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기계정비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1. 공학기압 1 at와 크기가 다른 것은?

  1. 10 bar
  2. 10 mAq
  3. 1 kgf/cm2
  4. 10000 kgf/m2
(정답률: 68%)
  • 공학기압은 단위가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 "10 bar"는 다른 세 개의 단위와 달리 SI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단위가 아닙니다. "10 mAq"는 수압의 단위로, "1 kgf/cm^2"는 압력의 단위로, "10000 kgf/m^2"는 힘의 단위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10 bar"는 일반적으로 공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압력의 단위 중 하나입니다. 1 bar는 대기압과 거의 같은 압력이며, 10 bar는 대기압의 10배에 해당하는 압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릴리프 밸브를 이용한 유압 브레이크 회로에서 유압 모터를 정지시키고자 오일의 공급을 중단했을 때 유압 모터의 현상은? (단, 모터축의 부하 관성이 크다.)

  1. 바로 정지한다.
  2. 잠시동안 고정된다.
  3. 얼마간 회전을 지속하다가 정지한다.
  4. 급정지했다가 관성에 의해 다시 회전한다.
(정답률: 90%)
  • 유압 모터는 오일의 공급이 중단되면 회전력이 감소하게 되지만, 모터축의 부하 관성이 크기 때문에 얼마간 회전을 지속하다가 점차적으로 속도가 감소하여 정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얼마간 회전을 지속하다가 정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ND밸브라고도 불리며 연동제어, 안전제어에 사용되는 밸브는?

  1. 2압 밸브
  2. 셔틀 밸브
  3. 차단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83%)
  • AND밸브는 두 개의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었을 때 출력이 발생하는 논리 회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2압 밸브"는 두 개의 압력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었을 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밸브로, 연동제어나 안전제어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셔틀 밸브"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밸브, "차단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 "체크 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내경 32mm의 실린더 10mm/s의 속도로 움직이려 할 때 필요한 최소 펌프 토출량은 약 몇 ℓ/min 인가?

  1. 0.48
  2. 1.04
  3. 1.52
  4. 2.17
(정답률: 48%)
  • 펌프 토출량은 실린더의 단면적과 속도에 비례합니다. 실린더의 내경이 32mm 이므로 반지름은 16mm, 단면적은 πr^2 = 3.14 x 16^2 = 804.96mm^2 입니다. 이를 1000으로 나누어서 리터로 변환하면 0.80496ℓ 이 됩니다. 따라서 10mm/s의 속도로 이 실린더를 움직이려면 0.80496ℓ의 유체가 1초에 필요합니다. 따라서 최소 펌프 토출량은 0.80496ℓ/min 이 됩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48ℓ/min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적인 압축공기의 생산과 준비 단계가 옳은 것은?

  1. 압축기→건조기→서비스 유닛→애프터 쿨러→저장탱크
  2. 압축기→애프터 쿨러→저장탱크→건조기→서비스 유닛
  3. 압축기→건조기→서비스 유닛→저장탱그→애프터 쿨러
  4. 압축기→서비스 유닛→애프터 쿨러→건조기→저장탱크
(정답률: 6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선왕복운동용 액추에이터가 아닌 것은?

  1. 다단 실린더
  2. 단동 실린더
  3. 복동 실린더
  4. 요동 실린더
(정답률: 74%)
  • 직선왕복운동용 액추에이터는 직선적인 운동을 하는 장치인데, 다단 실린더, 단동 실린더, 복동 실린더는 모두 움직임이 일방적이거나 순환적인 운동을 하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요동 실린더는 피스톤이 압축 공기와 함께 왕복적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는데, 이는 직선왕복운동용 액추에이터와는 다른 움직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유압밸브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3위치
  2. 4포트
  3. 가스켓
  4. 오픈 센터
(정답률: 84%)
  • 유압밸브의 기능과 관련된 용어들인 "3위치", "4포트", "오픈 센터"은 모두 알 수 있지만, "가스켓"은 유압밸브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알 수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제어시스템에서 신호발생요소의 작동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시퀸스상의 간섭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은?

  1. 논리도
  2. 제어선도
  3. 내부결선도
  4. 변위단계선도
(정답률: 67%)
  • 제어선도는 제어시스템에서 각 요소들의 작동 상태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시퀸스상의 간섭 유무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논리회로, 내부결선, 변위단계에 대한 그림으로, 제어선도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압펌프에서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경우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언로드 회로의 점검
  2. 릴리프 밸브의 압력설정 점검
  3. 유량조절밸브의 조절 상태 점검
  4. 펌프 축 및 카트리지 등의 파손 점검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무부하 밸브(unloading valv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력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2. 유압의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 실린더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4. 펌프 송출량을 탱크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제작회사에서 미리 ROM에 프로그램 내용을 기억시켜 스스로 판독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은?

  1. EPROM
  2. EEPROM
  3. PROM
  4. MASK ROM
(정답률: 73%)
  • MASK ROM은 제작된 후에는 내용을 수정할 수 없는 ROM이다. 제작회사에서 미리 프로그램 내용을 기억시켜 스스로 판독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MASK ROM은 제작된 후에는 내용을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ROM들과는 달리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밸브 작동 방법 기호의 의미는?

