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기계설계산업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다음 중 기어 가공의 절삭법이 아닌 것은?

  1. 형판을 이용하는 절삭법
  2. 다인 공구를 이용하는 절삭법
  3. 총형 공구를 이용하는 절삭법
  4. 창성을 이용하는 절삭법
(정답률: 70%)
  • 다인 공구는 절삭법이 아니라, 다인 공구를 이용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가공법이다. 따라서, 다인 공구를 이용하는 절삭법이 아니라는 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으로 니형 밀링머신의 크기 또는 호칭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콜릿 척의 크기
  2. 테이블 작업면의 크기(길이×폭)
  3. 테이블의 이동거리(좌우×전후×상하)
  4. 테이블의 전·후 이송을 기준으로 한 호칭번호
(정답률: 75%)
  • 콜릿 척의 크기는 니형 밀링머신의 크기나 호칭을 표시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콜릿 척은 밀링머신의 회전하는 축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물을 잡아주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밀링머신의 크기나 호칭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콜릿 척의 크기를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구성인선(built-up edg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절삭 속도를 높인다.
  2. 절삭 깊이를 깊게 한다.
  3. 절삭유를 충분히 공급한다.
  4. 공구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정답률: 77%)
  • 절삭 깊이를 깊게 한다는 것은 더 많은 압력과 마찰이 발생하므로 구성인선 형성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은 대책이다. 따라서 정답은 "절삭 깊이를 깊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허용할 수 있는 부품의 오차 정도를 결정한 후 각각 최대 및 최소 치수를 설정하여 부품의 치수가 그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사하는 게이지는?

  1. 다이얼 게이지
  2. 게이지 블록
  3. 간극 게이지
  4. 한계 게이지
(정답률: 72%)
  • 한계 게이지는 부품의 오차 범위를 결정하고, 각각 최대 및 최소 치수를 설정하여 부품의 치수가 그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사하는 게이지이다. 따라서, 부품의 한계치를 검사하는데 사용되며, 한계치를 벗어나면 불량품으로 판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반가공에 영향을 주는 절삭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송이 증가하면 가공변질층은 깊어진다.
  2. 절삭각이 커지면 가공변질층은 깊어진다.
  3. 절삭속도가 증가하면 가공변질층은 얕아진다.
  4. 절삭온도가 상승하면 가공변질층은 깊어진다.
(정답률: 54%)
  • "절삭온도가 상승하면 가공변질층은 깊어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절삭온도가 상승하면 재료 내부의 결정구조가 변화하고, 재료의 인성이 감소하여 가공변질층이 깊어집니다. 이는 절삭조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드릴로 구멍 가공은 한 다음에 사용하는 공구가 아닌 것은?

  1. 리머
  2. 센터 펀치
  3. 카운터 보어
  4. 카운터 싱크
(정답률: 85%)
  • 드릴로 구멍을 가공한 후에는 센터 펀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센터 펀치가 구멍을 가공하는 공구가 아니라, 드릴링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구멍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리머, 카운터 보어, 카운터 싱크는 모두 드릴로 가공한 구멍을 정확하게 마무리하거나, 다른 부품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수용성 절삭유에 속하는 것은?

  1. 유화유
  2. 혼성유
  3. 광유
  4. 동식물유
(정답률: 62%)
  • 수용성 절단유는 물과 섞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유화유는 물과 섞이는 성질이 가장 높아 수용성 절단유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화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면에 편심량이 3mm로 주어졌다. 이때 다이얼 게이지 눈금의 변위량이 얼마로 나타나도록 편심시켜야 하는가?

  1. 3mm
  2. 4.5mm
  3. 6mm
  4. 7.5mm
(정답률: 77%)
  • 다이얼 게이지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심량이 증가할수록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 변위량도 증가한다. 이때 편심량이 3mm이므로,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 변위량은 편심량의 2배인 6mm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대형이며 중량이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밀링머신으로 중절삭이 가능한 것은?

  1. 나사 밀링머신(thread milling machine)
  2. 만능 밀링머신(universal milling machine)
  3. 생산형 밀링머신(production milling machine)
  4. 플레이너형 밀링머신(planer milling machine)
(정답률: 75%)
  • 플레이너형 밀링머신은 대형이며 중량이 있어 공작물을 가공하기에 적합하며, 중절삭이 가능한 밀링머신입니다. 이는 큰 면적을 가공할 수 있고, 고정된 작업대 위에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형 공작물을 가공하는데 적합한 밀링머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게이지 블록 중 표준용(calibration grade)으로서 측정기류의 정도 검사 등에 사용되는 게이지 등급은?

  1. 00(AA)급
  2. 0(A)급
  3. 1(B)급
  4. 2(C)급
(정답률: 69%)
  • 0(A)급은 가장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게이지 등급으로, 측정기류의 정도 검사 등에 사용됩니다. 다른 등급들보다 더 높은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표준용(calibration grade)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원주를 단식 분할법으로 32등분하고자 할 때, 다음 준비된 분할판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16구멍 열에서 1 회전과 4 구멍씩
  2. 20구멍 열에서 1 회전과 10 구멍씩
  3. 27구멍 열에서 1 회전과 18 구멍씩
  4. 33구멍 열에서 1 회전과 18 구멍씩
(정답률: 62%)
  • 원주를 32등분하려면 분할판의 구멍 수가 32의 약수여야 한다. 따라서 16구멍 열에서 1회전과 4구멍씩으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20구멍 열에서 1회전과 10구멍씩, 27구멍 열에서 1회전과 18구멍씩, 33구멍 열에서 1회전과 18구멍씩으로 분할하면 구멍 수가 32의 약수가 아니므로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산화알루미늄(Al2O3) 분말을 주성분으로 소결한 적살공구 재료는?

