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기계정비산업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1. 다음 회로의 명칭으로 적합한 것은?

  1. 최대압력 제한 회로
  2. 블리드 오프 회로
  3. 무부하 회로
  4. 증압 회로
(정답률: 76%)
  • 이 회로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회로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대압력 제한 회로"로 명칭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기에는 공기압 실린더의 호칭 방법에서 LB가 뜻하는 것은?

  1. 패킹의 재질
  2. 지지 형식
  3. 큐션의 형식
  4. 규격 형태
(정답률: 78%)
  • LB는 "리미트 스위치"를 뜻한다.

    "지지 형식"이 정답인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실린더가 "피스톤 로드"와 "캐리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캐리지가 "스타일러스"와 "스쿠이드"로 지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실린더는 "스타일러스-스쿠이드 지지형식"의 공기압 실린더이다.

    "패킹의 재질"은 실린더 내부의 밀폐를 위한 재질을 뜻하며, "큐션의 형식"은 실린더의 동작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충격 흡수 장치의 형태를 뜻한다. "규격 형태"는 실린더의 크기와 형태를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평 원관 속을 흐르는 유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에너지 손실은 없다고 가정한다.)

  1. 유체의 압력과 유체의 속도는 제곱특성에 비례한다.
  2. 유체의 속도는 압력과의 관계가 없다.
  3. 유체의 속도는 압력에 비례한다.
  4. 유체의 속도가 빠르면 압력이 낮아진다.
(정답률: 64%)
  • 정답은 "유체의 속도가 빠르면 압력이 낮아진다."이다. 이유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유체의 에너지는 보존되기 때문에,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압력 에너지가 감소한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압 모터 중 가장 간단하며 출력 토크가 일정하고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토크 효율이 약 75~85%, 전 효율은 약 80% 정도이고 최저 회전수는 150rpm으로 정밀 서보 기구에는 부적합한 모터는?

  1. 베인 모터
  2. 기어 모터
  3. 액시얼 피스톤 모터
  4. 레디얼 피스톤 모터
(정답률: 84%)
  • 기어 모터는 출력 토크가 일정하고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토크 효율이 약 75~85%로, 전 효율도 약 80% 정도이지만 최저 회전수가 150rpm으로 낮아서 정밀 서보 기구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기어 모터가 정답입니다. 베인 모터, 액시얼 피스톤 모터, 레디얼 피스톤 모터는 모두 유압 모터 중에서도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며, 정밀 서보 기구에도 적합한 모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작은 지름의 파이프에서 유량을 미세하게 조정하기에 적합한 밸브는?

  1. 니들밸브
  2. 체크 밸브
  3. 셔틀 밸브
  4. 소켓 밸브
(정답률: 79%)
  • 니들밸브는 작은 지름의 파이프에서 유량을 미세하게 조정하기에 적합한 밸브입니다. 이는 니들밸브가 밸브 내부에 있는 작은 니들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은 지름의 파이프에서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니들밸브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서보유압밸브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소형으로써 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2. 빠른 응답성을 가지고 있다.
  3. 작동기와 부하장치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4. 소형으로 써 가격이 저렴하다
(정답률: 69%)
  • 서보유압밸브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소형으로 써 가격이 저렴하다" 이유는, 크기가 작아서 생산성이 높아지고, 부피가 작아서 장비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형으로 써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은 서보유압밸브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회로 설계를 하고자 할 때 부가조건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리셋(reset):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작동 상태는 초기 위치가 된다.
  2. 비상정지(emergency) : 비상정지신호가 입력되면 대부분의 경우 전기제어 시스템에서는 전원이 차단되나 공압 시스템에서는 모든 작업요소가 원위치 된다.
  3. 단속 사이클(single cycle) : 각 제어 요소들을 임의의 순서대로 작동 시킬 수 있다.
  4. 정지(stop) : 연속 사이클에서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마지막 단계까지는 작업을 수행하고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지 못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정지(stop) : 연속 사이클에서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마지막 단계까지는 작업을 수행하고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지 못한다." 입니다.

    단속 사이클(single cycle)은 각 제어 요소들을 임의의 순서대로 작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어 요소들의 우선순위나 작동 순서에 대한 제약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어떤 제어 요소가 먼저 작동하고 어떤 제어 요소가 나중에 작동하는지에 대한 제약이 없습니다.

    반면에, 정지(stop)는 연속 사이클에서 작업을 중지하고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지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그 이후에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스트레이너는 어느 위치에 설치하는가?

  1. 유압 실린더와 방향제어밸브 사이
  2. 방향제어밸브의 복귀 포트
  3. 유압 펌프의 흡입관
  4. 유압 모터와 방향제어밸브 사이
(정답률: 76%)
  •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라인에 설치되어 파이프 안에 있는 고체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에서는 유압 펌프의 흡입관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유체가 흐르기 전에 이물질을 걸러내어 유압 펌프와 유압 실린더 등의 부품을 보호하고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압 펌프의 흡입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기 저장 탱크의 기능 중 잘못된 것은?

  1. 저장 기능
  2. 냉각효과에 의한 수분 공급
  3. 공기압력의 맥동을 없앰
  4. 압력변화를 최소화
(정답률: 81%)
  • 공기 저장 탱크는 공기를 저장하고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냉각효과에 의한 수분 공급은 공기 저장 탱크의 기능이 아니며, 오히려 공기 저장 탱크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탱크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냉각효과에 의한 수분 공급"이 잘못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압기기중 회로압이 설정압을 초과하면 유체압에 의하여 파열되어 압유를 탱크로 귀환시키고 동시에 압력상승을 막아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는?

