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조경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다음 중 물 풍금(Water Organ)이 있었던 것으로 유명한 로마 근교의 빌라는?

  1. 빌라 마다마(Villa Madama)
  2. 빌라 데스테(Villa d'Este)
  3. 빌라 랑테(Villa Lante)
  4. 빌라 페트라이아(Villa Petraia)
(정답률: 62%)
  • 물 풍금(Water Organ)이 있었던 것으로 유명한 로마 근교의 빌라는 "빌라 데스테(Villa d'Este)"입니다. 이는 이탈리아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곳으로, 수많은 분수와 물조각, 그리고 물 풍금 등이 있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국의 사자림에는 「견산루(見山樓)」의 편액을 볼 수 있는데, 그 이름은 아래 누구의 문장에서 나왔는가?

  1. 왕희지(王羲之)
  2. 주돈이(周敦頤)
  3. 도연명(陶淵明)
  4. 황정견(黃庭堅)
(정답률: 67%)
  • 견산루(見山樓)의 편액은 도연명(陶淵明)의 문장에서 나왔다. 이유는 도연명이 자연을 사랑하고 그 속에서 영감을 받아 시를 썼는데, 그의 시에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삶에 대한 생각이 담겨있다. 그 중에서도 견산루(見山樓)의 편액은 자연을 감상하며 삶의 진리를 깨닫는 내용으로 유명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페르시아의 이스파한(Isfahan) 왕궁의 정원묘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이단이라 부르는 380m × 140m나 되는 장방형의 공원광장이 있다.
  2. 도로와 도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사람의 조각물이나 화단이 만들어졌다.
  3. 서쪽에는 체하르 바(Tshehar Bagh)라고 불리는 7Km이상의 길게 뻗은 넓은 도로가 있다.
  4. 도로 중앙에 노단과 수로 및 연못이 있고 양가에 가로수가 심겨져 있다.
(정답률: 75%)
  • 정답: "도로와 도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사람의 조각물이나 화단이 만들어졌다."는 페르시아의 이스파한 왕궁의 정원묘사에 해당한다. 이유는 이스파한 왕궁의 정원은 "차르 바그(Chahar Bagh)"라고 불리는 4개의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하나인 "하스탄 궁(Hasht Behesht)"의 정원에는 도로와 도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사람의 조각물이나 화단이 만들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신라시대의 사찰 가운데 입지의 지형적 특성이 다른 하나는?

  1. 홍륜사(興輪寺)
  2. 황룡사(皇龍寺)
  3. 불국사(佛國寺)
  4. 분황사(芬皇寺)
(정답률: 73%)
  • 불국사는 해발 1,000m 이상의 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어서 다른 선사들과는 달리 산악 수도원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독일에서 발달한 분구원(分區園)에 대한 설명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초기에는 도시민의 보건과 녹지 제공에 중점을 두었다.
  2. 제 1차 대전 중에는 시민의 식량생상지로 공헌하였다.
  3. 도시민의 보건을 위해 채소, 화훼 재배장으로 제공하였다.
  4. 레크레이션을 위한 기능에서 식량 생산지로 발달 하였다.
(정답률: 69%)
  • "레크레이션을 위한 기능에서 식량 생산지로 발달 하였다."는 분구원이 처음에는 레크레이션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식량 생산지로 발전하게 된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초기 목적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지구랏트(ziggurats)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옛 Sumerian Temple로서 신들의 거처로 여겼다.
  2. 신성스런 나무 숲과 맨 꼭대기에는 사원이 있었다.
  3. 주축이 직선적으로 강조되며 대칭적 접근로가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4. 평원에 이집트의 피라미드에 비교 될 만한 인공산과 같은 높이로 단(壇)을 쌓아 올렸다.
(정답률: 65%)
  • "신성스런 나무 숲과 맨 꼭대기에는 사원이 있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주축이 직선적으로 강조되며 대칭적 접근로가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는 지구랏트의 공통적인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지구랏트는 대개 이러한 형태를 띤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현재 사찰에서 누(樓)를 통한 중심공간으로의 진입방식이 양측면 진입방식이 아닌 곳은?

  1. 부석사 안양루(安養樓)
  2. 화엄사 보제루(普濟樓)
  3. 쌍계사 팔영루(八泳樓)
  4. 선암사 종고루(鐘鼓樓)
(정답률: 54%)
  • 부석사 안양루는 누(樓)를 통한 중심공간으로의 진입방식이 양측면 진입방식이 아니라 단측면 진입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양측면 진입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이슬람 정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은 모스크(Mosque) 안에서 의식용의 못이 되었다.
  2. 헤네랄리페 정원의 축선은 영국의 자연풍경식에 영향을 주었다.
  3. 이슬람 세력의 동진(東進)으로 인도 무굴제국 정원발달에 기여했다.
  4. 이슬람교와 관련된 ‘파라다이스’ 개념이 정원내의 수로(水路) 등에 표현되었다.
(정답률: 72%)
  • "헤네랄리페 정원의 축선은 영국의 자연풍경식에 영향을 주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헤네랄리페 정원은 이슬람 문화권에서 발전한 것으로, 영국의 자연풍경식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한국전통조경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

  1. 낭만적이거나 대륙적인 특성을 찾기 어렵다.
  2. 창덕궁에는 후원양식의 대표적인 정원이 있다.
  3. 꽃을 감상하는 수목식재로 계절변화의 즐거움을 추구하였다.
  4. 조선시대는 한국적 기후와 풍토에 적합한 자연 풍격식 조경이 발달했다.
(정답률: 77%)
  • "낭만적이거나 대륙적인 특성을 찾기 어렵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한국전통조경은 한국적 기후와 풍토에 적합한 자연 풍격식 조경이 발달한 것으로, 낭만적이거나 대륙적인 특성보다는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나라 전통정원에서 주로 쓰여진 시설이 아닌 것은?

  1. 괴석
  2. 굴뚝
  3. 화계
  4. 준거
(정답률: 69%)
  • 정답은 "준거"입니다. 괴석은 돌로 만든 장식물이며, 굴뚝은 연기를 배출하는 시설이며, 화계는 물을 흐르게 하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준거는 전통정원에서 사용되지 않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탈리아 빌라에서 조영자 가족이나 방문객을 위한 거주 휴식의 기능을 하는 곳은?

  1. 카지노(Casino)
  2. 카펠라(Cappella)
  3. 테라자(Terrazza)
  4. 템피에트(Tempietto)
(정답률: 76%)
  • 카지노는 이탈리아어로 "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탈리아 빌라에서는 거주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조영자 가족이나 방문객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8세기 영국 자연풍경식 태동기에 지배한 사상적 영향을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고전주의의 계속, 중국의 영향, 자연주의 운동
  2. 문예주의의 계속, 미국의 영향, 자연주의 운동
  3. 인문주의의 계속, 영국의 영향, 신미주의 운동
  4. 낭만주의의 계속, 중국의 영향, 신미주의 운동
(정답률: 74%)
  • 18세기 영국 자연풍경식 태동기는 고전주의의 계속으로서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중국의 영향으로서 동양 철학과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또한 자연주의 운동으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강조하고, 자연을 소재로 한 문학과 예술이 발전하였습니다. 따라서 "고전주의의 계속, 중국의 영향, 자연주의 운동"이 가장 바르게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선 능(陵)은 자연의 지세와 규모에 따라 봉분의 형태가 다른데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우왕좌비
  2. 상왕하비
  3. 국조오례의
  4. 향궐망배
(정답률: 70%)
  • 조선 능은 규모와 지세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는데, 이 중에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향궐망배"입니다. 이는 왕실의 향기로운 궁궐과 화려한 장식을 담은 망배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조선 능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와는 달리 왕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발굴 조사를 통해 밝혀진 경주 동궁월지(안압지)의 조경 수법은?

  1. 좌우 대칭의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2. 연못의 큰 섬에는 모래를 사용한 평정고산수 수법으로 꾸몄다.
  3. 넓은 바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고, 수위(水位)를 조정하였다.
  4. 회유식(回遊式) 정원의 수법을 도입하여 산책로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정답률: 80%)
  • 경주 동궁월지(안압지)의 조경 수법은 "넓은 바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고, 수위(水위)를 조정하였다." 이다. 이는 연못의 물을 넓은 바다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수위를 조절하여 만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티볼리의 빌라 데스테(Villa d'Este of Tivoli)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걸은?

