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26)

기계정비산업기사
(2009-07-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1. 공유압 기호 요소 중 대원(大圓)의 용도는?

  1. 제어 기기
  2. 특수한 형태의 롤러
  3. 에너지 변환기
  4. 체크 밸브의 기호 중 원의 표시
(정답률: 66%)
  • 대원(大圓)은 공유압 기호 요소 중 에너지 변환기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는 입력된 압력 에너지를 출력된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모터, 실린더, 펌프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대원(大圓)은 이러한 에너지 변환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기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에서 단동 실린더의 후진속도를 증속시키기 위해 부분에 사용해야 할 요소는?

(정답률: 7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후진속도를 증속시키기 위해서는 후진시에 공기가 실린더로 빠르게 유입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후진방향으로 공기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후진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와 같은 유량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공기 유속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압장치에서 압축공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축공기는 온도가 상승해도 팽창하지 않는다.
  2. 에너지 손실이 적어서 가격이 저렴하다.
  3. 압축공기는 저장될 수 없다.
  4. 압축공기를 배출할 때 소음이 발생한다.
(정답률: 81%)
  • 압축공기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배출할 때 갑작스러운 압력 차이로 인해 공기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밸브의 조작력이나 제어신호를 가하지 않은 상태를 어떤 상태라 하는가?

  1. 정상상태
  2. 복귀상태
  3. 조작상태
  4. 누름상태
(정답률: 86%)
  • 정상상태는 밸브가 어떠한 조작력이나 제어신호를 받지 않은 상태로, 일반적인 운전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전된다. 따라서, 다른 상태들과 달리 특별한 상황이나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2kw 의 전동기로 구동되는 유압펌프가 토출압이 70kgf/cm2 , 토출량은 80ℓ/min, 회전수가 1200rpm 일 때 전효율은 몇 %인가?

  1. 59
  2. 68
  3. 76
  4. 87
(정답률: 50%)
  • 전동기의 출력은 P = 12kW 이다.
    유압펌프의 토출압은 P = FQ/6000 이므로, F = 70 × 80 × 6000 / 1000 = 33,600N 이다.
    전동기의 회전수는 n = 1200rpm 이므로, 각속도는 ω = 2πn/60 = 125.7rad/s 이다.
    전동기의 토크는 T = P/ω = 95.4N·m 이다.
    전동기의 전력은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이 같으므로, 효율은 η = 출력전력/입력전력 = FVT/Pω = FQ/60P = 70 × 80 / (60 × 12) = 77.8% 이다.
    따라서, 정답은 "76" 이다. (반올림하여 계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압모터에서 가장 효율이 높으며, 고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압모터는?

  1. 피스톤 모터
  2. 기어 모터
  3. 기어 펌프
  4. 베인 모터
(정답률: 74%)
  • 피스톤 모터는 회전력을 생성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이 높으며, 고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모터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모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스톤 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유압 회로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층류와 난류의 경계는 Re=13200 정도이다.
  2. 레이놀즈 수에 따라 층류와 난류로 구별된다.
  3. 손실 수두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비례한다.
  4. 손실 수두는 마찰계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정답률: 58%)
  • "손실 수두는 마찰계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손실 수두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비례하며, 마찰계수는 손실 수두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층류와 난류는 레이놀즈 수에 따라 구별됩니다. 레이놀즈 수가 작을 때는 정상류(층류)가 형성되며, 레이놀즈 수가 커질수록 난류가 발생합니다. 층류와 난류의 경계는 Re=13200 정도이며, 이 값보다 작으면 층류, 크면 난류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기압 조정 유닛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윤활기에 공급되는 기름은 스핀들 오일이 적당하다.
  2. 에어 서비스 유닛 이라고도 한다.
  3. 공압필터→압력조절 밸브→윤활기 순서로 조립한다.
  4. 기구 세척 시 가정용 중성세제로 한다.
(정답률: 54%)
  • "기구 세척 시 가정용 중성세제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윤활기에 공급되는 기름은 스핀들 오일이 적당한 이유는 스핀들 오일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높은 부식 방지 효과와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스핀들 오일은 공작기계의 스핀들, 베어링, 기어 등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감압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입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이다.
  2. 감압밸브는 방향밸브의 역할도 한다.
  3. 감압밸브는 정상상태 열림형이다.
  4. 감압밸브는 출구 측으로부터 입구 측으로 역류가 생길 때 역류작용을 하는 릴리프 밸브와 같은 작용을 한다.
(정답률: 41%)
  • 감압밸브는 정상상태에서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입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출구 측으로부터 입구 측으로 역류가 생길 때 역류작용을 하는 릴리프 밸브와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감압밸브는 정상상태 열림형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에서 ( )에 알맞은 용어는?

