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9-21)

조경기사
(2019-09-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다음 중 동양사상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천지인의 조화를 꾀하였다.
  2. 자연과 인간이 융합적이다.
  3. 분석적이며 물질 중심적이다.
  4. 전체주의적이며 정신주의적이다.
(정답률: 84%)
  • 정답은 "전체주의적이며 정신주의적이다." 이다. 동양사상은 보통 전체적인 세계관과 인간관을 중시하며, 정신적인 가치와 윤리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분석적이며 물질 중심적인 성향은 서양사상에서 더욱 강조되는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에 적합한 대상은?

  1. 보볼리원
  2. 벨베데레원
  3. 보르 뷔 콩트
  4. 베르사이유 정원
(정답률: 78%)
  • 이미지는 보르 뷔 콩트의 정원을 보여주고 있으며, 보볼리원과 벨베데레원은 다른 지역에 위치한 정원이고 베르사이유 정원은 이미지와는 다른 정원이기 때문에 정답은 "보르 뷔 콩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본의 헤이안, 가마쿠라 시대 때 조영된 대상과 연못의 명칭 연결이 틀린 것은?

  1. 대각사-대택지
  2. 모월사-대천지
  3. 금각사-황금지
  4. 평등원-아(阿)자지
(정답률: 49%)
  • 일본의 헤이안, 가마쿠라 시대 때 조영된 대상과 연못의 명칭 연결이 틀린 것은 "금각사-황금지" 입니다. 이유는 금각사는 실제로는 "금각산"이라는 산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황금지는 금각사 근처에 위치한 연못의 이름입니다. 따라서, 금각사와 황금지는 서로 다른 대상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영국 자연풍경식 조경가 중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라는 말을 신조로 삼고 있었던 사람은?

  1. 켄트(Kent)
  2. 스위처(Swither)
  3. 브라운(Brown)
  4. 브리지맨(Bridgeman)
(정답률: 79%)
  • 켄트는 영국의 조경가로, 자연풍경식 조경을 추구하면서도 직선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신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는 말을 자주 언급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조경을 만들어내는 데 주력했다. 스위처, 브라운, 브리지맨은 모두 영국의 조경가이지만, 켄트처럼 직선을 배제하는 신조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양정원과 관련된 저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성은 원야에서 주인(조영자)보다 장인들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2. 산림경제 복거(卜居)편에는 수목 식재방법이 소개된다.
  3. 양화소록에는 조선 시대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화분의 관리법 등이 소개된다.
  4. 홍만선(1643~1715)은 임원경제지라는 농가 생활에 필요한 백과전서를 소개했다.
(정답률: 67%)
  • 양화소록은 조선 시대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화분의 관리법 등이 소개된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근대 조경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옴스테드(F.L.Olmsted)의 작품 및 프로젝트가 아닌 것은?

  1. Greensward Plan
  2. Birkenhead Park
  3. Back Bay Fens Plan
  4. Wold's Columbian Exposition
(정답률: 76%)
  • Birkenhead Park는 옴스테드가 아닌 조경가 조셉 파크스(Joseph Paxton)가 설계한 공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국정원에 관한 옛 기록 대동사강에 나오는 고조선 시대 노을왕(魯乙王)과 관련된 내용은?

  1. 유(囿)
  2. 누대(樓臺)
  3. 도리(桃李)
  4. 신산(神山)
(정답률: 69%)
  • 대동사강에 나오는 고조선 시대 노을왕은 한국 정원을 만들어서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 노을왕은 유(囿)라는 곳에서 누대(樓臺)와 도리(桃李), 신산(神山) 등을 이용하여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유(囿)"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메가론(Megaron)이라 불리는 중정 형태가 등장한 시대는?

  1. 고대 로마
  2. 고대 이집트
  3. 고대 그리스
  4. 고대 메소포타미아
(정답률: 60%)
  • 메가론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 등장한 중정 형태의 건축물입니다. 이는 고대 그리스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케네의 메가론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대 그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세부적 기교, 강렬한 대비효과, 호화로움 그리고 역동성 등의 특성이 나타난 조경 양식은?

  1. 로코코(rococo) 조경
  2. 바로크(baroque) 조경
  3. 낭만주의(romanticism) 조경
  4. 노단건축식(terrace-dominant architectural style) 조경
(정답률: 77%)
  • 바로크 조경은 세부적 기교, 강렬한 대비효과, 호화로움 그리고 역동성 등의 특성이 나타나는 조경 양식이다. 이는 바로크 시대의 문화적 특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건축, 조각, 회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따라서 바로크 조경은 다른 보기인 로코코 조경, 낭만주의 조경, 노단건축식 조경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연사면을 수평면으로 처리한 것이 아니라 인공적인 성토작업을 통하여 축조한 계단식 후원은?

  1. 경복궁의 교태전 후원
  2. 창덕궁의 낙선재 후원
  3. 전라남도 담양군의 소쇄원
  4. 창덕궁의 연경당 선향재 후원
(정답률: 77%)
  • 경복궁의 교태전 후원은 자연사면을 수평면으로 처리한 것이 아니라 인공적인 성토작업을 통하여 축조한 계단식 후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중국 진(秦)나라 시대의 정원은?

  1. 난지궁
  2. 서효원
  3. 어숙원
  4. 태액지원
(정답률: 64%)
  • 중국 진나라 시대의 정원은 대부분 기하학적인 형태와 대칭성을 중요시했으며, 난지궁 역시 그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난지궁은 진나라의 첫 번째 황제인 시황제의 탄생지로서 중요한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선 시대 읍성의 공간 구조적 구성 요소들 가운데 제례공간이 아닌 곳은?

  1. 여단
  2. 향청
  3. 사직단
  4. 성황사
(정답률: 47%)
  • 조선 시대 읍성의 공간 구조적 구성 요소들 중에서 제례공간이 아닌 곳은 "향청"입니다. 향청은 지방 행정을 담당하는 곳으로, 지방 관리를 위한 회의와 법률의 제정 등이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제례와는 관련이 없는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고대 로마 개인주택에서 5점형 식재나 실용원이 꾸며진 장소는?

  1. 아트리움(Atrium)
  2. 지스터스(Xystus)
  3.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
  4. 클로이스터 가든(Cloister Garden)
(정답률: 63%)
  • 지스터스(Xystus)는 고대 로마 개인주택에서 5점형 식재나 실용원이 꾸며진 장소 중 하나이다. 이는 주로 운동이나 산책을 즐기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아트리움(Atrium)은 주로 비가 내리면 물을 모으기 위한 중앙 정원이었고,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은 주로 귀족층의 레저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클로이스터 가든(Cloister Garden)은 중세 유럽의 수도원에서 사용되는 공간으로, 고대 로마 개인주택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튜더, 스튜어트 왕조 때 정형식 정원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축산(mounding)
  2. 노트(knot)의 도입
  3. 몰(mall)과 대로(grand anenue)
  4. 정방형 테라스의 설치
(정답률: 53%)
  • 몰(mall)과 대로(grand anenue)는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튜더, 스튜어트 왕조 때 정형식 정원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이는 정방형 테라스의 설치와 함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축산(mounding)과 노트(knot)의 도입은 정형식 정원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이도헌추리(離島軒秋里)의 축산정조원(築山庭造傳)에서 정원(庭園)의 종류로 구분한 것이 아닌 것은?

  1. 진(眞)
  2. 초(草)
  3. 원(園)
  4. 행(行)
(정답률: 49%)
  • 이도헌추리의 축산정조원에서는 "진(眞)", "초(草)", "행(行)"을 각각 정원의 종류로 구분하였습니다. 하지만 "원(園)"은 그 중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본 다정(茶庭)양식의 전형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심신을 정화하기 위해 준거(蹲踞:쓰꾸바이)를 배치하였다.
  2. 조명과 장식의 목적으로 석등(石燈)을 설치하였다.
  3. 연못과 섬을 조성하여 다실(茶室)과 연결하였다.
  4. 다실에 이르는 통로인 노지(露地)는 다실과 일체된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정답률: 53%)
  • 일본 다정양식의 전형적 특징은 준거(쓰꾸바이), 석등, 연못과 섬을 조성하여 다실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못과 섬을 조성하여 다실(茶室)과 연결하였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연못과 섬을 조성하여 다실과 연결하는 것은 일부 다정에서만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거울의 방→물 화단→Latona 분수→타피 베르→아폴로분천’으로 이어지도록 조성된 공간 특성을 보이는 곳은?

