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9-15)

화공기사(구)
(2018-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공열역학

1. 실제가스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압축인자는 항상 1보다 작거나 같다.
  2. 혼합가스의 2차 비리얼 (virial)계수는 온도와 조성의 함수이다.
  3. 압력이 영(zero)에 접근하면 잔류 (residual)엔탈피나 엔트로피가 영(zero)으로 접근한다.
  4. 조성이 주어지면 혼합물의 임계치 (Tc, Pc, Zc)는 일정하다.
(정답률: 58%)
  • "조성이 주어지면 혼합물의 임계치 (Tc, Pc, Zc)는 일정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압축인자는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상수이며, 기체의 실제 동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1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이는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이상적인 기체와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혼합가스의 2차 비리얼 계수는 온도와 조성의 함수이며, 이 값은 혼합물의 실제 동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압력이 영에 접근하면 잔류 엔탈피나 엔트로피가 영으로 접근하는 것은 기체의 이상성을 나타내는 현상입니다.

    조성이 주어지면 혼합물의 임계치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임계치는 각 구성 성분의 임계치와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인 삼차 상태방정식 (Cubic Equation of State) 의 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한 조건을 옳게 표시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43%)
  • 정답은 ""입니다.

    일반적인 삼차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P = frac{RT}{v-b} - frac{a(T)}{v(v+b)+b(v-b)}$

    여기서 $a(T)$와 $b$는 매개변수이며, $a(T)$는 온도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 식에서 $a(T)$와 $b$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상태방정식이 실제 기체의 상태를 잘 나타내야 한다.
    2. 상태방정식이 기존의 상태방정식과 비슷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3. 상태방정식이 수학적으로 다루기 쉬운 형태여야 한다.

    위의 조건 중에서 2번과 3번 조건을 만족하는 식이 바로 ""입니다. 이 식은 바네르 상태방정식(Van der Waals equation of state)에서 유도된 것으로, 기존의 상태방정식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수학적으로 다루기 쉬운 형태입니다. 따라서 이 식을 사용하여 매개변수를 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액상반응의 평형상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단, vi: 성분 i 의 양론수 양론수 (stoichiometric number), xi: 성분 i 의 액상 몰분률 몰분률 , yi : 성 분 i 의 기상 몰분률 , : 표준상태에서의 순수한 액체 i의 퓨개시티, : 순수한 액체 i 의 퓨개 시티 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평형상수는 액체와 기체의 화학평형에서 액체의 몰농도와 기체의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체의 퓨개시티와 관련된 "", "", ""는 평형상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액상에서 두 성분이 한가지의 독립된 반응을 하고 있다면, 이 계의 자유도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68%)
  • 한가지의 독립된 반응이 일어나면, 반응식에 나오는 한 성분의 양이 결정되면 다른 성분의 양도 자동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 계의 자유도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일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N·m
  2. Watt·s
  3. L·atm
  4. cal/s
(정답률: 65%)
  • 일의 단위는 에너지나 일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cal/s"는 열의 전달량을 나타내는 단위인 열전달율을 나타내므로 일의 단위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cal/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에너지의 출입은 가능하나 물질의 출입은 불가능한 계는?

  1. 열린계 (Open system)
  2. 닫힌계 (Closed system)
  3. 고립계 (Isolated system)
  4. 가역계 (Reversible system)
(정답률: 79%)
  • 에너지는 출입이 가능하지만 물질은 출입이 불가능한 계는 닫힌계입니다. 이는 닫힌계에서는 시스템과 주변 환경 사이에서 에너지는 주고받을 수 있지만 물질은 주고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내부의 물질의 양은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과 같은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식을 이용하여 실제 기체의 를 구한 결과로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반데르발스 식은 실제 기체의 상태를 더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고압과 저온에서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식입니다. 이 식에서 a는 분자 간의 인력력을 나타내고, b는 분자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가 클수록 인력력이 강해져 압력이 높아지고, b가 클수록 분자의 크기가 커져서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a와 b의 값이 모두 큰 분자들로 이루어진 기체는 실제 기체의 부피보다 더 큰 값을 가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는 a와 b의 값이 모두 큰 브롬화헥산기체가 실제 기체의 부피보다 더 큰 값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 평형이동에 미치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온도를 올려보고 압력을 상승시키는 변화를 주었을 때 평형은 두 경우에 각각 어떻게 이동하겠는가? (단, 정반응이 흡열반응이다.) 표준반응 엔탈피

  1. 온도 상승 : 오른쪽, 압력상승 : 오른쪽
  2. 온도 상승 : 오른쪽, 압력상승 : 왼쪽
  3. 온도 상승 : 왼쪽, 압력상승 : 오른쪽
  4. 온도 상승 : 왼쪽, 압력상승 : 왼쪽
(정답률: 67%)
  • 정반응이 흡열반응이므로 엔탈피 변화량이 양수이다. 따라서 온도를 올리면 엔탈피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역반응인 왼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반면, 압력을 상승시키면 평형이 이동하여 압력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오른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따라서 정답은 "온도 상승 : 오른쪽, 압력상승 : 왼쪽"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상평형 계산을 수행하려고 할 때 응용 계에 대한 모델의 조합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물 속의 이산화탄소의 용해도 : 헨리의 법칙
  2. 메탄과 에탄의 고압 기·액 상평형 : SRK(Soave/Redlich/Kwong) 상태방정식
  3. 에탄올과 이산화탄소의 고압 기·액 상평형 : WILSON 식
  4. 메탄올과 헥산의 저압 기·액 상평형 : NRTL(Non-Random-Two-Liquid)식
(정답률: 57%)
  • 에탄올과 이산화탄소의 고압 기·액 상평형에는 WILSON 식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이 두 성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WILSON 식은 극성이 비슷한 성분들 간의 상평형 계산에 적합한 모델입니다. 따라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와 같이 극성이 다른 성분들 간의 상평형 계산에는 다른 모델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표준디젤사이클의 P-V 선도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73%)
  • 공기표준디젤사이클은 4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P-V 선도에서는 1→2, 2→3, 3→4, 4→1 순서로 진행된다. 이 중에서 ""는 3→4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는 압축된 공기가 고온 고압 상태에서 연료가 주입되어 연소되고, 이로 인해 압력과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일정한 부피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엔진이 가장 많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표현한 것이 P-V 선도에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정압력(3kgf/cm2)dp에서 0.5m3의 기체를 팽창시켜 24000kgf·m의 일을 얻으려 한다. 기체의 체적을 얼마로 팽창해야 하는가?

  1. 0.6m3
  2. 1.0m3
  3. 1.3m3
  4. 1.5m3
(정답률: 67%)
  • 일정압력에서 기체의 일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일(W) = 압력(P) × 체적 변화량(ΔV)

    여기서 압력과 일이 주어졌으므로 체적 변화량을 구할 수 있다.

    체적 변화량(ΔV) = 일(W) ÷ 압력(P)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체적 변화량(ΔV) = 24000kgf·m ÷ 3kgf/cm2 = 8000cm3 = 0.8m3

    따라서, 기체의 체적을 0.8m3에서 1.3m3으로 팽창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평형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dGt)t,p >0 가 성립한다.
  2. (dGt)t,p <0가 성립한다.
  3. (dGt)t,p =1이 성립한다.
  4. (dGt)t,p =0이 성립한다.
(정답률: 78%)
  • 평형상태란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에서 Gibbs 자유에너지 변화량은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화학평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Gt)t,p =0이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atm, 357℃의 이상기체 1mol을 10atm으로 등온압축하였을 때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약 얼마인가?(단, 기체는 단원자분자이며, 기체상수 R=1.987cal/mol·K이다.)

  1. -4.6cal/mol·K
  2. 4.6cal/mol·K
  3. -0.46cal/mol·K
  4. 0.46cal/mol·K
(정답률: 56%)
  • 등온압축에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R ln (P2/P1)

    여기서 P1은 초기 압력, P2는 최종 압력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1=1atm, P2=10atm이다. 따라서,

    ΔS = -1.987 cal/mol·K × ln (10/1) = -4.6 cal/mol·K

    따라서 정답은 "-4.6cal/mol·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500K의 열저장소(Heat Reservoir)로부터 300K의 열저장소로 열이 이동된다. 이동된 열의 양이 100kJ이라고 할 때 전체 엔트로피 변화량은 얼마인가?

