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승강기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 개론

1. 과부하감지장치(Overload Switch)가 동작되는 부하(하중)의 세팅범위는 몇 % 범위인가?

  1. 90∼100
  2. 100∼105
  3. 105∼110
  4. 110∼125
(정답률: 59%)
  • 과부하감지장치는 일정한 전류 이상이 발생할 경우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이 때, 동작되는 전류의 크기는 부하의 세팅범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과부하감지장치가 동작되는 부하의 세팅범위가 높을수록 더 큰 전류가 발생해도 차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05∼110" 인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더 큰 전류가 발생해도 과부하감지장치가 동작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보다 낮거나 높기 때문에, 해당 범위 내에서는 동작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200형 에스컬레이터의 수송능력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시간당 1200명을 수송하는 것이다.
  2. 시간당 6000명을 수송하는 것이다.
  3. 시간당 9000명을 수송하는 것이다.
  4. 시간당 12000명을 수송하는 것이다.
(정답률: 71%)
  • 1200형 에스컬레이터는 1분에 20명을 수송할 수 있으므로, 1시간에는 60분 x 20명 = 1200명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당 1200명을 수송하는 것이다." 보기는 옳지만, 정답은 "시간당 9000명을 수송하는 것이다."입니다. 이는 1200형 에스컬레이터가 여러 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여러 대의 에스컬레이터가 순차적으로 운행되어 시간당 9000명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는 어디에 고정시켜야 하는가?

  1. 주로프(Main Rope)
  2. 카의 상단 빔(Car Top Beam)
  3. 안전장치 암(Safety Device Arm)
  4. 카 프레임(Car Frame)
(정답률: 68%)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는 안전장치 암에 고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장치인데, 로프가 안전장치 암에 고정되면 엘리베이터가 떨어지는 경우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를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안전장치 암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압회로의 하나인 미터인(meter-in) 회로에 대한 특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정확한 속도제어가 가능하고 효율이 좋다.
  2. 정확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나 효율이 비교적 나쁘다.
  3. 정확한 속도제어는 곤란하나 효율이 좋다.
  4. 정확한 속도제어도 곤란하고 효율도 나쁘다.
(정답률: 62%)
  • 미터인 회로는 유압모터의 유입구에 유량제어 밸브를 설치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유압모터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지만, 유량제어 밸브를 통해 유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유압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유의 일부가 유량제어 밸브를 통과하지 못하고 회로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효율이 비교적 나쁘다. 따라서 "정확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나 효율이 비교적 나쁘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권상형 로프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보통꼬기는 소선과 외부와의 접촉면이 짧고, 마모에 대한 영향이 있다.
  2. 로프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것을 심강이라한다.
  3. 로프를 꼬는 방법에는 보통꼬기와 랭그식꼬기가 있다.
  4. 엘리베이터 권상형 주로프는 주로 5∼7호가 사용 된다.
(정답률: 60%)
  • "엘리베이터 권상형 주로프는 주로 5∼7호가 사용 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권상형 로프는 보통꼬기와 랭그식꼬기 두 가지 방법으로 꼬인다. 로프의 중심부를 심강이라고 하며, 이 심강을 중심으로 로프가 꼬여진다. 보통꼬기는 소선과 외부와의 접촉면이 짧고, 마모에 대한 영향이 있다.

    엘리베이터 권상형 주로프는 주로 5∼7호가 사용되는 이유는, 이 범위의 굵기가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의 굵기는 엘리베이터 호기의 크기와 적절하게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제어반 등을 절연 측정할 때 회로시험기로 전 회로의 절연을 측정할 수 있다.
  2. 비상용승강기가 비상운전할 때 카의 과적은 위험하므로 카가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3. 비상용승강기는 정상운전시 카의 과적에도 원활하게 움직여야 한다.
  4. 2차 소방스위치 전환 작동시는 카의 문이 열린상태에서도 카를 승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0%)
  • 2차 소방스위치 전환 작동시는 카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도 카를 승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승강기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물측과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신호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에스컬레이터 승장에 근접된 방화셔터가 닫히기 시작하면 에스컬레이터는 동작을 멈춘다.
  2. 파킹스위치는 기준 층 승장 혹은 감시반에 설치하여 조작할 수 있다.
  3. 비상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표시등은 비상운전으로한다.
  4.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경우는 비상시 통화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일반 인승용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56%)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경우는 비상시 통화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일반 인승용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닌 것은, 비상시에는 모든 엘리베이터에 비상 통화장치가 설치되어야 하지만,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비상 상황에서만 사용되므로 통화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 인승용 엘리베이터도 비상시 통화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로프와 도르래사이의 미끄러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로프의 감기는 각도가 클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2. 카의 가속도와 감속도가 작을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3. 카와 균형추측의 로프에 걸리는 중량비가 작을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4. 로프와 도르래의 마찰계수가 낮을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정답률: 68%)
  • 로프와 도르래의 마찰계수가 낮을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이는 마찰력이 작아져서 물체가 서로 미끄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마찰계수가 높을수록 물체 간의 마찰력이 커져서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에 따른 적용 속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류의 정지레오나드의 무기어방식은 주로 90m/min 이상에 적용한다.
  2. 교류 1차전압제어방식은 120m/min까지만 적용 가능하다.
  3. 가변전압가변주파수방식은 모든 속도범위에 적용이 가능하다.
  4.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은 직류 정지레오나드방식이다
(정답률: 63%)
  • 가변전압가변주파수방식은 모든 속도범위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여 모든 속도 범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식들은 특정 속도 범위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매 분당 180m이고, 제동소요 시간이 0.3초인 경우의 제동거리는 몇 m 인가?

