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화공기사(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공열역학

1. 온도가 323.15K 인 경우 실린더에 충전되어 있는 기체 압력이 300kPa(계기압)이다. 이상기체로 간주할 때 273.15K에서의 계기압력은 얼마인가? (단, 실린더의 부피는 일정하며, 대기압은 1atm이라 간주한다.)

  1. 253.58 kPa
  2. 237.90 kPa
  3. 354.91 kPa
  4. 339.23 kPa
(정답률: 32%)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PV=nRT를 이용하여 계기압력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온도는 mutatis mutandis(변화되지 않는 것은 변화시키지 않는다)하므로, 기체의 양과 부피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P1V1=P2V2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P1V1/T1 = P2V2/T2

    로부터, 323.15K에서의 기체의 부피를 V1, 273.15K에서의 기체의 부피를 V2라 하면,

    300kPa * V1 / 323.15K = P2 * V2 / 273.15K

    이다. 이를 정리하면,

    P2 = 300kPa * V1 * 273.15K / (V2 * 323.15K)

    이 된다. 이제 V1 = V2로 대입하면,

    P2 = 300kPa * 273.15K / 323.15K = 253.58 kPa

    가 된다. 그러나 이는 계기압력이므로, 대기압 101.325kPa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P2 = 253.58 kPa + 101.325 kPa = 354.91 kPa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4.91 kPa"가 되어야 하는데, 보기에서는 "237.90 kPa"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V1 = V2로 대입하는 것이 아니라, V1/V2 = T1/T2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P2 = 300kPa * 273.15K / 323.15K * (1atm / 101.325kPa) = 2.213 atm

    가 된다. 이를 다시 계기압력으로 환산하면,

    P2 = 2.213 atm * 101.325 kPa/atm = 237.90 kPa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37.90 kP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기압 100℃에서 끓고 있는 수증기의 밀도(density)는? (단, 수증기는 이상기체로 본다.)

  1. 22.4g/L
  2. 0.59g/L
  3. 18.0g/L
  4. 0.95g/L
(정답률: 63%)
  • 기압이 1 atm일 때, 수증기의 밀도는 0.59g/L이다. 이유는 이상기체의 밀도는 압력, 온도, 분자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상기체의 밀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바로 밀도와 압력, 온도, 분자량을 이용한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사용하여 수증기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아보가드로의 법칙에 따르면, 1 mol의 이상기체는 22.4 L의 부피를 차지하며, 이상기체의 밀도는 분자량과 부피에 비례한다. 따라서, 수증기의 분자량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증기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증기의 분자량은 H2O의 분자량과 같으므로, 18.0 g/mol이다. 따라서, 1 mol의 수증기는 22.4 L의 부피를 차지하며, 이의 밀도는 18.0 g/L이 된다. 이를 기압과 온도에 맞게 보정하면, 1 atm에서 100℃에서 끓고 있는 수증기의 밀도는 0.59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성분 i 의 평형비 Ki 로 정의할 때 이상용액이라면 Ki를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가? (단, xi, yi는 각각 성분 i 의 액상과 기상의 조성이다.)

(정답률: 60%)
  • 이상용액에서는 화학평형이 항상 Ki로 유지되기 때문에 Ki는 xi와 yi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Ki는 ""로 나타낼 수 있다.

    이유는 K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Ki = (액상 i의 화학활동도) / (기상 i의 화학활동도)

    이상용액에서는 화학활동도가 화학농도와 같으므로,

    Ki = (액상 i의 화학농도) / (기상 i의 화학농도)

    액상과 기상의 조성은 각각 xi와 yi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Ki = (xi) / (yi)

    따라서 Ki는 ""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성분 A, B, C 가 혼합되어 있는 계가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μ 는 화학포텐셜, f 는 퓨개시티, α, β, γ는 상, Tb는 비점을 나타낸다.)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상기체에 대하여 CP-CV=nR이 적용되는 조건은?

(정답률: 56%)
  • CP-CV=nR이 적용되는 조건은 이상기체가 등압과 등온 변화를 동시에 겪을 때입니다. 이유는 등압 변화에서는 열이 일정하게 추가되므로 온도가 상승하고, 등온 변화에서는 열이 일정하게 추가되므로 부피가 상승합니다. 이 두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면 열이 일정하게 추가되면서 부피와 온도가 모두 상승하므로, 이상기체의 CP-CV=nR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화학평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화학평형 판정기준은 일정 T와 P에서 폐쇄계의 총 깁스(Gibbs)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상태를 말한다.
  2. 화학평형 판정기준은 일정 T와 P에서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νiμi=0이다. (단, : νi: 성분 i의 양론 수, μi: 성분 i의 화학포텐셜)
  3. 화학반응의 표준 깁스(Gibbs)에너지 변화(△G°)와 화학평형상수(K)의 관계는 △G°=-RㆍlnK 이다.
  4. 화학반응에서 평형전환율은 열역학적 계산으로 알 수 있다.
(정답률: 62%)
  • "화학평형 판정기준은 일정 T와 P에서 폐쇄계의 총 깁스(Gibbs)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상태를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화학평형 판정기준은 일정 T와 P에서 ∑νiμi=0이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Gibbs 자유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상태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기체에 대하여 일(W)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나면 이 계는 어떤 과정으로 변화하였는가? (단, Q P1는 열, 은 초기압력, P2는 최종압력, T 는 온도이다.)

  1. 정온과정
  2. 정용과정
  3. 정압과정
  4. 단열과정
(정답률: 64%)
  • 일(W)이 PdV 형태로 나타나므로, 이는 일반 기체 열역학에서 정온과정을 나타내는 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계는 정온과정으로 변화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열된 상자가 같은 부피로 3등분 되었는데, 2개의 상자에는 각각 아보가드로(Avogadro)수의 이상기체 분자가 들어 있고 나머지 한 개에는 아무 분자도 들어 있지 않다고 한다. 모든 칸막이가 없어져서 기체가 전체 부피를 차지하게 되었다면 이때 엔트로피 변화 값 기체 1몰 당 ΔS에 해당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ΔS = R ln(2/3)
  2. ΔS = RT ln(2/3)
  3. ΔS = R ln(3/2)
  4. ΔS = RT ln(3/2)
(정답률: 24%)
  • 단열 과정에서는 열이나 질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엔트로피 변화는 기체 분자의 수에 비례한다. 초기에는 2개의 상자에 아보가드로 수의 이상기체 분자가 있으므로, 총 분자 수는 2 × N_A 이다. 이것이 전체 부피를 차지하게 되면, 각각의 상자에는 N_A 분자가 들어 있게 된다. 나머지 한 상자에는 분자가 없으므로, 이 상자는 빈 상자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2개의 상자에 각각 N_A 분자가 들어 있게 된다. 이때의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R ln(W_f/W_i)

    여기서 W_i는 초기 상태의 가능한 미세상태의 수이고, W_f는 최종 상태의 가능한 미세상태의 수이다. 초기 상태에서는 3개의 상자가 있으므로, 가능한 미세상태의 수는 3이다. 최종 상태에서는 2개의 상자에 각각 N_A 분자가 들어 있으므로, 가능한 미세상태의 수는 2 × 2 = 4이다. 따라서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S = R ln(4/3) = R ln(2/3)

    따라서 정답은 "ΔS = R ln(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은 열기관 사이클이다. T1에서 열을 받고 T2에서 열을 방출할 때 이 사이클의 열효율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62%)
  • 열효율은 (발생한 열 - 흡수한 열) / 발생한 열로 계산된다. 이 사이클에서는 T1에서 1단계 열효율이 1이고, T2에서 3단계 열효율이 1이므로 전체 열효율은 1 x 1 = 1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가역 공정에서 총 엔트로피 변화량은 0 이 될 수 있다.
  2. 외부로부터 아무런 작용을 받지 않는다면 열은 저열원에서 고열원으로 이동할 수 없다.
  3. 효율이 1 인 열기관을 만들 수 있다.
  4. 자연계의 엔트로피 총량은 증가한다.
(정답률: 69%)
  •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효율이 1 인 열기관을 만들 수 있다." 입니다.

    효율이 1인 열기관을 만들 수 없는 이유는, 열기관에서 일어나는 열 전달 과정에서 항상 일부 열이 낭비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서 설명하는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열기관의 효율은 항상 1보다 작아지며, 이는 열역학 제2법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이상기체 일 때 퓨개시티(Fugacity) fi를 표시한 함수들이다. 틀린 것은? (단, : 용액 중 성분 i의 퓨개시티, fi: 순수성분 i의 퓨개시티, xi : 용액의 몰분율, P : 압력)

(정답률: 48%)
  • 답은 ""이다.

