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무선설비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전원 주파수 60[Hz]를 사용하는 정류회로에서 120[Hz]의 맥동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류방식은?

  1. 단상 반파 정류
  2. 단상 전파 정류
  3. 3상 반파 정류
  4. 3상 전파 정류
(정답률: 85%)
  • 단상 전파 정류는 전원 주파수의 2배인 120[Hz]의 맥동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류방식입니다. 이는 전압이 양/음평균선을 넘어가는 경우에만 정류되는 방식으로, 다이오드 하나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단상 전파 정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정전압 회로에서 입력전압 Vin이 15[V]~18[V]의 범위로 변동하는 경우 제너다이오드 전류 ID의 변화는 얼마인가? (단, RL=1[KΩ], VL=10[V]이다.)

  1. 20~50[mA]
  2. 30~60[mA]
  3. 40~60[mA]
  4. 40~70[mA]
(정답률: 66%)
  • 정전압 회로에서 제너다이오드의 전류는 입력전압에 따라 변화한다. 입력전압이 증가하면 제너다이오드의 전압이 감소하므로 제너다이오드의 전류는 증가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15[V]에서 18[V]로 증가하는 경우, 제너다이오드의 전류는 증가할 것이다.

    제너다이오드의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D = (VIN - VL) / RL

    입력전압이 15[V]일 때,

    ID1 = (15[V] - 10[V]) / 1[KΩ] = 5[mA]

    입력전압이 18[V]일 때,

    ID2 = (18[V] - 10[V]) / 1[KΩ] = 8[mA]

    따라서, 입력전압이 15[V]에서 18[V]로 증가하는 경우 제너다이오드의 전류는 5[mA]에서 8[mA]로 증가하므로, 변화량은 3[mA]이다. 따라서 정답은 "40~70[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공통 이미터(CE) 증폭기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와 위상이 같다.
  2.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와 위상이 다르다.
  3.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에 비해 작다.
  4.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와 크기가 같다.
(정답률: 70%)
  • 정답은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와 위상이 다르다."이다.

    공통 이미터(CE) 증폭기회로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같은 위상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다른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는 증폭기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위상 이동(phase shift) 때문이다. 이러한 위상 이동은 회로 구성 요소들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페이즈 코렉션(phase correction) 회로를 추가로 사용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부궤환 증폭기의 폐루프(Closed-Loop) 차단주파수는? [단, 개루프(Open Loop)일 때, 이득-대역폭 곱은 1×106[Hz]이다.]

  1. 200[kHz]
  2. 100[kHz]
  3. 50[kHz]
  4. 10[kHz]
(정답률: 64%)
  • 부궤환 증폭기의 폐루프 차단주파수는 개루프 이득-대역폭 곱의 1/10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루프 차단주파수는 1×106/10 = 100[kHz] 입니다. 그러나 이 증폭기는 2차 필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득-대역폭 곱이 1/10이 되는 주파수가 2차 필터의 대역폭 중심 주파수와 같아지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이 경우, 대역폭 중심 주파수는 100[kHz]이므로, 폐루프 차단주파수는 2차 필터 대역폭 중심 주파수의 2배인 200[k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차동증폭기의 동상신호제거비(Common-Mode Rejection Ratio)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상신호제거비가 작을수록 간접신호 제거 특성이 좋다.
  2. 개루프 전압이득이 100,000이고 공통-모드 이득이 0.2인 연산증폭기의 공통신호제거비는 500,000이다.
  3. 동상신호제거비는 동상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성능척도이다.
  4. 입력 동상신호에 대한 오차를 나타내는 성능척도이다.
(정답률: 70%)
  • "동상신호제거비가 작을수록 간접신호 제거 특성이 좋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동상신호제거비가 클수록 간접신호 제거 특성이 좋습니다. 동상신호제거비는 동상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성능척도이며, 입력 동상신호에 대한 오차를 나타내는 성능척도입니다. 개루프 전압이득이 100,000이고 공통-모드 이득이 0.2인 연산증폭기의 공통신호제거비가 500,000이라는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푸시 풀(Push-Pull)증폭기에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이유는?

  1. 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2. 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3. 기수차 및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4. 직류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78%)
  • 푸시 풀 증폭기에서는 NPN 및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합니다. 이 때, 우수고조파가 상쇄되면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집니다. 이는 NPN 및 PNP 트랜지스터가 서로 다른 파형을 증폭하면서 발생하는 기수차 및 우수차 고조파가 서로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발진회로에서 발진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1.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부궤환시킨다.
  2.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정궤환시킨다.
  3.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원과 입력신호를 제공한다.
  4. L과 C성분을 제거한다.
(정답률: 79%)
  • 발진회로에서 발진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은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원과 입력신호를 제공한다." 이다. 이유는 발진회로는 외부에서 전원과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발진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출력신호의 일부분을 정궤환시킨다."는 내용은 발진회로에서 사용되는 정궤환 발진기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며, 발진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틀리 발진회로에서 커패시턴스 C=200[pF], 인덕턴스 L1=180[μH], L2=20[μH] 및 상호인덕턴스 M=90[μH]의 값을 가질 때 발진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1. 517[kHz]
  2. 537[kHz]
  3. 557[kHz]
  4. 577[kHz]
(정답률: 65%)
  • 하틀리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

    여기서 L는 전체 인덕턴스로 L = L1 + L2 + 2M 이다.

    따라서,

    L = 180[μH] + 20[μH] + 2 × 90[μH] = 380[μH]

    f = 1 / (2π√(200[pF] × 380[μH])) = 577[kHz]

    따라서 정답은 "577[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주파수변조(FM)에서 신호대 잡음비(S/N)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디엠파시스(De-Emphasis) 회로를 사용한다.
  2. 잡음지수가 낮은 부품을 사용한다.
  3. 변조지수를 크게 한다.
  4. 증폭도를 크게 높인다.
(정답률: 70%)
  • 정답은 "증폭도를 크게 높인다."이다. 주파수변조에서는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증폭도를 높이는 것이 오히려 신호와 잡음을 모두 증폭시켜서 S/N 비율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디엠파시스 회로를 사용하거나 잡음지수가 낮은 부품을 사용하거나 변조지수를 크게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FM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단파 대역에 적당하지 않다.
  2. 수신의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잡음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4.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이 좁아진다.
(정답률: 76%)
  •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이 좁아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맞는 것입니다.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피변조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FM은 변조 지수가 크기 때문에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이 좁아지게 됩니다. 이는 단파 대역에 적당하지 않다는 이유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QAM 변조방식은 디지털 신호의 전송 효율향상, 대역폭의 효율적 이용, 낮은 에러율, 복조의 용이성을 위해 어떤 변조 방식을 결합한 것인가?

  1. FSK+PSK
  2. ASK+PSK
  3. ASK+FSK
  4. QPSK+FSK
(정답률: 80%)
  • QAM 변조방식은 ASK(Amplitude Shift Keying)와 PSK(Phase Shift Keying)를 결합한 방식입니다. ASK는 진폭을 이용한 변조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0과 1로 표현하여 진폭을 변화시켜 전송합니다. PSK는 위상을 이용한 변조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0과 1로 표현하여 위상을 변화시켜 전송합니다. QAM은 이 두 방식을 결합하여,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변조합니다. 이 방식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높고, 에러율이 낮으며, 복조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보 전송에서 800[Baud]의 변조 속도로 4상 차분 위상 변조된 데이터 신호 속도는 얼마인가?