  1. 성관(城館) 자체는 매우 간소하고 평범한 전원형 별장이다.
  2. 6개의 테라스 가든으로 만들었고 각 테라스는 화강석 계단으로 연결하였다.
  3. 최저노단의 네 개의 연못들 뒤에는 짙푸른 감탕나무의 총림이 자리잡아 다시 명암의 대비를 이룬다.
  4. 리고리오(Pirrl Ligorio)는 근본 것으로 명확한 중심축선을 따른 일련의 테라스를 빌라의 기념적 매스(mass)에 이르게 하였다.
(정답률: 60%)
  • Villa d'Este of Tivoli은 6개의 테라스 가든으로 만들어졌고, 각 테라스는 화강석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영국의 정형식 정원양식에 관한 내용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헨리 와이즈(Menry Wise)-채츠워스(Chatsworth)
  2. 앙드레 몰레(Andre Mollet)-몬타큐트(Montacute)
  3. 르 노트르(Le Notre)-햄턴 코트(HamptonCourt)
  4. 월리엄 챔버(William Chamber)-은폐호(fosse)
(정답률: 63%)
  • 헨리 와이즈는 영국의 정원 디자이너로, 채츠워스 정원을 디자인했다. 따라서 "헨리 와이즈-채츠워스"가 올바른 연결이다. 앙드레 몰레는 프랑스의 정원 디자이너로, 몬타큐트 정원을 디자인했다. 르 노트르는 프랑스의 정원 디자이너로, 햄튼 코트 정원을 디자인했다. 월리엄 챔버는 영국의 건축가이며, 은폐호(fosse)를 디자인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선시대에는 풍수설에 따라 택지(宅地)를 선정했기 때문에 안채 뒤에 경사지가 있는 경우 이경사지는 토사유출을 막기 위해 계단식으로 다듬고 장대석으로 굳혔는데 이 자리를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1. 치미(鴟尾)
  2. 석조(石措)
  3. 석가산(石假山)
  4. 화계(花階)
(정답률: 70%)
  • 화계(花階)는 조선시대에 안채 뒤에 경사지를 다듬고 굳혀놓은 자리를 말한다. 이는 풍수설에 따라 택지를 선정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는데, 경사지가 있는 경우에는 토사유출을 막기 위해 이를 다듬고 굳혀놓는 것이 필요했다. 이렇게 다듬어진 경사지를 화계(花階)라고 부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세 정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파티오(patio)가 발달한 곳은 스페인이다.
  2. A.D 4~5C 부터 약 1000년 동안의 기간이다.
  3. 건축과 정원은 교회의 존엄성을 나타내기 위해 존재했다.
  4. 중세 전기에는 성관정원이 후기에는 수도원 정원이 발달했다.
(정답률: 70%)
  • "파티오(patio)가 발달한 곳은 스페인이다."는 중세 정원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중세 전기에는 성관정원이 후기에는 수도원 정원이 발달했다."는 중세 시대에 정원의 발전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다. 중세 시대에는 교회의 존엄성을 나타내기 위해 건축과 정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때 성관정원이 발달하였고, 후기에는 수도원 정원이 발전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려 예종댸 때 객관정원으로 행궁유구, 연못과 조경시설이 발견된 곳은?

  1. 미륵사지
  2. 산춘정지
  3. 혜음원지
  4. 만춘정지
(정답률: 53%)
  • 고려 예종댸 때 객관정원으로 행궁유구, 연못과 조경시설이 발견된 곳은 "혜음원지"입니다. 이는 고려시대에 지어진 정원으로, 현재는 경복궁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혜음원지는 고려시대에는 왕실의 행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만춘정지와 함께 경복궁의 정원으로 이용되었습니다. 현재는 경복궁 내에서도 가장 큰 정원으로, 아름다운 연못과 조경시설이 많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고구려 안학궁원의 정원 구성 요소로만 짝지어진 것은?

  1. 경석, 인공축산, 섬, 못
  2. 못, 인공축산, 경석, 삼신선도
  3. 삼신선도, 경석, 계류, 못
  4. 경석, 곡수거, 계류, 모래밭
(정답률: 59%)
  • 고구려 안학궁원의 정원 구성 요소로는 경석, 인공축산, 섬, 못이 포함됩니다. 경석은 정원을 장식하는 돌로, 인공축산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축사로, 섬은 물 위에 만들어진 작은 섬으로, 못은 물이 고여 있는 작은 연못입니다. 이 네 가지 요소는 안학궁원의 아름다움과 기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다음 중 수요예측 기간이 단기간인 경우와 환경조건의 변화가 적고 현재까지의 추세가 장래에도 계속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수요 예측 방법은?

  1. 중력 모델
  2. 시계열 모델
  3. 요인분석 모델
  4. 수용능력 모델
(정답률: 61%)
  • 시계열 모델은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단기간의 수요 예측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환경조건의 변화가 적고 현재까지의 추세가 계속된다는 가정이 있을 때, 시계열 모델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계열 모델이 가장 적합한 수요 예측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조경을 하고자 하는 부분의 지하에 주차장 등 지하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식재에 지장이 없도록 두께(m) 얼마 이상으로 토층을 조성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0.5
  2. 0.9
  3. 1.2
  4. 1.5
(정답률: 80%)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지하구조물을 설치할 때 식재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두께(m) 0.9 이상으로 토층을 조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하구조물이 식재의 뿌리가 침투하는 영역까지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0.9 이상의 두께로 조성해야 식재에 지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도시공원의 편익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그늘시렁
  2. 전망대
  3. 야영장
  4. 자연체험장
(정답률: 59%)
  • 도시공원의 편익시설에는 "그늘시렁", "전망대", "야영장", "자연체험장"이 모두 포함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전망대는 특히 도시공원 내에서 경치를 감상하거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망대가 도시공원의 편익시설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페리(C.A.Perry)가 주장한 근린주구(Neighborhood Precinet)에 과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및 근린상가를 포함한다.
  2. 근린주구의 구상은 스타인과 라이트 등에 의해 계획적으로 구현되었다.
  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나타나는 지역지구제의 최소단위를 말한다.
  4. 개개의 근린주구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계획된 소공원과 위락공간의 체계가 있다.
(정답률: 56%)
  • "근린주구의 구상은 스타인과 라이트 등에 의해 계획적으로 구현되었다."가 틀린 것입니다.

    근린주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된 지역지구제의 최소단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나타나는 지역지구제의 최소단위를 말한다."가 정답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및 근린상가를 포함한다."와 "개개의 근린주구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계획된 소공원과 위락공간의 체계가 있다."는 페리의 근린주구에 대한 설명 중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면적이 800m2,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면적이 200m2 인 노외주차장에 관리사무소와 간이매점 및 화장실을 설치하려고 한다. 총 부대시설의 면적은 얼마까지 가능한가? (단, 조례 및 기타 중복 등의 사유는 적용하지 않는다.)

  1. 60m2
  2. 160m2
  3. 200m2
  4. 300m2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공습지를 조성하기 위한 계획 설계의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식생, 삼림조성 등으로 수자원을 확보하도록 한다.
  2. 번식을 위한 둥지, 보금자리, 도피장소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틈새, 웅덩이, 수목, 덤불 등을 배치한다.
  3. 소로나 주변 편의시설 등 기존시설을 활용하기 보다는 새로운 시설물을 통해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한다.
  4. 최소면적 이상으로 단위 생태 공간을 조성하여 종다양성을 확보하며, 자연형성과정에 바탕을 둔 생태적 배식기법으로 설계하고, 선형공간(corridor)은 전이공간(추이대)으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76%)
  • "소로나 주변 편의시설 등 기존시설을 활용하기 보다는 새로운 시설물을 통해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새로운 시설물을 만드는 것이 항상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기존 시설물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생태계에 더 이로울 수도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시설물을 만들어야 할 경우에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자연공원법에 따라 공원자연보존지구를 지정하는 이유가 되지 못한 것은?

  1. 경관이 특히 아름다운 곳
  2. 생물다양성이 특히 풍부한 곳
  3. 보존대상 주변에 완충공간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곳
  4. 특별히 보호할 가치가 높은 야생동ㆍ식물이 살고 있는 곳
(정답률: 68%)
  • 보존대상 주변에 완충공간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곳은 자연공원법에 따라 공원자연보존지구를 지정하는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 이유는 보존대상 주변에 완충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보존대상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보존대상의 특성이나 가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하천(수변)공간을 공원으로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변공간에는 식생부도(浮島), 녹화용 포대 등 물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수생식물 서식기반의 도입을 계획한다.
  2. 하천생태계 기능평가를 통해 표준적인 생태 기능과 가치를 지니는 표준 하천을 계획모형으로 선정한다.
  3. 수변은 다양한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많은 양분을 공급해 줄 계획을 수립한다.
  4. 수변광간과 육상공간과의 연계성 확보는 수변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하도록 고려한다.
(정답률: 73%)
  • "수변은 다양한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많은 양분을 공급해 줄 계획을 수립한다."는 옳은 사항이다. 하천 생태계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는 수생식물 등의 서식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양분 공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산업단지 및 공장정원과 관련된 계획ㆍ설계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공장정원의 바닥은 나지로 남겨두어서는 안 된다.
  2. 산업단지는 지속가능한 녹색 생태산업단지의 원리를 적용한다.
  3. 산업단지는 쾌적한 근무여건 확보를 위해 휴게공간, 운동공간, 위락공간, 산책공간을 갖추도록 한다.
  4. 공창정원은 공해물질에 내성이 강하고 먼지의 흡착력이 강한 침엽수의 식재면적을 전체 수목식재면적(수관부 면적)의 70% 이상으로 정한다.
(정답률: 63%)
  • "공장정원의 바닥은 나지로 남겨두어서는 안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공장정원의 바닥은 나지로 남겨둘 수 있습니다. 다만, 바닥에 적절한 배수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흙을 교체하거나 흙 위에 잔디를 심어서 녹지를 조성할 수도 있습니다.

