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승강기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 개론

1. 소형과 저속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비상정지장치로 로프에 장력이 없어져 느슨해졌을 때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는 안전장치는?

  1. 플랙시블 가이드 클램프형 비상정지장치
  2. 플랙시블 웨지 클램프형 비상정지장치
  3. 롤러식 비상정지장치
  4. 로프이완 비상정지장치
(정답률: 75%)
  • 로프이완 비상정지장치는 로프에 장력이 없어져 느슨해졌을 때 작동되는 안전장치이다. 이는 로프가 끊어져도 작동할 수 있어 소형과 저속엘리베이터에서 많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로프에 대한 설명이 없으므로 로프와 관련된 비상정지장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승강기의 카와 균형추와의 로프 거는 방법 중 더블랩을 사용하는 승강기는?

  1. 저속화물용 승강기
  2. 중속 승용승강기
  3. 고속 기어레스 승용승강기
  4. 아파트용 승용승강기
(정답률: 65%)
  • 고속 기어레스 승용승강기는 더블랩 방식으로 카와 균형추와 로프를 걸어서 안정성을 높이고, 높은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레스 시스템을 적용한 승강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감속기를 사용하는 기어드 권상기의 일반적인 적용속도는 몇 m/min 이하인가?

  1. 90
  2. 105
  3. 125
  4. 140
(정답률: 53%)
  • 감속기를 사용하는 기어드 권상기의 일반적인 적용속도는 105m/min 이하이다. 이는 감속기가 회전수를 줄여서 출력속도를 감속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높은 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90m/min보다는 높지만, 125m/min이나 140m/min보다는 낮은 105m/min이 일반적인 적용속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때 레일 브라켓트(Rail Bracket)의 간격을 작게 하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응력도 및 휨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1. 응력도와 휨도가 모두 작아진다.
  2. 응력도와 휨도가 모두 커진다.
  3. 응력도는 커지고 휨도는 작아진다.
  4. 응력도는 작아지고 휨도는 커진다.
(정답률: 73%)
  • 레일 브라켓트 간격이 작아지면, 가이드 레일이 받는 하중이 더 많은 브라켓트에 분산되기 때문에 각 브라켓트에 작용하는 응력과 휨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응력도와 휨도 모두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압엘리베이터에서 작동 기름의 압력 맥동을 흡수하여 진동,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품은?

  1. 안전밸브
  2. 스톱밸브
  3. 사이렌서
  4. 유량제어밸브
(정답률: 83%)
  • 사이렌서는 유압엘리베이터에서 작동 기름의 압력 맥동을 흡수하여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부품입니다. 이는 작동 기름이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 기름을 이동시키면서 압력 맥동을 흡수하고, 작동 기름의 유동을 안정화시켜서 진동과 소음을 줄입니다. 따라서 사이렌서가 유압엘리베이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압식엘리베이터에서 오일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밸브는?

  1. 스톱밸브
  2. 유량제어밸브
  3. 체크밸브
  4. 릴리프밸브
(정답률: 69%)
  • 체크밸브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밸브로, 역류를 방지하고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오일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 스톱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밸브이고, 유량제어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릴리프밸브는 과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조속기의 회전속도가 정격속도를 넘을 때 기계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1. 로프캐치 및 훅
  2. 진자 및 전기스위치
  3. 진자 또는 볼
  4. 스프링 및 전기스위치
(정답률: 65%)
  • 조속기의 회전속도가 빠를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진자 또는 볼을 사용합니다. 이들은 회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회전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으로 감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제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120%의 부하로 전속하강중 위험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125%의 부하로 전속하강중 위험없이 감속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제동력은 전원이 흐르는 사이에 전자코일에 의해 주어진다.
  4. 제동력을 너무 크게하면 감속도가 과대화 된다.
(정답률: 47%)
  • 제동력이 너무 크면 감속도가 과대화되는 이유는, 제동력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면 엘리베이터의 속도가 급격하게 감속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이나 화물이 안정적으로 운반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넘어질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자체에도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제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텝체인의 전단력을 구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스텝의 무게
  2. 체인의 자중
  3. 체인의 인장장치의 탄력에 의한 힘
  4. 체인의 인장장치의 자중
(정답률: 59%)
  • 체인의 인장장치의 자중은 스텝체인의 전단력을 구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이는 인장장치의 자중이 스텝체인의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텝체인의 전단력을 구할 때는 스텝의 무게, 체인의 자중, 체인의 인장장치의 탄력에 의한 힘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층고 6000의 800형 에스컬레이터와 층고 4000의 1200형 에스컬레이터를 비교할 때 옳은 것은? (단. 에스컬레이터의 각도는 30도이다.)

  1. 에스컬레이터의 적재하중은 속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1200형 에스컬레이터가 승객의 수송능력은 크다.
  2. 수송능력 비율은 2:3 이고 층고 비율이 3:2 이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적재능력은 같다.
  3. 800형과 1200형의 적재하중의 차이는 약 200kg정도 1200형이 크다.
  4. 800형과 1200형의 적재하중은 각각 1680kg 및 2240kg이다.
(정답률: 42%)
  • "800형과 1200형의 적재하중은 각각 1680kg 및 2240kg이다."라는 보기가 옳다. 적재하중은 각 에스컬레이터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1200형이 더 큰 적재하중을 갖는 이유는 더 큰 크기와 구조 때문이다. 따라서, 1200형 에스컬레이터는 더 많은 승객을 운송할 수 있으며, 수송능력이 더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카바닥 앞부분과 승강로 벽과의 수평거리로 옳은 것은?