  1. 압력 스위치
  2. 유체 퓨즈
  3. 체크 밸브
  4. 릴리프 밸브
(정답률: 73%)
  • 유체 퓨즈는 회로압이 설정압을 초과하면 내부에 있는 압력바가 파열하여 유체가 탱크로 귀환되고 압력상승을 막아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유압기기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체 퓨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제어와 자동제어의 선택조건에서 제어 시스템의 선택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외란 변수에 의한 영향이 무시할 정도로 작을 때
  2. 특징과 영향을 확실히 알고 있는 하나의 외란변수만 존재할 때
  3. 외란 변수의 변화가 아주 작을 때
  4. 여러 개의 외란 변수가 존재할 때
(정답률: 71%)
  • 여러 개의 외란 변수가 존재할 때는 제어 시스템이 각각의 외란 변수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택 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외란 변수의 수를 최소화하고, 외란 변수에 대한 영향을 최대한 제거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압 실린더 취급 시 주의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로드선단과 연결부에 자유도가 없도록 한다.
  2. 작업 환경의 주위 온도는 5~60℃가. 적당하다.
  3. 피스톤 로드는 가로 하중과 굽힘 모멘트가 걸리지 않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4. 부하의 운동방식과 실린더 위 작동방향이 추종하도록 한다.
(정답률: 64%)
  • "작업 환경의 주위 온도는 5~60℃가. 적당하다."는 잘못된 것이다. 공압 실린더는 작동 온도 범위가 정해져 있으므로, 작업 환경의 온도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실린더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환경의 온도는 실린더의 작동 온도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로드선단과 연결부에 자유도가 없도록 한다."는 올바른 주의 사항이다. 이는 실린더의 안정성과 정확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동기 구동동력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 현상은?

  1. 실린더 추력이 감소된다.
  2. 작동유가 과열된다.
  3. 토출 유량이 많아진다.
  4. 유압유의 점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80%)
  • 전동기 구동동력이 부족하면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유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실린더의 추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그림의 아라고(Arago)의 회전 원판 실험과 같이 비자성체인 알류미늄 혹은 구리로 만들어진 원판위에서 영구 자석을 회전시키면 원판도 자석의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원리를 이용한 전동기는?

  1. 유도 전동기
  2. 직류전동기
  3. 스테핑 전동기
  4. 선형전동기
(정답률: 81%)
  • 아라고의 회전 원판 실험에서 발견된 원리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자기장에 의해 회전자(알류미늄 혹은 구리로 만들어진 원판)도 회전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유도 전동기라고 한다. 회전자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회전자 내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가 다시 자기장을 발생시켜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원리이다. 따라서 정답은 "유도 전동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출력측의 한쪽을 부하와 연결하고 다른 쪽 단자 (공통단자)를 0V에 접지시키는 센서는?(단, 센서작동시 + 전압 출력됨)

  1. NP형
  2. PN형
  3. NPN형
  4. PNP형
(정답률: 70%)
  • 정답은 "PNP형"입니다.

    PNP형 센서는 출력측의 한쪽을 부하와 연결하고 다른 쪽 단자를 0V에 접지시키는 센서입니다. 이때, 센서 작동시 + 전압이 출력됩니다. PNP형 센서는 출력이 양수인 경우에 사용되며, NPN형 센서와는 반대로 작동합니다. PNP형 센서는 출력측에 양수 전압을 인가하면 내부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출력측에서 양수 전압이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압 액추에이터 중 회전각도의 범위가 가장 큰 것은?

  1. 스크루형
  2. 크랭크형
  3. 베인형
  4. 래크와 피니언형
(정답률: 84%)
  • 래크와 피니언형 공압 액추에이터는 회전각도의 범위가 가장 큽니다. 이는 래크와 피니언 구조가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방식 때문입니다. 래크와 피니언 구조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회전각도의 범위가 크고, 높은 정밀도와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스크루형, 크랭크형, 베인형 공압 액추에이터는 회전 운동을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회전각도의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신뢰성으로 설비를 설명할 때의 편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설비의 수명 예측 가능
  2. 운전 조업 중인 설비의 장래 상황 예측 가능
  3. 작업자의 능력 예측 가능
  4. 사용시간과 고장 발생과의 관계 예측 가능
(정답률: 84%)
  • 작업자의 능력은 설비의 신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편리한 점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설비의 수명, 운전 조업 중인 설비의 상황, 사용시간과 고장 발생과의 관계 등을 예측할 수 있어 신뢰성을 설명하는 데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 제어 시스템의 피드백(feedback)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목표값과 실제값을 비교한다.
  2. 피드백 제어는 정성적 제어이다.
  3. 설계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비싸진다.
  4. 피드백을 하면 외란이나 잡음 신호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63%)
  • "피드백 제어는 정성적 제어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피드백 제어는 목표값과 실제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줄이는 제어 방법으로, 정량적인 제어 방법입니다. 따라서 "피드백 제어는 정량적 제어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메모리 중에서 사용자가 1번에 한하여 써 넣을 수(write) 있는 것은?