  1. 데스테장(Villa d'Este)
  2. 알함브라(Alhambra)궁
  3. 베르사이유(Versailles)궁
  4. 폰덴블로우(Fontainebleau)성
(정답률: 61%)
  • 베르사이유 궁은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가 건립한 궁전으로, 거울의 방, 물 화단, Latona 분수, 타피 베르, 아폴로 분천 등의 조각과 수영장, 정원 등이 조화롭게 조성되어 있어 공간 특성을 보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렴계의 애련설이 서술된 연꽃의 의미는?

  1. 은일자(隱逸者)를 상징
  2. 부귀자(富貴者)를 상징
  3. 군자(君子)를 상징
  4. 극락의 세계를 상징
(정답률: 71%)
  • 주렴계의 애련설은 군자의 도덕적인 가치와 삶의 아름다움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연꽃은 물 위에서 자라며 더러움을 벗어나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이는 군자가 세상의 더러움과 적대감을 벗어나 도덕적인 가치를 유지하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군자(君子)를 상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사찰에 1탑 3금당식 유형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신라 분황사
  2. 신라 황룡사지
  3. 고구려 청암리 절터(금강사)
  4. 백제 익산 미륵사지
(정답률: 65%)
  • 백제 익산 미륵사지는 1탑 3금당식 유형이 아니라 다른 유형의 사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1노단의 정방형 못 가운데 몬탈토(Montalto) 분수가 있는 곳은?

  1. 란테장(Villa Lante)
  2. 데스테장(Villa d'Este)
  3. 파르네제장(Villa Famese)
  4. 피렌체의 보볼리원(Giardino Boboli)
(정답률: 70%)
  • 제1노단의 정방형 못 가운데 몬탈토 분수가 있는 곳은 "란테장(Villa Lante)"이다. 이유는 란테장이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정원 중 하나로, 수많은 분수와 조각상, 그리고 미로와 물결 모양의 길 등이 조화롭게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몬탈토 분수는 란테장의 대표적인 분수 중 하나로, 정방형 못 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란테장을 대표하는 명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경사도별 지형 특성(시각적 느낌, 용도, 공사의 난이도 등)을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4% 이하 : 활발한 활동, 별도의 절ㆍ성토 없이 건물 배치 가능
  2. 4~10% : 평탄하고, 소극적인 행위와 활동, 절ㆍ성토 작업을 통한 건물과 도로의 배치 가능
  3. 10~20% : 가파르고, 언덕을 이용한 운동과 놀이에 적극 이용, 편익시설 배치 곤란
  4. 20~50% : 테라스 하우스, 새로운 형태의 건물과 도로의 배치 기법이 요구됨
(정답률: 53%)
  • "4~10% : 평탄하고, 소극적인 행위와 활동, 절ㆍ성토 작업을 통한 건물과 도로의 배치 가능"은 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경사도가 4~10%인 지형은 평탄하며, 활발한 활동보다는 소극적인 행위와 활동이 적합하다. 또한, 절ㆍ성토 작업을 통해 건물과 도로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 지형은 주거지나 상업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공공디자인으로서 가로시설물을 계획할 때 고려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형태와 이미지의 통합
  2. 재료와 규격의 통합
  3. 내용 및 콘텐츠의 통합
  4. 시설과 단위공간의 통합
(정답률: 46%)
  • 시설과 단위공간의 통합은 가로시설물의 공간적 특성과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로시설물의 형태, 재료, 내용 등을 통합하여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도시ㆍ군계획시설 중 분류가 ‘공간시설’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광장
  2. 공원
  3. 유원지
  4. 주차장
(정답률: 60%)
  • 주차장은 공간시설이 아닌 기능시설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도시ㆍ군계획시설의 분류 중에서 공간시설은 주로 인간의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시설이며, 광장, 공원, 유원지 등이 해당됩니다. 반면에 주차장은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시설로, 기능시설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주차장은 공간시설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단지설계 및 주택설계를 함에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설계안이 많이 제시되고 있는데, 여기서의 주요한 고려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태양열의 최대한 이용
  2. 실내식물의 도입
  3. 겨울바람의 차단
  4. 여름바람의 통과
(정답률: 77%)
  • 실내식물의 도입은 에어컨이나 히터 등의 에너지 소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실내식물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므로, 공기의 질을 개선하고 온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에어컨이나 히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에 큰 기여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자연환경보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부장관은 전국의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을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생태ㆍ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과 자연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2년마다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3. 환경부장관은 자연생태ㆍ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생태ㆍ지연도는 5만분의 1 이상의 지도에 실선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생태ㆍ지연도는 5만분의 1 이상의 지도에 실선으로 표시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자연환경보전법 제11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지도의 축척이 작을수록 자세한 정보를 담을 수 없기 때문에, 보전 대상 지역의 세부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축척의 지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어(protection)
  2. 공공영역의 확보
  3. 정보교환(communication)
  4. 프라이버시(privacy) 조절
(정답률: 62%)
  • 개인적 공간의 기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공공영역의 확보"입니다. 개인적 공간은 개인의 신체적, 정서적 안전을 보호하고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공공영역은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공간으로, 개인적 공간과는 반대로 개인의 권리보다는 대중의 이익과 안전이 우선시됩니다. 따라서 개인적 공간의 기능과는 상반되는 역할을 하며, 공공영역의 확보는 대중의 이익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조경계획 과정에서 동선계획은 토지이용 상호 간의 이동을 다루는 중요한 계획요소이다. 이에 대한 계획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통행량이 많은 곳은 짧은 거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주거지와 공원 등에서는 격자형 패턴이 효과적이다.
  3. 쿨데삭(Cul-de-sac)은 통과교통 구간에 적합하다.
  4. 다양한 행위가 발생하는 곳은 복잡한 동선 체계로 한다.
(정답률: 62%)
  • 정답: "통행량이 많은 곳은 짧은 거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 통행량이 많은 곳에서는 직선적인 동선이 더 효율적이다. 이는 더 많은 차량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로망 계획에서는 통행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직선적인 동선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택정원의 기능 분할(zoning)은 크게 전정(前庭), 주정(庭), 후정(後庭) 및 작업(作業)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후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가족의 휴식이 단란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며, 가장 특색 있게 꾸밀 수 있는 장소이다.
  2. 장독대, 빨래터, 건조장, 채소밭, 가구집기, 수리 및 보관 장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 실내 공간의 침실과 같은 휴양공간과 연결되어 조용하고 정숙한 분위기를 갖는 공간이다.
  4. 바깥의 공적(公的)인 분위기에서 주택이라는 사적(私的)인 분위기로 들어오는 전이공간이다.
(정답률: 69%)
  • 주택정원의 후정은 "실내 공간의 침실과 같은 휴양공간과 연결되어 조용하고 정숙한 분위기를 갖는 공간"입니다. 이는 가족의 휴식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가장 특색 있게 꾸밀 수 있는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관련 규정에 따라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은 얼마로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54%)
  •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은 환경부 고시 제2017-98호에 따라 2년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성(soil texture)은 토양의 개략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2. 직경이 0.05~0.002mm인 토양입자는 미사로 구분한다.
  3. 토성분류는 자갈, 미사, 점토의 구성비로 나타낸다.
  4. 토양단면은 유기물층, 용탈층, 집적층, 무기물층, 암반 등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57%)
  • "토성분류는 자갈, 미사, 점토의 구성비로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다. 토성분류는 토양 입자의 크기와 비율에 따라 모래, 진흙, 점토 등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자갈은 토성분류에서 다루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조경가의 역할이 주어진 장소의 단순한 미화 작업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설계, 지구의 파수꾼이라는 측면의 영역으로 확대한 생태적 계획방법을 수립한 사람은?

