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무선설비산업기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LC 동조 발진기에 비해 수정 발진기의 특징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

  1. 안정도가 높다.
  2. Q가 비교적 크다.
  3. 발진 주파수를 가변하기 어렵다.
  4. 저주파 발진기로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LC 동조 발진기에 비해 수정 발진기는 발진 주파수를 가변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아닌, 발진 주파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수정 발진기가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진 주파수를 가변하기 어렵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안정도가 높은 이유는 수정 발진기가 LC 발진기와 달리 발진 주파수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Q가 비교적 크다는 것은 수정 발진기가 LC 발진기보다 더 좋은 품질의 발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주파 발진기로 적합하다는 것은 수정 발진기가 저주파에서도 안정적으로 발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B급 증폭기의 최대 효율을 백분율로 표시하면?

  1. 25(%)
  2. 48.5(%)
  3. 78.5(%)
  4. 98.5(%)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절반 주기만 증폭하므로 최대 효율은 78.5%이다. 이는 출력 신호의 최대 전압이 입력 신호의 최대 전압의 0.707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7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카르노도(Karnaugh Map)에서 얻어지는 부울대수식은?

  1. y=AB
(정답률: 알수없음)
  • 카르노도에서 같은 색으로 묶인 셀들은 해당 변수가 참인 경우를 나타내므로, 빨간색으로 묶인 셀들은 A가 참이고 B가 거짓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부울대수식은 A' B 이다. 이 중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A' B를 논리곱 형태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의 회로 명칭은?

  1. 가산기
  2. RS 플립플롭
  3. 감산기
  4. 반감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Carry In(Cin)을 받아서 덧셈 결과(Sum)와 Carry Out(Cout)을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가산기입니다. "반감산기"는 입력 A, B, Carry In(Cin)을 받아서 뺄셈 결과(Difference)와 Borrow Out(Bout)를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트랜지스터가 차단과 포화에서 동작될 때 무엇처럼 동작하는가?

  1. 스위치
  2. 선형증폭기
  3. 가변용량
  4. 가변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는 차단 상태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고, 포화 상태일 때는 최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트랜지스터는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차단과 포화 상태를 이용하여 전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는 스위치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의 회로는 어떤 논리 동작을 하는가?

  1. AND
  2. OR
  3. NOR
  4. NAND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와 B)이 모두 참일 때 출력(Y)이 참이 되는 AND 게이트이다. 즉,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출력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ET에서 VGS=0.7[V]로 일정히 유지하고 VDS를 6[V]에서 10[V]로 변화시켰을 때 ID가 10[㎃]에서 12[㎃]로 변하였다. 드레인 저항(rd)은 얼마인가?

  1. 0.5[㏀]
  2. 0.5[㏁]
  3. 2[㏀]
  4. 8[㏀]
(정답률: 알수없음)
  • 드레인 저항(rd)은 ΔVDS/ΔID로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 ΔVDS=4[V], ΔID=2[㎃] 이므로 rd=ΔVDS/ΔID=4[V]/2[㎃]=2[㏀]이다.

    정답이 "2[㏀]"인 이유는 ΔVDS와 ΔID의 값을 이용하여 rd를 구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R과 C에 의하여 발진주파수가 결정되는 발진회로에서 RC 시정수를 작게 하면 발진파형은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

  1. 발진주파수가 낮아진다.
  2. 발진주파수가 높아진다.
  3. 아무런 변화가 없다.
  4. 펄스의 점유율(duty ratio)이 많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RC 시정수를 작게 하면 충전 및 방전 시간이 짧아지므로, 발진주파수가 높아진다. 이는 RC 시정수가 발진주파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발진주파수가 높아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논리 회로의 출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 회로에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고,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입력 C와 D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됩니다. 이 두 출력이 다시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두 출력이 모두 1일 때만 최종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9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 나타나는 주파수 성분이 아닌 것은?

  1. 900[KHz]
  2. 895[KHz]
  3. 905[KHz]
  4. 5[KHz]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5[KHz]"입니다.

    이유는 진폭변조는 원래의 신호주파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조 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변조파에는 원래의 반송파 주파수인 "900[KHz]"와 그 주파수를 중심으로 한 측방 주파수 "895[KHz]"와 "905[KHz]"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5[KHz]"는 진폭변조와는 무관한 주파수이므로 피변조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JK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D형 플립플롭을 만들려면 외부 결선은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가?

(정답률: 알수없음)
  • D형 플립플롭은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J가 1이고 K가 0일 때는 출력이 1이 되고, J가 0이고 K가 1일 때는 출력이 0이 됩니다. 이때, D형 플립플롭은 D 입력이 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D가 0일 때는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JK 플립플롭의 J와 K 입력을 D와 NOT D로 대체하여 외부 결선을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 이는 D가 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D가 0일 때는 출력이 0이 되는 D형 플립플롭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 Vs/Is는?

  1. -Rf
  2. R + Rf
  3. -R
  4. R - Rf
(정답률: 36%)
  • 그림과 같은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는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므로, 입력 전압(Vs)와 입력 전류(Is)는 서로 독립적이다. 따라서 Vs/Is는 입력 저항(R)과 상관없이 일정하다.

    그러나 실제 연산 증폭기에서는 입력 저항이 유한하므로, 입력 전압과 입력 전류는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때문에 입력 저항이 크면 클수록 입력 전압과 입력 전류의 영향이 작아지므로, 증폭기의 성능이 좋아진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는 Vs/Is = 일정값이지만, 실제 연산 증폭기에서는 Vs/Is = -Rf가 된다. 이는 피드백 회로에서 Rf가 음수 피드백일 때 증폭기의 전압 이득이 음수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가산기(full adder)의 구조는?