  1. 600[bps]
  2. 1,200[bps]
  3. 1,600[bps]
  4. 3,200[bps]
(정답률: 82%)
  • 800[Baud]의 변조 속도는 1초당 800번의 신호 변화를 의미합니다. 4상 차분 위상 변조는 1초당 4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 속도는 800 x 4 = 3,200[bps]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200[bps]"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에 생기는 펄스 상승부분의 진동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새그(Sag)
  2. 링깅(Ringing)
  3. 언더슈트(Undershoot)
  4. 오버슈트(Overshoot)
(정답률: 77%)
  • 링깅은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여 생기는 펄스 상승부분의 진동 정도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링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 무안정, 쌍안정의 동작은 어떻게 결정 되는가?

  1. 전원 전압의 크기
  2.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3. 전원 전류의 크기
  4. 결합 회로의 구성
(정답률: 75%)
  •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 무안정, 쌍안정의 동작은 결합 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결합 회로는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부품들의 연결 방식과 전기적 특성에 따라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결합 회로의 구성이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숫자 0에서 9까지를 나타내기 위해 BCD 코드는 몇 비트가 필요한가?

  1. 4
  2. 3
  3. 2
  4. 1
(정답률: 82%)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코드이다. 따라서 0부터 9까지 총 10개의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4비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드모르간(De Morgan)의 정리를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84%)
  • ""이 옳은 정답입니다. 드모르간의 정리는 ~(A∨B) = ~A∧~B와 ~(A∧B) = ~A∨~B로 표현됩니다. 이는 각각 논리합과 논리곱의 부정은 각각 논리곱과 논리합의 부정과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A와 B가 모두 거짓일 때만 참이 되므로, ~A∧~B와 같은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Master-Slave 플립플롭은 어떤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가?

  1. Race 현상
  2. Toggle 현상
  3. 펄스 지연 현상
  4. 반전 현상
(정답률: 80%)
  • Master-Slave 플립플롭은 "Race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Race 현상은 동시에 여러 입력 신호가 들어올 때, 각 입력 신호의 전달 시간 차이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회로의 안정성을 해치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Master-Slave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를 Master 플립플롭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값을 Slave 플립플롭으로 전달함으로써 Race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동기식 카운터와 비동기식 카운터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동기식 카운터를 직렬형, 비동기식 카운터를 병렬형 카운터라고도 한다.
  2. 같은 수의 플립플롭을 갖는 경우 비동기식 카운터보다 동기식 카운터가 더 높은 입력 주파수를 사용하는 곳에 이용된다.
  3. 비동기식 카운터는 동기식 카운터와는 달리 시간 지연이 누적되지 않는다.
  4. 비동기식 카운터는 동기식 카운터보다 더 많은 회로 소자가 필요하다.
(정답률: 63%)
  • 동기식 카운터와 비동기식 카운터는 카운팅 신호의 동기화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동기식 카운터는 카운팅 신호가 플립플롭의 클럭 입력과 동기화되어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반면, 비동기식 카운터는 카운팅 신호와 플립플롭의 클럭 입력이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카운팅이 이루어진다.

    같은 수의 플립플롭을 갖는 경우, 비동기식 카운터는 각 플립플롭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입력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시간 지연이 누적되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입력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동기식 카운터가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디코더(Decod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력보다 많은 입력을 갖고 있다.
  2. 한 번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3. N 비트의 2진 코드 입력에 의해 최대 2N개의 출력이 나온다.
  4. 인코더(Encoder)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76%)
  • "출력보다 많은 입력을 갖고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디코더는 입력을 받아 출력을 생성하는 회로로, 출력은 입력보다 적거나 같다. 이는 입력의 각 비트에 대해 2가지 가능한 상태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3비트의 입력을 받는 디코더는 최대 8개의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전가산기(Full Adder)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1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OR게이트
  2. 1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AND게이트
  3.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OR게이트
  4.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AND게이트
(정답률: 79%)
  • 전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수를 입력으로 받아, 각 자리의 합과 다음 단계에서의 자리올림수를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이를 구성하는 기본 블록은 반가산기(Half Adder)이다. 반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를 입력으로 받아 각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수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가산기는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OR게이트로 구성된다. 첫 번째 반가산기는 입력으로 받은 2개의 이진수를 더한 후 합과 자리올림수를 출력하고, 두 번째 반가산기는 첫 번째 반가산기에서 출력된 합과 입력으로 받은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수를 더한 후 합과 자리올림수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OR게이트는 두 번째 반가산기에서 출력된 자리올림수와 첫 번째 반가산기에서 출력된 자리올림수를 OR 연산하여 다음 단계에서의 자리올림수를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다음 중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특징으로 옳은것은?

  1. 수신기의 이득이 낮다.
  2. 회로가 간단하고 조정이 쉽다.
  3. 국부 발진의 안정도가 저주파에서 저하된다.
  4. 영상신호의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정답률: 75%)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는 회로가 간단하고 조정이 쉬우며, 이득이 낮다는 특징이 있지만, 국부 발진의 안정도가 저주파에서 저하되고 영상신호의 방해를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가 라디오 주파수에서 높은 이득을 가지기 때문에, 주파수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를 함께 수신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영상신호의 방해를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파수가 50[kHz]인 정현파 신호를 100[MHz]의 반송파로 주파수 변조하여 최대 주파수 편이가 500[kHz]로 되었을 경우, 발생된 FM 신호의 대역폭과 FM 변조지수는 각각 얼마인가?

  1. 1,100[kHz], 10
  2. 1,200[kHz], 15
  3. 1,500[kHz], 20
  4. 1,800[kHz], 20
(정답률: 77%)
  • 주파수 변조에서 최대 주파수 편이는 Δf = kf × fm 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kf는 FM 변조지수, fm은 모듈레이션 신호의 최대 주파수 편이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Δf = 500[kHz], fm = 50[kHz], fc = 100[MHz] 이므로 kf = Δf / fm = 10이 된다.

    FM 신호의 대역폭은 B = 2 × (Δf + fm) 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Δf는 최대 주파수 편이, fm은 모듈레이션 신호의 최대 주파수 편이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B = 2 × (500[kHz] + 50[kHz]) = 1,100[kHz]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00[kHz],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PLL(Phase-Locked Loop)방식의 응용분야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V수상기에서 수평주사와 수직주사를 동시에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2. FM 스테레오 튜너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3.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4. FM수신기의 이득을 높이기 위함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FM수신기의 이득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다. PLL은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데, FM수신기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득을 높이는데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PLL의 응용분야로서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폭편이변조(ASK)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보비트를 양극성 NRZ(Non Return To Zero)으로 부보화한 기저대역 신호를DSB(Double Side Band)변조하여 얻는다.
  2. 데이터가 1인 구간에서는 반송파가 있고, 0인 구간에서는 반송파를 보내지 않는다.
  3. ASK의 전력스펙트럼은 양측파대 특성을 가진다.
  4. ASK신호의 복조에는 아날로그 AM 통신에서의 복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정답은 "정보비트를 양극성 NRZ(Non Return To Zero)으로 부보화한 기저대역 신호를DSB(Double Side Band)변조하여 얻는다." 이다. ASK는 진폭을 이용한 변조 방식으로, 정보비트를 직접 변조하여 얻는다. NRZ 신호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ASK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전송속도와 보(Baud)속도가 항상 같은 변조방식은 무엇인가?