  1. 마찰계수
  2. 산화속도
  3. 동력
  4. 기계적 효율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자전거의 브레이크를 예시로 들어 브레이크 패드와 바퀴 사이의 마찰력이 브레이크 패드를 누르는 동력으로 작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멈추게 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때 브레이크 패드와 바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면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에 더 많은 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브레이크의 효과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마찰력의 증가는 브레이크 패드와 바퀴 사이의 접촉면적과 마찰계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마찰계수와는 관련이 없으며, 올바른 정답은 "산화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온도 센서가 아닌 것은?

  1. 열전대(Thermocouple)
  2. 서미스터(Thermistor)
  3. 측온 저항체
  4. 홀 소자
(정답률: 81%)
  • 홀 소자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로,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온도 센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간 종속 순차제어 시스템에 해당되는 것은?

  1. 프로그램 벨트
  2. 엘리베이터
  3. 카운터
  4. 플립플롭
(정답률: 47%)
  • 프로그램 벨트는 시간 종속적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하는 벨트에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어 순차적으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시간 종속 순차제어 시스템에 해당됩니다. 엘리베이터, 카운터, 플립플롭은 모두 시간과는 무관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60Hz, 4극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가 1710rpm 일 때 슬립은 약 얼마인가?

  1. 5%
  2. 8%
  3. 10%
  4. 14%
(정답률: 53%)
  • 슬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슬립 = (n - ns) / n

    여기서 n은 동기 회전수, ns는 실제 회전수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n = 60 * 2 = 120 (4극 유도 전동기의 동기 회전수는 1200rpm)
    ns = 1710
    슬립 = (1200 - 1710) / 1200 = 0.425 = 42.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신호발생 요소의 신호 영역을 ON-OFF 표시 방식으로 표현하는 선도는 무엇인가?

  1. 변위 -단계선도
  2. 제어선도
  3. 논리도
  4. PFC
(정답률: 73%)
  • 제어선도는 ON-OFF 표시 방식으로 신호 영역을 표현하는 선도이다. 이는 제어 시스템에서 각 요소의 동작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선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동화 시스템에서 핸들링 공정에 속하는 작업요소가 아닌 것은?

  1. 부품의 위치이동
  2. 가공 절삭
  3. 분리
  4. 클램핑
(정답률: 56%)
  • 가공 절삭은 핸들링 공정이 아니라 가공 공정에 속하는 작업요소이다. 핸들링 공정은 부품의 위치 이동, 분리, 클램핑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작업들은 부품을 가공하기 전에 필요한 전처리 작업으로, 가공 절삭과는 별개의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4개의 입력요소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가 함께 작동되던지 세 번째 요소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네 번째요소가 작동되었을 때 출력이 존재하는 제어기의 구성을 논리적으로 표현한 것은?

(정답률: 68%)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를 조합한 구성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가 함께 작동되던지 세 번째 요소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네 번째 요소가 작동되었을 때 출력이 존재하는 것이므로,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를 AND 게이트로 연결하고, 세 번째 요소를 NOT 게이트로 연결하여 OR 게이트로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가 함께 작동되거나 세 번째 요소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네 번째 요소가 작동될 때 출력이 존재하게 된다.

    ""은 OR 게이트의 출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가 함께 작동되거나 세 번째 요소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네 번째 요소가 작동될 때 출력이 존재하므로, OR 게이트의 출력이 존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류 전동기가 회전 시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축받이의 불량
  2. 정류자 면의 높이 불균일
  3. 전동기의 과부하
  4. 정류자 면의 거칠음
(정답률: 72%)
  • 직류 전동기가 회전 시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은 축받이의 불량, 정류자 면의 높이 불균일, 정류자 면의 거칠음 등이 있지만, 전동기의 과부하는 회전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소음 발생의 원인이 아니다. 전동기의 과부하는 전류가 과도하게 흐르는 상황으로, 이는 전동기의 부하가 너무 많거나 회전 속도가 너무 높아서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어 시스템에서 쓰이는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 노트 앰프의 공동적인 역할로 옳은 것은?

  1. 신호저장
  2. 신호제한
  3. 신호 증폭
  4. 신호의 선형화
(정답률: 81%)
  •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 노트 앰프는 모두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거나,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신호 증폭"의 공통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짧은 실린더 본체로 긴 행정거리를 낼 수 있어 작은 공간에 실린더를 장착하여 긴 행정거리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좋으나 필요한 힘 이상의 큰 작격이 요구되는 것은?