  1. EAROM
  2. PROM
  3. EPROM
  4. EEROM
(정답률: 74%)
  • 정답은 "PROM"입니다. PROM은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사용자가 한 번만 쓰기(write) 가능한 메모리입니다. EAROM은 Electrically Alter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메모리입니다. EPROM은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특수한 장비를 사용하여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메모리입니다. EEROM은 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1번에 한하여 써 넣을 수 있는 메모리는 P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장 자동화가 확장됨에 따라 릴레이제어(유접점)에서 전자제어(무접점)로 전환되어 가는 주된 원인은?

  1. 작업환경의 개선
  2. 품질의 고급화
  3. 부품수명과 동작시간
  4. 노동력의 감소
(정답률: 62%)
  • 공장 자동화가 확장됨에 따라 릴레이제어(유접점)에서 전자제어(무접점)로 전환되어 가는 주된 원인은 부품수명과 동작시간입니다. 무접점 제어는 유접점 제어보다 부품의 수명과 동작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무접점 제어는 작업환경의 개선과 품질의 고급화에도 도움이 되며, 노동력의 감소에도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조업시간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부하시간 +무부하시간 +기타시간
  2. 부하시간 +정미가동시간 +정지시간 +기타시간
  3. 정미가동시간 +무부하시간 +기타시간
  4. 부하시간 +정지시간 +무부하시간 +기타시간
(정답률: 55%)
  • 정답은 "부하시간 +무부하시간 +기타시간" 입니다.

    - 부하시간: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으로, 실제 생산에 기여하는 시간입니다.
    - 무부하시간: 작업 준비, 설비 점검, 기계 고장 등으로 인해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간입니다.
    - 기타시간: 작업 외의 시간으로, 식사, 휴식, 화장실 이용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부하시간)과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시간(무부하시간) 그리고 작업 외의 시간(기타시간)을 모두 합한 것이 조업시간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보전작업계획은 연간,월간,주간,개별 설비보전 계획을 수립한다.이중 연간 보전 계획 항목이 아닌 것은?

  1. 조업계획,설비능력 및 가동시간 계획
  2. 보전작업 및 설비표준의 개량
  3. 분해 검사 및 외주 계획
  4. 작업량에 의한 설비가동 시간 계획
(정답률: 49%)
  • "작업량에 의한 설비가동 시간 계획"은 연간 보전 계획 항목이 아닙니다. 이 항목은 일정 기간 동안 필요한 작업량을 고려하여 설비의 가동 시간을 계획하는 것으로, 연간 계획보다는 보다 짧은 기간의 계획에 해당합니다. 이는 생산 계획과 연계하여 생산량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설비의 가동 시간을 조절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강철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차단기의 정적변위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

(정답률: 67%)
  • 강철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차단기의 정적변위와의 관계는 ""이다. 이유는 강철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차단기의 정적변위는 역비례 관계이기 때문이다. 즉, 강철 시스템의 고유진동수가 높을수록 차단기의 정적변위는 작아지고, 강철 시스템의 고유진동수가 낮을수록 차단기의 정적변위는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롤링 베어링에 발생하는 진동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다듬면의 굴곡에 의한 진동
  2. 베어링 구조에 기인하는 진동
  3. 베어링의 손상에 의한 진동
  4. 베어링 선형성에 의한 진동
(정답률: 71%)
  • 베어링 선형성에 의한 진동은 베어링의 구조나 손상이 아닌, 베어링의 회전 중 발생하는 선형성에 기인한 진동이다. 베어링의 회전 중 축과 베어링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지 않아 생기는 진동으로, 베어링의 정확한 설치와 윤활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베어링 자체의 구조나 손상에 기인한 진동이지만, 베어링 선형성에 의한 진동은 베어링의 회전 중 발생하는 특수한 종류의 진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설비투자의 합리적인 투자 결정에 필요한 경제성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

  1. 자본회수법
  2. 비용비교법
  3. MAPI법
  4. 처분가치법
(정답률: 74%)
  • 처분가치법은 설비의 가치를 평가할 때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를 고려하여 산출하는 방법으로, 설비의 수명 주기 전체를 고려하여 총 비용과 수익을 계산하므로 합리적인 투자 결정에 필요한 경제성 평가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과 같은 가속도계의 설치 방법중 가장 높은 주파수 응답 범위를 얻을 수 있는 것은?

  1. 손 고정
  2. 나사 고정
  3. 접착제 고정
  4. 자석 고정
(정답률: 78%)
  • 나사 고정 방법이 가장 높은 주파수 응답 범위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나사를 이용하여 가속도계를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안정적이며,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손으로 고정하는 방법은 손의 힘이나 감각에 따라 고정력이 달라질 수 있고, 접착제나 자석으로 고정하는 방법은 표면의 상태나 온도 등에 따라 고정력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 고정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생산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사람(Man)
  2. 자본(Capital)
  3. 설비(Machine)
  4. 재료(Material)
(정답률: 78%)
  • 생산의 3요소는 노동, 자본, 그리고 자연자원입니다. 따라서, "자본(Capital)"은 생산의 3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윤활유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윤활유의 비중은 성능에는 관계없고 물과 비교한 무게비이다.
  2. 절대점도는 동점도를 윤활유의 밀도로 나눈값을 나타낸다.
  3. 윤활유의 온도를 낮추게 되면 유동성이 없어지고 응고되며 유동성을 잃기 직전의 온도를 유동점이라고 한다.
  4. 점도는 윤활유의 기본이 되는 성질이며 점도의 단위로는 절대점도와 동점도 단위를 사용한다.
(정답률: 57%)
  • "절대점도는 동점도를 윤활유의 밀도로 나눈값을 나타낸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절대점도는 동점도와 밀도를 곱한 값으로 나타내며, 동점도는 윤활유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윤활유의 온도를 낮추면 유동성이 증가하며, 유동성을 잃기 직전의 온도를 유동점이라고 한다. 또한, 윤활유의 비중은 물과 비교한 상대적인 무게비이며, 성능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품에 대한 전형적인 고장률 패턴은 욕조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욕조곡선은 크게 초기고장기간.우발고장기간 그리고 마모고장기간으로 구분된다.다음 중 우발고장기간에 발생될 수 있는 원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안전계수가 낮은 경우
  2. 스트레스가 기대 이상인 경우
  3. 사용자 과오가 발생한 경우
  4. 디버깅 중에 발견된 고장이 발생된 경우
(정답률: 78%)
  • 디버깅 중에 발견된 고장이 발생된 경우는 이미 발생한 고장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고장과는 관계가 없다. 따라서 우발고장기간에 발생될 수 있는 원인과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리(음)가 서로 다른 매질은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은?

