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조경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사

1. 영국의 공원 중 최초로 시민의 힘에 의해서 만들어진 공원은?

  1. 리젠트 파크(Regent Park)
  2. 그린 파크(Green Park)
  3. 하이드 파크(Hyde Park)
  4. 버컨헤드 파크(Birkenhead Park)
(정답률: 82%)
  • 버컨헤드 파크는 1847년에 리버풀의 대지주인 조지 베이머(George Baker)가 시민들의 휴식과 산책을 위해 만들기로 결정하고, 이를 위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계획되었기 때문에 시민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국의 청(淸)나라 때 조성된 이름난 정원은?

  1. 앵도원(櫻桃園)
  2. 평천장(平泉莊)
  3. 온천궁(溫泉宮)
  4. 이화원(頤和园)
(정답률: 82%)
  • 중국의 청나라 때 조성된 이름난 정원 중 "이화원"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인 광무제가 건립하였으며, 그 이름은 "영양을 보충하고 조화롭게 지내는 곳"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화원은 중국의 대표적인 정원 중 하나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인공물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어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고대 로마시대의 정원인 호르투스(hortus)의 초기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약초밭
  2. 분수
  3. 과수원
  4. 채전
(정답률: 73%)
  • 분수는 호르투스의 초기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니었습니다. 호르투스는 주로 약초밭, 과수원, 채소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수는 로마시대 후기에 추가되었습니다. 따라서 분수는 호르투스의 초기 구성 요소가 아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려시대 정원조영의 특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격구장을 축조하였다.
  2. 별서정원(別墅庭園)이 유행하였다.
  3. 곡연(曲宴)을 위한 대사누각(臺射樓閣)이 지어졌다.
  4. 송나라의 정원을 모방하여 호화롭고 이국적인 화원이 만들어졌다.
(정답률: 63%)
  • 고려시대에는 격구장을 축조하였고, 곡연을 위한 대사누각이 지어졌으며, 송나라의 정원을 모방하여 화원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별서정원이 유행하였다"이다. 이유는 고려시대에는 별서정원이 아니라 대개 화원(花園)이라 불리는 정원이 유행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정원에 관한 설명에 적합한 일본시대는?

  1. 실정(室明:무로마치)
  2. 도산(桃山:모모야마)
  3. 강호(江戶:에도)
  4. 겸창(鎌倉:가마쿠라)
(정답률: 58%)
  • 일본의 도산 시대는 1573년부터 1603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전국적인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지방의 대명사들이 각각의 영토를 지배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산 시대는 일본의 중앙 집권화와 국가 통일화를 추진하는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문화와 예술이 발전하였고, 유럽과의 교류도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정원 문화도 이 시기에 발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대 각 국가의 정원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이집트-신원(Shrine garden)
  2. 바빌로니아-공중(Hanging) 공원
  3. 그리스-아카데미(academy)
  4. 로마-페리스타일(peristyle) 가든
(정답률: 59%)
  • 로마-페리스타일 가든은 고대 로마의 정원 특징 중 하나로, 중앙에 오픈한 마당이 있고 주변에는 열린 형태의 갤러리나 콜로네이드가 있는 정원입니다. 이와 달리 이집트, 바빌로니아, 그리스의 정원은 각각 신전, 공중 정원, 철학 학교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로마-페리스타일 가든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Radburn 계획의 개념과 관계가 먼 것은?

  1. 쿨데삭(cul-de-sac)
  2. 보행자도로(pedestrian road)
  3. 슈퍼블럭(super block)
  4. 격자 가로망(grid system)
(정답률: 74%)
  • Radburn 계획은 도시 계획의 한 형태로, 주택 지역과 상업 지역, 공원 등을 분리하여 계획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쿨데삭", "보행자도로", "슈퍼블럭"은 모두 Radburn 계획의 구체적인 구현 방법이나 요소들이다. 반면에 "격자 가로망"은 Radburn 계획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도시 계획에서 많이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도로망 구성 방식이다. 따라서 "격자 가로망"이 Radburn 계획과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에 적합한 형태의 대상자는?

  1. 창경궁 퉁명전 옆의 연지
  2. 경복궁 후원의 향원지
  3. 창덕궁 후원의 부용지
  4. 창경궁 후원의 춘당지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 모두 한국의 궁궐들의 후원지들이다. 그 중에서도 정답인 "창덕궁 후원의 부용지"는 이미지의 왼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창덕궁"이라는 궁궐의 후원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원에서의 생활을 중요시하여 생전에는 정원에 정자 등 화려한 건물을 지어 친구들과 즐기다가 사후에는 그 곳을 그대로 묘소나 기념관으로 사용하였던 국가는?

  1. 무굴인도
  2. 페르시아
  3. 이탈리아
  4. 스페인
(정답률: 77%)
  • 무굴인도의 왕은 정원에서의 생활을 중요시하여 생전에는 정원에 화려한 건물을 지었고, 사후에는 그 곳을 묘소나 기념관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슬람권의 정원은 파라다이스(Paradise)의 개념을 갖는 정원이 대부분이다. 다음 이와 같은 성격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정원은?

  1. 이졸라 벨라(lsola Bella)
  2. 샤리마르-바그(Shalimar Bagh)
  3. 헤네랄리페(Generalife)
  4. 타지마할(Taj Mahal)
(정답률: 66%)
  • 정원의 개념이 아닌 건축물이 중심인 "이졸라 벨라(lsola Bella)"는 이슬람권의 정원으로 분류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화목부(花木部)에 식물 특성과 함께 배식법을 다루고 있는 중국 명나라 때의 저술서는?

  1. 계성의 원야(園冶)
  2. 문진향의 장물지(長物志)
  3. 주밀의 오흥원림기(吳興園林記)
  4. 이도헌추리의 축산정조전(築山庭造傳)
(정답률: 56%)
  • 문진향의 장물지는 화목부에 대한 저술로, 식물의 특성과 함께 배식법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중국 명나라 때에 저술된 것으로, 화목부에 대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문헌상 우리나라의 정원에 식물인 연(連)이 최초로 나타난 시기는?

  1. 기원전 16년경
  2. 서기 123년경
  3. 서기 372서기
  4. 서기 600서기
(정답률: 61%)
  • 연(連)이 최초로 나타난 시기는 서기 123년경이다. 이는 삼국시대 후기인 백제 시대에 백제의 왕족인 소수부(小守部)가 중국에서 가져온 연(連)을 식재하여 정원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르 노트르 양식의 영향을 받은 오스트리아 정원 유적으로 옳은 것은?

  1. 쇤부룬성
  2. 샤블롱 정원
  3. 님펜부르크 성관
  4. 페트로드보레츠 궁전
(정답률: 63%)
  • 쇤부룬성은 르 노트르 양식의 영향을 받은 오스트리아 정원 유적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양식의 영향을 받았거나, 정원이 아닌 건축물이기 때문에 정답은 쇤부룬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창경궁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낙선재 지역은 후궁들의 침전이었다.
  2. 동명전 옆에는 장대석을 쌓아올린 원형지당과 중앙에 부정형의 섬을 만들었다.
  3. 동궐도에 보면 큰 황새 조류나 동물, 해시계, 풍기(風旗) 등의 기물을 대석 뒤에 설치한 것이 보인다.
  4. 홍화문에서 명정문에 이르는 보도는 삼도로 중앙을 높게 해 단을 두고 박석을 깔았다ㅑ.
(정답률: 50%)
  • "동명전 옆에는 장대석을 쌓아올린 원형지당과 중앙에 부정형의 섬을 만들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창경궁 내부에는 원형지당이 아닌 정자(亭子)가 있으며, 중앙에는 부정형의 섬이 아닌 정사(正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불국사의 구품연지를 지나 대웅전으로 올라가는 청운교와 백운교에 33계단이 조성되었는데, 이 “33계단”의 상정적 의미는?

  1. 한국 사람이 좋아하는 행운의 숫자
  2. 입신공명과 부귀영화를 뛰어넘는 해탈
  3. 세속의 번외로 부산히 흩어 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두는 시간
  4.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에서 33천(天)을 뛰어 넘어 부처의 세계로 나아감
(정답률: 81%)
  • 33계단은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에서 33천(天)을 뛰어 넘어 부처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상징합니다. 이는 불교에서 해탈을 이루는 과정을 나타내며, 청운교와 백운교를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으며 성취해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알베르티의 저서 “데 레 아에디피카토레(De re Aedificatoria)" 에서 제시한 정원의 입지 조건이 아닌 것은?

