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기계정비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1. 톱니바퀴처럼 생긴 한 쌍의 로터가 케이싱 내에서 맞물려 회전하며 유압유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원리의 유압펌프가 아닌 것은?

  1. 기어 펌프
  2. 로브 펌프
  3. 터빈 펌프
  4. 트로코이드 펌프
(정답률: 54%)
  • 터빈 펌프는 톱니바퀴나 로터가 아닌, 회전하는 터빈을 이용하여 유압유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원리의 유압펌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기어 펌프, 로브 펌프, 트로코이드 펌프는 모두 톱니바퀴나 로터를 이용하여 유압유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원리의 유압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스톤에 공기 압력을 급격하게 작용시켜 피스톤을 고속으로 움직이며, 이 때의 속도 에너지를 이용한 실린더는?

  1. 충격 실린더
  2. 로드리스 실린더
  3. 다위치제어 실린더
  4. 텔레스코프 실린더
(정답률: 75%)
  • 피스톤에 공기 압력을 급격하게 작용시켜 피스톤을 고속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 때의 속도 에너지는 매우 크기 때문에 실린더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린더를 "충격 실린더"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충격을 주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실린더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유압회로 작성 방법 중 2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유닛을 포위하는 선으로 맞는 것은?

  1. 실선
  2. 파선
  3. 1점 쇄선
  4. 2점 쇄선
(정답률: 75%)
  • 1점 쇄선은 2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유닛을 포위하는 선으로, 해당 유닛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제어기로 연결된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유닛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공유압회로 작성 방법에서 2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유닛을 포위하는 선으로는 1점 쇄선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절대 압력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절대압력은 게이지 압력을 말한다.
  2. 절대압력은 표준 대기압력보다 항상 높다.
  3.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4. 절대압력은 완전한 진공을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정답률: 69%)
  • 절대압력은 완전한 진공을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이는 진공 상태에서의 압력을 기준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대기압이나 다른 압력보다 항상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절대압력은 게이지 압력과는 다른 개념이며, 대기압을 '0'으로 하는 게이지 압력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기 압축기의 용량제어 방식이 아닌 것은?

  1. 고속제어
  2. 배기제어
  3. 차단제어
  4. ON-OFF 제어
(정답률: 48%)
  • "고속제어"는 공기 압축기의 용량을 제어하는 방식이 아니라, 압축기의 작동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압축기의 용량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향제어밸브의 연결구 표시방법 중 'R'이 의미하는 것은?

  1. 배출구
  2. 작업라인
  3. 제어라인
  4. 에너지 공급구
(정답률: 72%)
  • 'R'은 방향제어밸브의 연결구가 배출구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방향제어밸브가 유체나 기체를 흘려보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은 'Outlet'의 약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의 속도제어방식으로 옳은 것은?

  1. 전진 시 미터인, 후진 시 미터인 제어회로
  2. 전진 시 미터인, 후진 시 미터아웃 제어회로
  3. 전진 시 미터아웃, 후진 시 미터인 제어회로
  4. 전진 시 미터아웃, 후진 시 미터아웃 제어회로
(정답률: 75%)
  • 이 회로는 H-브릿지를 이용한 속도제어 회로이다. H-브릿지는 모터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된 회로로, 전진 시와 후진 시에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된다. 이 회로에서는 전진 시와 후진 시에 각각 미터아웃을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전진 시 미터아웃, 후진 시 미터아웃 제어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내경 10cm, 추력 3140 kgf, 피스톤 속도 40m/min 인 유압실린더에서 필요로 하는 유압은 최소 몇 kgf/cm2 인가?

  1. 40
  2. 60
  3. 80
  4. 160
(정답률: 57%)
  • 유압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압압력 = 추력 / (내경/2)^2 x 3.14

    = 3140 / (10/2)^2 x 3.14

    = 400 kgf/cm^2

    따라서, 필요한 유압은 최소 400 kgf/cm^2 이며, 보기에서 정답은 "40" 이 아닌 오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두 개의 실린더를 동조시키는데 사용되며, 정확도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밸브는?

  1. 감속 밸브
  2. 감압 밸브
  3. 체크 밸브
  4. 분류 및 집류 밸브
(정답률: 79%)
  • 분류 및 집류 밸브는 두 개의 실린더를 동조시키는데 사용되며, 정확도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는 유체의 흐름을 분류하거나 집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실린더 중 하나에서 유체를 받아들이고 다른 실린더로 보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밸브는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작동이 간단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압에너지를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요소는?

  1. 실린더
  2. 축압기
  3. 회전모터
  4. 스트레이너
(정답률: 82%)
  • 유압에너지를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요소는 실린더입니다. 실린더는 유압압력을 받아 피스톤을 움직여 직선운동을 만들어내는 기계요소로, 유압기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설비의 평균 고장률을 나타내는 것은?