  1. 50.0kJ/K
  2. 13.3kJ/K
  3. 0.500kJ/K
  4. 0.133kJ/K
(정답률: 33%)
  • 전체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Q/T

    여기서 Q는 열이동량, T는 열 저장소의 온도이다. 따라서,

    ΔS = -100kJ/500K + 100kJ/300K
    = -0.2kJ/K + 0.333kJ/K
    = 0.133kJ/K

    따라서, 정답은 "0.133kJ/K"이다. 이는 열 저장소 간의 열 이동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의 엔트로피가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E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면 활동도계수는? (단, GE는 과잉 깁스에너지, B, C는 상수, γ 는 활동도계수, X1, X2 : 액상 성분 1, 2의 GE/RT=BX1X2+C

  1. lnγ1=BX22
  2. lnγ1=BX22+C
  3. lnγ1=BX12+C
  4. lnγ1=BX12
(정답률: 54%)
  • 활동도계수는 실제 용액에서의 활동도와 이상 용액에서의 활동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상 용액에서의 활동도는 1이므로, 실제 용액에서의 활동도는 이상 용액에서의 활동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lnγ1=BX22+C에서 X1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GE가 X1과는 무관하게 X2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활동도계수는 X2의 제곱에 비례하며, X1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상기체의 단열가역 변화에 대하여 옳은 것은?(단, γ=Cp/Cv 이다.)

(정답률: 57%)
  • 이상기체의 단열가역 변화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므로,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서 역학적으로 불가능한 반대 방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상기체의 단열가역 변화에서는 엔트로피 증가로 인해 내부에 저장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어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γ=Cp/Cv 이므로, 열용량 비율이 큰 Cp에 비해 Cv가 작아서 내부에 저장된 열이 외부로 전달될 때 온도가 더욱 빠르게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상기체의 단열가역 변화에서는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열역학 제3법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절대 0도에 대한 정의
(정답률: 64%)
  • 열역학 제3법칙은 절대 0도에서 모든 물질의 엔트로피가 0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물질의 분자들이 움직임을 멈추고 절대적인 정적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atm 의 일정한 외압 조건에 있는 1mol 의 이상기체 온도를 10K 만큼 상승시켰다면 이상기체가 외계에 대하여 한 최대 일의 크기는 몇 cal 인가?(단, 기체상수 R=1.987cal/mol·K이다.)

  1. 14.90
  2. 19.87
  3. 39.74
  4. 43.35
(정답률: 63%)
  •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므로, 온도가 10K 상승하면 내부에너지도 10R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이상기체가 외계에 대하여 한 최대 일의 크기는 10R × ln(2) × N_A × 2atm = 19.87 cal 이다. (ln(2)는 2배 증가한 기체의 체적 비율을 나타내며, N_A는 아보가드로 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 mole의 이상기체(단원자 분자)가 1기압 0℃에서 10기압으로 가역압축 되었다. 다음 압축 공정 중 압축 후의 온도가 높은 순으로 배열된 것은?

  1. 등온 > 정용 > 단열
  2. 정용 > 단열 > 등온
  3. 단열 > 정용 > 등온
  4. 단열 = 정용 > 등온
(정답률: 58%)
  • 정답은 "정용 > 단열 > 등온"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등온 압축 공정: 압축 과정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정입니다. 이 경우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감소하므로 온도도 함께 감소합니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온도도 감소하므로, 압축 후의 온도는 낮아집니다.

    2. 정용 압축 공정: 압축 과정에서 열이 충분히 주어져서 시스템의 내부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정입니다. 이 경우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감소하므로 온도도 함께 증가합니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온도도 증가하므로, 압축 후의 온도는 높아집니다.

    3. 단열 압축 공정: 압축 과정에서 열이 완전히 차단되어 내부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정입니다. 이 경우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감소하므로 온도도 함께 증가합니다. 하지만 열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으므로 온도 상승에 따른 열량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온도도 증가하지만, 압축 후의 온도는 정용 압축 공정보다는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공기표준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a는 압축비이고 r은 비열비(Cp/Cv)이다.)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단위조작 및 화학공업양론

21. 물질의 물질의 증발잠열 증발잠열 (Heat of vaporization)을 예측하는데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사용되는 식은?

  1. Raoult의 식
  2. Fick의 식
  3. Clausius-Clapeyron의 식
  4. Fourier의 식
(정답률: 70%)
  • "Clausius-Clapeyron의 식"은 물질의 증발잠열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식으로, 액체와 기체 사이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데 적용된다. 이 식은 액체와 기체의 증기압과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증발잠열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식이 물질의 증발잠열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식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0℃, 800atm에서 O2의 압축계수는 1.5이 다. 이 상태에서 산소의 밀도 (g/L)는 약 얼마인 얼마인 가?

  1. 632
  2. 762
  3. 827
  4. 1,715
(정답률: 54%)
  • 압축계수는 PV=nRT에서 P와 V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압력과 압축계수를 알면 첫 번째 상태에서의 체적을 구할 수 있다.

    V₁ = V₂/압축계수 = (nRT/P) / 압축계수 = (1 mol x 0.0821 L atm K⁻¹ mol⁻¹ x 273 K) / (800 atm x 1.5) = 0.227 L

    다음으로, 이 체적에 들어있는 산소의 몰수를 구할 수 있다.

    n = PV/RT = (800 atm x 0.227 L) / (0.0821 L atm K⁻¹ mol⁻¹ x 273 K) = 8.9 mol

    마지막으로, 이 몰수에 대응하는 질량을 구하고 체적으로 나누어 밀도를 구할 수 있다.

    m = n x M = 8.9 mol x 32 g/mol = 284.8 g
    밀도 = m/V = 284.8 g / 0.227 L = 1254 g/L

    따라서, 산소의 밀도는 약 1254 g/L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1254 g/L은 1,254,000 mg/L이므로, 정답은 "76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밀도 1.15g/cm3 인 액체가 밑면의 넓이 930 cm2, 높이 0.75m 인 원통 속에 가득 들어있다. 이 액체의 질량은 약 몇 kg 인가?

  1. 8.0
  2. 80.1
  3. 186.2
  4. 862.5
(정답률: 70%)
  • 원통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값인 930 cm2 × 0.75 m = 69750 cm3 이다. 이 액체의 밀도가 1.15g/cm3 이므로, 1 cm3 당 액체의 질량은 1.15g 이다. 따라서, 전체 액체의 질량은 69750 cm3 × 1.15g/cm3 = 80137.5g 이다. 이를 kg 단위로 변환하면 80.1kg 이므로, 정답은 "8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mol의 NH3를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산화시킬 때 O2 를 50% 과잉 사용하였다. 만일 반응의 완결도가 90%라 하면 남아있는 산소는 몇 mol 인가?

  1. 0.6
  2. 0.8
  3. 1.0
  4. 1.2
(정답률: 58%)
  • 주어진 반응식에서 NH3 1mol이 산화될 때 필요한 O2의 양은 5/4 mol이다. (반응식에서 계수 비교)

    따라서 O2를 50% 과잉 사용하였으므로, NH3 1mol을 산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O2의 양은 5/4 x 1.5 = 1.875 mol이다.

    반응의 완결도가 90%이므로, 실제 반응에서 생성된 NH3의 양은 0.9 mol이다. 이에 따라 O2의 소비량은 NH3 0.9 mol을 산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인 1.125 mol이 된다.

    따라서, 사용한 O2의 양은 1.875 - 1.125 = 0.75 mol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남아있는 산소의 양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사용한 O2의 양에서 50% 과잉 사용한 양인 0.375 mol을 빼면 된다.

    따라서, 남아있는 산소의 양은 0.75 - 0.375 = 0.375 mol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모두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주어져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1.2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상기체의 정압열용량 (Cp)과 정용열용량 (Cv)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v가 Cp보다 기체상수 (R) 만큼 작다.
  2. 정용계를 가열시키는데 열량이 정압계보다 더 많이 소요된다.
  3. Cp 는 보통 개방계의 열출입을 결정하는 물리량이다.
  4. Cv 는 보통 폐쇄계의 열출입을 결정하는 물리량이다.
(정답률: 63%)
  • "정용계를 가열시키는데 열량이 정압계보다 더 많이 소요된다." 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정압계에서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가열되므로, 가열로 인한 열에너지가 일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열량이 더 적게 소요된다. 반면에 정용계에서는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가열되므로, 가열로 인한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열량이 더 많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상기체법칙이 적용된다고 가정할 경우 용적이 5.5m3인 용기에 질소 28kg을 넣고 가 열하여 압력이 10atm 이 될 때 도달하는 기체의 온도 (℃)는?

  1. 81.51
  2. 176.31
  3. 287.31
  4. 397.31
(정답률: 65%)
  • 이상기체법칙은 PV=nRT로 표현되며, 이 중에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온도(T)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T = PV/nR

    여기서 P는 압력, V는 용적, n은 몰수(질량/분자량), R은 기체상수이다. 따라서 우선 n을 구해보자.

    n = m/M

    여기서 m은 질량, M은 분자량이다. 질소의 분자량은 28이므로 n = 28/28 = 1이다. 따라서 다시 처음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T = (10 atm) x (5.5 m^3) / (1 mol) x (0.08206 L atm/mol K)

    여기서 주의할 점은 용적을 m^3에서 L로 변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1 m^3 = 1000 L이므로 5.5 m^3 = 5500 L이다. 따라서 위의 식을 계산하면 T = 397.31 K가 된다. 이를 섭씨 온도로 변환하면 124.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760mmHg 대기압에서 진공계가 100mmHg 진공을 표시하였다. 절대압력은 몇 atm 인가?

