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8)

무선설비기사
(2016-10-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60[Hz]의 정현파 신호가 전파정류기에 입력될 경우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얼마인가?

  1. 10[Hz]
  2. 30[Hz]
  3. 60[Hz]
  4. 120[Hz]
(정답률: 85%)
  • 전파정류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2배로 만들어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60[Hz]의 입력 신호가 전파정류기에 입력되면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2배인 120[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변압기의 입력단 1차 권선비와 출력단 2차 권선비가 1:2일 때,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몇 배인가?

  1. 0.5배
  2. 1배
  3. 1.5배
  4. 2배
(정답률: 80%)
  • 입력단 1차 권선비와 출력단 2차 권선비가 각각 1:2이므로, 출력단의 전압은 입력단의 전압보다 2배가 됩니다. 이는 전력 보존 법칙에 따라 전력은 변압기 내부에서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입력단에서 공급된 전력과 동일한 출력전력이 출력단에서 생성되므로,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2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위칭 정전압 제어기에서 제어 트랜지스터가 도통되는 시간은?

  1. 부하 변동에 대응하는 펄스 유지 기간 동안
  2. 항상
  3. 과부하가 걸린 동안
  4. 전압이 정해진 제한을 넘은 동안
(정답률: 74%)
  • 스위칭 정전압 제어기에서 제어 트랜지스터가 도통되는 시간은 부하 변동에 대응하는 펄스 유지 기간 동안입니다. 이는 부하가 변동할 때 제어 트랜지스터가 적절한 시간 동안 도통되어 전압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항상 도통되는 것이 아니라 부하 변동에 따라 적절한 시간 동안 도통되어야 합니다. 과부하가 걸린 동안이나 전압이 정해진 제한을 넘은 동안에는 제어 트랜지스터가 도통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은 증폭기의 교류 입력전압의 크기가 20[mV]일 때 교류 출력전압의 크기는 약 얼마인가?

  1. 20[mV]
  2. 30[mV]
  3. 40[mV]
  4. 50[mV]
(정답률: 70%)
  • 다음 증폭기는 비-인버팅 증폭기이므로 입력과 출력의 전압이 같은 상태에서 증폭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20[mV]이므로 출력전압도 20[m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FET(Field Effect Transis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저항이 수 [MΩ]으로 매우 크다.
  2. 다수 캐리어에 의해 동작하는 단극성 소자이다.
  3. 접합트랜지스터(BJT)보다 동작속도가 빠르다.
  4. 전압제어용 소자이다.
(정답률: 74%)
  • "접합트랜지스터(BJT)보다 동작속도가 빠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FET는 BJT와 달리 전류제어가 아닌 전압제어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입력저항이 크고 소음이 적어서 고주파 신호 처리에 유리하지만, BJT보다는 동작속도가 느립니다. 이는 FET의 게이트 캐패시턴스(Cg)가 크기 때문인데, 이는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전하가 축적되는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크면 게이트 신호가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은 부궤환 증폭기 회로의 궤환율은?

  1. 10
  2. 1.1
  3. 0.5
  4. 0.1
(정답률: 6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 회로의 전압이득(Vo/Vs)은? (단, 증폭기는 이상적이라고 가정하며, R1=R2=R3=30[kΩ], R4=2[kΩ]이다.)

  1. -14
  2. -17
  3. -20
  4. -23
(정답률: 67%)
  • 입력 전압이 R1과 R2를 통해 분배되어 R3과 R4로 향하게 된다. 이 때, R3과 R4는 병렬 연결이므로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4에 인가되는 전압은 입력 전압의 1/8이 된다. 이렇게 증폭된 전압이 다시 R1과 R2를 통해 증폭기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때 R1과 R2는 서로 병렬 연결이므로 등가 저항으로 치환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Req = R1 || R2 = 15[kΩ] 이다. 이상적인 증폭기이므로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 출력 임피던스가 0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의 입력 전압은 R1과 R2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과 같고, 출력 전압은 R4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다. 이를 이용하여 전압 이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o/Vs = (R4/(R3+R4)) * (R1 || R2) / R1
    = (2[kΩ]/(30[kΩ]+2[kΩ])) * (15[kΩ]) / 30[kΩ]
    = -1/17
    ≒ -0.0588

    따라서, 전압 이득은 약 -1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발진기에서 기본 증폭기의 전압증폭도가 A이고, 궤환율을 β라고 했을 때 발진이 발생되는 조건은?

  1. A=100, β=1
  2. A=100, β=0.1
  3. A=100, β=0.01
  4. A=100, β=0
(정답률: 77%)
  • 발진기에서 발진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기본 증폭기의 전압증폭도 A와 궤환율 β의 곱이 1보다 커야 합니다. 이는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양의 피드백이 기본 증폭기의 출력을 계속 증폭시켜서 발진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100, β=0.01인 경우에는 A와 β의 곱이 1보다 크므로 발진이 일어납니다. 그러나 A=100, β=1인 경우에는 A와 β의 곱이 1보다 작으므로 발진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β가 작아질수록 발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A=100, β=0.1인 경우보다 A=100, β=0.01인 경우에 더 쉽게 발진이 일어납니다. 마지막으로, β=0인 경우에는 발진이 일어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RC 발진회로에서 RC 시정수를 높게 할 경우 발진주파수는 어떻게 변하는가?

  1. 발진주파수가 높아진다.
  2. 발진주파수가 낮아진다.
  3. 무한대가 된다.
  4. 아무런 변화가 없다.
(정답률: 70%)
  • RC 발진회로에서 RC 시정수를 높일수록 회로의 반응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발진주파수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RC 시정수가 크면 충전 및 방전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발진주파수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진주파수가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400[Hz]의 정현파 변조신호로 주파수 변조를 하였을 때 변조지수가 50이었다. 이 때 최대주파수편이 Δf는 얼마인가?

  1. 20[kHz]
  2. 40[kHz]
  3. 80[kHz]
  4. 100[kHz]
(정답률: 60%)
  • 변조지수 m은 Δf/fm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m은 모드레이션 주파수로, 이 문제에서는 400[Hz]이다. 따라서 m=50이므로 Δf=50*400=20[kHz]가 된다. 이는 변조된 신호의 최대 주파수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FM 검파 방식 중 주파수 변화에 의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복조하는 방식은?

  1. 계수형 검파기
  2. PLL형 검파기
  3. 포스터-실리 검파기
  4. 비 검파기
(정답률: 82%)
  • PLL형 검파기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추적하고 복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PLL(Phase Locked Loop)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되며, 입력 신호와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절합니다. 이 방식은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가지며, 주로 라디오 수신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그림과 같은 변조파형을 얻을 수 있는 변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현파의 주파수에 정보를 싣는 FSK 방식으로 2가지 주파수를 이용한다.
  2. 정현파의 진폭에 정보를 싣는 ASK 방식으로 2가지 진폭을 이용한다.
  3. 정현파의 진폭에 정보를 싣는 QAM 방식으로 2가지 진폭을 이용한다.
  4. 정현파의 위상에 정보를 싣는 2위상 편이변조방식이다.
(정답률: 79%)
  • 정답은 "정현파의 주파수에 정보를 싣는 FSK 방식으로 2가지 주파수를 이용한다." 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변조파형은 주파수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FSK 방식은 정보를 2진수로 나타내고, 각각의 2진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2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파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변조파는 수신측에서 다시 복조되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콜렉터 전압의 파형은?