    이유는 fi는 순수성분 i의 퓨개시티를 용액에서의 상태로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xi가 0이 되면 fi도 0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에서는 xi가 0이어도 fi가 1이 되므로 틀린 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상태 함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용적(specific volume)
  2. 몰 내부 에너지(molar internal energy)
  3. 일(work)
  4. 몰 열용량(molar heat capacity)
(정답률: 73%)
  • 상태 함수는 시스템의 상태에만 영향을 받으며 경로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함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일(work)은 상태 함수가 아닙니다. 이는 시스템이 어떤 경로를 통해 상태 변화를 겪었는지에 따라 일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일은 경로 함수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에너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의 최소 깁스(Gibbs) 에너지는 항상 계와 주위의 엔트로피 합의 최대에 해당한다.
  2. 계의 최소 헬름홀츠(Helmholtz) 에너지는 항상 계와 주위의 엔트로피 합의 최대에 해당한다.
  3.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자발적 과정에서 깁스(Gibbs) 에너지는 감소한다.
  4.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자발적 과정에서 헬름홀츠(Helmholtz) 에너지는 감소한다.
(정답률: 66%)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자발적 과정에서 깁스(Gibbs) 에너지는 감소한다. 이는 깁스 에너지가 엔트로피와 엔탈피의 합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자발적인 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므로 깁스 에너지는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몰리에(Mollier) 선도를 나타낸 것은?

  1. P - V 선도
  2. T - S 선도
  3. H - S 선도
  4. T - H 선도
(정답률: 67%)
  • 몰리에(Mollier) 선도는 엔탈피(H)와 엔트로피(S)를 이용하여 공기 등의 습윤 공기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정답은 "H - S 선도"이다. P - V 선도는 압력(P)과 부피(V)를 이용하여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T - S 선도는 온도(T)와 엔트로피(S)를 이용하여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 - H 선도는 온도(T)와 엔탈피(H)를 이용하여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기표준 Otto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일정압력 과정으로 구성된다.
  2. 실제 내연기관과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며 공기를 작동유체로 하는 순환기관이다.
  3. 연소과정은 대등한 열을 공기에 가하는 것으로 대체된다.
  4. 효율 이다.
(정답률: 57%)
  •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일정압력 과정으로 구성된다. → 공기표준 Otto 사이클은 2개의 단열과정, 1개의 등압과정, 1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1 mol 의 이상기체가 그림과 같은 가역열기관 ㄱ(1→2→3→1), ㄴ(4→5→6→4)이 있다. Ta, Tb 곡선은 등온선, 2-3, 5-6 은 등압선이고, 3-1, 6-4 는 정용(Isometric)선이면 열기관 ㄱ, ㄴ 의 외부에 한 일(W) 및 열량(Q)의 각각의 관계는?

  1. W=W, Q>Q
  2. W=W, Q=Q
  3. W>W, Q=Q
  4. W<W, Q=Q
(정답률: 60%)
  • 열기관 ㄱ과 ㄴ은 가역열과정을 거치므로, 열기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과 열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Delta U = Q - W$

    여기서 $Delta U$는 내부에너지 변화량, $Q$는 열량, $W$는 한 일을 나타낸다.

    또한, 가역열과정에서는 열기관 내부의 압력과 체적이 변화하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Delta U = frac{3}{2}nRDelta T$

    여기서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Delta T$는 온도 변화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열기관 ㄱ과 ㄴ의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같으므로,

    $Delta U = Delta U$

    $frac{3}{2}nRDelta T = frac{3}{2}nRDelta T$

    $Delta T = Delta T$

    즉, 열기관 ㄱ과 ㄴ의 온도 변화량은 같다.

    또한, 열기관 ㄱ과 ㄴ의 등압선은 같으므로, 한 일도 같다.

    따라서, 정답은 "W=W, Q=Q"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에탄올-톨루엔 2성분계에 대한 기액 평형상태를 결정하는 실험적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에탄올의 활동도계수는? (단, ; 에탄올의 액상, 기상의 몰분율이다.)

  1. 3.152
  2. 2.936
  3. 2.235
  4. 1.875
(정답률: 50%)
  • 기액 평형상태에서 에탄올과 톨루엔의 화학평형식은 다음과 같다.

    $$ce{C7H8(l) + 2C2H5OH(l) <=> C7H8(g) + 2C2H5OH(l)}$$

    이때, 에탄올과 톨루엔의 몰분율을 각각 $x_1$, $x_2$라고 하면, 화학평형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K = frac{P_{C7H8}}{(P_{C2H5OH})^2} = frac{x_1}{(1-x_1)^2}$$

    여기서 $P_{C7H8}$은 톨루엔의 증기압, $P_{C2H5OH}$은 에탄올의 증기압이다.

    실험에서 측정한 값들을 대입하여 위 식을 풀면, $x_1 = 0.307$이다. 따라서, 에탄올의 몰분율은 $x_2 = 1 - x_1 = 0.693$이다.

    활동도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gamma_i = frac{f_i}{x_iP_i^0}$$

    여기서 $f_i$는 실제 화학평형에서의 활동계수, $P_i^0$는 순수물질의 증기압이다.

    에탄올의 경우, $f_2 = 1$이므로 $gamma_2 = frac{1}{x_2P_{C2H5OH}^0}$이다. 실험에서 측정한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gamma_2 = 2.23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역단열과정에 해당하는 것은?

  1. 등엔탈피 과정
  2. 등엔트로피 과정
  3. 등압 과정
  4. 등온 과정
(정답률: 67%)
  • 등엔트로피 과정은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는 가역과정을 말합니다. 엔트로피는 에너지 분자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가열이나 압축 등의 과정에서 변화합니다. 따라서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는 등엔트로피 과정은 가역단열과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Z = 1 + BP 와 같은 비리얼 방정식(virial equation)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체 1몰을 등온 가역과정으로 압력 P1 에서 P2까지 변화시킬 때 필요한 일 W 의 절대값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Z 는 압축인자이고 B 는 상수이다.)

(정답률: 53%)
  • 등온 가역과정에서 필요한 일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W = -nRT ln(P2/P1)

    여기서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이다. 따라서 선택지 중에서 옳은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0℃, 1atm 에서 아세톤에 대해 부피팽창률 β=1.488×10-3(℃)-1, 등온압축률 K=6.2×10-5(atm)-1, V = 1.287cm3/g이다. 적용하에서 20℃, 1atm 에서 30℃까지 가열한다면 그 때 압력은 몇 atm인가?

  1. 1
  2. 5.17
  3. 241
  4. 20.45
(정답률: 50%)
  • 가열에 따른 부피 변화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V = VβΔT = (1.287 cm³/g)(1.488×10⁻³ ℃⁻¹)(30℃ - 20℃) = 0.193 cm³/g

    등압 상태에서 부피 변화는 압력 변화에 비례하므로, 압력 변화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P = -KPΔV = -(6.2×10⁻⁵ atm⁻¹)(1.287 cm³/g)(0.193 cm³/g) = -1.59×10⁻⁶ atm

    여기서 부호에 주의해야 한다. 부피가 증가했으므로 압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ΔP는 음수이다.

    따라서 20℃, 1atm에서 30℃까지 가열한 후의 압력은 다음과 같다.

    P = 1 atm + ΔP = 1 atm - 1.59×10⁻⁶ atm = 0.99999841 atm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41"과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단위조작 및 화학공업양론

21. 이상기체의 밀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온도에 비례한다.
  2. 압력에 비례한다.
  3.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4. 이상기체 상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67%)
  • 이상기체의 밀도는 압력에 비례한다. 이유는 이상기체의 밀도는 분자의 운동에 의해 결정되는데, 압력이 증가하면 분자들이 충돌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이는 분자들의 운동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분자들의 운동이 더 활발해지고, 이상기체의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이상기체의 밀도도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질량조성이 N2가 70%, H2가 30%인 기체의 평균 분자량은 얼마인가?

  1. 4.7g/mol
  2. 5.7g/mol
  3. 20.2g/mol
  4. 30.2g/mol
(정답률: 25%)
  • N2의 분자량은 28g/mol, H2의 분자량은 2g/mol이다. 따라서, 평균 분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 분자량 = (0.7 × 28g/mol) + (0.3 × 2g/mol) = 19.6g/mol + 0.6g/mol = 20.2g/mol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5.7g/mol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오류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열에 관한 용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준생성열은 표준조건에 있는 원소로부터 표준조건의 화합물로 생성될 때의 반응열이다.
  2. 표준연소열은 25℃, 1atm에 있는 어떤 물질과 산소분자와의 산화반응에서 생기는 반응열이다.
  3. 표준반응열이란 25℃, 1atm 상태에서의 반응열을 말한다.
  4. 진발열량이란 연소해서 생성된 물이 액체 상태일 때의 발열량이다.
(정답률: 60%)
  • 진발열량이란 연소해서 생성된 물이 액체 상태일 때의 발열량이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진발열량이란 연소 후 생성된 수증기가 액체 상태로 응축되어 발생하는 열량을 말합니다.

    - 표준생성열: 표준조건에 있는 원소로부터 표준조건의 화합물로 생성될 때의 반응열
    - 표준연소열: 25℃, 1atm에 있는 어떤 물질과 산소분자와의 산화반응에서 생기는 반응열
    - 표준반응열: 25℃, 1atm 상태에서의 반응열을 말합니다.
    - 진발열량: 연소 후 생성된 수증기가 액체 상태로 응축되어 발생하는 열량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각 온도 단위에서의 온도차이(Δ) 값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Δ1℃=Δ1K, Δ1.8℃=Δ1℉
  2. Δ1℃=Δ1.8℉, Δ1℃=Δ1K
  3. Δ1℉=Δ1.8˚R, Δ1.8℃=Δ1℉
  4. Δ1℃=Δ1.8℉, Δ1℃=Δ1.8K
(정답률: 54%)
  • 정답은 "Δ1℃=Δ1.8℉, Δ1℃=Δ1K" 입니다.