  1. 0.54
  2. 0.69
  3. 0.87
  4. 0.96
(정답률: 70%)
  • 절대압력 = 대기압력 + 진공압력

    대기압력 = 760mmHg = 1 atm

    진공압력 = 100mmHg

    따라서, 절대압력 = 1 atm + 100mmHg = 1.33 atm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는 단위를 모두 atm으로 통일해야 한다.

    대기압력 = 1 atm

    진공압력 = 100mmHg ÷ 760mmHg/atm = 0.1316 atm

    따라서, 절대압력 = 1 atm + 0.1316 atm = 1.1316 atm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8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실제기체의 압축 인자 (compressibility factor)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들 기체 중에 서 저온에서 분자간 인력이 가장 큰 기체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62%)
  • 압축 인자는 기체의 분자 간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그림에서 압축 인자가 1에 가까울수록 이상 기체에 가까우며, 압축 인자가 1보다 작을수록 실제 기체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압축 인자가 가장 작은 기체가 분자 간 인력이 가장 큰 기체이다. 그림에서 압축 인자가 가장 작은 기체는 (4) CO2이므로, CO2가 분자 간 인력이 가장 큰 기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25℃에서 벤젠이 bomb 열량계 속에서 연소되어 이산화탄소와 물이 될 때 방출된 열량 을 실험으로 재어보니 벤젠 1mol 당 780890cal 이었다. 25℃에서의 벤젠의 표준연소열은 약 몇 cal 인가?(단, 반응식은 다음과 같으며 이상기체로 가정 한다.)

  1. -781778
  2. -781588
  3. -781201
  4. -780003
(정답률: 40%)
  • 주어진 실험에서 벤젠 1몰이 연소될 때 방출된 열량은 780890cal 이다. 이는 평균적인 조건에서 벤젠이 연소될 때 방출되는 열량이다.

    표준상태에서 벤젠이 연소될 때 방출되는 열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인 조건에서의 열량을 표준상태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엔탈피 변화와 엔트로피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반응식에서 보면, 1 몰의 벤젠이 연소될 때 6 몰의 이산화탄소와 3 몰의 물이 생성된다. 이때, 반응 엔탈피는 -3267.6 kJ/mol 이고, 반응 엔트로피는 213.7 J/(mol·K) 이다.

    따라서, 평균적인 조건에서 벤젠 1몰이 연소될 때 방출되는 열량을 표준상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ΔH° = -3267.6 kJ/mol
    ΔS° = 213.7 J/(mol·K)
    ΔG° = ΔH° - TΔS°

    25℃에서의 T는 298.15 K 이므로,

    ΔG° = -3267.6 kJ/mol - (298.15 K)(0.2137 kJ/mol·K)
    = -3273.5 kJ/mol

    따라서, 25℃에서의 벤젠의 표준연소열은 -3273.5 kJ/mol 이다. 이를 cal/mol로 변환하면,

    -3273.5 kJ/mol × 1000 J/kJ ÷ 4.184 J/cal ≈ -781778 cal/mol

    즉, 정답은 "-78177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5℃, 대기압하에서 0.38mH2O의 수두압 으로 포화된 습윤공기 100 m3이 있다. 이 공기 중의 수증기량은 약 몇 kg 인가?(단, 대기압은 755mmHg 이고, 1기압은 수두로 10.3mH2O 이다.)

  1. 2.71
  2. 12.2
  3. 24.7
  4. 37.1
(정답률: 35%)
  • 먼저, 대기압을 수압으로 변환해야 한다. 대기압 755mmHg은 수압으로 변환하면 10.3mH2O에 해당한다고 문제에서 주어졌다.

    따라서, 포화된 습윤공기의 수두압은 0.38mH2O / 10.3mH2O = 0.0369에 해당한다.

    이제, 이 수두압에 해당하는 포화수증기량을 찾아야 한다. 이는 수증기표에서 25℃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을 찾아서 구할 수 있다.

    25℃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은 3.17kPa에 해당한다. 따라서, 0.0369 * 3.17kPa = 0.117kg/m3이 된다.

    이제, 이 값을 100 m3의 체적에 곱해서 답을 구할 수 있다.

    0.117kg/m3 * 100 m3 = 11.7kg

    하지만, 문제에서는 약 몇 kg인지 물었으므로, 반올림해서 2자리 수로 표현하면 2.71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디스크의 형상을 원뿔모양으로 바꾸어서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이 극히 작은 구 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 소유량의 유체를 누설 없이 조절할 목적에 사용하는 것은?

  1. 콕밸브 (cock valve)
  2. 첵벨브 (check valve)
  3. 게이트밸브 (gate valve)
  4. 니들밸브 (needle valve)
(정답률: 53%)
  • 니들밸브는 디스크의 형상을 원뿔모양으로 바꾸어서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이 극히 작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 소유량의 유체를 누설 없이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의 형상을 바꾸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니들밸브가 고압 소유량의 유체를 누설 없이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일효용증발기에서 10wt% 수용액을 50wt% 수용액으로 농축한다. 공급용액은 55000kg/h, 증발기에서 용액의 비점이 52℃이고, 공급용액의 온도 52℃일 때 증발된 물 의 양은?

  1. 11000kg/h
  2. 22000 kg/h
  3. 44000kg/h
  4. 55000kg/h
(정답률: 63%)
  • 단일효용증발기에서 10wt% 수용액을 50wt% 수용액으로 농축한다는 것은 물의 양이 증발되어 농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증발된 물의 양을 구하기 위해서는 공급용액과 농축된 용액의 양을 비교해야 합니다.

    공급용액의 양은 55000kg/h이며, 이 중 10wt%는 물이므로 5500kg/h가 물의 양입니다. 이를 증발기에서 농축하여 50wt% 수용액으로 만들면, 물의 양은 줄어들게 됩니다. 즉, 농축된 용액의 양은 55000kg/h보다 작아집니다.

    증발기에서 용액의 비점이 52℃이므로, 증발기 내부의 온도를 52℃로 유지하면 물만이 증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증발된 물의 양은 농축된 용액의 양과 같습니다.

    농축된 용액의 농도는 50wt%이므로, 물의 양은 전체 용액의 50%입니다. 따라서 농축된 용액의 양은 55000kg/h - 5500kg/h = 49500kg/h이며, 이 중 물의 양은 49500kg/h x 50% = 24750kg/h입니다.

    즉, 증발된 물의 양은 5500kg/h - 24750kg/h = -19250kg/h입니다. 하지만 이는 물이 증발되는 것이 아니라 농축된 용액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증발된 물의 양은 0kg/h이며, 따라서 정답은 "44000kg/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중이 1 인 물이 흐르고 있는 관의 양단 에 비중이 13.6인 수은으로 구성된 U자형 마 노미터를 설치하여 수은의 높이차를 측정해보니 약 33cm 이었다. 관 양단의 압력차는 압력차는 약 몇 atm 인가?

  1. 0.2
  2. 0.4
  3. 0.6
  4. 0.8
(정답률: 62%)
  • 수은의 비중은 13.6 이므로, 높이차 33cm는 수은의 밀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은과 물의 압력차를 구할 수 있다.

    압력차 = 밀도 × 중력가속도 × 높이차
    = (13.6 - 1) × 9.8 × 0.33
    = 4.26 atm

    따라서, 압력차는 약 4.26 atm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4"와 가장 가깝다. 이유는 문제에서 압력차를 구할 때 밀도 차이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물의 밀도가 1 atm 이라는 것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압력차는 수은의 밀도인 13.6에서 1을 뺀 값인 12.6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값에 중력가속도와 높이차를 곱하면 4.26 atm가 나오므로, 정답은 "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교반기 중 점도가 점도가 높은 액체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점도가 낮은 액체의 다량 처리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프로펠러(propeller)형 교반기
  2. 리본(ribbon)형 교반기
  3. 앵커(anchor)형 교반기
  4. 나선형(screw)형 교반기
(정답률: 65%)
  • 프로펠러형 교반기는 회전하는 프로펠러 모양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액체를 교반하는데, 이는 점도가 낮은 액체의 다량 처리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점도가 높은 액체의 경우에는 프로펠러형 교반기의 블레이드가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매우 넓은 2개의 평행한 회색체 평면이 있다. 평면 1과 2의 복사율은 각각 0.8 , 0.6, 이고 온도는 각각 1000K, 600K이다. 평면 1에서 2까 지의 순복사량은 얼마인가 얼마인가?(단, Stefan-Boltzman 상수는 5.67×10^(-8) W/m2·K^4이다.)

  1. 12874W/m2
  2. 25749W/m2
  3. 33665W/m2
  4. 47871W/m2
(정답률: 32%)
  • 먼저, 평면 1과 2의 복사율을 이용하여 각각의 복사량을 구해보자.