  1. 세라믹
  2. 고속도강
  3. 다이아몬도
  4. 주조경질합금
(정답률: 76%)
  • 산화알루미늄(Al2O3)은 비금속성 물질로서, 소결 공정을 통해 고온과 압력으로 결합력이 강한 결정체로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결체는 세라믹이라고 불리며, 고온에 강하고 내식성이 뛰어나며, 전기저항성과 열저항성이 높은 재료입니다. 따라서, 산화알루미늄(Al2O3) 분말을 주성분으로 소결한 적살공구 재료는 세라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삭가공 중 가공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나빠지고 정밀도가 저하되는 떨림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숫돌의 평형 상태가 불량할 경우
  2. 숫돌축이 편심되어 있을 경우
  3. 숫돌의 결합도가 너무 작을 경우
  4. 연삭기 자체에 진동이 있을 경우
(정답률: 68%)
  • 숫돌은 연삭가공 시 회전하면서 가공표면을 연마하는데, 이때 숫돌의 결합도가 너무 작으면 숫돌이 가공표면에 충분한 압력을 전달하지 못하게 되어 가공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나빠지고 정밀도가 저하되는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숫돌의 결합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속도강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저탄소강재를 절삭할 때 가장 일반적인 구성인선(built-up edge)의 임계 속도(m/min)는?

  1. 50
  2. 120
  3. 150
  4. 170
(정답률: 68%)
  • 고속도강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저탄소강재를 절삭할 때, 일반적으로 구성인선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절삭면과 칩 사이에 임시적으로 쌓이는 칩의 층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절삭력이 증가하면서 칩이 끊어지면 구성인선이 사라진다. 이러한 구성인선 현상이 발생하는 속도를 임계 속도라고 한다.

    저탄소강재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성인선 현상이 발생하는 임계 속도는 120m/min이다. 이는 저탄소강재의 재료 특성과 고속도강 절삭공구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도출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120"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NC선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은 공구대가 전후좌우의 2방향으로 이동하므로 2축을 사용한다.
  2. 휴지(dwell)기능은 지정한 시간 동안 이송이 정지되는 기능을 의미한다.
  3. 좌표치의 지령방식에는 절대지령과 증분지령이 있고, 한 블록에 2가지를 혼합하여 지령할 수 없다.
  4. 테이퍼나 원호를 절삭 시, 임의의 인선 반지름을 가지는 공구의 인선 반지름에 의한 가공 경로의 오차를 CNC장치에서 자동으로 보정하는 인선 반지름 보정 기능이 있다.
(정답률: 63%)
  • "CNC선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좌표치의 지령방식에는 절대지령과 증분지령이 있고, 한 블록에 2가지를 혼합하여 지령할 수 없다."이다. 이유는 CNC선반에서는 한 블록에 절대지령과 증분지령을 혼합하여 지령할 수 있다. 이는 프로그래밍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반에서 테이퍼의 각이 크고 길이가 짧은 테이퍼를 가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백기어 사용 방법
  2. 심압대의 편위 방법
  3. 복식 공구대를 경사시키는 방법
  4. 테이퍼 절삭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50%)
  • 복식 공구대를 경사시키는 방법은 테이퍼의 각이 크고 길이가 짧은 경우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복식 공구대를 경사시켜 테이퍼를 가공할 때, 공구의 회전축과 테이퍼의 축이 일치하도록 조정하여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가공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밀링머신에 관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장갑이 끼지 않도록 한다.
  2. 가공 중에 손으로 가공면을 점검하지 않는다.
  3. 칩 받이가 있기 때문에 보호안경은 필요없다.
  4. 강력 절삭을 할 때에는 공작물을 바이스에 깊게 물린다.
(정답률: 88%)
  • 칩 받이가 있어도 보호안경은 필요하다. 칩 받이는 칩이 튀는 것을 막아주지만, 보호안경은 눈을 보호해준다. 따라서 "칩 받이가 있기 때문에 보호안경은 필요없다."는 틀린 안전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탭(tap)이 부러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경우
  2. 구멍이 바르지 못하고 구부러진 경우
  3. 탭 선단이 구멍바닥에 부딪혔을 경우
  4. 탭의 지름에 적합한 핸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정답률: 80%)
  • 탭이 부러지는 원인은 대부분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경우입니다. 이는 탭이 부러지기 전에 나사 구멍에 대한 압력이 너무 커져서 탭이 부러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구멍이 바르지 못하고 구부러지거나 탭 선단이 구멍바닥에 부딪혔을 경우에도 탭이 부러질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것보다는 구멍이나 탭의 디자인 문제가 더 큰 역할을 합니다. 탭의 지름에 적합한 핸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탭이 부러질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탭 자체의 문제보다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가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늘고 긴 일정한 단면 모양을 가진 공구에 많은 날을 가진 절삭 공구가 사용되며, 공작물의 홈을 빠르게 가공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가공 방법은?