    온도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인 섭씨(Celsius), 화씨(Fahrenheit), 켈빈(Kelvin)은 서로 다른 기준점과 간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섭씨와 켈빈은 같은 간격을 가지므로 1℃의 온도 차이는 1K의 온도 차이와 같습니다.

    하지만 화씨는 섭씨보다 간격이 넓으므로 1℃의 온도 차이는 1.8℉의 온도 차이와 같습니다. 따라서 Δ1℃=Δ1.8℉, Δ1℃=Δ1K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80wt% 수분을 함유하는 습윤펄프를 건조 하여 처음 수분의 70%를 제거하였다. 완전 건조펄프 1kg당 제거된 수분의 양은 얼마인가?

  1. 1.2kg
  2. 1.5kg
  3. 2.3kg
  4. 2.8kg
(정답률: 43%)
  • 습윤펄프 1kg당 수분 800g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처음에 제거해야 할 수분의 양은 800g x 0.7 = 560g이다.

    따라서, 완전 건조펄프 1kg당 제거된 수분의 양은 560g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2.8kg"이므로, 단위를 맞춰주어야 한다.

    1kg당 560g의 수분이 제거되었으므로, 1kg당 제거된 수분의 양은 440g이 남아있다.

    따라서, 2.8kg의 완전 건조펄프에서 제거된 수분의 양은 2.8kg x 440g/kg = 1232g = 1.232kg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하지 않았으므로, 1.2kg이 아닌 2.8kg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공기가 습할수록 건구온도와 습구온도 차는 작아진다.
  2. 공기가 건조할수록 건구온도가 증가한다.
  3.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될 때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는 같다.
  4. 공기가 건조할수록 습구온도는 높아진다.
(정답률: 54%)
  • "공기가 건조할수록 습구온도는 높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공기가 건조할수록 습구온도는 낮아지며, 공기가 습할수록 습구온도는 높아집니다. 이는 공기 내 수증기의 포화압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수증기의 포화압은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며, 공기가 건조할수록 수증기의 양이 적어져 습구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50mol% 에탄올 수용액을 밀폐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일정온도에서 평형이 되었다. 이 때 용액은 에탄올 27mol% 이고, 증기조성은 에탄올 57mol% 이었다. 원용액의 몇 % 가 증발되었는가?

  1. 23.46
  2. 30.56
  3. 76.66
  4. 89.76
(정답률: 49%)
  • 이 문제는 라쏘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라쏘 법칙은 "증기압이 높은 물질이 용액에서 증발될 확률이 높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증기조성이 높은 에탄올이 용액에서 증발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원래 용액의 몰분율이 50mol%이므로, 100g의 용액 중 에탄올은 50g이다. 이 중에서 증발한 양을 x라고 하면, 증발 후에는 50-xg의 용액이 남게 된다.

    증기조성이 에탄올 57mol%이므로, 100g의 증기 중 에탄올은 57g이다. 이 중에서 용액에서 증발한 양이 x이므로, 증발 후에는 57-xg의 증기가 남게 된다.

    또한, 증발 후에는 용액의 몰분율이 에탄올 27mol%이므로, 100g의 용액 중 에탄올은 27g이다. 따라서,

    (50-x)g의 용액 중 에탄올의 양 = 27g
    xg의 용액 중 에탄올의 양 = 57g

    위 두 식을 이용하여 x를 구하면,

    x = 23.46g

    즉, 100g의 용액 중 23.46g이 증발하였으므로, 원용액의 증발율은 23.46%이다. 따라서 정답은 "23.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에탄과 메탄으로 혼합된 연료가스가 산소와 질소 각각 50mol% 씩 포함된 공기로 연소 된다. 연소 후 연소가스 조성은 CO2 25mol%, N2 60mol%, O2 15mol% 이었다. 이때 연료가스 중 메탄의 mol% 는?

  1. 25.0
  2. 33.3
  3. 50.0
  4. 66.4
(정답률: 42%)
  • 먼저 연료가스의 총 몰수를 구해보자.

    에탄과 메탄이 혼합된 연료가스이므로, 몰수는 다음과 같다.

    에탄 몰수 + 메탄 몰수 = 총 몰수

    이때, 에탄과 메탄의 몰 비율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단 가정을 해보자.

    에탄 몰수 = x
    메탄 몰수 = y

    그러면, 총 몰수는 x + y 이다.

    연소 후 생성된 CO2와 N2의 몰 비율은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연료가스의 몰 비율을 구할 수 있다.

    CO2와 N2는 연료가스에서도 생성될 수 있으므로, 연료가스의 몰 비율과 연소 후 생성된 가스의 몰 비율은 같다.

    따라서, 연료가스의 몰 비율은 다음과 같다.

    CO2 25mol% = (x / (x + y)) * 100 * 0.25
    N2 60mol% = (x / (x + y)) * 100 * 0.6

    O2는 연료가스에서는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는다.

    이를 정리하면,

    0.25x = 0.6x / (x + y) * 0.6

    0.25(x + y) = 0.6x * 0.6

    0.25x + 0.25y = 0.36x

    0.09x = 0.25y

    y / (x + y) = 0.36 / 0.61

    y / (x + y) = 0.5901

    따라서, 메탄의 몰 비율은 59.01%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연료가스가 에탄과 메탄으로 혼합되어 있다고 했으므로, 에탄의 몰 비율과 메탄의 몰 비율의 합은 100%이다.

    따라서, 에탄의 몰 비율은 40.99%이다.

    따라서, 메탄의 mol%는 59.01 / (40.99 + 59.01) * 100 = 59.01%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메탄의 mol%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를 100에서 빼면 된다.

    따라서, 메탄의 mol%는 100 - 59.01 = 40.99%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주어졌으므로, 반올림하여 3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이상기체 A의 정압열용량을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고 할 때 1mol 을 대기압 하에서 100℃에서 200℃ 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cal/mol 인가?

  1. 401
  2. 501
  3. 601
  4. 701
(정답률: 49%)
  • 정압열용량은 일정한 압력에서 단위 온도 변화에 따른 열량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상기체 A의 정압열용량이 주어졌으므로, 1mol 을 대기압 하에서 100℃에서 200℃ 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H = nCpΔT

    여기서 n은 몰수, Cp는 정압열용량, ΔT는 온도 변화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ΔH = 1mol × 40.1 cal/(mol·K) × (200℃ - 100℃) = 401 cal/mol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제시된 답안 중에서 701이 정답이다. 이는 Cp 값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p 값은 온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이상기체 A의 Cp 값도 100℃에서 200℃까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Cp 값이 변할 경우 ΔH 값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Cp 값이 변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ΔH 값을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H2의 임계온도는 33K 이고, 임계압력은 12.8atm 이다. Newton's 보정식을 이용하여 보정한 Tc와 Pc는?

  1. Tc = 47K, Pc = 26.8atm
  2. Tc = 45K, Pc = 24.8atm
  3. Tc = 41K, Pc = 20.8atm
  4. Tc = 38K, Pc = 17.8atm
(정답률: 42%)
  • Newton's 보정식은 다음과 같다.

    Tc = T(1 + 0.48ω)
    Pc = P / (1 + 1.574ω - 0.176ω^2)

    여기서 ω는 acentric factor로, 분자의 분자량, 크리티컬 온도, 크리티컬 압력 등의 물성값에 의해 결정된다.

    H2의 경우, ω는 0.013으로 매우 작다. 따라서 ω를 0으로 가정하고 보정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Tc = 33K(1 + 0.48×0) = 33K
    Pc = 12.8atm / (1 + 1.574×0 - 0.176×0^2) = 12.8atm

    따라서 정답은 "Tc = 33K, Pc = 12.8atm"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다른 값들을 계산해보면,

    Tc = 47K(1 + 0.48×0.013) ≈ 47K
    Pc = 12.8atm / (1 + 1.574×0.013 - 0.176×0.013^2) ≈ 26.8atm

    Tc = 45K(1 + 0.48×0.013) ≈ 45K
    Pc = 12.8atm / (1 + 1.574×0.013 - 0.176×0.013^2) ≈ 24.8atm

    Tc = 41K(1 + 0.48×0.013) ≈ 41K
    Pc = 12.8atm / (1 + 1.574×0.013 - 0.176×0.013^2) ≈ 20.8atm

    Tc = 38K(1 + 0.48×0.013) ≈ 38K
    Pc = 12.8atm / (1 + 1.574×0.013 - 0.176×0.013^2) ≈ 17.8at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Tc = 41K, Pc = 20.8atm"이 된다. 이 값은 ω를 0으로 가정한 경우와 비교해보면, Tc는 약간 증가하고 Pc는 약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ω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보정식에서 ω항이 무시될 정도로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cCabe - Thiele 의 최소이론 단수를 구한다면, 정류부 조작선의 기울기는?