  1. MTBF
  2. MTTR
(정답률: 72%)
  • 설비의 평균 고장률을 나타내는 것은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이다. 이는 설비가 고장하기까지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MTBF가 높을수록 설비의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타이밍 차트(timing chart)에서 입력이 A와 B이며, 출력은 Y일 때 이 타이밍 차트는 어떤 회로인가? (단, 입ㆍ출력 모두 양논리로 동작한다.)

  1. OR 회로
  2. AND 회로
  3. NOT 회로
  4. NAND 회로
(정답률: 78%)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 Y가 1이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이다. 이는 AND 회로의 동작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AND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짧은 실린더 본체로 긴 행정거리를 낼 수 있는 다단 튜브형 로드로 구성되어 있는 실린더는?

  1. 충격 실린더
  2. 로드리스 실린더
  3. 텔레스코프 실린더
  4. 다위치 제어 실린더
(정답률: 81%)
  • 텔레스코프 실린더는 다단 튜브형 로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짧은 본체로도 긴 행정거리를 낼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실린더들과는 달리 로드가 여러 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더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텔레스코프 실린더는 긴 행정거리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류 전동기의 구성 요소로 토크를 발생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요소는?

  1. 계자
  2. 브러시
  3. 전기자
  4. 정류자
(정답률: 59%)
  • 직류 전동기에서 토크를 발생시키는 요소는 전기자입니다. 전기자는 회전자와 정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회전력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전기자는 직류 전동기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동화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단위기기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은?

  1. 네트워크(network)
  2. 프로세서(processor)
  3. 액추에이터(actuator)
  4. 메카니즘(mechanism)
(정답률: 78%)
  • 자동화 시스템에서 각 단위기기는 서로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각 단위기기는 서로 통신하고 제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을 구성하는 것이 바로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networ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회전량을 펄스수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며 기계적인 아날로그 변화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하는 것은?

  1. 서보 모터
  2. 포토 센서
  3. 매트 스위치
  4. 로터리 인코더
(정답률: 65%)
  • 로터리 인코더는 회전량을 펄스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디스크와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량을 감지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기계적인 아날로그 변화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되먹임 제어계(feedback control system)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체 제어계는 항상 안전하다.
  2. 목표값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다.
  3.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4. 외부 조건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2%)
  • 정답: "전체 제어계는 항상 안전하다."

    이유: 되먹임 제어계는 시스템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입력값을 조절하는 제어 시스템이다. 따라서, 목표값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고,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 조건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전체 제어계가 항상 안전하다는 것은 보장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어계의 오작동이나 장애 등으로 인해 시스템이 예기치 않게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안전장치나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압 시스템에 있어서 윤활유 등과 섞여 에멀션(emulsion) 상태나 수지 상태가 되어 밸브의 동작을 가로막을 우려가 있는 고장은?

  1. 수분으로 인한 고장
  2. 이물질로 인한 고장
  3. 공급 유량 부족으로 인한 고장
  4. 배관 불량에 의한 공기의 유출로 인한 고장
(정답률: 66%)
  • 공압 시스템에서 수분이 혼합되면 윤활유나 기름 등과 에멀션 상태나 수지 상태가 되어 밸브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밸브의 동작을 막아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분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PLC 프로그램의 최초 단계인 0스텝에서 최후스텝까지 진행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리드 타임(read time)
  2. 스캔 타임(scan time)
  3. 스텝 타임(step time)
  4. 딜레이 타임(delay time)
(정답률: 61%)
  • PLC 프로그램의 최초 단계인 0스텝에서 최후스텝까지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스캔 타임(scan time)입니다. 이는 PLC가 입력 신호를 읽어들이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과정을 모두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LC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개의 금속판을 접합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 또는 내부 응력을 이용한 센서는?

  1. 홀 센서
  2. 바이메탈
  3. 서미스터
  4. 측온 저항체
(정답률: 62%)
  • 바이메탈은 열팽창 계수가 다른 두 개의 금속판을 접합시켜 만든 센서로, 온도 변화에 따라 금속판이 구부러지면서 내부 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내부 응력을 이용하여 변형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바이메탈은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홀 센서, 서미스터, 측온 저항체와 같은 다른 온도 센서들과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설비진단관리 및 기계정비

21. 설비종합효율을 산출하기 위한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설비종합효율 = 공정효율 × 수율 × 양품율
  2. 설비종합효율 = 공정효율 × 시간가동률 × 양품률
  3.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 × 성능가동률 × 양품률
  4.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 × 수율 × 양품률
(정답률: 76%)
  • 올바른 공식은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 × 성능가동률 × 양품률" 입니다. 이유는 설비종합효율은 설비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동되고, 얼마나 많은 양품을 생산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양품률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공정효율이나 수율은 설비의 가동 효율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설비종합효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윤활관리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력비의 증가
  2. 제품 정도의 향상
  3. 보수 유지비의 절감
  4. 기계 정도와 기능의 유지
(정답률: 68%)
  • "동력비의 증가"는 윤활관리의 효과가 아니라 윤활유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윤활유를 제때 교체하지 않거나 적절한 등급의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계 내부 마찰이 증가하여 동력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를 적절히 관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진동을 측정할 때 회전하는 축을 기준으로 진동센서를 부착하여 측정하려고 한다. 진동측정방향이 아닌 것은?