  1. 케이블 실린더
  2. 양 로드 실린더
  3. 로드리스 실린더
  4. 텔레스코프 실린더
(정답률: 76%)
  • 텔레스코프 실린더는 여러 개의 실린더가 서로 겹쳐져 하나의 실린더처럼 작동하는 구조로, 작은 공간에 실린더를 장착하여도 긴 행정거리를 낼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힘 이상의 큰 작격이 요구될 경우에도 텔레스코프 실린더는 여러 개의 실린더가 겹쳐져 있기 때문에 높은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텔레스코프 실린더가 다른 실린더들보다 더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설비의 평균 고장률을 나타내는 것은?

  1. MTTR
  2. MTBF
  3. 1/MTTR
  4. 1/MTBF
(정답률: 60%)
  • 설비의 평균 고장률은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로 나타낸다. 이는 설비가 고장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장률은 설비가 고장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고장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고장률은 MTBF의 역수인 1/MTBF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유체 윤활상태가 유지될 때 마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윤활유의 성질은?

  1. 비중
  2. 유동점
  3. 점도
  4. 인하점
(정답률: 81%)
  • 점도는 윤활유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는 성질로, 유체 윤활상태를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점도가 높을수록 윤활유는 더 느리게 흐르며, 이는 마찰을 줄여 윤활성능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유체 윤활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점도가 적절한 범위 내에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상비품 보전자재에 대한 발주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사용하면 사용한 만큼 즉시 보충하는 방식은 정량 발주방식이다.
  2. 발주시기는 일정하고 소비의 실적 및 예상 변화에 따라 발주수량을 바꾸는 방식은 사용고발주방식이다.
  3. 발주량을 항상 일정하게 하는 방식은 정기발주방식이다.
  4. 재고량이 항상 일정한 방식은 사용고발주방식이다.
(정답률: 52%)
  • 재고량이 항상 일정한 방식은 사용고발주방식이다. 이는 재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필요한 수량만큼 발주하는 방식으로, 재고량이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발주량을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효율적인 설비보전 활동을 위하여 설비의 열화나 고장, 성능 및 강도 등을 정량적으로 관측하여 그 장래를 예측하는 것은?

  1. 신뢰성 기술
  2. 설비진단 기술
  3. 정량화 기술
  4. 트러블슈팅 기술
(정답률: 73%)
  • 설비진단 기술은 설비의 열화나 고장, 성능 및 강도 등을 정량적으로 관측하여 그 장래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설비보전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설비의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정답은 "설비진단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리스(grease)윤활이 유(oil)윤활에 비해 나쁜 점은?

  1. 냉각 작용
  2. 누설
  3. 급유 간격
  4. 먼지 침입
(정답률: 60%)
  • 그리스는 유유보다 냉각 작용이 떨어집니다. 그 이유는 그리스가 끈적이는 성질 때문에 열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리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각이 중요한 부분에서는 유유보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보전 조직은 무엇인가?

  1. 집중보전 조직
  2. 부분보전 조직
  3. 지역보전 조직
  4. 절충보전 조직
(정답률: 76%)
  • 위 그림에서 보이는 보전 활동은 특정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담당하는 조직은 "지역보전 조직"이다. 다른 보전 조직들은 보전 활동의 범위나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스템 구성요소와 설비 시스템을 서로 연결하여 놓은 것 중 잘못된 것은?

  1. 투입 - 원료
  2. 산출 - 제품
  3. 처리기구 - 설비
  4. 관리 - 제품 특성의 측정치
(정답률: 72%)
  • 위의 보기에서 "관리 - 제품 특성의 측정치"가 잘못된 것이다. 이는 시스템 구성요소나 설비 시스템과 직접적인 연결이 아니라, 제품의 특성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으로서, 시스템 구성요소나 설비 시스템과는 간접적인 연관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다른 항목들은 모두 시스템 구성요소나 설비 시스템과 직접적인 연결이 있는 것으로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현파 신호에서 진동의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피크값의 2/π 배인 값은 무엇인가?

  1. 편진폭
  2. 양진폭
  3. 실효값
  4. 평균값
(정답률: 58%)
  • 정현파 신호에서 피크값의 2/π 배는 해당 신호의 최대 진폭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신호의 진폭이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해당 신호의 진폭이 어떤 분포를 가지고 있는지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진폭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평균값"이 더 적절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설비의 열화 중 피로현상의 원인은?

  1. 사용에 의한 열화
  2. 자연적인 열화
  3. 재해에 의한 열화
  4. 비교적인 열화
(정답률: 82%)
  • "사용에 의한 열화"는 설비가 사용되면서 발생하는 마찰, 충격, 진동 등의 작용으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고 변형되어 피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설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설비 내용 년수의 각 단위별로 감가되는 원가를 결정하는 기법이다.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감가상각방법이 아닌 것은?

