡음으로 인한 포락선의 변화를 균일화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기저대역 필터
  2. 변별기
  3. 진폭제한기
  4. 반송파 필터
(정답률: 82%)
  • FM 신호는 진폭이 변하지 않고 주파수만 변화하기 때문에, 잡음으로 인해 포락선이 변화하면 신호의 진폭이 커지거나 작아져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폭제한기는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포락선의 변화를 균일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FM 신호의 포락선을 균일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진폭제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5[kHz]의 신호주파수를 900[kHz]의 반송파로 진폭 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 나타나는 주파수 성분이 아닌 것은?

  1. 900[kHz]
  2. 895[kHz]
  3. 905[kHz]
  4. 890[kHz]
(정답률: 92%)
  • 진폭 변조는 원래의 신호 주파수를 반송파 주파수로 더하고 빼면서 변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5[kHz]의 신호주파수를 900[kHz]의 반송파로 진폭 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는 900[kHz] + 5[kHz] = 905[kHz]와 900[kHz] - 5[kHz] = 895[kHz]의 주파수 성분이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89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래 그림과 같이 FM 변조기를 이용하여 PM 변조를 하고자 한다. 괄호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1. (가) 없음 (나) 적분기
  2. (가) 적분기 (나) 없음
  3. (가) 없음 (나) 미분기
  4. (가) 미분기 (나) 없음
(정답률: 82%)
  • 정답은 "(가) 미분기 (나) 없음"이다. FM 변조기에서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의 미분값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PM 변조를 하기 위해서는 입력신호를 미분해야 하지만, 이미 FM 변조기에서 미분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추가적인 미분기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가) 미분기 (나) 없음"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GPS에서 대역확산을 이용하는 것은 무엇을 달성하기 위한 것인가?

  1. 위성체로부터의 신호가 비공인 사용으로부터 보호될 수 없다는 것이다.
  2. 대역확산의 본질적인 처리이득이 사용되는 전력을 높은 수준으로 허용한다는 것이다.
  3. 각 위성체가 각 사용자 신호의 직교성에 의해 다른 신호와 간섭 없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위성체 가격은 그 무게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능한 요구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89%)
  • GPS에서 대역확산을 이용하는 것은 "각 위성체가 각 사용자 신호의 직교성에 의해 다른 신호와 간섭 없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GPS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사용자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조파의 방지 대책이 아닌 것은?

  1. 출력 증폭기로 push-pull 증폭기를 사용한다.
  2. 양극 동조 회로의 실효 Q를 높게 한다.
  3. 여진(bisa) 전압을 깊게 걸지 않는다.
  4. 고조파에 대해 밀결합한다.
(정답률: 83%)
  • 고조파에 대해 밀결합하는 것은 고조파를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라, 고조파를 감쇠시키지 않고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방지 대책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조파에 대해 밀결합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OFDM은 어느 변조 방식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가?

  1. M-ary ASK (MASK)
  2. M-ary FSK (MFSK)
  3. M-ary PSK (MPSK)
  4. M-ary QAM (MQAM)
(정답률: 86%)
  • OFDM은 M-ary FSK (MFSK)의 일종이다. 이는 주파수 이동 키 (FSK)를 사용하여 다중 심볼을 전송하는 변조 방식으로, OFDM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다수의 하위 캐리어를 동시에 전송하므로 MFSK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QAM 신호는 정보데이터에 의하여 반송파의 무엇을 변경하여 얻는 신호인가?

  1. 주파수
  2. 위상
  3. 진폭
  4. 위상과 진폭
(정답률: 94%)
  • QAM 신호는 정보데이터에 의해 반송파의 위상과 진폭을 변경하여 얻는 신호이다. 이는 주파수와는 관련이 없으며,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위상과 진폭을 이용하여 다양한 신호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따라서, "위상과 진폭"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이 수신기에서 문제가 되는 상황은?

  1. 심볼지연확산이 심볼시간과 같거나 이보다 긴 경우
  2. 심볼지연확산이 심볼시간보다 훨씬 짧은 시간인 경우
  3. 심볼지연확산이 0인 경우
  4. 심볼지연확산 시간을 알 수 없는 경우
(정답률: 83%)
  • 심볼간 간섭은 이전 심볼의 영향이 다음 심볼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심볼지연확산이 심볼시간과 같거나 이보다 긴 경우에는 이전 심볼의 영향이 다음 심볼에 계속해서 미치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합니다. 이는 수신기에서 심볼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에서 수전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교기
  2. 유입개폐기
  3. 단로기
  4. 자동 전압 조정기
(정답률: 88%)
  • 비교기는 전기 신호의 크기나 형태를 비교하여 일정한 조건에 따라 출력을 결정하는 회로이지만,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전기 신호를 제어하거나 전압을 조정하는 회로로서 수전설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비교기가 수전설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원회로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인 성능 요구조건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충분한 전력용량을 가질 것
  2. 출력 임피던스가 높을 것
  3. 전압이 안정할 것
  4. 리플이나 잡음이 적을 것
(정답률: 93%)
  • 출력 임피던스가 높을 것은 전원회로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인 성능 요구조건으로 부적합한 것입니다. 이는 출력 임피던스가 높을 경우 전원회로의 출력 전압이 적게 나오게 되어 전원회로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부하에 대한 전압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회로에서는 출력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정류회로의 특성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전압변동률은 부하전류가 커지면 커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2. 맥동률은 부하전류가 작아지면 작을수록 감소하게 된다.
  3. 파형률은 백분율로 하지 않으며,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커진다.
  4. 정류효율의 값이 크면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손실이 적게 된다.
(정답률: 83%)
  • "맥동률은 부하전류가 작아지면 작을수록 감소하게 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맥동률은 부하전류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는 부하전류가 작아지면 정류기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압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이다. 즉, 맥동률은 부하전류와 반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브리지형 정류회로에서 직류 출력전압이 10[V]이고, 부하가 10[Ω]이라고 하면 각 정류소자에 흐르는 첨두 전류값은?