  1. 감압 작동
  2. 레버 작동
  3. 압축 공기 작동
  4. 롤러 레버 작동
(정답률: 68%)
  • 위의 밸브 작동 방법 기호는 "감압 작동"을 나타냅니다. 이는 밸브가 압력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작동 방법은 압력 조절 및 안전 장치 등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레버 작동", "압축 공기 작동", "롤러 레버 작동"을 나타내며, 각각 다른 작동 방법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큰 운동에너지를 얻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리벳팅, 펀칭, 프레싱 작업 등에 사용되는 실린더는?

  1. 충격 실린더
  2. 양로드 실린더
  3. 쿠션 내장형 실린더
  4.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정답률: 80%)
  • 충격 실린더는 리벳팅, 펀칭, 프레싱 작업 등에서 발생하는 큰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이다. 따라서 큰 운동에너지를 얻기 위해 설계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동화 시스템 유지보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지 보수비 지출을 가능한 최소로 하는 것이 전체 생산 원가를 줄이는 방법이다.
  2. 설비의 상태를 관찰하여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보전을 하는 것을 개량보전(CM)이라 한다.
  3. 예비 부품의 상시 확보 여부는 그 부품의 보관비용과 고장 빈도 또는 고장 1회당 설비 손실 금액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4. 설비가 고장을 일으키기 전에 정기적으로 예방 수리를 하여 돌발적인 고장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는 설비 관리 기법이 예방보전(PM)이다.
(정답률: 70%)
  • 설비의 상태를 관찰하여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보전을 하는 것을 개량보전(CM)이라 한다. - 이 설명은 올바르다.

    유지 보수비 지출을 가능한 최소로 하는 것이 전체 생산 원가를 줄이는 방법이다. - 이 설명은 맞다.

    예비 부품의 상시 확보 여부는 그 부품의 보관비용과 고장 빈도 또는 고장 1회당 설비 손실 금액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 이 설명도 맞다.

    설비가 고장을 일으키기 전에 정기적으로 예방 수리를 하여 돌발적인 고장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는 설비 관리 기법이 예방보전(PM)이다. - 이 설명도 맞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미터-아웃 유량제어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부하가 카운터 밸런스 되어 있어 끄는 힘에 강하다.
  2. 교축 요소에 의하여 발생된 열은 탱크로 옮겨진다.
  3. 낮은 속도 조절면에서 미터-인 방식보다 불리하다.
  4. 유압유의 압축성 측면에서 미터-인 방식보다 유리하다.
(정답률: 54%)
  • "유압유의 압축성 측면에서 미터-인 방식보다 유리하다."가 틀린 것이다. 미터-아웃 방식은 유압유의 압축성이 높기 때문에 미터-인 방식보다 유리하다. 이는 유압유의 압축성이 유럽에서는 높은 편이기 때문에 미터-아웃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검출 물체가 센서의 작동 영역(감지거리이내)에 들어올 때부터 센서의 출력 상태가 변화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지연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작주기
  2. 복귀시간
  3. 응답시간
  4. 초기지연
(정답률: 80%)
  • 검출 물체가 센서의 작동 영역에 들어온 순간부터 센서가 그것을 감지하고 출력 상태가 변화하는 시간까지를 측정하는 것이 응답시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답시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작주기"는 센서가 주기적으로 작동하는 주기를 의미하며, "복귀시간"은 센서가 초기 상태로 돌아가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초기지연"은 센서가 작동하기 전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류 전동기가 과열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저전압
  2. 과부하
  3. 핸들 이송 속도가 느림
  4. 저항 요소 또는 접촉자의 단락
(정답률: 79%)
  • 저전압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아 전동기가 동작하지 못하거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과열하는 원인은 아닙니다. 과열의 주요 원인은 과부하, 핸들 이송 속도가 느림, 저항 요소 또는 접촉자의 단락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서보센서가 아닌 것은?

  1. 리졸버
  2. 엔코더
  3. 서미스터
  4. 타코미터
(정답률: 72%)
  • 서보센서는 모터의 위치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지만, 서미스터는 전기적인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모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서미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메모리 제어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번단계 완료 여부를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 후 다음단계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2.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입력변수가 약속된 법칙에 의하여 출력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
  3. 어떤 신호가 입력되어 출력신호가 발생한 후에는 입력신호가 없어져도 그때의 출력상태를 유지하는 제어
  4.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변수가 계속 측정되어 다른 변수, 즉 지령치와 비교되며 그 결과가 첫 번째의 변수를 지령치에 맞추도록 수정을 가하는 것
(정답률: 76%)
  • "어떤 신호가 입력되어 출력신호가 발생한 후에는 입력신호가 없어져도 그때의 출력상태를 유지하는 제어"가 옳은 것은, 입력신호가 없어져도 이전에 발생한 출력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전원이 꺼졌다가 다시 켜졌을 때 이전에 실행되던 프로그램의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이 방식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로터의 피치가 60°, 극수가 8, 회전자의 치수가 6인 4상 스테핑 모터의 스텝각은?

