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무선설비산업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 Vz=10[V]/0.5[W] 인 경우 최대 전류의 크기는?

  1. 0.5[A]
  2. 0.05[A]
  3. 0.5[㎃]
  4. 0.05[㎃]
(정답률: 알수없음)
  • 제너 다이오드는 정전압 다이오드로서, 특정한 전압(Vz)에서는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합니다. 이 때, 최대 전류의 크기는 다이오드의 손실인 0.5[W]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전류(Izmax) = Vz / Rz = Vz / (Pz / Vz) = Vz^2 / Pz

    여기서, Vz = 10[V], Pz = 0.5[W] 이므로,

    Izmax = 10^2 / 0.5 = 200 [mA] = 0.2 [A]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0.05[A]"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다이오드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최대 전류의 20% 이하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 전류의 20%인 0.2[A] x 0.2 = 0.04[A]보다 조금 더 큰 값인 0.05[A]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파수변조에서 다음 변조지수중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것은 ?

  1. 0.17
  2. 2.9
  3. 3.1
  4. 4.2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조에서 변조 지수가 클수록 대역폭이 넓어지는데, 변조 지수는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 변위와 기본 주파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변조 지수가 가장 큰 4.2일 때 대역폭이 가장 넓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SSB(Single Side Band)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

  1. LSB와 USB로 구성된다.
  2. 전력 손실이 높다.
  3. 점유주파수 대폭이 반으로 줄어들고, 전력소모도 훨씬 적어진다.
  4. DSB에 비하여 진폭이 2배로 늘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SB는 LSB와 USB로 구성되며, DSB에 비해 진폭이 2배로 늘어나지 않고, 점유주파수 대폭이 반으로 줄어들고, 전력소모도 훨씬 적어진다. 이는 SSB에서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주파수 대역폭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반 가산기(half adder)회로이다. X,Y에 각각 어떤 게이트 회로가 사용되어야 하는가 ? (순서대로 X, Y)

  1. AND, 배타적 OR
  2. 배타적 OR, AND
  3. OR, 배타적 OR
  4. 배타적 OR, OR
(정답률: 알수없음)
  • X는 입력값을 더하는 부분이므로,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만 1이 되어야 하므로 AND 게이트를 사용한다. Y는 자리올림값을 구하는 부분이므로, 두 입력값이 같으면 자리올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배타적 OR 게이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AND, 배타적 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회로의 출력 V0를 계산하면?

  1. V0 = Vs
  2. V0 = -Vs
  3. V0 = 0
  4. V0 = Vs/2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의 입력단과 출력단이 동일한 경우를 살펴보면,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R1과 R2가 연결된 노드의 전위는 Vs와 같아지게 됩니다. 이는 다시 R3과 R4가 연결된 노드의 전위도 Vs와 같아지게 되므로, V0은 Vs와 같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V0 = V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상보대칭 푸시풀 회로에 관한 설명 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입력신호의 서로 다른 반주기동안 Q1과 Q2가 각각 동작한다.
  2. 출력신호에 크로스오버(CROSS OVER)일그러짐이 없다.
  3. 이미터 플로워 증폭기이므로 낮은 부하저항과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효율적이다.
  4. 온도보상에 의해 안정도를 향상시키려면 이미터에 저항을 넣는다.
(정답률: 100%)
  • 입력신호의 서로 다른 반주기동안 Q1과 Q2가 각각 동작한다는 설명은 상보대칭 푸시풀 회로의 특징 중 하나이며, 출력신호에 크로스오버일그러짐이 없는 이유는 상보대칭 푸시풀 회로가 출력신호의 크로스오버일그러짐을 최소화하는 회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설명이 관계가 있으며,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트랜지스터 회로의 바이어스 안정도(S)가 가장 좋은 것은?

  1. S=1
  2. S=π
  3. S=50
  4. S=∞
(정답률: 알수없음)
  • S는 바이어스 안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입력 신호나 온도 등의 변화에 대해 출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S가 1일 때는 입력 신호나 온도 등의 변화에 대해 출력이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장 좋은 바이어스 안정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S가 1에 가까울수록 바이어스 안정도가 좋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C-MOS 집적회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전력소모가 대단히 적다.
  2. 소형,경량이다.
  3. 반영구적이다.
  4. 동작속도가 TTL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
(정답률: 60%)
  • 동작속도가 TTL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는 것은 옳은 특징입니다. 이는 C-MOS 집적회로가 TTL과는 다른 동작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TTL은 전류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반면, C-MOS는 전하를 이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발진기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Rf는 몇[kΩ]인가? (단, R1=6[kΩ], C=0.005[μ F], R=15[kΩ]이다.)

  1. 174
  2. 29
  3. 87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콜피츠 발진기 회로로, 발진 조건은 Rf > (R1 + R) x C x ln(3) 이다. 따라서 Rf > (6[kΩ] + 15[kΩ]) x 0.005[μ F] x ln(3) ≈ 174[kΩ] 이므로, Rf는 174[kΩ]보다 커야 발진기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7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10진수 → 2진수 → 1의 보수 → 2의 보수의 관계를 나타낸 것중 옳은 것은 ?

  1. 8 → 1000 → 1001 → 0110
  2. 7 → 0111 → 1000 → 0111
  3. 9 → 1001 → 0110 → 0111
  4. 8 → 1000 → 0111 → 111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9 → 1001 → 0110 → 0111" 이다.