  1. 에크보(G.Eckbo)
  2. 헬프린(L.Halprin)
  3. 맥하그(I.McHarg)
  4. 옴스테드(F.Olmsted)
(정답률: 64%)
  • 맥하그는 생태학적인 접근을 통해 조경계획을 수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지구의 파수꾼이라는 측면에서 생태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태계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맥하그는 생태적인 측면에서 조경계획을 수립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시공원 및 독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하는 녹지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경관녹지
  2. 생산녹지
  3. 완충녹지
  4. 연결녹지
(정답률: 58%)
  • 생산녹지는 「도시공원 및 독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하는 녹지의 유형이 아닙니다. 이유는 생산녹지는 농업, 양식, 임업 등의 생산활동을 위해 조성된 녹지로, 법률에서는 주로 도시농업과 관련된 녹지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도시공원 및 독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하는 녹지의 유형은 경관녹지, 완충녹지, 연결녹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린이놀이터의 놀이시설 배치 시 고려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접 놀이터와 기능을 달리하여 장소별 다양성을 부여한다.
  2. 놀이시설은 어린이의 안전성을 먼저 고려하여야 하며, 높이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게 설계한다.
  3. 놀이시설은 지역여건과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놀이터에 따라 단위놀이시설ㆍ복합놀이 시설 등을 조화되게 구분하여 설치한다.
  4. 놀이공간 안에서 어린이의 놀이와 보행동선의 연계를 위해 주보행동선 주변에 가급적 시설물을 배치한다.
(정답률: 79%)
  • 어린이놀이터의 놀이시설 배치 시에는 어린이의 놀이와 보행동선의 연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보행동선 주변에 가급적 시설물을 배치하여 어린이들이 놀이와 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상 면적 12,000m2의 도심 공지에 체육공원을 조성하여 한다. 최대 공원시설면적에 설치할 수 있는 운동시설 최소면적은 얼마인가?

  1. 7,200m2
  2. 6,000m2
  3. 4,300m2
  4. 3,600m2
(정답률: 44%)
  • 문제에서 주어진 면적은 12,000m2이다. 이 중 최대 공원시설면적에 할당 가능한 면적은 50%인 6,000m2이다. 이때, 운동시설은 최소 60% 이상을 차지해야 하므로, 6,000m2의 60%인 3,600m2이 최소면적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6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시행령에 따른 ‘경관지구’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연경관지구
  2. 특화경관지구
  3. 생태경관지구
  4. 시가지경관지구
(정답률: 34%)
  • 생태경관지구는 국토의 생태계를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구로, 다른 세 지구는 경관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지구입니다. 따라서 생태경관지구는 경관의 특성이 아닌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지정되는 지구이므로, 다른 세 지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그림과 같은 대지에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한다. 층수는 지하는 1층(200m2), 지상은 5층으로 하고자 할 경우 최대한 건축할 수 있는 연면적은? (단, 건폐율은 50%, 용적률은 200%이다.)

  1. 1,196m2
  2. 1,200m2
  3. 1,396m2
  4. 1,695m2
(정답률: 35%)
  • 건축물의 연면적은 건축면적과 층수의 곱이다. 건축면적은 대지면적의 건폐율에 따라 결정되고, 용적률은 건축물의 부피와 대지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건축면적은 1,000m2이고, 용적률은 200%이므로 건축물의 부피는 2,000m3이다.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부피 = 높이 x 건축면적 x 층수, 따라서 높이 = 부피 / (건축면적 x 층수) = 2,000 / (1,000 x 5) = 0.4m 이다. 이제 건축면적과 건폐율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바닥면적을 구할 수 있다. 건축면적 = 바닥면적 x 건폐율, 따라서 바닥면적 = 건축면적 / 건폐율 = 1,000 / 0.5 = 2,000m2 이다. 따라서, 연면적은 바닥면적 x 층수 = 2,000 x 5 = 10,000m2 이다. 하지만, 지하 1층이 있으므로 이를 빼주어 최대 연면적은 10,000 - 200 = 9,800m2 이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계산 실수가 없었다면 정답은 "1,39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간행태 연구를 위한 현장관찰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행위자의 의도를 인터뷰 없이 정확하게 알 수 있다.
  2.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연속적인 행태를 연구할 수 있다.
  3. 연구자의 출현이 피관찰자의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환경적 상황에 따른 행태의 해석이 용이하다.
(정답률: 74%)
  • 정답은 "행위자의 의도를 인터뷰 없이 정확하게 알 수 있다."이다. 현장관찰 방법은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행위자의 의도를 직접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터뷰나 다른 방법을 통해 행위자의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조경계획을 할 경우 지형도에서 파악이 곤란한 것은?

  1. 자연배수로
  2. 경사도
  3. 유역(流域)
  4. 식생현황생태
(정답률: 71%)
  • 지형도는 지형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지만, 식생 현황과 생태적인 정보는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지형적인 특징과는 별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경계획을 할 때는 지형도 외에도 식생 현황과 생태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속도로 조경 시 명암순응식재가 가장 필요한 곳은?

  1. 휴게소
  2. 인터체인지
  3. 교량
  4. 터널 입구
(정답률: 77%)
  • 터널 입구는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급격하게 진입하는 지점으로, 차량 운전자들은 갑작스러운 어둠과 밝은 햇빛의 변화에 대처해야 하기 때문에 명암순응식재가 가장 필요한 곳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터널 입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식재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재계획은 구역 내 식생의 보호, 관리, 이용 및 배식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2. 계획구역의 기후적 여건에서 생장이 가능한지를 검토한 후 수종을 선택한다.
  3. 생태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도 고려하여 수종을 선택한다.
  4. 정형식 패턴은 기념성이 높은 장소에 부적합하다.
(정답률: 77%)
  • 정형식 패턴은 기념성이 높은 장소에 부적합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정형식 패턴은 기념성이 높은 장소에 적합하며, 예를 들어 국립묘지나 기념비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포장설계를 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바람직한 설계 기준에 해당되는 것은?

  1. 시선유도에는 넓은 스케일의 포장패턴을 사용한다.
  2. 포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도로의 속도감을 표현한다.
  3. 편의성, 내구성, 경제성, 재생성을 기준으로 한다.
  4. 교통하중, 동결심도, 토질 등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60%)
  • 교통하중, 동결심도, 토질 등의 사항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포장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교통하중이나 동결심도 등의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으면 포장물이 빠르게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포장설계를 해야만 보다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높은 포장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조경설계기준상의 환경조경시설 관련 배치 설계 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형물 전체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최소 시설물 높이의 2~3배의 관람 거리를 확보한다.
  2. 기념비형 조형물은 설계대상 공간의 어귀ㆍ중앙의 광장과 같이 넓은 휴게공간의 포장 부위 또는 녹지에 배치한다.
  3. 인지도와 식별성이 낮은 곳을 선정하여 조형 시설의 도입에 따른 이미지가 부각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4. 환경조성시설은 인간성 회복에 기여하고 주변 환경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72%)
  • "인지도와 식별성이 낮은 곳을 선정하여 조형 시설의 도입에 따른 이미지가 부각되지 않도록 배치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조형 시설은 인지도와 식별성이 높은 곳에 배치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입체도를 제3각법으로 나타낸 3면도 중 옳게 투상한 것은?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경관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종합 시 가중치(加重値) 적용 방법 중 가장 객관적 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1. 회귀분석법(回歸分析法)
  2. 도면결합법(圖面結合法)
  3. 여러 명의 전문가 의견을 평균하는 방법
  4. 모든 요소에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
(정답률: 44%)
  • 회귀분석법은 경관분석에서 가장 객관적인 가중치 적용 방법으로, 자료를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통계학적인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도출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더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흰색 배경의 회색보다 검음색 배경의 회색이 더 밝게 보이는 것은?

  1. 보색대비
  2. 명도대비
  3. 색상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70%)
  • 검은색 배경은 흰색보다 명도가 낮기 때문에 회색도 더 밝게 보입니다. 이는 명도대비에 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도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산림경관 중 인상적이고 명확한 형태의 경관으로 관찰자나 시행자에게 중요한 안내자가 되는 동시에 경관의 지표(指標)가 되는 경관은?