  1. 15°
  2. 24°
  3. 32°
  4. 48°
(정답률: 50%)
  • 스텝각은 회전자의 한 칸당 이동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 바퀴를 돌 때 회전자가 이동하는 칸 수는 극수와 같다. 이 모터의 극수는 8이므로 한 바퀴를 돌 때 회전자는 8칸을 이동한다.

    로터의 피치가 60°이므로 한 칸당 이동 각도는 60°이다. 따라서 한 바퀴를 돌 때 회전자가 이동하는 각도는 8칸 × 60°/칸 = 480°이다.

    하지만 스테핑 모터는 한 바퀴를 돌 때 정확히 360°만큼 회전하므로, 회전자가 이동하는 각도를 360°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스텝각은 480° ÷ 360° = 1.33스텝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스텝각 중에서 가장 가깝게 나타낼 수 있는 15°와 가장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진동 차단기의 기본 요구조건 중 틀린 것은?

  1. 온도, 습도, 화학적 변화 등에 대해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차단하려는 진동의 최저 주파수보다 큰 고유 진동수를 가져야 한다.
  3. 차단기의 강성은 그에 부착된 진동 보호대상체의 구조적 강성보다 작아야 한다.
  4. 강성은 충분히 작아 차단능력이 있되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받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7%)
  • "차단하려는 진동의 최저 주파수보다 큰 고유 진동수를 가져야 한다."가 틀린 요구조건입니다. 진동 차단기는 차단하려는 진동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따라서 차단하려는 진동의 최저 주파수보다 큰 고유 진동수를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주파수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고유 진동수를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변위 센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압전형
  2. 와전류형
  3. 전자 광학형
  4. 정전 용량형
(정답률: 62%)
  • 압전형은 변위에 따라 전하의 분포가 변화하여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나머지 세 종류의 센서는 각각 와전류, 전자 광학, 정전 용량의 원리를 이용하여 변위를 감지합니다. 따라서 압전형은 변위 센서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PM(Phenomena mechanism) 분석의 단계별 내용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현상을 명확히 한다.
  2. 조사방법을 검토한다.
  3. 이상한 점을 발견한다.
  4. 최적 조건을 파악한다.
(정답률: 49%)
  • "최적 조건을 파악한다."는 PM 분석의 단계별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PM 분석에서는 현상을 명확히 하고, 조사 방법을 검토하며, 이상한 점을 발견한 후에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최적 조건을 파악하는 것은 해결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동 센서 고정방법 중 주파수 영역이 넓고 진동 측정 정확도가 가장 좋은 것은?

  1. 손 고정
  2. 나사고정
  3. 밀랍 고정
  4. 마그네틱 고정
(정답률: 81%)
  • 나사고정 방법은 진동 센서를 나사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나사의 길이와 직경을 조절하여 주파수 영역이 넓고 진동 측정 정확도가 가장 높은 고정 방법입니다. 또한, 나사고정 방법은 다른 고정 방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고 안정적인 고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생산의 정지 혹은 휴해한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상태를 발견하기 위한 설비의 정기적인 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개량보전
  2. 사후보전
  3. 예방보전
  4. 보전예방
(정답률: 78%)
  • 정답은 "예방보전"입니다.

    예방보전은 생산설비의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생산의 정지나 성능저하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생산설비의 이상을 미리 파악하여 조치를 취함으로써 생산의 지연이나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개량보전은 기존 설비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사후보전은 이미 문제가 발생한 후에 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전예방은 예방보전과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단어의 순서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과 같은 보전 조직은?

  1. 지역보전
  2. 집중보전
  3. 부문보전
  4. 절충보전
(정답률: 67%)
  • 정답은 "집중보전"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보전: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전 조직입니다. 그러나 위 그림에서는 특정 지역이 아닌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집중보전: 특정 생물종이나 생태계 등을 중점적으로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전 조직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산양 보호"와 "산양 서식지 조성"이라는 목표가 있으며, 이는 특정 생물종인 산양을 중점적으로 보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 부문보전: 자연환경 보전에 필요한 여러 부문(생태계, 생물종, 자연자원 등) 중에서 특정 부문을 중점적으로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전 조직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산림", "수생환경", "야생동물" 등 여러 부문에 대한 목표가 있습니다.
    - 절충보전: 자연환경 보전과 인간의 생활 및 경제활동을 조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전 조직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이러한 목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비보전 표준 중 검사, 정비, 수리 등의 보전작업 방법과 보전작업 시간의 표준을 말하는 것은?

  1. 설비 성능표준
  2. 일상 점검표준
  3. 설비 점검표준
  4. 보전 작업표준
(정답률: 61%)
  • 보전 작업표준은 설비의 검사, 정비, 수리 등의 보전작업 방법과 보전작업 시간의 표준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회전기계의 진동 측정방법 중 변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회전축의 흔들림
  2. 캐비테이션 진동
  3. 베어링 홈 진동
  4. 기어의 홈 진동
(정답률: 66%)
  • 정답: "회전축의 흔들림"

    회전축의 흔들림은 회전축의 중심축과의 거리 차이를 측정하여 변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기계의 진동 측정에 가장 적합합니다. 캐비테이션 진동은 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베어링 홈 진동과 기어의 홈 진동은 각각 베어링과 기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회전축의 진동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과 같은 설비관리의 조직형태는?

