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건설안전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태풍, 폭우 등의 이상사태 발생시 관리자나 감독자가 기계ㆍ기구, 설비 등의 기능상 이상 유무에 대하여 점검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일상점검
  2. 특별점검
  3. 정기점검
  4. 수시점검
(정답률: 88%)
  • 태풍, 폭우 등의 이상사태 발생시 기계ㆍ기구, 설비 등의 기능상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점검이 아니라, 이상사태 발생으로 인한 특별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점검이므로 "특별점검"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고예방대책의 기본 원리 5단계 중 "3E"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계는?

  1. 안전관리조직
  2. 현상파악
  3. 사고분석
  4. 시정책의 적용
(정답률: 54%)
  • "시정책의 적용"은 3E 중에서 "Engineering"에 해당하는 단계로, 기술적인 개선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고예방대책의 기본 원리 5단계 중에서 "3E"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계는 "시정책의 적용"입니다. 이는 기술적인 개선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안전장치의 설치, 설비의 보수 및 교체, 안전규정의 개선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알더퍼(Alderfer)의 ERG 이론에 의한 욕구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존재욕구
  2. 관계욕구
  3. 성장욕구
  4. 안전욕구
(정답률: 52%)
  • 알더퍼의 ERG 이론에 따르면, 욕구는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로 분류됩니다. 안전욕구는 이론에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안전욕구는 보통 생존에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존재욕구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안전욕구는 ERG 이론에서 존재욕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억 과정 중 과거에 경험하였던 것과 비슷한 상태에 부딪쳤을 때 떠오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지(retention)
  2. 기명(memorizing)
  3. 재생(recall)
  4. 재인(recognition)
(정답률: 74%)
  • 재인은 기억 과정 중에 과거에 경험했던 것과 비슷한 상황에 부딪쳤을 때 그것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기억을 유지하거나 기억을 불러오는 것을 의미하지만, 재인은 기억된 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육방법 중 강의법(Lecture)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강사의 입장에서 시간의 조정이 가능하다.
  2. 참가자는 긍정적이며, 능동적 입장에 놓인다.
  3. 전체적인 교육내용을 제시하는데 유리하다.
  4. 비교적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단시간에 지식을 부여할 수 있다.
(정답률: 66%)
  • 강의법은 대규모 인원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데 유리하며, 전체적인 교육내용을 제시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하지만 참가자는 대부분 수동적인 입장에 놓이게 되어 상호작용이 적고, 강사의 입장에서 시간의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참가자는 긍정적이며, 능동적 입장에 놓인다."는 강의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외부 측면의 색상으로 옳은 것은?

  1. 흑색
  2. 황색
  3. 녹색
  4. 적색
(정답률: 52%)
  • 암모니아는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암모니아가 녹색으로 표시된 방독마스크를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는 가스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외부 측면은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재해발생과 관련한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서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이전 단계에서 결함이 발생하여도 이 요소를 제거하면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사고 직전의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관리 구조
  2. 제어의 부족
  3. 개인적 결함
  4.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
(정답률: 72%)
  •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서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는 사고 직전의 단계에 해당합니다. 이는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에 사람이나 장비 등의 불안전한 상태나 행동이 있었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불안전한 상태나 행동을 제거하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할당되는 단계는?

  1. 도입
  2. 제시
  3. 적용
  4. 확인
(정답률: 60%)
  •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할당되는 단계는 "제시"이다. 이는 교육자가 주제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단계로, 학습자들이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 가장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더십에 있어서 권한의 역할 중 지도자 자신이 자신에게 부여한 권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보상적 권한
  2. 강압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전문성의 권한
(정답률: 64%)
  • 전문성의 권한은 지도자가 자신의 전문적인 지식, 기술, 경험 등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권한을 말한다. 이는 지도자가 자신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존경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지도자는 팀원들의 신뢰와 존경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의 권한은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산업심리의 5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성
  2. 감정
  3. 기질
  4. 동기
(정답률: 62%)
  • 정답: "적성"

    설명: 산업심리의 5대 요소는 감정, 기질, 동기, 인지, 행동이다. "적성"은 적합성을 의미하는데, 이는 인적성 검사와 관련이 있으며, 산업심리의 5대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교육과제에 정통한 전문가 4~5명이 피교육자 앞에서 자유로이 토의를 실시한 다음에 피교육자 전원이 참가하여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토의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포럼(forum)
  2.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3. 심포지엄(symposium)
  4. 버즈 세션(buzz session)
(정답률: 60%)
  • 패널 디스커션은 교육과제에 정통한 전문가들이 토의를 실시한 후에 피교육자들이 참여하여 사회자의 주도로 토의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토론하며, 참여자들의 의견도 함께 나누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의(Attention)의 특징 중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주의가 집중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선택성
  2. 방향성
  3. 변동성
  4. 검출성
(정답률: 68%)
  • 선택성은 여러 종류의 자극 중에서 소수의 특정한 것에 주의가 집중되는 특징이다. 따라서 정답은 "선택성"이다. 방향성은 자극의 움직임에 따라 주의가 집중되는 특징, 변동성은 자극의 불규칙성에 따라 주의가 집중되는 특징, 검출성은 자극의 존재를 인지하는 능력에 따라 주의가 집중되는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O.J.T(On the Job Train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집합교육형태의 훈련이다.
  2.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3.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4. 전문가를 강사로 활용할 수 있다.
(정답률: 61%)
  • O.J.T(On the Job Training)는 직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면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실제적으로 배우는 훈련 방법이다. 따라서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업 내 정형교육으로 감독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작업을 가르치는 법, 작업의 개선방법 및 대인관계 능력 등을 주로 교육하는 것은?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3.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4.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정답률: 65%)
  • TWI는 기업 내에서 직무 교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으로, 감독자를 대상으로 작업을 가르치는 법, 작업의 개선방법 및 대인관계 능력 등을 주로 교육합니다. 이는 ATT, MTP, CCS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과는 구분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자신조차도 승인할 수 없는 욕구를 타인이나 사물로 전환시켜 바람직하지 못한 욕구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투사(projection)
  2. 합리화(rationalization)
  3. 보상(compensation)
  4. 동일화(identification)
(정답률: 58%)
  • 투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욕구를 타인이나 사물로 전환시켜 자신을 지키려는 적응기제이다. 이는 자신이 부정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려울 때 사용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부정적인 욕구를 외부적인 요인으로 돌리고 자신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투사(projec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A 공장의 도수율이 8 이고, 강도율이 2.4 일 때 종합재해지수(FSI)는 약 얼마인가?

