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기계설계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W, Cr, V, Co 들의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강으로 600°C까지 고온경도를 유지하는 공구 재료는?

  1. 고속도강
  2. 초경합금
  3. 탄소공구강
  4. 합금공구강
(정답률: 63%)
  • W, Cr, V, Co는 모두 고온에 강한 성질을 가진 원소들이며,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강은 고온경도를 유지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고속도강은 빠른 냉각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강철로, 고온에서도 높은 경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 Cr, V, Co를 함유하는 합금강 중에서도 고속도강이 가장 적합한 공구 재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어절삭가공 방법에서 창성법에 해당하는 것은?

  1. 호브에 의한 기어가공
  2. 형판에 의한 기어가공
  3. 브로칭에 의한 기어가공
  4. 총형 바이트에 의한 기어가공
(정답률: 59%)
  • 기어절삭가공 방법 중 창성법은 기어의 치형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호브에 의한 기어가공이 해당한다. 호브는 회전하는 기어와 함께 움직이며, 기어의 치형을 형성하는 치형칩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기어를 가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밀링 절삭 방법 중 상향절삭과 하향절삭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하향절삭은 상향절삭에 비하여 공구수명이 길다.
  2. 상향절삭은 가공면의 표면거칠기가 하향절삭보다 나쁘다.
  3. 상향절삭은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하다.
  4. 커터의 회전방향과 가공물의 이송이 같은 방향의 가공방법을 하향절삭이라 한다.
(정답률: 74%)
  • "상향절삭은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하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상향절삭은 커터의 회전방향과 가공물의 이송이 반대 방향인 가공방법을 말하며, 하향절삭은 커터의 회전방향과 가공물의 이송이 같은 방향의 가공방법을 말합니다. 상향절삭은 하향절삭에 비해 가공면의 표면거칠기가 좋고,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하향절삭은 상향절삭에 비해 공구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테일러의 원리에 맞게 제작되지 않아도 되는 게이지는?

  1. 링 게이지
  2. 스냅 게이지
  3. 테이퍼 게이지
  4. 플러그 게이지
(정답률: 55%)
  • 테일러의 원리는 제품을 만들 때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원리인데, 이 중에서 테이퍼 게이지는 제품의 내부 구조나 형태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게이지입니다. 다른 게이지들은 제품의 외부 크기나 형태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테이퍼 게이지는 내부 구조나 형태를 측정하기 때문에 테일러의 원리에 맞게 제작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터릿선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수의 공구를 조합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선반이다.
  2. 지름이 큰 공작물을 정면가공하기 위하여 스윙을 크게 만든 선반이다.
  3. 작업대 위에 설치하고 시계부속 등 작고 정밀한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선반이다.
  4.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과 같은 실물이나 모형을 따라 공구대가 자동으로 모형과 같은 윤곽을 깎아내는 선반이다.
(정답률: 59%)
  • 다수의 공구를 조합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선반이다. 이는 여러 개의 작업공구를 한 번에 사용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반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삭기의 이송방법이 아닌 것은?

  1. 테이블 왕복식
  2. 플랜지 컷 방식
  3. 연삭 숫돌대 방식
  4. 마그네틱 척 이동 방식
(정답률: 62%)
  • 마그네틱 척 이동 방식은 연삭기의 이송방법이 아니라,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연삭기의 작업물을 이동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반에서 긴 가공물을 절삭할 경우 사용하는 방진구 중 이동식 방진구는 어느 부분에 설치하는가?

  1. 베드
  2. 새들
  3. 심압대
  4. 주축대
(정답률: 59%)
  • 이동식 방진구는 절삭 작업 중 발생하는 먼지와 칩 등의 오염물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설치하는 위치는 절삭 작업을 하는 가공물과 절삭도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이동식 방진구는 "새들"에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머시닝센터에서 드릴링 사이클에 사용되는 G-코드로만 짝지어진 것은?

  1. G24, G43
  2. G44, G65
  3. G54, G92
  4. G73, G83
(정답률: 58%)
  • G73과 G83은 둘 다 드릴링 사이클에 사용되는 G-코드입니다. G73은 피드레이트를 고정하고, 드릴링을 수행한 후에 리트랙트(축소)를 수행합니다. 반면에 G83은 피드레이트를 고정하고, 드릴링을 수행한 후에 피드레이트를 줄이면서 리트랙트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두 G-코드는 드릴링 사이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탭으로 암나사 가공작업 시 탭의 파손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탭이 경사지게 들어간 경우
  2.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
  3. 탭의 가공 속도가 빠른 경우
  4. 탭이 구멍바닥에 부딪쳤을 경우
(정답률: 76%)
  •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탭이 더 단단해져서 가공 작업 중에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경사지게 들어간 경우나 가공 속도가 빠른 경우도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더욱 조심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탭이 구멍바닥에 부딪쳤을 경우도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탭의 위치나 각도를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연삭숫돌 기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WA : 연삭숫돌입자의 종류
  2. 60 : 입도
  3. m : 결합도
  4. V : 결합제
(정답률: 77%)
  • 연삭숫돌 기호에서 m은 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연삭숫돌 입자의 크기와 모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결합도는 V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m : 결합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래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식래핑은 주로 거친 래핑에 사용된다.
  2. 습식래핑은 연마입자를 혼합한 랩액을 공작물에 주입하면서 가공한다.
  3. 건식래핑의 사용 용도는 초경질 합금, 보석 및 유리 등 특수재료에 널리 쓰인다.
  4. 건식래핑은 랩제를 랩에 고르게 누른 다음 이를 충분히 닦아내고 주로 건조상태에서 래핑을 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건식래핑의 사용 용도는 초경질 합금, 보석 및 유리 등 특수재료에 널리 쓰인다."이다. 건식래핑은 랩제를 랩에 고르게 누른 다음 이를 충분히 닦아내고 주로 건조상태에서 래핑을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측정자의 직선 또는 원호운동을 기계적으로 확대하여 그 움직임을 지침의 회전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으로 읽을 수 있는 측정기는?