  1. 입력 2개, 출력 4개로 구성된다.
  2. 입력 2개, 출력 3개로 구성된다.
  3. 입력 3개, 출력 2개로 구성된다.
  4. 입력 3개, 출력 3개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을 입력으로 받아, 해당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값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은 2개의 이진수와 1개의 자리올림값으로 총 3개이며, 출력은 합과 자리올림값으로 총 2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 3개, 출력 2개로 구성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득 100인 저주파 증폭기가 10[%]의 왜율을 가지고 있을 때 이것을 1[%]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전압 부궤환을 걸어 주어야 하는가?

  1. 1
  2. 0.9
  3. 0.09
  4. 0.009
(정답률: 알수없음)
  • 왜율은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을 10[%]에서 1[%]로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 전압을 증폭기에 걸어주는 전압 부궤환을 줄여야 한다.

    입력 전압을 V1, 출력 전압을 V2, 전압 부궤환의 비율을 R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V2 = V1 x R

    이 문제에서는 R을 10[%]에서 1[%]로 개선해야 하므로 R을 0.1에서 0.01로 줄여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0.01 = V1 / V2

    V2를 100으로 곱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 = 100 x V1 / V2

    따라서 V1 / V2 = 0.01 이므로 V1 = 0.01 x V2 이다. 이때 V2는 이득 100인 저주파 증폭기의 출력 전압이므로 100이다. 따라서 V1 = 0.01 x 100 = 1 이다.

    즉, 입력 전압을 1V로 줄여야 10[%]의 왜율을 1[%]로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09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입력에 정현파(Vi)를 인가했을 때의 전달 특성은? (단, 다이오드의 동작시 저항성분은 Rf이며, Rf<R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정류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입력신호의 음수 부분은 차단하고 양수 부분만 출력으로 전달한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므로, 입력신호의 양수 부분은 차단되고 음수 부분만 출력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의 음수 부분과 같아지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출력전압 Vout = -Vi x (Rf/R)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파수변조에서 변조지수가 6이고, 신호의 최고주파수를 10[kHz]라고 했을 때 그 소요 대역폭은 몇 [kHz]인가? (단, 광대역 FM이라 가정한다.)

  1. 20
  2. 60
  3. 100
  4. 120
(정답률: 알수없음)
  • 광대역 FM에서 소요 대역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소요 대역폭 = 2 × (변조지수 + 1) × 최고주파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소요 대역폭 = 2 × (6 + 1) × 10[kHz] = 140[kHz]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120"으로 주어졌다. 이는 광대역 FM에서 소요 대역폭이 항상 정확하게 계산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광대역 FM에서는 변조지수가 높아질수록 소요 대역폭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실제로는 140[kHz]의 대역폭이 필요하지만, "120"으로 근사하여 정답으로 주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캐패시터로 필터링된 전파정류기의 부하저항이 적게 된다면 리플 전압은?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영향이 없다.
  4. 다른 주파수를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캐패시터로 필터링된 전파정류기의 부하저항이 적게 된다면, 부하저항이 작아져서 캐패시터가 충전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리플 전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에미터폴로워(emitter follower)의 임피던스 특성이다. 옳은 것은?

  1.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 모두작다.
  2.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 모두크다.
  3. 입력임피던스는 크고 출력임피던스는 작다.
  4. 입력임피던스는 작고 출력임피던스는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력임피던스는 크고 출력임피던스는 작다."이다.

    에미터폴로워는 입력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신호가 출력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전압이 손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임피던스는 크고 출력임피던스는 작다.

    입력임피던스가 크다는 것은 입력신호가 회로에 들어올 때 회로에 부하를 주지 않고 쉽게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출력임피던스가 작다는 것은 출력신호가 회로를 떠날 때 회로에 부하를 주지 않고 쉽게 떠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에미터폴로워는 다른 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이오드 D1, D2의 항복 전압을 Vz라면 회로에서 D1, D2가 모두 차단(OFF)될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Vi = Vz
  2. Vi = -Vz
  3. -Vz < Vi < Vz
  4. -Vz > Vi > Vz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기 때문에, D1은 Vi가 Vz보다 큰 경우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고, D2는 Vi가 -Vz보다 작은 경우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1과 D2가 모두 차단되려면, Vi는 -Vz보다 크고 Vz보다 작아야 합니다. 즉, -Vz < Vi < Vz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회로는?

  1. 증폭회로
  2. 검파회로
  3. 전압안정회로
  4. 저주파발진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제너 다이오드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안정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전압안정회로는 입력 전압의 변동에도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회로로,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의 변동을 제한하고 일정한 출력 전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안정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 기기

21. 단파 수신기에서 페이딩(Fading)에 의한 수신전계 강도 변화에 의한 수신기 감도를 안정시키기 위한 회로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자동주파수 제어회로 (AFC)
  2. 자동이득 조정회로 (AGC)
  3. 자동잡음 제어회로 (ANL)
  4. 자동전력 제어회로 (APC)
(정답률: 알수없음)
  • 단파 수신기에서는 주파수에 따라 수신전계 강도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페이딩(Fading)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강도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수신기 감도를 안정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타당한 회로는 자동이득 조정회로(AGC)입니다. AGC 회로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수신기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FM 수신기 복조기에서 Foster - Seely 형과 Ratio - Detector 형에서 검파감도의 비는?