  1. 기능별 조직
  2. 대상별 조직
  3. 전문기술별 조직
  4. 매트릭스(Matrix) 조직
(정답률: 79%)
  • 이 조직형태는 전문기술별 조직이다. 이는 각각의 전문 기술별로 담당자를 두어 해당 분야에서 최적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직형태이다. 이러한 조직형태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대처가 빠르고 효율적이며,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팽창식 체임버(chamber)의 소음기 면적비는?

  1. 팽창식 체임버의 단면적/연결 길이
  2. 연결 길이/팽창식 체임버의 단면적
  3. 연결 덕트의 단면적/팽창식 체임버의 단면적
  4. 팽창식 체임버의 단면적/연결 덕트의 단면적
(정답률: 56%)
  • 팽창식 체임버의 소음기 면적비는 "팽창식 체임버의 단면적/연결 덕트의 단면적"이다. 이는 연결 덕트의 단면적보다 팽창식 체임버의 단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소음을 흡수할 면적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비율이 클수록 더 효과적인 소음 감소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전자재 관리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불용 자재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
  2. 자재구입품목, 구입 수량, 구입 시기계획을 수립하기 곤란하다.
  3. 보전 기술수준 및 관리수준이 보전자재의 재고량을 좌우하게 된다.
  4. 보전자재는 년 간 사용빈도가 낮으며, 소비속도가 늦은 것이 많다.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설비배치에서 설비의 소요 면적 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변환법
  2. 계산법
  3. 이분법
  4. 비율 경향법
(정답률: 60%)
  • 설비의 소요 면적 결정 방법 중 이분법은 아닙니다. 이분법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최적의 값을 찾기 위해 범위를 반으로 나누어 검색하는 방법으로, 설비배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변환법은 기존 공장의 면적을 기준으로 새로운 공장의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 계산법은 설비의 생산량과 생산시간 등을 고려하여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 비율 경향법은 유사한 공장의 면적 비율을 참고하여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속도로 회전하는 기어 및 베어링 등에서 충격력 등과 같이 힘의 크기가 문제로 되는 이상의 진단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변수는?

  1. 변위
  2. 속도
  3. 가속도
  4. 위상각
(정답률: 66%)
  • 고속도로 회전하는 기어나 베어링 등에서는 충격력 등과 같이 힘의 크기가 매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 변수는 가속도입니다. 가속도는 물체가 단위 시간당 얼마나 빨리 가속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충격력 등과 같은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고속도로 회전하는 기어나 베어링 등에서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문제를 진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현과 신호에서 진동의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피크 값의 2/π인 값은?

  1. 편진폭
  2. 양진폭
  3. 평균값
  4. 실효값
(정답률: 54%)
  • 피크 값의 2/π는 편진폭을 나타냅니다. 이는 신호의 최대 진폭을 의미하며, 신호의 전체적인 진폭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진동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평균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평균값은 신호의 전체적인 진폭을 나타내며, 편진폭보다 더 정확한 값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oil)윤활과 비교한 그리스 윤활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누설이 적다.
  2. 냉각작용이 크다.
  3. 급유가 용이하다.
  4. 이물질 혼입 시 제거가 용이하다.
(정답률: 67%)
  • 그리스 윤활은 유(oil)윤활에 비해 높은 점착성과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누설이 적습니다. 이는 윤활제가 부착력이 강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리스 윤활은 유(oil)윤활에 비해 누설로 인한 오염과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제품의 크기, 무게 및 기타 특성 때문에 제품 이동이 곤란한 경우에 생기는 배치 형태로 자재, 공구, 장비 및 작업자가 제품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설비배치의 형태는?

  1. 공정별 배치
  2. 제품별 배치
  3. 혼합형 배치
  4. 제품 고정형 배치
(정답률: 77%)
  • 제품 고정형 배치는 제품의 크기, 무게 및 기타 특성 때문에 제품 이동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되는 설비배치 형태입니다. 이 경우에는 자재, 공구, 장비 및 작업자가 제품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제품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제품 고정형 배치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종합적 생산보전 활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계획보전체제를 확립한다.
  2. 작업자를 보전 전문요원으로 활용한다.
  3. 설비에 관계하는 사람은 빠짐없이 참여한다.
  4. 설비의 효율화를 저해하는 로스(loss)를 없앤다.
(정답률: 72%)
  • 작업자를 보전 전문요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생산보전 활동의 핵심 중 하나인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업자들은 작업 현장에서 가장 많은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그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이 생산보전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작업자를 보전 전문요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생산보전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설비관리의 조직계획에서 지역이나 제품, 공정 등에 따라 설비를 분류하여 그 관리를 담당하는 방식은?