  1. 보링(boring)
  2. 태핑(tapping)
  3. 셰이핑(shaping)
  4. 브로칭(broaching)
(정답률: 74%)
  • 브로칭은 가늘고 긴 일정한 단면 모양을 가진 공구에 많은 날을 가진 절삭 공구를 사용하여 공작물의 홈을 빠르게 가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보링이나 태핑, 셰이핑보다 더욱 정밀하고 빠른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브로칭이 가공 방법으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삭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팽창에 의해 발생된다.
  2. 공석강에 가까운 탄소강에서 자주 발생된다.
  3. 연삭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결합도가 연한 숫돌을 사용한다.
  4. 이송을 느리게 하고 연삭액을 충분히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38%)
  • "이송을 느리게 하고 연삭액을 충분히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연삭균열은 열팽창에 의해 발생하며, 공석강에 가까운 탄소강에서 자주 발생한다. 연삭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결합도가 강한 숫돌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이송을 느리게 하고 연삭액을 충분히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21. 다음 도면의 크기 중 A1 용지의 크기를 나타낸 것은? (단, 치수의 단위는 mm이다.)

  1. 841×1189
  2. 594×841
  3. 420×594
  4. 297×420
(정답률: 71%)
  • A1 용지는 ISO 216 표준에 따라 2:1 비율로 만들어진 용지이다. 따라서 A0 용지의 크기는 841×1189mm 이고, A1 용지는 이를 반으로 접은 크기인 594×841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94×84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은 표면의 결 도시기호에 C가 의미하는 것은?

  1.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투상면에 평행
  2.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투상면에 경사지고 두 방향으로 교차
  3.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투상면의 중심에 대한 동심원 모양
  4.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투상면에 대해 여러 방향
(정답률: 80%)
  • C는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투상면의 중심에 대한 동심원 모양"을 의미합니다. 이는 표면의 가공 방향이 투상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가공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유는 이러한 가공 방법을 사용하면 표면의 강도와 경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며, 또한 미끄러짐 방지 효과도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용접기호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개선 각이 급격한 V형 맞대기 용접
  2. 개선 각이 급격한 일면 개선형 맞대기 용접
  3. 가장자리(edge) 용접
  4. 표면 육성
(정답률: 65%)
  • 그림에서 두 개의 부품이 가장자리(edge)에서 용접되고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edge) 용접"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용접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3각법으로 정투상한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대한 우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59%)
  • 정면도와 평면도에서는 물체의 깊이와 높이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각선으로 투영된 우측면도가 가장 적합하다. ""은 대각선으로 투영되어 있어서 물체의 깊이와 높이를 파악하기 쉽다. 다른 보기들은 물체의 형태가 왜곡되거나 일부분이 잘리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과 같은 치수 120 숫자 위의 기호가 뜻하는 것은?

  1. 원호의 길이
  2. 참고 치수
  3. 현의 길이
  4. 각도 치수
(정답률: 79%)
  • 위 그림에서 기호는 "원호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원의 일부분이 직선으로 잘린 부분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참고 치수", "현의 길이", "각도 치수"는 모두 원호와 관련이 없는 다른 치수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름이 10cm이고, 길이가 20cm인 알루미늄봉이 있다. 이 알루미늄의 비중이 2.7일 때 질량(kg)은?

  1. 0.424kg
  2. 4.24kg
  3. 1.70kg
  4. 17.0kg
(정답률: 60%)
  • 알루미늄의 비중이 2.7이므로, 1cm³의 알루미늄의 질량은 2.7g이다. 따라서, 1cm³의 알루미늄의 부피는 2.7g이다.

    알루미늄봉의 부피는 원기둥의 부피인 πr²h = 3.14 x (5cm)² x 20cm = 1570cm³이다.

    따라서, 알루미늄봉의 질량은 1570cm³ x 2.7g/cm³ = 4239g = 4.24kg이다.

    따라서, 정답은 "4.24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KS에서 정의하는 기하공차 기호 중에서 위치공차 기호들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정답률: 82%)
  • 위치공차 기호는 선분의 양 끝점과 그 사이의 점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는 두 개의 끝점과 그 사이의 점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공차 기호이므로, 다른 기호들과는 짝지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구름 베어링 기호 중 안지름이 10mm인 것은?

  1. 7000
  2. 7001
  3. 7002
  4. 7010
(정답률: 77%)
  • 구름 베어링 기호에서 첫 번째 숫자는 베어링 타입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베어링 시리즈를 나타냅니다. 세 번째 숫자는 베어링 크기를 나타내는데, 안지름이 10mm인 베어링은 7000 시리즈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 것은?