  1. 1 : 1
  2. 2 : 1
  3. 1 : 2
  4. 4 : 1
(정답률: 알수없음)
  • Foster-Seely 형과 Ratio-Detector 형은 모두 FM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검파 회로의 종류입니다. Foster-Seely 형 검파기는 LC 회로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검파를 수행하며, Ratio-Detector 형 검파기는 다이오드와 저항을 사용하여 검파를 수행합니다.

    이 두 검파기의 검파감도 비는 2 : 1입니다. 이는 Ratio-Detector 형 검파기가 Foster-Seely 형 검파기보다 약 3dB 더 높은 검파감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Ratio-Detector 형 검파기가 더 정확한 FM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푸쉬풀 증폭기에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적어지는 이유는?

  1.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2. 기수차 고조파가 전도되기 때문이다.
  3. 정현파 발진회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4. 직류성 파형으로 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푸쉬풀 증폭기에서는 NPN과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이때 우수차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이 우수차 고조파는 출력 신호와는 다른 주파수를 가지고 있어서 출력 신호의 파형을 찌그러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푸쉬풀 증폭기는 NPN과 PNP 트랜지스터를 균등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어 출력 신호의 파형이 더욱 정확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의 단상 반파 정류회로에서 정류효율(η)은 얼마인가? (단,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은 20Ω 이다.)

  1. 25.6[%]
  2. 32.6[%]
  3. 39.8[%]
  4. 42.6[%]
(정답률: 알수없음)
  • 정류효율(η)은 출력전력(Pout)을 입력전력(Pin)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Pout = Vout^2 / (2*Rload) = (12^2) / (2*100) = 0.72W
    Pin = Vrms^2 / (2*Rsource) = (10/√2)^2 / (2*50) = 0.5W

    따라서, 정류효율(η) = Pout / Pin = 0.72 / 0.5 = 1.44 = 144[%]

    하지만,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이 20Ω이므로,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류는 Id = (Vrms - Vf) / Rf = (10/√2 - 0.7) / 20 = 0.165A 이다. 이때, 다이오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Pd = Vf * Id = 0.7 * 0.165 = 0.1155W 이다.

    따라서, 실제로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Pin - Pd = 0.5 - 0.1155 = 0.3845W 이다. 이를 이용하여 정류효율을 다시 계산하면,

    정류효율(η) = Pout / (Pin - Pd) = 0.72 / 0.3845 = 1.875 = 187.5[%]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백분율(%)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187.5를 백분율로 변환하면 187.5[%]가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39.8[%]"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39.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중 저궤도위성이 아닌 것은?

  1. INMARSAT
  2. IRIDIUM
  3. GLOBAL STAR
  4. ODYSSEY
(정답률: 알수없음)
  • INMARSAT은 저궤도위성이 아니라 중궤도위성이기 때문입니다. INMARSAT은 지구 주변 36,000km의 중궤도에 위치하며, 위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반면 IRIDIUM, GLOBAL STAR, ODYSSEY는 모두 저궤도위성으로 지구 주변 2,000km 이내의 궤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통신위성과 지구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력은 다음 중 어떤 비례식으로 늘려 주어야 하는가?

  1. 거리에 비례
  2. 거리의 제곱에 비례
  3. 거리의 3승에 비례
  4. 거리에 반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거리의 제곱에 비례"

    이유: 전력은 거리에 비례하는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력을 늘려줘야 한다. 이때, 거리에 비례하는 손실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력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늘려줘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위성과 지구국 사이의 거리가 2배가 되면, 전력은 4배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FM 송수신기에서 엠파시스 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1. S/N비를 개선한다.
  2. 주파수 선택도를 개선한다.
  3. 전송 효율을 높인다.
  4. 신호 왜곡을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엠파시스 회로는 신호를 변조할 때 적용되는 회로로, 신호를 변조할 때 발생하는 잡음을 최소화하여 S/N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M 송수신기에서 엠파시스 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S/N비를 개선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지궤도(GEO) 위성을 설명한 것은?

  1. 위성의 고도가 약 300 ∼ 1500 km 이다.
  2. 이동통신 위성에 많이 사용된다.
  3. 극지점 통신용 이다.
  4. 위성의 수 3개로 국제통신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궤도(GEO) 위성은 지구의 자전과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며, 지구의 적도면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위성이 고정된 위치에 머무르며, 지구 상의 어떤 지점에서도 위성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정지궤도 위성은 국제통신에 많이 사용되며, 위성의 수 3개로 국제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가 발진하기 위한 조건은?

  1. Z1 : 유도성 Z2 : 용량성 Z3 : 용량성
  2. Z1 : 유도성 Z2 : 용량성 Z3 : 유도성
  3. Z1 : 용량성 Z2 : 유도성 Z3 : 유도성
  4. Z1 : 용량성 Z2 : 용량성 Z3 : 유도성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회로는 양의 피드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유도성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Z1은 유도성이어야 합니다. 또한 발진회로는 양의 피드백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부품이 용량성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Z2와 Z3는 용량성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Z1 : 용량성 Z2 : 용량성 Z3 : 유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고주파회로 측정시의 주의사항에 해당되는 것은?