  1. 수원의 적절성을 확인한다.
  2. 배수가 잘되는 견고한 부지가 좋다.
  3. 부지의 방향은 태양과 이루는 수평ㆍ수직 각도를 고려한다.
  4. 도시로부터 조망이 좋고 시장이 형성되는 곳이 좋다.
(정답률: 71%)
  • 정답: "수원의 적절성을 확인한다."

    이유: 알베르티는 "데 레 아에디피카토레"에서 정원의 입지 조건으로 배수, 방향, 조망 등을 제시하였는데, 수원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것은 정원의 입지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시로부터 조망이 좋고 시장이 형성되는 곳이 좋은 이유는, 조망이 좋으면 경치를 감상할 수 있고, 시장이 형성되면 인구 밀도가 높아져서 문화와 경제적인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려시대의 의종(毅宗)이 민가 50여구를 헐어 터를 다듬고 여기에 많은 정자를 세워 명화이과(名花異果)를 심었으며, 괴석으로 가산을 꾸미고 인공폭포를 만들었는데, 그 원렴은 치려(侈麗)하기 그지 없었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된 정자는?

  1. 만수정(萬壽亭)
  2. 양성정(養性亭)
  3. 중미정(衆美亭)
  4. 태평정(太平亭)
(정답률: 57%)
  • 의종이 민가를 털어 정자와 명화이과를 만들고 괴석과 인공폭포를 만들었다는 것은 그가 경치를 즐기는 것을 좋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된 정자 중에서도 "태평정"은 그가 만든 것으로, 그 이름은 평화롭고 조용한 곳이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에 적합한 용어는?

  1. 영지(影池)
  2. 연지(連池)
  3. 계담(漠睪)
  4. 귀루(署湯)
(정답률: 67%)
  • 이 그림은 영지(影池)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영지는 물이 모이는 곳을 뜻하며, 이 그림에서는 산과 산 사이에 물이 모여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 중 “도산서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산오대(四山五臺)
  2. 연(造)을 식재한 애련설(愛蓮說)
  3. 매(梅), 죽(竹), 송(松), 국(菊)
  4. 정우당(淨友糖)과 몽천(夢泉)을 축조
(정답률: 56%)
  • "사산오대(四山五臺)"는 도산서원과는 관련이 없는 명승지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연(造)을 식재한 애련설(愛蓮說)", "매(梅), 죽(竹), 송(松), 국(菊)", "정우당(淨友糖)과 몽천(夢泉)을 축조"는 모두 도산서원과 관련된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한국의 별서 양식의 발달에 배경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신라시대의 사절유택
  2. 조선시대 사화와 당행의 심화
  3.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연환경
  4. 무역을 통한 문물 교류의 확대
(정답률: 76%)
  • 무역을 통한 문물 교류의 확대는 한국의 별서 양식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별서 양식은 주로 국내에서 발전하였으며, 무역을 통한 문물 교류는 단지 외부 문화의 수용과 영향을 받는 데에 그쳤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무역을 통한 문물 교류의 확대"가 별서 양식의 발달에 배경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계획

21.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주요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재해의 방지
  2. 미기후의 조절
  3. 도시 확산의 억제
  4. 토지이용율의제고
(정답률: 48%)
  •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주요 기능 중 거리가 먼 것은 "토지이용율의 제고"입니다. 이는 도시 내에서 녹지공간을 확보하여 건물이나 도로 등의 인프라를 건설하는 데 사용되는 토지의 비율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 내에서 녹지공간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도시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근린생활시설”의 설명 중 ()안에 알맞은 기준값은?

  1. 500
  2. 1000
  3. 2000
  4. 2500
(정답률: 63%)
  • 근린생활시설은 일반적으로 주거지역 내에서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해 운영되는 시설로, 예를 들어 편의점, 빵집, 세탁소 등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시설들은 인근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기 때문에 주택과의 거리가 가까워야 하며, 이를 위해 건축법에서는 근린생활시설의 건축물과 주택의 최소 거리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근린생활시설의 건축물과 주택의 최소 거리는 해당 지역의 용도지역과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위의 보기에서는 근린생활시설과 주택의 최소 거리가 1000m2 이상이어야 한다는 기준값이 주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연공원법의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의 수립 등”대한 설명 중 A, B에 적합한 값은?

  1. A:10, B:5
  2. A:10, B:7
  3. A:15, B:5
  4. A:15, B:7
(정답률: 78%)
  • 자연공원법에서는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의 수립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공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리를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은 10년마다 개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A는 10이 맞다.

    또한, 자연공원법에서는 자연공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경비를 국고예산에서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때, 국고예산에서 지원하는 금액은 자연공원의 종류와 크기, 보전ㆍ관리계획 등에 따라 다르게 책정된다. 그리고 이 금액은 5년마다 검토되어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고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B는 5가 맞다.

    따라서 정답은 "A:10, B: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상 부지 분석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부지계획의 목표 수립
  2. 부지의 문제점 도출
  3. 부지의 잠재력 파악
  4. 부지의 특성을 이해
(정답률: 61%)
  • 대상 부지 분석의 목적은 부지의 문제점 도출, 부지의 잠재력 파악, 부지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부지계획의 목표 수립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대상 부지 분석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건물의 실내정원 배치계획 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한된 환경조건을 갖게 되며, 건물 내부의 환경 및 구조적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2.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습도의 제공 및 관수에 의한 수분공급이 필요하다.
  3. 위치 및 조경요소의 배치는 건물 내부의 전체적인 동선 흐름, 이용패턴, 내부공간의 성격 등을 고려한다.
  4. 정창(top-light)을 통한 실내 자연광 유입을 위해 남향에 배치하고, 빛을 좋아하고, 생장속도가 빠른 키 큰 식물을 식재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정창(top-light)을 통한 실내 자연광 유입을 위해 남향에 배치하고, 빛을 좋아하고, 생장속도가 빠른 키 큰 식물을 식재한다." 이다. 이는 옳은 사항이다. 모든 보기는 건물의 실내정원 배치계획 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놀이시설 계획과 관련된 용어 설명이 부적합한 것은?

  1. “개구부”란 시설물의 일부분이 구조체의 모서리나 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말한다.
  2. “안전거리”란 놀이시설 이용에 필요한 시설 주위의 보호자 관찰거리를 말한다.
  3. “최고 접근높이”란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어린이가 오를 수 있는 놀이시설의 가장 높은 높이를 말한다.
  4. “놀이공간”이란 어린이들의 신체단련 및 정신수양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어린이놀이터ㆍ유아놀이터 등의 공간을 말한다.
(정답률: 57%)
  • "안전거리"란 놀이시설 이용에 필요한 시설 주위의 보호자 관찰거리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적합한 계약은?

  1. 녹지계약
  2. 공지계약
  3. 생태공간계약
  4. 원상회복계약
(정답률: 73%)
  • 이 계약은 건설공사 시 건설 지역 내 녹지를 조성하고 유지보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녹지계약"입니다. 이미지에서도 건설 지역 내 녹지 조성과 유지보수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설문조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설문 작성을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2. 앞부분의 질문이 나중의 질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표준화된 설문지를 여러 응답자에게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여러 사람의 응답을 비교할 수 있다.
  4. 통계적 처리를 통하여 계량적 결론을 낼 수는 있으나 비계량적 결과보다 연구결과의 설득력이 약하다.
(정답률: 73%)
  • 설문조사의 특성 중에서 "통계적 처리를 통하여 계량적 결론을 낼 수는 있으나 비계량적 결과보다 연구결과의 설득력이 약하다."는 특성이 아닙니다. 설문조사는 주관적인 응답을 수집하기 때문에, 통계적 처리를 통해 계량적 결론을 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는 비교적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며, 설문조사 결과의 설득력은 응답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인식에 크게 의존합니다. 따라서, 설문조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통계적 처리와 함께 응답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인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계획은?

  1. 환경시설계획
  2. 심미적 환경계획
  3. 생태환경계획
  4. 환경자원관리계획
(정답률: 71%)
  • 위 계획은 주어진 지역의 생태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계획이므로 "생태환경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1. 고도(古都)
  2. 침상원
  3. 비오톱(Biotop)
  4. 계획지역
(정답률: 70%)
  • 이미 옛날부터 중요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던 도시나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그림에서는 중국의 역사적인 도시인 시안(西安)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시는 중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고도(古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배수시설 계획 중 다음 설명의 배수는?