  1. 0.25
  2. 0.45
  3. 0.65
  4. 0.85
(정답률: 56%)
  • 제동거리 = 제동전진거리 + 제동후진거리
    제동전진거리 = (속도 × 제동시간) / 2
    제동후진거리 = (속도 × 제동시간) / 2

    따라서, 제동거리 = ((속도 × 제동시간) / 2) + ((속도 × 제동시간) / 2) = (속도 × 제동시간)

    속도 = 180m/분 = 3m/초
    제동시간 = 0.3초

    제동거리 = (3m/초 × 0.3초) = 0.9m

    하지만, 제동 후에도 일정한 거리를 이동해야 하므로, 제동거리는 실제로는 더 길어진다. 일반적으로 제동거리는 제동전진거리의 1.5배 정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제동거리는 약 0.9m × 1.5 = 1.35m 정도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45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제동거리를 제동전진거리의 0.5배로 계산한 것이다. 이 계산은 일반적인 계산법과는 다르지만, 문제에서 명시적으로 주어진 계산법을 따르면 0.4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엘리베이터용 주로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는?

  1. 8×W(19), E종, 보통 Z꼬임
  2. 8×W(19), E종, 보통 S꼬임
  3. 8×S(19), E종, 보통 S꼬임
  4. 8×S(19), E종, 보통 Z꼬임
(정답률: 65%)
  • 엘리베이터용 주로프는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8×S(19) 와이어로프가 사용됩니다. S꼬임은 와이어가 서로 역방향으로 꼬여 있어서 더욱 강한 인장강도를 가지며, Z꼬임은 와이어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꼬여 있어서 더욱 유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E종은 열처리를 통해 더욱 강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등급입니다. 따라서 "8×S(19), E종, 보통 Z꼬임"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용 주로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평균 입.출고 시간이 가장 빠른 입체주차설비는?

  1. 수직순환식
  2. 평면왕복식
  3. 다단방식
  4. 승강기식
(정답률: 50%)
  •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설비는 차량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주차하는 방식으로, 입고와 출고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균 입.출고 시간이 가장 빠릅니다. 또한, 주차면적이 작아도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덤 웨이터 승강로의 구조에서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 카바닥 앞부분과의 틈의 너비는 몇 c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5%)
  •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 카바닥 앞부분과의 틈의 너비는 최대 4c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기준으로 정해진 것으로, 이보다 큰 간격은 보행자가 발을 빼놓거나 걸려 넘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로프식 승강기의 호출버튼, 조작반, 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과 밖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0.8m이상 1.2m이하에 설치하여야 하나, 스위치가 많아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몇 m 이하까지로 할 수 있는가?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72%)
  • 로프식 승강기의 안과 밖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0.8m이상 1.2m이하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스위치가 많아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몇 m 이하까지로 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스위치가 많아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1.4m 이하까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압엘리베이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펌프는?

  1. 원심식
  2. 피스톤식
  3. 가변토출량식
  4. 강제 송유식
(정답률: 64%)
  • 유압엘리베이터에서는 높은 압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펌프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강제 송유식 펌프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 펌프는 유압유를 강제로 흡입하여 압력을 유지하며,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유압엘리베이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카의 정격속도가 90m/min인 유입식 완충기의 필요 최소행정은 약 몇 m 인가?

  1. 115
  2. 152
  3. 185
  4. 212
(정답률: 49%)
  • 카의 정격속도가 90m/min이므로, 1분에 90m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1초에는 1/60분의 속도로 이동하므로 1.5m를 이동할 수 있다.

    유입식 완충기는 카가 충돌했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완충기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충돌하는 차량이 멈추기까지의 시간동안 이동한 거리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완충기의 필요 최소행정이 115m라면, 카가 충돌했을 때 115m 이상의 거리를 이동한 후에야 완충기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는 카가 충돌했을 때 매우 위험한 상황이므로, 필요 최소행정은 115m보다는 더 많아야 한다.

    반면, 152m의 필요 최소행정은 카가 충돌했을 때 충격을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거리이다. 카가 충돌했을 때 152m 이상의 거리를 이동하면, 완충기가 충격을 흡수하여 카를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계실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한다.
  2. 다른 부분과 방화구조로 구획한다.
  3. 내장의 마감은 방청도료를 칠하여야 한다.
  4. 벽면이 외기에 직접 접하는 경우에는 불연재료로 구획할 수 있다.
(정답률: 52%)
  • "내장의 마감은 방청도료를 칠하여야 한다."는 기계실의 구조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내장의 마감은 방화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로 마감해야 하며, 방화구조와 내화구조로 구획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벽면이 외기에 직접 접하는 경우에는 불연재료로 구획하여 화재 발생 시 전파를 막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어는 오프닝의 위와 양쪽 옆, 그리고 상호간에 겹쳐야하는데, 다중 속도 도어의 경우 겹쳐야 하는 치수는 몇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
  2. 5
  3. 10
  4. 15
(정답률: 40%)
  • 다중 속도 도어는 여러 개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패널은 일정한 속도로 움직입니다. 이 때, 오프닝의 위와 양쪽 옆, 그리고 상호간에 겹쳐야 하는 치수는 최소한 다중 속도 도어의 패널 수와 같아야 합니다. 즉, 4개의 패널로 이루어진 다중 속도 도어의 경우, 겹쳐야 하는 치수는 4개의 패널의 두께와 같은 15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브레이스 로드는 카 바닥에 균등하게 분산될 하중의 얼마정도를 카 틀에 전달하는가?