  1. 0.3
  2. 3.33
  3. 4.38
  4. 19.2
(정답률: 63%)
  • 종합재해지수(FSI)는 도수율과 강도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FSI = 8 x 2.4 = 19.2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38" 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내 안전ㆍ보건교육 중 채용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 한다.)

  1.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2. 현장 안전개선방법 및 조사방법에 관한 사항
  3.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4.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정답률: 45%)
  • 채용시의 교육 내용은 새로 입사한 직원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 안전개선방법 및 조사방법은 이미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이므로 채용시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그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손해를 제외한다)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입증 책임
  2. 제조물 책임
  3. 담보 책임
  4. 연대 책임
(정답률: 66%)
  •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해 생명, 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이러한 책임을 제조물 책임이라고 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다른 유형의 책임을 나타내는데, 입증 책임은 증명 책임을 의미하며, 담보 책임은 보증 책임을 의미합니다. 연대 책임은 공동 책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은?

  1. safe-T-score
  2. 평균강도율
  3. 종합재해지수
  4. 안전활동율
(정답률: 66%)
  • "safe-T-score"는 기업의 과거와 현재의 산업재해 안전성적을 비교하여 평가한 점수로, 안전성적의 개선 정도를 수치화하여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안전성적을 평가하는 지표이지만, "safe-T-score"는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00명의 근로자가 주당 45시간씩 연간 50주를 근무하는 A 기업에서 질병 및 그 밖에 사유로 인하여 5%의 결근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기업에서 연간 6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이 기업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1. 25.12
  2. 26.67
  3. 28.07
  4. 51.64
(정답률: 41%)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건의 수를 해당 기간 동안 일정한 인원 또는 단위에서 관찰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연간 근무일수: 45시간 × 5일 × 50주 = 11250일
    - 연간 결근일수: 11250일 × 0.05 = 562.5일
    - 재해 발생률: 60건 ÷ 1000명 = 0.06건/인
    - 연간 재해 발생건수: 0.06건/인 × 1000명 × 11250일 = 675건
    - 도수율: 675건 ÷ 562.5일 × 1000명 = 1200/45, 즉 28.07

    따라서 정답은 "28.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시스템 안전 분석방법 중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 전반적인 광범위한 분야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법으로 이미 상당한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장소에서 더 고도의 안전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ETA
  2. FMEA
  3. MORT
  4. THERP
(정답률: 70%)
  • MORT는 "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의 약자로,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 전반적인 광범위한 분야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입니다. MORT는 이미 상당한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장소에서 더 고도의 안전 달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MOR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man-machine system 에서 인간의 신뢰도를 0.5, 기계의 신뢰도를 0.9로 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직렬 및 병렬작업을 병행할 때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단, 인간과 기계의 고장발생은 독립적이다.)

  1. 0.3848
  2. 0.4557
  3. 0.6866
  4. 0.9575
(정답률: 70%)
  • 직렬작업에서는 두 작업 중 하나라도 고장이 나면 전체 시스템이 고장나므로 인간과 기계의 신뢰도를 곱해준다. 따라서 직렬작업의 신뢰도는 0.5 × 0.9 = 0.45 이다.

    병렬작업에서는 두 작업 모두 고장나야 전체 시스템이 고장나므로 인간과 기계의 신뢰도를 곱한 후 그 결과를 뺀다. 즉, (0.5 × 0.1) + (0.9 × 0.5) - (0.5 × 0.9) = 0.05 이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는 직렬작업과 병렬작업을 합한 값인 0.45 + 0.05 = 0.5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넷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0.5을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384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추천반사율이 높은 것에서부터 낮은 순으로 배열된 것은?

  1. 바닥 > 가구 > 벽 > 천장
  2. 바닥 > 벽 > 가구 > 천장
  3. 천장 > 가구 > 벽 > 바닥
  4. 천장 > 벽 > 가구 > 바닥
(정답률: 55%)
  • 정답은 "천장 > 벽 > 가구 > 바닥" 입니다. 이유는 일반적으로 천장은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청소를 자주 하지 않아도 되지만, 바닥은 매일 걸어다니며 먼지나 머리카락 등이 쌓이기 때문에 자주 청소해야 합니다. 또한 가구는 사람이 자주 만지고 사용하기 때문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쌓이기 쉽고, 벽은 공기 중 먼지나 연기 등이 부딪혀서 쌓이기 때문에 청소 주기가 짧아집니다. 따라서 천장 > 벽 > 가구 > 바닥 순으로 추천반사율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진동이 퍼포먼스에 미치는 영향 중 시각 퍼포먼스는 일반적으로 진동수가 어느 정도일 때 가장 나빠지는가?

  1. 1~5Hz
  2. 10~25Hz
  3. 30~50Hz
  4. 55~75Hz
(정답률: 32%)
  • 시각 퍼포먼스는 일반적으로 10~25Hz에서 가장 나빠집니다. 이는 뇌파의 알파파장과 유사한 주파수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이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뇌파의 알파파장과 상호작용하여 시각적 정보 처리에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이 저하되어 시각 퍼포먼스가 나빠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상대습도가 100%, 온도가 21℃ 일 때 실효온도(effectivetemperature)는 얼마인가?

  1. 10.5℃
  2. 19℃
  3. 21℃
  4. 31.5℃
(정답률: 50%)
  • 상대습도가 100%이므로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화 상태이며, 더 이상 수증기가 증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땀이 증발하지 않아 체감 온도가 낮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효온도는 온도와 동일한 2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강렬한 소음작업"이라 함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몇 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하는가?

  1. 85
  2. 90
  3. 95
  4. 100
(정답률: 26%)
  •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강렬한 소음작업"을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90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서 안전진단 및 적당한 보수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고장의 형태는?