  1. 기능 분업
  2. 지역 분업
  3. 직접 분업
  4. 전문기술 분업
(정답률: 79%)
  • 설비를 지역이나 제품, 공정 등에 따라 분류하여 그 관리를 담당하는 방식은 지역 분업이다. 이는 각 지역이나 제품, 공정 등에 따라 필요한 설비와 유지보수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이를 담당하는 조직을 구성하여 효율적인 설비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설비의 체질 개선을 위하여 실시하는 보전활동은?

  1. 예방보전
  2. 생산보전
  3. 개량보전
  4. 고장보전
(정답률: 77%)
  • 설비의 체질 개선을 위하여 실시하는 보전활동은 "개량보전"입니다. 개량보전은 기존 설비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보전활동입니다. 따라서 설비의 체질 개선을 위해서는 기존 설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개량보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설비의 속도를 개선하거나 자동화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개량보전이 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음파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구부러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음의 반사
  2. 음의 간섭
  3. 음의 굴절
  4. 마스킹(Masking) 효과
(정답률: 87%)
  • 음파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속도가 달라지면서 굴절이 발생하는데, 이때 음파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현상을 음의 굴절이라고 한다. 이는 굴절 법칙에 따라 발생하는데, 굴절 법칙은 빛이나 음파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각도가 일정한 비율로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음의 굴절은 음파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41. 0.1H의 코일에 60Hz, 200V인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유도리액턴스는 약 몇 Ω인가?

  1. 12
  2. 18.8
  3. 37.7
  4. 125.6
(정답률: 64%)
  • 유도리액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XL = 2πfL

    여기서, XL은 유도리액턴스, f는 주파수, L은 인덕턴스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유도리액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XL = 2π × 60 × 0.1 = 37.7 Ω

    따라서, 정답은 "37.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호 중 계전기의 b접점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9%)
  • 계전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장치이다. b접점은 계전기의 출력 단자로, 계전기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b접점을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셰이딩 코일형 전동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효율이 좋지 않다.
  3. 기동 토크가 매우 작다.
  4.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제어 밸브는 프로세스의 요구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식이 있다. 다음 중 제어 밸브를 조작 신호와 밸브 시트의 형식에 따라 분류할 때 조작 신호에 따른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격막밸브
  2. 글로브밸브
  3. 게이트밸브
  4. 자력식밸브
(정답률: 45%)
  • 조작 신호에 따른 분류는 "자력식밸브"이다. 이는 전기, 기계, 수압 등의 조작 신호를 이용하여 밸브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자력식밸브는 전기 신호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 공기 신호를 이용한 플레어 밸브, 수압 신호를 이용한 피스톤 밸브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에서 검류계의 지침이 0을 지시하고 있다면 미지전압 EX는 몇 V 인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81%)
  • 검류계의 지침이 0을 지시하므로, 검류계와 EX 사이의 전압차는 0V이다. 따라서 EX의 전압은 15V이다.
    즉, EX와 검류계 사이의 전압차는 15V이므로, EX의 전압은 1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직류발전기의 전기자 철심을 성층 철심으로 하는 이유는?

  1. 동손의 감소
  2. 철손의 감소
  3. 풍손의 감소
  4. 기계손의 감소
(정답률: 70%)
  • 직류발전기의 전기자 철심을 성층 철심으로 하는 이유는 철손의 감소를 위해서입니다. 성층 철심은 동일한 크기의 철심에 비해 자기 손실이 적기 때문에 전기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옴의 법칙(Ohm’s law)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압은 전류에 비례한다.
  2. 전압은 저항에 반비례한다.
  3. 전압은 전류에 반비례한다.
  4. 전압은 전류의 2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74%)
  • 옴의 법칙은 전압과 전류, 저항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전압은 전류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전기회로에서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도 높아지고, 저항이 높을수록 전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 저항 중 두 가지가 주어졌을 때,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나머지 하나를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의 그림은 3상 유도전동기의 단자를 표시한 것이다. 이 전동기를 △결선하고자 한다면?

  1. X-Y-Z, U-V-W를 연결한다.
  2. U-W, Z-Y, V-X를 연결한다.
  3. U-Y, V-W, X-Z를 연결한다.
  4. U-Y, V-Z, W-X를 연결한다.
(정답률: 76%)
  • 3상 유도전동기의 단자는 U, V, W로 표시되어 있고, X, Y, Z는 중간점이다. 따라서 △결선을 하기 위해서는 U, V, W를 연결하고, 중간점인 X, Y, Z는 서로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U-Y, V-Z, W-X를 연결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조는 간단하나 잔류편차가 생기는 제어요소는?

  1. 적분제어
  2. 미분제어
  3. 비례제어
  4. 온/오프제어
(정답률: 64%)
  • 비례제어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적용이 쉬우나 잔류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비례관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분제어나 미분제어와 같은 보완적인 제어요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외부 압력에 대한 탄성체의 기계적 변위를 이용한 압력 검출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벨로스(bellows)
  2. 다이어프램(diaphragm)
  3. 부르동 관(bourdon tube)
  4.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정답률: 59%)
  • 스트레인 게이지는 압력 변화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탄성체의 기계적 변위를 측정하여 압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압력 검출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벨로스, 다이어프램, 부르동 관은 모두 압력 변화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산증폭기의 심벌로 옳은 것은?