    공장정원은 공해물질에 내성이 강하고 먼지의 흡착력이 강한 침엽수의 식재면적을 전체 수목식재면적(수관부 면적)의 70% 이상으로 정합니다. 이는 공장정원이 대기오염물질을 흡수하고, 녹지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곳은?

  1. 평지 직선부
  2. 평지 곡선부
  3. 산지 직선부
  4. 시가지 곡선부
(정답률: 59%)
  • 이 보기는 도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평지 곡선부"는 도로가 평지인 구간에서 곡선으로 구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설명의 (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조경설계
  2. 기분계획설계
  3. 조사분석평가
  4. 환경영향평가
(정답률: 57%)
  • 위 그림은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조사분석평가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답은 "조사분석평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택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정지계획(grading plan)위 기본적인 원칙을 틀린 것은?

  1. 구조물 주변의 지반은 경사를 두어 배수문에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2. 정지계획은 대지경계선 밖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정리되어야 한다.
  3. 경사 변경 전에 모든 표토는 걷어내고 정리 완료 후에 식재지역에 활용토록 한다.
  4. 비탈진 경사는 가급적 토양의 휴식각을 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59%)
  • "비탈진 경사는 가급적 토양의 휴식각을 넘지 않아야 한다."가 틀린 원칙입니다.

    정지계획은 대지경계선 밖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정리되어야 하는 이유는, 대지경계선 안쪽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하면 대지경계선 주변의 지형이나 지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지경계선 밖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하여 대지경계선 주변의 지형이나 지반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지형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도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녹지를 확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안의 식생 또는 임상이 양호한 토지의 소유자와 해당토지에 대해, 해당토지의 식생 또는 임상의 유지ㆍ보전 및 이용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은 무엇인가?

  1. 녹지활용계약
  2. 도시녹화계약
  3. 녹화계약
  4. 녹지지원계약
(정답률: 58%)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도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녹지를 확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안의 식생 또는 임상이 양호한 토지의 소유자와 해당토지에 대해, 해당토지의 식생 또는 임상의 유지ㆍ보전 및 이용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은 "녹지활용계약"이다. 이는 해당토지의 녹지를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해 소유자와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녹지를 보호하고 활용하는데 중점을 둔 계약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태계의 설계 및 복원에서 중요한 자가설계(self-design)의 개념이 아닌 것은?

  1. 인간의 에너지 투입이 적은 설계
  2. 생태계 구성요소들이 스스로 생태계를 구성해가도록 설계
  3. 도입종(species)들이 생태계에 적응할 수 있는 설계
  4. 자연의 힘보다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생태계가 조절되는 설계
(정답률: 77%)
  • 자연의 힘보다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생태계가 조절되는 설계가 아닌 것은 중요한 자가설계의 개념이 아니다. 이는 생태계의 복원과 설계에서 인간의 개입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에너지 투입이 적은 설계, 생태계 구성요소들이 스스로 생태계를 구성해가도록 설계, 도입종들이 생태계에 적응할 수 있는 설계 등이 중요한 자가설계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상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별 도로율이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공업지역 : 10퍼센트 이상 20퍼센트 미만
  2. 녹지지역 : 3퍼센트 이상 15퍼센트 미만
  3. 상업지역 : 25퍼센트 이상 35퍼센트 미만
  4. 주거지역 : 2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
(정답률: 74%)
  • 공업지역은 대량의 차량이 출입하고 화물을 운반하기 때문에 도로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도로율이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파트 단지 내 가로망 중 루프(loop)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대적 통과교통의 감소로 주거환경의 안정성 확보
  2. 진입에 대체성이 있으나, 동선이 연장 길이가 증가
  3. 상가 및 공동이용 공간의 시설배치가 용이
  4. 격자형에 비해 사람과 차량동선의 교차가 많음
(정답률: 71%)
  • "격자형에 비해 사람과 차량동선의 교차가 많음"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루프형 가로망은 중앙에 공원이나 시설물 등이 위치하여 주거환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가나 공동시설의 배치가 용이하다. 하지만 진입에 대체성이 있어 동선이 연장되는 단점이 있으며, 격자형에 비해 사람과 차량동선의 교차가 많아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G.Ekbo(1978)는 주택정원이 내ㆍ외부공간을 관련시켜 매우 효율적으로 다음 4가지 주요기능권 으로 주택정원을 분할하였다. 이 중 특징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전정(public access) - 수목, 초화류, 계단, 자연석, 분수 등으로 화려하게 치장하는게 좋다.
  2. 주정(general living) - 이용의 측면도 고려하여 중심부가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고라(pergola) 녹음수, 정자 등 해를 가려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3. 후정(private living) - 침실에서의 전망이나 동선을 살리되 외부에서는 가능한 시각적, 기능 적차단을 하여 프라이버시가 최대한 보장되어야한다.
  4. 작업정(Work space) - 전정이나 후정과는 시각적으로 어느 정도 차단하면서 동선은 연결될 필요가 있다.
(정답률: 64%)
  • 정답: "전정(public access) - 수목, 초화류, 계단, 자연석, 분수 등으로 화려하게 치장하는게 좋다." (수목, 초화류 등으로 화려하게 치장하는 것이 아니라, 간결하고 깔끔하게 정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 G.Ekbo는 주택정원을 전정(public access), 주정(general living), 후정(private living), 작업정(work space)으로 분할하였다. 전정은 외부에서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화려한 수목, 초화류, 계단, 자연석, 분수 등으로 치장하는 것이 아니라, 간결하고 깔끔하게 정돈하여 방문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정은 주거공간으로, 중심부가 비어 있는 것이 좋으며, 파고라, 녹음수, 정자 등 해를 가려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후정은 주거공간에서 가장 비공개적인 공간으로, 침실에서의 전망이나 동선을 고려하여 외부에서는 가능한 시각적, 기능적 차단을 하여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어야 한다. 작업정은 주거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전정이나 후정과는 시각적으로 어느 정도 차단하면서 동선은 연결될 필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경관의 변화 요인(variable factors)에 해당하는 것은?

  1. 질감
  2. 색채
  3. 시간
(정답률: 69%)
  • 경관의 변화 요인 중에서 "질감", "색채", "선"은 모두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요소들이므로 정답은 "시간"이다. 경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인 변화를 겪게 되며, 이는 계절의 변화, 낮과 밤의 변화, 자연재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시간은 경관의 변화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설명은 어떤 유형의 광장 결정 기준인가? (단,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한다.)

  1. 교통광장
  2. 일반광장
  3. 경관광장
  4. 지하광장
(정답률: 74%)
  • 이 설명은 "경관광장" 결정 기준이다. 이는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하여 결정된 것이며, 광장의 주요 기능이 경관을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정의하는 "생태축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생물다양성 - 생태계기능 - 연속성 - 서식공간
  2. 생태계 기능 - 생물다양성 - 연속성 - 서식공간
  3. 생태계 기능 - 서식공간 - 생태다양성 - 연속성
  4. 생물다양성 - 생태계 기능 - 서식공간 - 연속성
(정답률: 59%)
  • "생태축"은 생물다양성, 생태계기능, 연속성, 서식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생물다양성 - 생태계기능 - 연속성 - 서식공간"이다. 이는 생물다양성이 유지되고, 생태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속성이 유지되며, 적절한 서식공간이 보존되어야만 생태축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다음 설명의 값으로 맞는 것은?

  1. 250
  2. 300
  3. 500
  4. 600
(정답률: 5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문의 폭이 1.2m 이므로, 인원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인 2분 동안에도 모든 인원이 대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를 확보하기 위해 문의 폭은 1.2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30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차폐미(遮蔽美)가 적용될 수 있는 적당한 장소가 아닌 것은?