  1. 초기고장
  2. 우발고장
  3. 마모고장
  4. 설계고장
(정답률: 35%)
  • 시스템의 수명곡선에서 마모고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품이 마모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고장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예측 가능하며, 적절한 유지보수와 교체를 통해 방지할 수 있습니다. 초기고장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한 고장이며, 설계고장은 제품 설계 단계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한 고장입니다. 우발고장은 예측할 수 없는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극적인 대책은?

  1. 소음원의 격리
  2. 소음원의 제거
  3. 귀마개 등 보호구의 착용
  4. 덮개 등 방호장치의 설치
(정답률: 71%)
  • 소음원의 제거가 가장 적극적인 대책이다. 소음원을 격리하거나 보호구를 착용하거나 방호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그 소음원이 계속 존재한다면 완전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소음원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극들간의, 반응들간의, 혹은 자극 - 반응 조합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판별성
  2. 지각성
  3. 일치성
  4. 양립성
(정답률: 71%)
  • 양립성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자극들간의, 반응들간의, 혹은 자극 - 반응 조합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즉, 우리가 예상하는 결과와 실제 결과가 일치하고 모순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우리가 예측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을 6단계로 나누었을 때 가장 먼저 수행해야 되는 것은?

  1. 작업조건 측정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4. 관계자료의 정비검토
(정답률: 50%)
  •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이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작업조건 측정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4. 관계자료의 정비검토
    5.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6. 평가 결과의 통보 및 개선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것은 "관계자료의 정비검토"입니다. 이는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기 전에 해당 시스템 또는 제품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시스템 또는 제품의 설계, 운영, 유지보수, 사용 등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합니다. 따라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기 전에 이 과정을 먼저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설비보전 방법 중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고 그 진행을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점검, 청소, 주유 및 교체 등의 활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사후 보전
  2. 개량 보전
  3. 일상 보전
  4. 보전 예방
(정답률: 32%)
  • 일상 보전은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일상적인 점검, 청소, 주유 및 교체 등의 활동을 말한다. 이는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보전 활동으로,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일상 보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교통표지판의 삼각형은 경고를, 안전보건표지의 사각형은 안내를 의미하듯이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있어 이를 배워야 하는 부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묘사적 부호
  2. 추상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공간적 부호
(정답률: 43%)
  • 임의적 부호는 언어나 문화와 관련없이 임의로 만들어진 부호를 말한다. 이러한 부호는 특정한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그 의미는 학습과 교육을 통해 습득되어진다. 따라서, 교통표지판과 안전보건표지와 같이 이미 고안되어 있는 부호와는 달리, 임의적 부호는 특정한 형태나 색상, 그리고 그 의미를 결정하는 규칙이 없기 때문에, 학습과 교육을 통해 습득되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건설현장의 안전표지판의 반사율이 70% 이고, 인쇄된 글자의 반사율이 15% 이면, 대비는 약 몇 % 인가?

  1. 56
  2. 65
  3. 79
  4. 88
(정답률: 56%)
  • 대비는 반사율의 차이를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건설현장의 안전표지판과 인쇄된 글자의 대비는 (70-15)/70 x 100 = 78.57...% 입니다. 소수점을 버리면 대비는 약 79%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00개의 부품을 육안 검사하여 20개의 불량품이 발견 되었다. 실제 불량품이 40개였다면 인간에러확률은 약 얼마인가?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47%)
  • 인간에러확률은 (실제 불량품 중에서 검사 결과 불량으로 나온 부품 수) / (검사 결과 불량으로 나온 부품 수)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실제 불량품 중에서 검사 결과 불량으로 나온 부품 수) = 20, (검사 결과 불량으로 나온 부품 수) = 100 이다.

    실제 불량품이 40개였다면, 검사 결과 불량으로 나와야 하는 부품 수는 40개 중에서 20개를 더한 60개이다. 따라서 인간에러확률은 20/60 = 1/3 = 0.3333...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0.3"과 가장 가깝기는 하지만,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3이 아닌 0.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인간의 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황반(혹은 중심와, fovea)에는 간상(rod)세포가 집중되어 있다.
  2. 간상(rod)세포는 색을 구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3. 빛이 처음으로 도달하는 곳은 수정체이다.
  4. 수정체의 초점 조절작용능력은 diopter(D) 값으로 나타내는데 "1/초점거리"로 정의된다.
(정답률: 35%)
  • 수정체는 빛을 굴절시켜 눈의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이 초점 조절 작용능력은 diopter(D) 값으로 나타내는데, 이는 초점 거리의 역수로 정의된다. 즉,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D 값이 크면) 눈은 더 가까운 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황반(혹은 중심와, fovea)에는 간상(rod)세포가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어둡고 흐린 환경에서도 빛을 감지하여 시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간상 세포는 색을 구별하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수정체의 초점 조절작용능력은 diopter(D) 값으로 나타내는데 '1/초점거리'로 정의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종레버를 10° 움직이면 표시장치는 1cm 이동하는 조종장치가 있다. 레버의 길이가 20cm 라고 하면 이 조종장치의 C/D비는 약 얼마인가?

  1. 1.27
  2. 2.38
  3. 3.49
  4. 4.51
(정답률: 37%)
  • C/D비는 조종레버의 움직임에 따른 표시장치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조종레버를 10° 움직였을 때 표시장치가 1cm 이동한다고 했으므로 C/D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D비 = (표시장치의 이동 거리) / (조종레버의 움직임 각도 × 조종레버의 길이)
    = 1 / (10 × 20)
    = 0.005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C/D비를 약수로 표현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간단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C/D비를 분수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D비 = 1 / (10 × 20) = 1 / 200

    이제 이 값을 약분하면 다음과 같다.

    C/D비 = 1 / 200 = 0.005 = 5/1000 = 1/200

    따라서 C/D비는 1:200 이다. 이를 소수로 나타내면 0.005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3.4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인체에서 뼈의 주요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신체의 지지
  2. 장기의 보호
  3. 조혈작용
  4. 대사작용
(정답률: 61%)
  • 정답: 대사작용

    설명: 뼈는 신체의 지지와 장기의 보호뿐만 아니라, 빈혈 예방을 위한 조혈작용도 수행합니다. 그러나 대사작용은 뼈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대사작용은 신체 내에서 에너지 생산, 미네랄 저장 및 활성화, 혈액 pH 조절 등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실현 가능성이 동일한 2개의 대안이 있을 때 총 정보량은 몇 bit 인가?