  1. 구형파
  2. 스텝파
  3. 임펄스파
  4. 정현파
(정답률: 75%)
  •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는 양수와 음수의 전압이 번갈아가며 발생하므로 콜렉터 전압의 파형은 구형파가 된다. 이는 콜렉터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RL 회로에서 시정수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1. RL
  2. L/R
  3. R/L
  4. 1/(RL)
(정답률: 67%)
  • 시정수는 RL 회로에서 전류가 안정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시간은 전기적으로 충전 및 방전되는 시간 상수인 RC 상수와는 다르게, 전기적으로 에너지가 저장되고 방출되는 시간 상수인 L/R 상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시정수는 L/R로 정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진수 (101101)2을 10진수로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80%)
  • 2진수 101101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 2^5 + 0 × 2^4 + 1 × 2^3 + 1 × 2^2 + 0 × 2^1 + 1 × 2^0 = 32 + 0 + 8 + 4 + 0 + 1 = 45

    따라서, 2진수 (101101)2을 10진수로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레이 코드(Gray Code) 11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 1110
  2. 1100
  3. 1011
  4. 0011
(정답률: 77%)
  •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비트 차이가 1인 이진수로 이루어진 코드이다. 따라서 1110을 2진수로 변환하려면 이전 수와 비트 차이가 1인 수를 찾아야 한다. 1110의 이전 수는 1010이고, 두 수의 비트 차이는 2이다. 이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면 10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RS 플립플롭 호로의 출력 Q 및 는 리셋(Reset) 상태에서 어떠한 논리값을 가지는가?

(정답률: 76%)
  • RS 플립플롭은 리셋 상태에서 Q 출력은 0이 되고, 입력은 무시됩니다. 이는 RS 플립플롭이 초기화되어 어떠한 입력도 받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동기식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플립플롭의 단수는 동작 속도와 무관하다.
  2. 논리식이 단순하고 설계가 쉽다.
  3.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 입력이 된다.
  4. 동영상 회로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68%)
  • "플립플롭의 단수는 동작 속도와 무관하다."는 이유는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변화할 때만 출력이 변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변화하지 않는 한 동작 속도와는 무관하게 출력이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연 시간 50[ns]의 플립플롭을 사용한 5단 리플 카운터의 동작 최고 주파수는?

  1. 1[MHz]
  2. 4[MHz]
  3. 10[MHz]
  4. 20[MHz]
(정답률: 51%)
  • 리플 카운터는 이전 단계의 출력을 입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각 단계의 지연 시간이 누적됩니다. 따라서 5단 리플 카운터의 전체 지연 시간은 250[ns]가 됩니다.

    동작 최고 주파수는 주기가 전체 지연 시간인 250[ns]가 되는 경우입니다. 이 때 주파수는 1/250[ns] = 4[M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합 논리 회로 중 0과 1의 조합으로 부호화를 행하는 회로로 2n개의 입력선과 n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된 것은?

  1. 디코더(Decoder)
  2. DEMUX
  3. MUX
  4. 인코더(Encoder)
(정답률: 70%)
  • 인코더는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는 경우 해당 입력선의 인덱스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선에 부호화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2n개의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해당 입력선의 인덱스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선에 부호화하므로 인코더가 적합한 선택이다. 디코더는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는 경우 해당 입력선의 인덱스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선에 부호화하는 회로이지만,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해당 출력선의 인덱스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입력선에 부호화하는 회로이다. DEMUX는 1개의 입력선을 n개의 출력선으로 분배하는 회로이고, MUX는 n개의 입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1개의 출력선으로 합치는 회로이다. 따라서 이들은 인코더와는 목적과 구성이 다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변조(AM)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DSB-SC(Double Side Band Suppressed Carrier)
  2. SSB(Single Side Band)
  3. VSB(Vestigial Side Band)
  4. ASK(Amplitude Shift Keying)
(정답률: 71%)
  • ASK는 진폭 변조 방식 중 하나이지만, 진폭 변조 방식 중에는 DSB-SC, SSB, VSB가 있으며, ASK는 진폭을 변조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 변조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변조도 m=1(100[%])인 경우 SSB(Single Side Band) 송신기의 평균 전력은 SB-LC(Double Side Band - Large Carrier) 송신기 평균 전력에 비해 어느 정도 소요되는가?

  1. 1/2배
  2. 1/3배
  3. 1/4배
  4. 1/6배
(정답률: 52%)
  • SSB 송신기는 SB-LC 송신기에 비해 평균 전력이 1/2배로 감소한다. 이는 SSB 송신기가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고, 한 쪽 사이드 밴드만 전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조도가 100%인 경우 SSB 송신기의 평균 전력은 SB-LC 송신기의 평균 전력의 1/2배인 것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1/6배"가 아닌, "1/2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은 어떤 변조방식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것인가? (단, m(t) 는 입력정보이고, Fc는 반송주파수이다.)

  1. Narrow Band PM(Phase Modulation)
  2. Narrow Band FM(Frequency Modulation)
  3. DSB-TC(Double Side Band - Transmitted Carrier)
  4. VSB(Vestigial Side Band)
(정답률: 75%)
  • 정답은 "Narrow Band FM(Frequency Modulation)"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변조방식은 입력신호 m(t)를 주파수 변조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변조의 정도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는 Frequency Modulation의 특징과 일치한다. 또한, 그림에서 보이는 스펙트럼은 주파수 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으로 보아, DSB-TC(Double Side Band - Transmitted Carrier)나 VSB(Vestigial Side Band) 방식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Narrow Band PM(Phase Modulation)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므로, 그림에서 보이는 변조방식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직접 FM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변조
  2.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3. 리액턴스관 변조
  4. 암스트롱 변조
(정답률: 80%)
  • 암스트롱 변조는 직접 FM 변조 방식이 아니라 간접적인 변조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주파수를 변조하지 않고 주파수 변조를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암스트롱 변조가 직접 FM 변조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방식과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SK 변조방식이 ASK 변조방식에 비해 점유대역폭이 더 넓다.
  2. FSK 변조방식이 ASK 변조방식에 비해 오류확률이 낮다.
  3. 두 변조방식 모두 비동기 검파 및 동기 검파가 가능하다.
  4. ASK 변조방식이 FSK 변조방식보다 비선형 전송채널 환경에 적합하다.
(정답률: 62%)
  • ASK 변조방식이 FSK 변조방식보다 비선형 전송채널 환경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ASK 변조방식은 진폭을 변조하기 때문에 선형이 아닌 전송채널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SK 변조방식은 주파수를 변조하기 때문에 비선형 전송채널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그림에 나타낸 파형은 어떤 변조방식에 대한 신호파형인가?