  1. 좁은 토지의 절토면(切土面)
  2. 도로에서 보이는 공동묘지
  3. 수변의 경관이 불량한 연못
  4. 차경(借景) 대상물이 보이는 곳
(정답률: 67%)
  • 차폐미는 주변 환경의 불량한 부분을 가리고, 아름다운 부분만 강조하여 보여주는 기법이다. 따라서 차경 대상물이 보이는 곳은 차폐미가 적용될 수 있는 적당한 장소이다. 하지만 좁은 토지의 절토면, 도로에서 보이는 공동묘지, 수변의 경관이 불량한 연못은 차폐미가 적용될 수 없는 적당한 장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경설계기준상의 하천조경 설계의 기본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설계대상 하천의 경관은 과거 지도 등을 이용하여 그 하천 본래의 경관에 가깝게 복원시킨다.
  2. 하천조경에서는 무생명 재료의 사용을 줄이고 생명재료를 주재료로 이용해야 한다.
  3. 하천조경설계는 각종 동ㆍ식물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4. 자연하천구간은 시설물 설치 등 인위적인 간섭을 원칙으롤 삼는다.
(정답률: 74%)
  • "자연하천구간은 시설물 설치 등 인위적인 간섭을 원칙으롤 삼는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자연하천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인 간섭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인위적인 간섭은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하천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천조경 설계에서는 자연환경을 최대한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환경색채”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역사성과 인문환경의 영향으로 지역색을 형성 한다.
  2. 색의 상징성을 이용하여 공공장소에서 재해방지와 구급 체계 시설에만 사용되는 색채이다.
  3. 자연과 친화된 환경일수록 풍토성이 강해지며 지역이 고립되고 차단될수록 지역색의 특성이 더욱 강해진다.
  4. 인간에게 관계되는 환경을 경관색채의 의미로, 인간에게 심리적 영향을 주는 색채이다.
(정답률: 73%)
  • "색의 상징성을 이용하여 공공장소에서 재해방지와 구급 체계 시설에만 사용되는 색채이다."가 틀린 정의이다. 환경색채는 공공장소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재해방지와 구급 체계 시설에만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환경색채는 지역의 특성과 인간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색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자인의 원리 중에서 다음을 의미하는 것은?

  1. 축(Axis)
  2. 질서(Order)
  3. 기준(Datum)
  4. 위계(Hierarchy)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선은 축(Axis)이다. 축은 디자인 요소들을 정렬하고 조직하는 데 사용되며, 디자인의 구조와 질서를 제공한다. 축은 디자인 요소들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디자인의 일관성과 조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공간요소 중 수평적인 요소인 동시에 수직적인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1. 담장
  2. 굴뚝
  3. 정자목
  4. 하천
(정답률: 69%)
  • 담장은 수평적인 요소로서 지면을 가로지르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수직적인 요소로서 높이가 있어 수직적인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담장 위에 꽃이나 나무를 심거나, 담장을 오르거나 넘어가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경설계기준상 각종 포장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투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은 공극률 9~12%를 기준으로 한다.
  2. 포장용 석재는 압축강도 49Mpa 이상, 흡수율 5% 이내의 것으로 한다.
  3. 콘크리트 블록 포장재의 포설용 모래는 투수계수는 기준 이상으로 No.200체 통과향이 6%이하이어야 한다.
  4. 포장용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 15.4Mpa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 30mm이하로 한다.
(정답률: 57%)
  • "포장용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 15.4Mpa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 30mm이하로 한다." 이것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이유는 포장용 콘크리트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작을수록 포장재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콘크리트는 포장재로 사용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이 유사한 강도를 갖고 고르게 섞여 있을 때 나타나는 색은?

  1. 보색
  2. 백색
  3. 유채색
  4. 병치혼색
(정답률: 56%)
  •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이 고르게 섞여 있으면, 모든 색을 포함하는 백색이 나타납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이 고르게 섞이면 백색이 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정답은 "백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각적으로 일어나는 착각현상인 착시가 잘 나타나는 예로 틀린 것은?

  1. 길이의 착시
  2. 면적의 착시
  3. 방향의 착시
  4. 형태의 착시
(정답률: 53%)
  • 정답: "형태의 착시"

    형태의 착시는 물체의 형태나 윤곽에 대한 착시로, 실제로는 일정한 모양이나 크기를 가지지만 뇌에서는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원이 서로 다른 크기로 보이는 것이나, 직선이 실제보다 더 길어 보이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면, 길이의 착시, 면적의 착시, 방향의 착시는 각각 길이, 면적, 방향에 대한 착시로, 뇌에서 실제보다 왜곡되어 인식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투상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사투방법
  2. 정투상법
  3. 표고 투상법
  4. 축측 투상법
(정답률: 67%)
  • 그림과 같은 투상법은 물체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에서 그린 것으로, 이를 표고 투상법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체의 상하좌우 비율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 그림의 실제 크기와 비례적으로 그려진 크기가 유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본설계 단계에서 진행되는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획의 기본 목표, 프로그램을 수립한다.
  2. 공간구성에 대한 개념 및 의도를 확실하게 하여 구체적인 공간형태를 만든다.
  3. 평면도, 단면도 등의 기본적인 도면과 함께 조감도나 모형을 만들기도 한다.
  4. 여러 가지 가능성을 검토하여 공간구성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정답률: 49%)
  • "계획의 기본 목표, 프로그램을 수립한다."가 틀린 것이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공간구성에 대한 개념 및 의도를 확실하게 하여 구체적인 공간형태를 만들고, 평면도, 단면도 등의 기본적인 도면과 함께 조감도나 모형을 만들기도 하며, 여러 가지 가능성을 검토하여 공간구성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프로그램 수립은 계획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조경설계기준상의 생태통로 설계 시 육교형 생태통로 유형을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서식지간 거리가 넓은 경우
  2. 지표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경우
  3. 지상에 장애물/오염원 등이 있는 경우
  4. 절토지역간 거리가 멀고, 절토지가 깊은 경우
(정답률: 70%)
  • "지표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경우"가 틀린 것이다. 생태통로 설계 시 육교형 생태통로 유형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서식지간 거리가 넓은 경우, 지상에 장애물/오염원 등이 있는 경우, 절토지역간 거리가 멀고, 절토지가 깊은 경우가 있으며, 이 중에서도 지표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유는 지표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면 이미 생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실시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설계 프로젝트의 개략적인 골격을 정한다.
  2. 계획 또는 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을 결정한다.
  3. 분석 자료의 취합 및 정리를 하는 단계이다.
  4. 시공을 위주로 하는 상세도면 및 공사비, 시방서 등을 작성한다.
(정답률: 73%)
  • 이 설계 단계는 시공을 위주로 하는 상세도면 및 공사비, 시방서 등을 작성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시공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이 설명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제 3각법의 경우 정면도와 우측면도가 주어졌을 때 평면도로 알맞은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두 면도에서 모두 선분 AB와 선분 BC가 수직이고, 선분 AC와 선분 BD가 평행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생태숲」이란 자생식물의 현지 내 보전기능을 강화하고, 특산식물의 자원화 촉진과 숲 복원기법 개발 등 산림생태계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된 숲을 말한다. 다음 중 생태숲은 얼마 이상인 산림을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는가?

  1. 30만 제곱미터
  2. 50만 제곱미터
  3. 80만 제곱미터
  4. 100만 제곱미터
(정답률: 50%)
  • 생태숲은 최소 30만 제곱미터 이상의 면적을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는 생태숲이 자생식물의 보전과 특산식물의 자원화, 숲 복원 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30만 제곱미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조경설계기준 중 “야외공연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객석에서 무대로의 부각은 30°이상으로 한다.
  2. 평면적으로 무대가 보이는 각도(객석의 좌우영역)는 101 ~ 108° 이내로 설정한다.
  3. 객석 좌판 좌우간격은 평의자의 경우 45 ~ 50cm 이상으로 한다.
  4. 주변환경에 주거단지 등이 있으면 그 곳의 반대방향으로 배치하여, 음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62%)
  • "객석에서 무대로의 부각은 30°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야외공연장에서는 자연광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무대가 어둡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객석에서 무대로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부각을 30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관객들이 공연을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경설계기준상 토양에 대한 평가를 화학적 기준에 따라 상급(pH6.0 ~ 6.5), 중급(pH5.5 ~ 6.0, pH6.5 ~ 7.0), 하급(pH4.5 ~ 5.5, pH7.0 ~ 8.0), 불량(pH4.5 미만, pH8.0초과)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 중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일반적인 식재지는 중급 이상의 토양평가 등급을 적용한다.
  2. 답압의 패해가 우려되는 곳의 토양은 상급 이상의 평가등급을 적용한다.
  3. 식물의 생육환경이 열락한 매립지나 인공지반 위에 조성되는 식재지반에는 상급 이상의 평가등급을 적용한다.
  4. 고품질의 조경용 식물을 식재하는 곳이나 조경용 식물의 건전한 생육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상급의 평가등급을 적용한다.
(정답률: 53%)
  • 고품질의 조경용 식물을 식재하는 곳이나 조경용 식물의 건전한 생육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상급의 평가등급을 적용한다. 이유는 고품질의 조경용 식물은 건강한 생육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pH가 적절한 상급 이상의 평가등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재료 단면의 경계 표지 중 잡석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5%)
  • 잡석은 지반 내에서 다른 암석과 혼합되어 있는 작은 돌조각이다. 따라서 재료 단면의 경계 표지 중 잡석을 나타내는 것은 ""이다. 이 그림은 암석과 잡석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색의 3속성 중 명도와 채도를 혼합한 개념으로 색상이 달라도 비교적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은?

