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10)

무선설비기사
(2017-06-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과 같은 정류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반주기에는 D1과 D3가 On되어 정류작용을 한다.
  2. 고압 정류회로에 적합하다.
  3. Tap형 전파정류회로에 비해 정류효율이 낮고 전압 변동률이 크다.
  4. 중간 Tap이 있어 대형 변압기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정류회로의 중간 Tap은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형 변압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압 변환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직류 전압 또는 직류 전류의 맥동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가 아닌 것은?

(정답률: 78%)
  •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ESD 보호 회로는 직류 전압 또는 직류 전류의 맥동률을 감소시키는 회로가 아니므로 ""가 정답이다. 이 회로는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면 이를 지나가는 전류를 제한하여 기기를 보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고주파 증폭회로에서 중화 조정을 수행하는 목적은?

  1. 이득의 증가
  2. 주파수의 안정
  3. 전력 효율의 증대
  4. 자기 발진의 방지
(정답률: 67%)
  • 고주파 증폭회로에서 중화 조정을 수행하는 목적은 자기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자기 발진은 회로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고주파 신호로, 이는 회로의 안정성을 해치고 전송 신호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화 조정을 통해 자기 발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신호 전송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궤환율이 0.04인 부궤환 증폭기 회로이다. 저항 Rf의 값은?

  1. 120[kΩ]
  2. 180[kΩ]
  3. 220[kΩ]
  4. 240[kΩ]
(정답률: 68%)
  • 부궤환 증폭기 회로에서 궤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궤환율 = -Rf/R1

    여기서 궤환율이 0.04이므로,

    0.04 = -Rf/R1

    Rf = -0.04R1

    또한, 전압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압 이득 = -Rf/R2

    여기서 전압 이득이 100이므로,

    100 = -Rf/R2

    Rf = -100R2

    따라서, Rf = -0.04R1 = -100R2 이다.

    이를 이용하여 Rf의 값을 구하기 위해 R1과 R2의 비율을 구해보자.

    Rf = -0.04R1 = -100R2

    R2/R1 = -Rf/100 = 0.0004

    R2 = 0.0004R1

    이를 다시 Rf에 대입하면,

    Rf = -0.04R1 = -100(0.0004R1) = -0.04R1/0.004

    Rf = -10R1

    따라서, Rf의 값은 240[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과 같은 연산증폭기 회로의 출력 전압은?

  1. -8.4[V]
  2. -4.6[V]
  3. -2.3[V]
  4. -1.6[V]
(정답률: 80%)
  •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 전압은 -8.4V입니다. 이는 R1과 R2가 연결된 점이 -8.4V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입력 신호가 주어지면, Q1과 Q2가 작동하여 R1과 R2의 전압 분배가 변화합니다. 이로 인해 출력 전압이 변화하게 됩니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0V에서 1V로 변화합니다. 이 때, Q1은 cutoff 상태에서 saturation 상태로 전환되고, Q2는 saturation 상태에서 cutoff 상태로 전환됩니다.

    따라서, R1과 R2의 전압 분배은 다음과 같이 변화합니다.

    - 입력 신호가 0V일 때: R1과 R2에 전압이 동일하게 분배되므로, 출력 전압은 -8.4V입니다.
    - 입력 신호가 1V일 때: Q1이 saturation 상태이므로, R1에 거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R2에 대부분의 전압이 인가됩니다. 따라서, R2에 인가되는 전압은 (1V - 0.7V) = 0.3V입니다. 이에 따라, R1과 R2의 전압 분배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R1: 0.3V × (10kΩ / (10kΩ + 10kΩ)) = 0.15V
    - R2: 0.3V × (10kΩ / (10kΩ + 10kΩ)) = 0.15V

    따라서, 출력 전압은 R1과 R2의 연결점에서의 전압인 (-8.4V + 0.15V) = -4.6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6[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푸시풀(Push-Pull) 전력증폭회로의 가장 큰 장점은?

  1. 우수 고조파 상쇄로 왜곡이 감소한다.
  2. 직류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효율이 크다.
  3. A급 동작시 크로스오버(Cross Over) 왜곡이 감소한다.
  4. 기수와 우수 고조파 상쇄로 효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77%)
  • 푸시풀(Push-Pull) 전력증폭회로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의 가장 큰 장점은 우수 고조파 상쇄로 왜곡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두 개의 전력 증폭기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력 신호의 고조파가 서로 상쇄되어 왜곡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는 빈-브릿지(Wien-Bridge) 발진회로이다. R1, R2 값이 감소할 경우 발진주파수의 변화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없다.
  4. 발진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81%)
  • 빈-브릿지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0 = 1 / (2πRC)

    여기서 R 값이 감소하면 f0 값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병렬저항형 이상형 발진회로에서 1.6[kHz]의 주파수를 발진하는데 필요한 저항 값은 약 얼마인가? (단, C=0.01[μF])

  1. 2[kΩ]
  2. 4[kΩ]
  3. 6[kΩ]
  4. 8[kΩ]
(정답률: 63%)
  • 병렬저항형 이상형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1 / (2πRC)

    여기서 f는 주파수, R은 저항값, C는 커패시턴스 값이다.

    문제에서 f와 C가 주어졌으므로, 위 식을 R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 = 1 / (2πfC)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R = 1 / (2π x 1.6[kHz] x 0.01[μF]) = 3.98[kΩ]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4[kΩ]"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0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할 경우 출력 측에 나타나는 주파수가 아닌 것은?

  1. 995[kHz]
  2. 1,000[kHz]
  3. 1,005[kHz]
  4. 1,990[kHz]
(정답률: 84%)
  • 주파수 변조는 원래의 신호 주파수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주파수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1,0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할 경우, 출력 측에는 1,000[kHz] + 5[kHz] = 1,005[kHz]와 1,000[kHz] - 5[kHz] = 995[kHz]의 주파수가 생성된다. 하지만 1,990[kHz]는 원래의 반송파 주파수와는 전혀 상관없는 주파수이므로 출력 측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1,99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폭 변조파의 전압이 e=(200+50sin2π100t)sin2π×108t[V]로 표시되었을 때 변조도는 약 몇 [%]인가?

  1. 25
  2. 50
  3. 75
  4. 95
(정답률: 65%)
  • 변조도는 (최대 전압-최소 전압)/(최대 전압+최소 전압)×100 으로 구할 수 있다. 이 식에 대입하면,

    최대 전압 = 200+50 = 250[V]
    최소 전압 = 200-50 = 150[V]

    따라서 변조도는 (250-150)/(250+150)×100 = 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디지털 복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대한 복조는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만을 이용한다.
  2. 동기 검파는 송신신호의 주파수와 위상에 동기된 국부발진 신호와 입력 신호를 곱하게 하는 곱셈 검파기이다.
  3.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방식은 PSK(Phase Shift Keying)의 복조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4. 비동기식 검파는 동기 검파보다 시스템은 간단하지만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66%)
  •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대한 복조는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만을 이용한다."이 설명이 틀렸습니다. ASK의 복조는 동기식 검파와 비동기식 검파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보 전송 기술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변조 파형을 얻을 수 있는 변조 방식은?

