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조경기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유토피아(Utopia) 라는 책을 집필함으로써 유토피아 계획에 영향을 미친 사람은?

  1. Alexander Pope
  2. Joseph Addison
  3. Richard Steele
  4. Thomas More
(정답률: 61%)
  • 유토피아(Utopia)라는 책을 집필한 사람은 Thomas More입니다. 이 책은 현실 세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상적인 사회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유토피아 계획에 대한 영감을 주었습니다. 따라서 Thomas More는 유토피아 계획에 영향을 미친 사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서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못은 대부분 방지형태를 취하였다.
  2. 초기에는 제향중심의 공간구성을 이루었다.
  3. 서원에 식재되는 수목은 매우 한정적이었다.
  4. 점경불은 완상적 효과보다는 기능성에 의해 도입되었다.
(정답률: 46%)
  • "초기에는 제향중심의 공간구성을 이루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초기 서원은 제향중심이 아닌, 경전 중심의 공간구성을 이루었다. 이는 서원이 경전을 중심으로 학문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의 사찰 배치도는 1탑 1금 당식의 전형적인 배치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사찰의 배치는 연지가 있고 중문, 5층 석탑, 금당, 강당이 차례로 놓여 져 있고 회랑으로 둘러져 있다. 이 사찰은?

  1. 미륵사
  2. 황룡사
  3. 정릉사
  4. 정림사
(정답률: 61%)
  • 이 사찰의 배치는 중국의 톈진성에 위치한 정림사의 배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정답은 "정림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정원의 공간구성을 알 수 있는 옛 그림이 존재하지 않는 곳은?

  1. 강진 다산초당
  2. 담양 소쇄원
  3. 함안 무기연당
  4. 담양 명옥헌
(정답률: 53%)
  • 담양 명옥헌은 정원의 공간구성을 알 수 있는 옛 그림이 존재하지 않는 곳입니다. 이유는 명옥헌이 일제강점기에 소실되어 그림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도시 공원체계(metropolitan park system)」중 가장 최초의 것으로 도시공원화 운동에 기여한 것은?

  1. 시카고의 도시공원체계
  2. 뉴욕의 도시공원체계
  3. 보스톤의 도시공원체계
  4. 로스엔젤레스의 도시공원체계
(정답률: 54%)
  • 보스톤의 도시공원체계는 19세기 말에 시작된 도시공원화 운동에서 가장 최초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체계는 1875년에 설립된 "보스톤 공원 위원회"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해 보스톤 시내에 있는 여러 공원들이 하나의 체계로 통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보스톤 시민들은 도시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원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이후 다른 대도시들도 보스톤의 모델을 따라 도시공원체계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다리 중 사용재료가 다른 하나는?

  1. 선암사 숭선교
  2. 세연정 비홍교
  3. 광한루 오작교
  4. 향원정 취향교
(정답률: 57%)
  • 다른 다리들은 모두 지명이나 장소명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지만, "향원정 취향교"는 사용재료인 "취향"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기 때문에 다른 다리들과는 사용재료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백제시대의 궁남지의 조성연대와 기록된 문헌이 모두 옳은 것은?

  1. 개로왕 31년(서기 630 년), 삼국사기
  2. 개로왕 35년(서기 634년), 삼국유사
  3. 무왕 31년(서기 630년), 동사강목
  4. 무왕 35년(서기 634 년), 삼국사기
(정답률: 67%)
  • 백제시대 궁남지의 조성연대와 기록된 문헌이 모두 옳은 것은 "무왕 35년(서기 634 년), 삼국사기"입니다. 이유는 삼국사기가 백제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무왕 35년은 삼국사기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록들은 연도가 다르거나 다른 문헌에서 발췌된 것이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정자의 평면 모양이 부채꼴인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경복궁의 향원정, 이화원의 곽여정
  2. 봉화의 청암정, 피서산장의 수심사
  3. 소쇄원의 광풍각, 북해의 경청제
  4. 창덕궁의 관람정, 졸정원의 여수동좌헌
(정답률: 80%)
  • 정자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나 다각형 모양이지만, "창덕궁의 관람정, 졸정원의 여수동좌헌"은 부채꼴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정자의 한쪽 면이 직각이고 다른 한쪽 면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부채꼴 모양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중국의 원림조성과 관련된 저서가 아닌 것은?

  1. 이어의 한정우기
  2. 계성의 원야
  3. 문진형의 장물지
  4. 박흥생의 촬요신서
(정답률: 72%)
  • 정답은 "박흥생의 촬요신서"입니다. 이 책은 중국의 원림조성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라, 한국의 식물학자 박흥생이 쓴 식물학 관련 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침전조 정원 어느 곳에 대한 설명인가?

  1. 야라미즈
  2. 동대
  3. 조전
  4. 차사
(정답률: 59%)
  • 이 곳은 "침전조 정원"으로, 보기 중 "조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원(Park)의 어원적 의미와 가장 관련이 깊은 조경공간은?

  1. 수도원
  2. 과수원
  3. 공중정원
  4. 수렵장
(정답률: 70%)
  • 공원의 어원적 의미는 "수렵장"이다. 이는 과거 귀족들이 사냥을 하기 위해 마련한 장소였으며, 이후에는 대중들이 산책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가장 관련이 깊은 조경공간은 "수렵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원 내에 만든 가산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 진주 용호정
  2. 아미산(峨嵋山) - 경복궁 교태전의 후원
  3. 만세산(萬歲山) - 연산군이 경회루에 조성
  4. 수미산(須彌山) - 백제의 노자공이 일본 계리궁 뜰에 만든 것
(정답률: 41%)
  • 수미산은 일본 계리궁과 관련이 있지만, 정원 내에 만든 가산이라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르네상스시대 알베르티 (Albeπi)의 부지선정 요소가 아닌 것은?

  1. 배수(排水)
  2. 풍향(風向)
  3. 수원(水源)
  4. 수림(樹林)
(정답률: 61%)
  • 알베르티의 부지선정 요소 중에는 배수, 풍향, 수원이 포함되어 있지만, 수림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알베르티가 건축물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변 환경과 건축물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한 요소들 중 하나였기 때문입니다. 수림은 건축물의 위치와는 관련이 적은 요소로, 알베르티가 부지선정에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벌 막스(Burle Mar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남미의 향토식물을 조경수로 활용하였다.
  2. 열대경관을 새롭게 주목받게 하였다.
  3. 20C의 바로크, 도시미화적 표현가로 평가된다.
  4. 풍부한 색체, 지피류와 포장 그리고 물을 통한 패턴을 창작하였다.
(정답률: 70%)
  • 벌 막스는 20C의 바로크, 도시미화적 표현가로 평가되지 않는다. 그는 조경 디자이너로서 남미의 향토식물을 조경수로 활용하고 열대경관을 새롭게 주목받게 하며, 풍부한 색체, 지피류와 포장 그리고 물을 통한 패턴을 창작하는 등의 업적으로 유명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본 에도시대는 여러 정원의 형식들을 종합하여 회유식(回遊式) 정원이 완성된 시기였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정원은?

  1. 계리궁(桂離宮), 수학원이궁(修學院離宮)
  2. 대덕사(大德寺), 후락원(後樂園)
  3. 대선원(大仙院), 영보사(永保寺)
  4. 서방사(四芳寺), 서천사(瑞泉寺)
(정답률: 80%)
  • 계리궁과 수학원이궁은 일본 에도시대에 완성된 회유식 정원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회유식 정원은 여러 형식의 정원을 종합하여 만든 것으로, 둘러싸고 있는 건물이나 산경 등을 배경으로 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계리궁과 수학원이궁은 각각 토요토미 후사마와 후쿠다와 노부히데가 건립한 정원으로, 아름다운 연못과 다양한 식물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전라북도 남원에 있는 ‘광한루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황희(黃喜)가 세운 광통루(廣通樓)가 그 전신이다.
  2. 광한루(廣寒樓)라는 이름은 전라감사 정철(鄭澈)이 지은 것이다.
  3. 오작교는 장의국(張義國)이 남원부사로 있을 떄 만든 것이다.
  4. 광한루 앞의 큰 못에는 3개의 섬이 있고 오작교 서쪽의 작은 못에는 1개의 섬이 있다.
(정답률: 50%)
  • "황희(黃喜)가 세운 광통루(廣通樓)가 그 전신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광한루원은 황희가 세운 광통루를 개조하여 만든 것이 아니라, 전라감사 정철이 새로 지은 건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설명과 일치하는 조경 공간은?