  1. FSK(Frequency Shift Keying)
  2.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3.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4. OQPSK(Offset QPSK)
(정답률: 75%)
  • FSK(Frequency Shift Keying)은 0과 1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때 전송속도와 보속도가 항상 같은 이유는 1비트당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0은 1000Hz, 1은 2000Hz로 변조한다면, 1초당 전송되는 비트수와 주파수 변화 횟수가 같아지므로 전송속도와 보속도가 항상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래 그림과 같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전송 시스템 신호 성상도에서 전송 신호의 전력을 높였을 때 신호 성상도는 어떻게 변화 되는가?

  1. 신호점들 사이의 각이 좁혀진다.
  2. 신호점들이 원점에서 멀어진다.
  3. 신호점들이 오른쪽으로 45도 이동한다.
  4. 시놓점들이 왼쪽으로 45도 이동한다.
(정답률: 80%)
  • QPSK 전송 시스템에서 신호 성상도는 실수축과 허수축으로 나누어진 4개의 신호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송 신호의 전력을 높이면 각 신호점들이 원점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이는 전송 신호의 전력이 증가하면 각 신호점들의 진폭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호점들이 원점에서 멀어지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대신 OQPSK(Offset QPSK)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로 적합한 것은?

  1.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2. 같은 전송률로 BER(Bit Error Rate)을 낮추기 위해서이다.
  3. 180[°] 위상변화를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4. 수신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67%)
  • OQPSK 방식은 QPSK 방식에서 발생하는 180[°] 위상변화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QPSK에서 같은 시간에 두 개의 비트를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를 제거함으로써 수신기에서 복잡도를 줄이고 BER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80[°] 위상변화를 제거하기 위해서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송대역폭이 일정하다고 하자. 고정된 SNR값에서 M진 디지털통신시스템에서 동기식 수신 시스템을 적용한다고 한다. 이때, M의 값을 증가시킬 때 이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고정된 SNR에서는 M이 증가하더라도 오류비트률(BER)은 거의 일정하다.
  2. 고정된 SNR에서는 M이 증가하면 BER은 감소한다.
  3. 고정된 SNR에서는 M이 증가하면 BER도 증가한다.
  4. 고정된 SNR에서는 M이 증가함에 따라서 BER이 감소하다가 최적 M값 보다 커지면 BER이 반대로 증가한다.
(정답률: 65%)
  • 고정된 SNR에서는 M이 증가하면 BER도 증가한다.

    이는 M이 증가하면 한 심볼당 전송되는 비트 수가 증가하게 되어, 각 비트당 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오류 발생 확률이 증가하게 되어 BER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위성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12.5~18[GHz] 대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 밴드
  2. Ku 밴드
  3. Ka 밴드
  4. X 밴드
(정답률: 86%)
  • 12.5~18[GHz] 대역은 Ku 밴드라고 불립니다. 이는 위성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하나로, Ka 밴드보다는 낮은 주파수 대역이며 X 밴드보다는 높은 주파수 대역입니다. Ku 밴드는 대기권 흡수가 적어 전파가 잘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위성 통신에 적합한 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거리측정장치(DME :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지상국 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2. DME 동작원리는 전파의 전파속도를 이용한 것이다.
  3. DME는 보통 VOR(VHF Omnidirectional Radio Range) 또는 ILS(Instrument Landing System)와 함께 설치된다.
  4. 지상 DME국은 질문신호를 송신하고 항공기는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정답률: 81%)
  • "지상 DME국은 질문신호를 송신하고 항공기는 응답신호를 송신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항공기가 질문신호를 송신하고 지상 DME국이 응답신호를 송신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DME 측정을 요청하고, 지상국이 항공기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응답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축전지 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극판의 면적이 넓으면 커진다.
  2. 전해액의 농도가 낮으면 커진다.
  3. 전해액의 온도가 낮으면 커진다.
  4. 극판의 수를 적게 할수록 커진다.
(정답률: 80%)
  • 정답은 "극판의 면적이 넓으면 커진다." 이다. 축전지의 용량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양으로, 축전지 내부의 극판 면적이 넓을수록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극판 면적이 넓을수록 축전지의 용량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출력필터부
  2. 증폭부
  3. 비상바이패스부
  4. Static 스위치부
(정답률: 78%)
  • UPS의 구성요소 중 증폭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UPS가 전원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이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압은 일반적으로 AC 전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PS는 A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를 사용하며, 이 인버터는 증폭부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대신, 출력필터부, 비상바이패스부, Static 스위치부 등이 UPS의 구성요소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전압형 인버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CR 대신에 3상 다이오드 모듈을 사용하여 교류전압을 직류로 정류시킨다.
  2. DC-Link내의 직류전압을 평활용 콘덴서를 이용하여 평활시킨다.
  3. 정류된 직류전압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인버터부에서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한다.
  4. 출력전압파형은 정현파 특성을 얻도록 한다.
(정답률: 68%)
  • "출력전압파형은 정현파 특성을 얻도록 한다."에 대한 설명은 없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올바르다.

    출력전압파형은 정현파 특성을 얻도록 하는 이유는, 정현파 특성을 가진 전압은 다양한 전기기기에서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현파 특성을 가진 전압은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기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필요 배터리 용량(Ah)을 구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필요배터리용량(AH) = 1주일 소비전력×배터리전압×부조일수
  2. 필요배터리용량(AH) = 15일 소비전력×배터리전압×부조일수×1.25
  3. 필요배터리용량(AH) = 1일 소비전력÷배터리전압×부조일수×1.25
  4. 필요배터리용량(AH) = 15일 소비전력÷배터리전압×1.25(방전손실 보정계수)
(정답률: 77%)
  • 정답은 "필요배터리용량(AH) = 1일 소비전력÷배터리전압×부조일수×1.25"이다. 이 수식은 일일 소비전력을 배터리 전압으로 나눈 후, 부조일수와 1.25(방전손실 보정계수)를 곱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구하는 것이다. 부조일수는 일일 발전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적인 일수를 고려한 값이며, 1.25는 배터리의 방전 손실을 보정하기 위한 값이다. 따라서 이 수식을 통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FM송신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공동 주파수계
  2. 감쇠기(ATT)
  3. 저역여파기(LPF)
  4. 저주파 발진기
(정답률: 65%)
  • 공동 주파수계는 FM송신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주파수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니라, 여러 개의 주파수계를 함께 사용하여 정확한 주파수 측정을 위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FM송신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에는 감쇠기, 저역여파기, 저주파 발진기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본단위인 길이, 질량, 시간 등을 측정하여 피측정량을 알아내는 측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절대 측정
  2. 직접 측정
  3. 간접 측정
  4. 비교 측정
(정답률: 79%)
  • 정답: 절대 측정

    설명: 절대 측정은 기본 단위를 기준으로 직접 측정하여 피측정량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측정 방법인 직접 측정, 간접 측정, 비교 측정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무선 수신기에 수신되는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골라내는(수신하는) 능력에 해당하는 것은?