  1. 0.5
  2. 1
  3. 2
  4. 4
(정답률: 41%)
  • 2개의 대안이 있을 때 총 정보량은 1 bit이다. 이는 각 대안이 발생할 확률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bit으로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동전 던지기에서 앞면과 뒷면이 각각 발생할 확률이 50%이므로 하나의 bit으로 구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결함수 분석법에서 일정 조합 안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사상들이 모두 발생하지 않으면 틀림없이 정상사상(top event)이 발생되지 않는 조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컷셋(cut set)
  2. 패스셋(path set)
  3. 부울대수(Boolean algebra)
  4. 결함수셋(fault tree set)
(정답률: 63%)
  • 일정 조합 안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사상들이 모두 발생하지 않으면 정상사상이 발생되지 않는 조합을 "패스셋(path set)"이라고 한다. 패스셋은 결함함수 분석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시스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패스셋은 시스템 내의 모든 경로를 나타내며, 이들 중 하나라도 막히면 시스템이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패스셋을 식별하고 분석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phon값과 sone값의 관계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sone값 = 2 (phon값 - 40)/10
  2. phon값 = 2 (phon값 - 40)/10
  3. sone값 = 2(phon값 - 40)
  4. phon값 = 2(sone값 - 40)
(정답률: 25%)
  • 정답: "sone값 = 2 (phon값 - 40)/10"

    이유: phon값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sone값은 인간이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phon값이 작아질수록 소리의 크기는 작아지고, sone값도 작아집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sone값 = 2 (phon값 - 40)/10가 됩니다. 이 식에서 (phon값 - 40)/10은 phon값이 40dB일 때 sone값이 1인 것을 고려하여 구한 보정값입니다. 따라서, phon값이 작아질수록 sone값도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토질시험 중 흙의 강도 및 변형계수를 결정하는 시험으로 고무막에 넣은 원통형의 시료를 일정한 측압을 가함과 동시에 수직하중을 서서히 증대시켜 파괴하는 시험은?

  1. 투수시험
  2. 삼축압축시험
  3. 전단시험
  4. 다지기시험
(정답률: 62%)
  • 고무막에 넣은 원통형 시료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면, 일정한 측압을 가하면서 수직하중을 서서히 증대시켜 시료를 파괴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흙의 강도와 변형계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삼축압축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밀 콘크리트 제작 방법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틈새가 없는 질이 우수한 거푸집을 사용한다.
  2. 가급적이면 물ㆍ시멘트 비를 크게 한다.
  3. 이음치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양생을 충분히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4%)
  • 가급적이면 물ㆍ시멘트 비를 크게 한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적절한 물ㆍ시멘트 비율을 유지해야 수밀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보장됩니다. 물이 너무 많으면 강도가 약해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물ㆍ시멘트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지반 개량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다짐법
  2. 탈수법
  3. 치환법
  4. 아일랜드 공법
(정답률: 74%)
  • 아일랜드 공법은 실제로는 지반 개량 공법이 아니라, 지하수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지반 개량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아일랜드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를 수직부재인 기둥과 벽, 수평 부재인 보, 슬래브를 구획하여 타설하는 공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H 분리타설 공법
  2. N.H 분리타설 공법
  3. H.S 분리타설 공법
  4. H.N 분리타설 공법
(정답률: 50%)
  • 콘크리트를 수직과 수평으로 분리하여 타설하는 공법을 분리타설 공법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직부재인 기둥과 벽을 분리하여 타설하는 공법을 V.H 분리타설 공법이라고 합니다. 이는 기둥과 벽이 서로 다른 하중을 받기 때문에, 분리하여 타설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건설시공분야의 향후 발전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설구조물의 강재화
  2. 시공의 기계화
  3. 재료의 프리패브(pre-fab)화
  4. 공법의 습식화
(정답률: 79%)
  • 공법의 습식화는 건설시공분야의 향후 발전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습식공법은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습식공법은 시공 중 건축물 내부에 물이 침투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시공분야에서는 건축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건축공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개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벽식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조를 시공하는 공법으로 중층의 공동주택에 폭넓게 채용되는 PC공법은?

  1. WPC공법
  2. HPC공법
  3. RPC공법
  4. Half PC공법
(정답률: 36%)
  • WPC공법은 "Wall Panel Concrete"의 약자로 벽식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조를 시공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은 벽체를 패널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 기간이 짧고 공사 현장에서의 인력과 장비 사용이 적어 경제적이며, 고품질의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중층의 공동주택 등에서 폭넓게 채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반의 토질시험 중에서 무게 63.5kg의 추를 76cm 높이에서 낙하시켜 샘플러가 30cm 관입하는데 따른 저항치를 측정하는 시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단시험
  2. 지내력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베인시험
(정답률: 74%)
  • 이 시험은 지반의 밀도와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며, 토사의 저항력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추를 높이에서 떨어뜨려 샘플러가 관입하는 깊이를 측정하여 지반의 밀도와 강도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이 시험은 "표준관입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외관을 지중에 박아 관속에 콘크리트를 넣고 추로 다져 구근을 만들며 외관을 조금씩 빼내서 만드는 현장 콘크리트말뚝은?