  1. PSK(Phase Shift Keying)
  2. ASK(Amplitude Shift Keying)
  3. FSK(Frequency Shift Keying)
  4.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정답률: 83%)
  • 이 그림은 PSK(Phase Shift Keying) 신호파형이다. PSK는 위상 변조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위상을 변화시킨다. 이 방식은 ASK(Amplitude Shift Keying)나 FSK(Frequency Shift Keying)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디지털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ASK(Amplitude Shift Keying)
  2.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3.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4. OQPSK(Offset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정답률: 85%)
  • QAM은 디지털 신호를 직교하는 두 개의 캐리어 신호에 대해 진폭과 위상을 조절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QAM이다. ASK는 진폭만 변화시키고, QPSK는 위상만 변화시키고, OQPSK는 위상 변화를 조금씩 늦추어 변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0[kbps] 데이터율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16-ary QAM의 심볼전송률[sps]은?

  1. 25[ksps]
  2. 50[ksps]
  3. 80[ksps]
  4. 160[ksps]
(정답률: 83%)
  • 16-ary QAM은 4비트씩 묶어서 16가지의 심볼을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이다. 따라서 1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는 데이터율을 4로 나눈 값과 같다.

    100[kbps]를 4로 나누면 25[ksps]가 되므로, 16-ary QAM의 심볼전송률은 25[ks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레이다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야간이나 시계가 불량한 경우 레이다를 사용하면 안전한 항해를 할 수 있다.
  2. 거리와 방위를 구할 수 있으므로 목표물의 위치 및 상대속도 등을 구할 수 있다.
  3. 특수 레이다의 경우 열대성 폭풍(태풍)의 위치와 강우의 이동 파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4. 기상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주로 가시거리 내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85%)
  • "기상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주로 가시거리 내에서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레이다는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거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 해상, 우주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위성을 이용하여 선박에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는?

  1. LORAN C
  2. DECCA
  3. GPS
  4. Localizer
(정답률: 85%)
  •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GPS가 위성을 이용하여 선박에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LORAN C와 DECCA는 라디오 기반의 위치 측정 시스템이며, Localizer는 비행기의 착륙을 돕는 시스템으로, 선박에서 위치 측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납 축전지의 단자 전압 변화 원인은?

  1. 외부 충격
  2. 단자 접촉 불량
  3. 전해액의 비중
  4. 양극판 재질
(정답률: 83%)
  • 납 축전지의 전압은 전해액의 비중에 영향을 받습니다. 전해액의 비중이 높을수록 축전지 내부에서 전기화학 반응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전압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전해액의 비중이 변화하면 축전지의 단자 전압도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충전 종료시 축전지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전해액의 비중이 낮아진다.
  2. 단자 전압이 하강한다.
  3. 가스(물거품)가 발생한다.
  4. 전해액의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82%)
  • 가스(물거품)가 발생한다. - 충전 시 충전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해액에서 수소와 산소가 분리되어 가스(물거품)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전력장치인 수전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교기
  2. 유입개폐기
  3. 단로기
  4. 자동 전압 조정기
(정답률: 81%)
  • 비교기는 전력장치가 아니라 측정기기이기 때문에 수전설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유입개폐기는 전력의 유입과 차단을 담당하는 장치, 단로기는 전류를 제한하는 장치, 자동 전압 조정기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로 모두 전력장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태양전지의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은?

  1. 접지 기술
  2. 솔라셀 설치 기술
  3. 인공강우 기술
  4. 인버터 컨트롤 기술
(정답률: 79%)
  • 인버터 컨트롤 기술은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고, 전력의 주파수, 전압, 전류 등을 제어하여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AM송신기의 전력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진공관 전력계법
  2. 전구 부하법
  3. 안테나 실효저항법
  4. 열량계법
(정답률: 74%)
  • AM송신기의 전력 측정방법 중에서 "열량계법"은 아닙니다. 이유는 열량계법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력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진공관 전력계법은 진공관의 격자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이고, 전구 부하법은 전구를 부하로 사용하여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안테나 실효저항법은 안테나의 실효저항을 측정하여 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필터법을 이용한 송신기의 왜율 측정에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LPF(Low Pass Filter)
  2. BPF(Band Pass Filter)
  3. HPF(High Pass Filter)
  4. 감쇠기
(정답률: 78%)
  • 필터법을 이용한 송신기의 왜율 측정에는 LPF, BPF, HPF가 필요합니다. 감쇠기는 신호의 강도를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왜율 측정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BPF(Band Pass Filter)"가 아닌 "감쇠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실효높이가 10[m]인 안테나에 0.08[V]의 전압이 수신되었을 때 이 지점의 전계강도는 약 몇 [dB]인가? (단, 1[μV/m]를 0[dB]로 한다.)

  1. 78[dB]
  2. 88[dB]
  3. 98[dB]
  4. 108[dB]
(정답률: 67%)
  • 전압과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전압(V) = 전계강도(dBμV/m) + 60

    따라서, 전압이 0.08[V]이고 1[μV/m]를 0[dB]로 정의했으므로,

    전계강도 = 20log(0.08/1) = 20log(80) = 78[dB]

    따라서, 정답은 "78[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 Zo와 급전선을 통과하는 전파의 전파속도를 v로 표현할 경우 급전선이 가지는 임피던스값(L)을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1. Zo / v
  2. v / Zo
  3. v × Zo
  4. 1/ ( v× Zo)
(정답률: 80%)
  • 정답: Zo / v

    이유: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 Zo는 급전선을 통과하는 전파가 전파속도 v로 전달될 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급전선이 가지는 임피던스값 L은 Zo/v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가 2[kHz]가 되려면 주기는 몇 [ms]로 해야 하는가?

  1. 0.1[ms]
  2. 0.5[ms]
  3. 1[ms]
  4. 10[ms]
(정답률: 84%)
  • 스위칭 주파수는 주기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스위칭 주파수가 2[kHz]가 되려면 주기는 1/2[kHz] = 0.5[ms]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주파수의 교류를 다른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쵸퍼(Chopper)
  2. 정류기(Rectifier)
  3. 사이클로 컨버터(Cyclo Converter)
  4. 인버터(Inverter)
(정답률: 76%)
  • 주파수 변환장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 중에서 사이클로 컨버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사이클로 컨버터는 입력 신호를 직접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샘플링하여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사이클로 컨버터(Cyclo Conver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비유전율(εs)이 1이고 비투자율(μs)이 9인 매질 내를 전파하는 전자파의 속도는 자유공간을 전파할 때와 비교해서 몇 배의 속도가 되는가?

  1. 2배
  2. 1/2배
  3. 3배
  4. 1/3배
(정답률: 87%)
  • 비유전율과 비투자율은 전자파가 매질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비유전율이 1이라는 것은 매질 내에서 전자파가 전혀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유전율이 1인 매질에서 전자파의 속도는 자유공간에서의 속도와 같습니다.