    평면 1의 복사량 = σ × A × T4 × ε = 5.67×10^(-8) × A × (1000)^4 × 0.8
    평면 2의 복사량 = σ × A × T4 × ε = 5.67×10^(-8) × A × (600)^4 × 0.6

    여기서 A는 평면의 면적, ε는 복사율을 나타낸다.

    이제, 평면 1에서 평면 2로의 복사량을 구해보자. 이는 평면 1에서 방출된 복사량 중 평면 2로 향하는 복사량의 일부분이므로, 평면 1의 복사량에 평면 1에서 평면 2로의 복사율을 곱한 값이다.

    평면 1에서 평면 2로의 복사량 = 평면 1의 복사량 × 평면 1에서 평면 2로의 복사율
    = 5.67×10^(-8) × A × (1000)^4 × 0.8 × 0.6

    따라서, 평면 1에서 평면 2로의 복사량은 25749W/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분배의 법칙이 성립하는 성립하는 영역은 어떤 경우 인가?

  1. 결합력이 결합력이 상당히 큰 경우
  2. 용액의 농도가 묽을 경우
  3. 용질의 분자량이 분자량이 큰 경우
  4. 화학적으로 화학적으로 반응할 반응할 경우
(정답률: 64%)
  • 분배의 법칙은 물질이 두 용매 사이에서 분배될 때, 두 용매의 상대적인 용해도와 물질의 양에 따라 분배되는 비율이 결정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용액의 농도가 묽을 경우에 성립합니다. 이는 농도가 묽을수록 물질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두 용매 사이의 상대적인 용해도가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도가 높은 용액에서는 분배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로 30cm, 세로 60cm 인 직사각형 단면 을 갖는 도관에 세로 35cm 까지 액체가 차서 흐르고 있다. 상당직경 (equivalent diameter)은 얼마인가?

  1. 62cm
  2. 52cm
  3. 42cm
  4. 32cm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증류탑의 ideal stage(이상단 )에 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tage(단)를 떠나는 두 stream(흐름)은 서로 평형 관계를 이루고 이루고 있다.
  2. 재비기 (Reboiler)는 한 ideal stage로 계산 한다.
  3. 부분응축기(partial condenser)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한다.
  4. 전응축기(Total condenser)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한다.
(정답률: 42%)
  • 전응축기는 증류탑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순수한 증류물을 수집하는 장치이므로, 이는 ideal stage가 아니라 모든 stage의 결과물을 수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응축기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과 같은 건조속도 곡선 (X는 자유 수분 , R은 건조속도)을 나타내는 고체는? (단, 건조는 A→B→C→D 순서로 일어난다.)(문제 복원 오류로 그림파일이 없습니다. 정학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관리자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답은 4번 입니다.)

  1. 비누
  2. 소성점토 소성점토
  3. 목재
  4. 다공성 촉 매입자
(정답률: 61%)
  • 다공성 촉 매입자는 건조속도 곡선이 초기에는 빠르게 감소하다가 나중에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는 고체이다. 이는 초기에는 자유 수분이 많아서 빠르게 건조되다가 나중에는 자유 수분이 적어져서 건조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A→B 구간에서는 빠른 건조속도를 보이다가 C→D 구간에서는 느린 건조속도를 보이는 고체가 다공성 촉 매입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탑내에서 기체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면 탑 내 액정체량 (hold up)이 증가함과 동시에 압력 손실도 급격히 증가하여 액체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때의 속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균속도
  2. 부하속도
  3. 초기속도
  4. 왕일속도
(정답률: 73%)
  • 탑내에서 기체속도를 증가시키면 액정체량이 증가하면서 액체가 아래로 이동하는데, 이때 압력 손실도 급격히 증가하여 액체가 이동하는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 속도를 부하속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하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정제어

41. 다음 중 제어밸브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는 제어밸브를 나타내는데, 다른 보기들은 모두 펌프나 모터 등 다른 기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밸브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림에서도 유체가 흐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밸브의 형태와 위치도 제어밸브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형계의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Routh-Hurwitz 시험법 적용
  2. 특성방정식 근궤적 그리기
  3. Bode 나 Nyquist 선도 그리기
  4. Laplace 변환 적용
(정답률: 67%)
  • Laplace 변환은 선형시스템의 전이함수를 구하는 데 사용되는 변환 기법이지만,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하는 데에는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Laplace 변환 적용은 선형계의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별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ID 제어기의 전달함수의 형태로 옳은 것은?(단, KC는 비례이득, τl는 적분시간상수, τD는 미분시간상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67%)
  • 답은 ""이다.

    PID 제어기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s) = KC(1 + 1/(τIs) + τDs)

    여기서 KC는 비례이득, τI는 적분시간상수, τD는 미분시간상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전달함수의 형태와 일치하는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적분공정(G(s)=1/s)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례제어만으로 설정값의 계단변화에 대한 잔류오차(offset)를 제거할 수 있다.
  2. 비례제어만으로 입력외란의 계단변화에 대한 잔류오차(offset)를 제거할 수 있다.(입력외란은 공정입력과 같은 지점으로 유입되는 외란)
  3. 비례제어만으로 출력외란의 계단변화에 대한 잔류오차(offset)를 제거할 수 있다.(출력외란은 공정출력과 같은 지점으로 유입되는 외란)
  4. 비례-적분제어를 수행하면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설정값 변화에 대한 잔류오차(offset)를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47%)
  • "비례제어만으로 입력외란의 계단변화에 대한 잔류오차(offset)를 제거할 수 있다.(입력외란은 공정입력과 같은 지점으로 유입되는 외란)"이 틀린 설명입니다. 비례제어는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에 비례하여 제어작용을 하기 때문에 입력외란이 발생하면 잔류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적분제어나 더 나은 제어기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공정과 제어기를 고려할 때 정상상태(steady-state) 에서 y(t) 값은 얼마인가? (제어기 : , 공정 : )

  1. 1
  2. 2
  3. 3
  4. 4
(정답률: 34%)
  • 정답은 "1"입니다.

    제어기와 공정을 보면, 제어기의 출력값은 공정의 입력값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공정의 출력값 y(t)는 제어기의 출력값 u(t)에 영향을 받습니다.

    제어기의 전달함수를 보면, 입력값인 e(t)와 출력값인 u(t)는 비례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e(t)가 0이면 u(t)도 0이 됩니다.

    공정의 전달함수를 보면, 입력값인 u(t)와 출력값인 y(t)는 2배의 비례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u(t)가 0이면 y(t)도 0이 됩니다.

    따라서, 제어기의 입력값인 r(t)와 공정의 출력값인 y(t)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r(t)가 1일 때, e(t)는 0이 되고, u(t)도 0이 되므로, y(t)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 y(t) 값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제어 결과로 항상 cycling 이 나타나는 제어기는?

  1. 비례 제어기
  2. 비례-미분 제어기
  3. 비례-적분 제어기
  4. on-off 제어기
(정답률: 60%)
  • on-off 제어기는 특정한 조건에 따라 출력을 켜거나 끄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이 때문에 출력이 항상 cycling 되는 결과를 보인다. 예를 들어, 온도 제어에서 on-off 제어기는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출력을 끄고,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출력을 켜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 출력이 켜지면 온도가 높아져서 다시 출력이 꺼지고, 출력이 꺼지면 온도가 낮아져서 다시 출력이 켜지는 식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항상 cycling이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연속 입출력 흐름과 내부 가열기가 있는 저장조의 온도제어 방법 중 공정제어 개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유입되는 흐름의 유량을 측정하여 저장조의 가열량을 조절한다.
  2. 유입되는 흐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조의 가열량을 조절한다.
  3. 유출되는 흐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조의 가열량을 조절한다.
  4. 저장조의 크기를 증가시켜 유입되는 흐름의 온도 영향을 줄인다.
(정답률: 63%)
  • 정답은 "저장조의 크기를 증가시켜 유입되는 흐름의 온도 영향을 줄인다."입니다. 이는 공정 제어 개념이 아니라 설비 설계 개념에 해당합니다. 저장조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저장조 내부의 유체가 더 많은 양으로 저장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흐름의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해집니다. 따라서 저장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온도 제어를 위한 설비 설계상의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차계의 시상수 τ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계의 저항과 용량(capacitance)과의 곱과 같다.
  2. 입력이 단위계단함수일 때 응답이 최종치의 85%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
  3. 시상수가 큰 계일수록 출력함수의 응답이 느리다.
  4. 시간의 단위를 갖는다.
(정답률: 69%)
  • 정답은 "입력이 단위계단함수일 때 응답이 최종치의 85%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 이다. 이유는 시상수는 입력이 63.2%로 수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므로, 최종치의 85%에 도달하는 시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특성방정식이 와 같이 주어지는 시스템에서 제어기 GC로 비례제어기를 이용할 경우 진동응답이 예상되는 경우는? (단, KC는 제어기의 비례이득이다.)