  1. π/2[A]
  2. π[A]
  3. 2π[A]
  4. 4π[A]
(정답률: 79%)
  • 브리지형 정류회로에서 각 정류소자는 반주기당 한 번씩 작동하므로, 전류의 첨두값은 부하전류의 절반인 5[A]가 된다. 그러나 정류소자는 이전 반주기에서의 전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므로, 전류의 첨두값은 5[A]에 부호가 반대인 -5[A]가 된다. 이를 절대값으로 표현하면 π/2[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π/2[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압 변동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오랜 사용 시간
  2. 부하 변동
  3. 교류 입력전압 변동
  4. 온도에 따른 소자 특성 변화
(정답률: 89%)
  • 오랜 사용 시간은 전압 변동 요인이 아니라 시간에 따른 부품의 노후나 소모로 인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전압 변동 요인은 입력전압의 변동, 부하의 변동, 온도 변화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전원회로의 설명에서 잘못된 것은?

  1.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최대 역전압은 2Vm이다.
  2.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맥동 주파수는 전원주파수 f이다.
  3.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맥동율은 48.2[%]이다.
  4.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정류 효율은 81.2[%]이다.
(정답률: 79%)
  •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맥동 주파수는 전원주파수 f가 아니라 2f이다. 이유는 정류 다이오드가 양, 음의 주기적인 전압을 정류하기 때문에 맥동 주파수는 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쵸크 입력형 평활회로와 비교하여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맥동율이 적다.
  2. 전압 변동율이 크다.
  3. 직류 출력전압이 크다.
  4. 정류소자의 이용률이 높다.
(정답률: 58%)
  • 정답은 "전압 변동율이 크다."이다.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는 쵸크 입력형 평활회로와 달리 콘덴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평활화한다. 이 때 콘덴서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맥동율이 적어진다. 또한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는 직류 출력전압이 크고 정류소자의 이용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류소에서는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변조도, 왜율, 안정도
  2. 감도, 선택도, 충실도
  3. 감도, 변조도, 점유주파수대폭
  4. 변조도, 왜율, 점유주파수대폭
(정답률: 87%)
  •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감도, 선택도, 충실도"이다.

    - 감도: 수신기가 약한 신호를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높은 감도를 가진 수신기일수록 약한 신호도 잘 받아들일 수 있어서 좋은 성능을 가진다.

    - 선택도: 수신기가 원하는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높은 선택도를 가진 수신기일수록 원하는 신호를 잘 받아들일 수 있어서 좋은 성능을 가진다.

    - 충실도: 수신기가 받은 신호를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높은 충실도를 가진 수신기일수록 받은 신호를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어서 좋은 성능을 가진다.

    따라서, 감도, 선택도, 충실도는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AM 송신기의 전력 측정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부하법
  2. 전구의 조도 비교법
  3. 의사 공중선법
  4. 열량계법
(정답률: 82%)
  • AM 송신기의 전력 측정 방법 중에서 "열량계법"은 송신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전력을 소비하는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열량계법은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측정하여 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급전선상에 반사파가 없을 때 전압 정재파비는 얼마가 되는가?

  1. 0
  2. 1/2
  3. 1
(정답률: 85%)
  • 급전선상에 반사파가 없을 때는 전압 정재파비가 1이 된다. 이는 급전선상에서 전압과 전류가 동일한 파형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압 정재파비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압과 직류 출력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회로와 비교하여 각각 몇 배인가?

  1. 1배, 2배
  2. 1배, 4배
  3. 2배, 2배
  4. 2배, 4배
(정답률: 89%)
  •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압은 단상 반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압과 같으므로 1배이다. 하지만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전압이 2배인 2개의 반파를 이용하여 정류하기 때문에 직류 출력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력의 2배인 4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압 변동률을 d, 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을 Vn, 무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을 Vo라 할 때 Vo를 바르게 구한 것은?

  1. Vn(1+d)
  2. Vn(1-d)
  3. Vn/(1+d)
  4. Vn/(1-d)
(정답률: 82%)
  • 전압 변동률 d는 Vn에 대한 변화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부하시 직류 출력전압 Vo는 Vn에 d만큼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Vo = Vn + Vnd = Vn(1+d)이다. 따라서 정답은 "Vn(1+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레이더의 공중선에서 송신된 펄스가 6[μs]후에 목표물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었다면 목표물까지의 거리[m]는?