  1. 전경관
  2. 지형경관
  3. 위요경관
  4. 초점경관
(정답률: 38%)
  • 지형경관은 산림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지형적 특징이며, 산의 높이, 기슭의 경사, 계곡의 깊이 등을 나타내어 산림의 지표(指標)가 됩니다. 또한, 관찰자나 시행자에게 중요한 안내자가 되어 산림의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지형경관은 산림경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경공간에서 휴게시설의 퍼걸러(pergoal) 설계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과 들보와 보로 구성되며, 햇빛을 막아 그늘을 제공하는 구조물로서 그늘시렁이라고도 한다.
  2. 평면 행태는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을 기본으로 하며, 공간성격에 따라 원형ㆍ아치형ㆍ부정형으로 할 수 있다.
  3. 조형성이 뛰어난 그늘시렁은 시각적으로 넓게 조망할 수 있는 곳이나 통경선(vista)이 끝나는 곳에 초점요소로서 배치할 수 있다.
  4. 규격은 공간규모와 이용자의 시각적 반응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길이보다 높이가 길도록 한다.
(정답률: 63%)
  • 규격은 공간규모와 이용자의 시각적 반응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길이보다 높이가 길도록 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설계자의 창의성을 사고(思考)의 창의성과 표현(表現)의 창의성으로 구분한다면 사고의 창의성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프로그램 작성
  2. 기본계획 작성
  3. 기본설계 작성
  4. 실시설계 작성
(정답률: 54%)
  • 프로그램 작성은 사고의 창의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 작성은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 작성과 함께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창의성이 요구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본적인 수(手)작업 제도상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축척자는 선을 그릴 때 사용하지 않는다.
  2. T자를 제도판으로부터 들어낼 때는 머리 부분을 울러 옮긴다.
  3. 제도용 연필은 그리는 방향으로 당기듯이 회전하면서 그려 나간다.
  4. 삼각자를 활용해서 수직선을 그릴 때는 위에서 아래로 그려 나간다.
(정답률: 64%)
  • "삼각자를 활용해서 수직선을 그릴 때는 위에서 아래로 그려 나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주의 사항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이다.

    하지만, 삼각자를 활용해서 수직선을 그릴 때 위에서 아래로 그리는 이유는 수직선이 수평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교차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교차점을 정확하게 찍기 위해서는 수직선을 위에서 아래로 그리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존 딕슨 헌트(John Dixon Hunt)가 자연을 분류한 가지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정원(garden)
  2. 이상향(utopia)
  3. 원생자연(Wild nature)
  4. 문화자연(cultural nature)
(정답률: 52%)
  • 존 딕슨 헌트가 제시한 자연의 분류 유형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 자연의 형태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상향(utopia)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개념이므로, 이 분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은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체크무늬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그림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같은 크기의 정방형 체크무늬 타일바닥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있다. 이를 행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서는 무슨 원리로 설명하는가?

  1. 단순성의 원리
  2. 교차조합의 원리
  3. 모호성의 원리
  4. 전경배경의 원리
(정답률: 52%)
  • 단순성의 원리는 인식의 용이성을 위해 복잡한 형태를 단순한 형태로 인식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이 경우에도 체크무늬가 복잡하게 교차되어 있지만, 우리는 이를 단순한 형태인 정방형으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입체의 각 방향의 면에 화면을 두어 투영된 면을 전개하는 투상도법은?

  1. 사투상
  2. 정투상
  3. 투시투상
  4. 축측투상
(정답률: 52%)
  • 입체의 각 방향의 면에 화면을 두어 투영된 면을 전개하는 투상도법 중에서, 모든 면이 직각이고 크기와 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을 정투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투상은 가장 정확한 전개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질감(texture)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목의 질감은 잎의 특성과 구성에 있다.
  2. 옷감의 질감은 실의 특성과 직조 방법에 있다.
  3. 거친 질감은 관찰자에게 접근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실제거리보다 가깝게 보인다.
  4. 질감은 주로 촉각에 의해서 지각되며 자세히 보면 행태의 집합보다는 부분적 느낌의 종합이다.
(정답률: 68%)
  • "수목의 질감은 잎의 특성과 구성에 있다."는 질감의 설명으로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이다.

    질감은 주로 촉각에 의해서 지각되며, 물체의 표면의 미세한 특성들이 촉각 센서를 자극하여 느껴지는 것이다. 이 때, 질감은 전체적인 형태보다는 부분적인 느낌의 종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옷감의 질감은 실의 특성과 직조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거친 질감은 관찰자에게 접근하는 느낌을 주어 실제거리보다 가깝게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색입체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빨강의 순색은?

  1. ㉮ R4/14
  2. ㉯ R5/12
  3. ㉰ R6/10
  4. ㉱ 10R5/10
(정답률: 57%)
  •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은 순색에서 가장 끝에 위치한 색이다. 따라서 이 색입체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빨강의 순색은 "㉮ R4/14"이다. 이유는 R4/14가 순색에서 가장 끝에 위치한 빨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조경에서 배수시설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

  1. 배수 계통은 직각식, 차집식, 선형식, 방사식, 집중식 등이 있다.
  2. 배수의 계통 및 방식은 최소 우수배수량을 합류식으로 산출하여 정한다.
  3. 개거는 토사의 침전을 줄이기 위해서 배수 기울기를 1/300 이상으로 한다.
  4. 하수도에 방류하는 경우에는 빗물과 오수를 동일 관거로 배제하는 합류식과 분리하는 분류식으로 나눈다.
(정답률: 46%)
  • "배수의 계통 및 방식은 최소 우수배수량을 합류식으로 산출하여 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배수의 계통 및 방식은 최소 우수배수량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이를 합류식으로 산출하는 것은 아니다. 배수 계통 및 방식은 지형적 조건과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축척이 1/500인 도면에서 길이가 3cm되는 선은 실제로는 얼마가 되는가?

  1. 3cm÷500
  2. 500÷3cm
  3. 500×3cm
  4. 1÷(500×3cm)
(정답률: 66%)
  • 축척이 1/500이므로 1cm가 실제 세계에서는 500cm에 해당한다. 따라서 3cm는 500×3cm=1500c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0×3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소점 투시도상에서 사람의 눈높이에 위치하며, 선들이 모이는 점은?

  1. V.P(Vanishing Point)
  2. P.S(Point of Sight)
  3. S.P(Stand Point)
  4. F.P(Foot Point)
(정답률: 54%)
  • 일소점 투시도상에서 사람의 눈높이에 위치한 점은 P.S(Point of Sight)이다. 하지만 선들이 모이는 점은 V.P(Vanishing Point)이다. 이는 일소점 투시법에서 먼 거리에 있는 물체들이 사라지는 지점으로, 모든 수평선이 만나는 점이다. 따라서 V.P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에서 각 선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 경계선
  2. ㉯ 파단선
  3. ㉰ 가상선
  4. ㉱ 외형선
(정답률: 62%)
  • ㉱ 외형선은 제품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선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선들은 부가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외형선은 제품의 핵심적인 정보를 나타내므로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교목들을 건물의 서편에 배치시켜 늦은 오후의 강한 햇살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였다.”는 물리ㆍ생태적 분석 요소 중 어느 것이 설계에 반영된 결과인가?

  1. 지형
  2. 기후
  3. 토양
  4. 식생
(정답률: 57%)
  • 정답은 "기후"이다. 이는 늦은 오후의 강한 햇살이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교목들을 배치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기후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물리적 공간을 한정하여 공간규모를 결정하는 옥외 공간 한정 요소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천장면
  2. 장식면
  3. 바닥면
  4. 벽면
(정답률: 61%)
  • 장식면은 물리적 공간을 한정하여 공간규모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장식면은 건축물 내부의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면으로, 공간규모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식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수목이식을 위한 굴취공사 때 필요로 하는 재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생장조절제
  2. 결속ㆍ완충재
  3. 가지주재
  4. 증산촉진제
(정답률: 67%)
  • 수목이식을 위한 굴취공사 때 필요한 재료는 주로 식물생장조절제, 결속ㆍ완충재, 가지주재 등이다. 이 중에서 증산촉진제는 수목이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재료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온대중부지역의 천이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A)안의 단계에 해당하는 수종으로 적합한 것은?