  1. 콤프레솔파일(compressol pile)
  2. 프리팩트파일(prepacked pile)
  3. 프랭키파일(franky pile)
  4. 레이몬드파일(raymond pile)
(정답률: 25%)
  • 현장에서 외관을 지중에 박아놓고 그 안에 콘크리트를 넣어 구근을 만들며, 외관을 조금씩 빼내서 만드는 방식으로 만든 콘크리트말뚝을 프랭키파일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사 감리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계획의 검토 및 조언을 한다.
  2. 문서화된 품질관리에 대한 지시를 한다.
  3. 품질하자에 대한 수정방법을 제시한다.
  4. 건축의 형상, 구조, 규모 등을 정리한다.
(정답률: 74%)
  • 공사 감리자는 건축물의 시공과 관련하여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전문가이다. 따라서 "건축의 형상, 구조, 규모 등을 정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건축 설계자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 공사에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합판거푸집을 적용할 때 사용되면 측압력을 부담하지 않고 단지 거푸집의 간격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컬럼밴드
  2. 턴버클
  3. 폼타이
  4. 세퍼레이터
(정답률: 69%)
  • 세퍼레이터는 콘크리트 공사에서 간단한 구조의 합판거푸집을 적용할 때 사용되며, 측압력을 부담하지 않고 거푸집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거푸집 내부의 물과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측압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가 적용된 거푸집은 안정적이고 안전한 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건축공사의 착공식 이후 가장 먼저 착수해야 하는 공사는?

  1. 지붕 및 홈통공사
  2. 가설공사
  3. 지정공사
  4. 구체공사
(정답률: 58%)
  • 가설공사는 건축공사의 착공식 이후 가장 먼저 착수해야 하는 공사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기초를 담당하는 공사로,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설공사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인 지붕 및 홈통공사, 지정공사, 구체공사 등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영향이 가장 작은 것은?

  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다지기 방법
  2. 기온 및 대기의 습도
  3. 콘크리트 부어넣기 속도
  4. 콘크리트 발열
(정답률: 54%)
  • 콘크리트 발열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열로,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측압에 대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콘크리트 발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철골부재의 용접에서 용접상부에 따라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된 부분은?

  1. 오버랩(overlap)
  2. 언더컷(undercut)
  3. 블로우홀(blowhole)
  4. 크랙(crack)
(정답률: 60%)
  • 철골부재의 용접에서 용접상부에 따라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된 부분은 언더컷(undercut)이다. 이는 용접 전에 철골부재의 표면을 청소하지 않거나 용접 전에 적절한 전열처리를 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언더컷은 용접부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부식 및 파손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골공사의 구멍뚫기에 있어서 앵커볼트의 공칭 축직경 (d)에 대한 구멍직경(D)으로 옳은 것은?

  1. d + 1.0mm
  2. d + 1.5mm
  3. d + 3.0mm
  4. d + 5.0mm
(정답률: 34%)
  • 앵커볼트는 철골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멍을 뚫고 삽입되는데, 이때 구멍의 크기는 앵커볼트의 공칭 축직경보다 약간 크게 뚫어야 합니다. 이는 앵커볼트가 구멍 안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앵커볼트의 공칭 축직경(d)에 대한 구멍직경(D)은 d + 5.0mm이 옳습니다. 즉, 구멍의 지름은 앵커볼트의 지름보다 5mm 더 크게 뚫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앵커볼트의 공칭 축직경이 10mm인 경우, 구멍의 지름은 15mm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d + 5.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프로젝트의 자금조달과 설계 및 엔지니어링, 시공의 전부를 도급 받아 시설물을 완성하고 일정기간의 운영으로 투자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양도하는 공사계약제도 방식은?

  1. 파트너링 방식(partnering agreement)
  2. BOT방식(build operate transfer contract)
  3. 공사관리계약(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
  4. 턴키계약(turnkey contract)
(정답률: 55%)
  • BOT방식은 프로젝트의 자금조달과 설계 및 엔지니어링, 시공의 전부를 도급 받아 시설물을 완성하고 일정기간의 운영으로 투자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양도하는 공사계약제도 방식입니다. 따라서 BOT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말뚝박기 기계인 디젤해머(diesel hammer)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박는 속도가 빠르다.
  2. 타격음이 작다.
  3. 타격에너지가 크다.
  4. 운전이 용이하다.
(정답률: 70%)
  • 타격음이 작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디젤해머는 말뚝을 박기 위해 높은 에너지를 가진 타격을 가하므로, 타격음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지중보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흙의 허용 지내력도를 크게 한다.
  2. 주각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상태로 하여 부동침하를 방지한다.
  3. 지반을 압밀하여 지반강도를 증가시킨다.
  4. 콘크리트의 허용 지내력도를 크게 한다.
(정답률: 52%)
  • 지중보는 지하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지중보가 부동침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각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주각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상태로 하여 부동침하를 방지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리팩트파일의 일종으로 어스오거로 굴착한 후에 철근을 넣고 모르타르 주입관을 삽입한 다음 자갈을 충전하고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든 것은?

  1. PIP말뚝
  2. CIP말뚝
  3. MIP말뚝
  4. 슬러리월
(정답률: 37%)
  • CIP말뚝은 Concrete Infilled Pipe Pile의 약자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만든 말뚝을 의미합니다. 어스오거로 굴착한 후에 철근을 넣고 모르타르 주입관을 삽입한 다음 자갈을 충전하고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CIP말뚝입니다. PIP말뚝은 Plastic Infilled Pipe Pile의 약자로,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만든 말뚝을 의미하며, MIP말뚝은 Metal Infilled Pipe Pile의 약자로, 금속을 주입하여 만든 말뚝을 의미합니다. 슬러리월은 Slurry Wall로, 흙을 파내면서 동시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만든 벽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철골세우기용 기계설비가 아닌 것은?

  1. 가이데릭
  2. 스티프레그데릭
  3. 진폴
  4. 드래그라인
(정답률: 55%)
  • 드래그라인은 철골세우기용 기계설비가 아닙니다. 드래그라인은 해양공항 건설, 강 하구 정비, 강 경사면 정비 등에서 사용되는 수중 건설용 기계로, 바다나 강 등 수중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비파괴시험 방법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1. 슈미트해머 시험
  2. 슬럼프 시험
  3. 코어 시험
  4. 초음파 탐상시험
(정답률: 59%)
  • 슈미트해머 시험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파괴시험 방법입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표면에 작은 충격을 가해서 발생하는 음파의 속도를 측정하여 압축강도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측정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재료학

61.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원인이 아닌것은?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지나치게 큰 경우
  2. 배합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3. 단위수량이 너무 많은 경우
  4. AE제나 플라이애쉬를 첨가한 경우
(정답률: 49%)
  • AE제나 플라이애쉬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이므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원인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인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트럭믹서에 재료만 공급받아서 현장으로 가는 도중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1.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2.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3.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4. 배쳐플랜트 콘크리트
(정답률: 33%)
  • 트럭믹서에 재료만 공급받아서 현장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를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라고 합니다. 이는 "Transit Mix"의 약어로,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혼합 콘크리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배쳐플랜트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혼합하지 않고, 공장에서 미리 혼합하여 운반하는 콘크리트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탈산과 글리세린 수지에 지방산, 유지, 천연수지를 넣어 변성시킨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로써 페인트, 바니시, 래커 등의 도료로 이용되는 것은?