  1. 피치선
  2. 기준선
  3. 중심선
  4. 숨은선
(정답률: 71%)
  • 정답은 "기준선"입니다. 기준선은 그림의 기본이 되는 가로선으로,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숨은선은 그림에서 필요한 부분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점선이나 실선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기하공차의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05mm의 대칭도
  2.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05mm의 평행도
  3.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대칭도
  4.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
(정답률: 74%)
  • 이 그림은 길이가 100mm인 기하공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때, 지정 길이 100mm에 대해 0.005mm의 평행도라는 것은 이 기하공차에서 100mm 구간 중 어떤 한 구간을 선택했을 때, 그 구간의 양 끝점 사이의 거리가 0.005mm 이내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라는 것은 이 기하공차 전체에서 어떤 두 점을 선택했을 때, 그 두 점 사이의 거리가 0.05mm 이내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가장 적합한 해석은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끼워맞춤 관계에 있어서 헐거운 끼워맞춤에 해당하는 것은?

  1. H7/g6
  2. H7/n6
  3. P6/h6
  4. N6/h6
(정답률: 76%)
  • "H7/g6"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해당합니다. 이는 흑색의 퀸이 H7에 위치하고 있고, 백색의 폰이 G6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끼워맞춤은 흑색의 퀸과 백색의 폰이 서로 보호하지 못하고 있으며, 상대방의 공격에 취약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끼워맞춤은 가능한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단열 앵귤러 볼 베어링의 간략 도시 기호는?

(정답률: 49%)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단열 앵귤러 볼 베어링"의 약자인 "ACBB"가 그림에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A"는 앵귤러 베어링을 의미하고, "C"는 단열을 의미합니다. "BB"는 볼 베어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KS 나사의 표시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호칭 기호 M은 미터 나사이다.
  2. 호칭 기호 UNF은 유니파이 가는 나사이다.
  3. 호칭 기호 PT은 관용 평행 나사이다.
  4. 호칭 기호 TW은 29도 사다리꼴 나사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호칭 기호 PT은 관용 평행 나사이다." 이다. KS 나사의 표시기호 중 PT는 파이프 연결용 평행 나사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용접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매끄럽게 처리한 필릿 용접
  2. : 넓은 루트면이 있고 이면 용접된 V형 맞대기 용접
  3. : 평면 마감 처리한 V형 맞대기 용접
  4. : 볼록한 필릿 용접
(정답률: 61%)
  • " : 매끄럽게 처리한 필릿 용접"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필릿 용접이지만 매끄럽게 처리되었다는 것은 용접 부위가 깨끗하게 마무리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필릿 용접은 용접 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 : 매끄럽게 처리한 필릿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크로뮴 몰리브데넘 강의 KS 재료 기호는?

  1. SMn
  2. SMnC
  3. SCr
  4. SCM
(정답률: 73%)
  • 크로뮴 몰리브데넘 강의 KS 재료 기호는 "SCM"이다. 이는 크롬(Cr), 몰리브데넘(Mo) 및 작은 양의 탄소(C)를 함유하는 고강도 강을 나타내며, 이러한 조성은 높은 인장강도와 내식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SCM 강은 고강도 및 내식성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이 스퍼 기어의 주투상도를 부분 단면도로 나타낼 때, 'A'가 지시하는 곳의 선의 모양은?

  1. 가는 실선
  2. 굵은 파선
  3. 굵은 실선
  4. 가는 파선
(정답률: 62%)
  • "A"가 지시하는 곳은 주투상의 축이 위치한 곳으로, 이곳은 실제로 부분 단면으로 잘린 것이 아니므로 가는 실선으로 표시됩니다. 굵은 파선은 숨겨진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고, 굵은 실선과 가는 파선은 실제로 부분 단면으로 잘린 부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계제도에서 도면이 구비해야 할 기본요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대상물의 도형과 함께 필요로 하는 크기, 모양, 자세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재료, 가공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2. 무역 및 기술의 국제 교류의 입장에서 국제성을 가져야 한다.
  3. 도면 표현에 있어서 설계자의 독창성이 잘 나타나야 한다.
  4. 마이크로 필름 촬영 등을 포함한 복사 및 도면의 보존, 검색, 이용이 확실히 되도록 내용과 양식이 구비되어야 한다.
(정답률: 85%)
  • 도면 표현에 있어서 설계자의 독창성이 잘 나타나야 하는 이유는, 기계제도는 대상물의 도형과 함께 필요로 하는 정보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필요에 따라 재료, 가공방법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설계자의 독창성이 잘 나타나면, 도면이 보다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워지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독창적인 도면은 기술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제3각법 정투상도면의 입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4%)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에서는 높이를 나타내는 세로축이 필요하며, 이 그림에서는 ""이 유일하게 세로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은 다른 보기에 비해 입체감이 더욱 강하고 명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이 크기와 간격이 같은 여러 구멍의 치수 기입에서 (A)에 들어갈 치수로 옳은 것은?

  1. 180
  2. 195
  3. 210
  4. 225
(정답률: 76%)
  • 주어진 그림에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모두 3cm인 정사각형이 7개 있습니다. 이 정사각형들이 모두 이어져 있으므로, (A)에 들어갈 치수는 3cm × 7 = 21cm이 됩니다. 그러나 (A)는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를 묻는 문제이므로, 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를 √2로 곱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21cm × √2 ≈ 29.7cm가 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아래 그림은 제3각법으로 투상한 정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는?