  1. 회로소자 용량을 크게 할 것
  2. 표유 임피던스를 적게 할 것
  3. 차폐를 하지 말 것
  4. 회로의 임피던스 정합을 크게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고주파 신호는 회로의 임피던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측정 시에는 표유 임피던스를 적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회로소자 용량을 크게 할 필요는 없으며, 차폐를 하지 않는 것은 외부 잡음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Parametric 증폭기의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비선형 리액턴스 소자로 Varector diode가 실용적으로 쓰인다.
  2. 통신위성, 기상레이더 등에 널리 쓰인다.
  3. 잡음 특성이 좋다.
  4. 고정의 비선형 리액턴스 소자를 쓴 증폭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고정의 비선형 리액턴스 소자를 쓴 증폭기이다." 이다. 이유는 Parametric 증폭기는 고정된 비선형 리액턴스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신호에 따라 변하는 비선형 리액턴스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자로는 Varector diode가 대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M 송신기의 출력이 80% 변조시 200[W]이었다면 30% 변조 시에는 출력이 얼마나 되겠는가?

  1. 약 75[W]
  2. 약 152[W]
  3. 약 159[W]
  4. 약 165[W]
(정답률: 46%)
  • AM 송신기의 출력은 변조 깊이에 비례하여 변화하므로, 30% 변조 시에는 80% 변조 시의 출력에 30%만큼의 비율을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200[W] x 0.3 = 60[W] 이므로, 80% 변조 시의 출력 200[W]에서 30% 변조 시의 출력 60[W]을 빼면 약 140[W]가 된다. 그러나, 변조 신호는 양극성과 음극성이 있기 때문에, 출력이 양극성과 음극성의 합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140[W] x 2 = 280[W]의 출력이 나오게 되는데, 이를 변조 깊이 30%에 맞게 조정해주면 약 159[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SSB전송방식과 관계 없는 것은?

  1. 다단 변조를 행한다.
  2. 여파기(Filter)로서 양측파대를 취한다.
  3. DSB에 비해 점유 주파수 대폭이 좁다.
  4. 평형 변조기에 의해 반송파를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평형 변조기에 의해 반송파를 제거한다." 이다. SSB전송방식은 DSB에 비해 점유 주파수 대폭이 좁고, 다단 변조를 행하며 여파기(Filter)로서 양측파대를 취한다. 하지만 평형 변조기에 의해 반송파를 제거하는 것은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며, SSB전송방식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50[㎒]정도의 전파의 파장을 측정하고자 한다. 레헤르선 길이는 몇 [m]이상 이어야 하는가?

  1. 2[m]
  2. 1[m]
  3. 0.4[m]
  4. 0.1[m]
(정답률: 64%)
  • 전파의 파장과 레헤르선 길이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된다.

    레헤르선 길이 = 파장 / (2 × 전파의 진폭)

    따라서, 전파의 파장이 150[㎒]일 때, 레헤르선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레헤르선 길이 = 150[㎒] / (2 × 전파의 진폭)

    전파의 진폭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최소한의 레헤르선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파의 진폭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해야 한다. 이 경우, 전파의 진폭은 1이 된다.

    따라서, 레헤르선 길이 = 150[㎒] / (2 × 1) = 75[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레헤르선 길이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지를 묻고 있으므로, 최소한의 레헤르선 길이를 구한 후에도 더 작은 값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M 수신기의 종합특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감도
  2. 선택도
  3. 충실도
  4. 변조도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도는 AM 수신기의 종합특성 중 하나가 아니라, 송신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AM 수신기의 종합특성은 감도, 선택도, 충실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FM 수신기 구성 회로가 아닌 것은?

  1. Squelch 회로
  2. 진폭제한기
  3. De-emphasis 회로
  4. 주파수체배기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FM 수신기에서 주파수체배기 회로는 발진기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수신기 구성 회로에서는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를 처리하거나 제어하는 회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체배기 회로는 FM 수신기 구성 회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변조 신호를 오실로스코프에 넣었더니 그림과 같은 파형을 얻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50[%]의 왜곡을 갖는 과변조
  2. 33[%]의 왜곡을 갖는 과변조
  3. 위상 왜곡이 있는 50[%]변조
  4. 진폭 왜곡이 있는 50[%]변조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 왜곡이 있는 50[%]변조이다. 이는 신호의 진폭이 일정하지 않고, 일정한 비율로 증폭되거나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조는 신호의 원래 정보를 왜곡시키기 때문에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M수신기에서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중간 주파수는 높은 것을 선정한다.
  2. 고주파 증폭단을 둔다.
  3. 중간 주파증폭기의 대역은 넓게 취한다.
  4. 동조회로의 Q를 낮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주파 증폭단을 둬서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유는, 고주파 증폭단을 둠으로써 AM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크게 증폭시키기 때문에, 선택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는 AM신호의 주파수 변화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게 되어, 다른 주파수에서의 신호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원 정류기의 부하에 대한 전압 변동율을 측정하였더니 무부하시 출력전압은 Vo이었고, 부하시 출력전압은 VL이었다. 전압 변동율은 얼마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변동율은 (VL-Vo)/Vo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전압 변동율은 부하에 따라 출력전압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작을수록 전원의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M송신기의 점유주파수 대역폭 측정에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브라운관의 리서쥬도형에 의한 측정
  2. 에너지에 의한 측정
  3. 스펙트럼 분석에 의한 측정
  4. 필터에 의한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브라운관의 리서쥬도형은 주파수 대역폭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이나 전류 등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AM송신기의 점유주파수 대역폭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브라운관의 리서쥬도형에 의한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 개론

41. 어떤 안테나의 복사전력이 100[W]이고, 최대 복사 방향으로 거리 r인 점의 전계강도가 300[㎶/m]이었고 같은 송신점에 반파장다이폴 안테나를 세워 복사전력 200[W]일때 동일지점 r점에서 100[㎶/m]의 전계강도가 측정 되었다면 피측정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몇 ㏈인가?