  1. 450
  2. 900
  3. 1800
  4. 3600
(정답률: 79%)
  • 레이더에서 송신된 펄스가 목표물까지 가는데 걸린 시간은 왕복 시간이므로 6[μs] x 2 = 12[μs] 입니다. 이 시간 동안 목표물에서 반사된 신호가 레이더에 도달했으므로, 이 시간 동안 신호가 이동한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속도 = 거리 / 시간
    거리 = 속도 x 시간

    빛의 속도는 약 3 x 10^8[m/s] 이므로, 12[μs] 동안 이동한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 = 3 x 10^8[m/s] x 12 x 10^-6[s] = 3600[m]

    하지만 이 거리는 왕복 거리이므로, 목표물까지의 거리는 절반인 1800[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0"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900"도 있으므로, 이는 왕복 거리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왕복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구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속도 = 거리 / 시간
    거리 = 속도 x 시간 / 2

    왕복 시간인 12[μs]를 이용하여 거리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 = 3 x 10^8[m/s] x 12 x 10^-6[s] / 2 = 900[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00"인 이유는 왕복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구하는 경우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전파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파는 횡파이다.
  2. 균일한 매질 중에 전파하는 전파는 직진한다.
  3. 반사와 굴절 작용이 있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절 작용이 심하다.
(정답률: 88%)
  •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절 작용이 심하다."는 설명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회절 작용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회절 작용은 파장이 길어질수록 더 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변화하고 있는 자계는 전계를 발생시키고 또 반대로 변화하고 있는 전계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1. Maxwell 방정식
  2. Lentz 방정식
  3. Poynting 정리
  4. Laplace 방정식
(정답률: 95%)
  • Maxwell 방정식은 전자기학의 기본 법칙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이 방정식은 변화하는 자계가 전계를 발생시키고, 반대로 변화하는 전계가 자계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Maxwell 방정식이다. Lentz 방정식은 전자기학에서 사용되는 방정식 중 하나이며, Poynting 정리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전달을 설명하는 정리이다. Laplace 방정식은 전자기학과 관련된 미분방정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Balu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λ/2 다이폴을 동축 급전선으로 급전할 때 사용하면 좋다.
  2. 안테나와 급전선의 전자계 모드가 다른 경우에 사용한다.
  3. 집중 정수형과 분포 정수형이 있다.
  4. λ/2 다이폴을 평행 2선식으로 급전할 때 필요하다.
(정답률: 71%)
  • "λ/2 다이폴을 평행 2선식으로 급전할 때 필요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Balun은 안테나와 급전선의 전자계 모드가 다른 경우에 사용됩니다. λ/2 다이폴을 동축 급전선으로 급전할 때 사용하면 좋고, 집중 정수형과 분포 정수형이 있습니다. Balun은 안테나와 급전선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사용되며, 안테나와 급전선의 전자계 모드가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안테나가 대역 외의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방지하기 위해 Balu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정재파를 설명하는데 옳지 못한 것은?

  1.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파이다.
  2. 정합이 되어있지 않았을 때 생긴다.
  3. 정재파가 클수록 전송손실이 크다.
  4. 전류 전압의 위상은 선로상 어느 점에서도 동일하다.
(정답률: 82%)
  • "전류 전압의 위상은 선로상 어느 점에서도 동일하다."는 정재파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못한 것이다.

    정재파는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파이며, 정합이 되어있지 않은 회로에서 발생한다. 또한, 정재파의 크기가 클수록 전송손실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λ/2 다이폴과 동축케이블 사이의 정합회로에 사용되는 것은?

  1. Trap 회로
  2. T형 정합
  3. Gamma 정합
  4. Y형 정합
(정답률: 70%)
  • Gamma 정합은 λ/2 다이폴과 동축케이블 사이의 정합회로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는 다이폴의 임피던스와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며, Gamma 정합 회로는 동축케이블과 다이폴 사이에 삽입되는 회로로, 회로 내부에 적절한 저항과 콘덴서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전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장 이상적인 VSWR(정재파비)의 값은 얼마인가?

  1. 0
  2. 1
  3. 10
(정답률: 88%)
  • 가장 이상적인 VSWR 값은 "1"이다. 이는 전기적으로 매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전체 출력이 최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VSWR 값이 1보다 크면 전체 출력이 전달되지 않고 일부는 반사되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VSWR 값이 1보다 작으면 신호가 증폭되어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마이크로파의 전송선로로서 도파관을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취급전력이 작고 방사손실이 없다.
  2. 유전체 손실이 적다.
  3. 부하와의 정합상태가 불량하여도 정재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외부 전자계와 완전하게 격리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85%)
  • 도파관은 고주파 전파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유전체 손실이 적기 때문에 선택된다. 이는 전파가 전달되는 동안 유전체 손실이 적어 신호가 감쇠되지 않고 전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진에서의 고유주파수란 무엇인가?

