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건설안전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피로의 정신적 증상으로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주의력이 감소 또는 경감된다.
  2. 작업의 효과나 작업량이 감퇴 및 저하된다.
  3. 작업에 대한 무감각ㆍ무표정ㆍ경련 등이 일어난다.
  4. 작업에 대한 몸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지치게 된다.
(정답률: 64%)
  • 피로는 일반적으로 신체적인 증상과 함께 정신적인 증상도 동반됩니다. 이 중에서도 주의력 감소는 피로의 대표적인 정신적 증상 중 하나입니다. 피로로 인해 뇌가 지치고 지속적인 집중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주의력이 감소하거나 경감됩니다. 이는 작업의 효과나 작업량이 감퇴 및 저하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책 선정의 원칙
  2. 손실 우연의 원칙
  3. 예방 가능의 원칙
  4. 통계 방법의 원칙
(정답률: 73%)
  • 정답은 "통계 방법의 원칙"입니다.

    재해예방의 4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책 선정의 원칙: 가능한 모든 대책을 고려하고,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대책을 선택한다.

    2. 손실 우연의 원칙: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3. 예방 가능의 원칙: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그 대책을 실행해야 한다.

    4. 통계 방법의 원칙: 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할 때, 통계적인 자료와 분석을 활용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리고, 대책을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통계 방법의 원칙"은 재해예방의 4원칙 중 하나이며, 다른 3가지 원칙과 함께 재해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부주의 발생 현상 중 주의의 일점 집중현상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의식의 과잉
  2. 의식의 우회
  3. 의식의 단절
  4. 의식수준의 저하
(정답률: 69%)
  • 주의의 일점 집중현상은 사람이 한 가지 일에 집중하면서 다른 일들을 간과하거나 놓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의식의 과잉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사람이 너무 많은 정보나 자극을 받아서 의식이 과부하가 되면, 그 중에서 중요한 것에만 집중하게 되고 다른 것들은 무시하거나 놓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사람이 실수를 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B 사업장의 도수율이 10 이고, 강도율이 1.7 이라고 하면 이 사업장의 종합재해지수(FSI)는 약 얼마인가?

  1. 2.74
  2. 3.74
  3. 3.87
  4. 4.12
(정답률: 42%)
  • FSI = 도수율 × 강도율의 제곱근
    FSI = 10 × √1.7
    FSI = 10 × 1.30384048
    FSI = 13.0384048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Project Method 의 4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계획 → 목적 → 수행 → 평가
  2. 계획 → 수행 → 목적 → 평가
  3. 목적 → 수행 → 계획 → 평가
  4. 목적 → 계획 → 수행 → 평가
(정답률: 72%)
  • 정답은 "목적 → 계획 → 수행 → 평가" 입니다.

    Project Method는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 방법론으로,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됩니다.

    1. 목적 설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설정합니다.
    2. 계획 수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3. 수행: 계획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4. 평가: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고, 문제 해결에 대한 피드백을 받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목적 → 계획 → 수행 → 평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중 전쟁, 재해, 질병 등으로부터 초래되는 위협이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려는 욕구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아실현의 욕구
  2. 사회적 욕구
  3. 생리적 욕구
  4. 안전 욕구
(정답률: 87%)
  • 안전 욕구는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합니다. 이는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로, 전쟁, 재해, 질병 등으로부터 자신과 가족, 친구들을 보호하고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욕구입니다. 이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로,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어야 다른 욕구들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개인적 카운슬링(Counseling)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접적 충고
  2. 반복적 충고
  3. 설명적 방법
  4. 설득적 방법
(정답률: 58%)
  • 반복적 충고는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해서 말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불안감과 불안정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 카운슬링 방법으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맥그리거(McGregor)의 X 이론에 따른 관리처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목표에 의한 관리
  2. 권위주의적 리더십 확립
  3.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4.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정답률: 64%)
  • "권위주의적 리더십 확립"은 맥그리거의 X 이론에 따른 관리처방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유는 맥그리거의 X 이론은 직원들이 자기 자신을 동기부여하고 스스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직원들의 참여와 자기주도적인 업무 수행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목표에 의한 관리"는 맥그리거의 X 이론에 따른 관리처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직원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그 결과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직원들의 자기주도성과 참여를 촉진하며, 성과에 대한 책임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는 맥그리거의 X 이론에 따른 관리처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직원들이 성과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성과에 대한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는 맥그리거의 X 이론에 따른 관리처방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직원들에게 신뢰와 책임감을 부여하지 않으며, 자기주도성과 참여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맥그리거의 X 이론에 따르면, 직원들은 스스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감독과 통제보다는 자율성과 책임감을 높이는 방향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주의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변동성
  2. 선택성
  3. 방향성
  4. 통합성
(정답률: 63%)
  • 주의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통합성"입니다. 이는 주의가 여러 가지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는 능력이 아니라, 오히려 여러 가지 정보를 분리하고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의는 선택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통합성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이 아닌 것은?

  1. 주물 및 단조작업
  2. 전압이 50볼트인 정전 및 활선작업
  3. 화학설비 중 반응기, 교반기, 추출기의 사용 및 세척 작업
  4. 액화석유가스, 수소가스 등 가연성, 폭발성 가스의 발생장치 취급작업
(정답률: 65%)
  • 전압이 50볼트인 정전 및 활선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이 아닙니다. 이는 전압이 낮아 전기적 충격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다른 작업들은 위험성이 높아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모랄 서베이(Morale survey) 주요 방법 중 태도조사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사례연구법
  2. 관찰법
  3. 실험연구법
  4. 문답법
(정답률: 47%)
  • 태도조사법은 사람들의 태도와 견해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답법이 해당된다. 이는 질문지나 인터뷰 등을 통해 대상자의 의견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대상자의 의견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연평균 근로자수가 200명인 A 사업장에 지난 1년간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얼마인가?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68%)
  • 연천인율은 "사상자 수 ÷ 근로자 수 × 1,000" 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A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9 ÷ 200 × 1,000" 으로 계산되며, 이는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교육 대상자수가 많고, 교육 대상자의 학습 능력의 차이가 큰 경우 집단안전 교육방법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문답식 교육
  2. 토의식 교육
  3. 시청각 교육
  4. 상담식 교육
(정답률: 74%)
  • 시청각 교육은 대규모 교육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시청각적인 자극을 통해 교육 대상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 대상자들의 학습 능력의 차이가 크더라도 개인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 교육 대상자들에게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원으로 잘못된 것은?