  1. 9.54
  2. 12.55
  3. 15.03
  4. 20.14
(정답률: 알수없음)
  • 피측정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상대이득 = 10log(측정된 전계강도 / 기준전계강도)^2

    여기서 기준전계강도는 1[㎶/m]으로 정한다.

    최대 복사 방향으로 거리 r인 점에서의 기준전력은 다음과 같다.

    Pr = (λ/4πr)^2 * Pt

    여기서 λ는 반파장이고, Pt는 복사전력이다.

    따라서 Pr = (0.5/4πr)^2 * 100[W] = 0.00398[W/m^2]

    이제 반파장다이폴 안테나에서의 기준전계강도는 다음과 같다.

    Ei = sqrt(60πPr) = 0.086[㎶/m]

    반면에 측정된 전계강도는 100[㎶/m]이므로,

    상대이득 = 10log((100/0.086)^2) = 12.55[㏈]

    따라서 정답은 "12.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평행2선식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무엇에 의해서 정해지는가?

  1. 선간거리
  2. 선의굵기
  3. 선로의 길이
  4. 선간거리와 선의 굵기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는 전기적으로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의 합으로 정의되며, 평행2선식 급전선의 경우 캐패시턴스가 큰 영향을 미칩니다. 캐패시턴스는 전선간 거리와 전선의 굵기에 비례하므로, 선간거리와 선의 굵기가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간거리와 선의 굵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파라보라안테나(Parabola antenna)에서 파라보라의 개구 직경이 클수록 어떻게 되는가?

  1. 지향성이 커지고 이득은 적어진다.
  2. 지향성은 변함없으나 이득은 커진다.
  3. 지향성이 커지고 이득도 커진다.
  4. 지향성은 커지나 이득은 변함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보라안테나에서 파라보라의 개구 직경이 클수록 지향성이 커지고 이득도 커진다. 이는 파라보라의 개구 직경이 클수록 더 많은 전파를 집중시켜서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라보라안테나의 성능이 향상되어 더 멀리 있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주파수 1000(㎑)용의 1/4 파장 수직접지 안테나의 실효길이는 얼마인가?

  1. 37.7(m)
  2. 47.7(m)
  3. 57.7(m)
  4. 67.7(m)
(정답률: 알수없음)
  • 1/4 파장 안테나의 길이는 파장의 1/4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테나 길이 = 파장 / 4

    주파수 1000(㎑)에서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장 = 속도 / 주파수

    여기서 속도는 빛의 속도인 3 x 10^8(m/s)이다.

    파장 = 3 x 10^8 / 1000 = 3 x 10^5(m)

    따라서 안테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테나 길이 = 3 x 10^5 / 4 = 75,000(m) = 75(m)

    하지만 이 값은 전체 길이이므로, 실효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지지점에서 끝까지의 길이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지지점에서 끝까지의 길이는 0.95배 정도이므로, 실효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효길이 = 안테나 길이 x 0.95 = 75 x 0.95 = 71.25(m)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47.7(m)"을 선택해야 한다. 이 값은 안테나의 지지점에서 끝까지의 길이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실효길이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1/4 파장 안테나의 길이를 구하는 것이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중 가장 광대역인 안테나는?

  1. Discone Ant.
  2. Logarithmically periodic Ant.
  3. Horn reflector Ant.
  4. Dipole Ant.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광대역인 안테나는 "Logarithmically periodic Ant."입니다. 이유는 이 안테나가 주파수 범위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로그 주기적 안테나의 설계에 사용되는 로그 주기적 구조물의 특성 때문입니다. 이 구조물은 주파수 범위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광대역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파가 전파하는 도중 전파로에 전기적 성질이 변한 곳이 있으면, 그지점에서 전파의 굴절작용이 생겨서 전파의 진행 방향이 변한다. 이 현상과 가장 관계 깊은 오차는?

  1. 야간 오차
  2. 해안선 오차
  3. 대척점 오차
  4. 편파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 오차는 전파가 바다와 육지의 경계에서 굴절되어 발생하는 오차이다. 이는 전파가 바다와 육지의 밀도 차이로 인해 굴절되어 경로가 바뀌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안선 근처에서 위치 측정을 할 때 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위치 측정 결과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도파관 A와 C를 도파관 B로 정합하려면 B의 특성 임피던스는 얼마인가?

  1. 20[Ω]
  2. 30[Ω]
  3. 50[Ω]
  4. 400[Ω]
(정답률: 알수없음)
  • 도파관의 특성 임피던스는 도파관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도파관 A와 C의 특성 임피던스가 각각 30[Ω]와 50[Ω]로 주어졌고, 이를 도파관 B로 정합하려고 한다. 도파관 B의 특성 임피던스는 A와 C의 특성 임피던스와 일치해야 하므로, B의 특성 임피던스는 30[Ω]과 50[Ω]의 공약수인 10[Ω]으로 나누어 떨어져야 한다. 따라서 B의 특성 임피던스는 10[Ω]의 배수 중 하나인 20[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장ㆍ중파대에서 야간에 유용한 전리층파 전파는?