  1. 안테나 여진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2. 안테나 여진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중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
  3. 안테나 여진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중에서 1/2보다 낮은 주파수
  4. 안테나 여진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중에서 1/2보다 높은 주파수
(정답률: 70%)
  •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는 안테나가 가장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수신하는 주파수를 말합니다. 이 때, 안테나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결정됩니다. 공진주파수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안테나일수록 낮은 주파수에서 발생하며, 길이가 짧은 안테나일수록 높은 주파수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안테나 여진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안테나 지향성을 높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도파기 사용
  2. 반사기 사용
  3. 반파장 다이폴을 평면상에 배열한다.
  4. 연장선륜은 고유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공진시킨다.
(정답률: 71%)
  • 정답: "연장선륜은 고유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공진시킨다."

    설명: 안테나의 지향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도파기 사용, 반사기 사용, 반파장 다이폴을 평면상에 배열하는 등이 있지만, 연장선륜은 안테나의 길이를 늘려서 고유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공진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어서, 다양한 주파수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용주파수가 20[MHz]이고, 복사저항이 73.13[Ω]인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약 얼마인가?

  1. 2.4[m]
  2. 3.6[m]
  3. 4.8[m]
  4. 5.2[m]
(정답률: 65%)
  •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효길이 = (파장 / 2) x (1 / sqrt(1 - (Za / Zo)^2))

    여기서 파장은 300[미터/초]를 사용주파수로 나눈 값이다.

    파장 = 300[미터/초] / 20[MHz] = 0.015[m]

    Zo는 공기의 임피던스인 377[Ω]이다.

    따라서,

    실효길이 = (0.015[m] / 2) x (1 / sqrt(1 - (73.13[Ω] / 377[Ω])^2)) = 4.8[m]

    따라서, 정답은 "4.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파대에서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1. 롬빅 안테나
  2. T형 안테나
  3. 우산형 안테나
  4. 역L형 안테나
(정답률: 85%)
  • 롬빅 안테나는 단파대에서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로, 높은 효율과 광대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접지 안테나의 손실저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와전류저항
  2. 코로나 누설저항
  3. 유전체손실
  4. 표피저항
(정답률: 81%)
  • 접지 안테나의 손실저항은 전기적 에너지가 전환되거나 소멸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표피저항"은 접지 안테나의 손실저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표피저항은 전기적 에너지가 표면을 따라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접지 안테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페이딩 현상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두 개 이상의 전파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진폭 및 위상이 불규칙해지는 현상이다.
  2. 다중 경로 페이딩에 대한 대책으로 다이버시티가 활용된다.
  3. 직접파보다 간섭파가 우세할 경우 Rayleigh 페이딩으로 모델링한다.
  4.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는 레이크 수신기는 적절하지 않다.
(정답률: 77%)
  •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는 레이크 수신기는 적절하지 않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레이크 수신기는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도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다이버시티와 같은 대책을 활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초단파 및 극초단파가 가시거리 이상까지 전파하는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악회절 현상에 의한 원거리 전파
  2. 전리층 투과에 의한 원거리 전파
  3. 라디오 덕트에 의한 원거리 전파
  4. 스포라딕 E층에 의한 원거리 전파
(정답률: 74%)
  • 전리층은 지구 대기권의 일정 높이에서 전자 밀도가 높아져 전파를 반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리층 투과에 의한 원거리 전파는 전파가 전리층을 통과하여 지구 반대편까지 전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초단파 및 극초단파가 가시거리 이상까지 전파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전파를 반사시키거나 전파를 이용하여 전파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둘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하여 두 수신 안테나의 출력을 합성하거나 양호한 출력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페이딩은?

  1. 간섭성 페이딩
  2. 편파성 페이딩
  3. 흡수성 페이딩
  4. 선택성 페이딩
(정답률: 83%)
  • 간섭성 페이딩은 주로 다중 경로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페이딩으로, 수신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 사이에 장애물이 있거나 다중 경로로 인해 신호가 간섭되어 발생합니다. 이러한 간섭으로 인해 신호의 강도가 감소하거나 왜곡되어 수신기에서 원하는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둘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합성하거나 양호한 출력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무선 수신기의 잡음 개선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수신 전력의 감소
  2. 내부 잡음전력의 억제
  3. 수신기의 실효 대역폭의 축소
  4. 통신방식의 적당한 선택
(정답률: 81%)
  • "수신 전력의 감소"는 잡음 개선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수신 감도를 약화시켜 더 많은 잡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잡음 개선 방법은 "내부 잡음전력의 억제", "수신기의 실효 대역폭의 축소", "통신방식의 적당한 선택"입니다. 이 방법들은 수신기 내부의 잡음을 억제하고, 수신 대역폭을 축소하여 잡음을 줄이며, 적절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잡음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기 굴절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기의 온도, 기압 및 습도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진다.
  2. 일반적으로 높이 올라갈수록 대기의 굴절률이 작아진다.
  3. 전자파의 전파 속도는 상층부에 비해 대지면에 가까워질수록 빨라진다.
  4. 대기의 굴절률은 대기의 유전율에 비례한다.
(정답률: 60%)
  • "전자파의 전파 속도는 상층부에 비해 대지면에 가까워질수록 빨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자파의 전파 속도는 대기의 굴절률과는 관련이 없으며, 일정한 속도로 직진합니다. 대기의 굴절률은 대기의 온도, 기압, 습도 등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높이가 올라갈수록 굴절률이 작아집니다. 이는 대기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류권파의 페이딩 생성원인에 의한 분류에 속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신틸레이션 페이딩
  2. 동기성 페이딩
  3. 선택성 페이딩
  4. 근거리 페이딩
(정답률: 84%)
  • 정답: "신틸레이션 페이딩"

    신틸레이션 페이딩은 대류권파의 페이딩 생성원인 중 하나로, 대기 중의 이온화된 입자들이 전파를 산란시켜 전파의 진폭이 변화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대기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데, 특히 태양활동이 활발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페이딩은 주로 고주파 대역에서 발생하며, 통신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 스펙트럼 영역에 균일하게 퍼져있는 연속성 잡음은?