  1. 개거 배수
  2. 표면 배수
  3. 지표 배수
  4. 심토층 배수
(정답률: 62%)
  • 이 배수 시설은 지하수를 제거하기 위해 깊은 심토층에 배수하는 심토층 배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연공원의 각 지구별 자연보존 요구도의 크기 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6%)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각 지구의 자연보존 요구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고려해보면,

    ㉠ 지구는 "자연환경의 보전과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지구로, 인간의 개입이 적은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복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자연환경의 원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다른 지구들보다 더 큰 자연보존 요구도를 가지게 됩니다.

    ㉢ 지구는 "자연환경과 인간생활의 조화"를 목적으로 하는 지구로, 인간이 생활하는 환경과 자연환경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생활과 자연환경의 보존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는 ㉡ 지구보다 더 큰 자연보존 요구도를 가지게 됩니다.

    ㉡ 지구는 "인간생활의 안전과 편의"를 목적으로 하는 지구로, 인간의 생활과 편의를 위한 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생활과 편의를 위한 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이며, 자연보존 요구도는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자연보존 요구도의 크기 순서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로를 기능적으로 구분할 때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집산도로
  4. 국지도로
(정답률: 50%)
  • 이 도로는 지역 내부를 연결하는 도로로서 국지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지도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환경계획이나 설계의 패러다임 중 자연과 인간의 조화, 유기적이고 체계적 접근, 상호의존성, 직관적 통찰력 등을 특징으로 하는 패러다임은?

  1. 직관적 패러다임
  2. 데카르트적 패러다임
  3. 전체론적 패러다임
  4. 뉴어버니즘 패러다임
(정답률: 45%)
  • 전체론적 패러다임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며,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환경계획이나 설계를 수행하는 패러다임입니다. 이는 직관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자연과 사회,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전체론적 패러다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산악형 국립공원지역 내 입지한 고찰(古刹) 지역을 관광지로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은?

  1. 등산로와 종교 참배 동선의 연결
  2. 종교시설의 집단 설치를 위한 이주
  3. 관광객과 종교인들 간의 보행동선 공유
  4. 종교 및 문화재 보존과 관광 레크레이션 시설 사이에 완충지대 형성
(정답률: 73%)
  • 산악형 국립공원지역 내 입지한 고찰(古刹) 지역은 종교적인 의미와 문화적인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따라서 이 지역을 관광지로 개발할 때는 종교 및 문화재 보존과 관광 레크레이션 시설 사이에 완충지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등산로와 종교 참배 동선의 연결, 종교시설의 집단 설치를 위한 이주, 관광객과 종교인들 간의 보행동선 공유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종교적 의미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축척이 1/50000인 지형도의 어떤 사면경사를 알기 위해 측정한 계곡선 간의 수평 최단 거리가 1.4cm이었을 두 점의 사면 경사도는 약 얼마인가?

  1. 8%
  2. 10%
  3. 14%
  4. 20%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노상주차장
  2. 부설주차장
  3. 노외주차장
  4. 지하주차장
(정답률: 60%)
  • 주차장법상에는 "지하주차장"이라는 종류가 없습니다. 따라서, "지하주차장"은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공공체육시설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생활체육시설
  2. 대중체육시설
  3. 전문체육시설
  4. 직장체육시설
(정답률: 47%)
  •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공공체육시설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대중체육시설"입니다. 이는 개인 또는 단체가 운영하는 체육시설로, 공공체육시설과는 달리 일반 대중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생태관광의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적인 관광
  2. 농촌보다는 도시를 소규모 그룹으로 관광
  3. 관광지의 경관, 동식물, 문화유산을 고려하는 관광
  4. 훼손이 덜된 자연지역을 소규모 그룹으로 관광
(정답률: 76%)
  • "농촌보다는 도시를 소규모 그룹으로 관광"은 생태관광의 범위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생태관광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적인 관광과도 맞지 않습니다. 도시는 대개 인구 밀집 지역이며,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태관광에서는 주로 농촌이나 훼손이 덜된 자연지역을 소규모 그룹으로 관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상지역의 기후에 관한 조사는 계획구역이 속한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에 관한 조사와 계획구역 내에 국한된 미기후에 관한 조사로 나누어진다. 다음 중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이 아닌 것은?

  1. 강우량
  2. 태양열
  3. 공기유통
  4. 안개ㆍ서리 피해지역
(정답률: 59%)
  • 강우량은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이 아니라 전반적인 기후에 관한 조사에 해당한다. 강우량은 일정 기간 동안의 강수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기예보나 재해 예방 등에 활용된다. 반면에 미기후에 관한 조사는 계획구역 내에서 특정한 기후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그 영향이 어떻게 나타날지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우량은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설계

41. 주차장법 시행규칙상의 “장애인전용”주차 단위 구획 기준은?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를 적용한다.)

  1. 2.0m 이상 ×6.0m 이상
  2. 2.0m 이상 ×5.0m 이상
  3. 2.6m 이상 ×5.2m 이상
  4. 3.3m 이상 ×5.0m 이상
(정답률: 72%)
  • 장애인전용 주차 단위 구획은 대형차량이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주차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주차 단위 구획의 크기는 최소한 3.3m 이상의 너비와 5.0m 이상의 길이가 필요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승용차와 대형차량, 휠체어 등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3m 이상 ×5.0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입체도를 3각법에 의해 3면도로 옳게 투상한 것은? (단,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에서 두 개의 직각면이 보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3면도로 투상하면 된다. 첫 번째 직각면은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그리면 되고, 두 번째 직각면은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으로 그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면은 두 직각면의 교차점에 위치하므로 이를 연결하여 그리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법혼합(Additive mixture)의 3색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빨간색광과 녹색광을 흰 스크린에 투영하여 혼합하면 밝은 노랑이 된다.
  2. 가법혼합은 가산혼합, 가법혼색, 색광혼합이라고 한다.
  3. 3색광 모두를 혼합하면 암회색(暗灰色)이 된다.
  4. 가법혼색의 방법에는 동시, 계시, 병치 3가지가 있다.
(정답률: 70%)
  • "3색광 모두를 혼합하면 암회색(暗灰色)이 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3색광 모두를 혼합하면 흰색이 됩니다. 이는 가법혼합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RGB 색 모델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빨간색, 녹색, 파란색 광을 모두 혼합하면 백색광이 되며, 이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제도 용지의 나비와 길이의 비가 옳은 것은?

  1. 1:1
  2. 1:√2
  3. 1:√3
  4. 1:2
(정답률: 66%)
  • 제도 용지는 A0 크기를 기준으로 하며, A0 용지의 크기는 841mm x 1189mm 입니다. 이 때, A0 용지를 절반으로 자르면 A1 용지가 되며, A1 용지의 크기는 594mm x 841mm 입니다. 이와 같이 A1 용지를 절반으로 자르면 A2 용지가 되며, A2 용지의 크기는 420mm x 594mm 입니다.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절반으로 자르면 A3, A4, A5, ... 용지가 됩니다.

    이 때, A0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은 841:1189 = 1:√2 입니다. 따라서, A1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도 1:√2가 되며, 이와 같이 A2, A3, A4, ...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도 모두 1:√2가 됩니다. 따라서, 제도 용지의 나비와 길이의 비는 1:√2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조경공간에서 경관조명시설의 설계 검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설계대상 공간에 설치하는 경관조명 시설은 종류별로 규격ㆍ형태ㆍ재료에서 체계화를 꾀한다.
  2. 특정 집단의 집중적인 이용에 대비해 유지 관리가 전문화될 수 있도록 회로구성 등의 설계에 고려한다.
  3. 광장과 같은 공간의 어귀는 밝고 따뜻하면서 눈부심이 적은 조명으로 설계한다.
  4. 야간 이용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계하는 공원과 같은 공간에서는 야간 이용자들의 흥미유발이 중요하다.
(정답률: 51%)
  • "광장과 같은 공간의 어귀는 밝고 따뜻하면서 눈부심이 적은 조명으로 설계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특정 집단의 집중적인 이용에 대비해 유지 관리가 전문화될 수 있도록 회로구성 등의 설계에 고려하는 이유는, 해당 공간이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되는 경우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 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반면, "광장과 같은 공간의 어귀는 밝고 따뜻하면서 눈부심이 적은 조명으로 설계한다."는 일반적인 경관조명 설계 원칙 중 하나이지만, 이는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 광장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다양한 조명 디자인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제이콥스와 웨이(Jacobs&Way)는 경관의 시각적 흡수력(Visual absorption)은 경관의 투과(Transparency)의 복잡도(Complexity)에 의해 좌우된다고 하였다. 시각적 흡수력이 가장 높은 것은?