  1. 상림원(上林苑)
  2. 화림원(華林園)
  3. 온천궁(溫泉宮)
  4. 구성궁(九成宮)
(정답률: 77%)
  • 상림원은 사적 제401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왕실 정원으로, 경복궁 내부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공간은 조선시대 왕실의 휴식과 문화 생활을 위해 조성되었으며, 다양한 나무와 꽃들이 심어져 있어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워싱턴, 파리 등의 도시계획 구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 프랑스의 베르사이유(versailles) 궁전
  2. 중국의 원명원(圓明園)
  3. 미국의 센트럴 파크(Central Park)
  4. 이탈리아의 빌라 랑테(Villa Lante)
(정답률: 48%)
  • 프랑스의 베르사이유 궁전은 루이 14세가 건립한 궁전으로, 그의 권력과 위상을 상징하는 건축물이었습니다. 이 궁전은 대규모 정원과 대형 연못, 그리고 대관령과 같은 대형 축조물들로 이루어져 있어, 도시계획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후 유럽의 다른 국가들도 베르사이유 궁전을 모방하여 대규모 정원과 대형 축조물을 건축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영향력으로 인해, 베르사이유 궁전은 도시계획 구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클로이스터 가든(Cloister Garden)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흉벽이 있는 중정
  2. 원로의 중심에는 커넬 배치
  3. 교회건물의 남쪽에 위치한 네모난 공지
  4. 두 개의 직교하는 원로에 의한 4분할
(정답률: 62%)
  • 클로이스터 가든은 교회 건물과 연결된 중정으로, 원로가 두 개 직교하여 4분할되어 있고, 교회 건물의 남쪽에 위치한 네모난 공지가 있는 곳입니다. 따라서, "원로의 중심에는 커넬 배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통담장 조영에 있어 벽돌, 기와 등으로 구멍이 뚫어지게 쌓는 담은?

  1. 분장(粉牆)
  2. 곡장(曲墻)
  3. 화문장(花紋牆)
  4. 영롱장(玲瓏牆)
(정답률: 60%)
  • 영롱장은 벽돌이나 기와 등으로 구멍이 뚫어진 담으로, 햇빛이 비추면서 아름다운 빛깔이 돋보이기 때문에 영롱장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대상지역의 기후에 관한 조사는 계획구역이 속한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에 관한 조사와 계획구역 내에 국한된 미기후에 관한 조사로 나누어진다. 다음 중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이 아닌 것은?

  1. 강우량
  2. 태양열
  3. 공기유통
  4. 안개ㆍ서리 피해지역
(정답률: 71%)
  • 정답: 강우량

    설명: 강우량은 기후와 관련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은 아니다. 미기후란 일반적인 기후와는 다른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기후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안개나 서리가 자주 일어나는 지역이나 태풍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등이 미기후에 해당한다. 따라서, 강우량은 일반적인 기후 조사에 해당하며,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인 에너지 절약형 녹지계획 원리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수목차양에 의한 냉난방 에너지 절약효과가 가장 큰 식재 방위는 동향이다.
  2. 차양과 무관한 건물의 북향, 동북향 및 서북향에는 낙엽수와 상록수를 밀식하여 증발산 효과를 최대화 한다.
  3. 난방기간이 긴 중부지방에서는 건물의 남향식재는 난방에너지 요구를 가중시키므로 차양수목의 식재를 회피해야 한다.
  4. 잔디공간은 꼭 필요한 용도 이외에 축소하고, 자연산림에서 볼 수 있는 자생초화류, 관목, 교목으로 구성되는 다층군식의 녹지경관을 조성하여 증발산 및 한풍감속 효과를 증진한다.
(정답률: 55%)
  • 수목차양은 건물 주변의 나무들이 바람을 막아주어 냉난방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수목차양에 의한 냉난방 에너지 절약효과가 가장 큰 식재 방위는 동향이다."는 일반적인 에너지 절약형 녹지계획 원리에 적합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문항은 오류 신고가 잘못 접수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연공원법』상의 공원용도지구 중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완충공간(緩衝空間)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은?

  1. 공원집단시설지구
  2. 공원자연환경지구
  3. 공원밀집취락지구
  4. 공원문화유산지구
(정답률: 77%)
  • 공원자연환경지구는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구로,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완충공간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이 지구가 공원용도지구 중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완충공간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 지정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단지계획 시 접근로(계획도로)의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적인 경관을 고려하여 장소에 따라 시야를 제한하거나 넓혀주어 변화를 준다.
  2. 도로형태를 자연지형에 따르게 하고, 불필요한 수목들은 제거함으로써 시야를 넓혀 준다.
  3. 가능한 범위 내에서 차도의 폭을 넓히고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해 안전한 보행을 도모한다.
  4. 오픈 스페이스의 일부분을 도로변에 형성시켜 운전자가 녹화된 주택지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35%)
  • "가능한 범위 내에서 차도의 폭을 넓히고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해 안전한 보행을 도모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차도의 폭을 넓히고 회전 반경을 크게 하는 것은 차량의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오히려 차량의 속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특이성비를 이용한 Leopold의주된 접근방법은?

  1. 현상학적 접근방법
  2. 경관자원적 접근방법
  3. 인간행태적 접근방법
  4. 경제학적 접근방법
(정답률: 49%)
  • Leopold의 주된 접근방법은 경관자원적 접근방법이다. 이는 자연환경을 경관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이 인간의 이익과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접근방법이다. 이를 위해 인간의 경제활동과 자연환경의 보존을 조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며, 특이성비를 이용하여 자연환경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특정 원인에 의한 녹지의 설치허가신청시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지정신청서 및 실시계획인가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사설계서
  2. 녹지의 관리방법을 기재한 서류
  3. 녹지의 규모 및 공사비 내역서
  4. 사용 또는 수용되는 토지나 건물의 소재지ㆍ지번ㆍ지목 및 소유권 이외 권리의 명세서
(정답률: 39%)
  • 녹지의 규모 및 공사비 내역서는 특정 원인에 의한 녹지의 설치허가신청시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지정신청서 및 실시계획인가신청서에 첨부해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녹지의 설치와 관련된 사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녹지의 설치와 관련된 서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른 도시공원의 점용허가를 위한 구체적 기준이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경찰관파출소는 소공원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것
  2. 전선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하에 설치할 것
  3. 경찰관파출소의 건축면적(연면적을 말한다)은 116m2이하가 되도록 할 것
  4. 변전소는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지상에 설치할 것
(정답률: 78%)
  • "경찰관파출소의 건축면적(연면적을 말한다)은 116m2이하가 되도록 할 것"은 틀린 기준입니다. 실제로는 "도시공원 면적의 1% 이내로 건축할 것"이라는 기준이 적용됩니다.

    이유는 도시공원은 시민들이 쉬고 놀기 위한 공간으로, 공원 내에 건축물이 많아지면 공원의 원래 목적과 느낌을 상실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찰관파출소도 가능한 작은 크기로 설치하여 공원의 느낌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역 중 녹지지역의 세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보전녹지지역
  2. 공원녹지지역
  3. 생산녹지지역
  4. 자연녹지지역
(정답률: 47%)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녹지지역은 보전녹지지역, 공원녹지지역, 생산녹지지역, 자연녹지지역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중 공원녹지지역은 다른 세분류와 달리 대중이 쉽게 출입하여 휴식, 문화, 레크리에이션 등을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세분류와는 달리 대중의 이용이 목적인 지역이기 때문에, 용도지역 중 녹지지역의 세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자연공원’의 폐지나 그 구역의 축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천재지변으로 인해 자연공원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2. 정부출연기관의 기술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3. 군사상 또는 공익상 불가피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4. 공원구역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자연공원으로 존치시킬 필요가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정답률: 55%)
  • 정부출연기관의 기술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는 자연공원의 폐지나 축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정부출연기관의 기술개발이 국가적인 이익을 위한 것으로 판단되어 자연공원의 보호와 국가적 이익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생태체헙사업의 종류 중 「자연생태 체험사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생태체험사업을 위한 주민지원
  2. 공원 내 갯벌, 사구, 연안습지, 섬 등 해양 생태계 관찰활동
  3.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 탐방 및 멸종위기 동식물의 보건ㆍ복원 현장 탐방
  4. 우수 경관지역, 식물군락지, 아고산대, 하천, 계곡, 내륙습지 등 육상생태계 관찰활동
(정답률: 57%)
  • 정답: "생태체험사업을 위한 주민지원"은 자연생태 체험사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설명: 자연생태 체험사업은 주로 자연환경에서의 체험활동을 통해 자연생태에 대한 이해와 보호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생태체험사업을 위한 주민지원"은 주민들의 생태체험에 대한 지원을 위한 것으로, 자연생태 체험사업의 범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자연환경에서의 체험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자연생태 체험사업의 범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미국조경가협회(ASLA)에서 정의하는 조경업무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monuments
  2. urban design
  3. infrastructure
  4. interior landscapes
(정답률: 53%)
  • ASLA에서 정의하는 조경업무의 유형은 "monuments", "urban design", "interior landscapes"이다. "Infrastructure"는 조경업무의 유형이 아니라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업무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자연환경보전법』상의 정의 중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생물자원
  2. 대체자연
  3. 자연유보지역
  4. 유사자원
(정답률: 63%)
  • 『자연환경보전법』에서 "대체자연"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원래의 자연환경이 파괴되어 대신하여 조성된 인공적인 자연환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물자원"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생물의 다양성과 관련된 용어이고, "자연유보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을 의미합니다. "유사자원"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자연환경 중 원래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방형구를 이용한 식생조사방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형의 고저차에 따른 식생분포상태를 조사할 때 적용한다.
  2. 조사를 위한 최소 면적은 종류-면적곡선(species-area curve)에서 구한다.
  3. 조사구의 크기는 조사목적 및 대상으로 하는 식물군락의 성질에 따라 다르다.
  4. 방형구 조사법은 식물군집을 대표하는 식분내에서의 방형구 배치방법에 따라 무작위 방형구법과 주관적 방형배치법이 있다.
(정답률: 67%)
  • "지형의 고저차에 따른 식생분포상태를 조사할 때 적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형구를 이용한 식생조사법은 지형의 고저차에 따른 식생분포상태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조사구 내에서 식물군집을 대표하는 식분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환경영향평가법』에서 정하는 환경영향평가 항목은 자연생태환경, 대기환경, 수환경, 토지환경, 생활환경, 사회환경ㆍ경제환경 분야로 구분된다. 이 중「생활환경 분야」의 평가 세부사항에 해당 하는 것은?