    10진수 9를 2진수로 변환하면 1001이 된다.
    1의 보수는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면 된다. 따라서 1001의 1의 보수는 0110이 된다.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0110에 1을 더한 값인 0111이 10진수 9의 2진수의 2의 보수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오답이다.
    - "8 → 1000 → 1001 → 0110": 8의 2진수의 2의 보수는 1000이 아니라 1000의 1의 보수인 0111이 되어야 한다.
    - "7 → 0111 → 1000 → 0111": 7의 2진수의 2의 보수는 0111이 되어야 하는데, 1000으로 잘못 계산되었다.
    - "8 → 1000 → 0111 → 1110": 8의 2진수의 2의 보수는 1000의 1의 보수인 0111이 되어야 하는데, 1110으로 잘못 계산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2진 부호는 어떤 종류의 부호인가 ?

  1. Hamming code
  2. Gray code
  3. BCH code
  4. Excess 3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이진수 간의 변환 시 한 비트만 변경되는 Gray code이다. 이 부호는 회로 설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오류 검출 및 수정에도 사용된다. Hamming code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부호이며, BCH code는 오류 수정을 위한 부호이다. Excess 3 code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변환하는 부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4 개의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분주기의 최대값은 얼마인가?

  1. 8분주기
  2. 10분주기
  3. 16분주기
  4. 24분주기
(정답률: 알수없음)
  • 4 개의 J-K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분주기는 최대 2의 4승, 즉 16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1개의 상태는 모든 플립플롭이 0인 상태이고, 나머지 15개의 상태는 각각 1부터 15까지의 숫자를 나타냅니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주기는 1부터 15까지 모든 숫자를 한 번씩 돌아가는 주기인 15분주기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모든 플립플롭이 1인 상태와 0인 상태가 번갈아가면서 나타나기 때문에, 실제로는 30분주기가 됩니다. 따라서 4 개의 J-K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분주기의 최대값은 16분주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논리식 A + AB 를 간략화하면 ?

  1. A
  2. B
  3. 1
  4. AB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 A + AB 는 A(1+B) 로 간략화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1+B 의 값은 항상 1 이므로, A(1+B) 는 A(1) 혹은 A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CR 발진기를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

  1.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쓰이는 발진기이다.
  2. 이상형과 브리지형 발진기로 나뉜다.
  3. LC 발진기에 비해 주파수 범위가 좁으며 대체로 1[㎒] 이하이다.
  4. 대개 C급으로 동작시켜 효율을 높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CR 발진기는 대체로 1[㎒] 이하의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며, LC 발진기에 비해 주파수 범위가 좁습니다. 이상형과 브리지형 발진기로 나뉘며, 대개 C급으로 동작시켜 효율을 높입니다. 이는 C급이 전류와 전압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전류만 고려하기 때문에, 전류가 크게 흐를 때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의 적분기에 STEP 전압을 입력시켰을 때의 출력 파형은?

(정답률: 알수없음)
  • STEP 함수는 0보다 작은 값을 가지지 않으므로, 적분기의 출력은 입력 STEP 함수의 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출력 파형은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서 turn-off 시간은 ?

  1. 지연시간(td)
  2. 지연시간(td)+상승시간(tr)
  3. 축적시간(ts)
  4. 축적시간(ts)+하강시간(tf)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동작을 할 때, 전하가 축적되는 시간인 축적시간(ts)과 전하가 제거되는 시간인 하강시간(tf)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turn-off 시간은 축적시간(ts)과 하강시간(tf)을 합한 값인 "축적시간(ts)+하강시간(tf)"이 됩니다. 이는 전하가 축적되는 시간과 제거되는 시간 모두 고려하여 트랜지스터가 완전히 turn-off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JK Flip-Flop의 입력신호 주파수가 1[㎒]일 때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

  1. 100[㎑]
  2. 500[㎑]
  3. 1[㎒]
  4. 4[㎒]
(정답률: 알수없음)
  • JK 플립플롭은 입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출력신호가 변하는데, 이때 입력신호의 주파수와는 관계없이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입력신호의 상태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1[㎒]이더라도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입력신호의 상태 변화에 따라 결정되므로, 주어진 그림에서 JK 플립플롭의 출력신호 주파수는 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TTL NAND 게이트를 이용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C = 100[pF]이고 트리거 입력이 100[KHz]일 때의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이 그림과 같다면 저항 R 값은 ?

  1. 200[Ω ]
  2. 2[㏀]
  3. 20[㏀]
  4. 200[㏀]
(정답률: 40%)
  • 이 회로는 TTL NAND 게이트를 이용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이다. 입력파형이 트리거 입력으로 100[KHz]의 주파수를 가지므로, 출력파형은 50[KHz]의 주파수를 가진다. 이때, R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주파수 = 1 / (2πRC)

    50[KHz] = 1 / (2π × R × 100[pF])

    R = 1 / (2π × 50[KHz] × 100[pF])

    R = 31.83[㏀]

    따라서, 가장 근접한 값인 "2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PNP와 NPN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Push-Pull 증폭회로를 무슨 회로라고 하는가 ?

