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16)

전자기사
(2003-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변위전류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반도체
  2. 유전체
  3. 자성체
  4. 도체
(정답률: 알수없음)
  • 변위전류는 전기장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전류로, 유전체의 전기적 특성과 관련이 깊습니다. 유전체는 전기장이 가해지면 전하를 축적하여 전기장을 유지하며, 이 때 변위전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변위전류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유전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정)이란 전기력선 방정식이 성립할 수 있는 조건 중 틀린 것은?

  1. 점전하 Qi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한다.
  2. 점전하 Qi가 시간적으로 불변이어야 한다.
  3. 상수 C는 주위 매질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점전하의 주위공간은 유전률이 같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수 C는 주위 매질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쿨롱의 법칙에서 전하와 전기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인 쿨롱 상수가 말하는 것입니다. 이 상수는 자유공간이나 유전체 내부 등 어떤 매질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와 전하의 크기 사이의 관계는 어떤 매질에서도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쌍극자 모멘트가 M[C.m]인 전기쌍극자에 의한 임의의 점 P의 전계의 크기는 전기쌍극자의 중심에서 축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사이의 각이 얼마일 때 최대가 되는가?

  1. 0
  2. π/2
  3. π/3
  4. π/4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쌍극자의 중심에서 축방향과 점 P를 잇는 선분이 전기쌍극자의 축과 이루는 각을 θ라고 하자. 이때, 점 P에서의 전계의 크기 E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E = (1/4πε₀) * (2Mcosθ)/(r² - (Msinθ)²)³/²

    여기서 r은 전기쌍극자의 중심에서 점 P까지의 거리이다. 이때, E를 최대로 만드는 θ를 구하기 위해 dE/dθ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dE/dθ = -(1/4πε₀) * (2Msinθ)/(r² - (Msinθ)²)³/²

    dE/dθ = 0이 되는 θ를 구하면 E가 최대가 된다. 이때, 분모가 0이 되는 경우는 E가 무한대가 되므로 제외한다. 따라서, 분모가 0이 되지 않도록 θ를 제한하면 다음과 같다.

    r > Msinθ

    이를 이용하여 dE/dθ = 0을 풀면 다음과 같다.

    2Msinθ = r²(Msinθ)/(r² - M²sin²θ)³/²

    2(r² - M²sin²θ)³/² = r²sinθ

    2r²cos³θ - 2M²sin²θcosθ = r²sinθ

    2r²cos³θ - 2M²sin²θcosθ - r²sinθ = 0

    이 방정식을 풀면 θ = 0 또는 θ = π/2 또는 θ = π/3 또는 θ = π/4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인 이유는 θ = 0일 때 분모가 0이 되어 E가 무한대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간 도체내의 한점에 있어서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식은?

  1. Curl
  2. Curl
  3. Curl
  4. Curl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보기 중에서 "Curl "이 정답이다. 이유는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Faraday의 전자기유도법칙이 성립하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Curl E = -dB/dt이다. 여기서 E는 전기장, B는 자기장을 나타내며, Curl은 회전을 의미하는 연산자이다. 따라서 정답은 Curl B이며, 이는 보기 중에서 "Cur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계의 세기 H[AT/m], 자속밀도 B[Wb/m2], 투자율 μ[H/m]인 곳의 자계의 에너지 밀도는 몇 J/m3 인가?

  1. BH
(정답률: 60%)
  • 자계의 에너지 밀도는 BH2/2μ 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H2/2μ)B2/2μ = H2B2/4μ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자계의 에너지 밀도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그렇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유공간 중에서 전위 V=xyz[V]일 때 0≤x≤1, 0≤y≤1, 0≤z≤1인 입방체에 존재하는 정전에너지는 몇 J 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입방체의 부피는 1이므로, 전위 V=xyz[V]를 모든 점에서 적분하면 정전에너지 U는 다음과 같다.

    U = ∫∫∫ V dV = ∫∫∫ xyz dV

    이를 구하기 위해 x, y, z 각각에 대해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 xyz dV = ∫∫ yz * x dxdydz
    = ∫∫ yz * [x^2/2]dydz (x=0~1)
    = ∫∫ yz/2 dydz
    = ∫ 0^1 ∫ 0^1 z/2 * y dy dz
    = 1/4 * ∫ 0^1 z dz
    = 1/8

    따라서, 정전에너지 U는 1/8 J이다. 이에 대한 보기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원통좌표계에서 전류밀도 j = Kr2az [A/m2]일 때 암페어의 법칙을 사용하여 자계의 세기 H 를 구하면? (단, K는 상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페어의 법칙에 따르면 자계의 세기 H는 전류밀도 j에 비례한다. 따라서 H는 Kr2az에 비례한다. 원통좌표계에서 az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벡터이므로, H는 Kr2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면적 S, 평균반지름 r, 권회수 N인 토로이드코일에 누설자속이 없는 경우, 자기인덕턴스의 크기는?

  1. 권선수의 자승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2. 권선수 및 단면적에 비례한다.
  3. 권선수의 자승 및 단면적에 비례한다.
  4. 권선수의 자승 및 평균 반지름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로이드코일은 권선수가 많아질수록 자기인덕턴스가 커지고, 단면적이 작아질수록 자기인덕턴스가 커진다. 이는 권선수가 많을수록 자기장이 강해지고, 단면적이 작을수록 자기장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인덕턴스의 크기는 권선수의 자승 및 단면적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심이 들어있는 환상코일에서 1차코일의 권수가100회일 때 자기인덕턴스는 0.01H이었다. 이 철심에 2차코일을 2000회 감았을 때 2차코일의 자기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는 각각 몇 H 인가?

  1. 자기인덕턴스: 0.02, 상호인덕턴스: 0.01
  2. 자기인덕턴스: 0.01, 상호인덕턴스: 0.02
  3. 자기인덕턴스: 0.04, 상호인덕턴스: 0.02
  4. 자기인덕턴스: 0.02. 상호인덕턴스: 0.04
(정답률: 알수없음)
  • 철심이 들어있는 환상코일에서 1차코일의 권수가 100회일 때 자기인덕턴스는 0.01H 이므로, 1회 감을 때의 자기인덕턴스는 0.01H/100회 = 0.0001H 이다.

    2차코일을 2000회 감았으므로, 2차코일의 자기인덕턴스는 2000회 × 0.0001H/회 = 0.2H 이다.

    상호인덕턴스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발생하는 인덕턴스이다. 상호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k × √(L1 × L2)

    여기서 k는 상수이며, L1과 L2는 각각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자기인덕턴스이다.

    환상코일에서 k는 1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M = √(0.01H × 0.2H) = 0.02H

    따라서, 정답은 "자기인덕턴스: 0.04, 상호인덕턴스: 0.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분극 중 온도의 영향을 받는 분극은?

  1. 전자분극(electronic polarization)
  2. 이온분극(ionic polarization)
  3. 배향분극(orientational polarization)
  4. 전자분극과 이온분극
(정답률: 알수없음)
  • 배향분극은 분자 내부의 양성자와 음성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으로, 온도의 영향을 받습니다. 분자 내부의 양성자와 음성자의 상대적인 위치는 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변화하면 배향분극도 변화하게 됩니다. 전자분극과 이온분극은 분자 내부의 전자와 이온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분극이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자기회로에서 R1, R2, R3는 각 회로의 자기 저항이고 Φ1, Φ2, Φ3는 각각 R1, R2, R3 에 투과되는 자속이라 하면 Φ3 의 값은? (단, R1 , R2 , R3이다.)

  1. (N2I2-N1I1)R1R2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회로에서 자속은 전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각 회로의 전류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회로의 전압을 구하면 된다.