  1. 투과성이 높고, 복잡도가 낮은 경우
  2. 투과성이 높고, 복잡도가 높은 경우
  3. 투과성이 낮고, 복잡도가 낮은 경우
  4. 투과성이 낮고, 복잡도가 높은 경우
(정답률: 47%)
  • 투과성이 낮고, 복잡도가 높은 경우에는 경관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시각적으로 더욱 흡수력이 높아진다. 이는 경관의 세부적인 요소들이 눈에 더 잘 들어오기 때문이다. 반면에 투과성이 높고, 복잡도가 낮은 경우에는 경관이 덜 뚜렷하게 나타나며, 시각적으로 흡수력이 낮아진다. 이는 경관의 세부적인 요소들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은 도형조직의 원리 가운데에서 어느 것에 가장 적당한가?

  1. 근접성
  2. 방향성
  3. 유사성
  4. 완결성
(정답률: 55%)
  • 정답은 "완결성"이다. 이유는 도형들이 모두 하나의 완전한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근접성"은 서로 가까이 위치한 도형들끼리 묶는 것, "방향성"은 도형들이 특정 방향을 가지고 묶이는 것, "유사성"은 도형들이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묶이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속도감이 가장 둔한 느낌의 색상은?

  1. 노랑
  2. 빨강
  3. 주황
  4. 청록
(정답률: 67%)
  • 청록은 파랑과 초록이 섞인 색상으로, 둔한 느낌을 주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파랑은 차분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초록은 자연스러움과 평화로움을 느끼게 합니다. 따라서 청록은 이러한 특성들을 결합하여 속도감이 둔한 느낌을 주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제도용 삼각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경 제도에는 30cm가 적합하다.
  2. 삼각자는 15° 증가되어 여러 각도를 얻을 수 있다.
  3. 자의 길이는 45° 빗면과 60°의 수선길이를 말한다.
  4. 삼각자는 30°와 60° 2가지가 한 세트로 되어 있다.
(정답률: 57%)
  • "삼각자는 30°와 60° 2가지가 한 세트로 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삼각자가 정삼각형의 내각을 이루는 각도인 60°와 그 외의 각도를 이루는 3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각자를 사용하여 30°와 60°의 각도를 측정하거나 그에 대한 직각삼각형의 변을 그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계단 그림에서 A와 B의 값이 모두 옳은 것은? (단, 장애인ㆍ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적용한다.)

  1. A:3cm, B:45
  2. A:3cm, B:60
  3. A:5cm, B:50
  4. A:5cm, B:60
(정답률: 62%)
  • 정답은 "A:3cm, B:60"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장애인ㆍ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르면, 계단의 총 층수가 3층 이상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또는 승강기를 설치해야 한다.
    -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계단의 총 층수가 2층이므로, 엘리베이터 또는 승강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따라서, 계단의 층간 높이는 30cm 이하여야 하며, 계단의 총 높이는 60cm 이하여야 한다.
    - A의 값이 3cm인 경우, 계단의 층간 높이는 30cm 이하이므로 옳다.
    - B의 값이 60인 경우, 계단의 총 높이는 60cm 이하이므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해가 지면서 주위가 어두워지는 해 질 무렵 낮에 화사하게 보이던 빨간색 꽃은 어둡고 탁해 보이고, 연한 파란색 꽃들 초록색의 잎들은 밝게 보이는 현상은 무엇인가?

  1. 푸르키니에 현상
  2. 컬러드 셰도우 현상
  3. 베졸트-브뤼케 현상
  4. 헬슨-저드 효과
(정답률: 72%)
  • 해가 지면서 빛의 파장이 길어져서 빨간색과 주황색의 빛이 흡수되고, 파란색과 보라색의 빛이 남아서 주변의 물체들이 파란색 빛을 받아들여서 푸르게 보이는 것이 "푸르키니에 현상"이다. 이는 빛의 산란 현상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먼지나 물방울 등이 빛을 산란시켜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에 사용하는 인출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수선의 보조선이다.
  2. 가는 실선을 사용한다.
  3. 도면 내용물의 대상 자체에 기입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4. 식재설계 시 수목명, 수량, 규격을 기입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58%)
  • "치수선의 보조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출선은 도면 내용물의 대상 자체에 기입할 수 없을 때 사용하며, 가는 실선을 사용합니다. 치수선은 도면 내용물의 크기, 위치, 형상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보조선이 아닌 본선으로 그려집니다. 따라서, "치수선의 보조선이다."는 인출선에 대한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균형과 관계있는 용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칭
  2. 점증
  3. 비대칭
  4. 주도와 종속
(정답률: 51%)
  • 정답: 주도와 종속

    균형은 대칭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칭은 양쪽이 똑같은 모양이나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균형을 유지하기 쉽습니다. 비대칭은 한쪽이 다른 쪽보다 크거나 무거워서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점증은 어떤 값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균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주도와 종속은 어떤 상황에서 한 쪽이 다른 쪽보다 더 중요하거나 영향력이 큰 것을 말합니다. 이 또한 균형과는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람이 눈을 통하여 외계의 사물을 볼 때 그 사물을 구성하고 있는 다음 시각요소들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빨리 지각되는가?

  1. 색채
  2. 형태
  3. 공간
  4. 질감
(정답률: 65%)
  • 색채는 빛의 파장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에 빛이 빠르게 눈에 도달하고 뇌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가장 빨리 지각됩니다. 따라서 사람이 외계의 사물을 볼 때 가장 먼저 인식하는 시각요소는 색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시경관과 자연경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자연경관이 도시경관에 비해 선호도가 높다.
  2. 도시경관의 복잡성은 자연경관의 복잡성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3. 자연경관이 도시경관에 비해 색채대비가 낮다.
  4. 자연경관은 도시경관에 비해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다.
(정답률: 72%)
  • "도시경관의 복잡성은 자연경관의 복잡성보다 상대적으로 낮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도시경관은 인간의 거주, 교통, 상업 등의 활동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이기 때문에 자연경관보다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경관의 복잡성은 자연경관의 복잡성보다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좋은 디자인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함목적성
  2. 대중성
  3. 심미성
  4. 경제성
(정답률: 39%)
  • 대중성은 디자인이 많은 사람들에게 호감을 받고 사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자인이 대중성을 갖추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어 제품의 인기와 판매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디자인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중성이 요구되는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운율미(韻律美)의 표현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변화되는 색채
  2. 수관의 율동적인 선(線)
  3.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4. 질정한 간격을 두고 들려오는 소리
(정답률: 69%)
  • 운율미는 시나 글의 운율과 미적 감각을 의미하는데,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은 이와 관련이 없는 표현이다. 운율미는 주로 글이나 시의 운율, 말의 선율 등과 관련이 있으며, "변화되는 색채"나 "수관의 율동적인 선(線)", "질정한 간격을 두고 들려오는 소리"와는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탈면 녹화의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탈면 녹화는 인위적으로 깍기, 쌓기 된 비탈면과 자연침식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을 생태적, 시각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2. 초본류 식재 방법에는 차폐수벽공법, 식생상심기, 새집공법, 새심기가 있다.
  3. 소단배수구를 계획하는 소단부에는 횡단구배를 두고, 배수구쪽으로 편구배를 두어 물이 비탈면으로 넘치지 못하도록 설계한다.
  4. 비탈면은 조사에서 토사 비탈면의 토양경도가 27mm 이상이면 암반 비탈면과 같이 취급한다.
(정답률: 47%)
  • "초본류 식재 방법에는 차폐수벽공법, 식생상심기, 새집공법, 새심기가 있다."가 설계 시 고려사항이 아니라 비탈면 녹화 시 식재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초본류 식재 방법은 비탈면 녹화 시 사용되는 식재 방법 중 하나로, 차폐수벽공법은 비탈면의 경사면을 감추기 위해 수직으로 나무를 심는 방법, 식생상심기는 식물을 이용하여 비탈면을 녹화하는 방법, 새집공법은 새들이 살 수 있는 보호구조물을 만들어 비탈면에 설치하는 방법, 새심기는 새들이 살 수 있는 식물을 심어 새가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경설계기준에서 정한 의자(벤치)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육지면으로부터 등받이 끝까지 전체 높이는 80~100cm를 기준으로 한다.
  2. 의자의 길이는 1인당 최소 45cm를 기준으로 하되, 팔걸이 부분의 폭은 제외한다.
  3. 앉음판의 높이는 약 34~46cm를 기준으로 하되 어린이용 의자는 낮게 할 수 있다.
  4. 등받이 각도는 수평 면을 기준으로 95~110°를 기준으로하고, 휴식시간이 길어질수록 등받이 각도를 크게 한다.
(정답률: 56%)
  • "등받이 각도는 수평 면을 기준으로 95~110°를 기준으로하고, 휴식시간이 길어질수록 등받이 각도를 크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조경설계기준에서는 등받이 각도를 90~100°로 권장하며, 휴식시간이 길어질수록 등받이 각도를 작게 한다. 이유는 등받이 각도가 크면 허리에 부담이 가고, 휴식시간이 길어질수록 허리에 더 큰 부담이 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재료 구조 표시 시호(단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지반
  2. 석재
  3. 인조석
  4. 잡석다짐
(정답률: 60%)
  • 이 구조 표시 시호는 석재를 나타냅니다. 이는 석재가 일반적으로 지반보다 단단하고 강하며 인조석보다 자연스러운 모양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잡석다짐은 석재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지만, 석재보다는 불규칙하고 부실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 시호에서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식재