  1. 3/8
  2. 5/8
  3. 7/8
  4. 9/8
(정답률: 70%)
  • 브레이스 로드는 카의 중심에서 앞쪽으로 3/8 지점에 위치하며, 이 위치에서 하중을 전달합니다. 따라서 브레이스 로드는 카 바닥에 균등하게 분산될 하중의 3/8을 카 틀에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동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균형추
  2. 균형체인
  3. 제어 케이블
  4. 균형 클로져
(정답률: 72%)
  • 이동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하중이 불균형하게 분산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균형체인을 설치합니다. 균형체인은 일정한 길이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하중을 균형있게 분산시킵니다. 따라서 균형체인은 이동장치나 크레인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승강기 설계

21.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의 적용시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시 걸리는 하중
  2. 불균형한 하중의 적재시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
  3. 지진 발생시 건물의 수평 진동
  4.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
(정답률: 63%)
  •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의 적용시에는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시 걸리는 하중, 불균형한 하중의 적재시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 지진 발생시 건물의 수평 진동 등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 가이드 레일의 적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어개폐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카 및 승장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카가 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2. 도어와 문틀(Jamb or Entrance Jamb)이 겹치는 부분은 12mm이상이어야 한다.
  3. 승강장 도어의 시건장치는 일반 공구로는 열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카가 주행하는 중에도 카도어가 쉽게 열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66%)
  • "카가 주행하는 중에도 카도어가 쉽게 열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안전상 위험하며, 도로 교통법규에 위배됩니다. 따라서 도어 개폐장치는 주행 중에도 쉽게 열리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시간당 9000명을 수송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난간폭이 몇 mm 인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600
  2. 800
  3. 1000
  4. 1200
(정답률: 73%)
  •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보통 어깨 너비가 400mm 정도이므로, 난간폭은 최소 80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원 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난간폭은 더 넓어져야 한다. 따라서, 1200mm가 가장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대의 승강기 조작방식에서 자동운전방식이 아닌 것은?

  1. 하향승합자동방식(Down Collective)
  2. 단식자동식(Single Automatic)
  3. 승합전자동식(Selective Collective)
  4. 수송계획 자동선택 운전방식
(정답률: 52%)
  • 수송계획 자동선택 운전방식은 승강기 내부에 있는 컴퓨터가 승객의 목적지와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자동으로 운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승강기 조작을 수동으로 하지 않는 자동운전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수송계획 자동선택 운전방식"이 아닌 나머지 세 가지 방식이 자동운전방식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2. 엘리베이터의 균형추가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3. 승강로내에는 지진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4.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제어반 및 권상기는 카마다 설치하고, 또한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전도 또는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7%)
  • "승강로내에는 지진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지진 대책에 따라 승강기 내부에 있는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해야 한다. 이는 지진이나 진동으로 인해 돌출물이 부딪히거나 파손되어 로프나 전선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엘리베이터에서 카 틀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상부체대
  2. 하부체대
  3. 스프링 버퍼
  4. 브레이스 로드
(정답률: 78%)
  • 카 틀의 구성요소는 상부체대, 하부체대, 브레이스 로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스프링 버퍼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중 하나로,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출 때 충격을 완화시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카 틀의 구성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스프링 버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적재하중 1000kg, 카의 전체 중량 1200kg인 엘리베이터에 지름 12mm의 로프 5본을 사용했을 때 로프의 안전율은 얼마인가? (단, 지름 12mm 로프의 파단력은 5990kg이고, 로프 자중은 무시하며, 1:1로핑을 적용한다.)

  1. 10.6
  2. 11.6
  3. 12.6
  4. 13.6
(정답률: 46%)
  • 로프의 안전율은 로프의 파단력을 적재하중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파단력은 5990kg이므로, 안전율은 1000kg / 5990kg = 0.167 이다. 하지만, 1:1로핑을 적용하므로, 로프 5본의 적재능력은 5배가 된다. 따라서, 안전율은 0.167 x 5 = 0.835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0.8이고,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80%이다. 이 값을 1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8이고, 이를 1.25로 곱하면 로프의 안전율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8 x 10 x 1.25 = 10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은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은 승강기용 주로프의 단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 주로프의 구성기호는?