  1. 정액법
  2. 정률법
  3. 연수 합계법
  4. 생산량 비례법
(정답률: 54%)
  • 생산량 비례법은 설비의 감가상각을 시간이나 연도 등의 기간이 아닌 생산량에 따라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감가상각방법이 아니다. 예를 들어, 설비의 원가가 1억원이고, 설비의 예상 수명이 10년이며, 예상 생산량이 10만개일 때, 생산량이 1만개일 때는 1억원을 10년 동안 감가상각하고, 생산량이 5만개일 때는 1억원을 5년 동안 감가상각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량 비례법은 생산량에 따라 감가상각비용이 변동하므로, 생산량이 많을수록 감가상각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회전기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진동을 측정할 때 변위,속도,가속도의 측정 변수 선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주파수가 높을수록 변위의 검출 강도가 높아진다.
  2. 주파수가 낮을수록 가속도의 검출 감도가 높아진다.
  3. 주파수가 낮을수록 속도의 검출 감도가 높아진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가속도의 검출 감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54%)
  • 정답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가속도의 검출 감도가 높아진다."입니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진동의 주기가 짧아지기 때문에, 가속도는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에서 민감하게 검출됩니다. 반면에 변위나 속도는 주기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주파수가 낮을수록 민감하게 검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설비 효율화를 저해하는 로스(los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장로스
  2. 작업준비ㆍ조정로스
  3. 속도로스
  4. 가동로스
(정답률: 65%)
  • 가동로스는 설비가 가동 중이지 않은 시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로스가 아니라, 설비를 가동시키기 위한 기술적인 문제나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설비를 가동시키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로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비가 가동 중이 아니더라도 가동로스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설비의 유효가동율을 나타낸 것은?

  1. 시간가동율×속도가동율
  2. 시간가동율/속도가동율
  3. 시간가동율-속도가동율
  4. 시간가동율+속도가동율
(정답률: 75%)
  • 설비의 유효가동율은 시간가동율과 속도가동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간가동율은 설비가 얼마나 오랫동안 가동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속도가동율은 설비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동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두 지표를 곱하면 설비의 실제 생산성을 나타내는 유효가동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기계설비의 진동을 측정할 때 진동센서의 부착위치가 올바른 것은?

  1. 베어링 하우징 부위
  2. 커플링의 연결 부위
  3. 플라이 휠(flywheel)의 외주 부위
  4. 맞물림 기어의 구동 부위
(정답률: 72%)
  • 진동센서는 기계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부착되는데, 베어링 하우징 부위는 기계의 회전 부분 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부분으로 진동이 가장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올바른 부착 위치이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 부위는 기계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 부분에서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에도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설비보전의 관리기능에 속하는 것은?

  1. 보전표준 설정
  2. 예방 보전 검사
  3. 일상보전 및 점검
  4. 사후보전 및 개량보전
(정답률: 36%)
  • 보전표준 설정은 설비보전의 관리기능 중 하나로, 설비의 보전 계획을 수립하고 보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을 설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보전 작업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전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전표준 설정은 설비보전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고장예방 또는 조기처치를 위해서 실시되는 급유,청소,조정,부품교체에 해당하는 설비보전은?

  1. 일상보전
  2. 예방수리
  3. 사후수리
  4. 개량보전
(정답률: 65%)
  • 일상보전은 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실시하는 보전 작업으로, 급유, 청소, 조정, 부품 교체 등을 포함합니다. 이는 고장 예방 및 조기처치를 위한 것으로, 예방수리와 개량보전과 같은 보전 유형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사후수리는 이미 고장이 발생한 후에 실시하는 보전 작업이므로 일상보전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회전기계 정미진단 시 진동 방향 분석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언밸런스 -수평방향
  2. 풀림-수직방향
  3. 미스얼라인먼트 -축방향
  4. 캐비테이션 -회전방향
(정답률: 68%)
  • 캐비테이션은 액체나 가스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져서 생기는 기포가 갑작스럽게 붕괴되면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회전 방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캐비테이션 -회전방향"이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진동방지의 일반적인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진동 차단기 사용
  2. 질량이 큰 경우 거더(girder)의 이용
  3. 2단계 차단기의 사용
  4. 가진기 사용
(정답률: 57%)
  • 가진기는 진동방지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라,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팽창식 체임버의 소음 흡수 능력을 결정하는기본 요소는?