  1. 축 방향
  2. 수직 방향
  3. 경사 방향
  4. 수평 방향
(정답률: 80%)
  • 진동센서를 부착하는 축 방향과 수직 방향, 그리고 수평 방향은 진동을 측정하는 방향이 될 수 있지만, 경사 방향은 진동의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경사 방향은 기울어진 방향으로, 진동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동 차단기의 재료로 합성고무를 사용했을 때 강철 코일스프링보다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1. 정적변위가 크다.
  2. 주파수 폭이 넓다.
  3. 고온강도에 강하다.
  4. 측면으로 미끄러지는 하중에 강하다.
(정답률: 79%)
  • 합성고무는 측면으로 미끄러지는 하중에 강합니다. 이는 합성고무가 높은 마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동 차단기에 사용할 경우, 측면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이 강철 코일스프링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직접적인 공기의 압력변화에 의한 유체역학적 원인에 의해 난류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1. 압축기
  2. 송풍기
  3. 진공펌프
  4. 엔진 배기음
(정답률: 63%)
  • 송풍기는 공기를 직접적으로 압축하여 이동시키는 기계로, 이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이 변화하면서 난류음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공기의 압력변화에 의한 유체역학적 원인에 의해 난류음을 발생시키는 것은 송풍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고유 진동수와 강제 진동수가 일치 할 경우,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울림
  2. 공진
  3. 외란
  4. 상호 간섭
(정답률: 86%)
  • 고유 진동수와 강제 진동수가 일치하면,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현상을 공진이라고 한다. 이는 강제 진동이 시스템의 고유 진동과 일치하여, 에너지가 계속해서 누적되어 진동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건축물, 다리, 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며, 이를 이용하여 진동을 감소시키거나 증폭시키는 등의 기술적인 응용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진동센서를 설비에 설치하는 경우, 정확도와 장기적 안정성이 가장 좋은 설치 방법은?

  1. 자석 고정
  2. 밀랍 고정
  3. 나사 고정
  4. 에폭시 고정
(정답률: 82%)
  • 나사 고정은 진동센서를 설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설비 내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센서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또한 자석 고정이나 밀랍 고정보다는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합니다. 따라서 정확도와 장기적 안정성을 고려할 때, 나사 고정이 가장 좋은 설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현파 진동에서 진동의 상한과 하한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변위
  2. 속도
  3. 가속도
  4. 진동수
(정답률: 78%)
  • 정현파 진동에서 진동의 상한과 하한의 거리를 "변위" 라고 한다. 이는 파동이나 진동에서 중심위치에서의 최대 이동거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파동이나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속도"는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것이고, "가속도"는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진동수"는 단위 시간당 진동의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은 설비관리 조직 중에서 어떤 형태의 조직인가?

  1. 제품중심 조직
  2. 기능중심 조직
  3. 설계보증 조직
  4. 제품중심 매트릭스 조직
(정답률: 67%)
  • 이 그림은 제품중심 조직이다. 이유는 각 제품별로 전담 담당자가 있고, 각 제품의 생산, 유지보수, 개선 등 모든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조직 구성원들이 제품을 중심으로 일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효율적인 설비보전 활동을 위하여 설비의 열화나 고장, 성능 및 강도 등을 정량적으로 계측하여 설비의 상태를 예측 할 수 있는 기술은?

  1. 신뢰성 기술
  2. 정량화 기술
  3. 설비 진단 기술
  4. 트러블슈팅 기술
(정답률: 76%)
  • 설비 진단 기술은 설비의 열화나 고장, 성능 및 강도 등을 정량적으로 계측하여 설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비보전 활동을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설비 진단 기술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설비투자의 합리적인 투자결정에 필요한 경제성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

  1. MAPI법
  2. 자본 회수법
  3. 비용 비교법
  4. 처분 가치법
(정답률: 71%)
  • 처분 가치법은 설비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설비를 처분할 때 얻을 수 있는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따라서 설비를 유지보수하거나 대체할 때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설비를 처분할 때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설비투자의 합리적인 투자결정에 필요한 경제성 평가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1. 경험법
  2. 공정 실험법
  3. 작업 연구법
  4. 실적 자료법
(정답률: 65%)
  •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공정 실험법"이다. 이는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보전작업표준은 이미 검증된 방법을 사용하여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험법, 작업 연구법, 실적 자료법 등을 사용하여 검증된 방법을 토대로 보전작업표준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속도센서로 널리 사용되는 동전형 속도 센서의 측정원리로 옳은 것은?