    Φ1 = N1 I1 R1 → I1 = Φ1 / (N1 R1) = 0.2 A
    Φ2 = N1 I1 R2 + N2 I2 R2 → I2 = (Φ2 - N1 I1 R2) / (N2 R2) = 0.1 A
    Φ3 = N2 I2 R3 = 0.5 Wb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내원통의 반지름 a, 외원통의 반지름 b인 동축원통 콘덴서의 내외 원통사이에 공기를 넣었을 때 정전용량이 Co이었다. 내외 반지름을 모두 3배로 하고 공기대신 비유전률 9 인 유전체를 넣었을 경우의 정전용량은?

  1. Co
  2. 9Co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콘덴서의 기하학적 구조와 유전체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내원통과 외원통의 반지름을 모두 3배로 키우면, 내원통과 외원통의 길이는 각각 3배가 되므로, 내외 원통사이의 거리도 3배가 된다. 이때,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내외 원통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내외 원통사이의 거리가 3배가 되면 정전용량은 1/3이 된다. 따라서, 내외 반지름을 모두 3배로 키우고 비유전률이 9인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정전용량은 9Co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내압이 1㎸이고 용량이 각각 0.01㎌, 0.02㎌, 0.04㎌인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전체 콘덴서의 내압은 몇 V 인가?

  1. 1750
  2. 2000
  3. 3500
  4. 4000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의 용량이 커질수록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내부 전압도 커집니다. 따라서 용량이 작은 콘덴서부터 차례로 내부 전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각 콘덴서의 내부 전압은 Q=CV에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Q는 저장된 전하, C는 용량, V는 내부 전압입니다. 따라서 용량이 0.01㎌인 콘덴서의 내부 전압은 10V, 용량이 0.02㎌인 콘덴서의 내부 전압은 20V, 용량이 0.04㎌인 콘덴서의 내부 전압은 40V가 됩니다.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의 내부 전압은 각 콘덴서의 내부 전압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전체 콘덴서의 내부 전압은 10V+20V+40V=70V가 됩니다.

    내압은 내부 전압의 최대값을 의미하므로, 전체 콘덴서의 내압은 70V가 됩니다. 하지만 단위가 kPa로 주어졌으므로, 70V를 kPa로 환산해야 합니다.

    콘덴서의 내압은 P=V^2/2C에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는 내압, V는 내부 전압, C는 용량입니다. 따라서 전체 콘덴서의 내압은 (70V)^2/(2*0.01㎌+2*0.02㎌+0.04㎌)=1750kP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7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에서 ℓ =100cm, S=10cm2, μs=100, N=1000회인 회로에 전류 I=10A를 흘렸을 때 저축되는 에너지는 몇 J 인가?

  1. 2πx10-1
  2. 2πx10-2
  3. 2πx10-3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의 값은 R=ρℓ/S=100Ω이다. 따라서 회로에 전류가 흐를 때 저축되는 에너지는 W=I2RT=102×100×1000=108 J이다.

    다음 보기에서 정답이 "2π" 인 이유는, 그림에서 주어진 곡선이 사인 함수의 그래프임을 알고, 주기가 2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주기 2π를 곱해주면 된다. 10-1×2π=0.2π, 10-2×2π=0.02π, 10-3×2π=0.002π, 2π×1=2π 이므로 정답은 "2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반지름 a[m]의 원판형 전기 2중층의 중심축상 x[m]의 거리에 있는 점 P(+전하측)의 전위는 몇 V 인가? (단, 2중층의 세기는 M[C/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장은 전하에 의해 생성되며, 전하는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전위는 전기장과 전하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2중층의 세기가 주어졌으므로,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전기장은 세기에 반비례하므로, 2중층 내부의 전기장은 M/2[C/m]이고, 외부의 전기장은 M/4[C/m]이다.

    점 P는 외부에 있으므로, 외부의 전기장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P의 전위는 외부의 전기장과 P와 중심축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전기장이 M/4[C/m]이므로, P와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r[m]이라 하면, P의 전위는 (M/4) * r[V]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지름 a[m]이 주어졌으므로, r = a - x이다. 따라서 P의 전위는 (M/4) * (a-x)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반지름 a인 원형코일의 중심축상 r[m]의 거리에 있는 점 P의 자위는 몇 A 인가? (단, 점 P에 대한 원의 입체각을 ω, 전류를 I[A]라 한다.)

  1. 4πωI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코일 내부에서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자기장은 중심축상 일정 거리에 있는 점 P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 자기장의 크기는 원형코일 내부에서 전류가 흐르는 입체각과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점 P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크기는 4πωI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한변의 길이가 ℓ인 정사각형 도체에 전류 I[A]가 흐르고 있을 때 중심점 P의 자계의 세기는 몇 A/m 인가?

  1. 16πℓ I
  2. 4πℓ I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 도체의 중심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중심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 = (μ₀/4π) ∫(전류원의 길이 요소 × sinθ)/r² dℓ

    여기서, 전류원의 길이 요소 dℓ은 정사각형 도체의 한 변의 길이 ℓ이고, sinθ은 전류원의 길이 요소와 중심점 P 사이의 각도이다. 또한, r은 전류원의 길이 요소와 중심점 P 사이의 거리이다.

    정사각형 도체의 중심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를 구하기 위해 전류원을 4등분하여 각각의 전류원에서의 자계의 세기를 구하고, 그 합을 구하면 된다.

    한 변의 길이가 ℓ인 정사각형 도체를 4등분하면, 각 전류원의 길이 요소는 ℓ/4이고, 중심점 P와 전류원 사이의 거리 r은 다음과 같다.

    r = √(ℓ²/16 + ℓ²/16) = ℓ/√2

    따라서, 중심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다.

    중심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 = 4 × (μ₀/4π) ∫(전류원의 길이 요소 × sin45°)/(ℓ²/2) d(ℓ/4)
    = (μ₀/4π) × 4 × (2/ℓ) × (1/√2) × ∫sin45° d(ℓ/4)
    = (μ₀/4π) × 4 × (2/ℓ) × (1/√2) × (ℓ/4) × sin45°
    = (μ₀/4π) × √2 × I

    따라서, 중심점 P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μ₀/4π) × √2 × I이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전체 역률(tanδ)과 무관한 것은?

  1. 주파수
  2. 정전용량
  3. 인가전압
  4. 누설저항
(정답률: 20%)
  • 유전체 역률(tanδ)은 유전체의 전기적 손실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주파수와 정전용량, 누설저항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가전압은 유전체의 전기적 손실과는 무관한 값으로, 유전체에 가해지는 전압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인가전압은 유전체 역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기회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2. 자기회로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3. 비투자율에 반비례한다.
  4.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은 비투자율에 반비례한다. 이는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은 자기유도율과 비례하고, 자기유도율은 자기회로의 인덕턴스와 비례하며, 인덕턴스는 자기회로의 길이와 단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회로의 길이와 단면적이 일정하다면, 비투자율이 높을수록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1. 텔레비젼(TV)은 전자를 발생시키는 전자총과, 전계를 걸어 전자의 방향을 구부러지게 하는 편향코일과 전자가 면에 부디치면 특정한 색깔을 내는 금속이 칠해져 있는 브라운관을 구비하고 있다.
  2. 자석을 영어로 마그넷트(magnet)라고 하는 이유는 고대 희랍의 마그네시아라고 불리워지는 지방에서 철을 흡인하는 돌이 취해졌기 때문이다.
  3. 모피(毛皮)로 호박(amber, 琥珀)을 마찰하면 그 에너지를 받아 모피에서 음전기를 띤 자유전자가 호박으로 옮겨져, 모피는 음(-)전기를 띠고 호박은 양전기(+)를 띤다.
  4. 쿨롱은 전계와 자계의 세기 및 음극선의 구부러지는 정도에서 전자의 비전하(전하량/질량)를 계산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석을 영어로 마그넷트(magnet)라고 하는 이유는 고대 희랍의 마그네시아라고 불리워지는 지방에서 철을 흡인하는 돌이 취해졌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21. α { f(t)} = F(S)일 때 는?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식에서 α는 라플라스 변환의 연산자이고, f(t)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함수이며, F(S)는 라플라스 변환된 함수이다. 따라서, α{f(t)} = F(S)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함수 f(t)를 라플라스 변환하여 얻은 F(S)를 다시 라플라스 변환한 것이다. 이때, 라플라스 변환의 선형성에 의해 α{f(t)} = F(S)를 만족하는 함수 f(t)는 라플라스 역변환을 통해 구할 수 있으며, 이때 구해진 함수는 F(S)의 라플라스 역변환인 f(t)와 같다. 따라서, 는 F(S)의 라플라스 역변환인 f(t)와 같으므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대칭 4단자 회로망의 영상 임피던스는?