  1. ASK(Amplitude Shift Keying)
  2. PSK(Phase Shift Keying)
  3. FSK(Frequency Shift Keying)
  4. QASK(Quadrature Amplitude Shift Keying)
(정답률: 78%)
  • 변조 파형이 주파수는 일정하고 위상만 변하는 것으로 보아, 이는 PSK(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된 것이다. PSK는 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0과 1의 비트를 각각 다른 위상으로 표현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위상이 변하는 변조 파형을 얻을 수 있다. ASK는 진폭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FSK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QASK는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펄스 파형에서 링깅(Ringing)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1. 낮은 주파수 성분 때문이다.
  2. 직류분이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3.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이다.
  4. 증폭기의 저역 특성이 나쁘기 때문이다.
(정답률: 79%)
  •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펄스 파형은 매우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데, 이는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 성분은 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하여 파형이 반복되는 현상인 링깅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회로(Schmitt Trigger Circui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형파 펄스 발생회로로 사용된다.
  2.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이다.
  3. 입력전압의 크기가 출력의 On, Off 상태를 결정해 준다.
  4. 두 개의 안정상태를 갖는 회로이다.
(정답률: 70%)
  •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출력신호를 만들어내는 회로로, 입력전압의 크기가 출력의 On, Off 상태를 결정해 줍니다. 또한 두 개의 안정상태를 갖는 회로이며, 구형파 펄스 발생회로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RS 플립플롭 회로의 출력 Q 및 Q는 리셋(Reset) 상태에서 어떠한 논리 값을 가지는가?

(정답률: 75%)
  • RS 플립플롭 회로에서 리셋(R) 입력이 활성화되면 출력 Q는 0이 되고, Q는 1이 된다. 이는 리셋 입력이 활성화되면 출력이 초기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과 같은 RS 플립플롭에서 R 입력과 S 입력 사이에 NOT 게이트를 추가하면 어떤 기능을 갖는 플립플롭인가?

  1. T형 플립플롭
  2. N형 플립플롭
  3. JK형 플립플롭
  4. D형 플립플롭
(정답률: 70%)
  • NOT 게이트는 입력 신호를 반대로 바꾸는 역할을 하므로, R 입력과 S 입력 사이에 NOT 게이트를 추가하면 R 입력과 S 입력이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즉, R 입력이 1일 때 Q는 0이 되고, S 입력이 1일 때 Q는 1이 된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D형 플립플롭과 동일하므로, 이 플립플롭은 D형 플립플롭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J-K 플립플롭은 두 개의 입력 데이터(Data)에 의하여 출력에서 몇 개의 조합(Combination)을 얻을 수 있는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78%)
  • J-K 플립플롭은 두 개의 입력 데이터(Data)에 따라서 4개의 조합(Combination)을 얻을 수 있다. 이는 J-K 플립플롭이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J-K 플립플롭의 상태는 J와 K의 입력값에 따라서 변화하며, J와 K의 입력값은 각각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J-K 플립플롭은 2개의 입력 데이터(Data)에 대해서 2의 2승인 4개의 조합(Combination)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5진 리플 카운터를 설계할 경우 최소한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85%)
  • 25진수는 2^5 (32)보다 크고 2^6 (64)보다 작으므로, 5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5개의 플립플롭은 2^5 (32)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채널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장치는?

  1. 멀티플렉서
  2. 비교기
  3. 인코더
  4. 디코더
(정답률: 83%)
  •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다수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채널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멀티플렉서는 입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반가산기(Half Adder)에서 A = 1, B = 1일 경우 S(Sum)의 값은?

  1. -1
  2. 1
  3. 0
  4. 2
(정답률: 80%)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arry)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A = 1, B = 1일 경우, 합(S)은 0이 되고 자리올림(Carry)은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어떤 AM송신기의 안테나 전류가 무변조되었을 때 11.75[A]이지만 변조되었을 때는 14.14[A]까지 증가하였다면 변조율은 약 몇 [%] 인가?

  1. 54[%]
  2. 74[%]
  3. 84[%]
  4. 94[%]
(정답률: 49%)
  • 변조 전 안테나 전류를 Ic, 변조 후 안테나 전류를 Im이라고 하면 변조율은 (Im-Ic)/Ic x 100%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율은 (14.14-11.75)/11.75 x 100% = 20.2%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4%"인 이유는 계산 실수로 인한 오타일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영상 주파수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중간 주파수를 낮게 정함으로써 영상 주파수에 의한 혼신을 감소시킨다.
  2. 특정한 영상 주파수에 대한 Trap 회로를 입력회로에 넣는다.
  3. 고주파 증폭단을 두고 동조회로 Q를 크게 한다.
  4. 고주파 동조 증폭단을 증설한다.
(정답률: 66%)
  • "고주파 동조 증폭단을 증설한다."가 틀린 것이다. 영상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중간 주파수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중간 주파수를 낮게 정함으로써 영상 주파수에 의한 혼신을 감소시킬 수 있다. Trap 회로는 특정한 주파수를 차단하는 필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상 주파수를 개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고주파 증폭단을 두고 동조회로 Q를 크게 한다는 것은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으로, 영상 주파수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DPSK(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방식에 비해 S/N 값이 우수하다.
  2. 회로가 간단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분야의 변조 방식으로 사용된다.
  3. PSK 동기 검파만 가능한 단점을 보완한 차동 위상 검파 방식이다.
  4. Delay 회로가 필요하다.
(정답률: 60%)
  • "DPSK 방식에 비해 S/N 값이 우수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DPSK 방식은 BPSK 방식과 달리 차분(Differential) 부호화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전 신호와 현재 신호의 위상 차이만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이로 인해 BPSK 방식보다 더욱 강한 에러 보정 능력을 가지며, 따라서 S/N 값이 더욱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 데이터의 심볼값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이 변경되는 변조 방법이다.
  2. 이진 신호의 S1(t)와 S2(t)의 위상차기 180[°]가 될 때 성능이 최대가 된다.
  3. 점유대역폭은 ASK(Amplitude shift keying)와 같으나 심볼 오류 확률은 낮다.
  4. M진 PSK 방식의 대역폭 효율은 변조방식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62%)
  • "M진 PSK 방식의 대역폭 효율은 변조방식의 영향을 받는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PSK 방식은 심볼당 전송되는 비트 수가 증가할수록 대역폭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진 PSK 방식은 1개의 심볼당 1비트를 전송하므로 대역폭 효율이 낮지만, 8진 PSK 방식은 1개의 심볼당 3비트를 전송하므로 대역폭 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M진 PSK 방식의 대역폭 효율은 M값에 따라 달라지며, 변조 방식의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QPSK(Quadrature Shift Keying) 신호의 보(Baud)속도가 400[bps]이면 데이터 전송속도는 얼마인가?