  1. 실리콘 수지
  2. 멜라민 수지
  3. 알키드 수지
  4. 폴리우레탄 수지
(정답률: 24%)
  • 알키드 수지는 프탈산과 글리세린 수지에 지방산, 유지, 천연수지를 넣어 변성시킨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로써, 이러한 성질로 인해 페인트, 바니시, 래커 등의 도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알키드 수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목재의 부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의 변재부가 청색으로 변하는 것을 속칭 청부라 하는데, 청부는 목재의 강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상수면하에 박은 기초말뚝 또는 수중에 완전침수시킨 목재는 습기로 인해 쉽게 부패한다.
  3. 균의 번식에 적당한 온도는 20 ~ 40℃ 이다.
  4. 대다수의 균은 CO2량이 80% 이상이 되면 발육이 거의 중지된다.
(정답률: 46%)
  • "목재의 변재부가 청색으로 변하는 것을 속칭 청부라 하는데, 청부는 목재의 강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상수면하에 박은 기초말뚝 또는 수중에 완전침수시킨 목재는 습기로 인해 쉽게 부패하는 이유는, 습기가 목재 내부로 침투하여 균의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재를 사용할 때는 습기를 피하고 보존 처리를 해야 한다.

    균의 번식에 적당한 온도는 20 ~ 40℃ 이며, 대다수의 균은 CO2량이 80% 이상이 되면 발육이 거의 중지된다는 것은 목재의 부패와 관련된 사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지하실 방수공사에 쓰이는 석유아스팔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아스팔타이트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 레이크 아스팔트
  4. 로크 아스팔트
(정답률: 49%)
  • 지하실 방수공사에 적합한 석유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입니다. 이는 높은 점도와 저온에서의 유연성이 있어 지하실 내부의 습기와 수압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녹는 점이 높아 더 오랜 시간 동안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동합금 중 청동(bronz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Cu)과 주석(Sn)을 주성분으로 한다.
  2. 황동에 비해 내식성이 약하다.
  3. 황동에 비해 주조성이 뛰어나다.
  4. 건축물의 장식 부품 또는 미술 공예제로 사용된다.
(정답률: 50%)
  • 청동은 황동과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며, 황동에 비해 내식성이 약한 이유는 주석이 황동의 내식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동에 비해 내식성이 약하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커진다.
  2. 단위 수량이 클수록 커진다.
  3. 골재가 경질이면 작아진다.
  4. 부재치수가 크면 작아진다.
(정답률: 44%)
  • "단위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커진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올바른 설명은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커진다."입니다. 이는 시멘트가 건조과정에서 수분을 방출하면서 수축하는데,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방출되는 수분의 양이 많아져서 건조수축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중량이 다음과 같을 경우 흡수율은?

  1. 2.04%
  2. 4.54%
  3. 8.66%
  4. 10.42%
(정답률: 27%)
  •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른 중량이 다르므로, 흡수율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 문제에서는 골재의 중량과 흡수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주어졌으므로, 그래프를 보고 흡수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x축은 골재의 중량을 나타내고, y축은 흡수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골재의 중량이 20일 때의 흡수율은 그래프에서 y값이 얼마인지 찾으면 됩니다.

    그래프를 보면, 골재의 중량이 20일 때의 흡수율은 약 2.04%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특수강 중 하나인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탄소량이 적고 내식성이 우수하다.
  2. 경도에 비해 가공성이 좋으며 납땜도 가능하다.
  3. 크롬, 니켈 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전기저항이 작고 열전도율이 크다.
(정답률: 47%)
  • 스테인리스강은 전기저항이 작고 열전도율이 큰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 및 열 전도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저항이 작고 열전도율이 크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했을 때 고로(高爐)시멘트의 일반적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열성이 크고 수밀성이 양호하다.
  2.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하다.
  3. 초기강도가 크다.
  4. 해수(海水)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정답률: 36%)
  • 고로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했을 때 초기강도가 크지 않습니다. 이유는 고로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높은 열에 노출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초기강도는 낮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열성이 크고 수밀성이 양호하며,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하며,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두랄루민은 무엇의 합금인가?

  1. 알루미늄 + 동 + 마그네슘 + 망간
  2. 알루미늄 + 아연 + 마그네슘 + 망간
  3. 알루미늄 + 아연 + 크롬 + 망간
  4. 알루미늄 + 동 + 크롬 + 아연
(정답률: 26%)
  • 두랄루민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동, 마그네슘, 망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합금 원소들은 두랄루민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마인유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코르크와 톱밥, 안료 등을 혼합하여 압연성형한 것은?

  1. 리놀륨 타일
  2. 고무 타일
  3. 아스팔트 타일
  4. 비닐 타일
(정답률: 57%)
  • 아마인유, 코르크, 톱밥, 안료 등을 혼합하여 압연성형한 것은 리놀륨 타일입니다. 이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 방화, 방음 등의 기능을 갖춘 바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벽, 기둥 등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미장 바름질을 할 때 붙이는 보호용 철물은?

  1. 조이너
  2. 코너비드
  3. 논슬립
  4. 펀칭메탈
(정답률: 54%)
  • 코너비드는 벽이나 기둥 등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용 철물로, 그 형태가 모서리를 둘러싸는 V자 모양이기 때문에 코너비드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타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일은 점토 또는 암석의 분말을 성형, 소성하여 만든 박판제품을 총칭한 것이다.
  2. 타일은 용도에 따라 내장타일, 외장타일, 바닥타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 및 내장타일은 습식법, 외장타일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다.
  4. 타일의 백화현상은 수산화석회와 공기 중 탄산가스의 반응으로 나타난다.
(정답률: 50%)
  • "타일의 백화현상은 수산화석회와 공기 중 탄산가스의 반응으로 나타난다."는 옳은 설명이다.