(정답률: 알수없음)
  • 대칭 4단자 회로망은 대칭성을 가지므로, 각 단자의 임피던스는 동일하다. 따라서, 전체 회로의 임피던스는 각 단자의 임피던스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임피던스의 합은 2+j3+(-j3)+2=4 이므로, 영상 임피던스는 4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회로망은 T형 회로 및 π 형 회로의 종속 접속으로 이루어졌다. 이 회로망의 ABCD parameter 중 잘못 구하여 진것은?

  1. A = 7
  2. B = 48
  3. C = 6
  4. D = 7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 구한 것은 C = 6 이다.

    T형 회로와 π 형 회로는 서로 다른 구성이므로, 각각의 ABCD parameter를 구해야 한다.

    T형 회로의 ABCD parameter는 다음과 같다.

    A = 1 + (R2/R1) = 1 + (4/6) = 5/3
    B = R2 = 4
    C = 0
    D = 1

    π 형 회로의 ABCD parameter는 다음과 같다.

    A = 1
    B = R2 || (R1 + R3) = 2
    C = (R1/R1+R3) * (R2/R1+R2) = (6/9) * (4/10) = 8/45
    D = 1

    따라서, C = 6이 아닌 8/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단위 계단함수 U(t)와 지수 e-t의 컨볼루션 적분은?

  1. e-t
  2. 1 / e-t
  3. 1 - e-t
  4. 1 + e-t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 계단함수 U(t)와 지수 e-t의 컨볼루션 적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U * e-t)(t) = ∫-∞ U(τ) e-(t-τ)

    U(τ)는 τ=0에서부터 1이 되고, τ<0에서는 0이 된다. 따라서 위 적분은 τ=0에서부터 ∞까지의 구간에서만 계산하면 된다.

    (U * e-t)(t) = ∫0 e-(t-τ)

    이 적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U * e-t)(t) = [-e-(t-τ)]0 = 1 - e-t

    따라서 정답은 "1 - 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상수 1의 라플라스 역변환은?

  1. μ (t)
  2. t
  3. δ (t)
  4. r(t)
(정답률: 42%)
  • 라플라스 역변환은 주어진 라플라스 변환 함수를 시간 영역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수 1의 라플라스 변환은 1/s이다. 따라서 이를 라플라스 역변환하면, 시간 영역에서의 함수는 δ(t)가 된다. 이는 디라크 델타 함수로, 모든 시간에서 0이고 t=0일 때 무한대의 값을 가지는 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역률 80[%], 부하의 유효전력이 80[kW]이면 무효전력은?

  1. 20 [K Var]
  2. 40 [K Var]
  3. 60 [K Var]
  4. 80 [K Var]
(정답률: 46%)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피상전력은 유효전력을 역률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피상전력 = 유효전력 / 역률

    주어진 문제에서 역률은 80%이고, 유효전력은 80kW이므로

    피상전력 = 80kW / 0.8 = 100kVA

    무효전력은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의 제곱합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무효전력 = √(100kVA² - 80kW²) ≈ 60kVar

    따라서 정답은 "60 [K Va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페이저도가 다음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때 이 페이저도에 일치하는 등가 임피던스는?

  1. 12.9 + j48.3
  2. -25 + j43.3
  3. 25 + j43.3
  4. 2.8 + j2.8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페이저도는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RC 회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등가 임피던스는 두 RC 회로의 병렬 연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각 RC 회로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왼쪽 RC 회로: Z1 = R1 + jωC1 = 10 + j(2π × 1 × 10^-6 × 1000) = 10 + j6.28
    - 오른쪽 RC 회로: Z2 = R2 || (1/jωC2) = (25 || -j(1/(2π × 1 × 10^-6 × 1000))) = 20.8 - j31.2

    따라서 두 RC 회로의 병렬 연결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Z = (Z1 × Z2) / (Z1 + Z2) = (10 + j6.28) × (20.8 - j31.2) / (10 + j6.28 + 20.8 - j31.2) ≈ 12.9 + j48.3

    따라서 정답은 "12.9 + j48.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과 같은 4단자 회로의 어드미턴스 파라미터의 Y22는?

  1. Y1+Y2
  2. Y2+Y3
  3. Y3
  4. Y2
(정답률: 알수없음)
  • Y22는 Y2과 Y3의 합이다. 이는 Y2과 Y3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어드미턴스 파라미터의 합이 전체 회로의 어드미턴스 파라미터와 같다. 따라서 Y22는 Y2+Y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R = 100 Ω , L = 25.3 mH, C = 100 μ F 인 R-L-C 회로에 V=100√2 sinω t인 전압을 인가할 때 위상각은? (단,f=100Hz)

  1. -30°
  2. 30°
  3. 60°
(정답률: 알수없음)
  • R-L-C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아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anφ = (X_L - X_C) / R

    여기서 X_L은 인덕터의 반응성, X_C는 캐패시터의 반응성이다.

    X_L = 2πfL = 2π(100)(25.3 × 10^-3) ≈ 15.9 Ω
    X_C = 1 / (2πfC) = 1 / (2π(100)(100 × 10^-6)) ≈ 15.9 Ω

    따라서, tanφ = (15.9 - 15.9) / 100 = 0 이므로, 위상각 φ는 0°이다.

    즉, 전압과 전류가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R-L-C 회로가 공진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컷 셋(cut-set)의 구성 요소는?

  1. 하나의 나무가지(tree branch)와 링크(link)들
  2. 루프(loop)와 분기((branch)
  3. 접속점(node)과 루프
  4. 링크(link)와 루프
(정답률: 알수없음)
  • 컷 셋은 그래프에서 노드들을 나누는 경계선을 의미합니다. 이 경계선은 하나의 나무가지와 링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컷 셋은 그래프에서 하나의 나무가지와 그 나무가지를 끊어주는 링크들로 이루어진 경계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 표시한 회로의 임피던스가 R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Z1Z2=R2
  2. Z1Z2=R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되며, 복소수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회로에서는 Z1과 Z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병렬 저항 공식을 사용하여 총 임피던스 Z를 구할 수 있습니다.

    Z = (Z1 × Z2) / (Z1 + Z2)

    여기서 Z = R 이 되기 위해서는 Z1 × Z2 = R2 × R 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Z1Z2=R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두 회로간에 쌍대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1. K· V· L → K· C· L
  2. 테브낭 정리 → 노튼 정리
  3. 전압원 → 전류원
  4. 폐로전류 → 절점전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폐로전류 → 절점전류"입니다.

    폐로전류는 회로에서 분기점에서 들어온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전류의 보존 법칙에 위배되므로 옳지 않습니다.

    절점전류는 회로에서 분기점에서 들어온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이 일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전류의 보존 법칙에 따라 옳은 관계입니다.