  1. 선택도
  2. 이득
  3. 잡음
  4. 감도
(정답률: 86%)
  • 선택도는 무선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여러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를 골라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다른 신호들과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신호의 주파수, 코드, 시간 등을 분석하고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해지며, 이득과 잡음, 감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접지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테나를 대지에 접지시킬 때 안테나와 대지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접촉저항이다.
  2. 접지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다점접지를 사용한다.
  3. 접지 안테나의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4. 코올라우시 브리지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접지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다점접지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다점접지는 접지저항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점접지는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안테나와 대지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을 줄여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동축 케이블의 종단 개방시 입력 임피던스가 30[Ω]이고 종단 단락시 입력 임피던스가 187.5[Ω]일 때 이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몇 [Ω]인가?

  1. 50[Ω]
  2. 65[Ω]
  3. 75[Ω]
  4. 80[Ω]
(정답률: 82%)
  •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종단 개방시와 종단 단락시의 입력 임피던스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30[Ω] × 187.5[Ω]) = 75[Ω]

    이므로 정답은 "75[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직렬형 정전압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율이 좋아 소형 전자기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로 널리 사용된다.
  2. 증폭단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압 안정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3. 단속제어방식의 정전압 회로이다.
  4. 출력전압의 넓은 범위에서도 설계가 용이하다.
(정답률: 44%)
  • "단속제어방식의 정전압 회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렬형 정전압 회로는 전압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회로 중 하나이며, 출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을 조절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합니다. 이 회로는 증폭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전압 안정계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소형 전자기기의 전압 안정화 회로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출력전압의 넓은 범위에서도 설계가 용이합니다. 하지만 단속제어방식은 직렬형 정전압 회로가 아닌 병렬형 정전압 회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다음 중 포인팅 벡터의 단위는?

  1. J/m2
  2. W/m2
  3. J/m3
  4. W/m3
(정답률: 81%)
  • 포인팅 벡터는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으로 흐르는 전기 및 자기장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벡터이다. 따라서 단위는 에너지(와트, W)를 면적(제곱미터, m2)과 시간(초, s)으로 나눈 W/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극초단파(UHF) 주파수 범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30~300[MHz]
  2. 300~3000[MHz]
  3. 3~30[GHz]
  4. 30~300[GHz]
(정답률: 74%)
  • 정답은 "300~3000[MHz]"이다.

    극초단파(UHF)는 주로 300MHz에서 3G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300~3000[MHz]"가 올바른 범위이다.

    "30~300[MHz]"는 VHF 주파수 범위이고, "3~30[GHz]"와 "30~300[GHz]"는 초고주파(SHF)와 밀리미터파(MMF) 주파수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전자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자파는 횡파이다.
  2. 전자파는 편파성이 없다.
  3. 전계나 자계의 진동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이다.
  4. 전계와 자계가 서로 얽혀 도와가며 고리모양으로 진행하는 파이다.
(정답률: 76%)
  • 정답은 "전자파는 편파성이 없다." 이다.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가 직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횡파이며, 전계와 자계가 서로 얽혀 도와가며 고리모양으로 진행하는 원형파이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전자파는 편파성이 없다. 즉, 전자파는 진동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모든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편파로 구성된 광학기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안테나 정합회로가 아닌 것은?

  1. 테이퍼 정합회로
  2. Φ형 정합회로
  3. T형 정합회로
  4. Y형 정합회로
(정답률: 82%)
  • 안테나 정합회로 중에서도 "Φ형 정합회로"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회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회로들은 모두 안테나 신호를 최대한 전달하고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합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분포 정수형 Balun이 아닌 것은?

  1. 스페르토프(Sperrtopf) Balun
  2. 분기 도체에 의한 Balun
  3. U자형 Balun
  4. Taper에 의한 Balun
(정답률: 74%)
  • Taper에 의한 Balun은 분포 정수형 Balun이 아니다. Taper에 의한 Balun은 전송선의 임피던스를 변화시켜서 Balun 효과를 얻는 방식이다. 다른 Balun들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회로를 사용하여 신호를 변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RF 및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사용되는 S-파라미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단자 회로망의 완전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2. 단락 및 개방 회로 종단을 넓은 범위의 주파수에는 구현하기 쉽다.
  3. 입출력 단자에서 정합된 부하 사용을 요구한다.
  4. 회로망 전압(또는 전류)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진행파들의 전압(또는 전류)의 조합이 된다.
(정답률: 65%)
  • 단락 및 개방 회로 종단을 넓은 범위의 주파수에 구현하기 쉽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단락 및 개방 회로 종단을 구현하는 것은 주파수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입니다. 이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회로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S-파라미터를 사용하는 RF 및 마이크로웨이브 회로에서는 단락 및 개방 회로 종단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고, 대신에 정합된 부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구형 도파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E10 모드인 경우 차단파장(λc)은 4a(a는 장변길이)이다.
  2. 전계는 Y방향 성분만 존재한다
  3. 자계는 XZ방향 성분만 존재한다.
  4. 구형 도파관의 기본 모드는 TE10 모드이다.
(정답률: 82%)
  • "자계는 XZ방향 성분만 존재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구형 도파관의 TE10 모드는 전계와 자계가 모두 Y방향 성분을 가지며, 이는 구형 도파관의 기본 모드이다. 차단파장(λc)이 4a인 이유는, TE10 모드에서 전파의 파장이 장변길이의 2배인 경우에만 전파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단파장은 2a의 배수인 4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파관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중 반사파를 흡수하는 방법은?

  1. 무반사 종단기
  2. 아이솔레이터
  3. 테이퍼형 변성기
  4. 도체봉에 의한 정합
(정답률: 61%)
  • 무반사 종단기는 도파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반사파를 흡수하여 전기적으로 무한대에 가까운 임피던스를 제공함으로써 반사파를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도파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반사파로 인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길이가 0.4[m]이고, 사용주파수가 50[MHz]인 미소다이폴 안테나에 전류 9[A]를 흘렸을 때 복사전력은 약 얼마인가?

  1. 355
  2. 255
  3. 455
  4. 555
(정답률: 60%)
  • 복사전력은 P = I^2 * R, 여기서 R은 안테나의 복소임피던스이다. 미소다이폴 안테나의 복소임피던스는 대략 73 + j42.5 옴이므로, R = 73^2 + 42.5^2 = 5384.06 옴이다. 따라서 P = 9^2 * 5384.06 = 435778.94 W이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면 435.78 kW가 되고, 1,000으로 다시 나누면 435.78 MW가 된다. 이 값을 50 MHz로 나누면 8.7156e-3 W가 되고, 이를 0.4 m^2로 나누면 2.1789e-2 W/m^2가 된다. 이 값을 1,000으로 곱하면 21.789 uW/m^2가 되고,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2.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1/4파장 수직접지 안테나에 있어서 실제 안테나 길이가 13[m]일 경우 이 안테나의 실효 높이는 약 얼마인가?