61. 다음 특징에 해당하는 수종은?

  1.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2. 귀룽나무(Prunus padus)
  3. 능수버들(Salix pseudolasiogyne)
  4.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정답률: 56%)
  • 이 나무는 잎이 이중으로 되어 있고, 꽃은 노란색으로 피어서 꽃잎이 5개이며, 열매는 길쭉하고 갈색이다. 이 특징들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에 해당한다. 쥐똥나무는 잎이 간단하고 꽃이 흰색이며, 열매는 검은색이다. 귀룽나무는 잎이 간단하고 꽃이 흰색이며, 열매는 검은색이다. 능수버들은 잎이 간단하고 꽃이 녹색이며, 열매는 갈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개체군 분포에서 Allee의 원리가 뜻하는 것은?

  1. 어떤 개채군은 불규칙적으로 분포한다.
  2. 어떤 개채군 분포는 집단화가 유리하다.
  3. 어떤 개채군은 개체 내 경쟁이 개체간보다 치열하다.
  4. 어떤 개체군은 미환경의 특성에 따라 분포한다.
(정답률: 48%)
  • Allee의 원리는 개체군 분포에서 개체 수가 적을수록 생존과 번식에 불리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개체군 분포는 집단화가 유리하다는 것은 개체 수가 많아질수록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체들이 서로 협력하여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자생지가 우리나에서는 울릉도는 한정된 수종은?

  1. 무화과나무(Ficus carica L.)
  2.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3.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Kom.)
  4. 너도밤나무(Fagus engoeriana Seemen ex Diels)
(정답률: 64%)
  • 너도밤나무는 울릉도에만 분포하는 자생식물로, 한정된 지역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한정된 수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식물 중 상록활엽수에 해당되는 것은?

  1. 목련(Magnolia kobus)
  2.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ll)
  3.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4. 일본목련(Magnolia obvata)
(정답률: 64%)
  • 상록활엽수는 겨울에도 녹색 잎을 유지하는 나무를 말합니다. 따라서,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가 상록활엽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협죽도과(科, Apocynaceae)의 수종은?

  1. 목서(Ospanthus fragrans)
  2. 좀작살나무(Callicarpa dichotoma)
  3.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4.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정답률: 57%)
  • 다음 협죽도과의 수종 중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은 다른 세 수종과는 달리 덩굴성 식물이며, 잎이 빛나는 녹색이며 꽃은 향기롭고 흰색이다. 또한, 잘 자라기 때문에 정원에서 인기 있는 식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식물체를 지탱시키며, 뿌리에 산소를 공급하는 토양단면상의 집적층을 나타내는 기호는?

  1. A층
  2. B층
  3. C층
  4. D층
(정답률: 54%)
  • 정답: B층

    이유: B층은 토양단면상에서 뿌리가 위치한 층으로, 식물체를 지탱하고 영양분과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A층은 토양의 표면에 위치한 층으로, 잡초와 같은 작은 식물들이 자라는 곳입니다. C층과 D층은 뿌리가 도달하지 못하는 깊은 층으로, 지하수층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에서 식물체를 지탱하고 영양분과 물을 공급하는 B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경설계기준에 제시된 비탈 경사면(法面) 피복용 식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탈면의 자연식생 천이 방해
  2. 주변 식상과의 생태적ㆍ경관적 조화
  3. 우수한 종바발아율과 폭넓은 생육 적응성
  4. 목본류는 내건성, 내열성, 내한성 조건을 고루 만족
(정답률: 67%)
  • "비탈면의 자연식생 천이 방해"가 가장 거리가 먼 조건인 이유는, 조경설계에서는 비탈면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토양유출과 토사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비탈면의 경사면을 안정화하고 보호하기 위해 식물을 심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비탈면의 경사면에 자연식생이 이미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를 방해하면서 생태적ㆍ경관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탈면의 자연식생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조화롭게 조경설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같은 속(屬)에 속하는 수종으로만 구성된 것은?

  1. 밤나무, 너도밤나무, 나도밤나무
  2.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3. 족제비싸리, 조록싸이, 꽃싸리
  4. 오동나무, 벽오동, 개오동
(정답률: 64%)
  •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는 모두 백목(白木) 속에 속하는 나무로, 같은 속에 속하는 수종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다른 보기들은 서로 다른 속에 속하는 나무들이 섞여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영국 윌리암 로빈슨이 제창한 야생원과 같은 목가적인 전원풍경을 그대로 재현시키는 실재 기법은?

  1. 무늬식재
  2. 군락식재
  3. 자유식재
  4. 자연풍경식식재
(정답률: 67%)
  • 자연풍경식식재는 인공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러운 모습을 유지하는 식재 기법으로, 영국 윌리암 로빈슨이 제창하였습니다. 이 기법은 야생원과 같은 목가적인 전원풍경을 그대로 재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식물들을 자연스러운 배치와 조화로운 조합으로 심어서 인공적인 느낌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자연풍경식식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목이식시 표준 뿌리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일반적 기준은?

  1. 근원직경×3
  2. 근원직경×4
  3. 근원직경×5
  4. 근원직경×6
(정답률: 58%)
  • 수목이식시 표준 뿌리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일반적 기준은 근원직경×4입니다. 이는 수목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입니다. 근원직경은 수목의 뿌리 중 가장 두꺼운 부분의 지름을 말하며, 이를 기준으로 뿌리분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근원직경×4는 수목이 충분한 영양분을 흡수하고 성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뿌리분의 크기를 보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조경 식재 설계에서 질감(textur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친 질감에서 부드러운 질감으로의 점진적인 사용은 식재설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2. 떨어진 거리에서 보았을 때 질감은 식물 전체에 대한 빛과 음영의 효과로 나타난다.
  3. 가까이에서 보았을 때 질감은 계절을 통하여 잎, 가지의 크기와 표면, 밀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4. 식물개체의 물리적 특성과 빛이 식물에 비추는 상태, 식물이 보이는 거리 등은 식물개체의 질감을 결정한다.
(정답률: 66%)
  • "거친 질감에서 부드러운 질감으로의 점진적인 사용은 식재설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식재설계에서는 다양한 질감을 사용하여 조화롭고 다양한 느낌을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점진적인 사용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황산가스에 약한 수종은?

  1. 은행나무
  2. 가이즈까향나무
  3. 독일가문비
  4. 동백나무
(정답률: 48%)
  • 독일가문비는 아황산가스에 약한 수종으로, 다른 나무들보다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경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자웅이주이기 때문에 암그루와 숫그루를 함께 심어야 열매를 봇 수 있는 수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계수나무, 해당화
  2. 먼나무, 산딸나무
  3. 낙상홍, 보리수나무
  4. 소철, 은행나무
(정답률: 59%)
  • 암그루와 숫그루는 서로 다른 성별의 나무이기 때문에 교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소철과 은행나무는 서로 교배가 가능한 수종이기 때문에 함께 심어야 열매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철, 은행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무궁화의 학명으로 맞는 것은?