    반면에 비투자율이 9라는 것은 매질 내에서 전자파가 상호작용하는 정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매질 내에서 전자파의 속도는 자유공간에서의 속도보다 훨씬 느리게 됩니다.

    따라서 비유전율이 1이고 비투자율이 9인 매질에서 전자파의 속도는 자유공간에서의 속도보다 느리게 됩니다. 이때 비율을 계산해보면, 매질 내에서의 속도는 자유공간에서의 속도의 1/3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전체에서 변위전류를 발생하는 것은?

  1. 분극 전하밀도의 시간적 변화
  2. 분극 전하밀도의 공간적 변화
  3.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
  4. 전속밀도의 공간적 변화
(정답률: 72%)
  • 유전체에서 변위전류는 전기장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합니다. 이때 전기장의 변화는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유공간에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통과하는 전자파 에너지가 3[W/m2 ]일 경우 전계강도는 약 얼마인가?

  1. 8.45[V/m]
  2. 16.81[V/m]
  3. 33.63[V/m]
  4. 45.65[V/m]
(정답률: 75%)
  • 전자파 에너지 밀도와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전자파 에너지 밀도 = (전자기 유도도) x (전계강도의 제곱) x (자유공간의 자기 유도도)

    여기서 자유공간의 자기 유도도는 공기의 자기 유도도와 거의 같으므로, 대략적으로 1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 에너지 밀도가 3[W/m2]일 때,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계강도 = √(전자파 에너지 밀도 / (전자기 유도도 x 자유공간의 자기 유도도))

    = √(3 / (8.85 x 10^-12 x 1))

    = 33.63[V/m]

    따라서 정답은 "33.63[V/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동조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전선상에 정재파가 존재한다.
  2. 급전선의 길이가 길 때 사용한다.
  3. 임피던스 정합장치가 불필요하다.
  4. 전송효율이 비동조 급전선보다 낮다.
(정답률: 67%)
  • "전송효율이 비동조 급전선보다 낮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급전선의 길이가 길 때 사용하는 이유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에 동조 급전선을 사용하여 신호를 보강하기 위함입니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장치가 불필요하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진행파 안테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임피던스 부정합 상태
  2. 양방향성
  3. 진행파와 반사파의 합성파
  4. 단일 지향성
(정답률: 75%)
  • 진행파 안테나는 단일 지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파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며, 다른 방향으로는 반사되거나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특정 방향으로만 전파를 발생시키고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정재파비가 1일 때 선로에는 어떤 성분의 신호가 존재하는가?

  1. 정재파
  2. 반사파
  3. 진행파
  4. 원편파
(정답률: 79%)
  • 정재파는 선로의 끝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파이므로 반사파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정재파가 진행하는 동안에는 선로에 진행파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행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VHF(Very High Frequency)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급전선은?

  1. 평행 4선식
  2. 동축케이블
  3. 도파관
  4. 평행 3선식
(정답률: 74%)
  • VHF 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급전선은 동축케이블입니다. 이는 VHF 대에서는 높은 주파수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신호의 감쇠를 최소화하고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동축케이블이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축케이블은 평행 4선식이나 평행 3선식에 비해 더 많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도파관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VHF 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도파관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방사 손실이 없다.
  2. 유전체 손실이 적다.
  3. 저역 통과 여파기로서 작용을 한다.
  4. 표피작용에 의한 도체의 저항손실이 매우 적다.
(정답률: 78%)
  • 도파관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자파 진공관으로, 방사 손실이 없고 유전체 손실이 적으며 표피작용에 의한 도체의 저항손실이 매우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역 통과 여파기로서 작용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반치각이란 주엽의 최대 복사 방향 강도(방향)에 대해 몇 [dB]가 되는 두 방향 사이의 각을 말하는가?

  1. 0[dB]
  2. -3[dB]
  3. -6[dB]
  4. -12[dB]
(정답률: 83%)
  • 반치각은 최대 복사 방향에서 3dB 감소한 방향과 최대 복사 방향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3[dB]"가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소다이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계 중 근거리에서 주가 되는 성분은?

  1. 복사계
  2. 유도계
  3. 정전계
  4. 전류계
(정답률: 59%)
  • 미소다이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계 중 근거리에서 주가 되는 성분은 유도계입니다. 이는 미소다이폴 주변의 전자들이 전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면서 새로운 전자기장을 만들어내고, 이로 인해 미소다이폴 주변의 다른 물체들에 전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유도계는 전기기기의 작동 원리나 전자기장의 이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절대이득과 상대이득, 지상이득 과의 관계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절대이득 = 상대이득 × 1.64
  2. 절대이득 = 상대이득 × 2.56
  3. 절대이득 = 지상이득 × 3.68
  4. 절대이득 = 지상이득 × 5.15
(정답률: 84%)
  • 정답은 "절대이득 = 상대이득 × 1.64"이다.

    절대이득은 선택지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이득에서 선택지에서 잃을 수 있는 최대 이득을 뺀 값이다. 상대이득은 선택지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과 선택지에서 잃을 수 있는 이득의 비율이다.

    따라서, 절대이득과 상대이득은 비례 관계에 있다. 상대이득이 높을수록 절대이득도 높아진다. 이 때, 상대이득이 1일 때의 절대이득을 1.64로 설정한 것이다. 이 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값으로, 상대이득이 1일 때 절대이득이 1.64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절대이득 = 상대이득 × 1.64"이 옳은 표현이다. 지상이득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철탑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방사 효율이 가장 낮은 안테나는?