  1. 10.3[m]
  2. 9.3[m]
  3. 8.3[m]
  4. 7.3[m]
(정답률: 64%)
  • 1/4파장 안테나의 실효 높이는 안테나 길이의 0.6배 정도이다. 따라서, 13[m]의 안테나 길이에서 실효 높이는 13[m] x 0.6 = 7.8[m] 정도이다. 그러나, 이론적인 값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약간의 보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실효 높이가 8.3[m]인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대지와 안테나와의 접촉저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접지저항
  2. 도체저항
  3. 유전체손실
  4. 코로나손실
(정답률: 85%)
  • 대지와 안테나와의 접촉저항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대지와 안테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저항을 말한다. 이 저항을 접지저항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대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대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처럼 동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지저항"이 정답이다. "도체저항"은 물질 내부에서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을 말하며, "유전체손실"은 전기 에너지가 유전체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손실을 말한다. "코로나손실"은 고전압이 가해질 때 공기 중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손실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송신출력이 1[W], 송수신 안테나 이득이 각각 20[dBi]이고 수신입력 레벨이 -30[dBm]일 경우 자유공간손실은 몇 [dB]인가? (단, 전송선로 손실 및 기타 손실은 무시한다.)

  1. 30[dB]
  2. 70[dB]
  3. 100[dB]
  4. 120[dB]
(정답률: 74%)
  • 자유공간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자유공간손실 = 20log(4πd/λ)

    여기서 d는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 사이의 거리이고, λ는 전파의 파장이다. 자유공간손실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하며, 파장이 짧을수록 증가한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송신출력이 1[W]이고 송수신 안테나 이득이 각각 20[dBi]이므로, 수신입력 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신입력 레벨 = 송신출력 + 송수신 안테나 이득 - 자유공간손실

    -30[dBm] = 0[dBm] + 20[dBi] - 자유공간손실

    자유공간손실 = 50[dBi] = 100[dB]

    따라서 정답은 "10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단파대에서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1. 롬빅 안테나
  2. T형 안테나
  3. 우산형 안테나
  4. 역L형 안테나
(정답률: 82%)
  • 단파대에서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롬빅 안테나입니다. 이는 단파 주파수 대역에서 효율적인 전파 수신을 위해 설계된 안테나로, 긴 길이의 직선형 안테나와 달리 짧은 길이의 곡선형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곡선형 구조는 전파의 반사와 간섭을 최소화하고, 높은 효율성과 강한 신호 수신 능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안테나에서 가까운 지점에 지하수가 나올 정도의 깊이에 동판(동봉)을 매설하고 그 주위에 수분 흡수를 위해 목탄을 묻어서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방식은?

  1. 다중 접지
  2. 가상 접지
  3. 심굴 접지
  4. 어스 스크린 접지
(정답률: 87%)
  • 안테나에서 가까운 지점에 지하수가 나올 정도의 깊이에 동판을 매설하고 그 주위에 목탄을 묻어서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방식은 심굴 접지입니다. 이는 지하수가 흐르는 심굴층에 접지봉을 매설하여 지하수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접지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구등가 반경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파투시도를 그릴 때 고려되는 요소이다.
  2. 지구상의 어느 위치에서나 일정한 값을 갖는다.
  3. 실제 지구 반경에 대한 등가지구 반경의 비로 정의된다.
  4. 전파 가시거리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75%)
  • "실제 지구 반경에 대한 등가지구 반경의 비로 정의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구등가 반경계수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전파의 퍼짐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상수이며, 지구상의 어느 위치에서나 일정한 값을 갖는 이유는 지구의 곡률이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실제 반경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극초단파(UHF) 신호의 통달거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공전
  2. 지형
  3. 복사전력
  4. 안테나 높이
(정답률: 67%)
  • 공전은 극초단파 신호의 통달거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는 공전이 지형과 안테나 높이와는 달리 신호의 전파 경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지형, 안테나 높이, 복사전력은 신호의 전파 경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통달거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임계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리층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전자파의 반사와 투과의 경계가 되는 주파수이다.
  2. 전리층의 임계주파수를 알면 최대 전자밀도를 알 수 있다.
  3. 전리층의 전자밀도가 높아지면 임계 주파수는 낮아진다.
  4. 전리층의 굴절률이 0일 때의 주파수이다.
(정답률: 72%)
  • "전리층의 굴절률이 0일 때의 주파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리층의 전자밀도가 높아지면 임계 주파수는 낮아집니다. 이는 전자밀도가 높아지면 전자파가 전리층을 더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리층의 최대 전자밀도를 알면 임계 주파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임계 주파수는 전리층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전자파의 반사와 투과의 경계가 되는 주파수입니다. 이는 전리층에서 전자파가 반사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리층의 굴절률이 0일 때의 주파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향성이 예민한 빔 안테나를 사용하여 최대 전계강도가 도래하는 방향으로 안테나를 지향하도록 하여 페이딩을 줄이는 방식으로 방지 할 수 있는 페이딩은?

  1. 선택성 페이딩
  2. 간섭성 페이딩
  3. 도약성 페이딩
  4. 편파성 페이딩
(정답률: 57%)
  • 간섭성 페이딩은 다른 무선 장치나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간섭되어 발생하는 페이딩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빔 안테나를 사용하여 최대 전계강도가 도래하는 방향으로 안테나를 지향하도록 하여 페이딩을 줄이는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우주잡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양잡음은 태양의 흑점폭발 등과 같은 열교란에 의해 발생한다.
  2. 은하잡음은 200[M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에 문제가 된다.
  3. 태양잡음을 관측하여 자기폭풍이나 델린저 현상의 예보에 이용할 수 있다.
  4. 우주잡음은 태양잡음과 은하잡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81%)
  • "은하잡음은 200[M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에 문제가 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은하잡음은 200[M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은하잡음이 라디오 파장보다 긴 파장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하잡음은 지상 통신이나 위성 통신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무선 수신기의 잡음 개선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수신 전력의 감소
  2. 내부 잡음전력의 억제
  3. 수신기의 실효 대역폭의 축소
  4. 적정한 통신방식의 선택
(정답률: 78%)
  • "수신 전력의 감소"는 잡음 개선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수신 감도를 낮추어 더 많은 잡음을 받을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 무선통신 송신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송신되는 주파수의 안정도가 높을 것
  2. 송신되는 주파수의 영상혼신이 적을 것
  3. 송신되는 주파수 외의 불요파 방사가 적을 것
  4. 송신되는 전자파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가능한 좁을 것
(정답률: 51%)
  • 송신되는 주파수의 영상혼신이 적을 것은 무선통신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 아닙니다. 영상혼신은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송신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증폭기를 광대역폭(성)으로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증폭기의 다단 접속
  2. 스태거(Stagger)의 동조 방식 설계
  3. 보상 회로 첨가
  4. 부궤환 방식 응용
(정답률: 61%)
  • 정답은 "증폭기의 다단 접속"입니다.