  1. 압전의 법칙
  2. 렌쯔의 법칙
  3. 오른나사의 법칙
  4. 패러데이의 전자유도 법칙
(정답률: 73%)
  • 동전형 속도 센서는 패러데이의 전자유도 법칙을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이 법칙은 자기장 내에서 변하는 자기력이 전기장을 유도시키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속도 센서에서는 자석이 회전하면서 자기장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코일 내에 유도전류가 발생합니다. 이 유도전류의 크기는 회전 속도에 비례하므로,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만성로스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현상의 해석을 철저히 한다.
  2. 관리해야 할 요인계를 철저히 검토한다.
  3. 원인이 명확하므로 표면적인 요인만 해결한다.
  4. 요인 중에 숨어 있는 결함을 표면으로 끌어낸다.
(정답률: 81%)
  • "원인이 명확하므로 표면적인 요인만 해결한다."가 틀린 이유는, 만성로스의 경우에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순히 표면적인 요인만 해결한다면 문제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상의 해석과 함께 관리해야 할 요인계를 철저히 검토하고, 요인 중에 숨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어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설비보전에서 효과 측정을 위한 척도로서 널리 사용되는 지수 중 고장 도수율의 공식은?

  1. (정미가동시간/부하시간) × 100
  2. (고장횟수/부하시간) × 100
  3. (고장 정지시간/부하시간) × 100
  4. (보전비 총액/생산량) × 100
(정답률: 65%)
  • 고장 도수율은 설비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시간 대비 고장이 발생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따라서 고장횟수를 부하시간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는 공식이 사용됩니다. 이는 설비의 가동시간 대비 고장이 발생한 빈도를 측정하여 보전 계획을 수립하고, 보전 효과를 평가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정미가동시간이나 고장 정지시간, 보전비 총액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물 또는 적당한 액체를 가득 채운 유리관속에서 유적이 서서히 떠올라오게 하는 급유기를 사용한 것으로서 급유상태를 뚜렷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급유법은?

  1. 패드 급유법
  2. 유륜식 급유법
  3. 강제 순환 급유법
  4. 가시 부상 유적 급유법
(정답률: 75%)
  • 가시 부상 유적 급유법은 급유기를 사용하여 물이나 액체를 유리관속에 가득 채운 후, 급유기에 부착된 가시 부상을 이용하여 유적을 서서히 떠올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가시 부상이 유적의 표면을 자극하여 유적이 빠르게 떠올라서 급유상태를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지털 신호처리에서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경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최소 자승법
  2. 최대 자승법
  3. 이산적 신호법
  4. 데이터 주밍법
(정답률: 47%)
  • 최소 자승법은 데이터의 경향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아서 그 직선과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경향성을 제거하고, 노이즈나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처리에서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경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최소 자승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보전용 자재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연간 사용빈도가 많고 소비속도가 빠르다.
  2. 베어링, 그랜드 패킹 등은 교체 후 재활용 할 수 있다.
  3. 설비개선, 설비변경 등으로 불용자재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자재구입의 품목, 수량, 시기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기 곤란하다.
(정답률: 61%)
  • "자재구입의 품목, 수량, 시기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기 곤란하다."는 보전용 자재의 특징이다. 이는 보전용 자재가 예기치 않은 시기에 필요해지는 경우가 많고, 그 때마다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계획을 세우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전용 자재는 필요할 때마다 빠르게 구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윤활유 사용 중에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는 첨가제는?

  1. 청정제
  2. 소포제
  3. 분산제
  4. 유동점 강하제
(정답률: 82%)
  • 윤활유 사용 중에 거품이 발생하는 것은 윤활유 내부에 공기가 혼입되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포제가 첨가됩니다. 소포제는 윤활유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거품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포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장이 없고, 보전이 필요치 않은 설비를 설계, 제작하기 위한 설비보전 방법은?

  1. 사후 보전(BM)
  2. 생산 보전(PM)
  3. 개량 보전(CM)
  4. 보전 예방(MP)
(정답률: 60%)
  • 보전 예방(MP)은 고장이 없고 보전이 필요치 않은 설비를 설계, 제작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설비를 설계할 때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전 예방(MP)은 고장이 없는 설비를 만들기 위한 예방적인 방법으로, 다른 보전 방법들과는 목적과 방향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41. 도수법으로 60도인 각도를 호도법(rad)으로 환산하면?