  1. 100[bps]
  2. 400[bps]
  3. 800[bps]
  4. 1,600[bps]
(정답률: 81%)
  • QPSK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속도는 보속도의 2배가 된다. 따라서, 400[bps]의 보속도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는 800[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진폭 변조와 위상 변조를 결합하여 위상선도 상에서 점들의 위치를 달리하는 변조 방식은?

  1.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2. DPSK(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3. CPFSK(Continuous Phase Frequency Shift Keying)
  4. GMSK(Gaussian Filtered Minimum Shift Keying)
(정답률: 84%)
  • QAM은 진폭 변조와 위상 변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변조 방식으로, 위상선도 상에서 점들의 위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DPSK는 위상 변조만을 사용하고, CPFSK는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를 결합하여 사용하며, GMSK는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부드럽게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QAM은 다양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변조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 비교하여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중접속 기술 방식 중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타임슬롯 동기화가 어렵다.
  2. 주파수 자원의 이용 효율이 낮다.
  3. 복잡한 전력제어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4. 시간동기와 주파수동기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성능저하가 심각하다.
(정답률: 78%)
  • OFDM 방식은 다수의 하위 채널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동기와 주파수동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동기화 방식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능저하가 심각해집니다. 따라서 OFDM 방식은 동기화 오류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송할 신호의 주파수에 비해 높은 주파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1과 0을 진폭, 주파수 및 위상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1. 문자 동기 전송 방식
  2. 대역 전송 방식
  3. 차분 방식
  4. 다이코드 방식
(정답률: 81%)
  •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대역 전송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파수 대역폭을 좁게 설정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높은 주파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1과 0을 전송하기 때문에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표본화 오차의 발생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반올림(Round-Off) 오차
  2. 절단(Truncation) 오차
  3. 엘리어싱(Aliasing) 오차
  4. 과부하(Overload) 오차
(정답률: 63%)
  • 과부하(Overload) 오차는 측정하려는 신호의 크기가 측정 장비의 측정 범위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오차이며, 표본화 오차의 발생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위성 시계의 오차
  2. 위성 궤도의 오차
  3. 온도 상승의 오차
  4. 다중경로 등으로 인한 거리 오차
(정답률: 84%)
  • GPS는 위성 시계와 지구 상의 수신기 간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위성 시계의 오차"와 "위성 궤도의 오차", 그리고 "다중경로 등으로 인한 거리 오차"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하지만 "온도 상승의 오차"는 GPS 수신기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GPS 시스템 자체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GPS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축전지 취급상의 주의할 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전한 상태로 방치하지 말 것
  2. 충전은 규정 전류로 규정 시간에 할 것
  3. 축전지의 전압이 약 1.0[V], 비중 0.5가 되면 방전을 정지시키고 곧 충전할 것
  4. 극판이 전해액 면에서 노출하지 않을 정도로 전해액을 보충해 둘 것
(정답률: 78%)
  • "극판이 전해액 면에서 노출하지 않을 정도로 전해액을 보충해 둘 것"은 축전지 취급상의 주의할 점이 아니므로 틀린 것이다.

    축전지의 전압이 약 1.0[V], 비중 0.5가 되면 방전을 정지시키고 곧 충전해야 하는 이유는 축전지가 과방전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전지를 사용한 후에는 적절한 시간 내에 충전해야 하며, 충전 시에는 규정 전류와 규정 시간을 지켜야 한다. 또한 축전지를 방전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쵸크 입력형 평활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류기에 충격전류의 모양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2. 큰 직류출력을 얻을 수 있다.
  3. 전압 변동률이 작다.
  4. 높은 출력전압과 작은 맥동률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정답률: 58%)
  • "정류기에 충격전류의 모양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쵸크 입력형 평활회로는 정류기와 쵸크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한 회로입니다. 따라서 충격전류가 발생하는 쵸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류기에 충격전류의 모양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높은 출력전압과 작은 맥동률이 요구될 때 사용되는 이유는 쵸크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무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이 10[V]인 정류회로의 전압 변동률이 10[%]일 경우, 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은 약 얼마인가?

  1. 7.09[V]
  2. 8.09[V]
  3. 9.09[V]
  4. 10.09[V]
(정답률: 80%)
  • 전압 변동률이 10[%]이므로, 출력전압의 변화량은 10[V]의 10[%]인 1[V]이다. 따라서 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은 10[V]에서 1[V]만큼 감소한 9[V]가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9.09[V]"가 아닌 "9[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전원 공급 장치의 설비 중 수 변전설비의 종류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단로기
  2. 피뢰기
  3. 분전반
  4. 배전용 변압기
(정답률: 60%)
  • 수 변전설비는 전력을 고압에서 저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이에 적합한 장비는 고압에서 저압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비여야 한다. 단로기, 피뢰기, 배전용 변압기는 모두 수 변전설비에 적합한 장비이지만, 분전반은 저압에서 고압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비이므로 수 변전설비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분전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본파 전압이 10[V], 제2고조파 전압이 4[V], 제3고조파 전압이 3[V]일 때 전압왜율은 몇 [%]인가?

  1. 10[%]
  2. 25[%]
  3. 50[%]
  4. 80[%]
(정답률: 79%)
  • 전압왜율은 기본파 전압에 대한 고조파 전압의 합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전압왜율은 (4[V]+3[V])/(10[V]) x 100% = 70% 이다. 하지만, 제2고조파와 제3고조파는 서로 180도 위상차이를 가지므로 서로 상쇄되어 전압이 감소한다. 따라서, 실제 전압왜율은 5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계수형 주파수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1 Count 오차는 계수시간과 피측정 신호의 상대 위상 관계 때문에 발생한다.
  2. ±1 Count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 게이트 시간을 짧게 한다.
  3. 매초당 반복되는 파의 수를 펄스로 변환하여 계수한 후 표시하는 방식이다.
  4.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비트다운(Beat Down)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67%)
  • "±1 Count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 게이트 시간을 짧게 한다." 설명이 잘못되었다. 게이트 시간이 짧을수록 측정된 주파수 값의 오차는 커지게 된다. 게이트 시간이 짧을수록 측정된 주기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오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더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원회로의 부하에 병렬로 블러더(Bleeder) 저항을 사용하면 전원특성은 어떻게 되는가?