  1. 연장코일을 사용하는 안테나
  2. 역 L형 안테나
  3. 우산형 안테나
  4. 원정관(Top Ring) 안테나
(정답률: 76%)
  • 연장코일을 사용하는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긴 안테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안테나의 효율을 낮추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철탑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는 연장코일을 사용하는 안테나가 일반적으로 방사 효율이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애드콕(Adcock) 안테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야간오차 방지효과가 있다.
  2. 수평면내 8자형 지향성을 갖는다.
  3. 방향탐지용 안테나이다.
  4. 수직편파 성분은 결합코일에서 서로 상쇄된다.
(정답률: 61%)
  • 수직편파 성분은 결합코일에서 서로 상쇄되는 것은 애드콕 안테나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안테나의 구조적 특징으로, 안테나의 중심에 위치한 결합코일이 수직편파 성분을 상쇄시켜서 방향탐지용 안테나로서의 효과를 높여준다. 따라서, "수직편파 성분은 결합코일에서 서로 상쇄된다."가 애드콕 안테나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다중 접지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점의 접지만으로는 불충분한 경우, 여러 점을 직렬로 접속하여 접지 저항을 줄이는 방식이다.
  2. 안테나 전류가 기저부 부근에 밀집하는 것을 피하고 접지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3. 접지 저항은 1~2[Ω] 정도이다.
  4. 대전력 방송국의 안테나 접지에 사용한다.
(정답률: 80%)
  • 접지 저항은 1~2[Ω] 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다중 접지 방식에서는 여러 점을 직렬로 접속하여 접지 저항을 줄이는 방식으로 안테나 전류가 기저부 부근에 밀집하는 것을 피하고 접지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대전력 방송국의 안테나 접지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표파 전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지표면 요철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대지의 도전율이 클수록 멀리 전파한다.
  3. 주파수가 높을수록 멀리 전파한다.
  4. 수직편파가 잘 전파한다.
(정답률: 69%)
  • "주파수가 높을수록 멀리 전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가 짧은 거리에서 전달되며, 장애물에 의해 막히기 쉽습니다. 이는 지표파 전파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지표면과의 상호작용이 적어지고 공기 중을 통해 멀리 전파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파는 장애물에 의해 막히기 쉽기 때문에, 건물이나 산 등의 장애물이 있는 지역에서는 전파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표파 전파는 대체로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파 범위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라디오 덕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덕트 내에서 초굴절 현상이 생긴다.
  2. 가시거리보다 훨씬 먼 거리를 전파할 수 있다.
  3. 도파관과 같이 차단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만 통과시킨다.
  4. 역전층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률: 68%)
  • "역전층에 의해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라디오 덕트는 도파관과 같이 차단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덕트 내부의 전기장이 일정 주파수 이하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덕트는 가시거리보다 훨씬 먼 거리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초굴절 현상은 덕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파의 속도가 덕트 내부에서 느려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전리층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층의 전자밀도는 다른 전리층에 비해 낮다.
  2. E층은 야간에 장파를 반사시킨다.
  3. F층은 다른 전리층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4. Es층은 E층보다 전자밀도가 낮다.
(정답률: 68%)
  • Es층은 E층보다 전자밀도가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Es층은 E층과 비슷한 전자밀도를 가지지만, 전자밀도가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Es층은 라디오 파장을 반사시키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전리층의 급격한 이동으로 반사파와 측파대가 받는 감쇠의 정도가 달라져서 생기는 페이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택성 페이딩이다.
  2.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3. SSB(Single Side Band) 통신 방식을 사용하면 발생하지 않는다.
  4. AGC(Automatic Gain Control) 장치를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76%)
  • "SSB(Single Side Band) 통신 방식을 사용하면 발생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AGC(Automatic Gain Control) 장치는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일정한 수신 강도를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전리층의 급격한 이동으로 인한 감쇠의 정도가 달라져서 생기는 페이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선택성 페이딩이나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여도 페이딩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태양 표면의 폭발로 인하여 20[MHz]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 전파 장해가 심하게 나타나며 위도가 높은 지방일수록 영향이 더 큰 것은 어떤 현상 때문인가?

  1. 자기 폭풍(Magnetic Storm)
  2. 델리저 현상(Delinger Phenomenon)
  3. 코로나 손실(Corona Loss)
  4. 룩셈부르크 효과(Luxemburg Effect)
(정답률: 82%)
  • 태양 표면의 폭발로 인한 자기장의 변화가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자기 폭풍이 발생합니다. 이 자기 폭풍은 지구 주변의 전자들을 가속시켜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방출하게 되며, 이는 통신 및 위성 운영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위도가 높은 지방일수록 지구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이 더 크기 때문에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 폭풍(Magnetic Storm)"입니다. 델리저 현상, 코로나 손실, 룩셈부르크 효과는 태양 활동과는 관련이 있지만, 이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100[MHz]의 신호를 송신안테나를 통해 100[km] 떨어진 수신 안테나로 전송할 때 자유공간 전파 손실은 얼마인가?

  1. 92.45[dB]
  2. 102.45[dB]
  3. 112.45[dB]
  4. 122.45[dB]
(정답률: 61%)
  • 자유공간 전파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ath loss = 20log10(4πd/λ)

    여기서 d는 거리, λ는 파장이다. 따라서,

    Path loss = 20log10(4π(100000)/300000000) = 112.45[dB]

    따라서 정답은 "112.4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50[MHz]의 반송파가 10[kHz]의 정현파에 FM 변조되어 최대주파수 편이가 50[kHz]일 경우에 FM신호의 대역폭은?

  1. 60[kHz]
  2. 80[kHz]
  3. 120[kHz]
  4. 240[kHz]
(정답률: 79%)
  • FM신호의 대역폭은 최대주파수 편이의 2배보다 크거나 같다는 카슨의 규칙에 따라 대역폭은 2 × 50[kHz] = 100[kHz] 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FM신호는 정현파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대역폭이 변화하므로, 이론적인 최대 대역폭인 100[kHz]보다 더 큰 값이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일하게 100[kHz]보다 큰 값인 "120[kHz]"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30개의 구간을 망형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회선 수는 몇 개인가?

  1. 435개
  2. 400개
  3. 380개
  4. 200개
(정답률: 86%)
  • 30개의 구간을 망형으로 연결하려면, 각 구간을 다른 구간과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각 구간은 29개의 다른 구간과 연결된다. 이를 모든 구간에 대해 적용하면, 총 연결된 회선 수는 다음과 같다.

    30 구간 x 29 다른 구간 = 870개의 연결

    그러나, 위의 계산에서 각 연결은 두 개의 구간에 모두 포함되므로, 총 필요한 회선 수는 870/2 = 435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3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왜율
  2. SINAD
  3. BER
  4. S/N
(정답률: 82%)
  •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가장 적합한 것은 "BER"입니다. 이는 Bit Error Rate의 약자로, 전송된 비트 중에서 수신측에서 잘못 받은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BER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신호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아날로그 통신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더 적합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무선통신의 다중접속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중접속 방식은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용 자원을 공유하는 것을 말하고, 이 공용 자원은 무선 주파수이다.
  2. 전통적인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 각각의 사용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는다.
  3.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 각 사용자는 전송하기 위한 서로 다른 타임 슬롯을 할당 받는데, 사용자 구분은 시간영역에서 이루어진다.
  4.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 각 사용자의 협대역 신호는 보다 넓은 대역폭으로 확산되며, 넓은 대역폭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대역폭보다 좁다.
(정답률: 83%)
  • 정답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 각 사용자의 협대역 신호는 보다 넓은 대역폭으로 확산되며, 넓은 대역폭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대역폭보다 좁다." 이다. CDMA 방식에서는 각 사용자의 신호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코드를 사용하며, 이 코드는 보다 넓은 대역폭으로 확산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CDMA 방식에서는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역폭이 더 넓어지지만, 각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대역폭은 그대로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마이크로파 통신 방식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가시거리 통신이다.
  2.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3. 외부 잡음의 영향이 적다.
  4. 전리층 반사파를 이용하여 전파한다.
(정답률: 63%)
  • 전리층 반사파를 이용하여 전파하는 것은 마이크로파 통신 방식의 일반적인 특성 중 하나이다. 이는 대기 상부의 이온화된 층인 전리층에서 전파가 반사되어 지구 상에 있는 수신기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리층 반사파를 이용하여 전파한다."는 마이크로파 통신 방식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위성통신 주파수를 업 링크와 다운 링크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주파수 충돌
  2. 주파수 간섭
  3. 주파수 잡음
  4. 주파수 반사
(정답률: 80%)
  • 위성통신에서 업 링크와 다운 링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업 링크와 다운 링크가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면, 신호가 서로 충돌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업 링크와 다운 링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떤 셀(Cell) 내의 통화량이 39.5[Erl]이고, 1호당 평균점유시간은 100초일 때 이 Cell에 1시간당 발생하는 호(Cell)의 수는?