  1. 수준기
  2. 스냅 게이지
  3. 게이지 블록
  4. 다이얼 게이지
(정답률: 73%)
  • 다이얼 게이지는 측정자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확대하여 회전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으로 읽을 수 있는 측정기이다. 따라서 직선 또는 원호운동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값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수준기는 수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스냅 게이지는 부품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게이지 블록은 부품의 두께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금속의 구멍작업 시 칩의 배출이 용이하고 가공 정밀도가 가장 높은 드릴 날은?

  1. 평 드릴
  2. 센터 드릴
  3. 직선홈 드릴
  4. 트위스트 드릴
(정답률: 69%)
  • 트위스트 드릴은 나선 모양으로 감겨있는 형태로, 회전할 때 칩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멍 내부를 청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드릴의 끝 부분이 뾰족하게 되어 있어 가공 정밀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금속의 구멍작업 시 칩의 배출이 용이하고 가공 정밀도가 가장 높은 드릴 날은 트위스트 드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밀링머신에서 사용하는 바이스 중 회전과 상하로 경사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은?

  1. 만능 바이스
  2. 수평 바이스
  3. 유압 바이스
  4. 회전 바이스
(정답률: 65%)
  • 만능 바이스는 회전과 상하로 경사시킬 수 있는 기능이 모두 가능한 바이스이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서 작업물을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가공이 가능하다. 반면, 수평 바이스는 수평으로만 고정이 가능하고, 유압 바이스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고정하는 바이스이며, 회전 바이스는 회전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삭 작업에 관련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연삭숫돌을 정확하게 고정한다.
  2. 연삭숫돌 측면에 연삭을 하지 않는다.
  3. 연삭가공 시 원주 정면에 서 있지 않는다.
  4. 연삭숫돌 덮개 설치보다는 작업자의 보안경 착용을 권장한다.
(정답률: 80%)
  • 연삭숫돌 덮개 설치보다는 작업자의 보안경 착용을 권장한다는 것은 올바른 안전사항이 아니다. 연삭 작업 시에는 반드시 연삭숫돌 덮개를 설치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보안경 착용은 보조적인 안전조치일 뿐이다. 연삭숫돌 덮개를 설치하지 않으면 연삭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작업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삭공구 수명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공구 인선의 마모가 일정량에 달했을 경우
  2. 완성가공된 치수의 변화가 일정량에 달했을 경우
  3. 절삭저항의 주 분력이 절삭을 시작했을 때와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4. 완성 가공면 또는 절삭가공 한 직후에 가공 표면에 광택이 있는 색조 또는 반점이 생길 경우
(정답률: 71%)
  • 정답은 "완성가공된 치수의 변화가 일정량에 달했을 경우"입니다.

    절삭공구의 수명을 판정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공구 인선의 마모, 완성 가공면 또는 절삭가공 한 직후에 가공 표면에 광택이 있는 색조 또는 반점이 생기는 경우, 그리고 절삭저항의 주 분력이 절삭을 시작했을 때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완성가공된 치수의 변화가 일정량에 달했을 경우"는 절삭공구의 수명을 판정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완성가공된 치수의 변화는 절삭공구의 수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드릴의 속도가 V(m/min), 지름이 d(mm)일 때, 드릴의 회전수 n(rpm)을 구하는 식은?

(정답률: 79%)
  • 드릴의 회전수 n은 V와 d에 의해 결정되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n = (1000V) / (πd)

    여기서 1000은 분(min)을 초(sec)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이고,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이 식에서 V는 m/min 단위이므로, 분당 회전수를 구하기 위해 1000을 곱해준다. d는 mm 단위이므로, 반지름을 구하기 위해 2로 나누고, 원주를 구하기 위해 π를 곱해준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절삭제의 사용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공구수명 연장
  2. 절삭 저항의 증가
  3. 공구의 온도상승 방지
  4. 가공물의 정밀도 저하방지
(정답률: 81%)
  • 절삭 저항의 증가는 공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가공물의 정밀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절삭 저항의 증가는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공물의 정밀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는?

  1. 사인 바
  2. 마이크로미터
  3. 하이트 게이지
  4. 버니어캘리퍼스
(정답률: 85%)
  • 사인 바는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 중 하나로,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측정기들은 길이나 두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사인 바는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밀링가공에서 일반적인 절삭속도 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
  2. 다듬질 절삭에서는 이송속도를 느리게 한다.
  3. 커터의 날이 빠르게 마모되면, 절삭 속도를 낮춘다.
  4. 적정 절삭속도보다 약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커터의 수명연장에 좋다.
(정답률: 56%)
  •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절삭속도가 빠를수록 커터의 마모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삭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커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21. 기준치수가 ø50인 구멍기준식 끼워 맞춤에서 구멍과 축의 공차 값이 다음과 같을 때 옳지 않은 것은?

  1. 최소 틈새는 0.009이다.
  2. 최대 죔새는 0.050이다.
  3. 축의 최소 허용치수는 50.034이다.
  4. 구멍과 축의 조립 상태는 억지 끼워 맞춤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축의 최소 허용치수는 50.034이다." 이다.