  1. 인구
  2. 위락ㆍ경관
  3. 주거
  4. 토양
(정답률: 54%)
  • 생활환경 분야에서 평가하는 세부사항 중 "위락ㆍ경관"은 주변 환경이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쾌적한 느낌과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구, 주거, 토양과는 다른 개념으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환경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980년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뉴어바니즘(New Urbanism)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통적인 근린주구 방식을 지향한다.
  2. 도시외곽은 고밀화 방식을 지향한다.
  3. 환경친화적인 도시미화운동을 지향한다.
  4. 걷고 싶은 보행환경 구축을 지향한다.
(정답률: 71%)
  • 정답: "도시외곽은 고밀화 방식을 지향한다."

    뉴어바니즘은 도시를 인간 중심적으로 재구성하고, 도시계획과 건축 디자인을 통해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자동차 중심의 도시를 개선하려는 운동이다. 이에 따라 도시외곽 지역에서는 고밀화 방식을 지향하여 인구 밀도를 높이고, 대중교통을 개선하여 자동차 사용을 줄이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도시외곽에서는 전통적인 근린주구 방식보다는 고밀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행락계획에서 고려하는 생태적 수용력이 아닌 것은?

  1. 동물에 영향이 없는 정도의 행락이용 수준
  2. 식물에 영향이 없는 정도의 행락이용 수준
  3. 토양 및 수질에 영향이 없는 정도의 행락이용 수준
  4. 행락경험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정도의 행락 이용 수준
(정답률: 74%)
  • 행락계획에서 고려하는 생태적 수용력이 아닌 것은 "행락경험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정도의 행락 이용 수준"입니다. 이는 생태적인 측면이 아닌, 인간의 행복과 만족도를 고려한 측면입니다. 따라서 이는 생태적 수용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시ㆍ군계획 수립 대상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 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그 지역을 체계적ㆍ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관리계획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광역도시계획
  2. 도시ㆍ군기본계획
  3. 지구단위계획
  4. 상세지구계획
(정답률: 61%)
  • 지구단위계획은 도시ㆍ군계획 수립 대상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 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그 지역을 체계적ㆍ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관리계획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광역도시계획은 광역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계획, 도시ㆍ군기본계획은 도시ㆍ군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계획, 상세지구계획은 특정 지역의 상세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옥상녹화 시 기존 설비 외에 추가로 식물생육과 관련하여 고려할 물(水 )처리방식은?

  1. 저수
  2. 방수
  3. 관수
  4. 배수
(정답률: 55%)
  • 식물 생육을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옥상녹화 시에는 식물에게 충분한 양의 물을 제공하기 위해 관수가 필요합니다. 관수는 물을 식물에게 직접 주는 것으로, 옥상녹화 시에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나 물을 배출하는 배수보다는 식물에게 직접 물을 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관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체육시설업 시설물 설치 및 부지 면적의 제한과 관련된 다음 자동차경주장업 설명의 ( )안에 알맞은 수치는?

  1. 2
  2. 4
  3. 6
  4. 10
(정답률: 46%)
  • 체육시설업의 시설물 설치 및 부지 면적의 제한은 "자동차경주장업"과 관련된 설명이 아니므로, 보기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어린이 공원의 설치기준은?

  1. 유치거리 250m 이하, 규모 1500m2 이상
  2. 유치거리 500m 이하, 규모 1000m2 이상
  3. 유치거리 250m 이하, 규모 500m2 이상
  4. 유치거리 500m 이하, 규모 2500m2 이상
(정답률: 56%)
  • 어린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거리인 유치거리를 250m 이하로 설정하고, 어린이들이 놀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규모를 1500m2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는 어린이들의 안전과 건강한 성장을 위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한국이나 중국에서 색을 오행(五行)에 비유하여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하였다. 다음 중 색과 오행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빨강 - 불(火)
  2. 노랑 - 흙(土)
  3. 검정 - 물(水)
  4. 파랑 - 쇠(金)
(정답률: 65%)
  • 정답은 "파랑 - 쇠(金)"이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색을 오행에 비유하여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한다. 이때, 빨강은 불(火), 노랑은 흙(土), 검정은 물(水)과 연결된다. 그리고 파랑은 나무(木)와 연결된다. 따라서, 오행 중 쇠(金)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본계획안 작성 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집행계획
  2. 시설물상세계획
  3. 하부구조계획
  4. 시설물배치계획
(정답률: 62%)
  • 기본계획안은 대략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므로, 구체적인 시설물 설계나 배치 등의 상세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설물상세계획은 기본계획안 작성 시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설계도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면도 : 수직적 공간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2. 배치도 : 계획의 전반적인 사항을 알기 위한 도면으로 시설물의 위치, 도로체계, 부지경계선 등을 표현
  3. 단면도 : 구조물 또는 대상지의 일부구간을 수직으로 잘라 내부 구조 및 공간구성을 표현한 도면
  4. 평면도 : 확대된 축척을 사용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재료, 공법, 치수 등을 자세히 기입한 도면
(정답률: 67%)
  • 정답이 없습니다. 모든 보기는 설계도의 종류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다만, 추가적인 설명으로 평면도는 건축물의 바닥면을 수평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입면도는 건축물의 입구나 출입구, 계단, 복도 등의 수직적인 공간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경관평가를 휘한 척도의 유형 중 사물 혹은 특성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측정하는 척도는?

  1. 명목척
  2. 순서척
  3. 등간척
  4. 비례척
(정답률: 60%)
  • 명목척은 사물이나 특성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측정하는 척도이다. 이는 단순히 분류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순서나 크기 등의 개념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명목척은 순서나 크기를 비교할 수 없는 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일시적 경관 또는 순간적 경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노루와 사슴이 물을 마시는 호숫가의 풍경
  2. 잔잔한 호수면에 비추어진 구름
  3. 잔디밭에 놓여 진 거대한 수석
  4. 저녁 노을이 불게 물든 호숫가
(정답률: 77%)
  • 잔디밭에 놓여진 거대한 수석은 경관이 아니라 물건이기 때문에 일시적 경관 또는 순간적 경관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잔디밭에 놓여진 거대한 수석은 크기와 모양이 독특하여 시선을 끌기 때문에 경관을 꾸미는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조경설계기준 중 체육공원의 기본설계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운동시설로는 체력단련시설을 포함한 3종 이상의 시설을 배치한다.
  2. 공원면적의 5~10는 다목적 광장으로, 시설전면적의 50~60%는 각종 경기장으로 배치한다.
  3. 운동시설은 공원 전면적의 80% 이내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며, 주축을 동-서 방향으로 배치한다.
  4. 공원면적의 30~50%는 환경보존녹지로 확보하며 외주부 식재는 최도 3열 식재 이상으로 하여 방풍ㆍ차폐 및 녹음효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공원면적의 5~10는 다목적 광장으로, 시설전면적의 50~60%는 각종 경기장으로 배치한다."입니다.