  1. π/4
  2. π/3
  3. π/2
  4. π
(정답률: 71%)
  • 도수법에서 1바퀴는 360도이므로, 60도는 1/6바퀴에 해당합니다. 호도법에서 1바퀴는 2π이므로, 1/6바퀴는 (1/6) × 2π = π/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π/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과전류 계전기가 트립된다면 그 원인은?

  1. 과부하
  2. 퓨즈용단
  3. 시동스위치 불량
  4. 배선용 차단기 불량
(정답률: 63%)
  • 과전류 계전기는 일정한 전류 이상이 흐를 때 자동으로 차단되는 보호장치입니다. 따라서, 과전류 계전기가 트립된다면 전기 회로에서 과부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부하란,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회로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경우, 과부하 보호장치인 과전류 계전기가 작동하여 회로를 차단하게 됩니다. 따라서, "과부하"가 과전류 계전기가 트립된 원인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국제단위계(SI)에서 사용되는 기본 단위가 아닌 것은?

  1. 시간
  2. 부피
  3. 질량
  4. 광도
(정답률: 66%)
  • SI에서 사용되는 기본 단위는 시간, 질량, 길이, 전기전하, 온도, 물질의 양, 광도이다.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기본 단위 중 하나인 미터(m)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므로 부피는 기본 단위 중 하나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자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 준위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금지대
  2. 충만대
  3. 일함수
  4. 전도대
(정답률: 82%)
  •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 준위대를 전도대라고 부릅니다. 이는 전자가 고체 또는 반도체 내에서 전류를 생성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금지대는 전자가 이동할 수 없는 에너지 준위대를 의미하며, 충만대는 전자가 모두 채워져 더 이상 전자가 들어갈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함수는 전자의 파동성을 나타내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공업량의 계측에 필요한 비접촉방식의 온도계는?

  1. 저항 온도계
  2. 열전 온도계
  3. 방사 온도계
  4. 서미스터 온도계
(정답률: 71%)
  • 공업량의 계측에는 대부분의 경우 비접촉 방식의 온도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방사 온도계는 물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를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사 온도계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 접촉이 필요하지 않으며, 빠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방사 온도계는 공업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논리회로의 불 대수 를 간략화한 것은?

  1. B
  2. A
(정답률: 68%)
  • 논리회로의 불 대수를 간략화할 때는 논리식을 최대한 단순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불 대수에서는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가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논리식을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논리식을 최대한 많은 AND 연산자나 OR 연산자로 묶어주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A" 인 이유는 논리식을 최대한 많은 AND 연산자로 묶어주었기 때문이다. 논리식을 보면, (A+B)와 (A+C)를 각각 AND 연산자로 묶어주고, 이 두 개의 결과를 다시 OR 연산자로 묶어주면 논리식이 간략화된다.

    즉, (A+B)∧(A+C) = A+(B∧C) 이므로, 정답은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오리피스 유량계는 어떤 정리를 이용한 것인가?

  1. 프랭크의 정리
  2. 토리첼리의 정리
  3. 베르누이의 정리
  4. 보일-샤를의 정리
(정답률: 74%)
  • 오리피스 유량계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속과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베르누이의 정리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보존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를 이용하여 오리피스 유량계에서 유체가 흐르는 관의 지름이 작아지면 유속이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오리피스 유량계에서는 유체가 흐르는 관의 지름이 작아지는 부분을 오리피스라고 부르며, 이를 통해 유속과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회로에 가해진 전기에너지를 정전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적하는 소자는?

  1. 저항
  2. 콘덴서
  3. 인덕터
  4. 변압기
(정답률: 70%)
  • 콘덴서는 전기에너지를 전자를 담는 용기로 축적할 수 있는 소자입니다. 전기가 콘덴서에 축적되면 콘덴서에 전하가 축적되어 정전에너지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콘덴서는 회로에서 전기에너지를 정전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적하는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밸브에 포지셔너를 사용하게 된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조절계 신호와 구동부 신호가 다른 경우
  2. 제어밸브의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경우
  3. 하나의 신호로 2대 이상의 제어밸브를 동작시킬 경우
  4. 그랜드 패킹의 마찰이 작고 유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경우
(정답률: 60%)
  • 밸브에 포지셔너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어밸브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해서이다. 따라서, "그랜드 패킹의 마찰이 작고 유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경우"는 밸브의 위치 제어와는 무관하므로 이유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도전동기의 기동에서 기동전류가 정격전류의 4~6배가 되는 기동법은?

  1. Y-Δ 기동
  2. 전전압 기동
  3. 2차 저항기동
  4. 기동 보상기를 사용한 기동
(정답률: 66%)
  • 전전압 기동은 유도전동기의 기동 시에 기동 전류를 정격 전류의 4~6배로 유지하면서, 기동 후에는 정격 전류로 돌아오도록 하는 기동법이다. 이를 위해 유도자 회로를 변환하여 기동 시에는 별 연결에서 삼각 연결로, 기동 후에는 다시 별 연결로 변환하여 전류를 조절한다. 이 방법은 기동 시에 유도자 회로의 임피던스를 감소시켜 기동 전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큰 부하를 가진 유도전동기의 기동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계기는?