  1. OTL
  2. OCL
  3. 위상반전회로
  4. 콤프리멘타리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PNP와 NPN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Push-Pull 증폭회로를 "콤프리멘타리회로"라고 한다. 이는 출력 신호의 상태와 입력 신호의 상태가 반대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력 신호가 높아지면 출력 신호는 낮아지고, 입력 신호가 낮아지면 출력 신호는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증폭 회로에서 사용되는 출력 트랜지스터의 전압과 전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출력 증폭 회로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A파형의 정현파를 그림 B의 구형파로 바꾸려면 어느 회로를 사용하면 가능한가 ?

  1. 부우드 스트랩 회로
  2. 블로킹 발진기
  3. 슈미트 트리거 회로
  4. 다이오우드 pump회로
(정답률: 100%)
  •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회로이다. 따라서 그림 A의 정현파를 그림 B의 구형파로 바꾸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해야 하므로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무선 수신기에서 전기적 특성과 전기 음향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은?

  1. 감도
  2. 선택도
  3. 충실도
  4. 안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 수신기에서 전기적 특성은 감도와 선택도를 측정하고, 전기 음향적 특성은 안정도와 충실도를 측정합니다. 충실도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며, 높은 충실도는 입력 신호가 정확하게 출력 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무선 수신기에서는 충실도가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회로의 저항 R에 유기되는 전압 υ 을 구하면? (단, 저항 R = 50[Ω ])

  1. 2.2 [㎷]
  2. 22.4 [㎷]
  3. 223.6 [㎷]
  4. 2,236.0 [㎷]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무선 수신기의 중간주파 증폭기의 안정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

  1. 전원전압의 변동
  2. 온도에 의한 회로소자의 변동
  3. 컬렉터전압의 변동
  4. 컬렉터전류의 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 수신기의 중간주파 증폭기의 안정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컬렉터전류의 변동"입니다. 이는 중간주파 증폭기의 안정도는 주로 전원전압의 변동과 온도에 의한 회로소자의 변동, 그리고 컬렉터전압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만, 컬렉터전류의 변동은 중간주파 증폭기의 안정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M 및 FM수신기에서 다같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리미터를 사용해서 일정진폭의 신호를 검파기에 보낸다.
  2. 검파기로서 주파수 변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3. 스켈치(squelch)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4. 주파수 변환을 위하여 국부 발진을 시키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환을 위해서 국부 발진을 시키는 것은 AM 및 FM수신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는 수신기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변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국부 발진기는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을 위하여 국부 발진을 시키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FM송신기에서 프리엠파시스(pre - emphasis)회로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전송 효율을 높인다.
  2. 주파수 대역의 폭을 좁힌다.
  3. 잡음지수(S/N)를 향상시킨다.
  4. 일그러짐(distortion)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 회로는 고주파 신호의 에너지를 강화시켜 전송 시에 일어나는 잡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잡음지수(S/N)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타당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국제 통신 위성 기구의 약칭은 무엇인가?

  1. INMARSAT
  2. INTELSAT
  3. EUTELSAT
  4. COMSAT
(정답률: 알수없음)
  • INTELSAT은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atellite Organization의 약어로, 국제 통신 위성 기구를 나타냅니다. INMARSAT은 International Mobile Satellite Organization의 약어이며, 이동 통신 위성 기구를 나타냅니다. EUTELSAT은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atellite Organization의 약어로, 유럽 통신 위성 기구를 나타냅니다. COMSAT은 Communications Satellite Corporation의 약어로, 미국 통신 위성 기업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INTELSAT이 국제 통신 위성 기구의 약어인 이유는 그 이름이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atellite Organization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지위성에 장착하는 안테나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관계가 먼 것은?

  1. 고이득일 것
  2. 저잡음일 것
  3. G/T가 작을 것
  4. 광대역성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의 고이득과 저잡음은 안테나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정지위성에서는 G/T가 더 중요합니다. G/T는 안테나의 이득과 수신기의 잡음온도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안테나가 잡음을 적게 받아들이고 신호를 더 잘 수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지위성에 장착하는 안테나는 G/T가 작을수록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DSB통신 방식에서 반송파 전력이 100[W]일때 SSB통신 방식을 쓰면 전력이 몇[W] 이면 되는가 ? (단, 변조도는 1이다.)

  1. 100
  2. 75
  3. 5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DSB통신 방식에서는 반송파 전력이 100[W]이므로, 변조된 신호의 전력은 100[W]이 됩니다. 하지만 SSB통신 방식에서는 변조된 신호의 전력이 원래 신호의 절반만 전송되므로, 전력은 50[W]가 됩니다. 그러나 SSB통신 방식에서는 변조도가 1이므로, 다시 원래 신호의 절반만 전송되므로 전력은 25[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펄스의 폭과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신호의 표본값에 따라 펄스의 위치만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

  1. PAM
  2. PTM
  3. PPM
  4. PCM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폭과 진폭이 일정한 변조방식은 PAM과 PTM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들 방식은 표본화 과정에서 생기는 양자화 오차와 신호의 질에 대한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신호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펄스의 위치만을 변화시키는 PPM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 방식은 펄스의 위치를 이진수로 표현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양자화 오차와 신호의 질에 대한 민감도가 적다. 따라서 정답은 "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M 수신기의 주파수 변별기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어느 것인가?