  1. 해당 사업의 대표자
  2. 근로자대표가 지명하는 1인 이상의 명예산업안전 감독관
  3. 근로자대표가 지명하는 10인 이내의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
  4.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하는 9인 이내의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
(정답률: 33%)
  • 정답은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하는 9인 이내의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입니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해당 사업장의 대표자, 명예산업안전 감독관, 그리고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 대표로 구성되는데, 부서장은 근로자 대표로 지명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점검시기에 의한 안전점검의 분류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성능점검
  2. 정기점검
  3. 임시점검
  4. 특별점검
(정답률: 80%)
  • 성능점검은 시스템이나 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점검으로, 점검시기에 의한 안전점검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점검시기에 따라 분류된 안전점검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물체의 낙하 및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 가장 적절한 안전모의 종류는?

  1. A
  2. AB
  3. AE
  4. BE
(정답률: 73%)
  • 정답은 "AE"입니다.

    A. 일반 안전모: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이지만, 물체의 낙하나 비래로부터 보호하지 못하므로 위험을 방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AB. 작업용 안전모: 일반 안전모와 마찬가지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이지만, 작업 중 물체의 낙하나 비래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위험을 방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AE. 산업용 안전모: 머리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물체의 낙하나 비래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있어 위험을 방지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이기도 합니다.

    BE. 전동킥보드용 안전모: 머리를 보호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물체의 낙하나 비래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없으므로 위험을 방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허츠버그(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생요인은 직무내용에 관련된 요인이다.
  2. 동기요인은 직무에 만족을 느끼는 주요인이다.
  3. 위생요인은 매슬로우 욕구단계 등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와 유사하다.
  4. 동기요인은 매슬로우 욕구단계 중 생리적 욕구와 유사하다.
(정답률: 64%)
  • 정답은 "동기요인은 직무에 만족을 느끼는 주요인이다." 이다.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은 직무 만족과 불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을 2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 중 동기요인은 직무 자체에 대한 만족을 높이는 요인으로, 직무의 자체적인 특성이나 성취감, 인정 등이 해당된다. 반면 위생요인은 직무 환경이나 조건에 대한 만족을 높이는 요인으로, 급여, 근무환경, 조직문화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동기요인은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토의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고표현력을 길러 준다.
  2. 결정된 사항에 따르도록 한다.
  3.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없다.
  4. 자기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 준다.
(정답률: 74%)
  • 정답: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없다."

    이유: 토의법은 주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어도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자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하며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밝히는 것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사전지식이 없어도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상 다음 [그림]의 안전ㆍ보건표지의 명칭은?

  1. 화재경고
  2. 인화성물질경고
  3. 폭발성물질경고
  4. 산화성물질경고
(정답률: 94%)
  • 이 그림은 "인화성물질경고" 안전ㆍ보건표지이다. 이유는 그림에 있는 불꽃과 "화학물질"이라는 글씨로 인화성물질의 위험성을 알리고 있다. 인화성물질은 불에 타면 화재를 일으키는 물질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피로 측정에 관한 감각기능검사의 측정 대상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뇌파
  2. 플리커
  3. 안구운동
  4. 체온ㆍ피부온도
(정답률: 42%)
  • 체온ㆍ피부온도는 피로 측정에 관한 감각기능검사의 측정 대상 항목과는 거리가 먼 항목입니다. 이는 체온ㆍ피부온도가 피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뇌파, 플리커, 안구운동은 모두 피로와 관련된 신체적 반응을 측정하는 항목으로, 피로 측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반경 20cm 의 조종구(ball control)를 30° 움직였을 때 2cm 이동하였다면 통제표시비는 약 얼마인가?

  1. 8.25
  2. 7.73
  3. 6.27
  4. 5.24
(정답률: 43%)
  • 통제표시비(Control Signal Ratio)는 움직임과 조종구의 움직임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통제표시비 = 움직임 / (조종구 반경 x 움직인 각도)

    여기서 움직임은 2cm이고, 조종구 반경은 20cm이다. 또한, 움직인 각도는 30도이다. 따라서 통제표시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통제표시비 = 2 / (20 x 30) = 0.00333

    하지만, 이 값을 보기에서 주어진 값으로 변환해야 한다.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해야 한다. 이때, 반올림한 값이 5.24가 되는데,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5.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할 경우에 가장 적합한 시각적 표시장치는?

  1. 동침형
  2. 동목형
  3. 수평형
  4. 계수형
(정답률: 68%)
  • 계수형이 가장 적합한 시각적 표시장치이다. 이는 수치를 정확하게 읽어야 할 경우, 계수형이 숫자를 직접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이다. 다른 형태의 표시장치들은 수치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 단계 중 제2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이 아닌 것은?

  1. 건조물
  2. 공정계통도
  3. 중간 제품
  4. 소방설비
(정답률: 44%)
  • 제2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
    2. 설비 안전성 평가
    3. 작업 환경 안전성 평가
    4. 안전 관리 체계 평가

    따라서, 공정계통도는 제2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이 아니다. 공정계통도는 화학공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설비 안전성 평가와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평가 대상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준의 유형 가운데 체계기준(system criteria)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운용비
  2. 신뢰도
  3. 시고빈도
  4. 사용상의 용이성
(정답률: 14%)
  • 체계기준은 보안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 기밀성 등과 같은 보안 요소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따라서 "시고빈도"는 보안 요소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체계기준에 해당되지 않는다. "시고빈도"는 시스템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암호체계 사용상의 일반적인 지침에서 “암호의 변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암호화한 자극은 감지장치나 사람이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모든 암호의 표시는 다른 암호 표시와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
  3. 암호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그 뜻을 분명히 알 수 있어야 한다.
  4. 두 가지 이상의 암호 차원을 조합해서 사용하면 정보전달이 촉진된다.
(정답률: 64%)
  • "모든 암호의 표시는 다른 암호 표시와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는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암호화된 정보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암호화된 정보가 다른 정보와 혼동되지 않도록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암호화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음의 청취가 다른 음에 의해 방해되는 청각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ebug
  2. masking
  3. vigilance
  4. anthropometry
(정답률: 69%)
  • 음의 청취가 다른 음에 의해 방해되는 청각 현상을 "masking"이라고 한다. 이는 더 큰 음의 주파수 범위가 작은 음의 주파수 범위를 가리는 현상으로, 작은 음이 들리지 않게 만들어 버리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인간실수확률에 대한 추정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1. OHA
  2. PHA
  3. HAZOP
  4. THERP
(정답률: 75%)
  • THERP는 인간실수확률에 대한 추정기법으로, 인간의 실수 가능성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THER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6261
  2. 0.7371
  3. 0.8481
  4. 0.9591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FT도에서 G1의 발생확률은? (단, G2 = 0.1, G3 = 0.2, G4 = 0.3 의 발생확률을 갖는다.)