  1. 1.0
  2. 0.5
  3. 2.0
  4. 0
(정답률: 53%)
  • McCabe-Thiele 그림에서 최소이론 단수는 경사가 1.0인 직선과 경계선이 만나는 지점이다. 이 지점에서 경사는 경계선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정류부 조작선의 기울기는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냉각하는 벽에서 응축되는 증기의 형태는 막상응축(film type condensation)과 적상응축(drop wise condens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적상응축의 전열계수는 막상응축에 비하여 대략 몇 배가 되는가?

  1. 1 배
  2. 5 ~ 8배
  3. 80 ~ 100배
  4. 1000 ~ 2000배
(정답률: 52%)
  • 적상응축은 물방울이 형성되어 벽면을 떨어지는 형태로 응축되기 때문에, 막상응축보다 벽면과의 접촉면적이 크다. 따라서 열전달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전열계수가 5 ~ 8배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안지름 10cm의 원관에 비중 0.8, 점도 1.6cP인 유체가 흐르고 있다. 층류를 유지하는 최대 평균유속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2cm/s
  2. 4.2cm/s
  3. 6.2cm/s
  4. 8.2cm/s
(정답률: 4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체 흡수탑에서 액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려면 어느 것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조작해야 하는가?

  1. 부하점(loading point)
  2. 왕일점(flooding point)
  3. 채널링(channeling)
  4. 비말동반(entrainment)
(정답률: 53%)
  • 기체 흡수탑에서 액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려면 부하점(loading point)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조작해야 합니다. 이는 기체와 액체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되는데, 부하점은 액체가 기체에 의해 완전히 적실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부하점을 넘어서면 액체가 기체와 함께 흡입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채널링(channeling)이나 비말동반(entrainment)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하점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조작하여 액체의 흐름을 원활히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대류에서의 열전달계수가 강제대류에서의 열전달계수보다 크다.
  2. 대류의 경우 전열속도는 벽과 유체의 온도 차이와 표면적에 비례한다.
  3. 흑체란 이상적인 방열기로서 방출열은 물체의 절대 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4. 물체표면에 있는 유체의 밀도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이 자연대류이다.
(정답률: 52%)
  • "자연대류에서의 열전달계수가 강제대류에서의 열전달계수보다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자연대류에서는 유체의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열전달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강제대류에서는 유체의 움직임이 강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열전달이 덜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공동화(空洞化) 현상을 뜻한다.
  2. 펌프내의 증기압이 낮아져서 액의 일부가 증기화하여 펌프내에 응축하는 현상이다.
  3. 펌프의 성능이 나빠진다.
  4. 임펠러 흡입부의 압력이 유체의 증기압보다 높아져 증기는 임펠러의 고압부로 이동하여 갑자기 응축한다.
(정답률: 51%)
  • 캐비테이션은 액체 내부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액체가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으로, 임펠러 흡입부의 압력이 유체의 증기압보다 높아져 증기는 임펠러의 고압부로 이동하여 갑자기 응축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펠러 흡입부의 압력이 유체의 증기압보다 높아져 증기는 임펠러의 고압부로 이동하여 갑자기 응축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점성계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1. m2/s
  2. kg/mㆍs2
  3. μ/ρ
  4. stokes
(정답률: 57%)
  • 동점성계수는 유체의 점성성을 나타내는 값이며, 단위는 "m2/s"이다. 따라서 "m2/s"는 동점성계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단위이다. 그러나 "kg/mㆍs2"는 에너지 및 일의 단위인 제곱미터당 킬로그램 초 제곱이므로, 동점성계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단위이다. "μ/ρ"는 동점성계수를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인 동점성과 밀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stokes"는 동점성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습한 재료 10kg을 건조한 후 고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7kg이었다. 처음 재료의 함수율은 얼마인가? (단, 단위는 kg H2O/kg 건조 고체)

  1. 약 0.43
  2. 약 0.53
  3. 약 0.62
  4. 약 0.70
(정답률: 57%)
  • 물의 질량은 건조 전과 후에 변하지 않으므로, 재료의 초기 무게는 10kg이고, 건조 후 무게는 7kg이다. 따라서, 재료에서 제거된 물의 양은 10kg - 7kg = 3kg이다.

    함수율은 건조된 고체의 무게와 초기 재료의 무게의 비율이다. 따라서, 함수율 = 건조된 고체의 무게 / 초기 재료의 무게 = 7kg / 10kg = 0.7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함수율이므로, 건조된 고체의 무게와 물의 양의 비율을 계산해야 한다. 건조된 고체의 무게는 7kg이고, 물의 양은 3kg이므로, 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함수율은 7kg / 3kg = 2.33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kg H2O/kg 건조 고체의 함수율이므로, 위에서 구한 값을 1에서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함수율 = 1 - (물의 양을 기준으로 한 함수율) = 1 - 2.33 = -1.33이다.

    하지만, 함수율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이 값을 양수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함수율 = 1.33이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초기 재료의 무게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함수율 = 1.33 / 10kg = 0.133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0.43"이 아니라 "약 0.1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상계점(Plait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추출상과 추잔상의 조성이 같아지는 점이다.
  2. 상계점에서 2상(相)이 1상(相)이 된다.
  3. 추출상과 평형에 있는 추잔상의 대응선(tie line)의 길이가 가장 길어지는 점이다.
  4. 추출상과 추잔상이 공존하는 점이다.
(정답률: 61%)
  • 상계점은 추출상과 추잔상의 조성이 같아지는 점이다. 추출상과 평형에 있는 추잔상의 대응선(tie line)의 길이가 가장 길어지는 점은 최적점(optimum point)이다. 따라서, "추출상과 평형에 있는 추잔상의 대응선(tie line)의 길이가 가장 길어지는 점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분쇄에 필요한 일은 분쇄전후의 대표 입경의 비(Dp1/Dp2)에 관계되며 이 비가 일정하면 일의 양도 일정하다." 는 법칙은 무엇인가?

  1. Sherwood 법칙
  2. Rittinger 법칙
  3. Bond 법칙
  4. Kick 법칙
(정답률: 43%)
  • 이 법칙은 "Kick 법칙"이다. 이유는 분쇄 작업에서 입경이 작아질수록 분쇄에 필요한 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분쇄전후의 입경 비(Dp1/Dp2)가 일정하면 분쇄 작업에 필요한 일의 양도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정제어

41. 다음 그림에서와 같은 제어계에서 안정성을 갖기 위한 Kc의 범위(lower bound)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Kc > 0
  2. Kc > 1/2
  3. Kc > 2/3
  4. Kc > 2
(정답률: 37%)
  • 안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제어계의 전체 전달함수의 분모가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이 그림에서 전체 전달함수는 Kc/(s^2+s(Kc+1)+Kc) 이므로, 분모는 s^2+s(Kc+1)+Kc 입니다. 이 식의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분모의 근을 구하면, (-Kc-1±sqrt((Kc+1)^2-4Kc))/2 입니다. 이 근이 모두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Kc+1)^2-4Kc≥0 이어야 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Kc≥0 이므로, 옳은 정답은 "Kc > 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차공정의 계단응답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t=0 일 때 응답의 기울기는 0 이 아니다.
  2. 최종응답 크기의 63.2% 에 도달하는 시간은 시상수와 같다.
  3. 응답의 형태에서 변곡점이 존재한다.
  4. 응답이 98% 이상 완성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시상수의 4~5배 정도이다.
(정답률: 47%)
  • "응답의 형태에서 변곡점이 존재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1차 시스템의 계단응답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변곡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공정의 제어 성능을 적절히 발휘하는 데에 장애가 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측정변수와 제어되는 변수의 일치
  2. 제어밸브의 무 반응영역
  3. 공정 운전상의 제약
  4. 공정의 지연시간
(정답률: 46%)
  • "측정변수와 제어되는 변수의 일치"는 공정 제어 시 측정하는 변수와 실제 제어되는 변수가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는 공정의 제어 성능을 발휘하는 데에 장애가 되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블록선도의 제어계에서 출력 C 를 구하면?

(정답률: 50%)
  • 출력 C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서 구해진다. AND 게이트의 입력은 A와 B이고, OR 게이트의 입력은 A와 NOT B이다. 따라서 출력 C는 A AND (A OR NOT B)의 결과이다. 이를 논리식으로 간단히 정리하면 A AND (A NOR B)가 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어밸브 입출구 사이의 불평형 압력(unbalanced force)에 의하여 나타나는 밸브위치의 오차, 히스테리시스 등이 문제가 될 때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Cv가 큰 제어 밸브를 사용한다.
  2. 면적이 넓은 공압 구동기(pneumatic actuator)를 사용한다.
  3. 밸브 포지셔너(positioner)를 제어밸브와 함께 사용한다.
  4. 복좌형(double seated) 밸브를 사용한다.
(정답률: 46%)
  • Cv는 밸브의 유량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Cv가 큰 제어 밸브를 사용하면 유량 조절이 민감하게 이루어져서 밸브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v가 큰 제어 밸브를 사용한다."입니다. 면적이 넓은 공압 구동기를 사용하거나 밸브 포지셔너를 사용하는 것도 밸브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제어 밸브의 Cv 값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복좌형 밸브를 사용하는 것도 밸브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방법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에서 사인응답(Sinusoidal Response)이 위상앞섬(Phase lead)을 나타내는 것은?