  1. 711[호/시간]
  2. 1,422[호/시간]
  3. 2,133[호/시간]
  4. 2,844[호/시간]
(정답률: 77%)
  • 39.5[Erl]은 1시간 동안의 통화량이다. 따라서 1초당 평균 통화량은 39.5/3600[Erl/초]이다. 이를 1호당 평균점유시간인 100초로 나누면, 0.0010972[Erl/호]가 된다. 이 값은 1호당 0.0010972[Erl]의 통화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Cell에서 1시간 동안 발생하는 호의 수는 39.5/0.0010972[호] = 36,000[호/시간]이 된다. 하지만 이는 모든 호가 1호당 평균점유시간인 100초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 값이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적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1,422[호/시간]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제어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근문제(Near-Far Problem)을 해결하여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킨다.
  2. Closed Loop 전력제어 기술은 빠른 레일리 페이딩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Closed Loop 전력제어 기술은 기지국이 상향링크의 PER(Packet Error Rate)을 측정한다.
  4. Closed Loop 전력제어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기 모두가 개입하여 동작한다.
(정답률: 57%)
  • "Closed Loop 전력제어 기술은 기지국이 상향링크의 PER(Packet Error Rate)을 측정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losed Loop 전력제어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기 모두가 개입하여 동작하며, 상향링크의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원근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입니다. PER 측정은 Open Loop 전력제어 기술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 표준은?

  1. NTSC
  2. ATSC-T
  3. DVB-T
  4. ISDB-T
(정답률: 73%)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 표준은 ATSC-T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표준으로, 고화질 방송을 지원하며, 대부분의 TV 제조사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ATSC-T 방식으로 UHD 방송도 송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과, 한 채널당 사용가능한 주파수 블록 개수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VHF, 2개
  2. VHF, 3개
  3. UHF, 4개
  4. UHF, 5개
(정답률: 78%)
  • 우리나라의 지상파 DMB는 VHF 대역과 UHF 대역을 사용한다. VHF 대역은 주파수가 낮아 전파가 멀리 전달되지 않지만, 건물이나 산 등의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고, 안테나 크기도 작아 설치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VHF 대역에서는 한 채널당 사용 가능한 주파수 블록이 3개로 제한되어 있다. 반면 UHF 대역은 주파수가 높아 전파가 짧은 거리에서만 전달되지만, 전파의 간섭이 적고 대역폭이 넓어 더 많은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UHF 대역에서는 한 채널당 사용 가능한 주파수 블록이 4개 또는 5개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VHF, 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근거리 통신망(LAN)을 사용한 시스템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턴 어라운드 타임(Turn-Around Time)
  2. 응답 시간(Response Time)
  3. 전송 효율(Throughput)
  4. 인터 네트워킹(Inter-Networking)
(정답률: 69%)
  • 인터 네트워킹(Inter-Networking)은 근거리 통신망(LAN)을 사용한 시스템을 평가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LAN 내부에서의 통신에 대한 것이며, 인터 네트워킹은 LAN과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과 관련된 것입니다. 인터 네트워킹은 LAN과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더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도 음파를 통한 일종의 통신이라고 볼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관점에서 잘못된 것은?

  1. 두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가 서로 다르면 통신이 불가능하다.
  2. 두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일종의 프로토콜로 볼 수 있다.
  3. 두 사람이 대화하는 음성의 주파수가 일치되어야 한다.
  4. 두 사람 모두 음파를 사용하여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정답률: 81%)
  • 두 사람이 대화하는 음성의 주파수가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사람들이 대화할 때, 각자의 음성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이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두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일종의 프로토콜로 볼 수 있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주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yntax : 데이터 블록의 형식 규정
  2. Semantics : 에러처리를 위한 제어 정보의 규정
  3. Timing : 전송속도의 동기나 순서 등의 규정
  4. Format : 프로토콜의 각 상태의 동작 규정
(정답률: 72%)
  • Format은 프로토콜의 각 상태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정이 아니라,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에 대한 규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Format : 프로토콜의 각 상태의 동작 규정"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TCP/IP 계층이 아닌 것은?

  1. 네트워크계층
  2. 전송계층
  3. 표현계층
  4. 응용계층
(정답률: 62%)
  • TCP/IP 모델은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표현계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현계층"입니다. TCP/IP 모델의 4개 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2.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3.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4. 링크 계층 (Link Layer)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의 각 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적 전송오류 감지
  2. 네트워크 계층 : 경로 선택
  3. 전송 계층 :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간의 연결
  4. 응용 계층 : 암호화, 압축
(정답률: 72%)
  • 응용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암호화와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이는 보안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응용 계층 위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용 계층 : 암호화, 압축"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무선 LAN 시스템에서 채널을 예약하고 확인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법은 무엇인가?

  1. RTS/CTS
  2. FHSS
  3. Back-off
  4.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
(정답률: 80%)
  • 정답은 "RTS/CTS"이다. RTS/CTS는 무선 LAN 시스템에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RTS(Request to Send) 신호를 보내어 채널 예약을 요청하고, 수신측에서는 CTS(Clear to Send) 신호를 보내어 채널 예약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충돌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최적의 무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지국 통화량 분산 방법이 아닌 것은?

  1. 섹터간 커버리지 조정
  2. 인접 셀간 커버리지 조정
  3. 기지국 이설 및 추가
  4. 안테나의 각도 조정
(정답률: 80%)
  • 안테나의 각도 조정은 기지국의 통화량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기존의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무선 환경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테나의 각도 조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부표 등에 탑재되어 위치 또는 기상 자료 등을 자동으로 송출하는 무선설비는?

  1. 텔레미터(Telemeter)
  2. 라디오 부이(Radio Buoy)
  3. 라디오존데(Radiosonde)
  4. 트랜스폰더(Transponder)
(정답률: 82%)
  • 라디오 부이는 해양 또는 강 등에 부유물로 설치되어 위치나 기상 자료 등을 자동으로 송출하는 무선설비이다. 따라서 부표 등에 탑재되어 위치나 기상 자료 등을 송출하는 무선설비인 라디오 부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통신시스템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Hardware Redundancy 방안이 아닌 것은?