    이유는 기준치수가 ø50인 구멍기준식 끼워 맞춤에서 구멍과 축의 공차 값이 각각 0.025, 0.009이므로, 구멍의 최대치는 50.025 + 0.009 = 50.034이다. 따라서 축의 최소 허용치수는 50.034이 되어야 올바른 조립 상태가 된다.

    "최소 틈새는 0.009이다."는 축과 구멍 사이의 최소 간격을 의미하며, "최대 틈새는 0.050이다."는 축과 구멍 사이의 최대 간격을 의미한다. "구멍과 축의 조립 상태는 억지 끼워 맞춤이다."는 조립 상태가 강제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호칭지름이 3/8인치이고, 1인치 사이에 나사산이 16개인 유니파이 보통나사의 표시로 옳은 것은?

  1. UNF 3/8 - 16
  2. 3/8 - 16 UNF
  3. UNC 3/8 - 16
  4. 3/8 - 16 UNC
(정답률: 52%)
  • 정답은 "3/8 - 16 UNC"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3/8인치는 호칭지름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 16은 1인치 사이에 나사산의 개수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 UNC는 유니파이 보통나사의 표시 중 하나로, Unified National Coarse의 약자이다. 이는 나사의 간격이 넓은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3/8인치 호칭지름과 16개의 나사산, 그리고 UNC 표시가 결합된 "3/8 - 16 UNC"이 옳은 표기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UNC와 UNF의 위치가 바뀌거나, UNC 대신에 UNF가 사용되는 등 올바르지 않은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면 재질란에 “SPCC"로 표시된 재료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기계구조용 탄소 강관
  2. 냉간압연 강관 및 강대
  3. 일반구조용 탄소 강관
  4. 열간압연 강관 및 강대
(정답률: 59%)
  • SPCC는 Steel Plate Cold Rolled의 약자로, 냉간압연 강판을 나타내는 재료기호입니다. 따라서 SPCC는 냉간압연 강관 및 강대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에서 오른쪽에 구멍을 나타낸 것과 같이 측면도의 일부분만을 그리는 투상도의 명칭은?

  1. 보조 투상도
  2. 부분 투상도
  3. 국부 투상도
  4. 회전 투상도
(정답률: 56%)
  • 이 그림은 측면에서 일부분만을 보여주는 투상도이며, 이때 오른쪽에 구멍이 나타나 있으므로 "국부 투상도"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도면과 같은 데이텀 표적 도시기호의 의미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점의 데이텀 표적
  2. 선의 데이텀 표적
  3. 면의 데이텀 표적
  4. 구형의 데이텀 표적
(정답률: 71%)
  • 이 도시기호는 선의 데이텀 표적입니다. 이는 측정 대상이 되는 선의 끝점을 나타내며, 해당 점이 측정 대상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텀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현대 사회는 산업 구조의 거대화로 대량 생산 체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대량 생산화의 추세에서 기계 제도와 관련된 표준 규격의 방향으로 옳은 것은?

  1. 이익 집단 중심의 단체 규격화
  2. 민족 중심의 보수 규격화
  3. 대기업 중심의 사내 규격화
  4. 국제 교류를 위한 통용된 규격화
(정답률: 83%)
  • 대량 생산 체제에서는 기계 제도와 관련된 표준 규격이 필요하다. 이 때, 국제 교류를 위한 통용된 규격화가 옳은 방향이다. 이유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규격을 사용하면 다양한 국가와 기업 간의 협력이 원활해지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공으로 생신 커터의 줄무늬 방향이 기호를 기입한 그림의 투영면에 비스듬하게 2방향으로 교차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호는?

  1. ×
  2. C
  3. =
(정답률: 82%)
  • 정답은 "×"입니다. 이 기호는 가공으로 생신 커터의 줄무늬 방향이 기호를 기입한 그림의 투영면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인 ⊥와 반대로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는 올바른 기호가 아닙니다. "C"는 원형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이 제 3각 정투상도로 나타낸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가장 적합한 평면도는?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정답률: 79%)
  • 제 3각 정투상도에서 보면, 물체의 전면과 우측면이 모두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물체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평면도는 이 두 면이 교차하는 선분을 따라 그린 ""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체의 모양을 완전히 나타내지 못하거나, 물체의 일부분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도면에서 참고 치수를 나타내는 것은?

  1. (25)
  2. ∠ 0.01
  3. 45°
  4. 일반공차 ±0.1
(정답률: 84%)
  • 정답인 "(25)"는 도면에서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이다. 이 경우에는 25mm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각도나 공차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나타내고 있지만, "(25)"는 직접적으로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투상도 중 KS 제도 표준에 따라 가장 올바르게 작도된 투상도는?

(정답률: 72%)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KS 제도 표준에 따라 투상도를 작도할 때, 전선의 굵기와 색상, 전선과 전선 사이의 간격, 전선과 부품 사이의 간격 등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도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전선과 전선 사이의 간격입니다. ""의 경우, 전선과 전선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으며, 전선과 부품 사이의 간격도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투상도가 KS 제도 표준에 따라 가장 올바르게 작도된 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도면에서 구멍 지름을 측정한 결과 10.1 일 때 평행도 공차의 최대 허용치는?