(정답률: 45%)
  • 정면도와 평면도를 보면, 물체는 y축 방향으로 길쭉하게 늘어져 있으며, z축 방향으로는 두께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측면도에서는 y축 방향으로 늘어난 모습을 볼 수 있어야 하며, z축 방향으로는 두께가 없는 모습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보기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1. 다음 중 철-탄소상태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불변점은?

  1. 공정점
  2. 포석점
  3. 공석점
  4. 포정점
(정답률: 56%)
  • 철-탄소상태도에서 공정점, 공석점, 포정점은 모두 철과 탄소의 비율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점으로,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합니다. 하지만 포석점은 철-탄소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불변점입니다. 포석점은 철과 탄소가 고체 상태에서 함께 존재할 때, 철과 탄소의 비율이 정해져 있을 때, 그 비율에 따라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철과 탄소의 비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입니다. 따라서 포석점은 철-탄소상태도에서 위치가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강의 표면 경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침탄법에는 고체침탄법, 액체침탄법, 가스침탄법 등이 있다.
  2. 질화법은 강 표면에 질소를 침투시켜 경화하는 방법이다.
  3. 화염경화법은 일반 담금질법에 비해 담금질 변형이 적다.
  4. 세라다이징은 철강 표면에 Cr을 확산 침투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65%)
  • "세라다이징은 철강 표면에 Cr을 확산 침투시키는 방법이다."가 틀린 것이다. 세라다이징은 철강 표면에 Si와 Cr을 함께 침투시켜 경화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리에 아연이 5~20% 정도 첨가되어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용 악기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톰백
  2. 백동
  3. 6-4 황동
  4. 7-3 황동
(정답률: 75%)
  • 톰백은 구리에 아연이 5~20% 정도 첨가된 합금으로,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용 악기 등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백동, 6-4 황동, 7-3 황동은 모두 구리와 다른 금속의 합금이지만, 아연이 첨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연성이나 색깔 면에서 톰백과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톰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결정격자가 면심입방격자인 금속은?

  1. Al
  2. Cr
  3. Mo
  4. Zn
(정답률: 56%)
  • 결정격자가 면심입방격자인 금속은 Al입니다. 이는 Al의 결정구조가 FCC(Face-centered cubic)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FCC 구조는 각 코너와 중심을 잇는 대각선이 모두 같은 길이인 정육면체 형태를 띄며, 각 면의 중심에 원자가 위치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면심입방격자로도 불리며, Al뿐만 아니라 Cu, Ag, Au 등의 금속들도 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아공석강에서 탄소함량이 증가함에 따른 기계적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강도가 증가한다.
  2. 경도가 증가한다.
  3. 항복강도가 증가한다.
  4. 연신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65%)
  • 연신율이 증가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탄소함량이 증가하면 경도와 항복강도가 증가하게 되지만, 동시에 연신율은 감소합니다. 이는 탄소함량이 증가하면 강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세밀해지고, 결정 간 거리가 가까워져 더 많은 응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신율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재료와 비교한 세라믹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인성이 크다.
  2. 내충격성이 높다.
  3. 내산화성이 양호하다.
  4. 성형성 및 기계가공성이 좋다.
(정답률: 49%)
  • 세라믹은 금속재료와 비교하여 인성이 낮고 내충격성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내산화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이 있어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세라믹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구조용 복합재료 중에서 섬유강화 금속은?

  1. SPF
  2. FRTP
  3. FRM
  4. GFRP
(정답률: 72%)
  • 섬유강화 금속은 FRM입니다. FRM은 Fiber Reinforced Metal의 약자로, 금속 매트릭스에 섬유 강화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재료입니다. 이는 금속의 강도와 섬유 강화재료의 경량성을 결합하여 높은 강도와 경량성을 가지는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구재료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내마멸성과 강인성이 클 것
  2. 가열에 의한 경도 변화가 클 것
  3. 상온 및 고온에서 경도가 높을 것
  4. 열처리와 공작이 용이할 것
(정답률: 80%)
  • "가열에 의한 경도 변화가 클 것"이 틀린 조건입니다. 이유는 공구재료가 가열에 의해 경도가 변화하는 정도가 클수록 가공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구재료는 가열에 의한 경도 변화가 적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로 나열된 것은?

  1. 페놀, 폴리에틸렌, 에폭시
  2. 알키드 수지, 아크릴, 페놀
  3.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우레탄
  4. 페놀, 에폭시, 멜라민
(정답률: 63%)
  • 열가소성이란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는 성질을 말하는데,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우레탄은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보기에 포함됩니다. 폴리에틸렌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 하나이며, 염화비닐은 내열성이 뛰어나고 폴리우레탄은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구리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 및 열의 전도성이 우수하다.
  2.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3.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는다.
  4. 광택이 없으며 귀금속적 성질이 나쁘다.
(정답률: 70%)
  •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는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구리는 전기 및 열의 전도성이 뛰어나며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하지만 광택이 없으며 귀금속적 성질이 나쁘다는 것은, 다른 귀금속들과는 달리 산화되기 쉽고 부식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구리는 보통 산화되어 녹슬거나 검은색으로 변색된 상태로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레이디얼 볼 베어링 '6304'에서 한계속도계수(dN, mm·rpm)값을 120000 이라 하면, 이 베어링의 최고 사용 회전수는 약 rpm인가?