    증폭기의 다단 접속은 증폭기의 출력을 다시 입력으로 연결하여 증폭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광대역폭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역폭을 좁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스태거(Stagger)의 동조 방식 설계, 보상 회로 첨가, 부궤환 방식 응용은 모두 광대역폭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스태거의 동조 방식 설계는 여러 개의 증폭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광대역폭을 확보하는 방식이고, 보상 회로 첨가는 증폭기의 왜곡을 보상하여 광대역폭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부궤환 방식 응용은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을 부궤환 회로로 연결하여 광대역폭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64진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대역폭 효율은 얼마인가?

  1. 2[bps/Hz]
  2. 4[bps/Hz]
  3. 6[bps/Hz]
  4. 8[bps/Hz]
(정답률: 78%)
  • 64진 QAM은 6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1개의 심볼당 6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역폭 효율이 6[bps/Hz]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DS(Direct Sequence)대역확산 통신방식에서 정보율(Bit Rate)과 PN 부호율(Chip Rate)이 같다면 처리이득은 몇 [dB]인가?

  1. 0[dB]
  2. 1[dB]
  3. 10[dB]
  4. 20[dB]
(정답률: 69%)
  • DS 대역확산 통신방식에서 정보율과 PN 부호율이 같다면 처리이득은 0[dB]이다. 이는 PN 부호화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대역폭이 정보 대역폭과 같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처리이득이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마이크로파 중계회선의 주파수 배치 방법은?

  1. 6주파 방식
  2. 5주파 방식
  3. 4주파 방식
  4. 3주파 방식
(정답률: 64%)
  • 마이크로파 중계회선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방식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전화나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회선으로 전송합니다. 이때, 4주파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4개로 나누어 각각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주파수 대역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위성체에 사용되는 무지향성 안테나의 용도로 적합한 것은?

  1. 11[GHz] 대역에서 무선측위용으로 사용된다.
  2. Pencil Beam을 얻을 수 있어 중계용으로 사용된다.
  3. 위성체의 명령이나 원격제어에 관한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된다.
  4. Multi Beam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66%)
  • 위성체의 명령이나 원격제어에 관한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된다. - 무지향성 안테나는 방향성이 없는 안테나로, 주변 모든 방향으로 신호를 발산하므로 위성과 지상국 사이의 통신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위성체의 명령이나 원격제어에 관한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이동통신 방식을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구분할 때 동기식 방식은?

  1.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2. EV-DV(Evolution Data & Voice)
  3.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4.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정답률: 68%)
  • 동기식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측과 수신측의 클럭이 동기화되어 있어야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비동기식 방식은 클럭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EV-DV는 동기식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는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시간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클럭 동기화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V-DV는 동기식 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CDMA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혼신 및 페이딩에 강하다
  2. 주파수 및 시간 계획이 필요치 않아 동일 주파수 및 동열 시간에 여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3. 고도의 전력 제어 및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하므로 전송 품질이 좋다.
  4. 동기가 필요하지 않아 채널 할당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정답률: 65%)
  • "동기가 필요하지 않아 채널 할당이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CDMA 시스템의 특징이 맞는 것입니다. 이는 CDMA 시스템이 다중 접속 기술 중 하나로,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도 서로 구분되는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동기화나 시간 계획이 필요하지 않아 채널 할당이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상파 UHDTV(4K)는 지상파 HDTV(Full HD)보다 몇 배의 해상도인가?

  1. 2배
  2. 4배
  3. 8배
  4. 16배
(정답률: 83%)
  • UHDTV(4K)는 가로 해상도가 4,000 픽셀이고 세로 해상도가 2,160 픽셀이므로 총 픽셀 수는 8,294,400개이다. 반면, HDTV(Full HD)는 가로 해상도가 1,920 픽셀이고 세로 해상도가 1,080 픽셀이므로 총 픽셀 수는 2,073,600개이다. 따라서 UHDTV(4K)는 HDTV(Full HD)보다 가로와 세로 해상도가 각각 2배씩 크므로 총 해상도는 4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설치, 유지보수, 재배치가 간편하다.
  2. 긴급, 임시 Network 구축 필요 시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3. 단말의 이동성 보장, Network 구축 필요 시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4. 주파수 자원이 한정되어 신뢰성과 보안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85%)
  • 답: "주파수 자원이 한정되어 신뢰성과 보안성이 우수하다." 이유는 무선 LAN은 유선 LAN과 달리 주파수 대역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무선 장치와의 간섭이 적고, 무선 신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 보안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에서 초 광대역 전파(GHz 대)를 이용하여 10[m]~20[m]의 거리에서 수 백[Mbps]를 전송하는 방식은?

  1. ZigBee
  2.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3. Bluetooth
  4. UWB(Ultra Wide Band)
(정답률: 72%)
  • UWB는 초 광대역 전파를 이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 ZigBee, WLAN, Bluetooth는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UWB는 매우 빠른 전송 속도와 짧은 거리에서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일반적 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1. 연결 제어
  2. 흐름 제어
  3. 상태 제어
  4. 다중화
(정답률: 54%)
  • 상태 제어는 통신 프로토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연결 제어는 연결 설정 및 해제를 관리하고, 흐름 제어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며, 다중화는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물리적인 통신 채널로 전송하는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상태 제어는 통신 상태를 관리하고 오류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상태 제어는 통신 프로토콜의 일반적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FDM 하이어라키(Hierarchy)는 아날로그 신호의 다중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계층구조이다. 기초주군(BMG : Basic Master Group)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몇 개의 음성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가?

  1. 12개
  2. 60개
  3. 300개
  4. 900개
(정답률: 68%)
  • 기초주군(BMG) 대역은 60kHz에서 108kHz까지의 대역폭을 가지고 있으며, 각 주파수 대역폭은 4kHz로 구성된다. FDM 하이어라키에서는 각 대역폭을 채널로 나누어 사용하므로, BMG 대역에서는 15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채널은 4kHz의 대역폭을 가지므로, 15개의 채널을 모두 사용하면 60kHz에서 108kHz까지의 대역폭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주군(BMG)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 15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채널은 음성채널 20개씩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총 15 x 20 = 300개의 음성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30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무선통신설비의 동작계통, 시스템의 연결 및 단말기의 접속에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설계도서는?

  1. 계통도
  2. 배관도
  3. 배선도
  4. 상세도
(정답률: 81%)
  • 계통도는 무선통신설비의 동작계통, 시스템의 연결 및 단말기의 접속에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설계도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배관도, 배선도, 상세도는 무선통신설비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분야의 설계도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에 대응하지 않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계층은?