  1. 0.006
  2. 0.300
  3. 0.496
  4. 0.600
(정답률: 70%)
  • G1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G2, G3, G4가 모두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G2, G3, G4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구하면 된다. 이는 각각 (1-0.1), (1-0.2), (1-0.3)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들의 곱은 0.42이므로, G1이 발생할 확률은 0.42 * 0.0143 = 0.00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휴먼에러 중 필요한 task 및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에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time error
  2. omission error
  3. commission error
  4. extraneous error
(정답률: 50%)
  • "omission error"는 필요한 task나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에러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와 가장 관련이 있는 답은 "omission error"이다. "time error"는 시간과 관련된 에러를 의미하며, "commission error"는 잘못된 task나 절차를 수행하여 발생하는 에러를 의미한다. "extraneous error"는 불필요한 task나 절차를 수행하여 발생하는 에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서 A 는 자극의 불확실성, B 는 반응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이 때 C 부분이 나타내는 것은?

  1. 전달된 정보량
  2. 불안전한 행동의 양
  3. 자극과 반응의 확실성
  4. 자극과 반응의 검출성
(정답률: 39%)
  • C 부분은 "전달된 정보량"을 나타낸다. 이는 A와 B의 불확실성에 따라 전달되는 정보의 양을 의미한다. A와 B가 모두 불확실할수록 전달되는 정보량은 많아지고, A와 B가 모두 확실할수록 전달되는 정보량은 적어진다. 따라서 C 부분은 전달된 정보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정적자세를 유지할 때 진전(tremor)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각적인 참조가 있도록 한다.
  2. 손을 심장 높이가 되도록 유지한다.
  3. 작업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도록 한다.
  4. 근로자가 떨지 않으려고 힘을 주어 노력한다.
(정답률: 42%)
  • 작업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도록 하는 것은 진전을 감소시키는 방법 중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작업대상물에 마찰이 있으면 근로자의 손이 미세하게 움직여도 작업대상물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진전이 감소됩니다. 반면에 근로자가 떨지 않으려고 힘을 주어 노력하는 것은 정적자세를 유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진전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원자력 산업과 같이 이미 상당한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장소에서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 광범위하고 고도의 안전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 해석방법은?

  1. ETA
  2. FHA
  3. MORT
  4. FMECA
(정답률: 79%)
  • MORT는 "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의 약자로, 관리, 감시 및 위험 분석을 위한 트리 구조를 사용하는 방법론입니다. 이 방법론은 원자력 산업과 같이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분석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식별하고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MORT가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작업장의 조명 수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업환경의 추천 광도비는 5 : 1 정도이다.
  2. 천장은 80 ~ 90% 정도의 반사율을 가지도록 한다.
  3. 작업영역에 따라 휘도의 차이를 크게 한다.
  4. 실내표면의 반사율은 천장에서 바닥의 순으로 증가시킨다.
(정답률: 54%)
  • 천장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면 작업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광원의 반사율이 높아져서 작업환경이 밝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점광원에 적용할 때 조도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2%)
  • ""이 옳은 식이다. 이유는 조도는 광량과 면적의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도는 광량(lux)을 면적(m²)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은 광량(lux)을 면적(m²)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낸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일반적인 수공구의 설계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손목을 곧게 유지한다.
  2. 반복적인 손가락 동작을 피한다.
  3. 사용이 용이한 검지만을 주로 사용한다.
  4. 손잡이는 접촉면적을 가능하면 크게 한다.
(정답률: 65%)
  • "사용이 용이한 검지만을 주로 사용한다."는 일반적인 수공구의 설계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유는 이것은 개인적인 사용 습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수공구의 설계원칙은 손목을 곧게 유지하고 반복적인 손가락 동작을 피하며, 손잡이는 접촉면적을 가능하면 크게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인간 눈에서 빛이 가장 먼저 접촉하는 부위는?

  1. 각막
  2. 망막
  3. 초자체
  4. 수정체
(정답률: 65%)
  • 인간 눈에서 빛이 가장 먼저 접촉하는 부위는 각막입니다. 각막은 눈의 투명한 외부 구조물로, 빛이 눈에 들어오면 먼저 각막을 통과하여 눈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각막은 빛을 굴절시켜 눈의 뒷부분인 망막에 정확하게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각막은 눈의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며, 빛을 인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신뢰도를 구조상으로 직렬구조에 해당되는 것은?

  1. 3발 자전거의 바퀴
  2. 건물내의 스프링클러
  3. 검사인원의 중복 투입
  4.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정답률: 35%)
  • 정답은 "3발 자전거의 바퀴"입니다. 직렬구조는 여러 개의 구성 요소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각 구성 요소의 신뢰성이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입니다. 3발 자전거의 바퀴는 다른 요소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직렬구조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복 구조나 병렬 구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동작경제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동작의 범위는 최대로 할 것
  2. 동작은 연속된 곡선운동으로 할 것
  3. 양손은 좌우 대칭적으로 움직일 것
  4. 양손은 동시에 시작하고 동시에 끝내도록 할 것
(정답률: 55%)
  • "동작은 연속된 곡선운동으로 할 것"이 동작경제의 원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동작의 범위를 최대로 하는 것은 효율적인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을 만드는 공정에서 한 번에 많은 양을 생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동작의 범위를 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양손이 좌우 대칭적으로 움직이고 동시에 시작하고 끝내도록 하는 것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극들간, 반응들간 혹은 자극과 반응조합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검출성
  2. 변별성
  3. 양립성
  4. 표준화
(정답률: 46%)
  • 양립성은 자극과 반응이나 반응들간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양립성이 있다는 것은 자극과 반응이나 반응들간의 관계가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하며, 인간의 기대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험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혼화제인 AE제가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된다.
  2. 철근과의 부착강도는 커지는 경향이 있다.
  3. 시공성이 좋아진다.
  4. 단위 수량이 적게 된다.
(정답률: 66%)
  • 단위 수량이 적게 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E제는 혼화제로서 콘크리트의 경화과정에서 생성되는 기포를 제어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철근과의 부착강도도 향상됩니다. 또한, AE제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시공성이 좋아지는데, 이는 혼화재의 물성이 개선되어 콘크리트의 플라스틱성과 유동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할 때 목표지점까지 케이싱 튜브(casing tube)로 공벽(孔壁)을 보호하면서 굴착하는 공법은?