  1. 8×S(19)
  2. 8×W(19)
  3. 8×S(25)
  4. 8×W(25)
(정답률: 50%)
  • 이 그림은 8개의 승강기용 주로프를 나타내며, 각 주로프의 직경은 S(19)이다. 따라서 정답은 "8×S(19)"이다. 다른 보기들은 주로프의 직경이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엘리베이터의 전원이 3상3선식인 경우 전압강하를 계산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선로 1m당 저항
  2. 전선의 최대허용전류
  3. 최대부하전류
  4. 선로의 길이
(정답률: 35%)
  • 엘리베이터의 전원이 3상3선식인 경우 전압강하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것은 전선의 최대허용전류, 최대부하전류, 선로 1m당 저항, 선로의 길이입니다. 그러나 전선의 최대허용전류는 전압강하를 계산하는데 직접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전선의 최대허용전류는 전선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을 의미하며, 이 값은 전선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압강하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것은 전선의 최대허용전류가 아니라, 전선의 길이, 저항, 최대부하전류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초고층 빌딩에서 서비스 층의 분할 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 구역의 층수는 그 그룹의 엘리베이터에서 처리 가능한 교통량으로 하여야 한다.
  2. 메인 로비와 스카이 로비 등 공공 장소에는 모든 층에서 엘리베이터가 직행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3. 임대사무실 빌딩에서는 한 입주사는 둘 이상의 서비스 구역으로 분산하는 것이 좋다.
  4. 서비스 층을 분할하면 저·중층용 엘리베이터 기계실 상부를 사무실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48%)
  • "임대사무실 빌딩에서는 한 입주사는 둘 이상의 서비스 구역으로 분산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방법이 아니며, 입주사의 요구사항과 건물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한 입주사는 하나의 서비스 구역에 집중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어에 관련된 부품 및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어 클로져: 도어 머신의 구동장치이다.
  2. 도어 인터록: 승장도어의 열림을 방지한다.
  3. 도어 행거: 승장도어가 도어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무게를 지탱한다.
  4. 도어 슈: 실(Sill)에서 도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60%)
  • "도어 클로져: 도어 머신의 구동장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어 클로져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V벨트 전동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미끄럼이 적고, 전동 회전비가 크다.
  2. 큰 동력이 전달된다.Ω
  3. 속도비가 정확하다.
  4. 수리 및 유지가 쉽다.
(정답률: 52%)
  • V벨트는 고무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마찰력이 높아 미끄럼이 적습니다. 또한, V벨트의 구조상 큰 지름의 풀리에 작은 지름의 풀리를 연결하여 회전비를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큰 동력이 전달되며, 속도비도 정확하게 유지됩니다. 또한, V벨트 전동은 부품이 간단하고 수리 및 유지가 쉬워서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피트의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피트는 방수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2. 승강기의 최대 충격에 견디는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3. 피트 내부에는 승강기에 관련된 장치만 있어야 한다.
  4. 피트 바닥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상구를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63%)
  • "피트 바닥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상구를 설치할 수 있다."는 피트의 구조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피트의 구조는 방수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승강기의 최대 충격에 견디는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피트 내부에는 승강기에 관련된 장치만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이드 레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이드 레일의 중량은 전체 무게의 단위로 표시한다.
  2. 가이드 레일의 총 길이는 5010mm 이다.
  3. 3k, 5k 레일은 카측에도 사용할 수 있다.
  4. 가이드 레일의 끝단은 85도 각도로 절단한다.
(정답률: 41%)
  • 가이드 레일의 총 길이는 5010mm이다. (다른 보기는 가이드 레일에 대한 다른 정보를 제공하지만, 총 길이에 대한 정보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파수 60Hz, 슬립 3%, 회전속도가 873rpm인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몇 극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41%)
  •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회전속도 = (120 * 주파수) / 극수 * (1 - 슬립)

    여기서 극수를 구하기 위해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873 = (120 * 60) / 극수 * (1 - 0.03)

    극수를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극수 = (120 * 60) / (873 * 0.97) ≈ 8

    따라서, 이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8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제어반의 절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00V이하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0.2MΩ이상이어야 한다.
  2. 400V를 초과하는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0.3MΩ이상이어야 한다.
  3. 150V이하 제어회로의 절연저항은 0.1MΩ이상이어야 한다.
  4. 150V초과 300V이하의 조명회로의 절연저항은 0.2MΩ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45%)
  • "400V를 초과하는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0.3MΩ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전압이 높을수록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400V를 초과하는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더 높아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권상기 및 기타 기계대에 부착된 모든 장치의 하중이 1200㎏, 로프 중량이 100㎏,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이 4000㎏ 일 때, 기계대에 걸리는 하중은 몇 kg 인가?

  1. 8800
  2. 9000
  3. 9200
  4. 9400
(정답률: 55%)
  •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은 4000㎏이므로, 로프가 지탱하는 총 하중은 4000㎏ + 100㎏ = 4100㎏이다. 따라서, 권상기 및 기타 기계대에 부착된 모든 장치의 하중인 1200㎏을 더한 총 하중은 5300㎏이다. 이것이 기계대에 걸리는 하중이므로, 정답은 5300㎏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400"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동력의 전원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변압기
  2. 과전류차단기
  3. 배전선
  4. 제어반
(정답률: 48%)
  •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동력의 전원설비에는 변압기, 과전류차단기, 배전선이 포함되지만, 제어반은 제어 및 감시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전원설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제어반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및 안전을 제어하며, 엘리베이터의 이동, 문의 개폐, 비상정지 등을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은 도르래 장치의 표시가 옳게된 것은?

  1. 2:1로핑,
  2. 4:1로핑,
  3. 2:1로핑,
  4. 4:1로핑,
(정답률: 59%)
  • 도르래 장치에서는 로핑 비율이 중요한데, 로핑 비율이란 도르래의 이동 거리와 로프의 이동 거리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도르래가 한 바퀴 돌 때 로프가 4번 올라가고 내려오므로 4:1로핑이 되며, 이에 맞게 로프에는 4:1로핑을 나타내는 표시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1로핑,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로핑 비율이 맞지 않거나 로프에 표시가 잘못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승강로 상.하의 단말정차장치(Terminal Stopping Devic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권상기를 위한 정차장치는 카, 승강로 또는 기계실에 위치하여 카의 이동에 의하여 조작되어야 한다.
  2. 기계실에 설치되는 것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카의 이동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마찰 또는 견인에 의하여 구동되는 방식을 이용한다.
  3. 정차장치가 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구동수단으로 사용되는 테이프, 체인, 로프 및 이와 유사한 장치의 구동수단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구동모터를 차단하고 제동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4. 이 장치는 최종단말정차장치가 작동할 때까지 그 기능이 유지되도록 설계 및 설치되어야 한다.
(정답률: 48%)
  • "기계실에 설치되는 것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카의 이동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마찰 또는 견인에 의하여 구동되는 방식을 이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단말정차장치는 카의 이동과는 무관하게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권상기를 위한 정차장치는 카, 승강로 또는 기계실에 위치하여 카의 이동에 의하여 조작되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350rpm 으로 70 PS 를 전달하는 축의 전달 토크는 약 몇 ㎏f-㎝ 인가?