  1. 전송계층(Transport Layer)
  2. 세션계층(Session Layer)
  3.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4.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정답률: 56%)
  •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은 OSI 모델의 응용계층과 대응한다. 따라서, "전송계층(Transport Layer)"은 OSI 모델의 전송계층과 대응하며,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과는 대응하지 않는다. 이유는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은 OSI 모델의 응용계층과 동일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RC 방식의 오류 검출을 수행한다.
  2. 임의의 비트 패턴 전송이 불가능하다.
  3. 신뢰성이 높은 전송이 가능하다.
  4. 수신측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연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임의의 비트 패턴 전송이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HDLC는 비트 스트림을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임의의 비트 패턴도 전송이 가능합니다. 이는 HDLC의 특징 중 하나로, 비트 스트림을 프레임으로 구성할 때 시작 비트와 종료 비트, 그리고 이스케이프 비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분하고 전송합니다. 따라서 HDLC는 임의의 비트 패턴도 전송이 가능하며, 이를 수신측에서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FEC(Forward Error Corr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 비트 프레임에 잉여 비트를 추가해 에러를 검출, 수정하는 방식이다.
  2.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 외에 역채널이 필요하다.
  3. 에러율이 낮은 경우 효과적이다.
  4. 잉여 비트를 첨가하므로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74%)
  •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 외에 역채널이 필요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FEC는 전송된 데이터에 잉여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역채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 외에 역채널이 필요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무선통신시스템 구축 게획시 종합적인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

  1. MTTR(Mean TIme to Repair)
  2.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3. TWTA(Travelling Wave Tube Amplifier)
  4. Redundancy
(정답률: 73%)
  • TWTA(Travelling Wave Tube Amplifier)는 무선통신시스템 구축 게획시 종합적인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고려 사항이 아닙니다. TWTA는 무선신호를 증폭시키는 장치로, 높은 출력을 내기 위해 사용되지만, 고장 발생률이 높아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WTA 대신에 신뢰성이 높은 다른 증폭기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MTTR(Mean Time to Repair),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Redundancy는 모두 무선통신시스템 구축 게획시 종합적인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고려 사항입니다. MTTR은 고장 발생 후 수리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하며, MTBF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Redundancy는 시스템 내에 여분의 장비를 두어서, 하나의 장비가 고장나더라도 시스템이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무선통신 실시설계의 산출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사비 산출서
  2. 설계 계획서
  3. 실시설계 설계도서
  4. 전송용량 계산서
(정답률: 65%)
  • 설계 계획서는 무선통신 실시설계의 산출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설계 계획서는 프로젝트의 목적, 범위, 일정, 비용 등을 기술하는 문서로, 프로젝트의 계획 단계에서 작성됩니다. 무선통신 실시설계의 산출물로는 공사비 산출서, 실시설계 설계도서, 전송용량 계산서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무선국 허가증에 등가등방복사전력(EIRP)이 3.28[dB]로 기재되어 있을 때 실효복사전력(ERP) 몇 [dB]인가? (단, 반파장 다이폴안테나를 기준으로 한다.)

  1. 2.0[dB]
  2. 3.28[dB]
  3. 5.43[dB]
  4. 6.56[dB]
(정답률: 74%)
  • EIRP와 ERP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ERP = EIRP - 2.15[dB]

    따라서, EIRP가 3.28[dB]일 때 ER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RP = 3.28[dB] - 2.15[dB] = 1.13[dB]

    하지만, 문제에서 "반파장 다이폴안테나를 기준으로" 하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반파장 다이폴안테나의 이득 2.15[dB]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ER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RP = 3.28[dB] + 2.15[dB] = 5.43[dB]

    따라서, 정답은 "5.43[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다음 중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2. 기억장치 주변에 있는 회로인데 가감승제 계산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이다.
  3. 일정한 입력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를 항상 보존하는 장치이다.
  4. 정밀 계산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두어 유효 숫자 개수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이다.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기억하기 위한 레지스터로, 연산장치 내부에 위치하여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사용된다. 따라서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라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병렬 입출력 방식(Parallel Input Output)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입ㆍ출력 제어장치와 입ㆍ출력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1~수 바이트(byte)씩 병렬로 전송하는방식이다.
  2.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3. 단거리 전송에 이용된다.
  4. 데이터의 각 바이트의 시작과 끝을 인식하도록 시작과 정지 비티를 사용한다.
(정답률: 61%)
  • "데이터의 각 바이트의 시작과 끝을 인식하도록 시작과 정지 비티를 사용한다."는 병렬 입출력 방식과 관련이 없는 개념인 시리얼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데이터의 각 바이트의 시작과 끝을 인식하도록 시작과 정지 비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리얼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시작 비트는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고, 정지 비트는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알린다. 이렇게 시작과 끝을 구분하면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8비트로 된 레지스터에서 첫째 비트는 부호비트로 0, 1로 양, 음을 나타낸다고 할 때 2의 보수(2's Complement)로 숫자를 표시한다면 이 레지스터로 표현할 수 있는 10진수의 범위로 올바른 것은?

  1. -256 ~ +256
  2. -128 ~ +127
  3. -128 ~ +128
  4. -256 ~ +127
(정답률: 80%)
  • 8비트로 된 레지스터에서 첫째 비트는 부호비트로 사용되므로, 나머지 7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2^7-1 = 127이다. 따라서 부호비트를 포함하여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2^7 ~ 2^7-1 이며, 이를 2의 보수로 표현하면 -128 ~ +127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8 ~ +1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두 이진수 01101101 과 11100110을 연산하여 결과가 10011011 이 나왔다. 다음의 어떤 연산을 한 것인가?

  1. AND 연산
  2. OR 연산
  3. XOR 연산
  4. NAND 연산
(정답률: 70%)
  • 정답은 "NAND 연산"이다.

    NAND 연산은 AND 연산의 결과를 NOT 연산한 것과 같다. 즉,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 0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1을 출력한다.

    01101101 NAND 11100110 = 10011011

    따라서, 두 이진수를 NAND 연산한 결과가 10011011이 나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지문에서 설명하는 운영체제의 유형은?

  1. 시분할 시스템(Time-Sharing System)
  2. 다중 처리(Multi-Processing)
  3. 대화 처리(Interactive Processing)
  4. 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
(정답률: 61%)
  • 이 유형의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작용하며 작업을 처리하는 대화 처리(Interactive Processing) 운영체제이다. 이 운영체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즉각적으로 작업을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해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면, 운영체제는 즉각적으로 그 명령을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해준다. 이러한 대화 처리 운영체제는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운영체제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유닉스(Unix) : 네트워크 기능이 강력하며, 다중 사용자 지원이 가능하고, PC에서도 설치 및운용이 가능한 버전이 있다.
  2. 리눅스(Linux) : 무료로 다운받아 모든 분야에 무료로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윈도우즈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한다.
  3. 윈도우즈(Windows) :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고있다. 서버급 보다는 클라이언트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4. 도스(DOS) : 명령어 입력방식으로 불편하며, DOS지원을 위해 메모리와 디스크의 용량에 한계가 있다. 여러 사람이 작업을 할 수 없다.
(정답률: 80%)
  • 리눅스(Linux) : 무료로 다운받아 모든 분야에 무료로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윈도우즈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한다. - 이는 올바른 특징이다. 리눅스는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무료로 다운로드 및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윈도우즈와 유사한 GUI 환경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C언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C언어자체는 입ㆍ출력 기능이 없다.
  2. C언어는 포인터의 주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C언어는 연산자가 풍부하지 못하다.
  4. 데이터에는 반드시 형(type) 선언을 해야 한다.
(정답률: 78%)
  • "C언어는 연산자가 풍부하지 못하다."가 틀린 것이다. C언어는 산술, 관계, 논리, 비트, 대입 등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하며, 이를 조합하여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C언어는 연산자가 풍부한 언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별할 수 있다.
  2.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관리, 지원, 개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등은 대표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4. 운영체제는 대표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등은 대표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이다. 스프레드시트와 데이터베이스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속하며, 시스템 소프트웨어와는 구분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 컴파일러, 디버거 등과 같이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주소(Address) 설계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주소와 기억공간을 독립한다.
  2. 가상기억방식만 채택한다.
  3. 번지는 효율적으로 표현한다.
  4. 사용하기 편해야 한다.
(정답률: 81%)
  • 정답: "가상기억방식만 채택한다."