    체육공원의 기본설계 내용 중에는 운동시설을 공원 전면적의 80% 이내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며, 주축을 동-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는 체육시설의 효율적인 배치와 이용을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공원면적의 5~10는 다목적 광장으로, 시설전면적의 50~60%는 각종 경기장으로 배치한다."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체육공원의 기본설계 기준에서는 경기장의 비율을 명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위요된 공간에서 혼잡하다고 느낄 때,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공간의 구성으로 틀린 것은?

  1. 천정을 높인다.
  2. 적절한 칸막이를 만들어 준다.
  3. 외부공간으로 시선을 열어준다.
  4. 장방형의 공간을 정방형으로 만든다.
(정답률: 69%)
  • 장방형의 공간을 정방형으로 만드는 것은 오히려 공간을 더 혼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정방형으로 만들면 공간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더 혼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장방형의 공간을 정방형으로 만든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능선 간의 간격이 빠르고 완만한 리듬을 나타낸다.
  2. 완만한 지형은 부드럽고 감각적이며, 경직된 지형은 공간 내에 진취적이고 고조된 느낌을 부여 한다.
  3. 지형은 여하한 규모이든 경관의 미적특성과 리듬에 대해 직접 연관을 맺고 있다.
  4. 구릉성 산지 내에서의 계곡과 능선의 크기 및 폭은 경관의 지각적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74%)
  • "구릉성 산지 내에서의 계곡과 능선의 크기 및 폭은 경관의 지각적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지형의 크기와 폭은 경관의 지각적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다른 보기에서도 언급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설명중 이것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 옥상정원(roof garden)
  2. 모험놀이터(adventure playground)
  3. 수퍼그래픽(super graphic)
  4. 환경조각(environment sculpture)
(정답률: 56%)
  • 이것은 조각작품 중에서도 주로 공공장소나 건물 앞 등의 공간에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주차장의 주차단위구획에 관한 기준 중 「평행주차형식 이외의 장애인전용」의 규격은?

  1. 너비 1.0m 이상, 길이 2.3m 이상
  2. 너비 3.3m 이상, 길이 5.0m 이상
  3. 너비 2.0m 이상, 길이 5.0m 이상
  4. 너비 2.3m 이상, 길이 5.0m 이상
(정답률: 73%)
  • 장애인용 주차구획은 보통 일반 주차구획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장애인이 차량에서 내리거나 타는 데에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너비 3.3m 이상, 길이 5.0m 이상의 규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과 같이 투상하는 방법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55%)
  • 이 그림은 두 개의 평행한 직선과 그것들과 수직인 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직각삼각형을 보여준다. 이 때, 제1각법은 "두 개의 수직선과 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직각삼각형에서, 밑변과 높이의 길이를 알면 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밑변과 높이의 길이가 주어져 있으므로, 제1각법을 이용하여 이 직각삼각형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조경설계기준 상의 다음 설명 중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식재기반
  2. 특수지반
  3. 인공지반
  4. 원지반
(정답률: 57%)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지형은 산악 지형으로, 식재를 통해 지형 안정화와 토양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식재기반"이 정답이다. "특수지반"은 지반 조성물질의 특성이나 지반 내부의 특수한 형태를 가진 지반을 의미하며, "인공지반"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지반을 의미한다. "원지반"은 지반의 원래 형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표는?

  1. 용적률
  2. 입면차폐도
  3. 건축물 높이
  4. 가구(街區)크기
(정답률: 64%)
  • 가구(街區)크기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지표이다. 가구크기는 도시 내에서 구획을 나누는 단위로, 도시 계획 및 토지 이용 계획 등에 사용되는 지표이다. 따라서 스카이라인 형성과는 관련이 없다. 반면, 용적률, 입면차폐도, 건축물 높이는 모두 건축물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지표로, 스카이라인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헤링의 반대색설의 4색을 기본으로 만들었다.
  2. 노랑과 남색, 빨강과 청록의 그 중간 색상을 배열하여 8색으로 만들었다.
  3. 우측 회전순으로 번호를 붙이 24색을 만들었다.
  4. 최종적으로 100색상을 사용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최종적으로 100색상을 사용한다." 이다. 오스트발트 색상환은 24색상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100가지 이상의 색상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시간성과 속도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높은 명도의 밝은 색이 느리게 움직이는 것으로 느껴진다.
  2. 높은 채도의 맑은 색은 속도감이 빠르게, 낮은 채도의 칙칙한 색은 느리게 느껴진다.
  3. 장파장 계열은 시간이 길게 느껴지고, 속도감에서는 반대로 빨리 움직이는 것 같이 지각된다.
  4. 주황색 선수 복장은 속도감이 높아져 보여 운동경기 시 상대편을 심리적으로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65%)
  • "높은 명도의 밝은 색이 느리게 움직이는 것으로 느껴진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색의 명도와 움직임의 느낌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색의 밝기와 속도감은 서로 독립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 표제란의 구성 시 표기되어야 할 것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공사명
  2. 예정공정
  3. 도면 작성일
  4. 축척
(정답률: 74%)
  • 예정공정은 도면 표제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 표제는 해당 도면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예정공정은 공사 진행 상황과 관련된 정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정공정"은 도면 표제에 포함되어서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빈칸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맞게 연결한 것은?

  1. A : 식별성, B : 유목성, C : 시인성
  2. A : 유목성, B : 가독성, C : 식별성
  3. A : 정성성, B : 상징성, C : 시인성
  4. A : 시인성, B : 유목성, C : 식별성
(정답률: 55%)
  • 이미지의 주요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먼저 이미지의 주제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시인성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미지 내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식별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미지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요소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유목성으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시인성, B : 유목성, C : 식별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리튼(Litton)의 7가지 산림경관 유형 중 지형이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관찰자가 강한 인상을 받게 되고 경관의 지표가 되는 것은?

  1. feature landscape
  2. panoramic landscape
  3. enclosed landscape
  4. focal landscape
(정답률: 51%)
  • 정답은 "feature landscape"입니다. 이유는 이 유형은 지형이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관찰자가 강한 인상을 받게 되고 경관의 지표가 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anoramic landscape"는 넓은 전망을 가지고 있고, "enclosed landscape"는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경관을 의미하며, "focal landscape"는 특정한 지점이나 요소에 초점을 맞춘 경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를 설계하고자 할 때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적용한다.)

  1. 가로수는 지면에서 2.1미터까지 가지치기를 하여야 한다.
  2. 접근로의 기울기는 10분의 1이하로 하여야 한다.
  3. 휠체어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접근로의 유효폭은 1.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접근로와 차도의 경계부분에는 연석ㆍ울타리 기타 차도와 분리할 수 있는 공작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접근로의 기울기는 10분의 1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기준이다. 이유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경사로를 오를 때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면 오르지 못하거나 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근로의 기울기는 10분의 1 이하로 설계하여 휠체어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이 도형의 한쪽이 튀어나와 보여서 입체로 지각되는 착시현상은?

  1. 대비의 착시
  2. 반전 실체의 착시
  3. 착시의 분할
  4. 방향의 착시
(정답률: 61%)
  • 이 그림은 반전 실체의 착시입니다. 이는 도형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평면상에 그려진 도형이지만 반전된 모습으로 인해 입체적으로 보이는 착시 현상입니다. 이는 우리 뇌가 도형의 입체적인 형태를 인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다음 각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양목 : 상록수이며 전정에 강하여 토피아리로 이용한다.
  2. 머나무 : 자웅이주이며 붉은 열매가 열린다.
  3. 송악 : 과명은 포도과이며 상록활엽만경목이다.
  4. 붓순나무 : 열매는 골돌과, 6 ~ 12개의 삭편이 바람개비처럼 배열된다.
(정답률: 60%)
  • "송악 : 과명은 포도과이며 상록활엽만경목이다."가 옳은 이유는 송악은 포도과에 속하며 상록활엽수로서 겨울철에도 녹색잎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회양목 : 상록수이며 전정에 강하여 토피아리로 이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머나무 : 자웅이주이며 붉은 열매가 열린다."는 옳은 설명이다.