  1. 색조(tone)
  2. 형태(form)
  3. 양감(volume)
  4. 질감(texture)
(정답률: 71%)
  • 색조는 명도와 채도를 혼합한 개념으로,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와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색상이 달라도 비교적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입니다. 형태는 물체의 모양이나 구조를 나타내며, 양감은 물체의 크기나 부피를 나타냅니다. 질감은 물체의 표면의 느낌이나 질감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린지(K.Lynch, "The Image of the City",1961)가 주장하는 도시경관분석방법에 대한 비판 중 틀린 것은?

  1. 도시경관의 개개요소가 갖는 사회적, 상징적 의미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2. 이미지 형성의 주요 요소인 시각적 명료성(Legibility)이 강조되지 않는다.
  3. 소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수 있다.
  4. 부정적인 경관요소가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다.
(정답률: 48%)
  • "이미지 형성의 주요 요소인 시각적 명료성(Legibility)이 강조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린지는 도시경관을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 연구하면서 이미지 형성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시각적 명료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도시 내에서 이동하면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도시의 구조와 경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경기도 이북에서 월동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1. Ligustrum obtusifolium
  2. Chaenomeles speciosa
  3. Ilex rotunda
  4. Syring oblata var. dilatata
(정답률: 41%)
  • "Ilex rotunda"는 겨울에도 녹색 잎을 유지하기 때문에 월동하기 가장 어렵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겨울에 잎이 떨어지거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월동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조경 수목은?

  1. Cercis chinensis Bunge
  2. Sophora japoneca L.
  3. Platanus orientalis L.
  4. Magnolia grandiflora L.
(정답률: 57%)
  • 정답은 "Cercis chinensis Bunge"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꽃과 잎의 형태가 Cercis chinensis Bunge의 특징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Cercis chinensis Bunge는 붉은색 꽃과 둥근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그림에서 보이는 나무도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Sophora japoneca L.는 노란색 꽃과 긴 잎을 가지고 있으며, Platanus orientalis L.는 손바닥 모양의 잎과 꽃을 가지고 있습니다. Magnolia grandiflora L.는 큰 하얀 꽃과 빨간색 열매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꽃색이 흰색 계열인 수목은?

  1. 모과나무
  2. 팥배나무
  3. 죽단화
  4. 오동나무
(정답률: 61%)
  • 정답은 "팥배나무" 입니다. 이유는 팥배나무는 꽃이 흰색 계열이기 때문입니다. 모과나무는 붉은색, 죽단화는 노란색, 오동나무는 녹색 계열의 꽃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목의 가식 및 기존식생보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식장소는 공사의 지장이 없는 범위내에서 토질과 관련 없이 설치한다.
  2. 가식수목의 뿌리분 주변은 공기가 완전히 방출되도록 충분히 관수해야 하며, 배수가 잘 되지 않는 곳이 좋다.
  3. 기존수목 주위를 절토할 때에는 수관폭 1/2 이내의 지반까지 절토할 수 있다.
  4. 흙쌓기로 인하여 기존 수목의 줄기가 묻힐 우려가 있는 경울 대상 수목의 수관폭을 1/2~3/4 정도 남기고 수목의 밑둥이 흙으로 매몰되지 않게 주변을 굵은 자갈 등으로 채워야 한다.
(정답률: 57%)
  • 기존식생보호를 위해 흙쌓기로 인하여 기존 수목의 줄기가 묻힐 우려가 있는 경울 대상 수목의 수관폭을 1/2~3/4 정도 남기고 수목의 밑둥이 흙으로 매몰되지 않게 주변을 굵은 자갈 등으로 채워야 한다. 이유는 흙쌓기로 인해 수목의 뿌리가 공기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면서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목의 뿌리분 주변은 충분한 관수와 배수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토양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습성이 좋은 토양은 비료분을 축적하는 보비력이 좋지 않다.
  2. 토양의 응집력은 토립의 대소, 구조의 조밀, 수분함량 등에 따라 다른데, 점토가 가장 크다
  3. 토양의 경도는 토층의 투수성, 식물뿌리의 신장 및 농업기계의 주행에 대한 지지력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성질이다.
  4. 토양온도가 낮아지면 유기물의 분해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다량의 부식물이 쌓이게 된다.
(정답률: 60%)
  • "보습성이 좋은 토양은 비료분을 축적하는 보비력이 좋지 않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보습성이 좋은 토양은 수분 보유능력이 높아 비료분을 축적하는 능력도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 가로수로서 적합하다.
  2. 수피는 백색이며 종이같이 옆으로 벗겨진다.
  3. 주야의 기온교차가 심한 기후에 적합하다.
  4. 음양성의 생태적 특성은 양수이다.
(정답률: 65%)
  • "음양성의 생태적 특성은 양수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도시 가로수로서 적합하다."는 이 종류의 나무가 도시 환경에서 잘 자라고 유지보수가 쉽기 때문이다.

    "수피는 백색이며 종이같이 옆으로 벗겨진다."는 이 종류의 나무의 특징 중 하나이다.

    "주야의 기온교차가 심한 기후에 적합하다."는 이 종류의 나무가 추운 겨울과 더운 여름 모두 잘 자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식생조사 및 분석에서 두 종의 종간관계를 유추하기 위하여 종간결합을 조사하는 과정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B → A → D → C
  2. B → D → A → C
  3. D → B → A → C
  4. D → A → B → C
(정답률: 54%)
  • D → B → A → C 순서로 나열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D를 조사합니다. D는 A와 B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2. 다음으로 B를 조사합니다. B는 A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3. A를 조사합니다. A는 C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C를 조사합니다.

    따라서, D → B → A → C 순서로 종간결합을 조사하면 두 종의 종간관계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일본잎갈나무ㆍ삼나무ㆍ편백 등의 저장 종자에 효과가 있는 종자 발아 촉진법은?

  1. 고온처리법
  2. 냉수처리법
  3. 황산처리법
  4. 종피의 기계적 가상
(정답률: 64%)
  • 냉수처리법은 종자를 냉수에 담아 일정 기간 동안 보관한 후 발아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종자 내부의 억제물질이 제거되어 발아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ㆍ삼나무ㆍ편백 등의 저장 종자에 효과가 있는 종자 발아 촉진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중 참나리(Lilium lancifolium)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합과(科) 식물이다.
  2.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며, 무피인경이다.
  3. 외래종으로 전국에 식재할 수 있다.
  4.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달려, 비늘조각으로 번식한다.
(정답률: 59%)
  • "외래종으로 전국에 식재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참나리는 원래 중국과 일본 지역에서 자생하는 종으로, 한국에는 북부 지방에서만 자생합니다. 따라서 전국에 식재할 수 있는 외래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비탈면 식재계획을 위해 식생천이를 조사 하고자 할 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순동화율과 분배울 조사
  2. 우점도, 군도, 종조성, 상재도 등 사면 식생조사
  3. 위도, 표고, 기상조건, 주변식생 및 지형 등 조사지 환경분석
  4. 시공법, 관리상황, 사면길이, 방위, 지질, 토양 등 사면구조와 입지조사
(정답률: 54%)
  • "순동화율과 분배울 조사"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이는 비탈면 식재계획을 위한 식생천의 조사와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순동화율과 분배울 조사"는 수문학적인 측면에서 물의 흐름과 분배를 조사하는 것으로, 비탈면 식재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군락을 최단거리법(Nearest individual method)에 의해 조사한 결과 평균거리가 2.0m 이었다면 ha당 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 후 정수로 표기 함)

  1. 555 주/ha
  2. 800 주/ha
  3. 1250 주/ha
  4. 1600 주/ha
(정답률: 48%)
  • Nearest individual method는 군락 내에서 가장 가까운 개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 거리를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평균 거리가 2.0m 이라면 군락 내에 개체가 평균적으로 2.0m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a당 밀도는 주/ha로 표기되며, 이는 1ha 내에 몇 개의 개체가 분포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ha는 개체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평균 거리가 2.0m 이므로, 1ha 내에는 500m x 500m = 250,000m²의 면적이 있다. 이 면적 내에 개체가 분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평균 거리인 2.0m로 나누어 개체 수를 구할 수 있다.

    250,000m² ÷ 2.0m = 125,000 주

    따라서 ha당 밀도는 125,000 주/ha가 된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면 1250 주/h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에 적합한 수종은?

  1. Campsis grandifolia
  2. Hibiscus syriacus
  3. Cercis chinensis
  4. Magnolia denudata
(정답률: 56%)
  • 이 수종은 꽃이 크고 향기롭며, 꽃잎이 하얗고 꽃받침이 녹색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기 중 "Magnolia denudata"가 가장 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 중부지방 표고 500m 이상의 산림에 자생종은?