  1. Duplex
  2. Active/Standby
  3. N-version Program
  4. Spare Redundancy
(정답률: 77%)
  • "N-version Program"은 Hardware Redundancy가 아닌 Software Redundancy 방안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N-version Program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버전을 개발하여 동일한 입력에 대해 각 버전이 동일한 출력을 내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장애를 극복하는 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통신시스템에서 보완에 위협이 되는 요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피상적 공격(Superficial Attack)
  2. 수동적 공격(Passive Attack)
  3. 능동적 공격(Active Attack)
  4. 비인가 공격(Unauthorized Usage)
(정답률: 77%)
  • 정답: "피상적 공격(Superficial Attack)"

    설명: 피상적 공격은 통신시스템에서 보완에 위협이 되는 요소의 종류가 아닙니다. 피상적 공격은 공격자가 시스템에 대한 실질적인 침입을 시도하지 않고, 시스템의 외부에서 표면적인 정보만을 수집하는 공격입니다. 예를 들어, 공격자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가로채서 패킷의 헤더 정보만을 분석하는 것이 피상적 공격의 예입니다. 반면, 수동적 공격, 능동적 공격, 비인가 공격은 모두 시스템에 대한 실질적인 침입을 시도하거나, 시스템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시스템의 자원을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등의 공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다음 중 IP 주소를 사용하여 동종 또는 이종 링크에 다중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1. Roaming
  2. Multihoming
  3. Hand-Off
  4. Uni-Casting
(정답률: 77%)
  • Multihoming은 하나의 호스트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서, 각각의 인터페이스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IP 주소를 사용하여 동종 또는 이종 링크에 다중 접속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Roaming은 이동성을 가진 사용자가 다른 지역에서도 자신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며, Hand-Off은 이동 중인 사용자가 기지국 간에 전환할 때 발생하는 기술입니다. Uni-Casting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간에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울 수 있는 메모리는 어느 것인가?

  1. PROM
  2. EPROM
  3. EEPROM
  4. Flash Memory
(정답률: 81%)
  •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울 수 있는 메모리는 EPROM입니다. EPROM은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읽기 전용인 메모리입니다. 이 메모리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비트를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PROM은 일회성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메모리이며, EEPROM과 Flash Memory는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컴퓨터가 8비트 정수 표현을 사용할 경우 -25를 부호와 2의 보수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1100111
  2. 11100011
  3. 01100111
  4. 01100011
(정답률: 69%)
  • 8비트 정수 표현에서 부호와 2의 보수를 사용하면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가 되며, 0은 양수를, 1은 음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25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부호 비트를 1로 설정해야 한다.

    -25의 절댓값인 25를 2진수로 나타내면 00011001이다. 이를 2의 보수로 바꾸기 위해서는 먼저 1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해주면 된다. 1의 보수는 각 비트를 반전시키는 것이므로 11100110이 된다. 여기에 1을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111001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100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2진수 덧셈연산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가 되는 조건은?

  1. 두 수에서 부호 자리의 값이 서로 같을 때이다.
  2. 두 수에서 부호 자리의 값이 서로 다를 때이다.
  3. 부호자리에서 캐리(Carry)가 있고, 부호 다음 자리(MSB)가 캐리(Carry)가 있을 때이다.
  4. 부호자리에서 캐리(Carry)가 있고, 부호 다음 자리(MSB)가 캐리(Carry)가 없을 때이다.
(정답률: 64%)
  • 2진수 덧셈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조건은 부호자리에서 캐리(Carry)가 있고, 부호 다음 자리(MSB)가 캐리(Carry)가 없을 때입니다. 이는 두 수를 더할 때 부호 비트를 포함하여 최상위 비트(MSB)에서 캐리가 발생하면, 이 캐리가 다음 비트로 전파되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호자리에서 캐리가 있으면서, 부호 다음 자리(MSB)에서 캐리가 없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메모리관리에서 빈 공간을 관리하는 Free 리스트를 끝까지 탐색하여 요구되는 크기보다 더 크되, 그 차이가 제일 작은 노드를 찾아 할당해주는 방법은?

  1. 최초적합(First-Fit)
  2. 최적적합(Best-Fit)
  3. 최악적합(Worst-Fit)
  4. 최후적합(Last-Fit)
(정답률: 86%)
  • 최적적합(Best-Fit)은 빈 공간 중에서 요구되는 크기보다 더 큰 공간을 찾아 할당해주는 방법 중에서, 그 차이가 제일 작은 노드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빈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적합(Best-Fit)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로더(Loader)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연결(Linking)을 수행한다.
  2. 출력 데이터에 대해 일시 저장(Spooling) 기능을 수행한다.
  3.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번지수를 재배치(Relocation)한다.
  4.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번지수를 계산하고 할당(Allocation)한다.
(정답률: 79%)
  • 로더의 주요 기능 중 출력 데이터에 대해 일시 저장(Spooling)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로더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연결(Linking)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번지수를 재배치(Relocation)하며,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번지수를 계산하고 할당(Alloc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pooling은 출력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고 나중에 처리하는 기능으로, 로더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몇 개의 관련 있는 데이터 파일을 조직적으로 작성하여 중복된 데이터 항목을 제거한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Data File
  2. Data Base
  3. Data Program
  4. Data Link
(정답률: 84%)
  • 정답은 "Data Base"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 있는 데이터 파일을 조직적으로 작성하여 중복된 데이터 항목을 제거한 구조를 말한다. 데이터 파일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이지만,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검색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데이터 링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컴파일러(Compil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급(High Level)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언어번역 프로그램이다.
  2. 일정한 기호형태를 기계어와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언어번역 프로그램이다.
  3. 시스템이 취급하는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총괄하는 프로그램이다.
  4.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에 주어진 요소(Factor)들을 서로 연계시켜 하나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75%)
  • 고급(High Level)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언어번역 프로그램이다. 컴파일러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래머는 기계어를 직접 다루지 않고도 고급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는 RISC보다 많은 양의 레지스터를 필요로 한다.
  2.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3. 대부분의 명령어들은 한 개의 클럭 사이클로 처리된다.
  4. 소수의 주소 기법(Addressing Mode)을 사용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이다.

    CISC는 RISC보다 많은 양의 레지스터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CISC가 복잡한 명령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한 명령어는 레지스터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레지스터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반면 RISC는 단순한 명령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레지스터의 수가 적어도 되고, 이를 통해 더 빠른 성능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인터럽트의 우선순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전원 이상 → 기계착오 → 외부 신호 → 입ㆍ출력 → 명령의 잘못 사용 → 슈퍼바이저 호출(SVC)
  2. 슈퍼바이저 호출(SVC) → 전원 이상 → 기계착오 → 외부 신호 → 입ㆍ출력 → 명령의 잘못 사용
  3. 슈퍼바이저 호출(SVC) → 입ㆍ출력 → 외부 신호 → 기계착오 → 전원 이상 → 명령의 잘못 사용
  4. 기계착오 → 외부 신호 → 입ㆍ출력 → 명령의 잘못 사용 → 전원 이상 → 슈퍼바이저 호출(SVC)
(정답률: 72%)
  • 인터럽트의 우선순위는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전원 이상과 기계착오는 하드웨어적인 문제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외부 신호는 입ㆍ출력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명령의 잘못 사용은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로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슈퍼바이저 호출(SVC)은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전원 이상 → 기계착오 → 외부 신호 → 입ㆍ출력 → 명령의 잘못 사용 → 슈퍼바이저 호출(SVC)"가 올바른 우선순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주어진 발사에서 용이하게 식별되고,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기준주파수
  2. 지정주파수
  3. 특성주파수
  4. 필요주파수
(정답률: 67%)
  • 특성주파수는 주어진 발사에서 가장 뚜렷하게 식별되고,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를 말한다. 따라서 이 단어가 정답이다. 기준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를 말하며, 지정주파수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정된 주파수를 말한다. 필요주파수는 특정한 용도나 목적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무선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제정한 기준이 아닌 것은?