    "붓순나무 : 열매는 골돌과, 6 ~ 12개의 삭편이 바람개비처럼 배열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녹음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녹음용 수목은 수관폭이 넓을수록 좋다.
  2. 풍부한 녹음을 위해서는 낙엽활엽수보다 상록활엽수가 좋다.
  3. 휴식 및 이용공간의 녹음수는 답압에 잘 견디는 수종이 좋다.
  4. 녹음용 수목은 주로 그늘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하고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교목이 적합하다.
(정답률: 68%)
  • "풍부한 녹음을 위해서는 낙엽활엽수보다 상록활엽수가 좋다."가 가장 부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녹음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재질과 구조이기 때문에 수목의 종류보다는 해당 나무의 성장환경과 상태가 녹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따라서 상록활엽수가 항상 녹음에 좋은 것은 아니며, 각 나무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적합한 나무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종자의 품질을 알아보기 위해 순정종자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종자시료 100g 중에서 순정종자는 50g 이었다. 또한 임의로 160 개의 순정종자만을 골라 발아를 시켜보았더니 80개가 발아하였다. 그렇다면 종자의 효율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5%
  2. 50%
  3. 75%
  4. 80%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동차 배기가스에 약한 수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향나무, 은행나무, 녹나무
  2. 측백나무, 태산목, 벽오등
  3. 소나무, 단풍나무, 튤립나무
  4. 석류나무, 양버즘나무, 무궁화
(정답률: 50%)
  • 자동차 배기가스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이산화탄소는 광합성 작용을 하는 나무에게는 영양분으로 작용하지만, 일부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못하고 오히려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자동차 배기가스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에 약한 나무들입니다. 따라서, "소나무, 단풍나무, 튤립나무"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약한 나무들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에 속하는 식물종이 아닌 것은?

  1.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2.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3. 나도풍란(Aerdes japonicum)
  4. 매화마름(Ranunculus kazusensis)
(정답률: 42%)
  • 매화마름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에 속하는 식물종이 아닙니다. 이유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에 속하는 식물종은 국내에서 자생하지 않고, 국외에서만 자생하는 식물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매화마름은 국내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조경수목의 규격표시와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고(H)는 근원부에서 수관의 최상단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하며, 도장지를 포함한다.
  2. 수관폭(W)은 타원형 수관의 경우 가장 넓은 부분의 길이로 한다.
  3. 흉고직경(B)은 지상에서 1.2m 높이 부위의 굵기를 말하며, 쌍간일 경우에는 합친 값의 0.7배로 한다.
  4. 수관길이(L)는 수관의 평균길이를 말한다.
(정답률: 60%)
  • 흉고직경(B)은 나무의 굵기를 나타내는데, 이는 지상에서 1.2m 높이 부위의 굵기를 말합니다. 만약 쌍간일 경우에는 두 나무의 굵기를 합친 값의 0.7배로 표시합니다. 이는 나무의 굵기를 표시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옥상조경에 사용되는 경량재(輕量材) 토양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화산모래는 다공질로서 통기성, 투수성이 좋다.
  2. 펄라이트는 염기성치환용량이 커서 보비성이 크다.
  3. 버미큘라이트는 흑운모, 변성암을 고온으로 소성한 것으로 보수성, 통기성, 투수성이 좋다.
  4. 피트모스는 한랭한 습지의 갈대나 이끼가 흙속에서 탄소화 된 것으로 보수성, 투수성, 통기성이 좋고, 산도가 높다.
(정답률: 54%)
  • "펄라이트는 염기성치환용량이 커서 보비성이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펄라이트는 알루미늄과 철분 등의 금속이 결합한 미량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염기성치환용량이 높아 보비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팽나무의 학명은?

  1. Zelkova serrata
  2. Ulmus davidiana
  3. Celtis sinensis
  4. Aphananthe aspera
(정답률: 60%)
  •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종으로, 학명은 Celtis sinensi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목의 개화결실 촉진기술로 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절목법
  2. 환상박피
  3. 콜히친 처리
  4. 지베렐린 처리
(정답률: 54%)
  • 콜히친 처리는 수목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개화결실 촉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절목법, 환상박피, 지베렐린 처리는 개화결실 촉진에 효과적인 기술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비료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4%)
  • 단자엽식물은 잎이 하나씩 나오고, 쌍자엽식물은 잎이 쌍으로 나온다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하지만 "㉣"은 "쌍자엽식물은 꽃잎과 꽃받침이 4개 또는 그의 배수로 나타나는 반면, 단자엽식물은 3개 또는 그의 배수로 나타난다"는 내용이 옳지 않다. 쌍자엽식물 중에는 꽃잎과 꽃받침이 5개인 종류도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도시 생태계의 일반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생태계 구조의 단순화
  2. 잡식성 동물종의 우점도 증가
  3. 귀화식물 등 불건전한 특유의 종 출현
  4. 원에종 위주의 증가로 생물종 다양성 증가
(정답률: 64%)
  • 원에종 위주의 증가는 특정한 한 종이 지배적으로 증가함을 의미하며, 이는 생물종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이는 도시 생태계의 일반적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자생수종의 장점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주변의 지형 및 식생과 잘 어울린다.
  2. 향토의 환경에 잘 적응되어 있다.
  3. 식재 후 유지 및 관리 비용이 적게 든다.
  4. 항상 묘목의 구입이 용이하다.
(정답률: 73%)
  • "항상 묘목의 구입이 용이하다."는 자생수종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이유는 자생수종은 야생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인공적으로 번식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묘목으로 구입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부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잎의 형태가 다른 하나는?

  1. Ailanthus altissima
  2. Melia azedarach
  3. Euodia daniellii
  4. Phellodendron amurense
(정답률: 25%)
  • 정답은 "Melia azedarach"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홀수 번 갈래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지만, Melia azedarach는 홀수 번 갈래모양의 잎과 함께 짝수 번 갈래모양의 잎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을철에 붉은색으로 단풍이 드는 수종이 아닌 것은?

  1. Rhus tricocarpa
  2. Prunus sargentii
  3. Acer pictum subsp mono
  4. Diospyros kaki
(정답률: 51%)
  • "Acer pictum subsp mono"는 가을철에 붉은색으로 단풍이 드는 수종이지만, "Rhus tricocarpa", "Prunus sargentii", "Diospyros kaki"는 가을철에 붉은색으로 단풍이 드는 수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블라운 블랑케(Braun-Blanquet)의 식생조사법에서 교목림의 조사면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50 ~ 100m2
  2. 150 ~ 500m2
  3. 500 ~ 1000m2
  4. 1000 ~ 2000m2
(정답률: 43%)
  • 블라운 블랑케 식생조사법에서 교목림의 조사면적은 해당 지역의 식생을 대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50 ~ 100m2는 너무 작아서 대표성이 부족하고, 1000 ~ 2000m2는 너무 크기 때문에 조사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500 ~ 1000m2는 교목림의 면적이 너무 크기 때문에 대표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50 ~ 500m2가 가장 적당한 조사면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도심지 내 쾌적한 환경을 창출하기 위한 소생물권(Biotope) 확보를 위한 방안이 아닌 것은?

  1. 야생 조류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식이식물을 배식한다.
  2. 도심지 하천의 둔치에는 수목만으로 배식해야 한다.
  3.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을 많이 이용하여 배식해야 한다.
  4. 하천이 가진 고유의 역할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굴곡이나 수심이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한다.
(정답률: 72%)
  • 도심지 하천의 둔치에는 수목만으로 배식해야 한다. - 이유: 다양한 식물과 생물들이 서식하는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들이 함께 존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생태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과거의 개체적인 레벨에서 벗어나 조경식재에 생태학적 사고방식을 도입하여 식재하는 수법은?

  1. 군락식재
  2. 사실식재
  3. 기교식재
  4. 자유식재
(정답률: 45%)
  • 군락식재는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군락을 기반으로 식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순히 개별적인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들이 함께 자라며 생태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생태계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공적으로 조성된 식생이 자연적인 생태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학적 사고방식을 도입하여 식재하는 수법 중에서 군락식재가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우리나라 마을의 정자목으로 사용되는 수종이 아닌 것은?

  1. Sophora japonica
  2. Zelkova serrata
  3. Campsis grandifolia
  4. Celtis sinensis
(정답률: 57%)
  • "Campsis grandifolia"는 마을의 정자목으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덩굴식물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나무나 큰 관목으로서 정자목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극양수이고, 도시공해에 약하다.
  2. 수관이 치밀하여 녹음이 좋기 때문에 녹음수로 적당하다.
  3. 잎은 낙엽성으로 삼각상 난형이고,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4. 아름다운 흰 수피를 지녀 조경공간에 대비 효과를 줄 수 있다.
(정답률: 54%)
  • "수관이 치밀하여 녹음이 좋기 때문에 녹음수로 적당하다."는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의 설명과 관련이 없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는 극양수이고, 도시공해에 약하며, 잎은 낙엽성으로 삼각상 난형이고, 치아상의 거치가 있으며, 아름다운 흰 수피를 지니며 조경공간에 대비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떤 산지시험 Plot당 개체수가 각 50개체이고, 각 Plot에서 임의로 2개체씩 모두 10개체를 택하는 추출방법은?