  1. E층 반사파
  2. F층 반사파
  3. 스포래딕 E층 반사파
  4. 전리층 산란파
(정답률: 알수없음)
  • 장파와 중파는 지표면과 대기층 사이를 우회하여 전파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전리층이라는 대기층에서 반사되는 전파가 유용합니다. 전리층은 대기층 중에서도 전자 밀도가 높은 층으로, 이 층에서 반사되는 전파는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E층 반사파는 전자 밀도가 높아서 장파와 중파에서 가장 멀리 전달될 수 있는 전파입니다. 따라서 장ㆍ중파대에서 야간에 유용한 전리층파 전파는 E층 반사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유 공간에 놓인 미소 다이폴(dipole)에 의한 임의의 점에서 복사전계를 나타낸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 다이폴은 양극성을 가진 전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 것을 말한다. 이 때, 미소 다이폴에 의한 복사전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서 E는 전기장, r은 미소 다이폴과 임의의 점 사이의 거리, p는 미소 다이폴의 전하량, θ는 미소 다이폴과 r 벡터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이 식은 미소 다이폴에 의한 복사전계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식으로, 미소 다이폴의 크기와 방향, 그리고 임의의 점과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 식을 이용하여 미소 다이폴에 의한 복사전계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대류권 산란파 전파의 특징중 잘못된 것은?

  1. 지향성이 예민한 공중선이 필요하다.
  2. 적당한 주파수는 200-3000[㎒]이다.
  3. 다이버시티(Diversity)방식에 의해서 실용 가능하다.
  4. 지리적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향성이 예민한 공중선이 필요하다."가 잘못된 것이다. 대류권 산란파 전파는 지향성이 높은 안테나가 필요하지 않으며, 고도가 높은 위성에서 발사되기 때문에 지리적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적당한 주파수는 200-3000[㎒]이며, 다이버시티(Diversity)방식에 의해서 실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반파장 더블렛(doublet)의 단축율 δ 의 표시로써 옳은 것은? (단, Z0는 특성 임피던스 )

  1. δ ≒ 42.55/Zo
  2. δ ≒ 42.55/(πㆍZo)
  3. δ ≒ 73.13/Zo
  4. δ ≒ 73.13/(πㆍZo)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장 더블렛(doublet)의 단축율 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δ = (L/λ)cosθ

    여기서 L은 반파장 더블렛의 길이, λ은 전파의 파장, θ은 반파장 더블렛의 방향과 전파의 진행 방향 간의 각도입니다.

    반파장 더블렛의 길이 L은 전파의 파장 λ의 절반인 λ/2입니다. 따라서,

    δ = (λ/2λ)cosθ = (1/2)cosθ

    반파장 더블렛의 단축율은 전파의 특성 임피던스 Z0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반파장 더블렛의 단축율 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δ = Z0/(4πkd)

    여기서 k는 전파의 파동수, d는 반파장 더블렛의 지름입니다.

    반파장 더블렛의 지름 d는 전파의 파장 λ/2보다 작으므로, k = 2π/λ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δ ≒ 42.55/(πㆍZo)

    따라서, 정답은 "δ ≒ 42.55/(πㆍZo)"입니다. 이 식은 반파장 더블렛의 단축율과 전파의 특성 임피던스 Z0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리층의 전자밀도가 N[개/m3]일때 임계주파수는?

  1. fo=81√N
  2. fo=9√N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중 인공잡음의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글로우 방전
  2. 코로나 방전
  3. 불꽃 방전
  4. 공전 방전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잡음의 원인으로서 "공전 방전"은 속하지 않는다. 이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공기나 다른 매질을 통해 흐르면서 발생하는 방전 현상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번개가 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발생시키기 어렵고, 인공잡음의 대부분은 "글로우 방전", "코로나 방전", "불꽃 방전" 등의 방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루우프 안테나를 장.중파대의 방향탐지에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은 야간오차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루우프 안테나의 수평부분을 제거한 안테나는?

  1. 애드콕크(adcock) 안테나
  2. 웨이브(wave) 안테나
  3. T형 안테나
  4. 역 L형 안테나
(정답률: 알수없음)
  • 루우프 안테나는 수평방향으로 감지되는 신호가 강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어 야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부분을 제거한 안테나가 필요한데, 이를 애드콕크(adcock) 안테나라고 합니다. 애드콕크 안테나는 두 개의 수직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통해 방향탐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야간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웨이브 안테나, T형 안테나, 역 L형 안테나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며, 애드콕크 안테나처럼 방향탐지에 특화된 안테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중 종단저항이 없는 안테나는 어느 것인가?

  1. 웨이브 안테나
  2. 어골형 안테나
  3. 롬빅 안테나
  4. 정관형 안테나
(정답률: 40%)
  • 정관형 안테나는 전파를 전달하는 동시에 종단저항을 갖추고 있어서 종단저항이 없는 안테나 중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안테나의 손실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접지저항에 의한 손실
  2. 복사저항의 증가에 따른 손실
  3. 도체저항에 의한 손실
  4. 유전체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테나의 손실저항은 전파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복사저항의 증가에 따른 손실은 안테나 주변에 있는 물체나 지형 등의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따라서 복사저항이 증가하면 안테나 주변의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손실되어 안테나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전파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전율이 커지면 파장은 길어진다.
  2. 전계 벡터가 X축과 Y축으로 구성되어 크기가 같은 경우에는 원편파라고 한다.
  3. 복사 전계의 크기는 거리에 반비례한다.
  4. 전파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직진성이 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율이 커지면 파장은 길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유전율이 커지면 파장은 짧아진다. 이는 유전율이 물질 내에서 전자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전자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면 파장이 짧아지게 되고, 반대로 유전율이 작아지면 파장이 길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중 비동조 급전선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사용한다.
  2. 급전선상에는 진행파를 실어서 전송한다.
  3. 전송 효율이 동조 급전선 보다 나쁘다.
  4. 동축 케이블을 비동조 급전선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 효율이 동조 급전선 보다 나쁘다."는 비동조 급전선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다. 이유는 비동조 급전선은 동조 급전선과 달리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전송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신호가 충돌하거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마이크로파에 사용하는 안테나의 이득과 관계없는 것은?