  1. 진동비
  2. 체적비
  3. 면적비
  4. 소음비
(정답률: 58%)
  • 팽창식 체임버의 소음 흡수 능력은 체임버 내부의 흡음재의 면적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면적비가 높을수록 흡음재가 차지하는 면적이 많아져 소음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면적비가 가장 중요한 기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품별 배치(ProductLayout)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배치가 작업순서에 대응하므로 원활하고 논리적인 유선이 생긴다.
  2. 한 공정의 작업물이 직접 다음 공정으로 공급되므로 재공품이 적어진다.
  3. 단위당 총 생산시간이 짧다.
  4. 전문적인 감독이 가능하다.
(정답률: 58%)
  •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의 장점 중 "전문적인 감독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제품별 배치는 대량생산을 위한 방식으로, 자동화된 생산설비를 사용하므로 인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적인 감독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음의 물리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음원에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에너지를 방출할 때 발생하는 파는 정재파이다.
  2. 대기 온도차에 의한 음의 굴절은 온도가 높은 쪽으로 굴절한다.
  3. 음파가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을 음의 회절이라 한다.
  4. 서로 다른 파동 사이의 상호작용은 음의 간섭이다.
(정답률: 65%)
  • 서로 다른 파동이 만나면 파동의 진폭이 서로 더해지거나 빼져서 새로운 파동이 만들어진다. 이때 진폭이 서로 더해지면 강한 소리가, 진폭이 서로 빼지면 약한 소리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간섭이라고 한다. 서로 다른 파동 사이의 상호작용이 음의 간섭인 이유는 파동의 진폭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빼져서 새로운 파동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41. 연산 증폭기의 특성 중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입력 임피던스는 무한대이다.
  2. 출력 임피던스는 0이다.
  3. 전압 이득은 0이다.
  4. 동위상 신호 제거비는 무한대이다.
(정답률: 74%)
  •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성 중 전압 이득은 0이 아닌 무한대여야 한다. 이유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이 연산 증폭기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크기가 작아지지 않고 출력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압 이득이 무한대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J-K플립플롭에서 J=1,K=1이면 동작 상태는?

  1. 변하지 않음
  2. set상태
  3. 반전
  4. reset상태
(정답률: 71%)
  • J-K플립플롭에서 J=1,K=1이면 반전 상태가 됩니다. 이는 J-K플립플롭의 특성으로, J=1,K=1일 때 이전 상태와 반대로 동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전 상태가 0이었다면 1이 되고, 이전 상태가 1이었다면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교류 회로의 피상전력이 500[VA]유효전력이 300[W]일 때 역률은 얼마인가?

  1. 0.56
  2. 0.60
  3. 0.85
  4. 0.95
(정답률: 62%)
  • 역률은 유효전력/피상전력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역률은 300/500 = 0.6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심벌 중 수동복귀 접점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3%)
  • 정답은 ""이다. 이 심벌은 수동복귀 접점을 나타내는데, "M"은 Manual(수동)을 의미하고, "R"은 Return(복귀)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심벌은 수동으로 시스템을 복귀시키는 접점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측정량과 크기가 거의 같은 미리 알고 있는 양의 분동을 준비하여 분동과 측정량의 차이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은?

  1. 영위법
  2. 편위법
  3. 치환법
  4. 보상법
(정답률: 61%)
  • 보상법은 측정량과 크기가 거의 같은 미리 알고 있는 양의 분동을 준비하여 분동과 측정량의 차이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기의 오차나 불확실성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측정기의 오차나 불확실성을 보상하기 위해 미리 알고 있는 양의 분동을 사용하여 측정량을 보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상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대전체의 전하가 가지고 있는 전기량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단위는?

  1. 옴(Ω)
  2. 쿨롱(C)
  3. 볼트(V)
  4. 암페어(A)
(정답률: 69%)
  • 쿨롱은 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대전체의 전하가 가지고 있는 전기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옴은 전기 저항을 나타내는 단위, 볼트는 전위차를 나타내는 단위, 암페어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차 지연요소의 스텝응답이 시정수 r를 경과 했을 때, 그 값의 최종 도달 갑에 대한 비율은 약 얼마인가?

  1. 50[%]
  2. 63[%]
  3. 90[%]
  4. 98[%]
(정답률: 60%)
  • 1차 지연요소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입력 신호에 대한 반응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입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일정 비율만큼의 값을 출력한다. 이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며, 시정수 r을 경과한 시점에서의 비율은 약 63%이다. 이는 지수함수의 특성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방사선식 액면계 중 방사선 빔(beam)의 차폐유무의 원리로 2위치 검출용도로 제작된 액면계는?

  1. 추종형
  2. 투과형
  3. 조사형
  4. 정점 감시형
(정답률: 55%)
  • 정점 감시형 액면계는 방사선 빔이 차폐되었을 때만 신호를 출력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방사선 빔이 검출용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신호가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정밀한 검출이 가능하며, 방사선 빔의 차폐유무를 감지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논리식을 간단히 한 것은?