    따라서, 폐로전류와 절점전류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므로 쌍대 관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선형 회로망에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키르히호프의 법칙
  2. 테브난의 정리
  3. 중첩의 정리
  4. 보상의 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 회로망에서 중첩의 정리는 가장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이는 회로망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전원이 존재할 때, 각 전원이 작용하는 회로의 전류나 전압을 각각 계산한 후에 이를 합하여 전체 회로의 전류나 전압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중첩의 정리는 회로망에서 전류나 전압을 계산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상 변압기의 권선비는?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 변압기의 권선비는 1:1이다. 이유는 입력 측의 전압과 출력 측의 전압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즉, 입력 측에서 전압이 변압되어 출력 측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전압의 크기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권선비가 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평면상에 영점(0)과 극(x)이 그림과 같이 표현되는 함수는?

  1. 단위계단 함수
  2. sin ω t
  3. e-α tsinω t
  4. e-α tcosω t
(정답률: 알수없음)
  • 극 좌표계에서 x축은 각도가 0도인 방향이므로, 함수의 값이 x축 방향으로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함수는 cos 함수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x축 방향으로 진폭이 e-α t 만큼 감소하는 지수함수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e-α tcosω 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L-C 직렬회로에 t=0 인 순간, 직류전압을 인가한다면 2계 선형 미분방정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R-L-C 직렬회로에서 t=0인 순간, 전압은 직류전압이므로 시간에 대한 미분값은 0이 된다. 따라서, 2계 선형 미분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L(di/dt) + Ri + q/C = 0

    여기서 q는 전하량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초기값은 0이다. 이를 미분하여 다음과 같은 2계 선형 비동차 미분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L(d^2i/dt^2) + R(di/dt) + i/C = 0

    이때, i는 전류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과 같은 구형파(square wave)의 실효값은?

(정답률: 37%)
  • 구형파의 실효값은 그래프의 제곱의 평균값의 제곱근이다. 이 구형파의 그래프는 -1과 1 사이를 왔다갔다 하므로, 제곱의 평균값은 1이 된다. 따라서 실효값은 1의 제곱근인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이상적인 변압기의 권수비(ratio of turns) n을 표현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옳지 않은 이유는, 이상적인 변압기의 권수비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율과 같기 때문이다. 즉, ""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저항 3Ω과 리액턴스 4Ω을 병렬 연결한 회로의 역률은?

  1. 0.2
  2. 0.4
  3. 0.6
  4. 0.8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과 리액턴스가 병렬 연결되면 전체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전체 임피던스 = 1/저항 + 1/리액턴스

    1/전체 임피던스 = 1/3 + 1/4

    1/전체 임피던스 = 7/12

    전체 임피던스 = 12/7

    따라서, 역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역률 = 리액턴스 / 전체 임피던스

    역률 = 4 / (12/7)

    역률 = 7/3

    역률은 분수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간단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분모와 분자를 모두 3으로 나누어 줍니다.

    역률 = (7/3) / (3/3)

    역률 = 7/9

    따라서, 정답은 "0.8"이 아닌 "0.7/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회로에 중첩의 정리를 써서 2[Ω ]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 i를 구하면?

  1. 2[A]
  2. -0.6[A]
  3. 1.4[A]
  4. -1.4[A]
(정답률: 알수없음)
  • 중첩의 정리에 따라 R1과 R2는 병렬 연결되어 등가저항 R12를 가지게 된다. R12와 R3은 직렬 연결되어 전체 회로의 등가저항 R를 가지게 된다.

    R12 = (R1 * R2) / (R1 + R2) = (4 * 6) / (4 + 6) = 2.4 [Ω]
    R = R12 + R3 = 2.4 + 3.6 = 6 [Ω]

    전압의 법칙에 따라 전압 V는 12V이다.
    전류의 법칙에 따라 i = V / R = 12 / 6 = 2 [A]

    따라서, 2[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 i는 2[A]이다.

    정답이 "1.4[A]"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회로

41. 다음과 같은 이득이 A인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출력전압 Vo를 나타내는 것은?(단, Vi는 입력 신호 전압이다.)

  1. RCVi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비-인버팅 증폭기 회로로, 입력 신호 Vi는 바로 출력으로 전달되지 않고, R1과 R2를 통해 음극성 입력단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R1과 R2는 전압분배를 통해 입력 신호를 적절한 크기로 나누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다음 단계에서는, 입력 신호가 음극성 입력단으로 들어가면서, 이를 기반으로 증폭된 출력 신호가 Op-Amp의 출력단으로 나오게 된다. 이 때, 출력 신호의 크기는 R3과 R4를 통해 결정되는데, 이는 전압분배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로 나누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출력전압 Vo는 입력전압 Vi에 대해 적절한 증폭이 이루어진 후, R3과 R4를 통해 결정되므로,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회로에서 Ico에 대한 Ic의 안정계수는?

  1. β
  2. β + 1
  3. β Rb
  4. β Rc/Rb
(정답률: 알수없음)
  • Ico는 Ib에 비례하므로, Ic는 βIb에 비례한다. 따라서 Ic의 안정계수는 β이다. 그러나 이 회로에서는 Rb와 Rc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Ic의 안정계수는 β + 1이 된다. 이는 Rb와 Rc가 연결되어 있어서, Ic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회로에서 C1, C2, C3의 리액턴스가 신호 주파수에서 매우 적은 경우 콘덴서 C3를 제거 한다면?

  1. 이득증가
  2. 이득감소
  3. 발진한다.
  4. 변동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 C3를 제거하면, 출력 신호는 R2와 R3으로만 흐르게 되어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득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회로에서 전압 이득을 구하면? (hie = 1[㏀], β = hfe = 50, VBE = 0.7V)

  1. Av = 4.8
  2. Av = -3.3
  3. Av = -4.8
  4. Av = 3.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이득은 Av = -β(RC||RL)/(hie+RE)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RC||RL = 2kΩ || 1kΩ = 0.67kΩ 이므로,

    Av = -50(0.67kΩ)/(1kΩ+1kΩ) = -4.8

    따라서 정답은 "Av = -4.8"이다.

    이유는 입력 신호가 양수일 때 출력 신호는 음수가 되므로, 전압 이득이 음수가 된다. 또한, hie와 RE가 크기 때문에 분모가 크고, RC||RL이 작기 때문에 분자가 작아져 전압 이득이 크게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omputer가 외부와 교류하여 상호 정보교환을 하는 데는 interrupt, polling, DMA, I/O등이 있다. 이들의 총칭은?

  1. Arithmetics
  2. Interface
  3. Halt
  4. Control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들은 모두 컴퓨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외부 장치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다루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총칭은 "Interfac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트랜지스터의 밀러(Miller)입력 저항 성분은 주파수가 0에서 fH까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되는가? (단, fH:High 3㏈ 주파수)

  1. 줄어든다.
  2. 증가한다.
  3. 변화하지 않는다.
  4. 감소하다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밀러 입력 저항 성분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증폭기의 전체 전압 이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0에서 fH까지 증가함에 따라 밀러 입력 저항 성분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궤환 회로를 포함한 직렬형 정전압 회로의 특징을 잘못 기술한 것은?

  1. 부하가 가벼울 때의 효율은 병렬형에 비하여 휠씬 크다.
  2. 출력 전압의 넓은 범위에 걸쳐 쉽게 설계할수 있다.
  3. 증폭단을 증가시킴으로써 출력저항을 크게할수 있다.
  4. 증폭단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압안정 계수를 매우 작게 할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단을 증가시킴으로써 출력저항을 크게할수 있다."가 잘못 기술된 것이다. 직렬형 정전압 회로에서 증폭단을 증가시키면 출력저항이 작아지게 된다. 이는 증폭단이 증가함에 따라 입력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저항을 크게 하려면 증폭단을 줄이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궤환증폭회로에서 전압증폭도 라 할 때 부궤환의 조건은?(단, A는 부궤환시의 증폭도이다.)