  1. 400
  2. 6000
  3. 6500
  4. 8000
(정답률: 64%)
  • 한계속도계수(dN)는 베어링의 크기와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베어링의 최대 사용 회전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6304 베어링의 한계속도계수(dN)가 120000이므로, 베어링의 크기와 회전수에 따라 계산된 값이 120000을 넘지 않도록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 사용 회전수는 dN 값을 회전수로 나눈 값이므로, 120000을 20으로 나눈 6000이 된다.

    즉, 6304 베어링의 최대 사용 회전수는 약 6000r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기어열에서 각각의 잇수가 ZA는 16, ZB는 60, ZC는 12, ZD는 64인 경우 A기어가 있는 I축이 1500rpm으로 회전할 때, D 기어가 있는 Ⅲ축의 회전수는 얼마인가?

  1. 56rpm
  2. 60rpm
  3. 75rpm
  4. 85rpm
(정답률: 53%)
  • 기어의 회전수는 모듈러 연산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모듈러 연산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으로, 기어의 잇수로 나눈 나머지가 회전수가 된다.

    A기어의 잇수는 16이므로 I축의 회전수는 1500rpm % 16 = 12rpm이 된다.
    B기어의 잇수는 60이므로 A와 B 사이의 회전수 비율은 60/16 = 3.75이다. 따라서 B축의 회전수는 12rpm * 3.75 = 45rpm이 된다.
    C기어의 잇수는 12이므로 B와 C 사이의 회전수 비율은 12/60 = 0.2이다. 따라서 C축의 회전수는 45rpm * 0.2 = 9rpm이 된다.
    D기어의 잇수는 64이므로 C와 D 사이의 회전수 비율은 64/12 = 5.33이다. 따라서 D축의 회전수는 9rpm * 5.33 = 48.01rp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회전수를 정수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48rpm이 아니라, 75rpm이 정답이 된다. 이는 기어의 잇수와 회전수 비율을 고려하여 계산한 값과 실제 회전수가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료의 파손이론 중 취성 재료에 잘 일치하는 것은?

  1. 최대주응력설
  2. 최대전단응력설
  3. 최대주변형률설
  4. 변형률 에너지설
(정답률: 51%)
  • 취성 재료는 파손 시에 일어나는 변형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파손은 주로 재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러한 결함은 재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주응력설은 취성 재료의 파손에 가장 적합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재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중 가장 큰 값을 최대주응력이라고 하며, 이 값이 재료의 인장강도를 초과하면 파손이 발생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두 축은 주철 또는 주강제로 이루어진 2개의 반원통에 넣고 두 반원통의 양쪽을 볼트로 체결하며 조립이 용이한 커플링은?

  1. 클램프 커플링
  2. 셀러 커플링
  3. 머프 커플링
  4. 플랜지 커플링
(정답률: 48%)
  • 클램프 커플링은 두 축을 반원통에 넣고 볼트로 체결하는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도 쉬워서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클램프 커플링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너클 핀이음에서 인장하중(P) 20kN을 지지하기 위한 핀의 지름(d1)은 약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핀의 전단응력은 50N/mm2이며, 전단응력만 고려한다.)

  1. 10
  2. 16
  3. 20
  4. 28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주속도 5m/s로 2.2kW의 동력을 전달하는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긴장측 장력은 몇 N인가? (단, 벨트의 장력비(eμθ)는 2이다.)

  1. 450
  2. 660
  3. 750
  4. 880
(정답률: 28%)
  •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긴장측 장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1 = (P / v) * eμθ

    여기서, P는 전달하는 동력, v는 벨트의 속도, e는 벨트의 장력비, μ는 벨트의 마찰계수, θ는 벨트의 각도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T1 = (2.2kW / 5m/s) * e2 ≈ 880N

    따라서, 정답은 "8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접합할 모재의 한쪽에 구멍을 뚫고, 판재의 표면까지 용접하여 다른 쪽 모재와 접합하는 용접방법은?

  1. 그루브 용접
  2. 필릿 용접
  3. 비드 용접
  4. 플러그 용접
(정답률: 60%)
  • 플러그 용접은 접합할 모재의 한쪽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다른 쪽 모재를 끼워넣고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접합부의 미세한 차이나 각도 오차를 보완할 수 있으며, 용접 후에는 접합부가 매끄럽고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접합부의 외관적인 품질을 높일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스프링의 용도와 거리가 먼 것은?

  1. 하중의 측정
  2. 진동 흡수
  3. 동력 전달
  4. 에너지 축적
(정답률: 64%)
  • 정답은 "동력 전달"입니다. 스프링은 하중의 측정, 진동 흡수, 에너지 축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동력 전달은 스프링의 주요 용도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거나,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의 운동 에너지를 마찰에 따른 열에너지 등으로 변환·흡수하여 속도를 감속시키는 장치는?