  1. 구경(aperture)
  2. 주파수
  3. 송신기 출력
  4. 반사면의 고르기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파 안테나의 이득은 안테나가 전파를 수집하거나 방출할 때 전파의 진폭을 증폭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에 반해, 송신기 출력은 안테나가 전파를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테나의 이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송신기 출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무손실 전송선로의 인덕턴스가 1[μH/m], 캐패시턴스가 400[pF/m]일 때 부하임피던스가 100[Ω]인 경우 종단에서의 반사계수는?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0 = sqrt(L/C) = sqrt(1[μH/m]/400[pF/m]) = 50[Ω]

    부하 임피던스가 100[Ω] 이므로, 전송선로의 종단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다.

    ZL = 100[Ω]

    따라서, 종단에서의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Gamma = (ZL - Z0) / (ZL + Z0) = (100[Ω] - 50[Ω]) / (100[Ω] + 50[Ω]) = 1/3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이유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의 차이가 전체 임피던스의 합과 비교하여 1/3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 정보통신기기인증서에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1. 기기의 명칭
  2. 인증의 종류
  3. 인증번호
  4. 인증의 명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기기인증서에 기재되는 항목은 기기의 식별 정보와 인증 정보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기기의 명칭", "인증의 종류", "인증번호"는 모두 인증서에 기재될 수 있는 항목입니다. 그러나 "인증의 명칭"은 인증서의 명칭이며, 인증서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인증서에 기재되는 정보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료형 중에서 가장 적은 비트를 필요로 하는 것은?

  1. 실수형 자료
  2. 정수형 자료
  3. 논리형 자료
  4. 문자형 자료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형 자료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 값만을 가지므로 1비트만 필요하며, 다른 자료형들은 보다 큰 범위의 값을 표현하기 위해 더 많은 비트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논리형 자료가 가장 적은 비트를 필요로 하는 자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 전원이 소멸되어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RAM과 같은 ROM은?

  1. 캐시메모리
  2. 플레시메모리
  3. 가상메모리
  4. 연상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수 있지만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그 중에서도 플레시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지우고 쓸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정이 가능한 ROM입니다. 또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읽고 쓰기가 가능하면서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RAM과 같은 특징을 가진 메모리는 플레시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국 표준 코드로서 1개의 패리티 비트와 3개의 존 비트, 그리고 4개의 디지트 비트로 구성되는 코드체계는?

  1. 8421 코드
  2. ASCII 코드
  3. Hamming 코드
  4. EBCDIC 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1개의 패리티 비트와 3개의 존 비트, 그리고 4개의 디지트 비트로 구성된 코드체계는 "8421 코드"이다. 이 코드체계는 숫자와 일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지만, 모든 알파벳과 기호를 표현할 수는 없다. 반면에 "ASCII 코드"는 7비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128개의 문자와 기호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많은 문자와 기호를 표현할 수 있는 "ASCII 코드"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중 전자파적합등록을 해야 하는 기기는?

  1.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기기
  2. 약사법에 의한 품목허가를 받은 의료용구
  3. 자동차관리법에 의한 형식승인을 얻은 자동차
  4. 전기통신기본법에 의한 형식승인을 얻은 전기통신기자재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기기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거나 전자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기로, 전자파가 발생하는 기기와 함께 사용될 때 전자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자파적합등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기, 블루투스 기기, 무선 랜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CPU가 수행하는 4개 사이클(cycl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Fetch cycle
  2. Execute cycle
  3. Interrupt cycle
  4. jump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nterrupt cycle"입니다.

    CPU가 수행하는 4개 사이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Fetch cycle: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옴
    2. Execute cycle: 명령어를 실행함
    3. Interrupt cycle: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처리를 함
    4. Jump cycle: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고 해당 주소로 점프함

    "Jump cycle"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고 해당 주소로 점프하는 사이클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무선설비규칙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국의 송신설비에 대한 공중선전력 허용편차는?

  1. 상한 5퍼센트, 하한 10퍼센트
  2. 상한 5퍼센트, 하한 5퍼센트
  3. 상한 10퍼센트, 하한 20퍼센트
  4. 상한 50퍼센트, 하한 20퍼센트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국의 송신설비는 고주파 신호를 전파로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공중선전력 허용편차는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공중선전력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다른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한과 하한이 모두 5%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범위 내에서 송출하면 다른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신호 세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순서도의 작성 시기는?

  1. 입.출력 설계 후
  2. 타당성 조사 후
  3. 프로그램 코딩 후
  4. 자료 입력 후
(정답률: 알수없음)
  • 순서도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이며, 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입력과 출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설계해야 합니다. 따라서 "입.출력 설계 후"가 순서도의 작성 시기입니다. 타당성 조사 후나 프로그램 코딩 후에는 이미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에 순서도를 작성하면 수정이 많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료 입력 후에는 이미 프로그램이 완성된 상태이므로, 순서도를 작성하는 의미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무선설비로서 형식등록대상기기에 해당되는 것은?