  1. |1 - Aβ |< 1
  2. Aβ = ∞
  3. Aβ = 1
  4. | 1 - Aβ | > 1
(정답률: 알수없음)
  • 궤환증폭회로에서 전압증폭도는 A = -Rf/Ri 이다. 부궤환 조건은 궤환회로에서 출력이 부궤환에 도달할 때,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차이가 충분히 작아져서 안정적인 출력이 나오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부궤환에서의 증폭도는 β = 1 + Rf/Rg 이다.

    따라서, |1 - Aβ| > 1 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1 - Aβ| ≤ 1 이라면, Aβ가 1에 가까워지게 되면서 궤환회로에서 출력이 부궤환에 도달할 때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차이가 충분히 작아지지 않아 안정적인 출력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1 - Aβ| > 1 이어야 안정적인 출력이 나오는 것이 보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궤환 발진기의 바크하우젠(Barkhausen)의 발진 조건은?

  1. β A = ∞
  2. β A = 0
  3. β A = 1
  4. β A ≤ 1
(정답률: 알수없음)
  • 궤환 발진기에서 바크하우젠의 발진 조건은 피드백 회로에서 전체 이득이 1이 되는 상태에서 발생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β A =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β A = 1"이다. "β A = ∞"는 피드백 회로에서 이득이 무한대가 되는 경우로 발진 조건이 아니며, "β A = 0"은 피드백 회로에서 이득이 0이 되는 경우로 발진이 불가능하다. "β A ≤ 1"은 이득이 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로 발진 조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N접합 다이오드의 온도와 역포화 전류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역포화 전류는 온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2. 역포화 전류는 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3. 역포화 전류는 온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4. 온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역포화 전류는 약 2배씩 증가한다.
(정답률: 20%)
  • 정답은 "온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역포화 전류는 약 2배씩 증가한다." 이다.

    PN접합 다이오드의 역포화 전류는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역포화 전류는 증가한다. 이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PN접합에서 생성되는 캐리어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역포화 전류는 약 2배씩 증가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트랜지스터 컬렉터 누설 전류가 주위온도 변화로 1.6[㎂] 에서 160[㎂]로 증가되었을 때 컬렉터 전류의 변화가 1[㎃]라 하면 안정률은 약 얼마인가?

  1. 1
  2. 6.3
  3. 16
  4. 10π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률은 출력전압의 변화에 대한 입력전압의 변화의 비율로 정의된다. 이 문제에서는 컬렉터 전류의 변화가 1[㎃]이므로, 출력전압의 변화는 이에 대응하는 컬렉터 저항의 값인 1[Ω]에 따라 결정된다.

    안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정률 = (1 - ΔVout / Vout) / (ΔVin / Vin)

    여기서 ΔVout은 출력전압의 변화량, Vout은 출력전압, ΔVin은 입력전압의 변화량, Vin은 입력전압을 나타낸다.

    주어진 정보에서는 ΔVout / Vout = 1 / Vout 이고, ΔVin / Vin = ΔIc / Ic 이다.

    따라서,

    안정률 = (1 - 1 / Vout) / (ΔIc / Ic)

    컬렉터 누설 전류가 1.6[㎂]에서 160[㎂]로 증가하면, 이에 대응하는 컬렉터 저항의 값은

    ΔIc = 160[㎂] - 1.6[㎂] = 158.4[㎂]

    따라서,

    안정률 = (1 - 1 / Vout) / (158.4[㎂] / 1[㎃])

    안정률이 6.3이 되려면,

    (1 - 1 / Vout) / (158.4[㎂] / 1[㎃]) = 6.3

    1 - 1 / Vout = 1000 / 158.4

    1 / Vout = 1 - 1000 / 158.4

    Vout = 158.4 / (158.4 - 1000) = -198[Ω]

    따라서, 안정률은 6.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과 같은 comparator 회로에서 입력에 정현파를 인가하면 출력파형은?

  1. 구형파형
  2. 정현파형
  3. ramp 파형
  4. 톱니파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comparator 회로는 입력 신호가 Vref보다 크면 출력이 High, 작으면 출력이 Low가 되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으로 정현파를 인가하면 Vref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High와 Low가 번갈아가며 출력되므로 구형파형이 출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저주파 전력 증폭기의 출력 측 기본파 전압이 100[V] 제2 및 제3 고조파 전압이 각 각 4[V]와 3[V]라면 이 경우의 왜율은?

  1. 5 %
  2. 10 %
  3. 15 %
  4. 20 %
(정답률: 34%)
  • 저주파 전력 증폭기의 출력 측 기본파 전압은 100[V]이므로, 제2 고조파와 제3 고조파의 전압은 각각 4[V]와 3[V]이다. 이때, 왜율은 (제2 고조파 전압 + 제3 고조파 전압) / 기본파 전압 x 100% 이므로, (4[V] + 3[V]) / 100[V] x 100% = 7%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 %"인 이유는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부궤환 증폭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잡음이 1/1-β A 만큼 감소한다.
  2. 이득이 1/1-β A로 감소한다.
  3. 주파수 대역이 1/1-β A로 좁아진다.
  4. 안정도가 1/1-β A 만큼 개선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대역이 1/1-β A로 좁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부궤환 증폭기는 피드백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회로로, 이득과 안정도는 향상되지만 주파수 대역이 좁아지는 특성이 있다. 이는 피드백 회로에서 피드백 비율이 커질수록 주파수 대역이 좁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이 1/1-β A로 좁아지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회로에서 V2에 해당되는 출력 전압을 나타낸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V2에 해당하는 출력 전압은 Vout이다. 이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신호는 Vin이다. 이 회로에서 Vout은 Vin에 대해 어떤 비율로 증폭되는데, 이 비율은 R2와 R1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Vout은 Vin에 R2/R1만큼 곱해진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의 논리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논리식은?

  1. Z = X+Y
  2. Z = X·Y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의 논리 다이어그램은 XOR 게이트를 나타내고, XOR 게이트의 출력은 두 입력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 된다. 따라서, "Z = X+Y"가 정답이다. "Z = X·Y"는 AND 게이트를 나타내는데,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정답이 아니다. ""와 ""는 OR 게이트를 나타내는데, 두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므로, 이 경우에도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710을 그레이 코드(gray code)로 변환하면?

  1. 0100
  2. 0101
  3. 1010
  4. 0010
(정답률: 알수없음)
  • 7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12이다.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뀐 코드이므로, 1112의 그레이 코드는 1012이다. 이를 다시 10진수로 변환하면 510이 되는데, 보기에서 0100은 510의 그레이 코드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ECL 회로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 회로의 출력은 각각 OR, NAND 출력이 된다.
  2. 출력 임피던스가 낮고, fan out가 크다.
  3. 소비 전력이 크다.
  4. noise margin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비 전력이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ECL 회로는 고속 동작을 위해 전압을 높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로직 회로들과 비교했을 때의 특징이며, ECL 회로 내에서는 소비 전력이 작은 회로도 존재한다. 이 회로의 출력이 각각 OR, NAND 출력이 되는 이유는 ECL 회로의 논리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ECL 회로는 입력 신호가 높은 경우 출력이 낮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OR 게이트와 NAND 게이트를 구성하는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부궤환 증폭기에서 궤환이 없을 때 전압이득이 60[dB]이고, 궤환율이 0.01일 때 증폭기의 이득은?

  1. 30[dB]
  2. 40[dB]
  3. 60[dB]
  4. 80[dB]
(정답률: 알수없음)
  • 부궤환 증폭기에서 궤환이 없을 때 전압이득은 60[dB]이므로, 입력 전압에 비해 출력 전압이 10^6배 증폭된 것이다. 즉,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10^6배이다.