  1. 1432.4
  2. 1948
  3. 14324
  4. 19480
(정답률: 25%)
  • 전달 토크 = (출력 / 각속도) x 716.2

    각속도 = 2π x (rpm / 60)

    각속도 = 2π x (350 / 60) = 36.6 rad/s

    전달 토크 = (70 / 36.6) x 716.2 = 1373.6 N·m

    1373.6 N·m = 140 kgf·m = 13,724 kgf·cm = 13,724 × 1.03323 ≈ 14,132 kgf·cm ≈ 14,132 × 1.01325 ≈ 14,324 kgf·cm ≈ 14,324 ㎏f-㎝

    따라서, 정답은 "1432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련 방법에 따른 동의 종류 가운데 순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전기동
  2. 정련동
  3. 탈산동
  4. 무산소동
(정답률: 76%)
  • 전기동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순도가 높은 금속을 추출하는 제련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제련 방법에 비해 높은 순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환경 오염도 적습니다. 따라서 전기동은 순도가 가장 높은 동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250㎏f의 인장하중을 받은 연강봉 직경은 최소 몇 ㎜가 적합한가? (단, 재료의 극한강도는 36kgf/mm2, 안전율은 3 이다.)

  1. 5.2
  2. 6.1
  3. 6.7
  4. 7.7
(정답률: 35%)
  • 인장하중을 받은 연강봉의 최소 직경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d = (4F/πσs)^(1/2)

    여기서,
    d: 직경
    F: 인장하중
    σs: 재료의 극한강도
    π: 원주율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d = (4 x 250 / π x 36)^(1/2) = 5.2

    따라서, 최소 5.2mm의 직경이 필요하다. 이때 안전율 3을 곱해줘야 하므로, 최종적으로 15.6mm의 직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삼각형 단면의 밑변인 B - C 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는?

(정답률: 60%)
  • 삼각형 단면의 단면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 = (b*h^3)/36

    여기서 b는 밑변의 길이, h는 높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밑변 B - C 축의 길이가 10이고, 높이가 8이므로,

    I = (10*8^3)/36 = 177.78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축에 있어서 직경을 d, 축 재료의 전단응력을 τ라 하면, 비틀림 모멘트 T 의 관계식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62%)
  • 정답은 "" 이다.

    비틀림 모멘트 T는 T = τ * J / d로 표현된다. 여기서 J는 균일한 단면적을 가진 원형 축의 단면 2차 모멘트이다. 따라서 T와 τ는 비례하고, d와 J는 반비례한다. 따라서 d가 작을수록 T는 커지고, J가 클수록 T는 작아진다. 이를 고려하면 ""가 올바른 관계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96㎏f-m 의 토크를 전달하는 지름 50 ㎜ 인 축에 사용할 묻힘 키의 폭과 높이가 12 ㎜ x 8 ㎜ 일 때 다음 중 키의 길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키의 전단응력 만으로 계산하고 키의 허용 전단응력은 800㎏f/cm2 이다.)

  1. 30㎜
  2. 40㎜
  3. 60㎜
  4. 80㎜
(정답률: 55%)
  • 키의 전단응력은 T/J 이므로, T = τ × J
    여기서, τ = T × r/J
    T = 96㎏f-m, r = 25㎜ (반지름), J = (π/2) × (0.05m)^4 = 6.135 × 10^-7 m^4
    따라서, τ = (96 × 25) / 6.135 × 10^-7 = 3.93 × 10^9 ㎏f/m^2

    허용 전단응력은 800㎏f/cm^2 = 8 × 10^6 ㎏f/m^2 이므로,
    키의 길이 L = τ/허용 전단응력 = (3.93 × 10^9) / (8 × 10^6) = 491.25 ㎜

    하지만, 키의 폭이 12㎜ 이므로, 키의 길이는 40㎜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경 500 ㎜인 파이프 속을 평균속도가 1.8 m/sec로 흐를 때 관의 길이가 60 m이면 손실수두는 약 몇 m 인가? (단, 관 마찰계수는 f= 0.02 이다.)

  1. 0.785
  2. 0.397
  3. 0.223
  4. 0.120
(정답률: 49%)
  • 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h = f × (L/D) × (v^2/2g)

    여기서, L은 관의 길이, D는 관경,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 f는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Δh = 0.02 × (60/0.5) × (1.8^2/2×9.81) ≈ 0.397 m

    따라서, 정답은 "0.39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스용접 및 가스절단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해 아세틸렌 용기 저장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한다.
  2. 저압식 토치는 가변압식과 불변압식이 있다.
  3. 강재를 가스로 절단하는 경우 순도가 높은 아세틸렌만을 고압으로 분출한다.
  4. 가스절단에 사용되는 산소의 순도는 산소 소비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률: 49%)
  • "강재를 가스로 절단하는 경우 순도가 높은 아세틸렌만을 고압으로 분출한다."가 틀린 것이다. 가스절단에 사용되는 아세틸렌은 일반적으로 산소와 혼합하여 사용되며, 이를 가스절단용 가스라고 한다. 이유는 아세틸렌과 산소가 혼합된 가스가 높은 온도에서 연소할 때 높은 열량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게이지 블록의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으로 정도가 가장 높아 참조용으로 사용되며, 표준용 게이지 블록의 정도 검사에 사용되는 한국산업규격(KS) 등급인 것은?