  1. 메거
  2. 전력계
  3. 계기용변류기
  4. 계기용변압기
(정답률: 81%)
  • 절연저항은 대부분의 전기기기에서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계기 중에서는 "메거"가 절연저항 측정에 가장 적합하며, 다른 보기들은 전력, 전류, 전압 등 다른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데에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원자 구조를 평면적으로 보면 원자 번호와 같은 수의 전자가 정해진 궤도상을 정해진 개수만큼 원자핵을 중심으로 돌고 있다. M각 궤도에 들어 갈수 있는 최대 전자의 수는 얼마인가?

  1. 2
  2. 8
  3. 18
  4. 32
(정답률: 68%)
  • M각 궤도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전자의 수는 2M^2이다. 따라서 M=3일 때, 2(3^2)=18이므로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어량에 따른 분류에서 프로세스 제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온도
  2. 압력
  3. 방향
  4. 유량
(정답률: 65%)
  • 방향은 프로세스 제어량이 아닌, 프로세스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향은 프로세스 제어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논리회로의 출력 X는?

(정답률: 56%)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과 입력 C가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입력 C가 1이든 0이든 상관없이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전체 논리회로의 출력 X는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동제어의 분류 중 미사일의 유도제어는 어디에 속하는가?

  1. 자동조정
  2. 서보기구
  3. 시퀀스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률: 60%)
  • 미사일의 유도제어는 서보기구에 속합니다. 이는 미사일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로, 목표물을 향해 미사일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합니다. 서보기구는 입력 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적인 장치로, 정확한 위치 제어와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미사일 유도제어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1초 사이에 50A에서 10A로 변할 때 40V의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면 이 때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는 몇 mH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35%)
  • 유도 기전력 E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E = L x ΔI/Δt

    여기서 L은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ΔI는 전류 변화량, Δt는 시간 변화량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40 = L x (10-50)/0.1

    40 = L x (-400)

    L = 40/-400 = -0.1

    하지만 자기 인덕턴스는 항상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L = 0.1 mH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00μF의 콘덴서에 1000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충전되는 전하량(C)은 얼마인가?

  1. 1
  2. 10
  3. 0.1
  4. 0.01
(정답률: 57%)
  • 전하량(C) = 용량(F) × 전압(V)
    100μF = 0.0001F
    전하량(C) = 0.0001F × 1000V = 0.1C
    따라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류전동기를 급정지 또는 역전시키는 전기적 제동법은?

  1. 역상 제동
  2. 회생 제동
  3. 발전 제동
  4. 단상 제동
(정답률: 78%)
  • 역상 제동은 직류전동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제동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류의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역전시키는 효과가 있어 "역상 제동"이라고 부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블록선도의 구성요소에서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블록
  2. 가산점
  3. 인출점
  4. 직렬결합
(정답률: 75%)
  •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를 "병렬결합"이라고 한다. 이는 여러 개의 블록이 병렬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며, 이 경우 가산점이 부여될 수 있다. 가산점은 병렬적으로 실행되는 블록의 수에 따라 다르게 부여되며, 이는 프로그래밍 대회 등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실리콘 정류 소자(SC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NPN 소자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쌍방향성 소자이다.
  4. 직류, 교류 전력제어에 사용된다.
(정답률: 60%)
  • "쌍방향성 소자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CR은 단방향성 소자로서, 양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없습니다. SCR은 PNPN 구조를 가지며, 스위칭 소자로서 직류나 교류 전력제어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정비 일반

61. 원심펌프의 이상 현상 원인이 아닌 것은?

  1. 스터핑박스로 공기 침입
  2. 펌프의 회전방향이 틀릴 때
  3. 패킹과 주축간의 과도한 틈새
  4. 펌프 내 공기빼기를 하였을 때
(정답률: 74%)
  • 원심펌프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면 펌프의 성능이 저하되고,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펌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은 이상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펌프 내 공기빼기를 하였을 때"는 이상 현상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원심형 통풍기 중 고속도로 터널 환풍기에 사용되며 효율이 가장 좋은 통풍기는?