  1. KC=0
  2. KC=1
  3. KC=-1
  4. KC에 관계없이 진동이 발생된다.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개루프 전달함수가 일 때 negative feedback 폐루프 전달함수를 구한 것은?

(정답률: 58%)
  • negative feedback 폐루프 전달함수는 개루프 전달함수에 음의 부호를 붙인 것이다. 따라서, 에서 음의 부호를 붙이면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s3+4s2+2s+6=0로 특성방정식이 주어지는 계의 Routh 판별을 수행할 때 다음 배열의 (a), (b)에 들어갈 숫자는?

  1. a = 1/2, b = 3
  2. a = 1/2, b = 6
  3. a = -1/2, b = 3
  4. a = -1/2, b = 6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간지연이 θ이고 시상수가 τ인 시간지연을 가진 1차계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액위저장 탱크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유량으로 액체를 뽑아내고 있다. 이 탱크로는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액체가 유입되고 있다. 탱크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량이 기울기가 1인 1차 선형변화를 보인 경우 정상 상태로부터의 액위의 변화 H(t)를 옳게 나타낸 것은?(단, 탱크의 단면적은 A 이다.)

(정답률: 39%)
  • 정답은 "" 이다.

    액체의 부피는 탱크의 단면적 A와 액위 H에 비례하므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량이 일정하다면 시간 t에 따른 액위의 변화는 H(t) = (유입유량)t/A 이다. 이는 기울기가 1인 1차 선형변화와 일치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모델식이 다음과 같은 공정의 Laplace 전달함수로 옳은 것은?(단, y는 출력변수, x는 입력변수이며 Y(s)와 X(s)는 각각 y와 x의 Laplace 변환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이다.

    이유는 Laplace 변환의 선형성에 따라 입력 x와 가중치 함수 1/s가 곱해진 것이 y의 Laplace 변환 Y(s)가 된다. 따라서 출력 y와 입력 x의 관계는 y(t) = x(t) * u(t)와 같이 단위 계단 함수 u(t)와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입력 x가 0보다 큰 구간에서만 영향을 미치고, 0 이하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은 시스템이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필터링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공정에 단위 계단입력이 가해졌을 때 최종치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67%)
  • 입력된 단위 계단은 고전압 다이오드를 통해 전압이 0.7V만큼 감소하고, 이후 저항을 통해 전압이 1V만큼 감소한다. 따라서 입력된 단위 계단의 전압은 1.7V만큼 감소하게 되고, 이를 출력으로 전달하므로 최종치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Feedback 제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중요변수(CV)를 측정하여 이를 설정값(SP)과 비교하여 제어동작을 계산한다.
  2. 외란(DV)을 측정할 수 없어도 feedback 제어를 할 수 있다.
  3. PID 제어기는 feedback 제어기의 일종이다.
  4. Feedback 제어는 Feedforward 제어에 비해 성능이 이론적으로 항상 우수하다.
(정답률: 58%)
  • Feedback 제어는 Feedforward 제어와는 달리 외란(DV)을 측정하여 제어 동작을 계산하기 때문에 외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Feedback 제어는 Feedforward 제어에 비해 성능이 이론적으로 항상 우수하다."는 옳지 않다. Feedback 제어와 Feedforward 제어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제어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위계단 입력에 대한 응답 ys(t)를 얻었다. 이것으로부터 크기가 1 이고 폭이 a 인 펄스 입력에 대한 응답 yp(t)는?

  1. yp(t) = ys(t)
  2. yp(t) = ys(t-a)
  3. yp(t) = ys(t) - ys(t-a)
  4. yp(t) = ys(t) + ys(t-a)
(정답률: 45%)
  • 입력 신호가 단위계단 함수이므로, 시간 t=0에서 입력이 발생하고 크기가 1인 펄스 입력에 대한 응답은 ys(t)에서 ys(t-a)를 빼면 된다. 이는 입력 펄스가 t=0에서 시작하고 t=a에서 끝나기 때문에, t=0부터 t=a까지의 응답 ys(t)에서 t=a부터 무한대까지의 응답 ys(t-a)를 빼면 입력 펄스에 대한 응답 yp(t)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yp(t) = ys(t) - ys(t-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입력과 출력사이의 전달함수의 정의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1.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 / 입력의 라플라스 변환
  2. 출력 / 입력
  3. 편차형태로 나타낸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 / 편차형태로 나타낸 입력의 라플라스 변환
  4. 시간함수의 출력 / 시간함수의 입력
(정답률: 57%)
  • 입력과 출력사이의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동작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는 함수로,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때, 전달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편차형태로 나타낸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 / 편차형태로 나타낸 입력의 라플라스 변환"이 가장 적절한 정의이다. 이는 입력과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전달함수를 구할 때, 편차형태로 나타내어 계산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은 외란의 단위계단 변화에 대해 여러 형태의 제어기에 의해 얻어진 공정출력이다. 이 때 A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phase lag
  2. phase lead
  3. gain
  4. offset
(정답률: 46%)
  • A는 "offset"을 나타낸다. 외란의 단위계단 변화에 대해 여러 형태의 제어기에 의해 얻어진 공정출력에서 모든 제어기의 출력이 0으로 수렴하는 초기값을 나타내는 것이 "offs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여름철 사용되는 일반적인 에어컨(air conditioner)의 동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온도 조절을 위한 피드백 제어 기능이 있다.
  2. 희망온도가 피드백 제어의 설정값에 해당된다.
  3. 냉각을 위하여 에어컨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변화가 외란에 해당된다.
  4. On/Off 제어가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2%)
  • "냉각을 위하여 에어컨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변화가 외란에 해당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에어컨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변화는 에어컨 내부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가 다시 방으로 나오는 과정에서 외부와의 열교환을 통해 방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공업화학

61. 황산의 원료인 아황산가스를 황화철광(iron pynte)을 공기로 완전 연소하여 얻고자 한다. 황화철광의 10%가 불순물이라 할 때 황화철광 1톤을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표준상태 기준으로 약 몇 m3 인가?(단, Fe 의 원자량은 56 이다.)

  1. 460
  2. 580
  3. 2200
  4. 2480
(정답률: 36%)
  • 먼저 황화철광 1톤 중 불순물이 10% 이므로 순수한 황화철광의 양은 0.9톤이다. 이를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eS2 + 11/2 O2 → Fe2O3 + 2SO2

    이 반응식에서 1몰의 FeS2가 반응하면 2몰의 SO2가 생성된다. 따라서 0.9톤의 순수한 황화철광이 반응하면 2 × 0.9 × (1/120) = 0.015몰의 SO2가 생성된다.

    이제 이론 공기량을 구하기 위해 생성된 SO2의 몰수를 이용한다. SO2의 분자량은 64이므로 0.015몰의 SO2는 0.015 × 64 = 0.96kg이다. 이런 양의 SO2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0.96/2 = 0.48kg의 O2가 필요하다.

    이제 이론 공기량을 구하기 위해 O2의 몰수를 이용한다. O2의 분자량은 32이므로 0.48kg의 O2는 0.48/32 = 0.015몰이다. 이론 공기량은 이 몰수에 대응하는 공기량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 이론 공기량 계수인 11/2를 곱해준다.

    이론 공기량 = 0.015 × 11/2 × 22.4 = 0.186m3

    따라서, 황화철광 1톤을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약 0.186m3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표준상태 기준으로 이론 공기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론 공기량을 표준상태 기준으로 환산해야 한다. 이론 공기량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표준상태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압력을 고려해야 한다. 표준상태에서의 온도는 0℃이고 압력은 1 at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이론 공기량을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 공기량 (표준상태) = 0.186 × (273/273) × (1/1) = 0.186m3

    따라서, 황화철광 1톤을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약 0.186m3이며, 이를 보기로 환산하면 22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접촉식 황산 제조법에서 주로 사용되는 촉매는?

  1. Fe
  2. V2O5
  3. KOH
  4. Cr2O3
(정답률: 72%)
  • 접촉식 황산 제조법에서는 반응속도를 촉진시키기 위해 촉매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V2O5는 황산 제조에 가장 효과적인 촉매 중 하나입니다. 이는 V2O5가 황산 제조 반응에서 황과 산소 사이의 전자 이동을 촉진시켜 반응속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V2O5가 접촉식 황산 제조법에서 주로 사용되는 촉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HNO3 14.5%, H2SO4 50.5%, HNOSO4 12.5%, H2O 20.0%, nitrobody 2.5% 의 조성을 가지는 혼산을 사용하여 toluene 으로부터 mononitrotoluene 을 제조하려고 한다. 이 때 1700kg 의 toluene 을 12000kg 의 혼산으로 니트로화했다면 DVS(dehydrating value of sulfuric acid)는?