  1. 심초말뚝공법
  2. 베노토(benoto)말뚝공법
  3. 어스 드릴(earth drill)말뚝공법
  4. 리버스 서큘레이션(reverse circulation)말뚝공법
(정답률: 38%)
  • 베노토 말뚝공법은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할 때 목표지점까지 케이싱 튜브로 공벽을 보호하면서 굴착하는 공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베노토 말뚝공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말뚝을 시공하는 공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QC의 7대 도구 중 결함부나 기타 시공불량 등 항목을 구분하여 크기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결함항목을 집중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파레토도
  2. 히스토그램
  3. 산포도
  4. 관리도
(정답률: 55%)
  • 파레토도는 QC의 7대 도구 중 하나로, 결함부나 기타 시공불량 등 항목을 구분하여 크기순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결함항목 중 상위 20%의 항목을 집중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전체 결함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함항목을 집중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건축공사의 시공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흙막이 및 토공사 - 기초공사 - 방수공사 - 구체공사 - 지붕공사 - 마무리공사
  2. 흙막이 및 토공사 - 기초공사 - 철근콘크리트공사 - 조적 및 미장공사 - 방수공사 - 지붕공사 - 마무리 공사
  3. 흙막이 및 토공사 - 기초공사 - 조적 및 미장공사 - 철근콘크리트공사 - 지붕공사 -방수공사 - 마무리 공사
  4. 기초공사 - 흙막이 및 토공사 - 구체공사 - 미장공사 - 방수공사 - 마무리공사 - 지붕공사
(정답률: 67%)
  • 건축공사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흙막이 및 토공사 - 기초공사 - 철근콘크리트공사 - 조적 및 미장공사 - 방수공사 - 지붕공사 - 마무리 공사". 이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위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흙막이와 토공사를 통해 지하수 유입을 막고, 기초공사를 통해 건축물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공사를 통해 구조물을 만들고, 조적 및 미장공사를 통해 외벽을 만듭니다. 방수공사를 통해 건축물 내부를 보호하고, 지붕공사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막습니다. 마지막으로 마무리공사를 통해 건축물의 외관을 완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컨시스턴시(consistency)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반줄질기 여하에 따르는 작업의 난이도 정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2. 주로 수량의 다소에 따르는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3. 거푸집에 쉽게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을 제거하면 천천히 변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4.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정답률: 47%)
  •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컨시스턴시(consistency)는 주로 수량의 다소에 따르는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의미합니다. 즉, 콘크리트가 얼마나 유동성이 있는지, 얼마나 쉽게 다져 넣을 수 있는지 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반죽의 특성을 파악하여 작업의 난이도를 예측하고, 재료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표준관입시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토질시험의 일종이다.
  2. 추의 무게는 63.5kg 이다.
  3. N의 값이 작을수록 밀실한 토질이다.
  4. N의 값은 30cm를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이다.
(정답률: 61%)
  • "N의 값이 작을수록 밀실한 토질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N 값이 작을수록 토질이 더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N 값은 30cm를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이며, 이는 토질의 밀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N 값이 작을수록 밀실한 토질이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관말뚝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한 타격에도 견디며 다져진 중간지층의 관통도 가능하다.
  2. 중량이 가볍고, 단면적이 작다.
  3. 이음이 강하며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
  4. 상부구조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재료비가 저렴하다.
(정답률: 63%)
  • 강관말뚝은 상부구조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이음이 강하며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강관말뚝은 상부구조와의 결합이 용이하며, 재료비가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은?

  1. 물시멘트비
  2. 골재의강도
  3. 단위시멘트량
  4. 슬럼프값
(정답률: 64%)
  •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시멘트비, 단위시멘트량, 슬럼프값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초공사를 하기 위하여 땅을 파는 일을 기초파기 또는 흙파기라 하는데, 흙파기 모양에 따라 구분한 용어가 아닌것은?

  1. 구덩이파기(pit excavation)
  2. 줄기초파기(trenching)
  3. 온통기초파기(overall excavation)
  4. 탑다운 공법(top-down method)
(정답률: 71%)
  • 정답: 탑다운 공법(top-down method)

    설명: 구덩이파기는 작은 구덩이를 파는 것, 줄기초파기는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줄기를 파는 것, 온통기초파기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깊이로 땅을 파는 것이다. 반면에 탑다운 공법은 건물의 상부부터 차례로 공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지하층부터 차례로 공사를 진행하는 보통의 공법과는 다르다. 이 방법은 건물의 상부부터 공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지하수나 지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공사 중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체 공사가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량 6,000m3을 8톤 트럭으로 운반할 때 필요한 트럭 대수는?(단 톤 트럭 1대의 적재량 6m3 이고 트럭은 5회 운행함)

  1. 120대
  2. 150대
  3. 180대
  4. 200대
(정답률: 62%)
  • 6,000m3을 1대의 트럭이 적재할 수 있는 6m3으로 나누면 1,000대의 트럭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각 트럭은 5회 운행하므로, 실제 필요한 트럭 대수는 1,000/5 = 200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수직 거푸집의 상호간 간격을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것은?