  1. 인공잡음
  2. 대기잡음
  3. 백색잡음
  4. 우주잡음
(정답률: 92%)
  • 백색잡음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스펙트럼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잡음을 말합니다. 따라서 모든 스펙트럼 영역에 균일하게 퍼져있는 연속성 잡음은 백색잡음입니다. 인공잡음, 대기잡음, 우주잡음은 각각 인위적으로 생성된 잡음,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잡음, 우주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 설명은 어떤 다이버시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가?

  1. 사이트 다이버시티 기법(Site Diversity)
  2.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Space Diversity)
  3. 시간 다이버시티 기법(Time Diversity)
  4. 편파 다이버시티 기법(Polarization Diversity)
(정답률: 89%)
  • 위 그림은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지역이나 간섭이 심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테나 간 거리를 멀리 두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고 수신함으로써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의 대역확산 방식 중 PN코드에 의해 확산이 용이하여 변복조 과정이 다른 방식에 비해 우수하며 페이딩에 의한 수신신호의 판별력이 좋은 것은?

  1. 직접 도약(DS)
  2. 주파수 도약(FH)
  3. 시간 도약(TH)
  4. 간접 도약(IS)
(정답률: 79%)
  • PN코드에 의해 확산이 용이하여 변복조 과정이 다른 방식에 비해 우수하며 페이딩에 의한 수신신호의 판별력이 좋은 대역확산 방식은 "직접 도약(DS)" 입니다. 이는 PN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확산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수신신호의 간섭이 적어 페이딩에 의한 수신신호의 판별력이 높습니다. 또한, PN코드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어 신호의 안정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AM 송신기에서 부궤환 방식을 채용하여 얻어지는 특성이 아닌 것은?

  1. 이득향상
  2. 잡음감소
  3. 주파수특성 개선
  4. 발진주파수 개선
(정답률: 57%)
  • 부궤환 방식은 이득향상과 잡음감소, 주파수특성 개선을 가져옵니다. 그러나 발진주파수 개선은 부궤환 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 개선은 부궤환 방식을 채용하여 얻어지는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혼신에 대해 강하다.
  2. 낮은 속도의 다중 채널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3. 송ㆍ수신단간 반송파 주파수의 옵셋이 존재할 경우에도 신호대 잡음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4. 스펙트럼 대역의 사용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정답률: 71%)
  • OFDM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에서 독립적인 신호를 전송하므로, 다중 경로 간섭이나 다중 채널 간섭에 대해 강하고, 스펙트럼 대역의 사용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으며, 낮은 속도의 다중 채널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OFDM 방식은 송ㆍ수신단 간 반송파 주파수의 옵셋이 존재할 경우에는 신호대 잡음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OFDM 방식이 주파수 대역을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부분에서의 신호가 서로 직교(orthogonal)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송파 주파수의 옵셋이 존재할 경우, 각 부분에서의 신호가 서로 직교하지 않아 신호대 잡음비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CDMA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근거리/원거리 문제(Near-far probl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페이딩 현상이 주 원인이다.
  2.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로 해결할 수 있다.
  3. 도플러 효과에 의해 발생한다.
  4. 확산이득을 증가시키면 근거리/원거리 문제는 경감된다.
(정답률: 59%)
  • CDMA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근거리/원거리 문제는 페이딩 현상이 주 원인이다. 이는 수신기에서 도달하는 신호의 강도가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송신전력을 제어하여 강한 신호와 약한 신호의 차이를 줄여야 한다. 이를 통해 수신기에서 도달하는 신호의 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근거리/원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RFID에서 자체에 전원은 없지만 피에조 전기(Piezo Electric) 효과를 이용하여 태그를 동작시키는 것을 무엇인가?

  1. Close Coupling
  2. Inductive Coupling
  3. Load Modulation
  4. Surface Acoustic Wave
(정답률: 68%)
  • Surface Acoustic Wave는 RFID 태그를 동작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태그에 전원이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어 태그를 동작시키는데, 이때 피에조 전기 효과를 이용하여 태그 내부의 반도체 소자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Surface Acoustic Wav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근거리 무선기술 중 최대전송속도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은?

  1. ZigBee
  2. W-LAN
  3. BlueTooth
  4. UWB
(정답률: 80%)
  • UWB는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기술에 비해 더 높은 최대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하드 핸드오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교환기간 하드 핸드오프
  2. 프레인 offset 간 핸드오프
  3. Dummy 파이롯 핸드오프
  4. Softer 핸드오프
(정답률: 88%)
  • Softer 핸드오프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변경 없이 서비스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기존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가 동시에 운영되며 점진적으로 전환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다른 항목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FID 기술의 기본구성이 아닌 것은?