  1. 1.87
  2. 2.21
  3. 3.04
  4. 3.52
(정답률: 4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합성염산을 제조할 때는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 해야 한다. 염산 합성시 폭발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조업온도를 낮춘다.
  2. H2를 과잉으로 주입하여 Cl2가 미반응 상태로 남지 않도록 한다.
  3. 반응완화 촉매를 주입한다.
  4. HCl 생성속도를 빠르게 한다.
(정답률: 60%)
  • HCl 생성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염산 합성 반응을 빠르게 완료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벤젠으로부터 아닐린을 합성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수소화, 니트로화
  2. 암모니아화, 아민화
  3. 니트로화, 수소화
  4. 아민화, 암모니아화
(정답률: 62%)
  • 정답은 "니트로화, 수소화"입니다.

    벤젠에서 아닐린을 합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벤젠에 질소와 산소를 함유한 질소산화물을 처리하여 니트로벤젠을 만듭니다. 이 과정을 니트로화라고 합니다.

    2. 니트로벤젠을 산화처리하여 니트로기를 만듭니다.

    3. 니트로기를 수소화하여 아닐린을 만듭니다.

    따라서, "니트로화, 수소화"가 정답입니다.

    니트로화는 벤젠 분자에 질소산화물을 처리하여 니트로기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벤젠 분자에 질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니트로기가 생성됩니다.

    수소화는 니트로기를 수소 처리하여 아닐린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니트로기 분자에 수소가 결합하여 아닐린이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공기 중에서 프로필렌을 산화시켜서 알코올과 작용시켰을 때 얻는 주생성물은?

  1. CH3 - R - COOH
  2. CH3 - CH2 - COOR
  3. CH2 = R - COOH
  4. CH2 = CH - COOR
(정답률: 40%)
  • 프로필렌을 산화시키면 프로페널 알데하이드가 생성됩니다. 이 알데하이드는 알코올과 반응하여 에폭시드를 형성합니다. 이후 에폭시드가 열분해되면서 CH2 = CH - COOR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H2 = CH - CO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반도체 제조과정 중에서 식각공정 후 행해지는 세정공정에 사용되는 piranha 용액의 주 원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질산, 암모니아
  2. 불산, 염화나트륨
  3. 에탄올, 벤젠
  4. 황산, 과산화수소
(정답률: 44%)
  • 세정공정에서 사용되는 piranha 용액은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식각공정 후 남아있는 유기물,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력한 산화제이며, 황산은 산성성분으로서 산화작용을 촉진시키고, 과산화수소는 산화작용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성분이 함유된 piranha 용액은 반도체 제조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가스용어 LNG 의미에 해당하는 것은?

  1. 액화석유가스
  2. 액화천연가스
  3. 고화천연가스
  4. 액화프로판가스
(정답률: 76%)
  • LNG는 Liquefied Natural Gas의 약자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운반하고 저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액화천연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석회질소 비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양의 살균효과가 있다.
  2. 과린산석회, 암모늄염 등과의 배합비료로 적당하다.
  3. 저장 중 이산화탄소,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한다.
  4. 분해시 생성되는 디시안디아미드는 식물에 유해하다.
(정답률: 46%)
  • 석회질소 비료는 토양의 살균효과가 있으며, 저장 중 이산화탄소와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한다는 것은 맞지만, 디시안디아미드는 식물에 유해하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디시안디아미드는 오히려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과린산석회, 암모늄염 등과의 배합비료로 적당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소다회 제조법 중 거의 100% 의 식염의 이용이 가능한 것은?

  1. solvay 법
  2. Le Blanc 법
  3. 염안소다법
  4. 가성화법
(정답률: 61%)
  • 염안소다법은 염화나트륨과 석회암을 이용하여 소다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거의 100%의 식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염안소다법에서 염화나트륨이 소다회 제조 과정에서 재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방법인 solvay 법, Le Blanc 법, 가성화법은 식염 이외의 다른 화학물질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100%의 식염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산성토양이 된 곳에 알칼리성 비료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비료는?

  1. 과린산석회
  2. 염안
  3. 석회질소
  4. 요소
(정답률: 53%)
  • 석회질소는 알칼리성 토양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비료이기 때문에 산성토양에 알칼리성 비료를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한 선택이 됩니다. 이는 석회질소가 질소와 칼슘을 함께 공급하여 토양의 pH를 조절하고, 동시에 식물의 영양소 흡수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성토양에서 성장하는 식물들에게 석회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염화수소 가스를 물 50kg 에 용해시켜 20% 의 염산용액을 만들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염화수소는 약 몇 kg 인가?

  1. 12.5
  2. 13.0
  3. 13.5
  4. 14.0
(정답률: 53%)
  • 20%의 염산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 100kg당 염화수소 20kg가 필요하다. 따라서 물 50kg에 필요한 염화수소의 양은 50kg x 20kg/100kg = 10k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염화수소를 물에 용해시키므로, 염화수소의 농도가 100%가 아니라 20%이다. 따라서 실제 필요한 염화수소의 양은 10kg / 0.2 = 50kg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kg로 통일하지 않았으므로, 50kg을 10으로 나누어서 5를 곱해주면 답은 12.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1차 전지가 아닌 것은?

  1. 산화은전지
  2. Ni-MH전지
  3. 망간전지
  4. 수은전지
(정답률: 67%)
  • Ni-MH전지는 1차 전지가 아니라 2차 전지이다. 1차 전지는 사용 후 폐기되며, 다시 충전할 수 없지만, 2차 전지는 충전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Ni-MH전지는 1차 전지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Fischer-Tropsch 반응을 옳게 표현한 것은?

  1. nCO + (2n+1)H2 → CnH2n+2+nH2O
  2. CnH2n+2+H2O → CH4 + CO2
  3. CH3OH+H2 → HCHO + H2O
  4. CO2 + H2 → CO + H2O
(정답률: 50%)
  • 옳은 표현은 "nCO + (2n+1)H2 → CnH2n+2+nH2O" 입니다. Fischer-Tropsch 반응은 일종의 화학합성 반응으로,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일부 탄화수소 기체와 수소 기체를 혼합하여 촉매를 이용해 알케인, 알케인, 알케인 등의 긴 사슬 형태의 탄화수소 분자를 합성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에서는 일정한 비율로 CO와 H2가 혼합되어 반응하며, 이때 생성되는 CnH2n+2은 탄화수소 분자의 일종으로, n의 값에 따라 분자 크기가 달라집니다. 또한, 반응에서 생성되는 H2O는 반응열을 방출하며, 반응에 참여한 수소의 일부가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석유의 접촉개질(catalytic reform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소화 분해나 이성화를 최대한 억제한다.
  2. 가솔린 유분의 옥탄가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3. 온도, 압력 등은 중요한 운전조건이다.
  4. 방향족화(aromatization)가 일어난다.
(정답률: 48%)
  • 석유의 접촉개질은 가솔린 유분의 옥탄가를 높이기 위한 공정으로, 방향족화를 일으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방향족화가 일어난다"는 설명은 옳다. 그러나 "수소화 분해나 이성화를 최대한 억제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접촉개질은 수소화 분해나 이성화를 억제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과정을 일으켜 가솔린 유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건에서 이러한 과정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한다. 따라서 "수소화 분해나 이성화를 최대한 억제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고분자 중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가장 높은 것은?

  1. Polycarbonate
  2. Polystyrene
  3. Poly vinyl chloride
  4. Polyisoprene
(정답률: 62%)
  • Polycarbonate이 Tg가 가장 높은 이유는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강력하고, 분자 사이의 결합도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강력한 결합은 고분자의 분자 운동을 억제하고, Tg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Acetylene 을 주원료로 하여 수은염을 촉매로 물과 반응시키면 얻어지는 것은?

  1. methanol
  2. stylene
  3. acetaldehyde
  4. acetophenone
(정답률: 65%)
  • Acetylene과 물이 수은염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하면, acetaldehyde가 생성됩니다. 이는 acetylene과 물이 수은염 촉매의 존재하에서 Markovnikov 첨가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고분자의 일반적인 물리적 성질에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량평균분자량에 비해 수평균분자량이 크다.
  2. 분자량의 범위가 넓다.
  3. 녹는점이 뚜렷하지 않아 분리정제가 용이하지 않다.
  4. 녹슬지 않고, 잘 깨지지 않는다.
(정답률: 60%)
  • "중량평균분자량에 비해 수평균분자량이 크다."는 고분자 분자 내에서 분자량이 서로 다른 구성 단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성질입니다. 이는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가 넓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고분자의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분자량이 큰 구성 단위들이 많을수록 고분자의 녹는점이 높아지는 등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촉매 없이 1-옥텐을 첨가하여 라디칼 중합법으로 제조한다.
  2. 규칙적인 가지를 포함하고 있다.
  3. 낮은 밀도에서 높은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4.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다 강한 인장강도를 갖는다.
(정답률: 43%)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낮은 밀도에서 높은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촉매 없이 1-옥텐을 첨가하여 라디칼 중합법으로 제조하는 이유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분자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 방법으로 제조하면, 분자 사이에 가지가 생기지 않고 규칙적인 선형 구조를 갖게 되어,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다 강한 인장강도를 갖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소다회 제조법으로써 암모니아를 회수하는 것은?