  1. Picea abies
  2. Cedrus deodara
  3. Abies holophylla
  4. Thuja occidentalis
(정답률: 53%)
  • Abies holophylla는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 중부지방 표고 500m 이상의 산림에 자생하는 종이다. 다른 보기들인 Picea abies, Cedrus deodara, Thuja occidentalis는 각각 북유럽, 히말라야, 북미지역에서 자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식재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식물을 시각적 요소로 활용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질감(Texture)
  2. 크기(Size)
  3. 형태(Form)
  4. 인식(Knowledge)
(정답률: 72%)
  • 식물을 시각적 요소로 활용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질감, 크기, 형태이다. 이는 식물이 주는 시각적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식은 식물의 시각적 요소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인식은 식재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식물을 시각적 요소로 활용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장미과(科) 식물이 아닌 것은?

  1. 홍가시나무
  2. 마가목
  3. 병꽃나무
  4. 팥배나무
(정답률: 43%)
  • 병꽃나무는 장미과가 아니라 무궁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자동차 배기가스에 가장 강한 수종은?

  1. Philadelphus schrenkii
  2. Platanus occidentalis
  3. Diospyros kaki
  4. Prunus mume
(정답률: 61%)
  • 정답은 "Platanus occidentalis"입니다. 이는 이 종류의 나무가 대량의 광합성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나무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흡수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수목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은사시나무의 수피는 은백색 계통이다.
  2. 능수버들은 암수한그루로서 솜털 같은 꽃가루가 날린다.
  3. 미루나무와 이태리포푸라는 모두 버드나무과(科)이다.
  4. 버드나무는 능수버들이나 수양버들에 비해 가지가 처지지 않는다.
(정답률: 53%)
  • "능수버들은 암수한그루로서 솜털 같은 꽃가루가 날린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능수버들은 암수분리한 그루로서,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능수버들의 꽃가루는 솜털 같은 것이 아니라 작고 둥글며, 바람에 날아다니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국화과(科)에 해당되는 지피식물은?

  1. 도라지
  2. 앵초
  3. 구정초
  4. 할미꽃
(정답률: 53%)
  • 국화과는 국화나 미국국화 등을 비롯한 다양한 꽃을 포함하는 식물 과이며, 이 중에서 구정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지피식물로서, 꽃이 작고 하얀색이며 가을에 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정초"가 국화과에 해당되는 지피식물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군락구조의 측정에 있어서 정량적(定量的) 측도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빈도
  2. 밀도
  3. 피도
  4. 군도
(정답률: 47%)
  • 군도는 군집화 결과를 시각화한 그래프로, 정량적인 측정 방법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군집화 결과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에 정량적 측도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군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형식 식재계획 시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하여 상당한 공간을 메우는 방법이면, 매스로서의 양감을 부여하여야 하는 곳에 적합한 식재의 기본패턴은?

  1. 임의식재
  2. 배경식재
  3. 교호식재
  4. 집단식재
(정답률: 56%)
  • 집단식재는 다수의 수목을 규칙적으로 배식하여 상당한 공간을 메우는 방법이며, 이는 매스로서의 양감을 부여하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임의적으로 식재하는 방법, 배경을 고려하여 식재하는 방법, 서로 다른 종을 교차적으로 식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강(鋼)에 함유된 탄소 성분이 강재 성질에 끼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강도의 중감
  2. 산성의 중감
  3. 경도의 중감
  4. 연신율이 중감
(정답률: 49%)
  • 강에 함유된 탄소 성분이 강재 성질에 끼치는 영향 중 "산성의 중감"은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탄소는 강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고, 연신율을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산성의 중감은 강재의 성질과는 무관한 성질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암거의 매설을 위한 기초공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초가 양호하면 암거를 직접 매설하여도 된다.
  2. 지반이 극히 연약하여 관거의 침하가 우려될 때 말뚝기초를 설치한다
  3.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기초에는 잡석, 조약돌 등을 포설한다.
  4. 지반이 연약한 경우 관의 보호와 지반이 부등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한다.
(정답률: 46%)
  •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기초에는 잡석, 조약돌 등을 포설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기초에는 말뚝기초를 설치한다." 입니다. 이유는 부등침하란 기초의 일부분이 지반보다 더 많이 침하하여 기초가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말뚝기초를 설치하여 지반에 더 깊이까지 고정시키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도로의 곡선부에서 자동차가 회전화려면 직선부 차선폭보다 넓게 하여 다른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1. 차도확폭
  2. 이정량
  3. 완화구간
  4. 유도섬
(정답률: 61%)
  • 차도확폭은 도로의 곡선부에서 자동차가 회전할 때 다른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직선부 차선폭보다 넓게 하여 자동차가 곡선을 돌 때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정량은 도로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이며, 완화구간은 도로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구간이고, 유도섬은 차량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암석이 가장 쪼개지기 쉬운 면을 말하며 절리보다 불분명하지만 방향이 대체로 일치되어 있는 것은?

  1. 석리
  2. 입상조직
  3. 석목
  4. 선산조직
(정답률: 34%)
  • 석목은 결정성이 없어서 방향이 불분명하지만, 가장 쪼개지기 쉬운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향성이나 쪼개지기 쉬운 면에 대한 특징이 석목보다 덜 강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원지반의 점질토 5000m3 를 굴착하여 8m3 적재 덤프트럭으로 성토현장에 반입하여 다졌다. 소요덤프트럭 대수와 다진 후의 성토량은? (단, C:0.95, L:1.30 이고, 트럭 대수는 10대 미만은 버릴 것)

  1. 덤프트럭:594대, 성토량:6175m3
  2. 덤프트럭:625대, 성토량:4048m3
  3. 덤프트럭:813대, 성토량:4750m3
  4. 덤프트럭:480대, 성토량:4048m3
(정답률: 54%)
  • 성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성토량 = 원지반의 부피 × (1 + C) × L

    = 5000 × (1 + 0.95) × 1.30

    = 9500m³

    하지만, 덤프트럭의 적재용량은 8m³ 이므로, 필요한 덤프트럭 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덤프트럭 대수 = 성토량 ÷ 덤프트럭 적재용량

    = 9500 ÷ 8

    = 1187.5

    따라서, 10대 미만은 버리고, 1190대의 덤프트럭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덤프트럭 대수가 10대 미만이어야 하므로, 덤프트럭 대수를 813대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성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성토량 = 덤프트럭 대수 × 덤프트럭 적재용량

    = 813 × 8

    = 6504m³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다진 후의 성토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다진 손실률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다진 손실률은 15% 정도이므로, 성토량을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

    성토량 = 6504 × (1 - 0.15)

    = 5538.4m³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성토량이 4750m³ 이어야 하므로, 덤프트럭 대수를 813대로, 다진 후의 성토량을 4750m³로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중력식 옹벽의 특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구조물이 복잡하다.
  2. 상단이 좋고 하단이 넓은 형태이다.
  3. 3m 이내의 낮은 옹벽에 많이 쓰인다.
  4. 자중으로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답률: 67%)
  • "구조물이 복잡하다"는 중력식 옹벽의 특징으로 부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중력식 옹벽은 단순한 형태로 설계되어야 하며, 구조물이 복잡해지면 제작과 설치가 어려워지고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인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워커빌리티가 좋으면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난다.
  2. 슬럼프 테스트를 하여 워커빌리티를 판단한다.
  3. 골재의 입형이 둥글수록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4. 굵은 골재가 많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정답률: 61%)
  • 정답은 "슬럼프 테스트를 하여 워커빌리티를 판단한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는 콘크리트가 형성될 때 혼합물의 유동성과 적절한 흐름성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슬럼프 테스트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유동성을 측정하여 워커빌리티를 판단하는 표준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슬럼프 테스트를 통해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시멘트의 혼화재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포졸란 - 해수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 및 수밀성 등의 성질을 개선하는데 사용한다.
  2. AE제 - 미세하고 독립된 무수한 공기 기포를 콘크리트 속에 균일 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이다.
  3. 감수제 - 시멘트의 입자를 분산시켜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단위 수량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4. 방수제 - 콘크리트의 흡수성과 투수성을 감소 시켜 수밀성을 중진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화제이다.
(정답률: 51%)
  • 정답은 "감수제 - 시멘트의 입자를 분산시켜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단위 수량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가 아닌 "포졸란 - 해수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 및 수밀성 등의 성질을 개선하는데 사용한다."입니다.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서 콘크리트의 워크빌리티를 개선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콘크리트를 더 쉽게 섞고 형태를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면 포졸란은 해수에 대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포졸란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알칼리 반응을 일으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품셈의 수량환산기준 중 틀린것은?