  1. 125mm이하이어야 한다.
  2. 130mm이하이어야 한다.
  3. 135mm이하이어야 한다.
  4. 140mm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4%)
  •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카바닥 앞부분과 승강로 벽과의 수평거리는 최소한 125m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진입할 때 발을 안전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이 거리가 125mm보다 크다면, 승객은 발을 높이 들어야 하기 때문에 안전에 위험이 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승객용 엘리베이터 설계 시에는 이러한 안전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어진 조건과 같이 어떤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려고 한다. 여기에 사용할 엘리베이터용의 변압기 용량을 산정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49.2kVA보다 커야 한다.
  2. 65.4kVA보다 커야 한다.
  3. 87.3kVA보다 커야 한다.
  4. 98.3kVA보다 커야 한다.
(정답률: 40%)
  • 주어진 건물의 총 부하는 65kW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다른 부하와는 별개로 최대 125%의 용량을 가지는 것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용 변압기의 용량은 65kW x 1.25 = 81.25kVA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87.3kVA보다 커야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류 2단 속도제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속도비는?

  1. 2:1
  2. 3:1
  3. 4:1
  4. 6:1
(정답률: 69%)
  • 교류 2단 속도제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속도비는 "4:1"이다. 이는 모터의 속도를 4배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의 속도 범위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이 속도비는 모터의 토크와 속도를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동기 주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를 초과하는 경우, 절연저항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53%)
  • 전동기 주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를 초과하는 경우, 안전을 위해 절연저항은 최소 0.4MΩ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이 높을수록 절연저항이 높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엘리베이터를 3∼8대 병설할 때에 각 케이지를 낭비없이 합리적으로 운행관리하는 조작 방식은?

  1. 군승합 자동식
  2. 군관리 방식
  3. 자동식
  4. 범용방식
(정답률: 69%)
  • 엘리베이터를 3∼8대 병설할 때에는 군관리 방식이 가장 합리적인 조작 방식이다. 이는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운행하는 방식으로, 각 케이지의 운행을 최적화하여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승객의 이동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군관리 방식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운행 계획을 수립하고, 승객의 요구에 따라 운행을 조절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운행 관리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승강로의 구조는 카바닥 앞부분과 승강로벽과의 수평거리는 출입구가 2개인 엘리베이터인 경우 각각의 출입구에 대하여 몇 m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5
  2. 115
  3. 125
  4. 135
(정답률: 62%)
  •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승강로의 구조는 카바닥 앞부분과 승강로벽과의 수평거리는 출입구가 2개인 경우 각각의 출입구에 대하여 125mm 이하로 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출입구와 승강로벽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사람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입구와 승강로벽 사이의 간격을 최소한 125m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라고도 하며 나선형으로 상승 혹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는?

  1. 옥내용 에스컬레이터
  2. 모듈러 에스컬레이터
  3. 옥외용 에스컬레이터
  4. 스파이럴 에스컬레이터
(정답률: 60%)
  • 스파이럴 에스컬레이터는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라고도 불리며, 상승 및 하강할 때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초고속 엘리베이터에서 카측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로프의 관성을 줄이기 위한 안전장치는?

  1. 로크다운 스위치
  2. 파이널 리미트스위치
  3. 강제감속장치
  4. 완충장치의 리미트스위치
(정답률: 62%)
  • 로크다운 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비상정지할 때 로프의 관성을 줄이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추면 로프가 급격하게 감속되어 엘리베이터와 승객에게 큰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로크다운 스위치는 로프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충격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로크다운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소형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항이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단독주택에 주로 설치한다.
  2. 승객용으로 보통 6인승 이하이다.
  3. 적재하중이 200kg 이하인 것을 말한다.
  4. 승강행정이 10m 이하인 것이다.
(정답률: 53%)
  • 승객용으로 보통 6인승 이하인 것은 소형 엘리베이터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소형 엘리베이터가 주로 단독주택 등 소규모 건물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적재하중이 200kg 이하인 것과 승강행정이 10m 이하인 것도 소형 엘리베이터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승객이 출입하는 동안에 승객과 도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세이프티 슈
  2. 광전 장치
  3. 초음파 장치
  4. 도어 스위치
(정답률: 18%)
  • "세이프티 슈"는 승객이 출입하는 동안에 발을 놓는 곳에 설치되어 승객과 도어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반면, "광전 장치"와 "초음파 장치"는 승객이 도어에 가까이 다가갈 때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이고, "도어 스위치"는 도어를 열고 닫는 스위치입니다. 따라서, "세이프티 슈"가 아닌 것은 모두 충돌 감지를 위한 감지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승강기 설계

21. 인버터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한 고차 고조파가 전파되는 경로가 아닌 것은?