  1. 박리제(form oil)
  2. 세퍼레이터(separator)
  3. 스페이서(spacer)
  4. 서포트(support)
(정답률: 73%)
  • 세퍼레이터는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수직 거푸집의 상호간 간격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거푸집 사이에 삽입되어 콘크리트가 거푸집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며, 건축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가 도급계약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시급한 공사인 경우 계약을 간단히 할 수 있다.
  2. 설계변경으로 인한 수량증감의 계산이 어렵고 일식 도급보다 복잡하다.
  3. 공사비가 높아질 염려가 있다.
  4. 총공사비를 예측하기 힘들다.
(정답률: 66%)
  • 설계변경으로 인한 수량증감의 계산이 어렵고 일식 도급보다 복잡하다는 것은 단가 도급계약에서는 공사의 단가를 미리 정해놓고 수량증감이 발생하더라도 단가에 따라 계산이 가능하지만, 일식 도급에서는 수량증감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므로 계산이 복잡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내외관을 소정의 깊이까지 박은 후 내관을 빼내고, 외관내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내관으로 다지면서 점차 외관도 뽑아 올려 콘크리트를 구근형으로 만들어 완성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파일은?

  1. 심플렉스파일
  2. 컴프레솔파일
  3. 페테스탈파일
  4. 레이몬드파일
(정답률: 27%)
  • 페테스탈파일은 내외관을 소정의 깊이까지 박은 후 내관을 빼내고, 외관내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내관으로 다지면서 점차 외관도 뽑아 올려 콘크리트를 구근형으로 만들어 완성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심플렉스파일, 컴프레솔파일, 레이몬드파일은 이와 관련된 개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근콘크리트에서 이어붓기 위치로 틀리게 기술된 것은?

  1. 기둥이음의 기둥은 중간에서 수평으로 한다.
  2. 아치의 이음은 아치축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3. 보, 바닥판 이음은 그 스팬의 중앙 부근에서 수직으로 한다.
  4. 벽은 개구부 등 끊기 좋은 위치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한다.
(정답률: 42%)
  • "기둥이음의 기둥은 중간에서 수평으로 한다."는 틀린 기술입니다. 기둥이음의 기둥은 수직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이유는 기둥이음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수직으로 이어져야만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현장에서 공무적 현장관리가 아닌 것은?

  1. 자재관리
  2. 노무관리
  3. 위험 및 재해방지
  4. 공정표작성
(정답률: 29%)
  • 공정표작성은 현장에서 공무적인 역할이 아닌,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업무로서, 생산 계획과 실적을 비교하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공무적 현장관리와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현장용접시 발생하는 재해예방조치를 설명한 것이다. 이 중 화재예방조치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가장 작은 것은?

  1. 용접기의 완전한 접지(earth)를 한다.
  2. 용접부분 부근의 가연물이나 인화물을 치운다.
  3. 착의, 장갑, 구두 등을 건조상태로 한다.
  4. 불꽃이 비산하는 장소에 주의한다.
(정답률: 59%)
  • 정답: 불꽃이 비산하는 장소에 주의한다.

    설명: 착의, 장갑, 구두 등을 건조상태로 하는 것은 정전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이다. 정전기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예방조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요인이 아닌 것은?

  1. 백화(百花)
  2. 염해
  3. 중성화
  4. 동해
(정답률: 59%)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요인은 대개 염해, 중성화, 동해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들이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백화(百花)"는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요인이 아닙니다. "백화(百花)"는 꽃이 백 개가 함께 피어나는 것을 뜻하는 중국어 표현으로, 여기서는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요인과는 관련이 없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용어에 대한 정의로 틀린 것은?

(정답률: 52%)
  • ""은 틀린 정의가 없다. 이는 이미지 파일로, 용어에 대한 정의가 아니라 그림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철골공사의 녹막이칠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깎기 마무리한 면의 녹막이 칠은 그리이스(grease) 칠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공장가공 후 현장으로 운반하기 전 녹막이칠을 1~2회 정도 한다.
  3.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에는 반드시 녹막이칠을 한다.
  4. 현장 용접부분은 용접부에서 100mm 이내에 녹막이 칠을 하지 않는다.
(정답률: 63%)
  • "현장 용접부분은 용접부에서 100mm 이내에 녹막이 칠을 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용접부분은 녹막이칠을 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용접부에서 100mm 이내에 녹막이 칠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에는 녹막이칠을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은 습기와 물에 노출되어 부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녹막이칠을 하여 부식을 예방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철골공사의 철골부재 용접에서 용접 결함이 아닌 것은?

  1. 언더컷(under cut)
  2. 오버랩(overlap)
  3. 위핑(weeping)
  4. 블로우홀(blow hole)
(정답률: 67%)
  • 위핑(weeping)은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봉과 부재 사이의 간극에서 용접재가 누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용접 결함이 아닌 것입니다. 반면, 언더컷(under cut)은 용접 부위의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파여있는 결함, 오버랩(overlap)은 용접 부위에서 부재가 겹쳐져 있는 결함, 블로우홀(blow hole)은 용접 부위에서 기체나 불순물이 포함된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학

61. 타일의 제조공정에서 건식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장타일은 주로 건식제법으로 제조된다.
  2. 제조능률이 높다.
  3. 치수 정도(精度)가 좋다.
  4. 복잡한 형상의 것에 적당하다.
(정답률: 48%)
  • "복잡한 형상의 것에 적당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건식제법은 타일의 형상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타일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이는 다른 제조공정인 습식제법과는 차이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리석의 성질과 용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석질이 치밀하고 판석으로서 지붕 외벽 등에 붙이고 비석, 숫돌로 이용된다.
  2. 석질이 견고하고 조적재, 기초석재, 장식용으로 쓰인다.
  3. 내화도는 높으나 조잡하여 경량골재, 내화재 등에 사용한다.
  4. 석질이 치밀하고 열, 산에는 약하지만 미려하므로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55%)
  • 석질이 치밀하고 열, 산에는 약하지만 미려하므로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 대리석은 높은 광택과 아름다운 무늬가 있어서 건축물의 장식재로 많이 사용되며, 조각, 도자기, 조명기구 등의 예술품 제작에도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석회암(CaCO3)을 900~1200˚C 정도로 가열 소성하여 얻어지는 것은?

  1. 소석회
  2. 생석회
  3. 무수석고
  4. 마그네시아 석회
(정답률: 34%)
  • 석회암을 가열 소성하면 이산화탄소(CO2)가 방출되면서 생석회(CaO)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석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KS에 규정된 1종 포틀랜드 시멘트의 4주 압축강도는?