  1. A
  2. B
(정답률: 65%)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A → ¬B" 이다. 이는 "A가 참이면 B는 거짓이다"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A가 참일 때 B는 거짓이어야 하므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노이즈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실드에 의한 방법은 자기유도를 제거할 수 있다.
  2. 관로를 사용하면 정전유도를 제거할 수 있다.
  3. 연선을 사용하면 자기유도를 제거할 수 있다.
  4. 필터를 사용하면 접지와 라인 사이에서 나타나는 일반모드 (commonmode)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42%)
  • 연선은 두 개의 전선을 서로 꼬아서 만든 케이블로, 서로 꼬여 있기 때문에 자기장이 상쇄되어 자기유도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셰이딩 코일형 전동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다.
  3. 효율이 좋지 않다.
  4. 기동 토크가 매우 작다.
(정답률: 70%)
  • 셰이딩 코일형 전동기는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코일의 극성을 바꾸어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가능합니다. 구조가 간단하고 기동 토크가 작은 것은 특성이지만, 효율이 좋지 않다는 것은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어 밸브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변환기
  2. 조절기
  3. 설정기
  4. 조작기
(정답률: 72%)
  • 제어 밸브는 조작기에 속합니다. 제어 밸브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유체의 유량, 압력, 온도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제어 밸브는 조작기로 작동되어야 하며, 조작기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고 조작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어 밸브는 조작기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접촉 검출 스위치의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광전 스위치
  2. 마이크로 스위치
  3. 초음파 스위치
  4. 근접 스위치
(정답률: 55%)
  •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촉 검출 스위치의 일종으로, 작은 힘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작동 원리를 사용한다. 따라서 비접촉 검출 스위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탄성 압력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부자식 압력계
  2. 다이어프램식 압력계
  3. 벨로우즈식 압력계
  4. 브르동관식 압력계
(정답률: 51%)
  • 부자식 압력계는 탄성 압력계가 아닙니다. 이는 부자식 압력계가 압력을 측정하는 데에 탄성 원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자식 압력계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체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부자식 압력계는 탄성 압력계와는 다른 원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기계식인 것은?

  1. 사이리스터
  2. 제너다이오드
  3. 트랜지스터
  4. 안내밸브
(정답률: 68%)
  • 안내밸브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기계적인 부품인 밸브를 사용하므로 기계식이다. 다른 보기들은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N형 반도체의 불순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s
  2. P
  3. Sb
  4. In
(정답률: 54%)
  • 정답은 "In"입니다.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불순물을 첨가하여 만든 반도체입니다. 이때 첨가된 불순물을 N형 도핑제라고 합니다.

    "As", "P", "Sb"는 모두 N형 도핑제로 사용되는 불순물입니다. 그러나 "In"은 P형 도핑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In"은 N형 반도체의 불순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전자계전기의 기능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증폭기능
  2. 전달기능
  3. 연산기능
  4. 충전기능
(정답률: 75%)
  • 전자계전기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기로, 증폭기능, 전달기능, 연산기능은 전자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이므로 전자계전기의 기능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전기능은 전기를 충전하는 기능이므로 전자계전기의 기능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전자식 유량계용 변환기를 설명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유량변환의 1차 결과 출력은 직류 전압이다.
  2. 유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패러데이의 전자유도법칙을 응용한 것이다.
  4. 유량은 기전력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4%)
  • 패러데이의 전자유도법칙을 응용한 전자식 유량계용 변환기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주변에 코일을 두어 유체의 유속에 따라 전자기장이 변화하면서 전압이 유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패러데이의 전자유도법칙을 응용한 것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의 회로에서 저항값은 각각 RF=75[kΩ],Rin=15[kΩ]이다. Vin에 -200[mV]의 입력을 가했을 때 Vout의 출력 전압은?

  1. +1[V]
  2. -1[V]
  3. +5[V]
  4. -5[V]
(정답률: 34%)
  • 입력 전압이 -200[mV]이므로, RF와 Rin으로 이루어진 비-인버팅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RF/Rin = -5이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에 이득을 곱한 값인 1[V]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과 같은 R1=140[k], R2=10[kΩ]인 회로에 V=150[V]를 인가하면 R2양단에 걸리는 전압 V2는?

  1. 10V
  2. 20V
  3. 30V
  4. 40V
(정답률: 61%)
  • R1과 R2는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V2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2 = V × R2 / (R1 + R2) = 150 × 10 / (140 + 10) = 10

    따라서, R2양단에 걸리는 전압 V2는 1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정비 일반

61. 정비용 측정기구 중 베어링의 윤활상태를 측정하는 기구는?