  1. 복사에 의한 경로
  2. 진동에 의한 경로
  3. 정전유도에 의한 경로
  4. 전로전파에 의한 경로
(정답률: 60%)
  • 인버터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한 고차 고조파는 전로전파에 의한 경로, 복사에 의한 경로, 정전유도에 의한 경로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지만, 진동에 의한 경로는 아닙니다. 진동에 의한 경로는 기계적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이 전파되는 경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인버터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한 고차 고조파는 진동에 의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권상기의 설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시브로서 주로프의 지름에 접한 부분의 길이가 그 둘레길이의 1/4 이하인 경우는 시브의 피치지름은 주로프 지름의 36배이상으로 할 수 있다.
  2. 제동기의 성능은 정격하중의 125%에서 동작하여 정지할 때 카가 안전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시브홈은 종진동 및 횡진동의 최대 진폭값이 0.02mm 이하이어야 한다.
  4. 브레이크 드럼 외경의 최대 진폭값은 0.03m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50%)
  • 시브홈은 종진동 및 횡진동의 최대 진폭값이 0.02mm 이하이어야 한다. 이것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카자중이 1400kg, 적재하중이 1000kg이고 속도가 60m/min인 로프식 승강기의 오버밸런스율이 45%일 때 전동기 용량은 약 몇 kW 인가? (단, 권상기 효율은 80%, 로핑 효율 95%, 가이드슈 등의 주행 효율이 75%이다.)

  1. 7.5
  2. 8.5
  3. 9.5
  4. 10.5
(정답률: 32%)
  • 오버밸런스율은 (카자중 - 적재하중) / (카자중 + 적재하중)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400 - 1000) / (1400 + 1000) = 0.2 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은 로프식 승강기에서는 오버밸런스 중량이 전동기에 의해 들어올 때 전동기가 이 중량을 들어올리기 위해 필요한 힘을 의미합니다.

    전동기가 들어올려야 하는 중량은 적재하중 + 오버밸런스 중량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00 + (1400 * 0.2) = 1080kg 을 들어올려야 합니다.

    전동기의 용량은 들어올려야 하는 중량과 주행 효율, 권상기 효율, 로핑 효율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동기가 들어올려야 하는 중량이 1080kg 이므로, 이 값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출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동기의 출력 = 들어올려야 하는 중량 * 속도 / (주행 효율 * 권상기 효율 * 로핑 효율)

    전동기의 출력 = 1080 * 60 / (0.75 * 0.8 * 0.95) = 9.5 kW

    따라서 정답은 "9.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에서 중간 스톱퍼에 해당되는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59%)
  • 그림에서 중간 스톱퍼에 해당하는 것은 "3"번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뉘어진 두 개의 블록을 연결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스톱퍼는 블록이 왼쪽으로 이동할 때는 블록을 멈추게 하고, 블록이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는 블록을 통과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승객용 로프식엘리베이터에서 카 틀의 브레이스 로드 1개에 작용하는 장력은 약 몇 kg 인가?(단, 카자중 970kg, 정격하중 530kg, 브레이스 로드의 경사각은 65도이다.)

  1. 179
  2. 321
  3. 417
  4. 586
(정답률: 46%)
  •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카 틀의 브레이스 로드에 작용하는 장력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장력 = (카자중 + 브레이스 로드) / cos(경사각)

    여기서 카자중은 970kg, 정격하중은 530kg, 브레이스 로드의 경사각은 65도이다.

    따라서, 브레이스 로드에 작용하는 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장력 = (970kg + 브레이스 로드) / cos(65도)

    530kg를 정격하중으로 설정하면, 브레이스 로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브레이스 로드 = (장력 x cos(65도)) - 530kg

    브레이스 로드를 계산하면 약 417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래프와 같은 특성을 갖는 비상정지장치는 어떤 종류의 것인가?

  1.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2. 슬랙로프 세이프티
  3. F.G.C형 비상정지장치
  4. F.W.C형 비상정지장치
(정답률: 72%)
  • 그래프와 같은 특성을 갖는 비상정지장치는 즉시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입니다. 이는 장치가 작동하는 순간에 엘리베이터나 기타 장치가 즉시 멈추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비상정지장치들은 작동 시간이 더 길어서 그래프와 같은 특성을 갖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평보행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레트형의 경사도는 12도이하로 한다.
  2. 이동손잡이간의 거리는 1.5m이하로 한다.
  3. 경사도가 8도이하인 것의 이동손잡이 정격속도는 분당 40m이하로 한다.
  4. 경사도가 8도를 초과하는 것의 이동손잡이의 정격속도는 분당 30m이하로 한다.
(정답률: 39%)
  • "이동손잡이간의 거리는 1.5m이하로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동손잡이간의 거리가 1.5m 이상이면, 보행자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안정감이 떨어지고, 보행 중에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동손잡이간의 거리는 1.5m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엘리베이터용 전동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기동토크가 클 것
  2. 기동전류가 클 것
  3. 소음이 적을 것
  4. 회전부의 관성모멘트가 적을 것
(정답률: 66%)
  • 엘리베이터용 전동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기동전류가 클 것"입니다. 이는 전동기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동전류가 클수록 전기적인 에너지 손실이 많아지고,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전동기는 기동토크가 클 것, 소음이 적을 것, 회전부의 관성모멘트가 적을 것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급주파수 60Hz, 4극인 3상유도전동기의 전부하 회전수가 1583rpm일 때 3상 유도전동기의 슬립은 약 몇 % 인가?