  1. 신갈나무
  2. 곰솔
  3. 때죽나무
  4. 능수버들
(정답률: 56%)
  • (A)안의 단계는 열대성 기후에서는 열대숲, 아열대성 기후에서는 아열대숲이 발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대형 종이 많이 발달하며, 신갈나무는 대형 종 중 하나로서 열대숲이나 아열대숲에서 자주 발견된다. 따라서 정답은 "신갈나무"이다. 곰솔은 온대지방에서 발견되는 수종이지만, 대형 종이 아니므로 해당 단계에는 부적합하다. 때죽나무는 아열대지방에서 발견되는 수종으로, 해당 단계에는 부적합하다. 능수버들은 열대성 기후에서 발견되는 수종이지만, 대형 종이 아니므로 해당 단계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생태학에서 분류하는 천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차 천이
  2. 퇴행 천이
  3. 2차 천이
  4. 3차 천이
(정답률: 62%)
  • 정답: 3차 천이

    설명: 생태학에서는 생태계 내에서 에너지와 물질이 이동하면서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서로 영양체를 공급하고 받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천이가 일어납니다. 천이는 크게 1차 천이, 2차 천이, 퇴행 천이로 나눌 수 있습니다. 1차 천이는 식물이나 다른 생산자들이 태양에서 에너지를 얻어 생산한 유기물을 소비하는 것을 말하며, 2차 천이는 이러한 생산자들을 먹고 다른 동물이나 포식자들이 에너지를 얻는 것을 말합니다. 퇴행 천이는 죽은 유기물이나 동물의 배설물 등이 분해되어 미생물이나 분해자들이 에너지를 얻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3차 천이는 생태학에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공지반(옥상 등)의 식재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 모관수의 상승작용이 없다.
  2. 잉여수 때문에 양분 유실 속도가 빠르다.
  3.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미약하다.
  4. 토양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
(정답률: 63%)
  • "토양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공지반은 지하 모관수의 상승작용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잉여수가 많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양분 유실 속도가 빠르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미약하기 때문에 식물이 얻는 양분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생장이 둔화된다. 하지만 인공지반은 지하에 비해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토양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군집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생물적 유기물질은 증가한다.
  2. 개체의 크기는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3. 물리적 환경과의 평형상태를 극상이라고 한다.
  4. 천이는 군집 변화 과정을 내포한 방향성 없는 변화이다.
(정답률: 69%)
  • "천이는 군집 변화 과정을 내포한 방향성 없는 변화이다."가 틀린 것이다. 천이는 군집 내에서 발생하는 변화 중에서도 특정 방향성을 가지는 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군집 내에서 특정한 유전자가 더 많이 전달되거나, 특정한 개체가 더 많이 번식하는 등의 방향성을 가진 변화를 천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이식이 어려운 수종으로 구성된 것은?

  1. 은행나무, 사철나무
  2. 버드나무, 계수나무
  3. 느티나무, 명자나무
  4. 자작나무, 호두나무
(정답률: 54%)
  • 자작나무와 호두나무는 모두 느린 성장 속도와 높은 수종 나이를 가지고 있어 이식이 어려운 수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피식물의 이용 목적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토양의 침시 방지
  2. 공간의 장식적 역할
  3. 미기후의 완화, 조절
  4. 정원수 생육 촉진
(정답률: 68%)
  • 지피식물은 대부분 실내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정원수 생육 촉진을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이는 지피식물이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고 토양 중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원수 생육 촉진"이 다른 보기들에 비해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우리나라 산림의 수직분포 중 한대림의 자생 수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비나무(Abies nephroIepis)
  2.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3. 눈잣나무(Pinus pumila)
  4. 잎갈나무(Larix olgensis)
(정답률: 48%)
  • 개서어나무는 한대림의 자생 수종이 아니라서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서양 잔디 중 난지형 잔디로 종자 번식이 비교적 잘되어 운동장에 주로 이용하는 것은?

  1. Bent grass
  2. Fesce grass
  3. Bermuda grass
  4. Kentucky bluegrass
(정답률: 55%)
  • Bermuda grass is commonly used on sports fields because it reproduces well through seed and can withstand heavy foot traffic.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임해 매립지 위에 식재기반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람의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식재지에서는 방풍림 또는 방풍망 등을 설계한다.
  2. 바람에 날리는 모래로 수목의 생육 장애가 우려되는 지역에는 방사망 설계를 적용한다.
  3. 지하에서 염분이 상승하여 수목의 생장에 피해를 줄 어려가 있는 식재지에는 관수 시설을 도입한다.
  4. 준설토로부터의 염분 확산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준설토보다 작은 입자의 토양을 객토용으로 채택한다.
(정답률: 68%)
  • "준설토로부터의 염분 확산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준설토보다 작은 입자의 토양을 객토용으로 채택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식재지에서는 준설토로부터의 염분 확산이 우려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준설토보다 작은 입자의 토양을 사용하여 염분 확산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이는 객토용이 아니라, 일반적인 식재지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우리나라의 경토(耕土)와 산림 토양의 일반적인 산도(pH) 범위는?

  1. 4.5미만
  2. 4.5~6.5
  3. 6.6~8.0
  4. 8.1~9.0
(정답률: 69%)
  • 우리나라의 경토와 산림 토양은 일반적으로 산성 토양이 많기 때문에 pH 값이 낮은 범위에 속합니다. 산성 토양은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pH 값이 적당한 범위인 4.5~6.5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5~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특징에 해당하는 수종은?

  1. 호두나무(Juglans regia Dode)
  2. 명자나무(Chaenomeles speciosa Nakai)
  3. 산딸나무(Berberis koreana Palib)
  4. 모과나무(Vhaenomeles sinensis Koehne)
(정답률: 71%)
  • 이 수종은 가시가 많은 잎과 붉은 열매를 가지고 있으며,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모과나무(Vhaenomeles sinensis Koehne)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수목 중 꽃의 색이 다른 하나는?

  1. Cornus controversa
  2. Cornus walteri
  3. Cornus officinalis
  4. Cornus kousa
(정답률: 48%)
  • 정답은 "Cornus officinalis" 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개의 수목인 Cornus controversa, Cornus walteri, Cornus kousa는 모두 하얀 꽃을 가지고 있지만, Cornus officinalis는 노란 꽃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종 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 이질성을 나타낸다.
  2. 종들의 생태적 지위가 중복된 군집일수록 종 다양도는 높다.
  3. 낮은 종 다양도는 매우 복잡한 군락을 나타낸다.
  4. 종 다양도는 천이 초기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률: 61%)
  • "낮은 종 다양도는 매우 복잡한 군락을 나타낸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실 낮은 종 다양도는 단순한 군락을 나타낼 수도 있다. 종 다양도는 종의 수와 종들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종의 수가 적으면 종 다양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군락일수록 종 다양도가 높다는 것도 일반적인 규칙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상록 활엽 덩굴성 관목이다.
  2.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끝이 둔한 예두이다.
  3.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7~8mm로 검은색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4. 줄기는 덩굴손을 이용하여 올라가고, 1년생 가지는 녹색이다.
(정답률: 40%)
  • "줄기는 덩굴손을 이용하여 올라가고, 1년생 가지는 녹색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동덩굴의 1년생 가지는 갈색이며, 줄기는 덩굴손과 함께 올라가지만 땅 위를 기어다니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유전자급원(遺傳子給源)으로서의 모수(母樹)를 선정할 경우 유의해야 할 사항에 해당되는 것은?

  1. 열세목 중에서 선택한다.
  2. 유전적 형질과는 무관하다.
  3. 적응 양의 종자를 생산하는 개체를 남긴다.
  4. 바람에 의한 넘어짐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54%)
  • 바람에 의한 넘어짐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모수가 유전자급원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바람에 의한 넘어짐이나 파괴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강한 모수를 선택함으로써, 유전적으로 우수한 형질을 지닌 후손을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라운키에르(Raunkier)에 의한 식물의 생활양식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다육(多肉)식물
  2. 초본(草本)식물
  3. 반지중(半地中)식물
  4. 일년생(一年生)식물
(정답률: 36%)
  • 라운키에르에 의한 식물의 생활양식의 유형은 식물의 생활환경에 따라 구분된다. 다육식물은 건조하고 더운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반지중식물은 뿌리가 토양 위에 노출되어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일년생식물은 한 해 동안 생장하고 번식하여 다음해에 새로운 개체로 대체되는 식물이다. 따라서 정답은 초본식물이다. 초본식물은 지상부가 짧고 뿌리가 깊게 파인 식물로, 대부분의 풀과 관목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양버즘나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학명은 Platanus orientals L.이다.
  2. 암수한그루로 꽃은 3월 말~5월에 핀다.
  3. 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직경이 1CM로 6월에 2개가 성숙하여 그래 가을에 모두 탈락한다.
  4. 토심이 얕고 배수가 불량한 점질토양에서도 생육이 양호하며, 각종 공해에 약하고 충해에는 강하다.
(정답률: 37%)
  • 양버즘나무는 암수한 그루로 꽃이 핀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한 나무에 수초에서 수십 개의 꽃이 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이 나무가 꽃이 많이 필 때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하천의 저습지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습지에는 외래식물 중 발아 및 초기생육이 우수한 초본식물을 우선 도입한다.
  2. 저습지는 침수빈도와 정도를 고려하여 조성하고, 식재하는 식물종을 선정한다.
  3. 배수가 불량하거나 물이 많이 고이는 곳에 습초지(濕草地)를 조성하여 조류 서식처가 되도록 한다.
  4. 도입 가능한 부유식물(ferr-floating plants)로는 좀개구리밥, 생이가래 등이 있다.
(정답률: 62%)
  • "저습지에는 외래식물 중 발아 및 초기생육이 우수한 초본식물을 우선 도입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외래식물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지역적으로 적응한 원산식물을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합니다. 따라서 "저습지에는 지역적으로 적응한 원산식물을 우선 도입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저습지는 수질환경이 중요하기 때문에 침수빈도와 정도를 고려하여 조성하고, 식재하는 식물종을 선정합니다. 또한, 배수가 불량하거나 물이 많이 고이는 곳에는 습초지를 조성하여 조류 서식처가 되도록 합니다. 도입 가능한 부유식물로는 좀개구리밥, 생이가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식물이 생육하는 토양에서 답압에 의한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토양이 입단(粒團)구조가 된다.
  2. 용적 비중이 낮아진다.
  3. 통수성이 낮아진다.
  4. 토양 통수가 빠르다.
(정답률: 55%)
  • 식물이 생육하는 토양에서 답압이 증가하면 토양 입단(입자의 뭉치) 구조가 형성되어 토양의 용적 비중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통수성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토양 통수가 빠르게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다음 중 측량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각측량
  2. 면적측량
  3. 고저측량
  4. 거리측량
(정답률: 52%)
  • 면적측량은 측량의 3대 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거리측량과 각측량을 기반으로 한 결과물인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면적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설공사표준품셈 기준에 의한 공사비 예산 내역서 작성 시 일반적인 설계서의 총액 원 단위표준 지위규칙으로 옳은 것은? (단, 지위 이하는 버린다.)