(정답률: 75%)
  •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여 증폭을 조절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심벌은 ""입니다. 이 심벌은 입력과 출력의 차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오퍼앰프의 기호로, 연산증폭기에서는 이 심벌을 사용하여 입력과 출력의 차이를 측정하고 증폭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그림과 같이 입력이 동시에 ON 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ON 되는 회로를 무슨 회로라고 하는가?

  1. OR 회로
  2. AND 회로
  3. NOR 회로
  4. NAND 회로
(정답률: 80%)
  • 입력이 두 개 이상 있고, 모든 입력이 동시에 ON 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ON 되는 회로를 AND 회로라고 한다. 이 회로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므로, 논리곱(AND)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위의 회로도 AND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타여자 발전기의 용도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고전압 발전기
  2. 승압기(booster)
  3. 저전압 대전류 발전기
  4. 동기발전기의 주여자기
(정답률: 63%)
  • 승압기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이 없으며, 전기를 받아서 전압을 높여주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타여자 발전기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LC 제어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유닛 교환으로 수리를 할 수 있다.
  2. 복잡한 제어라도 설계가 용이하다.
  3. 완성된 장치는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없다.
  4.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제어기능도 할 수 있다.
(정답률: 81%)
  • "완성된 장치는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PLC 제어반의 특징이 아닙니다. PLC 제어반은 유닛 교환으로 수리를 할 수 있고, 복잡한 제어라도 설계가 용이하며,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제어기능도 할 수 있습니다. PLC 제어반은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논리식 a·1(a AND 1)을 간력히 했을 때 옳은 것은?

  1. 1
  2. 0
  3. a
(정답률: 68%)
  • 논리식 a·1(a AND 1)은 AND 연산자로 인해 a와 1이 모두 참(True)일 때만 참(True)이 되는 식입니다. 그러나 1은 항상 참(True)이므로 a의 값에 따라 결과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EET)의 드레인-소스간 전압을 0에서부터 증가시킬 때 드레인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기 시작할 때의 전압은?

  1. 차단 전압(Cutoff Voltage)
  2. 임계 전압(Threshold Voltage)
  3.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4. 핀치오프 전압(Pinch-off Voltage)
(정답률: 58%)
  • JEET의 핀치오프 전압은 드레인-소스간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할 때, 채널이 완전히 차단되어 드레인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되는 전압입니다. 이는 채널의 전하 밀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드레인-소스간 전압이 핀치오프 전압 이상이 되면 JEET는 채널을 차단하고 일정한 드레인 전류를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기식 조작기로 옳은 것은?

  1. 전자밸브
  2. 전동밸브
  3. 서보전동기
  4. 다이어프램 밸브
(정답률: 64%)
  • 공기식 조작기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데, 다이어프램 밸브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밸브의 동작이 가능하므로 공기식 조작기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 밸브가 옳은 것이다. 전자밸브와 전동밸브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므로 공기식 조작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서보전동기는 전동기와 유사하지만,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므로 공기식 조작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세서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압력
  2. 유량
  3. 온도
  4. 자세
(정답률: 81%)
  • 압력, 유량, 온도는 모두 프로세서 제어에 관련된 요소들이지만, "자세"는 프로세서 제어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자세"는 일반적으로 인체 운동 제어와 관련된 용어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는 로봇 공학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프로세서 제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이미터 접지 증폭회로에서 트랜지스터의 hfe=100, hie=10kΩ, 부하저항이 5kΩ이면 이 회로의 전압증폭도는?

  1. -5
  2. -10
  3. -50
  4. -100
(정답률: 57%)
  • 전압증폭도는 -hfe×(RL/hie)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압증폭도는 -100×(5kΩ/10kΩ)=-50이다. 이유는 hfe가 음수이기 때문에 전압이 입력과 반대 방향으로 증폭되기 때문이다. 즉, 입력 전압이 양수이면 출력 전압은 음수가 된다. 따라서, 전압증폭도도 음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전성 유체의 유속 또는 유량측정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자 유량계
  2. 차압식 유량계
  3. 와류식 유량계
  4. 초음파식 유량계
(정답률: 54%)
  • 도전성 유체는 전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자 유량계가 가장 적합합니다. 전자 유량계는 유체 내부를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속이나 유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자 유량계는 도전성 유체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정비 일반