  1. 10
  2. 12
  3. 14
  4. 16
(정답률: 59%)
  • 전부하 회전수는 동기회전수보다 슬립만큼 느리기 때문에 동기회전수는 60*2*4/3=1600rpm이다. 따라서 슬립은 (1600-1583)/1600*100=1.06%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슬립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1.06%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1%로 계산하면, 슬립은 약 1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링크기구에서 링크기구를 결합하는 절의 수는 반드시 몇 절이어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45%)
  • 링크기구를 결합하는 절의 수는 링크기구의 자유도에 따라 결정된다. 링크기구는 일반적으로 6개의 자유도를 가지므로, 링크기구를 결합하는 절의 수는 6-2=4개이다. 이는 링크기구의 자유도 중 2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승강기의 설비계획상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교통 수요에 적합한 대수
  2. 승강기의 배치 배열
  3. 이용자의 대기시간
  4. 건물 유리창의 수
(정답률: 66%)
  • 승강기 설비계획은 건물 내 교통 수요에 맞는 적절한 대수와 배치 배열, 이용자의 대기시간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건물 유리창의 수는 승강기 설비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최종층 감속정지장치에서 정지스위치의 위치는?

  1. 자동착상정지장치가 작동하기 직전에 작동하는 위치
  2. 자동착상정지장치가 작동한 직후에 작동하는 위치
  3. 자동착상정지장치와 동시에 작동하는 위치
  4. 카의 속도가 저속으로 절환된 직후에 작동하는 위치
(정답률: 52%)
  • 최종층 감속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최종층에 도착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이 때, 자동착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떨어지거나 상승할 때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최종층 감속정지장치에서 정지스위치의 위치는 자동착상정지장치가 작동한 직후에 작동하는 위치입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떨어지거나 상승할 때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엘리베이터를 빠르게 정지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700kg/cm2의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있을 때 변형률을 측정하였더니 0.0003 이었다. 이 재료의 종탄성계수는 몇 kg/cm2 인가?

  1. 2.1×104
  2. 2.3×104
  3. 2.1×106
  4. 2.3×106
(정답률: 48%)
  • 변형률은 ΔL/L0 으로 계산할 수 있고, 이 값은 종탄성계수와 인장응력에 비례한다. 즉, ΔL/L0 = σ/E 이다. 따라서 E = σ/ΔL/L0 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E = 700/(0.0003) = 2.3×10^6 (kg/cm^2) 이므로 정답은 "2.3×1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속도 120m/min인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카 바닥에서 상부 체대까지의 거리가 3m인 경우 오버헤드는 몇 m 인가?

  1. 4.2
  2. 4.6
  3. 4.8
  4. 5
(정답률: 45%)
  • 속도 120m/min은 2m/s에 해당한다. 따라서 카 바닥에서 상부 체대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2 = 1.5초이다. 이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는 수직으로 2 x 1.5 = 3m 이동한다. 따라서 오버헤드는 전체 거리 3m에서 카 바닥에서 상부 체대까지의 거리 3m을 뺀 값인 0m이 아니라 3m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4.8m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버헤드 거리를 계산할 때 엘리베이터의 가속도와 감속도를 고려한 값이다. 이 과정을 생략하고 단순히 수직 이동 거리만 고려한 경우에는 오버헤드 거리는 3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오일이 실린더로 들어가는 곳에 설치되어 만일 파이프가 파손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밸브를 닫아 카가 급격히 떨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로 한번 동작하면 인위적으로 재조작하기 전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밸브는?

  1. 럽처밸브
  2. 안전밸브
  3. 체크밸브
  4. 스톱밸브
(정답률: 46%)
  • 럽처밸브는 오일이 실린더로 들어가는 곳에 설치되어 파이프가 파손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밸브를 닫아 카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입니다. 한번 동작하면 인위적으로 재조작하기 전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럽처밸브는 파이프 파손 등의 긴급 상황에서 안전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군관리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사용상의 용이성이나 쾌적함의 향상은 군관리의 목적이 아니다.
  2. 예보의 정밀도는 예보 틀림과 예보 변경의 발생률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3. 대기시간은 군관리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4. 승차시간도 군관리시스템의 성능평가의 지표로 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53%)
  • "사용상의 용이성이나 쾌적함의 향상은 군관리의 목적이 아니다."는 적절하지 못한 설명이다. 군관리시스템은 군대 내부의 효율적인 운영과 임무 수행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사용상의 용이성과 쾌적함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용이성과 쾌적함은 군관리시스템의 목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포크 리프트 등을 사용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대한 권상능력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적재하중의 110%하중이 작용해도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한다.
  2. 적재하중의 125%하중이 작용해도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한다.
  3. 적재하중의 150%하중이 작용해도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한다.
  4. 적재하중의 175%하중이 작용해도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한다.
(정답률: 31%)
  •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권상기의 권상능력은 적재하중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적재하중이 높을수록 권상기의 권상능력이 높아야 하며, 이는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적재하중의 150%하중이 작용해도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이는 적재하중의 1.5배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적재하중에 비해 권상능력이 너무 높거나 낮기 때문에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C 전자브레이크와 DC 전자브레이크를 비교할 때 틀린 것은?