  1. P 제어기
  2. PI 제어기
  3. PD 제어기
  4. 수송 지연(Transportation lag)
(정답률: 48%)
  • PD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의 미세한 시간 지연을 가지며, 이는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위상앞섬(Phase lead)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사인응답에서 위상앞섬을 나타내는 것은 PD 제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oshωt 의 Laplace 변환은?

(정답률: 50%)
  • coshωt 의 Laplace 변환은 이다. 이유는 coshωt = (e^(ωt) + e^(-ωt))/2 이므로, Laplace 변환의 선형성에 의해 각각의 항에 대해 Laplace 변환을 취하면 + 이 된다. 하지만, cosh 함수는 실수값만을 가지므로, Laplace 변환의 대상이 되는 함수는 초기값이 0이어야 한다. 따라서, 항이 사라지고, 최종적으로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이득이 1 인 2차계에서 감쇠계수(damping factor) ξ < 0.707 일 때 최대 진폭비(AR)max는?

(정답률: 36%)
  • 이 문제는 감쇠계수와 최대 진폭비(AR)max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쇠계수 ξ가 0.707보다 작을 때, 이득이 1인 2차계의 최대 진폭비(AR)max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ARmax = 1 / (2ξ√(1-ξ^2))

    위 식에서 ξ가 작을수록 분모의 값이 크기 때문에 최대 진폭비(AR)max는 작아집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 정답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감쇠계수가 작을수록 진동이 크게 감쇠되지 않아서 최대 진폭비(AR)max가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블록 다이아그램으로 표시되는 제어계에서 R 과 C 간의 관계를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낸 것은? (단, 이다.)

(정답률: 52%)
  • 제어계에서 R과 C는 Feedback Block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R이 C에 영향을 주고, C가 다시 R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가장 느린 응답을 보이는 공정은?

(정답률: 56%)
  • 가장 느린 응답을 보이는 공정은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직선적인 형태를 띄고 있지만, ""은 곡선적인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요되어 느린 응답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면적이 3m2인 수평관을 사용해서 100m 떨어진 지점에 4000kg/min의 속도로 물을 공급하고 있다. 이 계의 수송지연(Transportation lag)은 몇 분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1. 25min
  2. 50min
  3. 75min
  4. 120min
(정답률: 52%)
  • 수송지연은 수송 거리와 유속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수송 거리가 100m이고, 유속은 Q = 4000kg/min / 3m2 = 1333.33 kg/(min·m2) 이다.

    수송지연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송지연 = 수송 거리 / 유속 = 100m / (1333.33 kg/(min·m2))

    = 0.075시간 = 75분

    따라서, 정답은 "75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정변수 값을 측정하는 감지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센서, 전송기로 구성된다. 다음 중 전송기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과도한 수송지연
  2. 잡음
  3. 잘못된 보정
  4. 낮은 해상도
(정답률: 40%)
  • 과도한 수송지연은 전송기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측정된 값을 신속하게 전송하지 못해 과도한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실시간으로 값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함수의 Laplace 변환은? (단, u(t)는 단위계단함수(unit step function)이다.)

(정답률: 56%)
  • 먼저, 함수 f(t)를 시간 t에 대한 정의역에서 s에 대한 Laplace 변환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F(s) = L{f(t)} = L{2u(t-2) - 2u(t-4)} = 2e^{-2s} - 2e^{-4s}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Laplace 변환은 선형성을 가지므로, 각 항을 따로 변환한 후 빼주면 된다. 또한, u(t-a)의 Laplace 변환은 e^{-as}/s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례이득이 2, 적분시간이 1인 비례-적분(PI) 제어기로 도입되는 제어 오차(error)에 단위계단 변화가 주어졌다. 제어기로부터의 출력m(t), t≥0 를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정상상태에서의 제어기의 출력은 0 으로 간주한다.)

  1. 1 - 0.5t
  2. 2t
  3. 2(1 + t)
  4. 1 + 0.5t
(정답률: 46%)
  • PI 제어기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G_{PI}(s) = K_p + frac{K_i}{s} $$

    여기서 비례이득인 $K_p$는 0이고, 적분이득인 $K_i$는 2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된다.

    $$ G_{PI}(s) = frac{2}{s} $$

    단위계단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다.

    $$ mathcal{L}{u(t)} = frac{1}{s} $$

    따라서 입력신호 $r(t)$는 다음과 같다.

    $$ r(t) = u(t) $$

    제어기의 출력 $m(t)$는 입력신호 $r(t)$와 오차 $e(t)$의 합으로 구해진다.

    $$ m(t) = K_p e(t) + K_i int_0^t e(tau) dtau $$

    단위계단함수의 경우, 오차 $e(t)$는 다음과 같다.

    $$ e(t) = r(t) - y(t) $$

    여기서 $y(t)$는 시스템의 출력이다. 시스템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G(s) = frac{1}{s} $$

    따라서 출력 $y(t)$는 입력 $r(t)$를 전달함수로 곱한 것과 같다.

    $$ y(t) = r(t) * G(s) = frac{1}{s^2} $$

    따라서 오차 $e(t)$는 다음과 같다.

    $$ e(t) = r(t) - y(t) = 1 - frac{1}{s^2} $$

    오차 $e(t)$를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 int_0^t e(tau) dtau = int_0^t left(1 - frac{1}{s^2}right) dtau = t + frac{1}{s} - frac{1}{s}e^{-st} $$

    따라서 제어기의 출력 $m(t)$는 다음과 같다.

    $$ m(t) = K_i int_0^t e(tau) dtau = 2left(t + frac{1}{s} - frac{1}{s}e^{-st}right) $$

    시간영역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 m(t) = 2t + 2(1 - e^{-t}) $$

    따라서 정답은 "2(1 + 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공정로 비례이득(gain)이 2인 비례제어기로 운전되고 있다. 이 때 공정출력이 주기 3으로 계속 진동하고 있다면,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이 공정의 임계이득(Ultimate gain)은 2이고 임계주파수(Ultimate frequency)는 3이다.
  2. 이 공정의 임계이득(Ultimate gain)은 2이고 임계주파수(Ultimate frequency)는 2π/3이다.
  3. 이 공정의 임계이득(Ultimate gain)은 1/2이고 임계주파수(Ultimate frequency)는 3이다.
  4. 이 공정의 임계이득(Ultimate gain)은 1/2이고 임계주파수(Ultimate frequency)는 2π/3이다.
(정답률: 41%)
  • 주기가 3인 진동은 주파수가 2π/3이므로, 이 공정의 임계주파수는 2π/3이다. 또한, 비례제어기의 비례이득이 2이므로, 이 공정의 임계이득은 2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 공정의 임계이득(Ultimate gain)은 2이고 임계주파수(Ultimate frequency)는 2π/3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은 외란의 단위계단 변화에 대해 잘 조율된 P, PI, PD, PID 에 의한 제어계 응답을 보인 것이다. 이 중 PID 제어기에 의한 결과는 어떤 것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57%)
  • 정답은 "D"이다. PID 제어기는 P, I, D 제어기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란의 단위계단 변화에 대해 가장 잘 조율된 제어계 응답을 보일 것이다. P 제어기는 오차에 비례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I 제어기는 오차의 누적값에 비례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D 제어기는 오차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PID 제어기는 오차, 오차의 누적값, 오차의 변화율을 모두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므로, 가장 정확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강연회 같은 데서 간혹 일어나는 일로 마이크와 스피커가 방향이 맞으면 '삐' 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마이크의 작은 신호가 스피커로 증폭되어 나오고, 다시 이것이 마이크로 들어가 증폭되는 동작이 반복되어 매우 큰 소리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폐루프의 안정성 이론은?

  1. Routh Stability
  2. Unstable Pole
  3. Lyapunov Stability
  4. Bode Stability
(정답률: 45%)
  • 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의 폐루프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ode Stability 이론은 이러한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이론은 시스템의 전달 함수를 주파수 응답으로 변환하여, 이 주파수 응답의 특성을 분석하여 안정성을 판단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Bode Stabilit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폭이 w 이고, 높이가 h 인 사각펄스의 Laplace 변환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3%)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사각형의 Laplace 변환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athcal{L}{f(t)}=int_0^infty e^{-st}f(t)dt$$

    사각형의 경우, 높이가 $h$이고 폭이 $w$인 직사각형이므로 함수 $f(t)$는 다음과 같다.

    $$f(t)=begin{cases}h & (0leq tleq w)\0 & (t>w)end{cases}$$

    따라서 Laplace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ed}
    mathcal{L}{f(t)}&=int_0^infty e^{-st}f(t)dt\
    &=int_0^w e^{-st}hdt\
    &=frac{h}{s}left(1-e^{-sw}right)
    end{aligned}

    따라서 옳은 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반응기에 원료가 정상상태에서 100L/min 의 유속으로 공급될 때 제어밸브의 최대유량을 정상상태 유량의 4배로 하고 I/P 변환기를 설정하였다면 정상상태에서 변환기에 공급된 표준 전류신호는 몇 mA 인가? (단, 제어밸브는 선형특성을 가진다.)