    궤환율이 0.01이므로, 입력 전압의 1%가 궤환을 통해 출력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10^6배 중 1%인 10^4배가 된다.

    증폭기의 이득은 출력 전압에 비해 입력 전압이 얼마나 증폭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이를 dB로 나타내면 20log(10^4) = 80[dB]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궤환이 없을 때의 이득이 아니라 궤환율이 0.01일 때의 이득이므로, 궤환으로 인해 출력 전압이 더 적어진 상황에서의 이득을 구해야 한다.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10^4배가 되었으므로, 궤환으로 인해 출력 전압이 1% 감소한 후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10^4배 중 99%인 9900배가 된다. 따라서 이득은 20log(9900) = 40[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게이트 중 출력을 직접 연결하여 OR 게이트로 연결된 것처럼 쓸 수 있는 출력 방식은?

  1. 토템폴(Totem-pole)
  2. ECL(Emitter-Coupled Logic)
  3. 3-상태(tri-state) 출력
  4.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정답률: 알수없음)
  • 3-상태(tri-state) 출력은 출력을 직접 연결하여 OR 게이트로 연결된 것처럼 쓸 수 있는 출력 방식이다. 이는 출력이 High, Low, 또는 High-impedance(높은 임피던스) 상태 중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High-impedance 상태는 출력이 연결되지 않은 것과 같은 상태로, 다른 출력과 충돌하지 않고 여러 개의 출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3-상태(tri-state) 출력은 OR 게이트로 연결된 것처럼 쓸 수 있는 출력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전자공학

61. 발광 다이오드(LED)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GaP, GaAsP 등 화합물 반도체로 만들어진다.
  2. PN 접합이 순바이어스 되었을 때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과정에서 빛이 발생된다.
  3. 액정 디스플레이(liquid-crystal display;LCD) 보다 소비 전력이 작다.
  4. LED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대 광도가 선형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LED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crystal display;LCD) 보다 소비 전력이 작다." 이다. 실제로 LED는 LCD보다 전력 소비가 적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LED 백라이트)가 아닌, 직접 발광하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만, 전체적으로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열평형 상태에 있는 반도체에서 정공(正孔)밀도 P와 전자 밀도 n을 곱한 pn적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온도 및 금지대의 에너지 폭의 함수이다.
  2. 불순물 밀도 및 Fermi 준위의 함수이다.
  3. 불순물 밀도 및 금지대 에너지 폭의 함수이다.
  4. 온도 및 불순물 밀도의 함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순물 밀도 및 Fermi 준위의 함수이다."이다.

    pn적은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값 중 하나이다. pn적은 P와 n의 곱으로 정의되며, 이 값이 클수록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이 좋아진다.

    불순물 밀도는 반도체 내에 불순물이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Fermi 준위는 반도체 내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pn적은 불순물 밀도와 Fermi 준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지하고 있는 전자를 V[V]의 전위차로 가속 시킬 때의 속도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하고 있는 전자를 V[V]의 전위차로 가속시킬 때의 속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v = √(2qV/m)

    여기서 q는 전자의 전하량, V는 전위차, m은 전자의 질량이다.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에서 전하량 q와 질량 m은 전자에 대한 고유한 값이므로 상수이다. 따라서 전위차 V가 증가하면 속도 v는 V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자 볼트(electron vol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자가 1[J]의 에너지를 얻는데 필요한 전압이다.
  2. 1[eV]=1[J]이다.
  3. 전자 1개가 1 volt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는 운동 에너지이다.
  4. 전자가 1[m/sec]의 속도를 얻는데 필요한 전압이다.
(정답률: 30%)
  • 전자 볼트는 전자가 전위차 1볼트를 통과할 때 얻는 운동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전자 1개가 1 volt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는 운동 에너지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의 방전 중에서 비교적 낮은 전압 강하로 큰 전류를 얻는 것은?

  1. 타운센트 방전
  2. 그로우 방전
  3. 아크 방전
  4. 네온사인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 방전은 전극 사이의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여 전기가 흐르기 시작하는 방전 현상입니다. 이 때문에 비교적 낮은 전압 강하로도 큰 전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 방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진성 반도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 체적당 전도대 중의 전자의 수와 단위 체적당 가전자대 중의 정공의 수는 같다.
  2. 운반체(carrier)의 밀도는 온도가 상승하면 증가한다.
  3. 반도체의 저항 온도계수는 양(+)이다.
  4. Fermi 준위는 어떤 온도에서든지 전도대와 가전자대의 중앙에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도체의 저항 온도계수는 양(+)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반도체의 저항 온도계수는 음(-)입니다. 이는 온도가 상승하면 전자와 정공의 운동이 더 많아져서 전자와 정공의 충돌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자의 이동성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면 반도체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고주파 특성이 좋은 트랜지스터를 만들기 위한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차단 주파수를 높게 한다.
  2. 베이스 확산 저항을 작게 한다.
  3. 켈렉터 접합 면적을 작게 한다.
  4. 확산하는 소수 캐리어의 확산 정수를 작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확산하는 소수 캐리어의 확산 정수를 작게 한다."는 옳은 조건이다. 이는 소수 캐리어가 확산하여 베이스와 켈렉터 사이에서 재결합되는 시간을 줄이기 때문에 고주파 특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조건들을 나열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금속체 내에 있는 전자가 표면장벽을 넘어서 금속 밖으로 방출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를 가르키는 것은?

  1. 광 에너지
  2. 운동 에너지
  3. 페르미 준위
  4. 일 함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페르미 준위"가 아닌 "일 함수"입니다.

    페르미 준위는 금속 내 전자의 최대 에너지 상태를 가리키는 개념이며, 이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는 이미 금속 밖으로 방출되어 나가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표면장벽을 넘어서 금속 밖으로 방출되기 위한 최소 에너지를 가리키는 것은 페르미 준위가 아닌, 이를 계산하는 수학적인 함수인 "일 함수"입니다. 일 함수는 전자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통해 전자가 표면장벽을 넘어서 금속 밖으로 나갈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Si 결정에서의 전자 이동도는 T=300[K]에서 0.12[m2/Volt-sec] 이다. 상온에서 전자의 확산계수는? (단, 볼쯔만 상수 k=8.63×10-5[eV/K]이다.)

  1. 2.1×10-3[m2/sec]
  2. 2.5×10-5[m2/sec]
  3. 3.1×10-3[m2/sec]
  4. 3.5×10-5[m2/sec]
(정답률: 10%)
  • 확산계수(Diffusion coefficient)와 전자 이동도(Mobility)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D = kT/μ

    여기서 D는 확산계수, k는 볼쯔만 상수, T는 온도, μ는 전자 이동도이다.

    따라서 상온(300K)에서 전자의 확산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D = (8.63×10^-5[eV/K]) × (300[K]) / (0.12[m^2/Volt-sec])
    = 2.0725×10^-2 [m^2/eV-sec]

    전자의 전하는 -1.602×10^-19[C]이므로, 전자의 질량은 9.109×10^-31[kg]이다.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 = (1/2)mv^2

    여기서 m은 전자의 질량, v는 전자의 속도이다.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므로, 상온에서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E = (3/2)kT
    = (3/2) × (8.63×10^-5[eV/K]) × (300[K])
    = 0.037935[eV]

    전자의 운동에너지와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전자의 자유확산계수(Free diffusion coefficient)를 계산할 수 있다.