  1. AC 브레이크는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대시포트를 사용한다.
  2. DC 브레이크는 코일에 직렬로 다이오드를 접속해서원활한 작동을 한다.
  3. AC 브레이크의 자석은 적층 코아이다.
  4. DC 브레이크는 고형 코아이므로 구조는 간단하다.
(정답률: 50%)
  • DC 전자브레이크는 고형 코어이므로 구조는 간단하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DC 전자브레이크는 적층 코어를 사용하며, AC 전자브레이크와 마찬가지로 대시포트를 사용하여 작동을 원활히 한다. 따라서 정답은 "DC 브레이크는 코일에 직렬로 다이오드를 접속해서 원활한 작동을 한다."가 아니라 "DC 브레이크는 고형 코어이므로 구조는 간단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엘리베이터의 각종 상태에 대한 비상운전에의 전환 가능성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카내 비상스위치가 조작되어 있더라도 비상호출운행은 가능하다.
  2. 카 내부 운전 휴지스위치가 동작되어 있더라도 비상호출운행은 가능하다.
  3. 파킹 스위치가 동작되어 있더라도 비상호출운행은 가능하다.
  4. 지진관제에 의해 정지 중인 경우, 비상호출운행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46%)
  • "카 내부 운전 휴지스위치가 동작되어 있더라도 비상호출운행은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내부 운전 휴지스위치가 동작되어 있으면 엘리베이터는 운전 상태가 아니므로 비상호출운행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종점스위치(terminal limit switch)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카 내부 승차인원이나 적재화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2. 엘리베이터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3.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카에 설치한다.
  4.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층마다 설치한다.
(정답률: 64%)
  • 종점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입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너무 높이 올라가거나 너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다음 중 가열할수 없는 용접부에 상온하에서 강하게 압축하므로서 경계면을 국부적으로 소성변형시켜서 용접하는 것으로 알루미늄이나 동 전선 소재의 맞대기 용접에 이용되고 있는 것은?

  1. 냉간압접
  2. 고주파압접
  3. 가스용접
  4. 초음파용접
(정답률: 60%)
  • 냉간압접은 용접부를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강하게 압축하여 경계면을 국부적으로 소성변형시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알루미늄이나 동 전선 소재의 맞대기 용접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간압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암나사를 가공하는데 사용하는 공구는?

  1. 다이스
  2. 리머
  3. 호브
(정답률: 65%)
  • 암나사를 가공하는데 사용하는 공구 중에서 탭은 내부에 나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탭은 나사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암나사와 같은 작은 부품을 가공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탭은 나사를 만들기 위해 나사형태의 칼날을 가지고 있으며, 암나사와 같은 작은 부품을 가공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공작기계 중 절삭공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은?

  1. 밀링 머신
  2. 드릴링 머신
  3. 호빙 머신
  4. 셰이퍼
(정답률: 66%)
  • 절삭공구는 재료를 절단하거나 형태를 만들기 위해 회전하는 공구입니다. 그 중에서 셰이퍼는 절삭공구가 회전하지 않습니다. 셰이퍼는 고정된 칼날을 이용하여 재료를 절단하고 형태를 만들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계재료의 담금질성(Hardenability)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필요온도까지 급냉하는 성질
  2. 재료가 변태점에서 급냉하는 성질
  3. 재료가 담금질에 의해 연화되는 성질
  4. 재료가 담금질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
(정답률: 55%)
  • 기계재료의 담금질성은 재료가 담금질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료가 일정한 크기의 부위에서 경화되는 능력을 나타내며, 필요한 경도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성질입니다. 따라서, "재료가 담금질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이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60ℓ 의 산소용기에 150기압이 되게 산소를 충전하였다면 이를 1기압에서 환산하면 약 몇 ℓ 의 산소가 되겠는가?

  1. 900
  2. 1500
  3. 8000
  4. 9000
(정답률: 66%)
  • 기압과 부피는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150기압에서 충전한 60ℓ의 산소를 1기압에서 환산하면 150/1배인 150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60 x 150 = 9000ℓ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기계재료 중 경금속에 속하는 것은?

  1. 합금 주철
  2. 황동
  3. 규소 강판
  4. 알루미늄
(정답률: 73%)
  • 알루미늄은 경금속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경량화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알루미늄은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높아서 산업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동력 전달용으로 가장 적합한 나사는?

  1. 삼각 나사
  2. 관용(pipe) 나사
  3. 둥근 나사
  4. 사다리꼴 나사
(정답률: 57%)
  • 사다리꼴 나사는 힘을 전달할 때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동력 전달용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나사의 간격이 넓어서 힘을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동 링크에서 종동 링크로 운동과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매개 링크에 의한 전동
  2. 공간을 사이에 둔 전동
  3. 직접 접촉에 의한 전동
  4. 고정 링크 운동에 의한 전동
(정답률: 39%)
  • 고정 링크 운동에 의한 전동은 운동과 힘을 전달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고정 링크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운동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개 링크에 의한 전동, 공간을 사이에 둔 전동, 직접 접촉에 의한 전동이 더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압작동유의 구비조건으로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압축성이어야 한다.
  2. 열을 방출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3.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4. 외부로부터 침입한 불순물을 침전 분리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2%)
  • 유압작동유는 고압하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합니다. 이는 유압작동유가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더라도 노후화되지 않고 안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길이 50㎝인 연강재의 환봉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길이가 60㎝로 늘어났을 때 이 재료의 연신율은 얼마인가?

  1. 10 %
  2. 20 %
  3. 23 %
  4. 40 %
(정답률: 68%)
  • 연신율은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60 / 50) × 100 = 120% 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연신율이 아닌 환봉에 작용한 인장력이 주어졌으므로, 연신율은 120%에서 100%을 뺀 값인 2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길이 2m, 지름 10㎜인 원형봉이 2000㎏f의 축방향 인장하중을 받고 2㎜ 늘어났다면 재료의 종탄성계수의 값은 약 몇 ㎏f/㎝2 인가?