  1. 수량은 지정 소수 이하 2위까지 구한다.
  2. 절토(切土)량은 자연상태의 설계도의 량으로 한다.
  3. 소운반은 20m 이내의 수평거리를 운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4. 구적기(planimeter)로 계산할 경우느 3회 이상 측정하여 그 중 정확하다고 생각되는 평균값으로 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소운반은 20m 이내의 수평거리를 운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다.

    수량환산기준에서 "수량은 지정 소수 이하 2위까지 구한다."는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측정하여 수량을 구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1.2345라는 수량이 있다면, 이를 1.23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는 것이다.

    절토량은 자연상태의 설계도의 량으로 한다는 것은, 현장에서 측정한 절토량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설계도상의 절토량을 기준으로 계산한다는 것이다.

    구적기로 계산할 경우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은,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소운반은 20m 이내의 수평거리를 운반하는 경우를 말한다."는 수량환산기준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흙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의 마찰력은 흙의 내부마찰각에 의해 결정 된다.
  2. 흙구조물이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단응력과 전단저항이 서로 같다.
  3. 흙의 전단강도를 측정할 때는 랑킨의 방정식을 사용한다.
  4. 전단강도는 토양입자사이의 점착력과 마찰력에 의해 구해진다.
(정답률: 61%)
  • "흙의 전단강도를 측정할 때는 랑킨의 방정식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흙의 전단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랑킨의 방정식은 그 중 하나일 뿐입니다. 랑킨의 방정식은 흙의 내부마찰각과 전단응력, 전단변형률 등을 이용하여 전단강도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등고선의 성질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코 분리되지 않으나 양편으로 서로 같은 숫자가 기록된 두 등고선을 때때로 볼수 있다.
  2. 요(凹)경사에서 낮은 등고선은 높은 것보다 더 좋은 간격으로 증가한다.
  3. 산령과 계곡이 만나 이들의 등고선을 서로 쌍곡선을 이루를 것과 같은 부분은 안부 즉 고개라 한다.
  4. 높은 방향으로 산형의 곡선을 이루는 경우는 계속을 나타내고, 이와 반대인 경우에는 산령을 나타낸다.
(정답률: 59%)
  • "요(凹)경사에서 낮은 등고선은 높은 것보다 더 좋은 간격으로 증가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요(凹)경사에서는 낮은 지점에서 높은 지점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낮은 등고선은 높은 등고선보다 간격이 더 넓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그림과 같은 보네서 점D에서의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m인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42.0
  2. 50.0
  3. 58.5
  4. 81.0
(정답률: 54%)
  • 점 D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왼쪽으로의 회전방향을 양수로 정의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음수가 된다. 따라서, 보네서의 왼쪽 부분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50kNm이 되고, 오른쪽 부분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8.5kNm이 된다. 이 두 값의 합이 -42.0kNm이므로 정답은 4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열가소성수지로서 두께가 앏은 시트를 만들어 건축용 방수재료로 이용되며 내화학성의 파이프로도 활용되는 것은?

  1. 요소수지
  2. 폴리에틸렌수지
  3. 폴리스티렌수지
  4. 폴리우레탄수지
(정답률: 51%)
  • 열가소성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축용 방수재료나 내화학성 파이프 등에 이용됩니다. 이 중에서 두께가 얇은 시트를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수지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폴리에틸렌수지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물에 대한 내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수지는 건축용 방수재료나 파이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목재의 전건비중을 구하는 식은? (단, r : 비중, w : 전건중량, v : 전건용적)

  1. r = v/w
  2. r = w/v
  3. r = wㆍv
  4. r = w +v
(정답률: 55%)
  • 목재의 비중은 단위 부피당 무게를 의미하므로, 전건중량(w)을 전건용적(v)으로 나누면 단위 부피당 무게가 나온다. 따라서 r = w/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설계서의 단의수량 단위 및 소수위 표준위 적용이 틀린 것은?

  1. 공사폭원 : m, 1위
  2. 공사면적 : m2, 2위
  3. 직공인부 : 인, 2위
  4. 토적(체적) : m3, 2위
(정답률: 53%)
  • "공사면적 : m^2, 2위"가 틀린 것이다. 설계서에서는 면적을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m^2" 단위를 사용하지만, 소수점 이하의 값을 나타낼 때는 "m^2" 단위를 사용하지 않고 "m^2" 단위의 자릿수를 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2.34m^2는 "m^2" 단위를 사용하지 않고 "12.34, 2위"로 표기한다. 따라서 "공사면적 : m^2, 2위"가 올바른 표기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시공계획 결정과정에서 검토 할 중심과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발주자가 제시한 계약조건
  2. 현장의 공사조건
  3. 입찰서
  4. 기본공정표
(정답률: 63%)
  • 입찰서는 시공계획 결정과정에서 검토할 중심과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시공계획 결정과정에서는 발주자가 제시한 계약조건, 현장의 공사조건, 그리고 기본공정표 등을 검토하여 최적의 시공계획을 수립합니다. 입찰서는 시공계획 수립 이전에 제출되는 입찰서류로, 시공계획 결정과정과는 별개의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대규모 자동 살수 관개조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살수기로 맞는 것은?

  1. 분무살수기
  2. 회전살수기
  3. 회전입상살수기
  4. 분류살수기
(정답률: 64%)
  • 대규모 자동 살수 관개조직에서는 넓은 범위를 한 번에 살수할 수 있는 살수기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회전입상살수기는 물을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넓은 범위를 한 번에 살수할 수 있으며, 물의 유속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절한 살수가 가능합니다. 또한 회전입상살수기는 높은 효율성과 경제성을 가지고 있어 대규모 자동 살수 관개조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살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조도기준에 의한 공원의 조도표준은?

  1. 10 lux
  2. 40 lux
  3. 100 lux
  4. 400 lux
(정답률: 50%)
  • 공원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소한의 조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공원의 조도기준을 10 lux로 정하고 있습니다. 10 lux는 밝기의 단위로, 일반적인 주거지역의 밤중 조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공원 내에서도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10 lux 이상의 조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잔골재율
  2. 단위수량
  3. 단위시멘트량
  4. 단위굵은골재량
(정답률: 43%)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콘크리트의 척도가 줄어들면서 건조수축이 발생하는데, 이는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들의 수분 함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단위수량이 건조수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벽돌 및 돌쌓기 시공과 관련한 내용 설명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벽돌과 돌의 이어쌓기 부분은 계단형으로 마감하다.
  2. 벽돌과 돌의 1일 쌓기 높이는 1.2m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1.5m 이내로 한다.
  3. 벽돌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쌓기 전에 적정한 물 축이기를 한다.
  4. 돌쌓기는 멧쌓기를 원칙으로 하며, 신축줄눈 간격은 10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66%)
  • "돌쌓기는 멧쌓기를 원칙으로 하며, 신축줄눈 간격은 10m를 표준으로 한다." 이 설명은 벽돌 및 돌쌓기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 멧돌은 돌쌓기에서 사용되는 돌의 일종으로, 멧쌓기는 돌을 이어서 쌓는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 설명은 벽돌과 돌의 이어쌓기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신축줄눈 간격도 벽돌 및 돌쌓기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참나무류에 발생하는 참나무시들음병의 병균을 매개하는 곤충은?

  1. 참나무방패벌레
  2. 참나무하늘소
  3. 광릉긴나무좀
  4. 갈참나무비단벌레
(정답률: 67%)
  • 참나무시들음병의 병원균은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이며, 이 병균을 매개하는 곤충은 "광릉긴나무좀"입니다. 이 곤충은 참나무류의 목재 내부에 살며, 병균을 전파하면서 나무를 죽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광릉긴나무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의 잡초에 의한 피해 중 저목(低木)의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조 부족 현상을 초래한다.
  2. 밑가지가 고사(枯死)한다.
  3. 잡초에 덮인 부분의 수피가 벗겨진다.
  4. 병해충의 피해 증대 및 관상가치가 저하된다.
(정답률: 49%)
  • 잡초에 덮인 부분의 수피가 벗겨지는 것은 저목이 아닌 고목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는 잡초와의 경쟁에서 고목이 더 약해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저목은 일조 부족 현상이나 밑가지의 고사 등 다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원로나 광장을 아스팔트로 포장한 경우 내구 연수는 몇 년 인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41%)
  • 아스팔트 포장은 일반적으로 15년 정도의 내구 연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아스팔트의 재료와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적절한 유지 보수와 관리가 이루어지면 더 오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수목이 필요로 한는 무기양료의 종류와 기능 중 붕소(B)에 해당하는 것은?

  1. 요소(urea)분해 효소의 구성성분이다.
  2. 화분관의 생장 및 핵산과 섬유소 합성에 관여 한다.
  3. 엽록소의 합성에 필수적이고, 효소의 활성제, 광합성이 물의 광분해를 촉진한다.
  4. 세포벽의 구성성분으로 원형질말의 정상적인 기능에 관여하며 효소의 활성제로 이용된다.
(정답률: 31%)
  • 정답은 "화분관의 생장 및 핵산과 섬유소 합성에 관여 한다." 입니다.