  1. 전압변동률이 개선된다.
  2. 리플함유율이 개선된다.
  3. 정류효율이 저하된다.
  4. 최대역전압이 증가한다.
(정답률: 70%)
  • 전원회로의 부하에 병렬로 블러더(Bleeder) 저항을 사용하면 전원회로의 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전압변동률이 개선된다. 블러더 저항은 전원회로의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회로에서 일정한 전류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압변동률이 개선되어 전원회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정재파 전압의 최대치를 Vmax, 정재파 전압의 최소치를 Vmin이라 할 때 정재파비를 구하는 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Vmax/Vmin
  2. Vmin/Vmax
  3. (Vmax+Vmin)/(Vmax-Vmin)
  4. (Vmax-Vmin)/(Vmax+Vmin)
(정답률: 72%)
  • 정재파비는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Vmax를 Vmin으로 나눈 값인 Vmax/Vmin이 정답이다. 이유는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율이 최대치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물건의 가격은 2만원입니다."라는 말보다 "이 물건의 가격은 1만원의 두 배입니다."라는 말이 더 자연스럽다. 따라서, 정재파비도 최대치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것이 자연스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압과 직류 출력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회로와 비교하여 각각 몇 배인가?

  1. 1배, 2배
  2. 1배, 4배
  3. 2배, 2배
  4. 2배, 4배
(정답률: 84%)
  •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압은 단상 반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압과 같으므로 1배이다. 하지만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전압이 2배인 2개의 반파를 이용하여 정류하기 때문에 직류 출력전력은 단상 반파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전력의 2배인 4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평활회로는 어떤 필터의 역할을 수행하는가?

  1. LPF(Low Pass Filter)
  2. HPF(High Pass Filter)
  3. BPF(Band Pass Filter)
  4. BRF(Band Rejection Filter)
(정답률: 76%)
  • 평활회로는 LPF(Low Pass Filter)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신호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필터입니다. 따라서, 평활회로는 입력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 신호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공학

41. 두 개의 금속판을 마주보게 놓고 전압을 인가했을 때 극판 사이의 전속밀도(D)는 얼마인가?(단, 극판에 축적된 전하를 Q[C], 극판 면적을 S[m2], 극판 사이의 유전율을 ε[F/m]라 한다.

(정답률: 72%)
  • 전속밀도(D)는 전하(Q)를 면적(S)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D=Q/S이다. 이 문제에서는 극판 사이의 전속밀도를 구하는 것이므로, 두 극판에 축적된 전하를 더한 값을 극판 면적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즉, D=(Q1+Q2)/S이다.

    전하(Q)는 전압(V)와 유전율(ε) 그리고 극판 사이의 거리(d)에 비례한다. 따라서 Q=CV, C=εS/d이다. 이를 이용하여 Q1과 Q2를 구하면, Q1=CV1=εSd1/d1=εS, Q2=CV2=εSd2/d2=εS/2이다. 여기서 d1과 d2는 극판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D=(Q1+Q2)/S=ε/2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포인팅 벡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단, E : 전계의 세기, H : 자계의 세기, μ : 투자율, ε : 유전율)

  1. EH
  2. με
  3. H/E
  4. √μ/E
(정답률: 85%)
  • 포인팅 벡터는 E와 H의 외적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크기는 EH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전자기파의 에너지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E와 H의 크기가 모두 커야 전자기파의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EH가 포인팅 벡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포인팅 벡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값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거리에 따라 가장 감쇠가 급격하게 발생하는 것은?

  1. 정전계
  2. 유도계
  3. 복사전계
  4. 복사자계
(정답률: 82%)
  • 정전계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거리에 따라 가장 빠르게 감쇠하는 계이다. 이는 전기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기장의 강도가 급격하게 약해지고, 이로 인해 전기적인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분포정수형 평형-불평형 변환회로가 아닌 것은?

  1. 위상변환형
  2. 분기 도체
  3. 반파장 우회선로
  4. 스페르토프(Sperrtopf)
(정답률: 54%)
  • 위상변환형은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위상을 변환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다. 분포정수형 평형-불평형 변환회로, 반파장 우회선로, 스페르토프(Sperrtopf)는 모두 신호를 변환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회로이지만, 위상을 변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상변환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복사저항이 450[Ω]인 폴디드다이폴 안테나 두 개를 λ/4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100[Ω]의 평행 2선식 급전선에 정합시키고자 한다. 이 때 변환기의 임피던스 값은?

  1. 212[Ω]
  2. 275[Ω]
  3. 300[Ω]
  4. 424[Ω]
(정답률: 65%)
  • λ/4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450[Ω]의 복사저항을 100[Ω]의 평행 2선식 급전선에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변환기의 임피던스 값이 √(450×100) = 300[Ω]이 되어야 한다. 이는 변환기의 임피던스가 평행 2선식 급전선과 복사저항의 기하평균값과 같아지면 정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300[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산란행렬(Scattering Matrix)의 구성요소인 S-파라미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사 계수와 전송 계수를 나타낸다.
  2. 전압과 전류의 관계로 4단자 회로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3. 입ㆍ출력 단자를 개방하거나 단락해서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4. 고주파 회로에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55%)
  • 정답은 "반사 계수와 전송 계수를 나타낸다." 이다.

    S-파라미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포트(단자) 사이에서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이 때, S-파라미터는 반사 계수와 전송 계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사 계수는 입력 신호가 포트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정도를, 전송 계수는 입력 신호가 포트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S-파라미터는 전기 신호의 손실과 반사를 예측하고, 회로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마이크로파의 전송선로로서 도파관을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취급 전력이 작고 방사손실이 없다.
  2. 유전체 손실이 적다.
  3. 부하와의 정합상태가 불량하여도 정재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저역 여파기(LPF) 역할을 한다.
(정답률: 67%)
  • 마이크로파는 고주파이기 때문에 전송선로에서의 손실이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유전체 손실이 적은 도파관을 사용하여 전송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도파관의 여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전적 결합에 의한 여진
  2. 분기적 결합에 의한 여진
  3. 작은 루프 안테나에 의한 여진
  4. 전자적 결합에 의한 여진
(정답률: 67%)
  • 정전적 결합에 의한 여진은 도파관에서 전기적인 에너지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여진의 종류 중 하나이다. 분기적 결합에 의한 여진은 도파관에서 분기점에서 발생하는 여진으로, 도파관 내부에서 전기적인 에너지가 분기점에서 충돌하여 발생한다. 작은 루프 안테나에 의한 여진은 도파관 주변에 작은 루프 안테나가 위치하여 발생하는 여진이다. 전자적 결합에 의한 여진은 도파관 내부에서 전자들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여진이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적 결합에 의한 여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미소다이폴을 수직으로 놓았을 때 수평면의 지향성 계수는?