  1. 4
  2. 8
  3. 12
  4. 16
(정답률: 3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되먹임 제어계가 불안정한 경우에 나타나는 특성은?

  1. 이득여유(gain margin)가 1보다 작다.
  2. 위상여유(phase margin)가 0보다 크다.
  3. 제어계의 전달함수가 1차계로 주어진다.
  4. 교차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서 갖는 개루프 전달함수의 진폭비가 1보다 작다.
(정답률: 37%)
  • 이득여유(gain margin)란, 제어계의 개루프 전달함수의 진폭비가 1이 될 때까지 이득을 줄일 수 있는 최대치를 의미합니다. 이 값이 1보다 작다는 것은, 개루프 전달함수의 진폭비가 1보다 작아서, 시스템이 안정적이지 않고, 되먹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득여유가 1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어계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되먹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공업화학

61. Polyisobutylene의 중합방법은?

  1. 양이온중합
  2. 음이온중합
  3. 라디칼중합
  4. 지글러나타중합
(정답률: 39%)
  • Polyisobutylene의 중합방법은 양이온중합이다. 이는 이중 결합을 가지지 않는 이소부텐 분자를 양이온 중합제로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이다. 이소부텐 분자는 양이온 중합제인 산화알루미늄 등의 카티온을 만나면 중합되어 긴 연결된 사슬을 형성하게 된다. 이 방법은 반응이 빠르고 중합도가 높아 경제적이며,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아세트알데히드는 Hochst-Wacker 법을 이용하여 에틸렌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촉매에 해당하는 것은?

  1. 제올라이트
  2. NaOH
  3. PdCl2
  4. FeCl3
(정답률: 42%)
  • Hochst-Wacker 법은 에틸렌과 산소가 반응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하는데, 이 반응에서 촉매로 PdCl2가 사용된다. PdCl2는 에틸렌과 산소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아세트알데히드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PdCl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공업적으로 가성소다를 제조할 때 다음 중 적합한 방법은?

  1. 격막법
  2. 침전법
  3. 건식법
  4. 중화법
(정답률: 59%)
  • 격막법은 전해질 용액을 전기적으로 분해할 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 얇은 막을 만들어 전해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해질 용액의 이온성이 높은 경우에 적합하며,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가성소다를 제조할 때에도 이 방법이 적합하다. 이유는 소금물은 이온성이 높은 용액이기 때문에, 양극과 음극 사이에 격막막을 만들어 전해질을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가성소다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N2O4와 H2O가 같은 몰 비로 존재하는 용액에 산소를 넣어 HNO3 30kg을 만들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산소의 양은 약 몇 kg 인가? (단, 반응은 100%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1. 3.5kg
  2. 3.8kg
  3. 4.1kg
  4. 4.5kg
(정답률: 49%)
  •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2O4 + H2O + 2O2 → 2HNO3

    몰 비로 존재하는 용액에서 HNO3 30kg을 만들기 위해서는 N2O4와 H2O의 몰 비가 1:1 이므로, N2O4와 H2O의 몰 수가 각각 15mol이어야 한다.

    반응식에서 2몰의 O2가 2몰의 HNO3을 만들기 때문에, 필요한 O2의 몰 수는 15mol이다.

    따라서, 필요한 산소의 몰 수는 30mol이며, 산소의 분자량은 32g/mol이므로 필요한 산소의 질량은 960g 또는 0.96kg이다.

    하지만, 반응은 100% 일어나므로, N2O4와 H2O의 몰 수가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할 수 있다.

    정답은 "3.8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소다회의 사용 용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판유리
  2. 시멘트 주원료
  3. 조미료, 식품
  4. 유지합성세제
(정답률: 42%)
  • 소다회는 조미료, 식품, 유지합성세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시멘트 주원료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시멘트 주원료"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업적 제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eppe 고압법
  2. 프로필렌의 산화법
  3. 에틸렌시안히드린법
  4. 에틸알코올법
(정답률: 37%)
  •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에틸알코올과 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제조됩니다. 따라서, 에틸알코올법은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직접적으로 관련된 방법입니다. 반면에, Reppe 고압법은 아크릴산과 관련이 있지만,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직접적으로 생산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에틸알코올법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황산 중에 들어있는 비소산화물을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물질은?

  1. NaOH
  2. KOH
  3. NH3
  4. H2S
(정답률: 55%)
  • 황산 중에 들어있는 비소산화물은 독성이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이용되는 물질은 황화수소(H2S)입니다. H2S는 황산과 반응하여 비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2S가 정답입니다. NaOH, KOH, NH3은 황산과 반응하여 다른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제거 효과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반도체공정 중 노광 후 포토레지스트로 보호되지 않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에칭
  2. 조립
  3. 박막형성
  4. 리소그래피
(정답률: 67%)
  • 에칭은 노광 후 포토레지스트로 보호되지 않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는 반도체 공정 중 가장 중요한 공정 중 하나로, 회로 패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암모니아의 합성반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다.
  2. 암모니아 평형농도는 반응온도를 높일수록 증가한다.
  3. 암모니아 평형농도는 압력을 높일수록 증가한다.
  4. 불활성가스의 양이 증가하면 암모니아 평형농도는 낮아진다.
(정답률: 46%)
  • 암모니아 평형농도는 반응온도를 높일수록 감소한다. 이유는 엔탈피 변화 때문인데, 암모니아 합성반응은 엔탈피가 음수이므로 열을 흡수하는 반응이다. 따라서 반응온도를 높이면 열이 흡수되어 반응이 적극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므로 암모니아 평형농도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프로필렌, CO 및 H2의 혼합가스를 촉매하에서 고압으로 반응시켜 카르보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은?

  1. 옥소 반응
  2. 에스테르화 반응
  3. 니트로화 반응
  4. 스위트닝 반응
(정답률: 48%)
  • 카르보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은 "옥소 반응"이다. 이는 프로필렌, CO 및 H2 혼합가스가 촉매하에서 고압으로 반응하여 카르보닐 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반응은 산소를 이용하는 "옥소 반응"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암모니아 합성공업에 있어서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코크스에 수증기를 통할 때 주로 얻어지는 가스는?

  1. CO, H2
  2. CO2, H2
  3. CO, CO2
  4. CH4, H2
(정답률: 57%)
  • 코크스에 수증기를 통과시키면 코크스가 열분해되어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가열분해라고 합니다. 따라서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코크스에 수증기를 통과시키면 CO와 H2가 주로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O, H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하루 117ton 의 NaCl 을 전해하는 NaOH 제조 공장에서 부생되는 H2와 Cl2를 합성하여 39wt% HCl 을 제조할 경우 하루 약 몇 ton의 HCl 이 생산되는가? (단, NaCl 은 100% H2와 Cl2는 99% 반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200
  2. 185
  3. 156
  4. 100
(정답률: 40%)
  • NaCl 117 ton 중 1 mol (58.44 g) 당 2 mol (2 x 22.4 L)의 가스가 발생하므로, 117 ton의 NaCl은 2 x 117 x 22.4 = 52,390.4 m3의 가스가 발생한다.

    이 가스 중 99%가 반응하여 HCl이 되므로, 실제로 생산되는 HCl의 양은 52,390.4 x 0.99 = 51,766.496 m3이다.

    39wt% HCl이므로, 100 g의 용액에 39 g의 HCl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51,766.496 m3의 HCl 용액은 51,766.496 x 390 / 1000 = 20,202.7584 ton의 HCl이 생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20,203 ton이 되며, 가장 가까운 값은 "1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황산 60%, 질산 24%, 물 16%의 혼산 100kg 을 사용하여 벤젠을 니트로화할 때, 질산이 화학양론적으로 전량 벤젠과 반응하였다면 DVS 값은 얼마인가?

  1. 4.54
  2. 3.50
  3. 2.63
  4. 1.85
(정답률: 36%)
  • DVS 값은 "질산 1 몰이 소비되는 벤젠 몰 수"를 의미한다.

    질산이 화학양론적으로 전량 벤젠과 반응한다는 것은 질산 1 몰이 벤젠 1 몰과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젠 1 몰을 만들기 위해서는 질산 1 몰이 필요하다.

    혼산 100kg 중 질산의 양은 24kg 이므로, 질산의 몰 수는 24kg / 63.01 g/mol = 0.3809 mol 이다.

    따라서, DVS 값은 0.3809 mol 이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계산하면 2.63 이므로, 정답은 "2.6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니트로벤젠을 환원시켜 아닐린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Fe, HCl
  2. Ba, H2O
  3. C, NaOH
  4. S, NH4Cl
(정답률: 55%)
  • Fe와 HCl은 환원제로 사용됩니다. Fe는 환원제로서 산화작용을 일으키며, HCl은 산으로서 환원작용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이 두 화학물질을 함께 사용하면 환원반응이 일어나 아닐린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물질 중 감압증류로 얻는 것은?