  1. 음의 반사.
  2. 음의 간섭
  3. 음의 굴절
  4. 마스킹(Marking)효과
(정답률: 86%)
  • 소리는 공기와 같은 매질에서 진행될 때 일정한 속도로 진행되지만, 서로 다른 밀도와 속도를 가진 매질을 만나면 속도와 방향이 바뀌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굴절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소리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은 "음의 굴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컴퓨터를 이용한 설비 배치기법이 아닌 것은?

  1. PERT/CPM
  2. CRAFT
  3. CORELAP
  4. ALDEP
(정답률: 68%)
  • PERT/CPM은 프로젝트 관리 기법으로, 설비 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CRAFT, CORELAP, ALDEP은 모두 컴퓨터를 이용한 설비 배치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설비효율을 얻기 위하여 고장분석을 실시한다.고장분석을 행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설비의 고장을 없애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설비의 고장에 의한 휴지시간을 단축시켜 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 설비의 보수비용을 늘려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 설비의 가동시간을 늘리고 열화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9%)
  • 고장분석을 행하는 이유는 설비의 고장을 없애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비의 고장에 의한 휴지시간을 단축시켜 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비의 가동시간을 늘리고 열화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입니다. 따라서 "설비의 보수비용을 늘려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고장분석을 행하는 이유가 아닙니다. 오히려 보수비용을 줄이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고장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설비관리기능은 일반관리기능,기술기능,실시기능 및 지원기능으로 분류할 때 보전업무에서 현 설비나 잠재적인 설계, 설계의 향상 및 설비구매에 대한 의사결정의기반이 되는 기능으로서 이러한 기술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설비성능 분석
  2. 고장 분석 방법 개발 및 실시
  3. 설비진단기술 이전 및 개발
  4. 주유,조정 그리고 수리업무 등의 준비 및 실시
(정답률: 67%)
  • 주유, 조정 및 수리 업무는 설비의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일상적인 유지보수와 관련된 실시기능에 해당되며, 설비의 성능 분석, 고장 분석 방법 개발 및 실시, 설비진단기술 이전 및 개발과 같은 기술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주유,조정 그리고 수리업무 등의 준비 및 실시"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부문보전과 집중보전을 조합시킨 절충형 보전에 대한 장단점으로 잘못된 것은?

  1. 집중 그룹의기동성에 대한 장점
  2. 집중 그룹의 보행손실에 대한 단점
  3. 지역 그룹의 운전과의 일체감에 대한 장점
  4. 지역 그룹의 노동효율에 대한 장점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부품은 고장률을 알면 보전에 의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다음 중 부품을 사전교환 등에 의한 예방보전(preventivemaintenance)을 실시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기에 가장 합당한 고장률의 유형은 무엇인가?

  1. 감소형(decreasingfailurerate)
  2. 증가형(increasingfailurerate)
  3. 일정형(constantfailurerate)
  4. 램덤형(randomfailurerate)
(정답률: 64%)
  • 증가형 고장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품의 고장률이 점점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부품의 노후나 마모 등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점점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전교환 등의 예방보전을 실시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기에 가장 합당한 고장률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TPM(totalproductivemaintenance)의 활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설비의 효율화를 위한 개선활동
  2. 작업자의 자주보전체제의 확립
  3. 계획보전체제의 확립
  4. 사후보전(BM:BreakdownMaintenance)설계와 초기유동관리 체제의 확립
(정답률: 70%)
  • 사후보전(BM:BreakdownMaintenance)은 설비 고장 시에 대처하는 비상 대응 활동으로, TPM의 활동으로 볼 수 없습니다. TPM은 설비의 효율화를 위한 개선활동, 작업자의 자주보전체제의 확립, 계획보전체제의 확립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TPM의 활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사후보전(BM:BreakdownMaintenance)설계와 초기유동관리 체제의 확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설비의 진단 기술 중 진동 진단 기술로 알 수 있는 것은?

  1. 펌프 축의 불평형
  2. 윤활유의 열화
  3. 전력 케이블의 절연 상태
  4. 균열 및 부식 진단
(정답률: 68%)
  • 진동 진단 기술은 설비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문제점을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펌프 축의 불평형은 진동 진단 기술로 측정할 수 있는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펌프 축이 균형 잡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이로 인해 펌프의 성능 저하나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동 진단 기술을 통해 펌프 축의 불평형을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미끄럼 베어링에 그리스를 사용할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될 사항은?