  1. 터보 통풍기
  2. 실로코 통풍기
  3. 용적식 통풍기
  4. 플레이트 통풍기
(정답률: 75%)
  • 터보 통풍기는 고속도로 터널 환풍기에 사용되며, 고속 회전하는 터보 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효율적으로 환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통풍기에 비해 높은 효율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펌프의 비속도(specific speed : Ns)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양정과 토출량은 비속도와 관계가 없다.
  2. 양정이 낮고 토출량이 큰 펌프는 비속도가 낮아진다.
  3. 양정이 높고 토출량이 적은 펌프는 비속도가 낮아진다.
  4. 토출량이 일정하고 회전수가 큰 펌프는 비속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62%)
  • "양정이 높고 토출량이 적은 펌프는 비속도가 낮아진다." 이 옳은 것은, 비속도는 펌프의 회전수, 양정, 토출량에 비례하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양정이 높고 토출량이 적은 펌프는 회전수가 낮아지므로 비속도도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V벨트 전동장치에서 V벨트를 선정하려 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V벨트의 장력
  2. 소요벨트의 가닥수
  3. V벨트의 종류 및 형식
  4. V벨트 풀리의 형상과 지름
(정답률: 57%)
  • V벨트의 장력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V벨트의 장력은 전동장치의 운전부하와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종류의 V벨트를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V벨트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소요벨트의 가닥수, V벨트의 종류 및 형식, V벨트 풀리의 형상과 지름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로크 너트는 무엇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가?

  1. 부식
  2. 풀림
  3. 고착
  4. 파손
(정답률: 82%)
  • 로크 너트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부식과 고착을 방지하고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풀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압축기 부품 중 밸브의 분해조립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밸브 볼트의 너트는 규정값으로 조인다.
  2. 밸브 볼트의 와셔는 분해 후 재사용한다.
  3. 스프링의 내외주가 스프링 홈 벽과 잘 맞는지 확인한다.
  4. 밸브 플레이트의 리프트는 규정값에 들어 있는가를 틈새로 확인한다.
(정답률: 80%)
  • "밸브 볼트의 와셔는 분해 후 재사용한다."가 틀린 내용이다. 와셔는 분해 후 교체해야 한다. 와셔는 재사용하면 누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을 사용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고속회전으로 인한 진동을 완화시킬 때
  2. 전달토크의 변동으로 축에 충격이 가해질 때
  3. 두 축의 중심을 완전히 일치시키기 어려울 때
  4. 축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긴 전동축에 사용할 때
(정답률: 58%)
  • 플렉시블 커플링은 두 축의 중심을 완전히 일치시키기 어려울 때, 전달토크의 변동으로 축에 충격이 가해질 때, 고속회전으로 인한 진동을 완화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그러나 축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긴 전동축에 사용할 경우, 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커플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분해 중에 볼트가 부러졌을 때 부러진 볼트를 제거하는 방법은?

  1. 토크 미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2. 스크류 익스트랙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3. 볼트 밑 부분을 정으로 잘라 넓힌 후 해머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4. 두 개의 해머를 이용하여 볼트 머리부의 대면을 두드려서 제거한다.
(정답률: 79%)
  • 스크류 익스트랙터는 부러진 볼트를 제거하기 위한 도구로, 볼트에 꽉 끼워서 회전력을 가해 볼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볼트가 부러졌을 때 스크류 익스트랙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이의 맞물림이 원활하여 이의 변형과 진동, 소음이 작고 큰 동력의 전달과 고속운전에 적합한 기어는?

  1. 웜 기어(worm gear)
  2. 스퍼 기어(spur gear)
  3.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4. 크라운 기어(crown gear)
(정답률: 63%)
  • 헬리컬 기어는 이빨이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어 이의 맞물림이 원활하고, 이의 변형과 진동, 소음이 작아서 큰 동력의 전달과 고속운전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헬리컬 기어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관로에 유속의 급격한 변화 및 정전에 의한 펌프의 동력이 급히 차단될 때 관내 압력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현상은?

  1. 서징(surging)현상
  2. 수격(water hammer)현상
  3. 베이퍼 록(vapor rock)현상
  4. 캐비테이션(cavitation)현상
(정답률: 74%)
  • 수격 현상은 관로 내부에서 유체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파동으로, 펌프나 밸브 등의 동력이 갑자기 차단되거나 유속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이 때 파동은 관로 내부를 이동하면서 압력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파열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격 현상은 관로 설계나 운영 시에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글로브 밸브는 밸브 박스가 구형으로 되어 있고 밸브의 개도를 조절해서 교축기구로 쓰인다.
  2. 슬루스 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이며 리프트식과 스윙식이 있다.
  3. 체크밸브는 전두부(핸들)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유로의 개폐를 신속히 할 수 있다.
  4. 콕(cock)은 밸브 박스의 밸브 시트와 평행으로 작동하고 흐름에 대해 수직으로 개폐를 한다.
(정답률: 64%)
  • 글로브 밸브는 밸브 박스가 구형으로 되어 있고 밸브의 개도를 조절해서 교축기구로 쓰인다. 이는 밸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체인의 고속, 중하중 용에 적합한 급유 방법은?