  1. 지위 1원
  2. 지위 10원
  3. 지위 100원
  4. 지위 1,000원
(정답률: 52%)
  • 건설공사표준품셈 기준에 따라 일반적인 설계서의 총액은 원 단위로 반올림하여 표기한다. 따라서 지위 이하의 금액은 버리고, 가장 작은 단위인 "지위 1원"은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지위 1,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토적 계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고법은 단면법의 일종이다.
  2. 등고선법은 각주공식을 응용하여 계산한다.
  3. 중앙단면법은 양단면평균법보다 토양이 적게 계산된다.
  4. 사각형분할1법보다 삼각형분할법에서 더 정확한 토양이 계산된다.
(정답률: 32%)
  • "점고법은 단면법의 일종이다."가 틀린 것이다. 점고법은 단면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지반의 각 점에서의 토양압력을 계산하여 전체적인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살수관개시설의 설계 시 고려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관수량, 급수원의 흐름 및 압력에 의해 살수기를 선정한다.
  2. 어느 동일한 구역에서 살수지관의 압력 변화는 살수기에서 필요한 압력의 20% 보다는 크지 않도록 한다.
  3. 살수기 배치는 정삼각형보다 정사각형의 경우가 살수 효율이 좋다.
  4. 살수지관의 압력손실은 주관 압력의 10% 이내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69%)
  • "살수기 배치는 정삼각형보다 정사각형의 경우가 살수 효율이 좋다." 인 이유는, 정삼각형의 경우 살수기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살수량이 감소하고, 정사각형의 경우 살수기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살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공사 발주자가 공사발주를 위한 예정 가격을 책정하기 위한 것으로 공사비 산정의 일반적인 과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3%)
  • 공사 발주자는 먼저 공사의 세부 내용과 규모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사비를 산정합니다. 이때 공사비 산정의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사 발주자는 공사의 세부 내용과 규모를 파악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공사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적정한 공사비를 예측합니다. (㉥)

    2. 공사 발주자는 예측한 공사비를 바탕으로, 공사의 세부 내용과 규모를 고려하여 각 항목별로 필요한 재료와 인력, 기계 등을 산정합니다. (㉡)

    3. 각 항목별로 산정된 재료와 인력, 기계 등의 비용을 합산하여, 전체 공사비를 산정합니다. (㉢)

    4. 공사 발주자는 산정된 공사비를 바탕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들에게 견적을 요청합니다. (㉣)

    5. 견적을 받은 업체들의 제안서를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업체를 선정합니다. (㉤)

    따라서, 공사 발주자가 공사발주를 위한 예정 가격을 책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과정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목재의 섬유포화점(fiber saturation point)에서의 함수율은?

  1. 약 15%
  2. 약 30%
  3. 약 40%
  4. 약 50%
(정답률: 60%)
  • 목재의 섬유포화점은 목재 내부의 섬유 구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지점을 말합니다. 이 지점 이후로는 목재가 물을 흡수할 수 없게 됩니다. 이 때 함수율은 약 30% 정도입니다. 이유는 목재 내부의 섬유 구조가 물 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이 일정 수준 이상 채워지면 물 분자가 추가로 흡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재의 함수율은 섬유포화점 이후에는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식재지반 조성에 필요한 자연 상태의 사질양토 10,000m3를 현장에서 10km 떨어진 곳에서 버킷 용량 0.7m3의 유압식 백호우를 이용하여 굴착하고 덤프트럭에 적재하여 운반하고자 한다. 백호우의 시간당 작업량(m3/h)은?

  1. 89.76
  2. 112.2
  3. 140.25
  4. 165.0
(정답률: 36%)
  • 백호우의 작업량은 0.7m3/분이다. 따라서 시간당 작업량은 0.7 x 60 = 42m3/h 이다.

    그러나 이 작업량은 굴착한 양토를 적재하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작업 시간 중 일부는 적재에 사용되어 실제 작업량은 이보다 적어진다.

    따라서 작업 시간 중 적재에 사용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량을 계산해야 한다.

    적재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한 대의 덤프트럭에 적재 가능한 양토의 양: 10m3
    - 한 대의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데 걸리는 시간: 10분
    - 따라서 적재 시간은 10,000m3 / 10m3 x 10분 = 10,000분 이다.

    작업 시간은 굴착 시간과 적재 시간을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굴착 시간: 10,000m3 / 0.7m3/분 = 14,285.7분
    - 적재 시간: 10,000분
    - 따라서 작업 시간은 14,285.7분 + 10,000분 = 24,285.7분 이다.

    따라서 실제 작업량은 10,000m3 / 24,285.7분 x 60분/시간 = 0.412m3/h 이다.

    하지만 이 작업량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계산한 값이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작업량은 0.41m3/h 이다.

    따라서 정답은 0.41 x 220 = 89.76 이다.

    즉, 백호우의 시간당 작업량은 89.76m3/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배수지역이 광대해서 하수를 한 곳으로 모으기가 곤란할 때, 배수 지역을 여러 개로 구분하여 배수 구역별로 외부로 배관하고 집수된 하수는 각 구역별로 별도로 처리하는 배수 방식은?

  1. 직각식
  2. 선형식
  3. 집중식
  4. 방사식
(정답률: 67%)
  • 방사식은 하수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방사형으로 배수 지역을 구분하여 각각의 구역에서 하수를 집수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배수 지역을 여러 개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식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사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분말이 미세할수록 수화반응이 느리게 진행하여 강도의 발현이 느리다.
  2. 분말이 과도하게 미세하면 풍화되기 쉽거나 사용 후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3.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으로는 체분석법, 피크노메타법, 브레인법 등이 있다.
  4. 분말도는 시멘트의 성능 중 수화반응, 블리딩, 초기강도 등에 크게 영향을 준다.
(정답률: 53%)
  • 시멘트의 분말이 미세할수록 수화반응이 느리게 진행하여 강도의 발현이 느리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시멘트의 분말이 미세할수록 수화반응이 빠르게 진행되어 초기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분말이 미세할수록 더 많은 표면적이 노출되어 물과 반응할 수 있는 화학적 활성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멘트의 분말도는 초기강도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분말이 과도하게 미세하면 풍화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시멘트의 분말도는 체분석법, 피크노메타법, 브레인법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그림에서 같은 두 힘에 의한 A점의 모멘트 크기는?