  1. Lagerstroemia indica
  2. Cornus controversa
  3. Cedrus deodara
  4. Hibscus syriacus
(정답률: 66%)
  • 정답은 "Hibiscus syriacus"입니다. 무궁화는 Hibiscus 속에 속하며, 이 학명은 그것이 시리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식재방법을 기능별로 분류하면 공간조절, 경관조절, 환경조절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식재방법은?

  1. 지표식재
  2. 경관식재
  3. 녹음식재
  4. 경계
(정답률: 60%)
  •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식재방법 중 "경계"는 식재물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분하고 경계를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나무나 관목을 심어서 도로나 건물과 구분하거나, 정원 내부에서 다른 식물들과 구분하기 위해 경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경계는 공간을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더 나은 시각적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황색 열매가 익어 달리는 수종은?

  1. 치자나무(Gardenia jasmihoides Ellis)
  2. 매자나무(Berberis koreana Palib)
  3. 식나무(Aucuba japonica Thunb)
  4. 작살나무(Callcarpa japonica Thunb)
(정답률: 49%)
  • 치자나무는 황색 열매가 익어 달리는 수종으로, 열매가 익으면 노란색에서 황색으로 변하며, 꽃과 열매가 함께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생태계 교란 생물(식물)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
  2.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da)
  3.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
  4. 환산덩굴(Humulus japonicus)
(정답률: 67%)
  • 환산덩굴은 생태계 교란 생물(식물)이 아닙니다. 환산덩굴은 일반적으로 야생화로 분류되며, 교란 생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자연식생의 군락조사 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모든 방형구의 크기는 5×5m 정도가 일반적이다.
  2. 방위ㆍ경사 등의 입지조건을 기재한다.
  3. 식생계층은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4. 각 계층별로 모든 출현종의 우점도와 군도를 기록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식생계층은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입니다. 이유는 자연식생의 군락조사에서는 식생계층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지 않고, 식물군락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자연식생의 군락조사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다른 보기들은 자연식생의 군락조사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비료목(肥料木) 으로 분류하기 가장 어려운 수종은?

  1. 소나무
  2. 오리나무
  3. 싸리나무
  4. 아까시나무
(정답률: 60%)
  • 소나무는 다른 나무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빠른 성장속도와 높은 생육력을 가지고 있어서 비료목으로 분류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소나무는 건조하고 가난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등 생육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료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나무는 비료목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식재로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 중 “공학적 이용”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식물의 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1. 대기의 정화작용
  2. 사생활 보호
  3. 조류 및 소동물 유인
  4. 구조물의 유화
(정답률: 59%)
  • 식물은 대기 중의 유해물질을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대기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대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공학적 이용을 통해 식물을 식재하면 대기의 정화작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조경시공구조학

81. 조경시공분야와 관련된 POE(Post Occupancy Evaluation)란?

  1. 품질관리기법의 일종으로 불량품처리와 재발을 방지하는 것
  2. 시공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는 기법
  3. 설계자와 시공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는 기법
  4. 시공 후 평가 또는 이용 후 평가
(정답률: 60%)
  • POE(Post Occupancy Evaluation)는 건축물 또는 조경시공물이 사용되는 시간이 지난 후에 해당 공간의 기능성, 안전성, 편의성 등을 평가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시공 후 평가 또는 이용 후 평가"가 정답입니다. POE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토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압이 작용하지 않는 옹벽은 구조적으로 담과 같은 구조물이다.
  2. 옹벽의 뒷채움 흙을 다지더라도 토압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3. 토압의 크기는 토질, 함수량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4.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흙의 압력이 토압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옹벽의 뒷채움 흙을 다지더라도 토압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이다. 이유는 옹벽의 뒷채움 흙이 다지더라도 토압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옹벽과 흙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물 외벽에 그림과 같은 철봉을 박고 그 끝에 화분을 걸었다. 이 때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해석도는?

(정답률: 40%)
  • 철봉이 외부에서 걸려있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오른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철봉의 왼쪽 끝에서는 반작용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반작용력이 건물의 외벽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외벽에는 ""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순공사비의 구성 항목이 아닌 것은?

  1. 경비
  2. 재료비
  3. 노무비
  4. 일반관리비
(정답률: 60%)
  • 일반관리비는 공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경비로, 예를 들어 사무실 임대료, 사무용품 구입비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순공사비의 구성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데 있어, 우선적으로 산정해야 하는 것은?

  1.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산정
  2.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응력 산정
  3. 구조물에 발생하는 반력 산정
  4. 구조물 단면에 발생하는 내응력 산정
(정답률: 68%)
  •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데 있어, 우선적으로 산정해야 하는 것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산정입니다. 이는 구조물이 어떤 하중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지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함입니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응력, 반력, 내응력 등은 이후에 고려되는 요소들이며, 하중 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후의 해석과 설계는 무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그림과 같을 때의 표고 Hb는? (단, n=11.5, D=40m, S=1.50m, l=1.10m, Ha=25.85)

  1. 31.20m
  2. 32.20m
  3. 30.05m
  4. 31.05m
(정답률: 35%)
  • 먼저, 표고선은 수위면과 같은 물의 표면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수위면이 주어진 상황에서 표고선의 높이를 구하는 것입니다.

    식을 적용하기 전에, 먼저 주어진 변수들을 이해해야 합니다. n은 물의 굴절률, D는 수직방향 거리, S는 수평방향 거리, l은 레벨링 기둥의 길이, Ha는 레벨링 기둥의 높이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b = Ha + (n-1) * [(D^2 - S^2)/(2*l)]

    여기서, Hb는 표고선의 높이를 나타내며, Ha는 레벨링 기둥의 높이입니다. n은 물의 굴절률, D는 수직방향 거리, S는 수평방향 거리, l은 레벨링 기둥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b = 25.85 + (1.333-1) * [((40^2) - (1.5^2))/(2*1.1)]
    Hb = 30.05

    따라서, 표고선의 높이는 30.0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의 단순보에서 A점의 반력 이 B점의 반력의 3배가 되기 위한 거리 x는 얼마인가?

  1. 3.75m
  2. 5.04m
  3. 6.06m
  4. 6.66m
(정답률: 39%)
  • A점과 B점에 작용하는 반력은 서로 반대 방향이며 크기가 같다는 성질을 이용하면, A점의 반력이 B점의 반력의 3배가 되기 위해서는 A와 B점 사이의 거리가 2:1 비율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x:2 = 2:1 이므로 x=6.0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15ton 차륜식 불도저를 이용하여 60m 지점에 굴착토를 운반하여 사토하려 할 때 1회 왕복시간은 얼마인가? (단 전진속도 80m/분, 후진속도 100m/분, 기어변속시간 0.25분이다.)

  1. 3.24분
  2. 2.95분
  3. 1.60분
  4. 0.91분
(정답률: 47%)
  • 운반 거리는 왕복 거리이므로 60m x 2 = 120m 이다. 전진속도로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은 120m ÷ 80m/분 = 1.5분이고, 후진속도로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은 120m ÷ 100m/분 = 1.2분이다. 따라서 왕복시간은 전진 1.5분 + 후진 1.2분 + 기어변속 0.25분 x 2 = 3.2분이다. 하지만 이는 한 번의 왕복시간이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1회 왕복시간은 3.2분 ÷ 2 = 1.6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0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공식에서 A가 의미하는 것은?

  1. 예민비
  2. 간극비
  3. 함수비
  4. 포화도
(정답률: 55%)
  • A는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민비"는 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값이 높을수록 "예민비"가 높아진다. "간극비"는 고체 물질 내의 빈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고, "함수비"는 화학 반응에서 생성된 물질의 양과 소모된 물질의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포화도"는 용액에서 특정 온도에서 용질이 용매에 녹아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그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차단배수시설이다.
  2. d는 콘크리트 무공관이다.
  3. a는 초기, b는 변경된 지하수위이다.
  4. c는 굵은 모래나 모래가 섞인 강자갈이 좋다.
(정답률: 50%)
  • 정답이 "d는 콘크리트 무공관이다."가 아닌 것은 이미지에서 d는 콘크리트 무공관이 아니라 PVC 무공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小)운반(運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건설공사 표준품셈의 기준을 적용한다.)