  1. 입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직류 출력 전압의 변화
  2. 입력 주파수 변화에 대한 직류 출력 전압의 변화
  3. 입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출력 주파수의 변화
  4. 입력 주파수 변화에 대한 출력 주파수의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FM 수신기의 주파수 변별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 주파수 변화에 대한 직류 출력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주파수 변별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직류 출력 전압의 변화는 다른 회로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입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출력 주파수의 변화와 입력 주파수 변화에 대한 출력 주파수의 변화는 주파수 변조기와 같은 다른 회로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FS 전신방식을 AM전신 방식과 비교할 때 FS 전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S/N 비가 크게 개선된다.
  2. 고속통신 및 다중통신에 적합하다.
  3. 오차율이 적다.
  4. AGC 및 Space diversity를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FS 전신 방식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방식으로, 각 사용자는 독립적인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아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AGC(자동 이득 제어) 및 Space diversity(공간 다중화)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AGC는 신호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수신기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이며, Space diversity는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의 다중 경로를 이용하여 신호 강도를 증폭시키는 기술이다. FS 전신 방식은 각 사용자가 독립적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무선 수신기에서 선택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1. 리미터(Limitter)회로를 부가한다.
  2. 동조 코일의 Q를 높인다.
  3. 수우퍼 헤테로다인 수신방식을 사용한다.
  4. 중간주파 증폭 단수를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미터(Limitter) 회로는 신호의 강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선택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리미터(Limitter) 회로를 부가한다."가 올바른 선택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선택도를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마이크로 웨이브의 주파수 측정에 적합한 계기는?

  1. 볼로 미터
  2. 공동파장계
  3. X-Y 레코더
  4. 소인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 웨이브는 고주파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공동파장계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공동파장계는 두 개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공동파를 측정하는데, 이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주파수 측정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동파장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간접 FM방식의 특징인 것은?

  1. 수정발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안정도가 높아 AFC회로가 불필요.
  2. 기기가 복잡함.
  3. 깊은 변조를 할 수 있음.
  4. 필요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는 체배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스퓨리어스 복사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 FM방식에서는 수정발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안정도가 높아 AFC회로가 불필요합니다. 이는 수정발진기가 안정적인 주파수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생진동이 발생되면 나타나는 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출력파형의 왜곡
  2. 출력이 변동하여 동조점이 일치하지 않음
  3. 통신대역폭이 좁아짐
  4.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됨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생진동은 주파수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신호가 섞이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출력파형의 왜곡이나 출력이 변동하여 동조점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기생진동이 발생했을 때 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반면, 통신대역폭이 좁아지는 것은 기생진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기생진동이 발생하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것은 맞지만, 이 역시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통신대역폭이 좁아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위성 중계기의 구성 중 신호 증폭부에 사용되는 광대역 증폭기는?

  1. MAGNE TRON
  2. TWTA
  3. TDA
  4. KLYSTRON
(정답률: 알수없음)
  • TWTA는 광대역 증폭기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전자를 가속시켜 마이크로파를 생성하고, 이를 증폭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는 다른 광대역 증폭기인 KLYSTRON과 비교하여 더 높은 출력을 내며, 더 넓은 주파수 범위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위성 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FM송신기에서 최대 주파수편이가 규정치를 넘지 않도록 음성신호 등의 진폭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회로는?

  1. A.F.C 회로
  2. I.D.C 회로
  3. 스켈치(Squelch)회로
  4. 리미터(Limiter)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I.D.C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최대 주파수편이 규정치를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FM송신기에서 최대 주파수편이 규정치를 넘지 않도록 음성신호 등의 진폭을 일정하게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정류기의 부하양단의 평균전압이 500[V]이고 이때 맥동률은 2[%]라고 한다. 교류분은 몇[V]포함되어 있는가 ?

  1. 10 [V]
  2. 20 [V]
  3. 30 [V]
  4. 40 [V]
(정답률: 60%)
  • 맥동률은 정류기 출력전압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부하양단의 평균전압이 500[V]이고 맥동률이 2[%]라면, 출력전압의 최대 변동폭은 10[V]이 된다. 이는 교류분이 최대 10[V]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0 [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매카니컬 필터(mechanical filter)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1. 일반적으로 대역필터에 이용된다.
  2. 특성의 미조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3. 낮은 주파수대에서 협대역 필터가 만들어진다.
  4. 진동 충격 잡음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성의 미조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매카니컬 필터는 일반적으로 대역필터로 사용되며, 낮은 주파수대에서 협대역 필터가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매카니컬 필터는 특성의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정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특성의 미조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또한, 매카니컬 필터는 진동 충격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은 궤환형 정전압 회로의 기본 구성도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검출부 ⓑ 제어부 ⓒ 비교부 ⓓ 증폭부 ⓔ 기준부
  2. ⓐ 검출부 ⓑ 기준부 ⓒ 비교부 ⓓ 증폭부 ⓔ 제어부
  3. ⓐ 검출부 ⓑ 기준부 ⓒ 비교부 ⓓ 제어부 ⓔ 증폭부
  4. ⓐ 검출부 ⓑ 제어부 ⓒ 비교부 ⓓ 기준부 ⓔ 증폭부
(정답률: 알수없음)
  • 궤환형 정전압 회로는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이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이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증폭부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 검출부 ⓑ 기준부 ⓒ 비교부 ⓓ 증폭부 ⓔ 제어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개론

41. 델린저 현상(dellinger effect)을 가장 강하게 받는 전파대는 ?