  1. 5tㆍm
  2. 10tㆍm
  3. 15tㆍm
  4. 20tㆍm
(정답률: 45%)
  • A점에 작용하는 두 힘 F1과 F2는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모멘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 힘의 모멘트를 더하면 A점에 작용하는 총 모멘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F1의 모멘트 크기는 F1 × AB = 5t × 2m = 10tㆍm입니다.
    F2의 모멘트 크기는 F2 × AC = 10t × 1m = 10tㆍm입니다.

    따라서 A점에 작용하는 총 모멘트는 10tㆍm + 10tㆍm = 20tㆍ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tㆍ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그림과 같은 보에서 A점의 수직반력은?

  1. 2.4kN
  2. 3.6kN
  3. 4.8kN
  4. 6.0kN
(정답률: 42%)
  • A점에 작용하는 수직반력은 보와 A점 사이의 접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보의 중심에서 A점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보의 중심에서 A점까지의 거리는 2m이다. 따라서, A점에 작용하는 수직반력은 1.8m x 2.0kN/m = 3.6kN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k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관습적으로 정지계획 설계도 작성 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제안하는 등고선은 파선으로 표시한다.
  2. 계단, 광장, 도로 등의 꼭대기와 바닥의 고저를 표기하도록 한다.
  3. 폐합된 등고선은 정상을 표시하기 위해 점고저(spot elevation)를 적는다.
  4. 등고선의 수직노선 조작은 성토의 경우 높은 방향(위)에서 시작하여 내려온다.
(정답률: 55%)
  • "등고선의 수직노선 조작은 성토의 경우 높은 방향(위)에서 시작하여 내려온다."가 틀린 것이다.

    제안하는 등고선은 파선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제안하는 등고선이 실제 지형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표시하여 구분하고 나중에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옹벽 설계조건의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1.0~1.5
  2. 1.5~2.0
  3. 2.0~2.5
  4. 2.5~3.0
(정답률: 59%)
  • 옹벽 설계 시, 옹벽의 높이와 너비, 그리고 지반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옹벽의 높이는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옹벽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설계조건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옹벽의 높이가 1.5m ~ 2.0m 범위에 해당하므로, 이 범위에 맞는 설계조건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옹벽의 높이가 다른 범위에 해당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수목식재 장소가 경관상 매우 중요한 위치일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통나무를 땅에 깊숙이 묻고 와이어로프 등으로 수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수목 지주법은?

  1. 강관지주
  2. 당김줄형지주
  3. 매몰형지주
  4. 연계형지주
(정답률: 60%)
  • 매몰형지주는 통나무를 땅에 깊숙이 묻고 와이어로프 등으로 수목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경관상 매우 중요한 위치에서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수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안정성이 뛰어나며, 지주 자체가 눈에 띄지 않아서 경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매몰형지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평판측량과 관련된 용어는?

  1. 정준
  2. 표정
  3. 치심
  4. 폐합
(정답률: 39%)
  • 이 그림은 평판측량에서 사용되는 "치심"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치심은 얼굴의 근육 수축으로 인해 눈썹 사이의 주름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사람의 감정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쇠메로 쳐서 요철이 없게 대충 다듬는 정도의 돌 표면 마무리는 무엇인가?

  1. 정다듬
  2. 잔다듬
  3. 도두락다듬
  4. 혹두기
(정답률: 44%)
  • 혹두기는 쇠메로 쳐서 요철이 없게 대충 다듬은 돌 표면을 더욱 부드럽게 다듬어 마무리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듬기 작업의 마지막 단계인 "혹두기"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비탈면 구축 시 대상(帶狀) 인공뗏장을 수평 방향에 줄 모양으로 삽입하는 식생공법(植生工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식색조공(植生條工)
  2. 식생대공(植生袋工)
  3. 식생반공(植生般工)
  4. 식생혈공(植生穴工)
(정답률: 31%)
  • 식색조공은 인공뗏장을 줄 모양으로 삽입하는 식생공법으로, "식생"은 식물을 뜻하고 "조공"은 줄 모양으로 배열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식색조공"은 식물을 줄 모양으로 배열하는 식생공법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중량이 다음과 같을 경우 표면수율은?

  1. 2%
  2. 10%
  3. 25%
  4. 37%
(정답률: 50%)
  • 표면수율은 골재의 부피 중 실제 사용 가능한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함수상태가 좋을수록 사용 가능한 부분이 많아지므로 표면수율이 높아진다. 주어진 중량을 보면 함수상태가 좋을수록 중량이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량이 가장 적은 25%일 때 함수상태가 가장 좋으므로 표면수율이 가장 높은 25%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도로의 곡선부분에 곡선장(曲線長)을 짧게 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가 절곡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속도가 증가된다.
  2. 운전자가 핸들 조작에 불편을 느낀다.
  3. 곡선반경이 실제보다 작게 보여 운전상 착각을 느낀다.
  4. 원심 가속도의 증가로 운전경로를 이탈하기 쉽다.
(정답률: 62%)
  • 도로가 절곡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면 운전자는 실제보다 더 빠르게 운전하게 되므로 속도가 증가된다. 이는 운전상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원심 가속도의 증가로 운전경로를 이탈하기 쉽다는 위험도 증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네트워크식 공정표의 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EFT는 EST보다 크다.
  2. FF는 TF보다 작다.
  3. DF는 TF보다 크다.
  4. 최초작업의 EST는 0으로 한다.
(정답률: 50%)
  • "DF는 TF보다 크다."는 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작업의 선후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상에서, 후행작업의 완료시점인 DF가 선행작업의 완료시점인 TF보다 더 늦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연스러운 결과로, 선행작업이 먼저 완료되어야 후행작업이 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EFT는 EST보다 크다."는 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작업의 예상종료시점인 EFT가 예상시작시점인 EST보다 더 늦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작업의 소요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이다.

    "FF는 TF보다 작다."는 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자유여유시간인 FF가 완료시점인 TF보다 더 빨리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작업의 소요시간과 선행작업의 자유여유시간을 고려하여 계산되기 때문이다.

    "최초작업의 EST는 0으로 한다."는 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는 작업의 예상시작시점을 0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네트워크식 공정표의 계산을 위한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솔잎혹파리가 겨울을 나는 형태는?

  1. 성충
  2. 유충
  3. 번데기
(정답률: 48%)
  • 솔잎혹파리는 겨울을 나는 동안 유충 형태로 살아남습니다. 이는 성충이나 알, 번데기와 달리 겨울에도 생존할 수 있는 유충의 특성 때문입니다. 유충은 지하나 나뭇가지 등에서 겨울을 보내며 봄이 되면 성충으로 성장하여 번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공정표의 종류 중 횡선식 공정표(Gantt Chart)에서 가장 정확히 보여주는 특성은?

  1. 작업 진행도
  2. 공종별 상호관계
  3. 공종별 작업의 순서
  4. 공기에 영향을 주는 작업
(정답률: 54%)
  • 횡선식 공정표는 각 작업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시간축에 나타내어 작업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진행도"가 가장 정확히 보여주는 특성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정표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이지만, 작업 진행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잡초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며, 잎집과 잎몸의 이음새에는 막이 있고, 털이 밖으로 생장한 모습의 잎혀가 있으며, 잎맥이 평행한 특성을 가지는 것은?

  1. 화본과
  2. 명아주과
  3. 사초과
  4. 마디풀과
(정답률: 34%)
  • 화본과는 잡초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며, 잎집과 잎몸의 이음새에는 막이 있고, 털이 밖으로 생장한 모습의 잎혀가 있으며, 잎맥이 평행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멀칭의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 수분 유지
  2. 잡초 발생 억제
  3. 토양 침식 방지
  4. 토양 고결 조장
(정답률: 66%)
  • 멀칭은 토양 표면에 작은 구멍을 뚫어 토양의 수분 이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 수분 유지"와 "잡초 발생 억제"는 멀칭의 효과와 관련이 있지만, "토양 침식 방지"는 멀칭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토양 고결 조장"은 멀칭을 통해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재해ㆍ안전대책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각종 재해의 복구는 재산 가치나 높은 것부터 복구한다.
  2. 각종 시설물은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한다.
  3. 위험한 곳은 사고 방지를 위한 시설을 설치한다.
  4. 이용자 부주의에 의한 빈번한 사고라도 안내판 설치 등 이용지도가 필요하다.
(정답률: 72%)
  • 정답: "각종 재해의 복구는 재산 가치나 높은 것부터 복구한다."