  1. 10.8 MPa 이상
  2. 12.7 MPa 이상
  3. 19.6 MPa 이상
  4. 28.4 MPa 이상
(정답률: 61%)
  • KS에 규정된 1종 포틀랜드 시멘트의 4주 압축강도는 28.4 MPa 이상이다. 이는 건축물 등을 지을 때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시멘트가 28.4 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 충분히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시멘트는 건축물 등을 지을 때 안전성과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점토제품의 원료와 그 역할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규석, 모래 - 점성 조절
  2. 장석, 석회석 - 균열 방지
  3. 샤모트(chamotte) - 내화성 증대
  4. 식염, 붕사 - 용융성 조절
(정답률: 22%)
  • 규석과 모래는 점토제품의 점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점토와 물이 혼합되어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여 제품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규석과 모래는 점토제품의 기계적인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성암의 일종으로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며,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대재를 얻을 수 있으나, 함유광물의 열팽창계수가 달라 내화성이 약한 석재는?

  1. 안산암
  2. 사암
  3. 화강암
  4. 응회암
(정답률: 65%)
  • 화강암은 내구성과 강도가 높고 외관이 수려하며,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대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함유광물의 열팽창계수가 비교적 일정하여 내화성이 강합니다. 반면에 안산암, 사암, 응회암 등은 함유광물의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내화성이 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강암은 내화성이 강한 화성암의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강을 800~1000˚C로 가열하여 그 온도에서 수십분 간 보존한 후 대기 중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열처리로 조직을 개선하고 결정을 미세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은?

  1. 불림
  2. 풀림
  3. 담금질
  4. 뜨임질
(정답률: 16%)
  • 강을 불림하는 것은 강의 조직을 개선하고 결정을 미세화하기 위해 수행하는 열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과정에서 강을 800~1000˚C로 가열하여 보존한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데, 이는 강의 내부 구조를 재배열하고 결정을 미세화하여 강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불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의 각종 미장재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반죽 바름은 수경성 재료이며 소석회에 물과 풀을 넣고 여물을 섞어 바른다.
  2. 질석모르타르는 질석을 모르타르에 혼합한 것으로 내화피복용 바름재로 쓰인다.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기경성 재료이며 건조수축이 크다.
  4. 석고 플라스터는 소석고를 주성분으로 한다.
(정답률: 46%)
  • "회반죽 바름은 수경성 재료이며 소석회에 물과 풀을 넣고 여물을 섞어 바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회반죽 바름은 기경성 재료이며, 석회와 흑연을 혼합하여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건축재료로 쓰이는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ㆍ전기전도성이 우수하다.
  2. 가공성이 나빠서 복잡한 형상의 제작이 곤란하다.
  3. 내화성이 크다.
  4. 산, 알칼리 등에 강해서 콘크리트용으로 적합하다.
(정답률: 48%)
  • 알루미늄은 전자를 잘 전달하고 열을 잘 전달하는 성질이 있어 열ㆍ전기전도성이 우수합니다. 이는 알루미늄이 금속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건축용 접착제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성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경화시 체적수축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것
  2.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시 유동성이 없을 것
  3. 장기 하중에 의한 크리프가 없을 것
  4. 진동, 충격의 반복에 잘 견딜 것
(정답률: 47%)
  • 건축용 접착제는 건축물의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화시 체적수축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이와 관련이 더불어,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시 유동성이 없어야 하는 이유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흘러내리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사용 후에도 접착제가 유동성을 유지하면 건축물의 구조물이 이동하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시 유동성이 없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보통 콘크리트용 쇄석의 원석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현무암
  2. 안산암
  3. 화강암
  4. 응회암
(정답률: 40%)
  • 응회암은 암석 중에서도 부식성이 강하고 약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쇄석의 원석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응회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목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활엽수는 일반적으로 침엽수에 비해 단단한 것이 많아 경재(硬材)라 부른다.
  2. 인장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수직인 경우에 최대가 된다.
  3. 불에 타는 단점이 있으나 열전도도가 아주 낮아 여러가지 보온재료로 사용된다.
  4.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도 불구하고 신축을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률: 26%)
  • "인장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수직인 경우에 최대가 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인장강도는 섬유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최대가 된다. 이는 목재의 구조상 섬유방향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섬유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는 인장강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난이도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워커빌리티(workability)
  2. 컨시스턴시(consistency)
  3.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4. 펌퍼빌리티(pumpability)
(정답률: 45%)
  • 워커빌리티는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의 난이도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즉, 콘크리트가 얼마나 쉽게 타설될 수 있는지, 또한 타설 후 재료가 얼마나 분리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워커빌리티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타설이 쉽고, 재료의 분리가 적은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블로운 아스팔트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해 동식물성 유지와 광물질 분말을 혼입하여 제작한 것은?

  1. 아스팔트 프라이머
  2. 아스팔트 컴파운드
  3. 아스팔트 코팅
  4. 아스팔트 에멀젼
(정답률: 43%)
  • 아스팔트 컴파운드는 동식물성 유지와 광물질 분말을 혼입하여 제작된 블로운 아스팔트로, 이를 통해 기존의 아스팔트보다 더 높은 내구성과 접착력을 가지게 되어 성능이 개선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는 블로운 아스팔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프리팩트 콘크리트에서 주입용 모르타르에 쓰이는 모래의 조립률(FM값)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0.7 ~ 1.2
  2. 1.4 ~ 2.2
  3. 2.3 ~ 3.7
  4. 3.8 ~ 4.0
(정답률: 39%)
  • 주입용 모르타르는 고강도를 요구하므로 모래의 조립률(FM값)은 1.4 ~ 2.2가 적합하다. 이 범위 내에서 모래의 입도 분포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어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입도 분포가 적절하지 않거나 너무 미세하거나 거칠기 때문에 주입용 모르타르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집성목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옹이, 균열 등의 각종 결점을 제거하거나 이를 적당히 분산시켜 되도록 균질한 조직의 인공목재를 제조 할 수 있다.
  2. 보, 기둥, 아치, 트러스 등의 구조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3. 직경이 작은 목재들을 접착하여 장대재(長大材)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4. 소재를 약제처리 후 집성접착하므로 양산이 어려우며 건조균열 및 변형 등을 피할 수 없다.
(정답률: 60%)
  • "소재를 약제처리 후 집성접착하므로 양산이 어려우며 건조균열 및 변형 등을 피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집성목재의 특징 중 하나인데, 집성목재는 소재를 약제처리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양산이 어렵고, 건조균열 및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목재의 건조목적이 아닌 것은?