  1. 1
  2. 1.5
  3. 2
  4. 2.5
(정답률: 69%)
  • 미소다이폴은 양극성 분자이므로 수직으로 놓았을 때 수평면의 지향성 계수는 1이다. 이는 분자가 어떤 방향으로도 균일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접지저항이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ㄴ>ㄷ
  2. ㄷ>ㄱ>ㄴ
  3. ㄴ>ㄱ>ㄷ
  4. ㄱ>ㄷ>ㄴ
(정답률: 78%)
  • 접지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경로에서 발생하는 저항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길수록 저항이 커지게 됩니다. 그림에서는 전류가 가장 많이 흐르는 경로가 ㄱ, 그 다음으로는 ㄷ, 가장 적게 흐르는 경로가 ㄴ이므로 "ㄱ>ㄷ>ㄴ"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복사저항이 200[Ω]이고, 손실저항이 35[Ω]인 안테나의 복사효율은 약 얼마인가?

  1. 65[%]
  2. 75[%]
  3. 85[%]
  4. 95[%]
(정답률: 74%)
  • 복사효율은 복사저항과 손실저항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복사효율 = 복사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x 100

    따라서, 복사효율 = 200 / (200 + 35) x 100 = 85[%]

    정답은 "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같은 전력을 급전할 때 λ/4수직 접지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계는 λ/2다이폴 안테나에 비하여 약 몇 배인가?

  1. 0.4
  2. 1.4
  3. 1.9
  4. 2.5
(정답률: 67%)
  • λ/4수직 접지 안테나와 λ/2다이폴 안테나는 모두 반파장 안테나이므로, 같은 전력을 급전할 때 발생되는 전파의 파장은 동일하다.

    하지만 λ/4수직 접지 안테나는 단말부가 지면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 효과로 인해 전파의 방향성이 강화된다. 따라서 λ/4수직 접지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계는 λ/2다이폴 안테나에 비해 약 1.4배 정도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λ/4수직 접지 안테나가 λ/2다이폴 안테나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력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진행파형 안테나로서 예리한 지향특성을 가지며 주로 단파 고정국 또는 해안국의 송?수신용으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1. 루프(Loop) 안테나
  2. 더블렛(Doublet) 안테나
  3. 디스콘(Discone) 안테나
  4. 롬빅(Rhombic) 안테나
(정답률: 73%)
  • 롬빅 안테나는 진행파를 방사하는 방향성이 매우 예리하며, 주로 단파 고정국 또는 해안국의 송/수신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안테나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롬빅 안테나는 일종의 평면 안테나로서, 다이아몬드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는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형성하며, 진행파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롬빅 안테나는 예리한 지향특성을 가지고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장ㆍ중파대의 송신안테나 중 수분이 많고 대지의 도전율이 양호한 경우에 사용하고 소전력의 송신 안테나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접지방식은?

  1. 다중 접지
  2. 심굴 접지
  3. 가상 접지
  4. 방사상 접지
(정답률: 73%)
  • 장ㆍ중파대의 송신안테나는 수분이 많고 대지의 도전율이 양호한 경우에 사용되므로, 대지와 안테나 사이의 접지 방식은 대지와 안테나 사이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적합한 접지 방식은 "심굴 접지"입니다. 심굴 접지는 안테나와 대지 사이에 구멍을 뚫고 구리로 된 심굴을 묻어놓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면서도 대지와 안테나 사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전력의 송신 안테나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접지 방식은 "심굴 접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표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중파대에서는 지표파가 직접파에 비해 우세하다.
  2. 대지의 도전율이 작을수록, 유전율이 클수록 감쇠가 커진다.
  3. 수평 편파의 지표파가 수직 편파에 비해 감쇠가 적다.
  4. 주파수가 낮을수록 감쇠가 적다.
(정답률: 56%)
  • "수평 편파의 지표파가 수직 편파에 비해 감쇠가 적다."가 틀린 설명이다. 지표파의 감쇠는 파동이 지나가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데,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감쇠율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대지의 도전율이 작을수록, 유전율이 클수록 감쇠가 커진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감쇠가 적어지는 것은 맞지만,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 간의 감쇠율 차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수정 굴절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정 굴절률을 사용하면 구면 대기층에 대해서도 평면 대기층에 대한 스넬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2. 표준대기에서 높이 h에 대한 M단위 수정 굴절률의 비 dM/dh는 음수이다.
  3. 수정 굴절률의 값은 높이와 비례 관계에 있다.
  4. 수정 굴절률의 값은 굴절률과 비례 관계에 있다.
(정답률: 76%)
  • "표준대기에서 높이 h에 대한 M단위 수정 굴절률의 비 dM/dh는 음수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수정 굴절률은 대기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므로, 일반적으로는 dM/dh가 음수이지만, 특정한 대기 조건에서는 dM/dh가 양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화된 것이 아니라 특정한 경우에만 성립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전리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임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는 단파의 근거리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2. 야간에는 D층이 높아지고 E층 반사파가 강해진다.
  3. 단파통신은 주간과 야간의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MUF(Maximum Usable Frequency)는 임계주파수보다 낮고 입사각과 관계가 있다.
(정답률: 80%)
  • 2번. "야간에는 D층이 높아지고 E층 반사파가 강해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야간에는 D층이 약해지고 E층 반사파가 약해집니다. 이는 대기권의 이온화 정도가 낮아져서 전파가 전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이동통신 채널의 특징은 반사, 회절, 산란에 의한 다경로 페이딩채널의 특징을 가진다. 이 다경로 페이딩 상황하에서 수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RAKE Receiver
  2. Transmit Diversity
  3. Quick Paging
  4. Adaptive Equalizer
(정답률: 67%)
  • Quick Paging은 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아니라, 효율적인 페이지 전송을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RAKE Receiver는 다경로 신호를 분해하여 각 경로에서의 신호를 병합하여 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고, Transmit Diversity는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경로 신호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하여 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며, Adaptive Equalizer는 다경로 신호를 분석하여 적절한 필터링을 통해 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리층을 이용한 통신에서 자동이득 조절장치(AGC)를 활용하여 방지할 수 있는 페이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도약성 페이딩
  2. 선택성 페이딩
  3. 간섭성 페이딩
  4. 흡수성 페이딩
(정답률: 66%)
  • 전리층을 이용한 통신에서 자동이득 조절장치(AGC)를 활용하여 방지할 수 있는 페이딩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흡수성 페이딩"입니다. 이는 전파가 대기 중의 수증기, 먼지, 연기 등의 입자에 의해 흡수되어 전파의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으로, AGC를 이용하여 전파의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페이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전자파적합(EM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자파 양립성이라고도 한다.
  2. 전자파내성(EMS) 분야와 전자파기록(EMR)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3. 전기?전자기기가 외부로부터 전자파 간섭을 받을 때 영향 받는 정도를 나타낸다.
  4. 발생 원인으로는 자연적인 발생원인(대기잡음, 우주잡음, 태양방사 등)과 인공적인 발생원인(의도적인 잡음, 비의도적인 잡음)으로 크게 구분한다.
(정답률: 64%)
  • "전기/전자기기가 외부로부터 전자파 간섭을 받을 때 영향 받는 정도를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가장 적합하다. "전자파 양립성이라고도 한다."는 용어는 전자파적합(EMC)이 전기/전자기기가 외부로부터 전자파 간섭을 받을 때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말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무선통신 시스템

61. 다음 중 도체 내 자유전자의 랜덤 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나타나므로 백색잡음이라고 불리는 잡음은?