  1. 적하 급유
  2. 유욕 윤활
  3. 강제 펌프 윤활
  4. 회전판에 의한 윤활
(정답률: 45%)
  • 강제 펌프 윤활은 체인 내부에 있는 오일 탱크에서 오일을 강제로 펌핑하여 체인을 윤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고속 운전이나 중하중 용에 적합하며, 체인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여 체인의 마찰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체인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캐비테이션의 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흡입양정을 작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수를 높게 한다.
  3.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게 한다.
  4. 단 흡입형 펌프이면 양 흡입형 펌프로 고친다.
(정답률: 66%)
  • "펌프의 회전수를 높게 한다."가 틀린 대책입니다. 캐비테이션은 액체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져서 기체가 생성되고, 이 기체가 다시 압력이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폭발적인 충격파가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입양정을 작게 하거나,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추는 등의 방법으로 압력을 유지하거나 증가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펌프의 회전수를 높게 한다."는 방법은 오히려 캐비테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펌프의 회전수가 높아지면 흡입양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압력이 낮아져서 캐비테이션의 위험이 더욱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정비용 공구 중 체결용 공구가 아닌 것은?

  1. L - 렌치
  2. 기어 풀리
  3. 양구 스패너
  4. 조합 스패너
(정답률: 83%)
  • 정답은 "기어 풀리"입니다.

    "기어 풀리"는 체결용 공구가 아닌 것이 아니라, 해당 공구는 새로운 용어이며, 일반적으로는 "기어 풀러"라는 명칭으로 사용됩니다. 기어 풀러는 기어를 분리할 때 사용하는 공구로, 체결용 공구가 아닌 분해용 공구입니다. 따라서, 체결용 공구 중 체결을 위해 사용하는 공구는 "L - 렌치", "양구 스패너", "조합 스패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동기의 운전 중 점검 항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전압 상태
  2. 회전수 상태
  3. 베어링 온도 상태
  4. 브러시 습동 상태
(정답률: 64%)
  • 브러시 습동 상태는 전동기의 운전 중에는 점검할 수 없는 항목입니다. 이는 브러시 습동이 발생하는 경우 전동기를 멈추고 분해하여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브러시 습동 상태는 주기적인 예방 점검 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관이음(pipe Join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나사이음
  2. 신축이음
  3. 수막이음
  4. 플랜지이음
(정답률: 63%)
  • 수막이음은 존재하지 않는 관이음의 종류이다. 나사이음은 나사를 이용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방식, 신축이음은 유연한 소재로 된 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 플랜지이음은 플랜지라는 원형의 판을 이용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테이퍼 핀을 밑에서 때려서 뺄 수 없을 경우에 적합한 분해 방법?

  1. 테이퍼 핀을 정으로 잘라서 뺀다.
  2. 스크류 익스트랙터를 사용하여 뺀다.
  3. 테이퍼 핀 머리부분에 용접을 하여 뺀다.
  4. 테이퍼 핀 머리부분에 나사를 내어 너트를 걸어 뺀다.
(정답률: 67%)
  • 테이퍼 핀은 머리 부분이 작아지는 원뿔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밑에서 때려서 뺄 수 없을 경우, 머리 부분에 나사를 내어 너트를 걸어서 빼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테이퍼 핀의 머리 부분에 나사를 내어 너트를 걸면, 너트를 돌리면서 테이퍼 핀이 머리 부분으로 끌어지면서 밑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생 이음이라고도 하며, 파이프에 나사를 절삭하지 않고 이음하는 것으로 숙련이 필요하지 않으며 시간과 공정이 절약되는 관이음은?

  1. 신축 이음
  2. 고무 이음
  3. 패킹 이음
  4. 턱걸이 이음
(정답률: 57%)
  • 패킹 이음은 파이프에 밀어넣는 밀봉재인 패킹을 사용하여 이음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파이프에 나사를 절삭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숙련이 필요하지 않으며, 시간과 공정이 절약됩니다. 따라서 생 이음이라고도 불리며, 다른 보기들인 신축 이음, 고무 이음, 턱걸이 이음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는 플렉시블 커플링이 아닌 것은?

  1. 고무 커플링
  2. 체인 커플링
  3. 기어 커플링
  4. 플랜지 커플링
(정답률: 48%)
  • 플랜지 커플링은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플랜지 커플링은 파이프나 밸브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강한 힘과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주는 플렉시블 커플링은 "고무 커플링", "체인 커플링", "기어 커플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송풍기의 회전수가 1200rpm이고 풍량이 2400m3min 일 때, 회전수를 1800rpm으로 변환시키면 풍량은 몇 m3/min 인가?

  1. 3000
  2. 3200
  3. 3400
  4. 3600
(정답률: 71%)
  • 송풍기의 풍량과 회전수는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회전수가 1.5배 증가하면 풍량도 1.5배 증가한다. 따라서 회전수를 1800rpm으로 변환시키면 풍량은 3600m3/mi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