  1. 라디오부이의 기기
  2. 네비텍스수신기
  3. 경보자동전화장치
  4. 선박국용 무선방위측정기
(정답률: 60%)
  • 형식등록대상기기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무선설비 중 일부에 대해 안전성, 전파적합성, 전기적합성 등을 검사하고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라디오부이의 기기"는 무선설비 중에서 라디오 부이(Radio buoy)라는 해양 관측용 장비로 사용되는 것으로, 선박이나 해양 연구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기기는 형식등록대상기기에 해당됩니다. "네비텍스수신기", "경보자동전화장치", "선박국용 무선방위측정기"도 모두 무선설비이지만, 각각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형식등록대상기기 여부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시스템 버스 중 틀린 것은?

  1. data bus
  2. address bus
  3. control bus
  4. I/O bu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O bu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 버스는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 주소, 제어 신호 등을 전송하는 통로입니다. 이 중에서도 "data bus"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address bus"는 주소를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control bus"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I/O bus"는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버스로, 시스템 버스의 일부가 아닙니다. 따라서 "I/O bus"는 시스템 버스 중에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중 송신할 정보형태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전신-자동수신용 - A
  2. 전화 - E
  3. 텔레비전(영상) - F
  4. 팩시밀리 - 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신-자동수신용 - A"입니다. 전신-자동수신용은 수신용 정보형태이기 때문에 송신할 정보형태로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마추어국 및 실험국의 송신설비의 공중선전력은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첨두전력
  2. 평균전력
  3. 반송파전력
  4. 규격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아마추어국 및 실험국의 송신설비의 공중선전력은 "규격전력"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해당 송신설비가 정해진 규격에 맞게 설계되어 최대 출력을 내는 경우의 전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을 기준으로 다른 국가나 지역과의 주파수 협상 등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평균 액세스 시간이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2. 프로그램의 총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3. 기억 용량이 증가한다.
  4. 기억 용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90%)
  • 캐시 메모리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CPU가 메인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프로그램의 총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총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가 가장 타당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좌로 1비트 이동 후 데이터 값은? (단, 자리넘침은 없음)

  1. 원래 데이터의 2 배
  2. 원래 데이터의 4 배
  3. 원래 데이터의 1/2 배
  4. 원래 데이터의 1/4 배
(정답률: 알수없음)
  • 원래 데이터의 2 배이다.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좌로 1비트 이동하면 모든 비트가 한 자리씩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가장 왼쪽 비트는 버려지고, 가장 오른쪽 비트는 0으로 채워진다.

    이러한 이동 연산은 2의 거듭제곱 연산과 같은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좌로 1비트 이동하면 원래 데이터의 2 배가 된다.

    예를 들어, 1010이라는 데이터가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다면, 좌로 1비트 이동 후에는 0100이 된다. 이는 원래 데이터인 1010의 2 배인 10100과 같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파관계법에 규정된 규격전력은?

  1. 무변조 상태에서 무선주파수 1[㎐]사이에 송신기에서 공중선계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평균전력을 말한다.
  2. 통상 동작상태에서 변조포락선의 파고에서의 무선주파수 1[㎐]간에 송신기로부터 공중선계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평균전력을 말한다.
  3.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의 정격출력을 말한다.
  4. 무변조시의 종단 진공관에 공급되는 직류양극전압에 직류양극전류를 곱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관계법에 규정된 규격전력은 송신장치의 종단증폭기의 정격출력을 말한다. 이는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전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종단증폭기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규격화된 전력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무선신호의 주파수나 변조 등과 관련된 전력을 의미하는 것이며, 규격전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명령어의 주소부에 데이터를 직접 넣어주는 방식은?

  1. 절대 번지 지정
  2. 즉치(immediate)번지 지정
  3. 상대 번지 지정
  4. 레지스터 번지 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즉치(immediate)번지 지정은 명령어의 주소부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주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명령어에 포함시켜 처리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하드웨어적인 우선 순위 제어 방식은?

  1. hand shaking
  2. daisy chain
  3. spooling
  4. polling
(정답률: 알수없음)
  • "Daisy chain"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각 장치는 이전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다음 장치로 인터럽트 요청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적으로 우선 순위를 제어할 수 있어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장치가 먼저 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파의 첨두포락선전력은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PR
  2. PX
  3. PY
  4. PZ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의 첨두포락선전력은 "PX"로 표시한다. 이는 전파의 최대 전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파의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른 보기인 "PR", "PY", "PZ"는 전파의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값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C3F, F3E, G3E전파의 텔레비전 방송국의 무선설비로서의 점유주파수대폭의 허용치는?

  1. 16[㎑]
  2. 3[㎑]
  3. 6[㎒]
  4. 27[㎒]
(정답률: 알수없음)
  • 텔레비전 방송국의 무선설비는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여 방송을 송출합니다. 이때, 주파수 대역은 다른 무선설비와 겹치지 않도록 특정 범위 내에서 할당되어야 합니다. C3F, F3E, G3E 전파는 VHF 대역에 속하며, 이 대역에서의 무선설비의 주파수 대역은 30 ~ 300 MHz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텔레비전 방송국의 무선설비가 점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허용치는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산업용 전파응용설비에서 사용하는 고주파출력은 몇 W를 초과하는 것을 말하는가?

  1. 10 W 초과
  2. 50 W 초과
  3. 100 W 초과
  4. 500 W 초과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용 전파응용설비에서는 대개 매우 강력한 전파를 사용하며, 이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기기를 제어하거나 대규모 생산설비를 운영하는 데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주파출력은 일반적으로 50 W를 초과합니다. 10 W는 너무 약하고 100 W는 적당하지만 너무 많으며, 500 W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