  1. 0
  2. 0.1
  3. 0.2
  4. 0.3
(정답률: 42%)
  • 평행도 공차란 도면에서 평행한 두 선 사이의 최대 허용 오차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구멍의 지름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구멍의 지름이 가장 크거나 작을 때 평행도 공차가 가장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멍의 지름이 10.1일 때, 구멍의 지름이 10.4일 때와 9.8일 때의 평행도 공차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0.4일 때: 평행도 공차 = (10.4 - 10.1) / 2 = 0.15
    - 9.8일 때: 평행도 공차 = (10.1 - 9.8) / 2 = 0.15

    즉, 구멍의 지름이 10.1일 때 평행도 공차의 최대 허용치는 0.15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3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구멍의 지름이 10.1일 때 평행도 공차의 두 배인 값입니다. 이는 일종의 여유치를 두는 것으로, 구멍의 지름이 조금 더 커져도 허용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치수 기입에 있어서 누진 치수 기입 방법으로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70%)
  • ""이 올바른 누진 치수 기입 방법이다. 이유는 누진 치수 기입 방법은 가로, 세로, 높이 순으로 기입하며, 이 경우에는 가로 60cm, 세로 40cm, 높이 30cm 순으로 기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도면에서 ‘L' 치수는 몇 mm인가?

  1. 1200
  2. 1320
  3. 1340
  4. 1460
(정답률: 74%)
  • 'L' 치수는 1340mm이다. 이는 도면에서 왼쪽에서부터 120mm, 220mm, 1000mm, 20mm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120+220+1000+20=134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어 제도에서 선의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

  1.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2. 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본 그림을 단면도로 도시할 때는 이골(이뿌리)의 선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3. 잇봉우리원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4. 내접 헬리컬 기어의 잇줄 방향은 2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내접 헬리컬 기어의 잇줄 방향은 2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이다. 내접 헬리컬 기어의 잇줄 방향은 굵은 실선과 점선으로 표시한다. 굵은 실선은 기어의 왼쪽에서 본 잇줄 방향을 나타내고, 점선은 기어의 오른쪽에서 본 잇줄 방향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등각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경우 3각법으로 투상한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2%)
  •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경우, 그림에서 보이는 선분 AB와 CD는 평행하다. 따라서, 등각투상도에서 이 두 선분을 포함하는 평면은 평행사변형이 된다. 이에 따라, ""가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계제도에서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범위)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1점 쇄선
  3. 가는 실선
  4. 굵은 1점 쇄선
(정답률: 59%)
  • 기계제도에서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범위)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굵은 1점 쇄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가공 범위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굵은 실선이나 가는 실선으로는 구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는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치수선이나 중심선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므로, 가공 범위를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구멍 기준식 억지 끼워맞춤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ø50 X7/h6
  2. ø50 H7/h6
  3. ø50 H7/s6
  4. ø50 F7/h6
(정답률: 60%)
  • 정답은 "ø50 H7/s6"입니다.

    - ø50: 구멍의 직경이 50mm이라는 뜻입니다.
    - H7: 구멍의 정밀도 등급을 나타내는 기준식입니다. H7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한 기준으로, 구멍의 직경이 클수록 허용 오차 범위가 넓어집니다. H7 등급은 일반적인 기계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 s6: 축의 직경에 대한 허용 오차 범위를 나타내는 기준식입니다. s6은 H7 등급과 함께 많이 사용되며, 축의 직경이 클수록 허용 오차 범위가 넓어집니다.

    따라서 "ø50 H7/s6"은 구멍의 직경이 50mm이고, H7 등급과 s6 등급에 따라 정밀도와 허용 오차 범위가 결정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구름베어링의 안지름 번호에 대하여 베어링의 안지름 치수를 잘못 나타낸 것은?

  1. 안지름번호 : 01 - 안지름 : 12mm
  2. 안지름번호 : 02 - 안지름 : 15mm
  3. 안지름번호 : 03 - 안지름 : 18mm
  4. 안지름번호 : 04 - 안지름 : 20mm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이 용접기호가 도시되었을 경우 그 의미로 옳은 것은?

  1. 양면 V형 맞대기 용접으로 표면 모두 평면 마감 처리
  2. 이면 용접이 있으며 표면 모두 평면 마감 처리한 V형 맞대기 용접
  3. 토우를 매끄럽게 처리한 V형 용접으로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 사용
  4. 넓은 루트면이 있고 이면 용접된 필릿 용접이며 윗면을 평면 처리
(정답률: 61%)
  • 용접기호에서 V는 용접 형태를 나타내며, 양면 V형 맞대기 용접은 V자 모양으로 된 용접이 양쪽 면에 있으며, 표면이 모두 평면 마감 처리된 용접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이면 용접이 있으며 표면 모두 평면 마감 처리한 V형 맞대기 용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빗줄 널링(knurling)의 표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축선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도시한다.
  2. 축선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도시한다.
  3. 축선에 대하여 30°로 엇갈리게 일정한 간격으로 도시한다.
  4. 축선에 대하여 80°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도시한다.
(정답률: 74%)
  • 빗줄 널링은 회전하는 원통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도시하여 그 표면에 손잡이처럼 잡기 쉽도록 만드는 공정입니다. 이때, 빗줄을 어떤 각도로 도시하느냐에 따라서 그 표면의 느낌이나 미관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가장 올바른 표시 방법은 "축선에 대하여 30°로 엇갈리게 일정한 간격으로 도시한다." 입니다. 이유는 30°로 엇갈리게 도시하면 빗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서 그립기 좋은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빗줄이 너무 깊지 않아서 표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1. 뜨임 취성(Temper brittleness)을 방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

  1. Mo
  2. Ni
  3. Cr
  4. Zr
(정답률: 69%)
  • Mo는 뜨임 취성을 방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Mo가 고온에서도 높은 인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뜨임 취성은 금속이 고온에서 빠르게 파괴되는 현상으로, 이는 금속 내부의 결정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Mo는 이러한 구조 변화를 방지하여 뜨임 취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95%Cu-5%Zn 합금으로 연하고 코이닝(coining)하기 쉬우므로 동전, 메달 등에 사용되는 황동의 종류는?