  1. Tag
  2. Reader
  3. Antenna
  4. Sensor
(정답률: 70%)
  • RFID 기술은 태그, 리더, 안테나로 구성되며, 센서는 RFID 기술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센서는 주로 환경 정보를 수집하거나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기술 중 2.4[GHz] 대역폭을 사용하며, 50[m] 거리 내에 있는 최대 127개까지의 기기간을 연결하는 홈 RF 네트워크 기술은?

  1. IEEE 1394
  2. IEEE 802.3
  3. Bluetooth
  4. SWAP
(정답률: 69%)
  • 정답은 "SWAP"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IEEE 1394: IEEE 1394는 FireWire 또는 i.LINK라고도 불리며,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입니다. 하지만 2.4GHz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으며, 50m 거리 내에 있는 최대 127개의 기기를 연결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 IEEE 802.3: IEEE 802.3은 이더넷 기술로,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아니며, 2.4GHz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Bluetooth: Bluetooth는 무선 기술로, 2.4GHz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50m 거리 내에 있는 최대 127개의 기기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 SWAP: SWAP은 Smart Wireless Access Point의 약자로, 2.4GHz 대역폭을 사용하며, 50m 거리 내에 있는 최대 127개의 기기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춘 홈 RF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SWA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교환국의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통화 절체(Hand-off) 기능
  2. 과금과 관련된 정보 저장 기능
  3. 위치 검출 및 등록 기능
  4. 발착신 신호 송출 기능
(정답률: 60%)
  • 무선 교환국은 발착신 신호 송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기지국에서 수행됩니다. 무선 교환국은 통화 절체, 과금과 관련된 정보 저장, 위치 검출 및 등록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무선 랜의 전송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외선 방식
  2. 확산 스펙트럼 방식
  3. 초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
  4.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방식
(정답률: 66%)
  • 초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인접 계층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1. SAP(Service Access Point)
  2. PDU(Protocol Data Unit)
  3. SDU(Service Data Unit)
  4. PCI(Programmable Communication Interface)
(정답률: 84%)
  • SAP(Service Access Point)은 인접 계층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점을 제공합니다. 즉,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접 계층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SAP(Service Access Poi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OSI 참조모델에서 전송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세션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물리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86%)
  • 전송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전송 중 손실이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여 네트워크의 혼잡을 방지하고 전송 속도를 최적화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FEC(Forward Error Correction)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데이터 비트 프레임에 잉여 비트를 추가해 에러를 검출, 수정하는 방식이다.
  2.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 외에 역채널이 필요하다.
  3. 에러율이 낮은 경우 효과적이다.
  4. 잉여 비트를 첨가하므로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83%)
  •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 외에 역채널이 필요하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FEC는 전송된 데이터에 잉여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역채널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FEC는 무선 통신 등에서 신호 간섭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데이터 전송률을 54[Mbps]까지 올리는 802.11a 무선랜의 물리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방식은?

  1. DSSS
  2. FHSS
  3. OFDM
  4. Infra-Red
(정답률: 76%)
  • 802.11a 무선랜의 물리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방식은 OFDM이다. OFDM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에서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다중 경로 간섭에도 강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802.11a 무선랜에서는 OFDM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54[Mbps]까지 올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마이크로파 중계국소의 올바른 설치 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정상에 설치
  2. 원격감시제어장비 구비
  3. 비가시권 확보
  4. 정전압장치구비
(정답률: 78%)
  • 마이크로파 중계국소는 높은 곳에 설치하여 전파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산정상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원격감시제어장비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정전압장치를 구비하여 전력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하지만 "비가시권 확보"는 올바른 설치 계획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마이크로파 중계국소가 비가시권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전파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치 계획에는 비가시권 확보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기 전자장비로부터 불요전자파가 최소화 되도록 함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외부 불요전자파에 대해서는 정상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지 설명하는 용어는?

  1. EMI
  2. EMP
  3. EMC
  4. EMS
(정답률: 79%)
  • EMC는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의 약자로, 전기 전자장비가 다른 전자기기나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요전자파에 대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일부 외부 불요전자파에 대해서는 정상동작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EMI는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P는 Electromagnetic Pulse, EMS는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의 약자로, 각각 전자기장 간섭, 전자기펄스, 전자기장 감수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무선통신망을 구축함으로서 얻어지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사회 경제 문화 등의 발전 기여
  2. 통신비용의 절감 효과
  3. 통신의 고신뢰성 실현
  4. 다양한 통신서비스의 공유
(정답률: 68%)
  • 무선통신망을 구축함으로서 얻어지는 장점 중에서 "통신비용의 절감 효과"는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무선통신망 구축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무선통신망을 구축하면서 얻어지는 다른 장점으로는 사회 경제 문화 등의 발전 기여, 통신의 고신뢰성 실현, 다양한 통신서비스의 공유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백색 가우시안 잡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전대역에 걸쳐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2. 백색가우시안 잡음은 신호에 더해지는 형태다
  3. 열잡음(thermal noise)이 대표적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다.
  4. 레일리 분포 특성을 보인다.
(정답률: 86%)
  • "레일리 분포 특성을 보인다."가 틀린 것이다. 백색 가우시안 잡음은 레일리 분포가 아닌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기 때문이다. 백색 가우시안 잡음은 전대역에 걸쳐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신호에 더해지는 형태이다. 또한, 열잡음(thermal noise)이 대표적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운영체제에서 컴퓨터 시스템 내의 물리적인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과 논리적 자원인 파일들이 효율적으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제어하는 부분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메모리
  2. GUI
  3. 커널
  4. I/O
(정답률: 75%)
  • 정답: 커널