  1. 기어
  2. 브레이크
  3. 베어링
  4. V-벨트
(정답률: 82%)
  • 브레이크는 기계의 운동 에너지를 마찰에 따른 열에너지 등으로 변환·흡수하여 속도를 감속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브레이크가 정답이다. 기어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거나 변속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고, 베어링은 회전하는 축과 그 주변의 부품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V-벨트는 원하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벨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축방향으로 10000N의 인장하중이 작용하는 볼트에서 골지름은 약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볼트의 허용인장응력은 48N/mm2이다.)

  1. 13.2
  2. 14.6
  3. 15.4
  4. 16.3
(정답률: 37%)
  • 인장응력 = 인장하중 / 골면적

    골면적 = 인장하중 / 인장응력

    골지름 = 2 x 골면적 / π

    골면적 = 10000N / 48N/mm2 = 208.33 mm2

    골지름 = 2 x 208.33 mm2 / π = 16.6 mm

    따라서, 골지름은 약 16.6 m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컴퓨터응용설계

61. 베지어(Bezier) 곡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다각형의 양끝의 선분은 시작점과 끝점의 접선벡터와 다른 방향이다.
  2. 곡선은 정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다각형의 내측에 존재한다.
  3. 1개의 정점변화가 곡선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4. 곡선은 양단의 끝점을 반드시 통과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다각형의 양끝의 선분은 시작점과 끝점의 접선벡터와 다른 방향이다." 이다. 베지어 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을 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양끝의 선분이 시작점과 끝점의 접선벡터와 다른 방향일 필요는 없다. 다른 보기들은 베지어 곡선의 특징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중앙처리장치(CPU)
  2. 기억장치(Memory Unit)
  3.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4. 입·출력장치(Input-Output Device)
(정답률: 64%)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중심점이 (1,2,3)이고 반지름이 5인 구면(spherical surface)의 점(4,2,7)에서 단위 법선벡터 을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는 각각 x, y, z축 방향의 단위벡터이다.)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제품모델의 교환과 표현의 표준에 관한 줄인 이름으로 형상정보뿐 아니라 제품의 가공, 재료, 공정, 수리 등 수명주기 정보의 교환을 지원하는 것은?

  1. IGES
  2. DXF
  3. SAT
  4. STEP
(정답률: 54%)
  • STEP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제품모델의 교환과 표현의 표준으로, 형상정보뿐 아니라 제품의 가공, 재료, 공정, 수리 등 수명주기 정보의 교환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IGES, DXF, SAT는 형상정보만을 교환하는데에 비해 STEP은 제품의 전반적인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설명의 특징을 가진 곡면에 해당하는 것은?

  1. 원추(Cone)곡면
  2. 퍼거슨(Ferguson)곡면
  3. 베지어(Bezier)곡면
  4. 스플라인(Spline)곡면
(정답률: 56%)
  • 이 곡면은 퍼거슨(Ferguson)곡면으로, 곡면의 모양이 파라볼라와 유사하며, 두 개의 직선과 곡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곡면이 뾰족하게 솟아오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곡면은 자동차 디자인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미국 표준협회에서 제정한 코드로서 기계와 기계 또는 시스템과 시스템 사이의 상호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개발된 7비트 혹은 8비트로 한 문자를 표현하며 총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는?

  1. BCD
  2. EIA
  3. EBCDIC
  4. ASCII
(정답률: 75%)
  • ASCII 코드는 7비트 혹은 8비트로 한 문자를 표현하며, 기계와 기계 또는 시스템과 시스템 사이의 상호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 코드가 미국 표준협회에서 제정된 코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ASCII 코드는 총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 정답은 "ASCI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변환 행렬(Matrix)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작업은?

  1. Scaling
  2. Erasing
  3. Rotation
  4. Reflextion
(정답률: 67%)
  • 변환 행렬(Matrix)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작업은 "Erasing"이다. 이 작업은 이미 그려진 그림을 지우는 것으로, 변환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변환 행렬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솔리드 모델링 기법에서 B-Rep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물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기본요소로서 위상요소가 아닌 것은?

  1. 면(face)
  2. 공간(space)
  3. 모서리(edge)
  4. 꼭지점(vertex)
(정답률: 67%)
  • B-Rep 방식에서 위상요소는 물체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공간"은 물체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면", "모서리", "꼭지점"은 모두 물체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위상요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행렬의 곱(A×B)을 옳게 구한 것은?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3차원 모델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은 구조가 간단하여 도형처리가 용이하다.
  2. 서피스 모델링은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3. 솔리드 모델링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4. 서피스 모델링은 내부에 관한 정보가 없어 해석용 모델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정답률: 60%)
  • "솔리드 모델링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솔리드 모델링은 다른 모델링 방법에 비해 데이터 처리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이는 솔리드 모델링이 보다 복잡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CAD 용어 중 회전 특징 형상 모양으로 잘려나간 부분에 해당하는 특징 형상은?

  1. 그루브(groove)
  2. 챔퍼(chamfer)
  3. 라운드(round)
  4. 홀(hole)
(정답률: 56%)
  • 그루브는 회전하는 형상에서 특정 부분을 잘라내어 생긴 형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원통형의 물체에서 원통의 특정 부분을 잘라내어 생긴 형상이 그루브입니다. 따라서 CAD 용어 중 회전 특징 형상 모양으로 잘려나간 부분에 해당하는 특징 형상은 그루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제품 도면 정보가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공정계획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기술은?