  1. 충격성 잡음(Impulse Noise)
  2. 열 잡음(Thermal Noise)
  3. 누화(Crosstalk)
  4. 상호변조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정답률: 83%)
  • 도체 내 자유전자의 랜덤 운동은 온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을 열 잡음(Thermal Noise)이라고 한다. 이는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나타나므로 백색잡음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가 612[kHz]이고, 중간주파수가 455[kHz]일 경우 영상주파수(Image Frequency)는? (단, 상측 헤테로다인 방식으로 동작한다.)

  1. 1,067[kHz]
  2. 1,224[kHz]
  3. 1,522[kHz]
  4. 1,679[kHz]
(정답률: 67%)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원하는 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처리하므로,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와 중간주파수의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측 헤테로다인 방식에서는 원하는 주파수에 상응하는 상위 주파수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수와의 차이를 유지한다.

    따라서, 원하는 주파수가 612[kHz]이고 중간주파수가 455[kHz]일 때, 상위 주파수는 1067[kHz]이 된다. 이때, 영상주파수는 원하는 주파수와 상위 주파수의 차이인 455[kHz]가 된다. 따라서, 영상주파수는 1522[kHz]가 된다.

    정답은 "1,522[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PCM(Pulse Code Modulation) 다중통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송로의 잡음이나 누화 등의 방해가 적다.
  2. 중계시마다 잡음이 누적되지 않는다.
  3. 경로(Route) 변경이나 회선 변환이 쉽다.
  4. 협대역 전송로가 필요하다.
(정답률: 75%)
  • 정답: "협대역 전송로가 필요하다."

    PCM 다중통신은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로의 잡음이나 누화 등의 방해가 적습니다. 또한 중계시마다 잡음이 누적되지 않으며, 경로 변경이나 회선 변환이 쉽습니다. 그러나 PCM 다중통신은 대역폭이 매우 넓기 때문에 협대역 전송로가 필요합니다. 이는 대역폭이 좁은 전송로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송신측에서 코볼루션 채널 코딩률을 결정할 때, 수신자의 전파 상태가 좋은 경우 가장 많은 정보 비트를 보낼 수 있는 코딩률은? (단, CC : Convolution Code)

  1. 4/5 CC
  2. 3/5 CC
  3. 2/5 CC
  4. 1/5 CC
(정답률: 78%)
  • 송신측에서 코딩률을 결정할 때, 수신자의 전파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더 많은 정보 비트를 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수신자가 신호를 잘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많은 정보 비트를 보낼 수 있는 코딩률은 4/5 CC입니다. 이는 4개의 비트를 인코딩하여 5개의 비트를 생성하는 코딩 방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레이다의 탐지 거리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유효 반사 면적이 큰 목표일수록 멀리 탐지된다.
  2. 레이다 송신기 출력의 2승근에 비례하여 멀리 탐지된다.
  3. 출력 및 수신감도를 올리면 탐지 거리가 증대된다.
  4. 이득이 큰 안테나를 사용하고 짧은 파장을 사용한다.
(정답률: 73%)
  • "레이다 송신기 출력의 2승근에 비례하여 멀리 탐지된다."가 아닌 것은 "유효 반사 면적이 큰 목표일수록 멀리 탐지된다."입니다.

    레이다 송신기 출력의 2승근에 비례하여 멀리 탐지된다는 이유는 레이다에서 사용되는 전자기파가 공간에서 진행하면서 에너지가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전파의 진폭은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게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송신기 출력이 높을수록 전파의 진폭이 크고,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게 됩니다.

    반면, 유효 반사 면적이 큰 목표일수록 멀리 탐지된다는 것은 목표물이 레이다 전파를 반사할 때, 반사되는 전파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목표물의 크기, 형태, 재질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유효 반사 면적이 큰 목표일수록 레이다에서 더 멀리까지 탐지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위성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지궤도 위성통신의 경우 도플러 주파수 천이에 대한 보상이 매우 중요하다.
  2. 이동 위성 서비스도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할 수 있다.
  3. 저궤도 위성통신의 경우는 지연시간이 매우 짧다.
  4.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은 고정 위성 서비스의 일종이다.
(정답률: 54%)
  • "저궤도 위성통신의 경우는 지연시간이 매우 짧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지궤도 위성통신은 지구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플러 주파수 천이에 대한 보상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동 위성 서비스도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은 고정 위성 서비스의 일종입니다.

    반면,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구 주변을 고속으로 돌아다니며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연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통신 속도가 느려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장점은?

  1. 전력효율과 회선효율이 타 방식에 비해 가장 양호하다.
  2. 접속국의 수가 증가하여도 전송용량은 감소하지 않는다.
  3. 신호의 전송속도가 달라도 회선 설정과 변경이 용이하다.
  4. 전파의 간섭이나 변동, 혼신방해에 강하며 비화성이 있다.
(정답률: 66%)
  • CDMA 방식은 여러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여 사용하며, 각 사용자는 고유한 코드를 가지고 있어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전파의 간섭이나 변동, 혼신방해에 강하며 비화성이다. 즉, 다른 방식에 비해 더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DS(Direct Sequence)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역확산 통신방식 중의 하나이다. 다음 중 DS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기
  2. 상관검파기
  3. 주파수합성기
  4. PN(Pseudo Noise)부호 발생기
(정답률: 61%)
  • DS 방식에서는 주파수합성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DS 방식은 주파수 대신에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 사용자 간의 구분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N 부호 발생기, BPSK 변조기, 상관검파기는 DS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VHF(Very High Frequency)대역 2개 채널을 사용하여 국내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송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채널 블록의 수는?