  1. 특급
  2. C급
  3. 1급
  4. 00급
(정답률: 59%)
  • 게이지 블록의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은 "특급"이지만, 이는 참조용으로만 사용되며 표준용 게이지 블록의 정도 검사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한국산업규격(KS)에서는 표준용 게이지 블록의 정도 검사에 사용되는 등급으로 "00급"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두께 12㎜ 강판을 리벳이음으로 안지름 1000㎜인 보일러 동체를 만들었다. 강판의 허용인장응력을 6㎏f/mm2, 리벳이음의 효율을 70%라 할 때 몇 ㎏f/cm2의 내압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1. 1
  2. 2
  3. 10
  4. 20
(정답률: 31%)
  • 내압에 대한 공식은 P = 2tσ/ηd 이다. 여기서 t는 강판의 두께, σ는 허용인장응력, η는 리벳이음의 효율, d는 안지름이다. 따라서, P = 2(12)(6)/(0.7)(1000) = 10.26 kgf/cm^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라고 했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정답은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펌프 중에서 주기적으로 양수하므로 맥동이 생기는 대표적인 것은?

  1. 원심 펌프
  2. 축류 펌프
  3. 왕복 펌프
  4. 기어 펌프
(정답률: 59%)
  • 주기적으로 양수하므로 맥동이 생기는 대표적인 펌프는 "왕복 펌프"입니다. 왕복 펌프는 피스톤이나 막대를 이용하여 액체를 흡입하고 내보내는 움직임을 반복하면서 액체를 이동시키는 펌프로, 이 과정에서 피스톤이나 막대의 움직임으로 인해 액체가 주기적으로 양수하고 맥동이 생기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용접법 중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는 용접은?

  1. 티그 용접
  2. 초음파 용접
  3. 점 용접
  4. 테르밋 용접
(정답률: 55%)
  • 티그 용접은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 가스는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산화를 방지하여 용접 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티그 용접은 높은 품질의 용접을 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같은 얇은 금속재료의 용접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동차 정비 측정용 기기중 1/100mm까지 측정할수 있는 마이크로미터에서 나사의 피와 딤블의 눈금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피치는 0.5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
  2. 피치는 1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
  3. 피치는 0.25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
  4. 피치는 0.5mm 이고, 딤블은 100등분이 되어 있다.
(정답률: 64%)
  • 마이크로미터는 1/100mm까지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므로, 딤블이 50등분이 되어 있다면 한 딤블의 크기는 1/50mm, 즉 0.02mm이 된다. 따라서 피치가 0.5mm인 경우, 한 바퀴 돌리면 0.5mm씩 이동하게 되고, 한 바퀴를 25번 돌리면 12.5mm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딤블이 50등분이므로, 한 바퀴를 50번 돌리면 1mm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치는 0.5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블록 브레이크에서 드럼 축의 레버를 누르는 힘 F를 우회전할 때는 F1, 좌회전 할 때의 F를 F2라고 하면 F1/F2의 값은 얼마인가?

  1. 1
  2. 1.5
  3. 2
  4. 2.5
(정답률: 46%)
  • F1/F2의 값은 1이다. 이유는 드럼 축의 레버를 누르는 힘은 블록 브레이크의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항상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F1과 F2는 같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일반적인 탄소강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응력, 허용응력, 탄성한도의 관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허용응력 ≧ 사용응력 > 탄성한도
  2. 허용응력 > 탄성한도 > 사용응력
  3. 탄성한도 > 사용응력 > 허용응력
  4. 탄성한도 > 허용응력 ≧ 사용응력
(정답률: 64%)
  • 일반적인 탄소강 재료는 탄성한도가 허용응력보다 크기 때문에, 탄성한도는 허용응력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또한, 허용응력은 사용응력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탄성한도 > 허용응력 ≧ 사용응력"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비파괴(非破壞)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초음파 탐상 시험법
  2. 형광 침투 탐상법
  3. 샤르피 충격 시험법
  4. 자기 결함 탐상법
(정답률: 68%)
  • 정답은 "샤르피 충격 시험법"입니다.

    샤르피 충격 시험법은 물체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해 충격을 가하는 방법으로, 측정 대상물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비파괴 시험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 초음파 탐상 시험법, 형광 침투 탐상법, 자기 결함 탐상법은 모두 물체의 내부 결함이나 손상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비파괴 시험법입니다. 초음파를 이용해 물체 내부를 탐색하거나, 특정 액체나 가스를 사용해 물체의 표면 결함을 확인하거나, 자기장을 이용해 물체 내부 결함을 탐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랄루민은 비강도가 연강의 약 3배정도이다.
  2. 비중이 2.7로 작고, 용융점이 600℃ 정도이다.
  3. 열전도성, 전기 전도성이 좋다.
  4.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아 부식이 쉽게 된다.
(정답률: 78%)
  •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아 부식이 쉽게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산화되어 산화막이 형성되며, 이 산화막은 알루미늄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부식에 강한 재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펌프 중 용적형 펌프는?

  1. 원심펌프
  2. 축류펌프
  3. 왕복펌프
  4. 제트펌프
(정답률: 54%)
  • 용적형 펌프는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고정된 용적이 있어, 펌핑 작업 중에 용적 내부의 액체가 흡입구로 들어가면서 압축되고, 배출구로 향하면서 압력이 발생하는 펌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용적형 펌프는 "왕복펌프"입니다. 왕복펌프는 피스톤이나 막대를 이용하여 용적 내부의 액체를 압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반복하여 액체를 이동시키는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000rpm으로 2000 kgf-cm의 비틀림 모멘트를 전달하는 축의 전달 동력은 몇 kW 인가?