    타일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내장타일과 모자이크타일은 습식법에 의해 제조되며, 외장타일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다. 습식법은 점토와 물을 혼합하여 성형하고, 소성하여 만드는 방법이며, 건식법은 점토를 압축하여 성형하고, 소성하여 만드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석회암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치밀, 견고하여 색채와 반점이 아름다우며 갈면 광택이나 실내장식재와 조각재로 사용되는 석재는?

  1. 응회암
  2. 사암
  3. 사문암
  4. 대리석
(정답률: 70%)
  • 석회암이 결정화되어 강도와 밀도가 높아진 것을 대리석이라고 부릅니다. 대리석은 치밀하고 견고하여 광택이 있으며, 색채와 반점이 아름다워 실내장식재나 조각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대리석이 석회암이 변화하여 결정화한 것으로, 강도와 밀도가 높아져서 광택이 있고 아름다운 색채와 반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석재의 장ㆍ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연성이고 압축강도가 크다.
  2. 내수성, 내화학성이 뛰어나다.
  3. 대부분의 석재는 비중이 크고 가공성이 좋지 않다.
  4. 화강암은 외관이 미려하며 내화성도 우수하다.
(정답률: 43%)
  • 석재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강암은 외관이 미려하며 내화성도 우수하다." 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화강암은 외관이 미려하며 내화성도 우수하다는 것은 그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목재의 역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함수율
  2. 비중
  3. 가력방향
  4. 나이테
(정답률: 75%)
  • 나이테는 목재의 역학적 성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인입니다. 함수율은 목재의 수분 함량에 따라 변화하며, 비중은 목재의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가력방향은 목재의 강도와 관련이 있으며, 목재의 섬유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서 가해질 때 가장 강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나이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 소편에 합성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 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은?

  1. 파티클 보드
  2. 시멘트목질판
  3. 집성목재
  4. 합판
(정답률: 40%)
  • 파티클 보드는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 소편에 합성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 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이다. 따라서 주어진 설명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파티클 보드"이다. 시멘트목질판은 시멘트와 섬유소재를 혼합하여 만든 제품이고, 집성목재는 나무를 절단하여 붙여 만든 제품이며, 합판은 여러 장의 나무 판자를 접착제로 붙여 만든 제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점토벽돌에서 온장의 길이가 190mm라면 칠오토막의 길이는?

  1. 47.5mm
  2. 95mm
  3. 142.5mm
  4. 161.5mm
(정답률: 27%)
  • 칠오토막은 점토벽돌의 1/3 길이인 63.3mm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190mm를 3으로 나눈 값인 63.3mm이 칠오토막의 길이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63.3mm이 아닌 142.5mm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오답이며, 문제에서 제시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 출제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경화하는 미장재료는?

  1. 경석고 플라스터
  2. 시멘트 모르타르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 혼합석고 플라스터
(정답률: 60%)
  • 탄산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경화하는 미장재료는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입니다. 이는 탄산칼슘이 포함되어 있어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석고 플라스터와 혼합석고 플라스터는 석고를 주원료로 하지만,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석회암을 주원료로 하여 석고보다 더 강한 경화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멘트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건축자재로, 탄산가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안전기술

81. 12g의 젖은 흙을 건조시켜 10g의 건조토가 되었다. 이 흙의 함수비는 얼마인가?

  1. 15%
  2. 20%
  3. 25%
  4. 33%
(정답률: 58%)
  • 함수비는 건조토의 무게를 젖은 흙의 무게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함수비는 10g / 12g = 0.83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이다. 이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면 83%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묻는 것은 건조시킨 후의 함수비이므로, 100%에서 83%를 뺀 값인 17%가 물의 무게이다. 따라서, 건조토의 무게는 100% - 17% = 83% 이다. 이를 다시 젖은 흙의 무게로 나누면, 83% / 100% = 0.83 이므로, 함수비는 83%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0kg
  2. 120kg
  3. 180kg
  4. 200kg
(정답률: 36%)
  • 방망이 그물코 크기가 10cm이므로, 이 크기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물사이의 매듭이 충분히 강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망이 그물코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사의 인장강도는 200kg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그물사이의 매듭이 200kg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이음매가 있는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규정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는?

  1. 5
  2. 7
  3. 10
  4. 15
(정답률: 50%)
  • 이음매가 있는 와이어로프는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권상용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면 안 되며, (10)은 사용금지 규정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강관비계를 설치할 때 첫 번째 띠장의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얼마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m 이하
  2. 2m 이하
  3. 3m 이하
  4. 4m 이하
(정답률: 52%)
  • 강관비계는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시설로, 지하수가 일정 높이 이상 쌓이면 비계 내부에 물이 차서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띠장은 지하수가 쌓이기 전에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감전재해의 방지대책에서 직접접촉에 대한 방지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1. 보호절연
  2. 보호접지(기기외함의 접지)
  3. 충전부에 방호망 또는 절연덮개 설치
  4. 안전전압 이하의 전기기기 사용
(정답률: 38%)
  • 감전재해의 방지대책 중 직접접촉에 대한 방지대책은 전기기기의 충전부에 방호망 또는 절연덮개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이는 전기기기 내부의 충전부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전기적인 충격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입니다. 충전부는 전기기기 내부에서 전기를 충전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 접촉하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전부에 방호망 또는 절연덮개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할 때 붕괴 등의 위험방지를 위한 정기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침하의 정도
  2.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3. 지형ㆍ지질 및 지층상태
  4.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변위 및 탈락의 유무
(정답률: 63%)
  • 지형ㆍ지질 및 지층상태는 설치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정기점검사항은 아닙니다. 정기점검사항은 설치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사항들로, 침하의 정도,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변위 및 탈락의 유무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터널작업 중 낙반 등에 의한 위험방지를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1. 터널지보공 설치
  2. 록볼트 설치
  3. 부석의 제거
  4. 산소의 측정
(정답률: 77%)
  • 산소의 측정은 낙반 등에 의한 위험방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취할 수 있는 조치사항이 아니다. 산소의 측정은 작업장 내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학물질 누출 등으로 인한 유해가스 발생 시에도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물의 층수가 적은 긴 평면일 때 또는 당김줄을 마음대로 맬 수 없을 때 작업이 용이하며 수평 이동을 하면서 세우기를 할 수 있는 기계설비는?