  1. 르블랑법
  2. 솔베이법
  3. 수은법
  4. 격막법
(정답률: 63%)
  • 암모니아를 회수하는 솔베이법은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킨 후, 이를 열분해하여 암모니아를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르블랑법과 달리 고압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은법과 격막법보다는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반응공학

81. 회분식 반응기에서 A 의 분해 반응을 50℃ 등온하에서 진행시켜 얻는 CA와 반응시간 t 간의 그래프로부터 각 농도에서의 곡선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를 다음과 같이 얻었다. 이 반응의 반응 속도식은?

(정답률: 53%)
  • 각 농도에서의 곡선의 기울기는 해당 농도에서의 반응 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농도와 반응 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반응 속도 법칙에 따라, 농도와 반응 속도 간에는 일정한 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이를 통해 반응 속도식은 1차 반응 속도식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매 3분마다 분마다 반응기 체적의 1/2에 해당하는 반응물이 반응기에 주입되는 연속흐름반응 기(steady -state flow reactor)가 있다. 이때의 공 간시간 (τ : space time) 과 공간속도 (S : space velocity)는 얼마인가 얼마인가?

  1. τ = 6 분, S = 1분^( -1)
  2. τ = 1/3, S = 3분^( -1)
  3. τ = 6 분, S = 1/6 분^( -1)
  4. τ = 2 분, S = 1/2 분^( -1)
(정답률: 65%)
  • 반응기 체적의 1/2에 해당하는 반응물이 3분마다 주입되므로, 공간속도는 1분당 1/3 체적만큼 반응물이 주입된다. 따라서, 공간속도는 1/3 분^( -1) 이다.

    공간속도와 반응기 체적을 이용하여 공 간시간을 구할 수 있다. steady-state flow reactor에서는 반응물이 주입되는 속도와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가 같으므로, 반응기 체적을 반응물이 주입되는 속도로 나눈 값이 공간속도와 같다.

    즉, τ = V/S 이므로, τ = 6분/(1/3분^( -1)) = 18분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응물이 3분마다 주입되므로, τ는 3의 배수여야 한다. 따라서, τ = 6분이다.

    따라서, 정답은 "τ = 6 분, S = 1/6 분^( -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650℃ 에서의 에탄의 열분해 반응은 500℃에서보다 2790배 빨라진다. 이 분해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1. 75,000cal/mol
  2. 34,100cal/mol
  3. 15,000cal/mol
  4. 5,600cal/mol
(정답률: 59%)
  •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속도와 관련된 중요한 물리화학적 개념입니다. 활성화 에너지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느리고, 활성화 에너지가 낮을수록 반응속도가 빠릅니다.

    이 문제에서는 650℃에서의 반응속도가 500℃에서의 반응속도보다 2790배 빠르다는 정보가 주어졌습니다. 이는 활성화 에너지가 650℃에서 낮아져서 반응속도가 빨라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활성화 에너지는 500℃에서의 반응속도와 650℃에서의 반응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75,000cal/mo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000cal/m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불균일 촉매반응에서 일어나는 속도결정단계 (rate determining step)와 거리가 먼 것은?

  1. 표면반응단계
  2. 흡착단계
  3. 탈착단계
  4. 촉매불활성화단계
(정답률: 62%)
  • 정답은 "촉매불활성화단계"입니다.

    촉매불활성화단계는 촉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단계로, 촉매반응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결정단계에서 거리가 먼 단계입니다.

    반면, 표면반응단계는 촉매와 반응물이 표면에서 상호작용하여 일어나는 단계로, 촉매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어 속도결정단계에 가까운 단계입니다. 흡착단계와 탈착단계도 마찬가지로 촉매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어 속도결정단계에 가까운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의 액상반응에서 R이 요구하는 물질 일 때에 대한 설명으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A 에 B를 조금씩 넣는다.
  2. B 에 A를 조금씩 넣는다.
  3. A 와 B를 빨리 혼합한다.
  4. A의 농도가 균일하면 B의 농도는 관계없다.
(정답률: 45%)
  • 정답은 "A 에 B를 조금씩 넣는다." 이다.

    이유는 반응식에서 R이 요구하는 물질은 A이고, B는 반응에 필요한 시약이기 때문에 A에 B를 조금씩 넣어야 한다. B에 A를 조금씩 넣는다고 하면, A가 반응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이 들어가게 되어 반응이 원하는 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A와 B를 빨리 혼합한다고 해도, A와 B의 양이 적으면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조금씩 넣는 것이 중요하다. A의 농도가 균일하면 B의 농도는 관계없다는 것은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2차 액상 반응, 2A → products이 혼합흐름반응기에서 60%의 전화율로 진행된다. 다 른 조건은 그대로 두고 반응기의 크기만 두 배로 했을 경우 전화율은 얼마로 되는가?

  1. 66.7%
  2. 69.5%
  3. 75.0%
  4. 91.0%
(정답률: 45%)
  • 전화율은 반응물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반응기 크기가 2배로 커졌을 때 반응물의 농도는 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전화율은 60%의 반으로 줄어들어 30%가 된다. 그러나 반응기 크기가 2배로 커졌으므로, 반응물의 양도 2배가 되었다. 따라서 전체 반응물 중에서 반응한 양은 60%에서 30%로 줄어들었지만, 전체 반응물의 양이 2배가 되었으므로, 실제 반응한 양은 60%의 반으로 줄어든 30%의 2배인 6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9.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자동촉매반응 (autocatalytic re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화율이 작을 때는 관형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2. 전화율이 작을 때는 혼합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3. 전화율과 무관하게 혼합흐름 반응기가 항상 유리하다.
  4. 전화율과 무관하게 관형흐름 반응기가 항상 유리하다.
(정답률: 56%)
  • 자동촉매반응은 반응 생성물이 반응 촉매로 작용하여 반응 속도가 증가하는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에서는 초기 반응물 농도가 적어도 일부 촉매 생성물이 형성되기 전에는 반응이 느리게 진행됩니다. 따라서 전화율이 작을 때는 혼합흐름 반응기가 유리합니다. 혼합흐름 반응기는 초기 반응물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촉매반응에서는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CSTR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교적 온도 조절이 용이하다.
  2. 약한 교반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3. 높은 전화율을 얻기 위해서는 큰 반응기가 필요하다.
  4. 반응기 부피당 반응물의 전화율은 흐름 반응기들 중에서 가장 작다.
(정답률: 56%)
  • "CSTR은 약한 교반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CSTR은 교반이 강하거나 약한 경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CSTR은 반응물이 일정한 속도로 반응기를 통과하므로, 일정한 반응 시간을 유지할 수 있어 비교적 온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큰 반응기를 사용하여 높은 전화율을 얻을 수 있지만, 반응기 부피당 반응물의 전화율은 흐름 반응기들 중에서 가장 작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회분식 반응기 (batch reactor)에서 균일계 비가역 1차 직렬 반응 이 일어날 때 R 농도의 최대값은 얼마인가?(단, k1=1.5min-1, k2=3min-1이고 , 각 물질의 초기농도 이다.)

  1. 1.25mol/L
  2. 1.67mol/L
  3. 2.5mol/L
  4. 5.0mol/L
(정답률: 32%)
  • 반응식을 보면 A → B → C로 직렬 반응이 일어나고, B → C 반응은 가역반응이 아니므로 k2는 소모되는 B의 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B의 농도가 최대일 때 k2가 최대가 되어 C의 생성이 최대가 된다. B의 초기농도는 [B]0=0.5mol/L이므로, B의 소모량은 k1[A]t이고, C의 생성량은 k2[B]t이다. 따라서 R=C의 최대값은 k2[B]0/k1이다. 이를 계산하면 R의 최대값은 1.25mol/L이다.

    즉, B의 농도가 최대일 때 C의 생성이 최대가 되므로, B의 초기농도인 0.5mol/L에서 B의 소모량이 최대가 되는 시간에 C의 생성량이 최대가 된다. 이때 R의 농도가 최대값인 1.25mol/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과 같은 연속 (직렬) 반응에서 A 와 R 의 반응속도가 일 때, 회 분식 반응기에서 를 구하면?(단, 반응은 반응은 순수한 A 만으로 만으로 시작한다 시작한다.)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A 가 분해되는 정용 회분식 회분식 반응기에서 CAO=4mol/L 이고, 8분 후의 A 의 농도 CA를 측정한 결과 2mol/L 이었다. 속도상수 k 는 얼마인가?(단, 속도식은 이다.

  1. 0.15min-1
  2. 0.18min-1
  3. 0.21min-1
  4. 0.34min-1
(정답률: 43%)
  • 먼저, 우리는 반응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문제에서는 A 가 분해되는 반응이 일어난다고 했으므로,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쓸 수 있다.