  1. 2블록
  2. 4블록
  3. 6블록
  4. 12블록
(정답률: 66%)
  • VHF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6MHz이다. DMB 송출을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채널이 필요하므로, 2개의 채널을 사용하면 12M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따라서, 6MHz씩 묶어서 사용하는 채널 블록의 수는 6블록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브로드밴드(Broad Band) 전송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신경로를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이용한다.
  2.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3. Audio/Video 등에 대한 전송도 가능하다.
  4.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다.
(정답률: 71%)
  • 정답: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해설: 브로드밴드 전송 방식은 통신경로를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이용하고,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Audio/Video 등에 대한 전송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통신 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프로토콜 중 사용되는 기술(HomeRF, Bluetooth)이 다른 1개의 프로토콜은?

  1. LMP(Link Manager Protocol)
  2.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3. SDP(Service Delivery Protocol)
  4.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정답률: 71%)
  • 다른 프로토콜들은 모두 Bluetooth 기술을 사용하지만, SWAP은 HomeRF 기술을 사용한다. HomeRF는 무선 인터넷, 음성 통화, 데이터 전송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무선 통신 기술이며, Bluetooth와는 다른 프로토콜이다. SWAP은 HomeRF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여러 기기가 공유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의 설명에 해당되는 프로토콜 기능은 어느 것인가?

  1. 분리(Separation)와 캡슐화(Encapsulation)
  2. 세분화(Segmentation)와 재합성(Reassembly)
  3. 분할(Division)과 재결합(Recombination)
  4. 분리(Separation)와 연결(Connection)
(정답률: 74%)
  • 세분화(Segmentation)와 재합성(Reassembly)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다시 합쳐서 원래의 데이터로 재구성하는 기능이다. 이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설명에 해당되는 프로토콜 요소는?

  1. 의미(Semantics)
  2. 구문(Syntax)
  3. 순서(Timing)
  4. 연결(Connection)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HTTP 프로토콜의 요청 메시지 구조이다. 이 구조는 HTTP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문법에 따라 작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법을 구문(Syntax)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구조가 가지는 의미(Semantics)는 HTTP 프로토콜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요청 메시지가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의미(Semantic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계층과 관련기술을 잘못 짝지은 것은?

  1. 물리 계층 - DTE/DCE
  2. 데이터링크 계층 - HDLC
  3. 네트워크 계층 - LDPA
  4. 트랜스포트 계층 - TCP
(정답률: 65%)
  • 정답은 "네트워크 계층 - LDPA"이다. LDPA는 실제로는 프로토콜이 아니라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를 잘못 기재한 것이다. LDAP는 디렉터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올바른 짝지어진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위성통신에서 각 지구국에 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고정(사전) 할당 방식
  2. 요구(동적) 할당 방식
  3. 임의 할당 방식
  4. 적응 할당 방식
(정답률: 66%)
  • 적응 할당 방식은 각 지구국에 채널을 사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채널 사용량이 많은 지역에는 더 많은 채널을 할당하고, 사용량이 적은 지역에는 적은 채널을 할당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무선 랜의 전송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외선 방식
  2. 확산 스펙트럼 방식
  3. 초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
  4. 협대역 마이크로웨이브 방식
(정답률: 62%)
  • 초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무선통신시스템 설계 시 단파가 중장파보다 불리한 점으로 옳은 것은?

  1. 복사효율이 나쁘다.
  2. 페이딩의 영향이 더 크다.
  3. 안테나 설치가 어렵다.
  4. 원거리 통신에 불리하다.
(정답률: 63%)
  • 단파는 주파수가 높아 짧은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건물이나 산 등 장애물에 의해 신호가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페이딩 현상이 발생하여 신호의 강도가 갑자기 약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단파는 중장파에 비해 페이딩의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파가 자유공간에서 전파할 때 거리가 2배로 증가하면 손실은 약 얼마나 증가하는가?

  1. 2[dB]
  2. 3[dB]
  3. 6[dB]
  4. 9[dB]
(정답률: 74%)
  • 전파 거리가 2배로 증가하면 전파의 진폭은 1/2로 감소하게 됩니다. 진폭이 1/2로 감소하면 전력은 1/4로 감소하게 되므로, 손실은 10log(1/4) = -6[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표에서 정의하는 것은 무엇인가?

  1. 공사감독
  2. 공사안전관리자
  3. 공사현장소장
  4. 공사현장대리인
(정답률: 77%)
  • 위 표는 건설현장에서의 역할과 책임을 정의한 것이다. "공사현장대리인"은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대리인으로서, 공사현장소장의 지시에 따라 현장에서의 작업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공사감독과 공사안전관리자의 역할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통신망시스템이 고장이 난 시점부터 수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평균시간을 의미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TTF(Mean Time To Failure)
  2. MTTR(Mean Time To Repair)
  3.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4. MTBS(Mean Time Between System Incident)
(정답률: 81%)
  • MTTR은 고장이 발생한 시점부터 수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평균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MTTF는 장비나 제품이 고장이 나기까지의 평균시간을 의미하며, MTBF는 장비나 제품이 고장이 나는 평균 간격을 의미합니다. MTBS는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는 평균 간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81.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여 정보를 읽어내는 장치는?

  1.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2. 연관기억장치(Associative Memory)
  3.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4. 보조기억장치(Auxiliary Memory)
(정답률: 73%)
  • 연관기억장치는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여 정보를 읽어내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가상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조합하여 더 큰 용량의 메모리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캐시 메모리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고속 메모리입니다.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보다 용량이 크지만 접근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동적 RAM(Dynamic RAM)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하의 양을 측정하여 저장 논리 값을 판단한다.
  2. 전하의 방전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해야 한다.
  3. 1비트를 구성하는 소자가 적어서 단위 면적에 많은 저장장소를 만들 수 있다.
  4. 1비트를 구성하는 소자가 적어서 메모리 액세스 속도가 정적 RAM(Static RAM)보다 빠르다.
(정답률: 66%)
  • "1비트를 구성하는 소자가 적어서 메모리 액세스 속도가 정적 RAM(Static RAM)보다 빠르다."가 틀린 설명이다. 동적 RAM은 전하를 저장하는 캐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액세스 속도가 정적 RAM보다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순차파일(Sequential Fi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레코드가 키 순서로 편성되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다.
  2. 어떠한 입ㆍ출력 매체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다.
  3. 이전의 레코드를 탐색하려면 파일을 되돌리면 된다.
  4. 필요한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
(정답률: 69%)
  • "이전의 레코드를 탐색하려면 파일을 되돌리면 된다."가 순차파일의 특징이 아닌 이유는, 순차파일은 레코드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이전 레코드를 탐색하려면 파일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전 레코드를 탐색하는 것은 처리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논리회로에 의해 계산된 결과 X는?

  1. AㆍB
(정답률: 77%)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인 경우에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효율적인 입ㆍ출력을 위하여 고속의 CPU와 저속의 입ㆍ출력장치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하여 높은 효율로 여러 작업을 병행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방법은?