    설명: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여 프로세스,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합니다. 또한,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등의 기능도 제공합니다. 따라서, 커널은 컴퓨터 시스템 내의 물리적인 자원과 논리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 컴파일러 ⓑ 인터프리터
  2. ⓐ인터프리터 ⓑ 컴파일러
  3. ⓐ어셈블리어 ⓑ 컴파일러
  4. ⓐ인터프리터 ⓑ 어셈블리어
(정답률: 82%)
  • 위의 그림은 소스코드를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거쳐 기계어로 번역된 프로그램은 실행 가능한 파일이 되며, 이 파일은 컴퓨터에서 직접 실행됩니다. 이와 달리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이면서 바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번역을 수행하므로 컴파일러보다는 실행 속도가 느립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위의 그림에서는 "ⓐ 컴파일러 ⓑ 인터프리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그레이 코드 10110110을 2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11011011
  2. 10101101
  3. 01001100
  4. 01101011
(정답률: 78%)
  • 그레이 코드에서 2진수로 변환할 때는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여 구합니다. 따라서 101101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비트: 1 (그대로 둠)
    두 번째 비트: 1 XOR 0 = 1
    세 번째 비트: 0 XOR 1 = 1
    네 번째 비트: 1 XOR 1 = 0
    다섯 번째 비트: 0 XOR 0 = 0
    여섯 번째 비트: 1 XOR 0 = 1
    일곱 번째 비트: 1 XOR 1 = 0
    따라서 정답은 "11011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 정보 ‘0’과 ‘1’로만 표현되며, 이러한 부호의 조합을 명령(instruction)이라고 한다. 그리고 명령들은 어떤 목적과 규칙에 따라 나열되고,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데이터(DATA)
  2. 소프트웨어(Software)
  3. 신호(Signal)
  4. 2진 코드
(정답률: 69%)
  •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은 어떤 목적과 규칙에 따라 나열되어야 하며, 이러한 명령들의 집합을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이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되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명령들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자바(java) 언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체지향언어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2. 컴파일러 언어이다.
  3. 분산환경에 알맞은 네트워크 언어이다.
  4. 플랫폼에 무관한 이식이 가능한 언어이다.
(정답률: 72%)
  • 자바는 컴파일러 언어이다. 이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변환된 기계어 코드를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컴파일러 언어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주소지정방식 중 명령어 내에 오퍼랜드 필드의 내용이 데이터의 유효주소가 되는 주소지정방식은?

  1. 직접 주소지정방식
  2. 간접 주소지정방식
  3.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4. 레지스터 간접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65%)
  • 직접 주소지정방식은 명령어 내에 오퍼랜드 필드의 내용이 데이터의 유효주소가 되는 방식이다. 즉, 데이터의 주소를 직접 지정하여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주소 계산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고 간단하며, 메모리 접근 시간이 짧아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깊이(depth)가 4인 전 이진트리(full binary tree)를 배열로 표현하고자 한다. 배열의 시작 색인(index)이 0으로 시작된다면 마지막 색인의 값은 얼마인가?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65%)
  • 깊이가 4인 전 이진트리는 총 15개의 노드를 가지며, 배열로 표현할 때는 인덱스 0부터 시작하므로 배열의 크기는 16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마지막 색인은 15가 아닌 14가 된다. 이유는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마지막 노드의 인덱스는 15이지만 배열의 크기는 16이므로 마지막 색인은 15이 아닌 1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프로그램에서 함수들을 호출하였을 때 복귀주소(return address)들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자료구조는 어느 것인가?

  1. 스택(stack)
  2. 큐(queue)
  3. 트리(tree)
  4. 그래프(graph)
(정답률: 81%)
  • 정답은 "스택(stack)"입니다.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한 함수의 복귀주소를 저장하고, 호출된 함수가 종료되면 저장된 복귀주소를 참조하여 호출한 함수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러한 복귀주소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로는 스택이 가장 적합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된 함수의 복귀주소를 스택에 push하고, 함수 종료 시에는 스택에서 pop하여 저장된 복귀주소를 참조합니다. 이러한 스택의 특성 때문에 함수 호출 순서와 반대로 복귀주소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순차탐색(sequential search)에서 n개의 자료에 대해 평균 키 비교 횟수는 얼마인가?