  1. 온도
  2. 하중
  3. 재질
  4. 용도
(정답률: 56%)
  • 미끄럼 베어링에 그리스를 사용할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될 사항은 "재질"이다. 그리스는 베어링의 재질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온도, 하중, 용도 등은 그리스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설비관이에 있어서 TPM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전통적인 관리시스템과 차이가 있다.다음 중 TPM관리와 가장 거리가 먼,즉 전통적 관리 개념은 어떤 것인가?

  1. 원인추구 시스템
  2. 현장에서 사실에 입각한 관리
  3. 문제가 발생한 후 해결하려는 접근방식
  4. 로스(loss)측정
(정답률: 73%)
  • 문제가 발생한 후 해결하려는 접근방식은 TPM의 핵심 개념인 예방적 유지보수와는 거리가 먼 개념이다. TPM은 설비의 이상을 예방하고, 미리 문제를 예측하여 예방적으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후에 해결하는 전통적인 관리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해 TPM은 원인추구 시스템과 현장에서 사실에 입각한 관리, 그리고 로스 측정 등을 활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파수,진폭 및 위상이 같은 두 진동이 합성되면 어떠한 진동 형태로 되는가?

  1. 주파수와 진폭은 변하지 않고 위상이 변한다.
  2. 진폭과 위상은 변동이 없고 주파수만 두 배로 증가한다.
  3. 주파수,진폭 및 위상이 두 배로 증가한다.
  4. 주파수와 위상은 변동이 없고 진폭만 두 배로 증가한다.
(정답률: 67%)
  • 주파수는 진동의 주기와 관련된 값이므로 합성된 진동의 주파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또한, 위상은 진동의 시작 시점과 관련된 값이므로 같은 값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두 진동의 진폭이 합쳐지면 진폭이 두 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41. 계전기의 기호 중 과전류 계전기의 문자 기호는?

  1. R
  2. OVR
  3. OCR
  4. GR
(정답률: 60%)
  • 과전류 계전기는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나타내는 문자 기호는 "OCR"입니다. "R"은 저항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OVR"은 과전압 계전기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GR"은 접지 경보기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접지에 의하여 노이즈를 개선할 때의 주의할 점으로 맞는 것은?

  1. 1점으로 접지한다.
  2. 가능한 가는 선을 이용한다.
  3. 직렬배선을 한다.
  4. 실드피복은 접지하지 않는다.
(정답률: 60%)
  • 1점으로 접지한다는 것은 모든 접지점을 하나의 지점으로 모아서 접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접지점 간의 잠재적인 차이 전압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가는 선을 이용하거나 직렬배선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노이즈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접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1점으로 접지하는 것입니다. 또한, 실드피복은 접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실드피복을 접지하면 신호가 지나가는 경로가 감쇠되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30[V]의 기전력으로 300[C]의 전기량이 이동할 때 몇 [J]의 일을 하게 되는가?

  1. 10[J]
  2. 600[J]
  3. 9000[J]
  4. 15000[J]
(정답률: 76%)
  • 전기량은 전하의 양과 전압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전압은 기전력과 전류의 비례식인 V = IR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량 Q = VIt에서 전압 V = 30V, 전기량 Q = 300C로 주어졌을 때 전류 I를 구할 수 있습니다.

    V = IR
    30 = I * R
    R = 30 / I

    Q = VIt
    300 = 30 * I * t
    t = 10초

    따라서 전류 I = 1A, 시간 t = 10초입니다. 일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기량과 전압의 곱인 VI를 구한 후, 시간 t를 곱해줍니다.

    VI = 30V * 1A = 30W
    일 W = J/s 이므로, 10초 동안의 일은 30W * 10s = 300J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00[J]"이 아닌 "300[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계측계의 동작 특성 중 다음 그림과 같이 시간지연에 의해 임의의 순간에 입력신호값과 출력신호값의 차(E)가 발생하는 동특성은? (단, I:입력신호, M:출력신호)

  1. 시간지연과 동오차
  2. 시간지연과 정오차
  3. 히스테리시스 오차
  4. 입출력신호의 직선성
(정답률: 61%)
  • 정답은 "시간지연과 동오차"입니다.

    시간지연에 의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시간지연 오차라고 합니다. 이 때,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차이가 일정하지 않고, 임의의 순간에 발생하는 것을 동오차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간지연과 동오차가 계측계의 동작 특성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히스테리시스 오차는 입력신호의 크기나 방향에 따라 출력신호가 달라지는 오차를 말하며, 입출력신호의 직선성은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직선의 관계를 가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어량을 검출하고 기준 입력신호와 비교시키는 피드백 제어의 구성요소는?

  1. 조작부
  2. 검출부
  3. 조작량
  4. 명령처리부
(정답률: 62%)
  • 피드백 제어에서는 제어량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필요합니다. 검출부는 제어 대상의 상태를 감지하고 측정하여 기준 입력신호와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합니다. 이 오차는 조작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조작량은 명령처리부에서 계산되어 조작부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검출부는 피드백 제어의 핵심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측온 저항온도계에서 사용하는 금속 저항체가 아닌 것은?

  1. 백금
  2. 니켈
  3. 안티몬
  4. 구리
(정답률: 68%)
  • 측온 저항온도계에서 사용하는 금속 저항체는 일반적으로 백금, 니켈, 구리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안티몬은 금속이 아니라 반금속에 속하며, 전기 저항이 매우 높기 때문에 측온 저항온도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티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의 기본 회로는?