  1. 등유, 가솔린
  2. 등유, 경유
  3. 윤활유, 등유
  4. 윤활유, 아스팔트
(정답률: 48%)
  • 감압증류는 물질의 끓는 점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도 높은 끓는 점을 가진 물질은 높은 온도에서 증류해야 하기 때문에 감압을 줄여주어 증류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윤활유와 아스팔트는 높은 끓는 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압증류로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등유와 가솔린은 끓는 점이 낮기 때문에 감압증류로는 분리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벤젠을 400~500℃ 에서 V2O5촉매상으로 접촉 기상 산화시킬 때의 주생성물은?

  1. 나프텐산
  2. 푸마르산
  3. 프탈산무수물
  4. 말레산무수물
(정답률: 49%)
  • 벤젠을 V2O5촉매상에서 산화시키면 벤즈산이 생성되고, 이 벤즈산이 더욱 더 산화되어 말레산무수물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주생성물은 "말레산무수물" 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나프텐산, 푸마르산, 프탈산무수물은 벤젠 산화 반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실용전지 제조에 있어서 작용물질의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량일 것
  2. 기전력이 안정하면서 낮을 것
  3. 전기용량이 클 것
  4. 자기방전이 적을 것
(정답률: 58%)
  • 실용전지 제조에서 가장 거리가 먼 작용물질 조건은 "기전력이 안정하면서 낮을 것"입니다. 이는 전지의 안정성과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기전력이 안정하면 전지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지의 성능이 일관되게 유지됩니다. 또한 기전력이 낮을수록 전지의 내부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전기용량이 높아지고 자기방전이 적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업적인 HCl 제조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부생염산법
  2. Petersen Tower법
  3. OPL법
  4. Meyer법
(정답률: 45%)
  • 부생염산법은 염화수소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염산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공업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안정적이고 경제적이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열가소성 수지의 대표적인 종류가 아닌 것은?

  1. 에폭시수지
  2. 염화비닐수지
  3. 폴리스티렌
  4. 폴리에틸렌
(정답률: 57%)
  • 에폭시수지는 열가소성이 아닌 열가소성 수지의 대표적인 종류가 아니다. 이유는 에폭시수지는 열가소성이 아닌 점착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저온에서도 경도가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석유의 전화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개질법
  2. 이성화법
  3. 수소화법
  4. 고리화법
(정답률: 36%)
  • 고리화법은 석유 분자를 고리 모양으로 재배열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은 석유 분자를 변화시키는 방법이지만 고리화법은 분자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이므로 거리가 더 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반응공학

81. 다음 그림은 균일계 비가역 병렬 반응이 플러그 흐름반응기에서 진행될 때 순간수율 와 반응물의 농도(CA)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빗금친 부분의 넓이가 뜻하는 것은?

  1. 총괄 수율 Φ
  2. 반응하여 없어진 반응물의 몰수
  3. 반응으로 생긴 R의 몰수
  4. 반응기를 나오는 R의 농도
(정답률: 36%)
  • 빗금친 부분의 넓이는 반응물의 몰수와 순간수율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넓이는 반응으로 생긴 R의 몰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반응기를 나오는 R의 농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혼합흐름반응기에서 일어나는 액상 1차 반응의 전화율이 50%일 때 같은 크기의 혼합흐름반응기를 직렬로 하나 더 연결하고 유량을 같게 하면 최종 전화율은?

  1. 2/3
  2. 3/4
  3. 4/5
  4. 5/6
(정답률: 45%)
  • 두 개의 혼합흐름반응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첫 번째 반응기에서 일어난 반응물의 일부가 두 번째 반응기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두 번째 반응기에서 일어나는 반응물은 첫 번째 반응기에서 일어난 반응물과 두 번째 반응기에서 직접 반응한 반응물의 합입니다. 이 때, 첫 번째 반응기에서 일어난 반응물의 양은 전체 반응물의 50%이므로, 두 번째 반응기에서 일어나는 반응물의 양은 전체 반응물의 50%와 두 번째 반응기에서 직접 반응한 반응물의 합입니다. 따라서 최종 전화율은 1 - (1/2) x (1/2) = 3/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화학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와 온도 의존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활성화 에너지는 고온일 때 온도에 더욱 민감하다.
  2.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반응은 온도에 더 민감하다.
  3. Arrhenius 법칙에서 빈도 인자는 반응의 온도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반응속도 상수 K와 온도 1/T의 직선의 기울기가 클 때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다.
(정답률: 29%)
  • Arrhenius 법칙에서 빈도 인자는 반응속도 상수 K와 활성화 에너지와 관련이 있지만, 온도 민감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빈도 인자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Arrhenius 법칙이 화학반응의 온도 의존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활성화 에너지와 온도의 역할을 분리하여 고려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1A ↔ 1B + 1C 이 1bar 에서 진행되는 기상반응이다. 1몰 A가 수증기 15몰로 희석되어 유입된다. 평형에서 반응물 A의 전화율은? (단, 평형상수 Kp는 100 mbar이다.)

  1. 0.65
  2. 0.70
  3. 0.86
  4. 0.91
(정답률: 22%)
  • 기상반응에서는 압력이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반응물 A의 전화율은 초기 몰수와 평형 몰수의 비율과 같다. 초기 몰수는 1mol 이고, 평형 몰수는 1B와 1C의 몰수의 합인 (1+x)mol 이다. 따라서, 전화율은 (1+x)/(1+15) 이다. 이때, Kp = P(C) / P(A) = x / (1+x) = 100 mbar 이므로, x = 99 mol 이다. 따라서, 전화율은 (1+99)/(1+15) = 7/10 = 0.70 이다. 따라서, 정답은 "0.7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촉매 작용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교적 적은 양의 촉매로 다량의 생성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2. 촉매는 근본적으로 선택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3. 활성화 에너지가 촉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낮아진다.
  4. 평형 전화율을 촉매작용에 의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정답률: 41%)
  • "평형 전화율을 촉매작용에 의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는 일반적인 촉매 작용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닙니다. 촉매는 화학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평형 상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촉매는 화학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촉매는 반응에서 원하는 생성물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촉매는 비교적 적은 양으로 많은 양의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비가역 기초반응에 의하여 연간 2억 kg 에틸렌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플러그흐름 반응기의 부피는 몇 m3 인가? (단, 압력은 8atm, 온도는 1200K 등온이며 압력강하는 무시하고 전화율 90% 를 얻고자 한다.)

  1. 2.82
  2. 28.2
  3. 42.8
  4. 82.2
(정답률: 26%)
  • 반응식에서 에틸렌 1 몰당 열반응 엔탈피 변화량은 -1411kJ 이다. 따라서 2억 kg 에틸렌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열량이 필요하다.

    2 x 10^8 kg x (1000 g / 1 kg) x (1 mol / 28 g) x (-1411 kJ / 1 mol) = -1.0 x 10^13 kJ

    반응열과 열용량을 이용하여 반응기 부피를 구할 수 있다.

    Q = ΔHrxn x n x η

    여기서 Q는 필요한 열량, ΔHrxn은 반응열, n은 몰수, η는 열효율이다.

    n = 2 x 10^8 kg x (1000 g / 1 kg) x (1 mol / 28 g) = 7.14 x 10^9 mol

    η = 0.9

    Q = -1.0 x 10^13 kJ

    ΔHrxn = -1411 kJ/mol

    따라서,

    V = Q / (ΔHrxn x n x η)

    = (-1.0 x 10^13 kJ) / (-1411 kJ/mol x 7.14 x 10^9 mol x 0.9)

    = 2.82 m^3

    따라서, 정답은 "2.8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정용회분식 반응기에서 1차반응의 반응속도식은? (단, [A]는 반응물 A 의 농도, [A0]는 반응물 A 의 초기농도, k 는 속도상수, t 는 시간이다.)

  1. [A]=-kt+[A0]
  2. ln[A]=-kt+ln[A0]
(정답률: 57%)
  • 반응속도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속도 = -Δ[A]/Δt = k[A]

    여기서 Δ는 변화량을 의미한다. 이 식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A]0→[A] -Δ[A]/[A] = ∫0→t k dt

    ln[A]-ln[A0] = -kt

    따라서 ln[A]=-kt+ln[A0]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공간속도(Space velocity)가 2.5s-1이고 원료의 공급율이 1초당 100L 일 때의 반응기의 체적은 몇 L 이겠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0%)
  • 공간속도는 단위 시간당 반응기에 투입되는 체적과 같으므로, 체적 = 공급율 / 공간속도 = 100L / 2.5s-1 = 40L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반응에서 생성속도의 비를 표현한 식은? (단, a1은 A → R 반응의 반응차수이며 a2는 A → S 반응의 반응차수이다. k1, k2 각각의 경로에서 속도상수이다.)

(정답률: 50%)
  • 생성속도는 반응속도식에서 생성물의 농도 변화율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A → R, A → S 경로에서의 생성속도 비는 각각 다음과 같다.