  1. 베어링 체커
  2. 베어링 진동계
  3. 회전계
  4. 표면 온도계
(정답률: 77%)
  • 베어링 체커는 베어링의 윤활상태를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다른 측정기구들은 회전 중 베어링의 진동, 회전 속도, 표면 온도 등을 측정하지만, 베어링 체커는 베어링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측정하여 베어링의 수명과 안전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비 작업에서 베어링 체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방청제의 종류 중 방청능력이 크고,두터운 피막을 형성하며,1종(NP-4),2종(NP-5),3종(NP-6)로 분류되는 것은?

  1. 바셀린 방청유
  2. 용제 희석형 방청유
  3. 윤활 방청유
  4. 지문 제거형 방청유
(정답률: 72%)
  • 정답은 "바셀린 방청유"입니다. 바셀린 방청유는 방청능력이 크고, 두터운 피막을 형성하며, 1종(NP-4), 2종(NP-5), 3종(NP-6)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바셀린 방청유가 성분으로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피부에 밀착하여 방수, 방풍, 방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윤활제로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바셀린 방청유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어의 백래시(backlash)를 주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백래시를 가능한 크게 주어 소음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다.
  2. 치형 오차,피치 오차,편심 가공 오차 때문이다.
  3. 중 하중,고속회전으로 발열되어 팽창되기 때문이다.
  4. 윤활을 위한 잇면사이의 유막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정답률: 60%)
  • 백래시를 가능한 크게 주어 소음 진동을 줄이는 이유는 기어의 치형 오차, 피치 오차, 편심 가공 오차 등으로 인해 기어가 움직일 때 생기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수,극수 및 주파수의 관계식이 맞는 것은?(단, Ns:회전수, P:극수, F:주파수)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주파수와 극수에 비례하므로 Ns = 120f/P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관계식에서 Ns = 120f/P가 맞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두 축을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확실하게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어 지름이 200mm이상인 축과 고속 정밀 회전축의 축이음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올덤 커플링
  2. 플렉시블 커플링
  3. 고무 커플링
  4. 플랜지 커플링
(정답률: 51%)
  • 플랜지 커플링은 두 축을 정확하게 결합시키고 확실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지름이 200mm 이상인 축과 고속 정밀 회전축의 축이음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플랜지 커플링이 두 축을 강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플랜지 커플링은 정밀한 회전 운동을 필요로 하는 기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축이음의 종류에서 두 축의 관계 위치에 따라 종류를 연결한 것 중 관련이 없는 것은?

  1. 스틸 플렉시블 커플링 -경강선으로 된 그리드의 탄성을 이용한 것
  2. 올덤 커플링 축 이음 -2개의 축이 평행인 것
  3. 플랙시블 커플링 -2개의 축이 서로 교차되는 것
  4. 유니버설 조인트 이음 -2개의 축이 어느 각도를 가지고 교차되는 것
(정답률: 57%)
  • 플랙시블 커플링은 두 축이 서로 교차되는 것으로, 다른 세 종류의 축이음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펌프 운전 시 캐비데이션(cavitation)발생 없이 펌프가 안전하게 운전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1. 유효흡입수두
  2. 전양정
  3. 토출수두
  4. 실양정
(정답률: 65%)
  • 유효흡입수두는 펌프가 흡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증기압의 차이로 계산되는 값으로, 캐비테이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캐비테이션은 펌프 내부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발생하는 공극 현상으로, 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소음과 진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효흡입수두가 높을수록 펌프가 안전하게 운전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 값이 낮아지면 캐비테이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마이크로미터에 나타난 측정값은?

  1. 26.07mm
  2. 27.07mm
  3. 27.00mm
  4. 25.07mm
(정답률: 79%)
  • 마이크로미터의 0.5mm 단위 바늘은 25mm에서 시작하므로, 바늘이 2바퀴와 7.5mm를 돌았습니다. 따라서 측정값은 25mm + 2바퀴 + 7.5mm = 27.07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펌프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때 양정은 어떻게 변하는가?

  1. 회전수에 비례한다.
  2.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3.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4. 회전수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72%)
  • 펌프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펌프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압력 차이가 커져서 펌프가 더 많은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양정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회전수가 두 배가 되면, 입구와 출구 사이의 압력 차이는 네 배가 되므로, 양정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기어 감속기의 분류에서 평행 축형 감속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스트레이트 베벨기어
  2. 스퍼기어
  3. 헬리컬기어
  4. 더블 헬리컬 기어
(정답률: 70%)
  • 기어 감속기의 분류 중 평행 축형 감속기에는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더블 헬리컬 기어가 속합니다. 그러나 스트레이트 베벨기어는 평행 축이 아닌 직교 축 감속기에 속하므로 정답입니다. 스트레이트 베벨기어는 직교 축 감속기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형태로, 두 개의 직교하는 축에 있는 원통형 기어를 사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송풍기의 냉각방법에 의한 분류 중 틀린 것은?