  1. n/2
  2. n
  3. (n+1)/2
  4. n+1
(정답률: 84%)
  • 순차탐색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자료를 하나씩 비교하면서 찾는 방법이다. 따라서 평균적으로는 찾고자 하는 자료가 중간에 위치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평균 키 비교 횟수는 (n+1)/2가 된다.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자료에서 7을 찾는 경우, 처음부터 하나씩 비교하면서 7을 찾아야 하므로 평균적으로 5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따라서 (10+1)/2 = 5.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CPU가 어떤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오면, 원래의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인터럽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먼저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명령 실행 사이클
  2.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3. 인터럽트 사이클
  4. 인터럽트 플래그
(정답률: 87%)
  • 정답: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설명: CPU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이라고 합니다. ISR은 인터럽트 발생 시점에 실행되며, 인터럽트 종류에 따라 다양한 처리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ISR은 마우스 입력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메인 프로그램에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무선통신의 송신을 위한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하는 장치와 이에 부가되는 장치”는 무엇을 설명한 내용인가?

  1. 송신장치
  2. 송신설비
  3. 송신공중선계
  4. 무선통신
(정답률: 69%)
  • 해당 내용은 무선통신에서 송신을 위해 필요한 장치와 그에 부가되는 장치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송신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지상파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의 변조방식은?

  1. 8-VSB 방식
  2. QPSK 방식
  3. QPSK 및 BPSK
  4. BPSK
(정답률: 86%)
  • 지상파디지털 텔레비전방송용 무선설비의 변조방식은 "8-VSB 방식"입니다. 이는 8진 변조 방식으로, 8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신호를 변조합니다. 이 방식은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다중 경로 간섭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상파디지털 텔레비전방송에 적합한 방식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ㆍ신호ㆍ문언ㆍ영상ㆍ음향 등의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유무선통신
  2. 무선설비
  3. 무선통신
  4. 유선통신
(정답률: 84%)
  •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것을 무선통신이라고 합니다. 이는 유선통신과는 달리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유선이 필요하지 않고, 무선설비만 있으면 어디서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선통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주파수 할당을 받은 자가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어 주파수를 재할당 받고자 하는 경우에 주파수 이용기간 만료 몇 개월 전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2개월 전
  2. 6개월 전
  3. 4개월 전
  4. 3개월 전
(정답률: 85%)
  •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어 재할당을 받으려면, 해당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재할당을 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월 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무선국은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운용하여야 한다. 다음 중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통신이 아닌 것은?

  1. 조난통신
  2. 긴급통신
  3. 안전통신
  4. 제3자에 의한 통신
(정답률: 85%)
  • 제3자에 의한 통신은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를 벗어나는 통신으로, 무선국 운용 규정에 위배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통신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무선국 운용 허가증에는 특정 주파수 대역과 출력 전력 등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를 벗어나는 제3자에 의한 통신은 불법적인 무선 통신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평균전력을 나타내는 기호는?

  1. PX
  2. PY
  3. PZ
  4. PR
(정답률: 86%)
  • 정답: "PY"

    평균전력을 나타내는 기호는 "PY"이다. "PX"는 전력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PZ"와 "PR"은 존재하지 않는 기호이다. "PY"는 시간에 대한 적분을 통해 구해지는 평균 전력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중선 전력에 주어진 방향에서의 반파다이폴의 상대이득을 곱한 것“으로 정의되는 것은?

  1. 규격전력
  2. 실효복사전력
  3. 첨두포락선전력
  4. 등가등방복사전력
(정답률: 68%)
  • 주어진 방향에서의 반파다이폴의 상대이득을 곱한 것은 "실효복사전력"이다. 이는 공중선 전력에서 발생하는 전파가 반사되어 도달하는 지점에서의 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로 수신기에서 받아들여지는 전력의 양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전파형식의 표시에 있어서 등급을 표시하는 셋째기호 중 텔레비전(영상)을 나타내는 기호는?

  1. N
  2. E
  3. W
  4. F
(정답률: 70%)
  • 정답은 "F"입니다.

    전파형식의 표시는 ITU-R에서 규정한 것으로, 첫 번째 기호는 주파수 대역, 두 번째 기호는 광대역성 여부를 나타내며, 세 번째 기호는 등급을 나타냅니다.

    텔레비전(영상)을 나타내는 기호는 "F"입니다. 이는 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전송되는 라디오 방송과 동일한 등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N", "E", "W"는 다른 등급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F"가 영상을 나타내는 기호인 이유는 주파수 대역과 광대역성 여부와는 무관하게 ITU-R에서 이를 정한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무선종사자 시험 종료 후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며칠 이내에 합격자 명단을 게시하거나 합격자에게 개별 통지해야 하는가?

  1. 7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67%)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무선종사자 시험 종료 후 30일 이내에 합격자 명단을 게시하거나 합격자에게 개별 통지해야 합니다. 이는 시험 결과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합격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자격증 발급 및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30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전파를 직접 공중 발사하지 않고 열에너지 등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송신기의 조정, 시험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기준공중선
  2. 의사공중선
  3. 대수주기공중선
  4. 수직편파공중선
(정답률: 76%)
  • 의사공중선은 전파를 직접 공중 발사하지 않고 열에너지 등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송신기의 조정, 시험 등에 사용됩니다. 이는 전파를 직접 발사하지 않고도 송신기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기준공중선, 대수주기공중선, 수직편파공중선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의사공중선과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