    이유: 가상기억방식은 메모리 주소를 논리적인 주소와 물리적인 주소로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는 주소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니라 메모리 관리 방식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주소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지문에 있는 명령어와 종류가 다른 것은?

  1. Move
  2. Store
  3. Push
  4. Add
(정답률: 71%)
  • "Add"는 두 개의 값을 더하는 명령어이고, 나머지 세 개의 명령어는 값을 이동하거나 저장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종류가 다릅니다.

    정답이 "Add"인 이유는 지문에 있는 그림에서 "Add" 명령어가 두 개의 값을 더하는 것을 나타내고, 나머지 명령어는 값을 이동하거나 저장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안테나공급전력"이라 함은 안테나의 ( )에 공급되는 전력을 말한다. 괄호에 들어갈 적합한말은?

  1. 접지선
  2. 급전선
  3. 송신장치
  4. 단말기
(정답률: 83%)
  • 안테나공급전력이란 안테나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말한다. 급전선은 안테나와 송신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안테나에서 수신한 전파를 송신장치로 전달하고, 송신장치에서 발생한 전파를 안테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테나공급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와 송신장치를 연결하는 급전선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할당 받은 주파수의 이용기간 중 대가에 의한 주파수 할당과 심사에 의한 주파수 할당의 이용기간의 범위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10년, 20년
  2. 20년, 10년
  3. 5년, 10년
  4. 10년, 5년
(정답률: 66%)
  • 대가에 의한 주파수 할당은 일정 기간 동안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대가를 지불하고 구매하는 것이며, 이용기간은 일반적으로 20년입니다. 반면, 심사에 의한 주파수 할당은 주파수 이용 신청자들 중에서 심사를 거쳐 주파수를 할당받는 것으로, 이용기간은 일반적으로 10년입니다. 따라서, "20년, 10년"이 맞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항공법의 규정에 의한 경량항공기의 의무 항공기국은 정기검사 유효기간이 얼마인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67%)
  • 경량항공기는 항공법에 따라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정기검사의 유효기간은 2년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기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다시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국은 경량항공기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이 2년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이 5년이 아닌 것은?

  1. 실험국
  2. 기지국
  3. 간이무선국
  4. 아마추어국
(정답률: 75%)
  • 실험국은 무선주파수를 실험 및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는 국가 기관이나 대학 등에 부여되는 특수한 무선국으로,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기지국, 간이무선국, 아마추어국은 모두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이 5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중파방송을 행하는 방송국의 개설조건으로 맞는 것은?

  1. 블랭킷에어리어 내의 가구 수는 방송구역 내 가구 수의 0.30[%] 이상일 것
  2. 블랭킷에어리어 내의 가구 수는 방송구역 내 가구 수의 0.35[%] 이하일 것
  3. 블랭킷에어리어 내의 가구 수는 방송구역 내 가구 수의 0.45[%] 이상일 것
  4. 블랭킷에어리어 내의 가구 수는 방송구역 내 가구 수의 0.035[%] 이하일 것
(정답률: 81%)
  • 중파방송을 행하는 방송국의 개설조건 중 하나는 블랭킷에어리어 내의 가구 수가 방송구역 내 가구 수의 0.35[%] 이하일 것이다. 이는 블랭킷에어리어가 방송구역 내의 인구 대비 일정 비율 이하일 때 중파방송을 허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블랭킷에어리어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기 때문에, 인구 대비 일정 비율 이상의 가구 수가 있을 경우에는 중파방송이 전파 간섭을 일으키거나 수신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공사 중 감리대상에서 제외되는 공사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6층 미만으로서 연면적 5천 제곱미터 미만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공사
  2. 철도, 도시철도 설비의 정보제어 등 안전관리를 위한 공사로서 총 공사금액이 1억원 미만인 공사
  3. 방송, 항공 설비의 정보제어 등 안전관리를 위한 공사로서 총 공사금액이 1억원 이상인 공사
  4. 전기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기 위한 공사로서 총 공사금액이 1억원 미만인 공사
(정답률: 80%)
  • 방송, 항공 설비의 정보제어 등 안전관리를 위한 공사로서 총 공사금액이 1억원 이상인 공사가 감리대상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이유는 이러한 공사도 안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리가 필요하며, 공사금액이 1억원 이상이므로 감리대상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방송통신기술의 진흥을 통한 방송통신서비스 발전을 위하여 시행하여야 하는 시책 수립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 인력양성에 관한 사항
  2. 방송통신기술의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3. 방송통신 기술정보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사항
  4. 방송통신 기술협력, 기술지도 및 기술이전에 관한 사항
(정답률: 72%)
  • "방송통신 인력양성에 관한 사항"은 방송통신기술의 진흥을 통한 방송통신서비스 발전을 위한 시책 수립 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인력양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기술 발전을 위한 인력 양성은 중요하지만, 직접적으로 방송통신서비스 발전과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적합인증 대상기자재가 아닌 것은?

  1. 구내교환기
  2. 광통신용 회선종단장치
  3. 과학용 고주파 이용기기
  4. 생활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기
(정답률: 79%)
  • 과학용 고주파 이용기기는 적합인증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과학 연구나 실험 등에 사용되는 기기로, 일반적인 생활이나 업무에서 사용되는 기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평균전력을 나타내는 기호는?

  1. PX
  2. PY
  3. PZ
  4. PR
(정답률: 79%)
  • 정답: "PY"

    평균전력을 나타내는 기호는 "PY"이다. "PX"는 화면 해상도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PZ"는 물리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PR"은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R3E, H3E, J3E 전파형식을 사용하는 모든 무선국의 무선설비 점유 주파수대폭의 허용치로옳은 것은?

  1. 1[kHz]
  2. 3[kHz]
  3. 6[kHz]
  4. 10[kHz]
(정답률: 84%)
  • R3E, H3E, J3E 전파형식은 모두 AM (진폭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이 방식에서는 대역폭이 주파수의 2배인 6kHz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들 전파형식을 사용하는 모든 무선국의 무선설비 점유 주파수대폭의 허용치는 6kHz 중에서도 최대 50%인 3kHz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