  1. 가이 데릭(guy derrick)
  2. 스티프 레그 데릭(stiff leg derrick)
  3. 트럭 크레인(truck crane)
  4. 진폴(gin pole)
(정답률: 32%)
  • 스티프 레그 데릭은 층수가 적은 건물이나 당김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계설비로, 수평 이동을 하면서 세우기를 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가이 데릭이나 진폴과는 달리 당김줄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럭 크레인과는 달리 높은 곳에 작업을 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거푸집에 가해지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다음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슬럼프가 클수록 크다.
  2. 거푸집의 수평단면이 클수록 크다.
  3.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크다.
  4.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작다.
(정답률: 50%)
  •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작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측압은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강성이 높을수록 거푸집이 덜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때는 가능한 한 강성이 높은 거푸집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주부재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한다.
  2.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여야 한다.
  3.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한다.
  4.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74%)
  •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여야 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말비계를 사용할 때는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면 안 됩니다. 이는 말비계가 불안정해지고 넘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말비계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말비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지주부재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하고,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유지하며,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경화된 콘크리트의 각종 강도를 비교한 것 중 옳은 것은?

  1. 전단강도 > 인장강도 > 압축강도
  2. 압축강도 > 인장강도 > 전단강도
  3. 인장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4. 압축강도 > 전단강도 > 인장강도
(정답률: 30%)
  • 압축강도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강도이며,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해 강한 재료입니다. 전단강도는 콘크리트가 전단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강도이며, 콘크리트는 전단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약한 재료입니다. 인장강도는 콘크리트가 인장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강도이며, 압축강도와 비교했을 때 인장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압축강도 > 전단강도 > 인장강도 순으로 강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항목이 아닌것은?

  1. 안전관리자의 인건비
  2.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비용
  3. 안전시설비
  4. 안전진단비
(정답률: 40%)
  •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항목은 안전관리자의 인건비, 안전시설비, 안전진단비이다.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비용은 안전관리자의 업무에 포함되는 비용으로,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항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건설용 리프트에 대하여 바람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는 조치를 한다고 할 때 그 기준이 되는 최소 풍속은?

  1. 순간 풍속 30m/s 초과
  2. 순간 풍속 35m/s 초과
  3. 순간 풍속 40m/s 초과
  4. 순간 풍속 45m/s 초과
(정답률: 56%)
  • 건설용 리프트는 높은 건물을 건설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바람에 의해 기울거나 붕괴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용 리프트를 사용할 때는 바람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이 때, 안전을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 순간 풍속입니다. 순간 풍속은 바람이 갑자기 불어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풍속으로, 건설용 리프트가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순간 풍속을 기준으로 안전조치를 취합니다. 따라서 건설용 리프트를 사용할 때는 순간 풍속 35m/s 초과일 경우 안전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지게차에 설치된 헤드가드가 등분포정하중에 대해 견뎌야하는 최소 강도는? (단, 지게차의 최대하중은 2ton임)

  1. 1ton
  2. 2ton
  3. 3ton
  4. 4ton
(정답률: 19%)
  • 지게차의 최대하중이 2ton이므로, 헤드가드는 최소 2ton의 하중을 견뎌야 합니다. 그러나 등분포정하중은 최대하중보다 더 큰 하중을 가할 수 있으므로, 헤드가드는 최소 2ton 이상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t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의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판재료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작업발판의 폭은 30cm 이상이어야 한다.
  3. 추락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작업발판재료는 2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 하여야 한다.
(정답률: 64%)
  • 작업발판의 폭이 좁으면 안정성이 떨어져서 작업 중에 발을 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발판의 폭은 30c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일정 한계 이상 감기지 않도록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는?

  1. 훅해지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비상정지장치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률: 58%)
  •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일정 한계 이상 감기지 않도록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는 권과방지장치입니다. 이는 와이어로프가 감긴 상태에서도 일정한 감긴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와이어로프의 과도한 권취를 방지하고, 크레인의 안전한 운전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차량계 건설기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불도저
  2. 파워셔블
  3. 크레인
  4. 천공기
(정답률: 32%)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차량계 건설기계에는 불도저, 파워셔블, 천공기가 포함되지만 크레인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크레인이 차량계 건설기계가 아닌 별도의 규정과 법률에 따라 관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철골구조의 조립에서 이음(connection)의 종류가 아닌것은?

  1. 고장력 볼트이음
  2. 리벳이음
  3. 와이어이음
  4. 용접이음
(정답률: 67%)
  • 와이어이음은 철골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이음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고장력 볼트이음은 볼트를 이용하여 강력한 결합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리벳이음은 철재를 구멍에 박아서 이음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용접이음은 두 철재를 용접하여 이음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것은?

  1. 입경
  2. 유체의 점성계수
  3. 공극비
  4. 압축지수
(정답률: 29%)
  • 압축지수는 흙의 압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흙이 압축될 때 부피가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닙니다. 입경, 유체의 점성계수, 공극비는 모두 흙의 구조와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강관비계 중 단관비계의 조립간격(벽체와의 연결간격)으로 옳은 것은?

  1. 수직방향 : 6m, 수평방향 : 8m
  2. 수직방향 : 5m, 수평방향 : 5m
  3. 수직방향 : 4m, 수평방향 : 6m
  4. 수직방향 : 8m, 수평방향 : 6m
(정답률: 35%)
  • 단관비계는 벽체와의 연결간격이 중요하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연결부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립간격은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조립간격은 각각 5m인 것이 옳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연결부의 강도를 고려한 결과이다. 수직방향의 조립간격이 6m인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조립간격이 8m인 경우에는 연결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수직방향의 조립간격이 4m인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정성이 과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조립간격이 6m인 경우에는 연결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수직방향의 조립간격이 8m인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조립간격이 6m인 경우에는 연결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조립간격이 각각 5m인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