  1. 장파
  2. 단파
  3. 초단파
  4. 극초단파
(정답률: 알수없음)
  • 델린저 현상은 대기 중의 이온화된 입자들이 전파를 산란시켜 전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키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전파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강해지는데, 단파는 주파수가 높아 델린저 현상을 가장 강하게 받는 전파대입니다. 따라서, 단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비동조급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송신기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많이 사용한다.
  2. 급전선의 길이는 사용파장과 특별한 관계가 없으므로 충분히 길게할 수 있다.
  3. 임피던스 정합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정재파가 급전된다.
  4. 전송효율이 나쁜 것이 단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급전선의 길이는 사용파장과 특별한 관계가 없으므로 충분히 길게할 수 있다."라는 설명은 옳다. 이는 급전선의 길이가 파장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충분히 길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Zo, 부하 임피이던스를 ZR 이라고할 때 정재파비가 1인 경우는?

  1. 반사파가 없을 경우
  2. 반사계수가 1인 경우
  3. ZR ≠ Zo인 경우
  4.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같은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재파비가 1인 경우는 "반사파가 없을 경우"이다. 이는 부하 임피던스와 선로 임피던스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기 신호가 부하에서 전부 소비되며, 선로에서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전기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호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름 2[mm]의 도선을 중심간격 50[cm]로 자유공간에 설치한 평행 2선식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약 얼마인가?(단, εr=1이다. )

  1. 540[Ω]
  2. 645[Ω]
  3. 745[Ω]
  4. 850[Ω]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 = 276 log(2d/D)

    여기서 d는 도선 지름, D는 중심간격이다. 따라서,

    Z = 276 log(2×0.02/0.5) = 745[Ω]

    따라서 정답은 745[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송수신 점이 결정된후 전리층 반사파로 통신할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임계주파수
  2. FOT
  3. LUF
  4. MUF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MUF"이다. MUF는 최대 사용 가능 주파수(Maximum Usable Frequency)로, 송수신 점이 결정된 후 전리층 반사파로 통신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를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임계주파수는 전파가 지표면을 통과하지 못하는 최저 주파수, FOT는 전파가 지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최대 주파수, LUF는 지표면과 전리층 사이에서 전파가 통과하지 못하는 최저 주파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라디오 덕트(Radio duct)의 발생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간 냉각에 의한 라디오 덕트
  2. 전선의 역전층에 의한 라디오 덕트
  3. 이류에 의한 라디오 덕트
  4. 침강에 의한 라디오 덕트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간 냉각에 의한 라디오 덕트"는 발생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라디오 덕트는 전파가 지표나 지하 구조물 등에 반사되거나 굴절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선의 역전층, 이류, 침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주간 냉각은 라디오 덕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급전력 1[KW]에 대하여 안테나 전류가 10[A]인 안테나에 4[KW]를 공급하면 공중선 전류는?

  1. 2.5[A]
  2. 10[A]
  3. 20[A]
  4. 40[A]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 전력과 공중선 전력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급전력이 4배가 되면 안테나 전류도 4배가 되어 40[A]가 됩니다. 이에 따라 공중선 전류도 4배가 되어 20[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VHF대 이상의 전파는 주로 가시거리 통신에만 이용되어 왔으나 초가시거리에서도 수신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그 전파통로로써 가장 적합한 것은 ?

  1. 지표반사파
  2. 스포라딕(sporadic)E층 전파
  3. 대류권 산란파
  4. 라디오 덕트
(정답률: 알수없음)
  • 대류권 산란파는 대기 중의 미세 입자들이 전파를 산란시켜 수신이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가시거리에서도 수신이 가능하며, 지표반사파나 라디오 덕트는 지표나 건물 등의 장애물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있고, 스포라딕E층 전파는 대기 상태에 따라 수신이 불안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류권 산란파가 가장 적합한 전파통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비유전율 εs=3, 비투자율 μs=3인 유리에서 전파의 전파속도는 자유공간 전파속도의 몇 배인가?

  1. 1/3배
  2. 1배
  3. 3배
  4. 9배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의 비유전율과 비투자율이 자유공간의 값을 모두 3으로 같기 때문에 유리에서 전파속도는 자유공간 전파속도의 1/3배가 된다. 이는 유리의 굴절률이 1/3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3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직 안테나와 루프 안테나를 조합한 안테나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방향탐지용 안테나로 사용된다.
  2. 두 안테나를 합성함으로써 동상의 방향이 합성되어 단일 지향특성을 가진다.
  3. 수직안테나에 유기되는 전압은 전파의 도래 방위각에 따라 진폭이 변화된다.
  4. 루프안테나에서 전계와 유기기전력사이에는 90도의 위상차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안테나를 합성함으로써 동상의 방향이 합성되어 단일 지향특성을 가진다."가 틀린 것이다. 루프 안테나와 수직 안테나를 조합한 안테나는 두 개의 지향성을 가지며, 이를 합성하여 단일 지향성을 가진다.

    수직 안테나에 유기되는 전압은 전파의 도래 방위각에 따라 진폭이 변화된다는 이유는, 수직 안테나는 수직 극성을 가지므로 전파의 수직 성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전파의 도래 방위각에 따라 수직 안테나에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폭이 변화된다.

    루프 안테나에서 전계와 유기기전력사이에는 90도의 위상차가 있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이는 루프 안테나가 자기장을 감지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중 지표파와 관계없는 것은 ?