  1. 8.10 x 104
  2. 2.55 x 106
  3. 1.61 x 105
  4. 3.15 x 106
(정답률: 50%)
  • 종탄성계수는 재료의 탄성 한계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kgf/㎝2이다. 이 문제에서는 인장하중을 받아 봉이 늘어났으므로, 탄성한계를 넘어선 플라스틱 변형이 일어난 것이다. 이 때, 종탄성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종탄성계수 = 인장하중 / (단면적 x 변형량)

    단면적은 반지름이 5mm인 원의 넓이인 πr2 = 78.5mm2이다. 변형량은 2mm이므로,

    종탄성계수 = 2000kgf / (78.5mm2 x 2mm) = 2.55 x 106 kgf/㎝2

    따라서, 정답은 "2.55 x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굽힘과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축으로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는 축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중공축
  2. 크랭크축
  3. 전동축
  4. 플랙시블축
(정답률: 65%)
  • 정답: 전동축

    전동축은 굽힘과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축으로,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 모터나 엔진과 같은 동력원에서 발생한 동력을 다른 기계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동"이라는 단어는 전기 모터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동력 전달용 축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호칭 번호 100 번의 로울러 체인용 스프로킷 휘일에서 잇수 40 일 때 피치원 지름 (mm)은? (단, 호칭번호 100 번 체인의 피치는 31.75 ㎜ 이다.)

  1. 404.67
  2. 304.67
  3. 454.54
  4. 354.54
(정답률: 50%)
  • 피치원 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피치원 지름 = (잇수 + 2) × (피치 ÷ π)

    여기서, 호칭번호 100 번 체인의 피치는 31.75 ㎜ 이므로,

    피치 = 31.75 ㎜

    잇수는 문제에서 40으로 주어졌으므로,

    피치원 지름 = (40 + 2) × (31.75 ÷ π) ≈ 404.67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404.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압기기에서 치차펌프를 사용시 장점과 단점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토출량을 가변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3. 내부 누설이 다른 펌프에 비교하여 크다.
  4. 다른 유압펌프에 비해서 먼지에 강하다.
(정답률: 47%)
  • 답: "내부 누설이 다른 펌프에 비교하여 크다."

    치차펌프는 구조가 간단하고 토출량을 가변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다른 유압펌프에 비해서 먼지에 강합니다. 하지만 내부 누설이 다른 펌프에 비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토출량을 가변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이유는 치차펌프가 회전하는 동안 입구와 출구 사이의 부피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유압기기에서 필요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두께 3㎜인 연강판에 지름 30㎜의 구멍을 펀칭할 때 펀칭력은 최소 약 몇 ㎏f 이상이어야 하나? (단, 연강판의 전단 파괴강도는 25 ㎏f/㎜2 이다.)

  1. 4526
  2. 5360
  3. 6580
  4. 7070
(정답률: 33%)
  • 펀칭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펀칭력 = 전단 파괴강도 × 펀칭면적

    펀칭면적은 구멍의 넓이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펀칭면적 = π × (지름/2)^2

    = π × (30/2)^2

    = 706.86 (소수점 이하 버림)

    따라서, 펀칭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펀칭력 = 25 × 706.86

    = 17,671.5

    따라서, 최소 약 17,672 ㎏f 이상의 펀칭력이 필요하다.

    보기에서 정답이 "7070" 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서 발생한 오차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절삭 가공시 구성인선(built up edge)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절삭 깊이(cut of depth)를 작게 할 것
  2. 절삭 속도(cutting speed)를 크게 할 것
  3. 경사각(rake angle)을 작게 할 것
  4. 공구의 인선(cutting edge)을 예리하게 할 것
(정답률: 62%)
  • 경사각을 작게 할 경우, 공구의 인선이 더 많은 접촉면을 가지게 되어 구성인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옳지 못한 대책이다. 따라서, 옳은 대책은 절삭 깊이를 작게 하거나 절삭 속도를 크게 하거나 공구의 인선을 예리하게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두랄루민(duralumin)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담금질 시효경화 처리에 의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여 강도가 크고 성형성이 좋다.
  2. 알루미늄 합금 중에서도 열처리에 의해 재질 개선이 가능한 합금이다.
  3. Al - Si - Ni - Mg 합금으로 고온강도가 커서 피스톤재료로 주로 쓰인다.
  4. Al - Cu - Mg - Mn 합금으로 항공기, 자동차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68%)
  • 정답은 "Al - Cu - Mg - Mn 합금으로 항공기, 자동차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이다.

    틀린 이유는, 두랄루민은 Al - Cu - Mg - Mn 합금이 아니라, Al - Si - Cu - Mg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스톤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맞지만, 이는 고온강도가 아닌 경량화와 내구성이 뛰어난 특성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기어장치에서 각 기어의 잇수를 Z1 = 20, Z2= 85, Z3 = 25, Z4 = 100 이면 회전 속도비(回轉速度比) N1 : N4는?