  1. 계통추출법
  2. 층화표본추출법
  3. 단순표본추출법
  4. 집략표본추출법
(정답률: 34%)
  • 이 추출방법은 층화표본추출법이다. 층화표본추출법은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각 Plot이라는 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층에서 무작위로 2개체씩 모두 10개체를 추출하는 것이므로 층화표본추출법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벽돌쌓기, 블록쌓기 등 조적공사에 적용되는 규준틀은?

  1. 세로규준틀
  2. 수평규준틀
  3. 귀규준틀
  4. 평규준틀
(정답률: 49%)
  • 조적공사에서 벽돌이나 블록을 쌓을 때, 일정한 간격과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준틀 중에서 세로규준틀은 수직 방향으로 벽돌이나 블록을 쌓을 때 사용하는 규준틀이다. 따라서, 세로규준틀은 벽돌이나 블록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수직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조경수목의 흉고직경 측정방식에 있어 줄기가 둘 이상일 경우 측정방식으로 옳은 것은?

  1. 각 수간의 흉고직경의 합계를 규격으로 채택 한다.
  2. 각 수간의 흉고직경을 합한 값의 평균치를 규격으로 채택한다.
  3. 각 수간의 흉고직경 합의 50%가 그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보다 작을 때는 최소 흉고직경을 그 수목의 흉고직경으로 한다.
  4. 각 수간의 흉고직경 합의 70%가 그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보다 클 때는 흉고직경 합의 70%를 기준으로 채택한다.
(정답률: 57%)
  • 각 수간의 흉고직경 합의 70%가 그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보다 클 때는 흉고직경 합의 70%를 기준으로 채택한다. 이유는 여러 줄기가 있을 경우, 각 줄기의 흉고직경을 합한 값이 최대 흉고직경보다 크면 그 합의 70%를 기준으로 채택하는 것이 더 정확한 측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여러 줄기가 있을 때, 하나의 줄기로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주로 토공사용으로 활용되는 장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bull dozer
  2. scraper
  3. grader
  4. truck crane
(정답률: 49%)
  • "Truck crane"은 주로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며, 다른 보기들은 대부분 지면을 고르거나 평평하게 만드는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거리가 더 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원지반의 모래질흙 3000m3와 점질토 2000m3를 굴착하여 6m3 적재 덤프트럭으로 성토현장에 반입하고 다졌다. 다진 후의 성토량은 얼마인가? (단, 모래진흙: L=1.25, C=0.88, 점질토: L=1.30, C=0.99)

  1. 6350m3
  2. 5430m3
  3. 4620m3
  4. 4530m3
(정답률: 48%)
  • 성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성토량 = (반입량) x L x C

    따라서, 모래질흙의 성토량은 다음과 같다.

    (3000m3) x 1.25 x 0.88 = 3300m3

    점질토의 성토량은 다음과 같다.

    (2000m3) x 1.30 x 0.99 = 2574m3

    따라서, 총 성토량은 다음과 같다.

    3300m3 + 2574m3 = 5874m3

    하지만, 문제에서는 6m3 적재 덤프트럭으로 반입하고 다졌다고 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6m3 적재 덤프트럭으로 반입하고 다진 후에는, 총 반입량에서 6m3을 빼줘야 한다.

    따라서, 총 성토량은 다음과 같다.

    5874m3 - 6m3 = 5868m3

    하지만, 보기에서는 4620m3이 정답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문제에서 제시한 계산식과 다른 방법으로 계산한 것일 수도 있다.
  • L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C -> 다짐 후 토량이다.
    이 문제에선 다진 후의 성토량이 얼마인지 물었으므로
    정답은 3000 * 0.88 + 2000 * 0.99 = 462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설명하는 특징을 갖는 조명등은?

  1. 크세논램프
  2. 할로겐등
  3. 메탈할라이드등
  4. 고압나트륨등
(정답률: 62%)
  • 이 조명등은 노란빛을 내며, 높은 밝기와 효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고압나트륨등의 특징입니다. 크세논램프는 푸른빛을 내며, 할로겐등은 백색빛을 내지만 소비전력이 높습니다. 메탈할라이드등은 백색빛을 내지만 고압나트륨등보다는 소비전력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다.
  2. 자전거도로의 폭은 하나의 차로를 기준으로 1.5m 이상으로 한다.
  3. 자전거전용도로에서 자전거도로의 설계속도는 30 km/hr 이상으로 한다.
  4. 종단경사 7% 이상에서 제한길이는 200m 이하이다.
(정답률: 62%)
  • "종단경사 7% 이상에서 제한길이는 200m 이하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 규칙은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 및 시설 기준 중 하나로, 경사가 7% 이상인 구간에서는 자전거 이용의 안전성을 위해 제한길이를 200m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다. 이유는 경사가 급한 구간에서는 자전거를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길이를 제한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도로의 편경사 설치 목적과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편경사와 곡선반경은 비례한다.
  2. 도로의 곡선부에서 차량의 횡활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3. 가장 빈도가 많은 속도에 대해서 자중(自重)과 원심력의 합력이 노면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4. 도로 곡선부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한쪽으로 쏠러 승차감이 좋지 않은 것을 보정하여 준다.
(정답률: 54%)
  • 정답: "편경사와 곡선반경은 비례한다."가 틀린 것이다.

    편경사는 도로의 경사를 조절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다. 이는 도로의 곡선부에서 차량의 원심력과 자중력이 노면에 수직이 되도록 하여 차량의 횡활동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보정하여 주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편경사와 곡선반경은 비례하지 않는다. 곡선반경은 도로의 곡선의 길이와 중심각에 따라 결정되며,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도로의 곡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진도관리 곡선(S-curve, 바나나 곡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예정진도선의 위쪽은 상부허용한계를 아래쪽은 하부허용한계를 나타낸다.)

  1. 실시상태의 공정이 바나나곡선의 한계 내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공정을 조정해 나간다.
  2. A점은 예정보다 많이 진척되었으므로 경제적이다.
  3. B점은 예정진도와 비슷하므로 그대로 진행되어도 좋다.
  4. D점은 허용 한계선 상에 있으나 중점관리를 하여 공사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정답률: 64%)
  • A점은 예정보다 많이 진척되었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유는 예정보다 더 많은 진척을 보이는 A점은 예산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경제적인 선택이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계약 체결 절차의 흐름으로 옳은 것은?

  1. 공고 → 입찰 → 낙찰 → 계약
  2. 입찰 → 공고 → 낙찰 → 계약
  3. 공고 → 낙찰 → 입찰 → 계약
  4. 낙찰 → 공고 → 입찰 → 계약
(정답률: 72%)
  • 공사나 물품 등을 구매하기 위해 공고를 하고, 입찰자들이 입찰서를 제출하여 경쟁을 벌인 후, 가장 우수한 조건을 제시한 입찰자를 낙찰하고, 이후 계약서를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이므로 "공고 → 입찰 → 낙찰 → 계약"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상호관계만을 표현하는 파선 화살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작업(activity)
  2. 더미(dummy)
  3. 결합(event)
  4. 소요기간(duration)
(정답률: 65%)
  • 상호관계만을 표현하는 파선 화살표는 "결합(event)"이라고 한다. 이는 두 작업 간의 선후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시작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이 "더미(dummy)"인 이유는 더미는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일부 작업들의 선후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더미는 일종의 가상 작업으로, 실제로는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지만, 다른 작업들의 선후관계를 조정하여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비탈면의 소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횡단경사는 20 ~ 30% 정도가 일반적이다.
  2. 유수거리를 단축시켜 침식을 방지한다.
  3. 비탈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4. 비탈면 표면을 흘러내리는 유수의 수세를 약화시킨다.
(정답률: 51%)
  • "비탈면의 소단"이라는 용어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틀린 것이 없다.

    횡단경사는 20 ~ 30% 정도가 일반적인 이유는, 이 정도의 경사면에서는 물이 너무 빠르게 흐르지 않고, 동시에 너무 느리게 흐르지도 않기 때문에 유수거리를 단축시키면서도 침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탈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소단이 아니라 전반적인 비탈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탈면 표면을 흘러내리는 유수의 수세를 약화시키는 것도 맞지만, 이 역시 소단이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각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다음과 같을 때 195m 등고선 위의 토량을 평균단면법으로 구한 값은? (단, 등고선의 수치 단위는 m 이며, 정상은 평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1. 20000.8m3
  2. 25134.0m3
  3. 33295.8m3
  4. 50268.0m3
(정답률: 27%)
  • 195m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은 삼각형과 사다리꼴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각각 계산하여 더하면 해당 면적의 총합을 구할 수 있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1/2을 곱한 값이다. 삼각형의 밑변은 200m, 높이는 60m 이므로 면적은 6000m^2 이다.