  1. Naval brass
  2. Cartridge brass
  3. Muntz metal
  4. Gilding metal
(정답률: 59%)
  • 95%Cu-5%Zn 합금은 연하고 코이닝하기 쉬우므로 동전, 메달 등에 사용되는 황동의 종류 중 하나인 "Gilding metal"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비율의 황동 합금으로, 그 중에서도 Gilding metal은 가장 많은 구리 함량을 가지고 있어 연성이 뛰어나며, 동전과 같은 작은 물건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Kelmet의 주요 합금조성으로 옳은 것은?

  1. Cu-Pb계 합금
  2. Zn-Pb계 합금
  3. Cr-Pb계 합금
  4. Mo-Pb계 합금
(정답률: 56%)
  • Kelmet은 주로 Cu-Pb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주로 구리와 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합금은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연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Fe-C 평행상태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반응은?

  1. 공정반응
  2. 편정반응
  3. 포정반응
  4. 공석반응
(정답률: 64%)
  • Fe-C 평행상태도는 철과 탄소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 편정반응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편정반응이 철과 탄소의 상태 변화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편정반응은 주로 금속과 비금속 간의 반응에서 일어나며, 철과 탄소는 모두 금속이기 때문에 편정반응은 나타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쾌삭강에서 피삭성을 좋게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Mn
  2. Si
  3. C
  4. S
(정답률: 45%)
  • 쾌삭강은 고강도 강으로,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지만 가공성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피삭성을 좋게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원소는 S (황) 입니다. S는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열처리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Mn, Si, C는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쾌삭강에서는 S가 가장 적합한 첨가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반도체 재료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 원소는?

  1. Co, Ni
  2. Ge, Si
  3. W, Pb
  4. Fe, Cu
(정답률: 56%)
  • 반도체 재료에 사용되는 원소는 전자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도체 원소여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소는 Ge(게르마늄)과 Si(실리콘)입니다. 이 두 원소는 반도체 소자의 핵심적인 부품으로 사용되며, 전자의 이동성과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Ge와 Si가 반도체 재료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블랭킹 및 피어싱 펀치로 사용되는 금형재료가 아닌 것은?

  1. STD11
  2. STS3
  3. STC3
  4. SM15C
(정답률: 61%)
  • SM15C은 블랭킹 및 피어싱 펀치에 사용되는 금형재료가 아닙니다. SM15C은 일반적으로 중간 열처리 강재로 사용되며, 높은 인장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블랭킹 및 피어싱 펀치에 사용되는 금형재료는 주로 고탄소강 또는 합금강으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조 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주물 표면을 급냉시킴으로써 백선화하고, 경도를 증가시킨 내마모성 주철은?

  1. 구상흑연주철
  2. 가단(malleable)주철
  3. 칠드(chilled)주철
  4. 미해나이트(meehanite)주철
(정답률: 52%)
  • 칠드주철은 냉금을 통해 급냉시켜 백선화하고 경도를 증가시킨 내마모성 주철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주물 표면을 급냉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주조 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급냉시키는 칠드주철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불변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인바
  2. 엘린바
  3. 코엘린바
  4. 스프링강
(정답률: 70%)
  • 스프링강은 불변강이 아닙니다. 스프링강은 탄성이 높은 강으로, 변형력이 높아서 변형 후에도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강은 유연한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성형수축이 적고, 성형 가공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는?

  1. 페놀 수지
  2. 멜라민 수지
  3. 에폭시 수지
  4. 폴리스티렌 수지
(정답률: 49%)
  • 폴리스티렌 수지는 성형수축이 적고, 성형 가공성이 양호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열가소성이 높아서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폴리스티렌 수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4kN·m의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전동축의 지름은 약 몇 mm인가? (단, 축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은 60MPa이다.)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25%)
  • 전단응력과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τ = Tc / J

    여기서 τ는 전단응력, T는 비틀림 모멘트, c는 축의 반지름, J는 극관성이다.

    이를 축의 지름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τ = 16T / (πd^3)

    여기서 d는 축의 지름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60MPa = 16(4kN·m) / (πd^3)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3 = 16(4kN·m) / (60MPaπ) = 0.00424

    d = 0.15

    따라서, 축의 지름은 약 7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양쪽 기울기를 가진 코터에서 저절로 빠지지 않기 위한 자립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α는 코터 중심에 대한 기울기 각도이고, ρ는 코터와 로드엔드와의 접촉부 마찰계수에 대응하는 마찰각이다.)

  1. α ≦ ρ
  2. α ≧ ρ
  3. α ≦ 2ρ
  4. α ≧ 2ρ
(정답률: 51%)
  • 자립조건은 코터에서 로드엔드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조건이다. 이를 위해서는 로드엔드가 코터 내부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존재해야 한다. 이 힘은 마찰력으로 작용하며, 마찰력은 로드엔드와 코터 사이의 마찰각에 비례한다. 따라서 마찰각이 기울기 각도보다 크거나 같아야 자립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즉, α ≦ ρ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용접 가공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작비가 저렴하다.
  2. 기밀 및 수밀성이 양호하다.
  3. 열 영향에 의한 재료의 변질이 거의 없다.
  4. 잔류응력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68%)
  • 정답: "잔류응력이 발생하기 쉽다."