  1. 17 : 1
  2. 15 : 1
  3. 13 : 1
  4. 10 : 1
(정답률: 60%)
  • 회전 속도비는 각 기어의 잇수의 역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1 : N4 = Z4 : Z1 = 100 : 20 = 5 : 1 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중간에 두 개의 기어가 끼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Z2와 Z3가 끼어져 있으므로 이들의 회전 속도비는 N2 : N3 = Z3 : Z2 = 25 : 85 = 5 : 17 입니다. 따라서 전체 회전 속도비는 N1 : N4 = N1 : N2 × N2 : N3 × N3 : N4 = 5 : 1 × 5 : 17 = 25 : 17 이 됩니다. 이를 약분하면 17 : 1이 되므로 정답은 "17 :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자동 하중 브레이크 라고도 하는 것은?

  1. 원판 브레이크
  2. 원추 브레이크
  3. 웜 브레이크
  4. 포올 브레이크
(정답률: 60%)
  • 웜 브레이크는 자동차나 기계 등에서 회전하는 축을 멈추기 위해 사용되는 브레이크로, 웜 기어와 함께 사용되어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동 하중 브레이크라고도 불리며, 웜 기어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압력제어 밸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퀀스 밸브
  2. 체크 밸브
  3. 언로더 밸브
  4. 카운터 밸런스 밸브
(정답률: 63%)
  • 압력제어 밸브는 압력을 조절하여 유체나 기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이며, 시퀀스 밸브, 언로더 밸브,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모두 압력제어 밸브에 속합니다. 하지만 체크 밸브는 유체나 기체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로,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압력제어 밸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그림과 같은 신호선도와 등가인 것은?

(정답률: 39%)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신호선도에서 등가인이란, 두 개 이상의 열차가 서로 마주치지 않고 지나갈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은 두 개의 신호등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놓여져 있어, 열차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지나갈 수 있는 등가인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기기기가 아닌 것은?

  1. 단극발전기
  2. 수은정류기
  3. 회전변류기
  4. 전동발전기
(정답률: 43%)
  • 단극발전기는 교류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직류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기기기가 아니다. 반면에 수은정류기, 회전변류기, 전동발전기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기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논리식 를 간단히 하면?

(정답률: 74%)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A이면 B이고, C이면 D이다"라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 ""이 정답인 이유는 A와 C가 모두 참일 때 B와 D가 모두 참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와 C 중 하나 이상이 거짓일 때 B와 D가 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극수가 4 이고 슬립이 6%인 유도전동기를 어느 공장에서 운전하고자 할 때 예상되는 회전수는 약 몇 rpm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300
  2. 1400
  3. 1700
  4. 1800
(정답률: 42%)
  • 극수가 4이므로 동기회전수는 1500rpm이다. 슬립이 6%이므로,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1500rpm에서 6%만큼 감소한 값이다. 따라서, 1500rpm에서 6% 감소한 값인 1410rpm이 예상되지만, 유도전동기는 보통 약 5% 정도 더 느리게 회전하므로, 최종 예상 회전수는 1410rpm에서 5%만큼 감소한 값인 약 1700r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와의 위상차를 시간으로 나타내면 몇 초에 해당되는가?

  1. 5.33×10-4
  2. 6.33×10-4
  3. 7.33×10-4
  4. 8.33×10-4
(정답률: 25%)
  • 위상차는 주기적인 변화에서 두 신호가 얼마나 차이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두 신호의 주기를 알아야 한다.

    먼저 첫 번째 신호의 주기를 구해보자. 주기는 한 주기당 걸리는 시간이므로, 주기 T는 1/주파수 f로 구할 수 있다. 첫 번째 신호의 주파수는 100Hz이므로, T1 = 1/100 = 0.01초이다.

    두 번째 신호의 주기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주파수가 120Hz이므로, T2 = 1/120 = 0.00833...초이다. 이 값을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T2 = 0.0083초이다.

    위상차는 두 신호의 주기 차이를 나타내므로, T2 - T1 = 0.0083 - 0.01 = -0.0017초이다. 하지만 위상차는 항상 양수로 나타내야 하므로, 이 값을 절댓값으로 바꾸어 주면 0.0017초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8.33×10-4"이다. 이 값은 0.0017초를 과학적 표기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뒤진 역률 80%, 1000kW의 3상부하가 있다. 이것에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95%로 개선하려고 한다.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 인가?

  1. 422
  2. 633
  3. 844
  4. 1266
(정답률: 40%)
  • 먼저, 현재의 유효전력은 1000kW이고 역률은 0.8이므로 피상전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P = S × cosθ = 1000kW ÷ 0.8 = 1250kVA

    여기서, S는 피상전력, θ는 역률의 cos 값입니다.

    그리고 개선된 역률은 0.95이므로, 새로운 피상전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P' = S' × cosθ' = 1250kVA × 0.95 = 1187.5kW

    여기서, S'는 개선된 피상전력, θ'는 개선된 역률의 cos 값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P - P') ÷ (3 × sinθ') = (1000kW - 1187.5kW) ÷ (3 × sin(cos⁻¹0.95)) ≈ 422kVAR

    여기서, Q는 콘덴서의 무효전력, sin(cos⁻¹0.95)는 개선된 역률의 sin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피드백 제어계의 제어장치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설정부
  2. 조절부
  3. 검출부
  4. 제어대상
(정답률: 46%)
  • 정답은 "제어대상"입니다.