  1. 반전 증폭기
  2. 비반전 증폭기
  3. 전압 플로워
  4. 차동 증폭기
(정답률: 59%)
  • 이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출력 신호의 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압 플로워 회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전압 플로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시퀀스 회로를 논리식으로 나타낸 것은?

  1. AㆍBㆍC
  2. (AㆍB)+C
  3. Aㆍ(B+C)
  4. (A+B)ㆍC
(정답률: 74%)
  • 시퀀스 회로에서, A와 B가 AND 게이트를 통해 연결되고, 그 결과는 OR 게이트를 통해 C와 결합됩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AㆍB)+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제어밸브에서 사용되는 구동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공기압 작동식 구동부
  2. 전동식 구동부
  3. 기계식 구동부
  4. 유압식 구동부
(정답률: 54%)
  • 제어밸브에서 사용되는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공기압 작동식 구동부, 전동식 구동부, 유압식 구동부가 사용됩니다. 그러나 기계식 구동부는 제어밸브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기계식 구동부는 수동으로 작동되며, 제어밸브의 자동화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계식 구동부는 제어밸브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선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는?

  1. 절연 저항계(메거)
  2. 클램프 미터(혹 온 미터)
  3. 회로 시험기
  4. 접지 저항계
(정답률: 55%)
  • 클램프 미터(혹 온 미터)는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계기로, 도선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선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회전방향을 바꿀 수 없고 기동 토크와 효율이 낮으나 구조가 간단하여 전자밸브,녹음기 및 가정용 전동기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반발기동형 전동기
  2. 셰이딩코일형 전동기
  3. 콘덴셔기동형 전동기
  4. 분상 기동형 전동기
(정답률: 74%)
  • 셰이딩코일형 전동기는 회전자에 셰이딩코일이 감겨있어서 회전자가 회전할 때 셰이딩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회전자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여 전자밸브, 녹음기, 가정용 전동기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반발기동형 전동기, 콘덴서 기동형 전동기, 분상 기동형 전동기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피드백 제어계의 특성방정식의 근에 의하여 안정도 판별을 할 수 있다.계가 안정하기 위한 특성근의 특성은?

  1. 근의 허수부가 양(+)의 부분에 위치하여야 한다.
  2. 근의 실수축위에 모두 위치하여야 한다.
  3. 근의실수부가 모두 음수(-)이어야 한다.
  4. 근의 허수부가 음(-)의 부분에 위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안정한 시스템은 시간이 지나도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모든 근이 좌표 평면의 좌측 반평면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전달 함수의 분모 다항식의 모든 근이 좌측 반평면에 위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근의 실수부가 모두 음수(-)이어야 안정한 시스템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기식 조작부에 널리 사용되는 공기압은 얼마인가?

  1. 4~20[kgf/cm2]
  2. 0.4~0.5[kgf/cm2]
  3. 0.2~1.0[kgf/cm2]
  4. 0.01~0.1[kgf/cm2]
(정답률: 71%)
  • 공기식 조작부에서는 작은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낮은 압력이 필요하며, 동시에 충분한 힘을 발휘하기 위해 높은 압력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압은 0.2~1.0[kgf/cm2] 범위 내에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낮거나 높은 압력 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기자 철심용으로 얇은 규소 강판을 성층하는 이유는?

  1. 비용 절감
  2. 기계손 감소
  3. 와류손 감소
  4. 가공용이
(정답률: 64%)
  • 얇은 규소 강판을 사용하면 전기자 철심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와류손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4uF와 6uF의 콘덴서를 직렬로 접속했을 때 합성정전용량 [uF]은 얼마인가?

  1. 2
  2. 2.4
  3. 10
  4. 24
(정답률: 63%)
  • 직렬 접속된 콘덴서의 합성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합성정전용량 = 1/4uF + 1/6uF

    공통분모를 만들면,

    1/합성정전용량 = (3+2)/12uF

    1/합성정전용량 = 5/12uF

    합성정전용량 = 12uF/5

    합성정전용량 = 2.4uF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잔류 편차가 발생하는 제어계는?

  1. 비례제어계
  2. 적분 제어계
  3. 비례 적분 제어계
  4. 비례 적분 미분 제어계
(정답률: 61%)
  • 잔류 편차란, 제어 시스템에서 원하는 값과 실제 값 사이의 차이가 남아있는 것을 말합니다. 비례 제어계는 제어기의 출력이 현재 오차와 비례하는 선형 함수로 결정되기 때문에, 잔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제어기의 출력이 오차에 비례하기 때문에, 오차가 0이 되지 않으면 제어기의 출력도 0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례 제어계는 잔류 편차가 발생하는 제어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입력회로가 “0”이면 출력은 “1”,입력 신호가 “1” 이면 출력이 “0”이 되는 논리회로는?

  1. AND회로
  2. NOT회로
  3. OR회로
  4. NAND회로
(정답률: 72%)
  • NOT회로는 입력신호를 반대로 출력하는 논리회로이기 때문에, 입력신호가 "0"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입력신호가 "1"일 때 출력이 "0"이 되므로 이 문제의 정답은 NOT회로입니다. AND회로는 입력신호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이고, OR회로는 입력신호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입니다. NAND회로는 AND회로의 출력을 NOT회로로 연결한 논리회로로, 입력신호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논리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논리회로와 등가인 것은?

(정답률: 64%)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 1이 되어 최종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등가논리회로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2개의 합성 저항 R1,R2를 병렬로 접속하면 합성 저항 R은 어떻게 되는가?