61. 축에 보스를 가열 끼움 시 가열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50 ~ 100°C 이하
  2. 100 ~ 150°C 이하
  3. 200 ~ 250°C 이하
  4. 300 ~ 350°C 이하
(정답률: 67%)
  • 축에 보스를 가열 끼움 시, 너무 낮은 온도로는 보스가 충분히 녹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높은 온도로는 보스가 타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온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200 ~ 250°C 이하의 온도가 가장 적당합니다. 이 온도 범위에서는 보스가 충분히 녹아서 축에 꽉 차게 끼워질 수 있고, 동시에 보스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온도입니다. 다른 온도 범위에서는 위험하거나 충분한 녹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유로방향의 수로 분류한 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이방 콕
  2. 삼방 콕
  3. 사방 콕
  4. 오방 콕
(정답률: 78%)
  • "오방 콕"은 유로방향의 수로 분류한 콕의 종류가 아닙니다. "오방 콕"은 다섯 개의 돌을 일렬로 놓고, 한 쪽 끝에 있는 돌을 먼저 빼내는 게임입니다. 따라서 유로방향의 수로 분류되는 콕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마이크로미터 나사의 피치가 p[mm], 나사의 회전각의 α[rad]일 때, 스핀들의 이동거리는 x[mm]는?

(정답률: 59%)
  • 스핀들의 이동거리는 나사의 피치와 회전각에 비례한다. 즉, x = pα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x = pα인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코터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

  1. 코터를 용접한다.
  2. 코터에 나사를 만든다.
  3. 코터에 분할핀을 조립한다.
  4. 코터를 편구배로 가공한다.
(정답률: 74%)
  • 코터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코터를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코터에 분할핀을 조립하면 필요할 때 쉽게 분해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용접이나 편구배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나사를 만들어서 조립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분할핀을 사용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원심 펌프가 기동은 하지만 진동하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축의 굽음
  2. 회전수 저하
  3. 캐비테이션 발생
  4. 볼 베어링의 손상
(정답률: 73%)
  • 원심 펌프가 기동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회전수 저하"는 그 중 하나입니다. 회전수 저하란,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정상적인 속도보다 느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펌프의 모터나 드라이브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회전수가 저하되면 펌프의 성능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거나 유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펌프의 안정성과 수송 시스템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원심 펌프의 회전수는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유량 1m3/min, 전양정 25m인 원심펌프의 축동력은 약 몇 PS인가? (단, 펌프 전효율 0.78, 물의 비중량은 1000lkgf/m3이다.)

  1. 5.5
  2. 6.5
  3. 7.1
  4. 8.2
(정답률: 53%)
  • 먼저, 유량 1m3/min은 1000kgf/min 또는 16.67kgf/s이다.

    전양정 25m인 원심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유량 x 전양정 x 물의 비중량 / 펌프 전효율

    = 16.67 x 25 x 1000 / 0.78

    = 7,051.28

    따라서, 축동력은 약 7.1PS이다.

    답은 "7.1"이다.
  • 1000/60 16.67

    16.67x25 // 75x078=7.12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 적합한 것은?

  1. 펌프의 흡입양정을 되도록 높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속도를 되도록 높게 한다.
  3. 단 흡입 펌프이면 양 흡입 펌프로 사용한다.
  4. 유효흡입수두를 필요합입수두보다 작게 한다.
(정답률: 70%)
  • 캐비테이션은 액체가 빠르게 움직이는 곳에서 압력이 낮아져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소음과 진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는 흡입양정을 높이거나 회전속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단 흡입 펌프의 경우 양 흡입 펌프로 사용하여 흡입양정을 높이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양 흡입 펌프를 사용하면 흡입부에 압력이 높아져 캐비테이션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축 마모부의 수리는 보스 내경과의 관계를 고려, 그 수리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수리방법의 판단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외관
  2. 신뢰성
  3. 비용과 시간
  4. 수리후의 강도
(정답률: 72%)
  • 외관은 축 마모부의 수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수리방법의 판단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다. 축 마모부의 수리는 보스 내경과의 관계, 수리 후의 강도, 비용과 시간, 그리고 신뢰성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축의 급유불량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1. 조립 불량
  2. 축의 굽힘
  3. 강도 부족
  4. 기어 마모 및 소음
(정답률: 71%)
  • 축의 급유불량으로 인해 기름이 충분히 윤활되지 않아 기어와 축이 마찰하면서 마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어 마모 및 소음"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굽어버린 축을 현장에서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로 옳은 것은?

  1. 감속기가 고속회전축일 경우
  2. 중하중용이고 고속회전축일 경우
  3. 단 달림부에서 급하게 휘어져 있는 경우
  4. 500rpm 이하이며 베어링 간격이 길 경우
(정답률: 76%)
  • 축이 굽어버린 경우, 축의 회전 중심이 벗어나므로 축과 베어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베어링에 과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베어링 간격이 길 경우, 축의 굽음이 베어링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500rpm 이하인 경우에는 축의 회전 속도가 낮아서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축의 굽음이 베어링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리하여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임펠러(impeller) 흡입구에 의하여 송풍기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1. 편 흡입형
  2. 양 흡입형
  3. 구름체 흡입형
  4. 양쪽 흐름 다단형
(정답률: 69%)
  • 구름체 흡입형은 임펠러가 아닌 바람이나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송풍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임펠러 흡입구에 의하여 분류되지 않는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임펠러 흡입구에 의하여 분류된다.