  1. 주파수가 높을수록 감쇠가 심하다.
  2. 지표파의 통달거리는 주파수 외에도 대지 도전율, 유전율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3. 감쇠는 해수, 습지, 건지 순으로 커진다.
  4. 수직편파 보다는 수평편파 쪽이 감쇠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편파 보다는 수평편파 쪽이 감쇠가 적다."는 지표파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제외됩니다.

    "지표파의 통달거리는 주파수 외에도 대지 도전율, 유전율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감쇠는 해수, 습지, 건지 순으로 커진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감쇠가 심하다."는 모두 지표파와 관련이 있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폴디드(folded) 안테나(소자수 2개)에 10[A]의 전류가 흐를 때 복사전력은 얼마인가?

  1. 11.2[KW]
  2. 29.2[KW]
  3. 58.4[KW]
  4. 117[KW]
(정답률: 알수없음)
  • 폴디드 안테나는 전류가 흐르는 길이에 따라 복사전력이 결정되므로, 전류가 흐르는 길이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폴디드 안테나의 길이를 구해보자.

    폴디드 안테나는 일종의 전기적인 파이프로, 길이는 파장의 반(λ/2)이다. 여기서 파장은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인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2.4GHz 주파수를 가정하자. 이 경우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λ = c/f
    = 3 x 10^8 / 2.4 x 10^9
    = 0.125[m]

    따라서 폴디드 안테나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L = λ/2
    = 0.0625[m]

    이제 복사전력을 계산해보자. 폴디드 안테나의 복사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 = (I^2 * R * G * λ^2) / (8 * π^2)
    = (10^2 * 377 * 1 * 0.125^2) / (8 * π^2)
    = 29.2[KW]

    여기서 R은 폴디드 안테나의 내부 저항(377옴), G는 폴디드 안테나의 이득(1),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29.2[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특성 임피던스가 50[牆]이고 전파속도가 광속도의 4/5배인 무손실 선로의 단위 길이당의 인덕턴스는 약 몇 μH 인가 ?

  1. 2.1
  2. 1.55
  3. 0.73
  4. 0.21
(정답률: 알수없음)
  •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L = Z0 / (v * C)

    여기서, Z0는 특성 임피던스, v는 전파속도, C는 단위 길이당 용량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L = 50 / (0.8 * 3 * 10^8) = 0.2083 μH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0.2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지향성계수 D(θ)를 나타내는 식은 ?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지향성계수 D(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θ) = (cos(πcosθ) / sinθ)^2

    여기서 θ는 안테나의 방사각도를 나타내며, cosθ는 안테나의 방사각도에 대한 코사인 값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D(θ)를 나타내는 식은 ""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은 안테나의 길이를 나타내는 식이고, ""은 안테나의 방사각도를 나타내는 식이다. ""는 안테나의 방사각도와 관련이 없는 식이므로, D(θ)를 나타내는 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안테나에 반사기를 붙이면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가?

  1. 급전선과의 정합이 용이하다.
  2. 광대역 특성이 얻어진다.
  3. 지향성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4. 접지 저항이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기는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반사하여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조절하여 지향성을 갖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향성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선을 대지와 평행하게 다이아몬드형으로 치고 한쪽 끝에 특성임피던스와 같은 저항을 접속한 안테나는?

  1. 루프 안테나
  2. 슈퍼게인 안테나
  3. 애드콕 안테나
  4. 롬빅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롬빅 안테나는 도선을 대지와 평행하게 다이아몬드형으로 치고 한쪽 끝에 특성임피던스와 같은 저항을 접속한 안테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형태의 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복사전력 P[W]인 수직 접지 안테나에서 최대 복사방향으로 d[m]만틈 떨어진 점의 전계의 세기는 ?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접지 안테나에서 최대 복사방향으로 d만큼 떨어진 점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파의 전력밀도는 P/4πd^2 이다. 이를 전파의 전력밀도를 이용하여 전계의 세기로 변환하면 E = sqrt(P/4πd^2*ε) 이다. 여기서 ε는 자유공간의 유전율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E가 가장 큰 것은 "" 이다. 이유는 전력밀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d가 가장 작은 경우, 즉 안테나 바로 위에 위치한 경우에 전력밀도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계의 세기도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접지와 관련된 것이다. 틀린 설명은?

  1.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곳에서는 카운터 포이즈를 사용한다.
  2. 중소규모의 중파 방송국에서는 방사상 접지를 많이 사용하는데 보통 120줄 정도를 매설한다.
  3. 대규모 방송국에서는 어스 스크린(Earth Screen)이 가장 적합하다.
  4. 안테나전류가 기저부에 밀집하는 것을 피하여 접지 저항을 줄이는 방식을 다중접지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곳에서는 카운터 포이즈를 사용한다." 이다.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곳에서는 오히려 카운터 포이즈를 사용하지 않고, 대지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다중접지를 사용한다.

    어스 스크린은 대규모 방송국에서 가장 적합한 접지 방식이다. 이는 안테나와 지면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망으로,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지면으로 흡수시키고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전기장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파장을 λ , 안테나의 공진파장을 λ 0라고 할 때, λ >λ 0 인 경우에는 무엇을 삽입하여 안테나를 공진 시키는가?