    용접 가공은 기존의 부품을 연결하거나 새로운 부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열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이 때 잔류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부품 내부에서 열이 분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 영향에 의한 재료의 변질이 거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스프링장치에서 각 스프링 상수k1=40N/cm, k2=50N/cm, k3=60N/cm이다. 하중 방향의 처짐이 150mm일 때 작용하는 하중 P는 약 몇 N인가?

  1. 2250
  2. 964
  3. 389
  4. 243
(정답률: 30%)
  • 스프링 상수와 처짐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 = kx

    각 스프링의 상수와 처짐을 이용하여 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F1 = k1x1 = 40 × 3 = 120N

    F2 = k2x2 = 50 × 2 = 100N

    F3 = k3x3 = 60 × 1 = 60N

    각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의 합은 하중 P와 같다.

    P = F1 + F2 + F3 = 120 + 100 + 60 = 280N

    하지만, 스프링장치는 처짐이 150mm일 때 균형을 이루므로,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의 합은 0이어야 한다.

    F1 + F2 + F3 = 0

    k1x1 + k2x2 + k3x3 = 0

    40 × 3 + 50 × 2 + 60 × 1 = 0

    따라서, 작용하는 하중 P는 280N에서 0을 뺀 280N이다.

    정답은 280N이지만, 보기에서는 280N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43N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작용하중의 방향에 따른 베어링 분류 중에서 축선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하중과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데 사용하는 베어링은?

  1.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
  2.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3. 테이퍼 베어링(taper bearing)
  4. 칼라 베어링(collar bearing)
(정답률: 36%)
  • 테이퍼 베어링은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과 축선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때 사용되는 베어링입니다. 이는 베어링의 내부 구조가 원통형이 아닌 원뿔형으로 되어 있어, 하중이 가해질 때 축선 방향으로의 하중을 받으면서 동시에 축선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하중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테이퍼 베어링은 대부분의 회전 장비에서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의 바퀴 베어링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회전속도가 8m/s로 전동되는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가죽 벨트의 폭(b)×두께(t)=116mm×8mm인 경우, 최대전달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벨트의 허용인장응력은 2.35MPa, 장력비(θ)는 2.5이며, 원심력은 무시하고 벨트의 이음효율은 100%이다.)

  1. 7.45
  2. 10.47
  3. 12.08
  4. 14.46
(정답률: 38%)
  • 먼저, 벨트의 최대전달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대전달동력 = (장력비 × 허용인장응력 × 가동면적 × 회전속도) / 1000

    여기서, 가동면적은 가죽 벨트의 폭(b)×두께(t)이다.

    따라서, 최대전달동력 = (2.5 × 2.35 × 0.116 × 8) / 1000 = 0.023 kW

    하지만, 문제에서 벨트의 이음효율이 100%로 주어졌으므로, 최종적으로 최대전달동력은 0.023 kW × 100% = 0.023 kW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kW로 주어졌으므로, 최대전달동력은 0.023 kW = 10.47 kW이다. 따라서, 정답은 "10.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블록 브레이크에서 막대 끝에 작용하는 조작력 F와 브레이크의 제동력 Q와의 관계식은? (단, 드럼은 반시계방향 회전을 하고 마찰계수는 μ이다.)

(정답률: 49%)
  • 블록 브레이크에서 막대 끝에 작용하는 힘 F는 드럼과 막대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 때, 마찰력은 드럼과 막대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크기는 μQ이다. 따라서, F = μQ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안지름 300mm, 내압 100N/cm2이 작용하고 있는 실린더 커버를 12개의 볼트로 체결하려고 한다. 볼트 1개에 작용하는 하중 W은 약 몇 N인가?

  1. 3257
  2. 5890
  3. 8976
  4. 11245
(정답률: 40%)
  • 압력은 내압 100N/cm2이므로, 실린더 커버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실린더 커버의 지름은 안지름 300mm이므로, 반지름은 150mm이다. 따라서 면적은 πr2 = 3.14 x 1502 = 70650mm2 이다.

    12개의 볼트로 체결하므로, 각 볼트가 견디는 하중은 전체 하중을 12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W = (내압 x 면적) / 12 = (100 x 70650) / 12 = 5890N 이다.

    따라서 정답은 "58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재료가 저항할 수 있는 최대의 응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단, 공칭응력을 기준으로 한다.)

  1. 비례한도(proportional limit)
  2. 탄성한도(elastic limit)
  3. 항복점(yield point)
  4. 극한강도(ultimate strength)
(정답률: 62%)
  • 극한강도는 재료가 더 이상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파괴되는 지점으로, 재료가 저항할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재료의 공칭응력이 극한강도에 도달하면 재료는 파괴되게 된다. 비례한도, 탄성한도, 항복점은 모두 재료가 변형되는 범위에서의 응력-변형률 특성을 나타내지만, 극한강도는 재료의 파괴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성질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기어에서 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피치원지름
  2. 원주피치
  3. 모듈
  4. 지름피치
(정답률: 40%)
  • 피치원지름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이 아닙니다. 피치원지름은 기어의 피치원에 대한 지름을 의미하며, 피치원은 기어의 치형선과 평행한 원입니다. 따라서 피치원지름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어의 치형선과 평행한 원의 지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은 모듈, 원주피치, 지름피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컴퓨터응용설계

61. 다음 중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의 일반적인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CD와 달리 자체 발광이라 백라이트가 필요 없다.
  2. CRT와 달리 발광 소자의 수명이 길어서 번인(burn-in) 현상과 같은 단점이 없다.
  3. 박막화가 가능하고 무게를 가볍게 설계할 수 있다.
  4. TFT-LCD보다도 시야각이 넓어서 어느 방향에서나 동일한 화질을 볼 수 있다.
(정답률: 55%)
  • "발광 소자의 수명이 길어서 번인(burn-in) 현상과 같은 단점이 없다."가 일반적인 OLED 디스플레이의 장점이 아니다.