    사다리꼴의 면적은 윗변과 아랫변을 더한 후 1/2을 곱한 값에 높이를 곱한 것이다. 윗변은 200m, 아랫변은 400m, 높이는 60m 이므로 면적은 18000m^2 이다.

    따라서 195m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총합은 24000m^2 이다.

    평균단면법을 이용하여 토량을 구할 때는 해당 면적의 총합에 높이를 곱한 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토량은 24000m^2 x 2.11m = 50268.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콘크리트의 연직시공 이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공이음면의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음부분의 콘크리트는 진동기를 써서 충분히 다져야 한다.
  2. 새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신ㆍ구 콘크리트가 충분히 밀착되도록 잘 다져야하며, 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적당한 시기에 재 진동다지기를 하는 것이 좋다.
  3. 시공이음면의 거푸집 철거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을 수 있도록 되도록 늦게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거푸집 제거 시기는 여름철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1~2일 정도로 한다.
  4. 구 콘크리트의 시공이음면은 쇠솔이나 쪼아내기 등에 의하여 거칠게 하고,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킨 후에 시멘트 페이스트 등을 바른 후 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어나가야 한다.
(정답률: 49%)
  • 시공이음면의 거푸집 철거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을 수 있도록 되도록 늦게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거푸집 제거 시기는 여름철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1~2일 정도로 한다. (이 설명은 틀린 내용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흙의 함수율, 함수비, 공극률, 공극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함수율은 공극수 중량과 흙 전체 중량의 백분율이다.
  2. 공극률은 흙 전체 용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 백분율이다.
  3. 공극비는 고체부분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비이다.
  4. 함수비는 토양에 존재하는 수분의 무게를 흙의 제적으로 나눈 백분율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함수비는 토양에 존재하는 수분의 무게를 흙의 제적으로 나눈 백분율이다."이다. 함수비는 흙의 제적이 아니라 흙의 건조중량으로 나눈 백분율이다. 함수비는 토양의 수분보유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그림과 같은 보에서 지점 B에서의 반력 크기(kN)는?

  1. 37.5
  2. 62.5
  3. 87.5
  4. 125
(정답률: 33%)
  • 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점 B에서의 상하 반력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A 지점에서의 하중과 B 지점에서의 상하 반력의 합이 같아야 한다. A 지점에서의 하중은 100 kN이므로, B 지점에서의 상하 반력의 합은 100 kN이다. 이미 주어진 상하 반력 중에서 A 지점에서의 상력은 37.5 kN이므로, B 지점에서의 하력은 37.5 kN이다. 따라서, B 지점에서의 상력은 100 - 37.5 = 62.5 kN이다. 이제, B 지점에서의 반력은 상하 반력의 합인 37.5 + 62.5 = 100 kN에서 상력인 62.5 kN를 뺀 37.5 kN이다. 따라서, 지점 B에서의 반력 크기는 37.5 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설명하는 배수계통의 종류는?

  1. 직각식(直角式)
  2. 차집식(遮潗式)
  3. 선형식(扇形式)
  4. 방사식(放射式)
(정답률: 60%)
  • 이 배수계통은 중앙에 있는 하나의 큰 배수관에서 방사형으로 작은 배수관이 뻗어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사식(放射式)"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기계경비 산정 시 『노무비』의 계산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노임 × 수량 × 1일작업시간 × 월급여(상여계수) × 작업일수(휴지계수)
  2. 노임 × 수량 × 시간당작업량 × 월급여(상여계수) × 작업일수(휴지계수)
  3. 노임 × 수량 × 시간당작업량 × 작업효율 × 작업일수(휴지계수)
  4. 노임 × 수량 × 1일작업시간 × 작업효율 × 작업일수(휴지계수)
(정답률: 50%)
  • 기계경비 산정 시에는 노무비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노임 × 수량 × 1일작업시간 × 월급여(상여계수) × 작업일수(휴지계수)"가 옳은 계산방법입니다.

    - 노임: 일정 시간 동안 일하는 데 필요한 인건비
    - 수량: 작업할 제품의 수량
    - 1일작업시간: 하루 동안 작업할 수 있는 시간
    - 월급여(상여계수):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급여와 상여금의 합계
    - 작업일수(휴지계수): 실제 작업일수와 휴일 등을 고려한 작업일수의 비율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노무비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계경비를 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재료가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은?

  1. 연성(ductility)
  2. 전성(malleability)
  3. 취성(brittleness)
  4. 인성(toughness)
(정답률: 63%)
  • 연성은 재료가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이 성질은 재료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고 계속해서 변형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와 달리 전성은 재료가 압력을 받아도 두껍고 넓게 펴질 수 있는 성질을 가리키며, 취성은 재료가 압력이나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깨어지는 성질을 가리킵니다. 인성은 재료가 충격에도 파괴되지 않고 변형되는 능력을 가리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목재의 함수율 감소에 따른 목재의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2.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3.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4.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정답률: 46%)
  •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목재의 함수율 감소에 따른 목재의 성질 변화는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이는 함수율 감소로 인해 목재 내부의 응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강도가 증가하게 되지만, 동시에 목재 내부의 결함이나 불균일성이 더욱 뚜렷해져 인성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도로조명의 계산식에서 ‘F'가 의미하는 것은?

  1. 조명률
  2. 노면의 평균조도
  3. 광원의 열수
  4. 사용 광원 한 개당 광속
(정답률: 33%)
  • ‘F’는 사용 광원 한 개당 광속을 의미합니다. 이는 도로 조명에서 사용되는 광원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광원의 발광 효율과 광원의 전력 소비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도로 조명의 계산식에서 ‘F’는 조명 시스템의 밝기와 효율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꽃아그배나무의 생육이 불량하고 신초 선단의 어린잎이 황화현상을 일으키며, 2~3년생 가지의 표피가 울퉁불퉁하게 변하고, 그 내부조직이 검게 죽었다.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토양산도를 조사한 결과 pH5.0으로 나타났다. 다음 중 적절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퇴비나 구비, 질소비료의 과용을 금한다.
  2. 탄산석회를 나무 1주당 40~60kg을 사용한다.
  3. 수목 주변으로 배수구를 설치하여 배수관리를 잘 한다.
  4. 황산칼륨을 시비하고, 관수를 자주하여 물이 토양 깊이 스며들게 한다.
(정답률: 52%)
  • 정답: "탄산석회를 나무 1주당 40~60kg을 사용한다."

    꽃아그배나무의 생육이 불량하고 신초 선단의 어린잎이 황화현상을 일으키며, 2~3년생 가지의 표피가 울퉁불퉁하게 변하고, 그 내부조직이 검게 죽은 것은 토양산도가 낮아서 생긴 문제입니다. 따라서 토양산도를 높이기 위해 탄산석회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한 대책입니다.

    황산칼륨을 시비하고, 관수를 자주하여 물이 토양 깊이 스며들게 한다는 것은 토양산도를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황화현상을 일으키는 광합성 작용에 필요한 황을 공급하고, 물이 깊이 스며들어 깊숙한 뿌리가 발달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퇴비나 구비, 질소비료의 과용을 금하고, 수목 주변으로 배수구를 설치하여 배수관리를 잘 한다는 것도 적절한 대책입니다. 퇴비나 구비, 질소비료의 과용은 오히려 토양산도를 낮추고, 과다한 배수는 뿌리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게 하여 생육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크레인으로 얽어매는 작업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중심 위치에 훅을 걸 것
  2. 긴 물건은 원칙적으로 세로로 맬 것
  3. 물체의 진동을 손으로 정지시키지 말 것
  4. 얽어매는 용구는 능력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것을 사용할 것
(정답률: 64%)
  • "긴 물건은 원칙적으로 세로로 맬 것"은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크레인으로 얽어매는 작업에서 물체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얽어매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얽어매는 방향은 작업자의 판단과 상황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목재 시설물의 점검 시 유의하여야 할 항목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이용 목적
  2. 부재(部材)의 절단
  3. 도장(途裝)의 상태
  4. 부재(部材)의 부패
(정답률: 57%)
  • 목재 시설물의 점검 시 유의하여야 할 항목은 부재의 절단, 도장의 상태, 부재의 부패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이용 목적입니다. 이용 목적은 시설물을 설치할 때 고려되는 사항이지만, 점검 시에는 이미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용 목적은 더 이상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점검 시에는 시설물의 안전성과 유지보수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부재의 절단, 도장의 상태, 부재의 부패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양이온치환용량(CEC)이 가장 큰 점토 광물은?