  1. 인력을 이용하는 목도운반을 소운반이라 한다.
  2. 소운반의 거리는 50m 이내의 거리를 말한다.
  3. 경사면의 소운반 거리는 수직고 1m를 수평 거리 6m의 비율로 계상한다.
  4. 소운반로가 비포장일 경우 비용을 50% 할중 계상한다.
(정답률: 46%)
  • 경사면에서 물건을 운반할 때는 수직과 수평 거리의 비율을 고려해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의 소운반 거리는 수직고 1m를 수평 거리 6m의 비율로 계산한다. 이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반을 위한 건설공사 표준품셈의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금속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한다.
  2. 표면을 평활하고 깨끗이 하며 가능한 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한다.
  3. 가능한 한 이종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키지 않는다.
  4. 콘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담금질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2%)
  • "콘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담금질하여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콘 변형은 금속의 표면을 더욱 단단하고 강화시켜 부식을 최소화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콘 변형을 줌으로써 금속의 표면을 담금질하여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이 큰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거푸집 부재단면이 클수록
  2. 콘크리트의 비중이 작을수록
  3.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클수록
  4.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정답률: 52%)
  • 콘크리트의 비중이 작을수록 해당되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비중이 작을수록 더 가벼워지기 때문에 측압이 작아지게 된다. 즉, 콘크리트의 밀도가 낮을수록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에 설명하는 특징을 갖는 조명등은?

  1. 할로겐등
  2. 크세논램프
  3. 고압나트륨등
  4. 메탈할라이드등
(정답률: 59%)
  • 이 조명등은 노란빛을 내며, 고압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하는 고압방식의 조명등이다. 이러한 특징은 고압나트륨등에만 해당한다. 할로겐등은 주로 백색빛을 내며, 크세논램프와 메탈할라이드등은 저압방식의 조명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건설재료 중 단위 m3당 중량(重量)이 가장 큰 것은?

  1. 철근콘크리트
  2. 화강암
  3. 자갈(건조)
  4. 목재(생송재)
(정답률: 59%)
  • 정답은 "화강암"입니다. 이유는 화강암은 암석으로서 밀도가 높고 단단하여 단위 부피당 중량이 크기 때문입니다. 반면 철근콘크리트는 철근과 시멘트 등 여러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기 때문에 단위 부피당 중량이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자갈과 목재도 비교적 가벼운 재료이기 때문에 화강암보다 단위 부피당 중량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전체 공정을 마치는데 소요되는 최장 기간(CP)은?

  1. 23일
  2. 24일
  3. 25일
  4. 26일
(정답률: 63%)
  • CP는 Critical Path(임계 경로)의 약자로, 전체 공정 중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를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A → C → E → G 경로가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입니다. 따라서 CP는 A에서 G까지의 총 기간인 25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감리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현장대리인이 감리원을 선정한다.
  2. 그 공사에 대하여 전문적인 기술자를 선정한다.
  3. 감리원은 설계도대로 시공되지 않았을 때는 수급인에게 시정을 요구한다.
  4. 감리원은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기술적으로 설계서대로의 시공여부를 확인한다.
(정답률: 64%)
  • "현장대리인이 감리원을 선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발주자가 감리원을 선정하며, 감리원은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기술적으로 설계서대로의 시공여부를 확인하며, 설계도대로 시공되지 않았을 때는 수급인에게 시정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발주자가 감리원을 선정하고 현장대리인은 감리원의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평균기온 20℃ 이상)을 사용한 경우 거푸집널의 애체 시기(기초, 보, 기둥 및 벽의 측면)로 옳은 것은? (단,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확정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일
  2. 2일
  3. 3일
  4. 4일
(정답률: 61%)
  • 3일이 옳은 이유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거푸집널의 애체 시기가 보통 2~4일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일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15분 동안에 15mm의 비가 내렸을 때, 이것을 평균강우강도(mm/hr)로 환산할 경우 맞는 것은?

  1. 1
  2. 30
  3. 60
  4. 90
(정답률: 62%)
  • 15분 동안에 15mm의 비가 내렸으므로, 1시간 동안에는 60mm의 비가 내렸을 것입니다. 따라서, 평균강우강도는 60(mm/hr)이 됩니다. 이는 1시간 동안에 내린 비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인 mm/hr로 환산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고사식물의 하자보수 면제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폭풍 등에 준하는 사태
  2. 천재지변과 이의 여파에 의한 경우
  3. 인위적인 원인(생활 활동에 의한 손상등)으로 인한 고사
  4. 유지관리비용을 지급받은 준공 후 상태에서 가뭄 등에 의한 고사
(정답률: 56%)
  • 고사식물의 하자보수 면제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유지관리비용을 지급받은 준공 후 상태에서 가뭄 등에 의한 고사"이다. 이유는 유지관리비용을 지급받은 준공 후에는 해당 식물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책임이 해당 기관이나 단체에게 있기 때문에, 가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고사도 해당 기관이나 단체의 책임이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조경관리론

101. 비탈면의 풍화 및 침식 등의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며, 1:1.0 이상의 완구배로서 접착력이 없는 토양, 식생이 곤란한 풍화토, 점토 등의 경우에 실시하는 비탈면의 보호공은?

  1. 콘크리트판 설치공
  2. 돌붙임 및 블록붙임공
  3.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 및 심줄박기공
  4.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뿜어붙이기공
(정답률: 35%)
  • 비탈면의 보호공은 비탈면의 풍화 및 침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사입니다. 이 공사는 접착력이 없는 토양, 식생이 곤란한 풍화토, 점토 등의 경우에 실시됩니다. 이 중에서도 돌붙임 및 블록붙임공이 정답인 이유는, 이 공사는 돌이나 블록 등을 이용하여 비탈면을 보호하는 공사이기 때문입니다. 돌붙임 및 블록붙임공은 돌이나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붙여서 비탈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공사가 비탈면의 보호를 위해 실시되는 공사 중 하나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미국흰불나방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우리 나라에 최초로 피해를 나타낸 시기는?

  1. 1948년 전후
  2. 1958년 전후
  3. 1968년 전후
  4. 1978년 전후
(정답률: 49%)
  • 미국흰불나방은 1910년대에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1950년대에는 북아메리카에서 대규모 발생이 일어났습니다. 이후 1958년 전후부터 우리 나라에서도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958년 전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토양으로부터 입경분석을 하고, 그리고 입경의 분포비에 의해서 토성(Soil trxture)을 결정하게 된다. 이 일련의 과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삼각도표법
  2. 스톡스(Stokes) 법칙
  3. 토양의 양이온치환욜량
  4. Sodium hexametaphosphate
(정답률: 44%)
  • 입경분석과 입경의 분포비는 토성 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지만, 토양의 양이온치환욜량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의 토성 결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따라서 토양의 양이온치환욜량은 입경분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삼각도표법은 토성 결정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스톡스 법칙은 입경분석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Sodium hexametaphosphate는 토양 샘플을 분산시키는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살분법(殺紛法)에 이용되는 분제가 갖추어야 할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산성
  2. 비산성
  3. 안정성
  4. 현수성
(정답률: 46%)
  • 살분법은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분산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분자들이 서로 충돌할 수 있는 현수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현수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콘크리트 재료 시설물의 균열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양생방법에 주의한다.
  2. 수축 이음부를 설치한다.
  3. 단위 시멘트량을 적게 한다.
  4. 수화열이 높은 시멘트를 선택한다.
(정답률: 48%)
  • 수화열이 높은 시멘트를 선택하는 것은 오히려 균열을 더 많이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대책이다. 수화열이 높은 시멘트는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서 온도가 상승하고 열팽창이 발생하여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관리업무 중에 위탁하는 것이 유리한 것은?

  1. 긴급한 대응이 필요한 업무
  2. 규정량적이고 정기적인 관리업무
  3. 관리취지가 명확해야 하는 업무
  4.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한 업무
(정답률: 55%)
  • 규정량적이고 정기적인 관리업무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업무이기 때문에 미리 계획하고 위탁업체에게 맡기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업무는 긴급한 대응이 필요하지 않으며, 관리취지가 명확하고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위탁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제초제는?