    이유는 붕소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붕소는 화분관의 생장과 핵산 및 섬유소 합성에 관여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수목이 필요로 하는 무기양료 중 붕소는 화분관의 생장과 핵산 및 섬유소 합성에 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작업현장에서의 상해 종류 중 압좌, 충동, 추락 등으로 인하여 외부의 상처 없이 피하조직 또는 근육부 등 내부조식이나 장기가 손상받은 상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부종
  2. 자상
  3. 좌상
  4. 창상
(정답률: 62%)
  • 좌상은 외부의 상처 없이 내부조직이나 장기가 손상받은 상해를 말합니다. 압좌, 충동, 추락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부종이나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자상은 외부의 상처가 있는 상해를 말하며, 창상은 물체에 의해 찌르거나 베어서 생긴 상처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소나무류와 잣나무에 발생하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예방약제에 해당하는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아바멕틴 유제
  2.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3. 포스티아제이트
  4. 아세타미프리드 액제
(정답률: 69%)
  • 아바멕틴 유제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주요 원인균인 소나무재선충에 효과적인 약제이기 때문에 예방약제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나무재선충병과는 관련이 없거나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음 중 같은 양을 첨가했을 때 토양의 산성을 중화하는 능력이 가장 큰 것은?

  1. 생석회(CaO)
  2. 소석회(Ca(OH)2)
  3. 탄산석회(CaCO3)
  4. 염화칼슘(CaCl2)
(정답률: 65%)
  • 생석회(CaO)가 가장 큰 산성 중화 능력을 가지는 이유는 생석회가 물과 반응하여 칼슘 수산화물(Ca(OH)2)을 생성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반응은 열반응으로 진행되며, 생성된 칼슘 수산화물은 중화 작용을 하여 토양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중 수경시설의 유지관리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경시설의 규모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각각의 설비시설에 대한 담당자를 선임해야 한다.
  2. 횡축폄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전류계부하상태, 절연저항, 모터의 봉수, 방청상태, 케이블손상여부 등에 대하여 점검정비를 해야 하며,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원인분석과 조치를 해야 한다.
  3. 수중조명기구는 효과적인 조명연출과 안전을 위해 기계적 성능, 전기적 성능, 광학적 성능으로 나누어 점검하고 특히 절연측정을 하여 각 회로마다 이상여부를 확인하여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원인분석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
  4. 수경시설의 기능과 미관유지를 위해서 정기적인 청소를 해야 하며, 정화시설이 없는 경우에는 1회/월, 있는 경우에는 4회/년 청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36%)
  • "수경시설의 규모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각각의 설비시설에 대한 담당자를 선임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내용이다. 이는 수경시설의 유지관리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해충 방제방법 중 생물적 방제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효과가 더디게 나타난다.
  2.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안전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다.
  4. 화학합성농양과 사용시 많은 주의가 요규 된다.
(정답률: 72%)
  • 생물적 방제는 화학합성농약과 달리 자연적인 방법으로 해충을 제어하기 때문에 안전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다. 화학합성농약은 사용시 많은 주의가 요구되고, 환경에도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생물적 방제의 장점 중 하나로 꼽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의 검증방법으로 검증시 시간이 많이 걸려서 실제적으로 적용 하기에 어려운 것은?

  1. 식물조직분석(植物組織分析)
  2. 토양분석(土壤分析)
  3. 식물체분석(植物體分析)
  4. 양분시험법(養分試驗法)
(정답률: 62%)
  • 양분시험법은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분석하여 양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려서 실제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운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인 식물조직분석, 토양분석, 식물체분석 등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비료의 질소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분석방법은?

  1. Lancast법
  2. Kjeldahl 증류법
  3. Walkley black법
  4. Tyurin법
(정답률: 58%)
  • Kjeldahl 증류법은 비료의 질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증류를 통해 질소를 분리하고, 분리된 질소를 산화하여 질소산으로 변환한 후 산과 중화액을 반응시켜 암모니아로 바꾸어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아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진밀도가 2.6, 가밀도가 1.2인 토양의 최대용수량은 얼마인가?

  1. 30%
  2. 47%
  3. 54%
  4. 60%
(정답률: 46%)
  • 최대용수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최대용수량 = (진밀도 - 가밀도) / 진밀도 * 100

    따라서, (2.6 - 1.2) / 2.6 * 100 = 53.8

    하지만, 보기에서는 54%가 가장 근접한 값이므로 54%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곤충의 변태 유형과 애벌레의 명칭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완전변태 - 유충(larva)
  2. 완전변태 - 약충(nymph)
  3. 반변태 - 약충(nymph)
  4. 점변태 - 유충(larva)
(정답률: 70%)
  • 완전변태는 곤충이 애벌레에서 성충으로 완전히 다른 형태로 변태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애벌레를 유충(larva)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완전변태 - 유충(larva)"가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블록포장의 파손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블록모서리 파손
  2. 포장표면의 만곡
  3. 블록 자체 파손
  4. 줄눈 확장에 의한 침하
(정답률: 52%)
  • 줄눈 확장은 땅이 얼어붙거나 건조하여 수분이 증발하면서 지하수면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포장된 블록들이 침하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블록포장의 파손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반면, 블록모서리 파손, 포장표면의 만곡, 블록 자체 파손은 모두 블록포장의 파손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관리 계획 수립시 추적 검토사항의 주된 내용이 아닌 것은?

  1. 구체적 시민의 요구
  2. 유지관리 수준의 기준화
  3. 관리단계에 있어 지장이 되는 원인이 분석
  4. 이용조사에 의한 시민요구의 구체적 행동의 평가
(정답률: 44%)
  • 유지관리 수준의 기준화는 추적 검토사항의 주된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관리 계획 수립 이전에 이미 결정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시설물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지관리 수준의 기준화는 관리 계획 수립 이전에 이미 결정되어 있어야 하며, 추적 검토사항의 주된 내용은 구체적 시민의 요구, 관리단계에 있어 지장이 되는 원인 분석, 이용조사에 의한 시민요구의 구체적 행동 평가 등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잔디류 중 토양산도에 적응성이 가장 큰 것은?

  1. Tall fescue
  2. Creeping bentgrass
  3. Perennial ryegrass
  4. Kentuck bluegrass
(정답률: 43%)
  • "Tall fescue"는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어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높은 열과 추위에도 잘 적응하기 때문에 토양산도에 적응성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공원 관리 업무 수행이 도급관리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리비가 싸다.
  2. 임기웅변적 조처가 가능하다.
  3. 관리주체가 보유한 설비로는 불가능한 업무에 적합하다.
  4. 전문적 지식, 기능을 가진 전문가를 통한 양질의 서비스를 기할 수 있다.
(정답률: 61%)
  • "임기웅변적 조처가 가능하다."는 도급관리 방식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도급관리 방식은 일정 기간 동안 공원 관리를 담당하는 업체에게 일괄적으로 맡기는 방식으로, 업체가 업무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 임기를 조정하거나 업체를 변경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임기웅변적 조처가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디디티(DDT)와 유사한 화합물이지만 곤충에 대한 살충력은 없고 응애류에만 선택적 살비력을 나타내는 약제는?

  1. 에테폰액제
  2. 아바멕틴유제
  3. 만코제브수화제
  4. 옥시플루오르펜유제
(정답률: 46%)
  • 디디티(DDT)와 유사한 화합물이지만 곤충에 대한 살충력은 없고 응애류에만 선택적 살비력을 나타내는 약제는 아바멕틴유제입니다. 이는 아바멕틴이 응애류의 신경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살충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바멕틴유제는 응애류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며, 곤충에 대한 살충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오존에 의한 피자식물의 잎에 나타나는 피해 형태와 관계없는 것은?

  1. 황화
  2. 표백
  3. 변색
  4. 엽맥사이의 괴저
(정답률: 46%)
  • 오존에 의한 피자식물의 잎에 나타나는 피해 형태는 황화, 표백, 변색 등이 있지만, 이 중에서 엽맥사이의 괴저는 오존에 의한 피해 형태와 관계가 없는 것이다. 엽맥사이의 괴저는 잎의 엽맥 사이에 생기는 작은 구멍으로, 주로 해충에 의한 피해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어떤 작업장에서 목재가공용 둥근톱 기계가 작업중 갑작스런 고장을 일으켰다. 이때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사후점검
  2. 임시점검
  3. 정기점검
  4. 특별점검
(정답률: 57%)
  • 고장이 발생한 시점에서 즉시 실시하는 점검을 임시점검이라고 한다. 이는 작업장에서 발생한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임시점검이 필요하다. 사후점검은 사고 발생 후에 실시하는 점검, 정기점검은 일정한 주기로 실시하는 점검, 특별점검은 특정한 상황에서 실시하는 점검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