  1. 목재의 강도 증진
  2. 도료, 주입제 및 접착제의 효과 증대
  3. 균류 발생의 방지
  4. 수지낭(resin pocket)과 연륜의 제거
(정답률: 60%)
  • 수지낭과 연륜은 목재 내부에 있는 결함으로, 목재의 강도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목재의 건조목적이 아니며, 제거하는 것은 목재의 외관적인 아름다움을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강제품 중에서 내식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으며, 장식적으로도 광택이 미려한 Cr-Ni 합금의 비자성강(鋼)은?

  1. 스테인리스강
  2. 탄소강
  3. 주철
  4. 주강
(정답률: 78%)
  •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강도가 높고 광택이 미려한 비자성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주로 식기류, 의료기기, 건축자재 등에 사용되며, 녹슬지 않는 성질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합성수지와 그 용도의 조합으로 부적당한 것은?

  1. 멜라민수지 - 테이블용
  2. 아크릴수지 - 도어(door)용
  3. 폴리에스테르수지 - 타일용
  4. 폴리스티렌수지 - 단열용
(정답률: 36%)
  •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내구성이 높고 물에 강하며 열에 강한 특징이 있어 타일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타일은 평평한 표면이 필요한데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표면이 부드러워서 부적당합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타일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동일한 워커빌리티를 가진 보통콘크리트보다 많은 단위수량을 필요로 한다.
  2. 동일한 보통콘크리트보다 중성화 속도가 느리다.
  3.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화학저항성이 증대 된다.
  4. 초기강도는 증가되지만 장기강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50%)
  • 플라이애쉬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우고, 수분의 이동을 제한하여 콘크리트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지며, 화학적 공격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화학저항성이 증대 된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안전기술

81.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밀이란 흙의 간극 속에서 물이 배수됨으로써 오랜 시간에 걸쳐 압축되는 현상을 말한다.
  2. 압밀시험의 목적은 지반의 침하 속도와 침하량을 추정해서 설계 시공의 자료를 얻는데 있다.
  3. 일반적으로 점토는 투수계수가 작아 압밀이 장시간에 걸쳐 일어나나, 간극비가 작아 침하량은 작다.
  4. 압밀이 완료되면 과잉간극수압(Ue)은 0 이 된다.
(정답률: 58%)
  • 압밀이 완료되면 과잉간극수압(Ue)은 0 이 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압밀이 완료되어도 일부 과잉간극수압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터널굴착 작업시 시공계획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터널굴착방법
  2. 터널지보공 및 복공의 시공방법과 용수처리방법
  3. 자동경보장치의 설치방법
  4. 환기 또는 조명시설을 하는 때에는 그 방법
(정답률: 52%)
  • 자동경보장치의 설치방법은 시공계획의 내용이 아닙니다. 시공계획은 터널굴착방법, 터널지보공 및 복공의 시공방법과 용수처리방법, 환기 또는 조명시설을 하는 때에는 그 방법 등과 같은 작업의 계획과 일정 등을 포함합니다. 자동경보장치의 설치방법은 시설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인 내용에 해당하므로 시공계획의 범주를 벗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동바리를 조립할 때 준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할 것
  2. 깔목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 침하방지 조치를 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는 제외)은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3개 방향으로 설치할 것
  4.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연결할 것
(정답률: 59%)
  •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는 제외)은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3개 방향으로 설치할 것"이 틀린 것은 없다. 이는 건설현장에서 안전을 위해 동바리를 조립할 때 준수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3개 방향으로 설치하여 강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에 건설기계의 전도 또는 전락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취하여야 할 조치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도로폭의 유지
  2. 지반의 부동침하방지
  3. 울, 손잡이 설치
  4. 갓길의 붕괴방지
(정답률: 67%)
  • 울, 손잡이 설치는 건설기계의 전도 또는 전락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사항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근로자의 안전한 행동을 위하여 통로에 설치하여야 하는 조명시설의 조도는?

  1. 30럭스 이상
  2. 75럭스 이상
  3. 150럭스 이상
  4. 300럭스 이상
(정답률: 84%)
  • 근로자가 통로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산업안전기준에 따라 통로에 설치되는 조명시설의 조도는 75럭스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가 충분한 조명 아래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30럭스 이상으로는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지 못하며, 150럭스 이상, 300럭스 이상으로는 과도한 조명으로 인해 근로자의 눈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75럭스 이상이 적절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개착식 굴착공사의 흙막이공법 중 버팀보공법을 적용하여 굴착할 때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측장치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하수위계
  2. 경사계
  3. 록볼트응력계
  4. 변형률계
(정답률: 52%)
  • 록볼트응력계는 지반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장치 중 하나입니다. 버팀보공법으로 굴착할 때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로크볼트를 이용하여 지반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로크볼트의 응력을 측정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다른 계측장치와 달리 지반의 안정성을 측정하는데 특화된 로크볼트응력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표준안전작업지침에 의하면 인력굴착 작업시 굴착면이 계단식 굴착을 할 때 소단의 폭은 수평거리 얼마정도로 하여야 하는가?

  1. 1m
  2. 1.5m
  3. 2m
  4. 2.5m
(정답률: 15%)
  • 인력굴착 작업시 굴착면이 계단식 굴착을 할 때 소단의 폭은 최소 2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한 굴착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폭으로, 작업자의 안전과 굴착면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항타기 또는 항발기를 조립할 때 점검하여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권상기의 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2. 본체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3. 이동 제동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률: 39%)
  • 항타기 또는 항발기를 조립할 때 이동 제동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이유는 항공기가 이동 중에도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이동 제동장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동 제동장치의 기능에 이상이 있을 경우 항공기가 이동 중에도 정지하지 못하거나, 정지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점검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항들이므로 모두 점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거푸집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시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보, 슬래브 등의 거푸집동바리 등을 해체할 때에는 낙하, 충격에 의한 돌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목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2.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달줄, 달포대 등을 사용할 것
  3. 비ㆍ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쁠 때 작업을 중지시킬 것
  4. 크레인 등 양중기로 철근을 운반할 경우에는 중앙의 1개소 이상을 묶어 수평으로 운반할 것
(정답률: 70%)
  • "크레인 등 양중기로 철근을 운반할 경우에는 중앙의 1개소 이상을 묶어 수평으로 운반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올바른 조립 또는 해체작업시 준수사항 중 하나인데, 철근을 수평으로 묶어 운반하는 것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하면 철근이 떨어지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자재 등의 물체 투하에 투하설비를 설치하거나 감시인을 배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최소 높이는 얼마 이상부터인가?