    번인 현상은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CRT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화면에 특정 이미지가 오랫동안 고정되어 있을 경우 그 부분이 지속적으로 밝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OLED 디스플레이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LCD 디스플레이보다는 덜 발생한다.

    따라서, "CRT와 달리 발광 소자의 수명이 길어서 번인(burn-in) 현상과 같은 단점이 없다."는 OLED 디스플레이의 일반적인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IGES 파일 구조가 가지는 5가지 section이 아닌 것은?

  1. directory entry section
  2. global section
  3. start section
  4. local section
(정답률: 57%)
  • IGES 파일 구조는 "directory entry section", "global section", "start section", "parameter data section", "terminate section" 총 5가지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local section"은 IGES 파일 구조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local section"은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이 x2+y2-2=0인 원이 있다. 원 위의 점 P(1,1)에서 접선의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1. 2(x-1)+2(y-1)=0
  2. (x-1)-(y-1)=0
  3. 2(x+1)+2(y-1)=0
  4. (x+1)+(y+1)=0
(정답률: 44%)
  • 원의 방정식을 정리하면 x2+y2=2이다. 점 P(1,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원의 접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접점을 구해야 한다. 원의 방정식을 미분하면 2x+2y(dy/dx)=0이므로, 접점에서의 기울기는 -x/y이다. 따라서 접점에서의 기울기는 -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1=-1(x-1)이다. 이를 정리하면 y=-x+2이므로, 2(x-1)+2(y-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제시된 단면곡선을 안내곡선에 따라 이동하면서 생기는 궤적을 나타낸 곡면은?

  1. 룰드(ruled) 곡면
  2. 스윕(sweep) 곡면
  3. 보간 곡면
  4. 블랜딩(blending) 곡면
(정답률: 73%)
  • 제시된 단면곡선을 안내곡선으로 하여 이동하면서 생기는 궤적을 나타내는 곡면은 스윕(sweep) 곡면이다. 스윕 곡면은 하나의 곡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생기는 궤적을 나타내는 곡면으로, 단면곡선과 안내곡선이 평행한 경우에는 룰드(ruled) 곡면이 되고, 두 곡선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보간 곡면이나 블랜딩(blending) 곡면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솔리드 모델링에서 모델링 결과 알 수 있는 물리적 성질(property)이 아닌 것은?

  1. 부피
  2. 표면적
  3. 비틀림 모멘트
  4. 부피중심
(정답률: 67%)
  • 솔리드 모델링에서 모델링 결과 알 수 있는 물리적 성질은 부피, 표면적, 부피중심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비틀림 모멘트는 솔리드 모델링에서 알 수 없는 물리적 성질입니다. 비틀림 모멘트는 구조물이 비틀림력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 성질이며, 이는 구조물의 재료와 형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솔리드 모델링으로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비틀림 모멘트는 솔리드 모델링에서 알 수 없는 물리적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와이어프레임 모델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데이터의 구성이 간단하다.
  2. 처리속도가 빠르다.
  3.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불가능하다.
  4.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정답률: 71%)
  •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는 와이어프레임 모델의 특징이 아니다. 와이어프레임 모델은 3차원 객체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모델로,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불가능하고 데이터의 구성이 간단하며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은선 제거는 모델링 과정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와이어프레임 모델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3D형상정보를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부분의 3D좌표가 2D좌표정보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3D형상에 대한 좌표정보를 2D평면좌표로 변환해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점 변환
  2. 축척 변환
  3. 투영 변환
  4. 동차 변환
(정답률: 62%)
  • 3D형상은 3차원 공간에서 표현되지만, 화면은 2차원 평면이기 때문에 3D좌표를 2D좌표로 변환해야 한다. 이때, 3D좌표를 2D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을 투영 변환이라고 한다. 투영 변환은 3D좌표를 2D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시점, 시야각, 원근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3D형상을 실제와 유사하게 2D화면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3D형상을 2D화면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투영 변환이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프린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DPI”의 원어은?

  1. digit per increment
  2. digit per inch
  3. dot per increment
  4. dot per inch
(정답률: 60%)
  • 정답: "dot per inch"

    해설: DPI는 "dot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프린터에서는 인쇄물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인치당 도트 수가 높을수록 인쇄물의 해상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DPI는 프린터의 인쇄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2차원 평면에서 y=3x+4인 직선에 직교하면서 점(3, 1)인 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 y=-(1/3)x+2
  2. y=3x+10
  3. y=3x-8
  4. y=-(1/3)x+1
(정답률: 38%)
  • 두 직선이 직교한다는 것은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y=3x+4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1/3이다. 또한, 지나는 점이 (3,1)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절편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y=-(1/3)x+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컴퓨터를 이용한 형상 모델링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형상 모델링(geometric modeling)은 물체의 모양을 완전히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컴퓨터 그래픽스(computer graphics)는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부품의 설계나 복잡한 형상을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3. 3차원 모델링 및 설계는 현실감 있는 3차원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지만, 물리적 모델(목업 등)에 비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4. 구조물의 응력해석, 열전달, 변형 및 다른 특성들도 시각적 기법들로 잘 표현될 수 있다.
(정답률: 67%)
  • 틀린 설명은 "3차원 모델링 및 설계는 현실감 있는 3차원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지만, 물리적 모델(목업 등)에 비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다. 실제로는 3D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은 물리적 모델링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며, 더욱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산업에서는 3D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주어진 물체를 윈도우에 디스플레이할 때 윈도우 내에 포함되는 부분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2차원 절단 코헨-서더랜드 알고리즘은 윈도우를 포함한 2차원 평면을 9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을 비트 스트링(bit string)으로 표현한다. 모든 영역을 최소 비트 수로 표현하기 위하여 이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코드의 길이는?