(정답률: 71%)
  • 병렬 접속된 저항의 합성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R = 1/R1 + 1/R2

    따라서, R = R1R2 / (R1 + R2)

    위의 보기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R = 2Ω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이오드에 역방향 전류를 흘려 사용하고 그 양단에서 일정한 전압을 얻는 것은?

  1. 발광 다이오드
  2. 제너 다이오드
  3. 터널 다이오드
  4. 가변용량 다이오드
(정답률: 77%)
  •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류를 흘려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양단에서 일정한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제너 다이오드의 특성인 Zener breakdown에 의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가 정답입니다. 발광 다이오드는 빛을 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터널 다이오드는 전류가 터널링 현상을 일으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변용량 다이오드는 전압에 따라 용량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정비 일반

61. 송풍기의 압력 범위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0.1kgf/cm2] 이하
  2. 0.1~1.0kgf/cm2]
  3. 1.0~1.4kgf/cm2]
  4. 1.4kgf/cm2] 이상
(정답률: 79%)
  • 송풍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가하여 배출하는 기기이다. 이때 송풍기의 압력 범위는 0.1~1.0kgf/cm2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송풍기가 과부하 상태가 되어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범위를 지켜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노치(notch)붙음 둥근나사 체결용으로 적합한 공구는?

  1. 훅스패너
  2. 더블오프셋렌치
  3. 몽키스패너
  4. 기어풀러
(정답률: 57%)
  • 노치붙음 둥근나사 체결용으로는 훅스패너가 적합합니다. 이는 훅스패너가 둥근나사에 적합한 모양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훅스패너는 둥근나사에 꽉 끼워서 회전시키기 때문에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며, 높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치붙음 둥근나사 체결용으로는 훅스패너가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형(1kw이하) 3상 유도전동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급유의 형태는?

  1. 그리스 급유
  2. 유욕 급유
  3. 강제순환 급유
  4. 적하 급유
(정답률: 64%)
  • 소형 3상 유도전동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급유의 형태는 "그리스 급유"입니다. 이는 윤활유를 그리스 형태로 사용하여 전동기 내부의 베어링 등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그리스는 고온, 고압, 진동 등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윤활유를 일정량씩 공급하여 베어링 등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 급유는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구멍이 뚫린 강구를 90°회전시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는?

  1. 콕 밸브
  2. 디스크 밸브
  3. 다이아프램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76%)
  • 콕 밸브는 강구 안에 있는 구멍을 회전시켜 개폐하는 밸브로, 90° 회전만으로도 유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디스크 밸브나 다이아프램 밸브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디스크나 다이아프램이 움직여 개폐되므로, 콕 밸브에 비해 조작이 복잡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체크 밸브는 유로의 유동 방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만, 유로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구멍이 뚫린 강구를 90° 회전시켜 유로를 개폐하는 콕 밸브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V벨트 전동장치에서 V벨트를 선정하려 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V 벨트의 종류 및 형식
  2. V 벨트의 장력
  3. 소요벨트의 가닥수
  4. V 벨트 풀리의 형상과 지름
(정답률: 66%)
  • V 벨트의 장력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V 벨트의 종류, 형식, 소요벨트의 가닥수, V 벨트 풀리의 형상과 지름은 모두 V 벨트 전동장치에서 V 벨트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동기를 보호하는 것은?

  1. 전자 릴레이
  2. 전자 개폐기
  3. 과부하 계전기
  4. 누전 차단기
(정답률: 56%)
  • 과부하 계전기는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동기를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전동기가 과부하 상태에 놓이면 전류가 증가하여 과부하 계전기가 작동하고 전동기를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계가 운전 중에 가장 양호한 동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은?

  1. 분해작업
  2. 센터링 작업
  3. 끼워맞춤 작업
  4. 열박음 작업
(정답률: 82%)
  • 센터링 작업은 기계의 바퀴나 회전체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기계가 운전 중에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여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계가 운전 중에 가장 양호한 동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은 센터링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스테인리스강에서 응력부식균열(SCC) 발생요인 3요소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재료
  2. 환경
  3. 응력
  4. 용접기
(정답률: 78%)
  • 스테인리스강에서 응력부식균열(SCC) 발생요인은 재료, 환경, 응력이다. 이 중에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용접기이다. SCC는 용접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용접기 자체가 SCC 발생의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다. 따라서 용접기는 SCC 발생과는 관련이 적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두 축이 평행한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가 아닌 것은?

  1. 스퍼기어
  2. 헬리컬 기어
  3. 내접기어
  4. 베벨기어
(정답률: 57%)
  • 베벨기어는 두 축이 서로 직각인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이며, 스퍼기어, 헬리컬 기어, 내접기어는 모두 두 축이 평행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베벨기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어 내경이 D이고 죔새가 Δd일 때 가열온도를 구하는 식은? (단, 기어의 열팽창계수는 a 이다.)

(정답률: 77%)
  • 가열 온도를 구하는 식은 ΔT = (Δd/D) * (1/a) 이다. 이 식에서 Δd/D는 죔새의 길이 변화율을 나타내고, 1/a는 기어의 열팽창계수의 역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죔새의 길이 변화율이 클수록(Δd가 크면) 가열 온도도 커지고, 기어의 열팽창계수가 작을수록(a가 클수록) 가열 온도도 커진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인 ""은 죔새의 길이 변화율과 기어의 열팽창계수의 역수가 모두 크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구하는 식에서 분자와 분모가 모두 작아져서 가열 온도가 크게 나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왕복식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맥동 압력이 없다.
  2. 대용량이다.
  3. 고압발생이 가능하다.
  4. 윤활이 쉽다.
(정답률: 69%)
  • 왕복식 압축기는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공간의 부피를 줄이고 압력을 증가시키는 기계이다. 이 때,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따라 압축공간의 부피가 변화하므로 고압발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압발생이 가능하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테이퍼핀을 밑에서 때려서 뺄 수 없을 경우에 적합한 분해 방법은?

