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승강기 개론
1. 과부하감지장치(Overload Switch)가 동작되는 부하(하중)의 세팅범위는 몇 % 범위인가?
2. 1200형 에스컬레이터의 수송능력을 옳게 설명한 것은?
3.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는 어디에 고정시켜야 하는가?
4. 유압회로의 하나인 미터인(meter-in) 회로에 대한 특징을 옳게 설명한 것은?
5. 권상형 로프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6.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7. 건물측과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신호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8. 로프와 도르래사이의 미끄러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에 따른 적용 속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매 분당 180m이고, 제동소요 시간이 0.3초인 경우의 제동거리는 몇 m 인가?
11. 엘리베이터용 주로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는?
12. 평균 입.출고 시간이 가장 빠른 입체주차설비는?
13. 덤 웨이터 승강로의 구조에서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 카바닥 앞부분과의 틈의 너비는 몇 c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4. 로프식 승강기의 호출버튼, 조작반, 통화장치 등 승강기의 안과 밖에 설치되는 모든 스위치의 높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0.8m이상 1.2m이하에 설치하여야 하나, 스위치가 많아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몇 m 이하까지로 할 수 있는가?
15. 유압엘리베이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펌프는?
16. 카의 정격속도가 90m/min인 유입식 완충기의 필요 최소행정은 약 몇 m 인가?
17. 기계실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8. 도어는 오프닝의 위와 양쪽 옆, 그리고 상호간에 겹쳐야하는데, 다중 속도 도어의 경우 겹쳐야 하는 치수는 몇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9. 브레이스 로드는 카 바닥에 균등하게 분산될 하중의 얼마정도를 카 틀에 전달하는가?
20. 이동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2과목: 승강기 설계
21.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의 적용시 고려되지 않는 것은?
22. 도어개폐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3. 시간당 9000명을 수송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난간폭이 몇 mm 인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24. 1대의 승강기 조작방식에서 자동운전방식이 아닌 것은?
25.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26. 엘리베이터에서 카 틀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27. 적재하중 1000kg, 카의 전체 중량 1200kg인 엘리베이터에 지름 12mm의 로프 5본을 사용했을 때 로프의 안전율은 얼마인가? (단, 지름 12mm 로프의 파단력은 5990kg이고, 로프 자중은 무시하며, 1:1로핑을 적용한다.)
28. 그림은 승강기용 주로프의 단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 주로프의 구성기호는?
29. 엘리베이터의 전원이 3상3선식인 경우 전압강하를 계산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것은?
30. 초고층 빌딩에서 서비스 층의 분할 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1. 도어에 관련된 부품 및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V벨트 전동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33. 피트의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34. 가이드 레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5. 주파수 60Hz, 슬립 3%, 회전속도가 873rpm인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몇 극인가?
36. 제어반의 절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권상기 및 기타 기계대에 부착된 모든 장치의 하중이 1200㎏, 로프 중량이 100㎏,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이 4000㎏ 일 때, 기계대에 걸리는 하중은 몇 kg 인가?
38.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동력의 전원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39. 그림과 같은 도르래 장치의 표시가 옳게된 것은?
40. 승강로 상.하의 단말정차장치(Terminal Stopping Devic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350rpm 으로 70 PS 를 전달하는 축의 전달 토크는 약 몇 ㎏f-㎝ 인가?
42. 제련 방법에 따른 동의 종류 가운데 순도가 가장 높은 것은?
43. 250㎏f의 인장하중을 받은 연강봉 직경은 최소 몇 ㎜가 적합한가? (단, 재료의 극한강도는 36kgf/mm2, 안전율은 3 이다.)
44. 그림과 같은 삼각형 단면의 밑변인 B - C 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는?
45. 축에 있어서 직경을 d, 축 재료의 전단응력을 τ라 하면, 비틀림 모멘트 T 의 관계식으로 올바른 것은?
46. 96㎏f-m 의 토크를 전달하는 지름 50 ㎜ 인 축에 사용할 묻힘 키의 폭과 높이가 12 ㎜ x 8 ㎜ 일 때 다음 중 키의 길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키의 전단응력 만으로 계산하고 키의 허용 전단응력은 800㎏f/cm2 이다.)
47. 직경 500 ㎜인 파이프 속을 평균속도가 1.8 m/sec로 흐를 때 관의 길이가 60 m이면 손실수두는 약 몇 m 인가? (단, 관 마찰계수는 f= 0.02 이다.)
48. 가스용접 및 가스절단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49. 게이지 블록의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으로 정도가 가장 높아 참조용으로 사용되며, 표준용 게이지 블록의 정도 검사에 사용되는 한국산업규격(KS) 등급인 것은?
50. 두께 12㎜ 강판을 리벳이음으로 안지름 1000㎜인 보일러 동체를 만들었다. 강판의 허용인장응력을 6㎏f/mm2, 리벳이음의 효율을 70%라 할 때 몇 ㎏f/cm2의 내압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51. 다음 펌프 중에서 주기적으로 양수하므로 맥동이 생기는 대표적인 것은?
52. 다음의 용접법 중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는 용접은?
53. 자동차 정비 측정용 기기중 1/100mm까지 측정할수 있는 마이크로미터에서 나사의 피와 딤블의 눈금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54. 그림과 같은 블록 브레이크에서 드럼 축의 레버를 누르는 힘 F를 우회전할 때는 F1, 좌회전 할 때의 F를 F2라고 하면 F1/F2의 값은 얼마인가?
55. 일반적인 탄소강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응력, 허용응력, 탄성한도의 관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56. 다음 중 비파괴(非破壞)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7.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58. 다음 펌프 중 용적형 펌프는?
59. 1000rpm으로 2000 kgf-cm의 비틀림 모멘트를 전달하는 축의 전달 동력은 몇 kW 인가?
60. 강의 펄라이트의 조직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AC 서보 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62. 10㎌의 콘덴서에 20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콘덴서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몇 C 인가?
63.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64.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갖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것으로 셋(Set) 입력으로 출력이 생기고 리셋(Reset) 입력으로 출력이 없어지는 회로는?
65. 제어요소의 동작 특성 중 연속동작이 아닌 것은?
66. 전열기에서와 같이 온도가 높고 낮음이나, 열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끊거나 하는 제어 명령만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제어를 어떤 제어라 하는가?
67. R-L-C 병렬회로에서 회로가 병렬공진되었을 때 합성 전류는 어떻게 되는가?
68. 제너다이오드회로에서 v1=20sinωt[V], v2=5V, RL≪Rs일 때 v2 의 파형은?
6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는?
70. 피드백제어계에 반드시 필요한 장치는?
71. 어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01초사이에 일정하게 50A에서 10A로 변할 때 20V의 기전력이 발생하면 자기인덕턴스는 몇 mH 인가?
72. 제어시스템의 감도 설명이 아닌 것은?
73. 4극 60Hz의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1725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몇 Hz 인가?
74.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
75. 직류발전기를 역회전 시키면?
76. 처음에 충전되지 않은 커패시터에 그림과 같은 전류파형이 가해질 때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파형은?
77. 그림의 선도에서 전달함수 C(s)/R(s)는?
78.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이 아닌 것은?
79. 더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할 때 그 저항은 어떻게 되는가?
80. 그림과 같이 직류 전력을 측정하였다. 가장 정확하게 측정한 전력은? (단, Ri:전류계의 내부저항, Re:전압계의 내부저항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05∼110" 인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더 큰 전류가 발생해도 과부하감지장치가 동작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보다 낮거나 높기 때문에, 해당 범위 내에서는 동작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