  1. 3-비트
  2. 4-비트
  3. 5-비트
  4. 6-비트
(정답률: 56%)
  • 2차원 평면을 9개의 영역으로 나누면 각 영역은 최대 4개의 변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각 영역을 표현하기 위해 최대 4비트가 필요하다. 이를 모든 영역에 대해 적용하면, 최소 비트 수는 4비트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AD 모델링 방법 중 형상 구속 조건과 치수 조건을 이용하여 형태를 모델링하는 방식은?

  1. Feature-based modeling
  2. Parametric modeling
  3. Hybrid modeling
  4. Non-manifold modeling
(정답률: 67%)
  • Parametric modeling은 형상 구속 조건과 치수 조건을 이용하여 형태를 모델링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모델링 과정에서 변수를 사용하여 모델을 조작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자인 변경에 대한 대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디자인의 유연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베지어 곡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곡면을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2. 곡면의 코너와 코너 조정점이 일치한다.
  3. 곡면이 조정점들의 볼록포(convex hull) 내부에 포함된다.
  4. 곡면이 일반적인 조정점의 형상에 따른다.
(정답률: 54%)
  • 정답: "곡면을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베지어 곡면은 조정점들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모양이 결정되며, 코너와 코너 조정점이 일치하고 볼록포 내부에 포함되는 등의 특징을 가지지만, 이 곡면은 부분적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이는 조정점들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추가/삭제하여 곡면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곡면을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가 베지어 곡면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모델링 기법 중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공정계획(CAPP)에 가장 적합한 모델링 기법은?

  1. 특징형상 모델링
  2. 경계 모델링
  3.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4. 조립 모델링
(정답률: 56%)
  • 특징형상 모델링은 제품의 특징을 중심으로 모델링하는 기법으로, 제품의 형상과 기능적 특징을 분석하여 자동공정계획(CAPP)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자동공정계획(CAPP)에 가장 적합한 모델링 기법은 "특징형상 모델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솔리드모델링 방법 중 CSG 방식과 비교할 때 B-rep 방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메모리 용량이 적다.
  2.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3. 3면도, 투시도, 전개도의 작성이 용이하다.
  4. 자료 구조가 단순하다.
(정답률: 61%)
  • B-rep 방식은 객체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도 객체의 형상과 속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메모리 용량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3면도, 투시도, 전개도의 작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객체의 형상과 속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자료 구조가 단순하다는 특징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반지름이 3이고, 중심점이 (1,2)인 원의 방정식은?

  1. (x-1)2+(y-2)2=3
  2. (x-3)2+(y-1)2=2
  3. x2-2x+y2-4y+4=0
  4. x2-2x+y2-4y-4=0
(정답률: 28%)
  • 정답은 "(x-1)2+(y-2)2=3" 이다.

    원의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x-a)2+(y-b)2=r2"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a,b)는 원의 중심점이고 r은 반지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b) = (1,2), r = 3 이므로 "(x-1)2+(y-2)2=3" 이 원의 방정식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식이 잘못되었거나 다른 원의 방정식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적인 CAD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문자나 데이터의 편집 기능
  2. 디스플레이 제어기능
  3. 도면 작성 기능
  4. 가공정보 제어기능
(정답률: 58%)
  • 일반적인 CAD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가공정보 제어기능"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 기능은 CNC 기계와 연동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으로, CAD 소프트웨어와는 별도로 제어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가공정보 제어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반적인 B-Spline 곡선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곡선의 차수는 조정점의 개수와 무관하다.
  2. 곡선의 형상을 국부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3. 원, 타원, 포물선과 같은 원추곡선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4. 조정점의 수가 오더(k)와 같은 비주기적 균일 B-Spline 곡선은 베지어 곡선과 같다.
(정답률: 36%)
  • "원, 타원, 포물선과 같은 원추곡선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B-Spline 곡선은 일반적으로 원, 타원, 포물선과 같은 원추곡선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이러한 곡선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고차 B-Spline 곡선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2차원 평면에서 원(circle)을 정의하고자 할 때 필요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중심점과 원주상의 한 점으로 정의
  2. 원주상의 3개의 점으로 정의
  3. 두 개의 접선으로 정의
  4. 중심점과 하나의 접선으로 정의
(정답률: 62%)
  • 원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중심점과 반지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중심점과 원주상의 한 점으로 정의"와 "원주상의 3개의 점으로 정의"는 모두 올바른 조건입니다. 하지만 "두 개의 접선으로 정의"는 원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접선이 2개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조건입니다. "중심점과 하나의 접선으로 정의"도 마찬가지로 원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접선이 1개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하여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레지스터의 일정으로 산술연산 혹은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2. 연산명령이 주어지면 연산준비를 하는 장소이다.
  3. 연산명령의 순서를 기억하는 장소이다.
  4. 연산부호를 해독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5%)
  • 누산기는 산술연산이나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의 일종입니다. 즉,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