  1. CAPP(Computer-aided Process Planning)
  2. CAE(Computer-aided Engineering)
  3. CAI(Computer-aided Inspection)
  4. CAD(Computer-aided Design)
(정답률: 62%)
  • 제품 도면 정보가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을 때, CAPP 기술을 사용하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정계획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며,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PP는 제조업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본 입체에 적용한 불리안(Boolean) 연산 과정을 트리구조로 저장하는 CSG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와 외부가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는 입체라도 구현이 가능하다.
  2. 자료 구조가 간단하고 데이터의 양이 적어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다.
  3. CGS 표현은 대응되는 B-rep 모델로 치환 가능하다.
  4. 파라메트릭(Parametric) 모델링의 구현이 쉽다.
(정답률: 37%)
  • "자료 구조가 간단하고 데이터의 양이 적어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CSG 구조는 불리안 연산을 통해 여러 개의 기본 입체를 조합하여 새로운 입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이때, 각각의 기본 입체는 내부와 외부가 분명하게 구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내부와 외부가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는 입체"는 CSG 구조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CSG 구조는 각각의 노드가 불리안 연산을 수행하는 트리 구조로 표현됩니다. 이 구조는 간단하지 않으며, 데이터의 양도 많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료 구조가 간단하고 데이터의 양이 적어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GS 표현은 대응되는 B-rep 모델로 치환 가능하다."와 "파라메트릭(Parametric) 모델링의 구현이 쉽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화면에 CAD 모델들을 현실감 있게 나타내기 위하여 채색이나 음영 등을 주는 작업은 무엇인가?

  1. Animation
  2. Simulation
  3. Modelling
  4. Rendering
(정답률: 73%)
  • Rendering은 CAD 모델에 채색, 음영, 조명 등을 적용하여 현실감 있게 시각화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Rendering이다. Animation은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 Simulation은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작업, Modelling은 모델링을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분산처리형 CAD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본 성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용자별로 단일 프로세서를 사용하거나 혹은 정보 통신망으로 각자의 시스템별로 상호 간에 연결되어 중앙에서 제어받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어떤 시스템에서 작성된 자료나 프로그램으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언제라도 해당 자료를 사용하거나 보내 줄 수 있어야 한다.
  3. 분산처리 시스템의 주 시스템과 부 시스템에서 각각 별도의 자료 처리 및 계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4. 자료의 정합성을 담보하기 위해 일부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면 다른 시스템에서도 자료의 이동 및 교환을 막아야 한다.
(정답률: 67%)
  • 자료의 정합성을 담보하기 위해 일부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면 다른 시스템에서도 자료의 이동 및 교환을 막아야 한다는 것은, 분산처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부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시스템에서도 해당 자료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분산처리 시스템에서 중요한 보안 및 안정성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 중 미리 작성된 문자나 도형의 이미지 입력에 사용되는 장치는?

  1. 프린터
  2. 키보드
  3. 스캐너
  4. 썸 휠
(정답률: 65%)
  • 스캐너는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 장치로, 미리 작성된 문자나 도형의 이미지를 입력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캐너"입니다. 프린터는 출력 장치, 키보드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는 장치, 썸 휠은 마우스의 일종으로 컴퓨터 입력 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평면 좌표값 (x,y)에서 x,y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주어질 때 그리는 궤적의 모양은? (단, r은 일정한 상수이다.)

  1. 타원
  2. 쌍곡선
  3. 포물선
(정답률: 52%)
  • 주어진 식에서 x와 y는 각각 cosθ와 sinθ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를 대입하면 x²+y²=r²가 된다. 이는 원의 방정식과 동일하므로, 주어진 식으로 그리는 궤적은 "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반적으로 CAD 도면에서 형상정보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1. 부품의 수량
  2. 부품의 재질
  3. 부품 간의 위치
  4. 부품의 제작방법
(정답률: 57%)
  • CAD 도면은 부품들의 위치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간의 위치"가 형상정보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부품들이 어떻게 조립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솔리드 모델을 구성하는 면의 일부 혹은 전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결과적으로 물체가 늘어나도록 하는 모델링 작업은?

  1. 스키닝(skinning)
  2. 리프팅(lifting)
  3. 스위핑(sweeping)
  4. 트위킹(tweaking)
(정답률: 67%)
  • 솔리드 모델을 구성하는 면의 일부 혹은 전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결과적으로 물체가 늘어나도록 하는 모델링 작업은 "리프팅(lifting)"이다. 이는 솔리드 모델링에서 물체의 형태를 조정하는 기술 중 하나로, 선택한 면을 드래그하여 끌어올리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물체의 형태를 늘리거나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모델링 방식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
  2. 서피스 모델
  3. 솔리드 모델
  4. 지오메트릭 모델
(정답률: 74%)
  • 위 그림에서 보이는 모델링 방식은 솔리드 모델링 방식입니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물체의 형태와 크기, 위치 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은 물체의 외형만을 표현하고 내부는 공백으로 남겨둔 모델링 방식이며, 서피스 모델링은 물체의 표면만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지오메트릭 모델링은 3차원 공간에서 기하학적인 도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