  1. 공기 냉각형
  2. 재킷 냉각형
  3. 풍로식 흡입형
  4. 중간 냉각 다단형
(정답률: 64%)
  • 풍로식 흡입형은 송풍기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아니라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구름 베어링의 경우 간섭량이 적으면 원주방향으로 미끄럼이 생겨 발생하는 결함은?

  1. 크리프(Creep)
  2. 균열(Cracks)
  3. 플레이킹(Flaking)
  4. 뜯김(Scoring)
(정답률: 71%)
  • 구름 베어링의 경우 간섭이 적으면 원주방향으로 미끄러움이 발생하여 크리프(Creep)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리프 결함은 점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질 때 베어링의 구조적인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함으로,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구름 베어링 설계 시 간섭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크리프 결함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열(Cracks), 플레이킹(Flaking), 뜯김(Scoring)은 다른 종류의 베어링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축의 고장 중 설계 불량에 의한 고장원인이 아닌 것은?

  1. 재질 불량
  2. 치수 강도 부족
  3. 급유 불량
  4. 형상 구조 불량
(정답률: 62%)
  • 축의 고장 중 설계 불량에 의한 고장원인이 아닌 것은 "급유 불량"입니다. 급유 불량은 축의 제조과정에서 윤활유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반면, 재질 불량, 치수 강도 부족, 형상 구조 불량은 모두 축의 설계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한 고장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V-벨트의 단면 형태 중 단면이 가장 작은 형은?

  1. M형
  2. A형
  3. E형
  4. B형
(정답률: 66%)
  • V-벨트의 단면 형태는 A형, B형, C형, D형, E형, M형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단면이 가장 작은 형태는 M형입니다. M형은 A형과 비슷하지만 더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서 작은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M형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는 기계나 장비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원심식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설치 면적이 비교적 적다.
  2. 기초가 견고하지 않아도 된다.
  3.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 시킬 수 있다.
  4. 압력 맥동이 없다.
(정답률: 59%)
  • 원심식 압축기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킬 수 없습니다. 이는 주로 로타리 스크류 압축기나 피스톤 압축기에서 가능합니다. 따라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 시킬 수 있다."는 원심식 압축기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어 펌프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효율이 낮다.
  2. 소음과 진동이 적다.
  3. 기름 속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는다.
  4. 점성이 큰 액체에서는 회전수를 크게 해야 한다.
(정답률: 54%)
  • 기어 펌프는 압력이 높아질수록 효율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기어와 기어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유체의 점착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유체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어 펌프는 저압에서는 효율이 높지만 고압에서는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그림과 같이 볼트가 밑부분에 부러져 있을 경우 어떤 공구를 사용하여 빼낼 수 있는가?

  1. 드릴
  2. 스크류 익스트랙터
  3. 스크류 바이스
(정답률: 85%)
  • 볼트가 부러져 있으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도구가 스크류 익스트랙터입니다. 스크류 익스트랙터는 드릴로 볼트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스크류 익스트랙터를 꽂아서 볼트를 회전시켜 제거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류 익스트랙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용적형 공기기계의 종류는?

  1. 터보 블로워
  2. 루츠 블로워
  3. 레이디얼 팬
  4. 프로펠러 팬
(정답률: 44%)
  • 용적형 공기기계는 공기를 압축하거나 흡입하여 사용하는 기계로, 주로 공기를 이용한 용도에 사용된다. 이 중에서 "루츠 블로워"는 회전하는 로터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사용하는 기계로, 주로 공기를 이용한 용도에 사용된다. 따라서 "루츠 블로워"가 용적형 공기기계의 종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밸브 취급방법으로 올바르지 않는 것은?

  1. 밸브를 열 때는 기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서 천천히연다.
  2. 밸브를 전개할 때는 완전히 연후 1/2회전 역회전시켜둔다.
  3. 이종 금속으로 된 밸브는 열팽창에 주의하여 취급한다.
  4. 밸브를 열고 닫을 때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빨리 조작한다.
(정답률: 77%)
  • 밸브를 열고 닫을 때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빨리 조작한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파손이나 누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천히 조작하여 안전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열 박음에서 끼워 맞춤 가열온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 (단, T=가열온도,Δd:죔새(축지름 -구멍지름), α :열팽창 계수,D:구멍지름)

(정답률: 61%)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열 박음에서 끼워 맞춤 가열온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 = (αΔdD)/(1-αΔd)

    여기서 Δd는 죔새(축지름 - 구멍지름)이므로, 열팽창 계수 α와 구멍지름 D가 일정한 경우, 죔새(축지름 - 구멍지름)이 클수록 가열온도 T는 작아집니다. 따라서 Δd가 가장 작은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