  1. 페이징(Paging)
  2. 버퍼링(Buffering)
  3. 스풀링(Spooling)
  4. 인터럽트(Interrupt)
(정답률: 73%)
  • 스풀링은 입ㆍ출력장치와 CPU 간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입ㆍ출력 작업을 일시적으로 디스크나 테이프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해두고, CPU가 처리할 수 있는 속도로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CPU와 입ㆍ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입ㆍ출력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풀링은 입ㆍ출력 작업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선점형 스케줄링(Preemptive Process Scheduling)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2. RR(Round Robin)스케줄링
  3. SRT(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4.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스케줄링
(정답률: 62%)
  • 정답: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선점형 스케줄링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RR(Round Robin)스케줄링", "SRT(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스케줄링"은 모두 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비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파일(File)의 개념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Code의 집합을 말한다.
  2. Character의 수를 말한다.
  3. Database의 수를 말한다.
  4. Record의 집합을 말한다.
(정답률: 75%)
  • 파일(File)은 Record(레코드)의 집합을 말합니다. 즉, 데이터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레코드들이 모여서 하나의 파일을 이루게 됩니다. 이 파일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명령의 수행 결과값은?

  1. 1.75
  2. 3
  3. 11
  4. 28
(정답률: 79%)
  • 주어진 그림은 이진 탐색 트리의 일부분이다. 이진 탐색 트리는 모든 노드가 왼쪽 서브트리의 값보다 작고 오른쪽 서브트리의 값보다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루트 노드의 값인 11은 오른쪽 서브트리에 속하고, 그 서브트리의 왼쪽 자식 노드인 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성된 중앙처리장치는 명령어의 구성방식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수를 줄였으며, 단순화된 명령구조로 속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은?

  1.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2. MISC(Micro Instruction Set Computer)
  3.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4.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정답률: 76%)
  • RISC는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수를 줄여 단순화된 명령구조로 속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에서 연산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함수연산 기능
  2. 전달 기능
  3. 제어 기능
  4. 인터럽트 기능
(정답률: 61%)
  • 인터럽트 기능은 연산자의 기능이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능이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현재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원래 작업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기능은 연산자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무선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험국은 외국의 실험국과 통신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아마추어국은 비상?재난구조를 위한 중계통신을 할 수 있다.
  3. 아마추어국은 제3자를 위한 통신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실험국이 통신을 하는 때에는 암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81%)
  • "실험국은 외국의 실험국과 통신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험국은 외국의 실험국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실험국이 통신을 하는 때에는 암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이유는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암호화된 통신은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험국이 통신을 할 때에는 암호화하지 않은 평문으로 통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전파사용료 납부기한이 1주일 경과된 경우 추가되는 가산금의 비율은?

  1. 체납된 전파사용료의 100분의 1
  2. 체납된 전파사용료의 100분의 2
  3. 체납된 전파사용료의 100분의 3
  4. 체납된 전파사용료의 100분의 5
(정답률: 66%)
  • 전파사용료는 원래 납부기한을 지켜서 정해진 날짜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그러나 납부기한을 지나서 납부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가산금을 부과합니다. 이 가산금의 비율은 체납된 전파사용료의 일정 비율로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1주일 경과된 경우를 다루고 있으므로, 체납된 전파사용료의 100분의 5가 추가적으로 부과됩니다. 즉, 체납된 전파사용료가 100만원이라면, 1주일이 지난 후에는 5만원의 가산금이 추가로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는 원칙적으로 몇 년마다 통신보안교육을 받아야 하는가?

  1. 10년
  2. 5년
  3. 3년
  4. 2년
(정답률: 81%)
  • 무선통신업무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무선통신업무 종사자는 5년마다 통신보안교육을 받아 업무 능력을 유지하고 보안 위협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도급업자
  2. 수급인
  3. 용역업자
  4. 공사업자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작업은 건축공사가 아니라 청소 작업이므로, 공사업자나 도급업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또한, 수급인은 물품을 구매하는 역할을 하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작업을 수행하는 업체는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역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는 그가 작성한 실시설계도서를 해당공사가 준공된 후 몇 년간 보관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65%)
  •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가 작성한 실시설계도서는 해당공사가 준공된 후 5년간 보관하여야 합니다. 이는 건축법 제57조에 규정된 내용으로, 공사가 완료된 후 5년간은 건축물의 안전성 등을 검토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로서 보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는 이 기간 동안 실시설계도서를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가 아닌 것은?

  1. 간이무선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2.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3. 연면적 3천 제곱미터 이하의 건축물의 구내방송설비공사
  4. 아마추어국 무선설비설치공사
(정답률: 70%)
  • 연면적 3천 제곱미터 이하의 건축물의 구내방송설비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없는 공사입니다. 이유는 이 공사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인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간이무선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아마추어국 무선설비설치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적합인증 대상기자재가 아닌 것은?

  1. 물체감시센서용 무선기기
  2. 광통신용 회선종단장치
  3. 과학용 고주파이용기기
  4. 주파수변조기(전송망 기자재)
(정답률: 80%)
  • 적합인증 대상기자재는 전파를 발생시키거나 전파를 이용하는 기자재로서 안전성, 전자파적합성, 전파적합성 등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따라서 "과학용 고주파이용기기"는 전파를 발생시키는 기기이지만, 적합인증 대상기자재가 아닙니다. 이는 해당 기기가 일반적으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무선통신 기기와는 달리, 과학 연구 등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기로서, 적합인증 대상기자재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적합성평가의 취소처분을 받은 자는 취소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얼마의 범위에서 해당 기자재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받을 수 없는가?

  1. 6개월
  2. 1년
  3. 1년 6개월
  4. 2년
(정답률: 81%)
  • 적합성평가의 취소처분을 받은 자는 해당 기자재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취소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1년이 지나면 다시 적합성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파형식이 F3E인 초단파 방송국의 무선설비의 점유주파수대역폭의 허용치는?

  1. 16[kHz]
  2. 180[kHz]
  3. 200[kHz]
  4. 400[kHz]
(정답률: 75%)
  • F3E는 FM 방식의 전파 형식으로, 주파수 변조를 사용한다. 이 방식에서는 대역폭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F3E 방식의 무선설비의 점유주파수대역폭의 허용치는 180kHz이다. 이는 주파수 변조 방식이므로, 주파수 변조의 최대 주파수 변화량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F3E 방식의 무선설비에서는 180kHz 이하의 대역폭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무선설비의 안전시설에 대한 설명 중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
  2. 2
  3. 2.5
  4. 3
(정답률: 81%)
  • 무선설비의 안전시설 중에서 "2.5"는 "방사선 안전 시설"을 의미합니다. 이는 무선설비가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대비하여, 방사선을 차단하거나 제한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측정기, 방사선 차폐재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