    D0 = (1/3)vl
    = (1/3) × (E/e) × (μ)
    = (1/3) × (0.037935[eV] / -1.602×10^-19[C]) × (0.12[m^2/Volt-sec])
    = 3.116×10^-3 [m^2/sec]

    따라서, 상온에서 전자의 확산계수는 "3.1×10^-3[m^2/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열전자 방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온으로 가열하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
  2. 열전자 방사량은 금속의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3. 열전자 방사량은 열음극의 일함수와 관계가 있다.
  4. 열전자 방출에 의해 schottky 효과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전자 방출에 의해 schottky 효과가 발생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열전자 방사량은 금속의 절대온도에 비례하는 이유는, 금속 내부의 전자들이 열에 의해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되면, 금속 표면에서 더 쉽게 빠져나와 방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속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더 많은 열전자 방사량이 발생하게 됩니다.

    열전자 방사량은 열음극의 일함수와 관계가 있습니다. 열음극은 금속 표면에 존재하는 전자들 중에서, 금속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전자들을 말합니다. 열음극의 일함수가 작을수록, 금속 표면에서 더 쉽게 전자가 빠져나와 열전자 방출이 일어납니다.

    Schottky 효과는 금속과 반도체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금속과 반도체의 전자 에너지 준위 차이로 인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하 이동 현상을 말합니다. Schottky 효과는 열전자 방출과는 관련이 있지만, 열전자 방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2중 베이스 다이오드라고도 불리어지는 소자는?

  1. 유니정션 트랜지스터(unijunction transistor)
  2. 실리콘 제어 정류기
  3. PNPN 다이오드
  4. 다중 이미터 트랜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유니정션 트랜지스터는 2개의 P형 반도체와 1개의 N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종의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P형 반도체 사이에는 N형 반도체가 삽입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니정션 트랜지스터는 저주파 스위칭 회로나 발진 회로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바랙터(varactor) 다이오드는 어떠한 양(量)들 사이의 비직선적 관계를 이용하는 소자인가?

  1. 전류와 전압
  2. 전류와 온도
  3. 전압과 정전용량
  4. 주파수와 정전용량
(정답률: 20%)
  • 바랙터(varactor) 다이오드는 전압과 정전용량 사이의 비직선적 관계를 이용하는 소자입니다. 이는 바람개비 모양의 pn 접합부에서 전압이 증가하면 접합부의 정전용량이 감소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을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압과 정전용량이 바랙터 다이오드의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절대온도 00K 에서 진성 반도체는 어느 것과 같은가?

  1. 반도체
  2. 절연체
  3. 도체
  4. 자성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온도 0K에서 진성 반도체는 전자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이 없어져 절연체와 같은 특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절연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300[° K]에서 페르미 준위보다 0.1[eV]만큼 낮은 에너지 준위에 전자가 점유하는 확률은?

  1. 0.02
  2. 0.1
  3. 0.9
  4. 0.98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드브로이(de Broglie) 물질파의 개념에서 볼 때 전자파의 파장이 무한대일 경우 전자의 상태는?

  1. 정지상태
  2. 직선운동
  3. 나선운동
  4. 원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파의 파장이 무한대일 경우, 전자의 운동량은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드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에서 전자의 파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를 "정지상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전자는 움직이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자 수가 32인 원자의 가전자 수는?

  1. 2개
  2. 4개
  3. 8개
  4. 18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 수가 32인 원자는 산소의 원자입니다. 산소의 전자 구성은 2, 6, 2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외곽 전자 수는 6개이며, 이중에서 공유 전자 쌍은 2개입니다. 따라서, 산소의 가전자 수는 6-2=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레이저(LASER)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저는 코히렌트(coherent)한 평면파동이다.
  2. 기체 레이저는 연속적으로 광파를 방출할 수 있다.
  3. 레이저는 지향성을 가진다.
  4. 레이저는 자연 방출(spontaneous emission)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저는 자연 방출(spontaneous emission)을 이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레이저는 자극 방출(stimulated emission)을 이용하여 광을 방출한다. 자극 방출은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여 원자나 분자 등이 이미 가지고 있는 에너지 상태를 높이고, 이 상태에서 광자를 충돌시켜 더 많은 광자를 방출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히렌트한 평면파동이 생성되어 레이저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PN 접합 다이오드의 용량에는 확산용량 Cd와 접합용량 Ct가 있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바이어스 전압에 관계없이 Cd = Ct 이다.
  2. 순 바이어스 때는 Cd ≫ Ct 이다.
  3. 역 바이어스 때는 Cd ≫ Ct 이다.
  4. 순 바이어스 때는 Ct ≫ Cd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순 바이어스 때는 Cd ≫ Ct 이다." 이다.

    PN 접합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된 구조이다. 이 때,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불순물이 만나면서 생기는 접합층에서는 이온화된 양자들이 서로 이동하면서 전하를 띤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서는 양자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용량이 형성되는데, 이를 접합용량(Ct)이라고 한다.

    또한, PN 접합 다이오드에서는 전자와 정공이 서로 이동하면서 형성된 영역에서 용량이 형성되는데, 이를 확산용량(Cd)이라고 한다. 확산용량은 PN 접합 다이오드의 소자 구조와 관련이 있으며, 소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확산용량이 작아진다.

    순 바이어스 상태에서는 PN 접합 다이오드의 양쪽 단에 전압이 걸려 있지만,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다. 이 때, PN 접합 다이오드의 용량은 주로 접합용량(Ct)이 된다. 이는 전압이 걸려 있어도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확산용량(Cd)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 바이어스 때는 Cd ≫ Ct가 아니라, Cd ≪ C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온도가 상승하면 N형 반도체의 Fermi 준위는 어디에 위치하게 되는가?

  1. 전도대역쪽으로 접근
  2. 금지대 영역 중앙으로 접근
  3. 가전자대역쪽으로 접근
  4. 금지대역 중앙과 가전자대역 중간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가 상승하면 N형 반도체의 전자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Fermi-Dirac 분포에서 Fermi 준위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금지대 영역 중앙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는 전자와 양공이 만나서 상호 결합하여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Pn 접합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 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단, 브레이크다운 전압(breakdown voltage) 보다는 낮은 범위이다.)

  1. 공핍층(depletion layer)의 넓이에 관계가 없다.
  2. 공핍층이 더 넓어진다.
  3. 공핍층이 좁아진다.
  4. 공핍층이 없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Pn 접합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와 양자가 공핍층을 넘어서 이동하려고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전자와 양자가 충돌하여 새로운 전자-홀 쌍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전자-홀 쌍은 다시 공핍층에서 분리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핍층이 더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공핍층이 더 넓어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81.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시스템의 처리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다.
  2.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3. 관리 방식은 Paging과 segmentation 기법이 있다.
  4. 주로 하드웨어 보다는 소프트웨어로 실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컴퓨터시스템의 처리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가상 메모리는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큰 용량을 제공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로드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보통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코드에서 오퍼랜드가 될 수 없는 것은?

  1. 데이터
  2. 데이터의 어드레스
  3. 명령코드
  4. 레지스터 이름
(정답률: 알수없음)
  • 오퍼랜드는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나 데이터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이름 등을 말합니다. 하지만 명령코드는 어떤 연산을 수행할지를 나타내는 코드이므로 오퍼랜드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령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두 종류의 기억장치, 즉 주 메모리와 제어 메모리를 갖는다.
  2. 주 메모리는 사용자가 그 내용을 변경시킬 수 없다.
  3. 제어 메모리는 그 내용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4. 각 명령들은 제어 메모리에 있는 일련의 마이크로 명령의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 메모리는 사용자가 그 내용을 변경시킬 수 없다."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의 특성과는 무관한 내용이다. 이는 주 메모리의 보호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는 있지만, 주 메모리의 내용을 직접 변경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소프트웨어적으로 인터럽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인터럽트 형식은?