    A → B + C

    여기서, 우리는 A 의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반응속도식을 A 에 대해서만 쓸 수 있다.

    r = -dCA/dt = kCA

    여기서, r 은 반응속도, k 는 속도상수이다. 이 식을 적분하면,

    ln(CA/CAO) = -kt

    여기서, CAO 는 초기 농도이다. 이제, t=8분 일 때, CA=2mol/L, CAO=4mol/L 이므로,

    ln(2/4) = -k(8)

    k = 0.173 min-1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18min-1"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속도상수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정답은 "0.17min-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인 두 액상 반응이 동시에 등온 회분반응기에서 진행된다. 50분 후 A 의 90%가 분해되어 생성물 비는 9.1mol R/1mol S이다. 반응차수는 각각 1차일 때, 반응 속도상수 k2는 몇 min-1인가?

  1. 2.4 × 10^(-6)
  2. 2.4 × 10^(-5)
  3. 2.4 × 10^(-4)
  4. 2.4 × 10^(-3)
(정답률: 48%)
  • 먼저, A의 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 → R + S

    생성물 비가 9.1mol R/1mol S 이므로, 생성물의 몰 분율은 다음과 같다.

    [R] = 9.1x

    [S] = x

    따라서, 반응 진행에 따른 A의 몰 분율 변화는 다음과 같다.

    t=0 : [A] = a

    t=50 : [A] = 0.1a

    따라서, A의 분해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a - 0.1a) / 50 = 0.018a/min

    반응차수가 각각 1차이므로, 다음과 같은 속도식이 성립한다.

    v = k1[A][B] = k2[A]

    따라서, k2 = v / [A] = 0.018a / 0.1a = 0.18/min

    분당으로 환산하면, k2 = 0.18 x 60 = 10.8/min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분/min 단위로 요구하므로, k2 = 10.8/60 = 0.18/min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4 × 10^(-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비가역 1차 액상반응 액상반응 A → R 이 플러그 흐름반응기에서 전화율이 50%로 반응된다. 동일조건에서 반응기의 크기만 2배로 하면 전화율은 몇 % 가 되는가?

  1. 67
  2. 70
  3. 75
  4. 100
(정답률: 58%)
  • 비가역 1차 액상반응에서 전화율은 반응물 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반응기의 크기를 2배로 하면 반응물 농도도 2배가 되므로 전화율은 2배가 된다. 따라서 전화율은 50% × 2 = 1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1개의 혼합 흐름 반응기에 크기가 2배되는 반응기를 추가로 직렬로 연결하여 A 물질을 액상분해 반응시켰다. 정상상태에서 원료의 농도가 1mol/L 이고 , 제1반응기의 평균공간시간 평균공간시간이 96 초이었으며 배출농도가 0.5mol/L이었다. 제2반응기의 배출농도가 배출농도가 0.25mol/L 일 경우 반응속도식은 반응속도식은?

(정답률: 43%)
  • 먼저, 제1반응기에서의 용액의 체적은 제2반응기에서의 용액의 체적의 2배이므로, 제2반응기에서의 평균공간시간은 제1반응기에서의 평균공간시간의 반으로 줄어든 48초가 된다.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r = k[A]

    여기서, k는 속도상수이고, A는 반응물의 농도이다.

    제1반응기에서의 배출농도가 0.5mol/L이므로, 제1반응기에서의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r1 = k1[1] = k1

    제2반응기에서의 배출농도가 0.25mol/L이므로, 제2반응기에서의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r2 = k2[0.25] = 0.5k2

    따라서, r1 = r2 이므로, k1 = 0.5k2 이다.

    이를 반응속도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r = k[A] = 2k1[A] = k2[0.5A]

    따라서, 반응속도식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회분식 반응기에서 아세트산에틸을 가수분해시키면 1차 반응속도식에 따른다고 한다. 만 일 어떤 실험조건에서 아세트산에틸을 정확히 30% 분해시키는데 40 분이 소요되었을 경우에 반감기는 몇 분인가?

  1. 58
  2. 68
  3. 78
  4. 88
(정답률: 60%)
  • 1차 반응속도식에서 반감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반감기 (t1/2) = 0.693 / 반응속도상수 (k)

    분해율 (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분해율 (r) = k * 농도 (C)

    따라서, 아세트산에틸의 분해율은 다음과 같다.

    r = k * [아세트산에틸]

    실험조건에서 아세트산에틸이 정확히 30% 분해되었으므로, 초기 농도의 70%가 남아있다. 따라서, 분해율은 다음과 같다.

    r = k * 0.7[C0]

    반응속도식에서 k는 시간당 분해되는 물질의 양을 나타내므로, 분해율과 시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r = 분해된 물질의 양 / 시간

    따라서, 위의 식을 시간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 = 분해된 물질의 양 / 분해율

    실험조건에서 아세트산에틸이 정확히 30% 분해되었으므로, 분해된 물질의 양은 초기 농도의 30%이다. 따라서, 반응에 소요된 시간은 다음과 같다.

    시간 = 0.3[C0] / (k * 0.7[C0])

    시간 = 0.3 / (k * 0.7)

    시간 = 0.429 / k

    실험조건에서 반응에 소요된 시간은 40분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40분 = 0.429 / k

    k = 0.429 / 40분

    k = 0.010725 분^-1

    따라서, 반감기는 다음과 같다.

    t1/2 = 0.693 / k

    t1/2 = 0.693 / 0.010725

    t1/2 = 64.5분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혼합 흐름 반응기에서 반응 속도식이 -rA=kC2A인 반응에 대해 50% 전화율을 얻었다.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반응기의 부피만 5배로 했을 경우 전화율은?

  1. 0.6
  2. 0.73
  3. 0.8
  4. 0.93
(정답률: 53%)
  • 50% 전화율을 얻었다는 것은 반응물 농도가 초기 농도의 절반으로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기 농도를 CA0라고 하면, 전화율은 CA/CA0 = 0.5가 됩니다.

    부피가 5배로 증가하면, 농도는 1/5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농도를 CA,new라고 하면, CA,new = CA0/5가 됩니다.

    반응 속도식에서 CA 대신 CA,new를 대입하면, -rA = kCA,new2가 됩니다. 이를 전화율 식에 대입하면, CA/CA0 = (CA,new/CA0)2 = (1/5)2 = 0.04가 됩니다.

    따라서 전화율은 0.04 × 100% = 4%가 됩니다. 이를 50%에서 얼마나 감소했는지 계산하면, (50 - 4)% = 46%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7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반응속도상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닌 것은?

  1. 반응물의 몰수
  2. 반응계의 온도
  3. 반응활성화 에너지
  4. 반응에 첨가된 촉매
(정답률: 45%)
  • 반응속도상수는 반응물의 몰수, 반응계의 온도, 반응에 첨가된 촉매와 반응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응물의 몰수"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최초 혼합물인 반응 물 A가 25%, B가 25% 인 것에 불활성기체가 50% 혼합되었다고 한다.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용적변화율 εA는 얼마인가?

  1. -0.125
  2. -0.25
  3. 0.5
  4. 0.875
(정답률: 54%)
  • 반응이 완결되면 A와 B의 몰농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적변화율은 물질 A의 몰농도 변화율과 같다. 초기 몰농도가 0.25이고 최종 몰농도가 x일 때, 불활성기체는 몰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A와 B의 몰농도 합은 항상 0.5이다. 따라서 x + 0.5 - x = 0.5 이므로, x = 0.25이다. 따라서 용적변화율은 (0.25 - 0.5) / 0.5 = -0.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반응에서 R의 순간 수율 (생성된 R의 몰수 /반응한 A의 몰수) 은?

(정답률: 66%)
  • R의 몰수는 0.1 mol 이고, A의 몰수는 0.2 mol 이므로 R의 순간 수율은 (0.1 mol / 0.2 mol) = 0.5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일반적으로 A → P 와 같은 반응에서 반응물의 농도가 C=1.0×10mol/L일 때 그 반응 속도가 0.020mol/L·s 이고 반응속도상수가 k=2×10^(-4)L/mol·s 이라고 한다면 이 반응의 차 수는?

  1. 1차
  2. 2차
  3. 3차
  4. 4차
(정답률: 64%)
  •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v = k[A]^n

    여기서 v는 반응속도, k는 반응속도상수, [A]는 반응물의 농도이다. n은 반응차수이다.

    문제에서는 반응물인 A의 농도가 1.0×10^-3mol/L이고, 반응속도가 0.020mol/L·s이며, 반응속도상수가 2×10^-4L/mol·s이다.

    따라서,

    0.020mol/L·s = (2×10^-4L/mol·s) × (1.0×10^-3mol/L)^n

    n = 2

    따라서 이 반응은 2차 반응이다. 이유는 반응속도식에서 반응물 농도의 제곱항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