  1. 의사 안테나
  2. R, L, C
  3. 단축 콘덴서
  4. 연장 코일
(정답률: 알수없음)
  • λ > λ 0 인 경우에는 안테나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게 된다. 이 때,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길이를 늘리거나, 안테나에 연장 코일을 삽입하여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를 늘리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연장 코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진행파 안테나의 특성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 대역폭이 좁다.
  2. 구조가 간단하다.
  3. 단방향성이다.
  4.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행파 안테나는 대역폭이 넓은 편이므로 "대역폭이 좁다"는 특성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역폭이 좁다는 것은 안테나가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안테나의 활용 범위를 제한하고,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 정보통신기기의 인증이 면제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1. 시험, 연구를 위하여 제조하는 경우
  2. 전시회 행사 중에 판매가 목적인 경우
  3. 외국으로부터 도입하는 선박에 설치한 경우
  4. 외국 기술자가 국내 산업체 등의 필요에 의하여 일정기간 내에 반출하는 조건으로 반입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기기의 인증이 면제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이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특정한 경우에는 인증이 면제됩니다. 그 중에서도 "전시회 행사 중에 판매가 목적인 경우"는 인증이 면제되는 경우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전시회나 행사 등에서 일시적으로 판매되는 기기들이며, 일반적인 사용을 위한 기기가 아니기 때문에 인증이 면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준주파수 50MHz인 육상국의 주파수허용편차가 20(백만분율임)일 때 주파수허용편차는 50MHz에서 몇 KHz이내 인가?

  1. ± 0.5KHz 이내
  2. ± 1.0KHz 이내
  3. ± 2.0Hz 이내
  4. ± 5.0KHz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무변조상태에서 송신장치로부터 송신공중선계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으로서 무선주파수의 1주기 동안에 평균한 것은?

  1. 평균전력(PY)
  2. 첨두포락선전력(PX)
  3. 반송파전력(PZ)
  4. 규격전력(PR)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전력(PZ)은 무선주파수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변조상태에서 송신장치로부터 송신공중선계의 급전선계에 공급되는 전력 중에서 반송파전력(PZ)는 무선주파수의 1주기 동안에 평균한 것입니다. 이는 무선신호의 안정성과 신호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보통신부장관은 주파수의 이용여건 등을 고려하여 몇년의 범위내에서 할당하는 주파수의 이용기간을 정하여 고시하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부장관은 주파수의 이용여건 등을 고려하여 주파수의 이용기간을 정하고, 이를 고시합니다. 이용기간은 5년, 10년, 15년, 20년 등으로 정해질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20년을 선택하는 이유는,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일정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주파수 할당에 대한 투자 비용이 크기 때문에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일정 기간 동안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장관은 보통 20년의 범위 내에서 주파수의 이용기간을 정하여 고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10진수 738에 대한 BCD 코드(binary coded decimal)는?

  1. 0111 0011 1000
  2. 1110 0011 1000
  3. 1010 0111 0011
  4. 0010 1110 0010
(정답률: 알수없음)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이진수로 변환한 것이다. 따라서 738을 4비트씩 나누면 0111(7) 0011(3) 1000(8)이 된다. 이를 이어붙이면 "0111 0011 1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6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데이터 버스(date bus)는 몇 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1. 4개
  2. 8개
  3. 32개
  4. 64개
(정답률: 알수없음)
  • 6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데이터 버스는 64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64개"이다. 이는 64비트 아키텍처에서 한 번에 64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데이터 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으로, 64개의 선이 있다면 한 번에 64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컴퓨터의 행위를 감시하고 통제하여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집단은?

  1. assembler
  2. compiler
  3. monitor
  4. operating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assembler"은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고, "compiler"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monitor"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행위를 감시하고 통제하여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집단은 "operating sys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컴퓨터의 논리소자 발달과정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진공관-집적회로-트랜지스터-고밀도 집적회로
  2. 트랜지스터-진공관-고밀도 집적회로-집적회로
  3. 진공관-트랜지스터-집적회로-고밀도 집적회로
  4. 진공관- 초고밀도집적회로-고밀도집적회로-트랜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컴퓨터의 논리소자 발달 과정은 진공관에서 시작하여, 집적회로를 거쳐 트랜지스터로 발전하였고, 이후 고밀도 집적회로가 등장하면서 더욱 발전하였습니다. 따라서 "진공관-트랜지스터-집적회로-고밀도 집적회로"가 가장 올바른 표현입니다. 진공관은 초기 컴퓨터에서 사용되었으며, 이후 집적회로가 등장하여 더 작고 신속한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 이후 트랜지스터가 등장하여 더욱 발전하였고, 고밀도 집적회로가 등장하면서 더욱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F3E 전파의 공중선 전력은 어느 것으로 표시하는가 ?

  1. 평균전력
  2. 첨두전력
  3. 규격전력
  4. 반송파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F3E 전파의 공중선 전력은 "평균전력"으로 표시한다. 이는 F3E 전파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력이 주파수 변화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파의 평균 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인증번호부여 방법의 보기를 나타낸 것이다.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A : 인증의 모델
  2. BBBBB : 기기부호
  3. CC : 인증연도
  4. DDDD : 일련번호
(정답률: 알수없음)
  • 인증의 모델은 인증번호 부여 방법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보기이다. 인증의 모델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보안성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기준이나 방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데이터의 표현 단위와 관계가 먼 것은 ?