  1. 폴링 방법에 의한 인터럽트
  2. 데이지체인 방법에 의한 인터럽트
  3. 수퍼바이저 콜에 의한 인터럽트
  4. 벡터 방식에 의한 인터럽트
(정답률: 알수없음)
  • 폴링 방법에 의한 인터럽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인터럽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CPU가 인터럽트 요청을 받으면, CPU가 직접 각 장치를 폴링하여 어떤 장치가 인터럽트를 요청했는지 확인하고, 해당 장치의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구현이 쉬우며, 우선 순위를 정할 필요가 없어서 우선 순위가 없는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폴링 방식은 CPU가 계속해서 장치를 폴링하므로 CPU의 부하가 매우 커지고, 실시간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의 자료처리에 큐(queue)의 사용이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명령문 인출
  2. 재귀적(recursive) 서브루틴 호출
  3. 프린터로 출력할 자료의 저장
  4. 작업의 실행 순서를 정하는 스케줄링(schedu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재귀적 서브루틴 호출은 스택(stack)을 사용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큐(queue)의 사용이 적당하지 않습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고, 재귀적 서브루틴 호출은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택을 사용하여 호출된 함수들을 저장하고 복귀할 때 역순으로 호출된 함수들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큐보다는 스택이 적합한 자료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설명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작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다.
  2. 크기가 작은 프로그램을 말한다.
  3. 컴퓨터에 하드웨어로 내장된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4.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하드웨어로 내장된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1024 x 16비트의 주기억장치를 가진 컴퓨터에서 MAR(Memory Address Register)과 MBR(Memory Buffer Register)의 비트 수는?

  1. MAR=6bits, MBR=10bits
  2. MAR=10bits, MBR=6bits
  3. MAR=10bits, MBR=16bits
  4. MAR=18bits, MBR=10bits
(정답률: 알수없음)
  • MAR은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1024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2^10 = 1024 이므로, MAR은 10비트여야 한다. MBR은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주기억장치의 데이터 크기인 16비트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AR=10bits, MBR=16bit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보기의 주소지정방식은?

  1. 자료자신(immediate addressing mode)
  2. 직접주소지정방식(direct addressing mode)
  3. 간접주소지정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
  4. 상대주소지정방식(relative addressing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보기에서는 레지스터(R1)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에 있는 값을 가져오는 방식으로, 레지스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인 "간접주소지정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두 문자의 비교(compare)에 가장 적합한 논리 연산은?

  1. AND
  2. Exclusive-OR
  3. OR
  4. NOR
(정답률: 알수없음)
  • Exclusive-OR 연산은 두 입력 값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 값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이다. 따라서 두 문자를 비교할 때, 두 문자가 다르면 참을 반환하고 같으면 거짓을 반환하므로 Exclusive-OR 연산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연산들은 두 입력 값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참을 반환하므로 문자의 비교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분산처리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달과 마이크로 컴퓨터의 대량 보급으로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오류 허용(Fault-tolerant) 시스템의 개발
  2. 처리 속도의 증가
  3.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의 단축
  4. 가격 대 성능비의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처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 오류 허용성이 높아지고 처리 속도가 빨라지며 가격 대 성능비가 향상됩니다. 하지만 분산처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동작시키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의 단축은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번지지정방식 중에서 OP 코드 자신이 특정 레지스터의 동작을 지정하여 주는 것은?

  1. 인덱스 번지지정방식
  2. 레지스터 간접 번지지정방식
  3. 상대 번지지정방식
  4. 임플라이드(implied) 번지지정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플라이드(implied) 번지지정방식은 명령어 자체에 이미 특정 레지스터의 동작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주소 지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OP 코드 자신이 특정 레지스터의 동작을 지정하여 주는 것이 바로 임플라이드(implied) 번지지정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명령 형식 중 데이터의 처리가 누산기(Accumulator) 에서 이루어지는 형식은?

  1. 스택 구조 형식
  2. 1번지 명령 형식
  3. 2번지 명령 형식
  4. 3번지 명령 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1번지 명령 형식은 명령어의 오퍼랜드가 누산기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데이터 처리가 누산기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른 형식들은 스택이나 메모리 등 다른 곳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누산기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순서도의 사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코딩의 직접적인 자료가 된다.
  2. 프로그램의 내용과 일처리 순서를 파악하기 쉽다.
  3. 프로그램 언어마다 다르게 표현되므로 공통적으로 사용 할 수 없다.
  4. 오류 발생 시 그 원인을 찾아 수정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서도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일처리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도와주며, 오류 발생 시 그 원인을 찾아 수정하기 쉽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언어마다 다르게 표현되므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순서도는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순서도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마이크로프로세서의 control signal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micro operation 수행 명령을 보내는 신호
  2. micro operation 수행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signal
  3. I/O unit을 구동시키는 신호
  4. micro operation의 clock을 결정해 주는 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control signal은 micro operation 수행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signal입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micro operation이 다른 signal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control signal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컴퓨터 시스템에서 입·출력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지 않고 직접 메모리를 Access하는 방법은?

  1. Input/Output Interface 방식
  2. Direct I/O Control 방식
  3. Indirect Microprocessor Control 방식
  4.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DMA 방식은 입·출력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지 않고, 입·출력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CPU는 처리 속도가 빠르고, 주변장치는 늦기 때문에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변장치에서 요청이 있을 때만 Service를 해주고 그 외에는 CPU가 다른 일을 하는 방식은?

  1. Parallel Processing
  2. Interrupt
  3. Isolated I/O
  4. DMA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다른 일을 하다가 주변장치에서 요청이 있을 때, CPU는 해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현재 작업을 중단하고 해당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을 Interrupt라고 한다. 이 방식은 CPU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주변장치와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Interrupt"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컴파일러(Compiler)
  2. 어셈블러(Assembler)
  3. 유틸리티(Utility)
  4. 연계 편집 프로그램
(정답률: 알수없음)
  •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Compiler)라고 한다. 따라서, "컴파일러"가 정답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이고, "유틸리티"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 둘은 정답이 될 수 없다. "연계 편집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소스 코드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합쳐주는 프로그램으로, 컴파일러와는 조금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연계 편집 프로그램"은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에 실행할 명령이 기억되어 있는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는?

  1. 인스트럭션 레지스터(IR)
  2. 프로그램 카운터(PC)
  3.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4. 메모리 번지 레지스터(MAR)
(정답률: 알수없음)
  • 인스트럭션 레지스터(I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레지스터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명령어의 형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3-주소 명령어 형식은 세 개의 자료 필드를 갖고 있다.
  2. 2-주소 명령어 형식에서는 연산 후에도 원래 입력자료가 항상 보존된다.
  3. 1-주소 명령어 형식에서는 연산결과가 항상 누산기 (accumulator)에 기억된다.
  4. 0-주소 명령어 형식을 사용하는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택(stack)을 갖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주소 명령어 형식에서는 연산 후에도 원래 입력자료가 항상 보존된다." 이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2-주소 명령어 형식에서는 연산 후에 입력자료가 변경될 수 있다.

    2-주소 명령어 형식은 두 개의 자료 필드를 갖고 있으며, 첫 번째 필드는 명령어 코드를 나타내고 두 번째 필드는 연산에 사용되는 자료의 주소를 나타낸다. 연산 후에는 두 번째 필드가 가리키는 자료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입력자료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2-주소 명령어 형식에서는 연산 후에도 원래 입력자료가 항상 보존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CPU가 입·출력 데이터 전송을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전송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입ㆍ출력 제어방식은?

  1. Interrupt I/O
  2. Memory-mapped I/O
  3. Isolated I/O
  4. Programmed I/O
(정답률: 알수없음)
  • Memory-mapped I/O는 입·출력 장치가 메모리 주소 공간에 매핑되어 있어 입·출력 데이터 전송을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전송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어방식이다. 따라서 CPU는 입·출력 장치를 메모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룰 수 있어 입·출력 처리가 빠르고 간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