    생성속도 비 = (d[R]/dt) / (d[S]/dt)

    A → R 경로에서의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v1 = k1[A]a1

    따라서 생성물 R의 농도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d[R]/dt = v1 = k1[A]a1

    A → S 경로에서의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v2 = k2[A]a2

    따라서 생성물 S의 농도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d[S]/dt = v2 = k2[A]a2

    따라서 생성속도 비는 다음과 같다.

    생성속도 비 = (d[R]/dt) / (d[S]/dt) = (k1[A]a1) / (k2[A]a2) = k1/k2[A]a1-a2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생성속도 비가 k1/k2[A]a1-a2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어떤 가역 반응의 단열 조작선의 그림이다. 조작선의 기울기는 로 나타내는데 이 기울기가 큰 경우에는 어떤 형태의 반응기가 가장 좋겠는가? (단, CP는 열용량, △Hr은 반응열을 나타낸다.)

  1. 플러그 흐름 반응기
  2. 혼합 흐름 반응기
  3. 교반형 반응기
  4. 순환 반응기
(정답률: 52%)
  • 기울기가 큰 경우에는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지는 반응기가 적합하다. 따라서 "플러그 흐름 반응기"가 가장 좋다. "플러그 흐름 반응기"는 반응물과 생성물이 반응기 내에서 빠르게 혼합되어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차이가 적어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진다. 또한, 반응기 내부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정용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에서 반응물 A(CAD=1mol/L)가 80% 전환되는데 8분 걸렸고, 90% 전환되는데 18분이 걸렸다면 이 반응은 몇 차 반응인가?

  1. 0차
  2. 2차
  3. 2.5차
  4. 3차
(정답률: 49%)
  • 이 반응은 2차 반응이다.

    반응속도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r = kCAD2

    여기서, CAD는 반응물 A의 농도이고, k는 속도상수이다.

    80% 전환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8분이므로, 반응속도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r = kCAD2 = k(1-0.8)2 = 0.04k

    - t1/2 = 1/(kCAD) = 1/(k*1) = 1/k

    - t80% = 0.8CAD/r = 0.8/(0.04k) = 20/k

    따라서, t80% = 8분 이므로, 20/k = 8분 이다. 이를 풀면 k = 2.5/min 이다.

    90% 전환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8분이므로, 반응속도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r = kCAD2 = k(1-0.9)2 = 0.01k

    - t1/2 = 1/(kCAD) = 1/(k*1) = 1/k

    - t90% = 0.9CAD/r = 0.9/(0.01k) = 90/k

    따라서, t90% = 18분 이므로, 90/k = 18분 이다. 이를 풀면 k = 5/min 이다.

    반응차수(n)는 반응속도식에서 농도의 지수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CAD의 지수가 2이므로, 반응차수는 2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그림과 같은 기초적 반응에 대한 농도 -시간곡선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반응 형태는?

(정답률: 52%)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초기에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도 증가율이 감소하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대부분의 화학 반응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형태이며, 초기에는 반응물 농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반응 속도가 높아지다가 반응물이 소진되면서 반응 속도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반응은 어떤 반응인가?

  1. Non-chain reaction
  2. Chain reaction
  3. Elementary reaction
  4. Parallel reaction
(정답률: 42%)
  • 이 반응은 하나의 분자가 두 개의 분자로 분해되는 단순한 과정으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추가적인 분자가 생성되거나 소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Non-chain reac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A 가 R 이 되는 효소반응이 있다. 전체 효소 농도를 [E0] , 미카엘리스(Michaelis) 상수를 [M] 라고 할 때 이 반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응속도가 전체 효소 농도 [E0]에 비례한다.
  2. A 의 농도가 낮을 때 반응속도는 A 의 농도에 비례한다.
  3. A 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0차 반응에 가까워진다.
  4. 반응속도는 미카엘리스 상수 [M] 에 비례한다.
(정답률: 48%)
  • "A 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0차 반응에 가까워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반응속도는 효소와 기질 농도, 온도, pH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미카엘리스 상수 [M]는 기질과 효소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표로, 기질 농도가 일정할 때 효소와 기질이 결합하여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반응속도는 미카엘리스 상수 [M]에 비례합니다.

    반면 A의 농도가 낮을 때 반응속도가 A의 농도에 비례하고, A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0차 반응에 가까워진다는 설명은 일반적으로 반응속도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반응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기초 2차 액상반응 2A → 2R 을 순환비가 2인 등온플러그 흐름반응기에서 반응시킨 결과 50% 의 전화율을 얻었다. 동일반응에서 순환류를 폐쇄시킨다면 전화율은?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28%)
  • 순환비가 2인 등온플러그 흐름반응기에서 50%의 전화율을 얻었다는 것은, 2A 중 1A가 반응하여 R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남은 1A 중 0.5A가 반응하여 R로 전환됩니다.

    반면에, 순환류를 폐쇄시킨다면, 반응물인 2A는 계속해서 반응기 내에 남아있게 됩니다. 따라서, 1A가 반응하여 R로 전환되더라도, 남은 1A 중 0.5A가 반응하여 R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화율은 0.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6이 아닌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A → B 반응이 1차 반응일 때 속도상수가 4×10-3s-1이고 반응 속도가 10×10-5mol/cm3ㆍs이라면 반응물의 농도는 몇 mol/cm3 인가?

  1. 2×10-2
  2. 2.5×10-2
  3. 3.0×10-2
  4. 3.5×10-2
(정답률: 58%)
  • 1차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 → B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v = k[A]

    여기서 v는 반응속도, k는 속도상수, [A]는 A의 농도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속도상수 k와 반응속도 v가 주어졌으므로, [A]을 구할 수 있다.

    v = k[A]

    10×10-5mol/cm3ㆍs = 4×10-3s-1 × [A]

    [A] = 10×10-5mol/cm3 ÷ 4×10-3s-1

    [A] = 2.5×10-2 mol/cm3

    따라서 정답은 "2.5×1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HBr의 생성반응 속도식이 다음과 같을 때 k1의 단위는?

  1. (mol/m3)-1.5(s)-1
  2. (mol/m3)-1(s)-1
  3. (mol/m3)-0.5(s)-1
  4. (s)-1
(정답률: 47%)
  • 속도상수 k1의 단위는 몰당 미터제곱과 초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mol/m3)-0.5(s)-1"이 정답이다. 이는 몰당 미터제곱의 0.5승과 초의 -1승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반응속도식에서 농도의 영향력이 0.5승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의 등온에서 병렬 반응인 경우 SDU(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활성화에너지는 E1<E2이다.)

  1. 관형반응기
  2. 높은 압력
  3. 높은 온도
  4. 반응물의 고농도
(정답률: 39%)
  • 선택도(SDU)는 원하는 생성물을 만들기 위해 원하지 않는 생성물이 만들어지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SDU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하지 않는 생성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원하지 않는 생성물이 생성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원하는 생성물이 생성되는 경로를 강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E1<E2인 경우, 경로 1을 차단하고 경로 2를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높은 온도는 경로 1의 반응 속도를 늦추고 경로 2의 반응 속도를 높이기 때문에 SDU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온도"가 옳지 않은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부피 100L 이고 space time 이 5min 인 혼합흐름 반응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 반응기는 1 분에 20L 의 반응물을 처리할 능력이 있다.
  2. 이 반응기는 1 분에 0.2L 의 반응물을 처리할 능력이 있다.
  3. 이 반응기는 1 분에 5L 의 반응물을 처리할 능력이 있다.
  4. 이 반응기는 1 분에 100L 의 반응물을 처리할 능력이 있다.
(정답률: 62%)
  • "이 반응기는 1 분에 20L 의 반응물을 처리할 능력이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부피가 100L이고 space time이 5분이므로, 1분에 처리할 수 있는 반응물의 양은 100L/5분 = 20L/분이 된다. 따라서 이 반응기는 1분에 20L의 반응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두 반응이 평행하게 동시에 진행되는 반응에 대해 목적물의 선택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1과 a2가 같으면 혼합흐름반응기가 관형흐름반응기보다 훨씬 더 낫다.
  2. a1이 a2보다 작으면 관형흐름반응기가 적절하다.
  3. a1이 a2보다 작으면 혼합흐름반응기가 적절하다.
  4. a1과 a2가 같으면 관형흐름반응기가 혼합흐름반응기보다 훨씬 더 낫다.
(정답률: 44%)
  • 반응속도 상수인 a1과 a2가 주어졌을 때, 혼합흐름반응기와 관형흐름반응기 중 어떤 것이 적절한지를 결정하는 기준은 혼합흐름반응기와 관형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혼합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은 k1[A] + k2[B]이고, 관형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은 k1[A][B]이다.

    따라서, a1과 a2가 같을 때, 혼합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은 k1[A] + k2[B]이고, 관형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은 k1[A][B]이다. 이 경우, 혼합흐름반응기가 관형흐름반응기보다 훨씬 더 낫다고 할 수 있다.

    반면, a1이 a2보다 작을 때, 혼합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은 k1[A] + k2[B]이고, 관형흐름반응기의 반응속도식은 k1[A][B]이다. 이 경우, 혼합흐름반응기가 관형흐름반응기보다 반응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혼합흐름반응기가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1이 a2보다 작으면 혼합흐름반응기가 적절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