  1. 2m
  2. 3m
  3. 4m
  4. 5m
(정답률: 64%)
  • 자재 등의 물체가 떨어질 때 충격으로 인해 인명사고나 부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투하설비나 감시인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최소한의 안전높이는 3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물체가 떨어져도 충격이 충분히 흡수되어 인명사고나 부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가설 통로 중 경사로의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경사로의 폭은 최소 90cm 이상이어야 한다.
  2. 발판 폭은 40cm 이상이어야 한다.
  3. 비탈면의 경사각은 30° 이내이어야 한다.
  4. 경사로의 지지 기둥은 5m 이내로 설치한다.
(정답률: 60%)
  • "경사로의 지지 기둥은 5m 이내로 설치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경사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지지 기둥이 필요하며, 5m 이내로 제한하는 것은 경사로의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지 기둥은 경사로의 길이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통나무 비계는 지상높이 4층 이하 또는 몇 m 이하인 건축물ㆍ공작물 등의 건조ㆍ해체 및 조립 등 작업에서만 사용하여야 하는가?

  1. 5m
  2. 12m
  3. 15m
  4. 20m
(정답률: 63%)
  • 통나무 비계는 안전한 작업을 위해 지상높이가 일정 이상인 건축물ㆍ공작물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이 때, 그 제한 높이는 12m입니다. 따라서, 12m 이상의 건축물ㆍ공작물에서는 통나무 비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달비계에 설치되는 작업발판의 폭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cm 이상
  2. 40cm 이상
  3. 60cm 이상
  4. 80cm 이상
(정답률: 60%)
  • 달비계 작업발판의 폭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최소한 40cm 이상의 폭이 필요한 이유는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폭이 20cm 이하라면 작업자가 발을 교차시키거나 한쪽 발을 앞으로 내밀어서 서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최소한 40cm 이상의 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그림과 같이 무게 500kg의 화물을 인양하려고 한다. 이때 와이어로프의 1가닥에 작용되는 장력(T)는 약 얼마인가?

  1. 500kg
  2. 357kg
  3. 289kg
  4. 144kg
(정답률: 40%)
  • 이 문제에서는 와이어로프가 두 개의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인력을 받고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의 총 장력은 두 장력의 합과 같다. 따라서, 왼쪽 와이어로프에 작용되는 장력을 T1, 오른쪽 와이어로프에 작용되는 장력을 T2라고 하면, T1 + T2 = 총 장력이 된다.

    그림에서는 T1과 T2의 크기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1 = T2 = 총 장력 / 2 이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과 평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왼쪽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장력 T1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과 같다. 중력은 물체의 무게와 같으므로, T1 = 500kg이 된다.

    따라서, 총 장력은 T1 + T2 = 500kg + 500kg = 1000kg이 된다. 이를 2로 나누면 각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가 된다. 따라서, T1 = T2 = 1000kg / 2 = 500kg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00kg이 아닌 다른 값들도 주어졌다. 이는 다른 문제에서의 답이거나, 계산 실수로 인한 오답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그림과 설명을 바탕으로 정확한 답은 "50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채석작업시 붕괴 또는 낙하에 의해 근로자에게 위험의 우려가 있을 때 설치해야 하는 것은?

  1. 건널다리
  2. 천막덮개
  3. 손잡이
  4. 방호망
(정답률: 63%)
  • 채석작업 중에는 붕괴나 낙하 등으로 인해 근로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것은 방호망입니다. 방호망은 작업장의 위층과 아래층을 분리하여 근로자가 낙하하지 않도록 방지하며, 붕괴로 인한 재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석작업시 방호망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히빙(heaving)현상이 잘 발생하는 토질 지반은?

  1. 연약한 점토 지반
  2. 연약한 사질토 지반
  3. 견고한 점토 지반
  4. 견고한 사질토 지반
(정답률: 64%)
  • 히빙 현상은 지반의 압축성이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연약한 점토 지반이나 연약한 사질토 지반이 히빙 현상이 잘 발생하는 지반입니다. 견고한 점토 지반이나 견고한 사질토 지반은 압축성이 낮아 히빙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와이어로프나 철선 등을 이용하여 상부지점에서 작업용 발판을 매다는 형식의 비계로서 건물 외벽도장이나 청소 등의 작업에서 사용되는 비계는?

  1. 브라켓 비계
  2. 달비계
  3. 이동식 비계
  4. 말비계
(정답률: 75%)
  • 달비계는 상부지점에서 작업용 발판을 매다는 형식의 비계로서, 그 모양이 달 모양과 비슷하여 달비계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건물 외벽도장이나 청소 등의 작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달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지면을 절삭하여 평활하게 다듬는 장비로서 노면의 성형과 정지작업에 가장 적당한 장비는?

  1. 모터 그레이더
  2. 백호
  3. 트랜처
  4. 크램쉘
(정답률: 52%)
  • 모터 그레이더는 지면을 절삭하여 평활하게 다듬는 장비로서, 노면의 성형과 정지작업에 가장 적합한 장비입니다. 다른 보기인 백호, 트랜처, 크램쉘은 각각 굴착기, 굴삭기, 크레인 등 다른 용도의 장비이므로, 모터 그레이더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연직하중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하중
  2. 콘크리트 자중
  3. 충격하중
  4. 풍하중
(정답률: 65%)
  • 콘크리트 거푸집은 건물 내부에 위치하므로 지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평하중보다는 수직하중인 연직하중이 더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거리가 먼 것은 풍하중입니다. 건물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압력이 크게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계할 때는 풍하중을 고려하여 강도를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높이 2m 이상인 작업발판의 끝이나 개구부 등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난간
  2. 덮개
  3. 방호선반
  4. 울타리
(정답률: 47%)
  • 방호선반은 작업발판의 끝이나 개구부 등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안전난간, 덮개, 울타리와 달리 작업발판의 끝에서도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호선반은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보호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