    - 편 흡입형: 임펠러가 한쪽 방향으로만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방식
    - 양 흡입형: 임펠러가 양쪽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방식
    - 양쪽 흐름 다단형: 임펠러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양쪽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방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바셀린(petrolatum)방청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KP-4
  2. KP-5
  3. KP-6
  4. KP-7
(정답률: 74%)
  • 바셀린(petrolatum) 방청유의 종류는 KP-4, KP-5, KP-6이 있지만 KP-7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KP-7은 바셀린 방청유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수격현상에서 압력상승 방지책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흡수조
  2. 밸브제어
  3. 안전밸브
  4. 체크밸브
(정답률: 69%)
  • 흡수조는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펌프가 물을 흡입할 때 발생하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압력상승 방지책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V 벨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V 벨트는 벨트 풀리와의 마찰이 없다.
  2. V 벨트의 종류는 M,A,B,C,D,E 여섯가지이다.
  3. V 벨트 풀리의 홈 모양의 크기는 V벨트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V 벨트의 형상은 V벨트 풀리와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38°(도)의 마름모꼴 형상이다.
(정답률: 78%)
  • V 벨트는 벨트 풀리와의 마찰이 있으며, V 벨트의 종류는 M,A,B,C,D,E 여섯가지이다. V 벨트 풀리의 홈 모양의 크기는 V벨트 크기에 따라 다르며, V 벨트의 형상은 V벨트 풀리와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38°(도)의 마름모꼴 형상이다. 따라서, "V 벨트의 종류는 M,A,B,C,D,E 여섯가지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베어링의 열박음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깨끗한 광유에 베어링을 넣고 90 ~ 120°C로 가열한다.
  2. 축과 베어링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 널링 작업 후 억지 끼워맞춤을 한다.
  3. 베어링 가열온도는 경도 저하 방지를 위해 120°C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4. 베어링 냉각 시 틈이 있을 경우 지그를 사용하여 축 방향에 베어링을 밀어 고정한다.
(정답률: 69%)
  • "축과 베어링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 널링 작업 후 억지 끼워맞춤을 한다."가 정답이 아닙니다.

    베어링 가열 시 광유가 깨끗해야 하는 이유는 오염된 광유가 베어링 내부에 침투하여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베어링 가열 온도는 경도 저하 방지를 위해 120°C를 초과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베어링 내부 소재의 경도가 감소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베어링 냉각 시 틈이 있을 경우 지그를 사용하여 축 방향에 베어링을 밀어 고정하는 이유는 베어링이 축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회전 중에 진동이 발생하여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널링 작업 후 억지로 끼워맞추는 것은 베어링 내부 소재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대신에 적절한 크기의 베어링을 선택하거나 축과 베어링의 정확한 일치를 위해 정밀 가공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동기 베어링부분에서 발열이 발생할 때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1. 벨트의 장력과대
  2. 베어링의 조립불량
  3. 커플링 중심내기 불량
  4. 전동기 입력전압의 변동
(정답률: 67%)
  • 전동기 베어링 부분에서 발열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벨트의 장력과대, 베어링의 조립불량, 커플링 중심내기 불량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전동기 입력전압의 변동은 베어링 부분에서 발열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아닙니다. 입력전압의 변동은 전동기의 회전속도나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베어링 부분에서 발열이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기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의 변동은 베어링 부분에서 발열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축의 고장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축의 재질불량
  2. 원동기의 회전불량
  3. 휘어진 축 사용으로 진동발생
  4. 풀리, 베어링 등의 끼워맞춤 불량
(정답률: 51%)
  • 원동기의 회전불량은 축의 고장원이 아닙니다. 축의 고장원은 축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지만, 원동기의 회전불량은 원동기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축의 재질불량, 휘어진 축 사용으로 진동발생, 풀리, 베어링 등의 끼워맞춤 불량은 축의 고장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그림은 기어 감속기에 부착된 명판이다. 이 감속기의 출력회전수는 약 얼마인가?

  1. 27.3 rpm
  2. 57.3 rpm
  3. 516 rpm
  4. 860 rpm
(정답률: 70%)
  • 이 감속기의 기어비는 1:15 이므로, 입력회전수를 860 rpm 으로 나누면 출력회전수를 구할 수 있다.

    860 rpm ÷ 15 = 57.3 rpm

    따라서, 이 감속기의 출력회전수는 57.3 rp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펌프 축에 설치된 베어링에 이상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윤활유의 부족
  2. 축 중심의 일치
  3. 축 추력의 발생
  4. 베어링 끼워맞춤 불량
(정답률: 74%)
  • 베어링은 회전하는 축과 함께 움직이며, 축 중심과 일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해야 합니다. 따라서 축 중심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베어링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활유의 부족, 축 추력의 발생, 베어링 끼워맞춤 불량은 모두 베어링에 이상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헬리컬 기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방향의 반력이 발생한다.
  2. 큰 동력의 전달과 고속운전에 적합하다.
  3. 이의 맞물림의 원활하여 이의 변형과 진동소음이 작다.
  4. 이 끝이 직선이며 축에 나란한 원통형 기어로 감속비는 최고 1:6까지 가능하다.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