  1. 파라코(Paraquat)
  2.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3. 시노설프론(Cinosnlfuron)
  4. 프렐리라클로로(Pretilachlor)
(정답률: 60%)
  • 보기에서 제시된 제초제 중에서는 "글리포세이트(Glyphosat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주로 농업에서 사용되는 제초제로, 잡초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Glyphosate는 잡초의 생장을 방해하는데, 이는 잡초가 아닌 식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Glyphosate는 비교적 안전한 제초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설명의 A와 B의 들어갈 적합한 용어는?

  1. A:비례, B:클수록
  2. A:반비례, B:클수록
  3. A:비례, B:작을수록
  4. A:반비례, B:작을수록
(정답률: 42%)
  • A는 "반비례"이고 B는 "클수록"이다. 이유는 A와 B의 관계가 역으로 비례하는 관계이기 때문에 A가 증가하면 B는 감소하고, A가 감소하면 B는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B가 클수록 A는 작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비료의 화학적 반응적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인산석회는 산성비료이다.
  2. 비료의 수용액 고유의 반응을 말한다.
  3. 화학적으로 중성인 비료는 사용 후 식물의 흡수 후에도 그 반응은 변화되지 않는다.
  4. 식물이 뿌리로부터 양분을 흡수하는 것은 그 양분이 가용성(可溶性)이어야 한다.
(정답률: 54%)
  • "화학적으로 중성인 비료는 사용 후 식물의 흡수 후에도 그 반응은 변화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비료의 화학적 반응은 사용 후에도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산염 비료는 농도가 높아지면 산성을 띄게 되어 pH를 낮추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네트워크에 의한 공정계획 수법 중 자원의 평준화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휴시간을 줄일 것
  2. 일일 동원자원을 최대로 할 것
  3. 공기내에 자원을 균등하게 할 것
  4. 소요자원의 급격한 변동을 줄일 것
(정답률: 59%)
  • 일일 동원자원을 최대로 할 것은 자원의 평준화를 위한 목적이 아니라, 자원 활용의 최대화를 위한 목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자원의 사용을 균등하게 하거나, 자원의 변동을 줄이는 등 자원의 평준화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공정관리 곡선 작성중 아래 표에서와 같이 실시 공정 곡선에 예정 공정 곡선에 대래 항상 안전범위 안에 있도록 예정곡선(계획선)의 상하에 그리는 허용한계선을 일컫는 명칭은?

  1. S-curve
  2. progressive curve
  3. banana curve
  4. net curve
(정답률: 58%)
  • 위의 표에서 그려진 곡선은 S-curve라고도 불리며, 예정 곡선과 실시 곡선 사이의 안전 범위를 나타내는 허용한계선은 net curve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banana curve"는 이 문제와 관련이 없는 잘못된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조경관리에 활용되는 사다리의 넘어짐(전도) 방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동식 사다라의 길이가 6m를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2. 기대는 사다리의 설치각도는 수평면에 대하여 75°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3. 계단식 사다리 (A자형)는 잠금장치를 확실하게 사용하고, 접은 채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4. 기대는 사다리(일자형)를 설치할 때는 사다리의 상단이 걸쳐 놓은 지점으부터 30cm정도 올라가게 설치한다.
(정답률: 49%)
  • "기대는 사다리(일자형)를 설치할 때는 사다리의 상단이 걸쳐 놓은 지점으부터 30cm정도 올라가게 설치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사다리를 기대할 때, 상단이 걸쳐 놓은 지점에서 30cm 정도 올라가게 설치하면 사다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넘어짐(전도) 방지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횡선식공정표로서 각 작업의 완료시점을 100%로 하여 가로축에 그 진행도를 표현하는 것은?

  1. GANNT Chart
  2. PERT 기법
  3. CPM 기법
  4. 기열식 공정표
(정답률: 47%)
  • 횡선식 공정표는 각 작업의 완료시점을 100%로 하여 가로축에 그 진행도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일정 관리가 가능하다. 이 중에서 각 작업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시간축에 나타내는 것이 GANNT Chart이다. 따라서 GANNT Chart가 정답이다. PERT 기법과 CPM 기법은 네트워크 분석 기법으로, 작업 간의 선후관계와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일정을 계획하는 방법이다. 기열식 공정표는 작업을 일렬로 배열하여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과석, 종과석과 같은 가용성 인산비료에 석회질 비료를 함께 배합할 경우 비효가 감소하는 원인 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규산석회
  2. 인산3칼슘
  3. 질소
  4. 염화칼륨
(정답률: 41%)
  • 인산3칼슘은 석회질과 함께 배합할 경우 칼슘과 인산이 결합하여 칼슘인산염이 생성되어 가용성 인산비료의 효능이 감소하는 원인 물질입니다. 따라서 인산3칼슘은 가용성 인산비료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수목의 수간 외과수술의 과정이 옳은 것은?

  1. A→B→C→D→E→F→G
  2. A→F→E→D→C→B→G
  3. A→F→B→C→E→D→G
  4. A→D→C→E→B→F→G
(정답률: 59%)
  • 수목의 수간 외과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수목을 적당한 높이에서 베어낸 후, 토양 주변을 깨끗이 제거합니다.
    B: 수목의 근경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합니다.
    C: 수목의 근경을 적당한 크기로 벌려서 뿌리를 노출시킵니다.
    D: 노출된 뿌리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합니다.
    E: 뿌리를 적당한 크기로 벌려서 수목을 원하는 위치에 심습니다.
    F: 심은 수목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대를 설치합니다.
    G: 심은 수목 주변에 흙을 채워서 고정시킵니다.

    따라서, 옳은 과정은 A→B→C→D→E→F→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공원관리에 있어서 안전대책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사고 후의 처리 문제는 안전대책에서 제외시킨다.
  2. 시설의 설치 시 시설의 구조, 재질, 배치 등이 안전한가에 주의해야 한다.
  3. 시설을 설치한 후에도 이용방법, 이동빈도 등 이용 상황을 관찰하도록 한다.
  4. 이용자, 보호자의 부주의에서 생기는 사고의 경우에는 시설의 개량, 안내판에 의한 지도가 필요하다.
(정답률: 69%)
  • "사고 후의 처리 문제는 안전대책에서 제외시킨다."가 틀린 이유는, 안전대책은 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이다.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안전대책의 일부이다. 따라서 사고 후의 처리 문제도 안전대책에 포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포플러류 잎의 뒷면에 초여름부터 오랜지색의 작은 가루덩이가 생기고, 정상적인 나무보다 먼저 낙엽이 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병은?

  1. 갈반병
  2. 잎녹병
  3. 잎마름병
  4. 점무늬잎떨림병
(정답률: 42%)
  • 포플러류 잎의 뒷면에 생기는 오랜지색 가루덩이는 곰팡이균체이며, 이는 잎녹병의 원인균으로 인해 생긴다. 또한, 잎녹병은 잎의 녹색염색소가 파괴되어 잎이 노랗게 변하고, 나무가 조기에 낙엽을 떨어뜨리는 증상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잎녹병이 의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토양 부식(腐植, humus)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지온을 상승시킨다.
  2. 공극률을 증가시킨다.
  3.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가시킨다.
  4. 양이온치환용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43%)
  • 정답은 "지온을 상승시킨다."입니다. 토양 부식은 지온을 상승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가시키고 공극률을 증가시키며 양이온치환용량을 증가시킵니다. 유효인산은 식물이 흡수하여 생장에 이용하는데, 토양 부식이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가시키면 식물의 영양흡수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곤충의 외분비물질로 특히 개척자가 새로운 기주를 찾았다고 동족을 불러들이는데 사용되는 종내 통신물질로 나무종류에서 발달되어 있는 물질은?

  1. 집합 페로몬
  2. 경보 페로몬
  3. 길잡이 페로몬
  4. 성 페로몬
(정답률: 52%)
  • 집합 페로몬은 곤충들이 서로 모여서 집단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개척자가 새로운 기주를 찾았을 때 동족들을 모으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물질입니다. 나무종류에서 발달되어 있는 이유는 나무에서 발생하는 피질과 껍질의 화학물질이 곤충들에게 집합 페로몬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집합 페로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실내조경용 식물의 인공토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질석
  2. 펄라이트
  3. 피트모스
  4. 사질양토
(정답률: 56%)
  • 실내조경용 식물은 대개 인공토양을 사용하는데, 이는 실내에서 식물이 잘 자라기 위해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질양토"는 인공토양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성된 토양으로, 실내조경용 식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질양토"가 정답입니다. "질석", "펄라이트", "피트모스"는 모두 인공토양의 종류로, 실내조경용 식물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