    제어대상은 제어를 받는 대상이며, 제어장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제어장치는 설정부, 조절부, 검출부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제어대상을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의 경우 설정부에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고, 조절부에서 실제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한 온도와 비교하며, 검출부에서는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장치에게 전달합니다. 이때 제어대상은 온도를 조절하는 대상이며,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제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직류 전동기의 규약효율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73%)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식은 직류 전동기의 규약효율을 나타내는 식으로, 출력전력을 입력전력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이 값이 클수록 전동기의 효율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적분시간이 3분이고, 비례감도가 5인 PI조절계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45%)
  • 전달함수는 출력과 입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PI조절계의 전달함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PI조절계는 비례-적분 조절계로, 출력은 입력에 비례하면서 적분된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비례감도에 비례하는 분자와 적분시간에 비례하는 분모를 가진 1차원 함수이다. 이에 따라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서보전동기의 특징으로 잘못 표현된 것은?

  1. 기동, 정지, 역전 동작을 자주 반복할 수 있다.
  2. 발열이 작아 냉각방식이 필요 없다.
  3. 속응성이 충분히 높다.
  4. 신뢰도가 높다.
(정답률: 73%)
  • 서보전동기는 작은 크기에 높은 출력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발열이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냉각방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발열이 작아 냉각방식이 필요 없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CPU부의 구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메모리부
  2. 프로그램 메모리부
  3. 연산부
  4. 전원부
(정답률: 67%)
  • PLC의 CPU는 데이터 메모리부, 프로그램 메모리부, 연산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PLC의 동작에 필수적인 부품들입니다. 반면에 전원부는 PLC의 동작을 위한 전기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CPU와는 거리가 먼 부품입니다. 따라서 전원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인 신호는?

  1. 동작신호
  2. 조작량
  3. 제어량
  4. 목표값
(정답률: 63%)
  • 제어장치는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량을 결정하고 이를 제어대상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인 신호는 조작량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어장치의 입력이나 목표값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저항체에 전류가 흐르면 줄열이 생기는데 이때 안전전류는 전력의 몇 제곱에 비례하는가?

  1. 1
  2. 2
  3. 1/2
  4. 3/2
(정답률: 41%)
  • 안전전류는 전력의 제곱근에 비례합니다. 이는 전력 = 전압 x 전류에서 전류 = 전력 / 전압 이므로, 안전전류는 전압의 제곱근에 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이 일정하다면 전력이 2배가 되면 전류는 제곱근 2배가 되므로, 안전전류는 제곱근 2배에 비례하게 됩니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1/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고 자동제어의 기본회로를 형성하는 제어는?

  1. 시퀀스제어
  2. 피드백제어
  3. 온ㆍ오프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62%)
  • 피드백제어는 제어 대상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제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어 대상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원하는 목표값에 도달할 때까지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고 자동제어의 기본회로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드백제어가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심을 가진 변압기 모양의 코일에 교류와 직류를 중첩하여 흘리면 교류임피던스는 중첩된 직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데 이 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증폭하는 장치는?

  1. 회전증폭기
  2. 자기증폭기
  3. 다이리스터
  4. 차동변압기
(정답률: 62%)
  • 자기증폭기는 철심을 가진 변압기 모양의 코일에 교류와 직류를 중첩하여 흘리면 교류임피던스가 중첩된 직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증폭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증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전선 중 도전율이 가장 우수한 재질은 어느 것인가?

  1. 경동선
  2. 연동선
  3. 경알미늄선
  4. 아연도금철선
(정답률: 61%)
  • 도전율은 전기가 흐르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연동선은 도전율이 가장 높은 재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연동선이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동선이 도전율이 가장 우수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는 J/s 이다.
  2. 단위시간의 전기 에너지이다.
  3. 공률과 같은 단위를 갖는다.
  4. 열량으로 환산할 수 있다.
(정답률: 43%)
  • 전력은 단위시간 동안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J/s(와트)이다. 따라서 전력은 공률과 같은 단위를 갖는다. 그러나 전력은 열량으로 환산할 수 없다. 열량은 온도 변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전력은 시간 단위의 에너지 소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서로 다른 물리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제어동작 중 PID(비례적분미분)동작을 이용했을 때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응답의 오버슈트를 감소시킨다.
  2. 잔류편차를 최소화 시킨다.
  3. 정정시간을 적게 한다.
  4. 응답의 안정성이 작다.
(정답률: 63%)
  • "응답의 안정성이 작다."는 PID 동작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다. PID 동작은 오버슈트를 감소시키고 잔류편차를 최소화하여 정정시간을 적게 하지만, 응답의 안정성은 조절기의 설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설정을 하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회로에서 i2 가 0 이 되기 위한 C 의 값은? (단, L은 합성인덕턴스이고, M은 상호인덕턴스이다.)

(정답률: 53%)
  • i2 가 0이 되기 위해서는 L과 M에 인가되는 전압이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L과 M에 인가되는 전압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VL = L(di1/dt) + M(di2/dt) = L(0) + M(di2/dt) = M(di2/dt)

    VM = M(di1/dt) + L(di2/dt) = M(di1/dt) + L(0) = M(di1/dt)

    따라서, i2 가 0이 되기 위해서는 VL과 VM이 모두 0이 되어야 하므로, di1/dt와 di2/dt가 모두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C가 충분히 크게 되어야 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조종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률: 61%)
  • 조종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는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운영됩니다. 이때,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식 중 하나가 프로그램제어입니다. 프로그램제어는 미리 작성된 프로그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리 정해진 경로나 운행 패턴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움직입니다. 이 방식은 자동화된 운행을 가능하게 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