  1. kaolinite
  2. chlorite
  3. illite
  4. montmorillonite
(정답률: 37%)
  • Montmorillonite은 교환 가능한 양이온이 많아서 양이온치환용량(CEC)이 가장 큽니다. 이는 그 구조상 교환 가능한 위치가 많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다른 점토 광물들은 교환 가능한 양이온이 적어서 CEC가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토양에서 유기태 질소화합물이 무기태 질소로 변환되는 반응은?

  1. 질소기아현상
  2. 무기화작용
  3. 고정화작용
  4. 질소고정작용
(정답률: 41%)
  • 토양에서 유기태 질소화합물이 무기태 질소로 변환되는 반응은 무기화작용입니다. 이는 미생물이 유기태 질소화합물을 분해하여 아미노산 등의 무기태 질소화합물로 변환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무기화작용은 토양의 질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전염경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공기전염
  2. 종자전염
  3. 충매전염
  4. 토양전염
(정답률: 50%)
  • 오동나무 빗자루병은 주로 충매전염으로 전파됩니다. 이는 감염된 식물의 충과나 잎이 떨어져서 지면에 떨어지거나, 바람에 날려져 다른 식물에 닿아 전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오동나무 빗자루병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된 식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식물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Tensiometer는 무엇을 측정하는 장비인가?

  1. 토양의 수분장력
  2. 토양의 경도
  3. 토양의 반응
  4. 토양의 염기포화도
(정답률: 53%)
  • Tensiometer는 토양의 수분장력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수분장력은 토양 내부의 물 분자들이 서로 인력을 발생시켜 토양 입자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ensiometer는 토양 내부의 수분장력을 측정하여 토양의 수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병원체가 전반되는 방법과 병원체의 연결이 서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에 의한 전반 - 잣나무 털녹병균
  2. 토양에 의한 전반 - 장미 근두암종병균
  3. 바람에 의한 전반 -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4. 종자에 의한 전반 - 오리나무 갈색무늬병균
(정답률: 51%)
  • 물에 의한 전반은 잣나무 털녹병균이 원인인데, 이는 물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토양, 바람, 종자 등은 병원체가 토양, 공기, 종자 등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연결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제초제가 작물에는 피해(약해)를 주지 않고 잡초만을 죽일 수 있는 특성은?

  1. 제초제의 내성
  2. 제초제의 감수성
  3. 제초제의 선택성
  4. 제초제의 저항성
(정답률: 63%)
  • 제초제의 선택성은 특정 작물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잡초만을 죽일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제초제가 특정 작물에 대한 감수성이 낮고, 잡초에 대한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제초제의 선택성은 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개별구조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노출콘크리트 경관가벽의 쪼아내기, 샌드브라스트 등 특수한 처리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 장식문주의 상단은 홈을 만들어 수분의 침투에 따른 장식적 효과를 부여하고, 마감소재와의 접속을 좋게 한다.
  3. 야외무대 스텐드의 평균기울기는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우하여 1 : 4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4. 담장 내ㆍ외측의 정지계획고가 상이할 경우 침수투에 의한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물구멍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40%)
  • "노출콘크리트 경관가벽의 쪼아내기, 샌드브라스트 등 특수한 처리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노출콘크리트 경관가벽의 쪼아내기, 샌드브라스트 등 특수한 처리는 공사시방서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 및 시공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사시방서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 및 시공자의 판단에 따라 특수한 처리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조경시공 현장에서의 자금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작업표준서
  2. 공사계약서
  3. 공사공정표
  4. 공사실행예산서
(정답률: 42%)
  • 작업표준서는 조경시공 현장에서의 자금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기술적인 문서이기 때문에 기본 자료에 포함되지 않는다. 작업표준서는 작업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 절차, 기술 요건, 안전 규정 등을 명시하는 문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수목 멀칭(mulching)의 기대 효과가 아닌 것은?

  1. 토양구조가 개선된다.
  2. 염분농도를 조절한다.
  3. 토양침식과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다.
  4. 태양열의 복사와 반사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57%)
  • 수목 멀칭은 토양구조 개선, 염분농도 조절, 토양침식과 수분의 손실 방지 등의 효과가 있지만, 태양열의 복사와 반사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오히려 멀칭으로 인해 토양 온도가 상승하여 수분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중 클레이 포장의 보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답압시는 반드시 살수를 한다.
  2. 표층안정제는 주로 염화마그네슘 또는 염화칼슘 등을 사용한다.
  3. 다짐공은 진동롤러, 콤팩터류 또는 간이롤러를 사용한다.
  4. 불균일이 생긴 경우 황토와 양질토의 배합토를 깔고 단진 후 1m2당 표층안정제를 5kg 살포한다.
(정답률: 39%)
  • "불균일이 생긴 경우 황토와 양질토의 배합토를 깔고 단진 후 1m2당 표층안정제를 5kg 살포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표층안정제는 염화마그네슘 또는 염화칼슘 외에도 다른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짐공은 진동롤러, 콤팩터류, 간이롤러 외에도 다른 장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들은 보수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법 중 일부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중 밤나무혹벌의 방제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방법은?

  1. 등화유살법을 사용한다.
  2. 천적인 기생봉을 이용한다.
  3. 내충성 품종을 선택하여 식재한다.
  4. 피해 꽃봉오리를 물리적으로 제거하여 소각한다.
(정답률: 30%)
  • 등화유살법은 밤나무혹벌 방제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등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과 같은 재해에 대한 원인분석시 “사고유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비례
  2. 낙하
  3. 전도
  4. 충돌
(정답률: 48%)
  • 위 그림에서 전기선이 노출되어 있고, 이에 사람이 접촉하여 전기가 몸으로 흐르면서 발생한 사고이므로 "전도"가 사고유형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파괴되어 가고 있는 자연과 역사적 환경 등을 보전하기 위하여 최초 영국의 로버트 헌터경 등 3인에 의해 창립된 단체는?

  1. Vandalism
  2. National Trust
  3. Volunteer Trust
  4. Community Nonprofit Agency
(정답률: 61%)
  • National Trust는 자연과 역사적 환경 등을 보전하기 위해 창립된 영국의 단체입니다. 이는 파괴되어 가고 있는 자연과 역사적 환경 등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재료들 중 표지판의 문자판 또는 지주로 적절하지 않은 재료는?

  1. 목재
  2. 석재
  3. 금속재
  4. 합성수지재
(정답률: 47%)
  • 합성수지재는 열에 약하고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표지판의 문자판 또는 지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목재, 석재, 금속재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있어 표지판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 중 주로 토양전반을 하는 병원체가 아닌 것은?

  1. Rhizoctonia
  2. Pythium
  3. Colletotrichum
  4. Fusarium
(정답률: 38%)
  • Colletotrichum은 식물의 잎, 줄기, 과실 등을 감염시키는 병원체로, 토양전반을 주로 하지 않습니다. 반면, Rhizoctonia, Pythium, Fusarium은 모두 토양전반을 하는 병원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줄기의 같은 높이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주 자란 가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도장지(徒長枝)
  2. 윤생지(輪生枝)
  3. 평행지(平行枝)
  4. 대생지(對生枝)
(정답률: 61%)
  • 대생지는 줄기의 같은 높이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주 자란 가지를 뜻합니다. "도장지"는 줄기의 끝에서 자라는 가지를 뜻하며, "윤생지"는 줄기의 한쪽에서 자라는 가지를 뜻합니다. "평행지"는 줄기와 평행하게 자라는 가지를 뜻합니다. 따라서, 대생지가 가장 적절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분제의 물리적 성질인 토분성(吐粉性d, u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제가 입자의 크기와 보조제의 성질에 따라 작물해충 등에 잘 달라붙는 성질을 말한다.
  2. 살분 시 분제의 입자가 풍압에 의하여 목적하는 장소까지 날아가는 성질을 말한다.
  3. 살분 시 분제의 입자가 살분기의 분출구로 잘 미끄러져 가는 성질을 말한다.
  4. 분제농약의 저장 시 주성분의 분해 및 응집 등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성질을 말한다.
(정답률: 44%)
  • 토분성(ustability)은 살분 시 분제의 입자가 살분기의 분출구로 잘 미끄러져 가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분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분제가 작물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중요한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