  1. 전자파 장해검정기준
  2.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3. 전자파 강도 측정기준
  4. 전자파 흡수율 측정기준
(정답률: 68%)
  • "전자파 장해검정기준"은 무선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다른 전자기기나 통신에 미치는 장해를 검정하는 기준이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기준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파 장해검정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무선설비의 공동사용 시 무선국 검사수수료 20퍼센트 감면대상 무선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정국
  2. 기지국
  3. 육상국
  4. 이동중계국
(정답률: 76%)
  • 육상국은 이동성이 없는 고정된 무선국으로, 이동중계국과 달리 이동성이 없기 때문에 공동사용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무선국 검사수수료 20퍼센트 감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적합성평가의 전부가 면제되는 기자재가 아닌 것은?

  1. 외국에 납품할 목적으로 주문제작하는 선박에 설치하기 위해 수입되는 기자재
  2. 외국으로부터 도입, 임대, 용선 계약한 선박 또는 항공기에 설치된 기자재
  3. 전시회, 경기대회 등 행사에서 판매를 하기 위한 정보통신기자재
  4. 판매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본인자신이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아마추어무선국용 무선설비
(정답률: 64%)
  • 적합성평가의 전부가 면제되는 기자재는 "전시회, 경기대회 등 행사에서 판매를 하기 위한 정보통신기자재"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 기자재도 국내에서 판매되는 정보통신기자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자재들은 외국에서 납품하거나, 본인이 사용하기 위해 제작하는 등 국내 판매와는 무관한 경우에 면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적합인증 대상기자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디지털선택호출장치의 기기
  2. 자동음성처리시스템
  3. 키폰시스템
  4. 전기가열기
(정답률: 79%)
  • 전기가열기는 적합인증 대상기자재가 아닙니다. 적합인증 대상기자재는 안전 및 전기적 성능 등이 국가 기준에 부합하는 기자재로, 디지털선택호출장치의 기기, 자동음성처리시스템, 키폰시스템과 같은 통신 기자재나 전기기기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전기가열기는 전기적 성능만을 갖춘 가전제품으로, 적합인증 대상기자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송신설비의 전력을 규격력으로 표시하지 않는 것은?

  1. 아무추어국의 송신설비
  2. 방송을 행하는 실험국의 송신설비
  3. 생존정에 사용되는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4. 500[MHz] 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송신설비로서 정격출력 1와트 이하의 진공관을 사용하는 것
(정답률: 60%)
  • "방송을 행하는 실험국의 송신설비"는 전력을 규격력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이유는 방송을 행하는 실험국의 송신설비는 다양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국에서는 실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전력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규격력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안테나공급전력이 얼마를 초과하는 무선설비에 사용하는 전원회로는 퓨즈 또는 자동차단기를 갖추어야 하는가?

  1. 5[W]
  2. 10[W]
  3. 30[W]
  4. 50[W]
(정답률: 61%)
  • 안테나공급전력이 10W를 초과하는 무선설비는 전원회로에 퓨즈 또는 자동차단기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과전류가 발생하여 무선설비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W, 10W, 30W, 50W 중에서 안테나공급전력이 10W를 초과하는 무선설비에는 퓨즈 또는 자동차단기를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무선설비의 안전시설과 관계없는 것은?

  1. 절연차폐체
  2. 금속차폐체
  3. 안테나계의 낙뢰보호장치 및 접지시설
  4. 피뢰침 보호장치
(정답률: 71%)
  • 피뢰침 보호장치는 무선설비의 안전시설과 관련이 없습니다. 피뢰침 보호장치는 지하수나 지반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 지하공간의 건축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무선설비의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감리사의 주요 임무 및 책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감리사는 설계감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발주자와 계약에 따라 발주자의 설계감리 업무를 수행한다.
  2. 감리사는 해당 설계용역의 설계용역 계약문서, 설계감리 과업내용서, 그 밖의 관계 규정 내용을 숙지하고 해당 설계용역의 특수성을 파악한 후 설계감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3. 감리사는 설계용역 성과검토를 통한 검토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세부 검토사항 및 근거를 포함한 설계감리 검토목록을 작성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4. 감리사는 설계자의 의무 및 책임을 면제시킬 수 있으며, 임의로 설계용역의 내용이나 범위를 변경시키거나 기일 연장 등 설계요역 계약조건과 다른 지시나 결정을 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률: 88%)
  • 감리사는 설계자의 의무 및 책임을 면제시킬 수 있으며, 임의로 설계용역의 내용이나 범위를 변경시키거나 기일 연장 등 설계요역 계약조건과 다른 지시나 결정을 하여서는 안 된다. 이것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이다. 감리사는 발주자와 계약에 따라 발주자의 설계감리 업무를 수행하며, 해당 설계용역의 계약문서와 규정 내용을 숙지하고 특수성을 파악한 후 설계감리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설계용역 성과검토를 통한 검토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검토목록을 작성하여 관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무선설비의 주요 기자재를 검수하는 방법 중 시험에 의한 방법의 검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검수방법은 감리사가 입회하여 재료제작자의 시험설비나 공장시험장에서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 얻은 성적표로 검수한다.
  2. 감리사가 공공시험기관에 시험을 의뢰 요청하여 실시하고 그 시험 성적 결과에 의하여 검수한다.
  3. 규격을 증명하는 KS 등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규격품이나 적절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품질증명이 첨부되어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4. 대상 기자재의 범위는 공사상 중요한 기자재 또는 특별 주문품, 신제품 등으로써 품질 성능을 판정할 필요가 있는 기자재로 한다.
(정답률: 80%)
  • 정답: "규격을 증명하는 KS 등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규격품이나 적절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품질증명이 첨부되어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다.

    해설: 무선설비의 주요 기자재를 검수하는 방법 중 시험에 의한 방법은 감리사가 입회하여 재료제작자의 시험설비나 공장시험장에서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 얻은 성적표로 검수하거나 공공시험기관에 시험을 의뢰 요청하여 실시하고 그 시험 성적 결과에 의하여 검수하는 방법이다. 대상 기자재의 범위는 공사상 중요한 기자재 또는 특별 주문품, 신제품 등으로써 품질 성능을 판정할 필요가 있는 기자재로 한다. 또한 규격을 증명하는 KS 등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규격품이나 적절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품질증명이 첨부되어 있는 제품도 대상으로 한다. 이는 해당 제품이 국가에서 인정하는 규격을 충족하고 있거나, 품질에 대한 적절한 증명이 첨부되어 있기 때문에 검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