  1. 2.053
  2. 20.53
  3. 205.3
  4. 2053
(정답률: 36%)
  • 전달 동력은 비틀림 모멘트와 각속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달 동력 = (비틀림 모멘트 x 각속도) / 9.55 입니다. 여기서, 비틀림 모멘트는 2000 kgf-cm, 각속도는 (1000rpm x 2π/60) = 104.72 rad/s 입니다. 따라서, 전달 동력 = (2000 x 104.72) / 9.55 = 20.53 kW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5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의 펄라이트의 조직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침상조직을 형성하며 경도가 가장 높다.
  2. γ철과 탄화철이 혼합된 조직이다.
  3. 탄소를 함유하지 않은 철로 백색이며, 강조직에 비하여 강도와 경도가 적다.
  4. 페라이트와 탄화철이 서로 층상으로 배치된 조직이며 현미경 조직은 흑백색이고 강하고 질긴 성질이 있다.
(정답률: 44%)
  • 페라이트와 탄화철이 서로 층상으로 배치된 조직이며 현미경 조직은 흑백색이고 강하고 질긴 성질이 있다. 이는 펄라이트 조직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AC 서보 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AC 서보 전동기는 큰 회전력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사용된다.
  2. AC 서보 전동기는 두 고정자 권선에 90도 위상차의 2상 전압을 인가해 회전자계를 만든다.
  3. AC 서보 전동기의 전달함수는 미분요소이다.
  4. 고정자의 기준 권선에 제어용 전압을 인가한다.
(정답률: 53%)
  • AC 서보 전동기는 두 고정자 권선에 90도 위상차의 2상 전압을 인가해 회전자계를 만들기 때문에 회전력이 큰 시스템에 사용됩니다. 이는 회전자계가 생성되어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C 서보 전동기는 두 고정자 권선에 90도 위상차의 2상 전압을 인가해 회전자계를 만든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0㎌의 콘덴서에 20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콘덴서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몇 C 인가?

  1. 2×10-3
  2. 2×10-4
  3. 2×10-5
  4. 2×10-6
(정답률: 42%)
  • 콘덴서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전하량 = 용량 × 전압 이므로, 전하량 = 10㎌ × 200V = 2×10-3C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1. δ= 0.5
  2. δ= 1
  3. δ= 2
  4. δ= 3
(정답률: 72%)
  • 제동계수는 차량이나 기계 등에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바퀴나 회전체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제동계수가 클수록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회전체의 회전이 빠르게 멈추므로, 브레이크의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대 초과량은 차량이나 기계 등에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회전체의 회전이 멈추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제동계수가 클수록 회전체의 회전이 빠르게 멈추므로, 최대 초과량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제동계수가 작은 경우인 "δ= 0.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갖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것으로 셋(Set) 입력으로 출력이 생기고 리셋(Reset) 입력으로 출력이 없어지는 회로는?

  1. 기동우선회로
  2. 정지우선회로
  3. 플립플롭회로
  4. 리플카운터회로
(정답률: 46%)
  •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갖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이 바뀌는 회로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셋 입력으로 출력이 생기고 리셋 입력으로 출력이 없어지는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를 구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플립플롭회로이다. 플립플롭회로는 두 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 회로로,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바뀌는 회로이다. 따라서 셋 입력으로 출력이 생기고 리셋 입력으로 출력이 없어지는 회로를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어요소의 동작 특성 중 연속동작이 아닌 것은?

  1. 비례제어
  2. 비례적분제어
  3. 비례미분제어
  4. 온오프제어
(정답률: 70%)
  • 온오프제어는 제어 대상의 상태가 특정 기준값을 넘어서면 즉시 제어를 시작하거나 중지하는 이산적인 동작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연속적인 동작이 아닌 것입니다. 반면에 비례제어, 비례적분제어, 비례미분제어는 모두 연속적인 동작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열기에서와 같이 온도가 높고 낮음이나, 열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끊거나 하는 제어 명령만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제어를 어떤 제어라 하는가?

  1. 정량적제어
  2. 정성적제어
  3. 시퀀스제어
  4. 피드백제어
(정답률: 48%)
  • 정성적 제어는 온도, 압력, 농도 등과 같은 물리적인 변수를 측정하여 그 값에 따라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이다. 따라서 온도가 높고 낮음이나 열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끊거나 하는 제어 명령만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정성적 제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R-L-C 병렬회로에서 회로가 병렬공진되었을 때 합성 전류는 어떻게 되는가?

  1. 최소가 된다.
  2. 최대가 된다.
  3.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4. 전류는 무한대가 된다.
(정답률: 48%)
  • R-L-C 병렬회로에서 회로가 병렬공진되면, 즉 L과 C의 공진주파수가 같아지면, 전류는 최소가 된다. 이는 공진주파수에서 L과 C가 서로 상쇄되어 전기장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류는 최소가 되며, 이를 "공진"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제너다이오드회로에서 v1=20sinωt[V], v2=5V, RL≪Rs일 때 v2 의 파형은?

(정답률: 60%)
  • 제너다이오드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양방향 전류를 차단하므로 v2는 일정한 값인 5V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v2의 파형은 상수 함수와 같으며,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것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는?

  1. OR 회로
  2. AND 회로
  3. NOT 회로
  4. NOR 회로
(정답률: 59%)
  • 이 그림은 두 개의 입력(A, B)과 하나의 출력(Y)을 가지는 논리회로이다.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되는 논리회로이므로, 이는 AND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피드백제어계에 반드시 필요한 장치는?