  1. 테이퍼핀 머리부분에 용접을 하여 뺀다.
  2. 테이퍼핀 머리부분에 나사를 내어 너트를 걸어 뺀다.
  3. 스크류익스트랙터를 사용하여 뺀다.
  4. 테이퍼핀을 정으로 잘라서 뺀다.
(정답률: 74%)
  • 테이퍼핀은 머리 부분이 작아지는 원뿔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밑에서 때리면 머리 부분이 더 깊숙이 박혀서 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테이퍼핀 머리 부분에 나사를 내어 너트를 걸어서 뺄 수 있는 방법이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나사를 통해 힘을 가하면서 테이퍼핀을 빼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 부분이 작아지는 원뿔 모양에도 빠르고 쉽게 빼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방지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비교회전도(NS)가 작은 펌프를 채택한다.
  2. 흡입 배관은 가능한 굵고 짧게 한다.
  3.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높게 하여 흡입 양정을 길게한다.
  4. 손실수도를 작게 한다.
(정답률: 68%)
  •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높게 하여 흡입 양정을 길게하는 것은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펌프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흡입 양정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흡입 배관을 굵고 짧게 설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어의 치면 열화가 아닌 것은?

  1. 습동마모
  2. 소성항복
  3. 표면피로
  4. 과부하 절손
(정답률: 61%)
  • 기어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열화 현상 중에서 "과부하 절손"은 아닙니다. "과부하 절손"은 기어가 너무 큰 하중을 받아 파손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면에 "습동마모", "소성항복", "표면피로"는 기어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열과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각각 기어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름펌프로 사용되는 기어 펌프의 송출량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Q:송출량[ℓ/min], h:이의 높이[mm], b:이의 폭[cm], N: 회전수[rpm], d: 피치원지름[cm])

  1. Q=πhN / 1000bd [ℓ/min]
  2. Q=100bd / πhd [ℓ/min]
  3. Q=πbdhN / 1000 [ℓ/min]
  4. Q=1000bh / πdN [ℓ/min]
(정답률: 66%)
  • 기어 펌프의 송출량은 기어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체의 이동량으로 결정된다. 이동량은 유체의 단면적과 속도에 비례하므로, 유체의 단면적과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송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유체의 단면적은 이의 높이와 폭에 비례하고, 속도는 회전수와 피치원지름에 비례한다. 따라서, 송출량 계산식은 Q=πbdhN / 1000 [ℓ/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원심펌프의 이상 현상 원인이 아닌 것은?

  1. 스터핑박스로 공기침입
  2. 펌프내 공기빼기를 하였을 때
  3. 패킹과 주축간의 과도한 틈새
  4. 펌프의 회전방향이 틀릴 때
(정답률: 71%)
  • 원심펌프는 펌프내에 공기가 섞이면 효율이 떨어지고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펌프내 공기빼기를 하면 이상 현상이 개선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펌프내 공기빼기를 하였을 때"입니다. 스터핑박스로 공기침입, 패킹과 주축간의 과도한 틈새, 펌프의 회전방향이 틀릴 때는 모두 원심펌프의 이상 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어 감속기의 분류 중 교쇄 축형 감속기는?

  1. 웜 기어
  2. 스퍼 기어
  3. 헬리컬 기어
  4. 스파이럴 베벨 기어
(정답률: 64%)
  • 교쇄 축형 감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스파이럴 베벨 기어를 사용한다. 스파이럴 베벨 기어는 원통형 기어와 달리 헬리컬 모양으로 치는 기어로, 입력축과 출력축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구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교쇄 축형 감속기에서는 스파이럴 베벨 기어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열박음을 위해 베어링을 가열 유조에 넣고 가열할 때 몇 ℃ 이상에서 베어링의 경도가 저하되는가?

  1. 130℃
  2. 150℃
  3. 180℃
  4. 200℃
(정답률: 74%)
  • 베어링의 경도는 일반적으로 130℃ 이상에서 저하됩니다. 이는 고온에서 베어링 내부의 금속 구조가 변형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베어링을 가열할 때는 13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로방향의 수로 뷴류한 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이방 콕
  2. 삼방 콕
  3. 사방 콕
  4. 오방 콕
(정답률: 81%)
  • 유로방향의 수로 뷴류한 콕의 종류 중 "오방 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방 콕"은 2방향, "삼방 콕"은 3방향, "사방 콕"은 4방향으로 뷴류한 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평행축형 감속기에 사용하지 않는 기어는?

  1. 스퍼 기어
  2. 헬리컬 기어
  3. 더블 헬리컬 기어
  4. 웜 기어
(정답률: 78%)
  • 평행축형 감속기는 일반적으로 헬리컬 기어나 더블 헬리컬 기어를 사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고 속도를 감속시키는데, 웜 기어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속도 감속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웜 기어는 회전력을 전달할 때에는 효율이 높지만, 속도 감속에는 효율이 낮아서 열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행축형 감속기에서는 웜 기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