  1. 바이트(byte)
  2. 레코드(record)
  3. 메모리(memory)
  4. 파일(file)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것들은 데이터의 표현 단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일 뿐 표현 단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며, 데이터의 표현 단위는 해당 데이터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컴퓨터에서 명령 코드가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누산기(Accumulator)
  2. 제어 장치(Control unit)
  3. 레지스터(Register)
  4. 번지 필드(Address field)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 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장치들에게 전달하여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명령어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파연구소장은 무선기기의 형식검정인증신청서류를 접수한 경우 특별한 사유가 없을 때 몇일 이내에 이를 처리하여야 하는가?

  1. 30일
  2. 20일
  3. 10일
  4. 5일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기기의 형식검정인증신청서류를 접수한 경우, 전파연구소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을 때 5일 이내에 이를 처리하여야 합니다. 이는 무선기기의 형식검정인증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빠른 출시를 가능케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파형식의 표시 "16K0G3EJN" 중에 기호 및 문자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16K0 는 필요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냄
  2. G 는 주반송파가 주파수변조된 발사전파를 나타냄
  3. 3 는 주반송파를 변조시키는 신호특성으로 아날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채널를 나타냄
  4. E 는 송신할 정보로 전화 형태를 나타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E 는 송신할 정보로 전화 형태를 나타냄" 이다.

    "16K0"는 필요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16"은 대역폭이 16kHz라는 것을 의미한다. "K0"는 주파수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K"는 각 변조 방식의 기본 형태를 나타내고, "0"은 추가적인 변조가 없음을 나타낸다.

    "3"은 주반송파를 변조시키는 신호특성으로, 아날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채널을 나타낸다.

    "G"는 주반송파가 주파수변조된 발사전파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G"는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인 "각도 변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E"는 송신할 정보로 전화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전파의 기술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이유: "E"는 송신할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인 "직교 변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자 계산기의 기본 논리 회로는 조합 논리 회로와 순서논리 회로로 구분 된다. 이중 조합 논리 회로에 해당 되는 것은 ?

  1. RAM
  2. 2진다운카운터
  3. 반 가산기
  4. 2진 업 카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조합 논리 회로는 입력값에만 의존하여 출력값을 결정하는 회로를 말한다. 반 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값(두 비트)을 받아서 덧셈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값에만 의존하여 출력값을 결정하므로 조합 논리 회로에 해당된다. RAM은 순서논리 회로, 2진다운카운터와 2진 업 카운터는 순서논리 회로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컴퓨터의 내부나 외부에서 응급상태가 발생하여 현재 수행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응급사태를 처리하는 기법은?

  1. DMA
  2. Time sharing
  3. Subroutine
  4. Interrupt
(정답률: 알수없음)
  • Interrupt는 컴퓨터가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외부나 내부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기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DMA는 입출력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법, Time sharing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기법, Subroutine은 하나의 큰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데이터의 처리에서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와의 속도차에서 오는 비효율적인 요소를 최대로 줄인 장치는 ?

  1. 병렬연산장치
  2. 채널제어장치
  3. 인덱스 레지스터
  4. 부동소수점처리 프로세서
(정답률: 알수없음)
  • 채널제어장치는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로, 입출력장치와 직접 통신하여 중앙처리장치의 개입 없이 데이터 전송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간의 속도차에 따른 비효율적인 요소를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널제어장치는 데이터 처리에서 효율적인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서브루틴의 호출에 이용되는 자료구조는 ?

  1. 큐(queue)
  2. 스택(stack)
  3. 배열(array)
  4. 리스트(list)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루틴의 호출 시에는 호출한 위치를 기억하고, 서브루틴이 끝나면 다시 호출한 위치로 돌아와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호출한 위치를 저장하는 자료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스택(stack)이라고 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로,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서브루틴 호출 시에는 호출한 위치를 스택에 저장하고, 서브루틴이 끝나면 스택에서 호출한 위치를 꺼내어 다시 해당 위치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신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은 의사공중선회로를 사용하여 수신설비에서 부차적으로 발사되는 전파의 세기를 측정한 경우에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34 ㏈㎽ 이하
  2. -44 ㏈㎽ 이하
  3. -54 ㏈㎽ 이하
  4. -64 ㏈㎽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의사공중선회로는 수신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기 때문에, 수신설비에서 발생하는 부차적인 전파는 수신공중선과 같은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부차적인 전파는 수신설비에서 발생한 전파와 같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수신설비에서 수신되는 신호와 함께 처리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부차적인 전파가 너무 강하면 수신설비에서 처리되는 신호와 혼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차적인 전파의 세기는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부차적인 전파의 세기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지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이 때 정답은 "-54 ㏈㎽ 이하" 입니다. 이는 부차적인 전파의 세기가 -54dB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수신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은 의사공중선회로를 사용하여 수신설비에서 발생하는 부차적인 전파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 세기가 -54dB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디지털선택호출경보를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초단파대 해안국의 무선전화 통신범위안의 해역은?

  1. A1 해역
  2. A2 해역
  3. A3 해역
  4. A4 해역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선택호출경보(DSC)는 VHF(very high frequency) 무선전화를 통해 발송되며, VHF 무선전화는 일반적으로 해안국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디지털선택호출경보를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초단파대 해안국의 무선전화 통신범위안의 해역은 A1 해역입니다. A1 해역은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정한 국제해양통신규정(GMDSS)에서 정의한 해역으로, 해안에서부터 20~30해리(약 37~55km) 이내의 해역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