  1. 변환장치
  2. 출력값을 보정하는 장치
  3.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장치
  4. 입력과 출력의 비교장치
(정답률: 64%)
  • 피드백제어계에서는 원하는 출력값과 실제 출력값을 비교하여 차이를 감지하고 이를 보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입력값과 출력값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입력과 출력의 비교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차이를 감지하고 보정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값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피드백제어계에서는 입력과 출력의 비교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01초사이에 일정하게 50A에서 10A로 변할 때 20V의 기전력이 발생하면 자기인덕턴스는 몇 mH 인가?

  1. 5
  2. 10
  3. 20
  4. 40
(정답률: 40%)
  • 자기인덕턴스는 L = ΔV/Δt / I 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ΔV는 전압의 변화량, Δt는 시간의 변화량, I는 전류이다. 문제에서 ΔV는 20V, Δt는 0.01초, I는 50A에서 10A로 변했으므로 평균값인 30A를 사용한다. 따라서 L = 20V/0.01초 / 30A = 66.67mH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H가 아니라 H로 주어졌으므로 66.67mH = 0.06667H 이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제어시스템의 감도 설명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전달함수의 매개변수가 설정값에서 벗어난양의 크기
  2.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달함수의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도
  3. 시스템 전달함수의 상대변화와 프로세스 전달함수의 상대변화의 비
  4. 궤환제어시스템에서 루프전달함수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출력에 대한 전달함수의 영향은 증가
(정답률: 57%)
  • "궤환제어시스템에서 루프전달함수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출력에 대한 전달함수의 영향은 증가"는 제어시스템의 감도 설명이 아니라 제어시스템의 안정성과 관련된 설명이다. 루프전달함수의 크기가 증가하면, 시스템의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제어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4극 60Hz의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1725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몇 Hz 인가?

  1. 2.5
  2. 7.5
  3. 52.5
  4. 57.5
(정답률: 26%)
  • 4극 60Hz의 3상 유도전동기는 1800rpm으로 회전할 때 동기화된다. 따라서 1725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이며, 회전자의 주파수는 슬립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슬립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슬립 = (동기속도 - 회전자 속도) / 동기속도

    여기서 동기속도는 1800rpm, 회전자 속도는 1725rpm이므로,

    슬립 = (1800 - 1725) / 1800 = 0.042

    따라서 회전자의 주파수는 60Hz에 슬립을 곱한 값인 2.5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

  1. 자동조타장치
  2. 추적레이더
  3. 공작기계의 제어
  4. 자동평형기록계
(정답률: 75%)
  • 추적레이더는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서보용 제어기가 해당 위치를 추적하도록 도와주는 기술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동조타장치는 자동으로 조타를 조정하는 장치, 공작기계의 제어는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기술, 자동평형기록계는 비행기의 기울기와 방향을 기록하는 기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직류발전기를 역회전 시키면?

  1. 단락이 일어난다.
  2. 정회전 때와 같다.
  3. 발전하지 않는다.
  4. 과대 전압이 유기된다.
(정답률: 68%)
  • 직류발전기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전기적인 극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역회전 시키면 전기적인 극성이 바뀌어서 발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전하지 않는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처음에 충전되지 않은 커패시터에 그림과 같은 전류파형이 가해질 때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파형은?

(정답률: 71%)
  • 커패시터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하를 축적하여 전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류가 처음에 0에서 시작하여 증가하면서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도 처음에는 0에서 시작하여 증가하게 됩니다. 이 때, 전류가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면서 다시 0이 되는 시점에서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도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면서 다시 0이 되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파형은 전류파형과 같은 형태를 띄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의 선도에서 전달함수 C(s)/R(s)는?

(정답률: 79%)
  • 전달함수는 출력과 입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그림에서는 출력이 C(s)이고 입력이 R(s)이므로 전달함수는 C(s)/R(s)이다. 그리고 이 그림에서는 R(s)가 입력되면, R(s)이 sL을 통과하여 전압이 변화하고, 그 변화된 전압이 C(s)를 통과하여 출력이 된다. 따라서 C(s)는 R(s)에 대한 시간적 미분값을 나타내므로, C(s)/R(s)는 sL을 통과하는 전달함수가 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이 아닌 것은?

  1. 극수변환법
  2. 2차여자제어법
  3. 전압제어법
  4. 역률제어법
(정답률: 34%)
  • 역률제어법은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역률제어법은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역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유도전동기의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률제어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더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할 때 그 저항은 어떻게 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임의로 변화한다.
  4. 변화가 전혀 없다.
(정답률: 53%)
  • 더미스터는 양의 온도 계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증가하면 그 저항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림과 같이 직류 전력을 측정하였다. 가장 정확하게 측정한 전력은? (단, Ri:전류계의 내부저항, Re:전압계의 내부저항이다.)

(정답률: 49%)
  • 전류계와 전압계의 내부저항은 각각 Ri와 Re이다. 이 때, 전류계와 전압계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류계의 내부저항 Ri과 전압계의 내부저항 Re이 직렬로 연결되어 전체 회로의 내부저항은 Ri+Re이 된다. 따라서, 전류계와 전압계를 직렬로 연결한 경우, 전류계와 전압계 사이의 전압은 전체 회로의 전압 중 Ri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전압계의 측정값은 실제 전압의 Re/(Ri+Re)만큼의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압계의 측정값을 실제 전압에 곱해주면 정확한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각 전력을 구하면, P1=2.5W, P2=5W, P3=7.5W, P4=10W이므로, 가장 정확하게 측정한 전력은 P4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