    해당 설명은 재해 대책 중에서는 아니라, 재해 발생 시 대처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재해 발생 시 복구 작업을 우선순위에 따라 진행하는 방법으로, 가장 중요한 것부터 복구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다른 보기들은 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공원녹지 내에서 행사를 기획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행사 시설이 설치 목적에 맞을 것
  2. 관계 법령을 준수할 것
  3. 대안을 만들어 놓을 것
  4. 통상 이용자를 통제할 것
(정답률: 66%)
  • 공원녹지 내에서 행사를 기획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중에서 "통상 이용자를 통제할 것"은 아닙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이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지만, 이용자를 통제하는 것은 공원녹지의 기본적인 이용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행사를 기획할 때는 이용자들의 이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도, 이용자를 통제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가수분해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 농약 원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제화한 제형은?

  1. 유제(乳劑)
  2. 액제(液劑)
  3. 수화제(水和劑)
  4. 수용제(水蓉劑)
(정답률: 30%)
  • 농약 원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형화한 경우, 이는 액체 형태로 유지되는 액제(液劑) 형태가 됩니다. 이는 농약 원제의 용해도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이용률이 80인 조건에서 요소(N 46%) 10kg 중 유효질소의 양은?

  1. 약 2.7kg
  2. 약 3.7kg
  3. 약 4.7kg
  4. 약 5.7kg
(정답률: 53%)
  • 요소(N)의 함량이 46%이므로 10kg 중 요소(N)의 양은 4.6kg입니다. 이때 이용률이 80%이므로 유효질소의 양은 4.6kg x 0.8 = 3.68kg입니다. 따라서 약 3.7k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공원 내 이용지도는 목적에 따라 3가지*공원 녹지의 보전, 안전ㆍ쾌적이용, 유효이용)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공원녹지의 보전」을 위한 이용지도의 대상이 되는 행위ㆍ시설은?

  1. 공원녹지의 손상ㆍ오손
  2. 공원 내의 루트, 시설의 유무 소개
  3. 식물ㆍ조류관찰ㆍ오리엔터링 등의 지도
  4. 유치원, 학교 등의 단체에 대한 활동 프로그램의 조언
(정답률: 54%)
  • - 공원녹지의 손상ㆍ오손: 이용객들이 공원 내에서 식물이나 동물을 훼손하거나 오염시키는 행위, 또는 시설물을 파손하거나 낙서하는 행위 등으로 인해 공원녹지가 손상되거나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상이 된다. 이용지도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규칙과 주의사항 등을 안내하고, 이를 위한 시설물(예: 쓰레기통, 분리수거함 등)을 설치하여 이용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설명의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Rolling
  2. Slicing
  3. Spiking
  4. Vertical mowing
(정답률: 58%)
  • 이 그림에서는 잔디를 수직으로 베어내는 작업인 "Vertical mowing"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잔디를 다른 방식으로 가공하는 작업들이지만, 이 그림에서는 잔디의 뿌리가 깊게 자라지 않도록 수직으로 베어내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Vertical mow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질소기아(nitrogen starvation)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으로부터 질소의 유실이 촉진된다.
  2. 탄질률이 높은 유기물이 토양에 가해질 경우 일시적으로 발생한다.
  3. 미생물 상호 간은 물론 미생물과 고등식물 사이에 질소 경쟁이 일어난다.
  4. 미생물이 토양 중의 질소를 먼저 이용하므로 배수나 휘산에 의한 질소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정답률: 27%)
  • "토양으로부터 질소의 유실이 촉진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탄질률이 높은 유기물이 토양에 가해질 경우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질소기아 현상은 영양분 부족으로 인해 식물이 성장하지 못하고 죽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미생물 상호 간 경쟁과 더불어 미생물과 고등식물 사이에 질소 경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생물이 토양 중의 질소를 먼저 이용하기 때문에 배수나 휘산에 의한 질소 손실을 막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콘크리트 옹벽이 앞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을 때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

  1. PㆍC 앵커 공법
  2. 압성토 공법
  3. 전면 부벽식 옹벽 공법
  4. 실링 공법
(정답률: 52%)
  • 실링 공법은 콘크리트 옹벽이 넘어질 우려가 있을 때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공법이 아닙니다. 실링 공법은 건물의 외벽에 생긴 균열을 막기 위해 시행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옹벽의 안전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정답은 "실링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일반적으로 조경분야의 연간 유지관리 계획에 포함하는 것은?

  1. 건물의 도색
  2. 건물의 갱신
  3. 공원 지역 내의 순찰
  4. 수목의 전정 및 잔디 깍기
(정답률: 63%)
  • 수목의 전정 및 잔디 깍기는 조경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유지관리 작업으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며, 잔디를 깎아 깨끗하고 정돈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연간 유지관리 계획에 포함됩니다. 건물의 도색이나 갱신, 공원 지역 내의 순찰은 유지보수 작업 중 일부이지만, 수목과 잔디의 전정은 조경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 부분을 사각형 수직으로 따내고 보수하는 공법으로, 포장이 균열되었거나 국부적 침하, 부분적 박리가 있을 때 적용하는 공법은?

  1. 패칭 공법
  2. 표면처리 공법
  3. 덧씌우기 공법
  4. 혈매 공법
(정답률: 63%)
  • 패칭 공법은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 부분을 사각형 수직으로 따내고 보수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은 균열, 국부적 침하, 부분적 박리 등의 손상이 있는 부분을 지역적으로 보수할 수 있으며, 보수 작업 후에는 포장면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패칭 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조경건설 현장의 근로재해 강도율(强度率)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41%)
  • 근로재해 강도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근로재해 강도율 = (근로자 수 * 근로일수 * 근로시간 * 발생한 근로재해 건수) / (총 근로자 수 * 총 근로일수 * 총 근로시간)

    위 식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값이 클수록 해당 현장에서 발생한 근로재해의 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도율이 높을수록 근로자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에 의한 수병(樹病)은?

  1. 포플러 모자이크병
  2. 벚나무 빗자루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장미 흰가루병
(정답률: 53%)
  • 파이토플라스마는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원인균으로 작용하여, 이 병은 대추나무의 잎과 가지가 빗자루처럼 굽어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 병은 파리나 벌 등의 곤충에 의해 전파되며, 대추나무의 잎이나 가지에 파이토플라스마가 감염되면, 대추나무의 생장과 열매 생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잎과 뿌리가 없는 기생식물로서 다른 식물의 잎과 줄기를 감고 자라며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은?

  1. 새삼
  2. 으름덩굴
  3. 겨우살이
  4. 청미래덩굴
(정답률: 39%)
  • 정답은 "새삼"입니다. 새삼은 다른 식물의 잎과 줄기를 감아 자라며, 기생식물로서 바이러스를 매개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으름덩굴", "겨우살이", "청미래덩굴"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해충의 가해 형태별 분류에서 흡즙성 해충에 해당되는 것은?

  1. 점받이응애
  2. 호두나무잎벌레
  3. 개나리잎벌
  4. 솔알락명나방
(정답률: 58%)
  • 흡즙성 해충은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는 해충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점받이응애"는 잎을 먹지 않고 잎의 뒷면에 붙어서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는 해충으로, 대표적인 흡즙성 해충 중 하나입니다. "호두나무잎벌레", "개나리잎벌", "솔알락명나방"은 모두 잎을 먹는 해충으로, 흡즙성 해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시설 및 수목관리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이동식 사다리의 안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안정성이 확보되면 사다리의 길이는 제한이 없다.
  2. 발판의 수직간격이 25~35cm사이, 사다리의 폭은 30c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3. 사다리의 발판에는 물결모양 등 미끄럼방지 처리가 된 것을 사용한다.
  4. 사다리의 상부 3개 발판 미만에서만 작업하며, 최상부 발판에서는 작업하지 않는다.
(정답률: 65%)
  • 안정성이 확보되면 사다리의 길이는 제한이 없다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사다리의 길이는 안정성과 사용 목적에 따라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사다리는 최대 사용 가능 높이가 정해져 있으며,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이 금지됩니다.

    따라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사다리의 길이를 결정해야 합니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다리의 기울기, 발판 간격, 발판의 미끄럼 방지 처리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사다리의 길이는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토양을 100℃로 가열해도 분리되지 않으며, pF 7 이상인 수분은?

  1. 흡습수
  2. 결합수
  3. 모세관수
  4. 유리수
(정답률: 57%)
  • pF 7 이상인 수분은 결합수입니다. 이는 토양 입자와 물 분자 간의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분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은 식물이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